KR200335728Y1 - 연승수하연 양식물 부착판 - Google Patents

연승수하연 양식물 부착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35728Y1
KR200335728Y1 KR20-2003-0029328U KR20030029328U KR200335728Y1 KR 200335728 Y1 KR200335728 Y1 KR 200335728Y1 KR 20030029328 U KR20030029328 U KR 20030029328U KR 200335728 Y1 KR200335728 Y1 KR 20033572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plate
seed
coupling passage
ro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2932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백천흠
윤치훈
Original Assignee
윤치훈
백천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치훈, 백천흠 filed Critical 윤치훈
Priority to KR20-2003-002932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3572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3572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35728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1/00Culture of aquatic animals
    • A01K61/60Floating cultivation devices, e.g. rafts or floating fish-farms
    • A01K61/65Connecting or mooring device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1/00Culture of aquatic animals
    • A01K61/50Culture of aquatic animals of shellfish
    • A01K61/54Culture of aquatic animals of shellfish of bivalves, e.g. oysters or musse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8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fisheries management
    • Y02A40/81Aquaculture, e.g. of fish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Zo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Cultivation Of Seaweed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판상의 베이스, 소정의 간격과 크기로 상기 베이스의 상면과 하면을 관통하도록 형성되는 다수 개의 통공, 상기 베이스의 가장자리에서 상기 베이스의 내측으로 소정의 폭과 깊이로 절개되어 형성되는 결합통로, 및 상기 결합통로의 내측 단부에 형성되는 고정홈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연승수하연 양식장의 수하연 로프에 상기 베이스를 결합하고 베이스의 상면에 종패를 안착시켜 안정적으로 성장 발육 시키는 연승수하연 양식물 부착판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연승수하연 양식물 부착판{Cultivating Plate for Rope Hanging Method}
본 고안은 연승수하연 양식장에 사용되는 양식물 부착판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부착성 수산물(멍게, 홍합, 미역, 다시마 등) 양식방법에 사용되는 연승수하연 양식장은 도1에 도시된 바와 같다.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수면에는 복수개의 부자(뜸통)가 띄어지고, 수중에는 상기 부자와 연결된 부자끈을 통해 연승줄이 연결되고, 상기 연승줄의 양단이 해저면에 말목으로 고정된다.
그리고, 연승줄에는 소정의 간격으로 수하연 로프가 설치되어 있으며, 수하연 로프에는 소정의 간격으로 매듭이 형성되고 매듭마다 고무벨트 조각 등으로 구성된 종패 부착물이 설치된다.
따라서, 종패는 상기 종패 부착물에 메달린 상태로 성장 발육하게 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연승수하연 양식방법은 가수하 과정시에 폐사된 종패가 해저면에 가라앉게 되고 폐사되어 가라앉은 종패는 연안 어장의 주 오염원이 되었다.
또한, 종패 부착물에 종패가 안정적으로 부착되기가 곤란한 구조로 되어 있어 성장과정에서 해저면으로 낙하하여 폐사되는 비율도 상당히 높아 해양오염과 함께 양식장의 수익성을 저해하는 요인이 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종패 부착물에 불안정하게 부착된 상태에서 양식됨에 따라 성패가 되어도 발육상태가 불량하여 상품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었다.
아울러 수하연 로프에 소정의 간격으로 매듭을 지어 종패 부착물을 설치하는 방법은 많은 노동력이 소요되어 인력, 비용, 및 시간의 낭비 요인이 되었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본 고안의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연승수하연 양식장에서 수하연 로프에 용이하게 결착되는 양식물 부착판을 제공함을 그 목적으로 한다.
둘째, 종패를 안정적으로 안착시켜 종패의 원활한 성장 발육이 가능한 양식물 부착판을 제공함으로 수익성을 제고함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셋째, 종패가 안정적으로 안착된 상태에서 성장 발육이 가능하도록 하여 각각의 종패가 성장 과정에서 종패 부착물로부터 분리되지 않고 부착상태를 유지하기 위하여 소모하는 에너지를 최소화하여 성패의 크기를 최대화하여 상품성을 제고함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네째, 폐사된 종패의 낙하를 방지하여 수질오염을 방지하는 환경친화적인 양식물 부착판을 제공함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도1은 종래의 연승수하연 양식장을 나타내는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2는 본 고안인 연승수하연 양식물 부착판이 적용된 연승수하연 양식장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3은 본 고안인 연승수하연 양식물 부착판의 구체적 실시예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베이스 20:통공
30:결합통로 40:고정홈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판상의 베이스, 소정의 간격과 크기로 상기 베이스의 상면과 하면을 관통하도록 형성되는 다수 개의 통공, 상기 베이스의 가장자리에서 상기 베이스의 내측으로 소정의 폭과 깊이로 절개되어 형성되는 결합통로, 및 상기 결합통로의 내측 단부에 형성되는 고정홈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승수하연 양식물 부착판에 관한 것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2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연승수하연 양식장의 수하연 로프에 종래의 고무벨트 조각이 아니라 판상의 연승수하연 양식물 부착판이 설치되고 그 위에 종패가안착되어 성장하게 되는 구조로 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연승수하연 양식물 부착판은 도3에 도시된 구체적 실시예에 의하면 원반 형상의 베이스(10)를 몸체로 하여 구성됨을 알 수 있다.
그러나, 베이스(10)의 형상은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반 형상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여러 가지 형상의 판상구조가 자유롭게 선택되어 사용되어 질 수 있다.
다시 말하면 베이스(10)는 본 고안인 연승수하연 양식물 부착판의 몸체를 이루는 부분으로서 그 상면에는 종패가 안착되어 성장하게 되므로 종패를 수용하여 안착할 수 있는 공간만 제공할 수 있으면 판상의 외형은 어떠한 형상이라도 상관 없다.
통공(20)은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의 간격과 크기로 상기 베이스(10)의 상면과 하면을 관통하도록 형성되어 있어 베이스(10)의 상면과 하면을 통하여 해수의 유통이 원활하도록 한다.
이와 같이 해수의 유통이 원활하게 이루어 질 경우 베이스(10)의 상면에 안착된 종패의 성장발육을 촉진하게 된다.
통공(20)의 형상은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드시 원형을 유지할 필요가 없으며 원형, 타원형, 삼각형 등의 다각형 등이 자유롭게 선택되어 사용되어 질 수 있으며, 통공(20)의 크기 또한 일정한 수치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통공(20)을 통한 종패의 낙하를 방지하고 해수의 자유로운 유통이 가능한 범위 내에서 자유롭게 선택될 수 있다.
결합통로(30)는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10)의 가장자리에서 베이스(10)의 중심을 향하도록 소정의 깊이까지 절개 된 후 Y자 형상이 되도록 절개부가 2개로 분리되어 뻗어 있으며 분리된 절개부의 진행방향이 180°이상 변경되도록 대칭적으로 선회되어 있으나, 결합통로(30)는 도3에 도시된 형상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연승수하연 양식장의 수하연 로프가 베이스(10)의 가장자리에서 베이스(10)의 내측으로 진입할 수 있는 통로 역할을 하는 구조와 형상이면 어떠한 형상이라도 자유롭게 선택되어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결합통로(30)는 도3에 도시된 바와는 달리 베이스(10)의 가장자리 2곳 이상에서 내측으로 절개가 시작될 수도 있다.
결합통로(30)의 절개부위의 폭은 상기 수하연 로프의 직경보다 약간 작은 정도가 되어 상기 수하연 로프가 통과할 때 약간의 저항을 받을 수 있는 정도가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한 번 결합된 수하연 로프가 쉽게 결합통로(30)를 통하여 빠져 나오는 것을 방지하여 본 고안인 연승수하연 양식물 부착판이 수하연 로프에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할 필요가 있기 때문이다. 물론 인위적으로 일정한 힘을 가할 경우 본 고안인 연승수하연 양식물 부착판을 수하연 로프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고정홈(40)은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통로(30)의 내측 단부에 형성되어 있으며, 수하연 로프가 고정홈(40)에 끼워 져 본 고안인 연승수하연 양식물 부착판이 수하연 로프에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고정홈(40)의 구체적 형상은 도3에 도시된 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수하연 로프를 수용하여 결합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형상이면 어떠한 형상이라도 선택되어 적용될 수 있으나 통상적으로는 수하연 로프의 단면형상과 같이 원형의 홈부가 구비된다. 도3에 도시된 원형의 홈부는 결합통로(30)의 폭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약간 여유를 가지도록 넓게 형성되어 있어 일단 고정홈(40)에 도달한 수하연 로프가 결합통로(30)를 통하여 쉽게 빠져 나가지 못하도록 한다.
고정홈(40)은 도3과 같이 2개가 형성되어 사용되기도 하며, 첨부 도면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1개만인 형성되어 사용될 수도 있고, 3개 이상이 사용될 수도 있다. 따라서 2개 또는 3개 정도의 고정홈(40)이 사용되는 것이 베이스(10)가 수하연 로프에 안정되게 결합되어 그 상면에 종패를 안정적으로 안착시킬 수 있는 자세를 유지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
상기한 구성의 연승수하연 양식물 부착판을 연승수하연의 양식장의 수하연 로프에 부착하고 베이스(10)의 상면에 종패를 안착시켜 종패를 안정적으로 성장 발육 시킨다.
상기한 구성의 본 고안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첫째, 연승수하연 양식장에서 수하연 로프에 양식물 부착판을 용이하게 결착 할 수 있다.
둘째, 종패를 안정적으로 안착시켜 종패의 원활한 성장 발육이 가능한 양식물 부착판을 제공함으로 수익성을 제고할 수 있다.
셋째, 성장 과정에서 종패 부착물로부터 분리되지 않고 부착상태를 유지하기 위하여 각각의 종패가 소모하는 에너지를 최소화하고 성패의 크기를 최대화하여 상품성을 제고할 수 있다.
네째, 폐사된 종패의 낙하에 기인한 수질오염을 방지하는 친환경적인 양식장을 제공할 수 있다.

Claims (3)

  1. 판상의 베이스;
    소정의 간격과 크기로 상기 베이스의 상면과 하면을 관통하도록 형성되는 다수 개의 통공;
    상기 베이스의 가장자리에서 상기 베이스의 내측으로 소정의 폭과 깊이로 절개되어 형성되는 결합통로;및,
    상기 결합통로의 내측 단부에 형성되는 고정홈;
    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승수하연 양식물 부착판.
  2. 제1항에서, 상기 결합통로는 상기 베이스의 중심을 향하도록 소정의 깊이까지 절개된 후 다수 개의 절개부로 분리되고 상기 분리된 절개부의 진행방향이 소정의 각도로 변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승수하연 양식물 부착판.
  3. 제2항에서, 상기 베이스는 원반형상이고, 상기 결합통로는 Y자 형상이 되도록 상기 절개부가 2개로 분리되고 상기 분리된 절개부의 진행방향이 180°이상 변경되도록 대칭적으로 선회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승수하연 양식물 부착판.
KR20-2003-0029328U 2003-09-16 2003-09-16 연승수하연 양식물 부착판 KR20033572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9328U KR200335728Y1 (ko) 2003-09-16 2003-09-16 연승수하연 양식물 부착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9328U KR200335728Y1 (ko) 2003-09-16 2003-09-16 연승수하연 양식물 부착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35728Y1 true KR200335728Y1 (ko) 2003-12-11

Family

ID=494208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29328U KR200335728Y1 (ko) 2003-09-16 2003-09-16 연승수하연 양식물 부착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35728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0957B1 (ko) * 2007-03-20 2007-10-26 정추남 홍합 분리기
KR101606917B1 (ko) 2015-07-07 2016-03-28 주식회사 케이씨티 친환경 어패류 양식용 지지대
KR20230158698A (ko) 2022-05-12 2023-11-21 오상현 수하로프 디스크 삽입 장치 및 그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0957B1 (ko) * 2007-03-20 2007-10-26 정추남 홍합 분리기
KR101606917B1 (ko) 2015-07-07 2016-03-28 주식회사 케이씨티 친환경 어패류 양식용 지지대
KR20230158698A (ko) 2022-05-12 2023-11-21 오상현 수하로프 디스크 삽입 장치 및 그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8080312U (zh) 一种高稳定性人工鱼礁
CN206402945U (zh) 一种上升流式人工鱼礁
KR101953755B1 (ko) 다단 구조를 가지는 인공어초
KR101959294B1 (ko) 수생식물 재배용 용기
JP2015165796A (ja) 浮魚礁
KR200335728Y1 (ko) 연승수하연 양식물 부착판
CN101849519A (zh) 近海浮绳式网箱系统
CN212279453U (zh) 复合型人工珊瑚礁及人工珊瑚礁生态系统
KR101722714B1 (ko) 원형 다기능 어초
JP2003047363A (ja) 藻場増殖礁
KR100315165B1 (ko) 상자형 인공어초
KR101420314B1 (ko) 밑 걸림 방지용 외부 싱커를 구비한 에기
JP2005110612A (ja) 昆布増殖用暖簾式木灰セラミックス礁
KR200409213Y1 (ko) 전복양식 구조물
JP3114373U (ja) 人工浮魚礁
JP5924605B2 (ja) 藻類の育成方法
CN103070108B (zh) 一种渔业辅助养殖装置
JP5004441B2 (ja) 磯根資源成育礁及び磯根資源の成育方法
KR102051997B1 (ko) 굴 양식용 양성판
KR100353083B1 (ko) 부어초
JP3044065U (ja) 藻が付着し易い人工魚礁
CN104756901B (zh) 生态型人工鱼礁
JP2925083B1 (ja) 養殖方法及びその方法を実施するための養殖装置
CN219182353U (zh) 一种多层阶梯式保育防波两用的大型藻礁
JP2008072925A (ja) 生育部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03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