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58021A - 가스센서용 방수 구조 - Google Patents

가스센서용 방수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58021A
KR20210058021A KR1020190144918A KR20190144918A KR20210058021A KR 20210058021 A KR20210058021 A KR 20210058021A KR 1020190144918 A KR1020190144918 A KR 1020190144918A KR 20190144918 A KR20190144918 A KR 20190144918A KR 20210058021 A KR20210058021 A KR 2021005802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er
gas sensor
axial direction
grommet
waterproof struc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449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80674B1 (ko
Inventor
이승태
김경현
김정택
이대건
성기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현대케피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현대케피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현대케피코
Priority to KR10201901449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80674B1/ko
Publication of KR202100580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580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806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806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7/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 G01N27/26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electrochemical variables; by using electrolysis or electrophoresis
    • G01N27/403Cells and electrode assemblies
    • G01N27/406Cells and probes with solid electrolytes
    • G01N27/407Cells and probes with solid electrolytes for investigating or analysing gases
    • G01N27/409Oxygen concentration ce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42Auxiliary equipment or operation thereof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Measuring Oxygen Concentration In Ce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스센서용 방수 구조에 관한 것으로, 가스센서 소자를 실링하는 그로멧, 상기 그로멧의 내부에 삽입되고 외부 공기와 함께 상기 가스센서 소자로 유입되는 수분 및 이물질을 거르도록 원기둥 형태로 형성된 필터, 및 축 방향 일측 단부가 상기 필터와 접촉되도록 구비되고 상기 필터를 통과한 외부 공기가 상기 가스센서 소자로 유입되도록 원통 형태로 형성된 관형 부재를 포함하여 누수의 가능성이 감소하여 방수 및 통기 성능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가스센서용 방수 구조 {WATERPRROF STRUCTURE FOR GAS SENSOR}
본 발명은 가스센서용 방수 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산소, NOx 등의 측정에 사용되는 가스센서로 외부 공기를 유입시킬 때 함께 유입되는 수분 또는 이물질 등을 거르는 가스센서용 방수 구조에 관한 것이다.
내부 공간을 가지는 기기 중에서 이 내부 공간을 외부와 통기공 등을 통해서 통기 가능하게 하는 기기가 있지만, 이러한 기기에서는 어떠한 대책도 하지 않으면 통기공을 통해서, 대기와 함께 물이 내부 공간까지 침입할 우려가 있다. 한편, 기기의 용도나 특성에 의해 내부로의 물의 침입을 방지하지 않으면 안 되는 기기가 있고, 이들의 기기에 대해서는 방수 대책이 실시된 방수성 기기가 되어 있다. 따라서, 방수성이 요구되어 또한 외부와 내부 공간과의 통기도 확보하는 것이 요구되는 방수성 기기에서는 통기공에 대해서도 통기를 확보함과 동시에 방수성도 확보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방수성 기기의 예로서 가스 센서를 들 수 있다. 이 가스 센서는 전단부를 닫아 후단 측이 개구하고 축선 방향으로 연장되는 중공형 고체 전해질체의 내주면에 내부 전극을 형성함과 동시에, 외주면에 외부 전극을 형성한 구조를 가지는 가스 센서 소자를 구비하고, 기준 가스로서의 대기를 내주면에 접촉시킴과 동시에, 외주면에 측정 가스로서의 배기가스를 접촉시켜 그 양극에 발생하는 가스 농담에 따른 기전력을 이용해 가스 농도를 검출한다.
또한 이 가스 센서는 상기 가스 센서 소자를 고정하는 하우징과 그 하우징 후단 측에 자신의 선단부가 고착되고 가스 센서 소자 후단 측을 덮도록 축선 반대 방향으로 연장된 중공형 외통부를 포함한다. 외통부가 열린 끝에는 중앙에 통기 관통 구멍을 가지는 그로멧이 끼워지고, 외통부와 그로멧은 서로 밀봉되어 있다. 따라서, 내부 전극은 하우징과 외통부 및 그로멧으로 구성되는 내부 공간에 수용되며 이 내부 공간으로의 대기의 도입은 그로멧의 통기 관통 구멍을 통해서 수행된다.
그런데 이 가스 센서 소자의 내부 공간에 대기의 도입과 함께 수분이 침투하면, 가스 센서 소자의 내부 전극 및 외부 전극과 접속되는 단자 브라켓 사이에서 단락이 발생하거나 가스 센서 소자와 함께 내부 공간에 수용되는 히터에 단락이 발생하여 가스의 농담에 따른 기전력을 적절하게 측정할 수 없다.
그 결과, 일본등록특허 제4209817호에서는 가스 센서에서는 통기성과 발수성을 가지는 섬유 구조를 갖는 필터를 이용한여 수분의 침투를 차단한다. 구체적으로는 필터를 양단이 개구한 통형 금속 부재로 통기 관통 구멍 내에 압입하고, 발수성 필터 구조를 형성하여 이 통기 관통 구멍의 통기성을 확보하면서, 외부로부터 내부 공간으로의 침수를 방지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방수 구조에서는 필터의 고정력에 한계가 있고, 필터와 그로멧이 서로 접촉하는 부분을 따라 수분이 흐를 가능성이 존재하여 방수력에 한계가 있다. 따라서, 조립이 간단하면서도 방수 성능 및 고정 효과가 우수한 방수 구조를 개발할 필요가 있다.
일본등록특허 제4209817호(2008.10.31)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가스센서용 방수 구조가 가지는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 조립이 용이하면서 방수 및 통기 성능을 향상시키는 가스센서용 방수 구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가스센서용 방수 구조는 가스센서 소자를 실링하는 그로멧, 상기 그로멧의 내부에 삽입되고 외부 공기와 함께 상기 가스센서 소자로 유입되는 수분 및 이물질을 거르도록 원기둥 형태로 형성된 필터, 및 축 방향 일측 단부가 상기 필터와 접촉되도록 구비되고 상기 필터를 통과한 외부 공기가 상기 가스센서 소자로 유입되도록 원통 형태로 형성된 관형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그로멧은, 상기 가스센서 소자를 실링하도록 형성된 그로멧 본체, 및 상기 그로멧 본체의 내부에 축 방향을 따라 홀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필터가 삽입되어 고정되도록 내주면에 요철이 돌출 형성된 필터 고정부를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그로멧은, 상기 그로멧 본체의 내부에 축 방향을 따라 홀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필터 고정부와 연통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관형 부재가 삽입 수용되도록 형성된 관 수용부를 더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그로멧은, 상기 그로멧 본체의 내부에 축 방향을 따라 홀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관 수용부와 연통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관형 부재의 축 방향 이탈을 방지하도록 상기 관 수용부의 내경보다 작은 내경을 가지도록 형성된 스토퍼부를 더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그로멧은 외부 공기가 유입되도록 상기 그로멧 본체의 축 방향 일측 단부에서부터 상기 필터 고정부를 향하여 홀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필터 고정부와 연통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필터 고정부의 내경보다 작은 내경을 갖도록 형성된 공기 유입홀을 더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그로멧은, 상기 필터를 통과한 외부 공기가 상기 가스센서 소자로 공급되도록 상기 그로멧 본체의 축 방향 타측 단부에서부터 상기 스토퍼부를 향하여 홀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스토퍼부와 연통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스토퍼부의 내경보다 큰 내경을 갖도록 형성된 공기 공급홀을 더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상기 필터는, 원기둥 형태로 형성된 필터 본체, 및 상기 필터 본체의 외주면에서 반경 방향 내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되고 상기 필터 고정부의 상기 요철이 수용되도록 상기 요철의 위치에 대응하여 홈 형태로 형성된 요철수용홈을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상기 관형 부재는, 원통 형태로 형성된 관 본체, 및 상기 관 본체의 축 방향 일측 단부에 형성되고 상기 필터와 접촉 지지되도록 구비되며 조립 시 탄성 변형되어 상기 스토퍼부를 통과하도록 외경이 점차 작아지도록 형성된 삽입가이드부를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가스센서용 방수 구조에 의하면, 원기둥 형태의 필터와 관형 부재가 그로멧 내부에 삽입되고 스토퍼 및 요철 구조에 의하여 고정되므로 누수의 가능성이 감소하여 방수 및 통기 성능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필터와 관형 부재를 그로멧 내부로 밀어 넣는 간단한 방식으로도 삽입된 필터와 관형 부재가 고정되어 제품 생산 효율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가스센서의 일반적인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스센서용 방수 구조에서 실링 유닛 대한 분해사시도,
도 3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스센서용 방수 구조에서 실링 유닛에 대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스센서용 방수 구조에서 그로멧에 대한 단면도,
도 5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스센서용 방수 구조에서 필터에 대한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한다.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의도는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되는 경우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될 수 있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으로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질 수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으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을 수 있다.
아울러, 이하의 실시예는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으로서, 도면에서의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도 1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스센서용 방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하여 가스센서에 대한 부분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가스센서는 실링 유닛(1), 하우징(2) 및 가스센서 소자(3)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하우징(2)의 내부에는 상기 가스센서 소자(3)가 수용되어 있고, 상기 하우징(2)의 개방된 축 방향 일측 단부에는 상기 실링 유닛(1)이 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실링 유닛(1)은 상기 하우징(2)을 실링하여 상기 가스센서 소자(3)에 수분 및 이물질 등이 침투되는 것을 막는 한편, 외부 공기(신기)는 통과시키는 역할을 한다.
한편, 도 2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스센서용 방수 필터에서 실링 유닛(1) 대한 분해사시도가 개시되어 있고, 도 3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스센서용 방수 필터에서 실링 유닛(1) 대한 단면도가 개시되어 있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스센서용 방스 필터에서 상기 실링 유닛(1)은 그로멧(10), 필터(20) 및 관형 부재(30)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그로멧(10)의 내부에 상기 필터(20) 및 상기 관형 부재(30)가 삽입되어 고정되고, 상기 필터(20) 및 상기 관형 부재(30)는 외부 공기가 유입되는 방향을 향하여 축 방향을 따라 상기 필터(20)가 전방에 배치되고, 상기 관형 부재(30)가 상기 필터(20)에 접촉된 상태로 후방에 배치된다.
그 결과, 수분과 이물질이 포함된 외부 공기가 상기 필터(20)를 통과하면서 수분과 이물질은 걸러지고, 깨끗하고 건조한 공기만 상기 관형 부재(30)를 통하여 상기 가스센서 소자(3) 쪽으로 이동한다.
한편, 도 4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스센서용 방수 필터에서 상기 그로멧(10)에 대한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 내지 도 4을 참조하면, 상기 그로멧(10)은 상기 하우징(2)의 일측 단부를 막아 상기 가스센서 소자(3)를 실링하도록 구비되고, 그로멧 본체(11), 공기 유입홀(12), 필터 고정부(13), 관 수용부(14), 스토퍼부(15), 공기 공급홀(16) 및 리드선 관통홀(17)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그로멧 본체(11)는 상기 하우징(2)에 결합되도록 원기둥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2)의 형태에 대응하여 외주면에 단이 형성되거나 또는 외주면에 경사가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상기 그로멧 본체(11)에는 외부 공기가 상기 가스센서 소자(3)를 향하여 통과할 수 있도록 축 방향을 따라 상기 공기 유입홀(12), 상기 필터 고정부(13), 상기 관 수용부(14), 상기 스토퍼부(15) 및 상기 공기 공급홀(16)이 순서대로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공기 유입홀(12), 상기 필터 고정부(13), 상기 관 수용부(14), 상기 스토퍼부(15) 및 상기 공기 공급홀(16)은 서로 연통되어 하나의 유로(홀)를 형성한다. 또한 상기 그로멧 본체(11)에는 상기 가스센서 소자(3)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리드선이 삽입되어 관통할 수 있도록 상기 리드선 관통홀(17)이 축 방향을 따라 형성된다.
상기 공기 유입홀(12)은 외부 공기가 유입되도록 상기 그로멧 본체(11)의 축 방향 일측 단부에서부터 상기 필터 고정부(13)를 향하여 출 방향을 따라 홀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필터 고정부와 연통되도록 형성된다. 이때, 상기 공기 유입홀(12)은 외부 공기가 유입되는 상기 그로멧 본체(11)의 축방향 일측 단부에서부터 점차 직경이 좁아진 후(12a) 소정 내경(R1)을 유지하도록 형성된다.
한편, 상기 공기 유입홀(12)의 내경(R1)은 상기 필터 고정부(13)의 내경(R2)보다 작은 내경을 갖도록 형성된다(R1<R2).
상기 필터 고정부(13)는 상기 그로멧 본체(11)의 내부에 축 방향을 따라 홀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공기 유입홀(12) 및 상기 관 수용부(14)와 연통되고, 상기 필터(20)가 삽입되어 고정되도록 내주면에 요철(13a)이 돌출 형성된다.
즉, 상기 필터 고정부(13)의 내경(R2)에 대응하는 직경을 가진 상기 필터(20)가 상기 요철(13a)에 의하여 압축되면서 삽입되어 고정 결합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상기 요철(13a)은 상기 필터 고정부(13)의 내주면 상에서 원주방향을 따라 길게 리브형태로 돌출 형성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원주 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을 두고 돌기 형태로 돌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관 수용부(14)는 상기 그로멧 본체(11)의 내부에 축 방향을 따라 홀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필터 고정부(13) 및 상기 스토퍼부(15)와 연통되고, 상기 관형 부재(30)가 삽입 수용된다. 즉, 상기 관 수용부(14)의 내경(R2)에 대응하는 직경을 가진 상기 관형 부재(30)가 삽입되고, 상기 필터(20) 및 상기 스토퍼부(15)에 의하여 축 방향 양측이 지지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필터 고정부(13)와 상기 관 수용부(14)의 내경이 동일(R2)하도록 형성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상기 필터 고정부(13)와 상기 관 수용부(14)의 내경을 서로 다르게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스토퍼부(15)는 상기 그로멧 본체(11)의 내부에 축 방향을 따라 홀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관 수용부(14) 및 상기 공기 공급홀(16)과 연통되고, 상기 관형 부재(30)가 삽입될 경우 상기 관형 부재(30)의 축 방향 이탈을 방지하도록 상기 관 수용부(14)의 내경(R2)보다 작은 내경(R3)을 가지도록 형성된다(R3<R2).
따라서, 상기 관형 부재(30)는 삽입 시에 상기 스토퍼부(15)를 통과하면서 탄성 압축 변형되고, 상기 관 수용부(14)에 완전히 삽입된 상태에서 압축된 상태에서 복원되면서 축 방향으로 상기 스토퍼부(15)에 의하여 고정 지지된다.
상기 공기 공급홀(16)은 상기 필터(20)를 통과한 외부 공기가 상기 가스센서 소자(3)로 공급되도록 상기 그로멧 본체(11)의 축 방향 타측 단부에서부터 상기 스토퍼부(15)를 향하여 홀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스토퍼부(15)와 연통되도록 형성된다. 이때, 상기 공기 공급홀(16)의 내경(R4)은 상기 스토퍼부(15)의 내경(R3)보다 크게 형성된다(R4>R3).
이때, 상기 공기 공급홀(16)은 외부 공기가 상기 가스센서 소자(3) 쪽으로 공급되는 상기 그로멧 본체(11)의 축 방향 타측 단부에서부터 점차 직경이 좁아진 후(16a) 소정 내경(R4)을 유지하도록 형성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조립의 용이성을 위하여 상기 공기 공급홀(16)의 내경(R4)이 상기 관 수용부(14)의 내경(R2)와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리드선 관통홀(17)은 상기 그로멧 본체(11)에 축 방향을 따라 원형 홀 형태로 형성되고, 내부에 상기 가스센서 소자(3)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리드선이 수용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상기 리드선 관통홀(17)은 상기 그로멧 본체(11)에 이심되어 2개 형성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필터(20)는 상기 그로멧(10)의 내부에 삽입되고, 외부 공기와 함께 상기 가스센서 소자(3)로 유입되는 수분 및 이물질을 거르도록 원기둥 형태로 형성되며 필터 본체(21)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필터 본체(21)는 통기성과 발수성을 가지는 섬유 구조로 형성되고, 상기 필터 고정부(13)에 억지 끼움 가능하도록 원통 형태로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필터 본체(21)는 상기 필터 고정부(13)에 끼워지고, 축 방향 일측 단부는 상기 필터 고정부(13)의 내경(R2)보다 작은 내경(R1)을 갖는 상기 공기 유입홀(12)의 확관부(12a) 걸려 지지되고, 축 방향 타측 단부는 상기 관형 부재(30)에 의하여 지지된다.
그 결과, 상기 공기 유입홀(12)을 통하여 유입된 외부 공기(신기) 및 외부 공기와 함께 유입되는 수분 및 이물질이 통기성과 발수성을 갖는 상기 필터(20)에 의하여 걸러진다.
이와 함께 상기 필터(20)가 상기 요철(13a)에 억지 끼움 방식으로 결합되면서 수분이 침투할 수 있는 공간을 감소시켜 수분이 상기 필터 고정부(13)의 내주면을 따라 흘러 들어가는 가능성을 현저히 감소시킨다.
상기 관형 부재(30)는 상기 필터(20)를 통과하여 수분 및 이물질이 제거된 외부 공기가 상기 가스센서 소자(3)로 유입되도록 원통 형태로 형성되어 축 방향 일측 단부가 상기 필터(20)와 접촉되고, 축 방향 타측 단부가 상기 스토퍼부(15)에 지지되며, 관 본체(31) 및 삽입가이드부(32)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관 본체(31)는 원통 형태로 형성되어 내부(중공)에 수분 및 이물질이 제거된 외부 공기가 흐를 수 있도록 구비되고, 축 방향 일측(외부 공기가 유입되는 방향) 단부에는 상기 삽입가이드부(32)가 형성되고, 축 방향 타측 단부는 상기 스토퍼부(15)에 접촉 지지된다.
또한, 상기 관 본체(31)는 상기 관 수용부(14)의 내경(R2)에 대응하는 외경을 갖도록 형성되며, 결합력 강화를 위하여 상기 관 수용부(14)의 내경보다 큰 외경을 갖도록 형성된 것도 가능하다.
상기 삽입가이드부(32)는 상기 관 본체(31)의 축 방향 일측 단부에 형성되고, 상기 필터(20)와 접촉 지지되며, 상기 관형 부재(30)를 상기 그로멧(10)에 조립할 때 상기 스토퍼부(15)를 통과하면서 탄성 압축 변형되는 것을 가이드하도록 상기 관 본체(31)에서부터 축 방향 일측 단부로 진행할수록 외경이 점차 작아지도록 형성된다.
이때, 상기 관형 부재(30) 삽입의 편의를 위하여 상기 삽입가이드부(32)의 축 방향 일측 단부의 외경이 상기 스토퍼부(15)의 내경(R3)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삽입가이드부(32)의 경사를 따라 상기 관형 부재(30)가 상기 스토퍼부(15)로 탄성 압축 변형되면서 삽입되고, 상기 관형 부재(30)를 축 방향으로 더 가압하면, 상기 관 본체(31)가 상기 스토퍼부(15)에 억지 끼움 방식으로 삽입되며, 최종적으로 상기 관 본체(31) 전체가 상기 스토퍼부(15)를 통과하면 상기 관 본체(31)의 축 방향 타측 단부가 상기 스토퍼부(15)에 걸려 고정 지지된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필터(20) 및 상기 관형 부재(30)를 조립하는 과정에서는 작업자가 상기 필터(20) 및 상기 관형부재(30)를 축 방향으로 가압하는 것 만으로 상기 필터(20) 및 상기 관형부재(30)가 탄성 압축 변형되면서 상기 스토퍼부(15)를 통과하여 상기 그로멧(10) 내부로 삽입시킬 수 있다. 그리고 삽입된 상기 필터(20)는 상기 필터 고정부(13)에 의하여 고정되는 동시에 상기 관형 부재(30)에 의하여 축 방향으로 지지되고, 상기 관형 부재(30)는 상기 스토퍼부(15)에 의하여 축 방향으로 고정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조립 과정을 단순화 하면서도 고정 지지력을 강화시킬 수 있으므로 제품 생산 효율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한편 도 5에는 본 발명에 따른 가스센서용 방수 구조에서 필터(120)에 대한 다른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상기 그로멧(10) 및 상기 관형 부재(30)는 그대로 사용되므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때, 상기 필터(120)는 필터 본체(121) 및 요철수용홈(122)을 포함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상기 필터 본체(121)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터 본체(21)와 구조 및 효과가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요철수용홈(122)은 상기 필터 본체(121)의 외주면에서 반경 방향 내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되고, 상기 필터 고정부(13)의 리브 형태의 상기 요철(13a)이 수용되도록 상기 요철(13a)의 위치에 대응하여 홈 형태로 형성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상기 요철수용홈(122)은 곡면을 갖는 홈 형태로 나란하게 2개 형성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상기 요철(13a)의 형태에 대응하여 변형가능하되, 수분에 대한 기밀성 및 상기 필터(20)를 고정시킬 수 있는 형태를 유지하도록 형성된다.
그러므로 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필터(120)가 상기 필터 고정부(13)의 형태에 대응하여 형성되므로, 상기 필터(120)의 전체적인 외경을 더 확대하여도 상기 필터 고정부(13)에 삽입 가능하며, 삽입 후에는 상기 필터 고정부(13)와 압착되는 정도가 커질 수 있으므로 기밀성 및 고정력을 더욱 강화시키는 효과가 있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은 명백하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명확해질 것이다.
1 : 실링유닛
2 : 하우징
3 : 가스센서 소자
10 : 그로멧
11 : 그로멧 본체
12 : 공기 유입홀
13 : 필터 고정부
13a : 요철
14 : 관 수용부
15 : 스토퍼부
16 : 공기 공급홀
20, 120 : 필터
122 : 요철수용홈
30 : 관형 부재
31 : 관 본체
32 : 삽입가이드부

Claims (8)

  1. 가스센서 소자를 실링하는 그로멧;
    상기 그로멧의 내부에 삽입되고, 외부 공기와 함께 상기 가스센서 소자로 유입되는 수분 및 이물질을 거르도록 원기둥 형태로 형성된 필터; 및
    축 방향 일측 단부가 상기 필터와 접촉되도록 구비되고, 상기 필터를 통과한 외부 공기가 상기 가스센서 소자로 유입되도록 원통 형태로 형성된 관형 부재;
    를 포함하는 가스센서용 방수 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그로멧은,
    상기 가스센서 소자를 실링하도록 형성된 그로멧 본체; 및
    상기 그로멧 본체의 내부에 축 방향을 따라 홀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필터가 삽입되어 고정되도록 내주면에 요철이 돌출 형성된 필터 고정부;
    를 포함하는 가스센서용 방수 구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그로멧은,
    상기 그로멧 본체의 내부에 축 방향을 따라 홀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필터 고정부와 연통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관형 부재가 삽입 수용되도록 형성된 관 수용부;
    를 더 포함하는 가스센서용 방수 구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그로멧은,
    상기 그로멧 본체의 내부에 축 방향을 따라 홀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관 수용부와 연통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관형 부재의 축 방향 이탈을 방지하도록 상기 관 수용부의 내경보다 작은 내경을 가지도록 형성된 스토퍼부;
    를 더 포함하는 가스센서용 방수 구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그로멧은,
    외부 공기가 유입되도록 상기 그로멧 본체의 축 방향 일측 단부에서부터 상기 필터 고정부를 향하여 홀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필터 고정부와 연통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필터 고정부의 내경보다 작은 내경을 갖도록 형성된 공기 유입홀;
    을 더 포함하는 가스센서용 방수 구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그로멧은,
    상기 필터를 통과한 외부 공기가 상기 가스센서 소자로 공급되도록 상기 그로멧 본체의 축 방향 타측 단부에서부터 상기 스토퍼부를 향하여 홀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스토퍼부와 연통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스토퍼부의 내경보다 큰 내경을 갖도록 형성된 공기 공급홀;
    을 더 포함하는 가스센서용 방수 구조.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는,
    원기둥 형태로 형성된 필터 본체; 및
    상기 필터 본체의 외주면에서 반경 방향 내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되고, 상기 필터 고정부의 상기 요철이 수용되도록 상기 요철의 위치에 대응하여 홈 형태로 형성된 요철수용홈;
    을 포함하는 가스센서용 방수 구조.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관형 부재는,
    원통 형태로 형성된 관 본체; 및
    상기 관 본체의 축 방향 일측 단부에 형성되고, 상기 필터와 접촉 지지되도록 구비되며, 조립 시 탄성 변형되어 상기 스토퍼부를 통과하도록 외경이 점차 작아지도록 형성된 삽입가이드부;
    를 포함하는 가스센서용 방수 구조.
KR1020190144918A 2019-11-13 2019-11-13 가스센서용 방수 구조 KR1022806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4918A KR102280674B1 (ko) 2019-11-13 2019-11-13 가스센서용 방수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4918A KR102280674B1 (ko) 2019-11-13 2019-11-13 가스센서용 방수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58021A true KR20210058021A (ko) 2021-05-24
KR102280674B1 KR102280674B1 (ko) 2021-07-22

Family

ID=761532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44918A KR102280674B1 (ko) 2019-11-13 2019-11-13 가스센서용 방수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80674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72513A (ja) * 2001-06-14 2002-12-26 Gomuno Inaki Kk 酸素センサにおけるシール構造
JP2003194765A (ja) * 2001-12-28 2003-07-09 Ngk Spark Plug Co Ltd ガスセンサ
JP2007155414A (ja) * 2005-12-01 2007-06-21 Ngk Spark Plug Co Ltd ガスセンサ
JP4209817B2 (ja) 2004-06-30 2009-01-14 日本特殊陶業株式会社 撥水性フィルタ部材、その製造方法、防水性機器、及びガスセンサ
JP2010261880A (ja) * 2009-05-11 2010-11-18 Ngk Spark Plug Co Ltd ガスセンサユニット
JP2012154717A (ja) * 2011-01-25 2012-08-16 Denso Corp ガスセンサ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72513A (ja) * 2001-06-14 2002-12-26 Gomuno Inaki Kk 酸素センサにおけるシール構造
JP2003194765A (ja) * 2001-12-28 2003-07-09 Ngk Spark Plug Co Ltd ガスセンサ
JP4209817B2 (ja) 2004-06-30 2009-01-14 日本特殊陶業株式会社 撥水性フィルタ部材、その製造方法、防水性機器、及びガスセンサ
JP2007155414A (ja) * 2005-12-01 2007-06-21 Ngk Spark Plug Co Ltd ガスセンサ
JP2010261880A (ja) * 2009-05-11 2010-11-18 Ngk Spark Plug Co Ltd ガスセンサユニット
JP2012154717A (ja) * 2011-01-25 2012-08-16 Denso Corp ガスセンサ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80674B1 (ko) 2021-07-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955591B2 (ja) ガスセンサ
JP2659791B2 (ja) 防水型酸素センサ
JP3935725B2 (ja) ガスセンサ
KR102280674B1 (ko) 가스센서용 방수 구조
JP2002372513A (ja) 酸素センサにおけるシール構造
JP2004198361A (ja) ガスセンサ
US20100011838A1 (en) Sensor
JP2000193632A (ja) ガスセンサ
JP4128357B2 (ja) ガスセンサ
EP0981045B1 (en) Gas sensor
JP4080526B2 (ja) ガスセンサ
JP2007155517A (ja) ガスセンサ
JPH0736275Y2 (ja) 酸素センサ
JP4312949B2 (ja) ガスセンサ
JP3696444B2 (ja) ガスセンサ
JP2002181765A (ja) ガスセンサ
ES2251295B1 (es) Sensor de medicion.
JP4402795B2 (ja) ガスセンサ
JP4355082B2 (ja) ガスセンサ
JP3737898B2 (ja) ガスセンサ及びガスセンサの製造方法
JP4137305B2 (ja) ガスセンサ
WO2014069162A1 (ja) 中空糸膜モジュール用ケース
JP2001215210A (ja) ガスセンサ
JP4934072B2 (ja) ガスセンサ
JP2000028572A (ja) ガスセンサ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