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57994A - 습식 다판 클러치 - Google Patents

습식 다판 클러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57994A
KR20210057994A KR1020190144863A KR20190144863A KR20210057994A KR 20210057994 A KR20210057994 A KR 20210057994A KR 1020190144863 A KR1020190144863 A KR 1020190144863A KR 20190144863 A KR20190144863 A KR 20190144863A KR 20210057994 A KR20210057994 A KR 202100579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clutch
dual connect
hub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448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28092B1 (ko
Inventor
김선동
Original Assignee
현대위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위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위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448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28092B1/ko
Publication of KR202100579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579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280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280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13/00Friction clutches
    • F16D13/22Friction clutches with axially-movable clutching members
    • F16D13/38Friction clutches with axially-movable clutching members with flat clutching surfaces, e.g. discs
    • F16D13/385Friction clutches with axially-movable clutching members with flat clutching surfaces, e.g. discs double clutches, i.e. comprising two friction disc mounted on one driven shaf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13/00Friction clutches
    • F16D13/22Friction clutches with axially-movable clutching members
    • F16D13/38Friction clutches with axially-movable clutching members with flat clutching surfaces, e.g. discs
    • F16D13/52Clutches with multiple lamellae ; Clutches in which three or more axially moveable members are fixed alternately to the shafts to be coupled and are pressed from one side towards an axially-located memb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13/00Friction clutches
    • F16D13/58Details
    • F16D13/70Pressure members, e.g. pressure plates, for clutch-plates or lamellae; Guiding arrangements for pressure members
    • F16D13/71Pressure members, e.g. pressure plates, for clutch-plates or lamellae; Guiding arrangements for pressure members in which the clutching pressure is produced by springs on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ydraulic Clutches, Magnetic Clutches, Fluid Clutches, And Fluid Joints (AREA)
  • Mechanical Operated Clutches (AREA)

Abstract

습식 다판 클러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습식 다판 클러치는 차량 시동이 오프될 경우 클러치 드럼(100) 및 허브(200)와 치형 결합되고, 차량 시동이 온 될 경우 상기 클러치 드럼(100)의 내측으로 이동하여 상기 클러치 드럼(100) 및 상기 허브(200)와 결합 해제되는 듀얼 커넥트 플레이트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습식 다판 클러치{Wet multi-plate clutch}
본 발명은 차량이 시동 오프인 조건에서도 클러치 드럼과 허브가 듀얼 커넥트 플레이트에 의해 결합되어 파킹 상태가 유지되는 습식 다판 클러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에는 자동변속기가 구비되고, 상기 자동변속기는 변속을 수행하는 각종 브레이크 어셈블리 및 클러치 어셈블리와, 상기 브레이크 어셈블리 및 클러치 어셈블리에 작동유 공급을 제어하기 위한 오일펌프와 밸브 어셈블리가 마련되어 있다.
차량용 자동변속기는 토크 컨버터(torque converter)와, 토크 컨버터에 연결되는 다단변속기와, 클러치와, 차량의 주행 상태에 따라 변속 기어의 기어 중 어느 하나의 기어를 선택하기 위한 유압 작동 마찰요소 등을 포함한다.
상기한 유압 작동 마찰요소는 습식 다판 클러치와 밴드 브레이크가 각각 사용되면서, 구동측과 피동측을 연결하거나, 구동측의 회전을 구속하는 일을 한다.
또한, 상기 습식 다판 클러치는 다수개의 클러치 디스크가 클러치 플레이트 사이에 위치한 구조를 가지며, 상기 클러치 디스크와 클러치 플레이트 상호간의 마찰력으로 동력을 전달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상기 습식 다판 클러치 시스템을 기반으로 하는 제품으로는, Transfer Case, 전자식 차동제한장치(e-LSD), 커플링 등이 있다. 이들의 공통된 역할은 입력축과 출력축의 토크를 배분하는 것이며, 이는 클러치 간의 마찰력을 제어함으로써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구성된 클러치 어셈블리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참고로 도 1은 일반적인 자동변속기의 클러치 어셈블리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첨부된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자동변속기용 클러치 어셈블리는 일 방향으로 배치된 다수의 디스크(10)와, 상기 디스크(10)들 사이에 플레이트(20)가 적층되어 피스톤(40)의 작용압에 따라 상호 마찰력이 작용하여, 허브(50)의 회전력을 리테이너(30)에 선택적으로 전달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디스크(10)의 내주는 허브(50)에 치합하고, 플레이트(20)의 외주는 리테이너(30)의 내주면에 형성된 스플라인(31)에 치합한다.
한편, 플레이트(20)들 중 가장 외측에 위치한 리액션 플레이트(21)의 외면을 지지하도록 리테이너(30)의 스플라인(31)에 스냅링(70)이 결합된다. 이에 따라, 피스톤(40)에 가해지는 작동유의 압력에 따라 스냅링(70)의 반력에 의하여 디스크(10)와 플레이트(20)를 지지하게 된다.
이와 같은 구조에 따라, 피스톤(40)이 작동유의 유압에 의하여 도면 기준 좌측으로 이동하면 상기 디스크(10)와 플레이트(20) 사이에 작용하는 마찰력으로 허브(50)의 회전력이 리테이너(30)로 전달되며, 피스톤(40)에 작용하던 유압이 해제되면 리턴스프링(60)에 의하여 피스톤(40)이 우측으로 원위치하게 됨으로써 디스크(10)와 플레이트(20) 사이에 마찰력이 작용하지 않게 되어, 허브(50)는 회전하지만 리테이너(30)는 정지하게 된다.
이와 같이 사용되는 클러치 어셈블리는 차량 주차 시 변속기에서 파킹장치(미도시)가 작동 하여도 시동 오프(off) 시 메인 구동 TCCM(Twin Clutch Coupling Module)의 클러치에 가해졌던 유압도 오프(off) 되며 클러치 오픈 상태가 되어 차량이 경사로에서 움직이게 된다.
이 경우 차량 파손 및 인명 사고 등이 발생할 수 있으며 2개의 유압 모터 중 어느 1개의 유압 모터가 고장 날 경우 좌우 전달 토크가 100:0이 되어 양쪽 바퀴의 토크 차이로 인한 차량 사고 발생 가능성이 높아지는 문제점이 유발되어 이에 대한 대책이 필요하게 되었다.
대한민국공개특허 제10-2006-0062509호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차량 시동이 오프된 상태에서도 차량의 파킹 상태가 유지되는 습식 다판 클러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습식 다판 클러치는 외형을 이루는 클러치 드럼(100); 상기 클러치 드럼(10)의 내측 축 방향을 따라 다수개가 배치된 제1 마찰판(2a); 상기 제1 마찰판(2a) 사이마다 개재된 제2 마찰판(2b)과 치형 결합된 허브(200); 상기 클러치 드럼(100)의 일측 단부 내측에 밀착된 커버(300); 상기 커버(300)의 외측에서 내측을 향해 결합되고, 차량 시동의 온 또는 오프 조건에 따라 상기 클러치 드럼(100) 및 상기 허브(200)에 동시에 치형 결합되는 듀얼 커넥트 플레이트(400); 상기 듀얼 커넥트 플레이트(400)를 상기 클러치 드럼(100)을 향해 선택적으로 가압하는 피스톤(500); 및 상기 커버(300)와 상기 피스톤(500)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듀얼 커넥트 플레이트(400)를 지지하기 위한 탄성부재(600)를 포함한다.
상기 클러치 드럼(100)은 상기 차량 시동이 오프될 때 상기 듀얼 커넥트 플레이트(400)와 치형 결합되도록 내측 원주 방향에 클러치 스플라인(110)이 형성된다.
상기 허브(200)는 상기 차량 시동이 오프될 때 상기 듀얼 커넥트 플레이트(400)와 치형 결합되도록 선단부 외측 원주 방향에 허브 스플라인(210)이 형성된다.
상기 허브 스플라인(210)은 치형 결합되는 상기 듀얼 커넥트 플레이트(400)의 상대면 길이 보다 길게 축 방향에서 연장된다.
상기 커버(300)에는 상기 듀얼 커넥트 플레이트(400)가 삽입되는 삽입 홀(310)이 형성된다.
상기 듀얼 커넥트 플레이트(400)는 링 형태로 형성된 외측 원주 방향을 따라 제1 스플라인(402)이 형성되고, 내측 원주 방향을 따라 제2 스플라인(404)이 형성된 제1 듀얼 커넥트 플레이트(410); 상기 제1 듀얼 커넥트 플레이트(410)와 서로 마주보며 이격된 제2 듀얼 커넥트 플레이트(420); 상기 제1 듀얼 커넥트 플레이트(410)에 일단이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제2 듀얼 커넥트 플레이트(420)에 결합된 듀얼 커넥트 지지부재(430)를 포함한다.
상기 듀얼 커넥트 지지부재(430)는 상기 제1,2 듀얼 커넥트 플레이트(410, 420)에 양단이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듀얼 커넥트 지지부재(430)는 상기 제1,2 듀얼 커넥트 플레이트(410, 420)에 선택적으로 고정 또는 고정 해제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듀얼 커넥트 플레이트(400)는 차량 시동이 오프될 경우 상기 탄성부재(600)에 의해 상기 클러치 드럼(100) 및 상기 허브(200)와 치형 결합되고, 차량 시동이 온 될 경우 상기 피스톤(500)에 의해 상기 클러치 드럼(100)의 내측으로 이동하여 상기 클러치 드럼(100) 및 상기 허브(200)와 결합 해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듀얼 커넥트 플레이트(400)는 상기 차량 시동이 오프될 경우 상기 클러치 드럼(100)의 내측으로 유입된 오일이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차량 시동이 오프된 상태에서도 차량의 파킹 상태가 유지될 수 있어 경사로와 같은 도로 조건에서 미끄러지는 현상을 예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차량에 구비된 유압 모터가 고장 나는 경우에도 차량에 대한 파킹이 가능하여 운전자와 차량의 안전성을 상승시킬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다판 클러치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습식 다판 클러치를 도시한 반단면 결합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습식 다판 클러치의 종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허브와 듀얼 커넥트 플레이트의 결합 상태를 도시한 반단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습식 다판 클러치에 구비된 듀얼 커넥트 플레이트를 도시한 사시도.
도 6 내지 도 7은 차량 시동이 오픈된 상태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습식 다판 클러치의 작동 상태도.
도 8 내지 도 9는 차량 시동이 온 된 상태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습식 다판 클러치의 작동 상태도.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를 위해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판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하여 내려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습식 다판 클러치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첨부된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습식 다판 클러치를 도시한 반단면 결합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습식 다판 클러치의 종 단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허브와 듀얼 커넥트 플레이트의 결합 상태를 도시한 반단면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습식 다판 클러치에 구비된 듀얼 커넥트 플레이트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첨부된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습식 다판 클러치는 외형을 이루는 클러치 드럼(100)과, 상기 클러치 드럼(100)의 내측 축 방향을 따라 다수개가 배치된 제1 마찰판(2a)과, 상기 제1 마찰판(2a) 사이마다 개재된 제2 마찰판(2b)과 치형 결합된 허브(200)와, 상기 클러치 드럼(100)의 일측 단부 내측에 밀착된 커버(300)와, 상기 커버(300)의 외측에서 내측을 향해 결합되고, 차량 시동의 온 또는 오프 조건에 따라 상기 클러치 드럼(100) 및 상기 허브(200)와 동시에 치형 결합되는 듀얼 커넥트 플레이트(400)와, 상기 듀얼 커넥트 플레이트(400)를 상기 클러치 드럼(100)을 향해 선택적으로 가압하는 피스톤(500) 및 상기 커버(300)와 상기 피스톤(500)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듀얼 커넥트 플레이트(400)를 지지하기 위한 탄성부재(600)를 포함한다.
상기 클러치 드럼(100)은 원통 형태로 이루어져 있고, 내부로 오일이 유입 및 유출되도록 별도의 오일 통로(미도시)가 형성되어 있어 후술할 피스톤(500)의 작동 유무에 따라 오일의 유입 또는 유출이 이루어진다.
상기 클러치 드럼(100)은 제1 마찰판(2a)이 축 방향을 따라서 다수개가 배치되어 있어 후술할 제2 마찰판(2b)과 접촉 또는 접촉 해제 될 경우 필요한 동력 전달이 이루어진다.
상기 클러치 드럼(100)은 상기 차량 시동이 오프될 때 상기 듀얼 커넥트 플레이트(400)와 치형 결합되도록 내측 원주 방향에 클러치 스플라인(110)이 형성된다.
상기 클러치 스플라인(110)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형성되나, 축 방향 길이와 형태는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 의한 허브(200)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통 형태로 이루어지고, 상기 차량 시동이 오프될 때 상기 듀얼 커넥트 플레이트(400)와 치형 결합되도록 선단부 외측 원주 방향에 허브 스플라인(210)이 형성된다.
상기 허브 스플라인(210)은 축 방향에서 소정의 길이로 형성되나, 도면에 도시된 형태 및 길이로 반드시 한정하지 않고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상기 허브(200)는 상기 허브 스플라인(210)과 별개로 축 방향에서 상기 제2 마찰판(2b)이 결합되는 메인 스플라인(201)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허브 스플라인(210)은 치형 결합되는 상기 듀얼 커넥트 플레이트(400)의 상대면 길이 보다 길게 축 방향에서 연장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듀얼 커넥트 플레이트(400)와 치형 결합에 따른 안전성이 향상될 수 있어 차량 시동이 오프될 때 변속기 내 파킹 장치를 록킹 상태로 유지하는데 보다 유리할 수 있다.
즉 상기 허브 스플라인(210)은 축 방향에서 연장된 길이가 짧은 것 보다는 상기 듀얼 커넥트 플레이트(400)와 치합되는 상대면 보다 길게 연장되는 것이 축 방향에서 치형 결합될 때 접촉 면적이 증가될 수 있어 정확한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커버(300)는 상기 클러치 드럼(100)의 일측 단부에 결합되고, 상기 허브(200)의 내측 중앙을 향해 축 방향에서 결합된다. 또한 상기 커버(300)는 상기 듀얼 커넥트 플레이트(400)가 삽입되는 삽입 홀(310)이 형성되어 있어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 의한 상기 듀얼 커넥트 플레이트(400)는 링 형태로 형성된 외측 원주 방향을 따라 제1 스플라인(402)이 형성되고, 내측 원주 방향을 따라 제2 스플라인(404)이 형성된 제1 듀얼 커넥트 플레이트(410)와, 상기 제1 듀얼 커넥트 플레이트(410)와 서로 마주보며 이격된 제2 듀얼 커넥트 플레이트(420)와, 상기 제1 듀얼 커넥트 플레이트(410)에 일단이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제2 듀얼 커넥트 플레이트(420)에 결합된 듀얼 커넥트 지지부재(430)를 포함한다.
상기 제1 듀얼 커넥트 플레이트(410)와 상기 제2 듀얼 커넥트 플레이트(420)는 서로 마주보며 위치되고 동일한 직경으로 형성되나 반드시 이로 한정하지 않고 변경될 수 있다.
상기 제1 스플라인(402)은 상기 클러치 드럼(100)에 형성된 클러치 스플라인(110)과 치형 결합되고, 상기 제2 스플라인(404)은 상기 허브(200)에 형성된 허브 스플라인(210)과 치형 결합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 예에 의한 듀얼 커넥트 플레이트(400)는 상기 제1,2 스플라인(402, 404)이 상기 클러치 드럼(100) 및 상기 허브(200)에 동시에 치형 결합되거나, 결합 해제 되므로 차량 시동이 오프되는 경우에도 변속기에 구비된 파킹 장치가 작동 가능한 조건을 제공한다.
상기 듀얼 커넥트 지지부재(430)는 상기 제1,2 듀얼 커넥트 플레이트(410, 420)의 마주보는 양단에 각각 결합될 경우 상기 제1,2 듀얼 커넥트 플레이트(410, 420)에 양단이 고정될 수 있다.
상기 듀얼 커넥트 지지부재(430)는 일 예로 환 봉이 사용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용접 또는 나사 결합 방식으로 상기 제1,2 듀얼 커넥트 플레이트(410, 420)에 설치된다.
상기 듀얼 커넥트 지지부재(430)는 상기 제1,2 듀얼 커넥트 플레이트(410, 420)에 선택적으로 고정 또는 고정 해제가 가능하도록 볼트와 너트의 조합으로 구성되는 것도 가능할 수 있다.
이 경우 듀얼 커넥트 지지부재(430)에 대한 수리 또는 교체가 필요하거나, 특정 위치에서 변형이 발생될 경우 상기 제1,2 듀얼 커넥트 플레이트(410, 420)에 결합된 상태를 해제하고 교체 또는 수리를 통해 교환이 가능해 지므로 유지 및 수선 보수 작업이 간단해지고 재사용이 가능해지는 장점이 유발된다.
첨부된 도 6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피스톤(500)은 차량 시동이 오프될 경우 작동 중지되고, 상기 차량 시동이 온 될 경우 작동되어 상기 듀얼 커넥트 플레이트(400)를 축 방향으로 가압하여 이동시킨다.
상기 탄성부재(600)는 차량 시동이 오프 상태일 경우에는 상기 피스톤(500)에 의한 가압력이 해제되므로 상기 듀얼 커넥트 플레이트(400)를 상기 커버(300)의 외측으로 지지하고(도면 기준 오른쪽), 상기 차량 시동이 온 상태로 전환될 경우 상기 피스톤(500)에 의해 축 방향에서 지지되어(도면 기준 좌측) 상기 듀얼 커넥트 플레이트(400)를 상기 클러치 드럼(100)의 내측 축 방향으로 이동시켜 동력 전달이 가능한 상태로 전환된다.
상기 듀얼 커넥트 플레이트(400)는 차량 시동이 오프될 경우 상기 탄성부재(600)에 의해 상기 클러치 드럼(100) 및 상기 허브(200)와 치형 결합되고, 차량 시동이 온 될 경우 상기 피스톤(500)에 의해 상기 클러치 드럼(100)의 내측으로 이동하여 상기 클러치 드럼(100) 및 상기 허브(200)와 결합 해제된다.
일 예로 차량 시동이 오프될 경우 탄성부재(600)에 의한 탄성 지지력에 의해 상기 듀얼 커넥트 플레이트(400)는 커버(300)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축 방향에서 이동되고, 상기 피스톤(500)은 미작동된 상태가 유지된다.
이 때 상기 듀얼 커넥트 플레이트(400)는 제1 스플라인(402)이 상기 클러치 드럼(100)에 형성된 클러치 스플라인(110)과 치형 결합되고, 상기 제2 스플라인(404)은 상기 허브(200)에 형성된 허브 스플라인(210)과 동시에 치형 결합되면서 상기 클러치 드럼(100)의 내측으로 오일이 화살표 방향으로 유입된다.
이 경우 변속기 내 파킹 장치가 고정(Locking)될 수 있는 상태가 유지되므로 차량 시동이 오프되는 경우에 경사로와 같은 지역에 주차된 차량이 미끄러지거나 이동하는 현상이 예방된다.
본 실시 예는 차량 시동이 온 될 경우 피스톤(500)이 상기 제2 듀얼 커넥트 플레이트(420)를 화살표 방향으로 가압하고, 상기 클러치 스플라인(110)과 상기 허브 스플라인(210)에 치형 결합된 제1,2 스플라인(402, 404)의 치형 결합 상태가 해제되어 제2 마찰판(2b)을 상기 제1 듀얼 커넥트 플레이트(410)가 가압하게 된다.
이 경우 클러치 드럼(100)의 내측으로 유입된 오일이 제1,2 마찰판(2a, 2b)으로 공급되면서 동력 전달이 이루어지게 되어 정상적인 기어 변속이 이루어지게 되므로 차량은 출발이 가능한 상태가 유지된다.
이상,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00 : 클러치 드럼
110 : 클러치 스플라인
200 : 허브
210 : 허브 스플라인
300 : 커버
400 : 듀얼 커넥트 플레이트
402, 404 : 제1,2 스플라인
410 : 제1 듀얼 커넥트 플레이트
420 : 제2 듀얼 커넥트 플레이트
430 : 듀얼 커넥트 지지부재
500 : 피스톤
600 : 탄성부재

Claims (10)

  1. 외형을 이루는 클러치 드럼(100);
    상기 클러치 드럼(100)의 내측 축 방향을 따라 다수개가 배치된 제1 마찰판(2a);
    상기 제1 마찰판(2a) 사이마다 개재된 제2 마찰판(2b)과 치형 결합된 허브(200);
    상기 클러치 드럼(100)의 일측 단부 내측에 밀착된 커버(300);
    상기 커버(300)의 외측에서 내측을 향해 결합되고, 차량 시동의 온 또는 오프 조건에 따라 상기 클러치 드럼(100) 및 상기 허브(200)에 동시에 치형 결합되는 듀얼 커넥트 플레이트(400);
    상기 듀얼 커넥트 플레이트(400)를 상기 클러치 드럼(100)을 향해 선택적으로 가압하는 피스톤(500); 및
    상기 커버(300)와 상기 피스톤(500)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듀얼 커넥트 플레이트(400)를 지지하기 위한 탄성부재(600)를 포함하는 습식 다판 클러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클러치 드럼(100)은 상기 차량 시동이 오프될 때 상기 듀얼 커넥트 플레이트(400)와 치형 결합되도록 내측 원주 방향에 클러치 스플라인(110)이 형성된 습식 다판 클러치.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허브(200)는 상기 차량 시동이 오프될 때 상기 듀얼 커넥트 플레이트(400)와 치형 결합되도록 선단부 외측 원주 방향에 허브 스플라인(210)이 형성된 습식 다판 클러치.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허브 스플라인(210)은 치형 결합되는 상기 듀얼 커넥트 플레이트(400)의 상대면 길이 보다 길게 축 방향에서 연장된 습식 다판 클러치.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300)에는 상기 듀얼 커넥트 플레이트(400)가 삽입되는 삽입 홀(310)이 형성된 습식 다판 클러치.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듀얼 커넥트 플레이트(400)는 링 형태로 형성된 외측 원주 방향을 따라 제1 스플라인(402)이 형성되고, 내측 원주 방향을 따라 제2 스플라인(404)이 형성된 제1 듀얼 커넥트 플레이트(410);
    상기 제1 듀얼 커넥트 플레이트(410)와 서로 마주보며 이격된 제2 듀얼 커넥트 플레이트(420);
    상기 제1 듀얼 커넥트 플레이트(410)에 일단이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제2 듀얼 커넥트 플레이트(420)에 결합된 듀얼 커넥트 지지부재(430)를 포함하는 습식 다판 클러치.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듀얼 커넥트 지지부재(430)는 상기 제1,2 듀얼 커넥트 플레이트(410, 420)에 양단이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식 다판 클러치.
  8.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듀얼 커넥트 지지부재(430)는 상기 제1,2 듀얼 커넥트 플레이트(410, 420)에 선택적으로 고정 또는 고정 해제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식 다판 클러치.
  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듀얼 커넥트 플레이트(400)는 차량 시동이 오프될 경우 상기 탄성부재(600)에 의해 상기 클러치 드럼(100) 및 상기 허브(200)와 치형 결합되고, 차량 시동이 온 될 경우 상기 피스톤(500)에 의해 상기 클러치 드럼(100)의 내측으로 이동하여 상기 클러치 드럼(100) 및 상기 허브(200)와 결합 해제되는 습식 다판 클러치.
  10.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듀얼 커넥트 플레이트(400)는 상기 차량 시동이 오프될 경우 상기 클러치 드럼(100)의 내측으로 유입된 오일이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식 다판 클러치.
KR1020190144863A 2019-11-13 2019-11-13 습식 다판 클러치 KR1023280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4863A KR102328092B1 (ko) 2019-11-13 2019-11-13 습식 다판 클러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4863A KR102328092B1 (ko) 2019-11-13 2019-11-13 습식 다판 클러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57994A true KR20210057994A (ko) 2021-05-24
KR102328092B1 KR102328092B1 (ko) 2021-11-17

Family

ID=761526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44863A KR102328092B1 (ko) 2019-11-13 2019-11-13 습식 다판 클러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2809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46926A (ko) 2022-04-13 2023-10-20 현대트랜시스 주식회사 습식 단판 클러치
KR20240067522A (ko) 2022-11-09 2024-05-17 현대위아 주식회사 오일 청정도를 유지할 수 있는 클러치조립체 및 클러치조립체의 오일 청정도 유지방법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62509A (ko) 2004-12-03 2006-06-1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클러치 피스톤의 스냅링 장착구조
KR20120002313A (ko) * 2010-06-30 2012-01-0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변속기용 클러치 허브
KR20130141299A (ko) * 2012-06-15 2013-12-26 현대 파워텍 주식회사 자동변속기용 클러치
KR20140072379A (ko) * 2012-12-03 2014-06-13 한국파워트레인 주식회사 차량용 토크 컨버터
KR20150064033A (ko) * 2012-09-25 2015-06-10 발레오 에뀝망 엘렉뜨리끄 모떼르 하이브리드 차량용 트랜스미션 조립체의 사전조립 모듈 및 트랜스미션 조립체 장착 방법
KR20170122546A (ko) * 2016-04-27 2017-11-06 현대위아 주식회사 오일 윤활 구조를 가지는 습식 다판 클러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62509A (ko) 2004-12-03 2006-06-1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클러치 피스톤의 스냅링 장착구조
KR20120002313A (ko) * 2010-06-30 2012-01-0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변속기용 클러치 허브
KR20130141299A (ko) * 2012-06-15 2013-12-26 현대 파워텍 주식회사 자동변속기용 클러치
KR20150064033A (ko) * 2012-09-25 2015-06-10 발레오 에뀝망 엘렉뜨리끄 모떼르 하이브리드 차량용 트랜스미션 조립체의 사전조립 모듈 및 트랜스미션 조립체 장착 방법
KR20140072379A (ko) * 2012-12-03 2014-06-13 한국파워트레인 주식회사 차량용 토크 컨버터
KR20170122546A (ko) * 2016-04-27 2017-11-06 현대위아 주식회사 오일 윤활 구조를 가지는 습식 다판 클러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46926A (ko) 2022-04-13 2023-10-20 현대트랜시스 주식회사 습식 단판 클러치
KR20240067522A (ko) 2022-11-09 2024-05-17 현대위아 주식회사 오일 청정도를 유지할 수 있는 클러치조립체 및 클러치조립체의 오일 청정도 유지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28092B1 (ko) 2021-11-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862344B1 (en) Hydraulic power transmission device and work vehicle
EP2037142B1 (en) Power transmitting apparatus
US8584823B2 (en) Torque transmitting assembly with dog clutch and plate clutch features
KR101288218B1 (ko) 다판식 마찰 결합 기구
EP1830095B1 (en) Double clutch transmission for a motor vehicle
US8123014B2 (en) Two-way actuator device in a torque transmitting assembly
CN110273946B (zh) 自动变速器
US20070272508A1 (en) Wet multi-plate clutch of mechanical coupling type
US20160084322A1 (en) Double wet clutch mechanism for a transmission system
US20160061275A1 (en) Transmission system having a double wet clutch mechanism
US20170268583A1 (en) Clutch mechanism and method for installing such a mechanism on a transmission drivetrain
KR102328092B1 (ko) 습식 다판 클러치
JP5191819B2 (ja) 多板クラッチ
JPH01206157A (ja) トルクコンバータ装置
KR20160042387A (ko) 습식 이중 클러치 메커니즘을 포함하는 트랜스미션 시스템
US6968934B2 (en) Lubricating structure of friction engaging device
JP2009185928A (ja) 摩擦係合装置
JP5839753B2 (ja) 自動変速機のクラッチ制御装置
US3437187A (en) Hydraulically-controlled steering clutch mechanism
JP6110602B2 (ja) 動力伝達装置、車両、及び湿式多板式の摩擦クラッチ
JP2007327592A (ja) 産業車両のトランスミッション装置
JP2010058683A (ja) 四輪駆動車用駆動力伝達装置
US20080223686A1 (en) Wet type friction plate
JP5890913B2 (ja) 自動変速機のクラッチ制御装置
US6206161B1 (en) Selectively engageable torque transmitting mechanism with a one-way screw appl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