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57565A - 믹서기 - Google Patents

믹서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57565A
KR20210057565A KR1020190144473A KR20190144473A KR20210057565A KR 20210057565 A KR20210057565 A KR 20210057565A KR 1020190144473 A KR1020190144473 A KR 1020190144473A KR 20190144473 A KR20190144473 A KR 20190144473A KR 20210057565 A KR20210057565 A KR 202100575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ner cylinder
dehydration
cylinder
spinneret
bla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444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걸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인트로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인트로팩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인트로팩
Priority to KR10201901444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57565A/ko
Priority to EP20843696.4A priority patent/EP4005442B1/en
Priority to PCT/KR2020/009470 priority patent/WO2021015504A1/ko
Priority to CN202310675533.9A priority patent/CN116586161A/zh
Priority to US17/629,515 priority patent/US20220240725A1/en
Priority to CN202080052500.3A priority patent/CN114173930B/zh
Priority to JP2022504700A priority patent/JP7369854B2/ja
Publication of KR202100575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5756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4/00Multi-purpose machines for preparing food with several driving uni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04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 A47J43/07Parts or details, e.g. mixing tools, whipping tools
    • A47J43/08Driving mechanisms
    • A47J43/085Driving mechanisms for machines with tools driven from the lower sid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04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 A47J43/07Parts or details, e.g. mixing tools, whipping tools
    • A47J43/08Driving mechanisms
    • A47J43/087Driving mechanisms for machines with several driving un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rushing And Pulverization Process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믹서기는, 외통, 분쇄칼날, 및 상기 분쇄칼날을 회전시키는 칼날구동부를 구비하는 믹서본체; 상기 외통 내에 배치되고 내부에 상기 분쇄칼날이 위치되며 측면개구부가 형성된 내통과, 상기 내통을 회전시키는 내통구동부를 구비하는 내통유닛; 및 상기 내통을 감싸면서 상기 측면개구부를 막아서 상기 내통에 믹싱대상물이 수용되도록 하며 탈수홀이 형성된 탈수통과, 상기 탈수통을 회전시키는 탈수통구동부를 구비하는 탈수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분쇄칼날에 의해 분쇄되면서 회전유동하는 믹싱대상물이 걸림되도록, 상기 내통의 내부 측면에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탈수통의 탈수홀을 막고 있는 상기 믹싱대상물의 차단성분을 긁어서 떨어뜨리도록, 상기 내통의 외부 측면에 스크래퍼가 돌출되며, 상기 내통은 상부가 상기 내통구동부와 연계되어 상기 내통구동부의 회전구동력이 상기 내통의 상부로 제공되며, 상기 탈수통은 상부가 상기 탈수통구동부와 연계되어 상기 탈수통구동부의 회전구동력이 상기 탈수통의 상부로 제공된다.

Description

믹서기{MIXER}
본 발명은 믹서기로서, 믹싱대상물을 믹싱하면서 분쇄하고 탈수하여 즙을 내는 믹서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믹서기는 믹싱대상물이 분쇄칼날에 의해 분쇄되더라도, 종류에 따라 탈수통의 탈수홀 보다 큰 차단성분을 가짐으로써, 회전하는 탈수통의 탈수홀을 막음에 따라, 믹싱대상물의 탈수작용이 더이상 이루어지지 않는 한계점이 있다.
즉, 상기 믹싱대상물은 씨가 포함된 경우 분쇄칼날에 의해서 씨가 분쇄되더라도 탈수통의 탈수홀보다 큰 입자들을 가질 수 있고, 또는 씨가 포함되어 있지 않는 경우라도 분쇄칼날에 의해 분쇄된 후에도 상당한 점성을 지닌 덩어리들을 가질 수 있기 때문에, 이러한 씨나 점성덩어리가 탈수통의 탈수홀을 빠져나가지 못하고 탈수홀을 막게 됨에 따라, 종래의 믹서기는 탈수통의 탈수홀을 통한 탈수작용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13-0117977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탈수통의 탈수홀을 막고 있는 믹싱대상물의 차단성분을 제거하는 믹서기를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믹서기는, 외통, 분쇄칼날, 및 상기 분쇄칼날을 회전시키는 칼날구동부를 구비하는 믹서본체; 상기 외통 내에 배치되고 내부에 상기 분쇄칼날이 위치되며 측면개구부가 형성된 내통과, 상기 내통을 회전시키는 내통구동부를 구비하는 내통유닛; 및 상기 내통을 감싸면서 상기 측면개구부를 막아서 상기 내통에 믹싱대상물이 수용되도록 하며 탈수홀이 형성된 탈수통과, 상기 탈수통을 회전시키는 탈수통구동부를 구비하는 탈수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분쇄칼날에 의해 분쇄되면서 회전유동하는 믹싱대상물이 걸림되도록, 상기 내통의 내부 측면에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탈수통의 탈수홀을 막고 있는 상기 믹싱대상물의 차단성분을 긁어서 떨어뜨리도록, 상기 내통의 외부 측면에 스크래퍼가 돌출되며, 상기 내통은 상부가 상기 내통구동부와 연계되어 상기 내통구동부의 회전구동력이 상기 내통의 상부로 제공되며, 상기 탈수통은 상부가 상기 탈수통구동부와 연계되어 상기 탈수통구동부의 회전구동력이 상기 탈수통의 상부로 제공된다.
여기에서, 상기 내통유닛은, 상기 내통을 덮으며 상기 내통과 키체결되는 내통커버;를 더 구비하며, 상기 내통구동부는, 상기 내통커버와 연결되어 상기 내통커버를 회전시켜 상기 내통을 연동회전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내통구동부는, 상기 믹서본체에 설치된 내통구동모터; 및 상기 내통커버와 키체결되며, 상기 내통구동모터와 연계되는 내통회전축;을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내통구동부는, 상기 내통구동모터의 모터축과 내통회전축을 연결하여, 상기 모터축으로부터 상기 내통회전축으로 회전구동력을 전달하는 축연결부재;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일례로서, 상기 축연결부재는, 기어연결축과 연결벨트 중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외통은 외통커버에 의해 개폐되며, 상기 내통회전축은 상기 외통커버를 관통하고 상기 외통커버와는 별개로 회전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내통은 하부가 상기 탈수통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탈수통은 하부가 상기 외통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내통, 탈수통 및 외통의 하부는 상기 칼날회전축이 관통되며, 상기 칼날회전축에 베어링으로 연결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 칼날구동부 및 내통구동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칼날구동부 및 내통구동부를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더 포함하며, 상기 내통은, 상기 분쇄칼날에 의해 분쇄되면서 회전유동하는 믹싱대상물이 걸림되도록, 내부 측면에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내통 내에서 믹싱대상물의 밸런스한 상태를 깨뜨리기 위해, 상기 분쇄칼날의 회전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상기 내통이 역회전 및 정지를 반복하면서 상기 믹싱대상물을 믹싱하도록 상기 내통구동부를 제어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돌출부는, 상기 분쇄칼날과 내통이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 시, 상기 믹싱대상물이 상기 분쇄칼날의 회전과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하방유동되도록, 상기 믹싱대상물의 하방 나선유동을 유도하는 스크류돌출라인 형상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믹서기는, 내통과 탈수통 각각에 회전구동력이 상부로부터 제공되도록 구성됨으로써, 분쇄칼날과는 독립적으로 내통과 탈수통을 안전하면서도 원활하게 회전시킬 수 있음에 따라, 믹싱대상물의 분쇄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믹서기는 내통의 외부 측면에 스크래퍼가 형성되고 내통과 탈수통의 회전속도차가 발생되도록 구성됨으로써, 탈수통의 탈수홀을 막고 있는 믹싱대상물의 차단성분을 긁어서 떨어뜨림에 따라, 믹싱대상물의 탈수효율을 높일 수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믹서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믹서기의 내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도 1의 믹서기의 탈수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도 3의 탈수통에 내통이 삽입된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믹서기의 종단면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믹서기의 종단면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믹서기의 탈수방법을 나타낸 플로우차트이다.
이하, 본 발명의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도면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믹서기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도 1의 믹서기의 내통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4는 도 1의 믹서기의 탈수통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도 3의 탈수통에 내통이 삽입된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또한,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믹서기의 종단면을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믹서기의 종단면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믹서기는 믹서본체(100), 내통유닛(200), 및 탈수유닛(500)을 포함한다
여기에서, 상기 믹서본체(100)는 외통(110), 분쇄칼날(120) 및 칼날구동부(130)를 구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외통(110)은 내부에 내통유닛(200)의 내통(210)이 배치되고, 상부가 개방된 상방개구된 구조를 취한다.
또한, 상기 외통(110)은 통받침케이스(300)에 의해 받쳐지는데, 이러한 통받침케이스(300)는 전체적으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ㄴ자 형상을 취할 수 있다. 이때, 통받침케이스(300)에는 외통(110)을 덮는 믹서커버(140)가 회전되게 설치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외통(110)은 믹싱대상물에서 탈수된 즙이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부에 배출관(112)이 형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배출관(112)에는 개폐밸브(112a)가 장착된다.
그리고, 상기 분쇄칼날(120)은 외통(110) 내에 배치되며, 회전 시 외통(110) 내의 믹싱대상물을 분쇄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때, 상기 믹싱대상물은 믹서기의 작동에 의해 분쇄될 음식물을 지칭한다
아울러, 상기 칼날구동부(130)는 분쇄칼날(120)을 회전시키는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성으로서, 칼날회전축(131)과 칼날구동모터(M1)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칼날회전축(131)은 분쇄칼날(120)의 하부에 수직방향으로 연결되며, 칼날구동모터(M1)는 칼날회전축(131)과 연결된다.
즉, 상기 칼날회전축(131)은 분쇄칼날(120)의 중심부에 연결되어 종방향으로 연장배치되는데, 분쇄칼날(120)과 칼날구동모터(M1)를 연결하여 칼날구동모터(M1)의 회전구동력을 분쇄칼날(120)에 전달하여 칼날구동모터(M1)의 작동 시 분쇄칼날(120)이 회전구동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상기 칼날회전축(131)과 칼날구동모터(M1)는 타이밍벨트(T)를 매개로 연결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내통유닛(200)은 내통(210)과 내통구동부(220)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내통(210)은 외통(110) 내에 배치되고 분쇄칼날(120)이 내부에 배치되며, 상부가 개방된 상부개구된 구조를 취하고, 하부에는 칼날구동부(130)가 관통된다.
또한, 상기 내통(210)은 분쇄칼날(120)에 의해 분쇄되면서 회전유동하는 믹싱대상물이 걸림되도록 내부 측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돌출부(211)가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내통구동부(220)는 내통(210)과 연결되어 내통(210)을 회전시키는 역할을 수행하는데, 분쇄칼날(120)을 회전구동시키는 칼날구동부(130)와는 별도로 마련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내통구동부(220)는 내통회전축(222)과 내통구동모터(M2)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내통회전축(222)은 내통(210)의 하부에 수직방향으로 연결되며, 상기 내통구동모터(M2)는 내통회전축(222)과 연결된다.
즉, 상기 내통회전축(222)은 내통(210)의 하부에 연결되어 종방향으로 연장배치되는데, 내통(210)과 내통구동모터(M2)를 연결하여 내통구동모터(M2)의 회전구동력을 내통(210)에 전달하여 내통구동모터(M2)의 작동 시 내통(210)이 회전구동될 수 있도록 한다.
참고로, 상기 칼날구동부(130)와 내통구동부(220)는 전기적으로 연결된 컨트롤러(미도시) 의해 제어됨은 물론이다.
한편, 기존의 믹서기는 분쇄칼날이 일방향으로만 회전함으로써, 믹싱대상물이 믹서통 내에서 계속해서 일방향으로만 회전하고, 아울러 믹싱대상물이 믹서통의 내부 측면 측으로 밀려나간 상태로 벽처럼 유지됨으로써, 분쇄칼날로 다시 되돌아오지 않음에 따라, 분쇄성능이 현저히 떨어진다.
물론, 기존의 믹서기에도 믹서통의 내벽에 돌출부가 형성되어 믹싱대상물에 일정 정도의 와류를 만들지만, 이 또한 규칙적인 패턴을 가진 유동으로 구현됨으로써, 믹싱대상물이 잘 분쇄되지 않는 한계가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믹서기는 내통(210)의 믹싱대상물에 대한 불규칙한 유동을 위해, 컨트롤러가 내통(210)의 회전에 변화를 주면서 믹싱대상물을 믹싱하도록 내통구동부(220)를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인 일 실시예로서, 상기 컨트롤러는 분쇄칼날(120)과 내통(210)이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칼날구동부(130)와 내통구동부(220)를 제어한다.
이때, 상기 컨트롤러는 내통구동부(220)의 전원에 대한 온/오프를 반복하도록 하여, 전원이 오프인 경우 내통(210)이 무동력 관성 정회전하다가 분쇄칼날(120)에 의한 믹싱대상물의 회전력에 연동되어 역회전하도록 한다.
즉, 상기 컨트롤러는 칼날구동부(130)와 내통구동부(220)를 제어하여, 분쇄칼날(120)과 내통(210)이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한 상태에서, 내통구동부(220)의 전원을 켰다가 끄는 제어를 반복하는데, 이에 따라 내통구동부(220)의 전원이 켜진 시간에는 내통(210)이 역회전(분쇄칼날(120)과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내통구동부(220)의 전원이 꺼진 시간에는 내통(210)이 무동력 관성회전하면서 회전속도가 점점 줄어들다가 분쇄칼날(120)에 의한 믹싱대상물의 회전력에 의해 이끌려서 정회전(분쇄칼날(120)과 동일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다시 말해, 상기 내통(210)은 컨트롤러가 내통구동부(220)의 전원을 온 하는 경우에만 내통구동부(220)로부터 구동력을 제공받아 역회전하고, 컨트롤러가 내통구동부(220)의 전원을 오프 하는 경우에는 내통구동부(220)로부터 구동력을 제공받지 않음에 따라 관성회전하다가 믹싱대상물의 회전력에 연동되어 정회전하게 된다.
특히, 상기 컨트롤러는 내통(210) 내에서 믹싱대상물의 밸런스한 상태를 깨뜨리기 위해, 상기 분쇄칼날(120)의 회전방향과 반대방향으로 내통(210)이 역회전한 후 정지하는 패턴, 또는 역회전한 후 속도변화하는 패턴을 반복하면서 믹싱대상물을 믹싱하도록 내통구동부(220)를 제어할 수 있다.
상술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믹서기는 컨트롤러에 의해 내통(210)의 회전방향을 바꾸면서 믹싱대상물을 믹싱하도록 내통구동부(220)가 제어됨으로써, 특히 내통구동부(220)가 컨트롤러에 의해 전원 온/오프가 반복되어 내통(210)이 일정시간동안 역회전하다가 멈추게 되고, 다시 일정시간동안 역회전하다고 멈추게 되는, 내통(210)의 회전변화가 구현됨으로써, 믹싱대상물의 밸런스한 상태를 깨뜨림에 따라, 믹싱대상물이 내통(210)의 내부 측면에서 벽처럼 쌓아 올려지지 않고, 내통(210)의 중앙부에서 회전하는 분쇄칼날(120)로 다시 되돌아옴에 따라, 분쇄성능을 현저히 증대시킬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믹서기는 믹싱대상물의 밸런스한 상태를 깨뜨리도록 구성됨으로써, 내통(210)의 내부 측면에서 벽처럼 유지되는 믹싱대상물을 무너뜨림에 따라, 종국적으로 믹싱대상물에 대한 분쇄성능을 증대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믹싱대상물은 믹싱되는 과정에서 분쇄칼날(120)의 회전에 의한 원심력에 의해 내통(210)의 내부 측면으로 이동되는데, 이때 믹싱대상물의 입자들끼리 힘의 균형(밸런스)을 이루게 되는 경우 더이상 이동하지 않고 정지됨에 따라, 분쇄칼날(120) 측으로 이동하지 않게 되어 더이상 분쇄가 되지 않게 된다.
그런데, 이러한 믹싱대상물 입자들끼리의 힘의 균형이, 본 발명에 따른 믹서기에서 내통(210)의 회전방향이 바뀌거나, 내통(210)이 역회전한 후 정지하는 패턴, 또는 역회전한 후 속도변화하는 패턴을 반복함으로써, 불균형으로 변화됨에 따라, 입자들이 다시 유동하게 되고 이러한 유동과정에서 분쇄칼날(120) 측으로 이동됨에 따라 분쇄가 계속적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이에 더하여, 본 발명에 따른 믹서기는 칼날구동부(130)와 내통구동부(220)가 분쇄칼날(120)과 내통(210)을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키거나, 특히 내통(210)이 역회전한 후 정지하는 패턴, 또는 역회전한 후 속도변화하는 패턴을 반복하는 경우, 돌출부(211)의 형상구조에 의하여 믹싱대상물의 분쇄효과를 더욱더 증대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돌출부(211)는 믹싱대상물이 분쇄칼날(120)의 회전과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하방유동되도록, 믹싱대상물의 하방 나선유동을 유도하는 스크류돌출라인 형상을 취할 수 있다.
상기 분쇄칼날(120)에 의해 일방향으로 회전유동하는 믹싱대상물의 유동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분쇄칼날(120)이 내통(210) 내부의 하측에 배치됨으로써 분쇄칼날(120)이 회전 시 믹싱대상물이 내통(210)의 내부 측면까지 밀려난 다음 내통(210)의 내부 측면을 따라 상측으로 올라가게 된다. 이에 따라, 이와 같이 원심력을 받으면서 상측으로 유동하는 믹싱대상물은 내통(210) 내부의 하측에 배치된 분쇄칼날(120) 측으로 거의 유동을 하지 않게 된다.
이에 이와 같이 유동하는 믹싱대상물을, 내통(210) 내부의 하측에 배치된 분쇄칼날(120) 측으로 유동시키기 위해, 분쇄칼날(120)과 내통(210)이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 시, 믹싱대상물이 분쇄칼날(120)의 회전과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하방유동되도록, 상기 돌출부(211)가 스크류돌출라인 형상으로 이루어짐으로써 믹싱대상물의 하방 나선유동을 유도할 수 있다.
즉, 일방향으로 회전유동하면서 내부통의 내부 측면에 닿게 되는 믹싱대상물이,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는 스크류돌출라인에 부딪히면서 스크류돌출라인의 나선형 구조를 따라 하측으로 내려감으로써, 내통(210) 내부의 하측에 배치된 분쇄칼날(120) 측으로 유동하게 됨에 따라, 믹서기의 분쇄효과를 더욱더 증대시키게 된다.
한편, 상기 내통(210)은 하부가 믹서본체(100)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상부가 내통구동부(220)와 연계되어 내통구동부(220)의 회전구동력이 내통(210)의 상부로 제공되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내통(210)은 상부를 통해 내통구동부(220)의 회전구동력이 제공됨으로써 상부를 내통구동부(220)가 회전시키며, 이때 내통(210)의 하부는 탈수통(510)에 베어링구조로 회전되게 설치됨으로써 상부가 회전 시 함께 회전하게 된다.
이와 같이 내통(210)의 상부를 통해 내통구동부(220)의 회전구동력이 제공되는 구조에 대해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상기 내통유닛(200)의 내통커버(230)는 내통(210)을 덮으며 내통(210)과 키체결되는 구조를 취한다.
여기에서, 상기 내통구동부(220)는 내통커버(230)와 연결되어 내통커버(230)를 회전시켜 내통(210)을 연동회전시킨다.
구체적으로, 상기 내통구동부(220)는 내통구동모터(M2)와, 내통회전축(221)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내통구동모터(M2)는 믹서본체(100)에 설치되며, 상기 내통회전축(221)은 내통커버(230)와 키체결되어 회전 시 내통커버(230)도 연동회전되도록 한다.
한편, 상기 탈수유닛(500)은 믹싱대상물이 분쇄칼날(120)에 의해 분쇄된 후, 분쇄된 믹싱대상물을 탈수시키도록, 즉 믹싱대상물로부터 즙을 분리하도록 구성된다.
여기에서, 상기 탈수유닛(500)은 탈수통(510)을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내통(210)은 측면에 내외부가 통하도록 측면개구부(210a)가 형성되며, 상기 탈수통(510)은 이러한 내통(210)의 측면개구부(210a)를 막도록 구성되며, 측부에 탈수홀(510a)이 형성된다.
즉, 상기 탈수통(510)은 내통(210)을 감싸서 측면개구부(210a)를 막는 구조를 지님으로써, 내통(210)에 수용되는 믹싱대상물이 내통(210)의 측면개구부(210a)를 통해 내통(210)의 외부로 나오지 못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측면개구부(210a)는 구체적으로 내통(210)의 측부에서 일정 정도 높이에 위치될 수 있다. 즉, 상기 내통(210)은 측면개구부(210a)의 하측 구성으로서 액체수용턱(210b)이 측부의 하측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믹싱대상물의 믹싱 시 일정 정도의 액체(일례로서 별도로 공급되는 물이나 분쇄 시 믹싱대상물에서 발생하는 즙)가 있는 경우 믹싱효과를 높여주기 때문이다.
물론, 상기 액체수용턱(210b)이 내통(210)의 측부 하측에 형성되더라도, 믹싱대상물을 탈수 할 때에는 분쇄할 때보다 내통(210)이 훨씬 더 빠른 속도로 회전하기 때문에, 분쇄과정에서 이미 분쇄된 믹싱대상물이 액체수용턱(210b)의 내측면을 타고 상측으로 쉽게 이동함에 따라, 충분히 액체수용턱(210b)의 상측인 측면개구부(210a)로 올라갈 수 있으며 측면개구부(210a)를 막는 탈수통(510)의 탈수홀(510a)을 통해 즙이 탈수될 수 있다.
일례로서, 상기 액체수용턱(210b)은 내통(210) 높이의 20% 내지 50% 사이의 높이를 가지며, 만약 내통(210) 높이의 20%보다 낮은 경우에는 액체의 양이 적어서 믹싱효과를 높여주기에는 충분하지 않으며, 내통(210) 높이의 50%보다 높은 경우에는 믹싱대상물에서 발생된 즙이 액체수용턱(210b)을 넘지 못하여 탈수통(51)에 이르지 못함에 따라 탈수작용이 거의 일어나지 않게 된다.
이와 같은 내통(210)과 탈수통(510)을 구비하는 탈수유닛(500)은, 내통(210)과 탈수통(510)이 동일방향으로 함께 회전함으로써, 분쇄칼날(120)에 의해 분쇄된 믹싱대상물을 탈수시킨다.
그런데, 상기 믹싱대상물은 분쇄칼날(120)에 의해 분쇄되더라도, 종류에 따라 탈수통(510)의 탈수홀(510a)보다 큰 차단성분을 가짐으로써, 회전하는 탈수통(510)의 탈수홀(510a)을 막음에 따라, 믹싱대상물의 탈수작용이 더이상 이루어지지 않는 한계점이 있다.
즉, 상기 믹싱대상물은 씨가 포함된 경우 분쇄칼날(120)에 의해서 씨가 분쇄되더라도 탈수통(510)의 탈수홀(510a)보다 큰 입자들을 가질 수 있고, 또는 씨가 포함되어 있지 않는 경우라도 분쇄칼날(120)에 의해 분쇄된 후에도 상당한 점성을 지닌 덩어리들을 가질 수 있기 때문에, 이러한 씨나 점성덩어리가 탈수통(510)의 탈수홀(510a)을 빠져나가지 못하고 탈수홀(510a)을 막게 됨에 따라, 탈수통(510)의 탈수홀(510a)을 통한 탈수작용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참고로, 본 명세서에서는 믹싱대상물에서 탈수과정 중에 탈수홀(510a)을 막는 성분인, 씨나 점성덩어리 등을 믹싱대상물의 차단성분이라고 지칭하기로 한다.
상술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내통(210)의 외부 측면에 스크래퍼(214)가 형성된다.
상기 스크래퍼(214)는 내통(210)의 외부 측면에 돌출되어 형성되는데, 내통(210)과 탈수통(510)의 회전속도차가 발생 시, 탈수통(510)의 탈수홀(510a)을 막고 있는 믹싱대상물의 차단성분을 긁어서 떨어뜨리는 역할을 수행한다.
즉, 상기 탈수통(510)의 탈수홀(510a)을 막으면서 탈수통(510)의 내부 측면에 돌출된 믹싱대상물의 차단성분을, 상기 내통(210)과 탈수통(510)의 회전속도에 있어서 차이가 발생 시, 내통(210)의 스크래퍼(214)가 긁어서 탈수통(510)의 내부 측면으로부터 떨어뜨리게 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스크래퍼(214)는 내통(210)의 외부 측면에서 종방향으로 형성되며, 탈수통(510)의 내부 측면까지 돌출되는 구조를 취한다. 상기 탈수통(510)의 탈수홀(510a)에 끼어져 있거나 탈수통(510)의 내부 측면에 붙어있는 믹싱대상물을 차단성분을, 스크래퍼(214)는 상술된 구조에 의하여 탈수통(510)의 전체적인 부분에서 모두 긁어서 떨어뜨릴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측면개구부(210a)는 내통(210)의 측부에서 횡방향을 따라 복수 개가 형성될 수 있는데, 이로 인하여 믹싱대상물에 대한 탈수성능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크래퍼(214)는 복수 개의 측면개구부(210a) 사이에 배치되어 복수 개가 마련됨으로써, 후술되는 내통(210)과 탈수통(510)의 속도차가 짧은 시간동안 유지되더라도 믹싱대상물의 차단성분을 탈수통(510)의 전체적인 부분에서 모두 긁어서 떨어뜨릴 수 있고, 아울러 쉽게 떨어지지 않는 믹싱대상물의 차단성분도 복수 개의 스크래퍼(214)가 회전하면서 수차례 긁어서 확실하게 떨어뜨릴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탈수통(510)이 내통(210)의 측면개구부(210a)를 막아서 믹싱대상물이 측면개구부(210a)를 통해 외부로 나가지 못하는 구조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통(210)의 외부 측면으로부터 돌출된 스크래퍼(214)의 돌출높이는 내통(210)의 내부 측면으로부터 돌출된 돌출부(211)의 돌출높이보다 낮도록 구성되며, 실질적으로 약간만 돌출된 돌출높이를 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
한편, 본 발명은 내통(210)과 탈수통(510)의 회전속도차를 발생시키기 위해, 일 실시예로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탈수유닛(500)이 상술된 탈수통(510)과 함께 탈수통구동부(530)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탈수통(510)은 하부가 외통(110)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상부가 탈수통구동부(530)와 연계되어 탈수통구동부(530)의 회전구동력이 탈수통(510)의 상부로 제공되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탈수통(510)은 상부를 통해 탈수통구동부(530)의 회전구동력이 제공됨으로써 상부를 탈수통구동부(530)가 회전시키며, 이때 탈수통(510)의 하부는 외통(110)에 베어링구조로 회전되게 설치됨으로써 상부가 회전 시 함께 회전하게 된다.
이와 같이 탈수통(510)의 상부를 통해 탈수통구동부(530)의 회전구동력이 제공되는 구조에 대해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상기 탈수유닛(500)의 탈수통커버(511)는 탈수통(510)을 덮으며 탈수통(510)과 키체결되는 구조를 취한다.
여기에서, 상기 탈수통구동부(530)는 탈수통커버(511)와 연결되어 탈수통커버(511)를 회전시켜 탈수통(510)을 연동회전시킨다.
그리고, 상기 탈수통구동부(530)는 탈수통구동모터(M3)와, 탈수통회전축(531)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탈수통구동모터(M3)는 믹서본체(100)에 설치되며, 상기 탈수통회전축(531)은 탈수통커버(511)와 키체결되어 회전 시 탈수통커버(511)도 연동회전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탈수통구동부(530)는 축연결부재(532)를 더 구비할 수 있는데, 이러한 축연결부재(532)는 탈수통구동모터(M3)의 모터축과 탈수통회전축(531)을 연결하여, 모터축으로부터 탈수통회전축(531)으로 회전구동력을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축연결부재(532)는, 기어연결축과 연결벨트 중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상기 기어연결축과 연결벨트 각각이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일례로서, 상기 축연결부재(532)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측단부가 탈수통회전축(531)의 상단부에 기어연결된 제1 기어연결축(532a), 상단부가 상기 제1 기어연결축(532a)의 우측단부에 기어연결되고 하단부가 탈수통구동모터(M3)의 모터축에 기어연결된 제2 기어연결축(532b)을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탈수통회전축(531)의 상단부, 제1 기어연결축(532a)의 좌측단부 및 우측단부, 제2 기어연결축(532b)의 상단부 및 하단부, 각각에는 기어연결구조를 위한 베벨기어가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축연결부재(532)는 도 6에 도시된 제1 기어연결축(532a)과 제2 기어연결축(532b) 대신에 도 7에 도시된 제1 연결벨트(532a')와 중간연결축(532b') 및 제2 연결벨트(532c')가 활용될 수 있다. 물론 여기에서, 상기 탈수통회전축(531)과 탈수통구동모터(M3)의 상단부, 및 중간연결축(532b')의 상하단부에는 제1 연결벨트(532a')와 제2 연결벨트(532c')가 감긴 상태에서 회전하면서 구동력이 전달되도록 타이밍기어가 형성될 수 있으며, 이때 제1 연결벨트(532a')와 제2 연결벨트(532c')는 타이밍벨트가 활용될 수 있다. 참고로, 도 7에서 도 6의 구성요소번호와 동일한 구성은 그 기능 및 구조가 동일함에 따라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상기 믹서본체(100)의 외통(110)은 외통커버(110a)에 의해 개폐되는데, 탈수통회전축(531)이 외통커버(110a)를 관통하며, 외통커버(110a)와는 별개로 회전된다.
이때, 상기 내통(210), 탈수통(510) 및 외통(110)의 하부 중심부는 칼날구동부(130)의 칼날회전축(131)이 관통되며, 칼날회전축(131)에 베어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탈수통구동모터(M3)는 탈수통(510)의 상측이나 하측, 또는 측방에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탈수통구동모터(M3)는 탈수통회전축(531) 또는 축연결부재(532)와 연결되는 구조를 취하면서, 비록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일례로서 탈수통(510)의 상측에 배치된 믹서커버(140)에 내장될 수 있고, 다른 일례로서 탈수통(510)의 측방에 배치된 통받침케이스(300)의 측부케이싱부(320)에 내장될 수 있다. 나아가, 또 다른 일례로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탈수통(510)의 하측에 배치된 통받침케이스(300)의 하부케이싱부(310)에 내장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믹서기는 내통(210)과 탈수통(510) 각각에 회전구동력이 상부로부터 제공되도록 구성됨으로써, 분쇄칼날(120)과는 독립적으로 내통(210)과 탈수통(510)을 안전하면서도 원활하게 회전시킬 수 있음에 따라, 믹싱대상물의 분쇄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믹서기의 탈수방법에 대해 도 8 및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믹서기의 탈수방법은 탈수단계(S100)와 속도차 발생단계(S200)를 포함하는데, 탈수단계(S100)는 속도차 발생단계(S200)의 전후에 수행된다.
즉, 상기 탈수단계S(100), 속도차 발생단계(S200), 및 탈수단계(S100)의 순서로 수행되는 패턴을 이루며, 상기 패턴은 적어도 한 번 이상 수행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상기 탈수단계(S100)는 속도차 발생단계(S200) 이전에 수행되고, 속도차 발생단계(S200) 이후에 다시 수행되며, 나아가 이러한 패턴은 적어도 한번 이상 반복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탈수단계(S100)는 내통(210)과 탈수통(510)이 동일방향으로 회전되는 단계이다.
즉, 상기 탈수단계(S100)는 믹싱대상물을 탈수시키도록, 믹싱대상물이 수용되고 측부개구부(210a)가 형성된 내통(210)과, 상기 내통(210)의 측부를 감싸는 탈수통(510)이 동일방향으로 회전되는 단계이다.
구체적으로, 내통(210)을 내통구동부(220)가 회전시키고 탈수통(510)을 탈수통구동부(530)가 내통(210)과 동일방향으로 회전시킴에 따라, 내통(210)과 탈수통(510)이 함께 동일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와 같이 탈수단계(S100)에 의하여 내통(210)과 탈수통(510)이 동일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믹싱대상물이 원심력으로 내통(210)의 측면개구부(210a)를 통해 탈수통(510)에 압박되어 즙이 발생되고 이러한 즙은 탈수홀(510a)을 통과함에 따라, 믹싱대상물이 탈수하게 된다.
나아가, 이러한 탈수단계(S100)는 탈수통(510)이 수용된 외통(110)의 배출관(112)이 개방된 경우에만 수행되는데, 즉 탈수통(510)의 탈수홀(510a)을 통과한 즙이 외통(110)의 배출관(112)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상태조건에서만, 탈수단계(S100)가 수행된다.
다음으로, 상기 속도차 발생단계(S200)는 내통(210)과 탈수통(510)의 회전속도차를 발생시키는 단계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속도차 발생단계(S200)는 탈수통(510)의 탈수홀(510a)을 막고 있는 믹싱대상물의 차단성분을 긁어서 떨어뜨리도록, 외부 측면에 스크래퍼(214)가 형성된 내통(210)과, 탈수통(510)의 회전속도차를 발생시키는 단계이다.
이러한 속도차 발생단계(S200)는 하기와 같이 여러 가지 방법을 통해 구현될 수 있다.
일례의 방법으로서, 상기 속도차 발생단계(S200)는 내통(210)이 회전하는 동안 탈수통(510)을 정지시킴으로써 구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내통(210)을 탈수통구동부(530)가 회전시켜서 내통(210)이 회전하고 있는 동안, 탈수통구동부(530)가 회전하는 탈수통(510)을 정지시킴으로써, 내통(210)과 탈수통(510)의 속도차가 발생한다. 즉, 상기 탈수통구동부(530)가 컨트롤러에 의해 탈수통(510)이 정지하도록 제어된다.
다른 일례의 방법으로서, 상기 속도차 발생단계(S200)는 탈수통(510)을 내통(210)보다 감속시킴으로써 구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내통(210)을 탈수통구동부(530)가 회전시켜서 내통(210)이 회전하고 있는 동안, 탈수통구동부(530)가 회전하는 탈수통(510)을 감속시킴으로써, 내통(210)과 탈수통(510)의 속도차가 발생한다. 즉, 상기 탈수통구동부(530)가 컨트롤러에 의해 탈수통(510)이 감속하도록 제어된다.
또 다른 일례의 방법으로서, 상기 속도차 발생단계(S200)는 탈수통(510)이 회전하는 동안 내통(210)을 정지시킴으로써 구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탈수통(510)을 탈수통구동부(530)가 회전시켜서 탈수통(510)이 회전하고 있는 동안, 탈수통구동부(530)가 회전하는 내통(210)을 정지시킴으로써, 내통(210)과 탈수통(510)의 속도차가 발생한다. 즉, 상기 탈수통구동부(530)가 컨트롤러에 의해 내통(210)이 정지하도록 제어된다.
또 다른 일례의 방법으로서,상기 속도차 발생단계(S200)는 내통(210)을 탈수통(510)보다 감속시킴으로써 구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탈수통(510)을 탈수통구동부(530)가 회전시켜서 탈수통(510)이 회전하고 있는 동안, 탈수통구동부(530)가 회전하는 내통(210)을 감속시킴으로써, 내통(210)과 탈수통(510)의 속도차가 발생한다. 즉, 상기 내통구동부(220)가 컨트롤러에 의해 내통(210)이 감속하도록 제어된다.
또 다른 일례의 방법으로서, 상기 속도차 발생단계(S200)는 내통(210)과 탈수통(510)을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구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탈수통구동부(530)가 탈수통(510)을 내통(210)과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키거나, 내통구동부(220)가 내통(210)을 탈수통(510)과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내통(210)과 탈수통(510)의 속도차가 발생한다. 즉, 상기 내통구동부(220) 또는 탈수통구동부(530)가 컨트롤러에 의해 내통(210)과 탈수통(510)이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제어된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은 내통(210)의 외부 측면에 스크래퍼(214)가 형성되고 내통(210)과 탈수통(510)의 회전속도차가 발생되도록 구성됨으로써, 탈수통(510)의 탈수홀(510a)을 막고 있는 믹싱대상물의 차단성분을 긁어서 떨어뜨림에 따라, 믹싱대상물의 탈수효율을 높일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 가능함은 물론이다.
100 : 믹서본체 110 : 외통
110a : 외통커버 112 : 배출관
112a : 개폐밸브 113 : 하부연장부
120 : 분쇄칼날 130 : 칼날구동부
131 : 칼날회전축 140 : 믹서커버
M1 : 칼날구동모터 T : 타이밍벨트
200 : 내통유닛 210 : 내통
210a : 측면개구부 210b : 액체수용턱
211 : 돌출부 214 : 스크래퍼
220 : 내통구동부 221 : 내통회전축
M2 : 내통구동모터 230 : 내통커버
230a : 내통커버돌기 300 : 통받침케이스
500 : 탈수유닛 510 : 탈수통
510a : 탈수홀 511 : 탈수통커버
530 : 탈수통구동부 531 : 탈수통회전축
532 : 축연결부재 532a : 제1 기어연결축
532b : 제2 기어연결축 532a' : 제1 연결벨트
532b' : 중간연결축 532c' : 제2 연결벨트
M3 : 탈수통구동모터

Claims (13)

  1. 외통, 분쇄칼날, 및 상기 분쇄칼날을 회전시키는 칼날구동부를 구비하는 믹서본체;
    상기 외통 내에 배치되고 내부에 상기 분쇄칼날이 위치되며 측면개구부가 형성된 내통과, 상기 내통을 회전시키는 내통구동부를 구비하는 내통유닛; 및
    상기 내통을 감싸면서 상기 측면개구부를 막아서 상기 내통에 믹싱대상물이 수용되도록 하며 탈수홀이 형성된 탈수통과, 상기 탈수통을 회전시키는 탈수통구동부를 구비하는 탈수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분쇄칼날에 의해 분쇄되면서 회전유동하는 믹싱대상물이 걸림되도록, 상기 내통의 내부 측면에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탈수통의 탈수홀을 막고 있는 상기 믹싱대상물의 차단성분을 긁어서 떨어뜨리도록, 상기 내통의 외부 측면에 스크래퍼가 돌출되며,
    상기 내통은, 상부가 상기 내통구동부와 연계되어 상기 내통구동부의 회전구동력이 상기 내통의 상부로 제공되며,
    상기 탈수통은, 상부가 상기 탈수통구동부와 연계되어 상기 탈수통구동부의 회전구동력이 상기 탈수통의 상부로 제공되는 믹서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통유닛은,
    상기 내통을 덮으며 상기 내통과 키체결되는 내통커버;를 더 구비하며,
    상기 내통구동부는, 상기 내통커버와 연결되어 상기 내통커버를 회전시켜 상기 내통을 연동회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믹서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내통구동부는,
    상기 믹서본체에 설치된 내통구동모터; 및
    상기 내통커버와 키체결되며, 상기 내통구동모터와 연계되는 내통회전축;
    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믹서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탈수유닛은,
    상기 탈수통을 덮으며 상기 탈수통과 키체결되는 탈수통커버;를 더 구비하며,
    상기 탈수통구동부는, 상기 탈수통커버와 연결되어 상기 탈수통커버를 회전시켜 상기 탈수통을 연동회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믹서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탈수통구동부는,
    상기 믹서본체에 설치된 탈수구동모터; 및
    상기 탈수통커버와 키체결되며, 상기 탈수구동모터와 연계되는 탈수통회전축;
    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믹서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탈수통구동부는,
    상기 탈수구동모터의 모터축과 탈수통회전축을 연결하여, 상기 모터축으로부터 상기 탈수통회전축으로 회전구동력을 전달하는 축연결부재;
    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믹서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축연결부재는, 기어연결축과 연결벨트 중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믹서기.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외통은 외통커버에 의해 개폐되며,
    상기 탈수통회전축은 상기 외통커버를 관통하고 상기 외통커버와는 별개로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믹서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통구동부의 내통회전축은, 상기 탈수통구동부의 탈수통회전축을 관통하고 상기 탈수통회전축에 베어링으로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믹서기.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통은 하부가 상기 탈수통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탈수통은 하부가 상기 외통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믹서기.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통, 탈수통 및 외통의 하부 중심부는, 상기 칼날회전축이 관통되며, 상기 칼날회전축에 베어링으로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믹서기.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칼날구동부 및 내통구동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칼날구동부 및 내통구동부를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더 포함하며,
    상기 내통은, 상기 분쇄칼날에 의해 분쇄되면서 회전유동하는 믹싱대상물이 걸림되도록, 내부 측면에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내통 내에서 믹싱대상물의 밸런스한 상태를 깨뜨리기 위해, 상기 분쇄칼날의 회전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상기 내통이 역회전 및 정지를 반복하면서 상기 믹싱대상물을 믹싱하도록 상기 내통구동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믹서기.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분쇄칼날과 내통이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 시, 상기 믹싱대상물이 상기 분쇄칼날의 회전과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하방유동되도록, 상기 믹싱대상물의 하방 나선유동을 유도하는 스크류돌출라인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믹서기.
KR1020190144473A 2019-07-24 2019-11-12 믹서기 KR20210057565A (ko)

Priority Applications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4473A KR20210057565A (ko) 2019-11-12 2019-11-12 믹서기
EP20843696.4A EP4005442B1 (en) 2019-07-24 2020-07-17 Mixer and dewatering method thereof
PCT/KR2020/009470 WO2021015504A1 (ko) 2019-07-24 2020-07-17 믹서기 및 이의 탈수방법
CN202310675533.9A CN116586161A (zh) 2019-07-24 2020-07-17 搅拌机及其脱水方法
US17/629,515 US20220240725A1 (en) 2019-07-24 2020-07-17 Mixer and dewatering method thereof
CN202080052500.3A CN114173930B (zh) 2019-07-24 2020-07-17 搅拌机及其脱水方法
JP2022504700A JP7369854B2 (ja) 2019-07-24 2020-07-17 ミキサー及びその脱水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4473A KR20210057565A (ko) 2019-11-12 2019-11-12 믹서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57565A true KR20210057565A (ko) 2021-05-21

Family

ID=761577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44473A KR20210057565A (ko) 2019-07-24 2019-11-12 믹서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57565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117977A (ko) 2012-04-19 2013-10-29 (주)동양피씨에스 탈수겸용 믹서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117977A (ko) 2012-04-19 2013-10-29 (주)동양피씨에스 탈수겸용 믹서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72862B1 (ko) 믹서기
KR102009386B1 (ko) 믹서기
KR102008731B1 (ko) 진공믹서기
KR102008730B1 (ko) 믹서기용 통구조체
JP5648980B2 (ja) 圧送式トイレ装置
CN109998394B (zh) 一种食品加工机的排液方法
KR101291738B1 (ko) 스무디기 겸용 주스기
CN106975551B (zh) 一种厨房垃圾处理器
KR20090041801A (ko) 소용량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101191339B1 (ko) 디스포저
JP7369854B2 (ja) ミキサー及びその脱水方法
KR20210057565A (ko) 믹서기
KR102104788B1 (ko) 믹서기
KR102081670B1 (ko) 믹서기의 탈수방법
KR102094169B1 (ko) 믹서기
KR102661564B1 (ko) 믹서기
KR101277408B1 (ko) 음식물류 폐기물 이송장치
CN114745995B (zh) 真空搅拌机
CN111993585B (zh) 一种混凝土搅拌装置
KR20190089823A (ko) 진공믹서기
KR101435655B1 (ko) 머드 응고 방지장치
CN209406566U (zh) 一种砂石分离机的进料槽
KR20140133300A (ko) 비드밀
KR102569500B1 (ko) 믹서기 및 믹서기의 제어방법
KR102162080B1 (ko) 순환식 믹서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