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89823A - 진공믹서기 - Google Patents

진공믹서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89823A
KR20190089823A KR1020190089839A KR20190089839A KR20190089823A KR 20190089823 A KR20190089823 A KR 20190089823A KR 1020190089839 A KR1020190089839 A KR 1020190089839A KR 20190089839 A KR20190089839 A KR 20190089839A KR 20190089823 A KR20190089823 A KR 201900898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ade
inner cylinder
rotating
driving unit
mixing obje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898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59394B1 (ko
Inventor
이걸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인트로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인트로팩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인트로팩
Priority to KR10201900898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59394B1/ko
Publication of KR201900898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898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593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593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04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 A47J43/07Parts or details, e.g. mixing tools, whipping tools
    • A47J43/08Driving mechanisms
    • A47J43/085Driving mechanisms for machines with tools driven from the lower sid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04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 A47J43/07Parts or details, e.g. mixing tools, whipping tools
    • A47J43/0716Parts or details, e.g. mixing tools, whipping tools for machines with tools driven from the lower side
    • A47J43/0722Mixing, whipping or cutting too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04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 A47J43/07Parts or details, e.g. mixing tools, whipping tools
    • A47J43/0727Mixing bow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ixers Of The Rotary Stirring Type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진공믹서기는, 받침블럭, 상기 받침블럭에 안착되는 외통, 분쇄칼날, 및 상기 분쇄칼날을 회전시키는 칼날구동부를 구비하는 믹서본체; 상기 외통 내에 배치되며 내부에 상기 분쇄칼날이 위치된 내통, 상기 내통을 회전시키는 내통구동부를 구비하는 내통유닛; 및 상기 받침블럭에 설치되며, 상기 내통의 내부에 수용되는 믹싱대상물에 대한 믹싱작업이 진공 상태에서 이루어지도록 구성되는 진공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외통은 외통커버에 의해 개폐되고, 상기 내통은 내통커버에 의해 개폐되고, 상기 내통커버는 상기 외통커버에 회전되게 조립되며, 상기 칼날구동부에서 상기 분쇄칼날을 회전시키는 제1 회전축은, 상기 내통구동부에서 상기 내통을 회전시키는 제2 회전축에 형성된 중공에 축회전되게 설치되어, 상기 제1 회전축과 제2 회전축이 서로 독립적으로 축회전한다.

Description

진공믹서기{VACUUM MIXER}
본 발명은 진공믹서기로서, 과일이나 채소 등을 포함한 믹싱대상물을 분쇄하여 즙을 내는 진공믹서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믹서기는 믹싱대상물을 넣는 용기(컵)와 전동기가 내부에 수용된 몸체로 이루어진 전동장치이다.
여기에서, 상기 용기는 경질의 내열유리, 합성수지 또는 스테인리스로 제작되며, 용기 내의 하부에 스테인리스강의 분쇄칼날이 구동부 상에 맞물리면서 장착된다.
또한, 몸체 내부에 수용되는 전동기는 고속회전을 함에 따라, 과일이나 채소 등을 포함한 믹싱대상물을 커트 및 분쇄하기 위한 용도와 더불어, 믹싱대상물의 즙을 내는 용도로 가정에서 널리 사용되어 왔다.
그런데, 상기 믹서기는 분쇄칼날이 일방향으로 회전하거나, 양방향으로 회전하더라도 일정시간 동안은 일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원심력에 의해 믹싱대상물이 방사상으로 밀려남에 따라 분쇄 및 즙을 내는 효과가 현저히 감소되는 한계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226441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믹싱대상물의 분쇄성능을 향상시키는 진공믹서기를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공믹서기는, 받침블럭, 상기 받침블럭에 안착되는 외통, 분쇄칼날, 및 상기 분쇄칼날을 회전시키는 칼날구동부를 구비하는 믹서본체; 상기 외통 내에 배치되며 내부에 상기 분쇄칼날이 위치된 내통, 상기 내통을 회전시키는 내통구동부를 구비하는 내통유닛; 및 상기 받침블럭에 설치되며, 상기 내통의 내부에 수용되는 믹싱대상물에 대한 믹싱작업이 진공 상태에서 이루어지도록 구성되는 진공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외통은 외통커버에 의해 개폐되고, 상기 내통은 내통커버에 의해 개폐되고, 상기 내통커버는 상기 외통커버에 회전되게 조립되며, 상기 칼날구동부에서 상기 분쇄칼날을 회전시키는 제1 회전축은, 상기 내통구동부에서 상기 내통을 회전시키는 제2 회전축에 형성된 중공에 축회전되게 설치되어, 상기 제1 회전축과 제2 회전축이 서로 독립적으로 축회전한다.
여기에서, 상기 칼날구동부는, 상기 분쇄칼날에 하측 수직방향으로 연결된 제1 회전축; 및 상기 제1 회전축을 회전시키도록 상기 제1 회전축과 연결된 제1 구동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내통구동부는, 상기 외통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부에 상기 내통이 장착된 회전브라켓; 상기 회전브라켓에 하측 수직방향으로 연결된 제2 회전축; 및 상기 제2 회전축을 회전시키도록 상기 제2 회전축과 연결된 제2 구동부재;를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내통커버의 상부에는 중심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외통커버의 하부에는 상기 내통커버의 중심돌기가 삽입되어 회전지지되는 돌기지지홈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칼날구동부와 내통구동부는, 상기 분쇄칼날과 내통을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내통은, 상기 분쇄칼날에 의해 분쇄되면서 회전유동하는 믹싱대상물이 걸림되도록, 내부 측면에 돌출부가 형성되며, 상기 돌출부는, 상기 믹싱대상물이 상기 분쇄칼날의 회전과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하방유동되도록, 상기 믹싱대상물의 하방 나선유동을 유도하는 스크류돌출라인 형상일 수 있다.
한편, 상기 내통은, 회전 시 믹싱대상물이 탈수되도록 측부에 복수 개의 배수홀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외통은, 상기 믹싱대상물에서 탈수된 액체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부에 배출관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진공믹서기는, 내통을 회전구동시키는 내통구동부가 분쇄칼날을 회전구동시키는 칼날구동부와는 별도로 독립적으로 마련되어, 분쇄칼날과 내통을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키도록 구성됨으로써, 믹싱대상물에 난류를 발생시켜 믹싱대상물이 분쇄칼날 측으로도 유동되어 믹싱대상물의 분쇄효과를 높일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진공믹서기는, 믹싱대상물이 분쇄칼날의 회전과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하방유동되도록, 믹싱대상물의 하방 나선유동을 유도하는 스크류돌출라인 형상의 돌출부가 내통의 내부 측면에 구성됨으로써, 원심력으로 방사상으로 밀려나면서 상측으로 유동하는 믹싱대상물을 내통 내부의 하측에 배치된 분쇄칼날 측으로 유동시킴에 따라, 진공믹서기의 분쇄효과를 더욱더 증대시킬 수 있는 장점을 지닌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공믹서기의 내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A를 나타낸 확대도이다.
도 3은 도 1의 진공믹서기의 내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의 진공믹서기 내에서 내통과 분쇄칼날의 회전방향 및 믹싱대상물의 유동방향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도 1의 진공믹서기의 상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도 3의 내통에 대한 다른 실시예들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도면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공믹서기의 내부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A를 나타낸 확대도이다.
또한, 도 3은 도 1의 진공믹서기의 내통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1의 진공믹서기 내에서 내통과 분쇄칼날의 회전방향 및 믹싱대상물의 유동방향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진공믹서기는 믹서본체(100)와 내통유닛(200)을 포함한다.
여기에서, 상기 믹서본체(100)는 외통(110), 분쇄칼날(120) 및 칼날구동부(130)를 구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외통(110)은 내부에 믹싱대상물이 수용될 수 있도록 하면은 막히고 상부는 개방된 상방개구된 구조이며, 외통커버(140)에 의해 개폐되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믹싱대상물은 진공믹서기의 작동에 의해 분쇄되어 즙을 내기 위한 음식물을 지칭한다.
또한, 상기 분쇄칼날(120)은 외통(110) 내에 배치되며, 회전 시 외통(110) 내의 믹싱대상물을 분쇄하여 액체화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아울러, 상기 칼날구동부(130)는 분쇄칼날(120)을 회전시키는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성으로서, 제1 회전축(131)과 제1 구동부재(M1)를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회전축(131)은 분쇄칼날(120)과 수직방향으로 연결되며, 제1 구동부재(M1)는 제1 회전축(131)과 연결된다. 즉, 상기 제1 회전축(131)은 횡방향으로 배치된 분쇄칼날(120)의 중심부에 연결되어 종방향으로 연장배치되는데, 분쇄칼날(120)과 제1 구동부재(M1)를 연결하여 제1 구동부재(M1)의 회전구동력을 분쇄칼날(120)에 전달하여 제1 구동부재(M1)의 작동 시 분쇄칼날(120)이 회전구동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내통유닛(200)은 내통(210)과 내통구동부(220)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내통(210)은 외통(110) 내에 배치되며, 상기 내통구동부(220)는 내통(210)을 회전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와 같은, 상기 내통구동부(220)는 본 발명의 구성적 특징으로서, 분쇄칼날(120)을 회전구동시키는 칼날구동부(130)와는 별도로 독립적으로 마련되어, 내통(210)을 회전구동시키는 기능을 가진다.
이때, 본 발명에 따른 진공믹서기의 주요 구성적 특징으로서, 상기 분쇄칼날(120)이 내통(210)의 내부에 위치된 경우, 상기 칼날구동부(130)와 내통구동부(220)는 분쇄칼날(120)과 내통(210)을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키도록 구성된다.
기존의 진공믹서기는 분쇄칼날의 회전으로 원심력에 의해 믹싱대상물이 방사상으로 밀려남에 따라, 중앙부에서 회전하면서 믹싱대상물을 분쇄하는 분쇄칼날에는 닿지 않게 되어, 분쇄성능이 떨어지는 한계점이 있다.
그런데, 본 발명에 따른 진공믹서기는 내통(210) 내에 믹싱대상물을 수용한 상태에서 분쇄칼날(120)이 회전 시 내통(210)이 반대 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분쇄성능을 증대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분쇄칼날(120)이 일방향으로 회전하면 분쇄칼날(120)에 의해 일방향으로 회전유동하는 믹싱대상물이 원심력에 의해 내통(210)의 내부 측면 측으로 밀려나가는데, 이와 같이 일방향으로 회전유동하면서 내부통의 내부 측면에 닿게 되는 믹싱대상물을 내통(210)이 분쇄칼날(120)과 반대 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반대 방향으로 회전유동시킴에 따라, 난류를 발생시켜 믹싱대상물이 분쇄칼날(120) 측으로도 유동되어 종국적으로 믹싱대상물의 분쇄효과를 높이게 된다.
이에 더하여, 상기 내통(210)은 분쇄칼날(120)에 의해 분쇄되면서 회전유동하는 믹싱대상물이 걸림되도록, 내부 측면에 돌출부(211)가 형성될 수 있다.
일방향으로 회전유동하면서 내부통의 내부 측면에 닿게 되는 믹싱대상물이,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는 내통(210)의 내부 측면에 형성된 돌출부(211)에 부딪히게 되면, 이에 따라 발생하는 믹싱대상물의 난류가 커짐으로써 믹싱대상물의 분쇄효과를 더욱더 증대시키게 된다.
나아가, 상기 돌출부(211)는 믹싱대상물이 분쇄칼날(120)의 회전과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하방유동되도록, 믹싱대상물의 하방 나선유동을 유도하는 스크류돌출라인 형상을 취할 수 있다.
분쇄칼날(120)에 의해 일방향으로 회전유동하는 믹싱대상물의 유동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분쇄칼날(120)이 내통(210) 내부의 하측에 배치됨으로써 분쇄칼날(120)이 회전 시 믹싱대상물이 내통(210)의 내부 측면까지 밀려난 다음 내통(210)의 내부 측면을 따라 상측으로 올라가게 된다. 이에 따라, 이와 같이 원심력을 받으면서 상측으로 유동하는 믹싱대상물은 내통(210) 내부의 하측에 배치된 분쇄칼날(120) 측으로 거의 유동을 하지 않게 된다.
이에 이와 같이 유동하는 믹싱대상물을, 내통(210) 내부의 하측에 배치된 분쇄칼날(120) 측으로 유동시키기 위해, 믹싱대상물이 분쇄칼날(120)의 회전과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하방유동되도록, 상기 돌출부(211)가 스크류돌출라인 형상으로 이루어짐으로써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믹싱대상물의 하방 나선유동을 유도할 수 있다.
즉, 일방향으로 회전유동하면서 내부통의 내부 측면에 닿게 되는 믹싱대상물이,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는 스크류돌출라인에 부딪히면서 스크류돌출라인의 나선형 구조를 따라 하측으로 내려감으로써, 내통(210) 내부의 하측에 배치된 분쇄칼날(120) 측으로 유동하게 됨에 따라, 진공믹서기의 분쇄효과를 더욱더 증대시키게 된다.
한편, 상술된 칼날구동부(130)와 내통구동부(220)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칼날구동부(130)와 내통구동부(220) 모두 내통(210)의 하측에 배치되거나, 상기 칼날구동부(130)는 내통(210)의 하측에 배치되고 내통구동부(220)는 내통(210)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칼날구동부(130)와 내통구동부(220) 모두 내통(210)의 하측에 배치된 경우의 구조를 살펴보면, 상기 칼날구동부(130)는 분쇄칼날(120)의 하측에 배치되고 내통구동부(220)는 내통(210)의 하측에 배치되는데,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믹서본체(100)의 하부에 위치된 받침블럭(150)에 칼날구동부(130)의 제1 구동부재(M1)와 내통구동부(220)의 제2 구동부재(M2)가 내장되는 구조를 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칼날구동부(130)는 내통(210)의 하측에 배치되고 내통구동부(220)는 내통(210)의 상측에 배치된 경우의 구조를 살펴보면, 상기 칼날구동부(130)는 분쇄칼날(120)의 하측에 배치되고 내통구동부(220)는 내통(210)의 상측에 배치되는데,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믹서본체(100)의 하부에 위치된 받침블럭(150)에 칼날구동부(130)의 제1 구동부재(M1)가 내장되며, 비록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일례로서 외통커버(140)에 내통구동부(220)의 제2 구동부재(M2)가 장착되는 구조를 취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상기 칼날구동부(130)와 내통구동부(220)의 내부구성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상기 칼날구동부(130)는 분쇄칼날(120)과 수직방향으로 연결된 제1 회전축(131), 상기 제1 회전축(131)을 회전시키도록 제1 회전축(131)과 연결된 제1 구동부재(M1)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내통구동부(220)는 내통(210)이 장착된 회전브라켓(221), 상기 회전브라켓(221)으로부터 수직방향으로 연결된 제2 회전축(222), 및 상기 제2 회전축(222)을 회전시키도록 제2 회전축(222)과 연결된 제2 구동부재(M2)를 구비할 수 있다.
일례로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전브라켓(221)은 외통(110) 내의 바닥에 배치되고 상부에 내통(210)이 장착될 수 있으며, 상기 제1 회전축(131)은 제2 회전축(222)의 중공(222a)에 배치되고, 상기 제2 회전축(222)은 일측의 제2 구동부재(M2)와 구동전달벨트(223)로 연결될 수 있다.
참고로, 상기 받침블럭(150)의 상부에는 외통(110)이 안착되어 체결되는 안착대(151)가 설치되며, 이러한 안착대(151)에는 안착대(151)를 관통하는 제1 회전축(131)과 제2 회전축(222)을 롤링지지하는 축베어링(152)이 장착된다.
한편, 상기 내통유닛(200)은 내통(210)에 덮여서 클램핑되는 내통커버(23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내통커버(23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에 중심돌기(231)가 형성될 수 있고, 상기 믹서본체(100)는 외통커버(140)에 내통커버(230)의 중심돌기(231)가 삽입되어 회전지지되는 돌기지지홈(140a)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내통(210)은 내통구동부(220)에 하부가 연결되어 회전구동함에 따라 상부가 흔들릴 수 있는데, 이러한 상부 흔들림을 방지하기 위해 내통(210)의 상부를 지지하도록 내통(210)의 상부에 내통커버(230)를 덮어서 클램핑한 다음, 외통커버(140)의 돌기지지홈(140a)에 내통커버(230)의 중심돌기(231)를 삽입하여 지지되도록 함으로써, 내통(210)의 회전시 견고하면서도 안정적으로 내통(210)의 상부가 지지되는 구조를 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외통커버(140)의 돌기지지홈(140a)은 외통커버(140)의 하부에 장착된 커버베어링(141)의 내륜 측 중심홀일 수 있다.
나아가, 상술된 돌기지지구조와 함께 또는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믹서본체(100)는 외통(110)에는 내통(210)의 외부 측면을 지지하는 지지롤러(111)가 장착될 수 있다. 이러한 지지롤러(111)는 내통(210)의 외부 측면에서 특히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를 지지지함으로써 내통(210)의 상부를 견고하면서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내통(210)은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 시 믹싱대상물이 탈수되도록 측부에 복수 개의 배수홀(210a)이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내통(210)은 내부에 믹싱대상물을 넣은 다음, 내통(210) 내부에 배치된 분쇄칼날(120)의 회전 시 믹싱대상물이 분쇄되면서 동시에, 내통(210)도 회전함으로써 믹싱대상물에 포함된 액체(즙)을 배수홀(210a)을 통해 내통(210)의 외측으로 내보낼 수 있다.
참고로, 도 6(a)에 도시된 내통(210)은 분쇄전용 내통(210)이고, 도 6(b)에 도시된 내통(210)은 탈수전용 내통(210)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분쇄칼날(120)의 회전 시 탈수기능이 구현시키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는,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수홀이 형성되지 않는 내통(210')이 활용될 수 있고, 이러한 내통(210')이 활용된 경우에는 상술된 돌출부(211)의 기능인 믹싱대상물의 하방 나선유동을 유도하는 작용만을 구현시킬 수 있으며, 이후 탈수기능을 원하는 경우 내통(210')을 배수홀(210a)이 형성된 내통(210)(201")으로 교체한 후 교체된 내통(210)(210")에 분쇄된 믹싱대상물을 넣은 다음 작동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분쇄칼날(120)의 분쇄기능을 동시에 구현시키기 위해서는 도 3에 도시된 내통(210)으로 교체하면 되며, 상기 분쇄칼날(120)의 분쇄기능은 구현시키지 않고 탈수기능만을 구현시키기 위해서는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수홀(210a)만 형성된 내통(210")으로 교체하면 된다. 이때, 상기 내통(210")은 분쇄칼날(120)이 내통(210")의 외측에 위치되도록, 외통(110)과 마주보는 하면에 하부홈(210"a)이 형성되며, 이러한 하부홈(210"a)에는 분쇄칼날(120)이 인입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외통(11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믹싱대상물에서 탈수된 액체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부에 배출관(112)이 형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배출관(112)에는 개폐밸브(112a)가 장착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진공믹서기는 외통(110) 내에 진공을 형성시키도록 구성되는 진공유닛(3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진공유닛(300)은 외통(110)과 연통된 흡입관(310), 상기 흡입관(310)과 연통된 진공구동부(320)를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진공구동부(320)는 진공모터(M3)와 진공펌프(P)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진공유닛(300)에 의해 분쇄작업과 탈수작업을 포함하는 믹싱작업을 진공하에서 이루도록 함으로써, 과일이나 채소 등을 포함하는 믹싱대상물이 산화되지 않는 상태에서 믹싱작업됨에 따라, 신선하고 영양분이 파괴되지 않는 액체(즙)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상기 믹서본체(100)는 외통(110)을 받치는 받침블럭(150), 외통(110)과 받침블럭(150)을 연결하는 손잡이(160)를 더 구비하는데, 상기 진공구동부(320)는 받침블럭(150)에 내장되고, 흡입관(310)은 손잡이(160)에 내장될 수 있는데, 이로 인하여 상기 흡입관(310)이 외부에 보이지 않음에 따라 사용상 편리하고 미관상 보기 좋은 장점이 있다.
참고로, 상기 받침블럭(150)은 상술된 칼날구동부(130)의 제1 구동부재(M1), 내통구동부(220)의 제2 구동부재(M2), 진공구동부(320)의 진공모터(M3)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하고, 외면에는 이러한 제어부의 입력패널 및 디스플레이패널이 장착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진공믹서기는, 내통(210)을 회전구동시키는 내통구동부(220)가 분쇄칼날(120)을 회전구동시키는 칼날구동부(130)와는 별도로 독립적으로 마련되어, 분쇄칼날(120)과 내통(210)을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키도록 구성됨으로써, 믹싱대상물에 난류를 발생시켜 믹싱대상물이 분쇄칼날(120) 측으로도 유동되어 믹싱대상물의 분쇄효과를 높일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진공믹서기는, 믹싱대상물이 분쇄칼날(120)의 회전과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하방유동되도록, 믹싱대상물의 하방 나선유동을 유도하는 스크류돌출라인 형상의 돌출부(211)가 내통(210)의 내부 측면에 구성됨으로써, 원심력으로 방사상으로 밀려나면서 상측으로 유동하는 믹싱대상물을 내통(210) 내부의 하측에 배치된 분쇄칼날(120) 측으로 유동시킴에 따라, 진공믹서기의 분쇄효과를 더욱더 증대시킬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 가능함은 물론이다.
100 : 믹서본체 110 : 외통
111 : 지지롤러 112 : 배출관
112a : 개폐밸브 120 : 분쇄칼날
130 : 칼날구동부 131 : 제1 회전축
M1 : 제1 구동부재 140 : 외통커버
140a : 돌기지지홈 141 : 커버베어링
150 : 받침블럭 151 : 안착대
152 : 축베어링 160 : 손잡이
200 : 내통유닛 210, 210', 201" : 내통
210a : 배수홀 211 : 돌출부
210"a : 하부홈 220 : 내통구동부
221 : 회전브라켓 222 : 제2 회전축
222a : 중공 M2 : 제2 구동부재
223 : 구동전달벨트 230 : 내통커버
231 : 중심돌기 300 : 진공유닛
310 : 흡입관 320 : 진공구동부
P : 진공펌프 M3 : 진공모터

Claims (7)

  1. 받침블럭, 상기 받침블럭에 안착되는 외통, 분쇄칼날, 및 상기 분쇄칼날을 회전시키는 칼날구동부를 구비하는 믹서본체;
    상기 외통 내에 배치되며 내부에 상기 분쇄칼날이 위치된 내통, 상기 내통을 회전시키는 내통구동부를 구비하는 내통유닛; 및
    상기 받침블럭에 설치되며, 상기 내통의 내부에 수용되는 믹싱대상물에 대한 믹싱작업이 진공 상태에서 이루어지도록 구성되는 진공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외통은 외통커버에 의해 개폐되고, 상기 내통은 내통커버에 의해 개폐되고, 상기 내통커버는 상기 외통커버에 회전되게 조립되며,
    상기 칼날구동부에서 상기 분쇄칼날을 회전시키는 제1 회전축은, 상기 내통구동부에서 상기 내통을 회전시키는 제2 회전축에 형성된 중공에 축회전되게 설치되어, 상기 제1 회전축과 제2 회전축이 서로 독립적으로 축회전하는 진공믹서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칼날구동부는,
    상기 분쇄칼날에 하측 수직방향으로 연결된 제1 회전축; 및
    상기 제1 회전축을 회전시키도록 상기 제1 회전축과 연결된 제1 구동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내통구동부는,
    상기 외통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부에 상기 내통이 장착된 회전브라켓;
    상기 회전브라켓에 하측 수직방향으로 연결된 제2 회전축; 및
    상기 제2 회전축을 회전시키도록 상기 제2 회전축과 연결된 제2 구동부재;
    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믹서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통커버의 상부에는 중심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외통커버의 하부에는 상기 내통커버의 중심돌기가 삽입되어 회전지지되는 돌기지지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믹서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칼날구동부와 내통구동부는, 상기 분쇄칼날과 내통을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키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믹서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내통은,
    상기 분쇄칼날에 의해 분쇄되면서 회전유동하는 믹싱대상물이 걸림되도록, 내부 측면에 돌출부가 형성되며,
    상기 돌출부는, 상기 믹싱대상물이 상기 분쇄칼날의 회전과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하방유동되도록, 상기 믹싱대상물의 하방 나선유동을 유도하는 스크류돌출라인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믹서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통은, 회전 시 믹싱대상물이 탈수되도록 측부에 복수 개의 배수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믹서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외통은, 상기 믹싱대상물에서 탈수된 액체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부에 배출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믹서기.
KR1020190089839A 2019-07-24 2019-07-24 진공믹서기 KR1020593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9839A KR102059394B1 (ko) 2019-07-24 2019-07-24 진공믹서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9839A KR102059394B1 (ko) 2019-07-24 2019-07-24 진공믹서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06187A Division KR102008731B1 (ko) 2017-08-22 2017-08-22 진공믹서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89823A true KR20190089823A (ko) 2019-07-31
KR102059394B1 KR102059394B1 (ko) 2019-12-26

Family

ID=674742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89839A KR102059394B1 (ko) 2019-07-24 2019-07-24 진공믹서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5939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95153B1 (ko) * 2019-10-21 2020-12-28 주식회사 인트로팩 진공믹서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25064B1 (ko) * 2020-11-25 2021-11-12 주식회사 엔유씨전자 식품 가공기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6441B1 (ko) 2012-08-13 2013-01-28 김화식 주스 착즙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6441B1 (ko) 2012-08-13 2013-01-28 김화식 주스 착즙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95153B1 (ko) * 2019-10-21 2020-12-28 주식회사 인트로팩 진공믹서기
WO2021080204A1 (ko) * 2019-10-21 2021-04-29 주식회사 인트로팩 진공믹서기
EP4049566A4 (en) * 2019-10-21 2022-12-14 Intropack Co., Ltd. VACUUM BLEND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59394B1 (ko) 2019-12-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72862B1 (ko) 믹서기
KR20180037567A (ko) 진공믹서기
KR102009386B1 (ko) 믹서기
KR101611553B1 (ko) 주스기용 착즙모듈
US8342079B2 (en) Multifunctional soybean milk maker
JP7309860B2 (ja) ミキサー機
JP7309861B2 (ja) ミキサー機
KR102008730B1 (ko) 믹서기용 통구조체
FI20050923A (fi) Vaahdotuslaitteen lisäsekoitin
KR20190089823A (ko) 진공믹서기
US1475978A (en) Beater
US2858861A (en) Fruit reamer and strainer
JP7357154B2 (ja) 真空ミキサー
KR102094169B1 (ko) 믹서기
KR102059393B1 (ko) 탈수가능한 믹서기
JP6159882B2 (ja) パルプ量調節可能なジューサー
KR102569500B1 (ko) 믹서기 및 믹서기의 제어방법
CN208551465U (zh) 一种食物料理机及其精磨器组件
KR102081432B1 (ko) 탈수가능한 믹서기
KR20200089464A (ko) 믹서기
KR20210107273A (ko) 믹서기
KR20210012245A (ko) 믹서기
KR102248567B1 (ko) 탈수가능한 믹서기
KR19990041816U (ko) 믹서기의 커터축용 베어링의 오일 누출 방지 장치
CN208339425U (zh) 搅拌刀组件、搅拌杯组件及食物处理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