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59393B1 - 탈수가능한 믹서기 - Google Patents

탈수가능한 믹서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59393B1
KR102059393B1 KR1020190035484A KR20190035484A KR102059393B1 KR 102059393 B1 KR102059393 B1 KR 102059393B1 KR 1020190035484 A KR1020190035484 A KR 1020190035484A KR 20190035484 A KR20190035484 A KR 20190035484A KR 102059393 B1 KR102059393 B1 KR 1020593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ner cylinder
motor
shaft
blade
dr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354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걸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인트로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to KR10201900354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59393B1/ko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인트로팩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인트로팩
Priority to PCT/KR2019/011803 priority patent/WO2020055148A1/ko
Priority to AU2019337282A priority patent/AU2019337282B2/en
Priority to JP2021513979A priority patent/JP7309861B2/ja
Priority to CN201980059803.5A priority patent/CN112839553B/zh
Priority to JP2021513973A priority patent/JP7309860B2/ja
Priority to US17/275,308 priority patent/US20210338013A1/en
Priority to EP19860208.8A priority patent/EP3851002A4/en
Priority to EP19859107.5A priority patent/EP3851001B1/en
Priority to PCT/KR2019/011801 priority patent/WO2020055146A1/ko
Priority to EP22169503.4A priority patent/EP4049565A1/en
Priority to CN201980059638.3A priority patent/CN112714622B/zh
Priority to US17/275,708 priority patent/US20210345831A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593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593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4/00Multi-purpose machines for preparing food with several driving uni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04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 A47J43/07Parts or details, e.g. mixing tools, whipping tools
    • A47J43/0727Mixing bow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04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 A47J43/07Parts or details, e.g. mixing tools, whipping tools
    • A47J43/08Driving mechanisms
    • A47J43/087Driving mechanisms for machines with several driving un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rushing And Pulverization Process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탈수가능한 믹서기는, 믹서커버에 의해 개폐되는 외통, 분쇄칼날, 및 상기 분쇄칼날을 회전시키는 칼날구동부를 구비하는 믹서본체; 및 상기 외통 내에 배치되고 내부에는 상기 분쇄칼날이 위치되며 내부 측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돌출부가 형성되고 측부에 탈수홀을 가진 내통과, 상기 내통을 회전시키는 내통구동부를 구비하는 내통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칼날구동부의 칼날회전축은 상기 내통구동부의 내통회전축에 형성된 중공에 축회전되게 설치되어, 상기 칼날회전축과 내통회전축이 서로 독립적으로 축회전하며, 상기 내통구동부는, 상기 내통회전축, 내통구동모터, 및 상기 내통회전축과 내통구동모터를 연결하는 내통구동연결부를 구비하며, 믹싱대상물의 분쇄 시와 탈수 시에 상기 내통이 서로 다른 회전속도를 갖도록, 상기 내통구동모터가 복수 개 마련된다.

Description

탈수가능한 믹서기{MIXER WITH DEWATERING}
본 발명은 탈수가능한 믹서기로서, 믹싱대상물을 분쇄하는 믹서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믹서기는 믹싱대상물을 넣는 용기(컵)와 전동기가 내부에 수용된 몸체로 이루어진 전동장치이다.
여기에서, 상기 용기는 경질의 내열유리, 합성수지 또는 스테인리스로 제작되며, 용기 내의 하부에 스테인리스강의 분쇄칼날이 구동부 상에 맞물리면서 장착된다.
또한, 몸체 내부에 수용되는 전동기는 고속회전을 함에 따라, 과일이나 채소 등을 포함한 믹싱대상물을 커트 및 분쇄하기 위한 용도와 더불어, 믹싱대상물의 즙을 내는 용도로 가정에서 널리 사용되어 왔다.
그런데, 상기 믹서기는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772862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믹서기의 내통에 돌출부가 형성되는데, 분쇄칼날의 회전에 의해 내통에 수용된 믹싱대상물이 회전하면서 돌출부에 걸림에 따라, 분쇄칼날이 회전하는 반대방향으로 내통의 역회전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게 되며, 특히 내통구동모터의 출력이 낮은 경우에는 내통의 역회전이 전혀 이루어지지 않는 한계점이 있다.
나아가, 믹싱대상물이 분쇄되더라도 즙을 내서 먹기 위해서는, 별도의 착즙기를 사용해서 착즙을 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믹싱대상물의 분쇄 및 탈수(착즙)가 이루어질 수 있는 탈수가능한 믹서기를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탈수가능한 믹서기는, 믹서커버에 의해 개폐되는 외통, 분쇄칼날, 및 상기 분쇄칼날을 회전시키는 칼날구동부를 구비하는 믹서본체; 및 상기 외통 내에 배치되고 내부에는 상기 분쇄칼날이 위치되며 내부 측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돌출부가 형성되고 측부에 탈수홀을 가진 내통과, 상기 내통을 회전시키는 내통구동부를 구비하는 내통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칼날구동부의 칼날회전축은 상기 내통구동부의 내통회전축에 형성된 중공에 축회전되게 설치되어, 상기 칼날회전축과 내통회전축이 서로 독립적으로 축회전하며, 상기 내통구동부는, 상기 내통회전축, 내통구동모터, 및 상기 내통회전축과 내통구동모터를 연결하는 내통구동연결부를 구비하며, 믹싱대상물의 분쇄 시와 탈수 시에 상기 내통이 서로 다른 회전속도를 갖도록, 상기 내통구동모터가 복수 개 마련된다.
구체적으로, 한 개의 상기 내통구동모터는, 상기 믹싱대상물의 분쇄 시 상기 내통에 회전구동력을 공급하는 제1 모터이고, 다른 한 개의 상기 내통구동모터는, 상기 믹싱대상물의 탈수 시 상기 내통에 상기 제1 모터와 반대방향으로 회전구동력을 공급하는 제2 모터이며, 상기 내통구동연결부는, 상기 제1 모터 및 제2 모터 각각과 상기 내통회전축이 원웨이 베어링구조로 연결되는 구조를 취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상기 내통구동연결부는, 상기 제1 모터의 제1 모터축에 제1 구동기어가 설치되고, 상기 내통회전축에는 상기 제1 구동기어와 기어체결되거나 벨트 또는 체인으로 연결되는 제1 종동기어가 설치되고, 상기 제2 모터의 제2 모터축에 제2 구동기어가 설치되고, 상기 내통회전축에는 상기 제2 구동기어와 기어체결되거나 벨트 또는 체인으로 연결되는 제2 종동기어가 설치되며, 상기 내통회전축과 제1 종동기어 사이에 제1 원웨이 베어링이 장착되고, 상기 내통회전축과 제2 종동기어 사이에 제2 원웨이 베어링이 장착되는 구조를 취하며,
상기 제1 원웨이 베어링과 제2 원웨이 베어링은, 서로 반대의 회전방향으로만 구동력이 전달되는 구조로서, 상기 제1 모터만 작동 시 상기 제1 종동기어가 회전하더라도 상기 제2 종동기어가 비회전하고, 상기 제2 모터만 작동 시 상기 제2 종동기어가 회전하더라도 상기 제1 종동기어가 비회전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제1 모터, 제2 모터 및 내통구동연결부는, 상기 믹싱대상물의 탈수 시 상기 내통의 회전속도가, 상기 믹싱대상물의 분쇄 시 상기 내통의 회전속도보다 5배 이상 빠르도록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모터, 제2 모터 및 내통구동연결부는, 상기 내통이 상기 믹싱대상물을 분쇄 시 50rpm 내지 350rpm, 상기 내통이 상기 믹싱대상물을 탈수 시 1500rpm 내지 3500rpm이 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외통은 상기 칼날구동부 및 내통구동부가 장착된 통받침케이스에 탈착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외통은, 상기 칼날구동부의 칼날회전축과 상기 분쇄칼날을 연동시키도록 연결하는 제1 중간 회전축; 및 상기 내통구동부의 내통회전축과 상기 내통을 연동시키도록 연결하는 제2 중간 회전축;을 구비하며, 상기 제2 중간 회전축이 제1 중간회전축을 감싸면서, 서로 독립적으로 축회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탈수가능한 믹서기는, 믹싱대상물의 분쇄 시와 탈수 시에 상기 내통이 서로 다른 회전속도를 갖도록, 내통구동연결부의 기어체결구조가 가변되는 구조를 취하거나, 내통구동모터가 복수 개 구성됨에 따라, 믹싱대상물의 분쇄 시에는 내통의 역회전 회전속도를 낮추면서 토크를 올려서, 분쇄칼날의 정회전에 의해 정회전하는 믹싱대상물 중에서 내통의 내부 측면에 가까운 믹싱대상물을 원활하게 역회전 시킬 수 있으며, 분쇄된 믹싱대상물의 탈수 시에는 믹싱대상물이 분쇄될 때보다 내통의 회전속도를 최대한 올려서 탈수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탈수가능한 믹서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탈수가능한 믹서기의 내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 및 도 4는 도 2의 탈수가능한 믹서기에서 내통구동부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탈수가능한 믹서기의 내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 및 도 7은 도 5의 탈수가능한 믹서기에서 내통구동부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도면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탈수가능한 믹서기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탈수가능한 믹서기의 내부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3 및 도 4는 도 2의 탈수가능한 믹서기에서 내통구동부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탈수가능한 믹서기는, 믹서본체와 내통유닛을 포함한다.
여기에서, 상기 믹서본체(100)는 외통(110), 분쇄칼날(120), 및 칼날구동부(130)를 구비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외통(110)은 내부에 믹싱대상물이 수용될 수 있도록 하면은 막히고 상부는 개방된 상방개구된 구조이며, 믹서커버(140)에 의해 개폐되도록 구성된다.
아울러, 상기 외통(110)은 후술되는 통받침케이스(300)에 안착되기 전에 외통커버(110a)가 상부에 덮혀서 폐쇄될 수 있으며, 이러한 외통커버(110a)에는 후술되는 진공유닛(400)에 의한 외통(110)의 진공형성을 위해 흡입홀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후술되는 믹싱대상물의 탈수과정에 의해 내통(210)의 탈수홀(210a)을 통해 믹싱대상물의 즙이 나올 때, 외통(110)을 통받침케이스(300)에서 분리하지 않고도 즙을 빼낼 수 있도록, 외통(100)의 측부 하단부에 하방 경사진 배출부(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믹싱대상물은 믹서기의 작동에 의해 분쇄되어 즙을 내기 위한 음식물을 지칭한다.
또한, 상기 분쇄칼날(120)은 내통(210) 내에 배치되며, 회전 시 내통(210) 내의 믹싱대상물을 분쇄하여 액체화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아울러, 상기 칼날구동부(130)는 분쇄칼날(120)을 회전시키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외통(110)은 통받침케이스(300)에 의해 받쳐지는데, 이러한 통받침케이스(300)는 전체적으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ㄴ자 형상을 취한다.
상기 통받침케이스(300)는 외통(110)의 하측에 위치된 하부케이싱부(310)와, 상기 하부케이싱부(310)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되어 믹서커버(140)에 연결되는 측부케이싱부(320)로 이루어진다.
구체적으로, 상기 통받침케이스(300)는 횡방향으로 배치된 하부케이싱부(310)의 상면에 외통(110)이 안착되고, 하부케이싱부(310)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되어 종방향으로 배치된 측부케이싱부(320)의 상단에는 믹서커버(140)가 상하회동되게 힌지결합된다.
이러한 통받침케이스(300)는 내부에 칼날구동부(130)와 후술되는 내통구동부(220)가 설치되는데, 내통(210)이 내장된 외통(110)이 안착 시, 내통(210) 내에 위치된 분쇄칼날(120)과 통받침케이스(300)에 설치된 칼날구동부(130)가 구동력이 전달되도록 서로 연결되고, 외통(110) 내에 설치된 내통(210)과 통받침케이스(300)에 설치된 내통구동부(220)가 구동력이 전달되도록 서로 연결된다.
더욱 구체적으로, 상기 외통(110)은 통받침케이스(300)에 탈착 가능하게 연결된다. 예를 들어 외통(110)의 하부돌출부(110b)의 외주면에는 통받침케이스(300)에 끼워지는 나선형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하부돌출부(110b)가 안착되는 통받침케이스(300)의 안착홈(300a) 내주면에는 나선형 홈이 형성되어, 홈에 돌기가 끼워짐으로써, 통받침케이스(300)에 외통이 장착되고, 반대로 풀어냄으로써 탈거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외통(110)은 외부에서 전달되는 구동력을 내부에 배치된 분쇄칼날(130)과 내통(120) 각각으로 전달하는 복수의 중간 회전축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외통(110)은 제1 중간 회전축(121)과, 상기 제1 중간 회전축(121)을 감싸는 제2 중간 회전축(211)을 포함한다.
여기에서, 상기 제1 중간 회전축(121)은 통받침케이스(300) 내에 배치된 칼날구동모터(132)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서, 분쇄칼날(130)에 동력을 전달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지는데, 이를 위해 일례로서 하부가 칼날구동부(130)의 칼날회전축(131)과 키체결되고, 상부가 분쇄칼날(130)과 키체결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 중간 회전축(211)은 통받침케이스(300) 내에 배치된 내통구동모터(222)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서, 내통(120)에 동력을 전달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지는데, 일례로서 하부가 내통구동부(220)의 내통회전축(221)과 키체결되고, 상부가 내통(120)과 키체결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중간 회전축(121)과 제2 중간 회전축(211)은 서로 독립적으로 회전될 수 있도록, 사이에 베어링이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내통유닛(200)은 내통(210)과 내통구동부(220)를 구비한다.
여기에서, 상기 내통(210)은 외통(110) 내에 설치되며, 통받침케이스(300)에 안착되기 전에 내통커버(210a)가 상부에 덮혀서 폐쇄될 수 있으며, 이러한 내통커버(210a)에는 후술되는 진공유닛(400)에 의한 내통(210)의 진공형성을 위해 흡입홀이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이러한 내통(210)은 분쇄칼날(120)에 의해 분쇄되면서 회전유동하는 믹싱대상물이 걸림되도록 내부 측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돌출부(213)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내통(210) 내에 믹싱대상물이 수용된 상태에서 분쇄칼날(120)이 회전 시, 믹싱대상물이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는 내통(210)의 내부 측면에 형성된 돌출부(213)에 부딪히게 되면, 이에 따라 발생하는 믹싱대상물의 난류가 커짐으로써 믹싱대상물의 분쇄효과를 증대시키게 된다.
이에 더하여, 믹싱대상물이 분쇄칼날(120)의 회전에 의해 원심력으로 방사상으로 밀려나면서 상측으로 유동하는데, 믹싱대상물의 하방 나선유동을 유도하는 스크류돌출부 형상의 돌출부(213)가 내통(210)의 내부 측면에 구성됨으로써, 믹싱대상물을 내통(210) 내부의 하측에 배치된 분쇄칼날(120) 측으로 유동시킴에 따라, 믹서기의 분쇄효과를 더욱더 증대시킬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내통(210)의 믹싱대상물에 대한 불규칙한 유동을 위해, 컨트롤러(미도시)가 내통(210)을 분쇄칼날(120)과 반대방향으로 역회전시키거나, 역회전 및 정지시키는 반복작동을 하도록 후술되는 내통구동부(220)의 내통구동모터(222)를 제어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내통(210)은 분쇄칼날(120)에 의해 분쇄된 믹싱대상물로부터 즙만을 빼낼 수 있도록, 탈수과정을 수행하기 위한 탈수홀(210b)이 측부에 복수 개 형성된다.
이때, 상기 탈수홀(210b)은 도면 상으로는 크게 도시되었지만, 실제적으로는 믹싱대상물의 즙만이 빠져나올 수 있는 매우 작은 구멍으로서, 내통(210)의 측부에 메쉬구조로서 복수 개가 형성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탈수홀(210b)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통(210)의 측부에 직접 형성될 수 있고, 비록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별도의 부재, 예를 들어 메쉬부재가 내통(210) 측부의 일부분이 되도록 장착된 구조를 취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탈수홀(210b)은 내통(210)의 하부나 측부에 형성될 수 있는데, 이때 하부에는 형성되지 않고 측부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더 나아가 측부에서도 일정 높이 이상부터 형성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한데, 이는 믹싱대상물의 믹싱 시 일정 정도의 액체(일례로서 별도의 물이나 믹싱 시 발생하는 즙)가 있는 경우 믹싱효과를 높여주기 때문이다.
물론, 상기 탈수홀(210b)이 내통(210)의 측부에서 일정 높이 이상부터 형성되더라도, 믹싱대상물을 탈수 할 때에는 분쇄할 때보다 내통(210)이 훨씬 더 빠른 속도로 회전하기 때문에, 즙이 내통(210)의 내부 측면을 타고 상측으로 보다 쉽게 이동함에 따라, 충분히 탈수홀(210b)을 통해 내통(210)의 외측으로 즙이 빠져나올 수 있다.
또한, 상기 내통구동부(220)는 내통(210)을 회전시키도록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내통구동부(220)는 내통회전축(221), 내통구동모터(222), 및 내통구동연결부(223)을 구비한다.
그리고 상술된 칼날구동부(130)는 칼날회전축(131), 칼날구동모터(132), 및 칼날구동연결부(133)을 구비한다.
여기에서, 상기 내통회전축(221)은 외통(110)이 통받침케이스(300)에 안착 시 외통(110)에 내장된 내통(210)의 하부에 회전구동력이 전달되도록 연결되고, 상기 칼날회전축(131)은 외통(110)이 통받침케이스(300)에 안착 시 내통(210)에 내장된 분쇄칼날(120)의 하부에 회전구동력이 전달되도록 연결된다.
이때, 상기 칼날회전축(131)은 내통회전축(221)에 형성된 중공에 축회전되게 설치되어, 칼날회전축(131)과 내통회전축(221)이 서로 독립적으로 축회전하는 구조를 이룬다.
즉, 상기 내통회전축(221)의 중공에는 칼날회전축(131)이 관통되면서 설치될 수 있도록 베어링이 구비되어, 칼날회전축(131)이 내통회전축(221)의 내부에서 독립적으로 축회전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내통구동부(220)는 믹싱대상물의 분쇄 시와 탈수 시에 내통(210)이 서로 다른 회전속도를 갖도록, 내통구동연결부(223)의 기어체결구조가 가변되는 구조를 취한다.
즉, 믹서기로 믹싱대상물을 분쇄한 후 탈수 하는 경우에는, 분쇄된 믹싱대상물로부터 즙을 빼내야 함(탈수)에 따라 분쇄할 때보다 내통(210)을 더 빨리 돌리는데, 이를 위해 상기 내통구동연결부(223)는 믹싱대상물의 분쇄 시에는 탈수 시보다 내통(210)이 더 느린 회전속도를 갖는 기어체결구조를 이루고, 믹싱대상물의 탈수 시에는 분쇄 시보다 내통(210)이 더 빠른 회전속도를 갖는 기어체결구조를 이룬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믹싱대상물의 분쇄 시에는 내통(210)의 역회전 회전속도를 낮추면서 토크를 올려서, 분쇄칼날의 정회전에 의해 정회전하는 믹싱대상물 중에서 내통(210)의 내부 측면에 가까운 믹싱대상물을 원활하게 역회전 시킬 수 있으며, 분쇄된 믹싱대상물의 탈수 시에는 믹싱대상물이 분쇄될 때보다 내통(210)의 회전속도를 최대한 올려서 탈수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내통구동연결부(223)는, 내통구동모터(222)와 연결되는 내통구동축(223a)에 구동소기어(223b)와 구동대기어(223c)가 설치되고, 내통회전축(221) 또는 상기 내통회전축(221)과 연동회전하는 중간회전축(223d)에 종동대기어(223e)와 종동소기어(223f)가 설치된다.
여기에서, 상기 내통구동축(223a)과 내통회전축(221)은 서로 나란하게 배치되며, 그리고 일례로서 내통구동축(223a)으로부터 내통회전축(221)으로 구동력을 전달 시 중간에 추가적인 구동력전달 매개체로서, 중간회전축(223d)이 내통구동축(223a) 및 내통회전축(221)과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종동대기어(223e)와 종동소기어(223f)는 내통회전축(221)에 직접적으로 설치될 수 있고,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간회전축(223d)에 설치될 수 있는데, 본 명세서에서는 중간회전축(223d)에 설치된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후술되는 종동대기어(223e)와 종동소기어(223f)의 배열은, 종동대기어(223e)와 종동소기어(223f)가 내통회전축(221)에 직접적으로 설치된 경우에는 내통회전축(221)에 적용됨은 물론이다
상기 구동소기어(223b)와 구동대기어(223c)는 내통구동축(223a)에 축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고, 상기 종동대기어(223e)와 종동소기어(223f)는 중간회전축(223d)에 축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어 배치된다.
이때, 상기 내통구동축(223a)의 구동소기어(223b)가 중간회전축(223d)의 종동대기어(223e)와 대응되고 내통구동축(223a)의 구동대기어(223c)가 중간회전축(223d)의 종동소기어(223f)와 대응되도록, 구동소기어(223b)와 구동대기어(223c)가 내통구동축(223a)에 순서대로 배치되고 종동대기어(223e)와 종동소기어(223f)가 중간회전축(223d)에 순서대로 배치된다.
일례로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소기어(223b)와 구동대기어(223c)가 내통구동축(223a)에서 상측방향으로 순서대로 배치되며, 종동대기어(223e)와 종동소기어(223f)가 중간회전축(223d)에서 상측방향으로 순서대로 배치된다.
참고로, 각 구성요소의 명칭에도 의미가 내포되어 있듯이, 상기 구동소기어(223b)는 구동대기어(223c)보다 상대적으로 직경이 작고, 상기 종동대기어(223e)는 종동소기어(223f)보다 상대적으로 직경이 크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내통구동연결부(223)는, 내통구동축(223a)이 축방향으로 왕복이동하면서, 구동소기어(223b)와 종동대기어(223e)가 기어체결 시 구동대기어(223c)와 종동소기어(223f)가 비기어체결되고, 구동대기어(223c)와 종동소기어(223f)가 기어체결 시 구동소기어(223b)와 종동대기어(223e)가 비기어체결된 구조를 취할 수 있다.
즉, 믹싱대상물이 분쇄 시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통구동축(223a)이 하측으로 축방향 이동하여, 구동대기어(223c)와 종동소기어(223f)가 기어체결됨으로써, 내통(210)이 감속되지만 큰 토크를 가지고 회전함에 따라, 분쇄칼날과 반대방향으로 원활하게 회전할 수 있다.
또한, 믹싱대상물이 탈수 시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통구동축(223a)이 하측으로 축방향 이동하여, 구동대기어(223c)와 종동소기어(223f)가 기어체결됨으로써, 믹싱대상물을 분쇄할 때보다 내통(210)이 상대적으로 빠른 속도로 회전함에 따라, 분쇄된 믹싱대상물로부터 즙을 내는 탈수작용이 효과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내통구동연결부(223)는 비록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내통구동축(223a)이 축방향으로 왕복이동하지 않고, 중간회전축(223d)이 축방향으로 왕복이동하면서, 구동소기어(223b)와 종동대기어(223e)가 기어체결 시 구동대기어(223c)와 종동소기어(223f)가 비기어체결되고, 구동대기어(223c)와 종동소기어(223f)가 기어체결 시 구동소기어(223b)와 종동대기어(223e)가 비기어체결된 구조를 취할 수도 있다.
그리고, 비록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종동대기어(223e)와 종동소기어(223f)가 내통회전축(221)에 직접적으로 설치된 경우에는, 내통회전축(221)이 축이동함은 물론이다.
한편, 상기 내통구동연결부(223)는 내통구동축(223a)을 축방향 이동시키는 축이동부재(223g)를 구비할 수 있는데, 이때 축이동부재(223g)는 솔레노이드 실린더 등 종래의 어떠한 구동부재도 활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여기에서, 상기 내통구동축(223a)은 일단부가 내통구동모터(222)의 모터축(222a)에 축회전 연동되게 키체결되면서 축방향 이동가능하게 슬라이드체결되며, 타단부가 축이동부재(223g)에 축회전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즉, 상기 내통구동축(223a)은 일단부가 내통구동모터(222)의 모터축(222a)에 축회전 연동되게 키체결됨으로써, 내통구동모터(222)가 작동하여 모터축(222a)이 축회전 시, 연동하여 축회전함에 따라 내통구동모터(222)로부터 회전구동력을 전달받게 된다.
아울러, 상기 내통구동축(223a)은 일단부가 내통구동모터(222)의 모터축(222a)에 축방향 이동가능하게 슬라이드체결됨으로써, 축이동부재(223g)에 의해 축방향 이동 시에도, 모터축(222a)에 대한 키체결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일례로서, 상기 모터축(222a)은 중공(222b)의 단면이 각형이고, 내통구동축(223a)은 일단부의 단면이 모터축(222a)의 중공(222b) 단면과 형합됨으로써, 내통구동축(223a)은 일단부가 모터축(222a)에 축회전 연동되게 키체결되면서 축방향 이동가능하게 슬라이드체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내통구동축(223a)은 타단부가 축이동부재(223g)에 축회전가능하게 연결됨으로써, 축이동부재(223g)에 의해 축방향으로 이동 시에도, 축이동부재(223g)에 연결된 상태로 축회전할 수 있다.
일례로서, 상기 내통구동축(223a)은 타단부가 축이동부재(223g)에 축회전베어링(223h)으로 연결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내통구동연결부(223)는 믹싱대상물의 탈수 시 내통(210)의 회전속도가, 믹싱대상물의 분쇄 시 내통(210)의 회전속도보다 5배 이상 빠르도록 기어구조가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인 일례로서, 상기 내통구동연결부(223)는 내통(210)이 믹싱대상물을 분쇄 시 50rpm 내지 350rpm, 내통(210)이 믹싱대상물을 탈수 시 1500rpm 내지 3500rpm이 되도록 기어구조가 구성된다.
이러한 내통구동연결부(223)의 구성에 의하여, 본 발명은 믹싱대상물의 분쇄 시에는 내통(210)의 회전속도를 낮춰서 토크를 최대한 올릴 수 있고, 믹싱대상물의 탈수 시에는 내통(210)의 회전속도를 최대한 올려서 탈수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탈수가능한 믹서기의 내부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6 및 도 7은 도 5의 탈수가능한 믹서기에서 내통구동부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탈수 가능한 믹서기는, 믹서본체(100)와 내통유닛(200)을 포함하는데, 믹서본체(100)의 외통(110), 분쇄칼날(120), 및 칼날구동부(130)와 내통유닛(200)의 내통(210)은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탈수 가능한 믹서기와 동일함에 따라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즉, 동일한 도면부호를 가진 구성요소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아울러, 상기 내통유닛(200)은 내통(210)과 함께 내통구동부(220)를 구비하는데, 이때 내통구동부(220)의 내통회전축(221)에 형성된 중공(222b)에 칼날구동부(130)의 칼날회전축(131)이 축회전되게 설치되어, 칼날회전축(131)과 내통회전축(221)이 서로 독립적으로 축회전하는 구조도 동일하다.
한편, 상기 내통구동부(220)는 내통회전축(221), 내통구동모터(228), 및 상기 내통회전축(221)과 내통구동모터(228)를 연결하는 내통구동연결부(229)를 구비한다.
여기에서, 상기 내통구동모터(228)는 믹싱대상물의 분쇄 시와 탈수 시에 내통(210)이 서로 다른 회전속도를 갖도록, 복수 개 마련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믹싱대상물의 분쇄 시에는 하나의 내통구동모터(228)를 사용하여 내통(210)의 회전속도를 낮추어 토크를 올림으로써, 분쇄칼날의 정회전에 의해 정회전하는 믹싱대상물 중에서 내통(210)의 내부 측면에 가까운 믹싱대상물을 원활하게 역회전 시킬 수 있으며, 믹싱대상물의 탈수 시에는 다른 하나의 내통구동모터(228)를 사용하여 믹싱대상물이 분쇄될 때보다 내통(210)의 회전속도를 최대한 올림으로써, 탈수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한 개의 내통구동모터(228)는 믹싱대상물의 분쇄 시 내통(210)에 회전구동력을 공급하는 제1 모터(M1)이고, 다른 한 개의 내통구동모터(228)는 믹싱대상물의 탈수 시 내통(210)에 상기 제1 모터(M1)와 반대방향으로 회전구동력을 공급하는 제2 모터(M2)이다.
이때, 상기 내통구동연결부(229)는 제1 모터(M1) 및 제2 모터(M2) 각각과 내통회전축(221)이 원웨이 베어링구조로 연결되는 구조를 이룬다.
즉, 상기 제1 모터(M1)와 내통회전축(221)은 하나의 원웨이 베어링구조로 연결되고, 상기 제2 모터(M2)와 내통회전축(221)은 다른 하나의 원웨이 베어링구조로 연결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상기 내통구동연결부(229)는 아래와 같은 구조를 취한다.
상기 제1 모터(M1)의 제1 모터축(M1a)에 제1 구동기어(229a)가 설치되고, 내통회전축(221)에는 제1 구동기어(229a)와 기어체결되거나 제1 벨트(229b) 또는 제1 체인으로 연결되는 제1 종동기어(229c)가 설치된다.
즉, 상기 내통회전축(221)은 제1 구동기어(229a)와 구동연결되는 제1 종동기어(229c)가 설치되는데, 이러한 제1 종동기어(229c)는 제1 구동기어(229a)와 직접적으로 기어체결될 수 있고, 또는 제1 벨트(229b)나 제1 체인과 같은 구동연결부재로 연결될 수 있다.
나아가, 비록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제1 모터축(M1a)과 내통회전축(221)의 구동연결구조 내에는 별도의 중간연결축이 더 설치될 수 있으며, 이러한 중간연결축에 장착되면서 제1 구동기어(229a) 및 제1 종동기어(229c)와 구동연결된 중간연결기어를 통하여 내통회전축(221)의 회전속도 및 토크를 조절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 모터(M2)의 제2 모터축(M2a)에 제2 구동기어(229e)가 설치되고, 내통회전축(221)에는 제2 구동기어(229e)와 기어체결되거나 제2 벨트(229f) 또는 제2 체인으로 연결되는 제2 종동기어(229g)가 설치된다.
즉, 상기 내통회전축(221)은 제2 구동기어(229e)와 구동연결되는 제2 종동기어(229g)가 설치되는데, 이러한 제2 종동기어(229g)는 제2 구동기어(229e)와 직접적으로 기어체결될 수 있고, 또는 제2 벨트(229f)나 제2 체인과 같은 구동연결부재로 연결될 수 있다.
나아가, 비록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제2 모터축(M2a)과 내통회전축(221)의 구동연결구조 내에는 별도의 구동전달 매개체로서 중간회전축이 더 설치될 수 있으며, 이러한 중간회전축에 설치되고 제2 구동기어(229e) 및 제2 종동기어(229g)와 구동연결된 중간연결기어를 통하여 내통회전축(221)의 회전속도 및 토크가 조절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내통회전축(221)과 제1 종동기어(229c) 사이에 제1 원웨이 베어링(229d)이 장착된다.
즉, 상기 내통회전축(221)이 제1 종동기어(229c)를 관통하는데, 제1 원웨이 베어링(229d)은 내통회전축(221)과 제1 종동기어(229c) 사이에서 내륜이 내통회전축(221)의 둘레에 고정체결되고, 외륜이 제1 종동기어(229c)의 내부에 고정체결된다.
이러한 제1 원웨이 베어링(229d)은, 제1 종동기어(229c)로부터 내통회전축(221)으로 하나의 축회전 방향으로만 구동력이 전달되고, 반대방향으로는 구동력이 전달되지 않고 단순히 제1 종동기어(229c)와 내통회전축(221)을 축회전가능하게 체결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즉, 싱기 제1 원웨이 베어링(229d)은 제1 종동기어(229c)가 일방향으로 축회전 시 내통회전축(221)도 연동하여 일방향으로 축회전하도록 제1 종동기어(229c)로부터 내통회전축(221)으로 구동력이 전달되게 하고, 내통회전축(221)이 반대방향으로 회전 시 제1 종동기어(229c)가 연동하여 반대방향으로 축회전하지 않도록 내통회전축(221)으로부터 제1 종동기어(229c)로 구동력이 전달되지 않게 한다.
아울러, 상기 내통회전축(221)과 제2 종동기어(229g) 사이에 제2 원웨이 베어링(229h)이 장착된다.
즉, 상기 내통회전축(221)이 제2 종동기어(229g)를 관통하는데, 제2 원웨이 베어링(229h)은 내통회전축(221)과 제2 종동기어(229g) 사이에서 내륜이 내통회전축(221)의 둘레에 고정체결되고, 외륜이 제2 종동기어(229g)의 내부에 고정체결된다.
이러한 제2 원웨이 베어링(229h)은, 제2 종동기어(229g)로부터 내통회전축(221)으로 하나의 축회전 방향으로만 구동력이 전달되고, 반대방향으로는 구동력이 전달되지 않고 단순히 제2 종동기어(229g)와 내통회전축(221)을 축회전가능하게 체결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즉, 싱기 제2 원웨이 베어링(229h)은 제2 종동기어(229g)가 타방향으로 축회전 시 내통회전축(221)도 연동하여 타방향으로 축회전하도록 제2 종동기어(229g)로부터 내통회전축(221)으로 구동력이 전달되게 하고, 내통회전축(221)이 반대방향으로 회전 시 제2 종동기어(229g)가 연동하여 반대방향으로 축회전하지 않도록 내통회전축(221)으로부터 제2 종동기어(229g)로 구동력이 전달되지 않게 한다.
여기에서, 상기 제1 원웨이 베어링(229d)과 제2 원웨이 베어링(229h)은, 서로 반대의 회전방향으로만 구동력이 전달되는 구조이다.
이에 따라, 상기 제1 모터(M1)만 작동 시 제1 구동기어(229a)를 통해 제1 종동기어(229c)가 회전하더라도 제2 종동기어(229g)는 비회전하게 되어 종국적으로 제2 모터(M2)에 영향을 미치지 않고, 상기 제2 모터(M2)만 작동 시 제2 구동기어(229e)를 통해 제2 종동기어(229g)가 회전하더라도 제1 종동기어(229c)는 비회전하게 되어 종국적으로 제1 모터(M1)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한편, 상기 제1 모터(M1), 제2 모터(M2) 및 내통구동연결부(229)는, 믹싱대상물의 탈수 시 내통(210)의 회전속도가, 믹싱대상물의 분쇄 시 내통(210)의 회전속도보다 5배 이상 빠르도록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인 일례로서, 상기 제1 모터(M1), 제2 모터(M2) 및 내통구동연결부(229)는, 내통(210)이 믹싱대상물을 분쇄 시 50rpm 내지 350rpm, 내통(210)이 믹싱대상물을 탈수 시 1500rpm 내지 3500rpm이 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제1 모터(M1), 제2 모터(M2) 및 내통구동연결부(229)의 구성에 의하여, 본 발명은 믹싱대상물의 분쇄 시에는 내통(210)의 회전속도를 낮춰서 토크를 최대한 올릴 수 있고, 믹싱대상물의 탈수 시에는 내통(210)의 회전속도를 최대한 올려서 탈수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믹서기는 도 2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통(210) 내에 진공을 형성시키도록 구성되는 진공유닛(4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진공유닛(400)은 흡입관과 진공구동부(410)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흡입관은 외부커버의 내부에 형성되며, 외부커버가 외통(110)을 덮어서 폐쇄 시 외통(110)과 연통되면서 이와 동시에 외통(110) 내에 배치된 내통(210)과 연통된 구조를 지닐 수 있다.
또한, 상기 진공구동부(410)는 흡입관과 연결되며, 진공모터와 진공펌프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믹서기는 이와 같이 구성되는 진공유닛(400)에 의해 분쇄작업과 탈수작업을 포함하는 믹싱작업이 진공하에서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과일이나 채소 등을 포함하는 믹싱대상물이 산화되지 않는 상태에서 믹싱작업됨에 따라, 신선하고 영양분이 파괴되지 않는 즙을 얻을 수 있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탈수가능한 믹서기는, 믹싱대상물의 분쇄 시와 탈수 시에 상기 내통(210)이 서로 다른 회전속도를 갖도록, 내통구동연결부(229)의 기어체결구조가 가변되는 구조를 취하거나, 내통구동모터(228)가 복수 개 구성됨에 따라, 믹싱대상물의 분쇄 시에는 내통(210)의 역회전 회전속도를 낮추면서 토크를 올려서, 분쇄칼날의 정회전에 의해 정회전하는 믹싱대상물 중에서 내통(210)의 내부 측면에 가까운 믹싱대상물을 원활하게 역회전 시킬 수 있으며, 분쇄된 믹싱대상물의 탈수 시에는 믹싱대상물이 분쇄될 때보다 내통(210)의 회전속도를 최대한 올려서 탈수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 가능함은 물론이다.
100 : 믹서본체 110 : 외통
110a : 외통커버 120 : 분쇄칼날
130 : 칼날구동부 131 : 칼날회전축
132 : 칼날구동모터 140 : 믹서커버
200 : 내통유닛 210 : 내통
210a : 내통커버 210b : 탈수홀
213 : 돌출부 220 : 내통구동부
221 : 내통회전축 300 : 통받침케이스
400 : 진공유닛 410 : 진공구동부
[본 발명의 일 실시예]
222 : 내통구동모터 222a : 모터축
222b : (모터축의)중공 223 : 내통구동연결부
223a : 내통구동축 223b : 구동소기어
223c : 구동대기어 223d : 중간회전축
223e : 종동대기어 223f : 종동소기어
223g : 축이동부재 223h : 축회전베어링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
228 : 내통구동모터 M1 : 제1 모터
M1a : 제1 모터축 M2 : 제2 모터
M2a : 제2 모터축 229 : 내통구동연결부
229a : 제1 구동기어 229b : 제1 벨트
229c : 제1 종동기어 229d : 제1 원웨이 베어링
229e : 제2 구동기어 229f : 제2 벨트
229g : 제2 종동기어 229h : 제2 원웨이 베어링

Claims (6)

  1. 믹서커버에 의해 개폐되는 외통, 분쇄칼날, 및 상기 분쇄칼날을 회전시키는 칼날구동부를 구비하는 믹서본체; 및 상기 외통 내에 배치되고 내부에는 상기 분쇄칼날이 위치되며 내부 측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돌출부가 형성되고 측부에 탈수홀을 가진 내통과, 상기 내통을 회전시키는 내통구동부를 구비하는 내통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칼날구동부의 칼날회전축은 상기 내통구동부의 내통회전축에 형성된 중공에 축회전되게 설치되어, 상기 칼날회전축과 내통회전축이 서로 독립적으로 축회전하며, 상기 내통구동부는, 상기 내통회전축, 내통구동모터, 및 상기 내통회전축과 내통구동모터를 연결하는 내통구동연결부를 구비하며, 믹싱대상물의 분쇄 시와 탈수 시에 상기 내통이 서로 다른 회전속도를 갖도록, 상기 내통구동모터가 복수 개 마련되며,
    한 개의 상기 내통구동모터는, 상기 믹싱대상물의 분쇄 시 상기 내통에 회전구동력을 공급하는 제1 모터이고, 다른 한 개의 상기 내통구동모터는, 상기 믹싱대상물의 탈수 시 상기 내통에 상기 제1 모터와 반대방향으로 회전구동력을 공급하는 제2 모터이며, 상기 내통구동연결부는, 상기 제1 모터 및 제2 모터 각각과 상기 내통회전축이 원웨이 베어링구조로 연결되는 구조를 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수가능한 믹서기.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통구동연결부는,
    상기 제1 모터의 제1 모터축에 제1 구동기어가 설치되고, 상기 내통회전축에는 상기 제1 구동기어와 기어체결되거나 벨트 또는 체인으로 연결되는 제1 종동기어가 설치되고,
    상기 제2 모터의 제2 모터축에 제2 구동기어가 설치되고, 상기 내통회전축에는 상기 제2 구동기어와 기어체결되거나 벨트 또는 체인으로 연결되는 제2 종동기어가 설치되며,
    상기 내통회전축과 제1 종동기어 사이에 제1 원웨이 베어링이 장착되고, 상기 내통회전축과 제2 종동기어 사이에 제2 원웨이 베어링이 장착되는 구조를 취하며,
    상기 제1 원웨이 베어링과 제2 원웨이 베어링은,
    서로 반대의 회전방향으로만 구동력이 전달되는 구조로서, 상기 제1 모터만 작동 시 상기 제1 종동기어가 회전하더라도 상기 제2 종동기어가 비회전하고, 상기 제2 모터만 작동 시 상기 제2 종동기어가 회전하더라도 상기 제1 종동기어가 비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수가능한 믹서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모터, 제2 모터 및 내통구동연결부는,
    상기 믹싱대상물의 탈수 시 상기 내통의 회전속도가, 상기 믹싱대상물의 분쇄 시 상기 내통의 회전속도보다 5배 이상 빠르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수가능한 믹서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모터, 제2 모터 및 내통구동연결부는,
    상기 내통이 상기 믹싱대상물을 분쇄 시 50rpm 내지 350rpm, 상기 내통이 상기 믹싱대상물을 탈수 시 1500rpm 내지 3500rpm이 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수가능한 믹서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통은 상기 칼날구동부 및 내통구동부가 장착된 통받침케이스에 탈착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외통은,
    상기 칼날구동부의 칼날회전축과 상기 분쇄칼날을 연동시키도록 연결하는 제1 중간 회전축; 및
    상기 내통구동부의 내통회전축과 상기 내통을 연동시키도록 연결하는 제2 중간 회전축;을 구비하며,
    상기 제2 중간 회전축이 제1 중간회전축을 감싸면서, 서로 독립적으로 축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수가능한 믹서기.
KR1020190035484A 2018-09-12 2019-03-28 탈수가능한 믹서기 KR1020593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5484A KR102059393B1 (ko) 2019-03-28 2019-03-28 탈수가능한 믹서기
EP19859107.5A EP3851001B1 (en) 2018-09-12 2019-09-11 Mixer
JP2021513979A JP7309861B2 (ja) 2018-09-12 2019-09-11 ミキサー機
CN201980059803.5A CN112839553B (zh) 2018-09-12 2019-09-11 搅拌机
JP2021513973A JP7309860B2 (ja) 2018-09-12 2019-09-11 ミキサー機
US17/275,308 US20210338013A1 (en) 2018-09-12 2019-09-11 Blender
PCT/KR2019/011803 WO2020055148A1 (ko) 2018-09-12 2019-09-11 믹서기
AU2019337282A AU2019337282B2 (en) 2018-09-12 2019-09-11 Mixer
PCT/KR2019/011801 WO2020055146A1 (ko) 2018-09-12 2019-09-11 믹서기
EP22169503.4A EP4049565A1 (en) 2018-09-12 2019-09-11 Blender
CN201980059638.3A CN112714622B (zh) 2018-09-12 2019-09-11 搅拌机
US17/275,708 US20210345831A1 (en) 2018-09-12 2019-09-11 Blender
EP19860208.8A EP3851002A4 (en) 2018-09-12 2019-09-11 MIX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5484A KR102059393B1 (ko) 2019-03-28 2019-03-28 탈수가능한 믹서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59393B1 true KR102059393B1 (ko) 2019-12-26

Family

ID=691036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35484A KR102059393B1 (ko) 2018-09-12 2019-03-28 탈수가능한 믹서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5939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730549A (zh) * 2018-10-15 2019-05-10 浙江绍兴苏泊尔生活电器有限公司 一种多功能食品加工机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100793A (ja) * 2010-11-09 2012-05-31 Sanyo Electric Co Ltd 自動製パン器
JP7051114B2 (ja) * 2019-02-20 2022-04-11 株式会社ササクラ リチウム回収方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100793A (ja) * 2010-11-09 2012-05-31 Sanyo Electric Co Ltd 自動製パン器
JP7051114B2 (ja) * 2019-02-20 2022-04-11 株式会社ササクラ リチウム回収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730549A (zh) * 2018-10-15 2019-05-10 浙江绍兴苏泊尔生活电器有限公司 一种多功能食品加工机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72862B1 (ko) 믹서기
JP7309860B2 (ja) ミキサー機
JP7309861B2 (ja) ミキサー機
JP6718070B1 (ja) 飲食ゴミの油脂処理装置
KR102008731B1 (ko) 진공믹서기
CN210748653U (zh) 搅拌机
KR20150067014A (ko) 감속 장치 및 이를 포함한 주서기
KR20110138107A (ko) 유성기어조립체를 포함하는 주서기
KR102059393B1 (ko) 탈수가능한 믹서기
KR102195153B1 (ko) 진공믹서기
KR102081432B1 (ko) 탈수가능한 믹서기
KR102216074B1 (ko) 다기능 주서기
KR102059394B1 (ko) 진공믹서기
WO2021088764A1 (zh) 榨汁机和搅拌机兼容动力装置
KR102094169B1 (ko) 믹서기
KR102248567B1 (ko) 탈수가능한 믹서기
CN213405802U (zh) 一种食品快速破壁搅拌机
CN100443032C (zh) 厨房用具的联结装置
KR20140147917A (ko) 분리회전형 주서기
KR102569500B1 (ko) 믹서기 및 믹서기의 제어방법
KR20200089464A (ko) 믹서기
CN219803301U (zh) 一种果蔬打浆装置
KR20210012245A (ko) 믹서기
CN220557864U (zh) 一种食物萃取机
CN111802934A (zh) 一种新型磨浆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