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57296A - 러닝용 주행경로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서비스 제공 시스템 - Google Patents

러닝용 주행경로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서비스 제공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57296A
KR20210057296A KR1020190143891A KR20190143891A KR20210057296A KR 20210057296 A KR20210057296 A KR 20210057296A KR 1020190143891 A KR1020190143891 A KR 1020190143891A KR 20190143891 A KR20190143891 A KR 20190143891A KR 20210057296 A KR20210057296 A KR 202100572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route
driving
running
driving rou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438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57438B1 (ko
Inventor
송봉규
Original Assignee
송봉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봉규 filed Critical 송봉규
Priority to KR10201901438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57438B1/ko
Publication of KR202100572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572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574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574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34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 G01C21/36Input/output arrangements for on-board computers
    • G01C21/3667Display of a road map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34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 G01C21/36Input/output arrangements for on-board computers
    • G01C21/3626Details of the output of route guidance instructions
    • G01C21/3635Guidance using 3D or perspective road maps
    • G01C21/3638Guidance using 3D or perspective road maps including 3D objects and building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9/00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Determining position, velocity or attitude using signals transmitted by such systems
    • G01S19/38Determining a navigation solution using signals transmitted by a 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
    • G01S19/39Determining a navigation solution using signals transmitted by a 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 the 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 transmitting time-stamped messages, e.g.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GLONASS [Global Orbiting Navigation Satellite System] or GALILEO
    • G01S19/42Determining positio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29/00Maps; Plans; Charts; Diagrams, e.g. route diagram
    • G09B29/10Map spot or coordinate position indicators; Map reading ai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emote Sensing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Navig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러닝용 주행경로 서비스 제공 방법은, 사용자가 러닝을 실시할 설정 모드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설정 모드에 기초하여 주행경로를 탐색하고 지도 상에 상기 주행경로가 표시되는 단계, 상기 주행경로를 따라 러닝 진행 시 실시간으로 상기 지도 상에서의 사용자의 위치가 확인되는 단계, 및 상기 주행경로를 완주하면 기록에 따른 보상이 지급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러닝용 주행경로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서비스 제공 시스템{RUNNING ROUTE SERVICE PROVIDING METHOD AND SERVICE PROVIDING SYSTEM}
본 발명은 스포츠와 예술이 접목된 러닝용 주행경로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 사용자가 원하는 특정 컨텐츠가 표현된 주행경로를 선택하여 해당 코스를 완주함으로써 미술과 운동을 하나로 융합할 수 있는 러닝용 주행경로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동통신 기술 및 전자장치에 대한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상기 전자장치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현재 위치 및 목적지 등을 파악하고, 파악한 위치를 기반으로 하는 경로 안내 서비스에 관한 기술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경로 안내 서비스는 사용자가 목적지 정보를 입력하면 출발지로부터 목적지까지의 최적의 경로를 안내하게 된다. 이때, 상기 경로 안내 서비스는 목적지의 위치와 가장 가까운 길을 찾아서 안내하는 것이 일반적으로 상용화되어 있는 기술이다.
이와 같은 도보용 네비게이션 기술은 무선 통신망이 발전하면서, 사용자들의 스마트폰은 물론이고, 태블릿, 컴퓨터 등을 이용하여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자신이 필요로 하는 다양한 위치 관련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나아가, 사용자가 직접 자신이 원하는 컨텐츠를 설정하여 이를 지도 상에 반영하는 기술 역시 지속적으로 개발되고 있는 실정이다.
예를 들어, 등록특허공보 제1141648호(선행문헌 1)에는 사용자가 일정한 시간 간격을 두고 위치 좌표를 입력 시, 시간 흐름에 따라 지도 상에서 그림이 전개되도록 표시되는 그림 컨텐츠 기능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포맷 방법에 관한 내용이 개시되어 있다. 다른 예로, 등록특허공보 제0924817호(선행문헌 2)에는 GPS를 기반으로 사용자의 위치를 픽셀로 전환하고, 해당 픽셀을 지도 상에서 그림으로 표시하는 그림 지도의 위치 표시방법에 관한 내용이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종래 문헌에 따른 지도 상의 위치 표시방법은 시간 흐름에 따라 사용자의 위치 좌표를 수신하여 이를 지도 상에 표시하고, 표시가 완료된 지도 상의 로드를 다른 사용자에게 공유하는 내용에 대해서 개시하고 있다.
다만, 종래의 지도 상 위치 표시하는 기술은 단순히 사용자의 위치만을 판별하여 이를 지도에 표시하는 것에 불과하므로, 직접 사용자가 원하는 특정 컨텐츠를 담은 러닝용 주행경로 제작하지는 못하는 문제점이 존재하였다. 또한, 종래 기술들은 하나의 주행경로를 다수 개의 코스로 구분하여 여러 사람이 각 코스를 완주하는 협동에 관한 고려가 전혀 이루어지지 못하므로 사용자의 적극적인 지도 제작 참여를 유도하기가 어렵다는 근본적인 한계가 존재하였다.
선행문헌 1: 등록특허공보 제10-1141648호(2012.05.17. 공고) 선행문헌 2: 등록특허공보 제10-0924817호(2009.11.03. 공고)
본 발명의 목적은, 지도 상에서 사용자가 원하는 특정 컨텐츠를 표현한 주행경로를 선정하고 상기 선정된 주행경로를 따라 완주를 수행함으로써, 러닝 코스용 예술 작품을 창작할 수 있는 주행경로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러닝용 주행경로 서비스 제공 방법은, 사용자가 러닝을 실시할 설정 모드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설정 모드에 기초하여 주행경로를 탐색하고 지도 상에 상기 주행경로가 표시되는 단계, 상기 주행경로를 따라 러닝 진행 시 실시간으로 상기 지도 상에서의 사용자의 위치가 확인되는 단계, 및 상기 주행경로를 완주하면 기록에 따른 보상이 지급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설정 모드는 사용자가 상기 주행경로를 제작하는 경로생성 모드를 포함하고, 상기 경로생성 모드 진행 시 상기 주행경로가 표시되는 단계가 종료되면, 상기 주행경로의 완주 가능 여부를 가상으로 확인하는 단계가 추가로 진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경로생성 모드 진행 시 상기 지도 상에서의 사용자 위치가 확인되는 단계가 종료되면, 사용자가 상기 주행경로를 완주하여 상기 주행경로에 이상이 없는지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주행경로 관련 정보가 입력 및 저장되는 단계가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주행경로에 이상이 발생한 경우, 상기 주행경로의 변경 및 저장이 실시된 후 상기 주행경로의 완주 가능 여부를 가상으로 확인하는 단계가 재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설정 모드는 사용자가 서버에 저장된 주행경로 중 하나를 선택하여 러닝을 실시하는 주행 모드를 포함하고, 상기 주행 모드 진행 시 상기 주행경로가 표시되는 단계는, 서버에서 추출한 사용자의 정보를 기초로 상기 서버에서 상기 주행경로를 추천하는 단계, 및 추천된 주행경로 중 하나를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주행경로를 완주하면 기록에 따른 보상이 지급되는 단계가 종료되면, 상기 주행경로에 대한 피드백 과정이 진행되는 단계가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설정 모드는 타인과 함께 상기 주행경로를 완주하는 협동 모드를 포함하고, 상기 협동 모드 진행 시 상기 주행경로가 표시되는 단계가 종료되면, 상기 주행경로를 완주하기 위한 러너 선정 후 코스 분배를 실시하는 단계, 및 분배된 코스별로 러닝을 실시하는 단계가 진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분배된 코스별로 러닝을 실시하는 단계는, 실시간으로 현재 러너의 위치를 확인하고 상기 러너에게 응원 메시지를 전달하는 단계, 및 릴레이 러닝에 이상이 없는지를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릴레이 러닝에 이상이 있는 경우, 상기 러너를 교체하거나 상기 코스 분배를 재 실시하는 과정이 진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협동 모드 진행 시 상기 기록에 따른 보상이 지급되는 단계는, 상기 주행경로를 완주한 러너들에게 동등한 보상이 지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러닝용 주행경로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사용자의 현재 위치에 관한 정보를 감지하는 전자기기, 및 상기 전자기기에서 송출되는 신호를 수신하여 사용자의 현재 위치와 기 저장된 주행경로 간의 일치 여부를 파악하는 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전자기기는, 상기 서버에서 제공되는 정보를 기초로 사용자에게 상기 주행경로를 인도하는 경로 안내부 및 사용자가 상기 주행경로를 이탈하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알람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서버는, 상기 주행경로와 사용자의 현재 위치 간의 거리에 관한 정보를 산출하여 상기 전자기기에 송신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주행경로와 사용자의 현재 위치 간의 거리에 관한 기준이 되는 수치가 저장되는 메모리부 및 상기 주행경로와 사용자의 현재 위치 간의 거리가 상기 기준이 되는 수치를 초과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연산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알람부는, 타인의 음성 메시지를 송출하는 스피커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안되는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가 원하는 러닝용 주행경로가 특정 컨텐츠를 담은 경로로 제작되므로 달리기 운동을 통해서 상징적인 그림이 표현될 수 있다는 점에서, 예술과 스포츠의 접목이라는 새로운 문화를 창출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가 상징적인 그림이나 형상이 표현된 주행경로를 완주할 수 있다는 점에서, 마라톤과 같이 힘든 운동을 적극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동기 부여를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하나의 주행경로를 다수 개의 코스로 구분하여 여러 사람이 각 코스를 완주하는 협동 모드가 추가됨으로써, 다른 사람과의 사회적 교류 및 협동심을 크게 유도할 수 있고 자신이 담당한 코스에 대한 러닝 완주의 성취 의욕을 더욱 고취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주행경로를 완주하는 사용자는 타 유저의 음성 메시지를 확인할 수 있으므로 특히 사용자가 힘든 마라톤 코스를 완주하더라도 긍정적인 에너지를 얻을 수 있고 타인의 참여도 함께 유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지도 상에 사용자가 러닝을 수행할 주행경로가 표시된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서버와 전자기기가 통신하는 모습을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3은 사용자가 상기 주행경로와 관련된 다양한 설정 모드를 선택할 수 있는 스마트폰의 화면 예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는 상기 설정 모드 중 경로생성 모드 선택 시 상기 주행경로가 제작되는 과정을 설명하는 흐름도, 즉 코스 안내도의 제작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는 상기 설정 모드 중 주행 모드 선택 시 상기 주행경로를 완주하는 과정을 설명하는 흐름도, 즉 코스 안내도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은 상기 설정 모드 중 협동 모드 선택 시 상기 주행경로를 완주하는 과정을 설명하는 흐름도, 즉 코스 안내도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은 상기 설정 모드 중 보상 모드 선택 시 사용자가 보유한 캐시를 통해 자신이 원하는 물품을 구입하는 과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실시 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지도 상에 사용자가 러닝을 수행할 주행경로가 표시된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그리고, 도 2는 서버와 전자기기가 통신하는 모습을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특정 영역 내에서 자신이 원하는 코스를 따라 마라톤과 같은 러닝을 수행하고자 하는 경우, 지도(1) 상에서 상기 코스에 관한 정보가 저장된 주행경로(10)가 표시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현재 자신의 위치와 정해진 주행경로(10)를 비교하면서 상기 주행경로(10)의 완주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주행경로(10)는 특정 컨텐츠를 담은 경로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주행경로(10)는 지도(1) 상에 설정한 영역 내에서 유명한 맛집을 연결한 경로일 수도 있고, 문화유산이 보존된 지점을 연결한 경로일 수도 있다. 다른 예로, 상기 주행경로(10)는 숫자나 글자 또는 알파벳 등과 같은 특정 문자를 상징하는 경로일 수도 있고, 과일 형상이나 지자체 축제를 상징하는 유명한 사물에 관한 경로일 수도 있고, 회사 로고를 상징하는 형상 등과 같은 특정 형상에 관한 경로일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주행경로(10)가 특정 컨텐츠를 담은 경로로 제작되므로 달리기 운동을 통해서 상징적인 그림이 표현될 수 있다는 점에서, 예술과 스포츠의 접목이라는 새로운 문화를 창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주행경로(10)를 완주하는 사용자에게는 달리기 운동을 적극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동기 부여를 제공할 수도 있다.
지도(1) 상에는 사용자의 현재 위치와 상기 주행경로(10)가 동시에 표시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러닝 시 코스를 이탈하지 않고 정해진 주행경로(10)를 따라 러닝이 잘 수행되고 있는지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주행경로(10)를 완주하는 사용자는 전자기기(200)를 소지하고 러닝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전자기기(200)는 대용량의 정보를 저장할 수 있는 서버(100)와 연동된다. 예를 들어, 상기 전자기기(200)는 스마트 워치 또는 스마트폰일 수 있다.
상기 서버(100)는 전체적인 지도(1)에 관한 정보가 저장되는 지도 저장부(120) 및 상기 지도(1) 상에서 현재 사용자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는 제어부(130)를 포함한다. 상기 지도 저장부(120)에는 상기 주행경로(10)를 러닝하는 데에 무리가 없는지, 예를 들어 상기 주행경로(10)에 위험물이 존재하거나 낭떠러지 등의 주행 불가능한 코스가 존재하는지에 관한 정보도 함께 저장된다.
다른 예로, 러너는 지도 상에 표시되지 않은 길을 개척하여 특정한 형상을 상징하는 경로를 생성할 수도 있다. 즉, 러너가 기존에 존재하는 도로가 아닌 자신이 개척한 주행 경로를 제작하는 새로운 주행 경로 창출이 이루어질 수도 있다. 아마 거의 대부분의 주행 코스는 러너가 지도에 표현된 주행 가능한 도로 위에 특정 그림이나 형상을 상징하는 경로를 생성하는 것이 가장 흔한 경우일 것이다. 그러나, 러너의 독창성과 창의성을 발휘할 수 있도록, 기존에 설정된 길이 아니라, 자신이 직접 발로 뛰어서 상징적인 형상을 가지는 새로운 주행 경로를 창출하게 된다면 창작자로서의 매우 특별한 즐거움이 부여될 것이다.
또한, 상기 제어부(130)는 상기 주행경로(10)에 대한 사용자의 현재 위치를 확인하는 연산부(132) 및 상기 주행경로(10)와 사용자의 위치 사이의 거리가 허용범위 오차 이내인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상기 허용범위 오차거리에 관한 정보가 저장되는 메모리부(131)를 포함한다. 즉, 상기 제어부(130)는 상기 연산부(132)에서 산출된 상기 주행경로(10)에 대한 사용자의 현재 위치가 상기 메모리부(131)에 미리 저장된 상기 허용범위 오차거리 이내인지 여부를 판단하여 사용자의 러닝 시 정해진 코스를 이탈하였는지 여부에 대해 판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제어부(130)로 전달되는 사용자의 현재 위치에 관한 정보는 상기 전자기기(200)의 GPS신호기(220)를 통해 상기 서버의 제어부(130)로 전송될 수 있다. 즉, 상기 제어부(130)는 상기 지도 저장부(120)에서 지도와 주행경로(10)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GPS신호기(220)에서 사용자의 현재 위치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허용범위 오차거리 이내 여부를 판단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제어부(130)는 상기 주행경로(10)에 대한 사용자의 위치를 분석하여 완주까지 남은 거리에 관한 정보, 예상 도착시간 등에 관한 정보도 함께 분석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분석된 정보는 전자기기(200)를 통해 사용자에게 전달될 수 있다.
상기 서버(100)는 상기 주행경로(10) 중 사용자의 현재 위치를 다른 사용자들의 스마트폰에 표시할 수 있도록 신호를 전송하는 위치 표시부(110)를 더 포함한다. 즉, 상기 위치 표시부(110)는 해당 러닝과 관련된 특정 어플리케이션을 실시하는 다른 유저들의 스마트폰과 통신하여, 상기 타 유저 스마트폰에 상기 주행경로(10)의 러닝을 실시하고 있는 러너의 현재 위치를 알릴 수 있다.
상기 서버(100)와 통신하는 전자기기(200)는 상기 GPS신호기(220) 및 상기 제어부(130)에서 산출되는 데이터를 수신하여 사용자에게 상기 주행경로(10)를 실시간으로 안내하는 경로 안내부(210)를 포함한다. 위에서 설명한 것처럼, 상기 GPS신호기(220)는 사용자의 현재 위치를 파악하는 구성이다. 그리고, 상기 경로 안내부(210)는 상기 제어부(130)에서 산출된 주행경로(10)에 대한 사용자의 위치 관련 데이터를 수신하여 사용자가 러닝 시 코스를 이탈하지 않고 정해진 주행경로(10)를 따라 러닝을 수행할 수 있도록 길 안내를 수행하는 구성이다.
또한, 상기 전자기기(200)는 사용자의 주행 코스가 미리 정해진 주행경로(10)를 벗어난 경우 이를 사용자에게 알리는 알람부(230)를 더 포함한다. 만약, 상기 제어부(130)에서 판단한 결과, 상기 주행경로(10)에 대한 사용자의 위치가 상기 허용범위 오차거리를 벗어난 경우, 상기 알람부(230)가 작동하여 사용자에게 상기 주행경로(10)를 이탈하지 않도록 경고할 수 있다. 상기 알람부(230)에서 송출되는 경고 표시는, 일 예로 사용자가 청각으로 확인할 수 있는 싸이렌 소리일 수 있다. 그 외에, 상기 경고 표시는 상기 전자기기(200)의 디스플레이부가 발광되는 시각적인 표시일 수도 있고, 상기 전자기기(200)에 진동이 수행되는 촉각적인 표시일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알람부(230)는 상기 위치 표시부(110)를 통해 타 유저의 스마트폰과 통신하여 상기 타 유저의 음성, 예를 들어 응원 메시지나 실시간 경로 안내 메시지 등과 같은 음성을 들을 수 있는 스피커가 마련될 수 있다. 즉, 상기 알람부(230)에 스피커 기능이 추가됨으로써, 상기 주행경로(10)를 완주하는 사용자는 타 유저의 음성 메시지를 확인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힘든 마라톤 코스를 완주하더라도 타인의 응원 메시지를 수신하여 긍정적인 에너지를 얻을 수 있고 타인의 참여도 함께 유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족이나 동호회 회원 등 제 3자의 스마트폰이 러너의 스마트 기기와 블루투스 방식 등으로 연결되어, 관찰자의 응원 메시지가 러너에게 음성으로 전달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러너는 특히 힘든 코스를 주행할 때에 응원 메시지를 들으면서 큰 힘을 얻을 수 있다. 이외에, 상기 알람부(230)는 상기 제어부(130)에서 분석된 완주까지 남은 거리에 관한 정보 및 예상되는 도착시간 등에 관한 정보도 함께 전달된다. 이와 같은 정보는 사용자에게 음성 또는 디스플레이 방식으로 전달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러닝용 주행경로 서비스는 스마트폰의 특정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주행경로 제공 서비스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다양한 설정 모드로 제공된다. 상기 설정 모드의 다양한 예가 도 3에 도시되어 있다.
도 3은 사용자가 상기 주행경로와 관련된 다양한 설정 모드를 선택할 수 있는 스마트폰의 화면 예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사용자가 상기 어플리케이션 활성화 시, 스마트폰(50)에는 주행 관련 다양한 설정 모드가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설정 모드는, 사용자가 자신이 원하는 러닝 코스를 결정하고 상기 러닝 코스를 네이밍 하는 등 상기 주행경로를 직접 제작할 수 있는 경로생성 모드(51), 미리 정해진 주행코스들 중 사용자가 하나의 코스를 선택하여 해당 코스를 완주하도록 안내하는 주행 모드(52) 및 상기 주행경로를 결정하되 다른 러너들과 함께 상기 주행경로를 완주하는 협동 모드(53)를 포함한다. 상기 협동 모드(53)는 하나의 주행경로를 다수 개의 코스로 구분하여 여러 사람이 각 코스를 완주함에 따라 하나의 주행경로가 완성된다는 점에서 다른 사람과의 사회적 교류를 유도할 수 있고 러닝에 대한 성취 의욕을 더욱 고취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사회적 교류가 이루어진다는 점은, 개인화, 파편화 되어가는 현실에서 사회성 향상이라는 매우 유익한 체험을 할 수 있는 방안일 것이다. 이러한 기능은, 일 예로 한강변을 함께 달리는 러닝크루족들에게 매우 유용한 기능으로 작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설정 모드는 사용자가 상기 주행경로(10)를 제작 및 완주 시 시스템 상에서 캐시를 부여하는 보상 모드(54)를 더 포함한다. 상기 보상 모드(54)는 사용자가 적극적인 주행경로(10)의 제작 또는 완주를 수행하도록 동기를 부여하는 긍정적인 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 상기 보상 모드(54)를 통해 사용자에게 부여되는 보상 정도는 주행경로(10)의 난이도, 달성도, 참여도 등에 따라 단계별로 구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단순히 주행경로(10)를 완주하는 것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우수한 기록을 얻기 위해 더욱 노력하여야 한다는 점에서 긍정적인 운동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다만, 러너들이 기록 결과물에 너무 집착하여 과열 경쟁이 발생하는 현상을 미연에 방지하고 사행심 조장을 방지하기 위해, 별도의 경고문이 표시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각각의 설정 모드마다 시스템이 진행되는 과정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상기 설정 모드 중 경로생성 모드 선택 시 상기 주행경로가 제작되는 과정을 설명하는 흐름도, 즉 코스 안내도의 제작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경로생성 모드(51)를 선택 시, 스마트폰(50)의 화면에는 전체적인 지도(1)가 표시된다. 사용자는 상기 지도(1) 상에서 자신이 원하는 주행경로(10)를 탐색한다(S10). 상기 주행경로(10)는 사용자가 상기 지도(1)에 직접 터치펜 등을 통해 표시하여 확인할 수도 있고, 이미 제작되어 있는 다른 주행경로를 참조하여 자신만의 주행경로를 검토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주행경로(10)의 탐색 과정을 마치면, 사용자는 상기 주행경로(10)의 완주가 가능한지 여부에 대해 가상으로 확인하는 절차가 실시된다(S11). 이와 같은 가상 확인 절차는 서버의 지도 저장부(120)에서 지도(1)에 관한 데이터를 수신하여 확인할 수 있다. 즉, 상기 지도 저장부(120)에서 수신한 정보를 분석하여 사용자가 탐색한 주행경로(10)에 위험물이나 방해물이 없는지를 검토하는 절차가 실시된다. 해당 단계를 거침에 따라 불필요한 주행경로가 생성되는 것을 사전에 차단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은 산악 마라톤 경로가 탑재되는 경우, 매우 중요한 고려사항이 될 수 있다. 또한, 완주 경험자의 후기나 경로 상 주의 표기를 통해 러너에게 주행 코스 중 위험한 지점이나 주의가 필요한 지점을 알려주고 최적의 코스를 안내할 수 있다면, 본 발명을 통해 제작된 어플리케이션의 이용률이 크게 향상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주행경로(10)의 가상 확인 결과, 완주가 가능한 것으로 판단되면, 사용자는 직접 상기 주행경로(10)의 완주를 실시한다(S12). 상기 지도 저장부(120)에서 수신한 데이터를 통해 상기 주행경로(10)를 검토하였더라도, 실제로 상기 주행경로(10)에 공사나 사고 등의 돌발 변수가 발생되었을 수도 있기에, 사용자는 직접 상기 주행경로(10)의 완주를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다음, 사용자는 상기 주행경로(10)를 완주하는 데에 이상이 없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13). 만약, 상기 주행경로(10)를 완주하기 어려운 상황이 있다면, 상기 주행경로(10)를 변경하는 절차가 수행된다(S14). 변경된 주행경로(10)가 다시 상기 서버(100)에 저장되고, 사용자는 상기 변경된 주행경로(10)의 완주 가능 여부를 가상으로 확인하는 단계부터 순차적으로 재 실시한다.
상기 주행경로(10)를 완주하는 데에 이상이 없다면, 사용자는 상기 주행경로(10)를 어플리케이션에 등록하기 위해 상기 서버(100)에 상기 주행경로(10)를 저장한다. 이에 따라, 상기 서버(100)는 상기 주행경로(10)를 지역별, 카테고리별, 난이도별로 자동 분류한다(S15). 즉, 상기 서버(100)는 상기 주행경로(10)의 위치, 주행 거리, 컨텐츠의 내용, 코스 상태 분석을 통해 완주 난이도를 각각 분석하여 상기 주행경로(10)에 관한 정보를 저장한다.
이와 같이 상기 주행경로(10)에 관한 정보 저장이 완료되면, 사용자는 상기 주행경로(10)의 이름을 결정하고, 상기 서버(100)에 네이밍이 완료된 주행경로(10)의 저장 작업을 실시한다(S16). 그 다음, 상기 서버(100)에서는 사용자에게 주행경로(10) 제작에 따른 보상을 수여하고, 다른 유저에게 생성된 주행경로(10)를 소개하는 등 홍보를 실시한다(S17). 상기 홍보는 사용자가 SNS나 인스타그램 등 개인 계정을 통해 실시할 수도 있고, 홍보 대상은 어플리케이션 회원 중 해당 지역에 거주하는 유저, 각 학교나 기업체, 동호회, 유관 단체 등 해당 컨텐츠에 관심이 있는 유저, 사용자의 연령과 유사한 연령의 동일 성별의 유저 등이 가능할 것이다. 또한, 사용자는 상기 주행경로(10) 제작 및 완주에 따른 보상뿐만 아니라, 적극적인 홍보에 따라 타 유저의 사용이 증가하는 경우 상기 주행경로(10)의 총 이용 빈도에 따라서도 추가 보상을 받을 수도 있다. 일 예로, 상기 적극적인 홍보는 공유하기 또는 좋아요 수 등의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5는 상기 설정 모드 중 주행 모드 선택 시 상기 주행경로를 완주하는 과정을 설명하는 흐름도, 즉 코스 안내도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주행 모드(52)를 선택 시(S20), 스마트폰(50)의 화면에는 지도(1) 상에 상기 주행경로(10)가 표시된다. 그리고, 상기 서버(100)에는 사용자의 현재 위치와 사용자의 기호, 사용자의 기초 체력 등을 포함하는 사용자의 정보가 추출된다(S21). 그 다음, 상기 서버(100)는 추출된 상기 사용자의 정보를 기초로 주행하고자 하는 경로의 추천을 실시한다(S22). 추천된 경로는 사용자의 거주지역, 선호하는 컨텐츠나 카테고리 및 사용자의 체력을 고려한 스몰 스텝 기능의 난이도를 고려하여 해당 추천이 수행된다.
사용자는 추천된 경로들을 스마트폰(50)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추천된 주행경로 중 하나의 코스를 선택하고, 해당 코스에 관한 정보가 서버(100)를 통해 전자기기(200)에 입력된다. 다른 예로, 사용자는 상기 주행 모드(52) 클릭 시 팝업되는 검색 창에 자신이 원하는 코스를 검색하여 상기 주행경로(10)를 선택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선택된 주행경로(10)는 상기 전자기기(200)를 통해 사용자에게 안내될 수 있고, 사용자는 상기 주행경로(10)의 완주를 실시할 수 있다(S23).
사용자의 주행경로(10) 완주가 종료되면, 상기 서버(100)는 완주 결과물을 분석하여 기록에 따른 보상을 지급한다(S24). 위에서 설명한 것처럼, 상기 보상은 완주 결과물에 따른 차등 지급이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상 작업이 완료되면, 사용자는 상기 주행경로(10)에 대한 피드백을 실시한다(S25). 상기 피드백은 주행경로(10)에 대한 사용자의 만족도, 소감, 보완점 등을 기재한 내용일 수 있다. 사용자가 기재한 피드백은 상기 주행경로(10) 제작자에게 전달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작자는 상기 피드백을 참고하여 상기 주행경로(10)를 보완하는 등의 작업을 추가로 실시할 수 있다.
도 6은 상기 설정 모드 중 협동 모드 선택 시 상기 주행경로를 완주하는 과정을 설명하는 흐름도, 즉 코스 안내도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사용자가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협동 모드(53)를 선택 시, 스마트폰(50)의 화면에는 주행경로(10)를 선택하기 위한 화면이 표시된다(S30). 사용자가 상기 주행경로(10)를 선택하는 과정은 상기 주행 모드(52)에서 주행경로를 선택하는 과정과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그 다음, 사용자는 상기 주행경로(10)를 완주하기 위한 파트너 서치를 실시한다(S31). 상기 파트너 서치는 상기 서버(100)에서 사용자의 거주지역, 취향, 체력 등을 고려하여 적합한 유저를 추천할 수도 있고, 사용자가 직접 함께 코스를 완주할 파트너를 선택할 수도 있다.
파트너 선정이 완료되면, 상기 서버(100)는 상기 주행경로(10)의 코스 구분을 실시한다(S32). 즉, 상기 서버(100)는 하나의 주행경로(10)를 다수의 코스로 구분하고, 각 코스마다 한 명씩의 러너를 매칭하는 작업을 수행한다. 이때, 러너들은 자신들이 원하는 코스를 주행할 수 있도록 회의를 통해 순서 변경, 장소 변경 등을 자유롭게 수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분배된 코스별로 상기 주행경로(10)의 러닝이 실시된다(S33). 이때, 현재 코스를 주행하지 않는 다른 유저들도 상기 위치 표시부(110)에서 송신되는 신호에 따라 자신의 스마트폰으로 러너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다. 즉, 타 유저들도 실시간으로 현재 러너의 위치를 확인하고 상기 러너에게 응원 메시지를 전달할 수 있다(S34). 상기 응원 메시지는 러너의 전자기기(200)에 구비된 알람부(230)의 스피커를 통해 상기 러너에게 음성 전달될 수 있다.
이와 같은 협동 모드(53)의 진행 시, 유저들은 현재 릴레이 러닝에 이상이 없는지를 확인한다(S35). 만약, 상기 릴레이 러닝에 어려움이 있는 경우, 예를 들어 러너가 너무 힘들어하거나 러너끼리의 코스 변경을 원하는 경우, 파트너 교체 과정이 이루어지거나 또는 코스의 재분배 과정이 실시된다(S36). 상기 S36 단계가 완료되면, 다시 상기 S33 단계로 돌아가서 분배된 코스별로 주행경로(10)를 완주하는 과정이 진행된다.
다만, 상기 릴레이 러닝에 이상이 없는 경우, 정상적으로 상기 주행경로(10)의 릴레이 완주가 진행된다(S37). 이에 따라, 상기 서버(100)는 완주 결과물을 분석하여 기록에 따른 보상을 지급한다(S38). 다만, 상기 협동 모드(53)에서의 보상은 모든 유저에게 동등한 보상이 지급될 수 있다. 즉, 상기 협동 모드(53)에서는 한 명의 개인이 아닌 하나의 팀으로 활동하는 것이므로, 협동심 고취 측면에서 모든 유저에게 동등한 보상이 지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보상 작업이 완료되면, 사용자는 상기 주행경로(10)에 대한 피드백을 실시한다(S39). 상기 피드백은 주행경로(10)에 대한 사용자의 만족도, 소감, 보완점 등을 기재한 내용일 수 있다.
이 외에도, 보상과 관련된 내용으로 컨셉 러닝에 따른 보상 기준 설정이 이루어질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즐거움을 컨셉으로 하는 러닝인 경우 흥미나 협동심과 관련된 보상 조건을 추가하는 예가 가능할 것이고, 시간을 중심으로 하는 목표시간달성 컨셉의 러닝인 경우 시간별 차등 보상 조건을 추가하는 예도 가능할 것이며, 팀별 특정 개념 완성을 컨셉으로 하는 러닝인 경우 특정 개념 완성 정도에 따른 차등 보상 조건을 추가하는 예 등도 가능할 것이다. 이러한 컨셉 러닝은 인원, 성비, 연령층 등을 고려하여 팀을 구성하고, 주행 목표를 잘 수행한 팀에 대한 배려가 담긴 보상 조건이 추가되면 더욱 큰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도 7은 상기 설정 모드 중 보상 모드 선택 시 사용자가 보유한 캐시를 통해 자신이 원하는 물품을 구입하는 과정을 설명하는 흐름도로서, 도 4 내지 도 6에서 설명한 다른 설정 모드와는 달리, 이미 사용자에게 지급된 보상으로 실제 물품을 구매하는 모드에 관한 것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사용자가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보상 모드(54)를 선택 시(S40), 스마트폰(50)의 화면에는 현재까지 사용자에게 지급된 보상내역에 관한 내용이 표시된다(S41).
사용자가 자신이 보유한 보상금을 확인한 후에, 검색 창 등을 통해 자신이 원하는 물품을 검색하면, 제휴된 물품 구입 페이지로 화면이 전환된다(S42). 상기 물품 구입 페이지에서는 보유 캐시가 상기 사용자가 원하는 물품을 구입하는 데에 충분한지 여부를 판단한다(S43). 만약, 보유 캐시가 충분하다면, 사용자는 물품 구매를 실시하고(S44), 잔여 캐시를 확인하는 절차가 진행된다(S45).
그러나, 보유 캐시가 충분하지 않다면, 현재 사용자가 보유한 캐시 한도 내에서 사용자가 원하는 물품과 유사한 물품을 소개할 수 있다. 이와 다른 예로, 스마트폰(50)에서는 사용자가 물품을 구매하기 위한 맞춤형 러닝 주행경로에 대한 추천 내용이 표시될 수 있다(S46). 즉, 원하는 물품을 구매하기 위해서 사용자가 추가로 진행하여야 할 주행경로(10)에 관한 정보가 스마트폰(50) 화면에 표시되고, 사용자는 이를 확인하여 상기 주행경로(10)의 추가 완주를 실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가 자신이 원하는 주행 코스를 선택하여 해당 주행경로를 완주하게 되므로 마라톤과 같은 힘든 운동이라 할지라도 적극적인 동기 부여에 따라 우수한 성과물을 창출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통상의 기술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주행경로
50: 스마트폰
51: 경로생성 모드
52: 주행 모드
53: 협동 모드
54: 보상 모드
100: 서버
110: 위치 표시부
120: 지도 저장부
130: 제어부
131: 메모리부
132: 연산부
200: 전자기기
210: 경로 안내부
220: GPS신호기
230: 알람부

Claims (13)

  1. 사용자가 러닝을 실시할 설정 모드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설정 모드에 기초하여 주행경로를 탐색하고 지도 상에 상기 주행경로가 표시되는 단계;
    상기 주행경로를 따라 러닝 진행 시 실시간으로 상기 지도 상에서의 사용자의 위치가 확인되는 단계; 및
    상기 주행경로를 완주하면 기록에 따른 보상이 지급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러닝용 주행경로 서비스 제공 방법.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 모드는 사용자가 상기 주행경로를 제작하는 경로생성 모드를 포함하고,
    상기 경로생성 모드 진행 시 상기 주행경로가 표시되는 단계가 종료되면, 상기 주행경로의 완주 가능 여부를 가상으로 확인하는 단계가 추가로 진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러닝용 주행경로 서비스 제공 방법.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경로생성 모드 진행 시 상기 지도 상에서의 사용자 위치가 확인되는 단계가 종료되면,
    사용자가 상기 주행경로를 완주하여 상기 주행경로에 이상이 없는지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주행경로 관련 정보가 입력 및 저장되는 단계가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러닝용 주행경로 서비스 제공 방법.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주행경로에 이상이 발생한 경우, 상기 주행경로의 변경 및 저장이 실시된 후 상기 주행경로의 완주 가능 여부를 가상으로 확인하는 단계가 재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러닝용 주행경로 서비스 제공 방법.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 모드는 사용자가 서버에 저장된 주행경로 중 하나를 선택하여 러닝을 실시하는 주행 모드를 포함하고,
    상기 주행 모드 진행 시 상기 주행경로가 표시되는 단계는,
    서버에서 추출한 사용자의 정보를 기초로 상기 서버에서 상기 주행경로를 추천하는 단계; 및
    추천된 주행경로 중 하나를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러닝용 주행경로 서비스 제공 방법.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주행경로를 완주하면 기록에 따른 보상이 지급되는 단계가 종료되면, 상기 주행경로에 대한 피드백 과정이 진행되는 단계가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러닝용 주행경로 서비스 제공 방법.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 모드는 타인과 함께 상기 주행경로를 완주하는 협동 모드를 포함하고,
    상기 협동 모드 진행 시 상기 주행경로가 표시되는 단계가 종료되면,
    상기 주행경로를 완주하기 위한 러너 선정 후 코스 분배를 실시하는 단계; 및
    분배된 코스별로 러닝을 실시하는 단계가 진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러닝용 주행경로 서비스 제공 방법.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분배된 코스별로 러닝을 실시하는 단계는,
    실시간으로 현재 러너의 위치를 확인하고 상기 러너에게 응원 메시지를 전달하는 단계; 및
    릴레이 러닝에 이상이 없는지를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러닝용 주행경로 서비스 제공 방법.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릴레이 러닝에 이상이 있는 경우, 상기 러너를 교체하거나 상기 코스 분배를 재 실시하는 과정이 진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러닝용 주행경로 서비스 제공 방법.
  10.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협동 모드 진행 시 상기 기록에 따른 보상이 지급되는 단계는,
    상기 주행경로를 완주한 러너들에게 동등한 보상이 지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러닝용 주행경로 서비스 제공 방법.
  11. 사용자의 현재 위치에 관한 정보를 감지하는 전자기기; 및
    상기 전자기기에서 송출되는 신호를 수신하여 사용자의 현재 위치와 기 저장된 주행경로 간의 일치 여부를 파악하는 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전자기기는, 상기 서버에서 제공되는 정보를 기초로 사용자에게 상기 주행경로를 인도하는 경로 안내부 및 사용자가 상기 주행경로를 이탈하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알람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러닝용 주행경로 서비스 제공 시스템.
  12.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상기 주행경로와 사용자의 현재 위치 간의 거리에 관한 정보를 산출하여 상기 전자기기에 송신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주행경로와 사용자의 현재 위치 간의 거리에 관한 기준이 되는 수치가 저장되는 메모리부 및 상기 주행경로와 사용자의 현재 위치 간의 거리가 상기 기준이 되는 수치를 초과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연산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러닝용 주행경로 서비스 제공 시스템.
  13.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알람부는, 타인의 음성 메시지를 송출하는 스피커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러닝용 주행경로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1020190143891A 2019-11-12 2019-11-12 러닝용 주행경로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1022574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3891A KR102257438B1 (ko) 2019-11-12 2019-11-12 러닝용 주행경로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서비스 제공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3891A KR102257438B1 (ko) 2019-11-12 2019-11-12 러닝용 주행경로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서비스 제공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57296A true KR20210057296A (ko) 2021-05-21
KR102257438B1 KR102257438B1 (ko) 2021-05-27

Family

ID=761354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43891A KR102257438B1 (ko) 2019-11-12 2019-11-12 러닝용 주행경로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서비스 제공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57438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4817B1 (ko) 2007-12-06 2009-11-03 (주)지오마케팅 그림지도의 위치 표시방법
KR101141648B1 (ko) 2005-06-08 2012-05-17 엘지전자 주식회사 그려지는 그림 컨텐츠 기능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포맷방법
KR20150045091A (ko) * 2013-10-18 2015-04-28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경로 이탈 알림 메시지 전송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서버
KR20160047666A (ko) * 2014-10-22 2016-05-03 (주)플라잉마운틴 걷기 운동 보조 시스템을 이용한 비즈니스 모델 구현 방법
KR20180088033A (ko) * 2017-01-26 2018-08-03 (주)플라잉마운틴 도보 경로 및 사용자 걷기 정보 제공 시스템
KR20190035317A (ko) * 2017-09-26 2019-04-03 엔에이치엔엔터테인먼트 주식회사 경로 안내 방법 및 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1648B1 (ko) 2005-06-08 2012-05-17 엘지전자 주식회사 그려지는 그림 컨텐츠 기능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포맷방법
KR100924817B1 (ko) 2007-12-06 2009-11-03 (주)지오마케팅 그림지도의 위치 표시방법
KR20150045091A (ko) * 2013-10-18 2015-04-28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경로 이탈 알림 메시지 전송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서버
KR20160047666A (ko) * 2014-10-22 2016-05-03 (주)플라잉마운틴 걷기 운동 보조 시스템을 이용한 비즈니스 모델 구현 방법
KR20180088033A (ko) * 2017-01-26 2018-08-03 (주)플라잉마운틴 도보 경로 및 사용자 걷기 정보 제공 시스템
KR20190035317A (ko) * 2017-09-26 2019-04-03 엔에이치엔엔터테인먼트 주식회사 경로 안내 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57438B1 (ko) 2021-05-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Van der Graaf et al. Navigating platform urbanism
Gardony et al. How navigational aids impair spatial memory: Evidence for divided attention
US20150238815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commending exercise routes
Brunyé et al. The path more travelled: Time pressure increases reliance on familiar route-based strategies during navigation
US20130030994A1 (en) Budget monitor, alert, and bill payment facilitation system
CN107533685A (zh) 个性化上下文建议引擎
Aicher et al. To explore or race? Examining endurance athletes’ destination event choices
CN107004205A (zh) 向广告主建议用于在线内容项的创意类型的系统和方法
KR100997873B1 (ko) 가상 poi를 이용한 맵의 광고 방법 및 시스템
Spallazzo et al. Location-based mobile games: Design perspectives
CN104903847A (zh) 受信任的社交网络
US20100145764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mproving efficiency in event information exchange among parties of event
Salz et al. The everything guide to mobile apps: A practical guide to affordable mobile app development for your business
Pang et al. The role of a location-based city exploration game in digital placemaking
US20130232440A1 (en) System and method for generating a user interface by auctioning space on the user interface to self-determining, content-providing modules
JP5764720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提供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20201619A (ja) 仮想現実空間におけるインセンティブ付与システム、インセンティブ付与装置、インセンティブ付与方法およびインセンティブ管理用プログラム
Marwiyah et al. An Analysis of Online Transportation Applications Between Gojek and Grab for Students
CN106462876A (zh) 个人智能平台
KR20090104569A (ko) 가상 poi를 이용한 맵상에서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는방법 및 시스템
KR102257438B1 (ko) 러닝용 주행경로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서비스 제공 시스템
JP6923902B2 (ja) 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プログラム、情報処理装置および情報処理方法
JP2022050248A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システム
KR102266863B1 (ko) 실시간 위치 탐색 기능을 이용한 모바일 리워드 산출 서버 및 방법
Didner Effective Sales Enablement: Achieve sales growth through collaborative sales and market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