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88033A - 도보 경로 및 사용자 걷기 정보 제공 시스템 - Google Patents

도보 경로 및 사용자 걷기 정보 제공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88033A
KR20180088033A KR1020170012558A KR20170012558A KR20180088033A KR 20180088033 A KR20180088033 A KR 20180088033A KR 1020170012558 A KR1020170012558 A KR 1020170012558A KR 20170012558 A KR20170012558 A KR 20170012558A KR 20180088033 A KR20180088033 A KR 2018008803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terminal
user
walking
path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125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76915B1 (ko
Inventor
이성현
Original Assignee
(주)플라잉마운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플라잉마운틴 filed Critical (주)플라잉마운틴
Priority to KR10201700125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76915B1/ko
Publication of KR201800880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880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769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769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2Social work or social welfare, e.g. community support activities or counselling servic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Navigation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의 구체적인 경로 선택이 없이도 적절한 환경의 도보 경로를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사용자가 제공된 도보 경로를 이동할 때 사용자 걷기 상태와 관련된 다양한 정보를 사용자 단말을 통해 효과적으로 제공하여 도보로 이동할 때 운동 효과는 물론 다양한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도보 경로 및 사용자 걷기 정보 제공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보 경로 및 사용자 걷기 정보 제공 시스템은, 화면에 지도가 표시되며, 상기 지도상에 현재 위치 및 이동 경로를 표시할 수 있는 사용자 단말과, 상기 사용자 단말과 정보를 송수신하는 서버를 포함하는 도보 경로 및 사용자 걷기 정보 제공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상기 사용자 단말을 통한 목적지 설정 입력이 없는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의 현재 위치 정보를 기준으로 이동 구역을 네 구역으로 나누어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고, 상기 네 구역 중 어느 하나의 구역에 대한 선택이 있으면 선택된 구역에 있는 임의의 위치를 목적지로 하여 경로를 생성하는 경로 생성부를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경로 생성부가 생성한 경로를 제공받아 지도상에 현재 위치 및 생성된 경로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를 통해, 걷기 경로 선택에 있어서 사용자의 구체적인 경로 선택이 없는 경우에도 사용자의 기본 의사를 반영한 추천 걷기 경로를 생성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도보 경로 및 사용자 걷기 정보 제공 시스템{SYSTEM OF SUPPLYING A PATH OF WALK AND AN INFORMATION OF USER WALK}
본 발명은 도보 경로 및 사용자 걷기 정보 제공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에게 적절한 걷기 경로를 생성하여 제공할 수 있고, 사용자가 걷기를 시작하거나 걷기를 하는 중 또는 걷기를 마무리하는 경우에 각 상황에 필요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효과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도보 경로 및 사용자 걷기 정보 제공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현대사회는 심장질환, 당뇨병, 고혈압 등의 성인 질환 뿐만 아니라, 스트레스에 의한 불안감, 우울증 등의 정신질환이 만연해 있으며, 영양 과다와 운동부족으로 인한 비만까지 다양한 질병에 노출되어 있다.
WHO는 지난 2013년 3월 보고서에서 "1980년부터 전 세계적으로 비만 인구가 2배로 늘었다"며 "2008년 기준 남성 2억명, 여성 3억명이 비만으로 집계됐다"고 밝혔다. 또한, 고령화 사회로 건강에 관한 관심이 집중되면서 많은 시간이 필요하지 않고 몸에 무리를 주지 않는 걷기 운동은 많은 사람들에게 선택이 아닌 필수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그러나 걷기 운동은 특별한 재미요소가 없어 싫증을 내기 쉽기 때문에 운동효과를 얻을 만큼 오랜 시간 걷는 것이 쉬운 일은 아니며, 꾸준히 지속적으로 걷기 운동을 유지하는 것은 더욱 어렵다.
따라서, 아래 특허문헌과 같이 이동단말기를 이용한 위치정보를 통하여 운동속도, 운동거리, 칼로리 등과 같은 정보를 표시하거나, 이미 이동한 경로를 표시하는 다양한 방법들이 제안되었으나, 이러한 종래 기술은 단순히 운동을 위한 보조 시스템일 뿐 일반적으로 사용자가 도보로 이동하는 경우까지 적용되기에는 한계가 있고, 걷기 운동의 지루함을 극복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었으며, 조작의 불편함과 목표의식, 흥미유발 등의 부재로 인해 꾸준하고 지속적인 걷기 운동 및 일상적인 도보 활동에는 그 적용이 여전히 어려움이 있었다.
따라서, 걷기 운동에 대한 지루함을 극복할 수 있는 재미와 동기부여를 제공할 수 있고, 목표설정이 용이한 새로운 시스템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또한, 이러한 걷기 운동을 효과적으로 실현하기 위한 시스템 또는 방법 등이 많이 제안되고 있는 상황이나, 그 효율성이 떨어지고 또한, 그러한 방법을 통해서 수익을 창출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해서는 종래 기술들이 전혀 제시하고 있지 않은 실정이다.
또한, 사용자들은 산책을 하거나 운동을 할 때 특정 목적을 가지고 하지 않는 경우가 대부분이고 이렇게 어떠한 경로를 생각하지 않고 무작정 걷기를 시작하는 경우에 사용자의 기본적인 욕구를 반영하여 걷기 경로를 생성하고 이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 기술 개발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걷기가 시작된 후 단순히 사용자 단말(휴대 단말기) 상에 걷기 경로를 표시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종래의 기술은 사용자의 걷기 과정에서 운동의 동기 부여나 다른 다양한 정보를 제공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으므로, 이러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효과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기술 개발이 요구된다고 할 것이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0-0012187호(2012. 02. 09. 공개) "지피에스를 이용한 가상 운동 레이싱 시스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사용자의 구체적인 경로 선택이 없이도 적절한 환경의 도보 경로를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사용자가 제공된 도보 경로를 이동할 때 사용자 걷기 상태와 관련된 다양한 정보를 사용자 단말을 통해 효과적으로 제공하여 도보로 이동할 때 운동 효과는 물론 다양한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도보 경로 및 사용자 걷기 정보 제공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앞서 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다음과 같은 구성을 가진 실시예에 의해서 구현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보 경로 및 사용자 걷기 정보 제공 시스템은, 화면에 지도가 표시되며, 상기 지도상에 현재 위치 및 이동 경로를 표시할 수 있는 사용자 단말과, 상기 사용자 단말과 정보를 송수신하는 서버를 포함하는 도보 경로 및 사용자 걷기 정보 제공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상기 사용자 단말을 통한 목적지 설정 입력이 없는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의 현재 위치 정보를 기준으로 이동 구역을 네 구역으로 나누어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고, 상기 네 구역 중 어느 하나의 구역에 대한 선택이 있으면 선택된 구역에 있는 임의의 위치를 목적지로 하여 경로를 생성하는 경로 생성부를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경로 생성부가 생성한 경로를 제공받아 지도상에 현재 위치 및 생성된 경로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사용자 단말의 현재 위치 정보는, 위도 및 경도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 구역에 포함되는 네 구역은, 상기 사용자 단말의 현재 위치의 위도 및 경도 정보에 기초하여 현재 위치를 중심으로 동, 서, 남, 북 방향으로 나누어진 네 구역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이동 구역에 포함되는 네 구역은, 상기 현재 위치를 중심으로 동, 서, 남, 북 방향으로 90도 각도를 이루며 나누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서버는, 상기 경로 생성부가 생성한 경로의 거리를 산출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는 경로 거리 산출부와, 상기 경로 거리 산출부에서 산출한 거리에 상응하는 소비 칼로리를 산출하고 상기 소비 칼로리에 상응하는 음식물 이미지의 밑그림이 상기 사용자 단말에 표시되도록 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의 이동 거리에 따라 상기 음식물 이미지의 밑그림이 선명한 음식물 이미지로 변하도록 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에 표시하는 소모 칼로리 관리부, 상기 경로 거리 산출부에서 산출한 거리에 비례하여 상기 경로 상에 보상 수단을 하나 이상 생성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의 화면에 표시되도록 하는 보상 수단 관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서버는, 하나 이상의 캐릭터와 하나 이상의 배경 아이템을 생성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의 화면에 표시되도록 하는 배경 화면 관리부와, 상기 사용자 단말이 이동한 총 이동 거리를 누적하여 저장하는 이동 거리 관리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배경 화면 관리부는, 상기 경로 거리 산출부에서 산출한 거리에 대해 상기 사용자 단말의 이동 거리에 비례하여 상기 캐릭터의 의상이나 표정을 변경하거나 상기 배경 아이템의 개수를 증가시켜 상기 사용자 단말의 화면에 표시하고, 상기 보상 수단 관리부는, 상기 이동 거리 관리부의 누적 이동 거리에 따라 상기 캐릭터에 상응하는 실물 캐릭터가 상기 사용자 단말의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도록 오프라인 보상 수단을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서버는, 상기 사용자 단말 화면에 표시되는 지도의 데이터베이스를 하나 이상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의 현재 위치의 위도 및 경도 정보에 따라 서로 다른 데이터베이스에 기초한 지도가 상기 사용자 화면에 표시되도록 하는 지도 관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서버는, 상기 사용자 단말의 현재 위치 정보를 기준으로 해당 지역 축제 정보 및 걷기 또는 달리기 대회 정보를 수집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의 화면 상에 표시되도록 하는 스페셜 코스 관리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스페셜 코스 관리부는, 상기 지역 축제 정보 및 걷기 또는 달리기 대회 정보를 마감 순에 따라 순위를 정하고 이 순위에 따라 상기 지역 축제 정보 및 걷기 또는 달리기 대회 정보가 상기 사용자 단말의 화면에 표시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걷기 경로 선택에 있어서 사용자의 구체적인 경로 선택이 없는 경우에도 사용자의 기본 의사를 반영한 추천 걷기 경로를 생성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걷기 경로를 시작하기 전이나 걷기 경로를 하는 중간이나 걷기 경로를 완료한 각각의 경우 별로 걷기 과정에서의 관련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여 걷기의 특정 목적(특정 장소를 경유하는 목적, 경품 등을 획득하기 위한 목적 등)에 해당하는 정보는 물론 걷기를 통한 운동 효과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효과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보 경로 및 사용자 걷기 정보 제공 시스템을 이루는 사용자 단말과 서버 구성을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보 경로 및 사용자 걷기 정보 제공 시스템의 서버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보 경로 및 사용자 걷기 정보 제공 시스템이 사용자 단말의 화면에 구현된 상태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보 경로 및 사용자 걷기 정보 제공 시스템이 적용된 사용자 단말의 배경화면 구성을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보 경로 및 사용자 걷기 정보 제공 시스템의 보상 수단 관리부를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 가능한 보상 수단의 일 예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보 경로 및 사용자 걷기 정보 제공 시스템의 스페셜 코스 관리부를 통해 사용자 단말 화면에 표시되는 내용을 도시한 개략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보 경로 및 사용자 걷기 정보 제공 시스템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에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하며,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보 경로 및 사용자 걷기 정보 제공 시스템에 대해 도 1 내지 도 6을 기초로 이하에서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도 1을 기초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보 경로 및 사용자 걷기 정보 제공 시스템의 구성을 살펴본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보 경로 및 사용자 걷기 정보 제공 시스템을 이루는 사용자 단말과 서버 구성을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보 경로 및 사용자 걷기 정보 제공 시스템은, 사용자 단말(1)과 서버(100)로 이루어질 수 있다.
사용자 단말(1)은 화면에 지도가 표시되며, 지도상에 현재 위치 및 이동 경로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1)은 일반적으로 본 시스템의 기능을 사용하기 위한 스마트 폰, 태블릿 및 이동 통신 기능이 구비된 단말기 중 하나가 될 수 있다.
또한, 서버(100)는 사용자 단말(1)과 각종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
또한, 서버(100)는 사용자 단말(1)에서 사용자가 도보 경로 및 사용자 걷기 정보를 효과적으로 제공받을 수 있도록 생성된 도보 경로 및 생성된 도보 경로를 실제로 걷거나 걷기 시작하거나 걷기를 종료한 상태에 대한 각종 정보를 처리하여 사용자 단말(1)로 전송하고, 사용자 단말(1)로부터 입력되는 사용자 입력 정보 및 사용자 단말(1)로부터 수집되는 각종 걷기 관련 정보를 수신한다.
또한, 서버(100)는 사용자 단말(1)에서 사용자가 각종 도보 경로 및 사용자 걷기 관련 정보를 효과적으로 인지할 수 있도록 어플리케이션 관리부를 통해 인터페이스 등을 생성하여 사용자 단말(1)에 어플리케이션이 구현되도록 관리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보 경로 및 사용자 걷기 정보 제공 시스템의 서버 구성을 도 2를 기초로 이하에서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보 경로 및 사용자 걷기 정보 제공 시스템의 서버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보 경로 및 사용자 걷기 정보 제공 시스템의 서버(100)는 경로 생성부(110), 경로 거리 산출부(120), 소모 칼로리 관리부(130), 보상 수단 관리부(140), 배경 환면 관리부(150), 이동 거리 관리부(160), 지도 관리부(170) 및 스페셜 코스 관리부(180)를 포함하여 실시될 수 있다.
경로 생성부(110)는 사용자 단말(1)을 통한 목적지 설정 입력이 없는 경우, 사용자 단말(1)의 현재 위치 정보를 기준으로 이동 구역을 네 구역으로 나누어 사용자 단말(1)에 제공하고, 네 구역 중 어느 하나의 구역에 대한 선택이 있으면 선택된 구역에 있는 임의의 위치를 목적지로 하여 경로를 생성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 단말(1)은 경로 생성부(110)가 생성한 경로를 제공받아 지도상에 현재 위치 및 생성된 경로를 표시하여 사용자가 생성된 경로를 인지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사용자 단말(1)의 현재 위치 정보는 위도 및 경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이동 구역에 포함되는 네 구역은 사용자 단말(1)의 현재 위치의 위도 및 경도 정보에 기초하여 현재 위치를 중심으로 동, 서, 남, 북 방향으로 나누어진 네 구역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이동 구역에 포함되는 네 구역은 현재 위치를 중심으로 동, 서, 남, 북 방향으로 90도 각도를 이루며 나누어질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내용이 구현된 상태에 대해서는 도 3을 기초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보 경로 및 사용자 걷기 정보 제공 시스템이 사용자 단말의 화면에 구현된 상태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로 생성부(110)는 사용자 단말(1)을 통해 별도 사용자 입력이 없는 경우에 사용자의 의사를 최대한 반영하면서도 최소한의 사용자 의사(걷기를 시작하기 위한 최소한의 정보인 걷기 경로의 방향)를 파악하기 위해 걷고자 하는 기본적인 방향에 대한 입력을 받는다. 즉, 도 3에서와 같이 현재 사용자의 위치 부분에 특정 캐릭터를 표시하고, 이를 기준으로 동, 서, 남, 북을 구획(200)한 후, 동쪽 방향의 화살표(210), 서쪽 방향의 화살표(220), 남쪽 방향의 화살표(230) 및 북쪽 방향의 화살표(240)를 사용자 단말(1)의 화면에 표시하여 사용자 입력을 통해 걷기를 할 경로 방향을 선택받을 수 있다.
즉, 본 시스템을 이용하는 사용자가 적절한 목적지를 지도상에서 설정하여 걷기를 수행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고, 특정 목적지가 없고 특정 시간 또는 특정 거리를 생각하고 있지 않은 상황에서도 동, 서, 남, 북 중 어느 하나의 방향만 결정하면 이러한 기초 정보만으로도 경로 생성부(110)가 걷기에 좋은 임의의 경로를 생성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특정 목적지에서 집으로 걸어서 돌아가는 것을 원하는 경우에, 사용자의 집 방향 쪽으로 방향만 정하면 산책이나 걷기 운동 및 달리기 좋은 경로를 자동으로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어서 항상 새로운 걷기 경로를 사용자에게 효과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경로 생성부(110)는 사용자를 통해 걷기 경로의 방향만 입력 받은 후 추가적으로 걷고자 하는 이동거리 정보를 입력 받아 이를 반영하여 경로를 생성할 수 있다. 즉, 경로 생성부(110)는 동, 서, 남, 북 중에서 어느 한 방향에 대한 사용자 입력을 받은 후 선택된 어느 한 방향으로 얼마나 이동할지에 대한 정보를 추가적으로 입력받아 최종적으로 경로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적절한 목적지를 사용자 단말(1) 상에 표시된 지도상에서 선택하는 경우에는 사용자의 현재 위치에서 선택한 목적지까지의 경로를 경로 생성부(110)가 최단 거리로 또는 특정 지점을 경유하도록 하여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특정 지점은, 본 시스템의 광고 스폰서 관리부(미도시)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광고 스폰서 목록에 포함되는 상점, 오락 시설, 음식점 등이 될 수 있다. 즉, 경로 생성부(110)는 광고 스폰서 관리부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상점 등이 상기 생성된 경로상에 있는 경우에는 상점 등의 위치를 경유하도록 하여 경로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경로 거리 산출부(120)는 경로 생성부(110)가 생성한 경로의 거리를 산출하여 사용자 단말(1)에 제공한다.
또한, 소모 칼로리 관리부(130)는 경로 거리 산출부(120)에서 산출한 거리에 상응하는 소비 칼로리를 산출하고 소비 칼로리에 상응하는 음식물 이미지의 밑그림이 사용자 단말(1)에 표시되도록 하고 사용자 단말(1)의 이동 거리에 따라 음식물 이미지의 밑그림이 선명한 음식물 이미지로 변하도록 하여 사용자 단말(1)에 표시하는 것을 수행한다.
즉,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산출한 거리에 상응하여 산출된 소모 칼로리에 대응하는 음식물 이미지 밑그림(300)이 먼저 사용자 단말(1)의 어플리케이션 화면에 표시되고, 이러한 음식물 이미지 밑그림(300)은 사용자의 걷기 이동 거리에 따라 점점 선명한 이미지 상태로 변화되어, 수치적으로 사용자가 칼로리를 소모하고 있다고 인식하지 않고 즉각적으로 칼로리 소모량을 인지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이러한 과정은 사용자가 걷기 과정에서 보다 흥미를 느낄 수 있고 게임적인 요소를 직접 받을 수 있어서 단순히 경로 안내 개념이 아니라 운동적이 효과는 물론이고 걷기 과정 자체에 대해 흥미를 가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보상 수단 관리부(140)는 경로 거리 산출부(120)에서 산출한 거리에 비례하여 경로 상에 보상 수단을 하나 이상 생성하여 사용자 단말의 화면에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즉,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1)의 어플리케이션 화면상의 생성 경로상에 보물상자 등의 모양에 경품, 상품권, 쿠폰이 구비되도록 하여 사용자가 생성 경로를 완주하거나 거쳐지나가는 경우에 보물상자 등의 모양에 구비되는 경품 등을 획득할 수 있어 소정의 보상을 제공할 수 있다. 도 3에서는 보상 수단인 보물상자가 1개인 경우를 도시하고 있다.
또한, 보상 수단 관리부(140)를 통해 이러한 보물상자 등의 보상수단은 생성된 경로의 거리가 더 클수록 생성된 경로 상에 더 많이 구비되도록 설정할 수 있다.
또한, 배경 화면 관리부(150)는 하나 이상의 캐릭터와 하나 이상의 배경 아이템을 생성하여 사용자 단말(1)의 화면에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4를 기초로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보 경로 및 사용자 걷기 정보 제공 시스템이 적용된 사용자 단말의 배경화면 구성을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경 화면 관리부(150)는, 경로 거리 산출부(120)에서 산출한 거리에 대해 사용자 단말(1)의 이동 거리에 비례하여 캐릭터(5)의 의상이나 표정을 변경하거나 배경 아이템(10)의 개수를 증가시켜 사용자 단말(1)의 화면에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이동 거리 관리부(160)는 사용자 단말(1)이 이동한 총 이동 거리를 누적하여 저장하는데, 이러한 이동 거리 관리부(160)에서 저장하고 있는 총 이동 거리 정보에 기초하여 배경 화면 관리부(150)는 상기 캐릭터(5)의 의상이나 표정 등의 상태를 변경시키거나 배경 아이템(10)의 개수가 변경될 수 있도록 한다. 즉, 배경 화면 관리부(150)는 사용자의 누적 이동 거리가 증가함에 따라 사용자가 제공받고 있는 캐릭터(5) 상태를 업그레이드 시키거나 다양한 배경 아이템(10)인 아이템의 다양하게 하여 사용자가 자체 만족을 느끼도록 할 수 있고, 이를 통해 보다 많은 재미 요소를 발견하도록 하여 궁극적으로 걷기 자체에 흥미를 이끌어 낼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효과를 통해 부가적으로 운동 효과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배경 화면 관리부(150)는 해당 사용자 단말(1)이 위치한 곳과 관련된 지역 특색(대표 문화재, 유적지, 인물 등) 컨텐츠를 사용자 단말(1) 화면에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배경 화면 관리부(150)는 사용자 단말(1)이 상기 지역 특색 중 어느 한 곳에 위치하는 경우 해당 대표 문화재, 유적지, 인물 등의 아이콘을 추가적으로 획득하도록 할 수 있다.
즉, 배경 화면 관리부(150)는 현재 사용자가 위치한 곳의 특색을 반영할 수 있는 지역 특색 컨텐츠를 사용자 단말(1) 화면에 제공함으로써 현재 사용자가 위치한 곳에서의 정보를 즉각적으로 인지하고 관련 정보를 얻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지역 특색 컨텐츠에 대한 개별 아이콘을 수집하게 함으로써 사용자의 수집 욕구를 자극하여 더욱 활발하게 걷기 동작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이동 거리 관리부(160)는 사용자 단말(1)이 이동한 총 이동 거리를 누적하여 저장하고, 보상 수단 관리부(140)는, 이동 거리 관리부(160)의 누적 이동 거리에 따라 캐릭터에 상응하는 실물 캐릭터가 사용자 단말의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도록 하는 오프라인 보상 수단을 추가적으로 설정할 수 있다.
즉,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1)에 어플리케이션 타입으로 제공되는 화면 상에 제공되는 캐릭터에 대해 이동 거리 관리부(160) 및 보상 수단 관리부(140)의 판단 과정을 통해(보상을 받을 수 있는 이동 거리를 사용자가 달성한 경우 보상 지급), 도 5의 실재 캐릭터 인형(7)을 사용자가 제공받을 수 있도록 보상을 수행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보 경로 및 사용자 걷기 정보 제공 시스템의 보상 수단 관리부를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 가능한 보상 수단의 일 예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구체적으로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1)의 어플리케이션 상에서 제공받는 캐릭터를 걷기 과정을 통해 다양하게 변경 및 업그레이드할 수 있는데, 걷기 과정 중의 미션(걷기 이동 거리 또는 특정 목적지 도달 등의 미션) 도달 과정에 따라 가상의 캐릭터가 아니라 실물의 캐릭터 인형을 보상으로 받을 수 있다. 또한, 추가적으로 음료쿠폰, 문구 제품, 패션 아이템 등 다양한 실물 상품을 보상으로 받을 수도 있다.
즉, 보상 수단 관리부(140)는 사용자가 특정 미션을 완료한 경우에 어플리케이션 상에 제공된 캐릭터에 상응하는 실물 캐릭터를 사용자가 오프라인 상으로 상품 수령이 가능하도록 상품 수령 절차를 진행한다. 먼저 특정 미션 완료에 따른 알림을 사용자 단말(1) 화면에 표시하고, 이에 대한 사용자의 선택이 있으면 상품을 배송받기 위한 주소 정보를 메시지 또는 메일을 통해 요청하게 되며 이에 따라 수신한 주소 정보를 이용하여 오프라인 배송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보 경로 및 사용자 걷기 정보 제공 시스템에서 사용자에게 제공 가능한 스페셜 코스에 대해 도 6을 기초로 이하에서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보 경로 및 사용자 걷기 정보 제공 시스템의 스페셜 코스 관리부를 통해 사용자 단말 화면에 표시되는 내용을 도시한 개략도이다.
스페셜 코스 관리부(180)는 사용자 단말(1)의 현재 위치 정보를 기준으로 해당 지역 축제 정보 및 걷기 또는 달리기 대회 정보를 수집하여 사용자 단말(1)의 화면 상에 표시되도록 한다. 또한, 스페셜 코스 관리부(180)는, 지역 축제 정보 및 걷기 또는 달리기 대회 정보를 마감 순에 따라 순위를 정하고 이 순위에 따라 지역 축제 정보 및 걷기 또는 달리기 대회 정보가 사용자 단말의 화면에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즉, 스페셜 코스 관리부(180)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에서 기본적으로 제공하는 일반 걷기 모드와 별도로 사용자에게 스페셜 코스를 제공할 수 있는데, 이러한 스페셜 코스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재 사용자 단말(1)의 위치를 기준으로 소정 거리(사용자 또는 스페셜 코스 관리부(180)에 의해 설정 변경 가능)에 있는 위치를 지나는 각종 지역 축제 및 걷기 또는 달리기 대회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 단말(1)의 화면상에 표시하여 사용자의 선택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축제 및 대회에 대한 사용자 선택이 있는 경우에는 해당 축제 또는 대회에 대한 상세 정보(일정 및 상세 경로)를 사용자 단말(1)의 화면상에 표시하고, 최종적으로 사용자의 선택이 있으면 해당 축제 또는 대회의 경로를 사용자 단말(1)에 표시하고 실제로 해당 경로를 사용자가 걷을 수 있도록 모드를 전환하게 된다.
특히, 사용자 단말(1)의 현재 위치에서 소정 거리에 있는 각종 축제 및 대회에 대한 정보는, 축제 및 대회의 마감 일정 순으로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데 이러한 과정은 다수의 축제 및 대회 정보가 있을 때 우선 순위를 축제 및 대회의 일정에 맞추어 사용자가 해당 축제 및 대회에 실제로 참석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스페셜 코스 관리부(180)는 현재 사용자 단말(1)의 위치를 기준으로 소정 거리에 있는 지점과 관련되는 각종 축제 및 대회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데, 최단 거리에 있는 지점과 관련된 축제 및 대회 정보를 우선으로 하여 사용자 단말(1)에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스페셜 코스 관리부(180)는 현재 사용자 단말(1)의 위치를 기준으로 관련 축제 및 대회 정보를 인기순으로 정렬하여 사용자 단말(1) 화면에 표시되도고 할 수 있는데, 이러한 인기순의 기준은 타 사용자들의 댓글 수, 별점 평가 등을 통해 결정될 수 있다.
또한, 지도 관리부(170)는 사용자 단말(1)의 화면에 표시되는 지도의 데이터베이스를 하나 이상 포함할 수 있고, 사용자 단말(1)의 현재 위치의 위도 및 경도 정보에 따라 서로 다른 데이터베이스에 기초한 지도가 사용자 화면에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지도 관리부(170)의 수행 과정은, 복수 개의 지도 데이터베이스 중에서 사용자 단말(1)의 위치 별로 최적의 지도 데이터베이스를 각각 설정하고, 사용자 단말(1)의 위치가 변경됨에 따라 최적의 지도 데이터베이스를 적용하여, 보다 실제적인 경로 정보가 반영된 지도가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서버(100)는 사용자 단말(1)에 포함된 가속도 센서 및 위치 센서의 측정값을 기초로 사용자 단말(1) 사용자의 걸음수를 산정하는 걸음수 산정부(미도시)를 포함한다. 걸음수 산정부는 가속도 센서를 통해 측정되는 가속도값과 위치 센서를 통해 측정되는 위치 변화값에 기초하여 일반 성인의 보폭을 기준으로 걸음수를 산정할 수 있다.
또한, 서버(100)에 포함되는 골드 및 화폐 관리부(미도시)는 걸음수 산정부를 통해 산정한 걸음수 대비 소정 비율로 골드를 생성하여 사용자 단말(1)의 어플리케이션 상에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골드 및 화폐 관리부는 골드가 소정 비율로 화폐로 변환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골드 및 화폐는 어플리케이션 상의 캐릭터의 의상이나 다양한 아이템을 변경하거나 업그레이드 시키는데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서버(100) 포함되는 캐릭터 및 아이템 관리부(미도시)는 걸음수 산정부를 통해 산정한 걸음수가 소정 걸음수에 도달한 경우 또는 이동 거리 관리부(160)의 누적 이동 거리 값이 소정 이동 거리에 도달했을 때 캐릭터 또는 아이템의 외형이 변형(업그레이드, 진화)되도록 할 수 있다.
이상에서, 출원인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이와 같은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는 일 실시예일 뿐이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는 한 어떠한 변경예 또는 수정예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 사용자 단말 5 : 캐릭터
7 : 실물 캐릭터 10 : 배경 아이템
100 : 서버 110 : 경로 생성부
120 : 경로 거리 산출부 130 : 소모 칼로리 관리부
140 : 보상 수단 관리부 150 : 배경 화면 관리부
160 : 이동 거리 관리부 170 : 지도 관리부
180 : 스페셜 코스 관리부 200 : 구획
210 : 동쪽 방향 화살표 220 : 서쪽 방향 화살표
230 : 남쪽 방향 화살표 240 : 북쪽 방향 화살표
300 : 음식물 이미지 밑그림

Claims (7)

  1. 화면에 지도가 표시되며, 상기 지도상에 현재 위치 및 이동 경로를 표시할 수 있는 사용자 단말과, 상기 사용자 단말과 정보를 송수신하는 서버를 포함하는 도보 경로 및 사용자 걷기 정보 제공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상기 사용자 단말을 통한 목적지 설정 입력이 없는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의 현재 위치 정보를 기준으로 이동 구역을 네 구역으로 나누어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고, 상기 네 구역 중 어느 하나의 구역에 대한 선택이 있으면 선택된 구역에 있는 임의의 위치를 목적지로 하여 경로를 생성하는 경로 생성부를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경로 생성부가 생성한 경로를 제공받아 지도상에 현재 위치 및 생성된 경로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보 경로 및 사용자 걷기 정보 제공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의 현재 위치 정보는, 위도 및 경도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 구역에 포함되는 네 구역은, 상기 사용자 단말의 현재 위치의 위도 및 경도 정보에 기초하여 현재 위치를 중심으로 동, 서, 남, 북 방향으로 나누어진 네 구역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보 경로 및 사용자 걷기 정보 제공 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구역에 포함되는 네 구역은, 상기 현재 위치를 중심으로 동, 서, 남, 북 방향으로 90도 각도를 이루며 나누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보 경로 및 사용자 걷기 정보 제공 시스템.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상기 경로 생성부가 생성한 경로의 거리를 산출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는 경로 거리 산출부와,
    상기 경로 거리 산출부에서 산출한 거리에 상응하는 소비 칼로리를 산출하고 상기 소비 칼로리에 상응하는 음식물 이미지의 밑그림이 상기 사용자 단말에 표시되도록 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의 이동 거리에 따라 상기 음식물 이미지의 밑그림이 선명한 음식물 이미지로 변하도록 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에 표시하는 소모 칼로리 관리부,
    상기 경로 거리 산출부에서 산출한 거리에 비례하여 상기 경로 상에 보상 수단을 하나 이상 생성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의 화면에 표시되도록 하는 보상 수단 관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보 경로 및 사용자 걷기 정보 제공 시스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하나 이상의 캐릭터와 하나 이상의 배경 아이템을 생성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의 화면에 표시되도록 하는 배경 화면 관리부와,
    상기 사용자 단말이 이동한 총 이동 거리를 누적하여 저장하는 이동 거리 관리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배경 화면 관리부는, 상기 경로 거리 산출부에서 산출한 거리에 대해 상기 사용자 단말의 이동 거리에 비례하여 상기 캐릭터의 의상이나 표정을 변경하거나 상기 배경 아이템의 개수를 증가시켜 상기 사용자 단말의 화면에 표시하고,
    상기 보상 수단 관리부는, 상기 이동 거리 관리부의 누적 이동 거리에 따라 상기 캐릭터에 상응하는 실물 캐릭터가 상기 사용자 단말의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도록 오프라인 보상 수단을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보 경로 및 사용자 걷기 정보 제공 시스템.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상기 사용자 단말 화면에 표시되는 지도의 데이터베이스를 하나 이상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의 현재 위치의 위도 및 경도 정보에 따라 서로 다른 데이터베이스에 기초한 지도가 상기 사용자 화면에 표시되도록 하는 지도 관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보 경로 및 사용자 걷기 정보 제공 시스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상기 사용자 단말의 현재 위치 정보를 기준으로 해당 지역 축제 정보 및 걷기 또는 달리기 대회 정보를 수집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의 화면 상에 표시되도록 하는 스페셜 코스 관리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스페셜 코스 관리부는, 상기 지역 축제 정보 및 걷기 또는 달리기 대회 정보를 마감 순서 또는 상기 사용자 단말의 현재 위치로부터 떨어진 거리 순서 또는 인기 순서에 따라 순위를 정하고 이 순위에 따라 상기 지역 축제 정보 및 걷기 또는 달리기 대회 정보가 상기 사용자 단말의 화면에 표시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보 경로 및 사용자 걷기 정보 제공 시스템.
KR1020170012558A 2017-01-26 2017-01-26 도보 경로 및 사용자 걷기 정보 제공 시스템 KR1019769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2558A KR101976915B1 (ko) 2017-01-26 2017-01-26 도보 경로 및 사용자 걷기 정보 제공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2558A KR101976915B1 (ko) 2017-01-26 2017-01-26 도보 경로 및 사용자 걷기 정보 제공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88033A true KR20180088033A (ko) 2018-08-03
KR101976915B1 KR101976915B1 (ko) 2019-05-10

Family

ID=632502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12558A KR101976915B1 (ko) 2017-01-26 2017-01-26 도보 경로 및 사용자 걷기 정보 제공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76915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34136A (ko) * 2019-05-21 2020-12-01 엘지전자 주식회사 경로 제공 장치 및 그것의 경로 제공 방법
KR20210057296A (ko) * 2019-11-12 2021-05-21 송봉규 러닝용 주행경로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20210060888A (ko) * 2019-11-19 2021-05-27 김하연 제어된 교통신호정보를 이용한 보행자 교통정보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210074656A (ko) * 2019-12-12 2021-06-22 영진기술 주식회사 정보 제공 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75184A (ja) * 2001-09-04 2003-03-12 Denso Corp ナビゲーション装置
KR20100012187A (ko) 2008-07-28 2010-02-08 주식회사 동부하이텍 반도체 소자 테스트용 프로브 카드
KR100991669B1 (ko) * 2008-05-28 2010-11-04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단말기의 경로 검색 방법
KR101135445B1 (ko) * 2009-07-06 2012-06-27 대한민국 Rfid와 gis 기술을 융합한 유비쿼터스 산책로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20160047666A (ko) * 2014-10-22 2016-05-03 (주)플라잉마운틴 걷기 운동 보조 시스템을 이용한 비즈니스 모델 구현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75184A (ja) * 2001-09-04 2003-03-12 Denso Corp ナビゲーション装置
KR100991669B1 (ko) * 2008-05-28 2010-11-04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단말기의 경로 검색 방법
KR20100012187A (ko) 2008-07-28 2010-02-08 주식회사 동부하이텍 반도체 소자 테스트용 프로브 카드
KR101135445B1 (ko) * 2009-07-06 2012-06-27 대한민국 Rfid와 gis 기술을 융합한 유비쿼터스 산책로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20160047666A (ko) * 2014-10-22 2016-05-03 (주)플라잉마운틴 걷기 운동 보조 시스템을 이용한 비즈니스 모델 구현 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34136A (ko) * 2019-05-21 2020-12-01 엘지전자 주식회사 경로 제공 장치 및 그것의 경로 제공 방법
KR20210057296A (ko) * 2019-11-12 2021-05-21 송봉규 러닝용 주행경로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20210060888A (ko) * 2019-11-19 2021-05-27 김하연 제어된 교통신호정보를 이용한 보행자 교통정보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210074656A (ko) * 2019-12-12 2021-06-22 영진기술 주식회사 정보 제공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76915B1 (ko) 2019-05-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198179B2 (ja) モバイルデバイスを用いる健康モニタリング
US11783637B2 (en) Monitoring fitness using a mobile device
KR101976915B1 (ko) 도보 경로 및 사용자 걷기 정보 제공 시스템
CN104168825B (zh) 使用移动装置来监控健身
CN105190626B (zh) 用于监测健身的装置
JP6063977B2 (ja) アスレチック活動を促す方法およびシステム
CN105593862B (zh) 具有活动提醒的活动识别
CN105381588A (zh) 使用移动装置来监控健身
US20160174910A1 (en) Biological exercise information display processing device and biological exercise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CN106880927A (zh) 跑步积分商城兑换装置、系统及方法
CN105664447A (zh) 监控和跟踪运动活动
CN103154954A (zh) 使用移动装置监测健身
CN101713660A (zh) 用于提供位置感知健身监测服务的程序产品,方法和系统
JP2018023681A (ja) 情報出力システム、情報出力方法、及び情報出力プログラム
CN102598087A (zh) 监控和跟踪运动活动
KR101751575B1 (ko) 걷기 운동 보조 시스템을 이용한 비즈니스 모델 구현 방법
JP2018023680A (ja) 情報出力システム、情報出力方法、及び情報出力プログラム
JP2021176545A (ja) ゲームサーバ、プログラム、方法、ゲームシステムおよび情報処理端末
JP7416873B1 (ja) 仮想空間提供システム、仮想空間提供方法、及び仮想空間提供プログラム
KR20120013530A (ko) 캐릭터를 이용한 건강관리 방법 및 시스템
Williams Cadence: a tale of fast business growth
KR20150032397A (ko) 디지털 아이템을 이용한 디지털 콘텐츠 스토어 연동 방법 및 디지털 콘텐츠 스토어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