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54671A - 다기능 정류장 - Google Patents

다기능 정류장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54671A
KR20210054671A KR1020190140588A KR20190140588A KR20210054671A KR 20210054671 A KR20210054671 A KR 20210054671A KR 1020190140588 A KR1020190140588 A KR 1020190140588A KR 20190140588 A KR20190140588 A KR 20190140588A KR 20210054671 A KR20210054671 A KR 202100546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s
frame
stop
passengers
beac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405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은아
Original Assignee
이은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은아 filed Critical 이은아
Priority to KR10201901405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54671A/ko
Publication of KR202100546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5467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00Buildings or groups of buildings for dwelling or office purposes; General layout, e.g. modular co-ordination or staggered storeys
    • E04H1/12Small buildings or other erections for limited occupation, erected in the open air or arranged in buildings, e.g. kiosks, waiting shelters for bus stops or for filling stations, roofs for railway platforms, watchmen's huts or dressing cubicles
    • E04H1/1205Small buildings erected in the open air
    • E04H1/1211Waiting shelters for bus stop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7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with automatic actu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14Payment architectures specially adapted for billing syste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123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dicating the position of vehicles, e.g. scheduled vehicles; Managing passenger vehicles circulating according to a fixed timetable, e.g. buses, trains, trams
    • G08G1/133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dicating the position of vehicles, e.g. scheduled vehicles; Managing passenger vehicles circulating according to a fixed timetable, e.g. buses, trains, trams within the vehicle ; Indicators inside the vehicles or at stop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1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 E05Y2900/13Type of wing
    • E05Y2900/132Do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rchitectur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Remote Sensing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Devices For Checking Fares Or Tickets At Control Points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기능 정류장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눈, 비, 미세먼지, 추위 등으로부터 버스를 기다리는 승객을 보호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버스가 승객의 유무를 확인할 수 있어 승객이 있음에도 정류장을 지나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다기능 정류장에 관한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일측에 형성되는 출입문과, 상기 프레임의 타측에 형성되는 탑승문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출입문의 측부에는 승객이 탑승할 버스의 정보를 입력하는 입력장치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다기능 정류장{a multifucntional station}
본 발명은 다기능 정류장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눈, 비, 미세먼지, 추위 등으로부터 버스를 기다리는 승객을 보호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버스가 승객의 유무를 확인할 수 있어 승객이 있음에도 정류장을 지나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다기능 정류장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승객들이 버스를 타기 위해 버스정류장에서 기다리게 되는데, 이때 승객들이 비를 피하거나 햇볕 등으로 부터 보호받을 수 있도록 천정을 구비하는 부스가 설치되어 있기도 한다.
그러나, 종래의 버스정류장 부스는 후방만 기둥 또는 벽체로 차단되어 있으나, 전방과 측방은 개방된 구조여서 승객들이 비와 바람, 더위나 추위 등으로 부터 노출된 상태이다.
특히 최근에는 미세먼지로 인해 실외에서 버스를 기다리는 탑승 대기자들의 건강이 심각하게 위협받고 있는 실정이다.
이때, 버스정류장 부스의 개방부를 차단함에 있어 하우징의 롤에 감겨있는 차단막을 천정으로 부터 아래로 내려 부스의 전방과 측방을 커버함으로써 부스 내부를 밀폐공간으로 형성하게 되는데, 이때 차단막이 강한 바람 등에 의해 펄럭거리거나 들춰지는 경우가 발생하게 되면 부스 내부의 밀폐력이 떨어지므로 소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곤란한 단점을 갖는다.
따라서, 버스를 기다리는 승객들을 비나 미세먼지, 추위와 더위로 부터 보호할 수 있도록 하면서 바람 등에 의해서 펄럭거지지 않도록 고정상태를 유지하고 있다가 버스나 승객이 가까이 오면 그때 커버수단이 개방되도록 하여 승하차와 출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버스정류장 부스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그래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한국공개특허 제10-2019-0102629호에 기재된 기술이 제안되었는데, 그 기술적 특징은 천정과 상기 천정을 지탱하기 위한 벽체로 이루어지는 버스정류장 부스에 있어서, 상기 부스(100)의 천정 전방과 양측 가장 자리 하단에 설치되는 차단막 하우징(113)과, 상기 차단막 하우징(113) 내부에 회전가능토록 내장되는 롤을 구비하는 축(115)과, 상기 롤에 감겨 부스의 전방과 양측방을 커버하여 부스 내부에 밀폐공간을 형성하기 위한 차단막(116)과, 상기 차단막(116)의 하단에 형성되는 도체(116a)와, 상기 축(115)을 회전시켜 차단막(116)을 승하강시키기 위한 모터(114)와, 상기 차단막(116)이 하강하는 위치에 대응되도록 형성되는 차단막 고정프레임(112)과, 상기 차단막 고정프레임(112)의 내측에 형성되어 차단막(112)의 접근을 감지하기 위한 근접센서(121)와, 상기 차단막(116)의 도체(116a)를 자력으로 당겨 고정하기 위한 전자석(112a)과, 상기 모터(114)와 근접센서(121), 전자석(112a)을 구동하고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130)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그런데, 한국공개특허 제10-2019-0102629호에 기재된 기술은 버스정류장 부스에 밀폐공간을 형성함으로써 버스를 기다리는 승객들을 비나 미세먼지, 추위와 더위로 부터 보호할 수 있도록 하는 장점은 있으나, 버스 운전자가 정류장의 내부에 승객이 있는지 확인이 어려워 정류장을 지나찰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9-0102629호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버스 등의 대중교통을 탑승하기 위한 정류장을 밀폐공간으로 형성하여 승객들을 외부의 비, 눈, 추위나 더위, 미세먼지로부터 보호할 수 있으며, 외면에 내부에 승객이 있음을 알리기 위한 승객 알림 표시부를 구비하여 버스가 정류장을 지나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다기능 정류장을 제공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승객이 정류장에 진입시에 탑승할 버스의 정보를 입력하고 비용도 미리 결제하도록 하여, 해당 정류장에 있는 승객은 어떠한 버스를 탑승하는 것인지 버스에 구비되는 차량 단말기로 전송하도록 하여 버스의 운전자가 해당 버스의 승객이 없는 정류장은 지나치도록 하고, 탑승시에는 별도의 요금결제 단계를 생략하도록 함으로써, 신속하게 탑승할 수 있어 정류장의 복잡도를 줄여줄 수 있는 다기능 정류장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일측에 형성되는 출입문과, 상기 프레임의 타측에 형성되는 탑승문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출입문의 측부에는 승객이 탑승할 버스의 정보를 입력하는 입력장치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입력장치에는 요금을 결제하기 위한 결제부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프레임에는 원격지의 서버와 통신을 위한 통신모듈이 구비되고, 버스에는 상기 서버와 통신하는 차량 단말기가 설치되며, 상기 차량 단말기는 서버로부터 각 정류장에 수용된 해당 버스의 승객 정보를 화면으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버스에는 제1비콘이 구비되고, 상기 프레임에는 제1비콘과 통신하는 제2비콘이 구비되며, 상기 프레임에 구비되는 제어부는 상기 제2비콘을 통하여 감지한 버스의 정보가 상기 입력장치를 통하여 입력한 버스 정보에 합치될 경우, 상기 프레임의 내측에 구비되는 디스플레이부 및 스피커를 통하여 해당 버스의 도착을 알리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장치를 통하여 입력된 버스의 도착을 감지할 경우, 상기 프레임에 구비되는 도어 구동 장치를 제어하여 탑승문을 개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프레임의 외측에는 내부에 승객이 있을 경우 이를 표시하는 승객 알림 표시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르면, 버스 등의 대중교통을 탑승하기 위한 정류장을 밀폐공간으로 형성하여 승객들을 외부의 비, 눈, 추위나 더위, 미세먼지로부터 보호할 수 있으며, 외면에 내부에 승객이 있음을 알리기 위한 승객 알림 표시부를 구비하여 버스가 정류장을 지나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승객이 정류장에 진입시에 탑승할 버스의 정보를 입력하고 비용도 미리 결제하도록 하여, 해당 정류장에 있는 승객은 어떠한 버스를 탑승하는 것인지 버스에 구비되는 차량 단말기로 전송하도록 하여 버스의 운전자가 해당 버스의 승객이 없는 정류장은 지나치도록 하고, 탑승시에는 별도의 요금결제 단계를 생략하도록 함으로써, 신속하게 탑승할 수 있어 정류장의 복잡도를 줄여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버스 정류장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종래의 버스 정류장의 블럭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정류장의 개념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정류장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정류장의 블럭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다수의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기술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정류장의 개념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정류장의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정류장의 블럭도이다.
본 발명은 다기능 정류장에 관한 것으로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구성은 사각 박스 형상으로 이루어져 정류장(400)의 몸체를 형성하는 프레임(410)과 상기 프레임(410)의 일측에 형성되는 출입문(432)과 상기 프레임(410)의 타측에 형성되는 탑승문(434)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출입문(432)과 탑승문(434)는 프레임(410)에 설치된 도어 구동 장치(430)에 의해 자동으로 개폐되며, 상기 출입문(432)으로 승객이 입장하게 되며, 상기 탑승문(434)을 통하여 정류장(400)에 도착한 버스(300)를 타기 위해 이동하게 된다.
그래서, 상기 프레임(410)을 포함한 출입문(432)과 탑승문(434)이 외부 환경과 내부를 단절시켜줌으로써, 외부의 눈, 비, 먼지 등이 유입되지 않고, 차갑고 더운 외부의 온도 역시 막아주어 승객들이 편안한 상태로 버스를 기다릴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프레임(410)의 외측에는 승객 알림 표시부(460)가 설치되는데, 상기 승객 알림 표시부(460)는 LED 등으로 이루어져 정류장(400)의 내부에 승객이 있을 경우 점등하도록 하여 버스(300)의 운전자가 해당 정류장에 승객이 있음을 확인하여 무정차로 지나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출입문(432)의 측부에는 입력장치(412)가 구비되는데, 상기 입력장치(412)는 터치 스크린 등으로 형성되어 승객이 직접 조작하여 탑승하고자 하는 버스의 정보를 입력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입력장치(412)에는 결제부(414)가 더 구비되는데, 승객은 상기 결제부(414)를 통하여 카드나 현금을 이용하여 요금을 결제하게 되고, 결제가 확인되면 상기 프레임(410)에 구비된 제어부(418)에서 상기 도어 구동 장치(430)를 제어하여 출입문(432)을 개방하게 된다.
이때, 상기 프레임(410)에는 원격지의 서버(200)와 통신망을 통하여 연결되는 통신모듈(416)이 구비되어, 승객이 입력한 버스의 정보와 요금에 대한 결제 정보를 서버(200)로 전송하여 서버(200)에서는 각 정류장(400)에 수용된 승객의 정보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서버(200)는 각 정류장과 통신망을 통하여 연결되어 정류장(400)의 상황을 실시간으로 전송받을 뿐만 아니라, 각 노선을 주행하고 있는 버스(300)와도 통신망을 통하여 연결되어 버스(300)로부터 전송받게 된다.
여기서, 상기 버스(300)에는 내부에 통신모듈(312)이 구비되는 차량 단말기(310)가 구비되어 서버(200)와 통신망을 통하여 연결되며, 버스(300)에 구비되는 GPS(330)를 통하여 획득한 각 버스(300)의 위치정보를 서버(200)로 전송하게 된다.
이때, 각 정류장(400)은 프레임(410)의 내측에 설치된 디스플레이부(422)를 통하여 서버(200)로부터 수신한 각 버스(300)의 위치 정보와 해당 정류장(400)에 도착할 예상 시간을 승객들에게 알려주게 되고, 버스(300)의 운전자는 서버(200)로부터 수신한 각 정류장(400)에 수용된 승객의 정보를 화면으로 출력함으로써, 해당 버스(300)를 이용할 승객이 각 정류장(400)에 몇명이 있는지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승객들은 원하는 버스(300)가 언제 도착할 지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게 되고, 버스(300)의 운전자는 인접한 정류장(400)에 해당 버스를 탑승할 승객이 몇명이 있는지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어 승객이 없을 때에는 정차없이 지나도록 하여 운행 시간을 조절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불필요하게 정차하지 않아도 되므로 정류장(400)의 복잡도를 줄여줄 수 있게 된다.
물론, 버스(300)가 정류장에 정차한 경우에도 전술한 바와 같이 입력장치(412)에 구비된 결제부(414)를 통하여 미리 요금을 결제하였기 때문에 버스(300) 탑승시에 별도로 요금을 결제하지 않아도 되므로 보다 신속하게 탑승할 수 있어 버스(300)를 탑승할 때의 혼잡도를 줄여줄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버스(300)에는 근거리 무선통신이 가능한 제1비콘(320)이 구비되고, 상기 프레임(410)에는 상기 제1비콘(320)과 통신하는 제2비콘(426)이 구비되는데, 상기 프레임(410)에는 각 구성들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418)가 구비되어 상기 제2비콘(426)으로부터 전송되는 정보를 처리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418)는 상기 제2비콘(426)이 각 버스(300)에 구비된 제1비콘(320)을 감지하여 버스(300)의 도착을 확인하게 되며, 제2비콘(426)은 제1비콘(320)을 통하여 버스(300)의 정보를 수신받아 승객들이 승강장에 입장할 때, 입력장치(412)를 통하여 입력한 버스 정보와 합치하는 버스(300)일 경우, 승객들에게 버스(300)의 도착을 알리게 된다.
이때, 상기 프레임(410)의 내측에는 디스플레이부(422)와 스피커(424)가 구비되어 있어, 프레임(410)의 내부에 구비된 의자에 앉아 대기하던 승객들에게 화면과 음성을 통하여 버스(300)의 도착을 알리게 된다.
한편, 상기 제어부(418)는 승객들이 입장시에 입력한 버스 정보에 합치되는 버스(300)의 도착을 감지하게 되면, 프레임(410)에 설치된 도어 구동 장치(430)를 제어하여 탑승문(434)을 개방함으로써, 해당 버스(300)를 탑승할 승객들이 도로 방향으로 형성된 탑승문(434)을 통하여 버스(300)에 탑승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탑승문(434) 및 출입문(432)에는 각각 감지 센서(미도시)가 구비되어 승객의 출입을 확인할 수 있어, 현재 정류장의 내부에 수용된 인원을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정류장(400)에 진입시에 입력장치(412)를 통하여 버스의 정보를 입력하고 요금을 결제하였는데, 돌발상황이 발생하여 승객이 버스(300)를 타지 않고 떠나야 할 경우에는 상기 입력장치(412)를 통하여 결제한 요금을 취소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프레임(410)의 상부에는 태양광 패널(450)이 구비되고, 프레임(410)의 내측에는 충전식 배터리가 구비되는 전원부가 설치되어 태양광 패널(450)을 통하여 전력을 생산하여 사용하여 에너지를 절감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프레임(410)의 내측에는 승객이 앉을 수 있도록 의자가 구비될 뿐만 아니라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우산 수납부(미도시)를 구비하여 비나 눈이 올 때, 승객들이 소지하는 우산을 수납할 수 있어 정류장(400) 내부를 깨끗하게 유지할 수 있으며, 우산 수납부에는 건조 기능이 추가되어 버스(300)에 탑승시 쾌적한 환경을 유지할 수 있게 한다.
이때, 상기 프레임(410)의 내측에는 카드 충전 장치(미도시)가 구비되어 버스 카드 등을 충전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실시 예와 실질적으로 균등한 범위에 있는 것까지 본 발명의 권리 범위가 미치는 것으로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이다.
본 발명은 다기능 정류장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눈, 비, 미세먼지, 추위 등으로부터 버스를 기다리는 승객을 보호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버스가 승객의 유무를 확인할 수 있어 승객이 있음에도 정류장을 지나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다기능 정류장에 관한 것이다.
200 : 서버 300 : 버스
310 : 차량 단말기 320 : 제1비콘
330 : GPS 410 : 프레임
430 : 도어 구동 장치
450 : 태양광 패널 460 : 승객 알림 표시부

Claims (7)

  1.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일측에 형성되는 출입문과,
    상기 프레임의 타측에 형성되는 탑승문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정류장.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출입문의 측부에는 승객이 탑승할 버스의 정보를 입력하는 입력장치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정류장.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장치에는 요금을 결제하기 위한 결제부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정류장.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에는 원격지의 서버와 통신을 위한 통신모듈이 구비되고,
    버스에는 상기 서버와 통신하는 차량 단말기가 설치되며,
    상기 차량 단말기는 서버로부터 각 정류장에 수용된 해당 버스의 승객 정보를 화면으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정류장.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버스에는 제1비콘이 구비되고,
    상기 프레임에는 제1비콘과 통신하는 제2비콘이 구비되며,
    상기 프레임에 구비되는 제어부는 상기 제2비콘을 통하여 감지한 버스의 정보가 상기 입력장치를 통하여 입력한 버스 정보에 합치될 경우, 상기 프레임의 내측에 구비되는 디스플레이부 및 스피커를 통하여 해당 버스의 도착을 알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정류장.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장치를 통하여 입력된 버스의 도착을 감지할 경우, 상기 프레임에 구비되는 도어 구동 장치를 제어하여 탑승문을 개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정류장.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의 외측에는 내부에 승객이 있을 경우 이를 표시하는 승객 알림 표시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정류장.
KR1020190140588A 2019-11-06 2019-11-06 다기능 정류장 KR2021005467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0588A KR20210054671A (ko) 2019-11-06 2019-11-06 다기능 정류장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0588A KR20210054671A (ko) 2019-11-06 2019-11-06 다기능 정류장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54671A true KR20210054671A (ko) 2021-05-14

Family

ID=759153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40588A KR20210054671A (ko) 2019-11-06 2019-11-06 다기능 정류장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54671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66978B1 (ko) * 2021-07-19 2022-02-25 김희원 감염 예방 시스템
KR102470797B1 (ko) * 2021-08-04 2022-11-25 이훈희 정류장 관리 시스템 및 정류장을 관리하는 서버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02629A (ko) 2018-02-26 2019-09-04 디엠테크 주식회사 밀폐공간을 형성할 수 있는 버스정류장 부스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02629A (ko) 2018-02-26 2019-09-04 디엠테크 주식회사 밀폐공간을 형성할 수 있는 버스정류장 부스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66978B1 (ko) * 2021-07-19 2022-02-25 김희원 감염 예방 시스템
KR102470797B1 (ko) * 2021-08-04 2022-11-25 이훈희 정류장 관리 시스템 및 정류장을 관리하는 서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609743B1 (en) Unmanned aerial vehicle (uav) and method and system for holding umbrella using uav
CA2898304C (en) Multifunctional motorized box and landing pad for automatic drone package delivery
KR20210054671A (ko) 다기능 정류장
KR20200088112A (ko) 승강 기능을 구비한 드론 택배함
KR101427712B1 (ko) 승객 안전 차단 시스템을 구비한 대중 교통 시스템용 정거장의 승강 시설물
KR102209329B1 (ko) 공공용 스마트 쉘터
KR101463603B1 (ko) 유무인 택배안전문이 부설된 출입문
CN214301424U (zh) 一种通道闸机红外安全检测装置
CN206128774U (zh) 一种智能车位锁系统
US20230295942A1 (en) Safety smart shelter for disaster evacuation
JP7303986B2 (ja) 屋根構造
CN110288920A (zh) 用于高铁站台的指引显示系统及显示方法
JP5256100B2 (ja) 充電パレットとそれを備えた機械式駐車装置
KR20210158150A (ko) 태양광발전패널이 구비된 다기능 셔터
JP2020051176A (ja) 建物の荷受け構造
JP5452109B2 (ja) 充電パレットとそれを備えた機械式駐車装置
CN112849422A (zh) 一种无人值守停机舱
CN206070432U (zh) 一种智能车位锁系统
JP5011054B2 (ja) 機械式駐車設備及びその入出庫制御方法
CN107082095A (zh) 巡防租车机器人
CN207483134U (zh) 一种电梯运行提示装置以及电梯轿厢
KR20090090178A (ko) 도로 차량 또는 철도 차량용 스마트 정거장
JP5331409B2 (ja) 駐車スペースのセキュリティシステム
CN207974583U (zh) 公交候车亭及组件
CN206127929U (zh) 一种智能车位锁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