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52704A - 이동식 관절 컨베이어장치 - Google Patents

이동식 관절 컨베이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52704A
KR20210052704A KR1020190136611A KR20190136611A KR20210052704A KR 20210052704 A KR20210052704 A KR 20210052704A KR 1020190136611 A KR1020190136611 A KR 1020190136611A KR 20190136611 A KR20190136611 A KR 20190136611A KR 20210052704 A KR20210052704 A KR 2021005270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fer
screw
joint
guide body
transferr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366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66722B1 (ko
Inventor
최창준
Original Assignee
유한회사 우솔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한회사 우솔산업 filed Critical 유한회사 우솔산업
Priority to KR10201901366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66722B1/ko
Publication of KR202100527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527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667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667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33/00Screw or rotary spiral conveyors
    • B65G33/24Det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812/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kind or type of conveyors
    • B65G2812/05Screw-conveyors
    • B65G2812/0505Driving means, constitutive elements or auxiliary devices
    • B65G2812/0511Conveyor screw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812/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kind or type of conveyors
    • B65G2812/05Screw-conveyors
    • B65G2812/0505Driving means, constitutive elements or auxiliary devices
    • B65G2812/0544Houses or frames
    • B65G2812/055Connect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crew Convey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식 관절 컨베이어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이송물을 일정높이의 상측으로 이송시키는 경우 이송가이드바디의 내측에 설치되는 벤딩형 관절스크류유닛를 통해 상기 이송물을 상측으로 용이하게 이송할 수 있도록 하는 이동식 관절 컨베이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이송물이 유입되는 호퍼(110)와, 상기 호퍼(110)의 연결되어 연장형성되는 제1절첩구(120)와, 상기 제1절첩구(120)에 연결되게 설치되는 제1이송바디(130)와, 상기 제1이송바디(130)에 연결되어 연장형성되는 제2절첩구(140)와, 길이방향 일측이 상기 제2절첩구(140)에 연결된 상태로 길이방향 타측에 구동모터(160)가 장착되는 제2이송바디(150)로 이루어진 이송가이드바디(100); 상기 이송가이드바디(100)의 내측에 길이방향을 따라 설치된 상태로 상기 구동모터(160)의 구동축(161)에 연결되어 상기 호퍼(110)로 유입된 이송물을 상기 제2이송바디(150)로 이송하는 관절스크류유닛(200); 상기 이송가이드바디(100)의 제2이송바디(150)에 연결되게 설치되어 상기 관절스크류유닛(200)에 의해 이송된 이송물을 배출하는 배출가이드수단(300);으로 구성되고, 상기 관절스크류유닛(200)은, 상기 이송가이드바디(100)의 호퍼(110)에 위치하는 스타터이송스크류(210)와, 상기 제1절첩구(120)의 내측에 위치한 상태로 상기 스타터이송스크류(210)에 연결되는 제1벤딩부(220)와, 상기 제1이송바디(130)에 위치한 상태로 상기 제1벤딩부(220)에 연결되는 미들이송스크류(230)와, 상기 제2절첩구(140)의 내측에 위치한 상태로 상기 미들이송스크류(230)에 연결되는 제2벤딩부(240)와, 상기 제2이송바디(150)에 위치한 상태로 길이방향 일측이 상기 제2벤딩부(240)에 연결되고 길이방향 타측이 상기 구동모터(160)의 구동축(161)에 연결되는 메인이송스크류(25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이동식 관절 컨베이어장치{MOVING TYPE JOINT CONVEYER APPARATUS}
본 발명은 이동식 관절 컨베이어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이송물을 일정높이의 상측으로 이송시키는 경우 이송가이드바디의 내측에 설치되는 벤딩형 관절스크류유닛를 통해 상기 이송물을 상측으로 용이하게 이송할 수 있도록 하는 이동식 관절 컨베이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스크류 컨베이어는 이송물을 수평으로 직선 이동 또는 경사 바향으로 이동시키는 것으로, 일정한 길이의 이송관과, 이 이송관의 내부에서 모터등의 구동수단의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 가능하게 회전축과, 이 회전축의 외면에 축방향으로 나선 형태로 감겨지도록 설치되는 띠형상의 이송 날개로 이루어져, 상기 회전축을 구동시켜 이송 날개 사이에 개재된 이송물이 이송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스크류 컨베이어는 이송물을 압축 이송하는 스크류가 하단에 설치되어 일직선으로 이송 가능하지만, 등록실용신안 제20-0475535호 등에서 개시된 바와 같이 설치 환경에 따라 이송 각도를 설정하여 일정 높이까지 이송물을 이송 배출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기술에 따른 스크류 컨베이어 이송장치는 수평 이송을 위한 수평스크류를 통해 이송된 이송물이 소정각도로 경사진 개구부를 통해 배출되는 과정에서 상단까지 이송물을 이송하게 됨으로 개구부 및 수평스크류에 많은 하중이 발생하게 되어 장비의 파손이 빈번하게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등록특허 제10-1271722호, 등록특허 제10-1146421호 등에서 개시된 바와 같이 경사 방향으로 이송물 이송을 위한 경사진 경사스크류의 추가 설치를 통해 이송하고자 하는 높이까지 이송물을 이송 및 배출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에 따른 이송물 이송장치는 수평스크류 및 경사스크류에 각각 구동모터가 설치되어 개별적으로 회전 구동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효율적인 공간 사용이 되지 않고 장치 설치 비용이 증가하게 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수평스크류에서 분리조의 수거함으로 이송물이 이송되었다가 경사스크류로 다시 이송하게 됨으로써 많은 이송 시간이 걸리고, 분리조 내부에 이송된 이송물이 압축되어 경사스크류에서 많은 부하가 생겨 파손 및 고장이 발생하는 단점이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실정을 감안하여 창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이송물을 일정높이의 상측으로 이송시키는 경우 이송가이드바디의 내측에 설치되는 벤딩형 관절스크류유닛를 통해 상기 이송물을 상측으로 용이하게 이송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이송물의 이송작업위치에 따라 손쉽게 이동시켜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성 및 작업성의 향상을 이룰 수 있도록 하는 이동식 관절 컨베이어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이송물이 유입되는 호퍼(110)와, 상기 호퍼(110)의 연결되어 연장형성되는 제1절첩구(120)와, 상기 제1절첩구(120)에 연결되게 설치되는 제1이송바디(130)와, 상기 제1이송바디(130)에 연결되어 연장형성되는 제2절첩구(140)와, 길이방향 일측이 상기 제2절첩구(140)에 연결된 상태로 길이방향 타측에 구동모터(160)가 장착되는 제2이송바디(150)로 이루어진 이송가이드바디(100); 상기 이송가이드바디(100)의 내측에 길이방향을 따라 설치된 상태로 상기 구동모터(160)의 구동축(161)에 연결되어 상기 호퍼(110)로 유입된 이송물을 상기 제2이송바디(150)로 이송하는 관절스크류유닛(200); 상기 이송가이드바디(100)의 제2이송바디(150)에 연결되게 설치되어 상기 관절스크류유닛(200)에 의해 이송된 이송물을 배출하는 배출가이드수단(300);으로 구성되고, 상기 관절스크류유닛(200)은 상기 이송가이드바디(100)의 호퍼(110)에 위치하는 스타터이송스크류(210)와, 상기 제1절첩구(120)의 내측에 위치한 상태로 상기 스타터이송스크류(210)에 연결되는 제1벤딩부(220)와, 상기 제1이송바디(130)에 위치한 상태로 상기 제1벤딩부(220)에 연결되는 미들이송스크류(230)와, 상기 제2절첩구(140)의 내측에 위치한 상태로 상기 미들이송스크류(230)에 연결되는 제2벤딩부(240)와, 상기 제2이송바디(150)에 위치한 상태로 길이방향 일측이 상기 제2벤딩부(240)에 연결되고 길이방향 타측이 상기 구동모터(160)의 구동축(161)에 연결되는 메인이송스크류(25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스타터이송스크류(210)는 상기 제1벤딩부(220)에 길이방향 일측이 연결되는 연결스크류부재(211)와, 상기 연결스크류부재(211)의 길이방향 타측이 분리가능하게 나사결합되되 상기 이송가이드바디(100)에 연결되는 연결지지대(212)를 매개로 고정되게 설치되는 간격조절바디(213)와, 길이방향 일측이 상기 간격조절바디(213)에 분리가능하게 나사결합되는 헤드스크류부재(215)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배출가이드수단(300)은 상기 이송가이드바디(100)의 제2이송바디(150) 내부와 연통되게 설치되는 통체의 배출컨테이너(310)와, 상기 배출컨테이너(310)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막힘방지회전구(330)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이송가이드바디(100)의 내측면에 설치되어 상기 관절스크류유닛(200)에 의한 이송물의 이송과정에서 상기 이송가이드바디(100)의 내측면과 상기 관절스크류유닛(200) 사이에 이송물이 끼임되는 경우, 자체 탄성에 의해 끼임된 이송물이 이탈될 수 있도록 하는 이송물이탈장치(40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제1,2벤딩부에 의해 벤딩되는 관절스크류유닛을 통해 지면상에 위치한 이송물을 일정한 높이로 손쉽게 이송시킬 수 있음은 물론 필요에 따라 상기 이송물을 수평이송시킬 수 있어 이송작업에 따른 활용성을 높일 수 있음은 물론 이송물의 위치에 따라 손쉽에 이동시킬 수 있어 사용성 및 작업성의 향상을 기대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관절 컨베이어장치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상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관절 컨베이어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상태도,
도 3은 본 발명에 다른 이동식 관절컨베이어장치가 길이방향으로 펼쳐진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관절스크류유닛이 이송가이드바디에서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스타터이송스크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상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막힘방지회전구가 회전력전환기어부에 연결된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배출가이드수단의 단면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이송물이탈장치의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관절 컨베이어장치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에 앞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될 것이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설정된 용어들로서 이 용어들은 제품을 생산하는 생산자나 제조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을 것이며,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고,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관절 컨베이어장치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상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관절 컨베이어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상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다른 이동식 관절컨베이어장치가 길이방향으로 펼쳐진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관절스크류유닛이 이송가이드바디에서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스타터이송스크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상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막힘방지회전구가 회전력전환기어부에 연결된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배출가이드수단의 단면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이송물이탈장치의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이다.
도 1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관절 컨베이어장치는 길이방향 일측에서 유입된 이송물이 길이방향 타측으로 이송되는 이송가이드바디(100)와, 상기 이송가이드바디(100)의 내측에 길이방향을 따라 설치된 상태로 상기 이송가이드바디(100)에 설치된 구동모터(160)의 구동축(161)에 연결되어 상기 이송가이드바디(100)의 길이방향 일측에서 유입된 이송물을 길이방향 타측으로 이송하는 관절스크류유닛(200)과, 상기 이송가이드바디(100)에 연결되게 설치되어 상기 관절스크류유닛(200)에 의해 이송된 이송물을 배출하는 배출가이드수단(300)으로 구성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관절 컨베이어장치는 지면방향에 위치하는 이송물을 일정높이의 상측으로 이동하고자 하는 경우, 상기 관절스크류유닛(200)에 상기 이송물을 경사방향으로 용이하게 이송하여 이송물의 이송작업을 용이하게 이룰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이송가이드바디(100)는 이송물이 유입되어 이동되는 바디로써 이송물의 이송환경에 따라 수평되게 형성되거나 일정한 각도와 곡선을 갖도록 손쉽게 변경되어이송물의 이송을 원활히 이룰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여기서, 일 실시예로써의 상기 이송가이드바디(100)는 이송물이 유입되는 호퍼(110)와, 상기 호퍼(110)의 연결되어 연장형성되는 제1절첩구(120)와, 상기 제1절첩구(120)에 연결되게 설치되는 제1이송바디(130)와, 상기 제1이송바디(130)에 연결되어 연장형성되는 제2절첩구(140)와, 길이방향 일측이 상기 제2절첩구(140)에 연결된 상태로 길이방향 타측에 구동모터(160)가 장착되는 제2이송바디(150)로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즉, 상기 이송가이드바디(100)를 지면에 수평되게 하는 경우에는 상기 제1,2절첩구(110,140)가 접혀져 상기 호퍼(110)와 제1,2이송바디(130,150)가 지면에 대해 수평되게 함으로써 후술되는 상기 관절스크류유닛(200)에 의한 이송물의 이송을 용이하게 이룰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이송가이드바디(100)를 일정각도로 상향 경사지게 변경하는 경우에는 상기 제1,2절첩구(110,140)를 펼쳐 상기 호퍼(110)와 제1,2이송바디(130,150)가 일정각도로 상향 경사지게 연장되도록 함으로써 후술되는 상기 관절스크류유닛(200)에 의한 이송물의 이송시, 지면방향에서 상측방향으로 이송물을 용이하게 이송할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제1,2절첩구(110,140)에 상기 호퍼(110)와 제1,2이송바디(130,150)가 연결되게 설치됨에 따라 상기 제1,2절첩구(110,140)의 접힘조작이나 펼침조작에 의해 상기 이송가이드바디(100)가 수평되게 설치되거 일정각도로 상향 경사지게 설치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상기 이송가이드바디(100)에는 상향 경사지게 설치되는 상태를 지지할 수 있도록 하는 지지구조물(170)이 연결되게 설치되거나 공장내 설치되는 호이스트의 후크걸이(180)에 연결되게 설치되어 상향 경사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할 수 있고, 상기 지지구조물(170)에는 본 발명에 따른 컨베이어장치의 용이한 이동을 위해 이동바퀴(171)가 설치될 수 있음을 밝혀 두는 바이다.
또한, 상기 관절스크류유닛(200)은 상기 이송가이드바디(100)의 내측에 길이방향을 따라 설치된 상태로 상기 구동모터(160)의 구동축(161)에 연결되어 상기 호퍼(110)로 유입된 이송물을 상기 제2이송바디(150)로 이송한다.
여기서, 일 실시예로써의 상기 관절스크류유닛(200)은 상기 이송가이드바디(100)의 호퍼(110)에 위치하는 스타터이송스크류(210)와, 상기 제1절첩구(120)의 내측에 위치한 상태로 상기 스타터이송스크류(210)에 연결되는 제1벤딩부(220)와, 상기 제1이송바디(130)에 위치한 상태로 상기 제1벤딩부(220)에 연결되는 미들이송스크류(230)와, 상기 제2절첩구(140)의 내측에 위치한 상태로 상기 미들이송스크류(230)에 연결되는 제2벤딩부(240)와, 상기 제2이송바디(150)에 위치한 상태로 길이방향 일측이 상기 제2벤딩부(240)에 연결되고 길이방향 타측이 상기 구동모터(160)의 구동축(161)에 연결되는 메인이송스크류(250)로 구성될 수 있을 것이다.
즉, 상기 제1,2벤딩부(220,240)가 상기 제1,2절첩구(110,140)에 위치되도록 하고, 상기 스타터이송스크류(210), 미들이송스크류(230), 메인이송스크류(250)가 상기 호퍼(110) 및 제1,2이송바디(130,150)에 위치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이송가이드바디(100)를 일직선상으로 펼치거나 일정한 경사도록 상향 경사지게 변경하는 경우, 이에 용이하게 대응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인 것이다. 이때, 상기 제1,2벤딩부(220,240)는 유니버셜조인트의 구조를 갖도록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때, 상기 스타터이송스크류(210)는, 상기 제1벤딩부(220)에 길이방향 일측이 연결되는 연결스크류부재(211)와, 상기 연결스크류부재(211)의 길이방향 타측이 분리가능하게 나사결합되되 상기 이송가이드바디(100)에 연결되는 연결지지대(212)를 매개로 고정되게 설치되는 간격조절바디(213)와, 길이방향 일측이 상기 간격조절바디(213)에 분리가능하게 나사결합되는 헤드스크류부재(215)로 구성될 수 있을 것이다.
이때, 상기 연결스크류부재(211)와 헤드스크류부재(215)는 회전봉(216)과 상기 회전봉(216)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나선형임펠러(217)로 이루어진 것으로, 상기 회전봉(216)이 상기 간격조절바디(213)에 나사결합되는 구조를 갖도록 이루어진다.
즉, 상기 호퍼(100)을 통해 유입된 이송물을 상기 관절스크류유닛(200)에 의해 이송하는 과정이 장기간 지속되면 일정위치의 나선형임펠러가 마모되는 현상이 발생함에 따라 본 발명에서는 상기 상기 연결스크류부재(211)와 헤드스크류부재(215)의 위치가 상기 간격조절바디(213)을 기준으로 길이방향으로 일정길이 이동될 수 있도록 하여 어느 한부위에서의 상기 나선형임펠러의 마모현상을 줄여 효과적인 이송물 이송작업을 장기간 원활히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배출가이드수단(300)은 상기 이송가이드바디(100)의 제2이송바디(150)에 연결되게 설치되어 상기 관절스크류유닛(200)에 의해 이송된 이송물을 배출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상기 배출가이드수단(300)에는 상기 이송물을 소정의 장소로 안내할 수 있도록 하는 플랙시블안내배관(320)이 연결되게 설치될 수 있을 것이다.
여기서, 일 실시예로써의 상기 배출가이드수단(300)은 상기 제2이송바디(150)내부와 연통되게 설치되는 통체의 배출컨테이너(310)와, 상기 배출컨테이너(310)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막힘방지회전구(330)로 구성될 수 있을 것이다.
이때, 상기 배출컨테이너(310)는 길이방향 일측이 상기 제2이송바디(150)에 연결된 상태로 길이방향 타측이 상기 막힘방지회전구(330)에 연결되는 통체의 조인트몸체(311)와, 길이방향 일측이 상기 막힘방지회전구(330)에 연결된 상태로 길이방향 타측이 상기 플랙시블안내배관(320)에 연결되는 통체의 연장몸체(312)로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상기 막힘방지회전구(330)는 상기 관절스크류유닛(200)에 의해 상기 제2이송바디(150)로 이송된 이송물이 상기 배출컨테이너(310)로 배출되는 과정에서 상기 배출컨테이너(310)의 내부로 과유입되어 상기 배출컨테이너(310)의 내측에 쌓이거나 걸림되는 경우 회전에 의해 걸림된 이송물을 걸림해제함으로써 원활한 배출을 유도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막힘방지회전구(330)의 일 실시예를 살펴보면, 상기 막힘방지회전구(330)는 상기 조인트몸체(311)와 연장몸체(312)가 결합되는 결속바디(331)와, 상기 결속바디(331)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되 외주연 둘레를 따라 나사산이 형성된 링형 걸림해제구(332)로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이때, 상기 걸림해제구(332)의 내주연에는 다수개의 설치공(333)이 일정간격으로 형성되고, 상기 설치공(333)에는 탄성력을 갖는 스프링부재(334)와 상기 스프링부재(334)에 간섭된 상태로 일측이 상기 걸림해제구(332)의 내측으로 돌출되는 탄성반응볼(335)이 설치될 수 있을 것이다. 여기서, 상기 걸림해제구(332)의 내주연에는 상기 탄성반응볼(335)의 외부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이탈방지캡(336)이 설치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상기 막힘방지회전구(330)는 상기 구동모터(160)에 연결되는 회전력전환기어부(340)에 의해 연동되어 회전되는 것으로, 상기 회전력전환기어부(340)는 상기 구동모터(160)의 구동축(161)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메인기어구(341)와, 상기 메인기어구(341)에 기어결합되게 설치되되 중앙부에 회전스틱(343)이 설치된 전달기어구(342)와, 상기 회전스틱(343)의 단부에 결합된 상태로 상기 걸림해제구(332)의 외주연에 기어결합되는 구동기어구(344)로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이때, 상기 회전력전환기어부(340)는 별도의 기어박스(미부호)의 내측에 위치하도록 설치될 수 있음을 밝혀 두는 바이다.
상기와 같은 회전력전환기어부(340)에 의해 상기 막힘방지회전구(330)가 구동되는 상태를 살펴보면, 상기 구동모터(160)의 구동에 의해 구동축(161)이 회전하게 되면 상기 회전력전환기어부(340)의 구동에 의해 상기 막힘방지회전구(330)의 걸림해제구(332)가 회전되면서 상기 탄성반응볼(335)이 상기 스프링부재(334)의 탄성력에 의해 진동되면서 상기 배출컨테이너(310)의 내주연에 걸림된 이송물을 걸림해제함으로써 이송물의 원활한 배출을 유도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이송가이드바디(100)의 내측면에는 이송물이탈장치(400)가 설치되는데, 상기 이송물이탈장치(400)는 상기 이송가이드바디(100)의 내측면에 설치되어 상기 관절스크류유닛(200)에 의한 이송물의 이송과정에서 상기 이송가이드바디(100)의 내측면과 상기 관절스크류유닛(200) 사이에 이송물이 끼임되는 경우, 자체 탄성에 의해 끼임된 이송물이 이탈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여기서, 일 실시예로써의 상기 이송물이탈장치(400)를 살펴보면 상기 이송가이드바디(100)의 내측면에서 일정간격 이격되게 설치되는 요동판(410)과, 상기 요동판(410)과 상기 이송가이드바디(100)의 내측면 사이에 설치되는 탄성스프링(420)으로 이루어져 상기 관절스크류유닛(200)에 의해 이송되는 이송물이 상기 요동판(410)과 관절스크류유닛(200) 사이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요동판(410)이 상기 이송가이드바디(100) 방향으로 밀려나면서 이송물의 끼임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상술한 실시 예에 한정하지 않고,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이송가이드바디 110: 호퍼
120: 제1절첩구 130: 제1이송바디
140: 제2절첩구 150: 제2이송바디
160: 구동모터 170: 지지구조물
180: 후크걸이 200: 관절스크류유닛
210: 스타터이송스크류 220: 제1벤딩부
230: 미들이송스크류 240: 제2벤딩부
250: 메인이송스크류 300: 배출가이드수단
310: 배출컨테이너 320: 플랙시블안내배관
330: 막힘방지회전구 340: 회전력전환기어부
400: 이송물이탈장치 410: 요동판
420: 탄성스프링

Claims (4)

  1. 이송물이 유입되는 호퍼(110)와, 상기 호퍼(110)의 연결되어 연장형성되는 제1절첩구(120)와, 상기 제1절첩구(120)에 연결되게 설치되는 제1이송바디(130)와, 상기 제1이송바디(130)에 연결되어 연장형성되는 제2절첩구(140)와, 길이방향 일측이 상기 제2절첩구(140)에 연결된 상태로 길이방향 타측에 구동모터(160)가 장착되는 제2이송바디(150)로 이루어진 이송가이드바디(100); 상기 이송가이드바디(100)의 내측에 길이방향을 따라 설치된 상태로 상기 구동모터(160)의 구동축(161)에 연결되어 상기 호퍼(110)로 유입된 이송물을 상기 제2이송바디(150)로 이송하는 관절스크류유닛(200); 상기 이송가이드바디(100)의 제2이송바디(150)에 연결되게 설치되어 상기 관절스크류유닛(200)에 의해 이송된 이송물을 배출하는 배출가이드수단(300);으로 구성되고,
    상기 관절스크류유닛(200)은, 상기 이송가이드바디(100)의 호퍼(110)에 위치하는 스타터이송스크류(210)와, 상기 제1절첩구(120)의 내측에 위치한 상태로 상기 스타터이송스크류(210)에 연결되는 제1벤딩부(220)와, 상기 제1이송바디(130)에 위치한 상태로 상기 제1벤딩부(220)에 연결되는 미들이송스크류(230)와, 상기 제2절첩구(140)의 내측에 위치한 상태로 상기 미들이송스크류(230)에 연결되는 제2벤딩부(240)와, 상기 제2이송바디(150)에 위치한 상태로 길이방향 일측이 상기 제2벤딩부(240)에 연결되고 길이방향 타측이 상기 구동모터(160)의 구동축(161)에 연결되는 메인이송스크류(25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관절 컨베이어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타터이송스크류(210)는, 상기 제1벤딩부(220)에 길이방향 일측이 연결되는 연결스크류부재(211)와, 상기 연결스크류부재(211)의 길이방향 타측이 분리가능하게 나사결합되되 상기 이송가이드바디(100)에 연결되는 연결지지대(212)를 매개로 고정되게 설치되는 간격조절바디(213)와, 길이방향 일측이 상기 간격조절바디(213)에 분리가능하게 나사결합되는 헤드스크류부재(215)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관절 컨베이어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가이드수단(300)은, 상기 이송가이드바디(100)의 제2이송바디(150) 내부와 연통되게 설치되는 통체의 배출컨테이너(310)와, 상기 배출컨테이너(310)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막힘방지회전구(33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관절 컨베이어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가이드바디(100)의 내측면에 설치되어 상기 관절스크류유닛(200)에 의한 이송물의 이송과정에서 상기 이송가이드바디(100)의 내측면과 상기 관절스크류유닛(200) 사이에 이송물이 끼임되는 경우, 자체 탄성에 의해 끼임된 이송물이 이탈될 수 있도록 하는 이송물이탈장치(40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관절 컨베이어장치.
KR1020190136611A 2019-10-30 2019-10-30 이동식 관절 컨베이어장치 KR1022667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6611A KR102266722B1 (ko) 2019-10-30 2019-10-30 이동식 관절 컨베이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6611A KR102266722B1 (ko) 2019-10-30 2019-10-30 이동식 관절 컨베이어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52704A true KR20210052704A (ko) 2021-05-11
KR102266722B1 KR102266722B1 (ko) 2021-07-08

Family

ID=759147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36611A KR102266722B1 (ko) 2019-10-30 2019-10-30 이동식 관절 컨베이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6672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6547Y1 (ko) * 2022-10-18 2023-02-23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붕산 저장 탱크의 붕산 주입용 안전 받침대
KR102546148B1 (ko) * 2022-04-21 2023-06-20 김진호 의류라벨 제조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10000710Y1 (ko) * 1987-12-09 1991-02-08 주식회사 성철사 가스렌지의 불꽃 조절 고정장치
JPH1086033A (ja) * 1996-09-10 1998-04-07 Suzuki Motor Corp 切削屑搬送装置
KR19990015134U (ko) * 1997-10-13 1999-05-15 김덕중 분체시료공급장치의 막힘방지장치
KR20130101404A (ko) * 2012-03-05 2013-09-13 주식회사성우 슬러지 이송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10000710Y1 (ko) * 1987-12-09 1991-02-08 주식회사 성철사 가스렌지의 불꽃 조절 고정장치
JPH1086033A (ja) * 1996-09-10 1998-04-07 Suzuki Motor Corp 切削屑搬送装置
KR19990015134U (ko) * 1997-10-13 1999-05-15 김덕중 분체시료공급장치의 막힘방지장치
KR20130101404A (ko) * 2012-03-05 2013-09-13 주식회사성우 슬러지 이송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46148B1 (ko) * 2022-04-21 2023-06-20 김진호 의류라벨 제조장치
KR200496547Y1 (ko) * 2022-10-18 2023-02-23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붕산 저장 탱크의 붕산 주입용 안전 받침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66722B1 (ko) 2021-07-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676554B2 (en) System and method for delivering proppant to a blender
KR20210052704A (ko) 이동식 관절 컨베이어장치
CN108750543A (zh) 一种刮板可调节的埋刮板输送机
CN207698671U (zh) 一种搅拌站骨料输送机
CN114890059B (zh) 一种自动上料机
US20140299633A1 (en) Rotary pipe-type linear feeder
EP3363754A1 (en) Bin sweep assembly and method
CN205473450U (zh) 一种有机肥发酵槽自动布料出料及翻抛装置
CN110027858A (zh) 一种螺旋输送机
RU2550239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выгрузки кускового материала из бункера
CN108910562B (zh) 一种阻尼式物料碎末匀速下料装置
CN206996876U (zh) 水平下料卧式离心机
CN102627192A (zh) 药品摆药机的药箱
CN106614863B (zh) 用于揉搓和挤压面条的自动桌上机
CN212333540U (zh) 一种二甲基二硫加工的锥形加料斗的防堵塞自动下料机构
CN211033764U (zh) 一种履带式喂料仓
CN202625322U (zh) 药品摆药机的药箱
JP6010816B2 (ja) 水平スクリュー式サイロ及びこれを備えた貨物運搬船
JP7054625B2 (ja) 連続式アンローダ
CN220222759U (zh) 一种无机原料生产用自动加料装置
CN206327835U (zh) 组合式双向螺旋提升输送器
CN206358851U (zh) 单入双出分料用螺旋输送机
AU2016318965A1 (en) System and method for delivering proppant to a blender
CN206447132U (zh) 一种大运量刮板输送机
CN215755328U (zh) 螺旋搅拌输送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