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52698A - 이온성 액체를 이용한 하이브리드 유기소재 정제장치 - Google Patents

이온성 액체를 이용한 하이브리드 유기소재 정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52698A
KR20210052698A KR1020190136573A KR20190136573A KR20210052698A KR 20210052698 A KR20210052698 A KR 20210052698A KR 1020190136573 A KR1020190136573 A KR 1020190136573A KR 20190136573 A KR20190136573 A KR 20190136573A KR 20210052698 A KR20210052698 A KR 202100526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rganic material
ionic liquid
sublimation
unit
type con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365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영일
채진석
김재훈
오세윤
남태현
박샘이
Original Assignee
(주)일솔레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일솔레드 filed Critical (주)일솔레드
Priority to KR10201901365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52698A/ko
Publication of KR202100526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5269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7/00Sublim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9/00Crystallis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303/00Preparation of esters or amides of sulfuric acids; Preparation of sulfonic acids or of their esters, halides, anhydrides or amides
    • C07C303/42Separation; Purification; Stabilisation; Use of additives
    • C07C303/44Separation; Purific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311/00Amides of sulfonic acids, i.e. compounds having singly-bound oxygen atoms of sulfo groups replaced by nitrogen atoms, not being part of nitro or nitroso groups
    • C07C311/48Amides of sulfonic acids, i.e. compounds having singly-bound oxygen atoms of sulfo groups replaced by nitrogen atoms, not being part of nitro or nitroso groups having nitrogen atoms of sulfonamide groups further bound to another hetero atom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233/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3-diazole or hydrogenated 1,3-diazole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 C07D233/54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3-diazole or hydrogenated 1,3-diazole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having two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 C07D233/56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3-diazole or hydrogenated 1,3-diazole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having two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with only hydrogen atoms or radicals containing only hydrogen and carbon atoms, attached to ring carbon atoms
    • C07D233/58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3-diazole or hydrogenated 1,3-diazole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having two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with only hydrogen atoms or radicals containing only hydrogen and carbon atoms, attached to ring carbon atoms with only hydrogen atoms or radicals containing only hydrogen and carbon atoms, attached to ring nitrogen ato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9/00Crystallisation
    • B01D2009/0086Processes or apparatus therefor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Vaporization, Distillation, Condensation, Sublimation, And Cold Traps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Abstract

이 발명의 이온성 액체를 이용한 하이브리드 유기소재 정제장치는, 불순물이 함유된 유기소재를 승화시키는 승화부와, 승화부와 연통하도록 배치되어 유기소재의 승화기체를 역고깔 타입의 용기를 따라 하향 유동하는 이온성 액체와 1차 접촉시켜 승화기체를 포집하여 용해시키는 용해부, 및 상기 역고깔 타입의 용기와 연통하는 고깔 타입의 용기 내에서 이온성 액체에 용해된 승화기체 중 조성 구성의 주성분인 정제대상 유기소재를 우선 과포화시켜 재결정화된 유기소재를 생성하고 후처리하는 후처리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이온성 액체를 이용한 하이브리드 유기소재 정제장치{Apparatus of refining organic materials with impurities through ionic liquids}
이 발명은 이온성 액체를 이용한 하이브리드 유기소재 정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유기EL(electroluminescence) 소자의 발광체 혹은 수송체로 사용가능한 저분자 유기소재의 고순도화시 이온성 액체의 손실을 예방할 수 있는 이온성 액체를 이용한 하이브리드 유기소재 정제장치에 관한 것이다.
유기소재의 순도는 OLED 소자의 발광특성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한 요인이다. 즉, 유기소재 중에 불순물이 혼입되어 있으면, 그 불순물이 캐리어의 트랩이 되거나 소광의 원인이 되어 발광 강도 및 발광 효율을 저하시킨다. 따라서, 불순물을 제거하기 위하여 유기소재 원료를 정제하고 있다.
유기소재 원료의 정제방법으로는 일반적으로 용매를 사용한 재결정 또는 승화에 의한 재결정이 사용되고 있다. 용매를 사용한 재결정은 유기소재 원료를 대량으로 정제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으나, 용매를 사용하기 때문에 용매가 유기결정 중에 들어가 버리기 쉽다는 단점이 있다. 즉, 유기결정 중에 들어간 용매가 불순물로 작용하여 발광특성을 저하시키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다른 정제방식으로는 고성능 액체 크로마토그래피(HPLC :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와 같은 크로마토그래피 방식이 있는데, 이와 같은 크로마토그래피 방식으로 정제를 하는 경우, 단순한 화학적 정제 공정에 비하여 더 높은 순도를 달성할 수가 있다. 그러나, 이러한 크로마토그래피 방식은 대부분 분석용으로만 이용되고 있는 실정이고, 대량 생산의 재료 정제용으로 이용하기에는 부적합한 공정으로 여겨지고 있다.
따라서, 유기소재 원료는 통상적으로 진공승화 정제법을 이용하여 정제하고 있다. 즉, 한국 특허등록 제1296430호, 제1304350호 및 제1343487호 등에 기재된 바와 같이, 유기소재의 승화점 차이(온도구배)를 이용하여 유기소재와 불순물을 분리 정제하는 것이다. 이러한 진공승화 정제법은 순수한 물리적인 방법으로서 보조 시약의 사용이나 그 이외의 화학적 방법에 의하지 않으므로 시료의 오염이 없고 분리율이 큰 장점을 가지고 있어서 OLED 소자용 유기소재의 정제에 유용한 방법으로 알려져 있다.
그런데, 진공승화 정제법은 고순도 유기소재를 얻기 위해 2~3회 이상의 반복 공정을 수행함에 따른 저수율 및 대량 생산 한계로 인해 소재의 단가가 높은 편이고, 승화정제기 쿼츠(quartz) 튜브의 구경/길이가 300Φ/1.5m로 제한되어 대용량화에 한계가 있다. 또한, 쿼츠(quartz) 튜브 표면에 부착된 고순도 유기소재 수거를 위해 장비의 가동 중지가 필요하고, 일정 생산량을 위해 다수의 정제 장비를 설치해야 하므로 공장 부지비, 장비비 등의 투자 부담이 크다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진공승화 정제법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기술로서, 이온성 액체(Ionic Liquids)를 이용하여 유기소재를 정제하는 기술에 대해 한국 특허등록 제1547096호 및 제1599454호 등에 개시되어 있다. 이 기술은 유기소재와 불순물의 이온성 액체 내에서의 용해도 차이(농도구배)를 이용하여 유기소재와 불순물을 분리 정제하는 것이다.
한편, 이 기술의 정제장치는 불순물이 함유된 유기소재 원료를 승화시키는 승화부와, 승화기체와 이온성 액체를 접촉시켜 이온성 액체 내에 유기소재의 승화기체를 포집하는 포집부를 포함하며, 포집부에서는 이온성 액체 내에 포집되어 용해된 승화기체의 유기소재를 과포화시켜, 이온성 액체 내에 재결정화된 유기소재를 생성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정제기술은 이온성 액체를 이용하여 정제함에 따라 1회의 공정으로도 고순도 정제가 가능하며, 80% 이상의 고수율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한국 공개특허 제2017-0128154호에도 이온성 액체를 이용한 유기소재 정제기술에 대해 공개되어 있다. 이 기술의 정제장치는 불순물이 함유된 유기소재를 승화시키는 승화부와, 승화부와 연통하도록 배치되어 유기소재의 승화기체를 용기 내에서 유동하는 이온성 액체에 접촉시켜 승화기체를 포집하여 용해시키는 용해부와, 이온성 액체에 용해된 승화기체 중 조성 구성의 주성분인 정제대상 유기소재를 우선 과포화시켜 재결정화된 유기소재를 생성하고 후처리하는 후처리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런데, 이 기술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 내의 이온성 액체를 이온성 액체가 저장되어 있는 공급탱크(ILS supplement chamber)로부터 공급받는다. 즉, 이온성 액체 내의 수분 제거를 위한 저진공 Degassing 공정이 용해부의 Main Chamber와 분리되는 구조를 갖는다. 그로 인해, 이온성 액체가 배관에 잔류하여 이온성 액체의 손실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이온성 액체를 용해부가 있는 Main Chamber로 이송 후 고진공 Degassing 진행시, 이온성 액체 공급탱크에서 미처 제거되지 못한 수분에 의해 튐 현상(Bubbling)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그래서, 용기(Bath) 위 부분을 Skirt 로 막아 튐 현상을 차단하고 있으나, 구조가 복잡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승화 및 결정화 공정 진행 후, 결정과 이온성 액체를 분리하기 위해 수작업으로 진행하고, 분리된 이온성 액체를 재사용 및 재투입하는 과정 또한 수작업으로 진행함에 따라, 자동화에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이 발명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개발된 것으로서, 유기소재의 승화기체를 역고깔 타입의 용기를 따라 하향 유동하는 이온성 액체와 1차 접촉시킨 후, 역고깔 타입의 용기와 연통하는 고깔 타입의 용기 내에서 서로 간에 접촉, 포집 및 용해하여 재결정화함으로써, Degassing 시 튐 현상이 있더라도 이온성 액체가 용기 내에 잔류하여 이온성 액체의 손실을 예방할 수 있는 이온성 액체를 이용한 하이브리드 유기소재 정제장치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이 발명은 재결정화된 유기소재가 분리된 이온성 액체를 재사용을 위해 순환시키는 구성을 채택함으로써 자동화 공정이 가능하고, 이온성 액체를 재활용함으로써 정제원가를 저감할 수 있는 이온성 액체를 이용한 하이브리드 유기소재 정제장치을 제공하는 데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이 발명의 이온성 액체를 이용한 하이브리드 유기소재 정제장치는, 불순물이 함유된 유기소재를 승화시키는 승화부와, 승화부와 연통하도록 배치되어 유기소재의 승화기체를 역고깔 타입의 용기를 따라 하향 유동하는 이온성 액체와 1차 접촉시켜 승화기체를 포집하여 용해시키는 용해부, 및 상기 역고깔 타입의 용기와 연통하는 고깔 타입의 용기 내에서 이온성 액체에 용해된 승화기체 중 조성 구성의 주성분인 정제대상 유기소재를 우선 과포화시켜 재결정화된 유기소재를 생성하고 후처리하는 후처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이 발명에 따르면, 상기 후처리부는 정제대상 유기소재를 우선 과포화시켜 재결정화하는 재결정화부와, 재결정화된 유기소재를 이온성 액체로부터 분리하여 회수하는 회수부, 및 재결정화된 유기소재가 분리된 이온성 액체를 재사용하기 위해 순환시키는 순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이 발명에 따르면, 상기 용해부는 이온성 액체를 공급하는 원형 매니폴드와, 상기 원형 매니폴드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원형 매니폴드에서 배출되는 이온성 액체를 내측 벽면에 균일한 막을 형성하면서 하부방향으로 연속적 유동시키는 상기 역고깔 타입의 용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발명은 유기소재의 승화기체를 역고깔 타입의 용기를 따라 하향 유동하는 이온성 액체와 1차 접촉시킨 후, 역고깔 타입의 용기와 연통하는 고깔 타입의 용기 내에서 서로 간에 접촉, 포집 및 용해하여 재결정화함으로써, Degassing 시 튐 현상이 있더라도 이온성 액체가 용기 내에 잔류하여 이온성 액체의 손실을 예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이 발명은 재결정화된 유기소재가 분리된 이온성 액체를 재사용을 위해 순환시키는 구성을 채택함으로써, 자동화 공정이 가능하고, 이온성 액체를 재활용함으로써 정제원가를 저감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이온성 액체를 이용한 유기소재 정제장치의 구성관계를 도시한 개념도이고,
도 2는 이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이온성 액체를 이용한 하이브리드 유기소재 정제장치의 구성관계를 도시한 개념도이며,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하이브리드 유기소재 정제장치의 평면도로서, 유기소재 승화기체와 이온성 액체의 공급 개념도이다.
이하, 이 발명에 따른 이온성 액체를 이용한 하이브리드 유기소재 정제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이 실시예는 이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이온성 액체(ionic liquid)는 양이온과 음이온의 이온결합으로 이루어진 소금과 같은 물질로서 100℃ 이하에서 액체상태로 존재하며, 고온에서도 안정적으로 액체로 존재하고, 증기압이 거의 0에 가깝기 때문에 'Green solvent'라 불리우면서 친환경 용매로 많은 관심을 받고 있다. 또한, 이온성 액체는 다양한 무기물, 유기물, 고분자 물질을 용해시킬 수 있고, 소수성, 용해도, 점도, 밀도 등의 물리화학적 특성을 쉽게 변화시킬 수 있어서 "Designer Solvent"로도 불리우며, 이론상으로 1018 가지 이상의 합성이 가능하여 용매로서의 무한한 잠재력을 지니고 있다. 즉, 이온성 액체는 기존의 유기용매가 지니지 못하는 다양한 특성을 나타낼 뿐 아니라 사용자의 목적에 맞는 용매를 선택하고 합성할 수 있다는 큰 장점을 지닌다. (이온성 액체의 최신 연구동향 1 - Overview, 인하대학교 초정밀생물분리기술연구소, 이상현, 하성호)
한편, 이온성 액체는 양이온과 음이온의 구조 변화를 통하여 비휘발성, 비가연성, 열적 안정성, 높은 이온전도도, 전기화학적 안정성, 높은 끓는점 등의 물리화학적 특성을 쉽게 변화시킬 수 있어서 다기능성 '디자이너 용매'로 각광받고 있다. 이러한 이온성 액체는 효소의 활성과 안정성을 증대시킬 수 있고, 분리과정도 쉽게 실현할 수 있고, 환경적/경제적인 측면에서도 바람직하여 향후, 이온성 액체는 여러 분야에 걸쳐서 널리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Thi Phuong Thuy Pham, Chul-Woong Cho, Yeoung-Sang Yun, "Environmental fate and toxicity of ionic liquids: A review", Water Research, 44, 2010, pp.352~372)
이 실시예에 따른 이온성 액체로는 화학식 1의 1-부틸-3-메틸리미다조리움 비스(트리플루오르메틸 술포닐)이미드(1-Butyl-3-methylimidazorium bis(trifluoromethyl sulfonyl)imide)(BMIM TFSI)를 이용하거나, 화학식 2의 1-옥틸-3-메틸리미다조리움 비스(트리플루오르메틸 술포닐)이미드(1-Octyl-3-methylimidazorium bis(trifluoromethyl sulfonyl)imide)(OMIM TFSI)를 이용할 수 있다. 또는, 1-에틸-3-메틸리미다조리움 비스(트리플루오르메틸 술포닐)이미드(1-Etyl-3-methylimidazorium bis(trifluoromethyl sulfonyl)imide)(EMIM TFSI)를 이용할 수도 있다.
[화학식 1]
Figure pat00001
[화학식 2]
Figure pat00002
상기와 같은 이온성 액체(BMIM TFSI, OMIM TFSI, EMIM TFSI)는 비휘발성 유기용매로서 이온성 액체 내에서 유기(organic)물질과 불순물이 용해-재결정화를 수 없이 반복하는 과정에서 과포화도에 더 빨리 도달하는 유기소재가 우선 재결정화되는 메카니즘으로 인해 다양한 유기소재를 정제 및 재결정화 하는데 사용이 가능하다.
한편, BMIM TFSI, OMIM TFSI, EMIM TFSI는 저융점(low melting point), 저증기압(low vapor pressure), 불연성(nonflammable), 유기분자이온의 구성(consist of organic molecular ions), 음-양이온간 조합비율의 조절성질(controllable properties by combinations of anions and cations) 등의 특성을 가지고 있다.
이 실시예에 따른 이온성 액체는 유기소재를 정제 및 재결정화를 하는데 사용되는 것으로서, 100~120℃, 10-7Torr에서도 액체상으로 안정하여 진공 공정에서도 용매로 이용이 가능하다.
한편, OLED를 구성하는 핵심재료로는 크게 전하수송용 소재(정공 주입층, 정공 수송층, 전자 주입층, 전자 수송층)와 발광용 소재(형광재료, 인광재료 및 각각의 도펀트)로 나눌 수 있다. 이러한 OLED는 그 총 두께가 100~200nm 정도로 매우 극초박막으로 구성된다. 한편, 전하수송용 소재 중에서 정공 전달 물질로는 NPB(N,N'-bis(naphthalen-1-yl)-N,N'-bis(phenyl)-benzidine), TPD(N,N'-Bis-(2-methylphenyl)-N,N'-bis(phenyl)-benzidin), NPD(N,N'-Di(naphthalen-1-yl)-N,N'-dibenzylbenzidine), CuPc(Copper Phthalocyanine), MTDATA(4,4',4''-tris(2-methylphenylamino)triphenylamine) 등과 같은 것들이 있고, 전자 전달 물질로는 Alq3(Tri-(8-hydroxy-chinolinato)-aluminium), DTVBi(4,4-Bis(2,2-diphenyethen-1-yl)-diphenyl) 등의 화합물이 있으며, 또한 발광용 물질로는 Alq3나, 쿠마린(coumarine) 유도체, 퀴나크리돈(quinacridone) 유도체, 루브렌(rubrene) 등이 있다.
따라서, 이 실시예에 따른 유기소재 원료로는 NPB 소재를 이용할 수 있다. 여기서, NPB는 승화점이 180℃ 이상이다. 따라서, 유기소재 원료를 수용하는 로딩보트를 200℃ 이상으로 가열시키면 승화된다.
한편, OLED 소자 제작을 위해 사용되는 증착물질(유기소재 원료)은 상기와 같은 물질 이외에도 여러 가지가 존재한다. 즉, 이 발명은 OLED의 전하수송용 소재 또는 발광용 소재를 구성하는 여러 종류의 유기소재를 원료로 이용할 수가 있다.
그런데, 유기소재로는 상기와 같은 OLED 소자 제작을 위한 저분자 유기발광소재 이외에도 유기TFT소재, 유기태양전지소재, 유기반도체소재 등이 있다. 따라서, 이 발명은 상기와 같은 다양한 분야에 적용되는 유기소재의 정제에 모두 이용이 가능하지만, 아래에서는 OLED용 유기소재를 일례로 하여 설명하겠다.
도 2는 이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이온성 액체를 이용한 하이브리드 유기소재 정제장치의 구성관계를 도시한 개념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하이브리드 유기소재 정제장치의 평면도로서, 유기소재 승화기체와 이온성 액체의 공급 개념도이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실시예의 하이브리드 유기소재 정제장치는 불순물이 함유된 OLED용 유기소재를 승화시키는 승화부와, 승화부와 연통하도록 배치되어 유기소재의 승화기체를 역고깔 타입의 용기를 따라 하향 유동하는 이온성 액체와 1차 접촉시켜 승화기체를 포집하여 용해시키는 용해부, 및 역고깔 타입의 용기와 연통하는 고깔 타입의 용기 내에서 이온성 액체에 용해된 승화기체 중 조성 구성의 주성분인 정제대상 유기소재를 우선 과포화시켜 재결정화된 유기소재를 생성하고 후처리하는 후처리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후처리부는 정제대상 유기소재를 우선 과포화시켜 재결정화하는 재결정화부와, 재결정화된 유기소재를 이온성 액체로부터 분리하여 회수하는 회수부, 및 재결정화된 유기소재가 분리된 이온성 액체를 재사용하기 위해 순환시키는 순환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한편, 이 실시예의 유기소재 정제장치는 PLC(programmable logic controller) 프로그램에 의해 제어되도록 구성된다.
승화부는 불순물이 함유된 OLED용 유기소재 원료를 가열하여 승화시키는 통상의 승화수단으로 구성된다. 예를 들어, 승화수단은 승화 챔버와, 승화 챔버의 내부에 배치되어 유기소재 원료를 수용하는 도가니(source crucible)와, 도가니를 가열하는 히터와, 유기소재의 승화기체가 유동하는 유동튜브(Organic transfer tube), 및 유동튜브를 따라 다수개 설치되되 유기소재의 승화기체를 하부방향으로 분사되도록 설치되는 다수개의 분사노즐을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한편, 이 실시예의 유기소재 정제장치는 유기소재 원료가 수용된 새로운 도가니와 유기소재 원료가 승화된 빈 도가니를 교체시키는 교체수단을 더 갖도록 구성해 연속공정이 가능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용해부는 승화부와 연통하도록 배치되어 유기소재의 승화기체를 역고깔 타입의 용기를 따라 하향 유동하는 이온성 액체와 1차 접촉시켜 승화기체를 포집하여 용해시키는 것으로서, 이온성 액체를 공급하는 원형 매니폴드와, 원형 매니폴드의 하부에 배치되어 원형 매니폴드에서 배출되는 이온성 액체를 내측 벽면에 균일한 막을 형성하면서 하부방향으로 연속적 유동시키는 역고깔 타입의 용기를 갖는다. 그로 인해, 역고깔 타입의 용기 내측 벽면을 타고 흐르면서 유동하는 이온성 액체에 유기소재의 승화기체가 녹아 포집되어 용해되는데, 이는 부분적으로 과포화도를 낮추어 용해속도를 높일 수 있는 장점으로 작용한다. 또한, 역고깔 타입의 용기는 일반적인 사각형태의 용기보다 면적을 넓게 구성할 수 있어서, 승화부의 분사노즐 등에서 분사되는 유기소재의 승화기체를 보다 효과적으로 녹일 수가 있다.
재결정화부는 이온성 액체에 용해된 승화기체 중 조성 구성의 주성분인 정제대상 유기소재를 우선 과포화시켜 재결정화하는 것으로서, 역고깔 타입의 용기와 연통하도록 배치되어 역고깔 타입의 용기에서 배출되는 유기소재의 승화기체가 용해된 이온성 액체를 저장하는 고깔 타입의 용기와, 고깔 타입의 용기 내의 이온성 액체를 서냉시키고 상압화하여 과포화시켜 재결정화하는 재결정화수단을 구비한다. 여기서, 재결정화수단은 러핑펌프, 밸브 등으로 구성할 수 있다.
회수부는 재결정화된 유기소재를 이온성 액체로부터 분리하여 회수하는 것으로서, 필터 등을 이용해 재결정화된 유기소재를 분리하여 회수하면 된다. 즉, 회수부는 결정이 만들어진 이온성 액체 모액을 이송하여, 결정과 이온성 액체를 분리함으로써, 이온성 액체를 재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순환부는 재결정화된 유기소재가 분리된 이온성 액체를 재사용하기 위해 순환시키는 것으로서, 이온성 액체를 정량으로 이송하는 정량펌프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순환부는 이온성 액체에 유기소재의 승화기체를 녹이는 과정 중에, 결정화 숙성이 아닌 연속적으로 이온성 액체를 순환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와 같이 이 실시예의 하이브리드 유기소재 정제장치는 유기소재의 승화기체를 역고깔 타입의 용기를 따라 하향 유동하는 이온성 액체와 1차 접촉시킨 후, 역고깔 타입의 용기와 연통하는 고깔 타입의 용기 내에서 서로 간에 접촉, 포집 및 용해하여 재결정화함에 있어서, 종래와 같은 이온성 액체 공급탱크의 필요 없이 고깔 타입의 용기 내에서, Degassing 시 튐 현상이 있더라도 이온성 액체가 용기 내에 잔류하여 이온성 액체의 손실을 예방할 수 있다.
이상에서 이 발명의 이온성 액체를 이용한 하이브리드 유기소재 정제장치에 대한 기술사항을 첨부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이 발명의 가장 양호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다. 따라서, 이 발명이 상기에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이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므로, 그러한 변형예 또는 수정예들 또한 이 발명의 청구범위에 속한다 할 것이다.

Claims (3)

  1. 불순물이 함유된 유기소재를 승화시키는 승화부와,
    승화부와 연통하도록 배치되어 유기소재의 승화기체를 역고깔 타입의 용기를 따라 하향 유동하는 이온성 액체와 1차 접촉시켜 승화기체를 포집하여 용해시키는 용해부, 및
    상기 역고깔 타입의 용기와 연통하는 고깔 타입의 용기 내에서 이온성 액체에 용해된 승화기체 중 조성 구성의 주성분인 정제대상 유기소재를 우선 과포화시켜 재결정화된 유기소재를 생성하고 후처리하는 후처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온성 액체를 이용한 하이브리드 유기소재 정제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후처리부는 정제대상 유기소재를 우선 과포화시켜 재결정화하는 재결정화부와, 재결정화된 유기소재를 이온성 액체로부터 분리하여 회수하는 회수부, 및 재결정화된 유기소재가 분리된 이온성 액체를 재사용하기 위해 순환시키는 순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온성 액체를 이용한 하이브리드 유기소재 정제장치.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용해부는 이온성 액체를 공급하는 원형 매니폴드와, 상기 원형 매니폴드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원형 매니폴드에서 배출되는 이온성 액체를 내측 벽면에 균일한 막을 형성하면서 하부방향으로 연속적 유동시키는 상기 역고깔 타입의 용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온성 액체를 이용한 하이브리드 유기소재 정제장치.
KR1020190136573A 2019-10-30 2019-10-30 이온성 액체를 이용한 하이브리드 유기소재 정제장치 KR2021005269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6573A KR20210052698A (ko) 2019-10-30 2019-10-30 이온성 액체를 이용한 하이브리드 유기소재 정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6573A KR20210052698A (ko) 2019-10-30 2019-10-30 이온성 액체를 이용한 하이브리드 유기소재 정제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52698A true KR20210052698A (ko) 2021-05-11

Family

ID=759147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36573A KR20210052698A (ko) 2019-10-30 2019-10-30 이온성 액체를 이용한 하이브리드 유기소재 정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52698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99454B1 (ko) 이온성 액체를 이용한 유기소재 정제방법 및 정제장치
EP2937124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urifying organic material using ionic liquid
KR20170128154A (ko) 이온성 액체를 이용한 유기소재 정제장치 및 정제방법
US10069070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urifying organic material by using ionic liquid
KR101605025B1 (ko) 이온성 액체를 이용한 유기재료 정제 방법
KR20210052698A (ko) 이온성 액체를 이용한 하이브리드 유기소재 정제장치
KR20140079309A (ko) 이온성 액체를 이용한 유기소재의 재결정화 방법 및 장치
KR100556354B1 (ko) 유기물 정제 장치
CN111153417B (zh) 一种废盐分盐的综合处理装置
KR20200123895A (ko) 연속 공정이 가능한 승화장치 및 이를 구비한 유기소재 정제장치
KR20150123188A (ko) 보호층을 갖는 유기소재
KR20200126460A (ko) 유기소재 인라인 정제 시스템
KR101539991B1 (ko) 이온성 액체를 이용한 유기재료 정제 방법 및 장치
KR20150109542A (ko) 이온성 액체로 정제된 oled용 유기소재의 초고순도화 방법 및 장치
KR101542346B1 (ko) 이온성 액체를 이용한 유기재료 정제 방법 및 장치
KR100497448B1 (ko) 킬레이트제를 이용한 유기 이엘 물질의 정제 방법
KR101801197B1 (ko) 용액기반의 유기소재 정제방법
KR102305504B1 (ko) 유기발광소재(oled) 정제용 이온성액체의 재사용을 위한 정제방법
KR20150108743A (ko) 이온성 액체를 이용한 스프레이형 유기소재 정제방법 및 정제장치
KR20160099769A (ko) 이온성 액체를 이용한 롤형 유기소재 정제방법 및 정제장치
KR20190010005A (ko) 이온성 액체를 이용한 유기재료의 분리 정제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분리 정제 시스템
KR20150096332A (ko) 이온성 액체를 이용한 수평형 유기소재 정제방법 및 정제장치
KR20160053165A (ko) 정제 장치 및 정제 방법
KR20150096331A (ko) 이온성 액체를 이용한 수직형 유기소재 정제방법 및 정제장치
KR101573746B1 (ko) 이온성 액체를 이용한 유기재료 정제 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