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51399A - 식물 거래 서비스 제공방법 - Google Patents

식물 거래 서비스 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51399A
KR20210051399A KR1020190136624A KR20190136624A KR20210051399A KR 20210051399 A KR20210051399 A KR 20210051399A KR 1020190136624 A KR1020190136624 A KR 1020190136624A KR 20190136624 A KR20190136624 A KR 20190136624A KR 20210051399 A KR20210051399 A KR 202100513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nt
user terminal
server
information
transaction ser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366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25322B1 (ko
Inventor
김광수
Original Assignee
김광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광수 filed Critical 김광수
Priority to KR10201901366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25322B1/ko
Publication of KR202100513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513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253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253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41Shopping interfaces
    • G06Q30/0643Graphical representation of items or shopp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07Discounts or incentives, e.g. coupons or rebat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33Lists, e.g. purchase orders, compilation or processing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서버, 상기 서버와 통신하는 이용자 단말기, 상기 서버와 통신하는 식물 판매자 단말기를 이용하는 식물 거래 서비스 제공방법에 있어서, 상기 이용자 단말기의 카메라로 상기 이용자 단말기의 주변 환경을 촬영하는 섹터 스캐닝 단계; 상기 식물 판매자 단말기에서 상기 서버로 전송된 식물 사진을 포함하는 식물 정보가 상기 서버에서 상기 이용자 단말기로 전송되는 식물 정보 수신 단계; 및 상기 이용자 단말기의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화면에 상기 식물 사진이 배치되는 식물 사진 배치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 거래 서비스 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식물 거래 서비스 제공방법. {A method for providing a plant trading service}
본 발명은 식물 거래 서비스 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실내외 공간에 다양한 식물을 배치하는 인테리어 기법이 활성화되고 있으며, 이는 플랜트와 인테리어의 합성어인 '플랜테리어'로도 불려지고 있다.
식물이 인테리어를 구성하는 중요한 요소로 각광받고 있는 만큼 식물을 구매할 수 있는 온라인 서비스들이 계속해서 출시되고 있으나, 이들 중 대부분은 과거의 오프라인 식물 거래 서비스를 단순히 온라인으로 옮겨 놓은 것에 불과하다.
따라서, 온라인을 통해 식물 자체에 대한 정보를 과거보다 상세하게 접할 수있을지는 모르나, 구매 예정인 식물이 이용자가 비치하고자 하는 장소와 조화를 잘 이루는지 여부는 구매자의 상상에 의한 추측에 의존할 수밖에 없는 것이 현실이다.
물론 오프라인으로 식물 인테리어를 제공하는 서비스가 존재하기는 하나 매번 전문가들에게 맡기기에는 경제적, 시간적 문제가 동반되기 때문에 기존의 서비스들은 뚜렷한 한계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식물 판매자는 상술한 문제로 인해, 식물을 보기 위해 사이트에 접속한 소비자가 구매결정을 하기까지 시간이 오래 걸리거나, 망설이다가 구매결정을 하지 않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제품판매가 더딘 문제를 안고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이용자가 식물 거래 서비스를 보다 손쉽게 이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목적이 있다.
보다 상세하게, 본 발명은 소비자가 식물이 배치 예정장소에 잘 어울리는지 구매 전에 확인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소비자에게 식물 배치예정 장소에 적합한 식물 인테리어를 제공하고, 이를 바로 구매할 수 있도록 하는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온라인 생태계 구축을 통해 식물 인테리어를 다양화하기 위한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서버, 상기 서버와 통신하는 이용자 단말기, 상기 서버와 통신하는 식물 판매자 단말기를 이용하는 식물 거래 서비스 제공방법에 있어서, 상기 이용자 단말기의 카메라로 상기 이용자 단말기의 주변 환경을 촬영하는 섹터 스캐닝 단계; 상기 식물 판매자 단말기에서 상기 서버로 전송된 식물 사진을 포함하는 식물 정보가 상기 서버에서 상기 이용자 단말기로 전송되는 식물 정보 수신 단계; 및 상기 이용자 단말기의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화면에 상기 식물 사진이 배치되는 식물 사진 배치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 거래 서비스 제공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식물 사진 배치 단계에서는 상기 식물 사진이 상기 이용자 단말기의 화면 상에 드래그앤드롭되어 배치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식물 사진 배치 단계는 상기 이용자 단말기의 화면에 상기 식물 사진이 적어도 2개 이상 배치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이용자 단말기의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화면에 상기 식물 사진이 배치된 정보가 포함된 플랜테리어 정보가 상기 서버에 저장되는 플랜테리어 저장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이용자 단말기의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화면에 상기 식물 사진이 배치된 정보가 포함된 플랜테리어 정보가 상기 서버에 업로드되는 플랜테리어 업로드 단계; 및 상기 이용자 단말기 외 다른 이용자 단말기에서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플랜테리어 정보를 다운로드하는 플랜테리어 다운로드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다른 이용자 단말기에서 상기 서버로 상기 플랜테리어 정보에 포함된 식물의 구매 요청 정보를 송신하는 식물 구매 요청 단계; 및 상기 식물 구매 요청 단계 이후, 상기 서버에서 상기 이용자 단말기로 리워드 정보가 전송되는 리워드 제공 단계;를 더 포함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서버, 상기 서버와 통신하는 이용자 단말기, 상기 서버와 통신하는 식물 판매자 단말기를 이용하는 식물 거래 서비스 제공방법에 있어서, 상기 이용자 단말기의 카메라로 상기 이용자 단말기의 주변 환경을 촬영하여 섹터 정보를 생성하는 섹터 스캐닝 단계; 상기 이용자 단말기에서 상기 서버로 상기 섹터 스캐닝 단계에서 생성된 섹터 정보가 전송되는 섹터 정보 전송 단계; 상기 서버에서 상기 섹터 정보에 포함된 주변 환경과 유사한 환경 및 상기 환경 내부에 배치되며 구매 가능한 식물을 포함하는 유사 플랜테리어 정보를 도출하는 유사 플랜테리어 도출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 거래 서비스 제공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유사 플랜테리어 도출 단계에서는 상기 주변 환경의 실내구조와 창호배치구조와 가구배치 및 가전배치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기준으로 유사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유사 플랜테리어 정보를 도출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이용자 단말기에서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유사 플랜테리어 정보를 다운로드하는 유사 플랜테리어 정보 수신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유사 플랜테리어 도출 단계에서 도출된 유사 플랜테리어는 상기 이용자 단말기 외 다른 이용자 단말기에서 상기 서버로 업로드된 것이며, 상기 이용자 단말기에서 상기 서버로 상기 유사 플랜테리어 정보에 포함된 식물의 구매 요청 정보를 송신하는 식물 구매 요청 단계; 및 상기 식물 구매 요청 단계 이후, 상기 서버에서 상기 다른 이용자 단말기로 리워드 정보가 전송되는 리워드 제공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용자가 식물 거래 서비스를 보다 손쉽게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보다 상세하게, 본 발명은 소비자가 식물이 배치 예정장소에 잘 어울리는지 구매 전에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소비자에게 식물 배치예정 장소에 적합한 식물 인테리어를 제공하고, 이를 바로 구매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온라인 생태계 구축을 통해 식물 인테리어를 다양화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물 거래 서비스 제공방법을 구현하는 시스템의 개략도이다.
도 2는 상기 식물 거래 서비스 제공방법을 구현하는 시스템의 세부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물 거래 서비스 제공방법에 의해 이용자 단말기에 제공되는 메인 페이지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물 거래 서비스 제공방법의 증강현실 기술을 이용해 플랜테리어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식물 거래 시스템을 제어하는 플로우를 도시한 것이다.
도 5 내지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물 거래 서비스 제공방법에 의해 이용자 단말기에게 제공되는 것으로, 상기 증강현실 기술을 이용한 플랜테리어 플로우를 구현하는 페이지들을 도시한 것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로, 식물 거래 서비스 제공방법의 증강현실 기술을 이용해 유사 플랜테리어 정보를 제공하도록 식물 거래 시스템을 제어하는 플로우를 도시한 것이다.
도 11은 상기 유사 플랜테리어 정보를 제공하는 플로우 중 유사 플랜테리어 도출 단계의 세부 플로우를 도시한 것이다.
도 12 내지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물 거래 서비스 제공방법에 의해 이용자 단말기에게 제공되는 것으로, 상기 유사 플랜테리어 정보를 제공하는 플로우를 구현하는 페이지들을 도시한 것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로, 이용자가 자신의 플랜테리어를 업로드하고, 업로드된 플랜테리어를 다른 이용자가 이용하도록 식물 거래 시스템을 제어하는 플로우를 도시한 것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대해서 살펴보기로 한다.
본 명세서에서 플랜테리어(planterior)는 식물(plant)과 인테리어(interior)의 합성어로, 식물로 실내를 꾸밈으로써 공기정화 효과와 심리적 안정 효과를 얻고자 하는 인테리어 방법 중 하나로 정의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이용자란 식물 거래 서비스를 제공받는 사람이며, 식물 판매자란 상기 이용자로부터 온라인으로 식물 주문을 받고 이에 대응하여 재화를 받고 식물을 제공하는 사람을 의미한다.
도 1은 식물 거래 서비스 제공방법을 구현하는 시스템의 개략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물 거래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유선 또는 무선 통신을 통해 네트워크(W)에 접속이 가능하며 정보를 저장하는 하는 서버(S), 유선 또는 무선 통신을 통해 네트워크(W)에 접속이 가능하며 상기 서버(S)와 정보를 송수신하는 이용자 단말기(A), 유선 또는 무선 통신을 통해 네트워크(W)에 접속이 가능하며 상기 서버(S)와 정보를 송수신하는 관리자 단말기(B), 유선 또는 무선 통신을 통해 네트워크(W)에 접속이 가능하며 상기 서버(S)와 정보를 송수신하는 식물 판매자 단말기(C)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이용자 단말기(A)와 상기 관리자 단말기(B) 및 식물 판매자 단말기(C)는 필요에 따라 다수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단말기는 유, 무선 인터넷 망을 통해 전송할 수 있도록 하는 기기를 포함하는 일체의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즉, 인터넷에 통해 접속하기 위한 기기에 해당하며, 넓게는 각종 데이터를 입력하는 키보드와 마우스 등과 같은 입력장치, 모니터 및 프린터 등과 같은 출력장치, 모뎀이나 LAN 등과 같은 송수신장치, 마이크로프로세서나 그래픽 카드와 같은 처리장치 및 이들을 운용하거나 제어하는 각종 프로그램을 탑재한 저장장치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일 예로, 개인 통신 단말기(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PCS),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단말기, 개인 디지털 셀룰러 단말기(Personal Digital Cellular; PDC),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단말기, 개인 정보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스마트폰(Smart Phone), 텔레매틱스(Telematics), 무선 데이터 통신 단말기 및/또는 휴대 인터넷 단말, 개인 컴퓨터(Personal Computer) 및 노트북(Notebook) 등이 있다.
이하 도 2를 참조하여 상기 식물 거래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구현하기 위한 시스템의 개별 구성들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상기 서버(S)는 통신하고 있는 이용자 단말기(A)와 관리자 단말기(B)와 식물 판매자 단말기(C)와 정보를 송수신하는 서버 통신부(51), 데이터와 정보를 누적하여 저장하는 데이터 베이스(52), 수신된 정보를 가공하여 정보를 도출하는 연산부(53), 상기 서버 통신부(51)와 데이터 베이스(52)와 연산부(53)를 제어하는 서버 제어부(5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서버(S)는 식물 거래 서비스 제공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전용 하드웨어 시스템 및 유무선 통신망으로 구성될 수 있음은 물론, 가상 파일 기반의 웹클라우드 서비스를 통해 구현될 수도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침구 관리 서비스 제공방법이 상기 이용자 단말기(A)를 통해 구현된 것으로, 상기 이용자 단말기(A)를 통해 메인 페이지(11)가 제공되는 것을 도시한 것이다.
상기 메인 페이지(11)에는 증강현실 기술을 이용해 식물을 상기 이용자 단말기(A) 주변환경을 촬영한 화면에 배치하기 위한 증강현실 플랜테리어 영역(111), 상기 이용자 단말기(A) 주변환경과 유사한 환경을 가진 플랜테리어를 추천해주는 맞춤형 플랜테리어 영역(112) 및, 구매 예정인 식물의 정보를 조회할 수 있는 장바구니 영역(113)이 서로 구획되어 배치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4는 증강현실 기술을 이용해 플랜테리어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식물 거래 시스템을 제어하는 플로우(S1)를 도시한 것으로, 상기 메인 페이지(11)에서 상기 플랜테리어 영역(111)이 선택되면 진행되는 플로우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물 거래 서비스 제공방법은 상기 이용자 단말기(A)의 카메라가 온 되는 단계(P1), 상기 이용자 단말기(A)의 카메라로 상기 이용자 단말기(A)의 주변 환경을 촬영하는 섹터 스캐닝 단계(P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섹터 스캐닝 단계(P2)는 증강현실 구현을 위해 바닥, 벽, 천장, 창문, 가구, 가전 등의 수량 및 배치 구조를 포함하는 섹터 정보를 카메라를 통해 인식하는 단계이다.
구체적인 섹터 스캐닝 방법은 추후 도 13에서 설명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물 거래 서비스 제공방법은 상기 이용자 단말기(A)를 통해 상기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주변 환경에 배치될 식물이 선택되는 식물 선택 단계(P3)와, 상기 식물 판매자 단말기(C)에서 상기 서버(S)로 전송된 식물 사진을 포함하는 식물 정보가 상기 서버(S)에서 상기 이용자 단말기(A)로 전송되는 식물 정보 수신 단계(P4) 및, 상기 이용자 단말기(A)의 카메라를 통해 촬영되고 있거나 이미 촬영된 화면에 상기 식물 사진이 배치되는 식물 사진 배치 단계(P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식물 사진 배치 단계(P5)에서는 상기 식물 사진이 상기 이용자 단말기의 화면 상에 드래그앤드롭되어 이용자가 원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이용자는 자신이 위치한 환경에 선택한 식물이 잘 어울리는지 구매 전에 미리 확인할 수 있다.
이는 이용자 입장에서는 가상 플랜테리어를 통해 식물이 주변환경과 조화를 잘 이루는지 즉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으며, 식물 판매자 입장에서는 판매가 활발해지고 이용자의 단순 변심에 의한 반품을 줄일 수 있으며, 관리자는 판매 증가에 따라 중개 수수료를 보다 많이 취득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특히, 벽이나 천장에 걸어서 생육하는 행잉 식물과 같은 경우도, 상기 섹터 스캐닝 단계(P2)에서 스캐닝된 천장에 드래그앤드롭되어 가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식물 사진 배치 단계(P5)에서는 상기 이용자 단말기(A)의 화면에 상기 식물 사진이 적어도 2개 이상이 배치될 수도 있으며, 이는 다양한 식물이 서로 조화를 이루는지 여부를 즉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물 거래 서비스 제공방법은 상기 이용자 단말기(A)의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화면에 상기 식물 사진이 배치된 정보가 포함된 플랜테리어 정보가 상기 서버(S)에 저장되는 플랜테리어 저장 단계(P6) 및, 상기 이용자 단말기(A)의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화면에 배치된 식물에 대한 구매 요청 정보 또는 장바구니 보관 요청 정보가 상기 이용자 단말기(A)에서 상기 서버(S)로 전송되는 단계(P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플랜테리어 저장 단계(P6)에서는 다수 개의 식물 정보가 저장될 수 있으며, 상기 구매 요청 정보 또는 장바구니 보관 요청 정보가 전송되는 단계(P7)에서도 역시 다수 개의 식물 정보가 포함되어 이용자가 선택한 식물이 한 번의 절차를 통해 구매될 수 있다.
상기 플랜테리어 저장 단계는 이용자가 다양한 플랜테리어 조합을 비교하기 위해 이용하거나, 구매할지 여부를 고민하는 과정에서 이용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선택적 단계로 구성될 수 있다.
도 5 내지 9은 상기 S1플로우가 상기 이용자 단말기(A)의 웹/어플리케이션 통해 구현된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먼저, 도 5에 도시된 것은 도 3의 상기 메인 페이지(11)에서 증강현실 플랜테리어 영역(111)이 선택되면 전환되는 화면으로, 상기 이용자 단말기(A)의 디스플레이에 모니터링 페이지(21)가 제공되는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모니터링 페이지(21)는 카메라를 통해 촬영되고 있는 주변환경의 영상이 제공되는 주변환경 영역(211) 및,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상기 주변환경 영역(211)에 배치될 식물을 검색하는 페이지로 전환되는 식물 검색 영역(212)이 서로 구획되어 배치될 수 있다.
도 6은 상기 모니터링 페이지(21)에서 상기 식물 검색 영역(212)이 선택되면 전환되는 식물 상품 분류 페이지(22)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식물 상품 분류 페이지(22)에는 식물의 분류 또는 상품 분류에 따라 리스트업된 식물 또는 상품 분류명이 나열될 수 있으며, 상기 리스트업된 식물 또는 상품 분류명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면 분류에 따라 도 7에 도시된 세부 상품 페이지(23)로 전환될 수 있다.
상기 세부 상품 페이지(23)에는 식물 사진 영역(231)과 식물 설명 영역(232) 및 공간 적용 영역(233)이 서로 구획되어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세부 상품 페이지(23)에 리스트업된 상품은 상기 식물 판매자 단말기(C) 또는 상기 관리자 단말기(B)를 통해 업로드된 식물 상품일 수 있다.
이후, 상기 세부 상품 페이지(23)에서 공간 적용 영역(233)이 선택되면, 상술한 식물 정보 수신 단계(P4)가 진행되고, 이에 따라 상기 이용자 단말기(A)의 화면에는 모니터링 페이지(21)가 다시 제공되어 상기 식물 사진 배치 단계(P5)가 진행될 수 있다.
상기 모니터링 페이지(21)에는 상기 주변환경 영역(211) 내부에 배치되는 식물 사진 구현 영역(214) 및, 상기 식물 사진 구현 영역을 드래그앤드롭 시키기 위한 드래그 영역(214)이 구비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이용자는 식물의 배치를 바꿔가며 심미감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모니터링 페이지(21)에는 선택에 의해 상기 구매 요청 정보 또는 장바구니 보관 요청 정보가 전송되는 단계(P7)가 진행되는 구매 유도 영역(216)이 배치될 수 있으며, 이는 상기 주변환경 영역(211)에 배치되어 있는 식물을 즉각적으로 구매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9는 상기 모니터링 페이지(21)에 식물 사진 구현 영역(214)과 드래그 영역(214)이 다수 개 배치된 일례로, 이 경우 구매 유도 영역(216)이 선택됨에 따라 다수 개의 식물이 한 번에 구매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0는 증강현실 기술을 이용해 유사 플랜테리어 정보를 제공하도록 식물 거래 시스템을 제어하는 플로우(S2)를 도시한 것으로, 상기 메인 페이지(11)에서 맞춤형 플랜테리어 영역(112)이 선택되면 진행되는 플로우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식물 거래 서비스 제공방법은 상기 이용자 단말기(A)의 카메라가 온 되는 단계(T1), 상기 이용자 단말기(A)의 카메라로 상기 이용자 단말기(A)의 주변 환경을 촬영하는 섹터 스캐닝 단계(T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섹터 스캐닝 단계(T2)는 증강현실 구현을 위해 바닥, 벽, 천장, 창문, 가구, 가전 등의 수량 및 배치 구조를 포함하는 섹터 정보를 카메라를 통해 인식하는 단계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식물 거래 서비스 제공방법은 상기 이용자 단말기(A)에서 상기 서버(S)로 상기 섹터 스캐닝 단계(T2)에서 생성된 섹터 정보가 전송되는 섹터 정보 전송 단계(T3), 상기 서버(S)에서 상기 섹터 정보에 포함된 주변 환경과 유사한 환경 및 상기 환경 내부에 배치되며 구매 가능한 식물을 포함하는 다수 개의 유사 플랜테리어 정보를 도출하는 유사 플랜테리어 도출 단계(T4) 및, 상기 이용자 단말기(A)에서 상기 서버(S)로부터 상기 다수 개의 유사 플랜테리어 정보를 다운로드하는 유사 플랜테리어 정보 수신 단계(T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이용자는 식물을 배치하고자 하는 주변 환경에 적합한 플랜테리어 정보를 온라인으로 바로 접할 수 있어, 오프라인을 통한 전문가의 도움없이 수준높은 플랜테리어를 손쉽게 구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식물 거래 서비스 제공방법은 상기 유사 플랜테리어 정보에 포함된 식물에 대한 구매 요청 정보 또는 장바구니 보관 요청 정보가 상기 이용자 단말기(A)에서 상기 서버(S)로 전송되는 단계(T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11은 상기 유사 플랜테리어 도출 단계(T4)의 세부 플로우를 시각화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유사 플랜테리어 도출 단계(T4)는 상기 섹터 정보에 포함된 실내 구조와 바닥/벽/천장 등의 배치가 유사한 플랜테리어를 상기 데이터 베이스(52)에서 소정 개수 추출하는 단계(K1), 상기 K1단계에서 추출된 플랜테리어 중 상기 섹터 정보에 포함된 창호 배치 구조 및 개수가 유사한 플랜테리어를 소정 개수 추출하는 유사 창호 배치 단계(K2), 상기 K2단계에서 추출된 플랜테리어 중 상기 섹터 정보에 포함된 가구 배치 구조 및 개수가 유사한 플랜테리어를 소정 개수 추출하는 유사 가구 배치 단계(K3), 상기 K3단계에서 추출된 플랜테리어 중 상기 섹터 정보에 포함된 가전 배치 구조 및 개수가 유사한 플랜테리어를 소정 개수 추출하는 유사 가전 배치 단계(K4)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이용자 단말기(A)를 통해 인식된 주변환경과 가장 유사한 환경에서의 구현된 플랜테리어에 관한 정보가 추출될 수 있다.
도 12 내지 14는 상기 S2플로우가 상기 이용자 단말기(A)의 웹/어플리케이션 통해 구현된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먼저, 도 12에 도시된 것은 도 3의 상기 메인 페이지(11)에서 맞춤형 플랜테리어 영역(112)이 선택되면 전환되는 화면으로, 상기 이용자 단말기(A)의 디스플레이에 모니터링 페이지(31)가 제공되는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모니터링 페이지(31)는 카메라를 통해 촬영되고 있는 주변환경의 영상이 제공되는 주변환경 영역(311) 및,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상기 주변환경 영역(311)의 섹터 정보를 도출하는 스캐닝 영역(313)이 서로 구획되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스캐닝 영역(313)이 선택되면, 상기 모니터링 페이지(31)는 도 13에 도시된 화면으로 대체될 수 있다.
상기 모니터링 페이지(31)에는 상기 주변환경 영역(311)에 있는 구조물들이 인식된 라인이 표시될 수 있으며, 상기 라인은 구조라인(314)과 창호라인(315)과 가구라인(316) 및 가전라인(317)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구조물 인식의 경우, 상기 서버(S)에 저장된 기존 구조물 정보를 바탕으로 기존 구조물 정보와 상기 주변환경 영역(311)에 있는 구조물의 형태 싱크로율을 연산하여 도출될 수 있으며, 머신러닝을 통해 데이터의 누적과 시간 경과에 따라 정확도가 높아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후, 상기 모니터링 페이지(31)에 제공되는 유사 플랜테리어 검색 영역(313)이 선택되면, 상기 서버(S)에서 상기 유사 플랜테리어 도출 단계가 진행될 수 있다.
도 14는 상기 유사 플랜테리어 정보 수신 단계(T5)에서 수신된 유사 플랜테리어 정보에 따라 상기 이용자 단말기(A)에 유사 플랜테리어가 제공되는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이용자 단말기(A)에는 유사 플랜테리어 페이지(32)가 제공될 수 있으며, 상기 유사 플랜테리어 페이지(32)에는 유사 플랜테리어 사진이 제공되는 전체 사진 영역(321) 및, 다른 유사 플랜테리어 정보를 불러오는 다음 플랜테리어 영역(324)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사 플랜테리어 페이지(32)에는 구매 가능 식물 영역(322)과, 선택에 의해 상기 구매 요청 정보 또는 장바구니 보관 요청 정보가 전송되는 단계(T6)가 진행되는 구매 유도 영역(323)이 배치될 수 있다.
상술한 플로우에 의해, 이용자는 전문적인 플랜테리어를 손쉽게 적용할 수 있게 된다.
도 1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것으로, 도 4와 도 10의 실시예가 서로 유기적으로 결합되어 구현될 수 있는 플로우(S3)를 도시한 것이다.
본 실시예는 이용자가 자신의 플랜테리어를 서버(S)에 업로드하고, 업로드된 플랜테리어를 다른 이용자가 이용하도록 하고, 이에 반대 급부로 이용자에게 리워드를 제공하는 플로우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식물 거래 서비스 제공방법은 상기 이용자 단말기(A)의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화면에 상기 식물 사진이 배치된 정보가 포함된 플랜테리어 정보가 상기 서버(S)에 업로드되는 플랜테리어 업로드 단계(Q1), 상기 이용자 단말기(A) 외 다른 이용자 단말기(A')에서 상기 서버(S)로부터 상기 플랜테리어 정보를 다운로드하는 플랜테리어 다운로드 단계(Q2), 상기 다른 이용자 단말기(A)에서 상기 서버(S)로 상기 플랜테리어 정보에 포함된 식물의 구매 요청 정보를 송신하는 식물 구매 요청 단계(Q3) 및, 상기 서버(S)에서 상기 이용자 단말기(A)로 리워드 정보(캐쉬, 포인트, 사이버 머니 등)가 전송되는 리워드 제공 단계(Q4)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다른 이용자 단말기(A')를 통해 상기 S1 플로우로 구성되어 서버(S)에 업로드된 플랜테리어 정보는 S2플로우를 통해 이용자 단말기(A)에서 이용될 수 있다.
이는 다양한 플랜테리어 정보가 제공될 수 있는 생태계가 자연스럽게 형성됨으로써, 이용할 수 있는 플랜테리어 정보가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는 탁월한 효과를 불러올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기재되어 있지 않은 효과라도, 본 발명은 상술한 각각의 구성들이 다른 효과를 추가적으로 가지고 있을 수 있으며, 상술한 각각의 구성들간 유기적인 결합관계에 따라 종래기술에서 볼 수 없는 새로운 효과를 도출할 수 있다.
이용자 단말기 A 관리자 단말기 B 식물 판매자 단말기 C 서버 S

Claims (10)

  1. 서버, 상기 서버와 통신하는 이용자 단말기, 상기 서버와 통신하는 식물 판매자 단말기를 이용하는 식물 거래 서비스 제공방법에 있어서,
    상기 이용자 단말기의 카메라로 상기 이용자 단말기의 주변 환경을 촬영하는 섹터 스캐닝 단계;
    상기 식물 판매자 단말기에서 상기 서버로 전송된 식물 사진을 포함하는 식물 정보가 상기 서버에서 상기 이용자 단말기로 전송되는 식물 정보 수신 단계; 및
    상기 이용자 단말기의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화면에 상기 식물 사진이 배치되는 식물 사진 배치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 거래 서비스 제공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식물 사진 배치 단계에서는
    상기 식물 사진이 상기 이용자 단말기의 화면 상에 드래그앤드롭되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 거래 서비스 제공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식물 사진 배치 단계는
    상기 이용자 단말기의 화면에 상기 식물 사진이 적어도 2개 이상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 거래 서비스 제공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용자 단말기의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화면에 상기 식물 사진이 배치된 정보가 포함된 플랜테리어 정보가 상기 서버에 저장되는 플랜테리어 저장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 거래 서비스 제공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용자 단말기의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화면에 상기 식물 사진이 배치된 정보가 포함된 플랜테리어 정보가 상기 서버에 업로드되는 플랜테리어 업로드 단계; 및
    상기 이용자 단말기 외 다른 이용자 단말기에서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플랜테리어 정보를 다운로드하는 플랜테리어 다운로드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 거래 서비스 제공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다른 이용자 단말기에서 상기 서버로 상기 플랜테리어 정보에 포함된 식물의 구매 요청 정보를 송신하는 식물 구매 요청 단계; 및
    상기 식물 구매 요청 단계 이후, 상기 서버에서 상기 이용자 단말기로 리워드 정보가 전송되는 리워드 제공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 거래 서비스 제공방법.
  7. 서버, 상기 서버와 통신하는 이용자 단말기, 상기 서버와 통신하는 식물 판매자 단말기를 이용하는 식물 거래 서비스 제공방법에 있어서,
    상기 이용자 단말기의 카메라로 상기 이용자 단말기의 주변 환경을 촬영하여 섹터 정보를 생성하는 섹터 스캐닝 단계;
    상기 이용자 단말기에서 상기 서버로 상기 섹터 스캐닝 단계에서 생성된 섹터 정보가 전송되는 섹터 정보 전송 단계;
    상기 서버에서 상기 섹터 정보에 포함된 주변 환경과 유사한 환경 및 상기 환경 내부에 배치되며 구매 가능한 식물을 포함하는 유사 플랜테리어 정보를 도출하는 유사 플랜테리어 도출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 거래 서비스 제공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유사 플랜테리어 도출 단계에서는
    상기 주변 환경의 실내구조와 창호배치구조와 가구배치 및 가전배치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기준으로 유사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유사 플랜테리어 정보를 도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 거래 서비스 제공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이용자 단말기에서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유사 플랜테리어 정보를 다운로드하는 유사 플랜테리어 정보 수신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 거래 서비스 제공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유사 플랜테리어 도출 단계에서 도출된 유사 플랜테리어는 상기 이용자 단말기 외 다른 이용자 단말기에서 상기 서버로 업로드된 것이며,
    상기 이용자 단말기에서 상기 서버로 상기 유사 플랜테리어 정보에 포함된 식물의 구매 요청 정보를 송신하는 식물 구매 요청 단계; 및
    상기 식물 구매 요청 단계 이후, 상기 서버에서 상기 다른 이용자 단말기로 리워드 정보가 전송되는 리워드 제공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 거래 서비스 제공방법.
KR1020190136624A 2019-10-30 2019-10-30 식물 거래 서비스 제공방법 KR1023253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6624A KR102325322B1 (ko) 2019-10-30 2019-10-30 식물 거래 서비스 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6624A KR102325322B1 (ko) 2019-10-30 2019-10-30 식물 거래 서비스 제공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51399A true KR20210051399A (ko) 2021-05-10
KR102325322B1 KR102325322B1 (ko) 2021-11-10

Family

ID=759174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36624A KR102325322B1 (ko) 2019-10-30 2019-10-30 식물 거래 서비스 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2532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22109403A1 (de) 2021-04-20 2022-10-20 Lg Display Co., Ltd. Anzeigevorrichtung
KR102577715B1 (ko) * 2022-07-14 2023-09-12 김주관 메타 버스 서비스를 이용한 꽃 판매 서비스 중개 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08182A1 (ja) * 2016-07-06 2018-01-11 田中穂光 花壇受発注システム及び配植計画支援プログラム
KR101854613B1 (ko) * 2016-12-21 2018-05-04 숭실대학교산학협력단 웹페이지 기반의 3차원 인테리어 시뮬레이션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가상현실 기반의 인테리어 체험 방법
KR20190065933A (ko) * 2017-12-04 2019-06-12 주식회사 양파 공간 인식에 기반한 인테리어 플랫폼 제공 방법
KR20190067586A (ko) * 2017-12-07 2019-06-17 송정우 클라우드 플랫폼 기반 홈 디자인 서비스 제공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08182A1 (ja) * 2016-07-06 2018-01-11 田中穂光 花壇受発注システム及び配植計画支援プログラム
KR101854613B1 (ko) * 2016-12-21 2018-05-04 숭실대학교산학협력단 웹페이지 기반의 3차원 인테리어 시뮬레이션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가상현실 기반의 인테리어 체험 방법
KR20190065933A (ko) * 2017-12-04 2019-06-12 주식회사 양파 공간 인식에 기반한 인테리어 플랫폼 제공 방법
KR20190067586A (ko) * 2017-12-07 2019-06-17 송정우 클라우드 플랫폼 기반 홈 디자인 서비스 제공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22109403A1 (de) 2021-04-20 2022-10-20 Lg Display Co., Ltd. Anzeigevorrichtung
KR102577715B1 (ko) * 2022-07-14 2023-09-12 김주관 메타 버스 서비스를 이용한 꽃 판매 서비스 중개 시스템
KR102627445B1 (ko) * 2022-07-14 2024-01-18 김주관 메타버스를 이용한 꽃 상품 표시 및 주문 통합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25322B1 (ko) 2021-11-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230111B (zh) 用于网络计算的便携式平台
US9195677B2 (en) System and method for decorating a hotel room
CN102750433B (zh) 用于会议系统位置知晓和供应的技术
CN108141449A (zh) 控制设备云
CN104937627B (zh) 用于生成对零售位置的推荐的计算机系统、方法和介质
JP5706866B2 (ja) 会員登録システムおよび会員登録方法
US20120224768A1 (en) System and method for visual search
US10636207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generating a three-dimensional map
KR102325322B1 (ko) 식물 거래 서비스 제공방법
US20160379321A1 (en) Real estate or other search method and apparatus
EP3671411B1 (en) Location-enabled augmented reality (ar) system and method for interoperability of ar applications
KR20180064735A (ko) 공간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20140146685A (ko) 벽지 인테리어정보 서비스 시스템과 가상 벽지인테리어 제어방법
KR101597299B1 (ko) 증강현실을 이용한 온라인 인테리어 방법 및 시스템
US20180268496A1 (en) Photo booth system
KR101977314B1 (ko) 증강현실 포토존 제공 시스템
KR101595315B1 (ko) 메뉴 주문 처리 시스템 및 방법
KR102200817B1 (ko) 몰입형 가상피팅 연계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몰입형 가상피팅 연계 서비스 제공 방법
CN108701284A (zh) 使用被管理的零售租赁服务来管理零售设施
US20190020720A1 (en) Cloud-based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entertainment parks
KR100749961B1 (ko) 부동산 평면도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US20240086654A1 (en) Method and system for wireless tag user configuration for collaborative content generation management and analytics
KR102392163B1 (ko) 인공지능 기반의 스타일 추천과 스타일 피팅 시뮬레이션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JP6384067B2 (ja) サーバ装置、プログラム及び推薦情報提供方法
KR102107315B1 (ko) 작품 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작품 관리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