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95315B1 - 메뉴 주문 처리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메뉴 주문 처리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95315B1
KR101595315B1 KR1020140006335A KR20140006335A KR101595315B1 KR 101595315 B1 KR101595315 B1 KR 101595315B1 KR 1020140006335 A KR1020140006335 A KR 1020140006335A KR 20140006335 A KR20140006335 A KR 20140006335A KR 101595315 B1 KR101595315 B1 KR 1015953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nu
set menu
information
management server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063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86138A (ko
Inventor
백동민
Original Assignee
씨제이프레시웨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씨제이프레시웨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씨제이프레시웨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063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95315B1/ko
Publication of KR201500861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861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953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953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12Hotels or restaurant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메뉴 주문 처리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메뉴 관리 서버에서 제공하는 세트메뉴 리스트 중에서 특정 세트메뉴가 선택된 경우, 세트메뉴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세트메뉴 조회 요청 신호를 상기 메뉴관리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메뉴관리서버로부터 세트메뉴 상세정보를 수신하여 표시하는 단말장치, 상기 단말장치로부터 세트메뉴 조회 요청 신호가 수신된 경우, 상기 세트메뉴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메뉴명, 메뉴별 상품명, 각 상품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세트메뉴 상세정보를 상기 단말장치로 전송하고, 상기 단말장치로부터 세트메뉴 주문정보가 수신된 경우, 해당 세트메뉴에 대한 결제처리를 수행하는 메뉴 관리 서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메뉴 주문 처리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PROCESSING MENU ORDER}
본 발명은 메뉴 주문 처리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세트메뉴를 등록하여 별도의 주간 식단작성 없이 세트메뉴 주문이 가능한 메뉴 주문 처리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음식 문화의 변화는 사회적 변화와 같이 거듭하면서 고객들은 맛의 선호도와 같이 다양한 서비스를 요구한다. 이로 인하여 식당의 경우 다양한 각 계층에 따라 적절한 식사와 서비스 질을 개선시키지 못하면 운영상 손해를 초래할 뿐만 아니라 오히려 음식 쓰레기 양만 증가시킨다.
최근 회사, 공장, 학교뿐만 아니라 각 가정은 거의 외식에 의존하며, 이에 따라 다양한 특성을 가지는 체인화 된 외식업체의 수는 점점 증가하고 있다. 특히 외식업체 중 대형 회사의 구내, 공장, 학교, 연구소 등에 설치된 식당을 이용하는 고객들은 거의 매일 1끼 이상을 하나의 식당내에서 해결하게 되는데, 이곳 식당들은 식사하는 고객의 수가 점점 많아지는 경향이 있으며, 또한 식사를 하는 연령층도 다양하여 고객의 선호도에 맞는 메뉴를 결정하기란 쉬운 일이 아니다.
고객의 선호도를 무시한 메뉴는 고객의 기본적인 건강에 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잔반의 증가로 환경오염을 가중시키게 된다. 이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고객들의 나이 및 직업, 직능적으로 특징을 감안하여 여러 가지 방법을 동원하여 해결하고 있기는 하나 좋은 결과는 얻지 못하고 있다.
이들 식당의 운영 예를 간단히 살펴보면, 대부분의 식당에서는 메뉴를 열량에 따라 계산하여 단가를 정하고, 예상식수에 따라 식자재를 구입하여 운영되거나 또는 체계적으로 되어 있는 곳은 급식관리시스템을 도입하여 사용하고 있다. 급식관리시스템의 경우 메뉴 명, 단가, 열량, 예상 식수에 따라 메뉴를 관리하고 있으나, 식당운영 메뉴의 주요 현황(잔반, 선호도, 단가 등)의 체계적인 관리와 고객 선호 메뉴에 대한 객관적인 자료의 히스토리 관리가 되고 있지 않으며, 식당의 전반적인 운영, 특히 메뉴에 있어 고객의 선호도가 반영된 메뉴의 현황관리가 되고 있지 않다. 또한 급식관리시스템을 통한 레시피 수정 시 수정 횟수별 히스토리 관리가 되지 않고, 조리방법 개선에 대한 비교, 분석이 되지 않아 고객의 선호도를 떨어뜨리고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0911646호, 발명의 명칭 '식당 통합 관리 방법 및 시스템
본 발명의 목적은 별도의 주간 식단작성 없이 세트메뉴에 의한 주문을 가능하도록 프로세스를 개선하여, 표준메뉴를 등록하지 않아도 식당(고객별) 식단 작성 및 이력 관리가 가능한 메뉴 주문 처리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세트메뉴 주문 이력, 선호도, 현재 주문 상황 중 적어도 하나를 근거로 추천 세트메뉴를 선정하여 해당 사용자에게 추천하는 메뉴 주문 처리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고객사 독립적인 메신저 기능을 제공하여, 고객사간, 고객사 내 사업장간 커뮤니케이션 강화를 지원하는 메뉴 주문 처리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단말장치의 화면 사이즈에 따라 세트메뉴 리스트 또는 세트메뉴 상세정보를 제공하는 화면의 배열을 변경하여 제공하는 메뉴 주문 처리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세트메뉴별 메뉴명들, 메뉴별 상품명들, 각 상품 정보 중 적어도 하나가 저장된 메뉴 정보 데이터베이스, 단말장치로부터 세트메뉴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세트메뉴 조회 요청 신호가 수신된 경우, 상기 메뉴 정보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세트메뉴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메뉴명, 메뉴별 상품명, 각 상품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세트메뉴 상세정보를 획득하여 상기 단말장치로 전송하는 메뉴 제공부, 상기 단말장치로부터 세트메뉴 주문정보가 수신된 경우, 해당 세트메뉴에 대한 결제처리를 수행하는 주문 처리부를 포함하는 메뉴 관리 서버가 제공된다.
상기 메뉴 관리 서버는 단일 상품들을 조합하여 세트메뉴를 구성하고, 상기 구성된 세트메뉴를 상기 메뉴 정보 데이터베이스에 등록하며, 상기 메뉴 정보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된 세트메뉴들을 본점, 판매처, 인도처 중 적어도 하나의 카테고리로 분류하여 등록하는 세트 메뉴 관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세트 메뉴 관리부는 단말장치로부터 세트메뉴 정보 및 사용자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세트메뉴 등록 요청 신호가 수신된 경우, 고객 정보 데이터베이스의 사용자 식별정보에 세트메뉴 정보를 등록할 수 있다.
상기 고객 정보 데이터베이스는 그룹으로 분류되고, 각 그룹에는 그 그룹에 속한 고객정보, 각 고객에 의해 등록된 세트 메뉴 정보가 등록되어 있으며, 상기 세트메뉴 관리부는 상기 세트메뉴 등록 요청 신호에 포함된 세트메뉴 정보를 상기 사용자 식별정보가 속한 그룹에 등록하고, 해당 그룹에 등록된 세트메뉴 정보는 그 그룹에 속한 다른 고객들과 공유 가능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상기 메뉴 관리 서버는 사용자 정보, 주문 이력, 선호도, 현재 주문 상황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고객 정보가 저장된 고객 정보 데이터베이스, 사용자 로그인 정보가 수신되거나 메뉴추천 요청 신호가 수신된 경우, 상기 고객 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해당 사용자의 주문 이력, 선호도, 현재 주문 상황 중 적어도 하나를 근거로 추천 세트메뉴를 선정하고, 상기 추천 세트메뉴를 상기 사용자의 단말장치로 전송하는 메뉴 추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메뉴 제공부는 상기 단말장치의 정보를 근거로 화면 사이즈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된 화면 사이즈에 따라 세트메뉴 리스트 또는 세트메뉴 상세정보를 제공하는 화면의 배열을 변경하여 제공할 수 있다.
메뉴 관리 서버는 상기 단말장치로부터 주문 현황, 매출 현황, 입고/재고 현황, 단가조회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현황 조회가 요청된 경우, 고객 정보 데이터베이스로부터 해당 현황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현황 정보를 상기 단말장치로 전송하는 현황 정보 제공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메뉴 관리 서버는 사용자의 문의 정보 또는 요청 정보를 실시간으로 수신하고, 이에 대한 응답을 실시간으로 제공하는 메신저 서비스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출력부, 통신망을 통해 메뉴관리 서버에 접속하거나, 기 저장된 메뉴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된 경우, 상기 메뉴 관리 서버에서 제공하는 세트메뉴 리스트를 상기 출력부에 표시하고, 상기 표시된 세트메뉴 리스트중에서 특정 세트메뉴가 선택된 경우, 세트메뉴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세트메뉴 조회 요청 신호를 상기 메뉴관리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메뉴관리서버로부터 세트메뉴 상세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출력부에 표시하는 메뉴 조회부, 상기 특정 세트메뉴의 주문 및 결제처리를 수행하는 주문 처리부를 포함하는 단말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메뉴 조회부는 상기 세트메뉴 리스트 또는 세트메뉴 상세정보를 상기 출력부의 화면 사이즈에 따라 배열을 다르게 하여 상기 출력부에 표시할 수 있다.
상기 단말장치는 주문 현황, 매출 현황, 입고/재고 현황, 단가조회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현황 조회 요청 신호를 상기 메뉴관리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메뉴관리서버로부터 해당 현황정보를 수신하는 현황정보 조회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단말장치는 문의 정보 또는 요청 정보가 입력된 경우, 상기 입력된 문의 정보 또는 요청 정보를 실시간으로 메뉴 관리 서버로 전송하고, 이에 대한 응답을 실시간으로 수신하는 메신저 서비스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단말장치는 세트메뉴 등록 명령이 선택된 경우, 상기 메뉴 관리 서버에서 제공하는 세트메뉴 리스트를 표시하고, 상기 세트메뉴 리스트 중에서 선택된 세트메뉴를 구성하는 품목정보가 사용자에 의해 변경된 경우, 사용자 세트메뉴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세트메뉴, 사용자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세트 메뉴 등록 요청 신호를 상기 메뉴 관리 서버로 전송하여 상기 생성된 세트메뉴를 등록하는 세트메뉴 등록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메뉴 관리 서버에서 제공하는 세트메뉴 리스트 중에서 특정 세트메뉴가 선택된 경우, 세트메뉴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세트메뉴 조회 요청 신호를 상기 메뉴관리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메뉴관리서버로부터 세트메뉴 상세정보를 수신하여 표시하는 단말장치, 상기 단말장치로부터 세트메뉴 조회 요청 신호가 수신된 경우, 상기 세트메뉴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메뉴명, 메뉴별 상품명, 각 상품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세트메뉴 상세정보를 상기 단말장치로 전송하고, 상기 단말장치로부터 세트메뉴 주문정보가 수신된 경우, 해당 세트메뉴에 대한 결제처리를 수행하는 메뉴 관리 서버를 포함하는 메뉴 주문 처리 시스템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단말장치가 메뉴 주문 처리를 위한 방법에 있어서, 메뉴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면, 메뉴 관리 서버에서 제공하는 세트메뉴 리스트를 표시하는 단계, 상기 세트메뉴 리스트에서 특정 세트메뉴가 선택되면, 상기 선택된 특정 세트메뉴에 대한 상세정보를 표시하고, 사용자에 의해 주문 명령이 입력된 경우, 주문정보 입력 화면을 표시하는 단계, 상기 주문정보 입력 화면을 통해 세트메뉴 주문 정보를 입력받고, 결제 처리가 완료되면, 상기 세트메뉴 주문 정보를 상기 메뉴 관리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메뉴 주문 처리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메뉴 주문 처리 방법은 상기 세트메뉴 리스트 중에서 선택된 세트메뉴를 구성하는 품목정보가 사용자에 의해 변경된 경우, 사용자 세트메뉴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세트메뉴, 사용자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세트 메뉴 등록 요청 신호를 상기 메뉴 관리 서버로 전송하여 상기 생성된 세트메뉴를 등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세트메뉴에 의한 주문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영양사가 없어도 온라인에서 쇼핑하듯이 간편하게 메뉴를 주문할 수 있다.
또한, 세트메뉴 주문 이력, 선호도, 현재 주문 상황 중 적어도 하나를 근거로 추천 세트메뉴를 선정하여 해당 사용자에게 추천함으로써, 고객 맞춤형 세트메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고객사 독립적인 메신저 기능을 제공함으로써, 고객사간, 고객사 내 사업장간 커뮤니케이션 강화를 지원할 수 있다.
또한, 단말장치의 화면 사이즈에 따라 세트메뉴 리스트 또는 세트메뉴 상세정보를 제공하는 화면의 배열을 변경하여 제공함으로써, 사용자는 편리하게 세트메뉴를 주문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메뉴 주문 처리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럭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메뉴 관리 서버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럭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세트메뉴를 등록하기 위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화면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뉴 주문 처리 방법을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세트메뉴 주문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화면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메뉴 주문 처리 방법을 나타낸 도면.
본 발명의 전술한 목적과 기술적 구성 및 그에 따른 작용 효과에 관한 자세한 사항은 본 발명의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에 의거한 이하 상세한 설명에 의해 보다 명확하게 이해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표현되는 각 기능부는 본 발명 구현에 대한 예일 뿐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다른 구현에서는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기능부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각 기능부는 순전히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의 구성으로만 구현될 수도 있지만, 동일 기능을 실행하는 다양한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구성들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메뉴 주문 처리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메뉴 주문 처리 시스템은 세트메뉴를 주문하는 단말장치(100), 세트메뉴정보가 등록된 메뉴 관리 서버(200)를 포함한다.
단말장치 사용자는 메뉴 관리 서버(200)에 접속하여 세트 메뉴를 조회 및 주문할 수 있다.
단말장치(100)는 메뉴관리서버(200)에 접속 또는 기 저장된 메뉴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된 경우, 메뉴 관리 서버(200)에서 제공하는 세트메뉴 리스트를 표시한다.
단말장치 사용자가 세트메뉴 리스트 중에서 상세 정보를 원하는 세트메뉴를 선택하면, 단말장치는 세트메뉴 조회 요청 신호를 메뉴관리서버(200)로 전송하고, 메뉴관리서버(200)로부터 세트메뉴 상세정보를 수신하여 표시한다. 여기서, 세트메뉴 조회 요청 신호는 세트메뉴 식별정보, 단말장치 식별정보, 단말장치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고, 세트메뉴 식별정보는 세트메뉴 명, 세트메뉴 코드 등일 수 있으며, 단말장치 정보는 단말장치의 화면 사이즈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세트메뉴 상세정보는 세트메뉴 명, 세트메뉴 이미지, 세트메뉴 단가, 세트메뉴를 구성하는 상품들, 각 상품들의 상세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단말장치 사용자는 세트메뉴 상세정보를 확인하고, 세트메뉴를 주문할 수 있다.
이러한 단말장치(100)는 통신망을 통해 메뉴 관리 서버(200)와 통신이 가능한 장치로, 예를 들면, 네비게이션 장치, 노트북, 이동통신 단말, 스마트폰(Smart phone), PMP(Portable Media Player),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타블렛 PC(Tablet PC), 셋탑박스(Set-top box), 스마트 TV 등 다양한 장치가 될 수 있다.
단말장치(100)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도 2를 참조하기로 한다.
메뉴 관리 서버(200)는 단말장치(100)로부터 세트메뉴 식별정보가 포함된 세트메뉴 조회 요청 신호가 수신된 경우, 세트메뉴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메뉴명, 메뉴별 상품명, 각 상품 정보 등을 포함하는 세트메뉴 상세정보를 단말장치(100)로 전송한다.
메뉴 관리 서버(200)는 단말장치(100)로부터 세트메뉴 주문정보가 수신된 경우, 세트메뉴 주문정보를 해당 사용자의 고객 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한다. 세트메뉴 주문정보는 세트메뉴 식별정보, 수량, 배송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처럼 메뉴 관리 서버(200)는 주간 식단작성 없이 세트메뉴에 의한 주문이 가능하도록 프로세스를 개선함으로써, 표준메뉴를 등록하지 않아도 고객별 식단 작성 및 이력 관리가 가능하다.
메뉴 관리 서버(200)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도 3을 참조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럭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단말장치(100)는 통신부(110), 입력부(120), 출력부(130), 저장부(140), 메뉴 조회부(150), 주문 처리부(160), 현황정보 조회부(170), 메신저 서비스부(180), 세트메뉴 등록부(185), 제어부(190)를 포함한다.
통신부(110)는 단말장치(100)와 메뉴 관리 서버를 통신망을 통해 상호 연결시키는 통신 수단으로서, 예를 들어 이동통신, 위성통신 등의 무선 통신모듈, 인터넷 등의 유선 통신모듈, 와이파이 등의 근거리 무선 통신모듈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120)는 단말장치(100)의 동작 제어를 위한 사용자 요청을 입력받기 위한 수단으로서,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서 사용자의 요청을 전기 신호로 변환한다. 입력부(120)는 사용자로부터 문자, 숫자, 텍스트, 음성, 움직임, 촉각, 시각 등을 입력받는 입력 수단으로 예컨대, 입력 수단은 키보드, 키패드, 터치 스크린, 시각 감지 수단, 촉각 감지 수단, 움직임 감지 수단, 음성 입력 수단 등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출력부(130)는 애플리케이션 구동에 따른 화면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 수단, 예를 들어 LCD(Liquid Crystal Display) 또는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등 소형 평판 디스플레이장치로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저장부(140)는 단말장치(100)의 동작 제어 시 필요한 프로그램과, 그 프로그램 수행 중에 발생되는 데이터를 저장한다.
저장부(140)에는 메뉴 애플리케이션이 저장되어 있다. 메뉴 애플리케이션은 메뉴 관리 서버에서 제공하는 세트메뉴를 조회 및 주문 처리하는 애플리케이션일 수 있다. 메뉴 애플리케이션은 메뉴 관리 서버에 구비된 메뉴 정보 데이터베이스의 업데이트가 감지되거나, 메뉴 관리 서버로부터 업데이트 요청 신호가 수신된 경우, 업데이트되어 최신의 세트메뉴정보를 제공한다.
메뉴 조회부(150)는 통신부(110)를 통해 메뉴관리 서버에 접속한 경우, 메뉴 관리 서버에서 제공하는 세트메뉴 리스트를 출력부(130)에 표시하고, 표시된 세트메뉴 리스트중에서 특정 세트메뉴가 선택된 경우, 세트메뉴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세트메뉴 조회 요청 신호를 메뉴관리서버로 전송하고, 메뉴관리서버로부터 세트메뉴 상세정보를 수신하여 출력부(130)에 표시한다. 이때, 출력부(130)에 표시되는 세트메뉴 리스트는 도 6의 (a)와 같은 메뉴판 형식일 수 있다. 즉, 메뉴관리 서버에서 제공하는 세트메뉴 리스트는 각 세트메뉴의 이미지, 메뉴명 등이 표시된 메뉴판으로 표시되고, 사용자가 메뉴판에서 특정 세트 메뉴를 선택하면, 도 6의 (b)와 같이 특정 세트 메뉴의 이미지, 단가, 특정 세트 메뉴를 구성하는 상품들의 상세 정보 등이 표시된다.
메뉴 조회부(150)는 세트메뉴 리스트 또는 세트메뉴 상세정보를 출력부(130)의 화면 사이즈에 따라 배열을 다르게 하여 출력부(130)에 표시할 수 있다. 즉, 스마트폰과 데스크탑 PC의 화면 사이즈는 다르므로, 메뉴 조회부(150)는 스마트폰과 데스크탑 PC에 표시되는 세트메뉴 리스트 또는 세트메뉴 상세정보 배열을 다르게 할 수 있다.
메뉴 조회부(150)는 메뉴 관리 서버로부터 수신한 세트메뉴 리스트 또는 세트메뉴 상세정보가 출력부(130)의 화면 사이즈에 따라 배열된 것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그 판단결과 출력부(130)의 화면 사이즈에 따라 배열된 것이면, 메뉴 조회부(150)는 메뉴 관리 서버로부터 수신한 세트메뉴 리스트 또는 세트메뉴 상세 정보를 출력부(130)에 그대로 표시한다. 만약, 출력부(130)의 화면 사이즈에 따라 배열된 것이 아니면, 메뉴 조회부(150)는 메뉴 관리 서버로부터 수신한 세트메뉴 리스트 또는 세트메뉴 상세정보를 출력부(130)의 화면 사이즈에 따라 배열을 다르게 하여 출력부(130)에 표시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메뉴 조회부(150)는 메뉴관리 서버에 접속하지 않고 저장부(140)에 저장된 메뉴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한 경우, 메뉴 관리 서버에서 제공하는 세트메뉴 리스트를 표시하고, 메뉴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세트메뉴의 상세 정보 확인은 물론 세트메뉴를 주문할 수 있다.
주문 처리부(160)는 세트메뉴의 주문 및 결제처리를 수행한다. 세트메뉴의 상세정보가 표시된 화면에서 사용자가 주문 명령을 선택하면, 주문 처리부(160)는 주문 정보 입력 화면을 표시하고, 사용자는 주문정보 입력 화면을 통해 주문수량, 배송지 등의 세트메뉴 주문정보를 입력하고, 결제를 수행한다. 그러면, 주문 처리부(160)는 세트메뉴 주문 정보를 통신부(110)를 통해 메뉴 관리 서버로 전송한다. 주문 처리부(160)가 주문 및 결제 처리 방법은 기존 방법을 이용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현황정보 조회부(170)는 세트메뉴에 대한 주문 현황, 매출 현황, 입고/재고 현황, 단가조회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현황 조회 요청 신호를 통신부(110)를 통해 메뉴 관리 서버로 전송하고, 메뉴 관리 서버로부터 해당 현황정보를 수신하여 출력부(130)에 표시한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세트 메뉴별로 주문현황을 파악하거나, 세트메뉴별 매출현황 조회는 물론 입고/재고도 세트 메뉴별로 관리할 수 있다.
메신저 서비스부(180)는 입력부(120)를 통해 문의 정보 또는 요청 정보가 입력된 경우, 입력된 문의 정보 또는 요청 정보를 실시간으로 메뉴 관리 서버로 전송하고, 이에 대한 응답을 실시간으로 수신한다. 이때, 메신저 서비스부(180)는 수신된 응답을 팝업 창 등을 이용하여 표시할 수 있다.
세트메뉴 등록부(185)는 메뉴 관리 서버에 등록된 세트메뉴들 중에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세트메뉴를 구성하는 품목을 변경하여 사용자만의 세트메뉴를 생성하고, 생성된 세트메뉴를 메뉴 관리 서버에 등록한다. 즉, 사용자가 세트메뉴 등록 명령을 선택하면, 세트메뉴 등록부(185)는 세트메뉴 등록 화면을 표시한다. 세트메뉴 등록화면에는 기 등록된 세트 메뉴 리스트가 표시되고, 사용자는 세트 메뉴 리스트에서 원하는 세트메뉴를 선택한다. 그러면, 세트메뉴 등록부(185)는 선택된 세트메뉴에 대한 상세정보, 품목정보 등을 표시한다. 상세 정보는 메뉴 코드, 메뉴명, 이미지, 설명 등을 포함하는 것으로, 사용자는 상세 정보를 수정할 수 있다. 또한, 품목정보에서 추가 명령, 삭제 명령 등을 이용하여 세트 메뉴를 구성하는 품목을 추가 또는 삭제할 수 있다. 이처럼 사용자는 기 등록된 세트메뉴의 상세 정보 및 품목을 변경하여 자신만의 새로운 세트메뉴를 생성할 수 있다. 새로운 세트메뉴의 생성 후 등록 명령이 선택되면, 세트 메뉴 등록부(185)는 생성된 세트메뉴 정보, 사용자 식별정보 등을 포함하는 세트메뉴 등록 요청 신호를 메뉴 관리 서버로 전송한다. 그러면, 메뉴 관리 서버는 사용자만의 세트메뉴를 등록하게 된다. 메뉴 관리 서버에 등록된 세트 메뉴는 사용자가 속한 그룹의 사용자들과 공유할 수 있다.
제어부(190)는 통신부(110), 입력부(120), 출력부(130), 저장부(140), 메뉴 조회부(150), 주문 처리부(160), 현황정보 조회부(170), 메신저 서비스부(180), 세트메뉴 등록부(185) 등 단말장치(100) 각 부의 동작을 제어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메뉴 관리 서버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럭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세트메뉴를 등록하기 위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화면 예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메뉴 관리 서버(200)는 메뉴 정보 데이터베이스(210), 고객 정보 데이터베이스(220), 세트메뉴 관리부(230), 메뉴 제공부(240), 주문 처리부(250), 메뉴 추천부(260), 현황정보 제공부(270), 메신저 서비스부(280), 제어부(290)를 포함한다.
메뉴 정보 데이터베이스(210)에는 세트 메뉴별 메뉴명들, 메뉴별 상품명들, 각 상품 정보 등이 저장되어 있다. 메뉴별 상품명은 해당 세트메뉴를 구성하는 상품들을 의미하고, 상품정보는 상품명, 상품코드, 상품범위, 기본 단위, 단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고객 정보 데이터베이스(220)에는 사용자 정보, 주문 이력, 선호도, 현재 주문 상황 등이 저장되어 있다. 여기서, 사용자 정보는 단말장치 식별정보, 아이디/비밀번호, 주소 등을 포함할 수 있고, 현재 주문 상황은 주문접수, 배송 예정, 배송중, 배송 완료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고객 정보 데이터베이스(220)는 그룹으로 분류되어 있고, 동일 그룹내의 고객들은 정보를 서로 공유할 수 있다. 여기서, 그룹은 동일 가맹점 그룹(예컨대, 빕스 가맹점 등임), 동일 선호도를 갖는 사용자 그룹, 동일 성별 그룹, 동일 연령별 그룹, 동일 지역별 그룹 등일 수 있다. 각 그룹에는 그 그룹에 속한 고객정보, 각 고객에 의해 등록된 세트메뉴 등이 등록되어 있고, 동일 그룹에 속한 고객들은 다른 고객들이 등록한 세트 메뉴 등을 공유할 수 있다.
세트메뉴 관리부(230)는 상품들을 조합하여 세트메뉴를 구성하고, 구성된 세트메뉴를 메뉴 정보 데이터베이스(210)에 등록하며, 메뉴 정보 데이터베이스(210)에 등록된 세트 메뉴들을 본점, 판매처, 인도처 중 적어도 하나의 카테고리로 분류하여 등록한다.
세트메뉴 관리부(230)가 세트메뉴를 구성하는 방법에 대해 도 4를 참조하기로 한다. 도 4를 참조하면, 세트메뉴 등록 화면(400)에는 세트메뉴 추가 영역(410), 상세정보 입력 영역(420), 품목정보 입력 영역(430)이 표시된다.
사용자가 세트메뉴 추가 영역(410)에서 추가 명령(412)을 선택하면, 상세정보 입력 영역(420)이 활성화된다. 사용자는 상세정보 입력 영역(420)에서 메뉴코드, 메뉴명, 이미지, 설명 등을 포함하는 상세 정보를 입력한다. 그런 후, 사용자는 품목정보 입력 영역(430)에서 추가 명령(432)을 선택하여 해당 세트메뉴를 구성하기 위한 상품들을 추가한다. 그러면, 세트메뉴 관리부(230)는 새로운 세트메뉴를 메뉴 정보 데이터베이스(210)에 등록하게 된다.
세트메뉴 관리부(230)는 하나의 세트 메뉴라도 주요 메뉴 이외의 나머지 메뉴들을 서로 다르게 선택하도록 하고, 세트 메뉴를 여러 가지 카테고리별로 분류시키고 분류된 카테고리에 따라 고객이 세트 메뉴를 검색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세트메뉴 관리부(230)는 사용자가 상품명을 변경한 경우, 메뉴정보 데이터베이스(210)에 카테고리별로 저장된 해당 상품명을 일괄적으로 변경한다.
세트메뉴 관리부(230)는 각 사용자의 주문 이력, 선호도, 현재 주문 상황 중 적어도 하나를 기준으로 기본 세트 메뉴 중에서 특정 세트 메뉴를 자동으로 수정하고, 수정된 특정 세트 메뉴를 메뉴 정보 데이터베이스(210)에 업데이트한다. 즉, 세트메뉴 관리부(230)는 조중식별 식단, 계절별 식단, 고단백질 식단, 다이어트 식단 등에 따라 기 구성된 기본 세트 메뉴에 포함된 상품을 변경하여 기본 세트 메뉴를 자동으로 변경할 수 있다. 예컨대, 다이어트 식단의 경우, 세트메뉴 관리부(230)는 기 제공된 기본 세트 메뉴에서 고칼로리의 상품을 저칼로리의 상품으로 변경함으로써, 기본 세트 메뉴를 이용하여 다이어트 식단을 구성할 수 있다.
세트메뉴 관리부(230)는 단말장치로부터 세트메뉴 정보, 사용자 식별정보 등을 포함하는 세트메뉴 등록 요청 신호가 수신되면, 고객 정보 데이터베이스(220)의 사용자 식별정보에 세트메뉴 정보를 등록한다. 이때 등록된 세트메뉴 정보는 사용자가 속한 그룹에 등록되고, 그 그룹에 속한 사용자들은 등록된 세트메뉴를 공유할 수 있다.
메뉴 제공부(240)는 단말장치로부터 세트메뉴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세트메뉴 조회 요청 신호가 수신된 경우, 메뉴 정보 데이터베이스(210)로부터 세트메뉴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메뉴명, 메뉴별 상품명, 각 상품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세트메뉴 상세정보를 획득하여 단말장치로 전송한다. 여기서, 세트 메뉴 조회 요청 신호는 세트메뉴 식별정보, 단말장치 식별정보, 단말장치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고, 세트메뉴 식별정보는 세트메뉴 명, 세트메뉴 코드 등일 수 있으며, 단말장치 정보는 규격, 화면 사이즈, 해상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메뉴 제공부(240)는 단말장치 정보를 근거로 화면 사이즈를 판단하고, 판단된 화면 사이즈에 따라 세트메뉴 상세정보의 화면 배열(또는 구성)을 변경하여 제공할 수 있다.
주문 처리부(250)는 단말장치로부터 세트메뉴 주문정보가 수신된 경우, 해당 세트메뉴에 대한 결제처리를 수행한다. 주문 처리부(250)가 해당 세트메뉴에 대한 결제를 처리하는 방법은 기존의 결제 방법을 이용하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주문 처리부(250)는 단말장치로부터 전송된 세트메뉴 주문 정보를 고객 정보 데이터베이스(220)에 등록하고, 해당 세트메뉴의 배송을 추적한다.
주문 처리부(250)는 단말장치로부터 주문 내역이 요청된 경우, 고객 정보 데이터베이스(220)로부터 해당 사용자의 주문내역을 획득하고, 획득된 주문 내역을 단말장치로 전송한다.
메뉴 추천부(260)는 사용자 로그인 정보가 수신되거나 메뉴추천 요청 신호가 수신된 경우, 고객 정보 데이터베이스(220)에 저장된 해당 사용자의 주문 이력, 선호도, 현재 주문 상황 중 적어도 하나를 근거로 추천 세트메뉴를 선정하고, 선정된 추천 세트메뉴를 해당 사용자의 단말장치로 전송한다. 즉, 메뉴 추천부(260)는 아이디/비밀번호를 포함하는 로그인 정보가 수신되면, 고객 정보 데이터베이스(220)를 검색하여 상기 아이디/비밀번호에 대응되는 주문이력을 확인하고, 주문이력을 기초로 사용자가 선호하는 세트메뉴를 선정하고, 선정된 세트 메뉴를 추천 세트메뉴로 사용자의 단말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현황 정보 제공부(270)는 단말장치로부터 주문 현황, 매출 현황, 입고/재고 현황, 단가조회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현황 조회가 요청된 경우, 고객 정보 데이터베이스(220)로부터 해당 현황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된 현황 정보를 단말장치로 전송한다. 즉, 현황 정보 제공부(270)는 세트 메뉴별로 주문 현황을 파악하거나, 매출 현황을 조회함은 물론 입고/재고도 각 상품별이 아닌 세트 메뉴별로 관리한다.
메신저 서비스부(280)는 단말장치로부터 문의 정보 또는 요청 정보를 실시간으로 수신하고, 이에 대한 응답을 실시간으로 제공한다. 메신저 서비스부(280)는 고객들, 고객과 메뉴관리 서버의 관리자간의 메신저 기능을 제공하고, 예컨대, 1:1/1:N 채팅, 파일전송, 쪽지 등의 기능을 제공한다. 메뉴 관리 서버(200)는 메신저 서비스부(280)를 통해 고객사 독립적인 메신저 기능을 제공함으로써, 고객사간, 고객사 내 사업장간 커뮤니케이션 강화를 지원할 수 있다.
제어부(290)는 메뉴 정보 데이터베이스(210), 고객 정보 데이터베이스(220), 세트메뉴 관리부(230), 메뉴 제공부(240), 주문 처리부(250), 메뉴 추천부(260), 현황정보 제공부(270), 메신저 서비스부(280) 등 메뉴 관리 서버(200) 각 부의 기능을 제어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뉴 주문 처리 방법을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세트메뉴 주문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화면 예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단말장치가 메뉴관리 서버에 접속하면(S502), 단말장치는 메뉴 관리 서버에서 제공하는 세트메뉴 리스트를 표시한다(S504). 이때, 단말장치에 표시된 세트메뉴 리스트는 텍스트 형태이거나 이미지 형태일 수 있다.
사용자가 세트메뉴 리스트에서 상세 정보를 원하는 특정 세트메뉴를 선택하면(S506), 단말장치는 세트메뉴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세트메뉴 조회 요청 신호를 메뉴관리서버로 전송한다(S508).
메뉴 관리 서버는 메뉴 정보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세트메뉴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메뉴명, 메뉴별 상품명, 각 상품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세트메뉴 상세정보를 획득하여(S510), 단말장치로 전송한다(S512). 이때, 메뉴 관리 서버는 단말장치 정보를 근거로 화면 사이즈를 판단하고, 판단된 화면 사이즈에 따라 세트메뉴 상세정보의 화면 배열(또는 구성)을 변경하여 제공할 수 있다.
단말장치는 세트메뉴 상세정보를 표시하고, 세트메뉴 상세정보를 확인한 사용자가 주문 명령을 입력하면(S514), 단말장치는 주문정보 입력 화면을 표시하고, 사용자는 주문정보 입력 화면을 통해 수량, 주소 등을 포함하는 세트메뉴 주문 정보를 입력하고(S516), 결제를 수행한다(S518).
그러면, 단말장치는 세트메뉴 주문정보를 메뉴관리서버로 전송하고(S520), 메뉴관리서버는 세트메뉴 주문정보를 해당 사용자의 고객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한다(S522).
사용자가 세트메뉴를 주문하는 방법에 대해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a)와 같이 이미지 형태로 세트메뉴 리스트가 표시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야채 돈까스' 이미지를 선택하면, 단말장치는 (b)와 같이 야채 돈까스에 대한 상세정보가 표시된 상세정보 화면을 디스플레이한다. 상세 정보 화면에는 야채 돈까스 이미지, 단가, 야채 돈까스를 구성하는 상품들의 상세 정보 등이 표시된다. 사용자는 상세 정보 화면에서 장바구니 버튼을 선택하여, 야채 돈까스를 주문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메뉴 주문 처리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단말장치가 메뉴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면(S702), 단말장치는 메뉴 관리 서버에서 제공하는 세트메뉴 리스트를 표시한다(S704).
사용자가 세트메뉴 리스트에서 상세 정보를 원하는 특정 세트메뉴를 선택하면(S706), 단말장치는 선택된 특정 세트메뉴에 대한 상세정보를 표시한다(S708).
단말장치는 세트메뉴 상세정보를 표시하고, 세트메뉴 상세정보를 확인한 사용자가 주문 명령을 입력하면(S710), 단말장치는 주문정보 입력 화면을 표시하고, 사용자는 주문정보 입력 화면을 통해 수량, 주소 등을 포함하는 세트메뉴 주문 정보를 입력하고(S712), 결제를 수행한다(S714).
그러면, 단말장치는 세트메뉴 주문정보를 메뉴관리서버로 전송하고(S716), 메뉴관리서버는 세트메뉴 주문정보를 해당 사용자의 고객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한다(S718).
한편, 메뉴 주문 처리 방법은 프로그램으로 작성 가능하며,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코드들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당해 분야의 프로그래머에 의하여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단말장치 110 : 통신부
120 : 입력부 130 : 출력부
140 : 저장부 150 : 메뉴 조회부
160, 250 : 주문 처리부 170 : 현황정보 조회부
170, 280 : 메신저 서비스부 185 : 세트메뉴 등록부
190, 290 : 제어부
200 : 메뉴 관리 서버 210 : 메뉴 정보 데이터베이스
220 : 고객 정보 데이터베이스 230 : 세트메뉴 관리부
240 : 메뉴 제공부 260 : 메뉴 추천부
270 : 현황정보 제공부

Claims (16)

  1. 사용자 식별정보, 주문 이력, 선호도, 현재 주문 상황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고객 정보가 저장된 고객 정보 데이터베이스;
    세트메뉴별 메뉴명들, 메뉴별 상품명들, 각 상품 정보 중 적어도 하나가 저장된 메뉴 정보 데이터베이스;
    단일 상품들이 조합되어 구성된 세트메뉴를 상기 메뉴 정보 데이터베이스에 등록하는 세트 메뉴 관리부;
    단말장치로부터 세트메뉴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세트메뉴 조회 요청 신호가 수신된 경우, 상기 메뉴 정보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세트메뉴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메뉴명, 메뉴별 상품명, 각 상품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세트메뉴 상세정보를 획득하여 상기 단말장치로 전송하는 메뉴 제공부; 및
    상기 단말장치로부터 세트메뉴 주문정보가 수신된 경우, 해당 세트메뉴에 대한 결제처리를 수행하는 주문 처리부;를 포함하며,
    상기 세트 메뉴 관리부는, 단말장치로부터 상기 세트메뉴를 구성하는 단일 상품 품목이 변경된 사용자 세트메뉴 등록 요청 신호가 수신된 경우 상기 사용자 세트메뉴 정보를 등록하고, 상기 등록된 사용자 세트메뉴가 사용자가 속한 그룹의 다른 사용자들과 공유 가능하도록 설정하고,
    상기 메뉴 제공부는, 상기 단말장치의 정보를 근거로 화면 사이즈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된 화면 사이즈에 따라 세트메뉴 리스트 또는 세트메뉴 상세정보를 제공하는 화면의 배열을 변경하여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뉴 관리 서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세트 메뉴 관리부는,
    상기 메뉴 정보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된 세트메뉴들을 본점, 판매처, 인도처 중 적어도 하나의 카테고리로 분류하여 등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뉴 관리 서버.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세트 메뉴 관리부는 단말장치로부터 세트메뉴 정보 및 사용자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세트메뉴 등록 요청 신호가 수신된 경우, 고객 정보 데이터베이스의 사용자 식별정보에 세트메뉴 정보를 등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뉴 관리 서버.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객 정보 데이터베이스는 그룹으로 분류되고, 각 그룹에는 그 그룹에 속한 고객정보, 각 고객에 의해 등록된 세트 메뉴 정보가 등록되어 있으며,
    상기 세트메뉴 관리부는 상기 세트메뉴 등록 요청 신호에 포함된 세트메뉴 정보를 상기 사용자 식별정보가 속한 그룹에 등록하고, 해당 그룹에 등록된 세트메뉴 정보는 그 그룹에 속한 다른 고객들과 공유 가능하도록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뉴 관리 서버.
  5. 제1항에 있어서,
    사용자 로그인 정보가 수신되거나 메뉴추천 요청 신호가 수신된 경우, 상기 고객 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해당 사용자의 주문 이력, 선호도, 현재 주문 상황 중 적어도 하나를 근거로 추천 세트메뉴를 선정하고, 상기 추천 세트메뉴를 상기 사용자의 단말장치로 전송하는 메뉴 추천부를 더 포함하는 메뉴 관리 서버.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장치로부터 주문 현황, 매출 현황, 입고/재고 현황, 단가조회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현황 조회가 요청된 경우, 고객 정보 데이터베이스로부터 해당 현황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현황 정보를 상기 단말장치로 전송하는 현황 정보 제공부를 더 포함하는 메뉴 관리 서버.
  8. 제1항에 있어서,
    사용자의 문의 정보 또는 요청 정보를 실시간으로 수신하고, 이에 대한 응답을 실시간으로 제공하는 메신저 서비스부를 더 포함하는 메뉴 관리 서버.
  9. 출력부;
    통신망을 통해 메뉴관리 서버에 접속하거나, 기 저장된 메뉴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된 경우, 상기 메뉴 관리 서버에서 제공하는 세트메뉴 리스트를 상기 출력부에 표시하고, 상기 표시된 세트메뉴 리스트중에서 특정 세트메뉴가 선택된 경우, 세트메뉴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세트메뉴 조회 요청 신호를 상기 메뉴관리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메뉴관리서버로부터 세트메뉴 상세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출력부에 표시하는 메뉴 조회부;
    상기 메뉴 관리 서버에서 제공하는 세트메뉴 리스트 중에서 선택된 세트메뉴를 구성하는 단일 품목 정보가 사용자에 의해 변경된 경우, 사용자 세트메뉴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사용자 세트메뉴 및 사용자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세트 메뉴 등록 요청 신호를 상기 메뉴 관리 서버로 전송하여 상기 사용자 세트메뉴를 등록하는 세트메뉴 등록부; 및
    상기 특정 세트메뉴의 주문 및 결제처리를 수행하는 주문 처리부;를 포함하며,
    상기 메뉴 조회부는, 상기 세트메뉴 리스트 또는 세트메뉴 상세정보를 상기 출력부의 화면 사이즈에 따라 배열을 다르게 하여 상기 출력부에 표시하고,
    상기 사용자 세트메뉴는, 사용자가 속한 그룹의 다른 사용자들과 공유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장치.
  10. 삭제
  11. 제9항에 있어서,
    주문 현황, 매출 현황, 입고/재고 현황, 단가조회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현황 조회 요청 신호를 상기 메뉴관리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메뉴관리서버로부터 해당 현황정보를 수신하는 현황정보 조회부를 더 포함하는 단말장치.
  12. 제9항에 있어서,
    문의 정보 또는 요청 정보가 입력된 경우, 상기 입력된 문의 정보 또는 요청 정보를 실시간으로 메뉴 관리 서버로 전송하고, 이에 대한 응답을 실시간으로 수신하는 메신저 서비스부를 더 포함하는 단말장치.
  13. 삭제
  14. 메뉴 관리 서버에서 제공하는 세트메뉴 리스트 중에서 특정 세트메뉴가 선택된 경우, 세트메뉴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세트메뉴 조회 요청 신호를 상기 메뉴관리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메뉴관리서버로부터 세트메뉴 상세정보를 수신하여 출력부의 화면 사이즈에 따라 배열을 다르게 하여 표시하는 단말장치; 및
    상기 단말장치로부터 세트메뉴 조회 요청 신호가 수신된 경우, 상기 세트메뉴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메뉴명, 메뉴별 상품명, 각 상품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세트메뉴 상세정보를 상기 단말장치로 전송하고, 상기 단말장치로부터 세트메뉴 주문정보가 수신된 경우, 해당 세트메뉴에 대한 결제처리를 수행하는 메뉴 관리 서버;
    를 포함하며,
    상기 단말장치는 상기 세트메뉴 리스트 중 특정 세트메뉴를 선택하고, 선택된 세트메뉴를 구성하는 단일 품목 정보를 변경하여 사용자 세트메뉴 등록 요청 신호를 상기 메뉴 관리 서버로 전송하며,
    상기 메뉴 관리 서버는 상기 사용자 세트메뉴 등록 요청 신호에 따라 상기 사용자 세트메뉴 정보를 등록하고, 상기 등록된 사용자 세트메뉴는 사용자가 속한 그룹의 다른 사용자들과 공유 가능하도록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뉴 주문 처리 시스템.
  15. 단말장치가 메뉴 주문 처리를 위한 방법에 있어서,
    메뉴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면, 메뉴 관리 서버에서 제공하는 세트메뉴 리스트를 출력부의 화면 사이즈에 따라 배열을 다르게 하여 표시하는 단계;
    상기 세트메뉴 리스트에서 특정 세트메뉴가 선택되면, 상기 선택된 특정 세트메뉴에 대한 상세정보를 상기 출력부의 화면 사이즈에 따라 배열을 다르게 하여 표시하고, 사용자에 의해 주문 명령이 입력된 경우, 주문정보 입력 화면을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주문정보 입력 화면을 통해 세트메뉴 주문 정보를 입력받고, 결제 처리가 완료되면, 상기 세트메뉴 주문 정보를 상기 메뉴 관리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세트메뉴 리스트를 표시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메뉴 관리 서버에서 제공되는 세트메뉴 리스트 중 특정 세트메뉴를 선택 받고, 선택된 세트메뉴를 구성하는 단일 품목 정보가 변경된 경우 사용자 세트메뉴를 생성하고, 생성된 사용자 세트메뉴 등록 요청 신호를 상기 메뉴 관리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며,
    상기 사용자 세트메뉴는 사용자가 속한 그룹의 다른 사용자들과 공유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뉴 주문 처리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세트 메뉴 등록 요청 신호는,
    사용자 식별정보를 더 포함하여 상기 메뉴 관리 서버에 상기 사용자 세트메뉴가 상기 사용자 식별정보와 함께 등록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뉴 주문 처리 방법.
KR1020140006335A 2014-01-17 2014-01-17 메뉴 주문 처리 시스템 및 방법 KR1015953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6335A KR101595315B1 (ko) 2014-01-17 2014-01-17 메뉴 주문 처리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6335A KR101595315B1 (ko) 2014-01-17 2014-01-17 메뉴 주문 처리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86138A KR20150086138A (ko) 2015-07-27
KR101595315B1 true KR101595315B1 (ko) 2016-02-18

Family

ID=538750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06335A KR101595315B1 (ko) 2014-01-17 2014-01-17 메뉴 주문 처리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9531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184698A (zh) * 2015-10-30 2015-12-23 上海斐讯数据通信技术有限公司 智能点菜系统
KR102044777B1 (ko) * 2017-12-15 2019-11-28 타킷 주식회사 공동 주문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서버
KR102464615B1 (ko) * 2021-12-06 2022-11-07 김미영 인공지능 기반 레시피 및 식단 정보 제공 방법, 장치 및 시스템
KR20230143093A (ko) * 2022-04-04 2023-10-11 주식회사 티오더 무인 주문 서비스 시스템의 중앙 관제 장치 및 그 편의 정보 제공 방법
KR102487108B1 (ko) * 2022-04-04 2023-01-10 티오더 주식회사 무인 주문 서비스 시스템의 중앙 관제 장치 및 그 편의 정보 제공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17664A (ko) * 2001-08-21 2003-03-04 명문넷주식회사 인터넷을 이용한 단체급식 관리시스템
KR100911646B1 (ko) 2005-11-09 2009-08-10 삼성전자주식회사 식당 통합 관리 방법 및 시스템
KR20100062471A (ko) * 2008-12-02 2010-06-10 송호섭 맞춤형 식단 및 맞춤형 식단 제공방법
KR101140262B1 (ko) * 2010-05-27 2012-04-26 엔에이치엔(주) 모바일 검색결과 제공시스템,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KR20130048055A (ko) * 2011-11-01 2013-05-09 황영은 레시피 음식점 운영시스템 및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86138A (ko) 2015-07-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30042931A1 (en) Menu Personalization
US10229405B2 (en) Merchandise sales data processing apparatus, and program therefor
US20200342550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generating restaurant recommendations
KR101829254B1 (ko) 개인 소셜 정보 운용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시스템
KR101533199B1 (ko) 인터넷을 통하여 이용자가 선택한 식재료로 요리한 음식을 주문하는 방법
US20090112467A1 (en) Map-centric service for social events
KR101595315B1 (ko) 메뉴 주문 처리 시스템 및 방법
US20140214534A1 (en) Restaurant menu generation and in-restaurant promotions
KR101894678B1 (ko) 음식주문에 기반한 소비패턴 분석을 통한 소비자-판매자 중심의 맞춤 서비스 방법
KR101859055B1 (ko) 상품 아이템과 사용자 게시물 기반의 상품 정보 서비스 제공 방법, 그 장치 및 상품 정보 서비스 제공 시스템
JPWO2014207813A1 (ja) リスト提示装置、リスト提示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WO2021236267A1 (en) Shopping list and cart integration
US20200273085A1 (en) Joint gift registry
US20140358711A1 (en) Network-based gift service
KR101714274B1 (ko) 상품 아이템과 사용자 게시물 기반의 상품 정보 서비스 제공 방법, 그 장치 및 상품 정보 서비스 제공 시스템
JP2006227834A (ja) 注文受付装置、携帯通信端末、及び、注文管理システム
JP2018185599A (ja) 注文管理装置、注文管理システム、注文管理方法、及び注文管理プログラム
JP6998563B1 (ja) 情報提供方法
JP7299509B2 (ja) 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20170308929A1 (en) Social Network Based Advertisement
TW201643804A (zh) 資訊處理裝置、pos系統、資訊處理方法及記憶有程序之計算機可讀取的記憶介質
JP2014049039A (ja) 買物支援装置
CN114556401A (zh) 购买或预订葡萄酒的系统及在该系统中实现的方法和程序
KR20140125939A (ko) 인맥정보 기반의 컨텐츠 추천 시스템 및 방법
KR20190059141A (ko) 통합 장바구니 서비스를 이용한 상품공유 및 선물하기 제공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04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