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67586A - 클라우드 플랫폼 기반 홈 디자인 서비스 제공방법 - Google Patents

클라우드 플랫폼 기반 홈 디자인 서비스 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67586A
KR20190067586A KR1020170167676A KR20170167676A KR20190067586A KR 20190067586 A KR20190067586 A KR 20190067586A KR 1020170167676 A KR1020170167676 A KR 1020170167676A KR 20170167676 A KR20170167676 A KR 20170167676A KR 20190067586 A KR20190067586 A KR 2019006758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terior
exterior
smart device
objects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676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정우
Original Assignee
송정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정우 filed Critical 송정우
Priority to KR10201701676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67586A/ko
Publication of KR201900675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6758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2Agriculture; Fishing; Min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4/00Additive manufacturing, i.e. manufacturing of three-dimensional [3D] objects by additive deposition, additive agglomeration or additive layering, e.g. by 3D printing, stereolithography or selective laser sintering
    • B29C64/30Auxiliary operations or equipment
    • B29C64/386Data acquisition or data processing for additive manufactu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3ADDITIVE MANUFACTURING TECHNOLOGY
    • B33YADDITIVE MANUFACTURING, i.e. MANUFACTURING OF THREE-DIMENSIONAL [3-D] OBJECTS BY ADDITIVE DEPOSITION, ADDITIVE AGGLOMERATION OR ADDITIVE LAYERING, e.g. BY 3-D PRINTING, STEREOLITHOGRAPHY OR SELECTIVE LASER SINTERING
    • B33Y50/00Data acquisition or data processing for additive manufactu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3ADDITIVE MANUFACTURING TECHNOLOGY
    • B33YADDITIVE MANUFACTURING, i.e. MANUFACTURING OF THREE-DIMENSIONAL [3-D] OBJECTS BY ADDITIVE DEPOSITION, ADDITIVE AGGLOMERATION OR ADDITIVE LAYERING, e.g. BY 3-D PRINTING, STEREOLITHOGRAPHY OR SELECTIVE LASER SINTERING
    • B33Y80/00Products made by additive manufactur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5/00Digital computers in general; Data processing equipment in general
    • G06F15/16Combinations of two or more digital computers each having at least an arithmetic unit, a program unit and a register, e.g. for a simultaneous processing of several progra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4Manufacturing

Abstract

본 발명은 클라우드 플랫폼 기반 홈 디자인 서비스 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클라우드 인프라 기반의 플랫폼인 URP(Urban Re-engineering Platform)를 통하여 인테리어와 익스테리어 시뮬레이션 및 3D 조형물을 제작하여 제공하는 서비스제공서버가 사용자의 카메라 모듈에 촬영된 영상을 입력받아 홈 디자인 시뮬레이션 서비스를 제공하고, 시뮬레이션된 홈 디자인을 3D 프린터를 이용하여 제작된 3D 조형물을 제공해주는 클라우드 플랫폼 기반 홈 디자인 서비스 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목적 달성을 위한 본 발명은 URP(Urban Re-engineering Platform)를 기반으로 인테리어 시뮬레이션 및 3D 조형물을 제작하여 제공하는 서비스제공서버가, (A) 인테리어 시뮬레이션 서비스를 구현하기 위한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설치된 스마트 기기의 카메라로 촬영된 인테리어 시뮬레이션 대상이 되는 공간의 영상정보를 입력받는 단계; (B) 상기 입력받은 영상정보를 분석하여 3차원 공간을 형성하는 단계; (C) 상기 스마트 기기에 인테리어 객체 라이브러리를 제공하는 단계; (D) 상기 스마트 기기로부터 상기 라이브러리에서 선택된 인테리어 객체를 상기 (B) 단계에서 구성된 3차원 공간에 적용하여 상기 스마트 기기에 전송하는 단계; 및 (E) 상기 3차원 공간에 적용된 인테리어 시뮬레이션 정보를 이용하여 3D 모델링한 후 3D 프린터를 이용하여 3D 조형물을 제작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클라우드 플랫폼 기반 홈 디자인 서비스 제공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클라우드 플랫폼 기반 홈 디자인 서비스 제공방법{Cloud Platform Based Home Design Service Delivery Method}
본 발명은 클라우드 플랫폼 기반 홈 디자인 서비스 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클라우드 인프라 기반의 플랫폼인 URP(Urban Re-engineering Platform)를 통하여 인테리어와 익스테리어 시뮬레이션 및 3D 조형물을 제작하여 제공하는 서비스제공서버가 사용자의 카메라 모듈에 촬영된 영상을 입력받아 홈 디자인 시뮬레이션 서비스를 제공하고, 시뮬레이션된 홈 디자인을 3D 프린터를 이용하여 제작된 3D 조형물을 제공해주는 클라우드 플랫폼 기반 홈 디자인 서비스 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실내 건축 디자인이란 실내 공간 디자인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실내 디자인, 인테리어 디자인 또는 홈 디자인라는 단어로 통용되고 있으며, 건축물의 내외부를 각각의 목적과 용도에 맞게 계획하고 형태화 하는 작업을 뜻한다.
인테리어 및 익스테리어라는 단어는 초기에는 실내외 장식(interior decoration)의 의미만을 갖고 있었으나, 오늘날에는 계획, 장식, 디스플레이 등 광범위한 개념을 형성하고 있다. 오늘날 홈 디자인은 주택, 사무실, 상점, 병원, 호텔, 레스토랑, 카페, 백화점, 미용실, 의상실, 공장, 학교 등 인간이 사용하는 거의 모든 건축물을 대상으로 하며, 배, 항공기 등 대형 이동수단의 내외부도 디자인의 대상으로 한다.
인테리어 및 익스테리어는 건축물의 설계 시 필요하고, 기존 건축물을 헐지 않고 개보수해 사용하는 리노베이션 시, 단순히 벽지나 간단한 소품 등을 변경 시 등 그 적용 범위가 광범위하다. 홈 디자인의 설정이나 변경 등에 소요되는 경비는, 설정 또는 변경 정도에 따라 큰 차이가 있을 수 있고, 시공 방법 등에 따라 건설 공사 수준의 경비가 소요되기도 한다. 따라서 인테리어 및 익스테리어 디자인의 결정은 신중하게 이루어져야 하며, 결정 전 시뮬레이션 과정이 필요하다.
그러나 아직까지 인테리어 및 익스테리어 시뮬레이션은 전문 인테리어 및 익스테리어 업자에 의해 수행되는 것이 대부분이어서 별도의 비용이 필요하고, 고가의 프로그램 및 많은 시간이 필요한 단점이 있다. 따라서 많은 중소규모 인테리어 및 익스테리어 사업자들은 바닥재, 벽지 등의 샘플만을 제공하고, 사용자들은 샘플만 보고 완성된 모습을 상상할 수밖에 없는 한계가 있다.
한편, 최근에 3D 프린터를 이용하여 여러 가지 제품들을 제작하는 기술이 크게 주목을 받고 있는바, 상기 종래기술에 3D 프린터 기술을 접목시킨다면 사용자들의 욕구나 시간 및 비용 절약이 가능할 것이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1-0087028호가 공개된 바 있다.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클라우드 인프라 기반의 플랫폼인 URP(Urban Re-engineering Platform)를 통하여 인테리어와 익스테리어 시뮬레이션 및 3D 조형물을 제작하여 제공하는 서비스제공서버가 스마트 기기로부터 홈 디자인 시뮬레이션 대상이 되는 공간을 촬영한 영상을 입력받아 홈 디자인 시뮬레이션 결과 및 그 결과물을 3D프린터를 이용하여 3D 조형물을 제작하여 제공하므로써, 실제 홈 디자인를 시공할 공간을 촬영한 영상으로 홈 디자인 시뮬레이션을 할 수 있음과 동시에 홈 디자인가 완성된 실제상태를 3D 조형물을 통해 용이하게 예측할 수 있도록 한 클라우드 플랫폼 기반 홈 디자인 서비스 제공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 달성을 위한 본 발명은 클라우드 인프라 기반의 플랫폼인 URP(Urban Re-engineering Platform)를 통하여 인테리어와 익스테리어 시뮬레이션 및 3D 조형물을 제작하여 제공하는 서비스제공서버가, (A) 인테리어 및 익스테리어 시뮬레이션 서비스를 구현하기 위한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설치된 스마트 기기의 카메라로 촬영된 인테리어 및 익스테리어 시뮬레이션 대상이 되는 공간의 영상정보를 입력받는 단계; (B) 상기 입력받은 영상정보를 분석하여 3차원 공간을 형성하는 단계; (C) 상기 스마트 기기에 인테리어 및 익스테리어 객체 라이브러리를 제공하는 단계; (D) 상기 스마트 기기로부터 상기 라이브러리에서 선택된 인테리어 및 익스테리어 객체를 상기 (B) 단계에서 구성된 3차원 공간에 적용하여 상기 스마트 기기에 전송하는 단계; 및 (E) 상기 3차원 공간에 적용된 인테리어 시뮬레이션 정보를 이용하여 3D 모델링한 후 3D 프린터를 이용하여 3D 조형물을 제작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클라우드 플랫폼 기반 홈 디자인 서비스 제공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D) 단계는 상기 인테리어 및 익스테리어 객체를 적용하여 3차원으로 인테리어 및 익스테리어 시뮬레이션 결과를 생산하여 상기 스마트 기기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인테리어 및 익스테리어 객체는 벽지, 바닥재, 타일, 몰딩, 가구, 홈 디자인 용품, 조명, 커튼, 문 또는 창문을 포함하는 카테고리별로 분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D) 단계는 (D-1) 상기 스마트 기기로부터 상기 라이브러리에서 인테리어 객체의 선택을 입력받는 단계; (D-2) 상기 스마트 기기로부터 상기 공간의 영상에서 상기 인테리어 및 익스테리어 객체를 적용하고자 하는 위치의 선택을 입력받는 단계; (D-3) 상기 (D-2) 단계에서 입력받은 위치에 상기 인테리어 및 익스테리어 객체를 적용할 수 있는지 판단하는 단계; (D-4) 상기 (D-3) 단계의 판단 결과 적용이 가능 여부에 따라 상기 인테리어 및 익스테리어 객체를 상기 (A) 단계에서 파악한 공간의 형태에 맞게 보정하는 단계; (D-5) 상기 보정된 인테리어 및 익스테리어 객체를 상기 공간의 영상에 적용하는 단계; 및 (D-6) 상기 (D-5) 단계를 통하여 생산된 인테리어 및 익스테리어 시뮬레이션 결과를 상기 스마트 기기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F) 상기 스마트 기기로부터 시공 및 견적의뢰를 요청받으면, 상기 (D) 단계에서 상기 스마트 기기에 전송한 인테리어 및 익스테리어 결과물에 대하여 시공할 수 있는 적합한 복수의 시공업체 및 견적에 대한 정보를 상기 스마트 기기에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클라우드 인프라 기반의 플랫폼인 URP(Urban Re-engineering Platform)를 통하여 인테리어와 익스테리어 시뮬레이션 및 3D 조형물을 제작하여 제공하는 서비스제공서버가 스마트 기기로부터 홈 디자인 시뮬레이션 대상이 되는 공간을 촬영한 영상을 입력받아 홈 디자인 시뮬레이션 결과 및 그 결과물을 3D프린터를 이용하여 3D 조형물을 제작하여 제공하므로써, 실제 홈 디자인를 시공할 공간을 촬영한 영상으로 홈 디자인 시뮬레이션을 할 수 있음과 동시에 홈 디자인 시뮬레이션에 따른 완성된 실제상태를 3D 조형물을 통해 용이하게 예측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클라우드 플랫폼 기반 홈 디자인 서비스 제공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적용된 클라우드 인프라 기반의 플랫폼인 URP(Urban Re-engineering Platform)의 개념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클라우드 플랫폼 기반 홈 디자인 서비스 제공방법의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S100 단계가 구현된 스마트 기기의 화면을 나타낸 개략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S400 단계가 구현된 스마트 기기의 화면을 나타낸 개략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S400 단계의 흐름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S500 단계에서 3D 프린터에 의해 제작된 3D 조형물을 나타낸 사시도.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제2, 제1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1 구성요소도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클라우드 플랫폼 기반 홈 디자인 서비스 제공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인 클라우드 플랫폼 기반 홈 디자인 서비스 제공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시스템은, 스마트 기기(100) 및 서비스제공서버(2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즉, 서비스 제공 서버(200)는 카메라 모듈(110)을 구비한 스마트 기기(100)로부터 인테리어 및 익스테리어 시뮬레이션 대상이 되는 공간을 촬영한 영상을 입력받아, 내외부 공간의 크기, 각도, 구조 등의 형태를 파악하고, 스마트 기기(100)로부터 선택을 입력받은 인테리어 및 익스테리어 객체를 촬영된 영상의 공간에 적용함으로써, 실제 촬영한 영상에 각종 인테리어 및 익스테리어를 한 시뮬레이션 결과를 스마트 기기(100)에 전송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스마트 기기(100)의 카메라 모듈(110)에 의해 촬영된 공간의 영상을 이용하여 인테리어 및 익스테리어 시뮬레이션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자신의 스마트 기기(100)를 이용하여 편리하게 인테리어 및 익스테리어 시뮬레이션을 할 수 있다.
따라서 고가의 전문 프로그램이 불필요함은 물론 실제 인테리어 및 익스테리어를 시공할 공간을 촬영한 영상으로 인테리어 및 익스테리어 시뮬레이션을 하기 때문에, 인테리어 및 익스테리어가 완성된 상태를 용이하게 예측하고, 다양한 인테리어 및 익스테리어 객체 등을 선택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기기(100)의 카메라 모듈(110)을 이용한 인테리어 및 익스테리어 시뮬레이션 서비스제공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시스템을 구성하는 각 구성요소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여기서, 스마트 기기(100)는 서비스 제공 서버(200)가 제공하는 인테리어 및 익스테리어 시뮬레이션 서비스를 이용하여 인테리어 및 익스테리어 시공 후 모습을 시뮬레이션해 보고자 하는 사용자의 단말기이다.
이와 같은 스마트 기기(100)는 기능이 제한되어 있지 않고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통해 상당 부분 기능을 변경하거나 확장할 수 있는 제품을 가리키는 것으로서, 스마트폰, 태블릿 PC, 스마트 TV 등일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스마트 기기(100)가 나열한 바와 같은 단말기의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설치하고 카메라 모듈(110)을 구비하여 카메라 모듈(110)로부터 인테리어 및 익스테리어 시뮬레이션 대상이 되는 내외부 공간의 영상을 촬영하여 서비스 제공 서버(200)에 제공하고, 각종 인테리어 및 익스테리어 객체를 선택하여 서비스제공서버(200)로부터 인테리어 및 익스테리어 시뮬레이션 결과를 전송받을 수 있다면, 구체적인 단말기의 형태에 관계없이 본 발명의 스마트 기기(100)의 역할을 얼마든지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기(100)를 이용하여 서비스제공서버(200)에 접속하여 서비스제공서버(200)가 제공하는 다양한 인테리어 및 익스테리어 제품들의 2D 또는 3D 이미지 디자인들을 제공받는다. 여기에서 제공되는 다양한 인테리어 및 익스테리어 제품들은 책상, 의자, 소파, 테이블, 책장 등이 있다. 다만 이는 예시적인 예들이며 이외에 다양한 다수의 제품들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기(100)를 통하여 제공된 인테리어 및 익스테리어 제품들 중에서 원하는 제품을 선택하면 서비스제공서버(200)는 실제 공간을 반영한 가상공간을 제공하여 배치해 볼 수 있는 시뮬레이션을 제공하게 되는데, 이러한 시뮬레이션을 통하여 사용자는 원하는 형상과 색상을 선택하여 원하는 디자인의 제품을 최종 선택한다.
서비스제공서버(200)는 클라우드 인프라 기반의 플랫폼인 URP(Urban Re-engineering Platform)를 통해서 스마트 기기(100)의 카메라 모듈(110)로부터 인테리어 시뮬레이션 대상이 되는 공간을 촬영한 영상을 입력받아 인테리어 및 익스테리어 시뮬레이션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이다.
이와 같은 서비스제공서버(200)는 네트워크를 통한 스마트 기기(100)의 접속을 허용하고 입력받은 영상을 이용하여 인테리어 및 익스테리어 시뮬레이션 경과를 2차원, 3차원 또는 평면도 등으로 생성 및 구성하여 스마트 기기(100)에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서비스제공서버(200)는 스마트 기기(100)로부터 시공의뢰를 요청받음에 따라 선택된 인테리어 및 익스테리어 결과물에 대하여 시공할 수 있는 적합한 복수의 시공사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도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적용된 클라우드 인프라 기반의 플랫폼인 URP(Urban Re-engineering Platform)의 개념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적용되는 URP(Urban Re-engineering Platform)는 홈 디자인 서비스를 보편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클라우드 인프라 기반의 플랫폼으로써, 사용자의 서비스를 접수하고 대응하는 헬프데스크(Help Desk)와 클라우드(Coloud) IaaS(infrastructure as a Service) 기반의 디자인 플랫폼이다.
즉, CAD 엔진, 3D Firgure제작, Pre Painting, Pre Interior, Pre Exterior, 시공사 및 건축 자재 협력사 매칭 등으로 구성되며, 이를 기반으로 하여 고객과의 소통을 통하여 시공 서비스를 제공하는 플랫폼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클라우드 플랫폼 기반 홈 디자인 서비스 제공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인 클라우드 플랫폼 기반 홈 디자인 서비스 제공방법은, 인테리어 및 익스테리어 시뮬레이션 대상이 되는 공간의 영상을 입력받는 단계(S100)와, 입력받은 영상정보를 분석하여 3차원 공간을 형성하는 단계(S200)와, 스마트 기기(100)에 인테리어 및 익스테리어 객체 라이브러리를 제공하는 단계(S300)와, 인테리어 및 익스테리어 객체를 3차원 공간에 적용하여 스마트 기기(100)에 전송하는 단계(S400)와, 3차원 공간에 적용된 인테리어 및 익스테리어 시뮬레이션 정보를 이용하여 3D 모델링 하는 단계(S500) 및 3D 모델링된 정보를 입력받아 3D 프린터를 이용하여 3D 조형물을 제작하는 단계(S600)을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다.
S100 단계는, 서비스 제공 서버(200)가 인테리어 및 익스테리어 시뮬레이션 서비스를 구현하기 위한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설치된 스마트 기기(100)의 카메라 모듈(110)에서 촬영된 인테리어 및 익스테리어 시뮬레이션 대상이 되는 내외부 공간의 영상을 입력받을 수 있다.
이때, S100 단계는 미리 정해진 방향 및 각도의 영상을 입력받을 수 있으며, 이를 위해 스마트 기기(100)의 화면에 가이드라인을 출력할 수도 있다.
한편, 영상이 크게 왜곡되어 있는 경우에는 영상을 통해 공간을 재구성하기 힘들고, 공간의 형태를 파악하기도 어렵기 때문에, 방향이나 각도 등을 미리 정하여 그에 맞추어 영상의 촬영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도 있다.
즉, 스마트 기기(100)에 설치되어 실행된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서는 정확하고 원활한 인테리어 및 익스테리어 시뮬레이션을 위해 입력받아야 하는 영상의 목록과 요청 사항을 출력하여, 사용자가 필요한 영상을 요청 사항에 맞추어 촬영하고 서비스 제공 서버(200)에 입력하도록 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S100 단계가 구현된 스마트 기기의 화면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S100 단계는 서비스제공서버(200)가 스마트 기기(100)에 구비된 카메라 모듈(110)을 이용하여 인테리어 시뮬레이션 대상의 공간을 촬영한 영상을 입력받을 수 있다. 이때, 서비스제공서버(200)가 입력받는 공간에 대하여 촬영된 영상은 사진 촬영 파일이나 동영상 파일일 수 있다.
또한, S100 단계는 촬영된 공간 또는 촬영된 공간에 포함된 객체의 실측값 정보를 더 입력받을 수 있다.
특히, 인테리어 및 익스테리어 시공을 위한 견적 산출이나 인테리어 물품 배치를 위해서는 공간의 크기 등이 필요할 수 있다.
따라서 단계 S100에서는 내외부 공간 또는 내외부 공간에 포함된 객체의 실측값 정보를 더 입력받아, 정확한 인테리어 및 익스테리어 시뮬레이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내외부 공간에 포함된 문의 길이와 높이 등에 대한 실측값을 입력받음으로써, 내외부 공간에서 문이 포함된 벽면의 너비와 천정까지의 높이 등을 산출할 수 있다.
S200 단계는 서비스 제공 서버(100)가 입력받은 영상을 분석하여 공간의 형태를 파악할 수 있다. 공간의 형태란, 공간의 넓이, 크기, 모서리 위치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벽, 바닥, 천장 등의 구분, 문이나 창문의 위치와 크기 파악 등을 통해, 공간에 인테리어 및 익스테리어 시뮬레이션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S200 단계는 단계 S100에서 입력받은 영상의 채도와 명도 분석, 실측값 정보 등을 이용하여 세부적인 형태 파악을 할 수 있다.
한편, S200 단계는, 스마트 기기(100)로부터 입력받은 요청에 따라 영상에 포함된 이미지 등을 삭제하여 인테리어 시뮬레이션을 구현할 영상을 재구성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S100 단계에서 입력받은 영상에는, 책상, 테이블, 의자 등 기존에 비치되어 있는 인테리어 및 익스테리어 물품들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다. 단계 S200에서는 스마트 기기(200)의 요청에 따라 이와 같은 기존의 인테리어 및 익스테리어 물품의 이미지 등을 삭제하고, 내외부 공간의 형태를 정확하게 파악할 수도 있다.
또한, S200 단계는 서비스 제공 서버(200)가 입력받은 영상을 이용하여 3차원 공간을 구성할 수 있다. S100 단계에서 스마트 기기(100)로부터 입력받은 영상이 내외부 공간의 다양한 면을 촬영한 것이면, S200 단계에서 서비스 제공 서버(200)는 각 영상을 조합하여 3차원 공간을 구성할 수 있다. 서비스 제공 서버(100)는, S200 단계에서 구성한 3차원 공간의 이미지를 스마트 기기(100)에 전송하여 사용자가 확인하도록 할 수 있고, 스마트 기기(100)로부터 입력받은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3차원의 내외부 공간이 표시되는 각도, 방향, 크기 등을 조절할 수 있다.
S300 단계는 서비스 제공 서버(200)가 스마트 기기(100)에 인테리어 및 익스테리어 객체 라이브러리를 제공할 수 있다. 인테리어 및 익스테리어 객체는, 벽지, 바닥재, 타일, 몰딩, 가구, 인테리어 용품, 조명, 커튼, 문, 창문 등을 포함하는 카테고리별로 분류된 것일 수 있으며, 가구 등 하위 카테고리가 있는 경우에는 다시 종류별로 분류될 수도 있다. 인테리어 및 익스테리어 객체는 사용자가 원하는 대로 인테리어 및 익스테리어 시뮬레이션을 적용해 보기 위하여 필요한 도구들일 수 있으며, 벽지, 바닥재, 타일 등의 샘플일 수 있다.
한편, 단계 S300에서 스마트 기기(100)에 제공하는 인테리어 및 익스테리어 객체 라이브러리는 서비스제공서버(200)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것일 수 있다.
또한, 스마트 기기(100)의 요청에 따라 스마트 기기(100)에 저장된 이미지 등을 라이브러리에 인테리어 및 익스테리어 객체로 추가할 수도 있다.
이때, 추가하는 인테리어 및 익스테리어 객체의 크기 정보 등을 함께 입력하여 후술되는 S400 단계에서 내외부 공간에 추가한 인테리어 및 익스테리어 객체를 정확하게 적용하도록 할 수도 있다.
S400 단계는 서비스 제공 서버(100)가 스마트 기기(200)로부터 라이브러리에서 선택을 입력받은 인테리어 및 익스테리어 객체를 단계 S200에서 형태를 파악한 내외부 공간에 적용하여 스마트 기기(200)에 전송할 수 있다. 이때, S400 단계에서는 인테리어 및 익스테리어 객체를 적용하여 3차원으로 인테리어 시뮬레이션 결과를 구성하여 스마트 기기(100)에 전송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S400 단계가 구현된 스마트 기기의 화면을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S400 단계의 흐름도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S400 단계는 예를 들어 벽지, 바닥재, 몰딩, 가구, 조명, 커튼, 문 등과 같은 카테고리별로 분류된 인테리어 및 익스테리어 객체 중 한 종류의 벽지를 선택하여 해당하는 벽지 패턴을 벽에 적용할 수 있다. 그밖에 가구 등 다양한 인테리어 및 익스테리어 객체를 사용하여 인테리어 및 익스테리어 시뮬레이션을 할 수도 있으며, 적용이 완료된 시뮬레이션 결과를 스마트 기기(100)에 전송하여 사용자가 확인 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S400 단계는 스마트 기기(100)로부터 라이브러리에서 인테리어 및 익스테리어 객체의 선택을 입력받는 단계(S410)와, 스마트 기기(100)로부터 상기 공간의 영상에서 상기 인테리어 및 익스테리어 객체를 적용하고자 하는 위치의 선택을 입력받는 단계(S420)와, 입력받은 위치에 상기 인테리어 및 익스테리어 객체를 적용할 수 있는지 판단하는 단계(S430)와, 적용이 가능하다고 판단되면 인테리어 및 익스테리어 객체를 공간의 형태에 맞게 보정하는 단계(S440)와, 보정된 인테리어 및 익스테리어 객체를 공간의 영상에 적용하는 단계(S450) 및 생산된 인테리어 및 익스테리어 시뮬레이션 결과를 스마트 기기(100)에 전송하는 단계(S460)를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다.
S410 단계는 서비스 제공 서버(100)가 스마트 기기(200)로부터 라이브러리에서 인테리어 및 익스테리어 객체의 선택을 입력받을 수 있다. 즉, S300 단계에서 서비스제공서버(200)가 스마트 기기(100)에 전송한 인테리어 및 익스테리어 객체 라이브러리에 포함된 인테리어 및 익스테리어 객체의 선택을 입력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와 같이 여러 카테고리 중에서 바닥재의 선택을 입력받고, 다양한 바닥재 중 어느 하나에 대한 선택을 입력 받을 수 있다.
S420 단계는 서비스제공서버(200)가 스마트 기기(100)로부터 인테리어 및 익스테리어 객체를 적용하고자 하는 위치의 선택을 입력받을 수 있다. 도 4 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인테리어 및 익스테리어 시뮬레이션의 대상이 되는 공간에서 S410 단계에서 사용자가 선택한 인테리어 및 익스테리어 객체를 적용하기 위한 위치를 클릭, 터치 또는 드래그 앤 드롭 등을 통해 입력받을 수 있다. S200 단계에서 공간의 형태를 파악하였으므로, 천장, 바닥, 벽, 문 등이 이미 구분되고 모서리 등의 위치가 파악된 상태이다. 따라서 적용할 인테리어 및 익스테리어 객체에 따라 사용자가 벽의 일부를 선택하더라도 벽 전체를 선택한 것으로 간주할 수도 있다.
S430 단계는 서비스제공서버(200)가 S420 단계에서 입력받은 위치에 인테리어 및 익스테리어 객체를 적용할 수 있는지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벽지를 문에 적용하거나 바닥재를 벽에 적용하는 등의 인테리어 및 익스테리어 시공은 할 수 없으므로, S200 단계에서 파악한 공간의 형태를 이용하여 서비스제공서버(200)가 선택받은 인테리어 및 익스테리어 객체의 적용 가능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공간의 실측 크기와 가구 등 인테리어 및 익스테리어 객체의 크기가 정해져 있는 경우에는 길이나 높이, 폭 등의 크기 정보를 이용하여 적용 가부를 판단할 수도 있다.
S440 단계는 서비스제공서버(200)가 S430 단계의 판단 결과 적용이 가능하면, 인테리어 및 익스테리어 객체를 S200 단계에서 파악한 내외부 공간의 형태에 맞게 변형할 수 있다. S410 단계에서 선택을 입력받은 인테리어 및 익스테리어 객체를 S420 단계에서 선택을 입력받은 위치에 적용할 수 있으면, 공간의 각도, 크기, 방향 등을 고려하여 공간 내외의 선택된 위치의 형태에 맞도록 선택을 입력받은 인테리어 객체를 변형할 수 있다.
S450 단계는 서비스제공서버(200)가 변형한 인테리어 및 익스테리어 객체를 공간의 영상에 적용할 수 있다. 즉, S440 단계에서 변형한 인테리어 및 익스테리어 객체를 공간의 영상에 적용하여 인테리어 및 익스테리어 시뮬레이션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벽지 변경, 테이블 배치 등을 할 수 있고, 그밖에 벽 설치, 바닥재 변경 등 각종 인테리어 및 익스테리어 객체를 적용함으로써, 공간의 영상이 변경되어 실제 인테리어 시공이 이루어진 후의 모습을 생산할 수 있다.
S460 단계는 서비스제공서버(200)가 S450 단계를 이용하여 생산한 인테리어 및 익스테리어 시뮬레이션 결과를 스마트 기기(100)에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복수의 인테리어 및 익스테리어 객체를 공간의 영상에 적용할 수 있고, 이미 적용한 인테리어 및 익스테리어 객체를 삭제 또는 변경, 수정 등을 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을 통하여 생산한 인테리어 및 익스테리어 시뮬레이션 결과를 스마트 기기(100)에 전송함으로써, 사용자가 확인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인테리어 및 익스테리어 시뮬레이션 결과는 2차원 뿐 아니라 3차원, 평면도 등으로 생산할 수도 있으며, 스마트 기기(100)의 사용자 요청에 따라 다양한 각도에서 바라본 시뮬레이션 결과 영상을 제공할 수도 있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S500 단계에서 3D 프린터에 의해 제작된 3D 조형물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S500 단계는 S400단계에서 3차원 공간에 시뮬레이션 적용이 완료된 결과를 3D 모델링한 후 3D 프린터를 이용하여 3D 조형물(300)을 제작한다. 이처럼 제작이 완료된 3D 조형물(300)은 사용자에게 배송된다.
한편, 3D 조형물(300)은 실제 공간과 공간에 적용된 가구들은 실제크기에 비례하여 축소된 비율로 제작됨은 물론 공간에 배치되는 바닥재, 벽지 등의 무늬와 색상 및 위치는 실제와 동일하게 적용되어 제작된다.
마지막으로 S700 단계는 서비스 제공 서버(200)가 스마트 기기(100)로부터 시공의뢰 및 견적을 요청받으면 S400 단계에서 전송한 인테리어 및 익스테리어 시뮬레이션에 따라 시공할 수 있는 적합한 몇몇 시공업체를 선정하여 매칭시켜 줌은 물론 각 시공업체가 시공하는데 필요한 비용에 대한 견적서를 작성하여 스마트 기기(100)에 전송할 수 있다.
견적의 내용은 공간의 면적, 바닥재나 벽지 등의 인테리어 및 익스테리어 객체의 선택 여부와 종류, 내벽 설치 여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스마트 기기(100)가 요청하는 품목에 대해서만 견적을 작성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인테리어 및 익스테리어 시뮬레이션 결과가 있는 경우 복수의 견적서를 작성하여 전송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발명 클라우드 플랫폼 기반 홈 디자인 서비스 제공방법의 기술적 사상은 실제로 동일결과를 반복 실시 가능한 것으로, 특히 이와 같은 본 발명을 실시함으로써 기술발전을 촉진하여 산업발전에 이바지할 수 있어 보호할 가치가 충분히 있다.
100 : 스마트 기기
110 : 카메라 모듈
200 : 서비스제공서버
300 : 3D 조형물

Claims (5)

  1. 클라우드 인프라 기반의 플랫폼인 URP(Urban Re-engineering Platform)를 통하여 인테리어와 익스테리어 시뮬레이션 및 3D 조형물을 제작하여 제공하는 서비스제공서버가,
    (A) 인테리어 및 익스테리어 시뮬레이션 서비스를 구현하기 위한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설치된 스마트 기기의 카메라로 촬영된 인테리어 및 익스테리어 시뮬레이션 대상이 되는 공간의 영상정보를 입력받는 단계;
    (B) 상기 입력받은 영상정보를 분석하여 3차원 공간을 형성하는 단계;
    (C) 상기 스마트 기기에 인테리어 및 익스테리어 객체 라이브러리를 제공하는 단계;
    (D) 상기 스마트 기기로부터 상기 라이브러리에서 선택된 인테리어 및 익스테리어 객체를 상기 (B) 단계에서 구성된 3차원 공간에 적용하여 상기 스마트 기기에 전송하는 단계; 및
    (E) 상기 3차원 공간에 적용된 인테리어 및 익스테리어 시뮬레이션 정보를 이용하여 3D 모델링한 후 3D 프린터를 이용하여 3D 조형물을 제작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라우드 플랫폼 기반 홈 디자인 서비스 제공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D) 단계는,
    상기 인테리어 및 익스테리어 객체를 적용하여 3차원으로 인테리어 및 익스테리어 시뮬레이션 결과를 생산하여 상기 스마트 기기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라우드 플랫폼 기반 홈 디자인 서비스 제공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테리어 및 익스테리어 객체는 벽지, 바닥재, 타일, 몰딩, 가구, 홈 디자인 용품, 조명, 커튼, 문 또는 창문을 포함하는 카테고리별로 분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라우드 플랫폼 기반 홈 디자인 서비스 제공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D) 단계는,
    (D-1) 상기 스마트 기기로부터 상기 라이브러리에서 인테리어 및 익스테리어 객체의 선택을 입력받는 단계;
    (D-2) 상기 스마트 기기로부터 상기 공간의 영상에서 상기 인테리어 및 익스테리어 객체를 적용하고자 하는 위치의 선택을 입력받는 단계;
    (D-3) 상기 (D-2) 단계에서 입력받은 위치에 상기 인테리어 및 익스테리어 객체를 적용할 수 있는지 판단하는 단계;
    (D-4) 상기 (D-3) 단계의 판단 결과 적용이 가능 여부에 따라 상기 인테리어 및 익스테리어 객체를 상기 (A) 단계에서 파악한 공간의 형태에 맞게 보정하는 단계;
    (D-5) 상기 보정된 인테리어 및 익스테리어 객체를 상기 공간의 영상에 적용하는 단계; 및
    (D-6) 상기 (D-5) 단계를 통하여 생산된 인테리어 및 익스테리어 시뮬레이션 결과를 상기 스마트 기기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라우드 플랫폼 기반 홈 디자인 서비스 제공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F) 상기 스마트 기기로부터 시공 및 견적의뢰를 요청받으면, 상기 (D) 단계에서 상기 스마트 기기에 전송한 인테리어 및 익스테리어 결과물에 대하여 시공할 수 있는 적합한 복수의 시공업체 및 견적에 대한 정보를 상기 스마트 기기에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라우드 플랫폼 기반 홈 디자인 서비스 제공방법.
KR1020170167676A 2017-12-07 2017-12-07 클라우드 플랫폼 기반 홈 디자인 서비스 제공방법 KR2019006758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7676A KR20190067586A (ko) 2017-12-07 2017-12-07 클라우드 플랫폼 기반 홈 디자인 서비스 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7676A KR20190067586A (ko) 2017-12-07 2017-12-07 클라우드 플랫폼 기반 홈 디자인 서비스 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67586A true KR20190067586A (ko) 2019-06-17

Family

ID=670646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67676A KR20190067586A (ko) 2017-12-07 2017-12-07 클라우드 플랫폼 기반 홈 디자인 서비스 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67586A (ko)

Cited B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12380A (ko) * 2019-07-25 2021-02-03 류근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인테리어의 변경상태를 확인하는 방법
CN112685816A (zh) * 2020-12-25 2021-04-20 四川省交通勘察设计研究院有限公司 基于模型及数据的设计成果在线交付系统及方法
KR20210051399A (ko) * 2019-10-30 2021-05-10 김광수 식물 거래 서비스 제공방법
KR20210119776A (ko) * 2020-03-25 2021-10-06 김준희 건축용 내외장재 패널의 렌탈 및 구독 서비스 제공 시스템
WO2021235635A1 (ko) * 2020-05-20 2021-11-25 (주)아키드로우 가상 컨텐츠 데이터 기반 현실적 장면 이미지의 렌더링 방법 및 그 장치
KR20220023028A (ko) * 2020-08-20 2022-03-02 (주) 아키드로우 가구 아이템의 현실적 장면 이미지 렌더링을 이용한 가구 판매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 장치
KR20220051088A (ko) * 2020-10-16 2022-04-26 주식회사 스타키움 지분율 수익배분에 따른 공유창고 관리를 통한 인테리어 자재 공급 방법 및 제공장치
US20220250326A1 (en) * 2020-02-18 2022-08-11 Drew Alexander Williams 3D Printed Sculptures and Process
KR102436037B1 (ko) * 2022-05-24 2022-08-24 주식회사 웅인 가상현실에 기초한 인테리어 체험 시스템
KR20220142224A (ko) * 2021-04-14 2022-10-21 나병일 오피스텔의 하자 보수 관리 시스템
KR102522054B1 (ko) * 2022-06-02 2023-04-14 주식회사 무아공간 가상공간을 이용한 인테리어 제안 시스템
KR20230068517A (ko) 2021-11-11 2023-05-18 시큐리티플랫폼 주식회사 Vpn 서버 디바이스를 이용한 홈 카메라 보호 플랫폼 시스템
KR20230068518A (ko) 2021-11-11 2023-05-18 시큐리티플랫폼 주식회사 사물인터넷용 보안 통신 디바이스를 이용한 시리얼 통신 보호 플랫폼 시스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87028A (ko) 2010-01-25 2011-08-02 주식회사 앤디하우스 최적의 가상 인테리어 설계 및 견적 서비스 제공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87028A (ko) 2010-01-25 2011-08-02 주식회사 앤디하우스 최적의 가상 인테리어 설계 및 견적 서비스 제공방법

Cited B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12380A (ko) * 2019-07-25 2021-02-03 류근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인테리어의 변경상태를 확인하는 방법
KR20210051399A (ko) * 2019-10-30 2021-05-10 김광수 식물 거래 서비스 제공방법
US20220250326A1 (en) * 2020-02-18 2022-08-11 Drew Alexander Williams 3D Printed Sculptures and Process
US11718040B2 (en) * 2020-02-18 2023-08-08 Drew Alexander Williams 3D printed sculptures and process
KR20210119776A (ko) * 2020-03-25 2021-10-06 김준희 건축용 내외장재 패널의 렌탈 및 구독 서비스 제공 시스템
WO2021235635A1 (ko) * 2020-05-20 2021-11-25 (주)아키드로우 가상 컨텐츠 데이터 기반 현실적 장면 이미지의 렌더링 방법 및 그 장치
KR20220023028A (ko) * 2020-08-20 2022-03-02 (주) 아키드로우 가구 아이템의 현실적 장면 이미지 렌더링을 이용한 가구 판매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 장치
KR20220051088A (ko) * 2020-10-16 2022-04-26 주식회사 스타키움 지분율 수익배분에 따른 공유창고 관리를 통한 인테리어 자재 공급 방법 및 제공장치
CN112685816A (zh) * 2020-12-25 2021-04-20 四川省交通勘察设计研究院有限公司 基于模型及数据的设计成果在线交付系统及方法
KR20220142224A (ko) * 2021-04-14 2022-10-21 나병일 오피스텔의 하자 보수 관리 시스템
KR20230068517A (ko) 2021-11-11 2023-05-18 시큐리티플랫폼 주식회사 Vpn 서버 디바이스를 이용한 홈 카메라 보호 플랫폼 시스템
KR20230068518A (ko) 2021-11-11 2023-05-18 시큐리티플랫폼 주식회사 사물인터넷용 보안 통신 디바이스를 이용한 시리얼 통신 보호 플랫폼 시스템
KR102436037B1 (ko) * 2022-05-24 2022-08-24 주식회사 웅인 가상현실에 기초한 인테리어 체험 시스템
KR102522054B1 (ko) * 2022-06-02 2023-04-14 주식회사 무아공간 가상공간을 이용한 인테리어 제안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067586A (ko) 클라우드 플랫폼 기반 홈 디자인 서비스 제공방법
KR100489866B1 (ko) 네트워크를 이용한 3차원 공간 설계 지원방법, 동 시스템및 동 시스템의 서버
KR102286419B1 (ko) 방 단위의 가상 인테리어 견적 산출 시스템
Lee et al. Customer interactive 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for apartment unit design
US20210319149A1 (en) Method, device, equipment and storage medium for generating three-dimensional space of target house
Balali et al. Real-time interaction and cost estimating within immersive virtual environments
KR101273044B1 (ko) 가상현실 디자인 장치
CN106096153A (zh) 室内装潢实景体验场景提供方法及系统
KR20190065933A (ko) 공간 인식에 기반한 인테리어 플랫폼 제공 방법
CN108959672A (zh) 一种基于虚拟技术的装修管理方法
CN105046534A (zh) 基于互联网的辅助设计系统(iAD)
JP7121811B2 (ja) 三次元空間の眺めを表示させる方法、装置、及び記憶媒体
KR101597299B1 (ko) 증강현실을 이용한 온라인 인테리어 방법 및 시스템
US20190114699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duct design, simulation and ordering
US20210117582A1 (en) Visualizing Building Interior Information In A User-Customized Manner
KR20130026553A (ko) 스마트 기기의 카메라 모듈을 이용한 인테리어 시뮬레이션 서비스 제공 방법
JP6395092B2 (ja) 光環境設計支援装置、光環境設計支援システム、プログラム
CN106663295B (zh) 利用隔断墙的虚拟空间分割方法
Samuel et al. Computational technology and artificial intelligence (AI) revolutionizing interior design graphics and modelling
CN114297763A (zh) 全息成像全装修模拟展示方法及展示系统
Caruso et al. Novel augmented reality system for contract design sector
KR20020026393A (ko) 인터넷을 통한 인테리어 디자인 및 시공비 산출 시스템
AU2021101356A4 (en) Method and system for virtual reality simulation of a structure
Bruning Bim test at ashrae hq
KR20230022321A (ko) 인테리어 관리 서비스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