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77314B1 - 증강현실 포토존 제공 시스템 - Google Patents

증강현실 포토존 제공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77314B1
KR101977314B1 KR1020170122184A KR20170122184A KR101977314B1 KR 101977314 B1 KR101977314 B1 KR 101977314B1 KR 1020170122184 A KR1020170122184 A KR 1020170122184A KR 20170122184 A KR20170122184 A KR 20170122184A KR 101977314 B1 KR101977314 B1 KR 1019773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hoto
screen
photographing
terminal
catego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221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33705A (ko
Inventor
고유철
Original Assignee
고유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유철 filed Critical 고유철
Priority to KR10201701221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77314B1/ko
Publication of KR201900337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337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773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773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222Studio circuitry; Studio devices; Studio equipment
    • H04N5/2224Studio circuitry; Studio devices; Studio equipment related to virtual studio appl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9/00Manipulating 3D models or images for computer graphics
    • G06T19/006Mixed real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222Studio circuitry; Studio devices; Studio equipment
    • H04N5/262Studio circuits, e.g. for mixing, switching-over, change of character of image, other special effects ; Cameras specially adapted for the electronic generation of special effects
    • H04N5/272Means for inserting a foreground image in a background image, i.e. inlay, outla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rocessing Or Creating Image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 형태는 포토존에 마련되어 있으며, 포토 배경화면이 표시되는 스크린; 카테고리 선택기준에 의해 결정되는 카테고리에 할당된 포토 배경화면을 상기 스크린에 디스플레이하는 포토존 운영 단말기; 및 상기 스크린과 포토존 운영 단말기간의 유선 통신 또는 무선 통신을 제공하는 유무선 통신망;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증강현실 포토존 제공 시스템{System for providing AR photo zone}
본 발명은 증강현실 포토존 제공 시스템으로서, 증강현실을 이용한 포토존을 제공하는 증강현실 포토존 제공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휴대용 단말기에는 핸드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UMPC(Ultra Mobile Personal Computer) 등이 있으며,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점차 크기는 작아지고 무게 또한 가볍게 개선되고 있다.
나아가 복합적인 기능을 사용할 수 있는 휴대용 단말기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예를들면, 무선 인터넷 서비스, 카메라/캠코더 기능, 게임 기능, MP3 플레이어 기능,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기능 등을 더한 스마트폰과 같은 휴대용 단말기에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특히, 카메라가 내장된 휴대용 단말기는 사진을 촬영하거나 동영상 촬영 등의 편의성 때문에 많이 사용되고 있으며, 카메라 기술의 발달로 인하여 화상 품질이 일반 디지털 카메라 수준에 근접하고 있다.
상기와 같은 휴대용 단말기의 부가 서비스 중에서, 카메라 기능은 멀티미디어 통신을 위하여 부가되는 것으로, 통신에 이용되지 않는 상태에서는, 일반적인 카메라로 사용된다.
그런데 이러한 휴대용 단말기에 텍스트 또는 2차원적인 영상을 부가하여 제공하는 경우에는, 화면에 나타나는 영상이 복잡하고 조잡해 보일 뿐만 아니라 현실감이 떨어지고, 2차원적 영상은 실제 화면에 나타나는 카메라 영상의 변화 또는 사용자의 조정에 알맞는 추가 영상을 제공할 수 없고, 제한된 범위에서만 사용할 수 있다는 점에서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지 못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공개특허 10-2005-0120503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증강현실을 이용하여 인물과 증강현실을 합성한 사진을 찍을 수 있는 포토존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포토 배경화면의 카테고리를 선택할 수 있는 기준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는 포토존에 마련되어 있으며, 포토 배경화면이 표시되는 스크린; 카테고리 선택기준에 의해 결정되는 카테고리에 할당된 포토 배경화면을 상기 스크린에 디스플레이하는 포토존 운영 단말기; 및 상기 스크린과 포토존 운영 단말기간의 유선 통신 또는 무선 통신을 제공하는 유무선 통신망;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포토존은, 고객 좌석별로 마련되거나, 별도의 포토 촬영 공간에 마련됨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포토존이 포토 촬영 공간에 마련되는 경우, 상기 스크린은, 상기 포토 촬영 공간의 벽체에 마련된 벽체 스크린; 상기 포토 촬영 공간의 바닥에 마련된 바닥 스크린; 및 상기 포토 촬영 공간의 천장에 마련된 천장 스크린;을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포토존 운영 단말기는, 상기 스크린과 유선 통신 또는 무선 통신하는 단말기 통신부; 각 카테고리별로 포토 배경화면이 할당되어 저장된 포토 배경화면 DB; 및 카테고리 선택기준에 의해 결정되는 카테고리에 할당된 포토 배경화면을 상기 포토 배경화면 DB에서 추출하여, 추출된 포토 배경화면을 상기 스크린에 디스플레이하는 단말기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카테고리 선택기준은, 고객으로부터 선택되는 카테고리 선택기준임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카테고리 선택기준은, 시간대별 또는 요일별 또는 주일별로 할당된 카테고리 선택기준임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카테고리 선택기준은, 고객으로부터 주문된 음식에 할당된 카테고리 선택기준임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포토존 운영 단말기는, 포토 배경화면별로 조리개값, ISO값, 셔터스피드값을 포함한 촬영 설정값이 할당되어 저장된 포토 배경화면별 촬영 설정값 할당 DB;를 포함하며, 상기 단말기 제어부는, 스크린에 표시되는 포토 배경화면에 할당된 촬영 설정값을 스크린의 모서리에 표시할 수 있다.
상기 단말기 제어부는, 스크린에 표시되는 포토 배경화면에 할당된 촬영 설정값을 촬영 단말기로 무선 전송하며, 상기 촬영 단말기는, 수동 모드로 촬영하는 경우, 상기 단말기 제어부로부터 수신한 촬영 설정값에 맞추어 카메라 모드의 설정값을 변경할 수 있다.
카테고리별 포토 배경화면을 상기 포토존 운영 단말기에 제공하는 관제 센터 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르면 증강현실을 이용하여 인물과 증강현실을 합성한 사진을 찍을 수 있는 포토존을 제공함으로써, 실제와 같은 사진 촬영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증강현실 포토존 제공 시스템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크린의 예시 그림.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포토존의 배경화면을 바탕으로 서있는 고객에 대한 실제 촬영 사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포토존 운영 단말기의 구성 블록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간대별/요일별/주일별로 할당된 카테고리의 예시 테이블.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스크린의 모서리에 촬영 설정값이 표시된 모습을 도시한 그림.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촬영 설정값이 촬영 단말기로 전송되는 모습을 도시한 그림.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관제 센터 서버가 마련된 증강현실 포토존 제공 시스템의 구성도.
이하, 본 발명의 장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으로,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술 등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증강현실 포토존 제공 시스템의 구성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크린의 예시 그림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포토존의 배경화면을 바탕으로 서있는 고객에 대한 실제 촬영 사진이다.
본 발명의 증강현실 포토존 제공 시스템은, 증강현실의 포토존 배경에서 가상여행, 가상체험의 사진 촬영이 가능하도록 하는 시스템이다.
이를 위하여 증강현실 포토존 제공 시스템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유무선 통신망(미도시), 스크린(100), 및 포토존 운영 단말기(200)를 포함할 수 있다.
유무선 통신망(미도시)은, 스크린(100)과 포토존 운영 단말기(200)간의 유선 통신 또는 무선 통신을 제공하는 통신망이다. 즉, 이더넷(Ethernet), 범용 직렬 버스(Universal Serial Bus), IEEE 1394, 직렬통신(serial communication) 및 병렬 통신(parallel communication)과 같은 유선 통신 방식이 사용될 수 있으며, 적외선 통신(Infrared Radiation), 블루투스(Bluetooth), RF(Radio Frequency) 및 와이파이(WiFi)와 같은 무선 통신 방식이 사용될 수 있다.
스크린(100)은, 포토존에 마련되어 있으며, 포토 배경화면이 표시되는 디스플레이 패널이다.
여기서 포토존은, Cafe(커피숍) 등과 같이 고객들이 방문하는 매장내 일부 장소가 해당될 수 있다. 즉, 커피숍 이외에도 디저트 판매업장, 레스토랑(대형식당), 만화방, 노래방, 실내골프장, 테마파크 업소, 호텔 내부, 유원지 등의 장소에 포토존이 마련될 수 있다.
포토 배경화면은, AR(증강현실) 개념의 배경화면이다. 참고로, 증강현실(Augmented Reality : AR)이란 가상현실의 한 분야로 현실세계에 실시간으로 부가정보를 갖는 가상세계를 합쳐 하나의 영상으로 보여 주어 현실 환경에 존재하는 것처럼 보이도록 하는 영상 기술로써 위치 및 방향 정보를 이용하여 대략적인 위치를 파악하고 주변의 건물 정보와 같은 시설물 정보와 카메라의 움직임에 따라 입력되는 실시간 영상 정보 간의 비교를 통해 사용자가 원하는 서비스를 파악하여 관련 정보를 제공하는 기술을 말한다. 따라서 UWV(Ultra Wide Vision), OLED, LED 등의 스크린(100)에 포토 배경화면이 표시되어, 사진을 찍어도 실제같은 느낌이 날 수 있다.
스크린(100)은, 고객 좌석별로 마련될 수 있다. 따라서 각 좌석에서 커피나 음료, 식사를 하면서 서울에서 먹고 있지만, 파리에서 먹는 경험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스크린(100)은, 별도의 포토 촬영 공간에 마련될 수 있다. 포토존의 벽체뿐만 아니라 천장 부분과 바닥부분도 스크린(100)으로 구현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포토존이 포토 촬영 공간에 마련되는 경우, 상기 스크린(100)은, 포토 촬영 공간의 벽체에 마련된 벽체 스크린(100)과, 포토 촬영 공간의 바닥에 마련된 바닥 스크린(100)과, 포토 촬영 공간의 천장에 마련된 천장 스크린(100)을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포토존 운영 단말기(200)는, 메모리와 연산장치(CPU)가 마련된 단말기로서, 서버, 데스크탑 PC, 노트북 등이 해당될 수 있다. 포토존 운영 단말기(200)는, 카테고리 선택기준에 의해 결정되는 카테고리에 할당된 포토 배경화면을 스크린(100)에 디스플레이한다. 여기서 카테고리 선택기준은, 고객 선택기준, 또는 시간대 선택기준, 또는 음식 선택기준일 수 있는데, 이는 도 4와 함께 자세히 후술하기로 한다.
따라서 포토존 운영 단말기(200)는, 스크린(100)에 포토 배경화면을 표시함으로써, 사진을 찍어도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실제같은 느낌이 날 수 있다.
예를 들어, Cafe를 찾은 고객이 본연의 음료 및 디저트를 먹는 것은 지금과 같으나, 실내에 설치되어 있는 포토존에 들어가면, 실제 그 포토존 배경에 온 것 같은 경험을 할 수 있다. 즉, 52주가 1년인데, 1주일 단위로 국내 유명한 곳이 배경일 수 있다. 자신은 경기도에 있어도, 그 카페에 포토존에 서 있으면 부산해운대, 춘천, 목포 등에 있는 것처럼 경험 할 수 있다. 심지어, 전세계가 200여개 국가로 되어 있는데, 일정한 기간 단위별로 시간단위별로 영국에 있는 것처럼, 터키, 스페인, 이탈리아, 파리 등에 있는 가상여행, 가상체험을 할 수 있다. 그 것을 같이 간 친구들이나 동료들이 휴대하고 있는 사진기 또는 스마트폰(이하, '촬영 단말기(300)'라 함)으로 찍으면, 그 느낌을 사진으로 저장도 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사진을 평소에 찍는 곳만 찍다보니, 인스타그램이나 페이스북등 SNS에 올릴 사진이 부족한데, 카페 등에서 제공하는 포토존 증강현실 장치를 통해서, 새로운 사진을 찍을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함으로써 고객들의 니즈를 충족시킬 수 있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포토존 운영 단말기의 구성 블록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간대별/요일별/주일별로 할당된 카테고리의 예시 테이블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스크린의 모서리에 촬영 설정값이 표시된 모습을 도시한 그림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촬영 설정값이 촬영 단말기로 전송되는 모습을 도시한 그림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관제 센터 서버가 마련된 증강현실 포토존 제공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포토존 운영 단말기(200)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단말기 통신부(210), 포토 배경화면 DB(220), 및 단말기 제어부(24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밖에 촬영 설정값 할당 DB(2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단말기 통신부(210)는, 스크린(100)과 유선 통신 또는 무선 통신하는 하드웨어(H/W) 및 소프트웨어(S/W)를 지원한다. 즉, 이더넷, 블루투스 통신 등을 지원하는 모듈이다.
포토 배경화면 DB(220)는, 각 카테고리별로 포토 배경화면이 할당되어 저장된 데이터베이스이다. 예를 들어, 국가별 포토 배경화면, 국내지역별 포토 배경화면, 날씨별 포토 배경화면, 기념일별 포토 배경화면, 시간대별 포토 배경화면, 요일별 포토 배경화면, 주일별 포토 배경화면 등이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참고로, 여기서 데이터베이스는(DB)는, 하드디스크 드라이브(Hard Disk Drive), SSD 드라이브(Solid State Drive), 플래시메모리(Flash Memory), CF카드(Compact Flash Card), SD카드(Secure Digital Card), SM카드(Smart Media Card), MMC 카드(Multi-Media Card) 또는 메모리 스틱(Memory Stick) 등 정보의 입출력이 가능한 모듈로서 장치의 내부에 구비되어 있을 수도 있고, 별도의 장치에 구비되어 있을 수도 있다.
단말기 제어부(240)는, 카테고리 선택기준에 의해 결정되는 카테고리에 할당된 포토 배경화면을 포토 배경화면 DB(220)에서 추출하여, 추출된 포토 배경화면을 상기 스크린(100)에 디스플레이한다.
여기서 카테고리 선택기준은, 고객 선택기준, 또는 시간대 선택기준, 또는 음식 선택기준일 수 있다.
(i) 고객 선택기준은, 고객으로부터 선택되는 카테고리 선택기준을 말한다. 예를 들어, 제1고객은 포토 배경화면의 카테고리로서 국가 카테고리를 선택한 후 '스위스' 카테고리를 선택할 수 있으며, 제2고객은 포토 배경화면의 카테고리로서 국가 카테고리를 선택한 후 '브라질' 카테고리를 선택할 수 있다.
(ii) 시간대 선택기준은, 시간대별 또는 요일별 또는 주일별로 할당된 카테고리 선택기준일 수 있다. 이를 위하여 포토 배경화면 DB(220)에는 도 5(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시간대별로 포토 배경화면이 할당 저장되며, 도 5(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요일별로 포토 배경화면이 할당 저장되며, 도 5(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주일별로 포토 배경화면이 할당 저장된다. 따라서 각 시간대, 또는 요일 또는 주일에 따라서 그에 매칭되는 포토 배경화면이 자동선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시간대별 카테고리 선택으로 결정되는 경우, 밤 0시부터 밤 1시 시간대에는 포토 제1-1배경화면으로 결정되며, 밤 1시부터 밤 2시 시간대에는 포토 제1-2배경화면으로 결정될 수 있다.
또한 요일별 카테고리 선택으로 결정되는 경우, 월요일에는 포토 제2-1배경화면으로 결정되며, 화요일에는 포토 제2-2배경화면으로 결정될 수 있다.
또한 주일별 카테고리 선택으로 결정되는 경우, 1주차에는 포토 제3-1배경화면으로 결정되며, 2주차에는 포토 제3-2배경화면으로 결정될 수 있다.
(iii) 음식 선택 기준은, 고객으로부터 주문된 음식에 할당된 카테고리 선택기준일 수 있다. 이를 위해 포토존 운영 단말기(200)의 포토 배경화면 DB(220)에는, 음식별로 카테고리가 할당되어 저장되어 있도록 한다. 따라서 고객이 주문한 음식에 매칭되는 포토 배경화면이 자동선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A 고객이 식당에서 해산물 음식을 주문하는 경우, '바다' 카테고리로 결정되어 '바다' 관련된 포토 배경화면으로 결정될 수 있으며, B 고객이 식당에서 태국 음식을 주문하는 경우, '태국' 카테고리로 결정되어 '태국' 관련된 포토 배경화면으로 결정될 수 있다.
한편, 스크린(100)에 표시되는 포토 배경화면을 배경으로 고객이 서 있으면 사진 촬영이 이루어지는데, 사진 촬영이 잘 되도록 하기 위해서는, 스크린(100)에 표시되는 포토 배경화면의 화면 특성에 따라서 촬영 설정값(조리개값, ISO값, 셔터스피드값을 등등)을 달리하여 촬영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스크린(100)에 표시되는 포토 배경화면이 눈쌓인 알프스 산과 같이 밝은 경우에는 사진 촬영시에 조리개값을 높여 촬영해야 깨끗한 사진이 출력될 수 있다. 이러한 촬영 설정값은, 카메라 자동 촬영 모드로 찍을 때는 촬영 단말기(300)내에서 자체적으로 자동 설정하지만, 좀 더 깨끗한 사진을 위하여 전문가 모드로 찍을 때는 촬영 설정값을 사용자가 설정해주어야 한다.
본 발명은, 스크린(100)에 표시된 포토 배경화면을 배경으로 하여 촬영 단말기(300)가 수동 촬영이 이루어지는 경우, 도움을 주고자 포토 배경화면에 따른 촬영 설정값을 제공해주도록 한다.
이를 위하여, 포토존 운영 단말기(200)는, 포토 배경화면별로 조리개값, ISO값, 셔터스피드값을 포함한 촬영 설정값이 할당되어 저장된 포토 배경화면별 촬영 설정값 할당 DB(230)를 구비한다.
단말기 제어부(240)는, 스크린(100)에 표시되는 포토 배경화면에 할당된 촬영 설정값을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크린(100)의 모서리에 표시한다. 촬영에 방해되지 않도록 스크린(100)의 구석 모서리에 촬영 설정값을 표시하는 것이다. 따라서 촬영 단말기(300)를 이용하여 촬영하는 촬영자는, 스크린(100)의 구석 모서리에 표시되는 촬영 설정값을 확인하고 촬영 단말기(300)의 조리개값, ISO값, 셔터스피드값 등의 촬영 설정값을 변경하게 된다.
이밖에 다른 실시에로서, 단말기 제어부(240)는,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크린(100)에 표시되는 포토 배경화면에 할당된 촬영 설정값을 고객 촬영 단말기(300)로 무선 전송할 수 있다. 무선 전송은, 비컨과 같은 블루투스 통신, 와이파이 통신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고객 촬영 단말기(300)는, 수동 모드로 촬영하는 경우, 단말기 제어부(240)로부터 수신한 촬영 설정값에 맞추어 카메라 모드의 설정값을 변경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에 설명한 포토존은 각 매장별로 마련되어 있을 수 있는데, 이러한 포토존을 관제 센터에서 통합 관리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의 증강현실 포토존 제공 시스템은,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복수의 매장별로 마련된 포토존을 관리할 수 있는 관제 센터 서버(400)를 포함할 수 있다. 관제 센터 서버는, 카테고리별 포토 배경화면을 포토존 운영 단말기(200)에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포토존 운영 단말기(200) 내에 별도로 포토 배경화면을 저장할 필요없이, 그때 그때 필요한 카테고리별 포토 배경화면을 관제 센터 서버(400)로부터 수신하여 활용할 수 있게 된다. 참고로 관제 센터 서버(400)는, 상기한 동작을 구현하기 위해 하드웨어적으로는 통상적인 웹 서버와 동일한 구성을 가지며, 소프트웨어적으로는 C, C++, Java, Visual Basic, Visual C 등과 같은 다양한 형태의 언어를 통해 구현되어 여러 가지 기능을 하는 프로그램 모듈을 포함한다.
상술한 본 발명의 설명에서의 실시예는 여러가지 실시가능한 예중에서 당업자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가장 바람직한 예를 선정하여 제시한 것으로, 이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반드시 이 실시예만 의해서 한정되거나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한 변화와 변경 및 균등한 타의 실시예가 가능한 것이다.
100:스크린
200:포토존 운영 단말기
300;촬영 단말기
400:관제 센터 서버

Claims (10)

  1. 포토존에 마련되어 있으며, 포토 배경화면이 표시되는 스크린;
    카테고리 선택기준에 의해 결정되는 카테고리에 할당된 포토 배경화면을 상기 스크린에 디스플레이하는 포토존 운영 단말기;
    상기 스크린과 포토존 운영 단말기 간의 유선 통신 또는 무선 통신을 제공하는 유무선 통신망; 및
    상기 스크린에 표시되는 포토 배경화면을 배경으로 고객이 서 있으면 사진 촬영이 이루어지는 촬영 단말기를 포함하며,
    상기 포토존 운영 단말기는,
    상기 스크린과 유선 통신 또는 무선 통신하는 단말기 통신부;
    각 카테고리별로 포토 배경화면이 할당되어 저장된 포토 배경화면 DB;
    카테고리 선택기준에 의해 결정되는 카테고리에 할당된 포토 배경화면을 상기 포토 배경화면 DB에서 추출하여, 추출된 포토 배경화면을 상기 스크린에 디스플레이하는 단말기 제어부; 및
    포토 배경화면별로 조리개값, ISO값, 셔터스피드값을 포함한 촬영 설정값이 할당되어 저장된 포토 배경화면별 촬영 설정값 할당 DB;를 포함하고,
    상기 단말기 제어부는,
    스크린에 표시되는 포토 배경화면에 할당된 촬영 설정값을 상기 포토 배경화면별 촬영 설정값 할당 DB에서 추출하여, 스크린의 모서리에 표시함과 동시에, 해당 촬영 설정값을 촬영 단말기로 무선 전송하며,
    상기 촬영 단말기는,
    자동 모드로 촬영하는 경우, 스크린에 표시되는 포토 배경화면에 따라 촬영 설정값을 자체적으로 설정하고,
    수동 모드로 촬영하는 경우, 상기 스크린에 표시된 촬영 설정값이나, 상기 단말기 제어부로부터 수신한 촬영 설정값에 맞추어 카메라 모드의 촬영 설정값을 변경하며,
    상기 포토존은,
    고객 좌석별로 마련되거나, 별도의 포토 촬영 공간에 마련되고,
    상기 포토존이 포토 촬영 공간에 마련되는 경우, 상기 스크린은,
    상기 포토 촬영 공간의 벽체에 마련된 벽체 스크린;
    상기 포토 촬영 공간의 바닥에 마련된 바닥 스크린; 및
    상기 포토 촬영 공간의 천장에 마련된 천장 스크린;을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며,
    카테고리별 포토 배경화면을 상기 포토존 운영 단말기에 제공하는 관제 센터 서버;를 더 포함하는 증강현실 포토존 제공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카테고리 선택기준은,
    고객으로부터 선택되는 카테고리 선택기준임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현실 포토존 제공 시스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카테고리 선택기준은,
    시간대별 또는 요일별 또는 주일별로 할당된 카테고리 선택기준임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현실 포토존 제공 시스템.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카테고리 선택기준은,
    고객으로부터 주문된 음식에 할당된 카테고리 선택기준임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현실 포토존 제공 시스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KR1020170122184A 2017-09-22 2017-09-22 증강현실 포토존 제공 시스템 KR1019773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2184A KR101977314B1 (ko) 2017-09-22 2017-09-22 증강현실 포토존 제공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2184A KR101977314B1 (ko) 2017-09-22 2017-09-22 증강현실 포토존 제공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33705A KR20190033705A (ko) 2019-04-01
KR101977314B1 true KR101977314B1 (ko) 2019-05-10

Family

ID=661044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22184A KR101977314B1 (ko) 2017-09-22 2017-09-22 증강현실 포토존 제공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7731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0619Y1 (ko) * 2019-06-07 2020-01-08 천경천 입체 포토존 제공 시스템
KR102453926B1 (ko) * 2021-02-03 2022-10-12 주식회사스페이스엘비스 레일을 활용한 관광장소의 온셋 조성 장치
KR102514934B1 (ko) * 2021-10-28 2023-03-29 주식회사스페이스엘비스 확장현실을 기반으로 하는 컨텐츠 제작 시스템
WO2023238646A1 (ja) * 2022-06-07 2023-12-14 ソニーグループ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プログラム、情報処理システム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86371A (ja) * 1999-09-17 2001-03-30 Fuji Photo Film Co Ltd ビデオ画像の製作方法及び装置
JP2015121612A (ja) * 2013-12-20 2015-07-02 フリュー株式会社 写真シール作成装置、撮影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08800B1 (ko) 2004-06-19 2006-08-0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통신 단말기의 사진 촬영 장치와 방법
KR20150125246A (ko) * 2014-04-30 2015-11-09 주식회사 이에스엠연구소 다시점 카메라에 대한 촬영 설정값을 조절하는 방법 및 다시점 카메라에 대한 촬영 설정값을 조절하는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86371A (ja) * 1999-09-17 2001-03-30 Fuji Photo Film Co Ltd ビデオ画像の製作方法及び装置
JP2015121612A (ja) * 2013-12-20 2015-07-02 フリュー株式会社 写真シール作成装置、撮影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33705A (ko) 2019-04-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77314B1 (ko) 증강현실 포토존 제공 시스템
CN107430767B (zh) 呈现照片滤镜的系统和方法
US20190108186A1 (en) Processing media items in location-based groups
US9407815B2 (en) Location aware photograph recommendation notification
RU2463663C2 (ru) Устройство захвата изображения, сервер обеспечения дополнительной информации и система фильтрации дополнительной информации
US8976253B2 (en) Camera user content synchronization with central web-based records and information sharing system
CN106134227B (zh) 用于在社交媒体上即时共享视频内容的方法、设备和系统
US9195677B2 (en) System and method for decorating a hotel room
CN107743262B (zh) 一种弹幕显示方法和装置
US10834312B2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with a creative artworks picture application operating in response to beacons
US20150242767A1 (en) Aerial view, web-based trip planning techniques using geotagged video and images syncd to a map
JP6445707B2 (ja) 画像処理方法及び装置
US9514718B2 (en)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TW201814553A (zh) 適地性空間物件遠距管理方法與系統
US20190139285A1 (en) Proactive creation of photo products
US9881403B2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with a creative artworks picture application
CN104615400A (zh) 展示可视信息的方法与设备
US20200007696A1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with a creative artworks picture application operating in response to geofencing
CN107609665A (zh) Ota网站的酒店房间在线选取方法及系统
US10387004B2 (en) Real time monitoring of users within a predetermined range and selective receipt of virtual cards
CN110780954B (zh) 一种虚拟物品发送方法及装置
US10778855B2 (en) System and method for creating contents by collaborating between users
US20140104312A1 (en) Creation and Sharing of Digital Postcards Associated with Locations
JP6582526B2 (ja) コンテンツ提供システム、コンテンツ提供装置及びコンテンツ提供方法
KR102189439B1 (ko) 스마트 액자 시스템 및 이에 대한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