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51154A - 개폐체의 잠금 장치 - Google Patents

개폐체의 잠금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51154A
KR20210051154A KR1020190136063A KR20190136063A KR20210051154A KR 20210051154 A KR20210051154 A KR 20210051154A KR 1020190136063 A KR1020190136063 A KR 1020190136063A KR 20190136063 A KR20190136063 A KR 20190136063A KR 20210051154 A KR20210051154 A KR 202100511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cking
protrusion
protruding wall
rotation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360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남기섭
한종욱
Original Assignee
파이오락스(주 )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파이오락스(주 ) filed Critical 파이오락스(주 )
Priority to KR10201901360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51154A/ko
Publication of KR202100511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5115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3/00Vehicle lock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types of wing or vehicle
    • E05B83/28Locks for glove compartments, console boxes, fuel inlet covers or the like
    • E05B83/30Locks for glove compartments, console boxes, fuel inlet covers or the like for glove compart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5/00Details of vehicle locks not provided for in groups E05B77/00 - E05B83/00
    • E05B85/20Bolts or detents
    • E05B85/22Rectilinearly moving bol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9/00Arrangements of simultaneously actuated bolts or other securing devices at well-separated positions on the same wing
    • E05C9/04Arrangements of simultaneously actuated bolts or other securing devices at well-separated positions on the same wing with two sliding bars moved in opposite directions when fastening or unfasten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회전 부재에 대한 잠금부재의 연결 작업성을 향상시키는 개폐체의 잠금 장치를 제공한다. 이 잠금 장치(10)는 잠금부와 베이스 부재(20)와 회전 부재(50)와 돌기(80)를 갖는 잠금부재(70,70A)를 갖고, 회전 부재(50)는 회전부(51)와 제 1 돌출 벽부(58,60) 및 제 2 돌출 벽부(59,61)와 돌기 수용부(63,64)을 갖고, 제 2 돌출 벽부(59,61)보다도 제 1 돌출 벽부(58,60)가 짧게 뻗어 있으며, 잠금부재(70,70A)는 돌기(80)가 제 1 돌출 벽부의 제 1 회동 궤적의 외경측에 위치하는 제 1 위치로부터, 제 1 회동 궤적의 내경측으로 인입하여, 제 1 돌출 벽부를 압입하여 이동시키는 영역을 거쳐서, 제 1 회동 궤적을 초과하여, 또한 제 2 돌출 벽부의 제 2 회동 궤적과 겹치는 제 2 위치까지 슬라이드 가능하게 되어 있다.

Description

개폐체의 잠금 장치{LOCKING DEVICE FOR OPENING AND CLOSING BODY}
본 발명은 고정체의 개구부에 개폐가능하게 설치되는 개폐체를 닫힌 상태로 잠그기 위한 개폐체의 잠금 장치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어, 자동차의 글로브 박스 등의 고정체에 형성된 개구부에는 뚜껑 등의 개폐체가 개폐가능하게 설치된다. 그리고, 개구부 및 개폐체와의 사이에는, 개폐체를 닫을 때 잠금과 동시에, 개폐체를 열 때 잠금을 해제할 수 있도록 한 잠금 장치가 설치되어 있다.
예를 들어, 아래 특허 문헌 1에는 개폐 부재에 고정되는 베이스 부재와, 베이스 부재에 지지된 조작 부재와, 베이스 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조작 부재의 조작에 따라 회전하는 회전 부재와, 기단부가 회전 부재에 연결되고, 선단부가 제 1 잠금공에 진퇴하는 제 1 로드와, 기단부가 회전 부재에 연결되고, 선단부가 제 2 잠금공에 진퇴하는 제 2 로드를 구비한 잠금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회전 부재의 일단면으로부터는 대략 구형상을 이룬 제 1 돌출부 및 제 2 돌출부가 각각 돌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 1 로드 및 제 2로드의 일단에는 오목 형상을 이룬 제 1 연결부와 제 2 연결부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제 1 로드의 제 1 연결부와, 제 2 로드의 제 2 연결부에, 제 1 돌기부와 제 2 돌기부를 각각 압입하여 끼워맞춤으로써, 회전 부재에 제 1로드 및 제 2 로드가 연결되도록 되어 있다.
[특허 문헌 1] 국제 공개 WO2017 / 078121 호
상기 특허 문헌 1의 잠금 장치에 있어서는, 상술 한 바와 같이, 각 로드의 오목 형상의 연결부에 대해서 회전 부재에 설치한 대략 구형상의 돌기부를 압입하므로, 그 압입시에 어느 정도의 압입력이 필요하기 때문에 회전 부재에 대한 로드의 연결 작업성의 점에서 개선의 여지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회전 부재에 대한 잠금부재의 연결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개폐체의 잠금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고정체의 개구부에 개폐가능하게 설치되는 개폐체의 잠금 장치로서, 상기 고정체의 개구부 또는 상기 개폐체에 설치된 잠금부와, 상기 고정체 또는 상기 개폐체에 고정되는 베이스 부재와, 상기 베이스 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가압 부재를 통해 소정 방향으로 회전 가압된 회전 부재와, 돌기를 갖는 동시에, 상기 돌기를 통해 상기 회전 부재에 연결되어, 상기 잠금부에 결합 및 이탈하는 잠금부재를 가지며, 상기 베이스 부재는 상기 회전 부재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회전 지지부와, 상기 잠금부재를 슬라이드가능하게 지지하는 슬라이드 지지부를 구비하며, 상기 회전 부재는 상기 회전 지지부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회전부와, 상기 회전부의 외주로부터 외경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1 돌출 벽부 및 제 2 돌출 벽부와, 상기 제 1 돌출 벽부 및 상기 제 2 돌출 벽부의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돌기를 수용하는 돌기 수용부를 가지며, 상기 제 1 돌출 벽부는 상기 제 2 돌출 벽부보다도, 상기 회전 부재의 회전 가압 방향의 선단측에 위치하며, 또한, 상기 제 2 돌출 벽부보다 짧게 뻗어 있으며,
상기 잠금부재는 상기 회전 부재의 회전축 방향에서 볼 때, 상기 돌기가 상기 제 1 돌출 벽부의 제 1 회동 궤적의 외경측에 위치하는 제 1 위치로부터, 상기 제 1 회전 궤적의 내경측으로 인입하여 상기 제 1 돌출 벽부를 상기 회전 가압 방향과는 반대 방향으로 압입하여 이동시키는 영역을 거쳐서, 상기 제 1 회전 궤적을 초과하고, 또한 상기 제 2 돌출 벽부의 제 2 회전 궤적과 겹치는 제 2 위치까지 슬라이드 가능하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잠금부재를 베이스 부재의 슬라이드 지지부에 지지시켜, 돌기가 제 1 돌출 벽부의 제 1 회동 궤적 외경측에 위치하는 제 1 위치로부터 돌기가 제 1 돌출 벽부에 접촉하는 방향으로 잠금부재를 슬라이드시키면, 돌기가 제 1 돌출 벽부의 제 1 회동 궤적의 외경측에 위치하는 제 1 위치로부터 제 1 회동 궤적의 내경측으로 인입하여 제 1 돌출 벽부를 회전 가압 방향과는 반대 방향으로 압입하여 이동시키는 영역을 거쳐서, 제 1 돌출 벽부의 제 1 회동 궤적을 초과하고, 또한, 제 2 돌출 벽부의 제 2 회 동 궤적과 겹치는 제 2 위치까지 이동 한 후, 회전 부재가 회전 가압 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돌기 수용부 내에 돌기가 삽입되어, 회전 부재에 잠금 부재를 연결시킬 수 있다. 즉, 잠금부재를 슬라이드 지지부에 지지시킨 후, 잠금부재를 슬라이드시키는 간단한 조작으로, 잠금부재를 회전 부재에 연결시킬 수 있기 때문에, 회전 부재에 대한 잠금부재의 연결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개폐체의 잠금 장치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개폐체의 잠금 장치에 있어서, 베이스 부재에 회전 부재와 한 쌍의 잠금부재를 조립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개폐체의 잠금 장치를 구성하는 베이스 부재를 나타내며, (a)는 그 확대 사시도, (b)는 (a)와는 다른 방향에서 본 경우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개폐체의 잠금 장치를 구성하는 베이스 부재를 나타내며, (a)는 평면도,(b)는 저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개폐체의 잠금 장치를 구성하는 잠금부재를 나타내고 있으며, 도 1과는 다른 방향에서 본 경우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개폐체의 잠금 장치를 구성하는 회전 부재를 나타내며, (a)는 그의 확대 사시도, (b)는(a)와는 다른 방향에서 본 경우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개폐체의 잠금 장치를 구성하는 회전 부재의 평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개폐체의 잠금 장치에 있어서, 베이스 부재에 회전 부재나 쿠션을 조립한 상태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개폐체의 잠금 장치에 있어서, 도 7의 상태의 베이스 부재의 앞면으로부터 잠금부재를 조립할 때의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17의 E-E 지시선에 있어서의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개폐체의 잠금 장치에 있어서, 회전 부재에 잠금 부재를 연결시키는 상태를 나타내며, (a)는 그의 제 1 공정의 설명도, (b)는 제 2 공정의 설명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개폐체의 잠금 장치에 있어서, 회전 부재에 잠금 부재를 연결시키는 상태를 나타내며, (a)는 그의 제 3 공정의 설명도, (b)는 제 4 공정의 설명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개폐체의 잠금 장치에 있어서, 회전 부재에 잠금 부재를 연결시키는 상태를 나타내고 있으며, 그의 제 5 공정의 설명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개폐체의 잠금 장치에 있어서, 회전 부재에 잠금 부재를 연결시키는 상태를 나타내며, (a)는 제 6 공정의 설명도, (b)는 제 7 공정의 설명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개폐체의 잠금 장치에 있어서, 회전 부재에 잠금 부재를 연결시키는 상태를 나타내며, (a)는 제 8 공정의 설명도, (b)는 제 9 공정의 설명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개폐체의 잠금 장치에 있어서, 회전 부재에 잠금 부재를 연결시키는 상태를 나타내고 있으며, 그의 제 10 공정의 설명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개폐체의 잠금 장치에 있어서, 개폐체를 닫아 잠근 경우의 설명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개폐체의 잠금 장치에 있어서, 개폐체의 잠금 상태를 해제한 경우의 설명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에 따른 개폐체의 잠금 장치의 다른 실시예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0은 본 발명에 따른 개폐체의 잠금 장치에 있어서, 베이스 부재에 회전 부재와 한 쌍의 잠금부재를 조립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21은 본 발명에 따른 개폐체의 잠금 장치에 있어서, 베이스 부재의 뒷면으로부터 잠금부재를 조립할 때의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2는 본 발명에 따른 개폐체의 잠금 장치에 있어서, 개폐체를 닫은 상태로 잠근 경우의 설명도이다.
이하, 도 1 ~ 18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개폐체의 잠금 장치의 일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도 17과 도 18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개폐체의 잠금 장치(10)(이하, '잠금 장치(10)')은 예를 들어, 차량의 계기판 등의 고정체(1)의 개구부(2)에 개폐가능하게 설치되는 글러브 박스 등의 개폐체(5)를 닫힌 상태로 잠그는데 사용되는 것이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잠금 장치(10)는 고정체(1)의 개구부(2)(도 17 참조)에 설치된 한 쌍의 잠금부(3,3)와, 개폐체(5)의 뒷면에 설치되는 베이스 부재(20)와, 베이스 부재(2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제 1 가압 부재(6)(본 발명에서의 '가압 부재 '를 이룸)을 통해 소정 방향(도 11의 회전 가압 방향 A 참조)에 회전 가압된 회전 부재(50)와, 돌기(80)를 갖는 동시에, 상기 돌기(80)를 통해 회전 부재(50)에 연결되어, 잠금부(3,3)에 결합 및 이탈하는 한 쌍의 잠금부재(70,70A)와, 개폐체(5)의 도시하지 않은 장착공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파지부(91)를 개폐체(5)에 대해 근접 및 떨어지게 함으로써, 한 쌍의 잠금부재(70,70A)을 슬라이드 조작하는 조작 부재(90)를 가지고 있다.
이 실시 형태의 잠금 장치(10)는 좌(左) 핸들 차량의 글로브 박스(차량 전방 오른쪽에 배치됨)에 사용되는 사이드 잠금 장치로 되어 있다. 또한 잠금 장치로는 우(右) 핸들 차량의 글로브 박스에 이용되어도 좋으나 이에 대해서는 후술하는 다른 실시예에서 설명한다.
또한 개폐체의 잠금 장치로는 상술 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계기판의 개구부에 상자 형상의 글러브 박스가 회동 가능하게 장착된 구조에 적용하거나(이 경우, 계기판이 '고정체', 글로브 박스가 '개폐체'를 이룸) 혹은, 계기판의 개구부에 뚜껑이 개폐가능하게 장착된 구조(이 경우, 계기판이 '고정체', 뚜껑이 '개폐체'를 이룸)에 적용하여도 좋고, 고정체의 개구부를 개폐하는 각종 개폐체에 널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도 17과 도 18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고정체(1)의 개구부(2)의 폭 방향의 양쪽에, 구멍 형상을 이루는 한 쌍의 잠금부(3,3)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잠금부는 구멍 형상이 아니더라도, 오목 형상이나 돌기 형상이나, 테두리 형상 등 이어도 좋고, 또한 잠금부는 고정체가 아니라 개폐체에 설치해도 좋고,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이 실시예에 있어서, 잠금부재(70,70A)는 개폐체(5)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배치되고, 잠금부(3)가 고정체(1)의 개구부(2) 측에 형성되어 있지만, 이와는 반대로, 잠금부재를 고정체측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배치하고, 잠금부를 개폐체측에 설치해도 좋다.
다음으로 베이스 부재(20)에 대해 설명한다.
도 3과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베이스 부재(20)는 회전 부재(50)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회전 지지부(27)와, 한 쌍의 잠금부재(70,70A)을 슬라이드 가능하게 지지하는 슬라이드 지지부(41,43)를 갖고 있다. 또한, 베이스 부재(20)는 그 앞측에 한 쌍의 잠금부재(70,70A)를 슬라이드 유지할 수 있는 동시에, 뒷측에서도 한 쌍의 잠금부재(70,70B)(도 19 참조)를 슬라이드 유지할 수 있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이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또한, 베이스 부재에 있어서의 '앞측'은 회전 부재가 배치되는 측을 의미한다( '앞면측'도 같은 의미이다). 또한, 베이스 부재의 '뒷측'은 회전 부재의 배치측과는 반대측을 의미한다('뒷면측'도 같은 의미이다).
또한, 베이스 부재 이외의 부재(개폐체(5)와, 회전 부재(50), 잠금부재(70,70A), 조작 부재(90) 등)에 있어서의 「앞측」이나 「앞면측 '이라 함은 차량 등의 고정체의 개구부로부터, 개폐체가 열리는 방향에 위치하는 측과, 차량의 내부 공간측(승객에 향하는 측)을 의미한다. 마찬가지로, 베이스 부재 이외의 부재에 있어서의 '뒷측'과 '뒷면측'은 상기의 '앞측' 또는 '앞면측'과는 반대측, 즉, 개폐체가 닫히는 방향에 위치하는 측을 의미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베이스 부재(20)의 구조에 대해 설명하면, 이 베이스 부재(20)는 일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베이스부(21)와, 이 베이스부(21)의 길이 방향 양측부에, 서로 평행하게 배치된 한 쌍의 측벽(22,23)을 가지고 있다. 각 측벽(22,23)은 베이스부(21)의 앞면측 및 이면측으로부터 각각 돌출되어 있다(도 3(a),(b) 참조). 또한 베이스부(21)의 길이 방향 양쪽 단부로서, 그의 폭 방향(길이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의 중앙부에는 한 쌍의 장착부(24,25)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베이스 부재(20)는 이들 장착부(24,25)를 통해 개폐체(5)의 뒷측에 볼트 등으로 고정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 베이스(21)의 길이 방향 중앙은 대략 원형 오목 형상을 이루도록 오목한 형상으로 되어 있고, 그 바닥부(26)로부터는 대략 원기둥 형상을 이루는 회전 지지부(27)가 소정 높이로 돌출되어 있다(도 9 참조). 또한, 회전 지지부(27)의 선단 외주로부터는 빠짐 방지 돌기(27a)가 돌출되어 있다. 또한 도 3(a)와 도 4(a)에 나타낸 바와 같이, 회전 지지부(27)의 외측에는 원호 형상을 이룬 한 쌍의 가이드 리브(28,28)가 돌출되어 있다. 또한,도 4(a)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가이드 리브(28)의 외측에는 슬릿(29a)을 통해 휨 가능한 회전 규제조(29)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 3(a)와 도 4(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베이스(21)의 길이 방향 일단 부 및 타단부의 앞면측으로서, 상기 한 쌍의 측벽(22,23) 대하여 소정 간격을 둔 내측에는 한 쌍의 가이드 벽(30,30), 및 한 쌍의 가이드 벽(31,31)이 서로 평행하게 설치되어 있다. 또한, 한 쌍의 가이드 벽(30,30)은, 연결 벽(30a)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있다. 이들 한 쌍의 가이드 벽(30,30) 및 한 쌍의 가이드 벽(31,31)은 베이스 부재(20)의 앞측에 한 쌍의 잠금부재(70,70A)가 배치된 경우, 상기 한 쌍의측벽(22,23)과 함께 각 잠금부재(70,70A)를 사이에 두고, 그 슬라이드 가이드를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도 17,18 참조).
또한, 도 3(b)와 도 4(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베이스부(21)의 뒷면측으로서, 상기 한 쌍의 측벽(22,23)에 대하여 소정 간격을 둔 내측에는 베이스부(21)의 길이방향을 따라 서로 평행한 한 쌍의 가이드 벽(32,32)이 연장되어 있다. 이들 한 쌍의 가이드 벽(32,32)은 베이스 부재(20)의 뒷측에 한 쌍의 잠금부재(70,70A)가 배치된 경우에, 한 쌍의 측벽(22,23)과 함께 각 잠금부재(70,70A)를 사이에 두고, 슬라이드 가이드를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후술하는 다른 실시 형태의 도 22 참조).
또한 도 3(a)와 도 4(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베이스 부재(20)의 앞측에서의 한 쌍의 측벽(22,23)의 길이 방향의 내면으로부터는 오조립 방지 돌기부(33,34)가 각각 설치되어 있으며, 또한 베이스 부재 앞측의 한 쌍의 가이드 벽(30,30)의 외면으로부터도 오조립 방지 돌기부(35,36)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또한, 한 쌍의 측벽(22,23)의 내면에 설치한 오조립 방지 돌기부(33,34)는 베이스 부재(20)의 길이 방향으로 약간 위치가 어긋나 있다(도 4(a) 참조).
또한, 도 3(b)와 도 4(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베이스 부재(20)의 뒷측에서의 한 쌍의 측벽(22,23)의 길이 방향 일단부측의 내면으로부터는 오조립 방지 돌기부(37,38)가 각각 설치되어 있으며, 또한 베이스 부재 뒷측의 한 쌍의 가이드 벽(32,32)의 길이 방향 타단부측의 외면으로부터도 오조립 방지 돌기부(39,40)가 각각 설치되어있다. 또한, 한 쌍의 측벽(22,23)의 내면에 설치한 오조립 방지 돌기부(37,38)는 베이스 부재(20)의 길이 방향으로 약간 위치가 어긋나 있다(도 4(b) 참조).
이들 오조립 방지 돌기부(33~40)는 잠금부재(70,70A)에 설치한 노치부(74a, 74b, 74c, 74d)(도 5 참조)과 함께, 베이스 부재(20)의 앞측 또는 뒷측의 소정의 위치에, 소정의 한 쌍의 잠금부재(70,70A)을 조립하여, 오조립을 방지하는 것으로 되어 있다. 또한, 이러한 오조립 방지 돌기부(33~40)는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잠금부재(70,70A)의 후술하는 베이스(71)를 구성하는 연장벽(74)의 일단면측에 배치되고(여기에서 오조립 방지 돌기부(35,36)가 도시되어 있다), 베이스 부재(20)에 대하여 한 쌍의 잠금부재(70,70A)를 빠짐 방지 유지하는 동시에, 슬라이드 가이드에 도움이 된다.
또한 도 3과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베이스(21)에는 한 쌍의 측벽(22,23)과 베이스 부재 뒷측의 한 쌍의 가이드 벽(32,32)의 사이에 각 잠금부재(70,70A)의 돌기(80)가 삽입되는 슬릿으로 이루어진 슬라이드 지지부(41,43)가 각각 형성되어있다. 도 10을 함께 참조하면, 본 실시 형태의 슬라이드 지지부(41,43)는 베이스부(21)을 두께 방향으로 관통함과 동시에, 베이스 부재(2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하고, 장공 형상을 이루는 슬릿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슬라이드 지지부(41)의 길이 방향 단부, 및 슬라이드 지지부(43)의 길이 방향 타단부에는 슬라이드 지지부(41)의 슬릿 폭보다도 확경한 확경공(44)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또한 슬라이드 지지부(41,43)의, 확경공(44)을 제외한 부분에는, 돌기(80)의 세경부(84)(도 5 참조)가 슬라이드 가능하게 삽입되도록 되어 있다(도 10 참조). 한편, 슬라이드 지지부(41,43)의 각 확경공(44)에는 도 5에 도시된 돌기(80)의 기단부(83)나 빠짐 방지부(85)가 삽입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도 3(b)와 도 4(b)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 슬라이드 지지부(41,43)의 뒷측으로서, 폭 방향 양측 가장자리로부터는, 가지(ridge; 45,45)가 길이 방향을 따라 각각 연장된다. 도 9와 같이 이들 가지(45,45)가 돌기(80)의 빠짐 방지부(85)에 접촉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도 3과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베이스(21)의 길이 방향 타단부측의, 장착부(25)보다도 약간 내측에, 또한 폭 방향 중앙부에는, 쿠션 장착공(47)이 형성되어 있다 . 이 쿠션 장착공(47)에는 탄성 재료로 이루어지는 쿠션(100)이 장착되도록 되어 있다.
다음으로, 잠금부재(70,70A)에 대해 설명한다.
도 1과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서의 잠금부재(70)는 소정 길이로 연장된 베이스부(71)를 가지고 있으며, 그 연장 방향의 선단에, 상기 잠금부(3)에 결합 및 이탈하는 계합부(73)가 설치된 곧게 뻗은 로드 형상을 이루고 있다. 한편, 잠금부재(70A)는 베이스부(71) 및 계합부(73) 외에도, 베이스부(71)의 연장 방향 선단으로부터 직각으로 굴곡하여 설치된 굴곡부(72)를 가지고 있으며,이 굴곡부(72)의 선단으로부터 상기 계합부(73)가 연장되어 있으며, 잠금부재(70A) 전체적으로 대략 크랭크로드 형상을 이루고 있다. 또한, 잠금부재(70,70A)는 제 1 가압 부재(6)를 통해 회전 가압 방향 A 방향으로 회전 가압되는 회전 부재(50)에, 돌기(80)에 의해 연결되는 관계 상, 도 17의 화살표 B로 나타낸 바와 같이, 계합부(73,73)가 잠금부(3,3)에 향해 가압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베이스부(71)는 긴 상자 형상으로 연장한 한 쌍의 연장벽(74,75)과, 그들을 연결하는 연결 벽(76)으로 이루어지고, 단면 H자 형상을 이루고 있다. 또한, 상기 굴곡부(72)에는 조작 부재(90)의 조작 노브(93)(도 1 참조)가 삽입되는 테두리 형상을 이룬 노브 삽입부(72a)가 설치되어 있다.
이와 관련하여 조작 부재(90)에 대해 설명한다. 도 1(a),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조작 부재(90)는 대략 가로방향 판형상을 이룬 파지부(91)와, 파지부(91)의 뒷측의 길이 방향 일단측에 설치되고, 개폐체(5)의 도시하지 않은 장착공 둘레부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동 장착부(92)와 파지부(91)의 뒷측으로서, 상기 회동 장착부(92)에 인접한 위치로부터 돌출된 노브(93)와, 파지부(91)의 뒷측으로서, 상기 조작 노브(93)에 인접한 위치로부터 돌출하고, 개폐체(5)의 장착공 주변에 걸려서 빠짐 방지 유지하는 한 쌍의 빠짐 방지조(94,94)로 구성되어 있다. 이 조작 부재(90)는 개폐체(5)에 대하여 파지부(91)가 근접 및 떨어짐이 가능해지고 있다. 또한, 조작 부재(90)에는 제 2 가압 부재(9)가 장착되어 있어, 개폐체(5)에 대하여 파지부(91)의 길이 방향 타단부가 항상 근접하는 방향으로 가압되어 있다.
그리고, 조작 부재(90)의 파지부(91)의 길이 방향 타단부를, 개폐체(5)로부터 떨어뜨리면, 조작 노브(93)가 잠금부재(70A)의 계합부(73)를 잠금부(3)로부터 떨어지는 방향으로 슬라이드시키도록 되어 있다(도 18 참조). 또한, 이에 연동하여 잠금부재(70)도, 회전 부재(50)를 통해, 계합부(73)를 잠금부(3)로부터 떨어뜨리는 방향으로 슬라이드한다.
잠금부재(70,70A)의 설명으로 돌아 가면, 베이스부(71)의 연장 돌출 방향 선단측에는 대략 장방향의 테두리 형상을 이루는 가이드 프레임(77)이 설치되어 있고,이 가이드 프레임(77)의 내주로부터 복수의 탄성 가이드편(77a)이 연장되어 있다. 이들 탄성 가이드편(77a)이 개폐체(5)에 설치한 도시하지 않은 가이드 돌기부의 외주에 탄성 접촉하여, 잠금부재(70,70A)의 슬라이드 가이드를 구성한다.
또한, 각 잠금부재(70,70A)의 베이스부(71)를 구성하는 연장벽(74)에는 베이스 부재(20)에 대해 잠금부재(70,70A)를 슬라이드 배치할 때, 베이스 부재(20)에 설치한 오조립 방지부(37,38,39,40)가 삽입되어 관통하는 노치부(74a, 74b, 74c, 74d)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잠금부재(70) 측의 연장벽(74)의 길이 방향 기단측으로서, 그 폭 방향 일측부에 노치부(74a)가 설치되어 있으며, 이 연장벽(74)의, 길이 방향 기단부보다도 선단측으로서, 폭 방향 타측부에 노치부(74b)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잠금부재(70A)측의 연장벽(74)의, 길이 방향 기단측으로서, 그 폭 방향 일측부에, 노치부(74c)가 설치되어 있으며, 이 연장벽(74)의, 길이 방향 기단부보다도 선단측으로서, 폭 방향 타측부에 노치부(74d)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 실시예에서는, 곧게 뻗은 로드 형상의 잠금부재(70)에 설치한 노치부(74a,74b)의 위치 관계나 배치 간격이 베이스 부재(20)의 앞측에 설치한 오조립 방지 돌기부(34,36), 및 베이스 부재(20)의 뒷측의 오조립 방지 돌기부(38,40)의, 위치 관계나 배치 간격에 적합하게 되어 있다. 또한, 대략 크랭크로드 형상의 잠금부재(70A)에 설치한 노치부(74c, 74d)가 베이스 부재(20)의 앞측에 설치한 오조립 방지 돌기부(33,35)의, 위치 관계나 배치 간격에 적합하게 되어 있다. 또한, 베이스 부재(20)의 뒷면에 설치한 오조립 방지 돌기부(37,39)는 후술하는 다른 실시 형태의 잠금부재(70B)(도 19 참조)에 설치한 노치부(74c,74d)의 위치 관계나 배치 간격에 적합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각 잠금부재(70,70A)에는, 회전 부재(50)와의 연결용 돌기(80)가 각각 돌출되어 있다.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돌기(80)는 잠금부재(70,70A)의 베이스부(71)를 구성하는 연장벽(74)의 앞측으로서, 상기 노치부(74b,74d)에 근접한 위치로부터 돌출되어 있다.
각 돌기(80)는 상기 위치로부터 돌출한 대략 원통형을 이루고 있고, 그 둘레 방향의 외주로서, 둘레 방향으로 균등한 간격을 둔 위치에는 돌기(80)의 기단측으로부터 축 방향 선단측을 향해 연장하는, 오목홈 형상을 이루는 한 쌍의 제 1 노치 홈(81,81)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각 돌기(80)의, 한 쌍의 제 1 노치 홈(81,81)의 연장 방향 선단측에는, 이 제 1 노치 홈(81)에 직교하고, 또한, 제 1 노치 홈(81)보다도 얕은 깊이로, 돌기 외주를 일정한 폭으로 절개하는, 요홈 형상을 이루는 한 쌍의 제 2 노치 홈(82,82)이 서로 평행하게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러한 한 쌍의 제 1 노치 홈(81,81), 및 한 쌍의 제 2 노치 홈(82,82)을 통해, 돌기(80)의 축 방향 기단측에 외주가 원 형상을 이룬 기단부(83)가 설치되는 동시에, 이 기단부(83)에 인접한 위치에 일정 폭의 단면을 갖는 세경부(84)가 형성되고, 또한, 이 세경(84)에 인접한, 돌기(80)의 축 방향 선단측에, 빠짐 방지부(85)가 설치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세경부(84)의 폭은 슬릿을 이룬 슬라이드 지지부(41,43)의 폭보다도 좁은 폭으로 되어 있고,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슬라이드 지지부(41,43) 내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삽입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기단부(83) 및 빠짐 방지부(85)의 외경은 슬라이드 지지부(41,43)의 폭보다도 크고, 또한, 슬라이드 지지부(41,43)에 설치된 확경공(44)의 내경이나, 후술하는 회전 부재(50)의 돌기 수용부(63,64)(도 6 참조)의 폭보다도 작게되어 있다. 또한,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돌기(80)의 기단부(83)는 회전 부재(50)의 돌기 수용부(63,64) 내에 삽입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돌기(80)의 빠짐 방지부(85)는 슬라이드 지지부(41,43) 뒷측에 설치되 가지(45,45)에 접촉 가능하게 배치되어, 슬라이드 지지부(41,43)로부터의 돌기(80)의 빠짐 방지가 이루어지도록 되어 있다.
다음으로, 회전 부재(50)에 대해 설명한다.
도 6과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 회전 부재(50)는 상기 회전 지지부(27)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회전부(51)와, 이 회전부(51)의 외주로부터 외경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1 돌출 벽부(58,60) 및 제 2 돌출 벽부(59,61)와, 제 1 돌출 벽부(58) 및 제 2 돌출 벽부(59), 또는 제 1 돌출 벽부(59) 및 제 2 돌출 벽부(61) 사이에 형성되어, 잠금부재(70,70A)의 돌기(80)를 수용하는 돌기 수용부(63,64)를 갖고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회전부(51)는 대략 원판 형상으로 이루어진 기판(52)과, 이 기판(52)의 지름 방향 내측으로부터 세워지게 형성된 대략 원통형으로 이루어진 관형 벽(53), 이 관형 벽(53)에 세워지게 형성되는 방향 선단에 설치된 천장 벽(54)을 갖고 있다. 이 천장 벽(54)의 중앙에는 대략 열쇠 구멍 형상으로 이루어진 장착공(54a)이 형성되어 있다. 이 장착공(54a)에는 베이스 부재(20)의 회전 지지부(27)가 삽입하여 관통가능하게 되어 있으며, 또한, 회전 지지부(27)의 빠짐 방지 돌기(27a)가 장착공(54a)의 앞측에 배치된 상태에서는 베이스 부재(20)에 대해서 회전 부재(50)가 빠짐 방지 유지되도록 되어 있다(도 8 참조).
또한 도 6(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원통형 벽(53)의 뒷측 주변부로부터 원호 형상을 이루는 한 쌍의 가이드 리브(55,56)가 돌출되어 있다.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들 가이드 리브(55,56)는 베이스 부재(20)에 설치된 한 쌍의 가이드 리브(28,28)의 외부에 배치되고, 베이스 부재(20)에 대해서 회전 부재(50)를 회전 가이드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폭이 좁은 가이드 리브(56)는 그 둘레 방향 일단이 회전 지지부(27)에 회전 부재(50)가 회전지지된 후의, 베이스 부재(20) 측의 회전 규제조(29)에 대향 배치되어, 회전 부재(50)를 회전 규제한다.
또한, 도 11(a)에 나타낸 바와 같이, 회전 부재(50)는 제 1 가압 부재(6)를 통해, 소정의 회전 가압 방향 A로 회전 가압되어 있다. 또한,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1 가압 부재(6)는 이른바 토션 스프링으로 되어 있어, 권회부(6a)와, 이 권회부(6a)로부터 연장한 한 쌍의 완부(6b,6b)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일측의 완부(6a)가 베이스 부재(20)측에 걸리게 되고, 타측의 완부(6b)가 회전 부재(50) 측에 걸리게 되어 있다. 이 제 1 가압 부재(6)가 회전 부재(50)를 회전 가압 방향 A 방향으로 회전 가압함으로써, 회전 부재(50)에 연결되는 한 쌍의 잠금부재(70,70A)의 계합부(73,73)를 잠금부(3,3)에 계합하는 방향으로 가압하지만(도 17의 화살표 B 참조), 가압 부재로서는, 예를 들어, 잠금부재의 일측을 잠금부측을 향해 인장하는 '인장 스프링' 등이어도 되고, 잠금부재를 잠금부에 계합하는 방향으로 가압 가능하면 된다.
그리고, 상기 제 1 돌출 벽부(58,60)는 상기 제 2 돌출 벽부(59,61)보다도 회전 부재(50)의 회전 가압 방향(A)의 선단측에 위치하며, 또한 상기 제 2 돌출 벽부(59,61)보다도 짧게 뻗어 있다. 또한, 상기 제 2 돌출 벽부(59,61)는 회전 부재(50)의 회전 가압 방향 A와는 반대측에 위치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도 6과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회전부(51)를 구성하는 기판(52)의 외주의 소정의 장소로부터, 제 1 돌출 벽부(58)가 외경 방향으로 연장하고 있다. 또한 기판(52)의 외주로서, 제 1 돌출 벽부(58)에 대해 회전 가압 방향 A와 반대 방향으로 소정 거리를 둔 장소로부터 제 2 돌출 벽부(59)가 제 1 돌출 벽부(58)와 평행이 되도록 외경 방향으로 연장하고 있다.
또한 도 6과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기판(52)의 외주의, 상기 제 1 돌출 벽부(58)에 대해서 회전 부재(50)의 회전 중심 C(도 7 참조)을 사이에 두고 경사지게 대향하는 장소로부터, 제 1 돌출 벽부(60)이 외경 방향으로 연장하고 있다. 또한 기판(52)의 외주로서, 제 1 돌출 벽부(60)에 대해서 회전 가압 방향 A와 반대 방향으로 소정 거리를 둔 부분으로부터 제 2 돌출 벽부(61)가 제 1 돌출 벽부(59)와 평행이 되도록 외경 방향으로 연장하고 있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 형태의 회전 부재(50)는 회전부(51)의 외주에 한 조의 제 1 돌출 벽부(58) 및 제 2 돌출 벽부(59)와, 또 한 조의 제 1 돌출 벽부(60) 및 제 2 돌출 벽부(61)가 각각 설치된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한,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1 돌출 벽부(58,60)는 제 2 돌출 벽부 (59,61)보다도 짧게 뻗어 있다. 또한, 도 11(a)에는 회전 부재(50)에 잠금 부재(70,70A)를 연결하기 전의 상태가 표시되어 있는데, 이 상태에서는 제 1 돌출 벽부(58,60 )의 선단면(58a,60a)이 슬라이드 지지부(41,43)에 위치함과 동시에, 제 2 돌출 벽부(59,61)의 선단면(59a, 61a)이 베이스 부재(20)의 한 쌍의 측벽(22,23)의 내면에 대하여 소정 간격을 둔 위치에 배치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제 1 돌출 벽부(58,60)의 선단면(58a,60a)이나, 제 2 돌출 벽부(59,61)의 선단면(59a,61a)는 상대측의 돌출 벽부에 대하여 점차 연장 길이가 길어지는 경사면 형상을 이루고 있다.
또한, 제 1 돌출 벽부(58)와 제 2 돌출 벽부(59) 사이, 및 제 1 돌출 벽부(60)과 제 2 돌출 벽부(61) 사이에는 잠금부재(70,70A)에 설치한 돌기(80)를 수용하기 위한 돌기 수용부(63,64)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도 6이나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들 한 쌍의 돌기 수용부(63,64)는 회전 부재(50)를 축 방향으로 관통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또한, 돌기 수용부는 회전 부재를 축 방향으로 관통하고 있지 않더라도, 잠금부재에 설치한 돌기를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이 제 1 돌출 벽부 및 제 2 돌출 벽부의 사이에 설치되어 있으면 된다. 예를 들어, 제 1 돌출 벽부 및 제 2 돌출 벽부의 사이가 얇은 판으로 연결되어 있어도 좋고, 돌기를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이 있으면 좋다.
또한 각 돌기 수용부(63,64)의 폭은 일정하게 되어 있다. 즉, 제 1 돌출 벽부(58) 및 제 2 돌출 벽부(60)의 대향하는 내측면끼리의 폭, 및 제 1 돌출 벽부(58) 및 제 2 돌출 벽부(60)의 대향하는 내측면 끼리의 폭은 서로 평행이 되어 있다. 또한, 돌기 수용부(63,64)의 폭은 돌기(80)의 기단부(83)의 외경에 적합한 치수로 되어 있다. 또한, 각 돌기 수용부(63,64)의 기단부측의 내면(63a, 64a)은 원호 형상의 곡면으로 되어 있다.
또한,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 돌기 수용부(63,64)는 회전부(51)의 회전 중심(C)으로부터의 반경(R1, R2)이 각각 다르다. 이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돌기 수용부(63)의, 회전부(51)의 회전 중심(C)으로부터, 상기 내면(63a)까지의 반경(R1)이 돌기 수용부(64)의, 회전부(51)의 회전 중심(C)으로부터, 상기 내면(64a)까지의 반경(R2)보다도 크게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회전부(51)의 기판(52)의 외주로서, 제 1 돌출 벽부(58)와, 제 2 돌출 벽부(61)의 사이로부터 쿠션 접촉부(65)가 연장되어 있다. 이 쿠션 접촉부(65)는 제 1 가압 부재(6)에 의해 회전 부재(50)가 회전 가압 방향 A 방향으로 회전 가압되어, 잠금부재(70,70A)의 계합부(73,73)가 잠금부(3,3)에 계합할 때, 베이스 부재(20)의 쿠션 장착공(47)에 장착된 쿠션(100)에 접촉하여, 그 충격력을 완충하여 충격음(타음)을 억제하는 것이다.
그리고 도 11 ~ 16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 잠금부재(70,70A)는 회전 부재(50)의 회전축 방향에서 볼 때(여기에서는 기둥형상을 이룬 회전 지지부(27)의 축 방향 일단측에서 볼 때), 그 돌기(80)가 제 1 돌출 벽부(58,60)의 제 1 회동 궤적(K1)의 외경측에 위치하는 제 1 위치(도 11(a), 도 14(a) 참조)로부터 제 1 회동 궤적(K1)의 내경측으로 인입하여 상기 제 1 돌출 벽부(58,60)을 회전 가압 방향(A)와 반대 방향으로 압입하여 이동시키는 영역(도 11(b), 도 14(b) 참조)을 거쳐, 제 1 회동 궤적(K1)을 초과하여, 또한 제 2 돌출 벽부(59,61)의 제 2 회동 궤적(K2)과 겹치는 제 2 위치(돌기(80)의 적어도 일부 또는 전부는 제 2 회동 궤적(K2)과 겹치는 위치, 도 12(a), 도 15(a) 참조))까지 슬라이드 가능하게 되어 있다.
상기 구성을 채용함으로써, 한 쌍의 잠금부재(70,70A)를 회전 부재(50)에 대해 다음과 같이 연결 가능해지고 있다.
즉, 도 11(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먼저 잠금부재(70A)의 돌기(80)를 베이스 부재(20)의 슬라이드 지지부(41)의 확경공(44)으로부터 삽입한다. 이 도 11(a)에 나타낸 상태에서는, 돌기(80)가 제 1 돌출 벽부(60)의 제 1 회전 궤적(K1)의 외경측에 위치하고 있으며, 이것이 본 발명에서의 '제 1 위치'의 상태가 된다. 그 후, 화살표(F1)로 나타낸 바와 같이, 돌기(80)가 회전 부재(50)의 제 1 돌출 벽부(60)에 접촉하는 방향으로, 잠금부재(70A)를 슬라이드시킨다. 그러면, 도 11(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돌기(80)가 제 1 돌출 벽부(60)에 접촉하여 압입하여, 회전 부재(50)를 회전 가압 방향 A와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즉, 도 11(b)의 경우에는 돌기(80)가 제 1 돌출 벽부(60)의 제 1 회전 궤적(K1)의 내경측으로 인입하여, 제 1 돌출 벽부(60)을 회전 가압 방향 A와는 반대 방향으로 압입하여 이동시키도록 되어 있으며, 본 발명에서의 '영역'에 위치한 상태가 된다.
또한 잠금부재(70A)를 화살표(F1) 방향으로 슬라이드시키면, 도 12(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돌기(80)는 슬라이드 지지부(41)에 있어서, 제 1 돌출 벽부(60)의 제 1 회전 궤적(K1)을 넘어, 또한 제 2 돌출 벽부(61)의 제 2 회전 궤적(K2)과 겹치는 위치, 즉, 본 발명에서의 '제 2 위치'까지 이동한다.
그 후, 도 12(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1 가압 부재(6)에 의해 회전 부재(50)가 다시 회전 가압 방향 A로 회전 가압되므로, 제 2 돌출 벽부(61)의 선단 내면측이 돌기(80)를 가압하여, 돌기(80)를 화살표 F1과는 반대 방향으로 약간 슬라이드시킨다. 그러면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돌기 수용부(64) 내에 돌기(80)가 삽입되어, 제 1 돌출 벽부(60) 및 제 2 돌출 벽부(61)에 의해 돌기(80)가 끼워지게 되므로 회전 부재(50)에 잠금 부재(70A)가 연결되도록 되어 있다.
다음으로, 도 14(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잠금부재(70)의 돌기(80)를 베이스 부재(20)의 돌기(80)를 베이스 부재(20)의 슬라이드 지지부(43)에 삽입한다. 이 도 14(a)에 나타낸 상태에서는 돌기(80)가 제 1 돌출 벽부(58)의 제 1 회전 궤적(K1)의 외경측에 위치하고 있으며, 이것은 본 발명에서의 '제 1 위치'의 상태가 된다. 그 후, 화살표(F2)로 나타낸 바와 같이, 돌기(80)가 회전 부재(50)의 제 1 돌출 벽부(58)에 접촉하는 방향으로 잠금부재(70)를 슬라이드시킨다. 그러면 도 14(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돌기(80)가 제 1 돌출 벽부(58)에 접촉하여 압입하고, 회전 부재(50)를 회전 가압 방향 A와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즉, 도 14(b)의 경우에는, 돌기(80)가 제 1 돌출 벽부(58)의 제 1 회전 궤적(K1)의 내경측으로 인입하여, 제 1 돌출 벽부(58)를 회전 가압 방향 A와는 반대 방향으로 압입하여 이동시키도록 되어 있으며, 본 발명에서의 '영역'에 위치한 상태로 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의 '영역'이라 함은 도 11(b)와 도 14(b)의 상태뿐만 아니라, 그 이외의, 도 11(a), 도 14(a)에 나타낸 제 1 위치와, 도 12(a), 도 15(a)에 나타낸 제 2 위치의 사이의 상태도 포함하는 의미이다(어느 정도의 폭이 있다).
또한 잠금부재(70)를 화살표(F2) 방향으로 슬라이드시키면,도 15(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돌기(80)는 슬라이드 지지부(43)에 있어서, 제 1 돌출 벽부(58)의 제 1 회전 궤적(K1)을 초과하여, 또한, 제 2 돌출 벽부(59)의 제 2 회전 궤적(K2)과 겹치는 위치, 즉, 본 발명에서의 '제 2 위치'까지 이동한다. 또한, 이 상태에서는 잠금부재 (70A)의 돌기(80)도 회전 부재(50)의 돌기 수용부(64)에서 벗어나, 제 1 돌출 벽부(60)의 제 1 회전 궤적(K1)을 초과하여, 또한, 제 2 돌출 벽부(61)의 제 2 회동 궤적(K2)과 겹치는 제 2 위치까지 이동한다(도 15(a) 참조).
그 후, 도 15(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1 가압 부재(6)에 의해 회전 부재(50)가 다시 회전 가압 방향(A)으로 회전 가압되므로, 제 2 돌출 벽부(59)의 선단 내면측이 돌기(80)를 가압하여, 돌기(80)를 화살표(F2)와는 반대 방향으로 약간 슬라이드시킨다. 그러면, 도 1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돌기 수용부(63) 내에 돌기(80)가 삽입되어, 제 1 돌출 벽부(60) 및 제 2 돌출 벽부(61)에 의해 돌기(80)가 끼워지게 되므로, 회전 부재(50)에 잠금 부재(70)가 연결된다. 그와 동시에, 돌기 수용부(64) 내에도 잠금부재(70A)의 돌기(80)가 다시 삽입되므로, 회전 부재(50)에 잠금 부재(70A)가 다시 연결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잠금부재(70A)를 회전 부재(50)에 연결 한 후 잠금부재(70)를 연결하고 있지만, 먼저 잠금부재(70)를 회전 부재에 연결하여도 좋고, 연결 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
위와 같이 잠금 장치(10)에 있어서는, 도 11 ~ 16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 잠금부재(70,70A)를, 돌기(80)를 통해 베이스 부재(20)의 슬라이드 지지부(41,43)에 지지시킨 상태에서, 돌기(80)가 회전 부재(50)의 제 1 돌출 벽부(58,60)에 접촉하는 방향으로, 각 잠금부재(70,70A)를 슬라이드시키면, 돌기(80)가 제 1 돌출 벽부(58,60)를 각각 가압하여, 회전 부재(50)를 회전 가압 방향(A)와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킨 후(즉, 돌기(80)가 제 1 돌출 벽부(58,60)의 제 1 회동 궤적(K1)의 외경측에 위치하는 제 1 위치로부터, 제 1 회동 궤적(K1)의 내경측으로 인입하여 상기 제 1 돌출 벽부(58,60)를 회전 가압 방향 A와 반대 방향으로 압입하여 이동시키는 영역을 거쳐), 회전 부재(50)가 회전 가압되어, 돌기(80)가 제 1 돌출 벽부(58,60)의 제 1 회동 궤적(K1)을 초과(오버 스트로크 이동한다)하고, 제 2 돌출 벽부(59,61)의 제 2 회동 궤적(K2)과 겹치는 위치까지 이동한 후, 회전 부재(50)가 회전 가압 방향(A) 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돌기 수용부(63,64)에 삽입되어, 회전 부재(50)에 잠금 부재(70,70A)을 연결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이상 설명한 각 부재(베이스 부재, 회전 부재, 잠금부재, 조작 부재 등)는 상기 형상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잠금 장치의 배치 위치 등에 따라 적절히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잠금부재로는 한 쌍의 것이 아니라 한 개 뿐이어도 좋다.
다음으로, 상기 구성으로 이루어진 잠금 장치(10)의 작용 효과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잠금 장치(10)의 조립 절차에 대해 설명한다. 즉, 베이스 부재(20)의 회전 지지부(27)의 주변에 제 1 가압 부재(6)를 배치 한 후, 회전 부재(50)의 열쇠공 형상을 이룬 장착공(54a)에 회전 지지부(27)의 빠짐 방지 돌기(27a)를 일치시켜 삽입하여 관통시키고, 빠짐 방지 돌기(27a)를 회전 부재(50)의 천장 벽(54)의 앞측에 배치한다. 그 후, 베이스 부재(20)의 회전 규제조(29)를 휘면서 회전 부재(50)를 회전시켜, 회전 규제조(29)를 가이드 리브(56)가 타고 넘어갈 때까지 회전 부재(50)를 회전시킴으로써, 베이스 부재(20)에 대하여 회전 부재(50)가 빠짐을 방지하고 역회전이 방지된 상태에서 회전 지지부(27)에 회전 부재(50)를 회전 가능하게 조립할 수 있다.
그 후,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회전 부재(50)에 한 쌍의 잠금부재(70,70A)를 연결시킨다. 이 실시예에서,베이스 부재(20)의 앞측에 한 쌍의 잠금부재(70,70A)가 슬라이드 가능하게 배치됨과 동시에 회전 부재(50)에 연결되도록 되어 있다.
여기에서는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잠금부재(70A)의 노치부(74c,74d)를 베이스 부재(20)의 오조립 방지 돌기부(33,35)에 각각 일치시킴과 동시에, 슬라이드 지지부(43)의 확경공(44)에 돌기(80)를 일치시킨 상태에서 베이스 부재(20)에 대해 잠금부재(70A)를 압입한다. 그러면 오조립 방지 돌기부(33,35)가 노치부(74c,74d)를 각각 통과함과 동시에, 돌기(80)가 확경공(44)을 통과하여, 베이스 부재(20)의 측벽(22)과, 하나의 가이드 벽(30,31)의 사이에 잠금부재(70A)가 배치됨과 동시에, 슬라이드 지지부(43)에 돌기(80)가 삽입지지된다.
그 후, 도 11(a)에 나타내는, 돌기(80)가 제 1 돌출 벽부(60)의 제 1 회전 궤적 (K1)의 외경측에 위치하는 제 1 위치로부터, 잠금부재(70A)를 화살표 F1 방향으로 슬라이드시킴으로써, 돌기(80)가 제 1 돌출 벽부(60)를 가압하여, 도 11(b)에 나타내는 돌기(80)가 제 1 돌출 벽부(60)의 제 1 회전 궤적(K1)의 내경측에 들어가 제 1 돌출 벽부(60)를 회전 가압 방향(A)와 반대 방향으로 압입하여 이동시키는 영역을 거쳐, 회전 부재(50)를 회전 가압 방향 A와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킨 후, 회전 부재(50)가 회전 가압되어, 도 12(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돌기(80)가 제 1 돌출 벽부(60)의 제 1 회전 궤적(K1)을 초과하여, 또한 제 2 돌출 벽부(61)의 제 2 회전 궤적(K2)과 겹치는 제 2 위치까지 이동 후, 회전 부재(50)가 회전 가압 방향 A 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돌기 수용부(64) 내에 삽입되므로,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회전 부재(50)에 잠금 부재(70A)를 연결할 수 있다.
그 후,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잠금부재(70)의 노치부(74a,74b)를 베이스 부재(20)의 오조립 방지 돌기부(36,34)에 각각 일치시킴과 동시에, 슬라이드 지지부(41)의 확경공(44)에 돌기(80)를 일치시킨 상태에서, 베이스 부재(20)에 대해 잠금부재(70)를 압입한다. 그러면, 오조립 방지 돌기부(36,34)가 노치부(74c,74d)를 통과 함과 동시에, 돌기(80)가 확경공(44)을 통과 함과 동시에, 돌기(80)가 확경공(44)을 통과하여, 베이스 부재(20)의 측벽(23)과, 타측의 가이드 벽(30,31) 사이에 잠금부재(70)가 배치됨과 동시에, 슬라이드 지지부(43)에 돌기(80)가 삽입지지된다.
그 후, 도 14(a)에 나타내는, 돌기(80)가 제 1 돌출 벽부(58)의 제 1 회전 궤적(K1)의 외경측에 위치하는 제 1 위치로부터 잠금부재(70)를 화살표(F2) 방향으로 슬라이드시킴으로써, 돌기(80)가 제 1 돌출 벽부(58)를 가압하고 도 14(b)에 나타내는, 돌기(80)가 제 1 돌출 벽부(58)의 제 1 회전 궤적(K1)의 내경측에 인입하여 제 1 돌출 벽부(58)를 회전 가압 방향(A)와 반대 방향으로 압입하여 이동시키는 영역을 거쳐, 회전 부재(50)를 회전 가압 방향(A)와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킨 후, 회전 부재(50)가 회전 가압되어, 도 15(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돌기(80)가 제 1 돌출 벽부(58)의 제 1 회전 궤적(K1)을 초과하여, 또한 제 2 돌출 벽부(59)의 제 2 회전 궤적(K2)과 겹치는 제 2 위치까지 이동 후, 회전 부재(50)가 회전 가압 방향 A 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돌기 수용부(63) 내에 삽입되기 때문에, 도 16에 나타낸 바와 같이, 회전 부재(50)에 잠금부재(70)를 연결할 수 있다.
위와 같이, 이 잠금 장치(10)에 있어서는, 잠금부재(70,70A)를 슬라이드 지지부(41,43)에 지지시킨 후, 잠금부재(70,70A)를 슬라이드시킬 뿐인 간단한 조작으로, 잠금부재(70,70A)를 회전 부재(50)에 연결시킬 수 있으므로, 회전 부재에 잠금 부재를 압입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회전 부재(50)에 대한 잠금부재(70,70A)의 연결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잠금부재(70,70A)는 베이스 부재(20)의 측벽(22,23)과, 가이드 벽(30,31)에 의해 슬라이드 가이드됨과 동시에, 오조립 방지 돌기부(33,34,35,36)가 베이스부(71)의 연장벽(74)의 일단면측에 배치됨으로써(도 10 참조), 베이스 부재(20)에 대해 잠금부재(70,70A)가 빠짐 방지 유지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도 3과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슬라이드 지지부(41,43)는 돌기(80)가 삽입되는 슬릿으로 구성된다. 따라서, 슬릿으로 이루어진 슬라이드 지지부(41,43)에 의해서, 돌기(80)를 슬라이드 가능하게 지지할 수 있기 때문에, 각 잠금부재(70,70A)의 슬라이드 동작을 돌기(80)를 통해 안내할 수 있다(청구항 2의 효과).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돌기(80)의 선단에 빠짐 방지부(85)가 설치되어 있고, 슬릿으로 이루어진 슬라이드 지지부(41,43)의 일단에는 슬릿 폭보다도 크게, 이탈 방지부(85)에 삽입 가능한 확경공(44)이 형성되어 있다.
이 예에 따르면, 잠금부재(70,70A)를 회전 부재(50)에 연결시킬 때에, 슬라이드 지지부(41,43)의 일단의 확경공(44)에 돌기(80)의 선단의 빠짐 방지부(85)를 일치시켜 삽입한 후, 잠금부재(70,70A)를 슬라이드시킴으로써, 확경공(44)에 대해 빠짐 방지부(85)가 위치 이탈하기 때문에, 빠짐 방지부(85)를 통해 슬라이드 지지부(41,43)로부터 돌기(80)를 빠지지 않게 할 수 있는 동시에, 회전 부재(50)에 대해 잠금부재(70,70A)를 빠짐 방지 유지할 수 있다(청구항 3의 효과).
또한,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 베이스 부재(20)는 베이스부(21)를 가지고 있으며, 이 베이스부(21)의 앞면측으로부터 회전 지지부(27)가 돌출됨과 동시에, 베이스(21)에 슬릿으로 이루어진 슬라이드 지지부(41,43)가 설치되어 있고, 돌기 수용부(63,64)는 회전 부재(50)를 축 방향으로 관통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이 실시예에 따르면, 도 6 및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회전 부재(50)에 설치된 돌기 수용부(63,64)는 회전 부재(50)의 축 방향으로 관통하도록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도 9 에 나타낸 바와 같이, 베이스 부재(20)의 앞측으로부터 잠금부재(70,70A)의 돌기(80)를 삽입한 후, 도 11 ~ 도 16에 나타낸 바와 같이, 회전 부재(50)의 돌기 수용부(63,64)에 돌기(80)를 삽입할 수 있다. 또한, 도 2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베이스 부재(20)의 뒷측으로부터 잠금부재(70,70A)의 돌기(80)를 삽입한 후, 회전 부재(50)의 돌기 수용부(63,64)에 돌기(80)를 삽입할 수도 있다. 따라서, 베이스 부재(20)의 앞측 및 뒷측 모두에 한 쌍의 잠금부재(70,70A)를 연결시킬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어, 잠금 장치를 차량의 글러브 박스의 뚜껑의 개폐 잠금 로 사용할 때에, 좌 핸들에 적용할 경우(도 1~18에 나타난 형태)나 우 핸들에 적용할 경우(도19 ~ 22에 나타내는 형태)에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다(청구항 4의 효과).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도 17과 도 1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잠금부(3) 및 잠금부재(70,70A)는 각각 한 쌍으로 설치되어 있고, 돌기 수용부(63,64)는 한 쌍 으로 설치되어 있고, 또한,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 돌기 수용부(63,64)는 회전부(51)의 회전 중심(C)으로부터 반경(R1,R2)이 각각 다르다.
이 실시예에 따르면, 각 돌기 수용부(63,64)는 회전부(51)의 회전 중심(C)으로부터의 반경(R1,R2)이 각각 다르기 때문에, 한 쌍의 잠금부재(70,70A)의 슬라이드량을 바꿀 수 있다. 즉, 잠금 장치를 차량의 글러브 박스의 뚜껑 개폐 잠금용으로 사용할 때에, 좌 핸들에 적용 할 경우(도 1~18에 나타난 형태)의, 한 쌍의 잠금부(3,3)에 대한 한 쌍의 잠금부재(70,70A)의 계합량(잠금부에 대한 각 잠금부재 선단의 계합부의 계합량)이나 우 핸들에 적용할 경우(도 19 ~ 22에 나타내는 형태)의, 한 쌍의 잠금부(3,3)에 대한 한 쌍의 잠금부재(70,70B)(도 19 참조)의 계합량이 다를 수 있다. 이때, 한 쌍의 돌기 수용부(63,64)의 회전부(51)의 회전 중심(C)으로부터의 반경이 동일하면, 일측의 잠금부(3)에는 일측의 잠금부재가 계합하지만, 타측의 잠금부(3)에는 타측의 잠금부재가 단단히 계합하지 않을 수 있다(소위 잠금부재의 한쪽에 걸려진 상태).
이에 대해, 이 잠금 장치(10)에서는, 상기 구성에 의해 한 쌍의 잠금부재(70,70A)나 한 쌍의 잠금부재(70,70B)의 슬라이드량을 적절하게 바꿀 수 있기 때문에, 좌 핸들이나 우 핸들 중 어느 쪽에 적용하는 경우에도,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다. 그 결과, 잠금 장치(10)나, 후술하는 잠금 장치(10A)(도 19 참조)를 구성하는 베이스 부재(20)나, 회전 부재(50), 잠금부재의 일측(여기에서는 잠금부재(70)) 등을 공용화할 수 있다(청구항 5의 효과).
또한, 이 실시예에서, 베이스 부재(20)에 복수의 오조립 방지 돌기부 (33~40)를 설치하고, 잠금부재(70,70A)나 후술하는 잠금부재(70B)에서도, 위의 복수의 오조립 방지 돌기부(33~40)에 대응하는 노치부(74a, 74b, 74c, 74d)를 설치했기 때문에, 베이스 부재(20)의 앞측에, 한 쌍의 잠금부재(70,70A)를 조립할 때나 (도 17,18 참조), 베이스 부재(20)의 뒷면에 한 쌍의 잠금부재(70,70B)를 조립할 때(도 22 참조)에, 소정 장소에 소정의 잠금부재를 확실하게 조립하여 오조립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이 잠금 장치(10)는 고정체(1)의 개구부(2)로부터 개폐체(5)가 열린 상태로부터 개폐체(5)를 닫고, 한 쌍의 잠금부재(70,70A)의 계합부(73,73)가 고정체(1)의 잠금부 (3,3)에 계합함으로써, 개폐체(5)가 닫힌 상태로 잠금된다(도 17 참조).
이 상태로부터, 조작 부재(90)의 파지부(91)의 길이 방향 타단부를, 제 2 가압 부재(9)의 가압력에 대항하여, 개폐체(5)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회동시키면, 도 1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잠금부재(70A)의 계합부(73)를, 회전 부재(50)의 회전 가압에 대항하여, 잠금부(3)로부터 계합하지 않는 방향으로 인입함과 동시에, 그것과 연동하여 회전 부재(50)를 통해, 잠금부재(70)의 계합부(73)를, 잠금부(3)로부터 계합하지 않는 방향으로 인입하기 때문에, 개폐체(5)의 잠금 상태를 해제하여, 고정체(1)의 개구부(2)로부터 개폐체(5)를 열 수 있다.
도 19 ~ 22에는, 본 발명에 따른 개폐체의 잠금 장치의, 다른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또한, 상기 실시예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 19과 도 20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개폐체의 잠금 장치 (10A)(이하 '잠금 장치(10A)')는 베이스 부재(20)의 뒷측에, 한 쌍의 잠금부재 (70,70B)가 배치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이 잠금 장치(10A)는 우 핸들 차량의 글로브 박스(차량 전방의 왼쪽에 배치된다)에 사용되는 사이드 잠금 장치가 되어 있다.
상기 잠금부재(70)는 상기 실시 형태의 잠금부재(70)와 공통의 형상으로 되어있다. 한편, 도 19 및 도 2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잠금부재(70B)는 굴곡부(72)의 굴곡 방향이 상기 실시 형태의 잠금부재(70A)와는 반대 방향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각 잠금부재(70,70B)를, 돌기(80)를 통해, 베이스 부재(20)의 슬라이드 지지부(41,43)에 지지시켜, 돌기(80)가 제 1 돌출 벽부(58,60)의 제 1 회동 궤적(K1)의 외경측의 제 1 위치로부터, 돌기(80)가 회전 부재(50)의 제 1 돌출 벽부(58,60)에 접촉하는 방향으로 각 잠금부재(70,70A)를 슬라이드시키면, 돌기(80)가 제 1 돌출 벽부(58,60)를 각각 가압하여, 제 1 돌출 벽부(58,60)의 제 1 회동 궤적(K1)의 내경측으로 인입하여 제 1 돌출 벽부(58, 60)를 회전 가압 방향(A)과 반대 방향으로 압입하여 이동시키는 영역을 거쳐, 회전 부재(50)를 회전 가압 방향(A)와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킨 후, 회전 부재(50)가 회전 가압되어, 돌기(80)가 제 1 돌출 벽부(58,60)의 제 1 회전 궤적(1)을 초과하여, 또한, 제 2 돌출 벽부(59,61)의 제 2 회동 궤적(K2)과 겹치는 제 2 위치까지 이동한 후, 회전 부재(50)가 회전 가압 방향 A 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돌기 수용부(63,64) 내에 삽입되어, 회전 부재(50)에 잠금 부재(70,70B)를 연결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한 쌍의 잠금부재(70,70B)를 회전 부재(50)에 연결시킬 때에는, 상기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먼저 잠금부재(70A)를 회전 부재(50)에 연결시킨 후, 잠금부재(70)를 연결시킨다. 이때, 잠금부재(70B)의 노치부(74c,74d)를 베이스 부재(20)의 뒷측의 오조립 방지 돌기부(39,37)에 각각 일치시킴과 동시에, 잠금부재(70)의 노치부(74a,74b)를 베이스 부재(20)의 뒷측의 오조립 방지 돌기부(38,40)에 각각 일치시키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이 잠금 장치(10A)에서도, 잠금부재(70,70B)를 슬라이드 지지부(41,43)에 지지시킨 후, 잠금부재(70,70B)를 슬라이드시킬 뿐인 간단한 조작으로, 잠금부재(70,70B)를 회전 부재(50)에 연결시킬 수 있기 때문에, 회전 부재(50)에 대한 잠금부재(70,70B)의 연결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요지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예가 가능하며, 이러한 실시 형태도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
1 고정체
2 개구부
3,3 잠금부
5 개폐체
6 제 1 가압 부재(가압 부재)
10,10A 개폐체의 잠금 장치(잠금 장치)
20 베이스 부재
21 베이스부
27 회전 지지부
41,43 슬라이드 지지부
44 확경공
50 회전 부재
51 회전부
58,60 제 1 돌출 벽부
59,61 제 2 돌출 벽부
63,64 돌기 수용부
65 쿠션 접촉부
70,70A, 70B 잠금부재
80 돌기
85 빠짐 방지부
90 조작 부재
100 쿠션

Claims (5)

  1. 고정체의 개구부에 개폐가능하게 설치되는 개폐체의 잠금 장치로서,
    상기 고정체의 개구부 또는 상기 개폐체에 설치된 잠금부와,
    상기 고정체 또는 상기 개폐체에 고정되는 베이스 부재와,
    상기 베이스 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가압 부재를 통해 소정 방향으로 회전 가압된 회전 부재와,
    돌기를 갖는 동시에, 상기 돌기를 통해 상기 회전 부재에 연결되어, 상기 잠금부에 계합 및 이탈하는 잠금부재를 가지며,
    상기 베이스 부재는 상기 회전 부재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회전 지지부와, 상기 잠금부재를 슬라이드가능하게 지지하는 슬라이드 지지부를 가지며,
    상기 회전 부재는 상기 회전 지지부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회전부와, 상기 회전부의 외주로부터 외경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1 돌출 벽부 및 제 2 돌출 벽부와, 상기 제 1 돌출 벽부 및 상기 제 2 돌출 벽부의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돌기를 수용하는 돌기 수용부를 가지며,
    상기 제 1 돌출 벽부는 상기 제 2 돌출 벽부보다도, 상기 회전 부재의 회전 가압 방향의 선단측에 위치하며, 또한, 상기 제 2 돌출 벽부보다도 짧게 뻗어 있으며,
    상기 잠금부재는 상기 회전 부재의 회전축 방향에서 볼 때, 상기 돌기가 상기 제 1 돌출 벽부의 제 1 회동 궤적의 외경측에 위치하는 제 1 위치로부터, 상기 제 1 회전 궤적의 내경측으로 인입하여, 상기 제 1 돌출 벽부를 상기 회전 가압 방향과는 반대 방향으로 압입하여 이동시키는 영역을 거쳐서, 상기 제 1 회전 궤적을 초과하여, 또한 상기 제 2 돌출 벽부의 제 2 회전 궤적과 겹치는 제 2 위치까지 슬라이드 가능하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체의 잠금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 지지부는 상기 돌기가 삽입되는 슬릿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체의 잠금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의 선단에 빠짐 방지부가 설치되어 있고,
    슬릿으로 이루어진 상기 슬라이드 지지부의 일단에는, 슬릿 폭보다 크게, 상기 빠짐 방지부에 삽입 가능한 확경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체의 잠금 장치.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부재는 베이스부를 가지고 있으며, 상기 베이스부의 앞면측으로부터 상기 회전 지지부가 돌출되어 있는 동시에, 상기 베이스부에 슬릿으로 이루어진 상기 슬라이드 지지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돌기 수용부는 상기 회전 부재를 축 방향으로 관통하도록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체의 잠금 장치.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부 및 상기 잠금부재는 각각 한 쌍으로 설치되어 있고,
    상기 돌기 수용부는 한 쌍으로 설치되어 있고, 각 돌기 수용부는 상기 회전부의 회전 중심으로부터의 반경이 각각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체의 잠금 장치.
KR1020190136063A 2019-10-30 2019-10-30 개폐체의 잠금 장치 KR2021005115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6063A KR20210051154A (ko) 2019-10-30 2019-10-30 개폐체의 잠금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6063A KR20210051154A (ko) 2019-10-30 2019-10-30 개폐체의 잠금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51154A true KR20210051154A (ko) 2021-05-10

Family

ID=759181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36063A KR20210051154A (ko) 2019-10-30 2019-10-30 개폐체의 잠금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51154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80223B2 (en) Lock device for opening and closing body
KR101462556B1 (ko) 댐퍼 장치
JP4699160B2 (ja) サイドロック装置
JP6467523B2 (ja) 開閉体のロック装置
JP6686258B2 (ja) 回転式伸縮装置
JP6804167B2 (ja) エアバッグモジュールの着脱式取り付け装置
KR20140014195A (ko) 개폐 부재의 잠금 장치
JP6146909B2 (ja) 給電装置及び給電装置の組立方法
JP6420618B2 (ja) ロック解除装置およびそれを備えるロック装置
KR20210075094A (ko) 개폐체의 잠금 장치
WO2022050177A1 (ja) 開閉体のロック装置
KR20210051154A (ko) 개폐체의 잠금 장치
JP6985529B2 (ja) 開閉体のロック装置
WO2019039370A1 (ja) エアダンパー
WO2021085342A1 (ja) 開閉体のロック装置
WO2019198595A1 (ja) ダンパー装置
WO2022050178A1 (ja) 開閉体のロック装置
JP2009120118A (ja) 部品の取付構造及び部品の取付方法
JP7269372B2 (ja) ロック解除装置
JP7423508B2 (ja) 開閉体のロック装置、及び、車両用収納装置
KR100922335B1 (ko) 차량용 글로브 박스
JP4459014B2 (ja) シフトレバー装置
JP2020186777A (ja) ダンパー
JP2017031577A (ja) ドアハンドル装置
JP2017031576A (ja) ドアハンドル装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