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50108A - 보안성을 높인 연결포트 커버 - Google Patents

보안성을 높인 연결포트 커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50108A
KR20210050108A KR1020190134297A KR20190134297A KR20210050108A KR 20210050108 A KR20210050108 A KR 20210050108A KR 1020190134297 A KR1020190134297 A KR 1020190134297A KR 20190134297 A KR20190134297 A KR 20190134297A KR 20210050108 A KR20210050108 A KR 202100501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locking
movable
insertion hole
connection 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342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62811B1 (ko
Inventor
김병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엠투아이코퍼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엠투아이코퍼레이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엠투아이코퍼레이션
Priority to KR10201901342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62811B1/ko
Publication of KR202100501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501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628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628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70Protecting specific internal or peripheral components, in which the protection of a component leads to protection of the entire computer
    • G06F21/86Secure or tamper-resistant housing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8Packaging or power distribution
    • G06F1/181Enclosures
    • G06F1/182Enclosures with special features, e.g. for use in industrial environments; grounding or shielding against radio frequency interference [RFI] or electromagnetical interference [EMI]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70Protecting specific internal or peripheral components, in which the protection of a component leads to protection of the entire computer
    • G06F21/82Protecting input, output or interconnection devices
    • G06F21/85Protecting input, output or interconnection devices interconnection devices, e.g. bus-connected or in-line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커넥터들이 삽입되는 포트들을 덮는 커버를 특정 형상의 공구를 통해서만 개방할 수 있기 때문에 보안성이 증가되며, 연결포트에 삽입된 커넥터들을 가압해줌으로서 연결포트에 삽입된 커넥터들이 진동 또는 충격 등에 의해 접속불량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보안성을 높인 연결포트 커버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보안성을 높인 연결포트 커버{Port cover enhancing security}
본 발명은 보안성을 높인 연결포트 커버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로는 산업용 장비의 연결포트가 사용 시에만 외부로 노출되도록 함으로써 산업용 장비들의 보안성을 증가시킬 수 있으며, 연결포트로 접속된 접속대상의 커넥터를 가림판이 가압해줌으로써 외부 진동 또는 충격 등으로 인해 접속불량 상태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보안성을 높인 연결포트 커버에 관한 것이다.
산업 현장에서 대부분의 작업공정들은 제조비용 및 제조시간의 감축을 위하여 자동화 장비들로 이루어지고 있다.
또한 자동화 장비의 적용 분야가 증가함에 따라서 자동화 장비들을 제어하는 제어관리시스템도 함께 개발되고 있으며, 이러한 제어관리시스템은 HMI 장치를 통해 사용자에 의해 용이하게 제어될 수 있다.
HMI(Human Machine Interface) 장치는 제어관리시스템의 데이터를 사용자에게 직관적으로 표시하는 기능 및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제어 명령에 따라 제어관리시스템을 제어하는 기능을 갖는 장치이며, 각 장치들로부터 동작 상태 등을 나타내는 데이터를 수신하여 작업자들에게 수치, 도형 또는 그래프 등으로 변환하여 제공한다. 또한 작업자는 HMI 장치를 통해 제공받은 데이터들을 토대로 각 장비들을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HMI장치는 USB 포트 등의 다양한 포트들을 통해 주변기기들과 연결된다.
그러나 이러한 포트들은 별도의 잠금수단이 구비되지 않아 보안이 취약하여 자료 유출의 위험이 발생하는 단점을 갖는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국내등록특허 제10-1714425호(발명의 명칭 : USB 보안장치)(이하 ’종래기술‘이라 함)가 개발되었다.
도 1은 종래기술의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의 잠금커버의 사시도이다.
종래기술(100)은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부(110)와, 잠금커버(120)와, 잠금유닛(130)으로 이루어진다.
본체부(110)는 베이스 플레이트(111)와, 베이스 플레이트(111)에 장착되는 메인 PCB(112)와, 사용자의 단말기와 케이블로 연결되는 연결 커넥터가 연결되는 제1 연결포트(113)와, 메인 PCB(112)에 장착되어 주변기기 및 외부기기가 연결되는 복수의 제2 연결포트(114)들과, 메인 PCB(112)와 연결포트(113), (114)들을 감싸도록 설치되는 몸체(115)로 이루어진다.
또한 몸체(115)에는 잠금유닛(130)이 설치되는 잠금유닛 설치공(1151)이 형성된다.
메인 PCB(112)는 베이스 플레이트(111)에 설치되며, 제1 연결포트(113)와 제2 연결포트(114)를 연결하여 주변기기 또는 외부기기와 사용자의 단말기를 연결한다.
또한 메인 PCB(112)에는 LED 램프(1121)들이 설치되어 외부에서 보안유닛의 잠금 여부 및 포트 연결상태를 파악할 수 있다.
잠금커버(120)는 베이스 플레이트(111)의 상부에 설치되어 본체부(110)를 덮는다.
또한 잠금커버(120)에는 메인 PCB(112)의 LED 램프(1121)들이 노출되는 LED 관통공(121)들과, 잠금유닛(130)의 잠금돌기(132)가 삽입되는 돌기 삽입공(122)과, 케이블들이 삽입되는 케이블 통로부(123)가 형성된다.
이때 커넥터들은 제1, 제2 연결포트(113), (114)들에 연결되었을 때 단부가 잠금커버(120)의 내부에 위치된다.
잠금유닛(130)은 키 뭉치(131)와, 키 뭉치(131)의 일측에 돌출 형성되는 잠금돌기(132)로 이루어진다.
키 뭉치(131)는 잠금유닛 설치공(1151)에 삽입 설치되며, 일측에 형성된 개구부가 형성되어 키 부재가 삽입된다.
잠금돌기(132)는 키 뭉치(131)의 일측에 돌출 형성되며, 키 뭉치(131)에 삽입되는 키 부재를 회전시키면 같이 회전되어 돌기 삽입공(122)으로 삽입 및 이탈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종래기술(100)은 연결포트(113), (114)들에 커넥터들을 연결한 후, 본체부(110)에 잠금커버(120)를 덮은 상태에서 잠금유닛(130)에 키 부재를 삽입하여 회전시키면 잠금유닛(130)의 잠금돌기(132)가 잠금커버(120)에 형성된 돌기 삽입공(122)으로 삽입되어 본체부(110)와 잠금커버(120)가 분리되지 않도록 고정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기술(100)은 커넥터들이 연결포트(113), (114)들과 단순 삽입 방식으로 접속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진동 또는 충격 등이 발생하게 될 경우, 커넥터들과 연결포트(113), (114)들의 접속불량 현상이 빈번하게 발생하는 단점을 갖는다. 특히 작업현장의 경우, 다수의 가공공정으로 인해 충격 및 진동이 비일비재하게 발생하는 특성을 갖기 때문에 종래기술(100)이 작업현장에 적용되는 경우 이러한 접속불량 현상이 더욱 빈번하게 발생하게 된다.
또한 종래기술(100)은 커넥터들을 연결포트(113), (114)들에 연결 또는 분리시킬 때마다 잠금커버(120)를 본체부(110)로부터 분리해야하기 때문에 작업시간이 증가하게 된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해결과제는 USB 등의 접속대상의 커넥터가 접속되는 연결포트가 커버에 의해 개방 또는 폐쇄되도록 구성됨과 동시에 커버가 특정 형상의 공구를 통해서만 개방되도록 구성됨으로써 보안성이 증가되는 연결포트 커버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해결과제는 가림판이 연결포트로 삽입된 커넥터를 가압해줌으로써 연결포트 및 커넥터가 외부 진동 또는 충격 등에 의해 접속불량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연결포트 커버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해결수단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연결포트가 설치되는 전자장비에 일단부가 힌지 결합되며 폐쇄 시 상기 연결포트의 외부 노출을 차단시키는 커버부와, 상기 커버부가 폐쇄될 때, 상기 커버부의 폐쇄상태를 잠금하는 잠금부를 포함하는 연결포트 커버에 있어서: 상기 잠금부는 상기 전자장비에 결합되는 잠금부 몸체; 상기 잠금부 몸체에 수평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커버부를 향하는 방향을 후방이라고 할 때, 후방 이동 시, 후단부가 상기 커버부의 회동반경 내에 배치되되, 전방 이동 시 후단부가 상기 커버부의 회동반경 외측에 배치되는 가동부를 포함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연결포트 커버는 회전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회전부는 상기 가동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면에 개방수단이 삽입될 수 있는 키홈이 형성되고, 상기 가동부는 상기 회전부의 회전각도에 따라서 이동이 제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잠금부 몸체는 판재 형상의 베이스 플레이트; 판재로 형성되어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로부터 상향 돌출 형성되어 서로 이격되게 설치되는 이동제한부들;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면의 상기 이동제한부들 사이에 설치되며, 상면에 기둥 형상의 걸림돌부가 돌출 형성되는 가이드 블록을 포함하고, 상기 가동부는 상하부면에 양면을 관통하여 상기 회전부가 삽입되는 회전부 삽입공이 형성되는 함체로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 블록의 상부에 전후방 수평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가동몸체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부는 상면에 상기 키홈이 형성되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가동몸체의 상기 회전부 삽입공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몸체; 상기 회전몸체의 하면에 돌출되며, 상기 회전몸체가 상기 가동몸체의 상기 회전부 삽입공으로 삽입될 때, 상기 가동몸체로부터 하향 돌출되어 상기 가이드블록의 상기 걸림돌부를 중심으로 대향되게 배치되는 돌출부들을 포함하고, 상기 가동몸체는 상기 돌출부들과 상기 걸림돌부가 상기 가동몸체의 이동방향과 평행하게 배치될 경우에는 상기 돌출부들이 상기 걸림돌부에 의해 지지되어 이동이 제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커버부는 하면에 안착홈이 형성되며, 상기 안착홈이 형성되는 바닥면의 중앙에 걸림부 삽입공이 형성되며, 상기 걸림부 삽입공을 기준으로 전후방에 커넥터 삽입공들이 형성되며, 상기 커넥터 삽입공들 각각을 기준으로 폭 방향으로 가이드 홈들이 대향되게 형성되는 상부커버; 사각 판재형상으로 형성되어 상부면이 상기 상부커버의 하부면과 결합되며, 상기 상부커버의 상기 커넥터 삽입공들과 대응되는 위치에 커넥터 삽입공들이 형성되는 하부커버; 원통형상으로 형성되는 걸림부 몸체와, 상기 걸림부 몸체의 대향되는 외주면에 돌출 형성되는 걸림돌부들과, 상기 걸림부 몸체의 상면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상부커버의 상기 걸림부 삽입공으로 삽입되며 상면에 개방수단이 삽입될 수 있는 키홈이 형성되는 상부커버 삽입부를 포함하는 걸림부; 막대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상부커버의 상기 안착홈의 내부에서 폭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게 설치되며, 상면에 가이드 돌부들이 돌출 형성됨으로써 상기 가이드 돌부들이 상기 상부커버의 상기 가이드 홈들로 각각 삽입되어 폭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서로를 향하는 내측면에 스프링들이 길이 방향으로 이격되게 설치되는 가동막대들; 막대 형상으로 형성되며, 일측면에 상기 스프링들 각각의 단부에 결합되는 가림판들; 일단부가 상기 가동막대들의 외측면에 결합되되, 타단부가 상기 상부커버의 상기 안착홈을 형성하는 내측벽에 결합되는 외측스프링들을 포함하고, 상기 가림판들은 조립 시, 직상부에 상기 상부커버의 상기 커넥터 삽입공이 배치되고, 직하부에 상기 하부커버의 상기 커넥터 삽입공이 배치되고, 상기 가림판들 중 폭 방향으로 대향되는 가림판들은 평시에는 상기 외측스프링들에 의해 가압되어 서로 접촉됨에 따라 대응되는 커넥터 삽입공들을 밀폐시키되, 상기 걸림부가 회전되어 상기 걸림돌부가 상기 가동막대들과 접촉될 때, 상기 가동막대들과 함께 폭 방향에서 외측으로 이동되어 대응되는 커넥터 삽입공을 개방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하부커버의 상면에는 상기 상부커버의 걸림부 삽입공 및 가이드홈들에 대응되는 위치에 동일한 형상의 걸림부 삽입공 및 가이드홈들이 형성되고, 상기 걸림부는 상기 걸림부 몸체의 하면에 돌출되어 상기 하부커버의 상기 걸림부 삽입공으로 삽입되는 하부커버 삽입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가동막대들은 하면에 상기 하부커버의 상기 가이드홈들로 삽입되는 돌출부들이 돌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상부커버는 전단부와 인접한 위치의 하면에 하면으로부터 하향 돌출되되 전방으로 절곡되는 절곡부가 형성되고, 상기 가동몸체의 후면에는 상기 상부커버의 전단부 및 상기 절곡부 사이로 삽입되는 잠금돌기가 돌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과제와 해결수단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르면 특정 형상의 공구를 통해서만 커넥터가 삽입되는 연결포트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하여 외부인이 장비에 커넥터를 접속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보안성이 증가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연결포트로 삽입된 커넥터가 커버에 형성된 커넥터 삽입공을 폐쇄하는 가림판들에 의해 가압되어 연결포트에 삽입된 커넥터들이 진동 또는 충격 등에 의해 접속불량이 발생하게 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접속불량에 의해 발생하는 장비의 오작동 및 안전사고 등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종래기술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잠금커버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연결포트 커버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커버부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걸림부의 사시도이다.
도 6a는 커넥터 삽입공들이 개방된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 예시도이며, 도 6b는 커넥터 삽입공들이 폐쇄된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 예시도이다.
도 7은 도 3의 잠금부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의 잠금부의 작동하는 과정을 설명하는 예시도이다.
도 9a는 잠금부가 잠금상태인 상태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며, 도 9b는 잠금부가 개방상태인 상태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잠금기능이 구비된 연결포트 커버의 사시도이며, 도 4는 도 3의 커버의 분해사시도이다.
연결포트 커버(1)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블, USB 등의 접속대상의 커넥터가 접속되는 연결포트(51)들이 설치되는 HMI 장치(5)와, 일측이 HMI 장치(5)와 힌지 결합되는 커버부(2)와, 커버부(2)를 개방 및 폐쇄시키는 잠금부(3)로 이루어진다.
이때 설명의 편의를 위해 연결포트 커버(1)가 HMI 장치(5)에 설치되는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연결포트 커버(1)가 설치되는 장비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전자장비들에 적용될 수 있다.
커버부(2)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 평판 형상으로 형성되며 하면에 안착홈(213)이 형성되는 상부커버(21)와, 사각 평판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부커버(21)의 하면에 대접되는 하부커버(22)와, 부속품(23), (24), (25), (26)들로 이루어진다.
이때 커버부(2)는 상부커버(21)의 안착홈(213)과 하부커버(22)에 의해 내부 공간이 형섬되고, 이 내부 공간으로는 각종 부속품(23), (24), (25), (26)들이 설치된다.
상부커버(21)는 사각 평판 형상으로 형성되되, 하부커버(22)와 대접되는 면인 하부면에 안착홈(213)이 형성된다.
또한 상부커버(21)는 일단부에 힌지부(211)가 형성되어 HMI 장치(5)와 힌지 결합되며, 타단부에는 절곡부(212)가 형성된다.
이때 설명의 편의를 위해 힌지부(211)에서 절곡부(212)를 향하는 방향을 전방이라고 설명하기로 한다.
절곡부(212)는 상부커버(21)의 전단부와 인접한 위치에서 하향 돌출 형성되며, 단부가 전방으로 절곡되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절곡부(212)는 상부커버(21)의 전단부와 함께 ‘⊂’자 형상을 형성함으로써 절곡부(212)와 상부커버(21) 사이에는 잠금부(3)가 삽입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된다.
이때 커버부(2)는 절곡부(212)와 상부커버(21)의 전단부 내부로 후술되는 도 7의 잠금돌기(323)가 삽입되면, 잠금돌기(323)에 의해 개방이 방지되는 잠금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또한 상부커버(21)의 안착홈(213)의 바닥면의 중앙에는 상부커버(21)의 상면까지 연결되는 상부 걸림부 삽입공(2131)이 형성된다.
또한 상부커버(21)의 안착홈(213)의 바닥면에는 상부 걸림부 삽입공(2131)의 전후방에 상부 커넥터 삽입공(2132)들이 대향되게 형성된다. 이때 상부 커넥터 삽입공(2132)들은 커버부(2)가 잠금상태일 때, HMI 장치(5)의 연결포트(51)들 각각의 직상부에 배치된다.
또한 상부커버(21)의 안착홈(213)의 바닥면에는 각 상부 커넥터 삽입공(2132)의 양측에 상부 가이드홈(2133)들이 대향되게 형성된다.
하부커버(22)는 판재로 형성되어 상부커버(21)의 하면에 대접됨으로써 상부커버(21)의 안착홈(213)은 하부커버(22)에 의해 밀폐되게 된다.
또한 하부커버(22)에는 하부 걸림부 삽입공(221)과, 하부 커넥터 삽입공(222)들과, 하부 가이드홈(223)들이 형성된다.
이때 하부커버(22)에 형성된 하부 걸림부 삽입공(221)과 하부 커넥터 삽입공(222)들, 하부 가이드홈(223)들은 상부커버(21)와 하부커버(22)가 조립되었을 때, 각각 상부커버(21)에 형성된 상부 걸림부 삽입공(2131)과 상부 커넥터 삽입공(2132)들, 상부 가이드홈(2133)들과 대응되는 위치 및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상부커버(21)와 하부커버(22)는 조립 시, 내부 공간(안착홈(213))이 형성되고, 이 안착홈(213)에는 걸림부(23), 가동막대(24a), (24b)들, 가림판(25a), (25b)들 및 스프링(26)들이 설치된다.
도 5는 도 4의 걸림부의 사시도이다.
걸림부(23)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림부 몸체(231)와, 걸림부 몸체(231)의 상부에 형성되어 상부커버(21)의 상부 걸림부 삽입공(2131)으로 삽입되는 상부커버 삽입부(232)와, 걸림부 몸체(231)의 하부에 형성되어 하부커버(22)에 형성된 하부 걸림부 삽입공(221)으로 삽입되는 하부커버 삽입부(233)로 이루어진다.
걸림부 몸체(231)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되, 외주면으로부터 외측으로 한 쌍의 걸림돌부(2311)들이 대향되게 돌출 형성된다.
상부커버 삽입부(232)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면에 키(Key) 등의 개방수단이 삽입되는 키홈(2321)이 형성된다.
또한 상부커버 삽입홈(232)은 조립 시, 상부커버(21)의 상부 걸림부 삽입공(2131)으로 삽입되어 상면의 키홈(2321)이 외부에 노출된다.
하부커버 삽입부(233)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며, 하부커버(22)의 걸림부 삽입공(221)으로 삽입된다.
이러한 걸림부(23)는 상부커버 삽입부(232)와 하부커버 삽입부(233)가 상, 하부 걸림부 삽입공(2131), (221)들에 각각 삽입 설치됨으로써 상부커버(21)와 하부커버(22)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또한 걸림부(23)의 노출된 키홈(2321)으로는 개방수단이 삽입되어 개방수단의 회전에 따라 회전되고, 회전각도에 따라서 걸림돌부(2311)들의 위치가 변화되어 가동막대(24)들과 선택적으로 접촉된다.
제1 가동막대(24a)는 막대 형상으로 형성되며, 커버부(2)의 내부 공간에 설치된다.
또한 제1 가동막대(24a)의 상하부면에는 길이 방향의 중간지점을 기준으로 이격되게 가이드 돌부(241)들이 돌출 형성된다.
이때 가이드 돌부(241)들 중 가동막대(24a)의 상면에 돌출 형성된 한 쌍의 가이드 돌부(241)들은 상부커버(21)의 상부 가이드홈(2133)들로 각각 삽입되고, 가동막대(24a)의 하면에 돌출 형성된 한 쌍의 가이드 돌부(241)들은 하부커버(21)의 하부 가이드홈(223)들로 각각 삽입된다.
또한 제1 가동막대(24a)는 가이드 돌부(241)들이 형성되는 지점의 양측면에 스프링(26)들이 각각 결합된다. 이때 스프링(26)들 중 외측에 배치된 스프링의 단부는 상부커버(21)의 안착홈(213)을 형성하는 내측벽에 결합되고, 내측에 배치된 스프링의 단부는 후술되는 가림판(25a)의 일측면에 결합된다.
즉 제1 가동막대(24a)는 커버부(2)의 안착홈(213)의 내부에서 수평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또한 제1 가동막대(24a)의 내측면에는 걸림부(23)의 걸림돌부(2311)가 삽입되는 곡면 형상의 걸림돌부 삽입홈(242)이 형성된다.
제2 가동막대(24b)는 제1 가동막대(24a)와 폭 방향으로 대향되게 설치되며, 제1 가동막대(24a)와 동일한 형상 및 구조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가동막대(24a), (24b)들은 걸림돌부 삽입홈(242)으로 걸림돌부(2311)가 삽입되면, 걸림돌부(2311)에 의해 외측으로 가압되고, 이에 따라 스프링(26)들이 압축되면서 외측으로 이동되어 가동막대(24a), (24b)들의 가림판(25a)들이 대향되는 방향으로 이격되고, 이에 따라 가림판(25a)들에 의해 밀폐된 상, 하부 커넥터 삽입공(2132), (222)들이 개방되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걸림부(23)가 회전되면, 가동막대(24a), (24b)들의 걸림돌부 삽입홈(242)으로 삽입된 걸림돌부(2311)가 이탈되고, 이에 따라 가동막대(24a), (24b)들은 스프링(26)들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다시 내측으로 이동함으로써 가림판(25a)들이 내측으로 이동하여 상, 하부 커넥터 삽입공(2132), (222)들을 밀폐시키게 된다.
제1 가림판(25a)들은 막대 형상으로 형성되며, 일측면에 연결축(미도시)이 형성된다. 이때 제1 가림판(25a)들의 연결축들은 제1 가동막대(24a)의 내측면에 각각 결합되고, 연결축들의 외측에는 전술하였던 스프링(26)들이 설치된다.
이러한 제1 가림판(25a)들은 연결포트(51)들의 개수만큼 형성되며, 조립 시, 상, 하부 커넥터 삽입공(2132), (222)들 사이에 위치한다.
제2 가림판(25b)들은 제1 가림판(25a)과 동일한 구조 및 형상으로 이루어져 제2 가동막대(24b)의 내측면에 결합된다.
이러한 가림판(25a), (25b)들은 평시에는 스프링(26)들에 의해 내측으로 가압되어 내측면이 서로 접촉됨으로써 상, 하부 커넥터 삽입공(2132), (222)들을 폐쇄하여 외부에서 상, 하부 커넥터 삽입공(2132), (222)들로 커넥터를 삽입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가림판(25a), (25b)들은 걸림부(23)에 의해 가동막대(24a), (24b)들이 외측으로 이동되면, 가동막대(24a), (24b)들과 함께 외측으로 이동되기 때문에 상, 하부 커넥터 삽입공(2132), (222)들이 개방되어 외부에서 상, 하부 커넥터 삽입공(2132), (222)들로 커넥터를 삽입할 수 있게 된다.
도 6a는 커넥터 삽입공들이 개방된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 예시도이며, 도 6b는 커넥터 삽입공들이 폐쇄된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 예시도이다.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림부(23)의 걸림돌부(2311)가 가동막대(24a), (24b)들의 걸림돌부 삽입홈(242)들로 각각 삽입될 때, 가동막대(24a), (24b)들은 커넥터 삽입공(2132), (222)들로부터 외측으로 이동됨과 동시에 가동막대(24a), (24b)들에 연결된 가림판(25a), (25b)들도 함께 외측으로 이동된다.
이로 인해 가림판(25a), (25b)들은 커넥터 삽입공(2132), (222)들로부터 이격되어 커넥터 삽입공(2132), (222)들이 개방됨으로써 작업자들은 커넥터를 연결포트(51)에 연결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방수단에 의해 걸림부(23)가 회전되어 걸림돌부(2311)가 가동막대(24a), (24b)들의 걸림돌부 삽입홈(242)들로부터 이탈될 경우에는 가동막대(24a), (24b)들은 스프링(26)들의 탄성력에 의해 내측으로 이동되며, 가림판(25a), (25b)들도 함께 내측으로 이동된다.
이때 1)연결포트(51)와 접속대상의 커넥터가 접속되지 않은 상태일 때, 가림판(25a), (25b)들은 서로 접촉되게 되고, 2)연결포트(51)와 접속대상의 커넥터가 접속된 상태일 때, 가림판(25a), (25b)들은 스프링(26)들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커넥터를 가압해 줌으로써 커넥터 및 연결포트의 접속이 견고하게 이루어지도록 하여 종래에 외부의 진동 또는 충격 등으로 인해 커넥터 및 연결포트의 접속불량이 발생하는 문제점을 획기적으로 해결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커버부(2)는 특정한 형상의 개방수단에 의해서만 커넥터 삽입공(2132), (222)들을 개방시킬 수 있기 때문에 보안성이 강화된다.
또한 커버부(2)는 연결포트(51)와 연결된 커넥터를 스프링(26)들의 탄성력에 의해 가압해 줌으로써 외부의 충격 또는 진동 등에 의해 커넥터와 연결포트(51) 사이에 접속불량이 발생하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7은 도 3의 잠금부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8은 도 7의 잠금부의 동작 과정을 설명하는 예시도이다.
잠금부(3)는 잠금부 몸체(31)와, 잠금부 몸체(31)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가동부(32)와, 가동부(32)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키홈(3311)이 형성된 회전부(33)와, 잠금부 몸체(31)와 가동부(32)를 연결하는 탄성부재(34)로 이루어진다.
잠금부 몸체(31)는 베이스 플레이트(311)와, 베이스 플레이트(311)로부터 상향 돌출 형성되며 서로 이격되게 설치되는 한 쌍의 이동제한부(312)들과, 이동제한부(312)들 사이에 형성되는 가이드 블록(313)으로 이루어진다.
베이스 플레이트(311)는 사각 판재 형상으로 형성되며, HMI 장치(5)와 볼트 체결에 의해 결합된다.
이동제한부(312)들은 판재로 형성되어 각각 베이스 플레이트(311)로부터 상향 돌출 형성되며, 가동부(32)의 전후단부들과 접촉되어 가동부(32)의 길이방향 이동범위를 제한한다.
가이드 블록(313)은 이동제한부(312)들 사이에 설치되며 양측으로 가이드 레일(3131)이 형성됨으로써 가동부(32)가 가이드 레일(3131)들을 따라서 길이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된다.
또한 가이드 블록(313)의 상면에는 걸림돌부(3132)가 상향 돌출 형성된다.
이때 걸림돌부(3132)는 사각기둥 형상으로 형성되며, 각 측면들의 연접부(모서리)가 라운드지게 형성된다.
가동부(32)는 가동몸체(321)와, 가동몸체(321)의 하부에 돌출 형성되는 가이드 돌기(322)들과, 가동몸체(321)의 일측면에 돌출 형성되어 상부커버(21)의 전단부와 절곡부(212) 사이로 삽입되는 잠금돌기(323)로 이루어진다.
가동몸체(321)는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면에는 하면까지 관통 형성되어 회전부(33)가 삽입되는 회전부 삽입공(3211)이 형성된다. 이때 회전부 삽입공(3211)으로는 회전부(33)가 삽입되게 된다.
또한 가동몸체(321)의 하면에는 호 형상의 돌부 삽입홈(3212)이 형성된다.
이때 돌부 삽입홈(3212)은 회전부 삽입공(3211)의 외주면으로부터 연장 형성된다.
또한 돌부 삽입홈(3212)으로는 후술되는 회전부(33)의 외주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되는 돌부(3312)가 삽입되며, 돌부(3312)의 이동범위를 제한함으로써 회전부(33)의 회전각을 제한한다.
또한 가동몸체(321)의 돌부 삽입홈(3212)을 형성하는 내측벽에는 내측벽으로부터 걸림턱(3213)들이 돌출 형성된다. 이때 걸림턱(3213)들은 돌부 삽입홈(3212)의 양단부로부터 소정 이격된 위치에 형성된다.
또한 가동부(32)는 하부에 돌출 형성되는 가이드 돌기(322)들이 가이드 레일(3131)에 삽입되어 가이드 레일(3131)을 따라 이동된다.
회전부(33)는 회전몸체(331)와, 회전몸체(331)의 하부에 돌출 형성되는 한 쌍의 돌출부(332)들로 이루어진다.
회전몸체(331)는 원통형상의 형상으로 형성되되, 상면에 개방수단이 삽입되는 키홈(3311)이 형성된다.
또한 회전몸체(331)의 외주면에는 가동몸체(321)의 돌부 삽입홈(3212)으로 삽입되는 돌부(3312)가 형성된다.
또한 회전몸체(331)의 하부면에는 한 쌍의 돌출부(332)들이 하향 돌출 형성된다.
이때 돌출부(332)들은 회전몸체(331)의 중심을 기준으로 서로 일정거리만큼 이격되게 형성되며, 이격거리가 걸림돌부(3132)의 폭과 같거나 길게 형성된다.
이러한 돌출부(332)들은 조립 시, 이들 사이의 공간으로 전술하였던 잠금부 몸체(31)의 걸림돌부(3132)가 삽입되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회전부(33)는 가동부(32)와 결합될 때, 회전몸체(331)가 가동몸체(321)의 회전부 삽입공(3211)으로 삽입되며, 회전몸체(331)의 돌부(3312)가 가동몸체(321)의 돌부 삽입홈(3212)으로 삽입되게 된다.
이때 돌부(3312)는 돌부 삽입홈(3212)을 따라 호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나, 이동 중 걸림턱(3213)을 통과할 때에는 일정 크기 이상의 회전력이 발생되어야만 통과하게 된다. 즉 돌부(3312)는 돌부 삽입홈(3212)의 단부에 배치될 때, 일정 크기 이상의 회전력이 가해져야만 걸림턱(3213)을 통과하여 돌부 삽입홈(3212)을 따라 회전하게 된다.
다시 말하면, 작업자는 회전부(33)를 회전할 때, 키홈(3311)에 개방수단을 삽입한 상태에서 일정 크기 이상의 회전력을 가해야만 돌부(3312)가 걸림턱(3213)을 통과하게된다.
이를 통해 회전부(33)는 외부 진동 또는 충격에 의해 회전되는 것이 방지되며, 개방수단에 의해서만 회전되도록 한다.
탄성부재(34)는 잠금부 몸체(31)와 가동부(32)를 연결하며, 개방수단을 통해 회전부(33)를 회전시켜 잠금부(3)를 개방시키게 되면, 가동부(32)를 이동시켜 커버부(2)가 자동으로 개방되도록 한다.
이러한 잠금부(3)는 작업자가 키홈(3311)에 개방수단을 삽입하여 회전시키게 되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부(33)가 회전된다.
돌부(3312)는 돌부 삽입홈(3212) 내에서 회전되며, 돌부 삽입홈(3212)에는 단부와 인접한 부근에 걸림턱(3213)들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돌부(3312)가 돌부 삽입홈(3212)의 단부에 위치하게 되면 걸림턱(3213)에 의해 고정되어 외부의 진동 및 충격 등에 의해 회전되는 것이 제한된다.
또한 가동부(32)는 돌출부(332)들이 걸림돌부(3132)의 전후방에 위치하게 될 경우에는 돌출부(332)들이 걸림돌부(3132)들과 접촉되어 길이방향 이동이 제한된다.
또한 가동부(32)는 회전부(33)가 개방수단에 의해 회전되어 돌출부(332)들이 가동부(32)의 이동방향의 수직 선상에 위치하게 될 경우에는 길이방향 이동이 제한되지 않게 된다.
즉 가동부(32)는 회전부(33)의 돌출부(332)들이 걸림돌부(3132)의 전후방에 위치하게 될 경우에는 커버부(2)의 절곡부(212)에 잠금돌기(323)가 삽입된 상태로 길이방향 이동이 제한됨으로써 커버부(2)가 잠금상태로 유지되며, 개방수단을 통해 회전부(33)를 회전시켜 돌출부(332)들이 걸림돌부(3132)의 측면에 위치하게 되면 길이방향 이동이 가능해짐으로써 상부커버(21)의 전단부와 절곡부(212) 사이에 삽입된 잠금돌기(323)를 외부로 이동시켜 커버부(2)의 개방이 가능하게 된다.
도 9a는 잠금부가 잠금상태인 상태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며, 도 9b는 잠금부가 개방상태인 상태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잠금부(3)는 도 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잠금상태일 경우에는 돌출부(332)들이 걸림돌부(3132)의 전후방에 위치하여 가동부(32)의 이동이 제한된다.
이때 잠금돌기(323)는 상부커버(21)의 전단부와 절곡부(212) 사이로 삽입된 상태에서 이동이 제한되기 때문에 커버부(2)의 개방이 제한된다.
또한 잠금부(3)는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출부(332)들이 가동부(32)의 이동방향의 수직 선상에 위치하게 될 경우에는 걸림돌부(3132)이 돌출부(332)와 접촉되지 않기 때문에 가동부(32)의 이동이 제한되지 않게 된다.
이때 가동부(32)는 잠금돌기(323)가 상부커버(21)의 전단부와 절곡부(212)의 외부로 이동되어 커버부(2)가 개방 가능한 상태가 된다.
1 : 잠금기능이 구비된 연결포트 커버 2 : 커버부
3 : 잠금부 5 : HMI 장치
21 : 상부커버 22 : 하부커버
23 : 걸림부 24a, 24b : 가동막대
25a, 25b : 가림판 26 : 스프링
27 : 연결부 28 : 힌지축
31 : 잠금부 몸체 32 : 가동부
33 : 회전부 34 : 탄성부재

Claims (6)

  1.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연결포트가 설치되는 전자장비에 일단부가 힌지 결합되며 폐쇄 시 상기 연결포트의 외부 노출을 차단시키는 커버부와, 상기 커버부가 폐쇄될 때, 상기 커버부의 폐쇄상태를 잠금하는 잠금부를 포함하는 연결포트 커버에 있어서:
    상기 잠금부는
    상기 전자장비에 결합되는 잠금부 몸체;
    상기 잠금부 몸체에 수평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커버부를 향하는 방향을 후방이라고 할 때, 후방 이동 시, 후단부가 상기 커버부의 회동반경 내에 배치되되, 전방 이동 시 후단부가 상기 커버부의 회동반경 외측에 배치되는 가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포트 커버.
  2. 청구항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포트 커버는 회전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회전부는
    상기 가동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면에 개방수단이 삽입될 수 있는 키홈이 형성되고,
    상기 가동부는 상기 회전부의 회전각도에 따라서 이동이 제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포트 커버.
  3. 청구항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부 몸체는
    판재 형상의 베이스 플레이트;
    판재로 형성되어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로부터 상향 돌출 형성되어 서로 이격되게 설치되는 이동제한부들;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면의 상기 이동제한부들 사이에 설치되며, 상면에 기둥 형상의 걸림돌부가 돌출 형성되는 가이드 블록을 포함하고,
    상기 가동부는
    상하부면에 양면을 관통하여 상기 회전부가 삽입되는 회전부 삽입공이 형성되는 함체로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 블록의 상부에 전후방 수평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가동몸체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부는
    상면에 상기 키홈이 형성되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가동몸체의 상기 회전부 삽입공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몸체;
    상기 회전몸체의 하면에 돌출되며, 상기 회전몸체가 상기 가동몸체의 상기 회전부 삽입공으로 삽입될 때, 상기 가동몸체로부터 하향 돌출되어 상기 가이드블록의 상기 걸림돌부를 중심으로 대향되게 배치되는 돌출부들을 포함하고,
    상기 가동몸체는
    상기 돌출부들과 상기 걸림돌부가 상기 가동몸체의 이동방향과 평행하게 배치될 경우에는 상기 돌출부들이 상기 걸림돌부에 의해 지지되어 이동이 제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포트 커버.
  4. 청구항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는
    하면에 안착홈이 형성되며, 상기 안착홈이 형성되는 바닥면의 중앙에 걸림부 삽입공이 형성되며, 상기 걸림부 삽입공을 기준으로 전후방에 커넥터 삽입공들이 형성되며, 상기 커넥터 삽입공들 각각을 기준으로 폭 방향으로 가이드 홈들이 대향되게 형성되는 상부커버;
    사각 판재형상으로 형성되어 상부면이 상기 상부커버의 하부면과 결합되며, 상기 상부커버의 상기 커넥터 삽입공들과 대응되는 위치에 커넥터 삽입공들이 형성되는 하부커버;
    원통형상으로 형성되는 걸림부 몸체와, 상기 걸림부 몸체의 대향되는 외주면에 돌출 형성되는 걸림돌부들과, 상기 걸림부 몸체의 상면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상부커버의 상기 걸림부 삽입공으로 삽입되며 상면에 개방수단이 삽입될 수 있는 키홈이 형성되는 상부커버 삽입부를 포함하는 걸림부;
    막대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상부커버의 상기 안착홈의 내부에서 폭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게 설치되며, 상면에 가이드 돌부들이 돌출 형성됨으로써 상기 가이드 돌부들이 상기 상부커버의 상기 가이드 홈들로 각각 삽입되어 폭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서로를 향하는 내측면에 스프링들이 길이 방향으로 이격되게 설치되는 가동막대들;
    막대 형상으로 형성되며, 일측면에 상기 스프링들 각각의 단부에 결합되는 가림판들;
    일단부가 상기 가동막대들의 외측면에 결합되되, 타단부가 상기 상부커버의 상기 안착홈을 형성하는 내측벽에 결합되는 외측스프링들을 포함하고,
    상기 가림판들은 조립 시, 직상부에 상기 상부커버의 상기 커넥터 삽입공이 배치되고, 직하부에 상기 하부커버의 상기 커넥터 삽입공이 배치되고,
    상기 가림판들 중 폭 방향으로 대향되는 가림판들은
    평시에는 상기 외측스프링들에 의해 가압되어 서로 접촉됨에 따라 대응되는 커넥터 삽입공들을 밀폐시키되, 상기 걸림부가 회전되어 상기 걸림돌부가 상기 가동막대들과 접촉될 때, 상기 가동막대들과 함께 폭 방향에서 외측으로 이동되어 대응되는 커넥터 삽입공을 개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포트 커버.
  5. 청구항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커버의 상면에는 상기 상부커버의 걸림부 삽입공 및 가이드홈들에 대응되는 위치에 동일한 형상의 걸림부 삽입공 및 가이드홈들이 형성되고,
    상기 걸림부는 상기 걸림부 몸체의 하면에 돌출되어 상기 하부커버의 상기 걸림부 삽입공으로 삽입되는 하부커버 삽입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가동막대들은 하면에 상기 하부커버의 상기 가이드홈들로 삽입되는 돌출부들이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포트 커버.
  6. 청구항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커버는 전단부와 인접한 위치의 하면에 하면으로부터 하향 돌출되되 전방으로 절곡되는 절곡부가 형성되고,
    상기 가동몸체의 후면에는 상기 상부커버의 전단부 및 상기 절곡부 사이로 삽입되는 잠금돌기가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포트 커버.
KR1020190134297A 2019-10-28 2019-10-28 보안성을 높인 연결포트 커버 KR1022628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4297A KR102262811B1 (ko) 2019-10-28 2019-10-28 보안성을 높인 연결포트 커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4297A KR102262811B1 (ko) 2019-10-28 2019-10-28 보안성을 높인 연결포트 커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50108A true KR20210050108A (ko) 2021-05-07
KR102262811B1 KR102262811B1 (ko) 2021-06-09

Family

ID=759166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34297A KR102262811B1 (ko) 2019-10-28 2019-10-28 보안성을 높인 연결포트 커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62811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14425B1 (ko) * 2015-09-04 2017-03-09 (주) 투씨에스지 Usb 보안장치
KR101865165B1 (ko) * 2017-07-27 2018-06-07 (주)아이테오솔루션즈 잠금 기능을 가지는 보안 usb 허브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14425B1 (ko) * 2015-09-04 2017-03-09 (주) 투씨에스지 Usb 보안장치
KR101865165B1 (ko) * 2017-07-27 2018-06-07 (주)아이테오솔루션즈 잠금 기능을 가지는 보안 usb 허브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62811B1 (ko) 2021-06-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E102007001489B4 (de) Stecker
DE10336082A1 (de) Verschlossener Verbinder
DE102007018389A1 (de) Steckverbinder
TWI635673B (zh) 連接器及連接器組合體
US10290960B2 (en) Terminal detachable device
KR20110044039A (ko) 도어 힌지 어셈블리
DE10146828A1 (de) Zuhaltesystem eines Sicherheitsschalters mit einem Lesekopf und einem Betätiger
EP3961161B1 (de) Sensorgehäuse
DE112012002772T5 (de) Hebelartiger Steckverbinder
KR20210050108A (ko) 보안성을 높인 연결포트 커버
JP2020513670A (ja) コンタクトデバイスおよびコンタクトシステム
KR102186573B1 (ko) 방수 및 방진 구조를 갖는 연결포트 커버
KR102469070B1 (ko) 리모트 입출력장치용 슬레이브 모듈
KR102296551B1 (ko) 게이트웨이
JP5244055B2 (ja) 遊技機用の制御基板収納ケース
KR102261831B1 (ko) 통합형 함체
KR102248539B1 (ko) 밀봉성을 높인 커넥터부 및 이를 구비한 hmi 장치
KR102265792B1 (ko) 잠금기능을 갖는 연결포트 커버
KR102273067B1 (ko) Lcd 흑화 방지를 위한 hmi 장치
JP3486819B2 (ja) 安全スイッチ
EP0707293B1 (de) Gehäuse für eine Überwachungseinrichtung
DE112014003028B4 (de) Verbinder
KR102291956B1 (ko) 콘센트의 안전 소켓 모듈
KR100761999B1 (ko) 디지털 도어록용 캐쳐 하우징
JP3184346B2 (ja) 安全用スイッチ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