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48539B1 - 밀봉성을 높인 커넥터부 및 이를 구비한 hmi 장치 - Google Patents
밀봉성을 높인 커넥터부 및 이를 구비한 hmi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248539B1 KR102248539B1 KR1020200023326A KR20200023326A KR102248539B1 KR 102248539 B1 KR102248539 B1 KR 102248539B1 KR 1020200023326 A KR1020200023326 A KR 1020200023326A KR 20200023326 A KR20200023326 A KR 20200023326A KR 102248539 B1 KR102248539 B1 KR 10224853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ver
- locking
- connector
- hole
- movabl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2—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es
- H01R13/5202—Sealing means between parts of housing or between housing part and a wall, e.g. sealing ring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33—Bases, cases made for use in extreme conditions, e.g. high temperature, radiation, vibration, corrosive environment, pressure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1—Bolt, set screw or screw clamp
Landscapes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우징의 전면에 커넥터부가 설치되어 외부 이동식 메모리장치의 플러그의 접속 및 해제 과정이 간단하고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며, 커넥터부가 설치되는 설치공이 차폐플레이트에 의해 밀폐되도록 구성됨으로써 설치대상인 특수 공작기계의 내부 기체가 설치공을 통해 외부로 유출되는 현상을 철저하게 차단시켜 특수 공작기계의 내압 저하를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고, 커넥터부 및 제어보드를 연결하는 케이블을 FFC 케이블로 대체함과 동시에 차폐플레이트에 FFC 케이블이 관통되는 실링공을 형성하되, 실링공으로 FFC 케이블이 관통되면 이들 사이의 틈을 실리콘 등의 충진재에 의해 충진되도록 구성됨으로써 커넥터부를 통한 특수 공작기계의 기체가 외부로 유출되는 현상을 더욱 철저하게 방지할 수 있으며, 덮개부가 외부 이동식 메모리장치의 플러그가 삽입될 때, 삽입된 플러그를 가압시켜 접속이 견고하게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작업현장 특성상, 외부 진동 및 흔들림이 발생하더라도 이동식 메모리장치의 접속이 견고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밀봉성을 높인 커넥터부 및 이를 구비한 HMI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밀봉성을 높인 커넥터부 및 이를 구비한 HMI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로는 외부 메모리장치가 접속되는 커넥터를 디스플레이부의 전면에 구비함과 동시에 간단한 구조 변경 및 충진 처리를 이용하여 특수 공작기계의 기체 유출이 철저히 차단되도록 구성됨으로써 내부 기체유출로 인한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공정의 정밀도 저하문제를 방지할 수 있는 커넥터부 및 이를 구비한 HMI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기계의 자동화와 함께 각종 산업분야에서는 생산라인 또는 기계장치들의 입출력, 연산 및 전원 등을 제어하는 PLC(Programer logic controller) 장치가 상용화되어 사용되고 있으며, PLC 장치의 개발과 더불어 PLC 장치의 디지털 데이터들을 인간이 인식할 수 있는 데이터로 변환, 바람직하게는 터치스크린 패널과 같은 디스플레이 장치에 데이터들을 전시하는 HMI(Human machine interface)에 대한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HMI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특정 기기에 대한 동작 명령을 요청함과 동시에 해당 기기로부터 요청된 데이터 값에 대응하는 응답데이터를 전송받아 이를 전시함으로써 각종 산업분야의 산업기기들을 용이하게 모니터링 함과 동시에 제어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이러한 HMI 장치는 일반적으로 수집된 데이터의 가공 및 활용도가 높아 USB 등의 이동식 메모리장치들이 접속되는 경우가 수시로 이루어지는 특성을 갖고, 이에 따라 HMI 장치의 전면에 커넥터부를 구비하여 이동식 메모리장치의 접근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고 있다.
한편, 산업현장에는 폭발성 가스를 사용하여 공정을 수행하는 등과 같이 안전상의 이유로 내부 압력을 유지해야 하는 공작기계(이하 특수 공작기계라고 함)가 다양하게 사용되고 있고, 이러한 특수 공작기계는 내압이 유지되지 못하는 경우, 공정의 정밀성이 떨어지거나 또는 폭발 등의 사고를 유발할 수 있기 때문에 내압을 유지하기 위한 기술 및 방안이 필수적으로 구비되고 있다.
이에 따라 HMI 장치가 특수 공작기계에 설치되는 경우, 커넥터부가 커버에 의해 개폐되도록 구성되고 있으나, 커버 개방 시, 커넥터부의 내부 틈을 통해 특수 공장기계 내부의 공기가 외부로 유출되어 공정의 정밀도가 떨어질 뿐만 아니라 안전사고의 위험이 증가하는 단점을 갖는다.
국내공개특허 특1999-0050990호에는 모니터의 전면에 USB 허브를 설치하여 접근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는 유에스비 허브가 구비된 모니터가 기재되어 있으나, 상기 모니터와 같이 HMI 장치의 전면에 유에스비 허브를 구비한 후, 해당 HMI 장치를 특수 공작기계에 설치하는 경우, 유에스비 허브의 내부 공간 및 틈을 통해 특수 공작기계의 내부 기체가 외부로 유출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즉 1)HMI 장치의 전면에 커넥터부를 구비하되, 2)커넥터부를 철저하게 밀폐시켜 특수 공작기계의 내부 공간의 외부 유출을 차단하여 특수 공작기계의 내압성을 저하시키지 않는 HMI 장치에 대한 연구가 시급한 실정이다.
한편, HMI는 적용대상인 공작기계의 공정 특성 상, 진동, 흔들림 및 충격 등이 빈번하게 발생하는 특성을 가지나, 상기 모니터는 이러한 HMI의 특성을 전혀 감안하지 않은 것이기 때문에 유에스비 허브에 외부 이동식 메모리장치가 접속된다고 하더라도, 충격 및 진동으로 인해 유에스비 허브 및 이동식 메모리장치의 접속이 해제되는 현상이 비일비재하게 발생하게 된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해결과제는 하우징의 전면에 커넥터부가 설치되어 외부 이동식 메모리장치의 플러그의 접속 및 해제 과정이 간단하고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밀봉성을 높인 커넥터부 및 이를 구비한 HMI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해결과제는 커넥터부가 설치되는 설치공이 차폐플레이트에 의해 밀폐되도록 구성됨으로써 설치대상인 특수 공작기계의 내부 기체가 설치공을 통해 외부로 유출되는 현상을 철저하게 차단시켜 특수 공작기계의 내압 저하를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밀봉성을 높인 커넥터부 및 이를 구비한 HMI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해결과제는 커넥터부 및 제어보드를 연결하는 케이블을 FFC 케이블로 대체함과 동시에 차폐플레이트에 FFC 케이블이 관통되는 실링공을 형성하되, 실링공으로 FFC 케이블이 관통되면 이들 사이의 틈을 실리콘 등의 충진재에 의해 충진되도록 구성됨으로써 커넥터부를 통한 특수 공작기계의 기체가 외부로 유출되는 현상을 더욱 철저하게 방지할 수 있는 밀봉성을 높인 커넥터부 및 이를 구비한 HMI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해결과제는 덮개부로 외부 이동식 메모리장치의 플러그가 삽입될 때, 덮개부가 삽입된 플러그를 가압시켜 접속이 견고하게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작업현장 특성 상, 외부 진동 및 흔들림이 발생하더라도 이동식 메모리장치의 접속이 견고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밀봉성을 높인 커넥터부 및 이를 구비한 HMI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해결수단은 디스플레이 패널과, 전면에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이 설치되는 판재로 형성되며 전면에 내측으로 형성되어 후면까지 연장되는 설치공이 형성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설치공에 설치되는 커넥터부를 포함하고, 기 설정된 공정을 수행하는 공작기계에 설치되는 HMI 장치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부는 상기 설치공의 내부에 결합되는 PCB기판; 외부 메모리장치의 플러그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접속단자가 전방을 향하도록 상기 PCB기판에 설치되는 커넥터; 상기 PCB기판에 전기적으로 접속도록 설치되며, 단부가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을 제어하는 제어보드와 연결되는 케이블; 상기 케이블이 관통되는 실링공을 갖는 판재로 형성되며, 상기 설치공의 후방 개구부를 밀폐시키는 차폐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실링공으로 삽입된 케이블과 상기 실링공의 내측면들 사이의 공간에는 충진재에 의해 충진되고, 상기 하우징의 상기 설치공을 형성하는 내측면들에는 격벽이 형성되고, 상기 격벽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커넥터 삽입공이 형성되고, 후단부와 인접한 상기 설치공의 내측면들에는 걸림턱이 내측으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PCB기판은 상기 격벽의 후면에 결합되고, 상기 커넥터는 상기 접속단자가 상기 커넥터 삽입공을 통과하여 외부로 노출되고, 상기 차폐플레이트는 상기 걸림턱에 안착되는 것이다.
삭제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케이블은 FFC 케이블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하우징의 상기 격벽의 후면에는 고정체들이 높이 방향으로 대향되게 설치되고, 상기 고정체들의 서로를 향하는 대향면들에는 내측으로 형성되되 후면까지 연장되는 슬라이딩 홈들이 각각 형성되며, 상기 고정체들의 후면에는 볼트홈들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PCB기판은 양측부가 상기 고정체들의 슬라이딩 홈들로 각각 삽입되고, 상기 차폐플레이트의 내부에는 볼트공들이 대향되게 형성되고, 상기 차폐플레이트는 상기 걸림턱에 안착될 때, 전면이 상기 고정체의 후면에 대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커넥터부는 덮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덮개부는 상기 격벽의 전면에 힌지 결합되는 커버부; 상기 커버부가 폐쇄될 때 상기 커버부의 폐쇄상태를 잠금하는 잠금부를 포함하고, 상기 잠금부는 상기 격벽의 전면에 결합되는 잠금부 몸체; 상기 잠금부 몸체에 수평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커버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이동 시, 일단부가 상기 커버부의 회동반경 내에 배치되되, 대향되는 방향으로 이동 시, 일단부가 상기 커버부의 회동반경을 벗어나는 위치에 배치되는 가동부; 일면에 개방수단이 삽입되는 키홈을 갖는 원판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가동부의 전면에 상기 키홈이 노출되도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부를 포함하고, 상기 가동부는 상기 회전부의 회전각도에 따라서 이동이 제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커버부는 조립체; 일면에 상기 조립체가 설치되는 안착홈이 형성되는 판재로 형성되는 제1 커버; 상기 제1 커버의 안착홈을 덮듯이 설치되는 제2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커버의 상기 안착홈의 바닥면의 중앙에는 걸림부 삽입공이 형성되고, 상기 걸림부 삽입공을 기준으로 양측의 바닥면에는 커넥터 삽입공들이 대향되게 형성되고, 상기 커넥터 삽입공들 각각을 기준으로 폭 방향으로 가이드 홈들이 대향되게 형성되고, 상기 제2 커버의 상기 제1 커버를 향하는 전면에는 상기 바닥면의 걸림부 삽입공, 커넥터 삽입공들 및 가이드 홈들의 위치 및 형상에 대응되는 걸림부 삽입공, 커넥터 삽입공들 및 가이드 홈들이 형성되고, 상기 조립체는 원판형상으로 형성되되, 외주면에 외측으로 돌출되는 걸림돌부들이 대향되게 형성되는 걸림부 몸체와, 원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걸림부 몸체의 상면에 설치되며 상면에 키홈이 형성되는 제1 커버 삽입부와, 원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걸림부 몸체의 하면에 설치되는 제2 커버 삽입부를 포함하고, 조립 시, 상기 제1 커버 삽입부가 상기 제1 커버의 걸림부 삽입공으로 삽입되되, 상기 제2 커버 삽입부가 상기 제2 커버의 걸림부 삽입공으로 삽입되어 상기 제1 커버의 상기 바닥면과 상기 제2 커버 사이의 공간을 설치공간이라고 할 때, 상기 설치공간에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걸림부; 막대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1 커버의 상기 설치공간 내 폭 방향으로 대향되게 설치되며, 길이 방향의 중간지점을 중심으로 대향되는 위치의 대향되는 측면들 각각에 가이드 돌부들이 돌출 형성되고, 조립 시, 상기 가이드 돌부들이 상기 제1 커버의 가이드 홈들 및 상기 제2 커버의 가이드 홈들로 각각 삽입되며, 길이 방향의 중간지점의 서로를 향하는 측면들에 곡면 형상의 걸림돌부 삽입홈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 돌부들이 상기 제1 커버의 가이드 홈들 및 상기 제2 커버의 가이드 홈들에 삽입되어 폭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가동막대들; 상기 가동막대들의 상기 가이드 돌부들이 설치되지 않은 측면들에 각각 일단부가 결합되고, 폭방향으로 외측에 배치될 때, 타단부가 상기 제1 커버의 설치홈의 내측벽에 결합되는 스프링들; 막대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스프링들 중 내측에 배치된 스프링들의 타단부에 결합되며, 상기 잠금부의 상기 걸림돌부들이 상기 가동막대들의 걸림돌부 삽임홈으로 이탈된 상태일 때, 상기 스프링들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폭 방향의 내측으로 이동하여 상기 제1 커버의 걸림부 삽입공을 밀폐시키되, 상기 잠금부의 상기 걸림돌부들이 상기 가동막대들의 걸림돌부 삽입홈으로 삽입될 때, 폭 방향의 외측으로 이동하여 상기 제1 커버의 커넥터 삽입공을 개방시키는 가림판들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과제와 해결수단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르면 하우징의 전면에 커넥터부가 설치되어 외부 이동식 메모리장치의 플러그의 접속 및 해제 과정이 간단하고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해결과제는 커넥터부가 설치되는 설치공이 차폐플레이트에 의해 밀폐되도록 구성됨으로써 설치대상인 특수 공작기계의 내부 기체가 설치공을 통해 외부로 유출되는 현상을 철저하게 차단시켜 특수 공작기계의 내압 저하를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해결과제는 커넥터부 및 제어보드를 연결하는 케이블을 FFC 케이블로 대체함과 동시에 차폐플레이트에 FFC 케이블이 관통되는 실링공을 형성하되, 실링공으로 FFC 케이블이 관통되면 이들 사이의 틈을 실리콘 등의 충진재에 의해 충진되도록 구성됨으로써 커넥터부를 통한 특수 공작기계의 기체가 외부로 유출되는 현상을 더욱 철저하게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해결과제는 덮개부가 외부 이동식 메모리장치의 플러그가 삽입될 때, 삽입된 플러그를 가압시켜 접속이 견고하게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작업현장 특성 상, 외부 진동 및 흔들림이 발생하더라도 이동식 메모리장치의 접속이 견고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HMI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을 후방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하우징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A를 확대한 확대도이다.
도 6은 도 4를 후방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의 B를 확대한 확대도이다.
도 8은 도 3의 커넥터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을 후방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9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3의 8의 커넥터부가 하우징의 접속홈 및 결합부에 설치된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2는 도 11을 후방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13은 도 10의 덮개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4는 도 13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15는 도 14의 걸림부의 사시도이다.
도 16의 (a)는 도 14의 커넥터 삽입공들이 개방된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 예시도이며, (b)는 도 14의 커넥터 삽입공들이 폐쇄된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 예시도이다.
도 17은 도 13의 잠금부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18은 도 17의 잠금부의 동작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19의 (a)는 잠금부가 잠금상태인 상태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며, 도 19의 (b)는 잠금부가 개방상태인 상태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2는 도 1을 후방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하우징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A를 확대한 확대도이다.
도 6은 도 4를 후방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의 B를 확대한 확대도이다.
도 8은 도 3의 커넥터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을 후방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9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3의 8의 커넥터부가 하우징의 접속홈 및 결합부에 설치된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2는 도 11을 후방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13은 도 10의 덮개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4는 도 13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15는 도 14의 걸림부의 사시도이다.
도 16의 (a)는 도 14의 커넥터 삽입공들이 개방된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 예시도이며, (b)는 도 14의 커넥터 삽입공들이 폐쇄된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 예시도이다.
도 17은 도 13의 잠금부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18은 도 17의 잠금부의 동작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19의 (a)는 잠금부가 잠금상태인 상태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며, 도 19의 (b)는 잠금부가 개방상태인 상태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HMI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을 후방에서 바라본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분해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HMI 장치(100)는 하우징(103)과, 디스플레이 패널(105), 전방커버(107), 후방커버(109), 커넥터부(10)로 이루어진다.
디스플레이 패널(105)은 사용자의 요청에 따른 응답데이터를 기 설정된 UI, 그래픽, 그래프 등을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하는 전시수단이다.
또한 디스플레이 패널(105)은 후술되는 도 4와 5의 하우징(103)의 전면(131)의 설치홈(1311)에 안착되어 볼트 결합된다.
전방커버(107)는 중앙에 개구부(171)를 갖는 판재로 형성되며, 중앙 개구부(171)로 디스플레이 패널(105)이 노출되도록 하우징(103)의 전면에 볼트 결합된다.
후방커버(109)는 판재로 형성되어 하우징(103)의 후면과 볼트 결합되어 하우징(103)의 후방개구부를 밀폐시킨다.
도 4는 도 3의 하우징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A를 확대한 확대도이고, 도 6은 도 4를 후방에서 바라본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의 B를 확대한 확대도이다.
하우징(103)은 도 4 내지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 판재 형상으로 형성되되, 전면(131)에 내측으로 설치홈(1311)이 형성된다. 이때 설치홈(1311)으로는 디스플레이 패널(105)이 설치되고, 전면(131)에는 전방커버(107)가 볼트 체결을 통해 결합된다.
또한 하우징(103)의 설치홈(1311)의 바닥면(1312)에는 제어보드(110)가 설치되는 제어보드 설치부(1313)가 형성된다. 이때 제어보드 설치부(1313)로 제어보드(110)가 결합되면, 제어보드(110) 및 커넥터부(10)는 FFC 케이블(13)로 연결되어 FFC 케이블(13)을 통해 데이터를 입출력하게 된다.
또한 하우징(103)의 설치홈(1311)을 형성하는 외벽(이하 설치홈 외측벽이라고 함)(1314)은 하우징(103)의 내측벽(135)으로부터 이격되게 형성되어 하우징(103)의 설치홈 외측벽(1314)과 하우징(103)의 내측벽(135) 사이에는 공간(S)이 형성된다.
또한 하우징(103)의 전면(131)에는 내측으로 사각형상의 접속홈(132)이 형성되고, 접속홈(132)으로는 결합부(133)가 설치된다. 이때 결합부(133) 및 접속홈(132)에는 후술되는 도 8 내지 10의 커넥터부(10)가 설치된다.
결합부(133)는 상하부가 개구된 사각형 판재로 형성된다. 이때 결합부(133)는 접속홈(132)과 동일한 면적 및 구조로 형성되며, 사출 성형을 통해 하우징(103)과 일체형으로 제작된다.
또한 결합부(133)는 선단부가 하우징(103)의 전면(131)과 연결되되, 후단부가 설치홈(1311)의 바닥면의 외면보다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또한 결합부(133)의 내부에는 하우징(103)의 전면(131)에 평행하게 격벽(1331)이 설치됨으로써 결합부(133)의 내부 공간이 격벽(1331)에 의해 분리되게 된다. 이때 격벽(1331)에는 이동식 메모리장치의 플러그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후술되는 도 8 내지 10의 커넥터(14)들이 삽입되는 커넥터 삽입공(13311)들이 간격을 두고 형성된다.
또한 결합부(133)의 격벽(1331)의 후면에는 고정체(1332)들이 높이 방향으로 대향되게 형성된다. 이때 고정체(1332)들의 서로를 향하는 대향면에는 내측으로 형성되어 후면까지 연장되는 슬라이딩 홈(13321)들이 각각 형성되고, 슬라이딩 홈(13321)들로는 후술되는 도 8 내지 10의 커넥터부(10)의 PCB기판(11)의 양측부가 각각 삽입되게 된다.
또한 고정체(1332)들의 후면에는 볼트홈(13322)들이 각각 형성되고, 이러한 볼트홈(13322)들로는 도 8 내지 10의 차폐플레이트(12)를 결합시키기 위한 볼트들이 삽입되어 체결된다.
또한 결합부(133)는 후단부와 인접한 내측면들에 걸림턱(1336)이 형성된다. 이때 걸림턱(1336)으로는 차폐플레이트(12)가 안착되게 된다.
도 8은 도 3의 커넥터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9는 도 8을 후방에서 바라본 사시도이고, 도 10은 도 9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11은 도 3의 8의 커넥터부가 하우징의 접속홈 및 결합부에 설치된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2는 도 11을 후방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8 내지 1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커넥터부(10)를 살펴보면, 커넥터부(10)는 덮개부(1)와, PCB기판(11), FFC 케이블(13), 커넥터(14)들, 차폐플레이트(12)로 이루어진다.
PCB기판(11)은 회로가 인쇄된 통상의 기판이며, 양측부가 전술하였던 도 7의 결합부(133)의 고정체(1332)들의 슬라이딩 홈(13321)들로 각각 삽입된다. 이때 PCB기판(11)의 선단부는 결합부(133)의 격벽(1331)의 후면에 접촉되게 된다.
또한 PCB기판(11)에는 FFC 케이블(13)이 전기적으로 접속되도록 설치된다. 이때 FFC 케이블(13)은 일단부가 PCB기판(11)에 연결되되, 타단부가 차폐플레이트(12)의 실링공(121)을 통과하여 제어보드(110)와 연결됨으로써 제어보드(110) 및 PCB기판(11)의 데이터 입출력 경로를 제공한다.
또한 PCB기판(11)에는 커넥터(14)들이 전기적으로 접속되도록 설치된다. 이때 외부 이동식 메모리장치의 플러그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커넥터(14)의 단자를 접속단자라고 할 때, 커넥터(14)들은 접속단자가 전방을 향하도록 PCB기판(11)에 설치되고, 커넥터(14)들은 접속단자가 결합부(133)의 격벽(1331)의 커넥터 삽입공(13311)들로 각각 삽입되어 격벽(1331)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게 된다.
즉 커넥터(14)들은 덮개부(1)가 개방될 때, 격벽(1331)의 커넥터 삽입공(13311)들을 통과하여 외부로 노출되게 되고, 이에 따라 사용자는 덮개부(1)를 개방시킨 상태로 이동식 메모리장치의 플러그를 커넥터(14)의 접속단자와 접속시켜 원하는 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차폐플레이트(12)는 사각형 판재로 형성되며, 내부에 볼트공(122)들이 높이 방향으로 대향되게 형성된다.
또한 차폐플레이트(12)는 조립 시, FFC 케이블(13)과 대응되는 위치에 FFC 케이블(13)이 관통되는 실링공(121)이 형성된다. 이때 차폐플레이트(12)의 실링공(121)으로 FFC 케이블(13)이 설치되면, 실링공(121)으로는 실리콘 등의 충진재에 의해 충진됨으로써 실링공(121)을 통한 공기의 유출입을 철저하게 차단시킬 수 있고, 이에 따라 커넥터부(10)의 사용 여부와 상관없이 특수 공작기계의 내압성을 정밀하게 유지시킬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차폐플레이트(12)는 결합부(133)의 걸림턱(1336) 보다 큰 면적으로 형성됨으로써 조립 시, 결합부(133)의 걸림턱(1336)에 안착되게 된다. 이때 차폐플레이트(12)의 볼트공(122)들은 결합부(133)의 고정체(1332)들의 볼트홈(13322)들과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됨에 따라 이들로 볼트(B)가 체결되어 차폐플레이트(12)가 고정체(1332)와 결합하게 된다.
또한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차폐플레이트(12)의 외측 테두리에는 실링체가 설치됨으로써 차폐플레이트(12)에 의해 결합부(133)가 철저하게 밀폐되게 된다.
도 13은 도 10의 덮개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4는 도 13의 분해사시도이다.
덮개부(1)는 도 13과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판(20)에 힌지 결합되는 커버부(2)와, 커버부(2)의 잠금 상태를 락킹시키는 잠금부(3)로 이루어진다.
이때 고정판(20)은 하우징(103)의 결합부(133)의 격벽(1331)의 전면에 결합된다.
커버부(2)는 길이를 갖는 판재 형상으로 형성되며 후면에 안착홈(213)이 형성되는 제1 커버(21)와, 사각 평판 형상으로 형성되며 제1 커버(21)의 하면에 대접되는 제2 커버(22)와, 제1, 2 커버(21), (22)들 사이의 공간에 설치되는 조립체로 구성된다. 이때 조립체는 걸림부(23), 가동막대(24)들, 가림판(25)들 및 스프링(S)들로 이루어진다.
이때 커버부(2)는 제1 커버(21)의 안착홈(213)과 제2 커버(22)에 의해 내부 공간이 형성되고, 이 내부 공간으로는 조립체가 설치된다. 이때 조립체는 걸림부(23), 가동막대(24)들, 가림판(25)들 및 스프링(S)들로 이루어진다.
제1 커버(21)는 사각 평판 형상으로 형성되되, 제2 커버(22)와 대접되는 면인 후면에 안착홈(213)이 형성된다.
또한 제1 커버(21)는 일단부에 힌지부(211)가 형성되어 고정판(20)과 힌지 결합되며, 타단부에는 절곡부(212)가 형성된다.
절곡부(212)는 ‘⊂’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제1 커버(21)의 타단부에 형성됨으로써 개구된 영역으로 후술되는 도 17의 잠금부(3)의 잠금돌기(323)가 삽입되게 된다.
이때 커버부(2)는 절곡부(212)의 개구된 영역으로 잠금돌기(323)가 삽입되면, 잠금돌기(323)에 의해 잠금 상태가 락킹되어 잠금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또한 제1 커버(21)의 안착홈(213)의 바닥면의 중앙에는 제1 커버(21)의 상면까지 연결되는 제1 걸림부 삽입공(2131)이 형성된다.
또한 제1 커버(21)의 안착홈(213)의 바닥면에는 제1 걸림부 삽입공(2131)의 양측에 제1 커넥터 삽입공(2132)들이 대향되게 형성된다. 이때 제1 커넥터 삽입공(2132)들은 커버부(2)가 잠금상태일 때, 커넥터부(10)의 커넥터(14)들 각각의 직전방에 배치된다.
또한 제1 커버(21)의 안착홈(213)의 바닥면에는 각 제1 커넥터 삽입공(2132)을 기준으로 폭 방향으로 제1 가이드홈(2133)들이 대향되게 형성된다.
제2 커버(22)는 판재로 형성되어 제1 커버(21)의 하면에 대접됨으로써 제1 커버(21)의 안착홈(213)은 제2 커버(22)에 의해 밀폐되게 된다.
또한 제2 커버(22)에는 제2 걸림부 삽입공(221), 제2 커넥터 삽입공(222)들 및 제2 가이드홈(223)들이 형성된다.
이때 제2 커버(22)의 제2 걸림부 삽입공(221), 제2 커넥터 삽입공(222)들 및 제2 가이드홈(223)들은 조립 시, 제1 커버(21)의 제1 걸림부 삽입공(2131), 제1 커넥터 삽입공(2132)들 및 제1 가이드홈(2133)들과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게 된다.
이러한 제1, 2 커버(21), (22)들은 조립 시, 안착홈(213)에 의해 내부 공간이 형성되게 되고, 이 안착홈(213)으로는 조립체가 설치된다. 이때 조립체는 걸림부(23), 가동막대(24a), (24b)들, 가림판(25a), (25b)들 및 스프링(26)들로 이루어진다.
도 15는 도 14의 걸림부의 사시도이다.
걸림부(23)는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판재 형상의 걸림부 몸체(231)와, 걸림부 몸체(231)의 상부에 결합되어 제1 커버(21)의 제1 걸림부 삽입공(2131)으로 삽입되는 제1 커버 삽입부(232)와, 걸림부 몸체(231)의 하부에 결합되어 제2 커버(22)의 제2 걸림부 삽입공(221)으로 삽입되는 제2 커버 삽입부(233)로 이루어진다.
걸림부 몸체(231)는 원판 형상으로 형성되되, 대향되는 외주면에 외측으로 돌출되는 한 쌍의 걸림돌부(2311)들이 대향되게 형성된다.
제1 커버 삽입부(232)는 원판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면에 키(Key) 등의 개방수단이 삽입되는 키홈(2321)이 형성된다.
또한 제1 커버 삽입홈(232)은 조립 시, 제1 커버(21)의 제1 걸림부 삽입공(2131)으로 삽입되어 상면의 키홈(2321)이 외부에 노출된다.
제2 커버 삽입부(233)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며, 제2 커버(22)의 걸림부 삽입공(221)으로 삽입된다.
이러한 걸림부(23)는 제1, 2 커버 삽입부(232), (233)들이 제1, 2 커버(21), (22)들의 제1, 2 걸림부 삽입공(2131), (221)들로 각각 삽입 설치됨으로써 제1, 2 커버(21), (22)의 내부 공간인 안착홈(213)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게 된다.
또한 걸림부(23)의 노출된 키홈(2321)으로는 개방수단이 삽입되어 개방수단의 회전에 따라 회전되고, 회전각도에 따라서 걸림돌부(2311)들의 위치가 변화되어 가동막대(24)들과 선택적으로 접촉된다.
제1 가동막대(24a)는 막대 형상으로 형성되며, 커버부(2)의 내부 공간에 설치된다.
또한 제2 커버(22)에서 제1 커버(21)를 향하는 방향을 전방이라고 할 때, 제1 가동막대(24a)는 일단부와 인접한 전후면에 가이드 돌부(241)들이 전후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된다. 이때 제1 가동막대(24a)의 타단부와 인접한 전후면에도 가이드 돌부(241)들이 돌출 형성된다.
이때 가이드 돌부(241)들 중 가동막대(24a)의 전면에 돌출 형성된 한 쌍의 가이드 돌부(241)들은 제1 커버(21)의 제1 가이드홈(2133)들로 각각 삽입되고, 가동막대(24a)의 후면에 돌출 형성된 한 쌍의 가이드 돌부(241)들은 제2 커버(21)의 제2 가이드홈(223)들로 각각 삽입된다.
또한 제1 가동막대(24a)의 가이드 돌부(241)들에는 스프링(26)들이 결합된다. 이때 스프링(26)들 중 폭 방향으로 외측에 배치된 스프링은 타단부가 제1 커버(21)의 안착홈(213)을 형성하는 내측벽에 결합되고, 내측에 배치된 스프링은 타단부가 후술되는 가림판(25a)에 결합된다.
즉 제1 가동막대(24a)는 커버부(2)의 안착홈(213)의 내부에서 폭 방향으로 수평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또한 제1 가동막대(24a), (24b)들은 서로를 향하는 대향면에 걸림부(23)의 걸림돌부(2311)가 삽입되는 곡면 형상의 걸림돌부 삽입홈(242)들이 각각 형성된다.
제2 가동막대(24b)는 제1 가동막대(24a)와 폭 방향으로 대향되게 설치되며, 제1 가동막대(24a)와 동일한 형상 및 구조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가동막대(24a), (24b)들은 걸림돌부 삽입홈(242)으로 걸림돌부(2311)가 삽입되면, 걸림돌부(2311)에 의해 폭 방향의 외측으로 가압되고, 이에 따라 스프링(26)들이 압축되면서 외측으로 이동되어 가동막대(24a), (24b)들의 가림판(25a)들이 대향되는 방향으로 이격되고, 이에 따라 가림판(25a)들에 의해 밀폐된 제1 2 커넥터 삽입공(2132), (222)들이 개방되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걸림부(23)가 회전되면, 가동막대(24a), (24b)들의 걸림돌부 삽입홈(242)으로 삽입된 걸림돌부(2311)가 이탈되고, 이에 따라 가동막대(24a), (24b)들은 스프링(26)들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다시 내측으로 이동함으로써 가림판(25a)들이 내측으로 이동하여 제1, 2 커넥터 삽입공(2132), (222)들을 밀폐시키게 된다.
제1 가림판(25a)들은 막대 형상으로 형성되며, 일측면에 연결축(미도시)이 형성된다. 이때 제1 가림판(25a)의 연결축은 제1 가동막대(24a)의 대향면에 결합되고, 연결축의 외측에는 전술하였던 스프링(24)이 설치된다.
이러한 제1 가림판(25a)들은 커넥터(14)의 개수만큼 형성되며, 조립 시, 제1, 2 커넥터 삽입공(2132), (222)들 사이에 배치되게 된다.
제2 가림판(25b)들은 제1 가림판(25a)과 동일한 구조 및 형상으로 이루어져 제2 가동막대(24b)의 대향면에 결합된다.
이러한 가림판(25a), (25b)들은 평시에는 스프링(26)들에 의해 내측으로 가압되어 서로 접촉됨으로써 제1, 2 커넥터 삽입공(2132), (222)들을 폐쇄하여 외부에서 제1, 2 커넥터 삽입공(2132), (222)들로 커넥터를 삽입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가림판(25a), (25b)들은 걸림부(23)에 의해 가동막대(24a), (24b)들이 외측으로 이동되면, 가동막대(24a), (24b)들과 함께 외측으로 이동되기 때문에 제1, 2 커넥터 삽입공(2132), (222)들이 개방되어 외부에서 제1, 2 커넥터 삽입공(2132), (222)들로 커넥터를 삽입할 수 있게 된다.
도 16의 (a)는 도 14의 커넥터 삽입공들이 개방된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 예시도이며, (b)는 도 14의 커넥터 삽입공들이 폐쇄된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 예시도이다.
도 16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림부(23)의 걸림돌부(2311)가 가동막대(24a), (24b)들의 걸림돌부 삽입홈(242)들로 각각 삽입될 때, 가동막대(24a), (24b)들은 커넥터 삽입공(2132), (222)들로부터 외측으로 이동됨과 동시에 가동막대(24a), (24b)들에 연결된 가림판(25a), (25b)들도 함께 외측으로 이동된다.
이로 인해 가림판(25a), (25b)들은 커넥터 삽입공(2132), (222)들로부터 이격되어 커넥터 삽입공(2132), (222)들이 개방됨으로써 작업자들은 이동식 메모리장치의 플러그를 커넥터(14)에 연결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도16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방수단에 의해 걸림부(23)가 회전되어 걸림돌부(2311)가 가동막대(24a), (24b)들의 걸림돌부 삽입홈(242)들로부터 이탈될 경우에는 가동막대(24a), (24b)들은 스프링(26)들의 탄성력에 의해 내측으로 이동되며, 가림판(25a), (25b)들도 함께 내측으로 이동된다.
이때 1)커넥터(14)에 이동식 메모리장치의 플러그가 접속되지 않은 상태일 때, 가림판(25a), (25b)들은 서로 접촉되게 되고, 2)커넥터(14)에 이동식 메모리장치의 플러그가 접속된 상태일 때, 가림판(25a), (25b)들은 스프링(26)들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플러그를 가압해 줌으로써 이동식 메모리장치 및 커넥터의 접속이 견고하게 이루어져 외부 진동 또는 충격 등으로 인한 접속 불량 현상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커버부(2)는 특정한 형상의 개방수단에 의해서만 커넥터 삽입공(2132), (222)들을 개방시킬 수 있기 때문에 보안성이 강화된다.
또한 커버부(2)는 커넥터(14)와 연결된 이동식 메모리장치의 플러그를 스프링(26)들의 탄성력에 의해 가압해 줌으로써 외부의 충격 또는 진동 등에 의해 외부 이동식 메모리장치의 플러그 및 커넥터(14)의 접속이 해제되는 접속불량 현상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17은 도 13의 잠금부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18은 도 17의 잠금부의 동작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잠금부(3)는 도 17과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잠금부 몸체(31)와, 잠금부 몸체(31)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가동부(32)와, 가동부(32)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키홈(3311)이 형성된 회전부(33)와, 잠금부 몸체(31)와 가동부(32)를 연결하는 탄성부재(34)로 이루어진다.
잠금부 몸체(31)는 베이스 플레이트(311)와, 베이스 플레이트(311)로부터 상향 돌출 형성되며 서로 이격되게 설치되는 한 쌍의 이동제한부(312)들과, 이동제한부(312)들 사이에 형성되는 가이드 블록(313)으로 이루어진다.
베이스 플레이트(311)는 사각 판재 형상으로 형성되며, 하우징(103)의 결합부(133)의 격벽(1331)의 상면에 결합된다.
이동제한부(312)들은 판재로 형성되어 베이스 플레이트(311)의 상면에 길이 방향으로 이격되게 수직 설치됨으로써 가동부(32)의 직선이동 범위를 제한한다.
가이드 블록(313)은 이동제한부(312)들 사이에 설치되며 양측으로 가이드 레일(3131)이 형성됨으로써 가동부(32)가 가이드 레일(3131)들을 따라서 길이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된다.
또한 가이드 블록(313)의 상면에는 걸림돌부(3132)가 상향 돌출 형성된다.
이때 걸림돌부(3132)는 사각기둥 형상으로 형성되며, 각 측면들의 연접부(모서리)가 라운드지게 형성된다.
가동부(32)는 가동몸체(321)와, 가동몸체(321)의 하부에 돌출 형성되는 가이드 돌기(322)들과, 가동몸체(321)의 일측면에 돌출 형성되어 제1 커버(21)의 절곡부(212) 사이로 삽입되는 잠금돌기(323)로 이루어진다.
가동몸체(321)는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면에는 하면까지 관통 형성되어 회전부(33)가 삽입되는 회전부 삽입공(3211)이 형성된다. 이때 회전부 삽입공(3211)으로는 회전부(33)가 삽입되게 된다.
또한 가동몸체(321)의 하면에는 호 형상의 돌부 삽입홈(3212)이 형성된다.
이때 돌부 삽입홈(3212)은 회전부 삽입공(3211)의 외주면으로부터 연장 형성된다.
또한 돌부 삽입홈(3212)으로는 후술되는 회전부(33)의 외주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되는 돌부(3312)가 삽입되며, 돌부(3312)의 이동범위를 제한함으로써 회전부(33)의 회전각을 제한한다.
또한 가동몸체(321)의 돌부 삽입홈(3212)을 형성하는 내측벽에는 내측벽으로부터 걸림턱(3213)들이 돌출 형성된다. 이때 걸림턱(3213)들은 돌부 삽입홈(3212)의 양단부로부터 소정 이격된 위치에 형성된다.
또한 가동부(32)는 하부에 돌출 형성되는 가이드 돌기(322)들이 가이드 레일(3131)에 삽입되어 가이드 레일(3131)을 따라 이동된다.
회전부(33)는 회전몸체(331)와, 회전몸체(331)의 하부에 돌출 형성되는 한 쌍의 돌출부(332)들로 이루어진다.
회전몸체(331)는 원통형상의 형상으로 형성되되, 상면에 개방수단이 삽입되는 키홈(3311)이 형성된다.
또한 회전몸체(331)의 외주면에는 가동몸체(321)의 돌부 삽입홈(3212)으로 삽입되는 돌부(3312)가 형성된다.
또한 회전몸체(331)의 하부면에는 한 쌍의 돌출부(332)들이 하향 돌출 형성된다.
이때 돌출부(332)들은 회전몸체(331)의 중심을 기준으로 서로 일정거리만큼 이격되게 형성되며, 이격거리가 걸림돌부(3132)의 폭과 같거나 길게 형성된다.
이러한 돌출부(332)들은 조립 시, 이들 사이의 공간으로 전술하였던 잠금부 몸체(31)의 걸림돌부(3132)가 삽입되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회전부(33)는 가동부(32)와 결합될 때, 회전몸체(331)가 가동몸체(321)의 회전부 삽입공(3211)으로 삽입되며, 회전몸체(331)의 돌부(3312)가 가동몸체(321)의 돌부 삽입홈(3212)으로 삽입되게 된다.
이때 돌부(3312)는 돌부 삽입홈(3212)을 따라 호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나, 이동 중 걸림턱(3213)을 통과할 때에는 일정 크기 이상의 회전력이 발생되어야만 통과하게 된다. 즉 돌부(3312)는 돌부 삽입홈(3212)의 단부에 배치될 때, 일정 크기 이상의 회전력이 가해져야만 걸림턱(3213)을 통과하여 돌부 삽입홈(3212)을 따라 회전하게 된다.
다시 말하면, 작업자는 회전부(33)를 회전할 때, 키홈(3311)에 개방수단을 삽입한 상태에서 일정 크기 이상의 회전력을 가해야만 돌부(3312)가 걸림턱(3213)을 통과하게된다.
이를 통해 회전부(33)는 외부 진동 또는 충격에 의해 회전되는 것이 방지되며, 개방수단에 의해서만 회전되도록 한다.
탄성부재(34)는 잠금부 몸체(31)와 가동부(32)를 연결하며, 개방수단을 통해 회전부(33)를 회전시켜 잠금부(3)를 개방시키게 되면, 가동부(32)를 이동시켜 커버부(2)가 자동으로 개방되도록 한다.
이러한 잠금부(3)는 작업자가 키홈(3311)에 개방수단을 삽입하여 회전시키게 되면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부(33)가 회전된다.
돌부(3312)는 돌부 삽입홈(3212) 내에서 회전되며, 돌부 삽입홈(3212)에는 단부와 인접한 부근에 걸림턱(3213)들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돌부(3312)가 돌부 삽입홈(3212)의 단부에 위치하게 되면 걸림턱(3213)에 의해 고정되어 외부의 진동 및 충격 등에 의해 회전되는 것이 제한된다.
또한 가동부(32)는 돌출부(332)들이 걸림돌부(3132)의 이동방향 상에 위치하게 될 경우에는 돌출부(332)들이 걸림돌부(3132)들과 접촉되어 길이방향 이동이 제한된다.
또한 가동부(32)는 회전부(33)가 개방수단에 의해 회전되어 돌출부(332)들이 가동부(32)의 이동방향과 수직방향에 위치하게 될 경우에는 길이방향 이동이 제한되지 않게 된다.
즉 가동부(32)는 회전부(33)의 돌출부(332)들이 걸림돌부(3132)의 이동방향 상에 위치하는 경우에는 커버부(2)의 절곡부(212)에 잠금돌기(323)가 삽입된 상태로 길이방향 이동이 제한됨으로써 커버부(2)가 잠금상태로 유지되며, 개방수단을 통해 회전부(33)를 회전시켜 돌출부(332)들이 걸림돌부(3132)의 측면에 위치하게 되면 길이방향 이동이 가능해짐으로써 제1 커버(21)의 절곡부(212) 사이로 삽입된 잠금돌기(323)를 외부로 이동시켜 커버부(2)의 개방이 가능하게 된다.
도 19의 (a)는 잠금부가 잠금상태인 상태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며, 도 19의 (b)는 잠금부가 개방상태인 상태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잠금부(3)는 도 19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잠금상태일 경우에는 돌출부(332)들이 걸림돌부(3132)의 이동방향상에 위치하여 가동부(32)의 이동이 제한된다.
이때 잠금돌기(323)는 제1 커버(21)의 전단부와 절곡부(212) 사이로 삽입된 상태에서 이동이 제한되기 때문에 커버부(2)의 개방이 제한된다.
또한 잠금부(3)는 도 19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출부(332)들이 가동부(32)의 이동방향과 수직방향에 위치하게 될 경우에는 걸림돌부(3132)이 돌출부(332)와 접촉되지 않기 때문에 가동부(32)의 이동이 제한되지 않게 된다.
이때 가동부(32)는 잠금돌기(323)가 제1 커버(21)의 전단부와 절곡부(212)의 외부로 이동되어 커버부(2)가 개방 가능한 상태가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HMI 장치(1)는 하우징의 전면에 커넥터부가 설치되어 외부 이동식 메모리장치의 플러그의 접속 및 해제 과정이 간단하고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HMI 장치(1)는 커넥터부가 설치되는 설치공이 차폐플레이트에 의해 밀폐되도록 구성됨으로써 설치대상인 특수 공작기계의 내부 기체가 설치공을 통해 외부로 유출되는 현상을 철저하게 차단시켜 특수 공작기계의 내압 저하를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HMI 장치(1)는 커넥터부 및 제어보드를 연결하는 케이블을 FFC 케이블로 대체함과 동시에 차폐플레이트에 FFC 케이블이 관통되는 실링공을 형성하되, 실링공으로 FFC 케이블이 관통되면 이들 사이의 틈을 실리콘 등의 충진재에 의해 충진되도록 구성됨으로써 커넥터부를 통한 특수 공작기계의 기체가 외부로 유출되는 현상을 더욱 철저하게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HMI 장치(1)는 덮개부가 외부 이동식 메모리장치의 플러그가 삽입될 때, 삽입된 플러그를 가압시켜 접속이 견고하게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작업현장 특성 상, 외부 진동 및 흔들림이 발생하더라도 이동식 메모리장치의 접속이 견고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1:덮개부 2:커버부 3:잠금부
10:커넥터부 11:PCB기판 12:차폐플레이트
13:FFC 케이블 14:커넥터 20:고정판
100:HMI 장치 103:하우징 105:디스플레이 패널
107:전방커버 109:후방커버 110:제어보드
10:커넥터부 11:PCB기판 12:차폐플레이트
13:FFC 케이블 14:커넥터 20:고정판
100:HMI 장치 103:하우징 105:디스플레이 패널
107:전방커버 109:후방커버 110:제어보드
Claims (6)
- 디스플레이 패널과, 전면에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이 설치되는 판재로 형성되며 전면에 내측으로 형성되어 후면까지 연장되는 설치공이 형성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설치공에 설치되는 커넥터부를 포함하며 기 설정된 공정을 수행하는 공작기계에 설치되는 HMI 장치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부는
상기 설치공의 내부에 결합되는 PCB기판;
외부 메모리장치의 플러그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접속단자가 전방을 향하도록 상기 PCB기판에 설치되는 커넥터;
상기 PCB기판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도록 설치되며, 단부가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을 제어하는 제어보드와 연결되는 케이블;
상기 케이블이 관통되는 실링공을 갖는 판재로 형성되며, 상기 설치공의 후방 개구부를 밀폐시키는 차폐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실링공으로 삽입된 케이블과 상기 실링공의 내측면들 사이의 공간에는 충진재에 의해 충진되고,
상기 하우징의 상기 설치공의 내부에는 상기 하우징의 전면과 평행하게 격벽이 설치되어 상기 설치공의 내부 공간이 상기 격벽에 의해 구획되고, 상기 격벽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커넥터 삽입공이 형성되고, 후단부와 인접한 상기 설치공의 내측면들에는 걸림턱이 내측으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PCB기판은 상기 격벽의 후면에 결합되고,
상기 커넥터는 상기 접속단자가 상기 커넥터 삽입공을 통과하여 외부로 노출되고,
상기 차폐플레이트는 상기 걸림턱에 안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HMI 장치. - 삭제
- 청구항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은 FFC 케이블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HMI 장치.
- 청구항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상기 격벽의 후면에는 고정체들이 높이 방향으로 대향되게 설치되고, 상기 고정체들의 서로를 향하는 대향면들에는 내측으로 형성되되 후면까지 연장되는 슬라이딩 홈들이 각각 형성되며, 상기 고정체들의 후면에는 볼트홈들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PCB기판은 양측부가 상기 고정체들의 슬라이딩 홈들로 각각 삽입되고,
상기 차폐플레이트의 내부에는 볼트공들이 대향되게 형성되고,
상기 차폐플레이트는 상기 걸림턱에 안착될 때, 전면이 상기 고정체의 후면에 대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HMI 장치. - 청구항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부는 덮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덮개부는
상기 격벽의 전면에 힌지 결합되는 커버부;
상기 커버부가 폐쇄될 때 상기 커버부의 폐쇄상태를 잠금하는 잠금부를 포함하고,
상기 잠금부는
상기 격벽의 전면에 결합되는 잠금부 몸체;
상기 잠금부 몸체에 수평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커버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이동 시, 일단부가 상기 커버부의 회동반경 내에 배치되되, 대향되는 방향으로 이동 시, 일단부가 상기 커버부의 회동반경을 벗어나는 위치에 배치되는 가동부;
일면에 개방수단이 삽입되는 키홈을 갖는 원판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가동부의 전면에 상기 키홈이 노출되도록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부를 포함하고,
상기 가동부는 상기 회전부의 회전각도에 따라서 이동이 제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HMI 장치. - 청구항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는
조립체;
일면에 상기 조립체가 설치되는 안착홈이 형성되는 판재로 형성되는 제1 커버;
상기 제1 커버의 안착홈을 덮듯이 설치되는 제2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커버의 상기 안착홈의 바닥면의 중앙에는 걸림부 삽입공이 형성되고, 상기 걸림부 삽입공을 기준으로 양측의 바닥면에는 커넥터 삽입공들이 대향되게 형성되고, 상기 커넥터 삽입공들 각각을 기준으로 폭 방향으로 가이드 홈들이 대향되게 형성되고,
상기 제2 커버의 상기 제1 커버를 향하는 전면에는 상기 바닥면의 걸림부 삽입공, 커넥터 삽입공들 및 가이드 홈들의 위치 및 형상에 대응되는 걸림부 삽입공, 커넥터 삽입공들 및 가이드 홈들이 형성되고,
상기 조립체는
원판형상으로 형성되되, 외주면에 외측으로 돌출되는 걸림돌부들이 대향되게 형성되는 걸림부 몸체와, 원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걸림부 몸체의 상면에 설치되며 상면에 키홈이 형성되는 제1 커버 삽입부와, 원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걸림부 몸체의 하면에 설치되는 제2 커버 삽입부를 포함하고, 조립 시, 상기 제1 커버 삽입부가 상기 제1 커버의 걸림부 삽입공으로 삽입되되, 상기 제2 커버 삽입부가 상기 제2 커버의 걸림부 삽입공으로 삽입되어 상기 제1 커버의 상기 바닥면과 상기 제2 커버 사이의 공간을 설치공간이라고 할 때, 상기 설치공간에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걸림부;
막대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1 커버의 상기 설치공간 내 폭 방향으로 대향되게 설치되며, 길이 방향의 중간지점을 중심으로 대향되는 위치의 대향되는 측면들 각각에 가이드 돌부들이 돌출 형성되고, 조립 시, 상기 가이드 돌부들이 상기 제1 커버의 가이드 홈들 및 상기 제2 커버의 가이드 홈들로 각각 삽입되며, 길이 방향의 중간지점의 서로를 향하는 측면들에 곡면 형상의 걸림돌부 삽입홈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 돌부들이 상기 제1 커버의 가이드 홈들 및 상기 제2 커버의 가이드 홈들에 삽입되어 폭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가동막대들;
상기 가동막대들의 상기 가이드 돌부들이 설치되지 않은 측면들에 각각 일단부가 결합되고, 폭방향으로 외측에 배치될 때, 타단부가 상기 제1 커버의 설치홈의 내측벽에 결합되는 스프링들;
막대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스프링들 중 내측에 배치된 스프링들의 타단부에 결합되며, 상기 잠금부의 상기 걸림돌부들이 상기 가동막대들의 걸림돌부 삽임홈으로 이탈된 상태일 때, 상기 스프링들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폭 방향의 내측으로 이동하여 상기 제1 커버의 걸림부 삽입공을 밀폐시키되, 상기 잠금부의 상기 걸림돌부들이 상기 가동막대들의 걸림돌부 삽입홈으로 삽입될 때, 폭 방향의 외측으로 이동하여 상기 제1 커버의 커넥터 삽입공을 개방시키는 가림판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HMI 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023326A KR102248539B1 (ko) | 2020-02-26 | 2020-02-26 | 밀봉성을 높인 커넥터부 및 이를 구비한 hmi 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023326A KR102248539B1 (ko) | 2020-02-26 | 2020-02-26 | 밀봉성을 높인 커넥터부 및 이를 구비한 hmi 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248539B1 true KR102248539B1 (ko) | 2021-05-06 |
Family
ID=759160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023326A KR102248539B1 (ko) | 2020-02-26 | 2020-02-26 | 밀봉성을 높인 커넥터부 및 이를 구비한 hmi 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248539B1 (ko)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0038534A (ko) * | 2000-11-17 | 2002-05-23 | 추후기재 | 마이크로디스플레이의 패키징 및 전기 접속 방법 및 장치 |
KR20100086080A (ko) * | 2008-01-04 | 2010-07-29 | 애플 인크. | 인터페이싱 부분들을 결합하기 위한 시스템 |
KR20130004157A (ko) * | 2011-06-30 | 2013-01-09 | 리서치 인 모션 리미티드 | 휴대용 전자 디바이스용 거치대 |
KR20140054774A (ko) * | 2012-10-29 | 2014-05-09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이동 단말기 |
-
2020
- 2020-02-26 KR KR1020200023326A patent/KR102248539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0038534A (ko) * | 2000-11-17 | 2002-05-23 | 추후기재 | 마이크로디스플레이의 패키징 및 전기 접속 방법 및 장치 |
KR20100086080A (ko) * | 2008-01-04 | 2010-07-29 | 애플 인크. | 인터페이싱 부분들을 결합하기 위한 시스템 |
KR20130004157A (ko) * | 2011-06-30 | 2013-01-09 | 리서치 인 모션 리미티드 | 휴대용 전자 디바이스용 거치대 |
KR20140054774A (ko) * | 2012-10-29 | 2014-05-09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이동 단말기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6007353A (en) | Electrical connector enclosure | |
JP5876510B2 (ja) | 電気コネクタ及びコネクタシステム | |
US4395608A (en) | Safety switch assemblies | |
US20120285718A1 (en) | Seal cover for in-vehicle electric device | |
CN101180686B (zh) | 用于分离具有紧密相连的腔的两个装置的系统 | |
US10290960B2 (en) | Terminal detachable device | |
CN103887669A (zh) | 适配器结构 | |
KR102248539B1 (ko) | 밀봉성을 높인 커넥터부 및 이를 구비한 hmi 장치 | |
KR102261831B1 (ko) | 통합형 함체 | |
MX2012011332A (es) | Elemento de tapon con sello de cierre. | |
JP6868106B2 (ja) | スイッチ装置および開閉検知装置 | |
US6705889B2 (en) | Terminal protecting cap | |
JP5244055B2 (ja) | 遊技機用の制御基板収納ケース | |
JP2013041715A (ja) | スイッチ | |
KR102296551B1 (ko) | 게이트웨이 | |
CN114008865B (zh) | 连接器装置 | |
KR102186573B1 (ko) | 방수 및 방진 구조를 갖는 연결포트 커버 | |
EP2656449B1 (en) | Water proof connector assembly | |
KR20210050108A (ko) | 보안성을 높인 연결포트 커버 | |
KR102273067B1 (ko) | Lcd 흑화 방지를 위한 hmi 장치 | |
JP2001203032A (ja) | 防塵用電子機器コネクタカバー構造 | |
JP5640144B2 (ja) | 基地局装置および蓋の取り付け方法 | |
KR102265792B1 (ko) | 잠금기능을 갖는 연결포트 커버 | |
CN115473076A (zh) | 用于延伸穿过壁的插头的预组装插头组件 | |
KR102264523B1 (ko) | 통합형 센서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