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48666A - 벨트컨베이어용 텐션 웨이트장치 - Google Patents

벨트컨베이어용 텐션 웨이트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48666A
KR20210048666A KR1020190132599A KR20190132599A KR20210048666A KR 20210048666 A KR20210048666 A KR 20210048666A KR 1020190132599 A KR1020190132599 A KR 1020190132599A KR 20190132599 A KR20190132599 A KR 20190132599A KR 20210048666 A KR20210048666 A KR 202100486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opening
closing
moving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325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48978B1 (ko
Inventor
김영식
Original Assignee
현대제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제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제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325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48978B1/ko
Publication of KR202100486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486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489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489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3/00Driving gear for endless conveyors; Belt- or chain-tensioning arrangements
    • B65G23/44Belt or chain tensioning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7/00Indexing codes relating to constructional details, configuration and additional features of a handling device, e.g. Conveyors
    • B65G2207/40Safety features of loads, equipment or pers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812/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kind or type of conveyors
    • B65G2812/02Belt or chain conveyors
    • B65G2812/02009Common features for belt or chain convey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rives For Endless Conveyors (AREA)

Abstract

벨트컨베이어용 텐션 웨이트장치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개시된 벨트컨베이어용 텐션 웨이트장치는: 벨트부재를 지지하는 한 쌍의 텐션풀리부와, 한 쌍의 텐션풀리부 사이에 배치되고, 벨트부재의 텐션을 유지시키며, 복수개의 웨이트부재를 구비하는 웨이트부와, 웨이트부가 승강가능하게 장착되며, 하측으로 갈수록 단면이 넓어지는 형상을 가진 개폐유도부가 구비되는 이동부와, 개폐유도부를 따라 이동되며, 개폐유도부 상에서의 이동시 작동되어 웨이트부의 일측을 개방하여 웨이트부재를 배출시키고, 웨이트부의 추락을 차단하는 추락방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벨트컨베이어용 텐션 웨이트장치{TENSION WEIGHT APPARATUS FOR BELT CONVEYOR}
본 발명은 벨트컨베이어용 텐션 웨이트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벨트부재의 절단으로 인한 웨이트부의 추락으로 웨이트부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벨트컨베이어용 텐션 웨이트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벨트컨베이어는 다수 개의 풀리에 의해 지지되어 무한궤도 운동하는 벨트부재에 의해 이송물을 운반하는데 사용되며, 웨이트부에 의해 벨트부재의 텐션이 유지된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3-0046563호(2013. 05. 08 공개, 발명의 명칭: 벨트컨베이어용 텐션 웨이트)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벨트부재의 절단으로 인한 웨이트부의 추락으로 웨이트부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벨트컨베이어용 텐션 웨이트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벨트컨베이어용 텐션 웨이트장치는: 벨트부재를 지지하는 한 쌍의 텐션풀리부; 한 쌍의 상기 텐션풀리부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벨트부재의 텐션을 유지시키며, 복수개의 웨이트부재를 구비하는 웨이트부; 상기 웨이트부가 승강가능하게 장착되며, 하측으로 갈수록 단면이 넓어지는 형상을 가진 개폐유도부가 구비되는 이동부; 및 상기 개폐유도부를 따라 이동되며, 상기 개폐유도부 상에서의 이동시 작동되어 상기 웨이트부의 일측을 개방하여 상기 웨이트부재를 배출시키고, 상기 웨이트부의 추락을 차단하는 추락방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추락방지부는, 상기 웨이트부 상에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웨이트부의 일측면을 개폐하는 한 쌍의 개폐부; 상기 개폐부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웨이트부의 하강시 상기 개폐유도부를 따라 하강하면서 상기 개폐부를 서로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개폐부를 개방하는 개폐롤러부; 상기 웨이트부와 연결되는 레일프레임부; 상기 개폐부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고, 회전되면서 상기 레일프레임부를 따라 이동되는 이동롤러부; 및 상기 개폐부와 연결되며, 상기 개폐부에 탄성복원력을 제공하여 상기 개폐부를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원상복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웨이트부는, 한 쌍의 상기 텐션풀리부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벨트부재에 접촉되는 웨이트풀리부; 상기 웨이트풀리부와 연결되고, 상기 이동부를 따라 승강가능한 이동블록부; 및 상기 이동블록부와 결합되고, 상기 이동블록부와 마주하는 측면에 상기 개폐부의 이동을 안내하는 이동가이드부가 형성되며, 복수개의 상기 웨이트부재가 수용되는 웨이트박스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이동부는, 상기 웨이트풀리부의 양측에 배치되며, 상기 이동블록부가 각각 이동가능하게 장착되는 이동프레임; 및 상기 이동프레임의 양측부에 각각 구비되고, 하측으로 갈수록 단면이 넓어지는 형상을 가지며, 상기 개폐롤러부의 이동을 안내하는 상기 개폐유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웨이트박스부는, 상기 이동프레임과 마주보고, 한 쌍의 상기 이동블록부가 각각 결합되며, 한 쌍의 상기 이동가이드부가 너비방향으로 이격되게 형성되는 한 쌍의 제1판부; 및 한 쌍의 상기 제1판부 사이에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며, 한 쌍의 상기 제1판부를 연결하며, 상기 개폐부가 통과되는 개방구가 형성되는 한 쌍의 제2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레일프레임부는 한 쌍으로 상기 제1판부에 각각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원상복귀부는, 상기 레일프레임부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레일프레임부를 연결하는 지지프레임부; 상기 개폐부와 연결되고, 상기 지지프레임부를 관통하며, 상기 개폐부의 이동에 따라 이동되는 지지봉; 및 상기 지지봉을 감싸고, 상기 개폐부와 상기 지지부 사이에 배치되고, 탄성복원력으로 상기 개폐부를 이동시키는 탄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지지봉은, 상기 지지프레임부의 관통홀부를 관통하며, 상기 개폐부와 함께 이동되는 지지프레임본체; 및 상기 지지봉본체와 연결되며, 크기가 상기 관통홀부의 크기보다 크며, 상기 지지프레임부로부터 상기 지지봉본체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벨트컨베이어용 텐션 웨이트장치는 벨트부재 절손으로 인한 웨이트부의 갑작스런 추락시 개폐유도부를 따라 이동되어 웨이트부의 웨이트부재를 배출시키는 동시에 웨이트의 추락을 차단하는 추락방지부를 통해 웨이트부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원상복귀부를 통해 웨이트부가 원위치로 복귀되면 개폐부가 원위치로 용이하게 복귀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지지봉이 이탈방지부를 구비하므로, 지지봉이 지지프레임부 상에서 이탈되는 것이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벨트컨베이어용 텐션 웨이트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요부 확대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벨트컨베이어용 텐션 웨이트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벨트컨베이어용 텐션 웨이트장치의 평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벨트컨베이어용 텐션 웨이트장치의 웨이트부의 추락시 추락방지부가 이동부의 개폐유도부를 따라 하강하는 것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요부 확대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벨트컨베이어용 텐션 웨이트장치의 웨이트부의 추락시 추락방지부가 이동부의 개폐유도부를 따라 하강하는 것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벨트컨베이어용 텐션 웨이트장치의 웨이트부의 추락시 추락방지부가 이동부의 개폐유도부를 따라 하강하는 것을 나타낸 평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벨트컨베이어용 텐션 웨이트장치를 설명하도록 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벨트컨베이어용 텐션 웨이트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요부 확대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벨트컨베이어용 텐션 웨이트장치의 측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벨트컨베이어용 텐션 웨이트장치의 평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벨트컨베이어용 텐션 웨이트장치의 웨이트부의 추락시 추락방지부가 이동부의 개폐유도부를 따라 하강하는 것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의 요부 확대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벨트컨베이어용 텐션 웨이트장치의 웨이트부의 추락시 추락방지부가 이동부의 개폐유도부를 따라 하강하는 것을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벨트컨베이어용 텐션 웨이트장치의 웨이트부의 추락시 추락방지부가 이동부의 개폐유도부를 따라 하강하는 것을 나타낸 평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벨트컨베이어용 텐션 웨이트장치(1)는 텐션풀리부(100), 웨이트부(200), 이동부(300) 및 추락방지부(400)를 포함한다.
텐션풀리부(100)는 한 쌍으로 벨트부재(12)를 지지한다. 벨트컨베이어(10)는 구동풀리부(11)와 벨트부재(12)를 구비한다. 도 1을 참조하면, 텐션풀리부(100)는 고정부(미도시)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벨트부재(12)의 하측(도 1 기준)에서 지지한다. 구동풀리부(11)는 한 쌍으로 이격되게 배치된다. 벨트부재(12)는 구동풀리부(11)에 감겨 무한궤도 방식으로 회전되면서 원료 등의 이송물을 이송한다. 이때, 구동풀리부(11) 중 어느 하나에는 모터가 장착되어 구동풀리부(11)를 회전시킨다.
웨이트부(200)는 한 쌍의 텐션풀리부(100) 사이에 배치되고, 벨트부재(12)의 텐션을 유지시키며, 복수개의 웨이트부재(240)를 구비한다. 구체적으로, 웨이트부(200)는 한 쌍의 텐션풀리부(100) 사이에서 자체의 무게에 의해 벨트부재(12)를 하측으로 잡아당겨 벨트부재(12)의 장력(TENSION)을 유지시킨다. 웨이트부(200)는 설정 중량 값을 가지는 것으로 이는 요구되는 벨트부재(12)의 장력 값에 대응되도록 달리 설정될 수 있다.
이동부(300)는 웨이트부(200)가 승강가능하게 장착되며, 하측으로 갈수록 단면이 넓어지는 형상을 가진 개폐유도부(320)가 구비한다. 개폐유도부(320)는 빗변 부분이 후술된 추락방지부(400)가 접하여 이동하는 부분으로, 벨트(800)가 절단되어 웨이트부(200)가 하강하면 추락방지부(400)가 개폐유도부(320)를 따라 이동되면서 작동되고 웨이트부(200)의 일측이 개방된다.
추락방지부(400)는 개폐유도부(320)를 따라 이동되며, 개폐유도부(320) 상에서의 이동시 작동되어 웨이트부(200)의 일측을 개방하여 웨이트부재(240)를 배출시키고, 웨이트부(200)의 추락을 멈춘다. 추락방지부(400)가 개폐유도부(320)를 따라 하측으로(도 1 기준) 이동되면서 웨이트부(200)의 일측이 개방되고, 웨이트부(200)의 내부에서 외부로 웨이트부재(240)가 배출된다. 이에 따라, 웨이트부(200)의 하중이 줄어들게 되면서 웨이트부(200)의 추락속도가 감소하게 된다. 이에 따라, 웨이트부의 갑작스러운 추락으로 인한 웨이트부의 손상을 막을 수 있다. 이후, 추락방지부(400)는 개폐유도부(320)을 따라 설정거리 만큼 하강하면 웨이트부(200)의 이동가이드부(231a)의 단부에 걸려 이동이 차단되고, 웨이트부(200)가 추락되는 것이 방지된다.
추락방지부(400)는 개폐부(410), 개폐롤러부(420), 레일프레임부(430), 이동롤러부(440) 및 원상복귀부(450)를 포함한다. 개폐부(410)는 한 쌍으로 웨이트부(200) 상에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웨이트부(200)의 일측면을 개폐한다. 개폐부(410)는 웨이트부(200)의 하측면(도 2 내지 도 4 기준)을 개폐가능하도록 웨이트부(200)에 좌우방향으로(도 2 내지 도 4 기준) 이동가능하게 설치된다.
개폐롤러부(420)는 개폐부(410)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고, 웨이트부(200)의 하강시 개폐유도부(320)를 따라 하강하면서 개폐부(410)를 서로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시켜 웨이트부(200)의 하측면을 개방한다. 구체적으로, 개폐롤러부(420)는 복수개로 한 쌍의 개폐부(410)에 각각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웨이트부(200)가 하강되는 경우 개폐유도부(320)를 따라 하측으로(도 6 기준) 이동되면서 서로 이격된다. 이때, 개폐롤러부(420)와 연결된 개폐부(410)가 이격되고, 웨이트부(200)의 하측면이 개방된다. 이에 따라, 웨이트부재(240)가 웨이트부(200)로부터 배출된다.
레일프레임부(430)는 웨이트부(200)와 연결된다. 레일프레임부(430)는 한 쌍으로 웨이트부(200)의 제1판부(231)에 각각 좌우방향으로(도 2 기준) 길게 배치되어 결합된다.
이동롤러부(440)는 개폐부(410)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고, 회전되면서 레일프레임부(430)를 따라 이동된다. 이동롤러부(440)는 개폐롤러부(420)와 이격되게 배치된 상태에서 개폐부(410)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된다. 이동롤러부(440)는 웨이트부(200)가 하강되는 경우 레일프레임부(430)를 따라 좌측 또는 우측으로(도 6, 도 7 기준) 이동된다. 이동롤러부(440)는 추후에 원상복귀부(450)의 지지프레임부(451)에 접촉되어 회동이 차단된다.
원상복귀부(450)는 개폐부(410)와 연결되며, 개폐부(410)에 탄성복원력을 제공하여 개폐부(410)를 원위치로 복귀시킨다. 원상복귀부(450)는 웨이트부(200)가 하강되는 경우 개폐부(410)와 함께 이동되면서 원상복귀부(450)의 탄성부(453)가 압축된다. 이후, 절단된 벨트(800)가 교체되고, 웨이트부(200)가 원위치로 복귀되면, 원상복귀부(450)의 탄성부(453)의 압축이 해제되고, 탄성부(453)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개폐부(410)가 원위치로 복귀된다.
웨이트부(200)는 웨이트풀리부(210), 이동블록부(220), 웨이트박스부(230) 및 복수개의 웨이트부재(240)를 포함한다. 웨이트풀리부(210)는 한 쌍의 텐션풀리부(100) 사이에 배치되고, 벨트부재(12)에 접촉된다.
이동블록부(220)는 웨이트풀리부(210)와 연결되고, 이동부(300)를 따라 승강가능하다. 이동블록부(220)는 웨이트풀리부(210)가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며, 이동부(300)의 이동프레임(310) 양측에 각각 배치되어 한 쌍의 이동프레임(310)에 승강가능하게 장착된다.
웨이트박스부(230)는 이동블록부(220)와 결합되고, 이동블록부(220)와 마주하는 측면에 개폐부(410)의 이동을 안내하는 이동가이드부(231a)가 형성된다. 웨이트박스부(230)는 하측면이 개방된 형상으로(도 5, 도 6 참조) 이동블록부(220)와 마주하는 측면에 너비방향으로 이동가이드부(231a)가 형성될 수 있다.
복수개의 웨이트부재(240)는 웨이트박스부(230)에 수용되며, 웨이트박스(230)와 함께 웨이트풀리부(210)에 하중을 가하여 벨트부재(12)의 장력을 유지시킨다.
이동부(300)는 이동프레임(310)과 개폐유도부(320)를 포함한다. 이동프레임(310)은 한 쌍으로 웨이트풀리부(210)의 양측에 배치된다. 개폐유도부(320)는 이동프레임(310)의 양측부에 각각 구비되고, 하측으로 갈수록 단면이 넓어지는 형상을 가지며, 개폐롤러부(420)의 이동을 안내한다. 개폐유도부(320)는 단면이 직각삼각형으로 형성되며, 이동프레임(310)의 양측부에 각각 결합된다. 빗면 부분에 개폐롤러부(420)가 접촉되어 이동된다.
이동블록부(220)는 한 쌍으로 웨이트풀리부(210)의 양단부와 각각 연결되고, 한 쌍의 이동프레임(310)에 각각 승강가능하게 장착된다. 이동블록부(220)는 제1이동블록(221)와 제2이동블록(222)을 포함한다. 제1이동블록(221)은 웨이트풀리부(210)의 양측에 배치되며, 웨이트풀리부(210)가 회동가능하게 장착된다. 제2이동블록(222)은 제1이동블록(221)와 연결되며, 웨이트부(200)의 양측에 배치되는 한 쌍의 이동프레임(310)에 각각 승강가능하게 장착된다(도 5 내지 도 8 참조).
웨이트박스부(230)는 한 쌍의 제1판부(231), 한 쌍의 제2판부(232) 및 제3판부(233)를 포함한다. 한 쌍의 제1판부(231)는 이동프레임(310)과 마주보고, 한 쌍의 이동블록부(220)가 각각 결합되며, 한 쌍의 이동가이드부(231a)가 너비방향으로 이격되게 형성된다. 한 쌍의 제2판부(232)는 한 쌍의 제1판부(231) 사이에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며, 한 쌍의 제1판부(231)를 연결하며, 개폐부(410)가 통과되는 개방구(232a)가 형성된다. 제3판부(233)는 제1판부(231) 및 제2판부(232)와 연결되고, 제1판부(231) 및 제2판부(232)의 상측면을 덮는다.
개폐부(410)는 한 쌍으로 이웃한 제1판부(231) 사이에 배치되고, 제2판부(232)의 개방구(232a)를 통해 제2판부(232)의 내외측으로 이동가능하고, 개폐롤러부(420)와 연결되며 이동가이드부(231a)를 따라 이동되는 이동축부(412)를 구비한다.
구체적으로, 개폐부(410)는 개폐본체(411), 이동축부(412) 및 회전축부(413)를 포함한다. 개폐본체(411)는 한 쌍으로 제1판부(231)와 제2판부(232)가 연결되어 형성한 공간부(미도시)에 나란하게 배치되어 웨이트박스부(230)의 하측면을 폐쇄한다. 이동축부(412)는 복수개로 개폐본체(411)에서 이동가이드부(231a)의 외측으로 돌출형성되며, 이동가이드부(231a)에 삽입되어 이동가이드부(231a)를 따라 이동된다. 이동축부(412)의 단부에는 개폐롤러부(420)가 회동가능하게 장착된다. 회전축부(413)는 복수개로 개폐본체(411)에서 레일프레임부(430) 측으로 돌출형성되며, 단부에 이동롤러부(440)가 회동가능하게 장착된다.
원상복귀부(450)는 지지부(451), 지지프레임부(452) 및 탄성부(453)를 포함한다. 지지프레임부(451)는 레일프레임(431) 사이에 배치되며, 레일프레임(431)을 연결한다. 지지프레임부(451)에는 복수개의 관통홀부(451a)가 이격되게 배치된다.
지지봉(452)은 개폐부(410)와 연결되고, 지지프레임부(451)를 관통하며, 개폐부(410)의 이동에 따라 이동된다. 지지봉(452)은 지지프레임부(451)의 관통홀부(451a)를 관통한다.
탄성부(453)는 지지봉(452)을 감싸고, 개폐부(410)와 지지부(451) 사이에 배치되고, 개폐부(410)를 이동시키는 탄성복원력을 가진다. 지지봉(452)은 지지프레임부(451)의 관통홀부(451a)를 각각 관통한다. 탄성부(453)는 웨이트부(200)가 하강되는 경우 개폐부(410)와 함께 지지봉(452)이 지지프레임부(451) 측으로 이동되면서 개폐부(410)와 지지프레임부(451) 사이에서 압축된다. 이후, 절단된 벨트(800)가 교체되어 웨이트부(200)의 원위치로 복귀되면, 탄성부(453)의 압축이 해제되고, 탄성부(453)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지지봉(452)이 원위치로 복귀되면서 개폐부(410)가 원위치로 복귀된다.
지지봉(452)은 지지프레임본체(452a)와 이탈방지부(452b)를 포함한다. 지지프레임본체(452a)는 지지프레임부(451)의 관통홀부(451a)를 관통하며, 개폐부(410)와 함께 이동된다. 이탈방지부(452b)는 지지봉본체(452a)와 연결되며, 크기가 관통홀부(451a)의 크기보다 크며, 지지프레임부(451)로부터 지지봉본체(452a)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로 인해, 지지봉(452)가 지지프레임부(451) 상에서 이탈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이하, 도 3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벨트컨베이어용 텐션 웨이트장치(1)의 작동 및 효과를 살펴보도록 한다.
한 쌍의 구동풀리부(11)에 감긴 벨트부재(12)가 무한궤도 방식으로 회전되고, 구동풀리부(11) 사이에는 한 쌍의 텐션풀리부(100)가 배치되어 벨트부재(12)를 지지한다.
텐션풀리부(100) 사이에는 웨이트부(200)가 배치되는데, 웨이트부(200)의 자체 하중에 의해 벨트부재(12)가 하방으로 이동되어 텐션이 유지되므로, 벨트부재(12)는 일정한 텐션이 작용하는 상태에서 작동된다.
벨트부재(12)는 웨이트부(200)에 의하여 상당한 하중을 지속적으로 받으며, 원료, 소재 등이 반복적으로 실리게 되므로, 장시간 사용에 의하여 벨트부재(12)가 절단되는 경우가 발생한다.
벨트부재(12)가 절단되면, 벨트부재(12)에 의하여 지지되는 웨이트부(200)가 이동부(300)를 따라 하강하게 된다. 이때, 웨이트부(200)와 연결된 추락방지부(400)가 작동된다. 구체적으로, 웨이트부(200)와 연결된 추락방지부(400)가 이동부(300)의 개폐유도부(320)를 따라 하강하면서 웨이트부(200)의 하측면이 개방된다. 웨이트부(200)의 내부에 있던 웨이트부재(240)가 웨이트부(200)의 외부로 배출되고, 웨이트부(200)의 추락이 방지된다. 즉, 추락방지부(400)의 개폐롤러부(420)가 개폐유도부(320)를 따라 하강하면 개폐부(410)가 서로 이격되게 이동되고, 웨이트부(200)의 하측면이 개방된다. 이때, 개폐부(410)와 연결된 이동롤러부(440)는 웨이트부(200)와 연결된 레일프레임부(430)를 따라 이동된다.
이와 같이, 웨이트부(200)의 하측면을 개방되면 웨이트부재(240)가 웨이트부(200)의 외부로 배출되고, 웨이트부(200)의 하중이 줄어든다. 이후, 개폐롤러부(420)가 개폐유도부(320)을 따라 설정거리만큼 하강하면 웨이트부(200)의 이동가이드부(231a)의 단부에 개폐롤러부(420)와 연결된 개폐부(410)의 이동축부(412)가 걸려 웨이트부(200)의 이동이 차단된다. 이로써, 웨이트부(200)가 추락되는 것이 방지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 : 벨트컨베이어용 텐션 웨이트장치 10 : 벨트컨베이어
11 : 구동풀리부 12 : 벨트부재
100 : 텐션풀리부 200 : 웨이트부
210 : 웨이트풀리부 220 : 이동블록부
221 : 제1이동블록 222 : 제2이동블록
230 : 웨이트박스부 231 : 제1판부
231a : 이동가이드부 232 : 제2판부
232a : 개방구 233 : 제3판부
240 : 웨이트부재 300 : 이동부
310 : 이동프레임 320 : 개폐유도부
400 : 추락방지부 410 : 개폐부
411 : 개폐본체 412 : 이동축부
413 : 회전축부 420 : 개폐롤러부
430 : 레일프레임부 440 : 이동롤러부
450 : 원상복귀부 451 : 지지프레임부
451a : 관통홀부 452 : 지지봉
452a : 지지봉본체 452b : 이탈방지부
453 : 탄성부

Claims (8)

  1. 벨트부재를 지지하는 한 쌍의 텐션풀리부;
    한 쌍의 상기 텐션풀리부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벨트부재의 텐션을 유지시키며, 복수개의 웨이트부재를 구비하는 웨이트부;
    상기 웨이트부가 승강가능하게 장착되며, 하측으로 갈수록 단면이 넓어지는 형상을 가진 개폐유도부가 구비되는 이동부; 및
    상기 개폐유도부를 따라 이동되며, 상기 개폐유도부 상에서의 이동시 작동되어 상기 웨이트부의 일측을 개방하여 상기 웨이트부재를 배출시키고, 상기 웨이트부의 추락을 차단하는 추락방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컨베이어용 텐션 웨이트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추락방지부는,
    상기 웨이트부 상에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웨이트부의 일측면을 개폐하는 한 쌍의 개폐부;
    상기 개폐부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웨이트부의 하강시 상기 개폐유도부를 따라 하강하면서 상기 개폐부를 서로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개폐부를 개방하는 개폐롤러부;
    상기 웨이트부와 연결되는 레일프레임부;
    상기 개폐부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고, 회전되면서 상기 레일프레임부를 따라 이동되는 이동롤러부; 및
    상기 개폐부와 연결되며, 상기 개폐부에 탄성복원력을 제공하여 상기 개폐부를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원상복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컨베이어용 텐션 웨이트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웨이트부는,
    한 쌍의 상기 텐션풀리부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벨트부재에 접촉되는 웨이트풀리부;
    상기 웨이트풀리부와 연결되고, 상기 이동부를 따라 승강가능한 이동블록부; 및
    상기 이동블록부와 결합되고, 상기 이동블록부와 마주하는 측면에 상기 개폐부의 이동을 안내하는 이동가이드부가 형성되며, 복수개의 상기 웨이트부재가 수용되는 웨이트박스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컨베이어용 텐션 웨이트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는,
    상기 웨이트풀리부의 양측에 배치되며, 상기 이동블록부가 각각 이동가능하게 장착되는 이동프레임; 및
    상기 이동프레임의 양측부에 각각 구비되고, 하측으로 갈수록 단면이 넓어지는 형상을 가지며, 상기 개폐롤러부의 이동을 안내하는 상기 개폐유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컨베이어용 텐션 웨이트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웨이트박스부는,
    상기 이동프레임과 마주보고, 한 쌍의 상기 이동블록부가 각각 결합되며, 한 쌍의 상기 이동가이드부가 너비방향으로 이격되게 형성되는 한 쌍의 제1판부; 및
    한 쌍의 상기 제1판부 사이에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며, 한 쌍의 상기 제1판부를 연결하며, 상기 개폐부가 통과되는 개방구가 형성되는 한 쌍의 제2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컨베이어용 텐션 웨이트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프레임부는 한 쌍으로 상기 제1판부에 각각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컨베이어용 텐션 웨이트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원상복귀부는,
    상기 레일프레임부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레일프레임부를 연결하는 지지프레임부;
    상기 개폐부와 연결되고, 상기 지지프레임부를 관통하며, 상기 개폐부의 이동에 따라 이동되는 지지봉; 및
    상기 지지봉을 감싸고, 상기 개폐부와 상기 지지부 사이에 배치되고, 탄성복원력으로 상기 개폐부를 이동시키는 탄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컨베이어용 텐션 웨이트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봉은,
    상기 지지프레임부의 관통홀부를 관통하며, 상기 개폐부와 함께 이동되는 지지프레임본체; 및
    상기 지지봉본체와 연결되며, 크기가 상기 관통홀부의 크기보다 크며, 상기 지지프레임부로부터 상기 지지봉본체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컨베이어용 텐션 웨이트장치.
KR1020190132599A 2019-10-24 2019-10-24 벨트컨베이어용 텐션 웨이트장치 KR1023489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2599A KR102348978B1 (ko) 2019-10-24 2019-10-24 벨트컨베이어용 텐션 웨이트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2599A KR102348978B1 (ko) 2019-10-24 2019-10-24 벨트컨베이어용 텐션 웨이트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48666A true KR20210048666A (ko) 2021-05-04
KR102348978B1 KR102348978B1 (ko) 2022-01-07

Family

ID=759138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32599A KR102348978B1 (ko) 2019-10-24 2019-10-24 벨트컨베이어용 텐션 웨이트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48978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55890A (ko) * 1997-12-29 1999-07-15 이구택 벨트콘베어의 텐션웨이트 무게제어장치
KR20130034493A (ko) * 2011-09-28 2013-04-05 주식회사 포스코 벨트 컨베이어의 텐션 장치
KR20140069397A (ko) * 2012-11-28 2014-06-10 현대제철 주식회사 벨트 컨베이어용 텐션 웨이트
KR20190030934A (ko) * 2017-09-15 2019-03-25 현대제철 주식회사 벨트컨베이어용 텐션 웨이트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55890A (ko) * 1997-12-29 1999-07-15 이구택 벨트콘베어의 텐션웨이트 무게제어장치
KR20130034493A (ko) * 2011-09-28 2013-04-05 주식회사 포스코 벨트 컨베이어의 텐션 장치
KR20140069397A (ko) * 2012-11-28 2014-06-10 현대제철 주식회사 벨트 컨베이어용 텐션 웨이트
KR20190030934A (ko) * 2017-09-15 2019-03-25 현대제철 주식회사 벨트컨베이어용 텐션 웨이트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48978B1 (ko) 2022-0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505733B2 (en) Right angle power transfer
CN101039854B (zh) 用于缓冲物体的装置
EP1961665A3 (en) Improved strapping machine
KR20060042882A (ko) 선회될 수 있는 안내면
KR101281770B1 (ko) 벨트 컨베이어의 텐션 장치
US6119849A (en) Linear motion conveyor with gate mechanism and method
US4142625A (en) Holding conveyor system
EP2010441A2 (en) Conveyor diverter
KR20210048666A (ko) 벨트컨베이어용 텐션 웨이트장치
KR20190030934A (ko) 벨트컨베이어용 텐션 웨이트장치
KR102100052B1 (ko) 벨트컨베이어용 텐션 웨이트장치
CA2894319C (en) Automatic scraper chain tensioning apparatus
KR101087322B1 (ko) 엘리베이터의 도어장치
KR102264339B1 (ko) 벨트컨베이어용 텐션 웨이트장치
KR102240299B1 (ko) 체인 컨베이어용 텐션장치
KR102336752B1 (ko) 벨트컨베이어용 텐션 웨이트장치
US2973084A (en) Reversible drive for moving sidewalks and the like
US5186313A (en) Conveyor belt tracking and drive mechanism
KR20080011174A (ko) 벨트 컨베이어의 컨베이어 벨트의 구동을 위한 배치
KR100608299B1 (ko) 벨트 컨베이어용 수평대차 이탈 방지장치
US11685612B2 (en) Motorized transfer apparatus for conveyors of bulk objects
MXPA05001558A (es) N-aril-2-oxazolidinonas y sus derivados.
CA3085755A1 (en) Conveying and sorting apparatus
JP3605593B2 (ja) 穀粒用横送り搬送装置
KR102110683B1 (ko) 벨트컨베이어용 낙광 배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