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64339B1 - 벨트컨베이어용 텐션 웨이트장치 - Google Patents

벨트컨베이어용 텐션 웨이트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64339B1
KR102264339B1 KR1020190132596A KR20190132596A KR102264339B1 KR 102264339 B1 KR102264339 B1 KR 102264339B1 KR 1020190132596 A KR1020190132596 A KR 1020190132596A KR 20190132596 A KR20190132596 A KR 20190132596A KR 102264339 B1 KR102264339 B1 KR 1022643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unit
opening
pair
ten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325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48665A (ko
Inventor
김영식
Original Assignee
현대제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제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제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325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64339B1/ko
Publication of KR202100486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486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643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643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3/00Driving gear for endless conveyors; Belt- or chain-tensioning arrangements
    • B65G23/44Belt or chain tensioning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7/00Indexing codes relating to constructional details, configuration and additional features of a handling device, e.g. Conveyors
    • B65G2207/40Safety features of loads, equipment or pers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812/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kind or type of conveyors
    • B65G2812/02Belt or chain conveyors
    • B65G2812/02009Common features for belt or chain convey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rives For Endless Conveyors (AREA)

Abstract

벨트컨베이어용 텐션 웨이트장치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개시된 벨트컨베이어용 텐션 웨이트장치는: 벨트부재를 지지하는 한 쌍의 텐션풀리부와, 한 쌍의 텐션풀리부 사이에 배치되고, 벨트부재의 텐션을 유지시키며, 복수개의 웨이트부재를 구비하는 웨이트부와, 웨이트부가 승강가능하게 장착되며, 작동부를 구비하는 이동부와, 작동부와의 접촉시 작동되어 웨이트부의 일측을 개방하여 웨이트부재를 배출시키고, 웨이트부의 추락을 차단하는 추락방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벨트컨베이어용 텐션 웨이트장치{TENSION WEIGHT APPARATUS FOR BELT CONVEYOR}
본 발명은 벨트컨베이어용 텐션 웨이트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벨트부재의 절단으로 인한 웨이트부의 추락으로 웨이트부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벨트컨베이어용 텐션 웨이트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벨트컨베이어는 다수 개의 풀리에 의해 지지되어 무한궤도 운동하는 벨트부재에 의해 이송물을 운반하는데 사용되며, 웨이트부에 의해 벨트부재의 텐션이 유지된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3-0046563호(2013. 05. 08 공개, 발명의 명칭: 벨트컨베이어용 텐션 웨이트)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벨트부재의 절단으로 인한 웨이트부의 추락으로 웨이트부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벨트컨베이어용 텐션 웨이트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벨트컨베이어용 텐션 웨이트장치는: 벨트부재를 지지하는 한 쌍의 텐션풀리부; 한 쌍의 상기 텐션풀리부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벨트부재의 텐션을 유지시키며, 복수개의 웨이트부재를 구비하는 웨이트부; 상기 웨이트부가 승강가능하게 장착되며, 작동부를 구비하는 이동부; 및 상기 작동부와의 접촉시 작동되어 상기 웨이트부의 일측을 개방하여 상기 웨이트부재를 배출시키고, 상기 웨이트부의 추락을 차단하는 추락방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추락방지부는, 상기 웨이트부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웨이트부의 일측면을 개폐하는 개폐부; 상기 개폐부와 연결되고, 상기 작동부에 걸려 회동되어 상기 개폐부를 회동시켜 상기 개폐부를 개방하는 개폐작동부; 및 상기 개폐작동부와 연결되며, 상기 개폐작동부와 함께 회동되고, 상기 웨이트부에 접촉되어 상기 개폐작동부의 회동을 정지시키는 작동정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작동정지부는 상기 개폐작동부에 회동가능하게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웨이트부는, 한 쌍의 상기 텐션풀리부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벨트부재에 접촉되는 웨이트풀리부; 상기 웨이트풀리부와 연결되고, 상기 이동부를 따라 승강가능한 이동블록부; 및 상기 이동블록부와 결합되고, 상기 개폐부가 회동가능하게 장착되며, 복수개의 상기 웨이트부재가 수용되는 웨이트박스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이동부는, 상기 웨이트풀리부의 양측에 배치되며, 상기 이동블록부가 각각 이동가능하게 장착되는 한 쌍의 이동프레임; 및 한 쌍의 상기 이동프레임을 연결하며, 상기 개폐작동부가 접촉되는 한 쌍의 상기 작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웨이트박스부는, 상기 이동프레임과 마주보며, 한 쌍의 상기 이동블록부가 각각 결합되는 한 쌍의 제1판부; 및 한 쌍의 상기 제1판부 사이에 이격되게 배치되며, 한 쌍의 상기 제1판부를 연결하는 한 쌍의 제2판부;를 포함하고, 상기 개폐부는 한 쌍으로 회전축부가 상기 제1판부에 회동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개폐작동부는 복수개로 상기 회전축부와 각각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웨이트박스부는, 상기 제1판부 및 상기 제2판부와 연결되고, 상기 제1판부 및 상기 제2판부을 덮는 제3판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벨트컨베이어용 텐션 웨이트장치는 벨트부재 절손으로 인한 웨이트부의 갑작스런 추락시 작동부에 의해 작동되어 웨이트부의 웨이트부재를 배출시키는 동시에 웨이트의 추락을 차단하는 추락방지부를 통해 웨이트부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개폐부와 연결되는 개폐작동부를 통해 웨이트부의 추락시 웨이트부의 일측면이 빠르게 개방되어 웨이트부재가 배출되어 웨이트부의 하중이 줄어드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개폐작동부에 회동가능하게 장착되는 작동정지부를 통해 웨이트부의 추락을 차단할 수 있음은 물론, 웨이트부와 접촉시 웨이트부와의 마찰을 줄여 웨이트부의 손상을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벨트컨베이어용 텐션 웨이트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요부 확대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벨트컨베이어용 텐션 웨이트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벨트컨베이어용 텐션 웨이트장치의 평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벨트컨베이어용 텐션 웨이트장치의 웨이트부의 추락시 추락방지부가 작동부에 의해 작동되는 것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요부 확대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텐션 웨이트장치의 웨이트부의 추락시 추락방지부가 작동부에 의해 작동되는 것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텐션 웨이트장치의 웨이트부의 추락시 추락방지부가 작동부에 의해 작동되는 것을 나타낸 평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벨트컨베이어용 텐션 웨이트장치를 설명하도록 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벨트컨베이어용 텐션 웨이트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요부 확대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벨트컨베이어용 텐션 웨이트장치의 측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벨트컨베이어용 텐션 웨이트장치의 평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벨트컨베이어용 텐션 웨이트장치의 웨이트부의 추락시 추락방지부가 작동부에 의해 작동되는 것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의 요부 확대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텐션 웨이트장치의 웨이트부의 추락시 추락방지부가 작동부에 의해 작동되는 것을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텐션 웨이트장치의 웨이트부의 추락시 추락방지부가 작동부에 의해 작동되는 것을 나타낸 평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벨트컨베이어용 텐션 웨이트장치(1)는 텐션풀리부(100), 웨이트부(200), 이동부(300) 및 추락방지부(400)를 포함한다.
텐션풀리부(100)는 한 쌍으로 벨트부재(12)를 지지한다. 벨트컨베이어(10)는 구동풀리부(11)와 벨트부재(12)를 구비한다. 도 1을 참조하면, 텐션풀리부(100)는 고정부(미도시)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벨트부재(12)의 하측(도 1 기준)에서 지지한다. 구동풀리부(11)는 한 쌍으로 이격되게 배치된다. 벨트부재(12)는 구동풀리부(11)에 감겨 무한궤도 방식으로 회전되면서 원료 등의 이송물을 이송한다. 이때, 구동풀리부(11) 중 어느 하나에는 모터가 장착되어 구동풀리부(11)를 회전시킨다.
웨이트부(200)는 한 쌍의 텐션풀리부(100) 사이에 배치되고, 벨트부재(12)의 텐션을 유지시키며, 복수개의 웨이트부재(240)를 구비한다. 구체적으로, 웨이트부(200)는 한 쌍의 텐션풀리부(100) 사이에서 자체의 무게에 의해 벨트부재(12)를 하측으로 잡아당겨 벨트부재(12)의 장력(TENSION)을 유지시킨다. 웨이트부(200)는 설정 중량 값을 가지는 것으로 이는 요구되는 벨트부재(12)의 장력 값에 대응되도록 달리 설정될 수 있다.
이동부(300)는 웨이트부(200)가 승강가능하게 장착되며, 작동부(320)를 구비한다. 벨트(800)의 절단 등 벨트(800)의 손상으로 웨이트부(200)가 하강하면 추락방지부(400)가 작동부(320)에 의해 작동되고, 웨이트부(200)의 일측을 개방한다.
추락방지부(400)는 작동부(320)에 의해 작동되고, 웨이트부(200)의 일측을 개방하여 웨이트부재(240)를 배출시키고, 웨이트부(200)의 추락을 방지한다. 추락방지부(400)는 웨이트부(200)와 함께 하강하면서 작동부(320)에 걸려 회동된다. 이때, 웨이트부(200)의 하측면이 개방되면서 웨이트부(200)의 내부에 있던 웨이트부재(240)가 외부로 배출된다. 이에 따라, 웨이트부(200)의 하중이 줄어들게 됨에 따라 웨이트부(200)의 추락속도가 감소되어 웨이트부(200)의 충격을 줄일 수 있다. 나아가, 웨이트부(200)의 손상이 방지될 수 있다.
추락방지부(400)는 개폐부(410), 개폐작동부(420) 및 작동정지부(430)를 포함한다. 개폐부(410)는 웨이트부(200)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웨이트부(200)의 일측면을 개폐한다. 개폐부(410)는 한 쌍으로 웨이트부(200)의 하측면(도 2, 도 3 기준)을 개폐가능하도록 웨이트부(200)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된다.
개폐작동부(420)는 개폐부(410)와 연결되고, 웨이트부(200)의 하강시 작동부(320)에 걸려 웨이트부(200) 측으로 회동되고, 개폐부(410)를 회동시켜 개폐부(410)를 개방한다. 개폐작동부(420)는 일단부에 개폐부(410)가 연결되고, 타단부에 작동정지부(430)가 장착된다.
작동정지부(430)는 개폐작동부(420)와 연결되며, 개폐작동부(420)와 함께 회동되고, 웨이트부(200)에 접촉되어 개폐작동부(420)의 회동을 정지시킨다. 작동정지부(430)는 개폐작동부(420)와 함께 설정각도 이상 웨이트부(200) 측으로 회동되면, 웨이트부(200)와 접촉된다(도 5 내지 도 8 참조). 이에 따라, 더 이상 개폐작동부(420)가 웨이트부(200) 측으로 회동되는 것이 방지되고, 웨이트부(200)의 하강이 차단된다.
작동정지부(430)는 롤러 형상으로 개폐작동부(420)에 회동가능하게 장착된다. 작동정지부(430)은 탄성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작동정지부(430)는 웨이트부(200)와 접촉되는 동안 웨이트부(200)와의 마찰이 줄어들어 웨이트부(200)의 손상을 감소시킬 수 있다.
웨이트부(200)는 웨이트풀리부(210), 이동블록부(220), 웨이트박스부(230) 및 복수개의 웨이트부재(240)를 포함한다. 웨이트풀리부(210)는 한 쌍의 텐션풀리부(100) 사이에 배치되고, 벨트부재(12)에 접촉된다.
이동블록부(220)는 웨이트풀리부(210)와 연결되고, 이동부(300)를 따라 승강가능하다. 이동블록부(220)는 웨이트풀리부(210)가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며, 이동부(300)의 이동프레임(310) 양측에 각각 배치되어 한 쌍의 이동프레임(310)에 승강가능하게 장착된다.
웨이트박스부(230)는 이동블록부(220)와 결합되고, 개폐부(410)가 회동가능하게 장착된다. 웨이트박스부(230)는 하측면이 개방된 형상으로(도 5 참조) 이동블록부(220)와 마주하는 측면에 한 쌍의 개폐부(410)가 회동가능하게 장착된다.
복수개의 웨이트부재(240)는 웨이트박스부(230)에 수용되며, 웨이트박스(230)와 함께 웨이트풀리부(210)에 하중을 가하여 벨트부재(12)의 장력을 유지시킨다.
이동부(300)는 이동프레임(310)와 작동부(320)를 포함한다. 이동프레임(310)은 웨이트풀리부(210)의 양측에 배치되며, 이동블록부(220)가 각각 이동가능하게 장착된다. 작동부(320)는 한 쌍으로 서로 마주보게 배치되어 한 쌍의 이동프레임(310)을 연결하며, 개폐작동부(420)가 접촉된다.
작동부(320)는 제1작동프레임(321)과 제2작동프레임(322)을 포함한다. 제1작동프레임(321)은 한 쌍의 이동프레임(310)의 일측부를 서로 연결한다. 제1작동프레임(321)은 한 쌍의 제1작동바(321a)와 제1작동연결바(321b)를 포함한다. 한 쌍의 제1작동바(321a)는 한 쌍의 이동프레임(310)의 일측부에서 외측으로 돌출된다. 제1작동연결바(321b)는 한 쌍의 제1작동바(321a)를 연결하며, 개폐작동부(420)가 접촉된다.
제2작동프레임(322)은 한 쌍의 이동프레임(310)의 타측부를 서로 연결한다. 제2작동프레임(322)은 한 쌍의 제2작동바(322a)와 제2작동연결바(322b)를 포함한다. 한 쌍의 제2작동바(322a)는 한 쌍의 이동프레임(310)의 타측부에서 외측으로 돌출된다. 제2작동연결바(322b)는 한 쌍의 제2작동바(321a)를 연결하며, 개폐작동부(420)가 접촉된다.
이동블록부(220)는 한 쌍으로 웨이트풀리부(210)의 양단부와 각각 연결되고, 한 쌍의 이동프레임(310)에 각각 승강가능하게 장착된다. 이동블록부(220)는 제1이동블록(221)과 제2이동블록(222)을 포함한다. 제1이동블록(221)은 웨이트풀리부(210)의 양측에 배치되며, 웨이트풀리부(210)가 회동가능하게 장착된다. 제2이동블록(222)은 제1이동블록(221)과 연결되며, 웨이트부(200)의 양측에 배치되는 한 쌍의 이동프레임(310)에 각각 승강가능하게 장착된다.
웨이트박스부(230)는 한 쌍의 제1판부(231)와 한 쌍의 제2판부(232), 제3판부(233)를 포함한다. 한 쌍의 제1판부(231)는 이동프레임(310)과 마주보며, 한 쌍의 이동블록부(220)가 각각 결합된다. 한 쌍의 제2판부(232)는 한 쌍의 제1판부(231) 사이에 이격되게 배치되며, 한 쌍의 제1판부(231)를 연결한다. 제3판부(233)는 제1판부(231) 및 제2판부(232)와 연결되고, 제1판부(231) 및 제2판부(232)의 상측면을 덮는다.
개폐부(410)는 한 쌍으로 이웃한 제1판부(231) 사이에 배치되며, 제1판부(231)에 회전축부(412)가 회동가능하게 장착되고, 개폐작동부(420)는 복수개로 회전축부(412)의 양단부에 각각 연결된다. 한 쌍의 제1판부(231)에는 각각 나란하게 관통홀부(231a)가 형성되고, 개폐부(410)의 회전축부(421) 양단부가 각각 관통홀부(231a)에 삽입된다.
구체적으로, 개폐부(410)는 개폐본체(411)와 회전축부(412)를 포함한다. 개폐본체(411)는 한 쌍으로 제1판부(231)와 제2판부(232)가 연결되어 형성한 공간부(미도시)에 나란하게 배치되어 웨이트박스부(230)의 하측면을 폐쇄한다. 회전축부(412)는 복수개로 개폐본체(411)에서 관통홀부(231a) 측으로 돌출형성되며, 관통홀부(231a)에 삽입되어 관통홀부(231a) 상에서 회동가능하다.
이하, 도 3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벨트컨베이어용 텐션 웨이트장치(1)의 작동 및 효과를 살펴보도록 한다.
한 쌍의 구동풀리부(11)에 감긴 벨트부재(12)가 무한궤도 방식으로 회전되고, 구동풀리부(11) 사이에는 한 쌍의 텐션풀리부(100)가 배치되어 벨트부재(12)를 지지한다.
텐션풀리부(100) 사이에는 웨이트부(200)가 배치되는데, 웨이트부(200)의 자체 하중에 의해 벨트부재(12)가 하방으로 이동되어 텐션이 유지되므로, 벨트부재(12)는 일정한 텐션이 작용하는 상태에서 작동된다.
벨트부재(12)는 웨이트부(200)에 의하여 상당한 하중을 지속적으로 받으며, 원료, 소재 등이 반복적으로 실리게 되므로, 장시간 사용에 의하여 벨트부재(12)가 절단되는 경우가 발생한다.
벨트부재(12)가 절단되면, 벨트부재(12)에 의하여 지지되는 웨이트부(200)가 이동부(300)를 따라 하강하게 된다. 이때, 웨이트부(200)와 연결된 추락방지부(400)가 작동된다. 구체적으로, 웨이트부(200)와 연결된 추락방지부(400)가 웨이트부(200)와 함께 하강하면서 이동부(300)의 작동부(320)에 걸려 회동된다.
웨이트부(200)의 하측면이 개방되고, 웨이트부(200)의 내부에 있던 웨이트부재(240)가 웨이트부(200)의 외부로 배출된다. 더불어, 추락방지부(400)가 작동부(320)에 걸려 추락되는 것이 방지된다.
구체적으로, 추락방지부(400)의 개폐작동부(420)가 작동부(320)에 걸려 웨이트부(200) 측으로 회동되고, 추락방지부(400)의 개폐부(410)를 회전시켜 웨이트부(200)의 하측면을 개방한다. 웨이트부재(240)가 웨이트부(200)의 외부로 배출된다. 이때, 추락방지부(400)의 작동정지부(430)는 개폐작동부(420)가 설정각도 이상 웨이트부(200) 측으로 회동되면, 웨이트부(200)와 접촉된다. 이를 통해, 개폐작동부(420)가 웨이트부(200) 측으로 회동되는 것이 차단되고, 웨이트부(200)의 이동이 차단된다. 이로써, 웨이트부(200)가 추락되는 것이 방지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 : 벨트컨베이어용 텐션 웨이트장치 10 : 벨트컨베이어
11 : 구동풀리부 12 : 벨트부재
100 : 텐션풀리부 200 : 웨이트부
210 : 웨이트풀리부 211 : 웨이트풀리축부
212 : 웨이트풀리롤러 220 : 이동블록부
221 : 제1이동블록 222 : 제2이동블록
230 : 웨이트박스부 231 : 제1판부
231a : 관통홀부 232 : 제2판부
233 : 제3판부 240 : 웨이트부재
300 : 이동부 310 : 이동프레임
320 : 작동부 321 : 제1작동프레임
321a : 제1작동바 321b : 제1작동연결바
322 : 제2작동프레임 322a : 제2작동바
322b : 제2작동연결바 400 : 추락방지부
410 : 개폐부 411 : 개폐부본체
412 : 회전축부 420 : 개폐작동부
430 : 작동정지부

Claims (7)

  1. 벨트부재를 지지하는 한 쌍의 텐션풀리부;
    한 쌍의 상기 텐션풀리부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벨트부재의 텐션을 유지시키며, 복수개의 웨이트부재를 구비하는 웨이트부;
    상기 웨이트부가 승강가능하게 장착되며, 작동부를 구비하는 이동부; 및
    상기 작동부와의 접촉시 작동되어 상기 웨이트부의 일측을 개방하여 상기 웨이트부재를 배출시키고, 상기 웨이트부의 추락을 차단하는 추락방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추락방지부는 상기 웨이트부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웨이트부의 일측면을 개폐하는 개폐부와, 상기 개폐부와 연결되고, 상기 작동부에 걸려 회동되어 상기 개폐부를 회동시켜 상기 개폐부를 개방하는 개폐작동부와, 상기 개폐작동부와 연결되며, 상기 개폐작동부와 함께 회동되고, 상기 웨이트부에 접촉되어 상기 개폐작동부의 회동을 정지시키는 작동정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작동정지부는 상기 개폐작동부에 회동가능하게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컨베이어용 텐션 웨이트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웨이트부는,
    한 쌍의 상기 텐션풀리부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벨트부재에 접촉되는 웨이트풀리부;
    상기 웨이트풀리부와 연결되고, 상기 이동부를 따라 승강가능한 이동블록부; 및
    상기 이동블록부와 결합되고, 상기 개폐부가 회동가능하게 장착되며, 복수개의 상기 웨이트부재가 수용되는 웨이트박스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컨베이어용 텐션 웨이트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는,
    상기 웨이트풀리부의 양측에 배치되며, 상기 이동블록부가 각각 이동가능하게 장착되는 한 쌍의 이동프레임; 및
    한 쌍의 상기 이동프레임을 연결하며, 상기 개폐작동부가 접촉되는 한 쌍의 상기 작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컨베이어용 텐션 웨이트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웨이트박스부는,
    상기 이동프레임과 마주보며, 한 쌍의 상기 이동블록부가 각각 결합되는 한 쌍의 제1판부; 및
    한 쌍의 상기 제1판부 사이에 이격되게 배치되며, 한 쌍의 상기 제1판부를 연결하는 한 쌍의 제2판부;를 포함하고,
    상기 개폐부는 한 쌍으로 회전축부가 상기 제1판부에 회동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개폐작동부는 복수개로 상기 회전축부와 각각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컨베이어용 텐션 웨이트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웨이트박스부는,
    상기 제1판부 및 상기 제2판부와 연결되고, 상기 제1판부 및 상기 제2판부을 덮는 제3판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컨베이어용 텐션 웨이트장치.
KR1020190132596A 2019-10-24 2019-10-24 벨트컨베이어용 텐션 웨이트장치 KR1022643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2596A KR102264339B1 (ko) 2019-10-24 2019-10-24 벨트컨베이어용 텐션 웨이트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2596A KR102264339B1 (ko) 2019-10-24 2019-10-24 벨트컨베이어용 텐션 웨이트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48665A KR20210048665A (ko) 2021-05-04
KR102264339B1 true KR102264339B1 (ko) 2021-06-11

Family

ID=759138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32596A KR102264339B1 (ko) 2019-10-24 2019-10-24 벨트컨베이어용 텐션 웨이트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64339B1 (ko)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55890A (ko) * 1997-12-29 1999-07-15 이구택 벨트콘베어의 텐션웨이트 무게제어장치
KR101281770B1 (ko) * 2011-09-28 2013-07-02 주식회사 포스코 벨트 컨베이어의 텐션 장치
KR20190030934A (ko) * 2017-09-15 2019-03-25 현대제철 주식회사 벨트컨베이어용 텐션 웨이트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48665A (ko) 2021-05-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57245B2 (en) Chain-type conveyor having direction-changing roller
CN112047016B (zh) 一种燃煤输送用斗式提升机
KR102264339B1 (ko) 벨트컨베이어용 텐션 웨이트장치
KR20130034493A (ko) 벨트 컨베이어의 텐션 장치
US2087813A (en) Material handling device
KR102336752B1 (ko) 벨트컨베이어용 텐션 웨이트장치
KR100873691B1 (ko) 스폰지 자동 재단장치
KR102348978B1 (ko) 벨트컨베이어용 텐션 웨이트장치
KR101495490B1 (ko) 케이블 풀링장치
KR20190030934A (ko) 벨트컨베이어용 텐션 웨이트장치
JPH06115679A (ja) 方向転換装置
KR101615022B1 (ko) 벨트 컨베이어 장치
KR20130130135A (ko) 벨트의 사행방지장치 및 그를 구비한 석탄 이송용 컨베이어 시스템
KR102245785B1 (ko) 박스포장용 테이프접착장치
KR102275915B1 (ko) 트리퍼카용 낙광 방지장치
US2880852A (en) Belt tension limiting device for belt conveyors
KR200265064Y1 (ko) 언로우더 피더의 과불출 차단장치
KR20200077739A (ko) 벨트컨베이어용 낙광 제거장치
CN219990502U (zh) 一种物料提升机垂直移栽装置
KR102588142B1 (ko) 비산 분진 방지용 슈트 장치
CA3085755A1 (en) Conveying and sorting apparatus
JP6219249B2 (ja) 小物部品箱詰装置
JPH0141698Y2 (ko)
KR200233687Y1 (ko) 릴레이빈 피더의 광석흐름 차단장치
KR20000020148U (ko) 호퍼의 자동게이트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