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40299B1 - 체인 컨베이어용 텐션장치 - Google Patents

체인 컨베이어용 텐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40299B1
KR102240299B1 KR1020190129981A KR20190129981A KR102240299B1 KR 102240299 B1 KR102240299 B1 KR 102240299B1 KR 1020190129981 A KR1020190129981 A KR 1020190129981A KR 20190129981 A KR20190129981 A KR 20190129981A KR 102240299 B1 KR102240299 B1 KR 1022402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in
block
housing
tension
spro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299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우
박병열
민순홍
Original Assignee
이상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상우 filed Critical 이상우
Priority to KR10201901299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4029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402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402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3/00Driving gear for endless conveyors; Belt- or chain-tensioning arrangements
    • B65G23/44Belt or chain tensioning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7/00Indexing codes relating to constructional details, configuration and additional features of a handling device, e.g. Conveyors
    • B65G2207/40Safety features of loads, equipment or pers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812/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kind or type of conveyors
    • B65G2812/02Belt or chain conveyors
    • B65G2812/02009Common features for belt or chain convey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vices For Conveying Motion By Means Of Endless Flexible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체인 컨베이어의 스프로킷을 체인과 함께 연결하여 체인 컨베이어를 제공하는 텐션장치이며, 체인의 스프로킷을 밀어 장력을 유지하면서 체인의 처짐을 자동 조절되도록 하는 체인 컨베이어용 텐션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은 목적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무한궤도 형태의 체인(10)이 위아래로 감겨 지지되는 베이스 프레임(100)과; 상기 베이스 프레임(100)의 끝단부로 체인(10)의 회전을 위한 스프로킷(20)을 연결시켜 마련되는데, 상기 스프로킷(20)의 연결 측 하부에 마련된 가이드홈(212)이 고정체인 가이드블록(220)에 슬라이드 결합되면서 상기 스프로킷(20)의 연결 측을 전후 이동 가능하게 하는 하우징(200)과; 상기 하우징(200)의 일단부로 임의 간격 이격된 상태에서 상기 베이스 프레임(100)에 결합되는 메인 블록(300)과; 상기 메인 블록(300)과 하우징(200) 사이에서 전후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데, 상기 체인(10)의 장력이 줄어 처지면 상시 스프로킷(20)의 연결 측을 체인(10)의 궤도 바깥쪽으로 넓히면서 장력을 크게 하는 장력 조절 기능을 제공하는 푸시 블록(4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체인 컨베이어용 텐션장치 {Tensioner Device for Chain Conveyor}
본 발명은 체인 컨베이어의 스프로킷을 체인과 함께 연결하여 체인 컨베이어를 제공하는 텐션장치이며, 체인의 스프로킷을 밀어 장력을 유지하면서 체인의 처짐을 자동 조절되도록 하는 체인 컨베이어용 텐션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컨베이어는 각종 산업분야에서 물품의 이송을 위해 널리 사용되는데, 컨베이어에는 체인 컨베이어 벨트 컨베이어가 대표적이며, 이중 체인 컨베이어는 물품의 적용 범위가 넓고, 내구성이 좋고, 경사 수직 수평 등 모든 방향의 이동을 수행할 수 있어 그 활용도가 매우 크다.
이러한 체인 컨베이어는 다수의 링크가 연결되어 이루어진 체인의 양단부로 스프로킷이 연결되고, 상기 스프로킷은 모터에 연결되면서 스프로킷의 회전에 따라 무한궤도 형태의 체인이 회전하면서 회전동력을 이용해 물품을 연속 이송시키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예를 들어, 종래 국내공개특허공보 제10-2013-0082212호를 살펴보면, 메인프레임 상에 연결되어 축 회전되는 고정횔; 상기 고정휠의 맞은편에 배치되어 체인과 연결되며 체인의 처짐 및 당김에 따라 좌우로 유동되는 유동휠; 상기 고정휠과 유동휠을 연결하는 와이어; 상기 와이어의 일단부와 연결되어 상기 유동휠의 좌우 유동에 따라 상하로 승강되는 중량체; 및 상기 와이어의 타단부와 연결되고 상기 유동휠이 상기 고정휠 방향으로 당겨지도록 와이어를 권취하는 권취부;를 포함한 체인 컨베이어용 체인 처짐 방지장치가 제시되어 있다.
또한, 종래 국내등록특허공보 제10-1592237호를 살펴보면, 다수의 다리부, 이 다리부의 상부에 연결하여 장착되면서 좌,우 양측에 배치된 지지프레임, 지지프레임에 설치된 체인, 모터의 동력을 전달하도록 체인의 일측부에 구동스프라켓이 설치된 구동부, 체인의 회전을 지지하도록 체인의 타측부에 종동스프라켓이 설치된 종동부 및, 양측의 지지프레임을 사이에 개재된 지지바를 포함하는 체인컨베이어가 제시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 체인 컨베이어는 체인 컨베이어의 작동 중 시간이 지나면 체인의 구조 특성상 처짐이 발생하는데, 상기 체인의 처짐을 작업자가 수작업으로 직접 조절하면 체인 컨베이어를 사용하지 못해 생산성이 떨어지고, 수작업을 대신하기 위해 체인의 장력을 유지하는 중량체 등을 연결하는 구조는 장력 조절을 수행하지 못하기 때문에 체인이 중량체에 의한 무리한 하중으로 끊어지는 등의 파손을 야기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국내공개특허공보 제10-2013-0082212호가 제시되어 있다. 국내등록특허공보 제10-1592237호가 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종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체인 컨베이어의 스프로킷 연결 부분을 스프링의 반발력을 이용해 체인 궤도 방향의 바깥쪽으로 밀어 이동시키면서 장력을 자동 유지되게 하여 체인 컨베이어의 장력 조절 중에 컨베이어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 생산성을 향상되게 하면서 체인의 장력을 유지하기 위해 무리한 하중이 가해지지 않아 체인의 파손을 방지하면서 사용수명을 늘릴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무한궤도 형태의 체인이 위아래로 감겨 지지되는 베이스 프레임과;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끝단부로 체인의 회전을 위한 스프로킷을 연결시켜 마련되는데, 상기 스프로킷의 연결 측 하부에 마련된 가이드홈이 고정체인 가이드블록에 슬라이드 결합되면서 상기 스프로킷의 연결 측을 전후 이동 가능하게 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일단부로 임의 간격 이격된 상태에서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결합되는 메인 블록과;
상기 메인 블록과 하우징 사이에서 전후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데, 상기 체인의 장력이 줄어 처지면 상시 스프로킷의 연결 측을 체인의 궤도 바깥쪽으로 넓히면서 장력을 크게 하는 장력 조절 기능을 제공하는 푸시 블록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인 컨베이어용 텐션장치를 제공한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르면, 체인 컨베이어의 스프로킷 연결 부분이 스프링의 반발력을 이용해 체인 궤도 방향의 바깥쪽으로 밀리면서 이동하여 장력을 자동 유지함에 따라 체인 컨베이어의 장력 조절 중에 컨베이어를 사용할 수 있어 생산성이 향상되고, 체인의 장력을 유지하기 위해 무리한 하중이 가해지지 않아 체인의 파손을 방지하고 사용 수명을 늘릴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체인 컨베이어용 텐션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체인 컨베이어용 텐션장치의 작동상태의 도면.
본 발명에 따른 체인 컨베이어용 텐션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이하 상세히 기술되는 실시 예들에 의해 그 특징들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본 고안이 속하거나 속하지 아니한 기술분야에서 광범위하게 널리 알려져 사용되고 있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하며, 이는 불필요한 설명을 생략함과 더불어 이에 따른 본 고안의 요지를 더욱 명확하게 전달하기 위함이다.
이하, 본 발명의 기본 구성의 실시 예로서, 제1 실시 예에 따른 체인 컨베이어용 텐션장치에 대한 각부 구성을 도 1 내지 도 3을 참고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텐션장치의 정면, 도 2는 텐션장치의 측면도, 도 3은 텐션장치의 평면도, 도 4는 텐션장치 중 하우징(200), 메인 블록(300), 푸시 블록(400)의 사시도이다.
이에 따른 체인 컨베이어용 텐션장치(1)를 개략적으로 살펴보면, 체인(10)이 지지되는 베이스 프레임(100); 체인(10) 연결을 위한 스프로킷(20)의 연결 측을 전후 이동 가능하게 하는 하우징(200); 베이스 프레임(100)에 결합되는 메인 블록(300); 체인(10)에 대한 장력 조절 기능을 제공하는 푸시 블록(4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체인 컨베이어용 텐션장치(1)의 세부 구성을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상세하게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베이스 프레임(100)은;
무한궤도 형태의 체인(10)이 위아래로 감겨 지지되며, 상기 체인(10)의 가이드를 위한 것이다.
예를 들면, 상기 베이스 프레임(100)은; 단면이 연속되는 알루미늄 프로파일 형태로 체인 컨베이어의 제작에 따른 길이를 갖고, 상기 베이스 프레임(100)의 양측에는 메인 블록(300) 및 하우징(200)의 결합을 위해 상기 메인 블록(300) 및 하우징(200)에 각각 구비되는 슬라이드바(120)의 끼움 공간을 제공하는 프레임홈(110)을 더 포함한다.
상기 프레임홈(110)은 베이스 프레임(100)의 길이방향으로 연속되는 홈으로 형성되는데 상기 메인 블록(300) 및 하우징(200)이 슬라이드바(120)를 이용해 베이스 프레임(100)에 결합되게 하며, 상기 프레임홈(110)은 슬라이드바(120)가 슬라이드 결합되게 하여 상기 메인 블록(300) 및 하우징(200)의 결합 위치를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상기 슬라이드바(120)는 상기 베이스 프레임(100)과 메인 블록(300) 및 하우징(200) 사이로 볼트체결되는 막대 형태로 상기 프레임홈(110)에 슬라이드 결합 가능한 크기로 제작되며, 상기 슬라이드바(120)는 메인 블록(300) 및 하우징(200)에 상하 한 쌍으로 각각 결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베이스 프레임(100)은 슬라이드바(120)가 결합되는 프레임홈(110)을 갖는 구조 안에서 체인 컨베이어의 종류에 따라 자유롭게 형상을 변형할 수 있고, 상기 베이스 프레임(100)의 일 끝단부로 텐션장치(1)를 설치하거나, 상기 베이스 프레임(100)의 양끝단부에 텐션장치(1)를 각각 선택적 설치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200)은;
상기 베이스 프레임(100)의 끝단부로 체인(10)의 회전을 위한 스프로킷(20)을 연결시켜 마련되는데, 상기 스프로킷(20)의 연결 측 하부에 마련된 가이드홈(212)이 고정체인 가이드블록(220)에 슬라이드 결합되면서 상기 스프로킷(20)의 연결 측을 전후 이동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예를 들면, 상기 하우징(200)은; 스프로킷(20)의 축 결합되는 축홀(211)이 마련되고, 상기 축홀(211)의 하단부로 가이드블록(220)이 슬라이드 결합되게 하는 가이드홈(212)이 마련되며, 서로 임의 간격으로 대향된 한 쌍의 측판(210)을 더 포함한다.
상기 한 쌍의 측판(210)은 서로 대향된 판이 베이스 프레임(100)의 끝단부 양측에 각각 구비되면서 마련되고, 상기 측판(210)에는 스프로킷(20)이 축 결합되는 축홀(211)이 관통 구멍으로 형성되며, 상기 축홀(211)의 하단부로 가이드블록(220)이 슬라이드 결합되게 하는 가이드홈(212)이 직선 홈 형태로 형성된다.
이때, 상기 측판(210)의 가이드홈(212) 상부에는 슬라이드바(120)를 측판(210)과 베이스 프레임(100) 사이로 볼트결합하기 위한 연결홀(213)이 관통 구멍으로 상기 슬라이드바(120)의 결합 위치에 대응 형성된다.
한편, 상기 측판(210)은 텐션장치(1)의 설치 측에 고정된 가이드블록(220)에 슬라이드 결합되는데, 상기 하우징(200)에 상기 가이드블록(220)이 끼워지면서 슬라이드 결합을 가능하게 하고, 한 쌍의 측판(210) 양측에 각각 가이드블록(220)이 조립됨으로 상기 한 쌍의 측판(210)이 가이드블록(220)에 견고하게 지지되면서 전후 이동을 안정적으로 수행할 수 있게 된다.
특징적으로 상기 한 쌍의 측판(210)은 가이드홈(212)을 통해 가이드블록(220)에 슬라이드 결합될 수 있어 상기 가이드홈(212)이 가이드블록(220)을 통해 직선 이동이 안내되고, 직선 이동이 안내되면서 상기 한 쌍의 측판(210)이 전후 이동을 자유롭게 수행하게 된다.
또한, 상기 하우징(200)은; 측판(210)의 가이드홈(212)에 상단부가 슬라이드 결합되고, 상기 슬라이드 결합된 측 하단부는 텐션장치(1)의 설치 측에 고정되어 상기 하우징(200)을 가이드홈(212)을 따라 전후 직선 이동되게 하는 가이드블록(220)을 더 포함한다.
상기 가이드블록(220)은 직각으로 꺾인 "ㄱ"자 형태의 블록으로 제작되는데, 상기 가이드블록(220)의 상단부는 측판(210)의 가이드홈(212)에 슬라이드 결합되고, 상기 가이드블록(220)의 하단부는 텐션장치(1)가 설치되는 측에 고정되어 상기 한 쌍의 측판(210)이 전후 이동을 안내하는 동시에 한 쌍의 측판(210)의 지지하는 기능을 한다.
또한, 상기 하우징(200)은; 한 쌍의 측판(210) 사이를 연결하여 구비되는데, 상기 축홀(211)에 축 결합되는 스프로킷(20)의 둘레로 회전하는 체인(10)의 일부를 가이드하는 커버블록(230); 및 상기 커버블록(230)의 인접한 측에서 상기 한 쌍의 측판(210) 사이를 연결하여 지지하는 연결블록(240)을 더 포함한다.
상기 커버블록(230)은, 한 쌍의 측판(210) 사이로 스프로킷(20)에 연결된 체인(10)의 외측 일부를 감싸는 형태의 블록으로 제작되는데, 상기 커버블록(230)의 양단부가 한 쌍의 측판(210)에 각각 볼트결합되면서 고정되고, 상기 체인(10)의 외측 일부를 감싸는 측은 체인(10)의 회전반경에 대응한 라운드 형으로 이루어지면서 체인(10)의 외측 둘레면이 스프로킷(20)의 회전 중 커버블록(230)의 라운드면 안쪽에 지지되면서 안내되어 상기 체인(10)의 이탈을 방지하고, 이물질 등의 유입을 차단한다.
상기 연결블록(240)은, 한 쌍의 측판(210) 사이의 간격에 대응한 바 형태로 제작되며, 상기 연결블록(240)의 양단부가 상기 한 쌍의 측판(210) 사이에서 볼트결합되면서 고정되어 상기 한 쌍의 측판(210)을 고정하게 된다.
예컨대, 상기 하우징(200)을 더 부가함에 따라 체인(10) 연결을 위한 스프로킷(20)이 전후로 이동할 수 있어 체인(10)의 장력 변화에 따른 스프로킷(20)의 위치 가변으로 체인(10)의 작동 중 장력 조절을 가능하게 한다.
그리고, 상기 메인 블록(300)은;
상기 하우징(200)의 일단부로 임의 간격 이격된 상태에서 상기 베이스 프레임(100)에 결합되며, 하우징(200)의 전후 이동을 지지하기 위한 것이다.
예를 들면, 상기 메인 블록(300)은; 하우징(200) 내향 방향으로 인접하게 위치된 상태에서 베이스 프레임(100)의 양측에 각각 구비되는데, 상기 메인 블록(300)이 하우징(200)에 인접한 측에는 푸시 블록(400)의 슬라이드 결합을 위한 제1레일(310)이 마련되고, 상기 제1레일(310)의 인접한 측에는 슬라이드바(120)를 볼트결합하기 위한 결합홀(321)이 관통 구멍으로 형성된다.
이때, 상기 메인 블록(300)은 상기 베이스 프레임(100)에 슬라이드바(120)를 이용해 슬라이드 결합되는데, 상기 메인 블록(300)은 슬라이드바(120)가 베이스 프레임(100)의 프레임홈(110)에 끼워지면서 슬라이드 됨으로 메인 블록(300)의 결합 위치를 조절할 수 있고, 상기 슬라이드바(120)를 통헤 메인 블록(300)이 베이스 프레임(100)에 지지된다.
한편, 상기 메인 블록(300)의 제1레일(310) 측에는 스프링(331)의 일단부가 삽입되너 지지되면서 탄성력을 발휘되게 하는 제1탄지홈(322)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메인 블록(300)은; 푸시 블록(400)이 결합된 측 사이로 스프링(331)을 탄성 지지되게 삽입시키며, 상기 스프링(331)의 탄성력으로 상기 푸시 블록(400)이 체인(10)의 장력 변화에 따라 상기 하우징(200)을 전후 이동시키면서 스프로킷(20)의 연결 위치를 자동 조절시켜 불규칙 적인 장력을 상쇄시키는 연결구(330)를 더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연결구(330)는, 메인 블록(300)을 관통하면서 스프링(331)이 끼워진 상태로 푸시 블록(400)에 나사결합되고, 상기 나사 결합을 통해 상기 스프링(331)을 압축시 탄성력을 제공하고 분리시 스프링(331)의 분해를 가능하게 하는 지지핀(332); 및 상기 지지핀(332)을 통해 메인 블록(300)과 푸시 블록(400) 사이에 끼워져 탄성력을 발휘하는 스프링(331);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지지핀(332)은, 끝단부에 나사산을 갖는 볼트 형태로 제작되는데, 상기 지지핀(332)은 메인 블록(300)을 관통하면서 상기 제1탄지홈(322)에 삽입된 스프링(331)을 끼워 지지한 상태로 상기 푸시 블록(400)에 나사결합되고, 상기 지지핀(332)의 나사결합 되면서 스프링(331)을 압축시킴으로 상기 스프링(331)의 탄성력이 발휘되면서 메인 블록(300)과 푸시 블록(400) 사이에 가압력을 제공하고, 상기 지지핀(332)의 분리로 스프링(331)을 분해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스프링(331)은, 코일 스프링의 일종이며 상기 메인 블록(300)과 푸시 블록(400) 사이에 삽입되는데, 바람직하게는 상기 스프링(331)이 지지핀(332)에 끼워진 상태에서 메인 블록(300)의 제1탄지홈(322)과 푸시 블록(400)에 형성된 제2탄지홈(421)에 양단부가 각각 삽입되어 탄성력이 발휘되게 지지된다.
이때, 상기 스프링(331)은 상기 지지핀(332)을 압축된 탄성력으로 상기 푸시 블록(400)을 하우징(200) 측으로 밀어 압박되게 하는데, 상기 스프링(331)에 의한 푸시 블록(400)의 유동적인 완충작용으로 체인(10)의 불규칙 적인 장력 변화에 따라 상기 푸시 블록(400)이 하우징(200)을 밀거나 후퇴하면서 스프로킷(20)의 연결 위치가 전후 이동하여 완충시키면서 체인(10)의 장력을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자동 조절할 수 있게 한다.
예컨대, 상기 연결구(330)를 더 부가함에 따라 스프링(331)을 이용한 탄성력으로 하우징(200)의 위치를 체인(10)의 불규칙 적인 장력 변화에 따라 완충시키면서 장력이 커지면 장력을 줄이고, 장력이 약해지면 스프링(331)의 탄성력으로 높일 수 있어 별도 장력 조절 작업 없이 체인(10)의 장력이 연결구(330)에 의해 자동으로 조절되면서 편의성이 대폭 향상되게 된다.
또한, 상기 메인 블록(300)은; 푸시 블록(400)이 결합된 측으로 관통 결합되는데, 나선결합에 의한 전진 또는 후진 이동으로 상기 푸시 블록(400)의 간격을 조절하는 스토퍼(340)를 더 포함한다.
상기 스토퍼(340)는 외주에 나사산을 갖는 볼트 형태로 제작되며, 상기 스토퍼(340)는 메인 블록(300)에 나사결합되면서 관통 삽입되고, 상기 스토퍼(340)가 삽입된 측의 끝단부가 상기 푸시 블록(400)에 접촉되면서 상기 푸시 블록(400)이 메인 블록(300) 측으로 이동하는 간격을 결정하는데, 상기 스토퍼(340)가 메인 블록(300)에 관통된 길이를 가변하면서 상기 푸시 블록(400)의 이동 간격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예컨대, 상기 스토퍼(340)를 더 부가함에 따라 푸시 블록(400)의 이동 간격을 장력이 줄어 최소한의 작동을 요구하는 한계지점을 넘어서지 않도록 조절할 수 있고, 무거운 물품을 체인(10)에 올려두면서 발생하는 등의 불규칙적 장력에서 체인(10)의 작동 불능 한계지점까지 푸시 블록(400)이 이동하는 것을 차단하여 체인(10) 등의 파손을 방지하게 한다.
그리고, 상기 푸시 블록(400)은;
상기 메인 블록(300)과 하우징(200) 사이에서 전후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데, 상기 체인(10)의 장력이 줄어 처지면 상시 스프로킷(20)의 연결 측을 체인(10)의 궤도 바깥쪽으로 넓히면서 장력을 크게 하는 장력 조절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예를 들면, 상기 푸시 블록(400)은; 하우징(200)과 메인 블록(300) 사이에 위치된 상태에서 상기 연결구(330)에 마련된 스프링(331)의 탄성력으로 하우징(200) 측으로 밀리면서 접촉되게 구비되는데, 상기 푸시 블록(400)이 메인 블록(300)에 인접한 측에는 메인 블록(300)의 제1레일(310)에 요철(凹凸) 형태로 결합되면서 슬라이드 이동하기 위한 제2레일(410)이 마련된다.
상기 제2레일(410) 및 제1레일(310)은 푸시 블록(400) 및 메인 블록(300)의 상하단에 각각 마련되어 푸시 블록(400)의 상하단을 메인 블록(300)에 각각 지지되게 하면서 직선 이동을 안정적으로 수행되게 한다.
이때, 상기 푸시 블록(400)의 메인 블록(300)에 인접한 면에는 상기 연결구(330)의 스프링(331) 일단부가 삽입되는 제2탄지홈(421)이 형성되고, 상기 제2탄지홈(421)에 인접한 측으로 지지핀(332)이 나사결합되기 위한 나사구멍이 형성된다.
특징적으로 상시 푸시 블록(400)은 연결구(330)의 스프링(331)에 의한 탄성력으로 지지되면서 상기 하우징(200)에 압박되는 동시에 상기 메인 블록(300)에 제1레일(310) 및 제2레일(410)로 슬라이드 결합되어 직선 이동이 가능함에 따라 체인(10)의 장력이 줄어 처지면 상기 스프링(331)의 탄성력으로 하우징(200)을 체인(10)의 궤도 바깥쪽으로 밀어 넓히면서 스프로킷(20)의 연결 위치를 가변시킴에 따라 장력이 커지면서 장력 조절 기능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예컨대, 상기 푸시 블록(400)을 더 부가함에 따라 체인 컨베이어에서 스프로킷(20)의 연결 부분을 스프링(331)의 반발력이 작용하는 푸시 블록(400)이 체인(10)의 궤도 방향으로 스프로킷(20)이 이동하도록 밀면서 장력을 자동 유지되게 하여 체인 컨베이어의 장력 조절 중에 컨베이어의 작동정지 없이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키면서 체인(10)의 장력을 유지하기 위해 무리한 하중이 가해지지 않아 체인(10)의 파손을 방지하여 사용수명을 늘리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의 작동 상태의 실시 예로서, 체인 컨베이어용 텐션장치의 작동 상태를 도 5를 참고로 설명한다. 도 5는 텐션장치의 측면도이다.
이에 따르면, 전술한 구조로 이루어진 텐션장치(1)는, 무한궤도 형태인 체인(10)을 베이스 프레임(100)의 위아래로 감은 후 상기 베이스 프레임(100)의 끝단부에 텐션장치(1)를 설치하고, 상기 텐션장치(1)의 타단으로 회전 작동을 위한 모터 등의 동력기기를 연결시켜 체인 컨베이어를 제공한다.
이때, 상기 텐션장치(1)가 적용된 체인 컨베이어의 작동 중 상기 체인(10)의 회전 중 물품을 운반하는 과정에서 장시간 사용에 따른 체인(10) 연결부의 벌어짐이나 물품의 무게에 의해 체인(10)의 장력이 약해지면서 처짐이 발생할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이 체인(10)에 장력 변화에 따른 처짐이 발생하면 상기 푸시 블록(400)이 스프링(331)의 탄성력을 이용해 하우징(200)을 통해 연결된 체인(10)의 스프로킷(20)을 체인(10)의 궤도 바깥쪽으로 이동되게 넓히면서 장력이 커지게 하고, 이와 같은 장력 조절 기능을 통해 체인(10)이 처지는 것을 방지하게 되며, 이에 따라 체인 컨베이어의 운반 중 작동정지 없이 장력 조절이 가능하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한 설명과 도면으로 표현하였으나, 여기서 사용하는 용어들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설명하기 위함이며, 이 용어들에 대한 의미 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위를 제한하기 위함이 아니며,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예에 따른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나타난 발명의 사상 및 영역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 및 개조, 수정 등이 가능할 수 있음을 누구나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1; 텐션 장치 10; 체인
20; 스프로킷 100; 베이스 프레임
110; 프레임홈 200; 하우징
210; 측판 220; 가이드블록
230; 커버블록 240; 연결블록
300; 베이스 블록 310; 제1레일
330; 연결구 340; 스토퍼
400; 푸시 블록 410; 제2레일

Claims (5)

  1. 무한궤도 형태의 체인(10)이 위아래로 감겨 지지되는 베이스 프레임(100)과;
    상기 베이스 프레임(100)의 끝단부로 체인(10)의 회전을 위한 스프로킷(20)을 연결시켜 마련되는데, 상기 스프로킷(20)의 연결 측 하부에 마련된 가이드홈(212)이 고정체인 가이드블록(220)에 슬라이드 결합되면서 상기 스프로킷(20)의 연결 측을 전후 이동 가능하게 하는 하우징(200)과;
    상기 하우징(200)의 일단부로 임의 간격 이격된 상태에서 상기 베이스 프레임(100)에 결합되는 메인 블록(300)과;
    상기 메인 블록(300)과 하우징(200) 사이에서 전후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데, 상기 체인(10)의 장력이 줄어 처지면 상시 스프로킷(20)의 연결 측을 체인(10)의 궤도 바깥쪽으로 넓히면서 장력을 크게 하는 장력 조절 기능을 제공하는 푸시 블록(400)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하우징(200)은 스프로킷(20)이 축 결합되는 축홀(211)이 마련되고, 상기 축홀(211)의 하단부로 가이드블록(220)이 슬라이드 결합되게 하는 가이드홈(212)이 마련되며, 서로 임의 간격으로 대향된 한 쌍의 측판(210)을 더 포함하고,
    상기 측판(210)의 가이드홈(212)에 상단부가 슬라이드 결합되고, 상기 슬라이드 결합된 측 하단부는 텐션장치의 설치 측에 고정되어 상기 하우징(200)을 가이드홈(212)을 따라 전후 직선 이동되게 하는 가이드블록(220)을 더 포함하며,
    상기 메인 블록(300)은 푸시 블록(400)이 결합된 측 사이로 스프링(331)을 탄성 지지되게 삽입시키며, 상기 스프링(331)의 탄성력으로 상기 푸시 블록(400)이 체인(10)의 장력 변화에 따라 상기 하우징(200)을 전후 이동시키면서 스프로킷(20)의 연결 위치를 자동 조절시켜 불규칙 적인 장력을 상쇄시키는 연결구(330)를 더 포함하고,
    상기 메인 블록(300)은 하우징(200) 내향 방향으로 인접하게 위치된 상태에서 베이스 프레임(100)의 양측에 각각 구비되는데, 상기 메인 블록(300)이 하우징(200)에 인접한 측에는 푸시 블록(400)의 슬라이드 결합을 위한 제1레일(310)이 마련되고,
    상기 푸시 블록(400)은 하우징(200)과 메인 블록(300) 사이에 위치된 상태에서 상기 연결구(330)에 마련된 스프링(331)의 탄성력으로 하우징(200) 측으로 밀리면서 접촉되게 구비되는데, 상기 푸시 블록(400)이 메인 블록(300)에 인접한 측에는 메인 블록(300)의 제1레일(310)에 요철(凹凸) 형태로 결합되면서 슬라이드 이동되게 하는 제2레일(410)이 마련된 것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1레일(310) 및 제2레일(410)은 푸시 블록(400) 및 메인 블록(300)의 상하단에 각각 마련되어 푸시 블록(400)의 상하단을 메인 블록(300)에 각각 지지되게 하면서 상기 푸시 블록(400)의 직선 이동을 안정적으로 수행되게 하는 것을 더 포함한 체인 컨베이어용 텐션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200)은 한 쌍의 측판(210) 사이를 연결하여 구비되는데, 상기 축홀(211)에 축 결합되는 스프로킷(20)의 둘레로 회전하는 체인(10)의 일부를 가이드하는 커버블록(230)을 더 포함한 체인 컨베이어용 텐션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블록(300) 및 하우징(200)은 베이스 프레임(100)의 양측에 각각 형성된 프레임홈(110)에 슬라이드바(120)가 슬라이드 결합되는 구조로 상기 베이스 프레임(100)에 결합될 수 있고, 상기 슬라이드바(120)의 직선 이동으로 메인 블록(300) 및 하우징(200)의 결합 위치를 간편하게 조절하는 것을 더 포함한 체인 컨베이어용 텐션장치.
KR1020190129981A 2019-10-18 2019-10-18 체인 컨베이어용 텐션장치 KR1022402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9981A KR102240299B1 (ko) 2019-10-18 2019-10-18 체인 컨베이어용 텐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9981A KR102240299B1 (ko) 2019-10-18 2019-10-18 체인 컨베이어용 텐션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40299B1 true KR102240299B1 (ko) 2021-04-14

Family

ID=754776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29981A KR102240299B1 (ko) 2019-10-18 2019-10-18 체인 컨베이어용 텐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4029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275464A (zh) * 2022-01-05 2022-04-05 中冶华天南京工程技术有限公司 一种链式移钢机外置活动移钢头及链式移钢机
KR20230134907A (ko) 2022-03-15 2023-09-22 현대무벡스 주식회사 체인 컨베이어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97032Y1 (ko) * 2005-07-15 2005-09-28 엄천섭 순환형 음식물 반송 시스템의 구동 체인 컨베이어 텐션조절 장치
KR20130082212A (ko) 2012-01-11 2013-07-19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체인컨베이어용 체인 처짐 방지장치
KR101592237B1 (ko) 2014-05-19 2016-02-05 주식회사 티에스피지 체인컨베이어
JP2018058698A (ja) * 2016-09-30 2018-04-12 住友金属鉱山株式会社 チェーンコンベヤのチェーン緊張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97032Y1 (ko) * 2005-07-15 2005-09-28 엄천섭 순환형 음식물 반송 시스템의 구동 체인 컨베이어 텐션조절 장치
KR20130082212A (ko) 2012-01-11 2013-07-19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체인컨베이어용 체인 처짐 방지장치
KR101592237B1 (ko) 2014-05-19 2016-02-05 주식회사 티에스피지 체인컨베이어
JP2018058698A (ja) * 2016-09-30 2018-04-12 住友金属鉱山株式会社 チェーンコンベヤのチェーン緊張装置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275464A (zh) * 2022-01-05 2022-04-05 中冶华天南京工程技术有限公司 一种链式移钢机外置活动移钢头及链式移钢机
CN114275464B (zh) * 2022-01-05 2023-11-21 中冶华天南京工程技术有限公司 一种链式移钢机外置活动移钢头及链式移钢机
KR20230134907A (ko) 2022-03-15 2023-09-22 현대무벡스 주식회사 체인 컨베이어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40299B1 (ko) 체인 컨베이어용 텐션장치
US7467708B2 (en) Belt conveyor and method of converting a roller conveyor to a belt conveyor, and retrofit kit
US5009353A (en) Cable tensioning device
US7604110B2 (en) Belt-driven accumulator for curved roller segment
US8272503B2 (en) Support device for a conveyor installation and method for operation of a conveyor installation
JP5859989B2 (ja) コンベア
US5692597A (en) Conveyor belt assembly
US9285021B2 (en) Linear module with a support device
US3323636A (en) Live roller conveyor
KR20110020744A (ko) 중하물 운반용 지지 장치
US20100108474A1 (en) Conveyor system
CN104736459A (zh) 强制性驱动低张力传送输送机
US6415905B1 (en) Transport device
US3306430A (en) Belt-chain combination drive
AU2018413069B2 (en) Conveyor belt replacement device and conveyor belt pulling mechanism for belt conveyor
DE10125854A1 (de) Transporteinrichtung, insbesondere Transportband
CN208135353U (zh) 一种移动皮带输送机
CN212696687U (zh) 一种立式甘蔗收获机的甘蔗输送装置
CN211003170U (zh) 一种伸缩式皮带输送机
KR20050029140A (ko) 커브 벨트컨베이어
US5281031A (en) Linear motion guide unit having a synchronized retainer
US20020070101A1 (en) Chain tensioning structure
EP2834534B1 (en) Cable chain system
US4573369A (en) Linear drive
US3263797A (en) Roller conveyor having power driven rolle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