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47193A - 화상형성장치의 폐토너 용기 착탈 구조 - Google Patents
화상형성장치의 폐토너 용기 착탈 구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10047193A KR20210047193A KR1020190130955A KR20190130955A KR20210047193A KR 20210047193 A KR20210047193 A KR 20210047193A KR 1020190130955 A KR1020190130955 A KR 1020190130955A KR 20190130955 A KR20190130955 A KR 20190130955A KR 20210047193 A KR20210047193 A KR 20210047193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aste toner
- toner container
- printing
- image forming
- housing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0—Collecting or recycling waste developer
- G03G21/12—Toner waste containers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0—Collecting or recycling waste developer
- G03G21/105—Arrangements for conveying toner wast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leaning In Electrography (AREA)
Abstract
개시된 화상형성장치는, 전자사진방식에 의하여 인쇄 매체에 화상을 형성하는 인쇄부를 구비하는 본체와, 인쇄 매체를 적재하고 상기 인쇄부의 하부에 위치되며 상기 본체의 제1측부로부터 착탈 가능한 급지 카세트와, 상기 인쇄부의 하부이자 상기 급지 카세트의 상부에 위치되어 상기 인쇄부로부터 배출되는 폐토너를 수용하며 상기 제1측부의 반대쪽인 상기 본체의 제2측부로부터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폐토너 용기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전자사진방식을 이용하는 화상형성장치는, 감광체에 형성된 정전잠상에 토너를 공급하여 감광체 상에 가시적인 토너 화상을 형성하고, 이 토너 화상을 중간 전사 매체를 거쳐 또는 직접 인쇄 매체로 전사한 후, 전사된 토너 화상을 인쇄 매체에 정착시킨다.
화상형성과정에서 발생되는 폐토너는 폐토너 용기에 수용된다. 폐토너 용기에 폐토너가 다 차면 폐토너 용기를 탈거하고 새로운 폐토너 용기가 장착될 수 있다.
도 1은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의 일 실시예의 개략적인 외관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화상형성장치의 일 실시예의 외관 사시도이다.
도 3은 현상기와 폐토너 용기와의 연결 구조의 일 예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덮개가 생략된 폐토너 용기의 일 실시예의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3에 도시된 폐토너 용기의 X1-X1' 단면도이다.
도 6은 운반 부재의 일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 7은 양면인쇄경로를 구비하는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의 일 실시예의 개략적인 외관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화상형성장치의 일 실시예의 외관 사시도이다.
도 3은 현상기와 폐토너 용기와의 연결 구조의 일 예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덮개가 생략된 폐토너 용기의 일 실시예의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3에 도시된 폐토너 용기의 X1-X1' 단면도이다.
도 6은 운반 부재의 일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 7은 양면인쇄경로를 구비하는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의 일 실시예의 개략적인 외관 사시도이다.
도 1은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의 일 실시예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화상형성장치의 일 실시예의 외관 사시도이다. 도 1과 도 2를 참조하면, 본체(1)에는 전자사진방식에 의하여 인쇄 매체(P)에 화상을 형성하는 인쇄부(2)가 마련된다.
인쇄부(2)는, 현상기(10), 노광기(20), 전사기, 및 정착기(40)를 포함할 수 있다. 현상기(10)는 감광드럼(11)과 현상 롤러(12)를 포함할 수 있다. 감광드럼(11)은 정전잠상이 형성되는 감광체의 일 예이다. 감광드럼(11)의 표면은 대전롤러(13)에 인가되는 대전 바이어스 전압에 의하여 균일한 전위로 대전된다.
노광기(20)는 화상정보에 따라 변조된 광을 균일한 전위로 대전된 감광드럼(11)의 표면에 주사한다. 노광기(20)로서, 예를 들면 레이저 다이오드로부터 조사되는 광을 폴리곤미러를 이용하여 주주사방향으로 편향시켜 감광드럼(11)에 주사하는 LSU(laser scanning unit)가 채용될 수 있다.
현상롤러(12)는 토너를 감광드럼(11)의 표면에 형성된 정전잠상에 공급하여 토너 화상으로 현상시킨다. 본 실시예에서는, 현상제로서 토너를 사용하며 현상롤러(12)와 감광드럼(11)이 서로 접촉되어 현상닙을 형성하는 일성분 접촉현상방식이 채용된다. 현상 롤러(12)에 현상 바이어스 전압이 인가되면 현상닙을 통하여 토너가 현상 롤러(12)로부터 감광드럼(11)의 표면에 형성된 정전잠상으로 이동되어 부착된다. 공급롤러(15)에는 현상기(10) 내에 수용된 토너를 현상롤러(12)로 부착시키기 위한 공급바이어스전압이 인가될 수 있다. 규제부재(16)는 현상 롤러(12)의 표면에 부착되는 토너의 양을 규제한다. 운반 부재(17)는 토너 수용부(18)에 수용된 토너를 공급 롤러(15) 쪽으로 운반한다. 참조 부호 14는 대전 롤러(13)의 표면으로부터 이물질을 제거하는 클리닝 롤러이다. 클리닝 부재(19)는 대전 전에 감광드럼(11)의 표면으로부터 잔류 토너 및 이물질을 제거한다.
전사 롤러(30)는 감광드럼(11)과 대향되게 위치되어 전사닙을 형성하는 전사기의 일 예이다. 전사롤러(30)에는 감광드럼(11)의 표면에 현상된 토너화상을 인쇄매체(P)로 전사시키기 위한 전사 바이어스 전압이 인가된다.
인쇄 경로(201)를 따라 이송되는 인쇄 매체(P)가 전사닙을 통과하는 동안에, 전사롤러(30)에 인가되는 전사 바이어스 전압에 의하여 감광드럼(11)으로부터 인쇄매체(P)의 표면으로 토너화상이 전사된다. 전사된 토너 화상은 정전기적 인력에 의하여 인쇄매체(P)의 표면에 유지된다. 정착기(40)는 토너화상이 열과 압력을 가하여 인쇄매체(P)에 정착시킨다. 정착기(40)를 통과하여 인쇄가 완료된 인쇄매체(P)는 배출 경로(202)를 따라 이송되며 배출 롤러(104)에 의하여 본체(1)의 외부, 예를 들어 본체(1)의 상부에 위치된 배지대(106)로 배출된다.
인쇄 과정에서 인쇄부(2)에서는 폐토너가 발생된다. 예를 들어, 감광드럼(11)에 형성된 토너 화상 중에서 인쇄 매체(P)로 전사되지 않고 남은 잔류 토너는 클리닝 부재(19)에 의하여 감광드럼(11)의 표면으로부터 제거된다. 또한, 클리닝 부재(19)에 의하여 감광드럼(11)의 표면에 부착된 지분(종이 먼지) 등의 이물질도 함께 제거된다. 제거된 잔류 토너와 이물질을 폐토너라 한다. 폐토너는 폐토너 운반 부재(19a)에 의하여 현상기(10)로부터 배출된다.
화상형성장치는, 전자사진방식에 의하여 인쇄 매체에 화상을 형성하는 인쇄부(2)를 구비하는 본체(1)와, 인쇄 매체(P)를 적재하고 인쇄부(2)의 하부에 위치되며 본체(1)의 제1측부(1-1)로부터 착탈 가능한 급지 카세트(50)와, 인쇄부(2)의 하부이자 급지 카세트(50)의 상부에 위치되어 인쇄부(2)로부터 배출되는 폐토너를 수용하며 제1측부(1-1)의 반대쪽인 본체(1)의 제2측부(1-2)로부터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폐토너 용기(8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제1측부(1-1)와 제2측부(1-2)는 인쇄 매체(P)의 폭방향(W)과 직교하는 횡방향의 측부일 수 있다.
급지 카세트(50)는 인쇄 매체(P)를 적재하며, 인쇄부(2)의 하부에 위치된다. 급지 카세트(50)로부터 인출된 인쇄 매체(P)는 상방으로 연장된 공급 경로(204)를 따라 이송되며, 이송 롤러들(102)(103)에 의하여 인쇄 경로(201)를 따라 전사닙으로 이송된다. 급지 카세트(50)는 본체(1)의 제1측부(1-1)로부터 외측으로 당겨서 본체(1)로부터 인출될 수 있다. 도 2에 점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급지 카세트(50)를 본체(1)로부터 인출하고, 인쇄 매체(P)를 급지 카세트(50)에 적재한 후에, 다시 급지 카세트(50)를 밀어서 본체(1)에 장착할 수 있다.
인쇄부(2), 예를 들어 현상기(10)로부터 배출되는 폐토너는 현상기(10) 내부에 수용될 수 있다. 현상기(10)가 장수명화됨에 현상기(10)의 수명 기간 동안에 발생되는 폐토너의 양이 현상기(10)의 폐토너 수용 용량을 넘어설 수 있다. 또한, 현상기(10)에 토너를 리필하여 사용하는 경우에도 폐토너의 양이 현상기(10)의 폐토너 수용 용량을 넘어설 수 있다.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인쇄부(2)로부터 배출되는 폐토너를 수용하는 폐토너 용기(80)가 채용된다. 폐토너 용기(80)는 본체(1)에 착탈 가능하다. 폐토너 용기(80)에 폐토너가 다 채워지면, 폐토너 용기(80)는 본체(1)로부터 탈거되며, 새로운 폐토너 용기(80)가 본체(1)에 장착될 수 있다.
도 2에 점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인쇄부(2)의 측부, 예를 들어 인쇄 매체(P)의 폭방향(W)의 측부에 폐토너 용기(80a)를 배치하는 방안이 고려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하면, 화상형성장치의 폭이 증가되어 화상형성장치의 설치 면적(footprint)가 증가될 수 있다. 폐토너 용기(80a)의 용량을 증가시키기 위하여는 인쇄 매체(P)의 폭방향(W)으로 폐토너 용기(80a)를 확장하여야 하는데, 이 경우에는 화상형성장치의 설치 면적(footprint)가 더욱 증가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화상형성장치에 따르면, 폐토너 용기(80)는 인쇄부(2)의 하부에 위치된다. 폐토너 용기(80)는 인쇄 매체(P)의 폭방향(W)의 제1길이(도 3: L1)와 폭방향(W)에 직교하는 방향의 제2길이(도 3: L2), 및 두께 방향의 제3길이(도 3: L3)를 갖는다. 제3길이(L3)는 제1길이(L1)와 제2길이(L2)보다 작다. 따라서 폐토너 용기(80)는 인쇄부(2)와 급지 카세트(50) 사이에 배치되기에 적합한 납작한 형태가 된다. 폐토너 용기(80)의 제2길이(L2)를 폐토너 용기(80)가 공급 경로(204)와 간섭되지 않도록 결정된다. 폐토너 용기(80)의 용량을 증가시키고자 하는 경우에는 폐토너 용기(80)를 두께 방향으로 확장하면 된다. 따라서, 화상형성장치의 설치 면적(footprint)을 증가시키지 않고 폐토너 용기(80)의 용량을 더욱 확장하여 화상형성장치의 장수명화에 대응할 수 있다.
폐토너 용기(80)는 인쇄부(2)와 급지 카세트(50)의 사이에 위치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인쇄부(2), 예를 들어 현상기(10)와의 거리가 최소화되어 폐토너가 용이하게 폐토너 용기(80)에 수용될 수 있다. 또한, 기존의 화상형성장치의 설계에서 급지 카세트(50)를 하방으로 약간 이동시키는 간단한 설계변경에 의하여 인쇄부(2)와 급지 카세트(50) 사이에 폐토너 용기(80)를 배치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폐토너 용기(80)는 제1측부(1-1)의 반대쪽, 즉 제1측부(1-1)와 서로 마주보는 본체(1)의 제2측부(1-2)로부터 착탈 가능하게 본체(1)에 설치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급지 카세트(50)로부터 배지대(106)에 이르는 인쇄 매체(P)의 이송 경로가 S자 형상인 경우, 급지 카세트(50)로부터 인출된 인쇄 매체(P)는 상방으로 연장된 공급 경로(204)를 통하여 인쇄 경로(201)로 안내된다. 폐토너 용기(80)를 본체(1)의 제2측부(1-2)로부터 착탈 가능하게 함으로써, 폐토너 용기(80)를 착탈하는 과정에서 폐토너 용기(80)가 공급 경로(204)와 간섭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화상형성장치는 다목적 트레이(6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다목적 트레이(60)는 본체(1)에 닫힌 위치(실선으로 도시)와 열린 위치(점선으로 도시)로 전환될 수 있게 설치될 수 있다. 다목적 트레이(60)에 적재된 인쇄 매체(P)는 픽업 롤러(112)와 이송 롤러(113)에 의하여 인쇄 경로(201)로 이송될 수 있다. 다목적 트레이(60)는 본체(1)의 제1측부(1-1)에 설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폐토너 용기(80)는 제1측부(1-1)의 반대쪽인 본체(1)의 제2측부(1-2)로부터 착탈 가능하게 본체(1)에 설치되므로, 다목적 트레이(60)와 간섭되지 않는다.
도 2에 점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인쇄 매체(P)의 폭방향(W)의 일측부에 배치된 폐토너 용기(80a)를 교체하기 위하여는 본체(1)의 일부를 개폐하는 도어(미도시)가 본체(1)에 마련되어야 한다. 본 실시예의 화상형성장치는, 폐토너 용기(80)가 부분적으로 본체(1) 외부로 노출된다. 도 1과 도 2를 참조하면, 본체(1)에는 개구부(1-3)가 마련된다. 개구부(1-3)는 제1측부(1-1)의 반대쪽인 제2측부(1-2)에 마련된다. 폐토너 용기(80)는 개구부(1-3)를 통하여 본체(1)에 착탈 가능하다. 폐토너 용기(80)의 용이한 착탈이 가능하도록 폐토어 용기(80)는 개구부(1-3)를 통하여 외부로 부분적으로 노출된다. 일 실시예로서, 폐토너 용기(80)에는 손잡이(81)가 마련될 수 있다. 손잡이(81)는 개구부(1-3)를 통하여 본체(1)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손잡이(81)의 형상은 사용자가 손으로 파지할 수 있는 형상이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인쇄부(2)에는 폐토너가 배출되는 폐토너 배출구가 마련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인쇄부(2)는 현상기(10)를 구비한다. 현상기(10)는 정전잠상이 형성되는 감광드럼(11)과, 정전잠상에 토너를 공급하여 토너 화상으로 현상시키는 현상롤러(12)를 구비한다. 감광드럼(11)으로부터 제거된 폐토너는 현상기(10)로부터 배출된다. 이를 위하여, 본 실시예의 화상형성장치에서는 현상기(10)에 폐토너 배출구가 마련된다.
도 3은 현상기(10)와 폐토너 용기(80)와의 연결 구조의 일 예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과 도 3을 참조하면, 감광드럼(11)으로부터 제거된 폐토너는 폐토너 운반 부재(19a)에 의하여 인쇄 매체(P)의 폭방향(W)으로 운반된다. 폐토너 운반 부재(19a)는 예를 들어 폭방향(W)으로 연장된 오거(auger)일 수 있다. 현상기(10)의 인쇄 매체(P)의 폭방향(W)의 일측에는 폐토너 배출구(19-1)가 마련된다. 폐토너 용기(80)에는 폐토너 배출구(19-1)와 연결되는 폐토너 유입구(82)가 마련된다. 폐토너 배출구(19-1)와 폐토너 유입구(82)는 인쇄 매체(P)의 폭방향(W)으로 유효 화상 영역(E1)의 외측에 위치될 수 있다. 유효 화상 영역(E1)은 인쇄 매체(P)에 화상을 형성하기 위하여 실제로 사용되는 영역으로서, 유효 화상 영역(E1)이란, 현상기(10)의 폭 중에서 화상형성에 유효하게 사용되는 영역을 말한다. 예를 들어 유효 화상 영역(E1)의 길이는 화상형성장치에 사용되는 최대 크기의 인쇄매체(P)의 폭보다 약간 길 수 있다.
또한, 폐토너 배출구(19-1)로부터 폐토너 유입구(82)로 전달되는 폐토너가 인쇄 경로(201)를 따라 이송되는 인쇄 매체(P)를 오염시키지 않도록, 폐토너 배출구(19-1)와 폐토너 유입구(82)는 인쇄 매체(P)의 폭방향(W)으로 인쇄 경로(201)의 유효폭(E2)의 외측에 위치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폐토너 배출구(19-1)와 폐토너 유입구(81)는 본체(1)에 마련된 폐토너 관로(90)에 의하여 연결될 수 있다. 현상기(10)에 본체(1)에 장착되면, 폐토너 배출구(19-1)가 폐토너 관로(90)와 연결될 수 있다. 폐토너 용기(80)가 본체(1)에 장착되면, 폐토너 유입구(82)는 폐토너 관로(90)와 연결될 수 있다. 폐토너 배출구(19-1)에는 폐토너 배출구(19-1)를 개폐하는 셔터가 마련될 수 있다. 폐토너 관로(90)의 폐토너 유입구(82)와 연결되는 단부에는 폐토너 관로(90)를 개폐하는 셔터가 마련될 수 있다. 셔터는 폐토너 용기(80)를 본체(1)에/로부터 장착/탈거 동작에 연동하여 폐토너 관로(90)를 개방/폐쇄할 수 있다.
도 4는 덮개(80-2)가 생략된 폐토너 용기(80)의 일 실시예의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3의 X1-X1' 단면도이다. 도 6은 운반 부재(83)의 일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 4에서는 하우징(80-1)의 형태를 명확하게 도시하기 위하여 운반 부재(83)는 생략된다.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폐토너 용기(80)는 상부가 개방되고 내부에 폐토너를 수용하는 하우징(80-1)과, 하우징(80-1)의 상부를 덮으며 폐토너 유입구(82)가 마련된 덮개(80-2)와, 하우징(80-1)의 내부에 설치되어 폐토너를 운반하는 다수의 운반 부재(83)를 구비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80-1)은 제1방향(A1)의 제1길이(L1), 제1방향(A1)과 직교하는 제2방향(A2)의 제2길이(L2), 및 두께 방향의 제3길이(L3)를 가진다. 제3길이(L3)는 제1길이(L1)와 제2길이(L2)보다 작다. 이에 의하여 전체적으로 납작한 형태의 폐토너 용기(80)의 구현이 가능하며, 이러한 형태의 폐토너 용기(80)는 인쇄부(2)와 급지 카세트(50) 사이에 배치되기에 적합하다.
폐토너 유입구(82)는 인쇄 매체(P)의 폭방향(W)인 제1방향(A1)의 일측이자 인쇄 매체(P)의 폭방향(W)에 직교하는 제2방향(A2)의 일측에 위치된다. 즉, 폐토너 유입구(82)는 제1방향(A1)과 제2방향(A2)에 대한 대각선 방향의 일측에 마련된다. 이러한 폐토너 유입구(82)의 위치는 인쇄 매체(P)의 폭방향(W)의 일측에 위치되는 폐토너 배출구(19-1)와의 거리를 최소화하는 데에 유리하다.
폐토너 유입구(82)를 통하여 폐토너 용기(80)로 유입된 폐토너는 주로 폐토너 유입구(82)의 아래 영역(86-1)에 쌓인다. 폐토너를 폐토너 용기(80) 내부에 골고루 분산시키기 위하여 다수의 운반 부재(83)가 채용된다. 다수의 운반 부재(83)는 제1방향(A1)과 제2방향(A2) 중 어느 한 방향으로 연장되고 제1방향(A1)과 제2방향(A2) 중 다른 한 방향으로 배열되어 폐토너를 제1방향(A1)과 제2방향(A2) 중 다른 한 방향으로 운반한다.
도 5와 도 6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운반 부재(83)는 제2방향(A2)으로 연장되고, 제1방향(A1)으로 배열되어 폐토너를 제1방향(A1)으로 운반한다. 운반 부재(83)는 하우징(80-2)에 회전될 수 있게 설치된다. 하우징(80-2)에는 제2방향(A2)으로 연장되고, 제1방향(A1)으로 배열된 다수의 오목부(85)가 마련될 수 있다. 운반 부재(83)는 오목부(85)에 설치될 수 있다. 운반 부재(83)는 제2방향(A2)으로 연장된 회전축(83-1)과, 회전축(83-1)으로부터 반경 방향으로 연장된 날개부(83-2)를 구비할 수 있다. 날개부(83-2)는 예를 들어 필름 부재로서, 회전축(83-1)에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형태의 운반 부재(83)를 패들(paddle)이라 지칭한다. 회전축(83-1)의 일단부에는 동력전달부재(83-3)가 마련될 수 있다. 동력전달부재(83-3)는 예를 들어 기어일 수 있다. 폐토너 용기(80)가 본체(1)에 장착되면, 본체(1)로부터 동력전달부재(83-3)에 회전력이 전달되어 운반 부재(83)가 회전될 수 있다. 운반 부재(83)가 회전되면, 날개부(83-2)에 의하여 폐토너가 제1방향(A1)으로 운반된다.
폐토너를 폐토너 용기(80) 내부에 효과적으로 분산시키기 위하여는 폐토너 유입구(82)로부터 대각선으로 가장 멀리 떨어진 영역(86-2)로 신속하고 효과적으로 폐토너를 운반할 필요가 있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폐토너 용기(80)에는 폐토너를 폐토너 유입구(82)로부터 대각선 방향으로 안내하는 다수의 안내 리브(84)가 마련된다. 다수의 안내 리브(84)는 대각선 방향으로 연장된 형태로서, 폐토너 유입구(82) 부근으로부터 방사상으로 배열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운반 부재(83)에 의하여 제1방향(A1)으로 운반되는 폐토너가 안내 리브(84)에 의하여 제2방향(A2)으로도 분산된다. 따라서, 폐토너가 폐토너 유입구(82)로부터 대각선 방향으로 가장 먼 영역(86-2)에까지 용이하고 효과적으로 도달될 수 있다.
다수의 안내 리브(84)는 대각선 방향으로 단속적으로 배열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다수의 안내 리브(84) 사이의 간격을 통하여 폐토너가 제1방향(A1) 및 제2방향(A2)으로 이동될 수 있으므로, 폐토너가 하우징(80-1) 내부에 효과적으로 분산될 수 있다.
안내 리브(84)는 하우징(80-1)에 마련되는 제1안내 리브(84-1)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안내 리브(84-1)는 다수의 오목부(85) 사이에 하우징(80-1)의 바닥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고 대각선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폐토너 용기(80) 내의 폐토너 수위(LEVEL)가 낮을 때에 운반 부재(83)에 의하여 제1방향(A1)으로 운반되는 폐토너가 제1안내 리브(84-1)에 의하여 대각선 방향으로 용이하게 안내될 수 있다. 안내 리브(84)는 덮개(80-2)에 마련되는 제2안내 리브(84-2)를 포함할 수 있다. 제2안내 리브(84-2)는 덮개(80-2)의 하면으로부터 하방으로 돌출되어 대각선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폐토너 용기(80) 내의 폐토너 수위(LEVEL)이 높아진 경우에 폐토너가 제2안내 리브(84-2)에 의하여 대각선 방향으로 용이하게 안내될 수 있다.
폐토너 용기(80)는 폐토너 유입구(82) 부근에 위치되어 폐토너 만충 여부를 검지하는 폐토너 만충 센서(89)를 구비할 수 있다. 폐토너 만충 센서(89)는 예를 들어 덮개(80-2)에 설치될 수 있다. 폐토너 만충 센서(89)는 예를 들어, 발광부와 수광부를 구비하는 광센서일 수 있다. 발광부와 수광부는 서로 이격되게 위치된다. 발광부와 수광부 사이에 폐토너가 개재되면, 수광부에서 검출되는 광량이 줄어들게 된다. 수광부에서 검출되는 광량을 모니터링함으로써 폐토너가 만충 위치에 도달되었는지 검지할 수 있다. 폐토너 용기(80) 내부의 폐토너 수위가 높아져서 만충 위치에 도달되면 폐토너 만충 센서(89)에 의하여 만충 신호가 발생된다. 화상형성장치는 만충 신호가 발생되면, 시각적 및/또는 청각적 표시 장치를 통하여 폐토너 용기(80)의 교체가 필요하다는 점을 표시할 수 있다.
폐토너 유입구(82)를 통하여 하우징(80-1) 내부로 유입된 폐토너는 다수의 운반 부재(83)와 다수의 안내 리브(84)에 의하여 대각선 방향으로 운반된다. 폐토너는 폐토너 유입구(82)로부터 대각선 방향으로 가장 먼 영역(86-2)에 가장 먼저 쌓이며, 폐토너 유입구(82) 부근에 가장 나중에 쌓일 수 있다. 폐토너 유입구(82) 부근에 폐토너 만충 센서(89)를 배치하면 폐토너 용기(80)가 전체적으로 폐토너로 골고루 채워진 후에 폐토너 만충 센서(89)에 의하여 폐토너 만충 상태가 검지된다. 따라서, 폐토너 만충 검지 에러의 발생 가능성을 줄일 수 있으며, 폐토너 용기(80)의 내부 공간이 전체적으로 유효하게 폐토너 저장 공간으로 활용될 수 있다.
폐토너 만충 센서(89)를 하우징(80-1)에 배치하는 경우에는 폐토너 만충 센서(89)를 하우징(80-1)의 바닥으로부터 위쪽으로 띄워서 배치하여야 한다. 이 경우, 하우징(80-1)의 바닥에는 폐토너 만충 센서(89)를 지지하는 구조물이 설치되는데, 이 구조물은 폐토너 운반에 방해가 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폐토너 만충 센서(89)가 덮개(80-2)에 설치되므로, 폐토너 만충 센서(89)를 만충을 검지할 수 있는 위치에 설치하기가 용이하며, 덮개(80-2)에 폐토너 만충 센서(89)를 지지하는 구조물이 설치되더라도 폐토너의 운반에 거의 방해가 되지 않을 수 있다.
도 7은 화상형성장치의 일 실시예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7에 도시된 화상형성장치의 실시예는 양면인쇄경로(203)를 구비하는 점에서 도 1에 도시된 화상형성장치의 실시예와 차이가 있다. 따라서, 동일한 기능을 하는 부재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표시하고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며, 도 1에 도시된 화상형성장치와의 차이점을 위주로 설명한다.
도 1을 참조하면, 화상형성장치는 인쇄부(2)를 구비하는 본체(1)와, 인쇄부(2)로 공급될 인쇄 매체(P)를 적재하고 인쇄부(2)의 하부에 인출가능하게 설치되는 급지 카세트(50)와, 인쇄부(2)로부터 배출되는 폐토너를 수용하는 폐토너 용기(80)를 포함할 수 있다. 폐토너 용기(80)는 인쇄부(2)와 급지 카세트(50) 사이에 위치된다. 폐토너 용기(80)는 본체(1)의 제2측부(1-2)로부터 착탈가능하도록 본체(1)의 제2측부(1-2)에 마련된 개구부(1-3)를 통하여 부분적으로 외부로 노출된다. 예를 들어, 페토너 용기(80)는 개구부(1-3)를 통하여 외부로 노출되는 손잡이(81)를 구비할 수 있다. 이하, 인쇄부(2)의 구성과 폐토너 용기(80)의 구성은 도 1 내지 도 6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다.
화상형성장치는 양면인쇄경로(203)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양면인쇄경로(203)는 일면에 화상이 인쇄된 인쇄 매체(P)를 반전시켜 인쇄부(2)로 안내하기 위한 경로이다. 정착기(40)와 배출 롤러(104) 사이에는 선택기(70)가 마련될 수 있다. 선택기(70)는 정착기(40)로부터 배출되어 배출 경로(202)를 따라 이송되는 인쇄 매체(P)를 배출 롤러(104)로 안내하는 배출 위치(실선으로 도시)와, 배출 롤러(104)가 역회전됨에 따라 배출 경로(202)를 따라 역방향으로 이송되는 인쇄 매체(P)를 양면인쇄경로(203)로 안내하는 양면인쇄위치(점선으로 도시)로 전환될 수 있다. 선택기(70)는 도시되지 않은 액추에이터, 예를 들어 솔레노이드 액추에이터에 의하여 배출 위치와 양면인쇄위치로 전환될 수 있다.
일면에 화상이 인쇄된 인쇄 매체(P)는 배출 위치에 위치된 선택기(70)에 의하여 배출 롤러(104)로 안내된다. 인쇄 매체(P)는 배출 롤러(104)에 의하여 본체(1) 외부, 즉 배지대(106)로 배출되는 정방향으로 이송된다. 양면인쇄모드가 선택된 경우에는, 인쇄 매체(P)의 말단이 배출 롤러(104)를 통과하기 전에 배출 롤러(104)가 역회전된다. 그러면 인쇄 매체(P)는 정방향의 반대 방향인 역방향으로 이송된다. 선택기(70)는 양면인쇄위치에 위치된다. 인쇄 매체(P)는 선택기(70)에 의하여 양면인쇄경로(203)로 안내된다. 인쇄 매체(P)는 이송 롤러들(105)에 의하여 양면인쇄경로(203)를 따라 이송된다. 양면인쇄경로(203)를 통과하면서 인쇄 매체(P)는 타면이 감광드럼(11)과 대향되도록 반전되어 인쇄 경로(201)로 안내된다. 타면에 화상이 인쇄된 인쇄 매체(P)는 배출 위치에 위치된 선택기(70)에 의하여 배출 롤러(104)로 안내되며, 배출 롤러(104)에 의하여 본체(1) 외부로 배출된다.
양면인쇄경로(203)는 인쇄부(2)와 폐토너 용기(80) 사이에 위치된다. 즉, 폐토너 용기(80)는 양면인쇄경로(203)의 하부에 위치된다. 폐토너 용기(80)가 제2측부(1-2)로부터 착탈되는 구조이므로, 인쇄 매체(P)가 S자 형태의 이송 경로를 따라 이송되는 구조의 화상형성장치에 적용되는 양면인쇄경로(203)와 착탈가능한 폐토너 용기(80)가 서로 간섭되지 않도록 배치될 수 있다. 폐토너 배출구(19-1)로부터 폐토너 유입구(82)로 전달되는 폐토너가 양면인쇄경로(203)를 따라 이송되는 인쇄 매체(P)를 오염시키지 않도록, 폐토너 배출구(19-1)와 폐토너 유입구(82)는 인쇄 매체(P)의 폭방향(W)으로 양면인쇄경로(203)의 유효폭(도 3의 E2와 동일할 수 있음)의 외측에 위치될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감광드럼(11)으로부터 제거된 폐토너가 폐토너 용기(80)에 수용된다. 다만, 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도면으로 도시되지 않았지만, 칼라 화상을 형성하는 화상형성장치의 인쇄부는 서로 다른 색상의 토너 화상을 형성하기 위한 다수의 현상기와, 토너 화상이 일시적으로 전사되는 중간전사벨트를 구비할 수 있다. 이 경우, 다수의 감광드럼과 중간전사벨트의 표면으로부터 제거된 폐토너가 폐토너 용기에 수용될 수 있다. 또한, 에이디알(ADR: Auto Developer Refill) 현상 방식이 채용되는 경우에는, 현상기로부터 배출되는 과잉 현상제가 폐토너 용기에 수용될 수도 있다.
본 개시는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개시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Claims (15)
- 상부가 개방되고 내부에 폐토너를 수용하며, 제1방향의 제1길이, 상기 제1방향과 직교하는 제2방향의 제2길이, 및 두께 방향의 제3길이를 가지며, 상기 제3길이는 상기 제1길이와 상기 제2길이보다 작은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상부를 덮으며, 상기 제1방향과 상기 제2방향에 대한 대각선 방향의 일측에 폐토너 유입구가 마련된 덮개;
상기 하우징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제1방향과 상기 제2방향 중 어느 한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1방향과 상기 제2방향 중 다른 한 방향으로 배열되어 상기 폐토너 유입구를 통하여 유입된 폐토너를 상기 제1방향과 상기 제2방향 중 다른 한 방향으로 운반하는 다수의 운반 부재;를 포함하는 폐토너 용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폐토너를 상기 폐토너 유입구로부터 상기 대각선 방향으로 안내하는 다수의 안내 리브;를 포함하는 폐토너 용기.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안내 리브는 상기 대각선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폐토너 유입구로부터 방사상으로 배열되는 폐토너 용기.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안내 리브는 상기 대각선 방향으로 단속적으로 배열되는 폐토너 용기.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다수의 운반 부재가 배치되는 다수의 오목부가 마련되며,
상기 안내 리브는 상기 하우징에 마련되는 다수의 제1안내 리브와, 상기 덮개에 마련되는 다수의 제2안내 리브를 포함하며,
상기 제1안내 리브는 상기 다수의 오목부 사이에 마련되는 폐토너 용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폐토너 용기는, 상기 폐토너 유입구 부근에 위치되어 폐토너 만충 여부를 검지하는 폐토너 만충 센서를 구비하는 폐토너 용기.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폐토너 만충 센서는 상기 덮개에 설치되는 폐토너 용기. - 전자사진방식에 의하여 인쇄 매체에 화상을 형성하는 인쇄부를 구비하는 본체;
인쇄 매체를 적재하고 상기 인쇄부의 하부에 위치되며, 상기 본체의 제1측부로부터 착탈 가능한 급지 카세트;
상기 인쇄부의 하부이자 상기 급지 카세트의 상부에 위치되어 상기 인쇄부로부터 배출되는 폐토너를 수용하며, 상기 제1측부의 반대쪽인 상기 본체의 제2측부로부터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폐토너 용기;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측부에는 상기 폐토너가 착탈되는 개구부가 마련되며,
상기 폐토너 용기는 상기 개구부를 통하여 외부로 노출된 손잡이를 구비하는 화상형성장치.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부와 상기 폐토너 용기 사이에 상기 일면에 화상이 인쇄된 인쇄 매체를 반전시켜 상기 인쇄부로 안내하는 양면인쇄경로가 위치되는 화상형성장치.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부에는 폐토너 배출구가 마련되며,
상기 폐토너 용기에는 상기 폐토너 배출구와 연결되는 폐토너 유입구가 마련되며,
상기 폐토너 배출구와 상기 폐토너 유입구는 상기 인쇄 매체의 폭방향으로 상기 양면인쇄경로의 유효폭의 외측에 위치되는 화상형성장치.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폐토너 용기는,
상기 인쇄 매체의 폭방향인 제1방향의 일측이자 상기 인쇄 매체의 폭방향에 직교하는 제2방향의 일측에 위치되는 폐토너 유입구;
상기 제1방향과 상기 제2방향 중 어느 한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1방향과 상기 제2방향 중 다른 한 방향으로 배열되어 폐토너를 상기 제1방향과 상기 제2방향 중 다른 한 방향으로 운반하는 다수의 운반 부재;
상기 폐토너를 상기 폐토너 유입구로부터 대각선 방향으로 안내하는 다수의 안내 리브;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 -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폐토너 용기는, 상부가 개방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상부를 덮으며 상기 폐토너 유입구가 마련된 덮개를 포함하며,
상기 안내 리브는 상기 하우징에 마련되는 다수의 제1안내 리브와, 상기 덮개에 마련되는 다수의 제2안내 리브를 포함하는 마련된 화상형성장치. -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다수의 운반 부재가 배치되는 다수의 오목부가 마련되며,
상기 제1안내 리브는 상기 다수의 오목부 사이에 마련되는 화상형성장치. -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폐토너 용기는, 상기 폐토너 유입구 부근에 위치되어 폐토너 만충 여부를 검지하는 폐토너 만충 센서를 구비하는 화상형성장치.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130955A KR20210047193A (ko) | 2019-10-21 | 2019-10-21 | 화상형성장치의 폐토너 용기 착탈 구조 |
PCT/US2020/020037 WO2021080637A1 (en) | 2019-10-21 | 2020-02-27 | Waste toner container mounting structure of image forming apparatus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130955A KR20210047193A (ko) | 2019-10-21 | 2019-10-21 | 화상형성장치의 폐토너 용기 착탈 구조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10047193A true KR20210047193A (ko) | 2021-04-29 |
Family
ID=756193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130955A KR20210047193A (ko) | 2019-10-21 | 2019-10-21 | 화상형성장치의 폐토너 용기 착탈 구조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KR (1) | KR20210047193A (ko) |
WO (1) | WO2021080637A1 (ko) |
Family Cites Familie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7219426A (ja) * | 2006-02-20 | 2007-08-30 | Toshiba Corp | 廃トナー回収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
JP5083015B2 (ja) * | 2008-04-22 | 2012-11-28 | 株式会社リコー | 画像形成装置及び廃トナー回収容器 |
JP2010139580A (ja) * | 2008-12-10 | 2010-06-24 | Kyocera Mita Corp | 廃棄トナー回収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
KR101872359B1 (ko) * | 2012-01-18 | 2018-08-02 | 에이치피프린팅코리아 주식회사 | 폐기물 용기 및 이를 채용한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 |
-
2019
- 2019-10-21 KR KR1020190130955A patent/KR20210047193A/ko unknown
-
2020
- 2020-02-27 WO PCT/US2020/020037 patent/WO2021080637A1/en active Application Fil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WO2021080637A1 (en) | 2021-04-2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5444515A (en) | Color image forming apparatus with mountable cartridge therein | |
JP4511583B2 (ja) | トナー補給装置、画像形成装置およびカラー画像形成装置 | |
US8660468B2 (en) | Developing device including refill operation | |
JP3576952B2 (ja) | クリーニング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 |
US7711293B2 (en) | Toner container | |
US20120294634A1 (en) | Image forming apparatus | |
JP3577689B2 (ja) | 画像形成装置 | |
JP5277587B2 (ja) | 画像形成装置 | |
JP5037253B2 (ja) | 現像装置、画像形成装置 | |
JP6440017B2 (ja) | 現像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 |
JP5240557B2 (ja) | 現像装置、画像形成装置およ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 |
JP5442186B2 (ja) | 現像装置、画像形成装置、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 |
KR100532123B1 (ko) | 현상장치 및 이를 구비한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 | |
KR20210047193A (ko) | 화상형성장치의 폐토너 용기 착탈 구조 | |
JP5332760B2 (ja) | 現像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 |
JP5074869B2 (ja) | 現像装置 | |
KR20100071671A (ko) | 현상유닛 및 이를 갖춘 화상형성장치 | |
JP2006308664A (ja) | 画像形成装置 | |
JP2010102125A (ja) | 現像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 |
JP3016963B2 (ja) | 電子写真装置におけるトナー回収容器交換方法 | |
JP4971054B2 (ja) | 現像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 |
JP2010217328A (ja) | 現像装置、画像形成装置、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 |
KR100532118B1 (ko) | 현상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 | |
JP2006126570A (ja) | トナー供給装置 | |
JP4398776B2 (ja) | 電子写真プロセス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