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32118B1 - 현상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 - Google Patents

현상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32118B1
KR100532118B1 KR10-2004-0006465A KR20040006465A KR100532118B1 KR 100532118 B1 KR100532118 B1 KR 100532118B1 KR 20040006465 A KR20040006465 A KR 20040006465A KR 100532118 B1 KR100532118 B1 KR 1005321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veloper
container
sealing film
residual amount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064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78705A (ko
Inventor
김영민
안병선
박상철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064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32118B1/ko
Publication of KR200500787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787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321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32118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7/00Signs, name or number plates, letters, numerals, or symbols; Panels or boards
    • G09F7/02Signs, plates, panels or boards using readily-detachable elements bearing or forming symbols
    • G09F7/08Signs, plates, panels or boards using readily-detachable elements bearing or forming symbols the elements being secured or adapted to be secured by means of grooves, rails, or sli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3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being semiconductor devices, e.g. diod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4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is selected from a number of characters arranged one beside the other, e.g. on a common carrier plat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ry Development In Electrophotography (AREA)

Abstract

현상제에 가해지는 스트레스를 줄일 수 있도록 현상제 컨테이너의 구조가 개선된 현상장치 및 이를 채용한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이 개시된 현상장치는 입사된 주사 빔에 의해 외주면에 정전잠상이 형성되는 감광매체에 대해 현상제를 현상하는 것으로, 내부 각각에 현상제가 수용되는 적어도 두 공간으로 구획되고, 구획된 공간 사이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개구부를 가지는 컨테이너와; 개구부를 밀봉하는 것으로, 제거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밀봉필름과; 컨테이너 내부 공간 중 적어도 어느 한 공간에 수용된 현상제의 잔량을 검출하는 잔량검출센서;를 포함하여, 잔량검출센서에서 검출된 현상제 잔량이 기준값 이하인 경우에 밀봉필름을 제거함으로써 그 내부 공간에 존재하는 현상제가 현상 가능한 컨테이너의 다른 공간으로 공급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개시된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는, 입사된 주사빔에 의해 외주면에 정전잠상이 형성되는 감광매체와; 감광매체에 정전잠상이 형성되도록 빔을 주사하는 광 주사 유니트와; 상기한 구조의 현상장치와; 이 현상장치에서 형성된 화상을 인쇄매체에 전사하는 전사 유니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현상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Developing apparatus and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전자사진방식으로 화상을 현상하는 현상장치 및 이를 채용한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현상제에 가해지는 스트레스를 줄일 수 있도록 현상제 컨테이너의 구조가 개선된 현상장치 및 이를 채용한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레이저 프린터, 팩시밀리, 디지털 복사기 등의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는 소정 전위로 대전된 감광매체에 광을 주사하여 정전잠상을 형성하고, 소정 색상의 현상제로 현상한 후 이를 용지에 전사 및 정착시켜 화상을 인쇄하는 장치이다.
도 1은 종래의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를 보인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는 캐비넷(10)과, 이 캐비넷(10) 내부에 마련되는 대전기(11), 감광드럼(13), 광 주사 유니트(15), 현상장치(20), 전사롤러(17) 및 정착롤러(19)를 포함한다.
상기 감광드럼(13)은 상기 대전기(11)를 통하여 소정 전위로 대전되고, 상기 광 주사 유니트(15)에서 주사된 광빔(L)에 감응하여 인쇄하고자 하는 화상에 대응되는 정전잠상을 형성한다.
상기 현상장치(20)는 컨테이너(25) 내부에 현상제(T)를 수용하고 있으며, 이 현상제(T)를 교반기(27), 공급롤러(24) 및 현상롤러(21)를 통하여, 정전잠상이 형성된 감광드럼(13)에 공급하여 화상을 형성시킨다. 이때, 현상롤러(21)의 외주에는 공급되는 현상제의 용량을 규제하는 규제 블레이드(23)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 현상롤러(21)는 전자사진방식에 의해 공급되는 현상제를 감광드럼(13)에 형성된 정전잠상으로 이송하기 위하여 전원 공급부를 통하여 직류 전압이 인가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현상장치에서 상기 현상롤러(21)를 통하여 이송되는 현상제(T)는 상기 규제 블레이드(23)와 현상롤러(21) 사이를 통과하면서 일정 두께의 현상제층을 형성한다. 이 현상장치(20) 내부에는 현상에 기여한 후 크리닝 블레이드(12)에 의해 수거된 폐현상제(W)가 수용되는 폐현상제 수용부(29)가 마련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현상장치(20)는 감광드럼(13)과 현상제(T)가 수용되는 컨테이너(25)와 더불어 일체형 카트리지로 구성되어 있으며, 컨테이너(25) 내부에 수용된 현상제(T)가 모두 소모시 교환 사용된다.
이 현상장치(20)는 미개봉 상태에서 컨테이너(25) 내부에 수용된 현상제(T)를 밀봉 보관하기 위한 밀봉필름(26)을 가진다. 이 밀봉필름(26)은 현상제(T)가 교반기(27), 공급롤러(24), 현상롤러(21) 등의 구성요소와 분리된 상태로 컨테이너(25) 내부에 밀봉 보관되도록 한다. 이는 컨테이너(25) 내부의 현상제(T)가 최초 사용전까지 초기 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 즉, 현상장치의 유통 및 보관 과정에서, 외부의 온도 및 습도 변화로부터 현상제의 상태를 비교적 안정적으로 유지하고, 현상제의 유출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이 밀봉필름(26)은 사용자에 의해 제거 가능한 구조로 되어 있어서, 현상장치를 초기 사용시 사용자가 직접 밀봉필름(26)을 제거한 후 사용하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감광드럼(13)에 형성된 화상은 감광드럼(13)과 전사롤러(17) 사이로 급지되는 인쇄 용지(S)에 전사되며, 정착롤러(18)를 통하여 인쇄용지(S)에 정착된다.
또한, 이 화상형성장치는 제1 및 제2급지 카세트(31)(35)를 통하여 급지된 용지(S)에 대해 화상을 인쇄하는 것으로, 용지(S)의 급지경로(41)와 배지경로(45)를 가진다. 여기서, 급지경로(41) 상에는 용지(S)를 한 장씩 픽업하는 픽업롤러(32)(36)와, 이 픽업된 용지(S)의 공급을 가이드 하는 피드롤러(33) 및, 급지되는 용지(S)의 소망하는 위치에 화상을 현상하기 위한 레지스트레이션 롤러(42)를 포함한다. 배지경로(45) 상에는 상기 정착롤러(19)와, 다수의 배지롤러(47)가 마련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제1 및 제2급지 카세트(31)(35)에서 공급되고 상기 급지경로(41)를 통하여 급지된 인쇄 용지(S)에는 상기 감광드럼(13)에서 형성된 화상이 전사롤러(17)를 통하여 전사되고, 정착롤러(19)를 통하여 정착된다. 이와 같이, 인쇄가 완료된 용지는 배지 경로(45)를 통하여, 캐비넷(10) 상부에 마련된 적재부(50)에 적재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현상장치 및 화상형성장치를 구성한 경우에 있어서, 하나의 현상장치를 통하여 인쇄할 수 있는 매수를 늘릴 것이 요구되는 바, 이에 따라 상기한 컨테이너(25) 내부 공간 증대와, 이에 수용되는 현사제량을 늘릴 필요가 있다.
한편, 상기한 바와 같이 현상제량을 늘리는 경우는 현상제가 받게 되는 스트레스가 증가되어, 인쇄 품질 저하 및 현상제 소모량 증대 등의 문제가 야기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컨테이너(25) 내부에 수용된 현상제는 교반기(27)의 동작에 따라 유동하므로, 사용시간이 길어질수록 현상에 직접적으로 관여하지 않은 현상제에 미치는 스트레스가 증대된다. 따라서, 현상장치를 장착한 후 장시간 사용시에는 현상제(T)의 대전 보조제, 왁스(Wax) 등의 외첨제가 떨어져 나가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즉, 외첨제 중 대전 보조제가 떨어져 나가면, 정상적인 대전이 이루어지지 않으므로 감광롤러(13)의 정전잠상이 형성된 부분에 현상제가 비정상적으로 현상되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그리고, 왁스(Wax) 성분이 현상제에서 떨어지면, 정착롤러(19)에서의 정착이 원활히 이루어지지 않아 화상품질에 심각한 영향을 미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스트레스를 많이 받아 극성을 잃어버린 현상제는 현상에 기여하지 못하고 폐기되어야 하므로, 컨테이너(25)에 수용된 현상제(T)가 모두 소모되기 전에 폐현상제(W)가 폐현상제 수용부(29)에서 넘쳐나는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한 현상제의 스트레스 증가는 인쇄용지의 장당 현상제 소모량 변화에도 영향을 미치게 된다.
도 2는 인쇄용지의 출력매수 증가에 따른 장당 현상제 소모량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초기에는 인쇄용지 당 대략 35 mg의 현상제가 소모되는 반면, 인쇄매수가 증가할수록 점점 소모량이 증가됨을 알 수 있다. 특히, 인쇄매수가 3500에서는 현상제 소모량이 대략 52mg으로 커짐을 알 수 있다. 따라서, 현상제 용량이 증대된 것에 비하여 출력 매수가 증가되지 않는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단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현상제가 수용되는 컨테이너의 구조를 변경하여 현상제를 대용량 수용하면서도 현상제가 가해지는 스트레스를 줄임으로써, 화상농도 저하 및 현상제 수명 단축을 방지할 수 있도록 된 현상장치 및 이를 채용한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입사된 주사 빔에 의해 외주면에 정전잠상이 형성되는 감광매체에 대해 현상제를 현상하는 현상장치에 있어서, 내부 각각에 현상제가 수용되는 적어도 두 공간으로 구획되고, 구획된 공간 사이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개구부를 가지는 컨테이너와; 상기 개구부를 밀봉하는 것으로, 제거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밀봉필름과; 상기 컨테이너 내부 공간 중 적어도 어느 한 공간에 수용된 현상제의 잔량을 검출하는 잔량검출센서를 포함하여, 상기 잔량검출센서에서 검출된 현상제 잔량이 기준값 이하인 경우에, 상기 밀봉필름을 제거함으로써 그 내부 공간에 존재하는 현상제가 현상 가능한 상기 컨테이너의 다른 공간으로 공급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는, 입사된 주사빔에 의해 외주면에 정전잠상이 형성되는 감광매체와; 상기 감광매체에 정전잠상이 형성되도록 빔을 주사하는 광 주사 유니트와; 상기한 구조의 컨테이너, 밀봉필름 및 잔량검출센서를 구비하는 현상장치와; 상기 현상장치에서 형성된 화상을 인쇄매체에 전사하는 전사 유니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현상장치 및 이를 채용한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를 보인 개략적인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3의 현상장치를 보인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사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는 캐비넷(100)과, 이 캐비넷(100) 내부에 마련되는 감광매체(113), 광 주사 유니트(115), 현상장치(120) 및 전사롤러(117)를 포함한다.
상기 감광매체(113)는 상기 캐비넷(100) 내부 즉, 현상장치(120)의 하우징(121)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이 감광매체(113)는 대전기(111)를 통하여 소정 전위로 대전되고, 상기 광 주사 유니트(115)에서 주사된 광빔(L)에 감응하여 인쇄하고자 하는 화상에 대응되는 정전잠상이 형성된다. 이 감광매체(113)는 도시된 바와 같은 롤러 구조 뿐만 아니라 벨트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광 주사 유니트(115)는 소정 전위로 대전된 상기 감광매체(113)에 주주사방향 즉, 감광매체(113)가 롤러 구조인 경우 회전축과 나란한 방향으로 광(L)을 주사하여 소망하는 화상에 대응되는 정전잠상이 형성되도록 한다. 이 광 주사 유니트(115)는 레이저 빔을 조사하는 광원(미도시)과, 이 광원에서 조사된 빔을 편향시키는 빔편향기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빔 편향기로는 도시된 바와 같은 구조의 구동원에 의해 회전되면서 광을 주사하는 회전다면경(116)을 채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회전다면경(116) 이외에도 디스크면에 형성된 홀로그램 패턴에 의해 회절 주사시킴에 의해 광을 편향 주사시키는 홀로그램 디스크(미도시)를 채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현상장치(120)는 하우징(121)과, 이 하우징(121) 내부에 마련된 현상제 이송체(122) 및, 현상제(T1)(T2)를 수용하는 컨테이너(130)를 포함한다.
또한, 현상장치(120)는 컨테이너(130) 내부에 수용된 현상제(T1)(T2)를 상기 현상제 이송체(122)에 공급하는데 이용되는 교반기(127) 및 공급롤러(124)를 포함한다. 여기서, 교반기(127)는 상기 컨테이너(130)의 하방에 위치되는 것으로, 컨테이너(130)에서 공급된 현상제(T1)(T2)를 교반시켜 응고되지 않도록 함과 아울러, 상기 공급롤러(125)에 원활히 공급되도록 한다.
상기 현상제 이송체(122)는 상기 감광매체(113)에 대향되게 배치되는 것으로, 대략 0.2 내지 4mm 정도의 일정한 현상 닙(Nip)을 유지한 채로 상호 동일 방향으로 회전한다. 이 현상제 이송체(122)에는 직류 전압이 인가된다. 따라서, 전자사진방식에 의해 현상제(T)를 감광매체(113)에 형성된 정전잠상에 공급하여 상기 감광매체(113)에 화상을 형성할 수 있다.
이때, 현상제 이송체(122)의 외주에는 공급되는 현상제의 용량을 규제하는 규제 블레이드(123)가 더 구비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 규제 블레이드(123)는 그 단부가 상기 현상제 이송체(122)의 외주에 접촉되도록 상기 컨테이너(130)의 외벽에 고정 형성되는 것으로, 현상제 이송체(122)를 통하여 감광매체(113)로 이송되는 현상제(T)의 공급량을 규제한다.
또한, 현상장치(120)의 내부에는 현상에 기여한 후 크리닝 블레이드(112)에 위해 수거된 폐현상제(W)가 수용되는 폐현상제 수용부(129)가 마련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는 대용량의 현상제(T1)(T2)를 안정적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현상장치의 컨테이너(130) 구조를 개선함과 아울러, 잔량검출센서(139)를 구비한 것에 특징이 있는 것으로, 이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상기 컨테이너(130)는 각각의 내부에 현상제(T1)(T2)가 수용되는 적어도 두 공간으로 구획되어 있으며, 이 구획된 공간 사이에는 적어도 하나의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개구부는 밀봉필름에 의해 막혀 있어서, 그 내부 공간이 상기 현상제가 채워진 상태로 밀봉되어 있다. 이 밀봉필름은 제거 가능한 것으로, 이 밀봉필름이 제거된 상태에서, 컨테이너의 내부에 수용된 현상제가 현상에 이용된다. 여기서, 상기 컨테이너 내부 공간 중 적어도 어느 한 공간 내부 또는 상기 교반기(127) 주변에는 사용중인 현상제의 잔량을 검출하는 잔량검출센서가 구비되어 있다.
여기서, 대용량의 현상제를 분리하여 여러 공간에 구분 수용하고 있는 컨테이너는 상기 잔량검출센서에 가장 가까운 공간 내의 현상제를 우선 사용하여 현상을 수행한다. 이 경우, 다른 공간에 수용된 현상제는 밀봉된 상태로 보관되어 있어서, 교반기(127) 등의 구성요소의 간섭을 받지 않고, 초기 상태를 유지한다. 한편, 잔량검출센서를 통하여 사용중인 현상제의 잔량이 기준값 이하로 감지된 경우는 개구부를 막고 있는 밀봉필름을 제거한다. 여기서, 밀봉필름은 상기 잔량검출센서에서 감지된 신호를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소자 등을 통하여 알려주어 사용자가 직접 제거하거나, 필름제거 유니트를 구비하여 이를 이용하여 제거할 수 있다. 그러므로, 이와 같이 어느 한 공간에 수용된 현상제를 사용한 후, 다른 공간의 현상제를 이용함으로써, 대용량의 현상제를 수용하면서도, 현상제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3 및 도 4는 상기한 컨테이너(130)로서 제1 및 제2컨테이너(131)(135)를 구비하고, 밀봉필름으로서 제1 및 제2밀봉필름(133)(137)을 구비한 경우를 예로 들어 나타낸 것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제1컨테이너(131)는 내부 공간에 현상제(T1)를 수용하며, 그 하부에 제1개구부(131a)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1밀봉필름(133)은 상기 제1개구부(131a)를 밀봉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제1컨테이너(131)에 수용된 현상제(T1)를 밀봉시킨다. 이 제1밀봉필름(133)은 외부에서 제거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으로, 초기 사용시 제거되는 구조를 가진다. 즉, 그 일단이 상기 하우징(121) 외부로 노출되어 있어서, 사용자가 이를 잡아당김에 의해 제거되는 구조를 가진다. 이와 같은, 구성 자체는 널리 알려져 있으므로 그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따라서, 상기 제1밀봉필름(133)을 제거함으로써 상기 제1컨테이너(131) 내에 수용된 현상제(T1)가 상기 제1개구부(131a)를 통하여 상기 교반기(127) 쪽으로 향하고, 공급롤러(124)와 현상제 이송체(122)를 통하여 상기 감광매체(113) 쪽으로 공급된다. 여기서, 상기 제1컨테이너(131) 내부에는 초기에 채워진 현상제(T1) 뿐만 아니라, 이 현상제(T1)가 모두 소진된 경우 제2컨테이너(135) 내부 공간에 채워진 현상제(T2)가 위치되며, 이 현상제(T2)는 초기에 채워진 현상제(T1)와 동일 경로로, 상기 감광매체(113)에 공급된다.
상기 제2컨테이너(135)는 상기 제1컨테이너(131)의 상부 위치에 마련되는 것으로, 그 내부 공간에 현상제(T2)를 수용한다. 여기서, 상기 제2컨테이너(135)의 하부, 즉 상기 제1컨테이너(131)와 마주하는 부분은 제1컨테이너(131) 연결될 수 있는 제2개구부(135a)가 형성되어 있다. 이 제2개구부(135a)는 상기 제2밀봉필름(137)에 의해 초기에는 밀봉되어 있다. 이 제2밀봉필름(137)은 후술하는 잔량검출센서(139)에서 검출된 현상제 잔량 정보를 토대로 사용자에 의해 직접 제거되거나, 필름제거 유니트를 통하여 자동으로 제거된다.
여기서, 상기 제1 및 제2밀봉필름(133)(137) 각각은 상기 제1 및 제2컨테이너(131)(135)에 수용된 현상제의 하중을 견딜 수 있는 재질로 구성되는 것으로, 그 재질의 예로는 종이, 우레탄, 폴리에틸렌계열 및 폴리프로필렌계열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컨테이너(131)에 수용된 현상제의 잔량 또는 교반기(127) 주변의 현상제 잔량을 검출하기 위하여, 상기 제1컨테이너(131)의 하부에 현상제 잔량을 검출하는 잔량검출센서(139)가 설치된다. 이 잔량검출센서(139)는 압력센서, 광센서, 정전용량 감지센서 및 픽셀 계수 센서 중 하나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잔량검출센서(139)는 사용중인 현상제의 잔량을 검출하는 센서로서, 이 센서를 통하여 검출된 현상제(T1)의 잔량이 기준값 이하로 감지된 경우는 사용자에게 제2밀봉필름(137)을 제거가 필요하다는 정보를 주거나, 필름제거 유니트가 구동되도록 한다.
제2밀봉필름(137)이 제거된 경우, 제2개구부(135a)가 열리게 되고 이를 통하여 상기 제2컨테이너(135) 내에 수용중인 현상제(T2)가 상기 제1컨테이너(131) 내부와 상기 교반기(127)가 설치된 하우징 내부 공간에 공급된다.
상기 필름제거 유니트(미도시)는 구동원과 제2밀봉필름(137)을 와인딩하는 장치를 포함하는 것으로, 그 자체의 구성 및 동작은 널리 알려져 있다. 예를 들어, 2003년 5월 6일자로 등록된 미국특허 등록번호 제6,560,422호에 '자동으로 와인딩함에 의해 공급 현상기의 개구를 개봉하기 위한 토너 실 부재'가 개시되어 있으며, 2003년 2월 4일자로 등록된 미국특허 등록번호 제6,516,168호에 '현상제 공급용 개구를 제거 가능하게 실링하기 위한 실링부재를 개봉하기 위한 동력 제공용 구동원'이 개시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한 필름제거 유니트의 자세한 구성 및 설명은 생략한다.
따라서, 필름제거 유니트가 채용된 경우는 상기 제1컨테이너(131)가 비어 있거나, 소정 량 이하의 현상제를 보유하고 있을 때, 상기 필름제거 유니트를 작동함에 의하여 상기 제2밀봉필름(137)을 자동으로 제거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2컨테이너(135)에 수용된 현상제(T2)가 상기 제2개구부(135a)를 통하여, 상기 제1컨테이너(131)로 공급된다.
한편, 상기한 컨테이너(130)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은 공간 구조 이외에도 더 많은 공간으로 이루어지고, 각 공간에 수용된 현상제를 현상제 소모 순서대로 개봉하여 공급하는 구조를 가지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상기 캐비넷(100)은 화상형성장치의 외형을 이루는 것으로, 그 외부에 인쇄된 매체가 적재되는 적재부(160)가 마련되어 있다. 또한, 캐비넷(100)에는 급지될 인쇄매체가 적재되는 제1 및 제2급지 카세트(141)(145)가 착탈 가능하게 장착된다.
이 화상형성장치는 상기 제1 및 제2급지 카세트(141)(145)를 통하여 급지된 용지(S)에 대해 화상을 인쇄하는 것으로, 용지(S)의 급지경로(151)와 배지경로(155)를 가진다. 여기서, 급지경로(151) 상에는 용지(S)를 한 장씩 픽업하는 픽업롤러(142)(136)와, 이 픽업된 용지(S)의 공급을 가이드 하는 피드롤러(143) 및, 급지되는 용지(S)의 소망하는 위치에 화상을 현상하기 위한 레지스트레이션 롤러(152)를 포함한다. 배지경로(155) 상에는 상기 정착롤러(119)와, 다수의 배지롤러(157)가 마련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제1 및 제2급지 카세트(141)(145)에서 공급되고 상기 급지경로(151)를 통하여 급지된 인쇄 용지(S)에는 상기 감광매체(113)에서 형성된 화상이 전사유니트(117)를 통하여 전사되고, 정착롤러(119)를 통하여 정착된다. 이와 같이, 인쇄가 완료된 용지는 배지 경로(155)를 통하여, 캐비넷(100) 상부에 마련된 적재부(160)에 적재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현상장치 및 이를 채용한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는 컨테이너 내부에 대용량의 현상제를 수용하면서도, 각 현상제를 구분하여 수용하고, 현상에 관여하지 않는 현상제를 밀봉시켜 초기 상태로 보존하여 현상제에 가해지는 스트레스를 줄일 수 있다. 따라서, 인쇄매수 증가에 따른 화상농도 저하 문제 및 현상제의 수명이 단축되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또한, 다수의 밀봉필름을 사용하여 각 공간에 현상제를 수용하므로, 현상장치의 유통 과정에서 어느 한 밀봉필름이 파손되더라도 다른 필름에 의해 밀봉함으로, 현상제를 보다 안정적으로 보관할 수 있고, 현상제 누출을 보다 효율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잔량검출센서 및 자동으로 필름을 제거하는 필름제거 유니트를 구비함으로써, 구분 수용된 현상제의 공급을 자동을 수행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를 보인 개략적인 단면도.
도 2는 인쇄용지의 출력매수 증가에 따른 장당 현상제 소모량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를 보인 개략적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현상장치를 보인 개략적인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캐비넷 111...대전기
113...감광매체 115...광 주사 유니트
117...전사 유니트 119...정착롤러
120...현상장치 121...하우징
122...현상제 이송체 124...공급롤러
125...교반기 129...폐현상제 수용부
130...컨테이너 131...제1컨테이너
133...제1밀봉필름 135...제2컨테이너
137...제2밀봉필름 139...잔량검출센서
141...제1급지 카세트 145...제2급지 카세트
151...급지경로 155...배지경로
160...적재부

Claims (9)

  1. 입사된 주사 빔에 의해 외주면에 정전잠상이 형성되는 감광매체에 대해 현상제를 현상하는 현상장치에 있어서,
    내부 각각에 현상제가 수용되는 적어도 두 공간으로 구획되고, 구획된 공간 사이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개구부를 가지는 컨테이너와;
    상기 개구부를 밀봉하는 것으로, 제거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밀봉필름과;
    상기 컨테이너 내부 공간 중 적어도 어느 한 공간에 수용된 현상제의 잔량을 검출하는 잔량검출센서;를 포함하여,
    상기 잔량검출센서에서 검출된 현상제 잔량이 기준값 이하인 경우에 상기 밀봉필름을 제거함으로써 그 내부 공간에 존재하는 현상제가 현상 가능한 상기 컨테이너의 다른 공간으로 공급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잔량검출센서에서 검출된 현상제 잔량이 기준값 이하인 경우에
    상기 밀봉필름을 자동으로 제거하는 필름제거 유니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테이너는,
    내부 공간에 현상제가 수용되며, 그 하부에 제1개구부가 형성된 제1컨테이너와;
    상기 제1컨테이너의 상부 위치에 마련되는 것으로 내부 공간에 현상제가 수용되며, 상기 제1컨테이너와 연결되는 제2개구부를 가지는 제2컨테이너;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필름은,
    상기 제1개구부를 밀봉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제1컨테이너에 수용된 현상제를 밀봉시키는 제1밀봉필름과;
    상기 제2개구부를 밀봉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제2컨테이너에 수용된 현상제를 밀봉시키는 제2밀봉필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밀봉필름은,
    외부에서 제거 가능하게 상기 제1개구부에 설치되는 것으로, 초기 사용시 상기 제1밀봉필름을 제거함으로써 상기 제1컨테이너 내에 수용된 현상제가 상기 제1개구부를 통하여 상기 감광매체 쪽으로 공급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장치.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잔량검출센서는,
    상기 제1컨테이너 내부 또는 그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제1컨테이너에 수용된 현상제의 잔량을 검출하고,
    상기 잔량검출센서에서 검출된 현상제 잔량이 기준값 이하인 경우에, 상기 제2제거필름 제거 신호를 사용자에게 알려주어, 상기 제2밀봉필름을 제거함으로써 상기 제2컨테이너 내부의 현상제가 상기 제1컨테이너 내부로 공급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장치.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잔량검출센서에서 검출된 현상제 잔량이 기준값 이하인 경우에 상기 밀봉필름을 자동으로 제거하는 필름제거 유니트;를 더 포함하여,
    상기 잔량검출센서에서 검출된 현상제 잔량이 기준값 이하인 경우에 상기 필름제거 유니트를 구동하여, 상기 제2개구부에 마련된 상기 제2밀봉필름을 자동으로 제거함으로써 상기 제2컨테이너 내부의 현상제가 상기 제1컨테이너 내부로 공급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잔량검출센서는,
    압력센서, 광센서, 정전용량 감지센서 및 픽셀 계수 센서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센서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장치.
  9. 입사된 주사 빔에 의해 외주면에 정전잠상이 형성되는 감광매체와;
    상기 감광매체에 정전잠상이 형성되도록 빔을 주사하는 광 주사 유니트와;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현상장치와;
    상기 현상장치에서 형성된 화상을 인쇄매체에 전사하는 전사 유니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
KR10-2004-0006465A 2004-01-31 2004-01-31 현상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 KR1005321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06465A KR100532118B1 (ko) 2004-01-31 2004-01-31 현상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06465A KR100532118B1 (ko) 2004-01-31 2004-01-31 현상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78705A KR20050078705A (ko) 2005-08-08
KR100532118B1 true KR100532118B1 (ko) 2005-11-29

Family

ID=372657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06465A KR100532118B1 (ko) 2004-01-31 2004-01-31 현상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32118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78705A (ko) 2005-08-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86916B2 (en) Method and apparatus of image forming and process cartridge included in the apparatus
KR100348374B1 (ko) 화상 형성 장치
JP4902376B2 (ja) 画像形成装置
EP1650607B1 (en) Developer cartridge and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toner seal members
EP0677795B1 (en) Image forming apparatus
US8660468B2 (en) Developing device including refill operation
JP4402066B2 (ja) トナー補給装置、現像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US20100014876A1 (en) Image forming apparatus
US5822646A (en) Image forming apparatus
US7319837B2 (en) Developing unit and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JP5476695B2 (ja) 現像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4392234B2 (ja) 画像形成装置とトナー補給方法
US7197258B2 (en) Developing cartridge and an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KR100532118B1 (ko) 현상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
JP2010281868A (ja) トナー容器の再生方法
JP4081367B2 (ja) 現像装置
JPH10260575A (ja) トナー補給装置
JP2009075244A (ja) 現像装置
JP2004133459A (ja) 画像形成装置
JP2006201528A (ja) 現像装置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JP7468065B2 (ja) 粉体搬送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3826640B2 (ja) 現像剤補給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画像形成装置
JP2010102125A (ja) 現像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WO2021080637A1 (en) Waste toner container mounting structure of image forming apparatus
JP2006267992A (ja) 画像形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