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46643A - 파이프 누출액 비산 방지 장치 - Google Patents

파이프 누출액 비산 방지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46643A
KR20210046643A KR1020210052369A KR20210052369A KR20210046643A KR 20210046643 A KR20210046643 A KR 20210046643A KR 1020210052369 A KR1020210052369 A KR 1020210052369A KR 20210052369 A KR20210052369 A KR 20210052369A KR 20210046643 A KR20210046643 A KR 202100466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pipe leakage
liner
present
prevent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523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84820B1 (ko
Inventor
최기환
Original Assignee
최기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기환 filed Critical 최기환
Publication of KR202100466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466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848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848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1/00Joints with sleeve or socket
    • F16L21/002Sleeves or nipples for pipes of the same diameter; Reduction pieces
    • F16L21/005Sleeves or nipples for pipes of the same diameter; Reduction pieces made of elastic material, e.g. partly or completely surrounded by clamp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ipe Accessories (AREA)
  • Examining Or Testing Airtightnes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누출액 비산 방지 장치는, 파이프 이음부 또는 파이프의 외주면을 둘러싸며 배치되도록 소정의 폭과 길이로 형성되는 몸체; 다공성 구조를 구비하며 상기 몸체의 내측의 적어도 일부분을 커버하며 배치되는 라이너 및 상기 몸체를 링 형태로 고정시켜주도록 상기 몸체의 길이 방향을 따라 부착 또는 체결되는 부분을 구비하는 고정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몸체의 길이 방향을 따라 부착 또는 체결되는 부분을 상기 몸체의 폭 방향을 따라 감싸며 배치되어 추가적인 고정력을 제공하는 고정밴드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파이프 누출액 비산 방지 장치{A DEVICE FOR PREVENTING THE SPRAYING OF PIPE LEAKAGE LIQUID}
본 발명은 파이프 누출액 비산 방지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파이프 이음부 또는 파이프의 외주면을 둘러싸며 배치되어 파이프 내부에서 누출되는 누출액의 비산을 막아주는 파이프 누출액 비산 방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
유체의 이송을 위한 파이프 라인은 다수개의 파이프가 연결되어 이루어진다. 파이프 라인에는 인접하는 파이프의 단부가 연결되는 파이프 이음부가 존재하는데, 시간의 경과에 따른 파이프 간의 체결력 약화, 파이프 내부의 유체 압력 등으로 인해 파이프 이음부를 통한 유체의 누설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파이프의 이음부가 아니더라도 파이프의 외벽이 손상된 경우 파이프 외벽의 손상된 틈을 통해서도 유체가 누설될 수 있다.
파이프를 통해 이송 중인 유체가 외부로 누설되면 유체 자체의 손실 뿐만 아니라 주변 환경에도 좋지 않은 영향을 주게 된다. 예를 들어, 유체가 독성을 지닌 유해 물질인 경우 환경 오염, 안전 사고 등의 문제가 야기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이유로 인하여 파이프를 통한 유체의 외부 누설을 방지하는 다양한 기술들이 선보이고 있다. 그러나 종래 선보이고 있는 기술들은 대부분 파이프의 이음부에 적용되는 것으로 그 적용을 위해 파이프 이음부의 설계 변경까지 필요한 것들이 대부분이다. 따라서 효율성, 경제성 측면에서 문제를 가지고 있다.
또한, 종래 파이프 이음부 누출액 방지 장치의 경우 파이프 누출액의 외부 유출을 방지하기 위해 파이프 이음부를 완전히 밀폐하는 형태를 가지고 있다. 이에 따라 파이프 이음부가 외부 공기와 차단되어 부식이 초래되는 문제도 있다.
이와 같은 상황 속에서, 파이프 전반에 걸쳐 일반적 범용적으로 사용될 수 있고, 파이프의 부식을 유발하지 않는 파이프 누출액 비산 방지 장치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등록실용신안 20-0484091 "비산 방지 장치", 2017. 07. 28 공고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파이프 내부에서 누출되는 누출액의 비산을 방지하되, 파이프 또는 파이프 이음부의 형태와 관계 없이 일반적 범용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파이프 누출액 비산 방지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파이프 외주면 또는 파이프 이음부를 완전히 밀폐하지 않아 파이프의 부식을 방지하는 파이프 누출액 비산 방지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파이프 내부의 유체가 누출될 때, 그 누출 여부를 외부에서 효과적으로 감지할 수 있게 해주는 파이프 누출액 비산 방지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파이프 이음부 또는 파이프의 외주면을 둘러싸며 배치되도록 소정의 폭과 길이로 형성되는 몸체; 다공성 구조를 구비하며 상기 몸체의 내측의 적어도 일부분을 커버하며 배치되는 라이너 및 상기 몸체를 링 형태로 고정시켜주도록 상기 몸체의 길이 방향을 따라 부착 또는 체결되는 부분을 구비하는 고정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몸체의 길이 방향을 따라 부착 또는 체결되는 부분을 상기 몸체의 폭 방향을 따라 감싸며 배치되어 추가적인 고정력을 제공하는 고정밴드를 포함하는 파이프 누출액 비산 방지 장치가 제공된다.
이때, 상기 라이너는 메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라이너는 내화학성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라이너는 스테인리스 강, 폴리테트라플루오르에틸렌(PTFE), 폴리프로필렌(PP), 폴리에틸렌(PE),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라이너는 스테인리스 강과 폴리테트라플루오르에틸렌 섬유의 혼합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라이너는 폭 방향 양 측 부분이 폭 방향 중앙 부분 보다 두껍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몸체의 길이 방향 일단부 외측에 결합되는 제 1 벨크로부 및 상기 제 1 벨크로부와 부착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몸체의 길이 방향 타단부 내측에 결합되는 제 2 벨크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몸체는 하나 이상의 관통홀을 포함하고, 상기 몸체의 외측에 상기 관통홀을 커버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관통홀을 통과한 유체를 감지하는 감지수단이 배치되는 포켓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관통홀은 상기 몸체의 길이 방향을 따라 다수개가 형성되고, 상기 포켓은 상기 몸체의 폭 방향 일측 또는 타측으로 상기 감지수단의 삽입 및 인출이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파이프 누출액 비산 방지 장치는 정보가 표시되도록 상기 몸체의 외측에 구비되는 표시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파이프를 둘러싸는 몸체와 몸체의 내측에 배치되어 다공성 구조를 제공하는 라이너를 통해 파이프에서 유출된 유체가 외부로 비산되는 것이 효과적으로 방지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다공성 구조의 라이너가 파이프 외주면 또는 파이프 이음부를 외부로부터 완전히 밀폐되지 않게 해줌으로써 파이프의 부식이 방지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감지수단을 통해 파이프를 통해 이송되는 유체의 누출 여부를 외부에서 효과적으로 감지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누출액 비산 방지 장치를 각각 다른 각도에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누출액 비산 방지 장치의 외측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누출액 비산 방지 장치의 내측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누출액 비산 방지 장치가 파이프의 이음부에 설치된 모습을 단면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누출액 비산 방지 장치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누출액 비산 방지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8 및 도 9는 각각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누출액 비산 방지 장치의 고정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도면에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였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누출액 비산 방지 장치를 각가 다른 각도에서 나타낸 사시도이다. 또한,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누출액 비산 방지 장치의 외측면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누출액 비산 방지 장치의 내측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누출액 비산 방지 장치(1a)는 파이프 이음부 또는 파이프의 외주면을 둘러싸며 배치되어 파이프 내부에서 누출되는 누출액의 비산을 방지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누출액 비산 방지 장치(1a)는 파이프에서 누출되는 누출액을 외부에서 감지할 수 있게 해준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누출액 비산 방지 장치(1a)는 몸체(10), 라이너(20), 고정수단(30), 포켓(40) 및 표시수단(50)을 포함한다.
몸체(10)는 파이프 이음부 또는 파이프의 외주면을 둘러싸며 배치되도록 소정의 폭과 길이로 형성된다. 몸체(10)는 외측면과 내측면을 가지는 밴드 형상으로 형성된다. 몸체(10)의 폭과 길이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누출액 비산 방지 장치(1a)가 사용되는 파이프의 직경, 파이프 이음부의 직경 및 폭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몸체(10)는 하나 이상의 관통홀(11)을 포함하고 있다. 관통홀(11)은 파이프의 누출액이 라이너(20)를 거쳐 몸체(10) 밖으로 유도되는 통로가 된다. 관통홀(11)은 다수개가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관통홀(11)은 몸체(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다수개가 형성될 수 있다.
관통홀(11)은 후술하는 포켓(40)에 의해 커버된다. 관통홀(11)을 통과한 누출액은 포켓(40)에 배치되는 감지수단(100)에 의해 감지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파이프에서 누출이 발생하였음을 외부에서 알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몸체(10)의 재질은 경량의 유연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더불어, 파이프를 통해 이송되는 유체의 종류에 따라서는 내화학성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몸체(10)는 폴리테트라플루오르에틸렌(PTFE, Polytetrafluoroethylene) 섬유(소위, '테프론')로 이루어질 수 있다.
라이너(20)는 다공성 구조를 구비하며 몸체(10)의 내측의 적어도 일부분을 커버하며 배치된다. 라이너(20)는 파이프의 누출액이 스며들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함으로써 누출액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누출액 비산 방지 장치(1a) 외부로 비산되는 것을 막아준다.
또한, 라이너(20)는 다공성 구조를 통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누출액 비산 방지 장치(1a)의 설치 부위가 외부와 완전히 차단되지 않게 해준다. 이에 따라 설치 부위의 밀폐로 인한 파이프의 부식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라이너(20)는 메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물론 이밖에도 라이너(20)는 다공성 구조를 제공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라이너(20)는 내화학성을 가지는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라이너(20)는 스테인리스 강, 폴리테트라플루오르에틸렌(PTFE), 폴리프로필렌(PP), 폴리에틸렌(PE),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더욱 상세하게, 라이너(20)는 스테인리스 강과 폴리테트라플루오르에틸렌 섬유의 혼합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혼합은 합성을 포함하는 의미이다. 이 경우 내화학성과 더불어 강도, 유연성, 경량성 등을 효과적으로 확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스테인리스 강과 폴리테트라플루오르에틸렌 섬유는 각각 50% 비율로 혼합될 수 있다.
한편, 라이너(20)는 폭 방향 중앙에 비하여 폭 방향 양 측의 두께가 더 두껍게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누출액 비산 방지 장치(1a)의 사용 시 라이너(20)의 폭 방향 중앙 부분은 파이프 이음부를 둘러싸며 배치될 수 있다. 이때, 라이너(20)의 폭 방향 중앙 부분 보다 폭 방향 양 측 부분이 두껍게 형성될 경우, 파이프 이음부를 통해 유체가 누설되더라도 라이너(20)의 폭 방향 양 측 부분을 통해 누출액이 비산되는 것을 더욱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고정수단(30)은 파이프 누출액 비산 방지 장치(1a)를 링 형태로 고정시켜주도록 몸체(10)에 구비된다. 여기서, 링 형태는 반드시 원형 링만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 파이프 누출액 비산 방지 장치(1a)가 설치되는 파이프 또는 파이프 이음부를 둘러쌀 수 있는 형태를 포괄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고정수단(30)은 몸체(10)의 길이 방향 일단부 외측에 결합되는 제 1 벨크로부(31) 및 제 1 벨크로부(31)와 부착되도록 형성되며, 몸체(10)의 길이 방향 타단부 내측에 결합되는 제 2 벨크로부(32)를 포함한다.
제 1 벨크로부(31)가 수 벨크로로 이루어질 경우 제 2 벨크로부(32)는 암 벨크로로 이루어진다. 이와 반대로, 제 1 벨크로부(31)가 암 벨크로로 이루어질 경우 제 2 벨크로부(32)는 수 벨크로로 이루어진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고정수단(30)은 제 1 벨크로부(31)와 제 2 벨크로부(32)의 부착 부위를 감싸도록 몸체(10)의 폭 방향을 따라 배치되어 추가적인 체결력을 제공하는 고정밴드(33)를 더 포함하고 있다.
도 1,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고정밴드(33)는 몸체(10)의 폭 방향 일측으로 연장되는 제 1 밴드(331)와 몸체(10)의 폭 방향 타측으로 연장되는 제 2 밴드(332)를 포함하고 있다. 제 1 밴드(331)와 제 2 밴드(332)는 제 1 벨크로부(31)와 제 2 벨크로부(32)의 부착 부위를 감싸며 몸체(10)의 외측면에서 포개어지는데, 포개어진 상태에서 체결이 이루어지도록 제 1 밴드(331)와 제 2 밴드(332)는 각각 그 대향면에 벨크로를 구비하고 있다.
이때, 제 1 밴드(331)가 수 벨크로를 구비할 경우 제 2 밴드(332)는 암 벨크로를 구비하며, 제 1 밴드(331)가 암 벨크로를 구비할 경우 제 2 밴드(332)는 수 벨크로를 구비한다.
포켓(40)은 몸체(10)에 형성된 관통홀(11)을 커버하도록 몸체(10)가 외측에 구비된다. 포켓(40) 내에는 누출액을 감지하기 위한 감지수단(100)이 배치된다. 예를 들면, 감지수단(100)은 리트머스 시험지가 될 수 있다. 더욱 상세하게, 파이프를 통해 이송되는 유체의 종류에 따라 감지수단(100)으로서 알카리성 용액을 검출하기 위한 리트머스 시험지 및 산성 용액을 검출하기 위한 리트머스 시험지 중 어느 하나 이상이 배치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포켓(40)은 몸체(10)의 폭 방향 일측 또는 타측으로 감지수단(100)의 삽입 및 인출이 가능하게 구비되어 있다. 즉, 포켓(40)은 길이 방향 양 단부가 몸체(10)에 고정되고, 폭 방향으로는 개방이 가능한 형태를 가지고 있다.
한편, 포켓(40)의 적어도 일부분은 외부에서 그 내부에 수용된 감지수단(100)을 쉽게 파악할 수 있도록 투명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때, 투명도는 감지수단(100)에 의한 누출액 감지 여부가 파악될 수 있는 정도이면 된다. 예를 들어, 감지수단(100)이 리트머스 시험지인 경우 그 변색 여부가 식별될 정도이면 충분하다.
표시수단(50)은 정보가 표시되도록 몸체(10)의 외측에 구비된다. 표시수단(50)을 통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누설액 비산 방지 장치(1a)에 관한 정보뿐만 아니라 파이프를 통해 이송되는 유체, 파이프 점검 일자 등의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표시수단(50)을 통해 관리상의 이점이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표시수단(50)은 몸체(10)의 길이 방향 일단부에 구비되어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누출액 비산 방지 장치가 파이프의 이음부에 설치된 모습을 단면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또한,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누출액 비산 방지 장치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누출액 비산 방지 장치(1a)는 두 개의 파이프(P1, P2)의 이음부(J)를 둘러싸며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이음부(J)에서 누출액이 발생할 경우 라이너(20)에 스며든 후 중력에 의해 하부로 이동하게 된다. 이에 따라 몸체(10)의 관통홀(11)을 커버하는 포켓(40)이 구비된 부분은 이음부(J)의 하측을 커버하며 배치되어 있다.
또한, 도 6을 참조하면, 포켓(40) 내부에 배치된 감지수단(100)의 변색 여부를 통해 누출액의 발생 여부가 외부에 나타남을 확인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6을 살펴보면, 좌측 두개의 파이프(P1, P2) 사이의 이음부를 둘러싸며 배치된 파이프 누출액 비산 방지 장치(1a)의 포켓(40) 내에 배치된 감지수단(100)은 변색된 반면, 우측 두개의 파이프(P3, P4) 사이의 이음부를 둘러싸며 배치된 파이프 누출액 비산 방지 장치(1a)의 포켓(40) 내에 배치된 감지수단(100)은 변색되지 않은 상태를 나타낸다. 이에 따라 좌측 두개의 파이프(P1, P2) 사이의 이음부에서 누출액이 발생하였음을 외부에서 즉각적으로 인지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누출액 비산 방지 장치의 사시도이다. 또한, 도 8 및 도 9는 각각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누출액 비산 방지 장치의 고정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누출액 비산 방지 장치(1b)는 몸체(10), 라이너(20) 및 고정수단(30)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누출액 비산 방지 장치(1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누출액 비산 방지 장치(1a)와 비교하여 고정수단(30)이 상대적으로 강한 체결력을 제공할 수 있으며, 파이프 내부의 압력이 상대적으로 높은 경우에 적합하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서, 몸체(10) 및 라이너(20)의 구조 및 형상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한 바와 동일하다. 다만,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누출액 비산 방지 장치(1b)는 파이프 내부의 압력이 상대적으로 높은 경우에 사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몸체(10)의 재질이 스테인리스 강(SUS)로 이루어질 수 있다. 스테인리스 강은 강한 압력을 견딜 수 있으므로 강도 측면에서 장점을 가진다. 또한, 이와 같은 관점에서 라이너(20) 역시 스테인리스 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서, 고정수단(30)은 몸체(10)의 길이 방향 일단부 외측에 구비되는 고정부(34), 몸체(10)의 길이 방향 타단부 외측에 피벗 회전 가능한 형태로 구비되는 래치부재(35) 및 래치부재(35)에 연결되어 래치부재(35)의 피벗 회전에 따라 고정부(34)와 체결 또는 체결 해제되는 체결부재(36)를 포함한다.
고정부(34)는 체결부재(36)의 일단이 걸릴 수 있도록 형성된 몸체(10)의 외측으로 돌출 형성된 걸림홈으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래치부재(35)는 몸체(10)의 외측에 피벗 회전이 가능한 형태로 결합되어 있으며, 체결부재(36)는 래치부재(35)의 피벗 회전에 따라 그 일단이 고정부(34)에 걸리며 체결되거나 고정부(34)에서 이탈되어 체결 해제될 수 있는 형태를 가진다.
한편, 고정부(34)는 몸체(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다수개 형성되어 있다. 그러므로 도 8 및 도 9를 통해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파이프의 직경 또는 파이프 이음부의 직경에 따라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누출액 비산 방지 장치(1b)의 고정 상태에서의 직경이 가변적으로 조절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들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본 명세서에 제시되는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추가 등에 의해서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든다고 할 것이다.
1a, 1b: 파이프 누출액 비산 방지 장치
10: 몸체
20: 라이너
30: 고정수단
40: 포켓
50: 표시수단

Claims (10)

  1. 파이프 이음부 또는 파이프의 외주면을 둘러싸며 배치되도록 소정의 폭과 길이로 형성되는 몸체;
    다공성 구조를 구비하며 상기 몸체의 내측의 적어도 일부분을 커버하며 배치되는 라이너 및
    상기 몸체를 링 형태로 고정시켜주도록 상기 몸체의 길이 방향을 따라 부착 또는 체결되는 부분을 구비하는 고정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몸체의 길이 방향을 따라 부착 또는 체결되는 부분을 상기 몸체의 폭 방향을 따라 감싸며 배치되어 추가적인 고정력을 제공하는 고정밴드를 포함하는 파이프 누출액 비산 방지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라이너는 메쉬로 이루어지는 파이프 누출액 비산 방지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라이너는 내화학성 재질로 이루어지는 파이프 누출액 비산 방지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라이너는 스테인리스 강, 폴리테트라플루오르에틸렌(PTFE), 폴리프로필렌(PP), 폴리에틸렌(PE),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파이프 누출액 비산 방지 장치.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라이너는 스테인리스 강과 폴리테트라플루오르에틸렌 섬유의 혼합 재질로 이루어지는 파이프 누출액 비산 방지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라이너는 폭 방향 양 측 부분이 폭 방향 중앙 부분 보다 두껍게 형성되는 파이프 누출액 비산 방지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몸체의 길이 방향 일단부 외측에 결합되는 제 1 벨크로부 및
    상기 제 1 벨크로부와 부착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몸체의 길이 방향 타단부 내측에 결합되는 제 2 벨크로부를 더 포함하는 파이프 누출액 비산 방지 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하나 이상의 관통홀을 포함하고,
    상기 몸체의 외측에 상기 관통홀을 커버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관통홀을 통과한 유체를 감지하는 감지수단이 배치되는 포켓을 더 포함하는 파이프 누출액 비산 방지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홀은 상기 몸체의 길이 방향을 따라 다수개가 형성되고,
    상기 포켓은 상기 몸체의 폭 방향 일측 또는 타측으로 상기 감지수단의 삽입 및 인출이 가능하게 구비되는 파이프 누출액 비산 방지 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정보가 표시되도록 상기 몸체의 외측에 구비되는 표시수단을 더 포함하는 파이프 누출액 비산 방지 장치.
KR1020210052369A 2019-01-23 2021-04-22 파이프 누출액 비산 방지 장치 KR10228482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0008827 2019-01-23
KR1020190008827 2019-01-23
KR1020190083807A KR20200091776A (ko) 2019-01-23 2019-07-11 파이프 누출액 비산 방지 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83807A Division KR20200091776A (ko) 2019-01-23 2019-07-11 파이프 누출액 비산 방지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46643A true KR20210046643A (ko) 2021-04-28
KR102284820B1 KR102284820B1 (ko) 2021-08-02

Family

ID=71835001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83807A KR20200091776A (ko) 2019-01-23 2019-07-11 파이프 누출액 비산 방지 장치
KR1020210052369A KR102284820B1 (ko) 2019-01-23 2021-04-22 파이프 누출액 비산 방지 장치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83807A KR20200091776A (ko) 2019-01-23 2019-07-11 파이프 누출액 비산 방지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20200091776A (ko)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60870A (en) * 1985-08-23 1987-04-28 Donley Nick J Clamp
JPH0716009U (ja) * 1993-08-23 1995-03-17 有限会社三惠製作所 緊締バンド
KR200438946Y1 (ko) * 2006-11-22 2008-03-13 이경희 패드형 호스 파손 지수대
JP2011185362A (ja) * 2010-03-09 2011-09-22 Jfe Steel Corp 鋼製配管漏水時の簡易止水方法および簡易止水治具
KR20140033877A (ko) * 2012-09-11 2014-03-19 박창기 체결 장치
JP2016508203A (ja) * 2012-12-21 2016-03-17 ゲイツ コーポレイション ホース破裂閉じ込めブランケット
KR101659644B1 (ko) * 2012-05-23 2016-09-23 트랜스코 프로덕츠 인코포레이티드 단열용 밴딩 시스템
KR20170015865A (ko) * 2015-07-02 2017-02-10 이삼해 배관용 히팅 보온 커버
KR200484091Y1 (ko) 2015-08-13 2017-07-28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비산 방지 장치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60870A (en) * 1985-08-23 1987-04-28 Donley Nick J Clamp
JPH0716009U (ja) * 1993-08-23 1995-03-17 有限会社三惠製作所 緊締バンド
KR200438946Y1 (ko) * 2006-11-22 2008-03-13 이경희 패드형 호스 파손 지수대
JP2011185362A (ja) * 2010-03-09 2011-09-22 Jfe Steel Corp 鋼製配管漏水時の簡易止水方法および簡易止水治具
KR101659644B1 (ko) * 2012-05-23 2016-09-23 트랜스코 프로덕츠 인코포레이티드 단열용 밴딩 시스템
KR20140033877A (ko) * 2012-09-11 2014-03-19 박창기 체결 장치
JP2016508203A (ja) * 2012-12-21 2016-03-17 ゲイツ コーポレイション ホース破裂閉じ込めブランケット
KR20170015865A (ko) * 2015-07-02 2017-02-10 이삼해 배관용 히팅 보온 커버
KR200484091Y1 (ko) 2015-08-13 2017-07-28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비산 방지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84820B1 (ko) 2021-08-02
KR20200091776A (ko) 2020-07-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06538B1 (ko) 유해물질 누출 감지 시스템
US5312137A (en) Safety shield
US4667505A (en) Split fittings and pipeline systems using same
US8701467B2 (en) Flange fitting with leak sensor port
US2601840A (en) Indicating protective cover for pipe flanges and valves
US4216980A (en) Safety shield for flanged pipe coupling
JP2011215076A (ja) 液漏れ検出シール及び液漏れ検出装置
RU2652856C9 (ru) Фитинг для системы защиты трубопровода
KR102284820B1 (ko) 파이프 누출액 비산 방지 장치
JP5290815B2 (ja) 管継手
RU97800U1 (ru) Универсальный защитный кожух для фланцевых соединений и трубопроводной арматуры (варианты)
KR102440552B1 (ko) 이송관 누출액 비산 방지 장치
KR100919108B1 (ko) 플랜지 커버체
JP2010209950A (ja) 管継手
TW201835480A (zh) 化學藥劑輸送管路之聯接裝置
KR20160008476A (ko) 유해물질 누출 감지 시스템
WO2017010786A1 (ko) 유해물질 누출 감지 시스템
KR20190000615U (ko) 배관 이음부 커버체
KR20120001146A (ko) 누수 탐지관
JP4353835B2 (ja) 管継手の耐圧試験装置
JP3240331U (ja) 漏洩検知装置
KR102530130B1 (ko) 플랜지 누출감시 링
CN107764486A (zh) 一种环形漏液检测传感器
CN218720701U (zh) 一种可用于泄露预警和监测的管道防喷溅装置
CN216555282U (zh) 一种漏油监测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