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40552B1 - 이송관 누출액 비산 방지 장치 - Google Patents

이송관 누출액 비산 방지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40552B1
KR102440552B1 KR1020210150959A KR20210150959A KR102440552B1 KR 102440552 B1 KR102440552 B1 KR 102440552B1 KR 1020210150959 A KR1020210150959 A KR 1020210150959A KR 20210150959 A KR20210150959 A KR 20210150959A KR 102440552 B1 KR102440552 B1 KR 1024405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fer pipe
liner
prevention device
leak
leak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509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35969A (ko
Inventor
최기환
Original Assignee
최기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기환 filed Critical 최기환
Priority to KR10202101509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40552B1/ko
Publication of KR202101359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359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405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405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DPIPE-LINE SYSTEMS; PIPE-LINES
    • F17D5/00Protection or supervision of installations
    • F17D5/02Preventing, monitoring, or locating loss
    • F17D5/06Preventing, monitoring, or locating loss using electric or acoustic mea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thene
    • C08L23/06Polyeth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1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propene
    • C08L23/12Polyprop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7/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7/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7/1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containing fluorine atoms
    • C08L27/18Homopolymers or copolymers or tetrafluoroeth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7/00Compositions of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67/02Polyesters derived from 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9/00Compositions of polycarbonate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polycarbonat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DPIPE-LINE SYSTEMS; PIPE-LINES
    • F17D1/00Pipe-line systems
    • F17D1/08Pipe-line systems for liquids or viscous produc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DPIPE-LINE SYSTEMS; PIPE-LINES
    • F17D3/00Arrangements for supervising or controlling working operations
    • F17D3/01Arrangements for supervising or controlling working operations for controlling, signalling, or supervising the conveyance of a produc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3/00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 G01M3/02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 G01M3/04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detecting the presence of fluid at the leakage point
    • G01M3/042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detecting the presence of fluid at the leakage point by using materials which expand, contract, disintegrate, or decompose in contact with a fluid
    • G01M3/045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detecting the presence of fluid at the leakage point by using materials which expand, contract, disintegrate, or decompose in contact with a fluid with electrical detection mean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Examining Or Testing Airtightness (AREA)

Abstract

이송관 누출액 비산 방지 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송관 누출액 비산 방지 장치는 이송관 이음부 또는 이송관의 외주면을 둘러싸며 배치되도록 소정의 폭과 길이로 형성되는 몸체; 탄성 변형 가능한 다공성 구조로 형성되고 상기 몸체의 내측의 적어도 일부분을 커버하되 상기 이송관 이음부 또는 상기 이송관의 외주면의 둘레를 감쌀 수 있도록 상기 이송관 이음부 또는 상기 이송관의 외주면의 둘레보다 길게 연장되는 라이너; 상기 이송관의 누출액에 의해 전류값이 변화되는 도전체를 구비하고 상기 몸체와 상기 라이너 사이에 배치되는 누출감지 센서; 상기 누출감지 센서에 전원를 공급하는 전원공급부; 상기 누출감지 센서로부터 전류 정보를 수신하여 외부로 전송하는 통신부; 및 상기 몸체, 상기 라이너 및 상기 누출감지 센서가 적층된 상태에서 링 형태로 고정시켜주도록 상기 몸체의 길이 방향 일단부 외측면과 상기 몸체의 길이 방향 타단부 내측면을 결합시키는 고정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이송관 누출액 비산 방지 장치{TRANSFER PIPE LEAKAGE LIQUID SPRAY PRVENTION DEVICE}
본 발명은 이송관 누출액 비산 방지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이송관 이음부 또는 이송관의 외주면의 누출액을 감지하고 비산을 막아주는 이송관 누출액 비산 방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유체의 이송을 위한 이송 라인은 다수개의 이송관이 연결되어 이루어진다. 이송관 라인에는 인접하는 이송관의 단부가 연결되는 이송관 이음부가 존재하는데, 시간의 경과에 따른 이송관 간의 체결력 약화, 이송관 내부의 유체 압력 등으로 인해 이송관 이음부를 통한 유체의 누설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이송관의 이음부가 아니더라도 이송관의 외벽이 손상된 경우 이송관 외벽의 손상된 틈을 통해서도 유체가 누설될 수 있다.
이송관을 통해 이송 중인 유체가 외부로 누설되면 유체 자체의 손실뿐만 아니라 주변 환경에도 좋지 않은 영향을 주게 된다. 예를 들어, 유체가 독성을 지닌 유해 물질인 경우 환경 오염, 안전 사고 등의 문제가 야기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이유로 인하여 이송관을 통한 유체의 외부 누설을 방지하는 다양한 기술들이 선보이고 있다. 그러나 종래 선보이고 있는 기술들은 대부분 이송관의 이음부에 적용되는 것으로 그 적용을 위해 이송관 이음부의 설계 변경까지 필요한 것들이 대부분이다. 따라서 효율성, 경제성 측면에서 문제를 가지고 있다.
또한, 종래 이송관 이음부 누출액 방지 장치의 경우 이송관 누출액의 외부 유출을 방지하기 위해 이송관 이음부를 완전히 밀폐하는 형태를 가지고 있다. 이에 따라 이송관 이음부가 외부 공기와 차단되어 부식이 초래되는 문제도 있다.
더불어 종래 기술 중 이송관 이음부 누출을 신속히 감지하여 조치가 가능하도록 하는 동시에 조치가 수행되기 전까지 비산을 효과적으로 막는 장치는 개시된 바가 없다.
이와 같은 상황 속에서, 이송관 종류에 따른 제한이 없이 범용적으로 사용될 수 있고, 이송관의 부식을 유발하지 않으면서도 이송관 누출액을 조기에 감지할 수 있는 이송관 누출액 비산 방지 장치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등록실용신안 20-0484091 "비산 방지 장치", 2017. 07. 28 공고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송관 내부에서 누출되는 누출액의 비산을 방지하되, 이송관의 누출 여부를 신속하게 감지하여 관리자에게 알려줄 수 있는 이송관 누출액 비산 방지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이송관 외주면 또는 이송관 이음부를 완전히 밀폐하지 않아 이송관의 부식을 방지하는 이송관 누출액 비산 방지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이송관 내부의 유체가 누출될 때, 그 누출 여부를 외부에서 효과적으로 감지할 수 있는 이송관 누출액 비산 방지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복수의 이송관에 대한 통합적인 누출관리가 가능한 이송관 누출액 비산 방지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이송관 누출액 비산 방지 장치는, 이송관 이음부 또는 이송관의 외주면을 둘러싸며 배치되도록 소정의 폭과 길이로 형성되고 유연한 재질로 이루어지는 몸체; 탄성 변형 가능한 메쉬 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몸체의 내측의 적어도 일부분을 커버하되 상기 이송관 이음부 또는 상기 이송관의 외주면의 둘레를 감쌀 수 있도록 상기 이송관 이음부 또는 상기 이송관의 외주면의 둘레보다 길게 연장되는 라이너; 상기 이송관의 누출액에 의해 전류값이 변화되는 도전체를 구비하고 상기 몸체와 상기 라이너 사이에 배치되는 누출감지 센서; 상기 누출감지 센서에 전원를 공급하는 전원공급부; 상기 누출감지 센서로부터 전류 정보를 수신하여 외부로 전송하는 통신부; 및 상기 몸체, 상기 라이너 및 상기 누출감지 센서가 적층된 상태에서 링 형태로 고정시켜주도록 상기 몸체의 길이 방향 일단부 외측면과 상기 몸체의 길이 방향 타단부 내측면을 결합시키는 고정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라이너는 폭 방향 양 측 부분이 폭 방향 중앙 부분보다 두껍게 형성됨으로써 상기 라이너가 상기 이송관 이음부 또는 상기 이송관의 외주면의 둘레를 감싼 상태에서 상기 몸체에 의하여 상기 이송관 이음부 또는 상기 이송관의 외주면 측으로 가압되는 경우 상기 이송관의 누출액이 폭 방향으로 비산되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이송관의 누출액을 상기 라이너의 폭 방향 중앙 부분에 집중되도록 상기 라이너의 폭 방향 양 측 부분이 폭 방향 중앙 부분보다 더 탄성 변형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센서는 상기 라이너에 대응되는 영역의 누출을 감지할 수 있도록 도전체가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도전체는 상기 라이너의 폭방향으로 연장되되, 연장방향을 전환하는 것을 반복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센서의 도전체는 그래핀 분산액, 폴리메틸실세스퀴옥산 수지 및 리크 반응 물질을 포함하는 리크 감지용 조성물로 형성되며, 상기 리크 반응 물질은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에틸렌 수지 및 폴리우레탄 수지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센서는 두 개 이상의 도전체가 구비되며, 어느 한 도전체에 포함되는 리크 반응 물질은 적어도 다른 하나의 도전체에 포함되는 리크 반응 물질과 상이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전원공급부는 교체 가능한 배터리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전원공급부는 외부전원을 연결할 수 있는 전원 커넥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복수개의 이송관 누출액 비산방지 장치가 각각의 전원 커넥터에 의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통신부는 무선통신으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통신부는 통신 케이블을 연결할 수 있는 통신 커넥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적어도 2 이상의 이송관 누출액 비산방지 장치가 각각의 통신 커넥터에 의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라이너는 메쉬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상기 라이너는 스테인리스 강 또는 합성수지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상기 합성수지는 폴리테트라플루오르에틸렌(PTFE), 폴리프로필렌(PP), 폴리에틸렌(PE),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PE(폴리에틸렌) 및 PC(폴리카보네이트)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라이너는 폭 방향 양 측 부분이 폭 방향 중앙 부분보다 두껍게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몸체의 길이 방향 일단부 외측에 결합되는 제 1 벨크로부; 및 상기 제 1 벨크로부와 부착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몸체의 길이 방향 타단부 내측에 결합되는 제 2 벨크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몸체의 길이 방향 일단부 외측에 구비되는 고정부; 상기 몸체의 길이 방향 타단부 외측에 피벗 회전 가능한 형태로 구비되는 래치부재; 및 상기 래치부재에 연결되어 상기 래치부재의 피벗 회전에 따라 상기 고정부와 체결 또는 체결 해제되는 체결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몸체는 하나 이상의 관통홀을 포함하고, 상기 몸체의 외측에 상기 관통홀을 커버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관통홀을 통과한 유체를 감지하는 감지수단이 배치되는 포켓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관통홀은 상기 몸체의 길이 방향을 따라 다수개가 형성되고, 상기 포켓은 상기 몸체의 폭 방향 일측 또는 타측으로 상기 감지수단의 삽입 및 인출이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이송관을 둘러싸는 몸체와 몸체의 내측에 배치되어 다공성 구조를 제공하는 라이너를 통해 이송관에서 유출된 유체가 외부로 비산되는 것이 효과적으로 방지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다공성 구조의 라이너가 이송관 외주면 또는 이송관 이음부를 외부로부터 완전히 밀폐되지 않게 해줌으로써 이송관의 부식이 방지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누출액과의 반응에 따라 전류 값이 달라지는 누출감지 센서에 의해 이송관의 누출액을 신속하게 감지하여 대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누출감지 센서로부터 수신된 전류 정보를 통신부를 통해 전송함으로써 이송관의 누출여부를 실시간으로 감지 및 대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커넥터를 통해 개별 이송관 누출액 비산 방지 장치를 서로 연결함으로써 복수의 이송관에 대한 통합적인 관리가 가능하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송관 누출액 비산 방지 장치를 각각 다른 각도에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송관 누출액 비산 방지 장치를 분리하여 나타낸 분리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송관 누출액 비산 방지 장치의 외측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송관 누출액 비산 방지 장치의 내측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송관 누출액 비산 방지 장치의 센서와 통신부 및 전원공급부의 연결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송관 누출액 비산 방지 장치가 이송관의 이음부에 설치된 모습을 단면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송관 누출액 비산 방지 장치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이송관 누출액 비산 방지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10 및 도 11은 각각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이송관 누출액 비산 방지 장치의 고정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이송관 누출액 비산 방지 장치가 서로 연결된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도면에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였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송관 누출액 비산 방지 장치를 각가 다른 각도에서 나타낸 사시도이다. 또한, 도 4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송관 누출액 비산 방지 장치의 외측면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송관 누출액 비산 방지 장치의 내측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송관 누출액 비산 방지 장치(1a)는 이송관 이음부 또는 이송관의 외주면을 둘러싸며 배치되어 이송관 내부에서 누출되는 누출액의 비산을 방지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송관 누출액 비산 방지 장치(1a)는 이송관에서 누출되는 누출액을 외부에서 감지할 수 있게 해준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송관 누출액 비산 방지 장치(1a)는 몸체(10), 라이너(20), 센서(30), 포켓(40) 및 표시수단(50), 고정수단(60), 통신부(70) 및 전원공급부(80)을 포함한다.
몸체(10)는 이송관 이음부 또는 이송관의 외주면을 둘러싸며 배치되도록 소정의 폭과 길이로 형성된다. 몸체(10)는 외측면과 내측면을 가지는 밴드 형상으로 형성된다. 몸체(10)의 폭과 길이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송관 누출액 비산 방지 장치(1a)가 사용되는 이송관의 직경, 이송관 이음부의 직경 및 폭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몸체(10)는 하나 이상의 관통홀(11)을 포함하고 있다. 관통홀(11)은 이송관의 누출액이 라이너(20)를 거쳐 몸체(10) 밖으로 유도되는 통로가 된다. 관통홀(11)은 다수개가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관통홀(11)은 몸체(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다수개가 형성될 수 있다.
관통홀(11)은 후술하는 포켓(40)에 의해 커버된다. 관통홀(11)을 통과한 누출액은 포켓(40)에 배치되는 감지수단(100)에 의해 감지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이송관에서 누출이 발생하였음을 외부에서 알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몸체(10)의 재질은 경량의 유연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더불어, 이송관을 통해 이송되는 유체의 종류에 따라서는 내화학성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몸체(10)는 소위 테프론이라 불리우는 폴리테트라플루오르에틸렌(PTFE, Polytetrafluoroethylene) 또는 ETFE(Ethylene Tetra fluoro Ethylene)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TFA(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PP(폴리프로필렌), PET(포화폴리에스테르), PC(폴리카보네이트)와 같은 다양한 합성섬유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라이너(20)는 다공성 구조를 구비하며 몸체(10)의 내측의 적어도 일부분을 커버하며 배치된다. 라이너(20)는 이송관의 누출액이 스며들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함으로써 누출액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송관 누출액 비산 방지 장치(1a) 외부로 비산되는 것을 막아준다.
또한, 라이너(20)는 다공성 구조를 통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송관 누출액 비산 방지 장치(1a)의 설치 부위가 외부와 완전히 차단되지 않게 해준다. 이에 따라 설치 부위의 밀폐로 인한 이송관의 부식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라이너(20)는 메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물론 이밖에도 라이너(20)는 다공성 구조를 제공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라이너(20)는 내화학성을 가지는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라이너(20)는 스테인리스 강, 폴리테트라플루오르에틸렌(PTFE), 폴리프로필렌(PP), 폴리에틸렌(PE),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더욱 상세하게, 라이너(20)는 스테인리스 강과 폴리테트라플루오르에틸렌 섬유의 혼합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혼합은 합성을 포함하는 의미이다. 이 경우 내화학성과 더불어 강도, 유연성, 경량성 등을 효과적으로 확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스테인리스 강과 폴리테트라플루오르에틸렌 섬유는 각각 10% 내지 90% 비율로 혼합될 수 있다.
한편, 라이너(20)는 폭 방향 중앙에 비하여 폭 방향 양 측의 두께가 더 두껍게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송관 누출액 비산 방지 장치(1a)의 사용 시 라이너(20)의 폭 방향 중앙 부분은 이송관 이음부를 둘러싸며 배치될 수 있다. 이때, 라이너(20)의 폭 방향 중앙 부분 보다 폭 방향 양 측 부분이 두껍게 형성될 경우, 이송관 이음부를 통해 유체가 누설되더라도 라이너(20)의 폭 방향 양 측 부분을 통해 누출액이 비산되는 것을 더욱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송관 누출액 비산 방지 장치의 센서와 통신부 및 전원공급부의 연결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송관 누출액 비산 방지 장치(1a)는 이송관 누출액을 감지할 수 있는 누출감지 센서(30)가 구비된다.
도 3 및 6을 참조하면, 누출감지 센서(30)는 후술될 전원공급부(80)로부터 공급된 전기가 흐를 수 있는 도전체(32)를 포함한다. 따라서 도전체(32)에 전압을 인가하면 일정한 전류의 값을 가진다.
그러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도전체(32)가 이송관으로부터 누출된 누출액과 반응하면 도전체(32)에 흐르는 전류의 값이 변할 수 있다.
이것은 도전체(32)가 이송관으로부터 유출된 이송관 누출액과 반응하면 반응 전 저항값(기준이 되는 값)과 비교하였을 때 저항값이 변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변화된 저항값은 도전체에 흐르는 전류에도 영향을 미친다.
이것은 또한, 도전체(32)가 이송관으로부터 유출된 누출액과 반응하면 도전체(32)를 구성하는 물질에 이온화가 발생되어 전해도값이 변할 수 있기 때문이기도 하다. 즉, 이와 같이 변화된 전해도값에 의해 전류의 흐름 정도도 변화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송관 누출액 비산 방지 장치(1a)는 상술한 전류 정보의 변화를 모니터링함으로써 이송관 누출액을 신속하게 감지할 수 있다.
상세하게, 도전체(32)는 그래핀 분산액, 폴리메틸실세스퀴옥산 수지 및 리크 반응 물질을 포함하는 리크 감지용 조성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리크 반응 물질은 유기용제, 산성 물질 또는 알카리성 물질과 반응하는 물질일 수 있다. 일례로, 리크 반응 물질은 유기용제와 반응할 수 있는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이거나, 또는 산성 물질과 반응할 수 있는 비이온성 폴리우레탄 수지이거나, 또는 알칼리성 물질과 반응할 수 있는 폴리에틸렌 수지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리크 반응 물질은 검출하고자 하는 이송관 유출액의 물성에 따라 적절한 물질로 선택될 수 있다.
도전체(32)는 센서하우징(34)에 설치될 수 있다. 센서하우징(34)은 도전체(32)를 수용하기 위한 부재로서, 도전체(32)가 외력에 의해 이동되지 않고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게 한다.
이때, 센서하우징(34)은 몸체(10) 또는 라이너(20)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몸체(10) 또는 라이너(20)와 같이 소정 폭을 가지고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띠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센서하우징(34)의 외면에는 도전체(32)를 수용하기 위해 홈부가 형성되어 도전체(32)를 수용함으로써 도전체(32)를 고정할 수 있다. 그러나 센서하우징(34)에 홈부가 형성되지 않고, 대신 도전체(32)가 별도의 접착 물질에 의해 센서하우징(34)에 고정될 수도 있다. 또는 공지의 인쇄 방법에 의해 센서하우징(34)에 도전체(32)를 인쇄함으로써 고정할 수도 있다.
이때, 센서하우징(34)은 내화성이 있고, 전류가 흐르지 않는 소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례로, 센서하우징(34)은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폴리에틸렌계 수지,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폴리아세탈계 수지, 알키드계 수지, 폴리이미드계 수지 및 테프론계 수지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테프론계 수지는 에틸렌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ETFE),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PTFE), 퍼플루오로알콕시(PFA) 등의 재질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다시 도 3을 참조하면, 누출감지 센서(30)는 라이너(20)와 몸체(10) 사이에 개재될 수 있다. 즉, 도전체(32)는 라이너(20)와 인접하여 배치되고, 라이너(20)를 경유하여 도달하는 이송관 유출액을 감지할 수 있다.
이때, 도전체(32)는 라이너(20)에 대응되는 영역의 누출을 효과적으로 감지할 수 있도록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도전체(32)는 라이너(20)의 전체 영역을 커버할 수 있도록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례로 도전체(32)는 도전 라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도전 라인은 라이너의 폭방향(가로방향)으로 연장되되, 라이너(20)의 측부에 인접하여서는 방향을 전환하여 반대쪽 폭방향으로 다시 연장되는 것을 반복할 수 있다. 즉, 도 6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ㄹ'자 형상이 연속적으로 연결된 형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도전체(32)는 복수개 구비될 수 있다. 즉, 적어도 2개 이상의 도전체가 구비되되, 각각의 도전체를 형성하는 리크 감지용 조성물을 서로 달리할 수 있다.
상세하게, 복수의 도전체 중 개별 도전체를 구성하는 리크 감지용 조성물의 리크 반응 물질을 각각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에틸렌 수지 및 폴리우레탄 수지 중 어느 하나로 선택하여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어느 한 도전체를 구성하는 리크 반응 물질을 다른 도전체의 리크 반응 물질과 서로 다른 물질로 선택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유기용제, 알칼리성 물질 및 산성 물질 등 이송관 유출액의 물성에 상관없이 누출액을 감지할 수 있으며, 누출액의 종류를 판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도전체(32)는 일부만 리크 감지용 조성물로 형성되고, 나머지는 공지의 도전선을 연결하여 이용할 수도 있다. 즉, 리크 감지용 조성물로 형성된 감지 라인과 공지의 도전선이 별도의 커넥터를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누출감지 센서(30)의 도전체(32)는 전원공급부(80)와 연결될 수 있다. 전원공급부(80)는 도전체(32)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도전체(32)에 상시적으로 전류가 흐르도록 함으로써, 이송관 누출액에 따른 도전체(32)의 전류 변화를 감지할 수 있다.
전원공급부(80)는 교체 가능한 배터리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전원공급부(80)는 충전 가능한 배터리로 형성될 수도 있다. 여기서, 배터리는 외부전원(84)으로부터 입력되는 전원을 직류 전원으로 저장하고, 도전체(32)에 직류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이때, 외부전원(84)은 전원공급부(80)에 구비된 전원 커넥터(82)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전원 커넥터(82)를 통해 다른 이송관 누출액 비산 방지 장치의 전원공급부(80)와도 연결될 수 있으나, 이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누출감지 센서(30)의 도전체(32)는 통신부(70)와 연결될 수 있다. 통신부(70)는 전술한 누출감지 센서(30)로부터 전류 정보를 수신하여 외부로 전송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통신부(70)는 전류 정보를 계측하기 위한 별도의 센서 부재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센서 부재를 통해 통신부(70)는 전류의 세기 또는 전류와 관련된 신호를 계측하여 수집할 수 있다.
통신부(70)는 외부장치(74)와 무선통신 또는 유선통신을 통해 상기 전류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무선통신을 통해 전송하는 경우, 도 6을 참조하면, 통신부(70)는 외부장치와의 RF 통신을 위한 RF 통신 모듈을 구비할 수 있다. 이때, RF 통신은, wi-fi 통신, 지그비 통신, 블루투스 통신, LoRa 통신 등일 수 있다.
이때, 외부장치는 일례로 개인휴대전화 또는 태블릿 PC 일 수 있다. 따라서 이송관의 관리자는 별도의 기기가 없이도 개인의 통신장치를 통해 이송관의 누출 유무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유선통신을 통해 전송하는 경우, 다시 도 6을 참조하면, 통신부(70)는 통신 커넥터(72)를 구비하여 이를 통해 외부장치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전원 커넥터(82)와 마찬가지로 통신 커넥터(72)를 통해서도 다른 이송관 누출액 비산 방지 장치의 통신부와 연결될 수 있으나, 마찬가지로 후술하기로 한다.
도면에서 통신부(70)와 전원공급부(80)는 각기 별도로 분리되어 존재하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이와는 달리 통신부(70)와 전원공급부(80)가 통합된 영역 내에 존재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통신부(70)와 연결되는 외부장치(74)와 전원공급부(80)와 연결되는 외부전원(84)는 서로 통합된 장치 내에 형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고정수단(60)은 이송관 누출액 비산 방지 장치(1a)를 링 형태로 고정시켜주도록 몸체(10)에 구비된다. 여기서, 링 형태는 반드시 원형 링만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송관 누출액 비산 방지 장치(1a)가 설치되는 이송관 또는 이송관 이음부를 둘러쌀 수 있는 형태를 포괄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고정수단(60)은 몸체(10)의 길이 방향 일단부 외측에 결합되는 제 1 벨크로부(61) 및 제 1 벨크로부(61)와 부착되도록 형성되며, 몸체(10)의 길이 방향 타단부 내측에 결합되는 제 2 벨크로부(62)를 포함한다.
제 1 벨크로부(61)가 수 벨크로로 이루어질 경우 제 2 벨크로부(62)는 암 벨크로로 이루어진다. 이와 반대로, 제 1 벨크로부(61)가 암 벨크로로 이루어질 경우 제 2 벨크로부(62)는 수 벨크로로 이루어진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고정수단(60)은 제 1 벨크로부(61)와 제 2 벨크로부(62)의 부착 부위를 감싸도록 몸체(10)의 폭 방향을 따라 배치되어 추가적인 체결력을 제공하는 고정밴드(63)를 더 포함하고 있다.
도 1,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고정밴드(63)는 몸체(10)의 폭 방향 일측으로 연장되는 제 1 밴드(631)와 몸체(10)의 폭 방향 타측으로 연장되는 제 2 밴드(632)를 포함하고 있다. 제 1 밴드(631)와 제 2 밴드(632)는 제 1 벨크로부(61)와 제 2 벨크로부(62)의 부착 부위를 감싸며 몸체(10)의 외측면에서 포개어지는데, 포개어진 상태에서 체결이 이루어지도록 제 1 밴드(631)와 제 2 밴드(632)는 각각 그 대향면에 벨크로를 구비하고 있다.
이때, 제 1 밴드(631)가 수 벨크로를 구비할 경우 제 2 밴드(632)는 암 벨크로를 구비하며, 제 1 밴드(631)가 암 벨크로를 구비할 경우 제 2 밴드(632)는 수 벨크로를 구비한다.
포켓(40)은 몸체(10)에 형성된 관통홀(11)을 커버하도록 몸체(10)이 외측에 구비된다. 포켓(40) 내에는 누출액을 감지하기 위한 감지수단(100)이 배치된다. 예를 들면, 감지수단(100)은 리트머스 시험지가 될 수 있다. 더욱 상세하게, 이송관을 통해 이송되는 유체의 종류에 따라 감지수단(100)으로서 알카리성 용액을 검출하기 위한 리트머스 시험지 및 산성 용액을 검출하기 위한 리트머스 시험지 중 어느 하나 이상이 배치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포켓(40)은 몸체(10)의 폭 방향 일측 또는 타측으로 감지수단(100)의 삽입 및 인출이 가능하게 구비되어 있다. 즉, 포켓(40)은 길이 방향 양 단부가 몸체(10)에 고정되고, 폭 방향으로는 개방이 가능한 형태를 가지고 있다.
한편, 포켓(40)의 적어도 일부분은 외부에서 그 내부에 수용된 감지수단(100)을 쉽게 파악할 수 있도록 투명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때, 투명도는 감지수단(100)에 의한 누출액 감지 여부가 파악될 수 있는 정도이면 된다. 예를 들어, 감지수단(100)이 리트머스 시험지인 경우 그 변색 여부가 식별될 정도이면 충분하다.
표시수단(50)은 정보가 표시되도록 몸체(10)의 외측에 구비된다. 표시수단(50)을 통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송관 누설액 비산 방지 장치(1a)에 관한 정보뿐만 아니라 이송관을 통해 이송되는 유체, 이송관 점검 일자 등의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표시수단(50)을 통해 관리상의 이점이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표시수단(50)은 몸체(10)의 길이 방향 일단부에 구비되어 있다.
도 7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송관 누출액 비산 방지 장치가 이송관의 이음부에 설치된 모습을 단면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또한,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송관 누출액 비산 방지 장치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송관 누출액 비산 방지 장치(1a)는 두 개의 이송관(P1, P2)의 이음부(J)를 둘러싸며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이음부(J)에서 누출액이 발생할 경우 라이너(20)에 스며든 후 중력에 의해 하부로 이동하게 된다. 이에 따라 몸체(10)의 관통홀(11)을 커버하는 포켓(40)이 구비된 부분은 이음부(J)의 하측을 커버하며 배치되어 있다.
또한, 도 8을 참조하면, 포켓(40) 내부에 배치된 감지수단(100)의 변색 여부를 통해 누출액의 발생 여부가 외부에 나타남을 확인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8을 살펴보면, 좌측 두개의 이송관(P1, P2) 사이의 이음부를 둘러싸며 배치된 이송관 누출액 비산 방지 장치(1a)의 포켓(40) 내에 배치된 감지수단(100)은 변색된 반면, 우측 두개의 이송관(P3, P4) 사이의 이음부를 둘러싸며 배치된 이송관 누출액 비산 방지 장치(1a)의 포켓(40) 내에 배치된 감지수단(100)은 변색되지 않은 상태를 나타낸다. 이에 따라 좌측 두개의 이송관(P1, P2) 사이의 이음부에서 누출액이 발생하였음을 외부에서 즉각적으로 인지할 수 있다.
도 9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이송관 누출액 비산 방지 장치의 사시도이다. 또한, 도 10 및 도 11는 각각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이송관 누출액 비산 방지 장치의 고정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이송관 누출액 비산 방지 장치(1b)는 몸체(10), 라이너(20) 및 고정수단(60)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이송관 누출액 비산 방지 장치(1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송관 누출액 비산 방지 장치(1a)와 비교하여 고정수단(60)이 상대적으로 강한 체결력을 제공할 수 있으며, 이송관 내부의 압력이 상대적으로 높은 경우에 적합하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서, 몸체(10) 및 라이너(20)의 구조 및 형상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한 바와 동일하다. 다만,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이송관 누출액 비산 방지 장치(1b)는 이송관 내부의 압력이 상대적으로 높은 경우에 사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몸체(10)의 재질이 스테인리스 강(SUS)로 이루어질 수 있다. 스테인리스 강은 강한 압력을 견딜 수 있으므로 강도 측면에서 장점을 가진다. 또한, 이와 같은 관점에서 라이너(20) 역시 스테인리스 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서, 고정수단(60)은 몸체(10)의 길이 방향 일단부 외측에 구비되는 고정부(64), 몸체(10)의 길이 방향 타단부 외측에 피벗 회전 가능한 형태로 구비되는 래치부재(65) 및 래치부재(65)에 연결되어 래치부재(65)의 피벗 회전에 따라 고정부(64)와 체결 또는 체결 해제되는 체결부재(66)를 포함한다.
고정부(64)는 체결부재(66)의 일단이 걸릴 수 있도록 형성된 몸체(10)의 외측으로 돌출 형성된 걸림홈으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래치부재(65)는 몸체(10)의 외측에 피벗 회전이 가능한 형태로 결합되어 있으며, 체결부재(66)는 래치부재(65)의 피벗 회전에 따라 그 일단이 고정부(64)에 걸리며 체결되거나 고정부(64)에서 이탈되어 체결 해제될 수 있는 형태를 가진다.
한편, 고정부(64)는 몸체(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다수개 형성되어 있다. 그러므로 도 10 및 도 11를 통해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이송관의 직경 또는 이송관 이음부의 직경에 따라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이송관 누출액 비산 방지 장치(1b)의 고정 상태에서의 직경이 가변적으로 조절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이송관 누출액 비산 방지 장치가 서로 연결된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서, 개별 이송관 누출액 비산 방지 장치(1a)는 서로 연결되어 멀티 이송관 누출액 비산 방지 장치(1c)를 구성할 수 있다.
이때, 개별 이송관 누출액 비산 방지 장치가 연결된다는 것은 각각의 통신부(70) 또는 전원공급부(80)가 서로 연결되어 에너지 및 정보를 주고 받는 것을 의미한다. 이때 개별 이송관 누출액 비산 방지 장치의 연결은 통신 커넥터(72) 또는 전원 커넥터(82)를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멀티 이송관 누출액 비산 방지 장치(1c)를 구축할 경우, 복수의 이송관 연결부를 통합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전원공급부(80)와 연결되어 전원공급을 위한 외부전원 또는 통신부(70)와 연결되어 전류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외부장치의 개수를 절감할 수도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들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본 명세서에 제시되는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추가 등에 의해서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든다고 할 것이다.
1a, 1b, 1c: 이송관 누출액 비산 방지 장치
10: 몸체 11: 관통홀
20: 라이너 60: 센서
32: 도전체 40: 포켓
50: 표시수단 60: 고정수단
61: 제1벨크로부 62: 제2벨크로부
63: 고정밴드 64: 고정부
65: 래치부재 65: 체결부재
70: 통신부 72: 통신 커넥터
80: 전원공급부 82: 전원 커넥터

Claims (19)

  1. 이송관 이음부 또는 이송관의 외주면을 둘러싸며 배치되도록 소정의 폭과 길이로 형성되고 유연한 재질로 이루어지는 몸체;
    탄성 변형 가능한 메쉬 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몸체의 내측의 적어도 일부분을 커버하되 상기 이송관 이음부 또는 상기 이송관의 외주면의 둘레를 감쌀 수 있도록 상기 이송관 이음부 또는 상기 이송관의 외주면의 둘레보다 길게 연장되는 라이너;
    상기 이송관의 누출액에 의해 전류값이 변화되는 도전체를 구비하고 상기 몸체와 상기 라이너 사이에 배치되는 누출감지 센서;
    상기 누출감지 센서에 전원를 공급하는 전원공급부;
    상기 누출감지 센서로부터 전류 정보를 수신하여 외부로 전송하는 통신부; 및
    상기 몸체, 상기 라이너 및 상기 누출감지 센서가 적층된 상태에서 링 형태로 고정시켜주도록 상기 몸체의 길이 방향 일단부 외측면과 상기 몸체의 길이 방향 타단부 내측면을 결합시키는 고정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라이너는 폭 방향 양 측 부분이 폭 방향 중앙 부분보다 두껍게 형성됨으로써 상기 라이너가 상기 이송관 이음부 또는 상기 이송관의 외주면의 둘레를 감싼 상태에서 상기 몸체에 의하여 상기 이송관 이음부 또는 상기 이송관의 외주면 측으로 가압되는 경우 상기 이송관의 누출액이 폭 방향으로 비산되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이송관의 누출액을 상기 라이너의 폭 방향 중앙 부분에 집중되도록 상기 라이너의 폭 방향 양 측 부분이 폭 방향 중앙 부분보다 더 탄성 변형되는, 이송관 누출액 비산 방지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는 상기 라이너에 대응되는 영역의 누출을 감지할 수 있도록 도전체가 배치되는, 이송관 누출액 비산방지 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체는 상기 라이너의 폭방향으로 연장되되, 연장방향을 전환하는 것을 반복하는, 이송관 누출액 비산방지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의 도전체는 그래핀 분산액, 폴리메틸실세스퀴옥산 수지 및 리크 반응 물질을 포함하는 리크 감지용 조성물로 형성되며,
    상기 리크 반응 물질은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에틸렌 수지 및 폴리우레탄 수지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이송관 누출액 비산방지 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는 두 개 이상의 도전체가 구비되며, 어느 한 도전체에 포함되는 리크 반응 물질은 적어도 다른 하나의 도전체에 포함되는 리크 반응 물질과 상이한, 이송관 누출액 비산방지 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공급부는 교체 가능한 배터리로 형성되는, 이송관 누출액 비산방지 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공급부는 외부전원을 연결할 수 있는 전원 커넥터를 더 포함하는, 이송관 누출액 비산방지 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복수개의 이송관 누출액 비산방지 장치가 각각의 전원 커넥터에 의해 서로 연결되는, 이송관 누출액 비산방지 장치.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무선통신으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는, 이송관 누출액 비산방지 장치.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통신 케이블을 연결할 수 있는 통신 커넥터를 더 포함하는, 이송관 누출액 비산방지 장치.
  11. 제 10항에 있어서
    2기 이상의 이송관 누출액 비산방지 장치가 각각의 통신 커넥터에 의해 서로 연결되는, 이송관 누출액 비산방지 장치.
  12. 삭제
  1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라이너는 스테인리스 강 또는 합성수지로 이루어지는, 이송관 누출액 비산 방지 장치.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합성수지는 폴리테트라플루오르에틸렌(PTFE), 폴리프로필렌(PP), 폴리에틸렌(PE),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PE(폴리에틸렌) 및 PC(폴리카보네이트)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이송관 누출액 비산 방지 장치.
  15. 삭제
  1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몸체의 길이 방향 일단부 외측에 결합되는 제 1 벨크로부; 및
    상기 제 1 벨크로부와 부착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몸체의 길이 방향 타단부 내측에 결합되는 제 2 벨크로부;를 포함하는 이송관 누출액 비산 방지 장치.
  1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몸체의 길이 방향 일단부 외측에 구비되는 고정부;
    상기 몸체의 길이 방향 타단부 외측에 피벗 회전 가능한 형태로 구비되는 래치부재; 및
    상기 래치부재에 연결되어 상기 래치부재의 피벗 회전에 따라 상기 고정부와 체결 또는 체결 해제되는 체결부재;를 포함하는 이송관 누출액 비산 방지 장치.
  1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하나 이상의 관통홀을 포함하고,
    상기 몸체의 외측에 상기 관통홀을 커버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관통홀을 통과한 유체를 감지하는 감지수단이 배치되는 포켓을 더 포함하는 이송관 누출액 비산 방지 장치.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홀은 상기 몸체의 길이 방향을 따라 다수개가 형성되고,
    상기 포켓은 상기 몸체의 폭 방향 일측 또는 타측으로 상기 감지수단의 삽입 및 인출이 가능하게 구비되는 이송관 누출액 비산 방지 장치.
KR1020210150959A 2019-12-02 2021-11-04 이송관 누출액 비산 방지 장치 KR1024405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50959A KR102440552B1 (ko) 2019-12-02 2021-11-04 이송관 누출액 비산 방지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8228A KR20210068779A (ko) 2019-12-02 2019-12-02 이송관 누출액 비산 방지 장치
KR1020210150959A KR102440552B1 (ko) 2019-12-02 2021-11-04 이송관 누출액 비산 방지 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58228A Division KR20210068779A (ko) 2019-12-02 2019-12-02 이송관 누출액 비산 방지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35969A KR20210135969A (ko) 2021-11-16
KR102440552B1 true KR102440552B1 (ko) 2022-09-05

Family

ID=76378141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58228A KR20210068779A (ko) 2019-12-02 2019-12-02 이송관 누출액 비산 방지 장치
KR1020210150959A KR102440552B1 (ko) 2019-12-02 2021-11-04 이송관 누출액 비산 방지 장치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58228A KR20210068779A (ko) 2019-12-02 2019-12-02 이송관 누출액 비산 방지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20210068779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776745A (zh) * 2021-09-14 2021-12-10 深圳市英维克科技股份有限公司 漏液检测传感器及检测系统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6508203A (ja) * 2012-12-21 2016-03-17 ゲイツ コーポレイション ホース破裂閉じ込めブランケット
KR101759034B1 (ko) * 2016-12-01 2017-07-18 최기환 산성 리크 감지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리크 감지 센서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8996B1 (ko) * 2011-08-22 2013-09-10 (주)유민에쓰티 클램프형 누수감지장치
KR101293190B1 (ko) * 2011-09-14 2013-08-05 주식회사 엘지씨엔에스 누수 감시 시스템 및 방법
KR101421277B1 (ko) * 2012-09-11 2014-07-17 박창기 체결 장치
KR200484091Y1 (ko) 2015-08-13 2017-07-28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비산 방지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6508203A (ja) * 2012-12-21 2016-03-17 ゲイツ コーポレイション ホース破裂閉じ込めブランケット
KR101759034B1 (ko) * 2016-12-01 2017-07-18 최기환 산성 리크 감지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리크 감지 센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68779A (ko) 2021-06-10
KR20210135969A (ko) 2021-1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40552B1 (ko) 이송관 누출액 비산 방지 장치
US8087430B1 (en) Leak detecting hose
US7398676B2 (en) Leak sensor and leak sensing system
US7316154B1 (en) Seals with integrated leak progression detection capability
KR101535732B1 (ko) 센서 모듈 결합형 배관용 누출검지부재 및 누출 탐지 시스템
CN103282757A (zh) 泄漏检测系统
KR102142187B1 (ko) 유해화학물질 파이프 라인의 유체 누설 여부 실시간 점검 시스템
JP4747834B2 (ja) マリンホースの流体漏れ検知システム
KR200454175Y1 (ko) 반도체 공정용 유체 이송호스
JP2007132371A (ja) スラリー流体輸送用耐圧ホース
KR101479520B1 (ko) 누설 탐지 및 보호를 위한 밀폐 커버
US7004510B2 (en) Tubing containment system
EP2250409B1 (en) Seals with integrated leak progression detection capability
KR20190042453A (ko) 배관 연결부용 누설 감지 장치
CN101548438A (zh) 电连接器
KR101895750B1 (ko) 국소 부위 누설감지 센서
KR102284820B1 (ko) 파이프 누출액 비산 방지 장치
US20180231167A1 (en) Temperature / pressure sensing via hose fitting assembly
CN102740952B (zh) 包含可转动配件的隔膜气体干燥器
Lagarrigue et al. Re-Shaping LNG Transfer
KR20170101407A (ko) 누수 감지 기능을 가지는 호스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143392B1 (ko) 화학가스 유출 감지부 및 이를 구비한 화학가스 이동관
EP4300065A1 (en) Liquid-leakage detection device
CN207570735U (zh) 一种环形漏液检测传感器
KR20120001146A (ko) 누수 탐지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