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4091Y1 - 비산 방지 장치 - Google Patents

비산 방지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4091Y1
KR200484091Y1 KR2020150005399U KR20150005399U KR200484091Y1 KR 200484091 Y1 KR200484091 Y1 KR 200484091Y1 KR 2020150005399 U KR2020150005399 U KR 2020150005399U KR 20150005399 U KR20150005399 U KR 20150005399U KR 200484091 Y1 KR200484091 Y1 KR 20048409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sent
prevention device
scattering prevention
connection
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5000539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00681U (ko
Inventor
최병준
김성태
장해기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5000539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4091Y1/ko
Publication of KR2017000068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068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409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4091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5/00Devices or appurtenances for use in, or in connection with, pipes or pipe systems
    • F16L55/16Devices for covering leaks in pipes or hoses, e.g. hose-mend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5/00Devices or appurtenances for use in, or in connection with, pipes or pipe systems
    • F16L55/16Devices for covering leaks in pipes or hoses, e.g. hose-menders
    • F16L55/168Devices for covering leaks in pipes or hoses, e.g. hose-menders from outside the pi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5/00Devices or appurtenances for use in, or in connection with, pipes or pipe systems
    • F16L55/16Devices for covering leaks in pipes or hoses, e.g. hose-menders
    • F16L55/168Devices for covering leaks in pipes or hoses, e.g. hose-menders from outside the pipe
    • F16L55/17Devices for covering leaks in pipes or hoses, e.g. hose-menders from outside the pipe by means of rings, bands or sleeves pressed against the outside surface of the pipe or hos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5/00Devices or appurtenances for use in, or in connection with, pipes or pipe systems
    • F16L55/18Appliances for use in repairing pip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asket Sea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비산 방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비산 방지 장치는 중공의 탄성 재질로 구성되어 제 1 대상물과 제 2 대상물간의 연결 부위를 감싸는 몸체부, 및 링 형태의 탄성 재질로 구성되고, 상기 몸체부의 양측에 구비되어 상기 제 1 대상물 및 상기 제 2 대상물을 감싸면서 상기 연결 부위를 외부와 차단하는 차단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비산 방지 장치{Scattering preventing apparatus}
본 고안은 비산 방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
선박에는 유체를 이송시키는 다수의 파이프가 존재한다. 하나의 파이프가 복수 개로 분기될 수 있으며, 복수의 파이프가 하나로 통합될 수도 있다. 또한, 파이프의 중간에 밸브와 같은 장비가 구비될 수도 있다.
파이프를 분기하거나 통합하거나 별도의 장비를 설치함에 있어서, 파이프와 파이프를 연결하거나 파이프와 장비를 연결할 수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4-0059329호 (2004.07.05)
본 고안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비산 방지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이 해결하고자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의 비산 방지 장치의 일 면(aspect)은 중공의 탄성 재질로 구성되어 제 1 대상물과 제 2 대상물간의 연결 부위를 감싸는 몸체부, 및 링 형태의 탄성 재질로 구성되고, 상기 몸체부의 양측에 구비되어 상기 제 1 대상물 및 상기 제 2 대상물을 감싸면서 상기 연결 부위를 외부와 차단하는 차단부를 포함한다.
상기 차단부는 링 형태의 튜브, 및 상기 튜브의 내부를 따라 구비된 자성체를 포함한다.
상기 몸체부는 링 형태의 튜브, 및 상기 튜브의 내부를 따라 구비된 자성체를 포함한다.
상기 제 1 대상물 및 상기 제 2 대상물은 상호간에 유체를 이송시킨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비산 방지 장치에 따르면 파이프간 연결 부위에서 발생할 수 있는 유체의 비산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산 방지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산 방지 장치가 제 1 대상물에 설치된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2개의 대상물이 서로 연결된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산 방지 장치가 대상물간의 연결 부위를 감싸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산 방지 장치가 또 다른 대상물 결합체에 설치된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비산 방지 장치가 대상물간의 연결 부위를 감싸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 및 도 9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비산 방지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비산 방지 장치가 대상물간의 연결 부위를 감싸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비산 방지 장치가 대상물간의 연결 부위를 감싸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고안은 이하에서 게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고안의 게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고안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고안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산 방지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비산 방지 장치(100)는 몸체부(110) 및 차단부(120)를 포함한다. 몸체부(110)는 중공의 탄성 재질로 구성되어 제 1 대상물과 제 2 대상물간의 연결 부위를 감싸는 역할을 수행한다.
본 고안에서 제 1 대상물과 제 2 대상물은 상호간에 유체를 이송시키는 장비로서, 밸브 또는 파이프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밸브와 파이프가 각각 제 1 대상물과 제 2 대상물일 수 있고, 파이프와 파이프가 각각 제 1 대상물과 제 2 대상물일 수 있는 것이다. 그러나, 본 고안의 제 1 대상물과 제 2 대상물이 밸브 또는 파이프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호간에 유체를 이송시키는 다양한 장비가 제 1 대상물 및 제 2 대상물일 수 있다.
제 1 대상물을 통하여 이송되고 있는 유체를 제 2 대상물로 전달하거나, 제 2 대상물을 통하여 이송되고 있는 유체를 제 1 대상물로 전달하기 위해서는 제 1 대상물과 제 2 대상물의 말단이 연결되어야 한다.
한편, 제 1 대상물과 제 2 대상물이 연결된 연결 부위가 파손되거나 노후되는 경우 연결 부위의 틈으로 유체가 방출될 수 있다. 이 때, 제 1 대상물 및 제 2 대상물의 내부 압력과 틈의 크기에 따라 유체가 비산할 수도 있다. 그리고, 비산된 유체에 의하여 주변에 존재하는 장비가 손상될 수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몸체부(110)는 제 1 대상물과 제 2 대상물의 연결 부위를 감싸는데, 이에 따라 유체의 비산이 방지될 수 있게 된다.
차단부(120)는 링 형태의 탄성 재질로 구성되고, 몸체부(110)의 양측에 구비되어 제 1 대상물 및 제 2 대상물을 감싸면서 연결 부위를 외부와 차단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제 1 대상물 및 제 2 대상물이 모두 파이프인 경우 2개의 차단부(120)가 각각 연결 부위에 인접한 제 1 대상물 및 제 2 대상물의 외주를 감싸는 것이다.
차단부(120)가 연결 부위의 외부 노출을 차단하기 때문에 연결 부위에서 유체가 방출되더라도 방출된 유체가 차단부(120)의 외부로 방출되는 것이 일부 방지될 수 있게 된다.
이하, 제 1 대상물 및 제 2 대상물이 모두 파이프인 것을 위주로 제 1 대상물 및 제 2 대상물의 연결 부위가 비산 방지 장치(100)에 의하여 밀폐되는 것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산 방지 장치가 제 1 대상물에 설치된 것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2개의 대상물이 서로 연결된 것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4 및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산 방지 장치(100)가 대상물(10, 20)간의 연결 부위를 감싸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비산 방지 장치(100)는 제 1 대상물(10)의 말단에 인접하여 설치될 수 있다. 제 1 대상물(10)은 제 2 대상물(20)과의 연결을 위한 플랜지(11)를 포함할 수 있다. 비산 방지 장치(100)는 플랜지(11)에 인접하여 링형으로 제 1 대상물(10)에 설치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몸체부(110) 및 차단부(120)는 탄성 재질로 구성되기 때문에 작업자는 비산 방지 장치(100)를 벌려서 플랜지(11)를 통과시키고, 제 1 대상물(10)에 설치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제 1 대상물(10)과 제 2 대상물(20)이 상호간에 연결될 수 있다. 제 1 대상물(10) 및 제 2 대상물(20)은 각각 플랜지(11, 21)를 구비할 수 있는데, 플랜지(11, 21)를 서로 연결함으로써 제 1 대상물(10)의 내부 통로와 제 2 대상물(20)의 내부 통로를 서로 연결할 수 있다. 플랜지(11, 21)는 볼트(30)에 의한 결합이 수행될 수 있다.
대상물(10, 20)간의 연결 작업이 완료된 이후에 비산 방지 장치(100)를 이용한 연결 부위의 밀폐 작업이 수행될 수 있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2개의 차단부(120) 중 하나(이하, 제 1 차단부라 한다)는 제 1 대상물(10)을 감싸도록 유지시키고, 나머지 하나(이하, 제 2 차단부라 한다)를 제 2 대상물(20)쪽으로 이동시키면서 몸체부(110)를 펼칠 수 있다. 도 4는 제 2 차단부(120)가 제 2 대상물(20)쪽으로 이동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제 2 차단부(120)가 제 2 대상물(20)쪽으로의 이동이 완료된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제 1 대상물(10) 및 제 2 대상물(20)의 연결 부위 즉, 플랜지 결합체(11, 21)를 몸체부(110)가 감싸고, 몸체부(110)의 말단에 구비된 2개의 차단부(120)가 각각 제 1 대상물(10) 및 제 2 대상물(20)의 외주를 감싸는 것으로서, 연결 부위의 밀폐 작업이 완료된다.
이에 따라, 연결 부위를 통하여 유체가 비산하더라도 비산된 유체가 주변 장비로 퍼져나가는 것이 원천적으로 방지될 수 있게 된다.
도 6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산 방지 장치가 또 다른 대상물 결합체에 설치된 것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7은 도 6에 도시된 비산 방지 장치가 대상물간의 연결 부위를 감싸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비산 방지 장치(100)는 전체적으로 탄성 재질로 구성된다. 이에 따라, 비산 방지 장치(100)는 어떠한 형태로든 변형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6을 참조하면, 제 1 대상물(10) 및 제 2 대상물(20)이 기역자 형태의 연결관(40)에 의하여 연결된 것을 도시하고 있다. 여기서, 유체가 방출될 수 있는 부분 즉, 연결 부위는 연결관(40)의 양측 말단일 수 있다.
작업자는 제 1 대상물(10)과 제 2 대상물(20)을 연결하기 이전에 제 1 대상물(10)에 비산 방지 장치(100)를 설치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작업자는 차단부(120) 중 하나를 제 2 대상물(20)쪽으로 이동시킴으로써 2개의 연결 부위를 모두 밀폐시킬 수 있다. 비산 방지 장치(100)가 전체적으로 탄성을 가지고 있음에 따라 작업자는 용이하게 비산 방지 장치(100)를 기역자 형태로 구부리면서 연결 부위를 밀폐시킬 수 있다.
도 8 및 도 9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비산 방지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비산 방지 장치(200)는 몸체부(210) 및 차단부(220)를 포함한다. 몸체부(210)에 대한 설명은 전술하였으므로, 여기서는 자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차단부(220)는 링 형태의 튜브(221), 및 튜브(221)의 내부를 따라 구비된 자성체(222)를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서 대상물은 밸브 또는 파이프일 수 있다. 즉, 본 고안에서 대상물은 금속일 수 있는 것이다. 이에, 차단부(220)에 자성체(222)를 구비하는 경우 차단부(220)가 대상물에 자성 결합됨에 따라 차단부(220)에 의한 연결 부위의 외부 차단이 보다 견고해질 수 있게 된다.
도 10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비산 방지 장치가 대상물간의 연결 부위를 감싸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2개의 차단부(220) 중 하나가 제 1 대상물(10)을 감싸고, 나머지 하나가 제 2 대상물(20)을 감싸면서, 몸체부(210)가 연결 부위를 감싸는 것을 도시하고 있다.
차단부(220) 고유의 탄성력과 함께 자성체(222)의 자력으로 차단부(220)가 대상물(10, 20)을 밀폐함에 따라 유체의 방출 방지 효과가 더욱 향상될 수 있게 된다.
도 11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비산 방지 장치가 대상물간의 연결 부위를 감싸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비산 방지 장치(300)는 몸체부(310) 및 차단부(32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차단부(320)는 튜브(321) 및 튜브(321)의 내부를 구비된 자성체(322)를 포함한 것일 수 있다.
차단부(320)와 마찬가지로 몸체부(310)는 링 형태의 튜브(331), 및 튜브(331)의 내부를 따라 구비된 자성체(332)로 구성된 보강부(33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보강부(330)는 몸체부(310)의 외주를 따라 링 형태로 배치된 것을 나타낸다.
보강부(330)는 연결 부위에 대응하는 몸체부(310)의 위치에 구비될 수 있다. 즉, 전술한 바와 같이 원판형의 플랜지(11, 21)가 서로 연결되는 경우 플랜지 결합체(11, 21)의 외주를 따라 틈이 발생할 수 있는데, 보강부(330)가 해당 틈을 모두 감싸도록 배치될 수 있는 것이다.
보강부(330)가 탄성력 및 자력으로 플랜지 결합체(11, 21)의 틈을 압박하면서 감싸기 때문에 해당 틈에서의 유체의 방출 방지 효과가 더욱 향상될 수 있게 된다.
이상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고안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0, 200, 300: 비산 방지 장치
110, 210, 310: 몸체부
120, 220, 320: 차단부
330: 보강부
221, 321, 331: 튜브
222, 322, 332: 자성체

Claims (4)

  1. 중공의 탄성 재질로 구성되어 제 1 대상물과 제 2 대상물간의 연결 부위를 감싸는 몸체부; 및
    링 형태의 탄성 재질로 구성되고, 상기 몸체부의 양측에 구비되어 상기 연결 부위에 인접한 상기 제 1 대상물 및 상기 제 2 대상물의 외주를 감싸면서 상기 연결 부위를 외부와 차단하는 차단부를 포함하되,
    상기 차단부는,
    상기 몸체부의 개구 가장자리에 대응하는 링 형태의 튜브; 및
    상기 튜브의 내부를 따라 구비된 자성체를 포함하는 비산 방지 장치.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는 링 형태의 튜브; 및
    상기 튜브의 내부를 따라 구비된 자성체를 포함하는 비산 방지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대상물 및 상기 제 2 대상물은 상호간에 유체를 이송시키는 비산 방지 장치.
KR2020150005399U 2015-08-13 2015-08-13 비산 방지 장치 KR20048409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5399U KR200484091Y1 (ko) 2015-08-13 2015-08-13 비산 방지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5399U KR200484091Y1 (ko) 2015-08-13 2015-08-13 비산 방지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0681U KR20170000681U (ko) 2017-02-22
KR200484091Y1 true KR200484091Y1 (ko) 2017-07-28

Family

ID=582647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50005399U KR200484091Y1 (ko) 2015-08-13 2015-08-13 비산 방지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4091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91776A (ko) 2019-01-23 2020-07-31 최기환 파이프 누출액 비산 방지 장치
KR20210068779A (ko) 2019-12-02 2021-06-10 최기환 이송관 누출액 비산 방지 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185362A (ja) * 2010-03-09 2011-09-22 Jfe Steel Corp 鋼製配管漏水時の簡易止水方法および簡易止水治具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33760A (en) * 1994-06-23 1996-07-09 Shell Oil Company Method and device for containing fluids
KR20040059329A (ko) 2002-12-28 2004-07-05 주식회사 세종화학 관 연결구
KR101515183B1 (ko) * 2013-10-11 2015-04-24 주식회사 부산도시가스 배관 차단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185362A (ja) * 2010-03-09 2011-09-22 Jfe Steel Corp 鋼製配管漏水時の簡易止水方法および簡易止水治具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91776A (ko) 2019-01-23 2020-07-31 최기환 파이프 누출액 비산 방지 장치
KR20210046643A (ko) 2019-01-23 2021-04-28 최기환 파이프 누출액 비산 방지 장치
KR102284820B1 (ko) 2019-01-23 2021-08-02 최기환 파이프 누출액 비산 방지 장치
KR20210068779A (ko) 2019-12-02 2021-06-10 최기환 이송관 누출액 비산 방지 장치
KR20210135969A (ko) 2019-12-02 2021-11-16 최기환 이송관 누출액 비산 방지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0681U (ko) 2017-02-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67855B1 (ko) 파이프 누설 막음 장치
KR200484091Y1 (ko) 비산 방지 장치
FI78633C (fi) Anordning att anvaendas vid hopsvetsning av roer.
CA2973537C (en) Flow-undisrupted process
CA2782607A1 (en) Device for work implementation without stopping flow, and method for work implementation without stopping flow
EP3735549B1 (en) Pipe coupling capsulation assembly with retaining elements
KR101515183B1 (ko) 배관 차단장치
KR20160034542A (ko) 진공배관용 센터링
JP2024032801A (ja) 配管の接続構造及び配管の接続方法
KR20200109015A (ko) 배관의 연결부위를 보강하는 연결부 보강 장치
US20170138518A1 (en) Fluid connector with pre-positioned crimping collar
US20160208752A1 (en) Fluid spray shield and secondary retention clip for a quick connector joint
US20070157759A1 (en) Transport and mounting protection device
EP2992264B1 (en) Encapsulation collar for pipelines.
JP3807795B2 (ja) 管接続構造
JP2020143451A (ja) バルブカバー、およびエア抜きバルブとバルブカバーの組み合わせ体
CN104466839A (zh) 电缆穿墙保护装置
JP2016063655A (ja) 通信ケーブルの接続鉛管におけるガス漏洩補修具及びガス漏洩補修工法
JP5249938B2 (ja) グローブボックスの開口に使用される可撓性グローブホルダ
KR102146593B1 (ko) 밀봉 요소 및 장치
KR101872097B1 (ko) 배관파열방지를 위한 보강피팅용 반도장치
JP2020513520A (ja) 被圧されるフランジが形成された二つの管状部の間を離間させる機構
KR101876644B1 (ko) 원자로 냉각 배관 연결구조체
RU2665796C2 (ru) Устройство изоляции для работы на трубопроводе и соответствующий способ
JP6786443B2 (ja) 伸縮管継手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70R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
AMND Amendment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