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42981A - 공기 조화기 및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공기 조화기 및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42981A
KR20210042981A KR1020217007761A KR20217007761A KR20210042981A KR 20210042981 A KR20210042981 A KR 20210042981A KR 1020217007761 A KR1020217007761 A KR 1020217007761A KR 20217007761 A KR20217007761 A KR 20217007761A KR 20210042981 A KR20210042981 A KR 2021004298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door
unit
thermo
indoor unit
air conditio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077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아키라 이우치
켄 미우라
나오키 이마토
히로유키 나가이
Original Assignee
도시바 캐리어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시바 캐리어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도시바 캐리어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100429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4298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70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F24F11/80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temperature of the supplied air
    • F24F11/83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temperature of the supplied air by controlling the supply of heat-exchange fluids to heat-exchangers
    • F24F11/84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temperature of the supplied air by controlling the supply of heat-exchange fluids to heat-exchangers using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70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F24F11/72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supply of treated air, e.g. its pressure
    • F24F11/74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supply of treated air, e.g. its pressure for controlling air flow rate or air velocit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70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F24F11/80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temperature of the supplied air
    • F24F11/86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temperature of the supplied air by controlling compressors within refrigeration or heat pump circu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13/00Compress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with reversible cyc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4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system states
    • F24F2140/10Pressure
    • F24F2140/12Heat-exchange fluid press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313/00Compress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with reversible cyc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B2313/023Compress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with reversible cyc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using multiple indoor un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313/00Compress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with reversible cyc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B2313/023Compress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with reversible cyc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using multiple indoor units
    • F25B2313/0233Compress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with reversible cyc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using multiple indoor units in parallel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313/00Compress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with reversible cyc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B2313/029Control issues
    • F25B2313/0293Control issues related to the indoor fan, e.g. controlling spe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313/00Compress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with reversible cyc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B2313/031Sensor arrangements
    • F25B2313/0314Temperature sensors near the indoor heat exchang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500/00Problems to be solved
    • F25B2500/09Improving heat transf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600/00Control issues
    • F25B2600/25Control of valves
    • F25B2600/2513Expansion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700/00Sensing or detecting of parameters; Sensors therefor
    • F25B2700/19Pressures
    • F25B2700/193Pressures of the compressor
    • F25B2700/1931Discharge pressur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700/00Sensing or detecting of parameters; Sensors therefor
    • F25B2700/19Pressures
    • F25B2700/193Pressures of the compressor
    • F25B2700/1933Suction press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Abstract

실시형태의 공기 조화기는 하나 또는 복수의 실내기와, 하나 또는 복수의 실외기와, 써모 오프(Thermo-off) 검출부와 제어부를 가진다. 하나 또는 복수의 실내기는 실내 팽창밸브 및 실내 송풍기를 가진다. 하나 또는 복수의 실외기는 압축기를 가진다. 써모 오프(Thermo-off) 검출부는 난방 운전시의 상기 하나 또는 복수의 실내기의 써모 오프(Thermo-off)를 검출한다. 제어부는 상기 하나 또는 복수의 실내기 안에 난방 운전을 하지 않는 실내기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압축기의 동작과, 상기 하나 또는 복수의 실내기의 실내 팽창밸브 또는 실내 송풍기의 동작을 상기 써모 오프(Thermo-off)의 검출 결과에 근거하여 제어한다.

Description

공기 조화기 및 제어 방법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공기 조화기 및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공기 조화기의 일종으로는 1대의 실외기에 복수의 실내기가 연결된 멀티형 공기 조화기가 있다. 멀티형 공기 조화기는 복수의 실내기를 복수의 공간에 분산해서 설치함으로써 복수 공간의 공기 조화를 일괄적으로 실시할 수 있다. 이러한 멀티형 공기 조화기에서는 전체적으로 난방 운전을 하고 있는 동안 일부 실내기가 난방 운전을 하지 않는 상태(이하 「비난방 상태」라고 한다.)에 있고, 그 비난방 상태의 실내기에서 미소량의 냉매가 순환하는 경우가 있다. 종래, 이러한 경우에 실내 송풍기를 구동하면 온풍의 토출에 의한 열교환으로 냉매가 응축하고, 필요한 가스 냉매의 양이 부족해져 버릴 가능성이 있었다.
특허문헌 1: 일본특허 제3778117호 공보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난방 운전 중인 멀티형 공기 조화기에서 난방 운전을 하지 않는 실내기로부터 온풍이 불어나오는 것을 억제할 수 있는 공기 조화기 및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실시형태의 공기 조화기는 하나 또는 복수의 실내기와, 하나 또는 복수의 실외기와, 써모 오프(Thermo-off) 검출부와 제어부를 가진다. 하나 또는 복수의 실내기는 실내 팽창밸브 및 실내 송풍기를 가진다. 하나 또는 복수의 실외기는 압축기를 가진다. 써모 오프(Thermo-off) 검출부는 난방 운전시의 상기 하나 또는 복수의 실내기의 써모 오프(Thermo-off)를 검출한다. 제어부는 상기 하나 또는 복수의 실내기 안에 난방 운전을 하지 않는 실내기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압축기의 동작과, 상기 하나 또는 복수의 실내기의 실내 팽창밸브 또는 실내 송풍기의 동작을 상기 써모 오프(Thermo-off)의 검출 결과를 바탕으로 제어한다.
도 1은 실시형태의 멀티형 공기 조화기(100)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실시형태에서 제어부(3)의 기능 구성의 구체적인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실시형태의 멀티형 공기 조화기(100)에서 제어부(3)가 실내 송풍기(13)의 간헐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처리의 구체적인 예를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
도 4는 실시형태의 멀티형 공기 조화기(100)에서 제어부(3)가 실내 송풍기(13)의 간헐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처리의 구체적인 예를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
도 5는 실시형태의 멀티형 공기 조화기(100)에서 제어부(3)가 실내 송풍기(13)의 간헐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처리의 구체적인 예를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
이하, 실시형태의 공기 조화기 및 제어 방법을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실시형태의 멀티형 공기 조화기(100)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에 나타내듯이, 실시형태의 멀티형 공기 조화기(100)는 예를 들면 4대의 실내기인 제1 실내기(1A), 제2 실내기(1B) 및 제3 실내기(1C)와 실외기(2)와 제어부(3)를 갖춘다. 제1 실내기(1A), 제2 실내기(1B) 및 제3 실내기(1C)는 연결 배관을 통해서 실외기(2)와 연결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1 실내기(1A)의 구성과 제2 실내기(1B)의 구성과 제3 실내기(1C)의 구성은 동일하다. 그렇기 때문에, 이들 3개의 실내기(1)의 구성에 대해서는, 제1 실내기(1A)를 예로 들어 설명하고, 제2 실내기(1B) 및 제3 실내기(1C)에 대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이하에서는 공통의 부호에 문자 「A」를 부가함으로써 제1 실내기(1A)의 각 구성을 식별한다. 마찬가지로, 공통의 부호에 문자 「B」를 부가함으로써 제2 실내기(1B)의 각 구성을 식별하고, 문자 「C」를 부가함으로써 제3 실내기(1C)의 각 구성을 식별한다. 또한, 이하에서는 제1 실내기(1A), 제2 실내기(1B) 및 제3 실내기(1C)를 특별히 구별하지 않는 경우, 공통의 각 구성을 「A」, 「B」, 「C」의 문자를 부가하지 않는 공통의 부호로 나타낸다.
제1 실내기(1A)는 실내 열교환기(11A), 실내 팽창밸브(12A), 실내 송풍기(13A), 및 실온 측정기(14A)를 갖춘다. 실내 열교환기(11A)는 냉매와 실내 공기의 열교환을 실현하는 장치이다. 실내 열교환기(11A)는 실내 배관에 의해 실내 팽창밸브(12A)와 연결된다. 예를 들면, 실내 열교환기(11A)는 핀 튜브식 열교환기이다.
실내 팽창밸브(12A)는 냉매를 팽창시키는 장치이다. 예를 들면, 실내 팽창밸브(12A)는 개도(開度)를 변경할 수 있는 전자 팽창밸브(PMV: Pulse Motor Valve)이다. 예를 들면, 실내 팽창밸브(12A)의 개도를 증가시킬 수록 냉매가 실내 팽창밸브(12A) 내에서 흐르기 쉬워지고, 실내 팽창밸브(12A)의 개도를 감소시킬 수록 냉매가 실내 팽창밸브(12A) 내에서 흐르기 어렵게 된다.
실내 송풍기(13A)는 실내 열교환기(11A)로 열교환을 촉진하기 위한 송풍기이다. 예를 들면, 실내 송풍기(13A)는 원심식 팬을 가지고 있다. 실내 송풍기(13A)의 팬은 실내 열교환기(11A)에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실온 측정기(14A)는 실내 열교환기(11A) 부근의 실온을 측정하는 장치이다. 실온 측정기(14A)는 제어부(3)와 통신 가능하도록 연결되어 있고, 측정 데이터를 제어부(3)에 송신한다.
실외기(2)는 실외 열교환기(21), 사방 밸브(22), 압축기(23), 실외 팽창밸브(24), 실외 송풍기(25), 토출 압력 센서(26) 및 흡입 압력 센서(27)를 갖춘다. 실외 열교환기(21)는 냉매와 실외 공기의 열교환을 실현하는 장치이다. 실외 열교환기(21)는 실외 배관에 의해서 사방 밸브(22) 및 실외 팽창밸브(24)에 연결된다. 예를 들면, 실외 열교환기(21)는 핀 튜브식 열교환기이다.
사방 밸브(22)는 멀티형 공기 조화기(100) 내부에서 냉매의 순환 경로를 전환하는 장치이다. 구체적으로는, 사방 밸브(22)는 난방 운전용 경로와 냉방 운전 또는 서리 제거 운전용 경로의 어느 하나로 냉매 순환 경로를 전환한다. 예를 들면, 도 1은 사방 밸브(22)에 의해서 냉매 순환 경로가 난방 운전용 경로로 전환되는 상황을 나타낸다. 사방 밸브(22)는 실외 배관에 의해서 실내 열교환기(11), 압축기(23), 실외 열교환기(21)로 연결된다.
압축기(23)는 제1 실내기(1A), 제2 실내기(1B) 또는 제3 실내기(1C)로부터 공급되는 냉매를 압축하는 장치이다. 압축기(23)는 흡입구(SP)로부터 흡입한 냉매를 압축하고, 압축한 냉매를 토출구(DP)로부터 토출한다. 압축기(23)가 압축한 냉매는 사방 밸브(22)에 의해서 실내 열교환기(11) 또는 실외 열교환기(21)로 보내진다. 또한, 압축기(23)의 흡입구(SP)에는 액체 냉매를 비축하기 위한 어큐뮬레이터(231)가 부착되어 있다.
실외 팽창밸브(24)는 냉매를 팽창시키는 장치이다. 예를 들면, 실외 팽창밸브(24)는 실내 팽창밸브(12A)와 동일한 전자 팽창밸브(PMV)여도 좋다. 실외 팽창밸브(24)는 실외 배관에 의해서 실외 열교환기(21), 실내 팽창밸브(12)에 연결된다.
실외 송풍기(25)는 실외 열교환기(21)에 의해서 열교환을 촉진하기 위한 송풍기이다. 예를 들면, 실외 송풍기(25)는 실내 송풍기(13)와 동일한 원심식 팬을 가지며, 실외 열교환기(21)에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토출 압력 센서(26)는 압축기(23)로부터 토출되는 냉매의 압력(이하 「토출 압력」이라고 한다.)을 측정하는 장치이다. 구체적으로는, 토출 압력 센서(26)는 압축기(23)의 토출구(DP)에서의 냉매 토출 압력을 측정한다. 토출 압력 센서(26)는 제어부(3)와 통신 가능하도록 연결되어 있고, 측정 데이터를 제어부(3)에 송신한다.
흡입 압력 센서(27)는 압축기(23)로 흡입되는 냉매의 압력(이하 「흡입 압력」이라고 한다.)을 측정하는 장치이다. 구체적으로는, 흡입 압력 센서(27)는 압축기(23)의 흡입구(SP)에서의 냉매의 흡입 압력을 검출한다. 흡입 압력 센서(27)는 제어부(3)와 통신 가능하도록 연결되어 있어 측정 데이터를 제어부(3)에 송신한다.
제어부(3)는 제1 실내기(1A), 제2 실내기(1B), 제3 실내기(1C) 및 실외기(2)의 동작을 제어하는 기능을 가진다. 예를 들면, 제어부(3)는 버스로 접속된 CPU(Central Processing Unit)와 메모리와 보조기억장치 등을 갖추어 프로그램을 실행한다. 제어부(3)는 프로그램의 실행으로 후술하는 제1 제어부(31), 써모 오프(Thermo-off) 검출부(32) 및 제2 제어부(33)를 갖추는 기능부로써 기능하고, 버스를 통한 통신으로 제1 실내기(1A), 제2 실내기(1B), 제3 실내기(1C) 및 실외기(2)의 동작을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3)의 각 기능 전부 또는 일부는 ASIC(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나 PLD(Programmable Logic Device)나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등의 하드웨어를 이용해서 실현될 수 있다. 프로그램은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되어도 좋다.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란, 예를 들면 플렉시블 디스크, 광자기 디스크, ROM, CD-ROM 등의 운반 가능 매체, 컴퓨터 시스템에 내장되는 하드 디스크 등의 기억장치이다. 프로그램은 전기통신회선을 통해서 송신되어도 좋다.
도 2는 실시형태에서 제어부(3)의 기능 구성의 구체적인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제어부(3)는 제1 제어부(31), 써모 오프(Thermo-off) 검출부(32) 및 제2 제어부(33)를 갖춘다. 제1 제어부(31)는 제1 실내기(1A), 제2 실내기(1B), 제3 실내기(1C) 및 실외기(2)에 의한 통상시 공기조화 동작을 제어하는 기능(이하 「통상 제어 기능」이라고 한다.)을 가진다. 여기서 말하는 통상시 공기조화 동작이란, 종래의 공기 조화기가 갖추고 있는 난방, 냉방, 송풍, 서리 제거 등의 동작을 의미하고, 통상 제어 기능에는 난방 운전시에 실온이 설정 온도에 이른 실내기(1)를 정지하는 기능이 포함되는 것으로 한다. 일반적으로, 난방 운전시에 실온이 설정 온도에 이른 실내기(1)가 정지하거나, 또는 정지시키는 것을 「써모 오프(Thermo-off)」라고 한다.
써모 오프(Thermo-off) 검출부(32)는 토출 압력 센서(26)로 측정된 압축기(23)의 토출 압력과, 흡입 압력 센서(27)로 측정된 압축기(23)의 흡입 압력을 바탕으로 제1 실내기(1A), 제2 실내기(1B) 및 제3 실내기(1C)의 써모 오프(Thermo-off)를 검출하는 기능을 가진다. 써모 오프(Thermo-off) 검출부(32)는 검출 결과를 제1 제어부(31) 및 제2 제어부(33)에 통지한다. 또한, 실온 측정기(14)로 측정한 실온이 설정 온도에 달하여 써모 오프(Thermo-off)를 검출해도 된다.
제2 제어부(33)는 전체적으로 난방 운전을 실시하고 있는 멀티형 공기 조화기(100)에서의 실내기(1)의 송풍 운전을 제어하는 기능을 가진다. 구체적으로는, 제2 제어부(33)는 각 실내기(1)에 대한 써모 오프(Thermo-off) 검출 결과를 바탕으로 각 실내기(1)의 실내 팽창밸브(12), 실내 송풍기(13) 및 압축기(23)의 동작을 제어한다.
도 3, 도 4 및 도 5는 실시형태의 멀티형 공기 조화기(100)에서 제어부(3)가 실내 송풍기(13)의 간헐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처리의 구체적인 예를 나타내는 플로 차트이다. 우선, 처음에 제1 제어부(31)가 제1 실내기(1A), 제2 실내기(1B), 제3 실내기(1C) 및 실외기(2)에 난방 운전을 시작하고(스텝 S101), 그 후에 어느 한 실내기(1)에 대해서 송풍 운전이 설정되는 경우를 상정한다. 여기에서는, 제3 실내기(1C)에 대해서 송풍 운전이 설정된(스텝 S102) 것으로 가정한다. 또한, 설령 스텝 S102에서 냉방 운전이 설정된 경우에도 실내 팬은 송풍 동작을 실시한다.
이 경우, 제2 제어부(33)는 제3 실내기(1C)에 대해서 난방 운전시의 송풍 운전이 허가되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스텝 S103). 여기서, 제3 실내기(1C)에 대해서 난방 운전시의 송풍 운전이 허가되지 않은 경우(스텝 S103-NO), 제2 제어부(33)는 제3 실내기(1C)의 실내 팽창밸브(12C)를 미소량 여는(스텝 S104: 미소량 오픈) 동시에 실내 송풍기(13C)를 정지시킨다(스텝 S105: OFF). 한편, 제3 실내기(1C)에 대해서 난방 운전시의 송풍 운전이 허가된 경우(스텝 S103-YES), 제2 제어부(33)는 제3 실내기(1C)의 실내 팽창밸브(12C)를 닫는(스텝 S106: 폐지)동시에 실내 송풍기(13C)를 동작시킨다(스텝 S107: ON).
스텝 S106에서 실내 팽창밸브(12C)를 닫는 것은 실내 송풍기(13C)의 동작으로 인해 제3 실내기(1C)로부터 온풍이 불어나오는 것을 억제하기 위해서이다. 다만, 송풍 운전 중에 온풍이 불어나오는 것을 허용하는 경우에는 반드시 실내 팽창밸브(12C)를 닫지 않아도 된다.
또한, 제3 실내기(1C)에 대해서 난방 운전시의 송풍 운전이 허가되었는지 여부는 어떠한 방법으로 판정되어도 좋다. 예를 들면, 제2 제어부(33)는 제3 실내기(1C)에 대한 송풍 운전의 허가 또는 비허가를 나타내는 정보를 미리 기억해 두고, 그 정보를 참조함으로써 송풍 운전이 허가되었는지 여부를 판정해도 좋다.
계속해서, 써모 오프(Thermo-off) 검출부(32)가 제1 실내기(1A)가 써모 오프(Thermo-off) 상태에 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스텝 S108). 구체적으로는, 써모 오프(Thermo-off) 검출부(32)는 압축기(23)의 흡입 압력 및 토출 압력에 근거하여 써모 오프(Thermo-off)의 유무를 판정한다. 제1 실내기(1A)가 써모 오프(Thermo-off) 상태에 있다고 판정된 경우(스텝 S108-YES), 써모 오프(Thermo-off) 검출부(32)는 제2 실내기(1B)가 써모 오프(Thermo-off) 상태에 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스텝 S109).
여기서, 제2 실내기(1B)가 써모 오프(Thermo-off) 상태에 있다고 판정된 경우(스텝 S109-YES), 제2 제어부(33)는 압축기(23)를 정지하고(스텝 S110: OFF), 실내 팽창밸브(12A)를 폐지(스텝 S111)한 다음, 실내 송풍기(13A)에 대해서 간헐적인 송풍 동작을 실행시킨다(스텝 S112: 간헐 운전). 계속해서, 제2 제어부(33)는 실내 팽창밸브(12B)를 폐지(스텝 S113)한 다음, 실내 송풍기(13B)에 대해서 간헐적으로 송풍 동작을 실행시킨다(스텝 S114: 간헐 운전).
예를 들면, 간헐 운전에서는 실내 송풍기(13)를 300rpm으로 1분간 동작시킨 후, 1분간 정지시키는 것과 같은 동작이 반복된다.
여기까지 처리함으로써, 제1 실내기(1A) 및 제2 실내기(1B)가 써모 오프(Thermo-off) 상태에 있는 경우에는, 압축기(23)가 정지되는 한편 실내 팽창밸브(12A 및 12B)가 폐지된 다음 실내 송풍기(13A 및 13B)가 간헐적으로 운전된다. 이러한 처리에 의해서, 비난방 상태에 있는 제1 실내기(1A) 및 제2 실내기(1B)로부터 온풍이 불어나오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한편, 스텝 S109에서 제2 실내기(1B)가 써모 오프(Thermo-off) 상태에 있지 않다고 판정된 경우(스텝 S109-NO), 제2 제어부(33)는 압축기(23)를 동작시키고(스텝 S115: ON), 실내 팽창밸브(12B)를 미소량 연 다음(스텝 S116: 미소 오픈), 실내 송풍기(13A)에 대해서 간헐적인 송풍 동작을 실행시킨다(스텝 S117: 간헐 운전). 계속해서, 제1 제어부(31)가 실내 팽창밸브(12B) 및 실내 송풍기(13B)를 통상 제어 기능으로 제어한다(스텝 S118, S119).
여기까지 처리함으로써, 제1 실내기(1A)가 써모 오프(Thermo-off) 상태에 있고 또한 제2 실내기(1B)가 써모 오프(Thermo-off) 상태에 있지 않은 경우에는, 압축기(23)는 정지되지 않고, 실내 팽창밸브(12A)가 미소량(예를 들면 30펄스) 열린 상태에서 실내 송풍기(13A)가 간헐적으로 운전된다. 또한, 이 경우, 제2 실내기(1B)는 통상시와 동일하게 제어된다. 이러한 처리에 의해서, 비난방 상태에 있는 제1 실내기(1A)로부터 온풍이 불어나오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한편, 스텝 S108에서 제1 실내기(1A)가 써모 오프(Thermo-off) 상태에 있지 않다고 판정된 경우(스텝 S108-NO), 제2 제어부(33)가 압축기(23)를 동작시킨 다음(스텝 S120), 제1 제어부(31)가 실내 팽창밸브(12A) 및 실내 송풍기(13A)를 통상 제어 기능으로 제어한다(스텝 S121, S122).
계속해서, 써모 오프(Thermo-off) 검출부(32)가 제2 실내기(1B)가 써모 오프(Thermo-off) 상태에 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스텝 S123). 여기서, 제2 실내기(1B)가 써모 오프(Thermo-off) 상태에 있다고 판정된 경우(스텝 S123-YES), 제2 제어부(33)가 실내 팽창밸브(12B)를 미소량 연 다음(스텝 S124: 미소량 오픈), 실내 송풍기(13B)에 대해서 간헐적인 송풍 동작을 실행시킨다(스텝 S125: 간헐 운전).
여기까지 처리함으로써, 제1 실내기(1A)가 써모 오프(Thermo-off) 상태에 없고, 또한 제2 실내기(1B)가 써모 오프(Thermo-off) 상태에 있는 경우에는, 압축기(23)는 정지되지 않고, 제1 실내기(1A)는 통상시와 마찬가지로 제어된다. 또한, 이 경우, 실내 팽창밸브(12B)가 미소량(예를 들면 30펄스) 열린 상태에서 실내 송풍기(13B)가 간헐적으로 운전된다. 이러한 처리에 의해, 비난방 상태에 있는 제2 실내기(1B)로부터 온풍이 불어나오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한편, 스텝 S123에서 제2 실내기(1B)가 써모 오프(Thermo-off) 상태에 있지 않다고 판정된 경우(스텝 S123-NO), 제1 제어부(31)가 실내 팽창밸브(12B) 및 실내 송풍기(13B)를 통상 제어 기능으로 제어한다(스텝 S126, S127).
여기까지 처리함으로써, 제1 실내기(1A) 및 제2 실내기(1B)가 써모 오프(Thermo-off) 상태에 있지 않은 경우에는, 압축기(23)는 정지되지 않고, 제1 실내기(1A) 및 제2 실내기(1B)는 통상시와 동일하게 제어된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제2 제어부(33)는 모든 실내기(1)가 비난방 상태에 있는지 여부를 판정하고(스텝 S128), 어느 한 실내기(1)가 비난방 상태에 있지 않다고 판정된 경우(스텝 S128-NO)에는 스텝 S103으로 처리를 돌려보내고, 모든 실내기(1)가 비난방 상태에 있다고 판정된 경우에는 처리를 종료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실시형태의 멀티형 공기 조화기(100)는 실내기(1)의 써모 오프(Thermo-off) 상태에 따라서 실내 송풍기(13)를 간헐적으로 운전시켜서 난방 운전 중에 비난방 상태에 있는 실내기(1)로부터 온풍이 불어나오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멀티형 공기 조화기는 복수의 실내기를 복수의 공간에 분산해서 설치함으로써 복수 공간의 공기 조화를 일괄적으로 실시할 수 있다. 이러한 멀티형 공기 조화기에서는 연결되는 모든 실내기가 항상 운전하고 있다고는 할 수 없다. 예를 들면, 일부 실내기가 사용자의 조작으로 운전을 정지하거나 써모 오프(Thermo-off)에 의해 일시정지하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 본래 비난방 상태 또는 써모 오프(Thermo-off) 상태에 있는 실내기에는 냉매를 순환시킬 필요는 없다. 그러나 난방 운전시의 비난방 상태나 써모 오프(Thermo-off) 상태에서는, 액체 고임에 따른 불편이 발생하는 것을 억제하기 위해서 실내기에 미소량의 냉매를 순환시키는 경우가 있다.
한편, 공기 조화기는 일반적으로 실온 센서를 갖추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에 따라, 일반적으로, 공기 조화기는 구비하는 각 구성요소를 실온을 바탕으로 제어함으로써 공기조화 대상 공간을 쾌적한 온도로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제어를 목적으로 하여 실내 온도를 측정하고자 한 경우, 써모 오프(Thermo-off) 상태의 실내기의 실온 센서가 실내 열교환기 온도의 영향을 받는 것을 피하기 위해서, 실내 공기를 실내기에 넣고 실온을 검출하는 경우가 있다. 이 때문에, 써모 오프(Thermo-off) 상태의 실내기에서도 실온 측정시에는 실내 송풍기가 구동되는 경우가 많다.
또한, 이러한 멀티형 공기 조화기에서는 써모 오프(Thermo-off) 상태에 있는 복수의 실내기에서 실내 송풍기가 동시에 구동되는 경우가 있다. 그리고 이 경우, 상술한 이유 등으로 써모 오프(Thermo-off) 상태에 있는 복수의 실내기에 미소량의 냉매가 순환하는 경우가 있고, 이러한 경우에 실내 송풍기를 구동하면 냉매가 응축한다. 이것이 복수의 실내기에서 동시에 발생한 경우나, 실내 송풍기의 회전수가 크고 풍량이 많은 경우, 냉매가 다량으로 흐르는 경우 등에는 냉매의 응축량이 증가하여 압력의 급격한 저하나 냉매 부족 등이 쉽게 발생한다.
또한, 이러한 멀티형 공기 조화기에서는 어느 실내기가 난방 운전을 하고 있을 때, 다른 실내기에서 냉방 운전이나 송풍 운전이 설정되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경우, 냉방 운전과 난방 운전은 냉매의 흐름이 다른 점에서, 만일 이러한 설정이 이루어졌다고 해도 냉방 운전과 난방 운전을 동시에 실시할 수 없다.
이와 같이, 멀티형 공기 조화기에서는 전체적으로 난방 운전을 실시하고 있을 때, 난방 운전을 실시하지 않는 실내기에서 냉방 운전 또는 송풍 운전이 설정되는 경우가 있고, 이러한 경우에 그것들 실내기에 대해서 미소량의 냉매를 순환시키는 경우가 있다. 그리고 이러한 경우에, 그것들 실내기에서 실내 송풍기를 구동한 경우, 실내기에서의 냉매 응축량이 증가하여 냉매 부족이 쉽게 발생할 가능성이 있었다.
이상 설명한 적어도 하나의 실시형태에 의하면, 난방 운전시의 상기 하나 또는 복수의 실내기의 써모 오프(Thermo-off)를 검출하는 써모 오프(Thermo-off) 검출부와, 상기 하나 또는 복수의 실내기 안에 난방 운전을 실시하지 않는 실내기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압축기의 동작과 상기 하나 또는 복수의 실내기의 실내 팽창밸브 또는 실내 송풍기의 동작을 상기 써모 오프(Thermo-off)의 검출 결과를 바탕으로 제어하는 제어부를 가짐으로써, 난방 운전 중의 멀티형 공기 조화기에서 난방 운전을 하지 않은 실내기로부터 온풍이 불어나오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멀티형 공기 조화기(100)가 갖추는 실내기(1)의 수는 한 개 이상이면 좋고, 반드시 3개일 필요는 없다. 또한, 멀티형 공기 조화기(100)가 갖추는 실외기(2)의 수는 2개 이상이어도 좋고, 반드시 한 개일 필요는 없다.
본 발명의 여러가지 실시형태를 설명했지만, 이들 실시형태는 예로서 제시한 것으로서 발명의 범위를 한정할 의도는 없다. 이들 실시형태는 그 외의 여러가지 형태로 실시될 수 있고,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의 생략, 대체, 변경할 수 있다. 이들 실시형태나 그 변형은 발명의 범위나 요지에 포함되는 동시에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발명과 균등한 범위에 포함되는 것이다.

Claims (11)

  1. 실내 팽창밸브 및 실내 송풍기를 가지는 하나 또는 복수의 실내기와,
    압축기를 가지는 하나 또는 복수의 실외기와,
    난방 운전시의 상기 하나 또는 복수의 실내기의 써모 오프(Thermo-off)를 검출하는 써모 오프(Thermo-off) 검출부와,
    상기 한 또는 복수의 실내기 안에 난방 운전을 하지 않는 실내기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압축기의 동작과, 상기 하나 또는 복수의 실내기의 실내 팽창밸브 또는 실내 송풍기의 동작을 상기 써모 오프(Thermo-off)의 검출 결과에 근거해서 제어하는 제어부를 갖추는 공기 조화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써모 오프(Thermo-off) 상태에 있는 실내기의 실내 송풍기에 대해서 간헐적인 송풍 동작을 실행시키는,
    공기 조화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간헐적인 송풍 동작을 실행시키기 전에 써모 오프(Thermo-off) 상태에 있는 상기 실내기의 실내 팽창밸브를 폐지하는,
    공기 조화기.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난방 운전을 하지 않는 실내기 이외의 실내기에 써모 오프(Thermo-off) 상태의 실내기와 써모 오프(Thermo-off) 상태가 아닌 실내기가 혼재하는 경우, 써모 오프(Thermo-off) 상태에 있는 실내기의 실내 팽창밸브를 미소량 여는,
    공기 조화기.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난방 운전을 하지 않는 실내기 이외의 모든 실내기가 써모 오프(Thermo-off) 상태에 있는 경우 상기 압축기의 동작을 정지시키는,
    공기 조화기.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난방 운전을 하지 않는 실내기에 대해서 미리 송풍 운전이 허가된 경우, 상기 실내기의 실내 송풍기에 대해서 송풍 동작을 실행시키는,
    공기 조화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난방 운전을 하지 않는 실내기에 대해서 송풍 동작을 실행시키기 전에 상기 실내기의 실내 팽창밸브을 폐지하는,
    공기 조화기.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난방 운전을 하지 않는 실내기에 대해서 미리 송풍 운전이 허가되지 않은 경우 상기 실내기의 실내 송풍기를 정지시키는,
    공기 조화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난방 운전을 하지 않는 실내기의 실내 송풍기를 정지시키기 전에 상기 실내기의 실내 팽창밸브를 미소량 여는,
    공기 조화기.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난방 운전을 하지 않는 실내기란, 상기 공기 조화기의 난방 운전시에 냉방 운전 또는 송풍 운전이 설정되어 있는 실내기인,
    공기 조화기.
  11. 실내 팽창밸브 및 실내 송풍기를 가지는 하나 또는 복수의 실내기와, 압축기를 가지는 하나 또는 복수의 실외기를 갖추는 공기 조화기의 제어 방법으로써,
    난방 운전시의 상기 하나 또는 복수의 실내기의 써모 오프(Thermo-off)를 검출하는 스텝과,
    상기 하나 또는 복수의 실내기 안에 난방 운전을 하지 않는 실내기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압축기의 동작과, 상기 하나 또는 복수의 실내기의 실내 팽창밸브 또는 실내 송풍기의 동작을 상기 써모 오프(Thermo-off)의 검출 결과에 근거하여 제어하는 스텝을 가지는 제어 방법.
KR1020217007761A 2018-09-20 2018-09-20 공기 조화기 및 제어 방법 KR2021004298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18/034819 WO2020059077A1 (ja) 2018-09-20 2018-09-20 空気調和機及び制御方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42981A true KR20210042981A (ko) 2021-04-20

Family

ID=698885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07761A KR20210042981A (ko) 2018-09-20 2018-09-20 공기 조화기 및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1) EP3855089A4 (ko)
JP (1) JPWO2020059077A1 (ko)
KR (1) KR20210042981A (ko)
CN (1) CN112714847A (ko)
WO (1) WO2020059077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778117B2 (ja) 2002-03-28 2006-05-24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空気調和機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903997B2 (ja) * 1993-09-30 1999-06-14 三菱電機株式会社 空気調和機のドレンポンプ制御装置
JPH11173628A (ja) * 1997-12-15 1999-07-02 Mitsubishi Heavy Ind Ltd 空気調和装置
JP3742859B2 (ja) * 2002-03-28 2006-02-08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空気調和装置の室内機、および空気調和装置
AU2010225946B2 (en) * 2009-03-19 2013-03-07 Daikin Industries, Ltd. Air conditioning apparatus
JP2011149615A (ja) * 2010-01-21 2011-08-04 Mitsubishi Electric Corp 空気調和システム
CN201652706U (zh) * 2010-04-23 2010-11-24 青岛海信日立空调系统有限公司 一种新型空调控制器
JP5598353B2 (ja) * 2011-01-28 2014-10-01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空気調和装置
JP5916489B2 (ja) * 2012-04-06 2016-05-11 三菱重工業株式会社 制御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それを備えたマルチ型空気調和システム
WO2013161584A1 (ja) * 2012-04-23 2013-10-31 三菱電機株式会社 空気調和システム
JP6053201B2 (ja) * 2013-02-06 2016-12-27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冷凍装置
JP5998984B2 (ja) * 2013-02-26 2016-09-28 株式会社富士通ゼネラル 空気調和装置
CN103791588B (zh) * 2014-01-21 2016-08-24 宁波奥克斯电气股份有限公司 解决多联式空调机组制冷剂偏少的控制方法
WO2016001958A1 (ja) * 2014-06-30 2016-01-07 日立アプライアンス株式会社 空気調和装置
CN104896621B (zh) * 2015-06-09 2017-08-29 广东美的暖通设备有限公司 多联机空调系统及多联机空调系统的控制方法
CN107560092B (zh) * 2017-09-25 2019-10-22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多联机运行状态控制方法、系统及热泵多联机
CN108006909B (zh) * 2017-11-21 2020-05-08 广东美的暖通设备有限公司 多联机系统及其制热模式下的电子膨胀阀控制方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778117B2 (ja) 2002-03-28 2006-05-24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空気調和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855089A4 (en) 2022-04-13
WO2020059077A1 (ja) 2020-03-26
CN112714847A (zh) 2021-04-27
JPWO2020059077A1 (ja) 2021-08-30
EP3855089A1 (en) 2021-07-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183509B1 (en) Air condition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10488072B2 (en) Air conditioning system with leak protection control
EP2148147B1 (en) Method of controlling air conditioner
US9927134B2 (en) Air conditioner units having improved make-up air module communication
KR101958713B1 (ko)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EP3406982B1 (en) Air-conditioning device
JP6932259B2 (ja) 空気調和装置および運転状態判定方法
US20170067655A1 (en) Air conditioner units having improved apparatus for providing make-up air
JP2016090175A (ja) 室内機、および、それを備える空気調和機
JP6808065B2 (ja) 空気調和機
JP2017155953A (ja) 空気調和装置
CN113302434A (zh) 空调及其控制方法
KR20210042981A (ko) 공기 조화기 및 제어 방법
JP6501912B2 (ja) 空気調和機
JP6038264B1 (ja) 空気調和システム
JP7081928B2 (ja) 送風量変化検出装置
JP6341012B2 (ja) 給気切替装置
JP6656472B1 (ja) 空気調和機
JP4587895B2 (ja) 空気調和機
KR20200089045A (ko) 공기 조화기의 구동 제어장치
JP7478523B2 (ja) 空気調和装置及び制御方法
US20230175723A1 (en) Air-conditioning system
JP6990260B2 (ja) 全館空調システム及び建物の空調方法
KR100732417B1 (ko) 공기 조화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220170034A (ko) 공기 조화기 및 그 제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