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41928A - 터치를 통한 스마트폰 보조 입력장치 - Google Patents

터치를 통한 스마트폰 보조 입력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41928A
KR20210041928A KR1020190124766A KR20190124766A KR20210041928A KR 20210041928 A KR20210041928 A KR 20210041928A KR 1020190124766 A KR1020190124766 A KR 1020190124766A KR 20190124766 A KR20190124766 A KR 20190124766A KR 20210041928 A KR20210041928 A KR 2021004192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martphone
smart phone
input device
touch
scre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247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02994B1 (ko
Inventor
홍정윤
Original Assignee
홍정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홍정윤 filed Critical 홍정윤
Priority to KR10201901247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02994B1/ko
Publication of KR202100419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419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029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029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46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the device orientation or free movement in a 3D space, e.g. 3D mice, 6-DOF [six degrees of freedom] pointers using gyroscopes, accelerometers or tilt-senso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2Digitisers structurally integrated in a displa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0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 H04M1/72412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using two-way short-range wireless interfaces

Abstract

본 발명은 터치를 통한 스마트폰 보조 입력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터치를 통한 스마트폰 보조 입력장치로서, 스마트폰과의 연동을 위해 연결 접속되기 위한 전용 케이블을 구비하는 인터페이스 모듈; 상기 전용 케이블을 매개로 상기 스마트폰과 연결 접속되어 연동된 상태에서 상기 스마트폰의 현재 화면 상태를 제공받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상기 전용 케이블의 연결 접속을 통해 연동되는 상기 스마트폰과의 데이터 송수신을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디스플레이의 수직 또는 수평의 화면 위치를 감지하여 상기 제어부로 출력하는 자이로 센서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자이로 센서로부터 디스플레이의 현재 화면 위치의 전환신호가 발생되면 그에 상응하는 화면 전환 요청신호를 상기 스마트폰에 전송하고, 상기 스마트폰의 특정 연동 앱에서 화면 전환 요청신호에 대응하여 수행되는 스마트폰의 화면전환에 연동하여 상기 디스플레이의 화면전환이 수행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그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제안하고 있는 터치를 통한 스마트폰 보조 입력장치에 따르면, 스마트폰과의 연동을 위해 연결 접속되기 위한 전용 케이블과, 스마트폰의 현재 화면 상태를 제공받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와, 전용 케이블의 연결 접속을 통해 연동되는 스마트폰과의 데이터 송수신을 제어하는 제어부와, 디스플레이의 수직 또는 수평의 화면 위치를 감지하여 제어부로 출력하는 자이로 센서를 포함하여 구성함으로써, 스마트폰에 유선으로 연결 접속하여 연동되도록 한 상태에서 스마트폰의 전용 모니터로 사용하면서 스마트폰과의 데이터 송수신의 유선 제어와 디스플레이의 터치 입력 제어를 통해 스마트폰의 기능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터치를 통한 스마트폰 보조 입력장치에 따르면, 전용 케이블을 통해 연결 접속되는 스마트폰의 탑재된 기능을 디스플레이를 통해 사용될 수 있도록 하는 전용 모니터로 기능되도록 구성함으로써, 전자기기에서 구동에 필요한 배터리, 카메라, 통신모듈, USB, 버튼, 고성능의 연산처리 칩셋 및 대용량의 메모리의 구성들을 스마트폰에서 제공함에 따라 스마트폰 보조 입력장치에서는 이에 해당하는 모든 모듈들을 제거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최소한의 구성으로 무게를 줄여주고, 그에 따른 스마트폰의 기능사용에 불편함이 없으면서도 사용에 따른 피로감이나 불편함이 최소화되고, 그에 따른 사용의 편의성이 증대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터치를 통한 스마트폰 보조 입력장치에 따르면, 자이로 센서로부터의 현재 화면 위치의 전환신호가 발생되면 그에 상응하는 화면 전환 요청신호를 스마트폰에 전송하고, 스마트폰의 특정 연동 앱에서 화면 전환 요청신호에 대응하여 수행되는 스마트폰의 화면전환에 연동하여 디스플레이의 화면전환이 수행되도록 함으로써, 스마트폰의 직접적인 화면 전환 조작 없이도 사용자가 실행중인 디스플레이의 수직 또는 수평의 화면전환이 가능하도록 하는 사용의 편의성이 증대되고, 또한, 스마트폰의 특정 연동 앱에서 콘텐츠 기능의 실행 이후 스마트폰의 화면은 오프(off)되고, 디스플레이의 화면은 온(on)되는 모드로 제어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배터리 소모의 절감을 통한 장시간 사용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Description

터치를 통한 스마트폰 보조 입력장치{A SMART PHONE AUXILIARY INPUT DEVICE THROUGH TOUCH}
본 발명은 터치를 통한 스마트폰 보조 입력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스마트폰에 유선으로 연결 접속하여 연동되도록 한 상태에서 스마트폰의 전용 모니터로 사용하면서 스마트폰과의 데이터 송수신의 유선 제어와 디스플레이의 터치 입력 제어를 통해 스마트폰의 기능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터치를 통한 스마트폰 보조 입력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스마트폰(Smart phone)은 개인용 컴퓨터(PC)와 같이 모바일 운영체제를 탑재하여 다양한 어플리케이션과 콘텐츠를 이용할 수 있는 모바일 단말기이다. 이러한 스마트폰은 컴퓨터, 전자통신 기술의 비약적인 발전에 따라 기존의 퍼스널컴퓨터(PC)의 기능을 모바일 형태로 모두 구현하게 되었다. 특히, 이러한 스마트폰은 통상의 컴퓨터 운영체제(OS)와 유사한 시스템을 탑재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음성/데이터 통신 뿐만 아니라 멀티미디어 콘텐츠 재생, 어플리케이션 실행 등의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스마트폰은 고성능화되면서 보다 다양한 기능을 위한 모듈들이 탑재되고 있다. 즉, 스마트폰은 고성능 배터리, 복수의 카메라, 통신모듈, 다양한 USB 포트, 버튼 등의 하드웨어적인 구성과, 고성능의 연산처리 칩셋 및 대용량의 메모리를 탑재한 형태로 발전되고 있다.
현재 스마트폰은 대다수의 사람들이 장시간 휴대 사용하고 있으며, 사용자들은 스마트폰에서 구현할 수 있는 다양한 멀티미디어 콘텐츠 재생 및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스마트폰은 사용자들의 장시간 사용 시에 스마트폰의 무게로 인한 피로감을 느끼게 되고, 그에 따른 사용에 불편함이 따르는 문제가 있었다. 특히, 많은 소비자들이 대화면을 필요로 하지만, 이러한 무게 문제 때문에 모든 스마트폰 제조사들이 크기에 제약을 두는 것이 현실이다. 이처럼 대화면을 요구하는 소비자들의 니즈를 무시할 수 없는 제조사들은 소비자들의 니즈를 충족시키기 위해 태블릿 또는 탭이라는 형식으로 대화면을 구현하는 장치를 제공함으로써 또 다른 시장을 형성하고, 소비자의 구매욕을 자극하고 있으나, 이 또한 무게의 한계를 벗어날 수는 없다.
또한, 대부분의 소비자들은 대화면을 추구하는 태블릿 또는 탭을 구비한다고 하여 그들이 보유하고 있는 스마트폰을 놓고 다니지는 않는다. 결국 대화면에 대한 필요성을 느끼는 소비자들은 스마트폰과, 태블릿 또는 탭 등을 동시에 소지하여야 하는 불편함을 감수하여야 하며, 이는 이중 소지의 불편함을 초래할 뿐만 아니라, 화면, 카메라, 전화, 인터넷 등을 이중으로 소지하게 되고, 그로 인해 통신비용도 이중으로 지불하는 역설적 효과를 가져 오게 된다. 아래의 [표 1]은 스마트폰과 태블릿 도는 탭의 일반적인 특징과 장단점의 비교 일례를 나타낸다.
Figure pat00001
이에 본 출원인은 스마트폰의 장시간 사용에 따른 스마트폰의 무게로 인한 피로감과 불편함을 최소화하기 위해 최적의 무게와 대형 화면을 구현할 수 있는 스마트폰 연동의 전용 모니터로 사용이 가능한 장치를 제안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기존에 제안된 방법들의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스마트폰과의 연동을 위해 연결 접속되기 위한 전용 케이블과, 스마트폰의 현재 화면 상태를 제공받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와, 전용 케이블의 연결 접속을 통해 연동되는 스마트폰과의 데이터 송수신을 제어하는 제어부와, 디스플레이의 수직 또는 수평의 화면 위치를 감지하여 제어부로 출력하는 자이로 센서를 포함하여 구성함으로써, 스마트폰에 유선으로 연결 접속하여 연동되도록 한 상태에서 스마트폰의 전용 모니터로 사용하면서 스마트폰과의 데이터 송수신의 유선 제어와 디스플레이의 터치 입력 제어를 통해 스마트폰의 기능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터치를 통한 스마트폰 보조 입력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전용 케이블을 통해 연결 접속되는 스마트폰의 탑재된 기능을 디스플레이를 통해 사용될 수 있도록 하는 전용 모니터로 기능되도록 구성함으로써, 전자기기에서 구동에 필요한 배터리, 카메라, 통신모듈, USB, 버튼, 고성능의 연산처리 칩셋 및 대용량의 메모리의 구성들을 스마트폰에서 제공함에 따라 스마트폰 보조 입력장치에서는 이에 해당하는 모든 모듈들을 제거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최소한의 구성으로 무게를 줄여주고, 그에 따른 스마트폰의 기능사용에 불편함이 없으면서도 사용에 따른 피로감이나 불편함이 최소화되고, 그에 따른 사용의 편의성이 증대될 수 있도록 하는, 터치를 통한 스마트폰 보조 입력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은, 자이로 센서로부터의 현재 화면 위치의 전환신호가 발생되면 그에 상응하는 화면 전환 요청신호를 스마트폰에 전송하고, 스마트폰의 특정 연동 앱에서 화면 전환 요청신호에 대응하여 수행되는 스마트폰의 화면전환에 연동하여 디스플레이의 화면전환이 수행되도록 함으로써, 스마트폰의 직접적인 화면 전환 조작 없이도 사용자가 실행중인 디스플레이의 수직 또는 수평의 화면전환이 가능하도록 하는 사용의 편의성이 증대되고, 또한, 스마트폰의 특정 연동 앱에서 콘텐츠 기능의 실행 이후 스마트폰의 화면은 오프(off)되고, 디스플레이의 화면은 온(on)되는 모드로 제어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배터리 소모의 절감을 통한 장시간 사용이 가능하도록 하는, 터치를 통한 스마트폰 보조 입력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터치를 통한 스마트폰 보조 입력장치는,
터치를 통한 스마트폰 보조 입력장치로서,
스마트폰과의 연동을 위해 연결 접속되기 위한 전용 케이블을 구비하는 인터페이스 모듈;
상기 전용 케이블을 매개로 상기 스마트폰과 연결 접속되어 연동된 상태에서 상기 스마트폰의 현재 화면 상태를 제공받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상기 전용 케이블의 연결 접속을 통해 연동되는 상기 스마트폰과의 데이터 송수신을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디스플레이의 수직 또는 수평의 화면 위치를 감지하여 상기 제어부로 출력하는 자이로 센서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자이로 센서로부터 디스플레이의 현재 화면 위치의 전환신호가 발생되면 그에 상응하는 화면 전환 요청신호를 상기 스마트폰에 전송하고, 상기 스마트폰의 특정 연동 앱에서 화면 전환 요청신호에 대응하여 수행되는 스마트폰의 화면전환에 연동하여 상기 디스플레이의 화면전환이 수행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그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스마트폰의 특정 연동 앱은,
상기 스마트폰에 탑재되어 실행하는 어플리케이션으로서, 상기 전용 케이블을 통한 연결 접속 시에 상기 스마트폰 보조 입력장치를 인식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해 스마트폰의 조작 기능이 수행될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인터페이스 모듈은,
상기 전용 케이블을 매개로 상기 스마트폰과 유선으로 연결 접속되어, 상기 스마트폰으로부터 구동 전원을 공급받고, 스마트폰과의 데이터 송수신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스마트폰은,
상기 특정 연동 앱의 실행을 통해 상기 스마트 보조 입력장치와 연동하여 콘텐츠 기능을 제공하되, 상기 특정 연동 앱은 콘텐츠 기능의 실행 이후 배터리 소모 저감을 위해 상기 스마트폰의 화면은 오프(off)되고, 상기 디스플레이의 화면은 온(on)되는 모드로 제어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디스플레이는,
상기 제어부의 제어 하에, 상기 전용 케이블을 통해 수신되는 상기 스마트폰의 현재 화면 상태를 제공받아 표시하되, 상기 스마트폰의 화면이 오프(off)된 상태에서도 화면 터치를 통한 입력 제어가 가능한 터치 패널로 구현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디스플레이는,
스마트폰 규격의 화면 크기 또는 태블릿 규격의 화면 크기를 갖도록 구성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스마트폰과의 데이터 송수신의 유선 제어와, 상기 디스플레이의 터치 패널을 통한 터치 입력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스마트폰 보조 입력장치는,
상기 스마트폰에 탑재되어 실행되는 특정 연동 앱을 통해 상기 스마트폰의 탑재된 기능을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해 사용될 수 있도록 하는 전용 모니터로 기능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제안하고 있는 터치를 통한 스마트폰 보조 입력장치에 따르면, 스마트폰과의 연동을 위해 연결 접속되기 위한 전용 케이블과, 스마트폰의 현재 화면 상태를 제공받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와, 전용 케이블의 연결 접속을 통해 연동되는 스마트폰과의 데이터 송수신을 제어하는 제어부와, 디스플레이의 수직 또는 수평의 화면 위치를 감지하여 제어부로 출력하는 자이로 센서를 포함하여 구성함으로써, 스마트폰에 유선으로 연결 접속하여 연동되도록 한 상태에서 스마트폰의 전용 모니터로 사용하면서 스마트폰과의 데이터 송수신의 유선 제어와 디스플레이의 터치 입력 제어를 통해 스마트폰의 기능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터치를 통한 스마트폰 보조 입력장치에 따르면, 전용 케이블을 통해 연결 접속되는 스마트폰의 탑재된 기능을 디스플레이를 통해 사용될 수 있도록 하는 전용 모니터로 기능되도록 구성함으로써, 전자기기에서 구동에 필요한 배터리, 카메라, 통신모듈, USB, 버튼, 고성능의 연산처리 칩셋 및 대용량의 메모리의 구성들을 스마트폰에서 제공함에 따라 스마트폰 보조 입력장치에서는 이에 해당하는 모든 모듈들을 제거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최소한의 구성으로 무게를 줄여주고, 그에 따른 스마트폰의 기능사용에 불편함이 없으면서도 사용에 따른 피로감이나 불편함이 최소화되고, 그에 따른 사용의 편의성이 증대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터치를 통한 스마트폰 보조 입력장치에 따르면, 자이로 센서로부터의 현재 화면 위치의 전환신호가 발생되면 그에 상응하는 화면 전환 요청신호를 스마트폰에 전송하고, 스마트폰의 특정 연동 앱에서 화면 전환 요청신호에 대응하여 수행되는 스마트폰의 화면전환에 연동하여 디스플레이의 화면전환이 수행되도록 함으로써, 스마트폰의 직접적인 화면 전환 조작 없이도 사용자가 실행중인 디스플레이의 수직 또는 수평의 화면전환이 가능하도록 하는 사용의 편의성이 증대되고, 또한, 스마트폰의 특정 연동 앱에서 콘텐츠 기능의 실행 이후 스마트폰의 화면은 오프(off)되고, 디스플레이의 화면은 온(on)되는 모드로 제어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배터리 소모의 절감을 통한 장시간 사용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터치를 통한 스마트폰 보조 입력장치와 스마트폰이 유선으로 연결되는 구성을 기능블록으로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터치를 통한 스마트폰 보조 입력장치와 스마트폰이 유선으로 연결되는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터치를 통한 스마트폰 보조 입력장치의 구성을 기능블록으로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터치를 통한 스마트폰 보조 입력장치와 스마트폰의 화면 온/오프 모드 제어의 실행을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터치를 통한 스마트폰 보조 입력장치가 스마트폰과 연결 접속된 상태에서, 스마트폰에서 제공되는 동영상 파일 재생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터치를 통한 스마트폰 보조 입력장치가 스마트폰과 연결 접속된 상태에서, 스마트폰에서 제공되는 문서파일 작업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터치를 통한 스마트폰 보조 입력장치가 스마트폰과 연결 접속된 상태에서, 스마트폰에서 제공되는 사진파일 보기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유사한 기능 및 작용을 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도면 전체에 걸쳐 동일한 부호를 사용한다.
덧붙여,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 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 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 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터치를 통한 스마트폰 보조 입력장치와 스마트폰이 유선으로 연결되는 구성을 기능블록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터치를 통한 스마트폰 보조 입력장치와 스마트폰이 유선으로 연결되는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터치를 통한 스마트폰 보조 입력장치의 구성을 기능블록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터치를 통한 스마트폰 보조 입력장치와 스마트폰의 화면 온/오프 모드 제어의 실행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4에 각각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터치를 통한 스마트폰 보조 입력장치(100)는, 인터페이스 모듈(110), 디스플레이(120), 제어부(130), 및 자이로 센서(14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인터페이스 모듈(110)은, 스마트폰(10)과의 연동을 위해 연결 접속되기 위한 전용 케이블(111)을 구비하는 인터페이스의 구성이다. 이러한 인터페이스 모듈(110)은 전용 케이블(111)을 매개로 스마트폰(10)과 유선으로 연결 접속되어, 스마트폰(10)으로부터 구동 전원을 공급받고, 스마트폰(10)과의 데이터 송수신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전용 케이블(111)은 스마트폰(10)과의 연동을 위해 전력, 데이터, 통신, 연산처리, 메모리 등 스마트폰(10)에서 제공하는 모든 기능을 터치를 통한 스마트폰 보조 입력장치(100)에 전송하며, 이 입력장치(100)에서 제공하는 입력 정보를 스마트폰(10)에 전송할 수 있도록 기능하는 양방향의 전용 케이블이다.
또한, 전용 케이블(111)은 입력장치(100)와 스마트폰(10)의 유선 연결 접속을 위한 케이블 구성으로, HDMI 케이블이나 C-타입 케이블이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을 두지는 않으며, 입력장치(100)와 스마트폰(10)을 유선으로 연결 접속하여 구동전원을 공급받고, 데이터 송수신의 제어 기능을 수행하는 케이블로 이해될 수 있다.
또한, 인터페이스 모듈(110)을 구비하는 입력장치(100)는 스마트폰(10)과 유선 접속되어 연동하는 스마트폰 전용으로 사용되는바, 전용 케이블(111)은 인터페이스 모듈(110)과 입력장치(100)에 각각 연결 접속되는 연결단자를 구비하거나, 인터페이스 모듈(110)에 연결되는 단자는 연결이 고정된 단자를 사용하고, 스마트폰(10)에 연결되는 단자만을 연결하는 방식으로 구현할 수도 있다.
또한, 스마트폰(10)은 사용자가 휴대하는 사용자 디바이스로서, 인터페이스 모듈(110)의 전용 케이블(111)을 통한 연결 접속 시에 스마트폰 보조 입력장치(100)를 인식하고, 후술하게 될 디스플레이(120)를 통해 스마트폰(10)의 조작 기능이 수행될 수 있도록 지원하는 특정 연동 앱(150)을 탑재하고 실행하는 스마트기기의 구성이다. 이러한 스마트폰(10)은 특정 연동 앱(150)의 실행을 통해 스마트 보조 입력장치(100)와 연동하여 콘텐츠 기능을 제공하되, 특정 연동 앱(150)은 콘텐츠 기능의 실행 이후 배터리 소모 저감을 위해 스마트폰(10)의 화면은 오프(off)되고, 디스플레이(120)의 화면은 온(on)되는 모드로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스마트폰(10)에 탑재되어 실행되는 특정 연동 앱(150)은 미러링 기능 형태의 연동 앱으로 이해될 수 있다. 여기서, 특정 연동 앱(150)이 탑재되어 실행되는 스마트폰(10)은 스마트폰 보조 입력장치(100)의 인터페이스 모듈(110)의 전용 케이블(111)이 연결 접속되는 즉시 스마트폰(10)의 기능이 스마트폰 보조 입력장치(100)로 연동되어 제공될 수 있도록 기능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120)는, 전용 케이블(111)을 매개로 스마트폰(10)과 연결 접속되어 연동된 상태에서 스마트폰(10)의 현재 화면 상태를 제공받아 표시하는 구성이다. 이러한 디스플레이(120)는 제어부(130)의 제어 하에, 전용 케이블(111)을 통해 수신되는 스마트폰(10)의 현재 화면 상태를 제공받아 표시하되, 스마트폰(10)의 화면이 오프(off)된 상태에서도 화면 터치를 통한 입력 제어가 가능한 터치 패널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120)는 스마트폰 규격의 화면 크기 또는 태블릿 규격의 화면 크기를 갖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러한 디스플레이(120)는 스마트폰(10)을 대신하여 사용될 수 있는 터치를 통한 입력장치(100)의 다양한 크기에 맞게 화면 크기를 갖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제어부(130)는, 전용 케이블(111)의 연결 접속을 통해 연동되는 스마트폰(10)과의 데이터 송수신을 제어하는 구성이다. 이러한 제어부(130)는 자이로 센서(140)로부터 디스플레이(120)의 현재 화면 위치의 전환신호가 발생되면 그에 상응하는 화면 전환 요청신호를 스마트폰(10)에 전송하고, 스마트폰(10)의 특정 연동 앱(150)에서 화면 전환 요청신호에 대응하여 수행되는 스마트폰(10)의 화면전환에 연동하여 디스플레이(120)의 화면전환이 수행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30)는 스마트폰(10)과의 데이터 송수신의 유선 제어와, 디스플레이(120)의 터치 패널을 통한 터치 입력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자이로 센서(140)는, 디스플레이(120)의 수직 또는 수평의 화면 위치를 감지하여 제어부(130)로 출력하는 구성이다. 이러한 자이로 센서(140)는 스마트폰(10)과 연결 접속되어 연동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스마트폰 보조 입력장치(100)의 디스플레이(120) 화면을 수직화면 또는 수평화면으로 위치를 전환하는 경우 이를 감지하여 제어부(130)로 출력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전용 케이블(111)을 구비하는 인터페이스 모듈(110)과, 디스플레이(120), 제어부(130), 및 자이로 센서(140)를 구비하는 스마트폰 보조 입력장치(100)는 스마트폰(10)에 탑재되어 실행되는 특정 연동 앱(140)을 통해 스마트폰(10)의 탑재된 기능을 디스플레이(120)를 통해 사용될 수 있도록 하는 전용 모니터로 기능되고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스마트폰 보조 입력장치(100)는 배터리, 카메라, 통신모듈, USB, 버튼 등의 전자기기에서의 구동에 필요한 구성들을 배제한 최소한의 구성으로 스마트폰(10)과 유선으로 연결 접속되어 스마트폰(10)의 기능을 사용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여기서 스마트폰 보조 입력장치(100)는 구동에 필요한 구성들을 배제한 최소화하여 무게를 줄여 장시간 사용에도 사용자의 피로감이나 불편함이 최소화되고, 그에 따른 사용의 편의성이 증대될 수 있도록 기능할 수 있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터치를 통한 스마트폰 보조 입력장치가 스마트폰과 연결 접속된 상태에서, 스마트폰에서 제공되는 동영상 파일 재생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터치를 통한 스마트폰 보조 입력장치가 스마트폰과 연결 접속된 상태에서, 스마트폰에서 제공되는 문서파일 작업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터치를 통한 스마트폰 보조 입력장치가 스마트폰과 연결 접속된 상태에서, 스마트폰에서 제공되는 사진파일 보기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 내지 도 7에 각각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터치를 통한 스마트폰 보조 입력장치(100)는 스마트폰(10)과 유선으로 연결 접속되어 연동된 상태에서 스마트폰(10)의 현재 화면 상태가 대화면의 디스플레이(120)를 통해 표시되고, 사용자는 디스플레이(120)의 표시된 화면의 입력을 통해 동영상 파일 재생, 문서 파일 작업, 사진 파일 등의 작업을 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터치를 통한 스마트폰 보조 입력장치는, 스마트폰과의 연동을 위해 연결 접속되기 위한 전용 케이블과, 스마트폰의 현재 화면 상태를 제공받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와, 전용 케이블의 연결 접속을 통해 연동되는 스마트폰과의 데이터 송수신을 제어하는 제어부와, 디스플레이의 수직 또는 수평의 화면 위치를 감지하여 제어부로 출력하는 자이로 센서를 포함하여 구성함으로써, 스마트폰에 유선으로 연결 접속하여 연동되도록 한 상태에서 스마트폰의 전용 모니터로 사용하면서 스마트폰과의 데이터 송수신의 유선 제어와 디스플레이의 터치 입력 제어를 통해 스마트폰의 기능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특히, 전용 케이블을 통해 연결 접속되는 스마트폰의 탑재된 기능을 디스플레이를 통해 사용될 수 있도록 하는 전용 모니터로 기능되도록 구성함으로써, 전자기기에서 구동에 필요한 배터리, 카메라, 통신모듈, USB, 버튼, 고성능의 연산처리 칩셋 및 대용량의 메모리의 구성들을 스마트폰에서 제공함에 따라 스마트폰 보조 입력장치에서는 이에 해당하는 모든 모듈들을 제거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최소한의 구성으로 무게를 줄여주고, 그에 따른 스마트폰의 기능사용에 불편함이 없으면서도 사용에 따른 피로감이나 불편함이 최소화되고, 그에 따른 사용의 편의성이 증대될 수 있도록 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자이로 센서로부터의 현재 화면 위치의 전환신호가 발생되면 그에 상응하는 화면 전환 요청신호를 스마트폰에 전송하고, 스마트폰의 특정 연동 앱에서 화면 전환 요청신호에 대응하여 수행되는 스마트폰의 화면전환에 연동하여 디스플레이의 화면전환이 수행되도록 함으로써, 스마트폰의 직접적인 화면 전환 조작 없이도 사용자가 실행중인 디스플레이의 수직 또는 수평의 화면전환이 가능하도록 하는 사용의 편의성이 증대되고, 또한, 스마트폰의 특정 연동 앱에서 콘텐츠 기능의 실행 이후 스마트폰의 화면은 오프(off)되고, 디스플레이의 화면은 온(on)되는 모드로 제어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배터리 소모의 절감을 통한 장시간 사용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게 된다.
이상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이나 응용이 가능하며, 본 발명에 따른 기술적 사상의 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스마트폰
100: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터치를 통한 스마트폰 보조 입력장치
110: 인터페이스 모듈
111: 전용 케이블
120: 디스플레이
130: 제어부
140: 자이로 센서
150: 특정 연동 앱

Claims (8)

  1. 터치를 통한 스마트폰 보조 입력장치(100)로서,
    스마트폰(10)과의 연동을 위해 연결 접속되기 위한 전용 케이블(111)을 구비하는 인터페이스 모듈(110);
    상기 전용 케이블(111)을 매개로 상기 스마트폰(10)과 연결 접속되어 연동된 상태에서 상기 스마트폰(10)의 현재 화면 상태를 제공받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120);
    상기 전용 케이블(111)의 연결 접속을 통해 연동되는 상기 스마트폰(10)과의 데이터 송수신을 제어하는 제어부(130); 및
    상기 디스플레이(120)의 수직 또는 수평의 화면 위치를 감지하여 상기 제어부(130)로 출력하는 자이로 센서(140)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130)는,
    상기 자이로 센서(140)로부터 디스플레이(120)의 현재 화면 위치의 전환신호가 발생되면 그에 상응하는 화면 전환 요청신호를 상기 스마트폰(10)에 전송하고, 상기 스마트폰(10)의 특정 연동 앱(150)에서 화면 전환 요청신호에 대응하여 수행되는 스마트폰(10)의 화면전환에 연동하여 상기 디스플레이(120)의 화면전환이 수행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를 통한 스마트폰 보조 입력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폰(10)의 특정 연동 앱(150)은,
    상기 스마트폰(10)에 탑재되어 실행하는 어플리케이션으로서, 상기 전용 케이블(111)을 통한 연결 접속 시에 상기 스마트폰 보조 입력장치(100)를 인식하고, 상기 디스플레이(120)를 통해 스마트폰(10)의 조작 기능이 수행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를 통한 스마트폰 보조 입력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페이스 모듈(110)은,
    상기 전용 케이블(111)을 매개로 상기 스마트폰(10)과 유선으로 연결 접속되어, 상기 스마트폰(10)으로부터 구동 전원을 공급받고, 스마트폰(10)과의 데이터 송수신의 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를 통한 스마트폰 보조 입력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폰(10)은,
    상기 특정 연동 앱(150)의 실행을 통해 상기 스마트 보조 입력장치(100)와 연동하여 콘텐츠 기능을 제공하되, 상기 특정 연동 앱(150)은 콘텐츠 기능의 실행 이후 배터리 소모 저감을 위해 상기 스마트폰(10)의 화면은 오프(off)되고, 상기 디스플레이(120)의 화면은 온(on)되는 모드로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를 통한 스마트폰 보조 입력장치.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120)는,
    상기 제어부(130)의 제어 하에, 상기 전용 케이블(111)을 통해 수신되는 상기 스마트폰(10)의 현재 화면 상태를 제공받아 표시하되, 상기 스마트폰(10)의 화면이 오프(off)된 상태에서도 화면 터치를 통한 입력 제어가 가능한 터치 패널로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를 통한 스마트폰 보조 입력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120)는,
    스마트폰 규격의 화면 크기 또는 태블릿 규격의 화면 크기를 갖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를 통한 스마트폰 보조 입력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130)는,
    상기 스마트폰(10)과의 데이터 송수신의 유선 제어와, 상기 디스플레이(120)의 터치 패널을 통한 터치 입력 제어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를 통한 스마트폰 보조 입력장치.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폰 보조 입력장치(100)는,
    상기 스마트폰(10)에 탑재되어 실행되는 특정 연동 앱(150)을 통해 상기 스마트폰(10)의 탑재된 기능을 상기 디스플레이(120)를 통해 사용될 수 있도록 하는 전용 모니터로 기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를 통한 스마트폰 보조 입력장치.
KR1020190124766A 2019-10-08 2019-10-08 터치를 통한 스마트폰 보조 입력장치 KR1023029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4766A KR102302994B1 (ko) 2019-10-08 2019-10-08 터치를 통한 스마트폰 보조 입력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4766A KR102302994B1 (ko) 2019-10-08 2019-10-08 터치를 통한 스마트폰 보조 입력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41928A true KR20210041928A (ko) 2021-04-16
KR102302994B1 KR102302994B1 (ko) 2021-09-16

Family

ID=757436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24766A KR102302994B1 (ko) 2019-10-08 2019-10-08 터치를 통한 스마트폰 보조 입력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0299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41456A (ko) 2022-09-23 2024-04-01 한정현 출혈량 모니터링 방법 및 출혈량 모니터링 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38964A (ko) * 2011-10-11 2013-04-19 조동혁 스마트허브 형태로 동작하는 스마트폰과 연결하여 사용하는 스마트자켓 및 운영체계 혹은 프로그램
KR20130117390A (ko) * 2012-04-17 2013-10-28 주식회사 디엠씨시스 모바일 단말과 연동 가능한 스마트 디스플레이 모니터 및 그를 위한 스마트 디스플레이 제공 방법
JP2015069017A (ja) * 2013-09-30 2015-04-13 シャープ株式会社 表示装置、ソース機器、及び表示システム
KR20170009001A (ko) * 2015-07-15 2017-01-25 박진우 착탈 가능한 보조디스플레이장치를 가진 모바일기기용 보호케이스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38964A (ko) * 2011-10-11 2013-04-19 조동혁 스마트허브 형태로 동작하는 스마트폰과 연결하여 사용하는 스마트자켓 및 운영체계 혹은 프로그램
KR20130117390A (ko) * 2012-04-17 2013-10-28 주식회사 디엠씨시스 모바일 단말과 연동 가능한 스마트 디스플레이 모니터 및 그를 위한 스마트 디스플레이 제공 방법
JP2015069017A (ja) * 2013-09-30 2015-04-13 シャープ株式会社 表示装置、ソース機器、及び表示システム
KR20170009001A (ko) * 2015-07-15 2017-01-25 박진우 착탈 가능한 보조디스플레이장치를 가진 모바일기기용 보호케이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02994B1 (ko) 2021-09-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00387234A1 (en) All-in-One Machine and Method and Computer Memory Medium for Realizing Quick Touch in All Channels Thereof
EP3754644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riving display based on frequency operation cycle set differently according to frequency
KR102481894B1 (ko) 전자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화면 공유 방법
US8743021B1 (en) Display device detecting gaze location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KR102386285B1 (ko) 이어폰을 통한 어플리케이션별 오디오 출력 제어 방법 및 이를 구현한 전자 장치
KR20150023293A (ko) Asr 및 ht 입력을 갖는 보조 디스플레이로서 헤드셋 컴퓨터(hsc)
US20130009864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nterfacing between external device and mobile device
KR20190069877A (ko) 전자 장치 및 그의 입력 제어 방법
KR20130024615A (ko) 외부 디바이스와 결합하는 휴대 단말 및 그 제어 방법
KR20190074776A (ko) 영상 동기 신호에 기반하여 터치 센서 컨트롤러를 제어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방법
CN105635689A (zh) 视频控制器
US9325926B2 (en)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background projection
KR102302994B1 (ko) 터치를 통한 스마트폰 보조 입력장치
US20150081930A1 (en) Tablet computer
CN208521269U (zh) 一种交互智能平板
KR20140008568A (ko) 영상 출력 방법 및 장치
KR101485149B1 (ko) 외부 디바이스와 결합하는 휴대 단말 및 그 구동 방법
US20130234958A1 (en)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TWI621950B (zh) 電子裝置群連接系統及方法
CN210155656U (zh) 一种带Type-C接口的交互式平板及交互式平板系统
CN103179366A (zh) 一种投影应用装置及投影装置结合影像输出装置的系统
CN209002239U (zh) 一种显示设备与主机设备可分离的通信系统
CN102215357A (zh) 一种具有双osd系统的电脑电视一体机及其控制方法
KR101305704B1 (ko) 이종 운영체제 컴퓨팅장치의 접속사용을 지원하는 사용자-개방형 전자칠판 장치
TW202001509A (zh) 電子裝置及其顯示幕的顯示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