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74776A - 영상 동기 신호에 기반하여 터치 센서 컨트롤러를 제어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영상 동기 신호에 기반하여 터치 센서 컨트롤러를 제어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74776A
KR20190074776A KR1020170176371A KR20170176371A KR20190074776A KR 20190074776 A KR20190074776 A KR 20190074776A KR 1020170176371 A KR1020170176371 A KR 1020170176371A KR 20170176371 A KR20170176371 A KR 20170176371A KR 20190074776 A KR20190074776 A KR 2019007477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uch sensor
synchronization signal
sensor controller
display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763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85360B1 (ko
Inventor
배종곤
김동휘
고승훈
오우영
한동균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763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85360B1/ko
Priority to US16/956,748 priority patent/US11086447B2/en
Priority to PCT/KR2018/016020 priority patent/WO2019124908A1/ko
Publication of KR201900747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747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853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853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06F3/04166Details of scanning methods, e.g. sampling time, grouping of sub areas or time sharing with display driv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06F3/04164Connections between sensors and controllers, e.g. routing lines between electrodes and connection pa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4Resetting mea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2Digitisers structurally integrated in a displa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electronic device)는, 디스플레이 패널(display panel)과 기능적으로 연결된(operably coupled to)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DDIC, display driving integrated circuit)와, 상기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와 기능적으로 연결되고, 터치 패널(touch panel)과 기능적으로 연결된 터치 센서 컨트롤러(touch sensor controller)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는, 제1 프레임률(frame rate)에 기반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을 제어하는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의 동작과 상기 터치 센서 컨트롤러의 동작을 동기화하기 위한 동기 신호를 하나의 프레임 내에서(within) 제1 송신 모드에 기반하여 상기 터치 센서 컨트롤러에게 다중 송신(multiple transmit)하고, 제2 프레임률에 기반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을 제어하는 경우, 상기 프레임 내에서 상기 동기 신호를 제2 송신 모드에 기반하여 상기 터치 센서 컨트롤러에게 다중 송신하도록 설정(configured to)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송신 모드에 기반된 상기 다중 송신들 사이의 시간 간격들은, 서로 동일할 수 있고, 상기 제2 송신 모드에 기반된 상기 다중 송신들 중 제1 송신과 상기 제1 송신 다음의 제2 송신 사이의 제1 시간 간격은, 상기 제2 송신 모드에 기반된 상기 다중 송신들 사이의 시간 간격들 중 상기 제1 시간 간격을 제외한 남은 시간 간격들과 다를 수 있다.

Description

영상 동기 신호에 기반하여 터치 센서 컨트롤러를 제어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방법{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OUCH SENSOR CONTROLLER}
후술되는 다양한 실시예들은 영상 동기 신호에 기반하여 터치 센서 컨트롤러(touch sensor controller)와 관련된 동기 신호(synchronization signal)의 송신을 제어하기 위한 전자 장치(electronic device) 및 그의 방법에 관한 것이다.
스마트폰(smart phone), 테블릿 PC(tablet personal computer), 스마트 워치(smart watch) 등과 같은 전자 장치(electronic device)는 디스플레이 패널(display panel)을 통해 다양한 컨텐츠(content)들을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전자 장치는 사용자와 전자 장치 사이의 직관적인(intuitive) 인터액션(interaction)을 위해 터치 입력을 인식하기 위한 터치 패널(touch panel)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을 통해 컨텐츠를 출력하는 상태에서, 상기 터치 패널을 통해 터치 입력을 검출할 수 있다.
전자 장치(electronic device)는 디스플레이 패널을 통해 컨텐츠를 표시하는 상태에서, 터치 패널을 통해 터치 입력을 검출할 수 있다. 이러한 터치 입력은 상기 컨텐츠와 관련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과 기능적으로 결합된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DDIC, display driving integrated circuit)와 상기 터치 패널과 기능적으로 결합된 터치 센서 컨트롤러(touch sensor controller)를 동기화하기 위한 방안이 요구될 수 있다.
후술되는 다양한 실시예들은, 상기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와 상기 터치 센서 컨트롤러 사이의 동기를 위해, 상기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로부터 상기 터치 센서 컨트롤러에게 송신되는 동기 신호를 제어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electronic device)는, 디스플레이 패널(display panel)과 기능적으로 연결된(operably coupled to)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DDIC, display driving integrated circuit)와, 상기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와 기능적으로 연결되고, 터치 센서(touch sensor)와 기능적으로 연결된 터치 센서 컨트롤러(touch sensor controller)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는, 제1 프레임률(frame rate)에 기반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을 제어하는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의 동작과 상기 터치 센서 컨트롤러의 동작을 동기화하기 위한 동기 신호를 하나의 프레임 내에서(within) 제1 송신 모드에 기반하여 상기 터치 센서 컨트롤러에게 다중 송신(multiple transmit)하고, 제2 프레임률에 기반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을 제어하는 경우, 상기 프레임 내에서 상기 동기 신호를 제2 송신 모드에 기반하여 상기 터치 센서 컨트롤러에게 다중 송신하도록 설정(configured to)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송신 모드에 기반된 상기 다중 송신들 사이의 시간 간격들은, 서로 동일할 수 있고, 상기 제2 송신 모드에 기반된 상기 다중 송신들 중 제1 송신과 상기 제1 송신 다음의 제2 송신 사이의 제1 시간 간격은, 상기 제2 송신 모드에 기반된 상기 다중 송신들 사이의 시간 간격들 중 상기 제1 시간 간격을 제외한 남은 시간 간격들과 다를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터치 센서와 기능적으로 결합된 터치 센서 컨트롤러와, 상기 터치 센서 컨트롤러 및 디스플레이 패널과 기능적으로 결합된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와, 상기 터치 센서 컨트롤러와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동기 신호를 생성하도록 설정되고, 상기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와 관련되는 동기 신호 생성부(synchronization signal generator)와, 상기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와 기능적으로 결합된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동기 신호 생성부는, 지정된 주기마다 상기 터치 센서 컨트롤러에게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동기 신호를 송신하도록 설정될 수 있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동 모드를 변경하기 위한 입력을 검출하고, 상기 입력을 검출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를 초기화(initialization)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상기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에게 송신하도록 설정될 수 있고, 상기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는, 상기 제어 신호에 기반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의 초기화를 수행하도록 설정될 수 있고, 상기 동기 신호 생성부는, 상기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의 초기화를 수행하는 동안 상기 지정된 주기마다 상기 터치 센서 컨트롤러에게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동기 신호를 송신하는 것을 유지하도록 더 설정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의 방법은, 제1 프레임률(frame rate)에 기반하여 상기 전자 장치의 디스플레이 패널을 제어하는 경우, 상기 전자 장치의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를 이용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의 동작과 상기 전자 장치의 터치 센서 컨트롤러의 동작을 동기화하기 위한 동기 신호를 하나의 프레임 내에서(within) 제1 송신 모드에 기반하여 상기 터치 센서 컨트롤러에게 다중 송신(multiple transmit)하는 동작과, 상기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를 이용하여 제2 프레임률에 기반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을 제어하는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를 이용하여 상기 프레임 내에서 상기 동기 신호를 제2 송신 모드에 기반하여 상기 터치 센서 컨트롤러에게 다중 송신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1 송신 모드에 기반된 상기 다중 송신들 사이의 시간 간격들은, 서로 동일할 수 있고, 상기 제2 송신 모드에 기반된 상기 다중 송신들 중 제1 송신과 상기 제1 송신 다음의 제2 송신 사이의 제1 시간 간격은, 상기 제2 송신 모드에 기반된 상기 다중 송신들 사이의 시간 간격들 중 상기 제1 시간 간격을 제외한 남은 시간 간격들과 다를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의 방법은, 상기 전자 장치의 동기 신호 생성부가 지정된 주기마다 상기 전자 장치의 터치 센서 컨트롤러에게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동기 신호를 송신하는 동작과, 상기 전자 장치의 프로세서가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동 모드를 변경하기 위한 입력을 검출하는 동작과,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입력을 검출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전자 장치의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를 초기화(initialization)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상기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에게 송신하는 동작과, 상기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가 상기 제어 신호에 기반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의 초기화를 수행하는 동작과, 상기 동기 신호 생성부가 상기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의 초기화를 수행하는 동안 상기 지정된 주기마다 상기 터치 센서 컨트롤러에게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동기 신호를 송신하는 것을 유지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electronic device) 및 그의 방법은,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로부터 터치 센서 컨트롤러로의 동기 신호의 송신을 제어함으로써, 상기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와 상기 터치 센서 컨트롤러를 동기화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영상 동기 신호에 기반하여 터치 센서 컨트롤러를 제어하기 위한, 네트워크 환경 내의 전자 장치의 블럭도이다.
도 2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영상 동기 신호에 기반하여 터치 센서 컨트롤러를 제어하기 위한, 표시 장치의 블럭도이다.
도 3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의 기능적 구성의 예를 도시한다.
도 4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이용되는 수직 동기 신호들의 예를 도시한다.
도 5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신호들 사이의 관계를 나타내기 위한 타이밍도이다.
도 6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신호들 사이의 관계를 나타내기 위한 타이밍도이다.
도 7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의 구성요소들 간의 시그널링의 예를 도시한다.
도 8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의 기능적 구성의 다른 예를 도시한다.
도 9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의 기능적 구성의 또 다른 예를 도시한다.
도 10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의 구성요소들 간의 시그널링의 다른 예를 도시한다.
도 1은, 영상 동기 신호에 기반하여 터치 센서 컨트롤러를 제어하기 위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네트워크 환경(100) 내의 전자 장치(101)의 블럭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네트워크 환경(100)에서 전자 장치(101)는 제 1 네트워크(198)(예: 근거리 무선 통신)를 통하여 전자 장치(102)와 통신하거나, 또는 제 2 네트워크(199)(예: 원거리 무선 통신)를 통하여 전자 장치(104) 또는 서버(108)와 통신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는 서버(108)를 통하여 전자 장치(104)와 통신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는 프로세서(120), 메모리(130), 입력 장치(150), 음향 출력 장치(155), 표시 장치(160), 오디오 모듈(170), 센서 모듈(176), 인터페이스(177), 햅틱 모듈(179), 카메라 모듈(180), 전력 관리 모듈(188), 배터리(189), 통신 모듈(190), 가입자 식별 모듈(196), 및 안테나 모듈(197)을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는, 전자 장치(101)에는, 이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예: 표시 장치(160) 또는 카메라 모듈(180))가 생략되거나 다른 구성 요소가 추가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는, 예를 들면, 표시 장치(160)(예: 디스플레이)에 임베디드된 센서 모듈(176)(예: 지문 센서, 홍채 센서, 또는 조도 센서)의 경우와 같이, 일부의 구성요소들이 통합되어 구현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예를 들면, 소프트웨어(예: 프로그램(140))를 구동하여 프로세서(120)에 연결된 전자 장치(101)의 적어도 하나의 다른 구성요소(예: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을 제어할 수 있고, 다양한 데이터 처리 및 연산을 수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다른 구성요소(예: 센서 모듈(176) 또는 통신 모듈(190))로부터 수신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휘발성 메모리(132)에 로드하여 처리하고, 결과 데이터를 비휘발성 메모리(134)에 저장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20)는 메인 프로세서(121)(예: 중앙 처리 장치 또는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 및 이와는 독립적으로 운영되고, 추가적으로 또는 대체적으로, 메인 프로세서(121)보다 저전력을 사용하거나, 또는 지정된 기능에 특화된 보조 프로세서(123)(예: 그래픽 처리 장치,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 센서 허브 프로세서, 또는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보조 프로세서(123)는 메인 프로세서(121)와 별개로 또는 임베디드되어 운영될 수 있다.
이런 경우, 보조 프로세서(123)는, 예를 들면, 메인 프로세서(121)가 인액티브(예: 슬립) 상태에 있는 동안 메인 프로세서(121)를 대신하여, 또는 메인 프로세서(121)가 액티브(예: 어플리케이션 수행) 상태에 있는 동안 메인 프로세서(121)와 함께, 전자 장치(101)의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예: 표시 장치(160), 센서 모듈(176), 또는 통신 모듈(190))와 관련된 기능 또는 상태들의 적어도 일부를 제어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보조 프로세서(123)(예: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 또는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는 기능적으로 관련 있는 다른 구성 요소(예: 카메라 모듈(180) 또는 통신 모듈(190))의 일부 구성 요소로서 구현될 수 있다. 메모리(130)는, 전자 장치(101)의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예: 프로세서(120) 또는 센서모듈(176))에 의해 사용되는 다양한 데이터,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예: 프로그램(140)) 및, 이와 관련된 명령에 대한 입력 데이터 또는 출력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130)는, 휘발성 메모리(132) 또는 비휘발성 메모리(134)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그램(140)은 메모리(130)에 저장되는 소프트웨어로서, 예를 들면, 운영 체제(142), 미들 웨어(144) 또는 어플리케이션(146)을 포함할 수 있다.
입력 장치(150)는, 전자 장치(101)의 구성요소(예: 프로세서(120))에 사용될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전자 장치(101)의 외부(예: 사용자)로부터 수신하기 위한 장치로서, 예를 들면, 마이크, 마우스, 또는 키보드를 포함할 수 있다.
음향 출력 장치(155)는 음향 신호를 전자 장치(101)의 외부로 출력하기 위한 장치로서, 예를 들면, 멀티미디어 재생 또는 녹음 재생과 같이 일반적인 용도로 사용되는 스피커와 전화 수신 전용으로 사용되는 리시버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리시버는 스피커와 일체 또는 별도로 형성될 수 있다.
표시 장치(160)는 전자 장치(101)의 사용자에게 정보를 시각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장치로서,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 홀로그램 장치, 또는 프로젝터 및 해당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표시 장치(160)는 터치 회로(touch circuitry) 또는 터치에 대한 압력의 세기를 측정할 수 있는 압력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오디오 모듈(170)은 소리와 전기 신호를 쌍방향으로 변환시킬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오디오 모듈(170)은, 입력 장치(150) 를 통해 소리를 획득하거나, 음향 출력 장치(155), 또는 전자 장치(101)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된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2)(예: 스피커 또는 헤드폰))를 통해 소리를 출력할 수 있다.
센서 모듈(176)은 전자 장치(101)의 내부의 작동 상태(예: 전력 또는 온도), 또는 외부의 환경 상태에 대응하는 전기 신호 또는 데이터 값을 생성할 수 있다. 센서 모듈(176)은, 예를 들면, 제스처 센서, 자이로 센서, 기압 센서, 마그네틱 센서, 가속도 센서, 그립 센서, 근접 센서, 컬러 센서, IR(infrared) 센서, 생체 센서, 온도 센서, 습도 센서, 또는 조도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177)는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2))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할 수 있는 지정된 프로토콜을 지원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인터페이스(177)는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USB(universal serial bus) 인터페이스, SD카드 인터페이스, 또는 오디오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 단자(178)는 전자 장치(101)와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2))를 물리적으로 연결시킬 수 있는 커넥터, 예를 들면, HDMI 커넥터, USB 커넥터, SD 카드 커넥터, 또는 오디오 커넥터(예: 헤드폰 커넥터)를 포함할 수 있다.
햅틱 모듈(179)은 전기적 신호를 사용자가 촉각 또는 운동 감각을 통해서 인지할 수 있는 기계적인 자극(예: 진동 또는 움직임) 또는 전기적인 자극으로 변환할 수 있다. 햅틱 모듈(179)은, 예를 들면, 모터, 압전 소자, 또는 전기 자극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 모듈(180)은 정지 영상 및 동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카메라 모듈(180)은 하나 이상의 렌즈, 이미지 센서,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 또는 플래시를 포함할 수 있다.
전력 관리 모듈(188)은 전자 장치(101)에 공급되는 전력을 관리하기 위한 모듈로서, 예를 들면, PMIC(power management integrated circuit)의 적어도 일부로서 구성될 수 있다.
배터리(189)는 전자 장치(101)의 적어도 하나의 구성 요소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장치로서, 예를 들면, 재충전 불가능한 1차 전지, 재충전 가능한 2차 전지 또는 연료 전지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 모듈(190)은 전자 장치(101)와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2), 전자 장치(104), 또는 서버(108))간의 유선 또는 무선 통신 채널의 수립, 및 수립된 통신 채널을 통한 통신 수행을 지원할 수 있다. 통신 모듈(190)은 프로세서(120)(예: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와 독립적으로 운영되는, 유선 통신 또는 무선 통신을 지원하는 하나 이상의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통신 모듈(190)은 무선 통신 모듈(192)(예: 셀룰러 통신 모듈,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 또는 GNSS(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통신 모듈) 또는 유선 통신 모듈(194)(예: LAN(local area network) 통신 모듈, 또는 전력선 통신 모듈)을 포함하고, 그 중 해당하는 통신 모듈을 이용하여 제 1 네트워크(198)(예: 블루투스, WiFi direct 또는 IrDA(infrared data association) 같은 근거리 통신 네트워크) 또는 제 2 네트워크(199)(예: 셀룰러 네트워크, 인터넷, 또는 컴퓨터 네트워크(예: LAN 또는 WAN)와 같은 원거리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외부 전자 장치와 통신할 수 있다. 상술한 여러 종류의 통신 모듈(190)은 하나의 칩으로 구현되거나 또는 각각 별도의 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무선 통신 모듈(192)은 가입자 식별 모듈(196)에 저장된 사용자 정보를 이용하여 통신 네트워크 내에서 전자 장치(101)를 구별 및 인증할 수 있다.
안테나 모듈(197)은 신호 또는 전력을 외부로 송신하거나 외부로부터 수신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안테나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일시예에 따르면, 통신 모듈(190)(예: 무선 통신 모듈(192))은 통신 방식에 적합한 안테나를 통하여 신호를 외부 전자 장치로 송신하거나,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상기 구성요소들 중 일부 구성요소들은 주변 기기들간 통신 방식(예: 버스, GPIO(general purpose input/output), SPI(serial peripheral interface), 또는 MIPI(mobile industry processor interface))를 통해 서로 연결되어 신호(예: 명령 또는 데이터)를 상호간에 교환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명령 또는 데이터는 제 2 네트워크(199)에 연결된 서버(108)를 통해서 전자 장치(101)와 외부의 전자 장치(104)간에 송신 또는 수신될 수 있다. 전자 장치(102, 104) 각각은 전자 장치(101)와 동일한 또는 다른 종류의 장치일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에서 실행되는 동작들의 전부 또는 일부는 다른 하나 또는 복수의 외부 전자 장치에서 실행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가 어떤 기능이나 서비스를 자동으로 또는 요청에 의하여 수행해야 할 경우에, 전자 장치(101)는 기능 또는 서비스를 자체적으로 실행시키는 대신에 또는 추가적으로, 그와 연관된 적어도 일부 기능을 외부 전자 장치에게 요청할 수 있다. 상기 요청을 수신한 외부 전자 장치는 요청된 기능 또는 추가 기능을 실행하고, 그 결과를 전자 장치(101)로 전달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수신된 결과를 그대로 또는 추가적으로 처리하여 요청된 기능이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예를 들면, 클라우드 컴퓨팅, 분산 컴퓨팅, 또는 클라이언트-서버 컴퓨팅 기술이 이용될 수 있다.
도 2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영상 동기 신호에 기반하여 터치 센서 컨트롤러를 제어하기 위한, 표시 장치(160)의 블록도(200)이다. 도 2를 참조하면, 표시 장치(160)는 디스플레이(210), 및 이를 제어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드라이버 IC(DDI)(230)를 포함할 수 있다. DDI(230)는 인터페이스 모듈(231), 메모리(233)(예: 버퍼 메모리), 이미지 처리 모듈(235), 또는 맵핑 모듈(237)을 포함할 수 있다. DDI(230)은, 예를 들면, 인터페이스 모듈(231)을 통하여 프로세서(120)(예: 메인 프로세서(121)(예: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 또는 메인 프로세서(121)의 기능과 독립적으로 운영되는 보조 프로세서(123))로부터 영상 데이터, 또는 상기 영상 데이터를 제어하기 위한 명령에 대응하는 영상 제어 신호를 포함하는 영상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DDI(230)는 터치 회로(250) 또는 센서 모듈(176) 등과 상기 인터페이스 모듈(231)을 통하여 커뮤니케이션할 수 있다. 또한, DDI(230)는 상기 수신된 영상 정보 중 적어도 일부를 메모리(233)에, 예를 들면, 프레임 단위로 저장할 수 있다. 이미지 처리 모듈(235)은, 예를 들면, 상기 영상 데이터의 적어도 일부를 상기 영상 데이터의 특성 또는 디스플레이(210)의 특성에 적어도 기반하여 전처리 또는 후처리(예: 해상도, 밝기, 또는 크기 조정)를 수행할 수 있다. 맵핑 모듈(237)은 디스플레이(210)의 픽셀들의 속성(예: 픽셀들의 배열(RGB stripe 또는 pentile), 또는 서브 픽셀들 각각의 크기)에 적어도 일부 기반하여, 이미지 처리 모듈(135)를 통해 전처리 또는 후처리된 상기 영상 데이터를 상기 픽셀들을 구동할 수 있는 전압 값 또는 전류 값으로 변환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210)의 적어도 일부 픽셀들은, 예를 들면, 상기 전압 값 또는 전류 값에 기반하여 구동됨으로써 상기 영상 데이터에 대응하는 시각적 정보(예: 텍스트, 이미지, 또는 아이콘)가 디스플레이(210)에 표시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표시 장치(160)는 터치 회로(2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터치 회로(250)는 터치 센서(251) 및 이를 제어하기 위한 터치 센서 IC(253)를 포함할 수 있다. 터치 센서 IC(253)는 터치 센서(251)를 제어하여,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210)의 특정 위치에 대한 신호(예: 전압, 광량, 저항, 또는 전하량)의 변화를 측정함으로써 상기 특정 위치에 대한 터치 입력 또는 호버링 입력을 감지하고, 감지된 터치 입력 또는 호버링 입력에 관한 정보(예: 위치, 면적, 압력, 또는 시간)를 프로세서(120) 에 제공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터치 회로(250)의 적어도 일부(예: 터치 센서 IC(253))는 디스플레이 드라이버 IC(230), 또는 디스플레이(210)의 일부로, 또는 표시 장치(160)의 외부에 배치된 다른 구성요소(예: 보조 프로세서(123))의 일부로 포함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표시 장치(160)는 센서 모듈(176)의 적어도 하나의 센서(예: 지문 센서, 홍채 센서, 압력 센서 또는 조도 센서), 또는 이에 대한 제어 회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센서 또는 이에 대한 제어 회로는 표시 장치(160)의 일부(예: 디스플레이(210) 또는 DDI(230)) 또는 터치 회로(250)의 일부에 임베디드되어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표시 장치(160)에 임베디드된 센서 모듈(176)이 생체 센서(예: 지문 센서)를 포함할 경우, 상기 생체 센서는 디스플레이(210)의 일부 영역을 통해 터치 입력과 연관된 생체 정보(예: 지문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면, 표시 장치(160)에 임베디드된 센서 모듈(176)이 압력 센서를 포함할 경우, 상기 압력 센서는 디스플레이(210)의 일부 또는 전체 영역을 통해 터치 입력에 대한 압력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터치 센서(251) 또는 센서 모듈(176)은 디스플레이(210)의 픽셀 레이어의 픽셀들 사이에, 또는 상기 픽셀 레이어의 위에 또는 아래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다양한 형태의 장치가 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예를 들면, 휴대용 통신 장치 (예: 스마트폰), 컴퓨터 장치, 휴대용 멀티미디어 장치, 휴대용 의료 기기, 카메라, 웨어러블 장치, 또는 가전 장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전술한 기기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 및 이에 사용된 용어들은 본 문서에 기재된 기술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해당 실시예의 다양한 변경, 균등물, 및/또는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A 또는 B", "A 및/또는 B 중 적어도 하나", "A, B 또는 C" 또는 "A, B 및/또는 C 중 적어도 하나" 등의 표현은 함께 나열된 항목들의 모든 가능한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제 2", "첫째" 또는 "둘째" 등의 표현들은 해당 구성요소들을, 순서 또는 중요도에 상관없이 수식할 수 있고, 한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해 사용될 뿐 해당 구성요소들을 한정하지 않는다. 어떤(예: 제 1) 구성요소가 다른(예: 제 2) 구성요소에 "(기능적으로 또는 통신적으로)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상기 어떤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다른 구성요소(예: 제 3 구성요소)를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사용된 용어 "모듈"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펌웨어로 구성된 유닛을 포함하며, 예를 들면, 로직, 논리 블록, 부품, 또는 회로 등의 용어와 상호 호환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모듈은, 일체로 구성된 부품 또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는 최소 단위 또는 그 일부가 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모듈은 ASIC(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기기(machine)(예: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machine-readable storage media)(예: 내장 메모리(136) 또는 외장 메모리(138))에 저장된 명령어를 포함하는 소프트웨어(예: 프로그램(140))로 구현될 수 있다. 기기는, 저장 매체로부터 저장된 명령어를 호출하고, 호출된 명령어에 따라 동작이 가능한 장치로서, 개시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명령이 프로세서(예: 프로세서(120))에 의해 실행될 경우, 프로세서가 직접, 또는 상기 프로세서의 제어하에 다른 구성요소들을 이용하여 상기 명령에 해당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명령은 컴파일러 또는 인터프리터에 의해 생성 또는 실행되는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매체는, 비일시적(non-transitory) 저장매체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비일시적’은 저장매체가 신호(signal)를 포함하지 않으며 실재(tangible)한다는 것을 의미할 뿐 데이터가 저장매체에 반영구적 또는 임시적으로 저장됨을 구분하지 않는다.
일시예에 따르면,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은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computer program product)에 포함되어 제공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상품으로서 판매자 및 구매자 간에 거래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예: compact disc read only memory (CD-ROM))의 형태로, 또는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예: 플레이 스토어TM)를 통해 온라인으로 배포될 수 있다. 온라인 배포의 경우에,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의 적어도 일부는 제조사의 서버,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의 서버, 또는 중계 서버의 메모리와 같은 저장 매체에 적어도 일시 저장되거나, 임시적으로 생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구성 요소(예: 모듈 또는 프로그램) 각각은 단수 또는 복수의 개체로 구성될 수 있으며, 전술한 해당 서브 구성 요소들 중 일부 서브 구성 요소가 생략되거나, 또는 다른 서브 구성 요소가 다양한 실시예에 더 포함될 수 있다. 대체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일부 구성 요소들(예: 모듈 또는 프로그램)은 하나의 개체로 통합되어, 통합되기 이전의 각각의 해당 구성 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기능을 동일 또는 유사하게 수행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모듈, 프로그램 또는 다른 구성 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동작들은 순차적, 병렬적, 반복적 또는 휴리스틱하게 실행되거나, 적어도 일부 동작이 다른 순서로 실행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다른 동작이 추가될 수 있다.
도 3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의 기능적 구성의 예를 도시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전자 장치(300)는 프로세서(310),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320)(예: 디스플레이 드라이버 IC(230)), 디스플레이 패널(330), 터치 센서 컨트롤러(340), 및 터치 패널(350)(예: 터치 센서(touch sensor))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310)는 도 1에 도시된 프로세서(120)를 포함할 수 있고,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320)는 도 2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드라이버 IC(230)를 포함할 수 있고, 디스플레이 패널(330)는 도 2에 도시된 디스플레이(210)를 포함할 수 있고, 터치 센서 컨트롤러(340)는 도 2에 도시된 터치 센서(251) 또는 도 2에 도시된 터치 센서 IC(253)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으며, 터치 패널(350)는 도 2에 도시된 터치 센서(251) 또는 도 2에 도시된 터치 센서 IC(253)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프로세서(310)는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320) 또는 디스플레이 패널(330)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320)에게 송신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310)는 디스플레이 패널(330)을 통해 컨텐츠를 표시하거나 출력하기 위해 이용되는 프레임률(frame rate)을 변경하기 위한 상기 제어 신호를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320)에게 송신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상기 프레임률은 디스플레이 패널(330)의 상태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패널(330)을 통해 표시되는 화면의 상태가 계속적으로 변경되는 경우, 프로세서(310)는 상기 프레임률을 제1 프레임률(예: 60 Hz(hertz))로 설정(configure 또는 set)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패널(330)을 통해 표시되는 화면의 상태가 고정(fix)되는 경우, 프로세서(310)는 상기 프레임률을 상기 제1 프레임률보다 낮은 제2 프레임률로 설정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면, 프로세서(310)는, 동영상을 제공하는 동안, 상기 프레임률을 상기 제1 프레임률로부터 상기 제2 프레임률로 변경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면, 프로세서(310)는, 표시되는 화면의 페이지를 변경하거나 화면을 스크롤하거나, 펜 입력 모드를 제공하는 경우와 같이 빠른 화면 전환이 요구되는 경우, 상기 프레임률을 상기 제2 프레임률로부터 상기 제1 프레임률로 변경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프로세서(310)는 상기 프레임률의 변경 여부를 식별(identify)하기 위해, 디스플레이 패널(330)을 통해 표시 중인 화면의 상태가 변경되는지 여부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프로세서(310)는, 지정된 시간(designated time or specified time) 동안 디스플레이 패널(330)을 통해 표시되는 화면의 상태가 고정됨을 검출하는 경우, 상기 프레임률을 상기 제1 프레임률로부터 상기 제2 프레임률로 변경하기 위한 상기 제어 신호를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320)에게 송신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310)는, 디스플레이 패널(330)을 통해 표시되는 컨텐츠가 화면의 업데이트를 요구하지 않는 스틸 이미지(still image)임을 검출하거나, 디스플레이 패널(330)을 통해 표시되는 컨텐츠를 갱신(refine)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이 상기 지정된 시간 동안 수신되지 않음을 검출하는 것에 기반하여, 상기 프레임률을 상기 제1 프레임률로부터 상기 제2 프레임률로 변경하기 위한 상기 제어 신호를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320)에게 송신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320)는, 상기 제어 신호의 수신에 응답하여, 상기 프레임률을 상기 제2 프레임률로 변경할 수 있다.
다른 일부 실시예들에서, 프로세서(310)는, 디스플레이 패널(330)을 통해 표시되는 화면의 상태가 연속적으로 변경됨을 검출하는 경우, 상기 프레임률을 상기 제2 프레임률로부터 상기 제1 프레임률로 변경하기 위한 상기 제어 신호를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320)에게 송신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310)는, 디스플레이 패널(330)을 통해 표시되는 컨텐츠가 화면의 업데이트를 요구하는 비디오임을 검출하거나, 디스플레이 패널(330)을 통해 표시되는 컨텐츠를 갱신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이 수신됨을 검출하는 것에 기반하여, 상기 프레임률을 상기 제2 프레임률로부터 상기 제1 프레임률로 변경하기 위한 상기 제어 신호를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320)에게 송신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320)는, 상기 제어 신호의 수신에 응답하여, 상기 프레임률을 상기 제1 프레임률로 변경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프로세서(310)는 디스플레이 패널(330)을 통해 출력되거나 표시될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320)에게 송신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310)는 상기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320)에 포함된 그래픽 RAM(GRAM, graphic random access memory)에 기록(write)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320)는 상기 기록된 정보에 기반하여, 디스플레이 패널(330)을 통해 상기 컨텐츠를 표시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프로세서(310)는, 터치 센서 컨트롤러(340)와의 연동을 통해, 입력과 관련된 동작을 처리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310)는, 디스플레이 패널(330)을 통해 표시되는 상기 컨텐츠에 대한 터치 입력에 대한 정보를 터치 센서 컨트롤러(340)로부터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터치 입력에 대한 정보는 상기 터치 입력의 속성을 나타내기 위한 데이터 또는 상기 터치 입력이 야기된 위치를 나타내기 위한 데이터(예: 상기 터치 입력의 좌표 정보)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310)는, 상기 획득된 터치 입력에 대한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터치 입력과 관련된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전자 장치(300)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component)(예: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320), 디스플레이 패널(330), 터치 센서 컨트롤러(340), 터치 패널(350), 오디오 모듈(도 3에서 미도시), 센서 모듈(도 3에서 미도시) 등)를 제어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320)는 디스플레이 패널(330)과 기능적으로(operably) 결합되거나(coupled to), 연결될(connected to)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320)는 프로세서(310)로부터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320)는 상기 컨텐츠를 디스플레이 패널(330)을 통해 표시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320)는 프로세서(310)로부터 제어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320)는 프로세서(310)로부터 상기 프레임률을 변경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320)는, 상기 제어 신호에 기반하여, 상기 프레임률을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320)는, 상기 제어 신호에 기반하여 상기 프레임률을 상기 제1 프레임률로부터 상기 제1 프레임률보다 낮은 상기 제2 프레임률로 변경할 수 있다. 상기 제2 프레임률은, 디스플레이 패널(330)을 통해 화면을 표시하기 위해 소비되는 전력을 감소시키기 위해, 전자 장치(300) 내에서 설정(configure)될 수 있다. 상기 제2 프레임률은, 디스플레이 패널(330)을 통해 표시되는 화면의 변경 또는 갱신(refinement)이 요구되지 않는 상황(context) 또는 상태를 위해 설정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320)는, 상기 제어 신호에 기반하여 상기 프레임률을 상기 제2 프레임률로부터 상기 제2 프레임률보다 높은 상기 제1 프레임률로 변경할 수 있다. 상기 제1 프레임률은, 디스플레이 패널(330)을 통해 표시되는 화면의 변경 또는 갱신이 요구되는 상황 또는 상태를 위해 설정될 수 있다.
상기 제1 프레임률로부터 상기 제2 프레임률로의 변경 또는 상기 제2 프레임률로부터 상기 제1 프레임률로의 변경은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320) 내에서 생성되는 수직 동기 신호(vertical synchronizatioin signal)의 수직 백 포치(vertical back porch)의 구간(또는 영역) 또는 수직 프론트 포치(vertical front porch)의 구간(또는 영역) 중 하나 이상의 변경에 기반하여 설정(configure)될 수 있다. 상기 수직 동기 신호는, 한 프레임(frame)의 시작을 나타내기 위한 신호일 수 있다. 상기 수직 백 포치의 구간 및 상기 수직 프론트 포치의 구간은 상기 한 프레임 내에서 화면이 표시되지 않는 시간을 나타내기 위해 설정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320)는, 상기 제어 신호의 수신에 기반하여, 상기 수직 동기 신호의 상기 수직 백 포치의 구간을 확장함으로써, 상기 제1 프레임률을 상기 제2 프레임률로 변경할 수 있다. 다른 일부 실시예들에서,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320)는, 상기 제어 신호의 수신에 기반하여, 상기 수직 동기 신호의 상기 수직 프론트 포치의 구간을 확장함으로써, 상기 제1 프레임률을 상기 제2 프레임률로 변경할 수 있다. 또 다른 일부 실시예들에서,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320)는, 상기 제어 신호의 수신에 기반하여, 상기 수직 동기 신호의 상기 수직 백 포치의 구간 및 상기 수직 프론트 포치의 구간을 확장함으로써, 상기 제1 프레임률을 상기 제2 프레임률로 변경할 수 있다. 또 다른 일부 실시예들에서,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320)는 더미(dummy) 수평 동기 신호를 생성하고 이용함으로써, 상기 제1 프레임률을 상기 제2 프레임률로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를 참조하면, 그래프(400)는, 상기 제1 프레임률에 기반하여 디스플레이 패널(330)을 제어하는 경우,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320)가 생성하는 수직 동기 신호를 나타낼 수 있다. 그래프(400)의 가로축은 시간(time)을 나타낼 수 있고, 그래프(400)의 세로축은 상기 수직 동기 신호의 상태의 변경을 나타낼 수 있다. 그래프(400)에서와 같이, 상기 제1 프레임률이 60 (fps, frame per second) 또는 60 (Hz)인 경우, 상기 수직 동기 신호의 지속 기간(duration)은 1/60초일 수 있다. 그래프(400)에 의해 지시되는 상기 수직 동기 신호는 수직 백 포치의 구간(410) 및 수직 프론트 포치의 구간(420)을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320)는, 프로세서(310)로부터 상기 제어 신호를 수신하는 것에 기반하여, 그래프(400)에 의해 지시되는 수직 동기 신호를 그래프(450)에 의해 지시되는 수직 동기 신호로 변경함으로써, 상기 제1 프레임률을 상기 제2 프레임률로 변경할 수 있다. 그래프(450)의 가로축은 시간(time)을 나타낼 수 있고, 그래프(450)의 세로축은 상기 수직 동기 신호의 상태의 변경을 나타낼 수 있다. 그래프(450)에서와 같이, 상기 제2 프레임률이 50 (fps) 또는 50 (Hz)인 경우, 그래프(450)에 의해 지시되는 상기 수직 동기 신호의 지속 시간은 1/50초일 수 있다. 그래프(450)에 의해 지시되는 상기 수직 동기 신호는 수직 백 포치의 구간(460) 및 수직 프론트 포치의 구간(470)을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320)는, 그래프(400)에 의해 지시되는 상기 수직 동기 신호의 수직 프론트 포치의 구간(420)을 그래프(450)에 의해 지시되는 상기 수직 동기 신호의 수직 프론트 포치의 구간(470)과 같이 확장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320)는, 상기 수직 프론트 포치의 구간의 확장에 기반하여, 상기 제1 프레임률을 상기 제2 프레임률로 변경할 수 있다.
도 4는 수직 프론트 포치의 구간의 확장을 통해 프레임률을 변경하는 예를 도시하고 있으나, 상기 프레임률을 변경하는 방법은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프레임률의 변경은, 상기 수직 백 포치의 구간의 확장에 기반될 수도 있고, 상기 프론트 포치의 구간 및 상기 수직 백 포치의 구간의 확장에 기반될 수도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320)는 터치 센서 컨트롤러(340)에게 동기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320)는, 디스플레이 패널(330)을 통해 발광되는(emitted) 빛(light)이 터치 센서 컨트롤러(340)에게 노이즈(noise)로 작용하거나, 상기 빛이 터치 센서 컨트롤러(340)를 간섭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동기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320)는, 터치 센서 컨트롤러(340)의 동작을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320)의 동작과 동기화하기 위해, 터치 센서 컨트롤러(340)에게 상기 동기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320)는, 터치 센서 컨트롤러(340)가 터치 입력을 센싱하는 시점과 상기 빛이 기준 크기 이상으로 발광되는 시간 구간을 구별하기(divide) 위해, 터치 센서 컨트롤러(340)에게 상기 동기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상기 동기 신호는, 터치 센서 컨트롤러(340)를 위한 수직 동기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동기 신호는 터치 패널 동기 신호 또는 터치스크린 패널 동기 신호로 지칭될 수도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320)는, 한 프레임 내에서 상기 동기 신호를 터치 센서 컨트롤러(340)에게 다중 송신(multiple transmit)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320)는, 터치 센서 컨트롤러(340)가 자신의(its) 동작 주파수(예: 120 (Hz))에 기반하여 동작하도록, 상기 동기 신호를 터치 센서 컨트롤러(340)에게 다중 송신할 수 있다. 터치 센서 컨트롤러(340)의 상기 동작 주파수는, 상기 제1 프레임률의 배수(multiple)일 수 있다. 터치 센서 컨트롤러(340)의 상기 동작 주파수는, 상기 제2 프레임률의 배수가 아닐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320)는, 상기 프레임률에 기반하여, 상기 동기 신호의 송신 모드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송신 모드는, 상기 제1 프레임률에 기반하여 디스플레이 패널(330)을 제어하는 상태에서 이용되는 제1 송신 모드 및 상기 제2 프레임률에 기반하여 디스플레이 패널(330)을 제어하는 상태에서 이용되는 제2 송신 모드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320)는 상기 송신 모드에 따라, 상기 동기 신호의 다중 송신들 사이의 시간 견격을 설정할(configure)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송신 모드에 기반하여 상기 동기 신호를 다중 송신할 것을 결정하는 경우,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320)는 상기 다중 송신들 사이의 상기 시간 간격들을 균일하게 설정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상기 제1 송신 모드에 기반된 상기 다중 송신들 사이의 시간 간격들은 서로 동일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상기 제2 송신 모드에 기반하여 상기 동기 신호를 다중 송신할 것을 결정하는 경우,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320)는 상기 다중 송신들 사이의 상기 시간 간격들 중 적어도 하나의 시간 간격을 상기 시간 간격들 중 상기 적어도 하나의 시간 간격을 제외한 남은 시간 간격들과 다르게 설정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상기 제2 송신 모드에 기반된 상기 다중 송신들 중 제1 송신과 상기 제1 송신 다음의(subsequent to) 제2 송신 사이의 제1 시간 간격은, 상기 제2 송신 모드에 기반된 상기 다중 송신들 사이의 상기 시간 견격들 중 상기 제1 시간 간격을 제외한 남은 시간 간격들과 다를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상기 남은 시간 간격들은 서로 동일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320)는 상기 동기 신호의 상기 다중 송신들 사이의 시간 간격들을 상기 프레임률의 변경에 따라 제어함으로써, 터치 센서 컨트롤러(340)의 동작 주파수의 변경 없이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320)의 동작과 터치 센서 컨트롤러(340)의 동작을 동기화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320)는 상기 동기 신호의 상기 다중 송신들 사이의 시간 간격들을 상기 프레임률의 변경에 따라 제어함으로써, 상기 프레임률이 변경될 시 터치 센서 컨트롤러(340) 내의 MCU(micro controller unit)의 펌웨어(F/W, firmware)를 구동하는 주기(periodicity)를 가변적으로 변경하지 못하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320)는 상기 동기 신호의 상기 다중 송신들 사이의 시간 간격들을 상기 프레임률의 변경에 따라 제어함으로써, 터치 센서 컨트롤러(340)의 동작을 위해 적합한(suitable) 동작 주파수(예: 120Hz)를 프레임률의 변경과 관계없이 이용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320)는 상기 동기 신호의 상기 다중 송신들 사이의 시간 간격들을 상기 프레임률의 변경에 따라 제어함으로써, 프로세서(310)와 터치 센서 컨트롤러(340) 사이의 동기를 최적화(optimize)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터치 센서 컨트롤러(340)는 터치 패널(350)과 기능적으로 결합되거나 연결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터치 패널(350)은 디스플레이 패널(330)과 구분되고, 디스플레이 패널(330) 위에 배치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터치 패널(350)은 터치 센서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터치 센서는 디스플레이 패널(330) 상부 혹은 내부에 배치되는 터치 전극층을 통해 디스플레이와 일체형으로 구현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터치 센서 컨트롤러(340)는 터치 AFE(touch analog front end)(미도시), ADC(analog-to-digital converter)(미도시), 및 DSP(digital signal processor)(미도시) 또는 MCU(micro controller unit)(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터치 패널(350)은 복수의 x축 라인 센서들(즉, 복수의 숏(short) 라인 센서들), 미도시) 및 복수의 y축 라인 센서들(즉, 복수의 롱(long) 라인 센서들, 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터치 AFE는 상기 복수의 x축 라인 센서들을 동시에 충전하기 위한 복수의 x축 트랜스미터(transmitter)들 및 상기 복수의 y축 라인 센서들을 동시에 충전하기 위한 복수의 y축 트랜스미터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터치 AFE는 상기 복수의 x축 라인 센서들 중 적어도 하나(또는 한 쌍) 또는 상기 복수의 y축 라인 센서들 중 적어도 하나(또는 한 쌍)를 센싱하기 위한 복수의 리시버(receiver)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리시버들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라인 센서(또는 상기 한 쌍의 라인 센서)를 동시에 센싱할 수 있다. 상기 터치 AFE의 상기 충전과 상기 터치 AFE의 상기 센싱은 동시에 수행될 수 있다.
상기 터치 AFE는 터치 패널(350)을 통해 수신되는 터치 입력을 처리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터치 패널(350)은 상기 터치 입력에 의해 야기(cause)되는 캐패시턴스(capacitance)의 변화량에 대한 정보를 상기 터치 AFE에게 제공할 수 있다. 상기 터치 AFE는, 상기 캐패시턴스의 변화량에 대한 정보에 기반하여, 아날로그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터치 AFE는 상기 아날로그 신호를 상기 ADC에게 제공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상기 터치 AFE의 동작은 터치 센서 컨트롤러(340)의 동작 주기(operating cycle, 동작 주파수(operating frequency)의 역수(inverse number)) 내에서(within) 수행될 수 있다.
상기 ADC는 상기 아날로그 신호를 상기 터치 AFE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상기 ADC는 상기 아날로그 신호로부터 변환된 디지털 신호를 획득할 수 있다. 상기 ADC는 상기 디지털 신호를 상기 DSP에게 제공할 수 있다.
상기 DSP는 상기 디지털 신호를 상기 ADC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상기 DSP는 상기 디지털 신호를 처리함으로써, 상기 터치 입력에 대한 좌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상기 DSP는 ARMTM으로 구현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라, 상기 DSP의 동작은 터치 센서 컨트롤러(340)의 동작 주기 내에서(within) 수행될 수도 있고, 터치 센서 컨트롤러(340)의 동작 주기 밖에서(outside of) 수행될 수도 있다. 상기 DSP의 동작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터치 AFE의 동작의 적어도 일부와 병렬적으로(in parallel) 수행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터치 센서 컨트롤러(340)는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320)로부터 다중 수신되는 상기 동기 신호에 기반하여 동작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터치 센서 컨트롤러(340)의 상기 터치 AFE는, 상기 동기 신호의 수신에 응답하여, 동작을 개시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면, 터치 센서 컨트롤러(340)의 상기 터치 AFE는, 상기 동기 신호가 수신된 이래로 지정된 시간이 경과한 후, 동작을 개시할 수도 있다. 상기 지정된 시간은, 디스플레이 패널(330)을 통해 발광되는 빛의 세기가 기준 세기보다 작은 타이밍(timing)에서 또는 시간 구간 내에서 상기 터치 입력을 센싱하기 위해 설정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상기 터치 입력의 센싱 시점은, 상기 빛이 기준 크기 이상으로 발광되는 시간 구간과 구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를 참조하면, 타이밍 도(timing chart)(500)는, 상기 제1 프레임률에 기반하여 디스플레이 패널(330)을 제어하는 경우,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320)의 동작과 터치 센서 컨트롤러(340)의 동작 사이의 시간 관계(time relation)를 나타낼 수 있다. 타이밍 도(500) 내의 복수의 그래프들 각각의 가로축은 시간을 나타낼 수 있다.
타이밍 도(500)와 같이,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320)는, 디스플레이 패널(330)을 통해 컨텐츠를 표시하기 위해, 수직 동기 신호(타이밍 도(500)의 Vsync) 및 수평 동기 신호(horizontal synchronization signal, 타이밍 도(500)의 Hsync)를 송신할 수 있다. 상기 수직 동기 신호의 주기는, 상기 제1 프레임률이 60 Hz인 경우, 16.7(=1/60) (ms)일 수 있다.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320)는, 상기 수직 동기 신호 또는 상기 수평 동기 신호에 적어도 기반하여, 디스플레이 패널(330)에 포함된 복수의 발광 소자(luminous element)들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상기 컨텐츠를 표시하기 위한 빛을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320)는, 상기 수직 동기 신호 또는 상기 수평 동기 신호에 적어도 기반하여, n번째 R-발광 소자(예: 타이밍 도(500)의 Rn Source Output)를 통해 상기 컨텐츠를 표시하기 위한 빛을 출력하고, n번째 G-발광 소자(예: 타이밍 도(500)의 Gn Source Output)를 통해 상기 컨텐츠를 표시하기 위한 빛을 출력하며, n번째 B-발광 소자(예: 타이밍 도(500)의 Bn Source Output)를 통해 상기 컨텐츠를 표시하기 위한 빛을 출력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320)는 상기 복수의 발광 소자들 중 적어도 하나의 빛의 출력에 의해 상기 컨텐츠를 디스플레이 패널(330)을 통해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발광 소자들 중 적어도 하나의 빛의 출력은 터치 센서 컨트롤러(340)의 동작에 디스플레이 노이즈(예: 타이밍 도(500)의 EL Noise)로 작용할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320)는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320)의 동작과 터치 센서 컨트롤러(340)의 동작을 동기화하기 위한 수직 동기 신호(타이밍 도(500)의 TSP_Vsync) 및 수평 동기 신호(타이밍 도(500)의 TSP_Hsync)를 터치 센서 컨트롤러(340)에게 송신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320)는, 상기 디스플레이 노이즈가 발생(occur)하는 것을 방지 하기 위해, 상기 수직 동기 신호 및 상기 수평 동기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320)의 동작과 터치 센서 컨트롤러(340)의 동작을 동기화하기 위한 상기 수직 동기 신호는 한 프레임 내에서 다중 송신될 수 있다. 상기 수직 동기 신호의 다중 송신들 사이의 시간 간격들 각각은 터치 센서 컨트롤러(340)의 동작 주기(operating cycle, 예: 타이밍 도(500)의 경우 8.3 (=1/120) (ms))에 상응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320)는 상기 수직 동기 신호(TSP_Vsync)를 상기 한 프레임을 개시하는 타이밍(510)에서 송신하고, 타이밍(510)의 송신 후 터치 패널(350)의 동작 주기가 경과된 타이밍(520)에서 송신하고, 상기 한 프레임을 종료하는 타이밍(530)에서 송신할 수 있다. 타이밍(510)과 타이밍(520) 사이의 시간 간격은, 타이밍(520)과 타이밍(530) 사이의 시간 간격과 동일할 수 있다.
터치 센서 컨트롤러(340)는, 타이밍(510)에서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320)로부터 터치 센서 컨트롤러(340)에서 송신되는 상기 수직 동기 신호를 수신하는 것에 기반하여, 상기 터치 AFE를 구동할(drive) 수 있다. 터치 센서 컨트롤러(340)는, 타이밍(510)에서 상기 수직 동기 신호를 수신하는 것에 기반하여, 상기 터치 AFE의 복수의 트랜스미터들을 이용하여 터치 패널(350) 내의 복수의 센서들을 충전하고, 상기 터치 AFE의 복수의 리시버들을 이용하여 상기 복수의 센서들을 센싱할 수 있다. 터치 센서 컨트롤러(340)는 상기 충전 및 상기 센싱에 기반하여, 터치 패널(350)을 통해 수신되는 터치 입력을 검출(타이밍 도(500)의 Touch sensing)할 수 있다. 다시 말해, 터치 센서 컨트롤러(340)는, 상기 터치 AFE를 이용하여, 상기 터치 입력에 따른 캐패시턴스의 변화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상기 터치 AFE의 동작이 완료되는 시점은 터치 센서 컨트롤러(340)의 동작 주기 내일 수 있다. 상기 터치 AFE는 다음 동작을 위해 일정 시간 동안의 대기를 요구할 수 있다. 터치 센서 컨트롤러(340)는, 상기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한 후, 상기 DSP를 이용하여 상기 디지털 신호에 대한 좌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터치 센서 컨트롤러(340)는, 타이밍(520)에서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320)로부터 터치 센서 컨트롤러(340)에서 송신되는 상기 수직 동기 신호를 수신하는 것에 기반하여, 상기 터치 AFE를 구동할(drive) 수 있다. 터치 센서 컨트롤러(340)는, 타이밍(520)에서 상기 수직 동기 신호를 수신하는 것에 기반하여, 상기 터치 AFE의 복수의 트랜스미터들을 이용하여 터치 패널(350) 내의 복수의 센서들을 충전하고, 상기 터치 AFE의 복수의 리시버들을 이용하여 상기 복수의 센서들을 센싱할 수 있다. 터치 센서 컨트롤러(340)는 상기 충전 및 상기 센싱에 기반하여, 터치 패널(350)을 통해 수신되는 터치 입력을 검출(타이밍 도(500)의 Touch sensing)할 수 있다. 다시 말해, 터치 센서 컨트롤러(340)는, 상기 터치 AFE를 이용하여, 상기 터치 입력에 따른 캐패시턴스의 변화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상기 터치 AFE의 동작이 완료되는 시점은 터치 센서 컨트롤러(340)의 동작 주기 내일 수 있다. 터치 센서 컨트롤러(340)는, 상기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한 후, 상기 DSP를 이용하여 상기 디지털 신호에 대한 좌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터치 센서 컨트롤러(340)는 타이밍(530)에서 상기 수직 동기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타이밍 도(500)에서 예시된 동작은, 프레임마다 반복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타이밍 도(550)는, 상기 제2 프레임률에 기반하여 디스플레이 패널(330)을 제어하는 경우,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320)의 동작과 터치 센서 컨트롤러(340)의 동작 사이의 시간 관계를 나타낼 수 있다. 타이밍 도(550) 내의 복수의 그래프들 각각의 가로축은 시간을 나타낼 수 있다.
타이밍 도(550)와 같이,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320)는, 디스플레이 패널(330)을 통해 컨텐츠를 표시하기 위해, 수직 동기 신호(타이밍 도(550)의 Vsync) 및 수평 동기 신호(horizontal synchronization signal, 타이밍 도(550)의 Hsync)를 송신할 수 있다. 상기 수직 동기 신호의 주기는, 상기 제2 프레임률이 50 Hz인 경우, 20(=1/50) (ms)일 수 있다.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320)는, 상기 수직 동기 신호 또는 상기 수평 동기 신호에 적어도 기반하여, 디스플레이 패널(330)에 포함된 복수의 발광 소자(luminous element)들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상기 컨텐츠를 표시하기 위한 빛을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320)는, 상기 수직 동기 신호 또는 상기 수평 동기 신호에 적어도 기반하여, n번째 R-발광 소자(예: 타이밍 도(550)의 Rn Source Output)를 통해 상기 컨텐츠를 표시하기 위한 빛을 출력하고, n번째 G-발광 소자(예: 타이밍 도(550)의 Gn Source Output)를 통해 상기 컨텐츠를 표시하기 위한 빛을 출력하며, n번째 B-발광 소자(예: 타이밍 도(550)의 Bn Source Output)를 통해 상기 컨텐츠를 표시하기 위한 빛을 출력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320)는 상기 복수의 발광 소자들 중 적어도 하나의 빛의 출력에 의해 상기 컨텐츠를 디스플레이 패널(330)을 통해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발광 소자들 중 적어도 하나의 빛의 출력은 터치 센서 컨트롤러(340)의 동작에 디스플레이 노이즈(예: 타이밍 도(550)의 EL Noise)로 작용할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320)는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320)의 동작과 터치 센서 컨트롤러(340)의 동작을 동기화하기 위한 수직 동기 신호(타이밍 도(550)의 TSP_Vsync) 및 수평 동기 신호(타이밍 도(550)의 TSP_Hsync)를 터치 센서 컨트롤러(340)에게 송신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320)는, 상기 디스플레이 노이즈가 발생(occur)하는 것을 방지 하기 위해, 상기 수직 동기 신호 및 상기 수평 동기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320)의 동작과 터치 센서 컨트롤러(340)의 동작을 동기화하기 위한 상기 수직 동기 신호는 한 프레임 내에서 다중 송신될 수 있다. 상기 수직 동기 신호의 다중 송신들 사이의 시간 간격들 중 적어도 하나의 시간 간격은 터치 센서 컨트롤러(340)의 동작 주기(예: 타이밍 도(550)의 경우 8.3 (=1/120) (ms))와 다를 수 있다. 상기 수직 동기 신호의 다중 송신들 사이의 상기 시간 간격들 중 상기 적어도 하나의 시간 간격을 제외한 남은 시간 간격은 터치 센서 컨트롤러(340)의 동작 주기에 상응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320)는 상기 수직 동기 신호(TSP_Vsync)를 상기 한 프레임을 개시하는 타이밍(560)에서 송신하고, 타이밍(560)의 송신 후 터치 패널(350)의 동작 주기가 경과된 타이밍(570)에서 송신하고, 상기 한 프레임을 종료하는 타이밍(580)에서 송신할 수 있다. 상기 제1 프레임률(예: 60 Hz)와 비교하여, 상기 제2 프레임률(예: 50 Hz)는, 터치 센서 컨트롤러(340)의 동작 주기의 약수(divisor)가 아니기 때문에, 타이밍(560)과 타이밍(570) 사이의 시간 간격은 타이밍(570)과 타이밍(580) 사이의 시간 간격과 다를 수 있다. 예를 들면, 타이밍(560)과 타이밍(570) 사이의 시간 간격은 8.3 (ms)인 반면, 타이밍(570)과 타이밍(580) 사이의 시간 간격은 11.7 (=1/50 - 1/120)(ms)일 수 있다. 터치 센서 컨트롤러(340)는 터치 센서 컨트롤러(340)의 동작 주파수(또는 동작 주기)를 유지하기 위해 타이밍(570)에서의 상기 수직 동기 신호의 수신에 기반하여 8.3 (ms) 동안 동작한 후, 유휴 상태(idle state)에 있을 수 있다. 상기 제2 프레임률에 기반하여 디스플레이 패널(330)을 제어하는 동안, 터치 센서 컨트롤러(340)는, 상기 유휴 상태의 설정을 통해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320)의 동작과 터치 센서 컨트롤러(340)의 동작을 동기화할 수 있다.
터치 센서 컨트롤러(340)는, 타이밍(560)에서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320)로부터 터치 센서 컨트롤러(340)에서 송신되는 상기 수직 동기 신호를 수신하는 것에 기반하여, 상기 터치 AFE를 구동할(drive) 수 있다. 터치 센서 컨트롤러(340)는, 타이밍(560)에서 상기 수직 동기 신호를 수신하는 것에 기반하여, 상기 터치 AFE의 복수의 트랜스미터들을 이용하여 터치 패널(350) 내의 복수의 센서들을 충전하고, 상기 터치 AFE의 복수의 리시버들을 이용하여 상기 복수의 센서들을 센싱할 수 있다. 터치 센서 컨트롤러(340)는 상기 충전 및 상기 센싱에 기반하여, 터치 패널(350)을 통해 수신되는 터치 입력을 검출(타이밍 도(550)의 Touch sensing)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터치 센서 컨트롤러(340)는, 상기 터치 AFE를 이용하여, 상기 터치 입력에 따른 캐패시턴스의 변화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상기 터치 AFE의 동작이 완료되는 시점은 터치 센서 컨트롤러(340)의 동작 주기 내일 수 있다. 상기 터치 AFE는 다음 동작을 위해 일정 시간 동안의 대기를 요구할 수 있다. 터치 센서 컨트롤러(340)는, 상기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한 후, 상기 DSP를 이용하여 상기 디지털 신호에 대한 좌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터치 센서 컨트롤러(340)는, 타이밍(570)에서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320)로부터 터치 센서 컨트롤러(340)에서 송신되는 상기 수직 동기 신호를 수신하는 것에 기반하여, 상기 터치 AFE를 구동할(drive) 수 있다. 터치 센서 컨트롤러(340)는, 타이밍(570)에서 상기 수직 동기 신호를 수신하는 것에 기반하여, 상기 터치 AFE의 복수의 트랜스미터들을 이용하여 터치 패널(350) 내의 복수의 센서들을 충전하고, 상기 터치 AFE의 복수의 리시버들을 이용하여 상기 복수의 센서들을 센싱할 수 있다. 터치 센서 컨트롤러(340)는 상기 충전 및 상기 센싱에 기반하여, 터치 패널(350)을 통해 수신되는 터치 입력을 검출(타이밍 도(550)의 Touch sensing)할 수 있다. 다시 말해, 터치 센서 컨트롤러(340)는, 상기 터치 AFE를 이용하여, 상기 터치 입력에 따른 캐패시턴스의 변화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상기 터치 AFE의 동작이 완료되는 시점은 터치 센서 컨트롤러(340)의 동작 주기 내일 수 있다. 터치 센서 컨트롤러(340)는, 상기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한 후, 상기 DSP를 이용하여 상기 디지털 신호에 대한 좌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터치 센서 컨트롤러(340)는, 상기 프레임률이 상기 제1 프레임률인 경우와 달리, 타이밍(580)이 도래할 때까지, 대기할 수 있다.
타이밍 도(550)에서 예시된 동작은, 프레임마다 반복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300)의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320)는, 프레임률에 따라 서로 다른 송신 간격을 가지는 송신 모드에 기반하여, 터치 센서 컨트롤러(340)에게 동기 신호를 제공함으로써, 터치 센서 컨트롤러(340)의 동작에서 비동기(asynchronization) 구간이 야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타이밍 도(500) 및 타이밍 도(550)는 상기 제1 프레임률이 60 (Hz)이고 상기 제2 프레임률이 50 (Hz)인 경우를 예시하고 있지만, 이는 설명을 위한 예시일 뿐이다. 다양한 실시예들은 60 (Hz) 및 50 (Hz)와 다른 프레임률이 적용되는 환경에서도 이용될 수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330)는, 상기 제2 프레임률에 기반하여 디스플레이 패널(330)을 제어하는 경우, 디스플레이 패널(330)의 발광 소자의 빛의 출력이 터치 센서 컨트롤러(340)의 동작을 간섭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터치 센서 컨트롤러(340)의 동작 구간을 상기 수직 동기 신호의 확장된 수직 포치(예: 수직 백 포치 또는 수직 프론트 포치) 구간으로 설정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330)는, 상기 제2 송신 모드에 기반된 상기 다중 송신들 사이의 시간 간격들 중 하나의 시간 간격(예: 도 5의 타이밍 도(550)의 타이밍(570)과 타이밍(580) 사이의 시간 간격)의 순서를 변경함으로써, 터치 센서 컨트롤러(340)의 동작 구간을 상기 수직 동기 신호의 확장된 수직 포치 구간으로 설정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330)는, 상기 제2 송신 모드에 기반된 상기 다중 송신들 중 최초 송신(intial transmission)의 송신 시점을 조절함으로써, 터치 센서 컨트롤러(340)의 동작 구간을 상기 수직 동기 신호의 확장된 수직 포치 구간으로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6을 참조하면, 타이밍 도(600)는 상기 제2 프레임률에 기반하여 디스플레이 패널(330)을 제어하는 경우,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320)의 동작과 터치 센서 컨트롤러(340)의 동작 사이의 시간 관계를 나타낼 수 있다. 타이밍 도(600) 내의 복수의 그래프들 각각의 가로축은 시간을 나타낼 수 있다.
타이밍 도(600)와 같이,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320)는,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320)로부터 터치 센서 컨트롤러(340)에게 송신되는 수직 동기 신호(예: 타이밍 도(600)의 TSP_Vsync, 이하 제1 수직 동기 신호)의 송신 시점(610)을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320)에서 이용되는 수직 동기 신호(예: 타이밍 도(600)의 Vsync, 이하 제2 수직 동기 신호)의 송신 시점(605)와 다르게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320)는, 상기 제1 수직 동기 신호(예: 타이밍 도(600)의 TSP_Vsync)의 송신 시점을 지연할 수 있다. 송신 시점(605)와 송신 시점(610) 사이의 시간 간격은 상기 제2 수직 동기 신호의 확장된 수직 포치의 구간(615)에 터치 센서 컨트롤러(340)의 동작 구간(620)의 적어도 일부를 포함(예: 구간(615)와 구간(620)이 시간 측면에서 적어도 일부 중첩)하기 위해 설정될 수 있다. 송신 시점(605)와 송신 시점(610) 사이의 시간 간격은 상기 디스플레이 노이즈(예: 타이밍 도(600)의 EL Noise)의 발생 구간을 회피하여 터치 센서 컨트롤러(340)의 동작 구간(625)을 배치하기 위해, 설정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320)는, 상기 제2 송신 모드에 기반된 상기 다중 송신들 사이의 시간 간격들 중 터치 센서 컨트롤러(340)가 유휴 상태에 있는 구간을 포함하는 시간 간격의 순서를 도 5의 타이밍 도(550)과 다르게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320)는, 타이밍(610)으로부터 11.7 (ms)가 경과된 타이밍(630)에서 상기 제1 수직 동기 신호를 터치 센서 컨트롤러(340)에게 송신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320)는, 상기 제2 수직 동기 신호의 확장된 수직 포치의 구간(615)에 터치 센서 컨트롤러(340)의 동작 구간(620)의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기 위해, 타이밍(630)에서 상기 제1 수직 동기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동작 구간(620)에서의 터치 센서 컨트롤러(340)의 동작은 디스플레이 패널(330)이 일시적으로 비활성(disable)되는 상기 제2 수직 동기 신호의 확장된 수직 포치 구간(615)의 적어도 일부에서 수행되기 때문에, 전자 장치(300)는 동작 구간(620)에서 향상된 터치 인식률을 제공할 수 있다.
타이밍 도(600)에서 예시된 동작은, 프레임마다 반복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300)의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320)는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320)로부터 터치 센서 컨트롤러(340)에게 제공되는 동기 신호의 송신 타이밍을 조절함으로써, 프레임률이 변경되는 환경에서 향상된 터치 입력의 인식률을 제공할 수 있다.
도 7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의 구성요소들 간의 시그널링의 예를 도시한다. 이러한 시그널링은 도 1에 도시된 전자 장치(101) 또는 도 3에 도시된 전자 장치(300) 내에서 야기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동작 710에서, 프로세서(310)는 제어 정보를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320)에게 송신할 수 있다. 상기 제어 정보는, 상기 제1 프레임률에 기반하여 디스플레이 패널(330)을 제어함을 나타낼 수 있다.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320)는 상기 제어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320)는, 상기 제어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제1 프레임률에 기반하여 디스플레이 패널(330)을 제어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320)는, 상기 제어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제1 송신 모드에 기반하여 동기 신호를 터치 센서 컨트롤러(340)에게 다중 송신할 것을 식별할 수 있다.
동작 720에서,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320)는, 상기 제1 송신 모드에 기반하여 상기 동기 신호를 터치 센서 컨트롤러(340)에게 다중 송신할 수 있다. 상기 제1 송신 모드에 기반된 상기 동기 신호의 상기 다중 송신들 사이의 시간 간격들은 서로 동일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프레임률이 60 (Hz)이고 터치 센서 컨트롤러(340)의 동작 주파수가 120 (Hz)인 경우, 상기 동기 신호는 시간 간격 1/120 (s)마다 터치 센서 컨트롤러(340)에게 송신될 수 있다. 터치 센서 컨트롤러(340)는 상기 다중 송신된 상기 동기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의 타이밍도(500)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320)는, 상기 제1 송신 모드에 기반하여, 상기 동기 신호를 타이밍(510)에서 송신하고, 타이밍(510)에서의 송신 후 터치 패널(350)의 동작 주기가 경과된 타이밍(520)에서 상기 동기 신호를 송신하며, 타이밍(520)의 송신 후 터치 패널(350)의 동작 주기가 경과된 타이밍(530)(즉, 한 프레임을 종료하는 타이밍)에서 상기 동기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동작 730에서, 터치 센서 컨트롤러(340)는 상기 동기 신호가 수신된 시점에 기반하여 터치 패널(350)에 대한 입력을 검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터치 센서 컨트롤러(340)는, 상기 동기 신호가 수신된 시점에서 상기 터치 AFE를 이용하여 상기 입력에 대한 아날로그 신호를 획득하고, 상기 아날로그 신호로부터 변환된 디지털 신호를 상기 디지털 시그널 프로세서에게 제공하고, 상기 디지털 시그널 프로세서를 이용하여 상기 입력에 대한 좌표 정보를 획득하거나 생성할 수 있다.
동작 740에서, 프로세서(310)는 제어 정보를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320)에게 송신할 수 있다. 상기 제어 정보는, 상기 제2 프레임률에 기반하여 디스플레이 패널(330)을 제어함을 나타낼 수 있다. 상기 제어 정보는, 상기 프레임률이 상기 제2 프레임률로 변경됨을 나타낼 수 있다.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320)는, 상기 제어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제2 송신 모드에 기반하여 동기 신호를 터치 센서 컨트롤러(340)에게 다중 송신할 것을 식별할 수 있다.
동작 750에서,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320)는, 상기 제2 송신 모드에 기반하여 상기 동기 신호를 터치 센서 컨트롤러(340)에게 다중 송신할 수 있다. 상기 제2 송신 모드에 기반된 상기 동기 신호의 상기 다중 송신들 중 제1 송신과 상기 제1 송신 다음의 제2 송신 사이의 제1 시간 간격(755)은, 상기 제2 송신 모드에 기반된 상기 다중 송신들 사이의 시간 간격들 중 제1 시간 간격(755)을 제외한 남은 시간 간격(757)과 다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2 프레임률이 50 (Hz)이고 터치 센서 컨트롤러(340)의 동작 주파수가 120 (Hz)인 경우, 제1 시간 간격(755)은 11.7 (ms)로 설정되고, 남은 시간 간격(757)은 8.3 (ms)로 설정될 수 있다. 제1 시간 간격(755)와 남은 시간 간격(757)의 배치 순서는 실시예들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터치 센서 컨트롤러(340)는 상기 다중 송신된 상기 동기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의 타이밍도(550)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320)는, 상기 제2 송신 모드에 기반하여, 상기 동기 신호를 타이밍(560)에서 송신하고, 타이밍(560)에서의 송신 후 터치 패널(350)의 동작 주기가 경과된 타이밍(570)에서 상기 동기 신호를 송신하며, 상기 한 프레임을 종료하는 타이밍(580)에서 상기 동기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도 6의 타이밍도(600)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320)는, 상기 제2 송신 모드에 기반하여, 상기 동기 신호를 타이밍(610)에서 송신하고, 타이밍(610)에서의 송신 후 타이밍(630)에서 상기 동기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동작 760에서, 터치 센서 컨트롤러(340)는 상기 동기 신호가 수신된 시점에 기반하여 터치 패널(350)에 대한 입력을 검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터치 센서 컨트롤러(340)는, 상기 동기 신호가 수신된 시점에서 상기 터치 AFE를 이용하여 상기 입력에 대한 아날로그 신호를 획득하고, 상기 아날로그 신호로부터 변환된 디지털 신호를 상기 디지털 시그널 프로세서에게 제공하고, 상기 디지털 시그널 프로세서를 이용하여 상기 입력에 대한 좌표 정보를 획득하거나 생성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라, 상기 입력을 검출하는 동작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2 프레임률로의 변경에 따라 확장된 상기 수직 포치의 구간에 포함될 수 있다.
도 7은 동작 710 내지 동작 730이 동작 740 내지 동작 760보다 먼저 수행되는 예를 도시하고 있지만, 이는 설명을 위한 것이다. 도 7의 도시와 달리, 동작 740 내지 동작 760은 동작 710 내지 동작 730보다 먼저 수행될 수도 있다.
또한, 동작 710 내지 동작 730은 동작 740 내지 동작 760과 독립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동작 710 내지 동작 730은 동작 740 내지 동작 760과 연결 관계를 가지는 동작들일 수도 있고, 동작 740 내지 동작 760과 연결 관계를 가지지 않는 동작들일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을 가지는 전자 장치(예: 도 1에 도시된 전자 장치(101) 또는 도 3에 도시된 전자 장치(300))는 화면의 표시로 인하여 소비되는 전력을 프레임률의 변경을 통해 감소시킬 뿐 아니라, 상기 구동 모드(예: 화면의 모드)를 변경을 통해 감소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구동 모드는, 노멀 모드와 AOD(always on display) 모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자 장치가 노멀 모드를 제공하는 동안, 도 1에 도시된 메인 프로세서(121) 또는 도 3에 도시된 프로세서(310)는 활성 상태에서 동작할 수 있다. 상기 전자 장치가 AOD 모드를 제공하는 동안, 도 1에 도시된 메인 프로세서(121) 또는 도 3에 도시된 프로세서(310)는 상기 AOD 모드를 제공하는 구간의 적어도 일부 동안 비활성 상태에 있을 수 있다. 상기 비활성 상태는 상기 활성 상태로의 전환을 위해 부팅(booting)을 요구하는 턴-오프 상태 또는 상기 활성 상태로의 전환을 위해 부팅을 요구하지 않는 유휴 상태(idle state) 또는 대기 상태(standby state)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동 모드가 전환되는 경우, 상기 전자 장치의 터치 센서 컨트롤러는 상기 터치 센서 컨트롤러의 동작 구간 중 적어도 일부에서 상기 전자 장치의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와 비동기화된 상태로 동작할 수 있다. 이러한 비동기 상태의 동작은 터치 데드(dead) 타임을 야기할 수 있다. 따라서, 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이 요구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상기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로부터 상기 터치 센서 컨트롤러에게 제공되는 상기 동기 신호를 제어함으로써, 구동 모드의 전환에 따라 비동기 구간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8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의 기능적 구성의 다른 예를 도시한다.
도 8을 참조하면, 전자 장치(800)는 프로세서(810),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820), 디스플레이 패널(830), 터치 센서 컨트롤러(840), 및 터치 패널(850)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810)는 도 1에 도시된 프로세서(120) 또는 도 3에 도시된 프로세서(310)를 포함할 수 있고,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820)는 도 2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드라이버 IC(230) 또는 도 3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320)를 포함할 수 있고, 디스플레이 패널(830)은 도 2에 도시된 디스플레이(210) 또는 도 3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패널(330)을 포함할 수 있고, 터치 센서 컨트롤러(840)는 도 2에 도시된 터치 센서(251) 또는 도 2에 도시된 터치 센서 IC(253) 중 하나 이상, 또는 도 3에 도시된 터치 센서 컨트롤러(840)를 포함할 수 있으며, 터치 패널(850)은 도 2에 도시된 터치 센서(251) 또는 도 2에 도시된 터치 센서 IC(253) 중 하나 이상 또는 도 3에 도시된 터치 패널(350)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프로세서(810)는 디스플레이 패널(830)을 통해 표시되는 구동 모드를 변경하기 위한 입력을 검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입력은 상기 AOD 모드를 상기 노멀 모드로 변경하기 위한 입력일 수 있다. 다른 예를 들면, 상기 입력은 상기 노멀 모드를 상기 AOD 모드로 변경하기 위한 입력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프로세서(810)는 상기 입력을 검출하는 것에 기반하여,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830)를 초기화(initialize)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830)에게 송신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830)의 초기화는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830)를 재부팅하는 것을 나타낼 수 있다.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830)는, 상기 구동 모드의 전환에 따라 비동기 구간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복수의 구성요소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830)는 리셋 신호 생성기(821), 클락 신호 생성기(822), 터치 제어 레지스터(823), 및 동기 신호 생성부(824)를 포함할 수 있다.
동기 신호 생성부(824)는 지정된 주기마다 터치 센서 컨트롤러(840)에게 적어도 하나의 동기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동기 신호는 도 3의 설명을 통해 예시된 동기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라, 동기 신호 생성부(824)는 도 8에 미도시된 타이밍 제어부(timing controller) 내에 포함될 수도 있다.
프로세서(810)는,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830)가 동기 신호 생성부(824)를 이용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동기 신호를 터치 센서 컨트롤러(840)에게 송신하는 상태에서, 상기 입력을 검출할 수 있다. 프로세서(810)는, 상기 입력을 검출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제어 신호를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830)에게 송신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820)는 상기 제어 신호에 기반하여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820)의 초기화를 수행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820) 내의 모든 구성요소들을 초기화하는 경우,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820)로부터 터치 센서 컨트롤러(840)에게 상기 지정된 주기마다 상기 동기 신호를 송신하는 것은 중단(cease)될 수 있다. 상기 동기 신호의 송신이 중단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820)는 상기 초기화와 독립적으로 동작하는 리셋 신호 생성기(821), 클락 신호 생성기(822), 터치 제어 레지스터(823), 및 동기 신호 생성부(824)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리셋 신호 생성기(821)는 상기 제어 신호를 프로세서(81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리셋 신호 생성기(821)는 상기 제어 신호에 기반하여,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820) 내의 구성요소들 중 리셋 신호 생성기(821), 클락 신호 생성기(822), 터치 제어 레지스터(823), 및 동기 신호 생성부(824)를 제외한 남은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를 초기화하기 위한 제1 리셋 신호와 리셋 신호 생성기(821), 클락 신호 생성기(822), 터치 제어 레지스터(823), 및 동기 신호 생성부(824)의 동작을 유지하기 위한 제2 리셋 신호를 생성하거나 획득할 수 있다. 리셋 신호 생성기(821)는 상기 제1 리셋 신호를 상기 남은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에게 송신할 수 있다. 상기 남은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는 상기 제1 리셋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남은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는 상기 제1 리셋 신호의 수신에 기반하여 초기화를 수행할 수 있다. 한편, 리셋 신호 생성기(821)는 상기 제2 리셋 신호를 클락 신호 생성기(822), 터치 제어 레지스터(823), 및 동기 신호 생성부(824)에게 각각 송신할 수 있다. 클락 신호 생성기(822), 터치 제어 레지스터(823), 및 동기 신호 생성부(824) 각각은 상기 제2 리셋 신호의 수신에 기반하여 상기 남은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의 초기화와 독립적으로 클락 신호 생성기(822), 터치 제어 레지스터(823), 및 동기 신호 생성부(824) 각각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클락 신호 생성기(822)는 상기 제2 리셋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클락 신호 생성기(822)는 클락 신호 생성기(822)에 의해 생성될 클락 신호의 주기에 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클락 신호 생성기(822)는, 상기 주기에 대한 정보에 기반하여, 생성될 상기 클락 신호의 듀티 사이클(duty cycle)을 식별하고, 식별된 듀티 사이클에 기반하여 상기 클락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클락 신호 생성기(822)는 상기 클락 신호를 동기 신호 생성부(824)에게 제공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터치 제어 레지스터(823)는 프로세서(810)로부터 수신되는 정보로부터 상기 제어 신호와 같은 명령(command)과 이미지 등과 같은 컨텐츠(content)를 식별하거나 추출할 수 있다. 터치 제어 레지스터(823)는 상기 식별되거나 추출된 제어 신호 또는 상기 제2 리셋 신호에 적어도 일부 기반하여 동기 신호 생성부(824)의 동작 모드를 유지할 것을 나타내기 위한 신호를 동기 신호 생성부(824)에게 송신하거나 동기 신호 생성부(824)의 동작 모드를 변경할 것을 나타내기 위한 신호를 동기 신호 생성부(824)에게 송신할 수 있다. 터치 제어 레지스터(823)는 플립플랍(flip flop)으로 구현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동기 신호 생성부(824)는, 터치 제어 레지스터(823)로부터 상기 신호를 수신하는 것에 적어도 기반하여, 상기 클락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동기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동기 신호 생성부(824)는 상기 클락 신호로부터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동기 신호의 송신 타이밍을 식별하고, 식별된 타이밍에 기반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동기 신호를 터치 센서 컨트롤러(840)에게 송신할 수 있다. 동기 신호 생성부(824)는, 상기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의 상기 남은 구성요소들이 초기화를 수행하는 동안,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동기 신호를 터치 센서 컨트롤러(840)에게 송신할 수 있다. 동기 신호 생성부(824)는, 상기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의 초기화와 독립적으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동기 신호를 터치 센서 컨트롤러(840)에게 송신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820), 및 리셋 신호 생성기(821), 클락 신호 생성기(822), 터치 제어 레지스터(823), 또는 동기 신호 생성부(824) 중 하나 이상은 하나의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 칩으로 설계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라, 리셋 신호 생성기(821), 클락 신호 생성기(822), 또는 터치 제어 레지스터(823) 중 하나 이상은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820)에 포함되지 않을 수 있다. 다시 말해, 리셋 신호 생성기(821), 클락 신호 생성기(822), 또는 터치 제어 레지스터(823) 중 하나 이상은 다양한 실시예들을 구현하기 위한 필수 구성요소가 아닐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800)는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820)의 초기화와 독립적으로 동작하는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820)의 적어도 하나? 구성요소(예: 리셋 신호 생성기(821), 클락 신호 생성기(822), 터치 제어 레지스터(823), 또는 동기 신호 생성부(824))를 이용하여 터치 센서 컨트롤러(840)에게 적어도 하나의 동기 신호를 제공함으로써, 구동 모드의 변경에 따라 터치 센서 컨트롤러(840)가 비동기 상태로 동작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9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의 기능적 구성의 또 다른 예를 도시한다.
도 9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900)는 프로세서(810),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820), 동기 신호 생성부(824), 디스플레이 패널(830), 터치 센서 컨트롤러(840), 및 터치 패널(850)을 포함할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전자 장치(800)과 달리, 도 9에 도시된 전자 장치(900)는, 상기 구동 모드의 변경에 따른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820)의 초기화와 독립적으로 터치 센서 컨트롤러(840)를 제어하기 위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동기 신호를 송신하는 동기 신호 생성부(824)를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820)의 외부에서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동기 신호 생성부(824)는 프로세서(810)로부터 획득되는 제어 신호에 기반하여, 터치 센서 컨트롤러(840)에게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동기 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제어 신호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동기 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클락 신호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동기 신호 생성부(824)는 상기 제어 신호에 기반하여,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820)에게 수직 동기 신호, 수평 동기 신호 등과 같은 동기 신호를 제공하거나,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820)의 동작을 위한 클락 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동기 신호 생성부(824)는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820)의 동작 및 터치 센서 컨트롤러(840)의 동작과 독립적으로(또는 관계없이) 다양한 종류의 동기 신호들을 생성하고 송신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900)는, 상기 동기 신호의 생성 및 송신을 통해, 상기 구동 모드의 변경에 따라 터치 데드 타임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0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의 구성요소들 간의 시그널링의 다른 예를 도시한다. 이러한 시그널링은, 도 1에 도시된 전자 장치(101), 도 3에 도시된 전자 장치(300), 또는 도 8에 도시된 전자 장치(800), 또는 도 9에 도시된 전자 장치(900) 내에서 야기될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동작 1010에서, 동기 신호 생성부(824)는 터치 센서 컨트롤러(840)에게 동기 신호를 지정된 주기마다 송신할 수 있다. 동기 신호 생성부(824)는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820)와 관련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동기 신호 생성부(824)는,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820)와의 관련(association)을 위해, 도 8에 도시된 전자 장치(800)와 같이,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820) 내에 포함될 수 있다. 다른 일부 실시예들에서, 동기 신호 생성부(824)는,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820)와의 관련을 위해, 도 9에 도시된 전자 장치(900)와 같이,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820) 외부에 배치되고,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820)와 기능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지정된 주기는,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820)와 기능적으로 연결된 디스플레이 패널(830)을 제어하는 프레임률에 기반하여 결정될 수 있다. 상기 지정된 주기는, 상기 동기 신호의 송신 마다 동일할 수도 있고, 일부 변경될 수도 있다. 터치 센서 컨트롤러(840)는 상기 동기 신호를 지정된 주기마다 수신할 수 있다. 터치 센서 컨트롤러(840)는 상기 동기 신호가 수신되는 시점에 적어도 기반하여 구동함으로써, 터치 센서 컨트롤러(840)와 기능적으로 결합된 터치 패널(850)에 대한 입력을 검출할 수 있다.
동작 1020에서, 프로세서(810)는 디스플레이 패널(830)을 통해 표시되는 구동 모드를 변경하기 위한 입력을 검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810)는 상기 구동 모드를 상기 노멀 모드로부터 상기 AOD 모드로 변경하기 위한 입력 또는 이벤트를 검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입력은, 대기 화면 상태에서 전자 장치의 물리적 버튼이 눌려짐(depressed)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이벤트는, 대기화면 상태에서 특정(certain) 입력 없이 지정된 시간이 경과하는 것일 수 있다.
동작 1030에서, 프로세서(810)는 상기 검출에 기반하여 제어 정보를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820)에게 송신할 수 있다. 상기 제어 정보는 상기 구동 모드가 무엇인지를 나타내기 위해 이용될 수 있다. 상기 제어 정보는 상기 구동 모드가 상기 노멀 모드(또는 상기 AOD 모드)로부터 상기 AOD 모드(또는 상기 노멀 모드)로 변경됨을 나타내기 위해 이용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820)는 상기 제어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동작 1040에서,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820)는 동기 신호 생성부(824)에게 지정된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상기 지정된 신호는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820)가 초기화를 수행함을 나타내기 위해 이용될 수 있다. 상기 지정된 신호는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820)의 초기화와 독립적으로 동기 신호 생성부(824)가 상기 동기 신호의 송신을 유지하기 위해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820)로부터 동기 신호 생성부(824)에게 송신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8과 같이,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820)는, 리셋 신호 생성기(821), 클락 신호 생성기(822), 또는 터치 제어 레지스터(823) 중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상기 지정된 신호를 동기 신호 생성부(824)에게 제공할 수 있다. 동기 신호 생성부(8230)는 상기 지정된 신호를 획득할 수 있다.
도 10은 동기 신호 생성부(824)가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820) 내에 배치되는 예를 도시할 수 있다. 도 9와 같이, 동기 신호 생성부(824)가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820) 외부에 배치되는 경우, 동작 1040은 생략되거나 우회(bypass)될 수 있다.
동작 1045에서,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820)는 상기 제어 정보에 기반하여 초기화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820)는, 동기 신호 생성부(824)과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제1 구성요소의 구동을 유지하고,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820) 내의 구성요소들 중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구성요소를 제외한 적어도 하나의 제2 구성요소를 초기화함으로써,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820)의 상기 초기화를 수행할 수 있다.
도 10은 동작 1040 이후 동작 1045가 수행되는 예를 도시하고 있지만, 동작 1045는 동작 1040과 병렬적으로 수행될 수도 있다.
동작 1050에서, 동기 신호 생성부(824)는 상기 지정된 신호의 수신에 기반하여,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820)의 초기화와 독립적으로, 상기 동기 신호의 송신을 유지할 수 있다. 상기 동기 신호의 송신의 유지를 통해,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구동 모드의 변경에 따라 터치 데드 타임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동기 신호의 제어를 통해 터치 입력의 인식률을 향상시킬(enhance)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electronic device)는, 디스플레이 패널(display panel)과 기능적으로 연결된(operably coupled to)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DDIC, display driving integrated circuit)와, 상기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와 기능적으로 연결되고, 터치 센서와 기능적으로 연결된 터치 센서 컨트롤러(touch sensor controller)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는, 제1 프레임률(frame rate)에 기반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을 제어하는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의 동작과 상기 터치 센서 컨트롤러의 동작을 동기화하기 위한 동기 신호를 하나의 프레임 내에서(within) 제1 송신 모드에 기반하여 상기 터치 센서 컨트롤러에게 다중 송신(multiple transmit)하고, 제2 프레임률에 기반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을 제어하는 경우, 상기 프레임 내에서 상기 동기 신호를 제2 송신 모드에 기반하여 상기 터치 센서 컨트롤러에게 다중 송신하도록 설정(configured to)될 수 있고, 상기 제1 송신 모드에 기반된 상기 다중 송신들 사이의 시간 간격들은, 서로 동일할 수 있고, 상기 제2 송신 모드에 기반된 상기 다중 송신들 중 제1 송신과 상기 제1 송신 다음의 제2 송신 사이의 제1 시간 간격은, 상기 제2 송신 모드에 기반된 상기 다중 송신들 사이의 시간 간격들 중 상기 제1 시간 간격을 제외한 남은 시간 간격들과 다를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상기 제1 송신 모드에 기반된 상기 다중 송신들 중 마지막 송신은, 상기 프레임의 종료 시점(timing)에서 수행되고, 상기 제2 송신 모드에 기반된 상기 다중 송신들 중 마지막 송신은, 상기 프레임의 종료 시점에서 수행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상기 제2 프레임률은, 상기 제1 프레임률보다 낮고, 상기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는, 상기 제1 프레임률과 관련된 수직 동기 신호(vertical synchronization signal)의 수직 포치(vertical porch, V-porch)를 확장하고, 상기 확장된 수직 포치에 기반한 수직 동기 신호와 관련된 상기 제2 프레임률에 기반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을 제어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상기 터치 센서 컨트롤러는, 상기 동기 신호가 수신되는 시점에 기반하여, 상기 터치 패널에 대한 입력을 검출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상기 터치 센서 컨트롤러는, 아날로그 프론트 엔드(analog front end, AFE) 및 디지털 시그널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동기 신호가 수신되는 시점에서 상기 아날로그 프론트 엔드를 이용하여, 상기 입력에 대한 아날로그 신호를 획득하고, 상기 아날로그 신호로부터 변환된(converted) 디지털 신호를 상기 디지털 시그널 프로세서에게 제공함으로써, 상기 입력에 대한 좌표 정보를 생성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아날로그 신호의 획득을 위한 상기 아날로그 프론트 엔드의 동작이 완료되는 시점은, 상기 터치 센서 컨트롤러의 동작 주기(operating cycle) 내에 있을 수 있다. 다른 예를 들면, 상기 터치 센서 컨트롤러는, 아날로그 프론트 엔드(analog front end, AFE) 및 디지털 시그널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동기 신호가 수신된 이래로(since) 지정된 시간(time interval)이 경과한 후, 상기 아날로그 프론트 엔드를 이용하여, 상기 입력에 대한 아날로그 신호를 획득하고, 상기 아날로그 신호로부터 변환된 디지털 신호를 상기 디지털 시그널 프로세서에게 제공함으로써, 상기 입력에 대한 좌표 정보를 생성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상기 터치 센서 컨트롤러의 동작 주파수(operating frequency)는, 상기 제1 프레임률의 배수(multiple)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상기 제2 송신은, 상기 제2 송신 모드에 기반된 상기 다중 송신들 중 마지막 송신에 해당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상기 제2 프레임률은, 상기 제1 프레임률보다 낮을 수 있고, 상기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는, 상기 제1 프레임률과 관련된 수직 동기 신호(vertical synchronization signal) 의 수직 포치(vertical porch, V-porch)를 확장하고, 상기 확장된 수직 포치에 기반한 수직 동기 신호와 관련된 상기 제2 프레임률에 기반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을 제어하도록 설정될 수 있고, 상기 남은 시간 구간들 중 제2 시간 구간은, 상기 확장된 수직 포치의 구간의 적어도 일부에 포함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상기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한 면에 인접하여 배치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상기 제2 프레임률은, 상기 전자 장치의 저전력(low power) 모드를 위해 설정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상기 제1 프레임률은, 60 Hz(hertz)에 상응할 수 있고, 상기 제2 프레임률은, 50 Hz에 상응할 수 있으며, 상기 터치 센서 컨트롤러의 동작 주파수는, 120 Hz에 상응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electronic device)는, 터치 패널과 기능적으로 결합된 터치 센서 컨트롤러와, 상기 터치 센서 컨트롤러 및 디스플레이 패널과 기능적으로 결합된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와, 상기 터치 센서 컨트롤러와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동기 신호를 생성하도록 설정되고, 상기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와 관련되는 동기 신호 생성부(synchronization signal generator)와, 상기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와 기능적으로 결합된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동기 신호 생성부는, 지정된 주기마다 상기 터치 센서 컨트롤러에게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동기 신호를 송신하도록 설정될 수 있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동 모드를 변경하기 위한 입력을 검출하고, 상기 입력을 검출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를 초기화(initialization)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상기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에게 송신하도록 설정될 수 있고, 상기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는, 상기 제어 신호에 기반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의 초기화를 수행하도록 설정될 수 있으며, 상기 동기 신호 생성부는, 상기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의 초기화를 수행하는 동안 상기 지정된 주기마다 상기 터치 센서 컨트롤러에게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동기 신호를 송신하는 것을 유지하도록 더 설정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동 모드를 AOD(always on display) 모드로부터 노멀 모드(normal mode)로 변경하기 위한 상기 입력을 검출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상기 동기 신호 생성부는, 상기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 내에 포함될 수 있고, 상기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는, 리셋 신호 생성기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리셋 신호 생성기는, 상기 제어 신호에 기반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 내의 구성요소(component)들 중 상기 동기 신호 생성부와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제1 구성요소를 제외한 적어도 하나의 제2 구성요소를 초기화하기 위한 제1 리셋 신호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구성요소를 초기화하는 동안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구성요소의 동작을 유지하기 위한 제2 리셋 신호를 생성하도록 설정될 수 있고, 상기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는, 상기 제1 리셋 신호에 기반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구성요소를 초기화함으로써, 상기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의 상기 초기화를 수행하도록 설정될 수 있으며, 상기 동기 신호 생성부는, 상기 제2 리셋 신호에 기반하여 동작함으로써, 상기 디스플레이 구동 화로의 상기 초기화를 수행하는 동안 상기 지정된 주기마다 상기 터치 센서 컨트롤러에게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동기 신호를 송신하는 것을 유지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구성요소는, 상기 제2 리셋 신호에 기반하여 클락 신호(clock signal)를 생성하도록 설정되는 클락 신호 생성기(clock signal generator)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동기 신호 생성부는, 상기 클락 신호에 기반하여 동작함으로써, 상기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의 상기 초기화를 수행하는 동안 상기 지정된 주기마다 상기 터치 센서 컨트롤러에게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동기 신호를 송신하는 것을 유지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상기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 및 상기 동기 신호 생성부는, 하나의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 칩으로 설계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상기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는, 제1 칩으로 설계될 수 있고, 상기 동기 신호 생성부는, 상기 제1 칩과 구별되는(distinct from) 제2 칩으로 설계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동기 신호는, 상기 터치 센서 컨트롤러와 관련된 수직 동기화(vertical synchronization) 신호 및 상기 터치 센서 컨트롤러와 관련된 수평 동기화(horizontal synchronization)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청구항 또는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들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조합의 형태로 구현될(implemented) 수 있다.
소프트웨어로 구현하는 경우,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소프트웨어 모듈)을 저장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가 제공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에 저장되는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은, 전자 장치(device) 내의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 가능하도록 구성된다(configured for execution).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은, 전자 장치로 하여금 본 개시의 청구항 또는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들을 실행하게 하는 명령어(instructions)를 포함한다.
이러한 프로그램(소프트웨어 모듈, 소프트웨어)은 랜덤 액세스 메모리 (random access memory), 플래시(flash) 메모리를 포함하는 불휘발성(non-volatile) 메모리, 롬(ROM: read only memory), 전기적 삭제가능 프로그램가능 롬(EEPROM: 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자기 디스크 저장 장치(magnetic disc storage device), 컴팩트 디스크 롬(CD-ROM: compact disc-ROM), 디지털 다목적 디스크(DVDs: digital versatile discs) 또는 다른 형태의 광학 저장 장치, 마그네틱 카세트(magnetic cassette)에 저장될 수 있다. 또는, 이들의 일부 또는 전부의 조합으로 구성된 메모리에 저장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구성 메모리는 다수 개 포함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프로그램은 인터넷(Internet), 인트라넷(Intranet), LAN(local area network), WLAN(wide LAN), 또는 SAN(storage area network)과 같은 통신 네트워크,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구성된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접근(access)할 수 있는 부착 가능한(attachable) 저장 장치(storage device)에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저장 장치는 외부 포트를 통하여 본 개시의 실시 예를 수행하는 장치에 접속할 수 있다. 또한, 통신 네트워크상의 별도의 저장장치가 본 개시의 실시 예를 수행하는 장치에 접속할 수도 있다.
상술한 본 개시의 구체적인 실시예들에서, 개시에 포함되는 구성 요소는 제시된 구체적인 실시 예에 따라 단수 또는 복수로 표현되었다. 그러나, 단수 또는 복수의 표현은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시한 상황에 적합하게 선택된 것으로서, 본 개시가 단수 또는 복수의 구성 요소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복수로 표현된 구성 요소라 하더라도 단수로 구성되거나, 단수로 표현된 구성 요소라 하더라도 복수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본 개시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개시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개시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Claims (20)

  1. 전자 장치(electronic device)에 있어서,
    디스플레이 패널(display panel);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display panel)과 기능적으로 연결된(operably coupled to)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DDIC, display driving integrated circuit);
    터치 센서(touch sensor); 및
    상기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 및 상기 터치 센서와 기능적으로 연결된 터치 센서 컨트롤러(touch sensor controller)를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는,
    제1 프레임률(frame rate)에 기반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을 제어하는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의 동작과 상기 터치 센서 컨트롤러의 동작을 동기화하기 위한 동기 신호를 하나의 프레임 내에서(within) 제1 송신 모드에 기반하여 상기 터치 센서 컨트롤러에게 다중 송신(multiple transmit)하고,
    제2 프레임률에 기반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을 제어하는 경우, 상기 프레임 내에서 상기 동기 신호를 제2 송신 모드에 기반하여 상기 터치 센서 컨트롤러에게 다중 송신하도록 설정(configured to)되고,
    상기 제1 송신 모드에 기반된 상기 다중 송신들 사이의 시간 간격들은, 서로 동일하고,
    상기 제2 송신 모드에 기반된 상기 다중 송신들 중 제1 송신과 상기 제1 송신 다음의 제2 송신 사이의 제1 시간 간격은, 상기 제2 송신 모드에 기반된 상기 다중 송신들 사이의 시간 간격들 중 상기 제1 시간 간격을 제외한 남은 시간 간격들과 다른 전자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다중 송신들 중 마지막 송신은,
    상기 프레임의 종료 시점(timing)에서 수행되고,
    상기 제2 다중 송신들 중 마지막 송신은,
    상기 프레임의 종료 시점에서 수행되는 전자 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 프레임률은 상기 제1 프레임률보다 낮고,
    상기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는,
    상기 제1 프레임률과 관련된 수직 동기 신호(vertical synchronization signal)의 수직 포치(vertical porch, V-porch)를 확장하고, 상기 확장된 수직 포치에 기반한 수직 동기 신호와 관련된 상기 제2 프레임률에 기반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을 제어하도록 설정되는 전자 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터치 센서 컨트롤러는,
    상기 동기 신호가 수신되는 시점에 기반하여, 상기 터치 패널에 대한 입력을 검출하도록 설정되는 전자 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터치 센서 컨트롤러는,
    아날로그 프론트 엔드(analog front end, AFE) 및 디지털 시그널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를 포함하고,
    상기 동기 신호가 수신되는 시점에서 상기 아날로그 프론트 엔드를 이용하여, 상기 입력에 대한 아날로그 신호를 획득하고,
    상기 아날로그 신호로부터 변환된(converted) 디지털 신호를 상기 디지털 시그널 프로세서에게 제공함으로써, 상기 입력에 대한 좌표 정보를 생성하도록 설정되는 전자 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아날로그 신호의 획득을 위한 상기 아날로그 프론트 엔드의 동작이 완료되는 시점은,
    상기 터치 센서 컨트롤러의 동작 주기(operating cycle) 내에 있는 전자 장치.
  7.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터치 센서 컨트롤러는,
    아날로그 프론트 엔드(analog front end, AFE) 및 디지털 시그널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를 포함하고,
    상기 동기 신호가 수신된 이래로(since) 지정된 시간(time interval)이 경과한 후, 상기 아날로그 프론트 엔드를 이용하여, 상기 입력에 대한 아날로그 신호를 획득하고,
    상기 아날로그 신호로부터 변환된 디지털 신호를 상기 디지털 시그널 프로세서에게 제공함으로써, 상기 입력에 대한 좌표 정보를 생성하도록 설정되는 전자 장치.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터치 센서 컨트롤러의 동작 주파수(operating frequency)는,
    상기 제1 프레임률의 배수(multiple)인 전자 장치.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 송신은,
    상기 제2 송신 모드에 기반된 상기 다중 송신들 중 마지막 송신에 해당하는 전자 장치.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 프레임률은,
    상기 제1 프레임률보다 낮고,
    상기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는,
    상기 제1 프레임률과 관련된 수직 동기 신호(vertical synchronization signal)의 수직 포치(vertical porch, V-porch)를 확장하고, 상기 확장된 수직 포치에 기반한 수직 동기 신호와 관련된 상기 제2 프레임률에 기반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을 제어하도록 설정되고,
    상기 남은 시간 구간들 중 제2 시간 구간은,
    상기 확장된 수직 포치의 구간의 적어도 일부에 포함되는 전자 장치.
  11.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한 면에 인접하여 배치되는 전자 장치.
  1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 프레임률은,
    상기 전자 장치의 저전력(low power) 모드를 위해 설정되는 전자 장치.
  1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프레임률은,
    60 Hz(hertz)에 상응하고,
    상기 제2 프레임률은,
    50 Hz에 상응하며,
    상기 터치 센서 컨트롤러의 동작 주파수는,
    120 Hz에 상응하는 전자 장치.
  14. 전자 장치(electronic device)에 있어서,
    터치 패널과 기능적으로 결합된 터치 센서 컨트롤러;
    상기 터치 센서 컨트롤러 및 디스플레이 패널과 기능적으로 결합된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
    상기 터치 센서 컨트롤러와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동기 신호를 생성하도록 설정되고, 상기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와 관련되는 동기 신호 생성부(synchronization signal generator); 및
    상기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와 기능적으로 결합된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동기 신호 생성부는,
    지정된 주기마다 상기 터치 센서 컨트롤러에게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동기 신호를 송신하도록 설정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동 모드를 변경하기 위한 입력을 검출하고,
    상기 입력을 검출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를 초기화(initialization)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상기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에게 송신하도록 설정되고,
    상기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는,
    상기 제어 신호에 기반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의 초기화를 수행하도록 설정되며,
    상기 동기 신호 생성부는,
    상기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의 초기화를 수행하는 동안 상기 지정된 주기마다 상기 터치 센서 컨트롤러에게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동기 신호를 송신하는 것을 유지하도록 더 설정되는 전자 장치.
  15.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동 모드를 노멀 모드(normal mode)로부터 AOD 모드(always on display mode)로 변경하기 위한 상기 입력을 검출하도록 설정되는 전자 장치.

  16.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동기 신호 생성부는,
    상기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 내에 포함되고,
    상기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는,
    리셋 신호 생성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리셋 신호 생성기는,
    상기 제어 신호에 기반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 내의 구성요소(component)들 중 상기 동기 신호 생성부와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제1 구성요소를 제외한 적어도 하나의 제2 구성요소를 초기화하기 위한 제1 리셋 신호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구성요소를 초기화하는 동안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구성요소의 동작을 유지하기 위한 제2 리셋 신호를 생성하도록 설정되고,
    상기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는,
    상기 제1 리셋 신호에 기반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구성요소를 초기화함으로써, 상기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의 상기 초기화를 수행하도록 설정되며,
    상기 동기 신호 생성부는,
    상기 제2 리셋 신호에 기반하여 동작함으로써, 상기 디스플레이 구동 화로의 상기 초기화를 수행하는 동안 상기 지정된 주기마다 상기 터치 센서 컨트롤러에게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동기 신호를 송신하는 것을 유지하도록 설정되는 전자 장치.
  17.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구성요소는,
    상기 제2 리셋 신호에 기반하여 클락 신호(clock signal)를 생성하도록 설정되는 클락 신호 생성기(clock signal generator)를 더 포함하고,
    상기 동기 신호 생성부는,
    상기 클락 신호에 기반하여 동작함으로써, 상기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의 상기 초기화를 수행하는 동안 상기 지정된 주기마다 상기 터치 센서 컨트롤러에게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동기 신호를 송신하는 것을 유지하도록 설정되는 전자 장치.
  18.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 및 상기 동기 신호 생성부는,
    하나의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 칩으로 설계되는 전자 장치.
  19.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는,
    제1 칩으로 설계되고,
    상기 동기 신호 생성부는,
    상기 제1 칩과 구별되는(distinct from) 제2 칩으로 설계되는 전자 장치.
  20.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동기 신호는,
    상기 터치 센서 컨트롤러와 관련된 수직 동기화(vertical synchronization) 신호 및 상기 터치 센서 컨트롤러와 관련된 수평 동기화(horizontal synchronization) 신호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1020170176371A 2017-12-20 2017-12-20 영상 동기 신호에 기반하여 터치 센서 컨트롤러를 제어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방법 KR1024853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6371A KR102485360B1 (ko) 2017-12-20 2017-12-20 영상 동기 신호에 기반하여 터치 센서 컨트롤러를 제어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방법
US16/956,748 US11086447B2 (en) 2017-12-20 2018-12-17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ouch sensor controller on basis of image synchronization signal
PCT/KR2018/016020 WO2019124908A1 (ko) 2017-12-20 2018-12-17 영상 동기 신호에 기반하여 터치 센서 컨트롤러를 제어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6371A KR102485360B1 (ko) 2017-12-20 2017-12-20 영상 동기 신호에 기반하여 터치 센서 컨트롤러를 제어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74776A true KR20190074776A (ko) 2019-06-28
KR102485360B1 KR102485360B1 (ko) 2023-01-06

Family

ID=669935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76371A KR102485360B1 (ko) 2017-12-20 2017-12-20 영상 동기 신호에 기반하여 터치 센서 컨트롤러를 제어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1086447B2 (ko)
KR (1) KR102485360B1 (ko)
WO (1) WO2019124908A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125899A1 (ko) * 2019-12-18 2021-06-24 삼성전자 주식회사 비접촉 이벤트에 기반한 반응 시간 단축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US11403983B2 (en) 2019-09-02 2022-08-02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controller, display system including the display controller, and method of operating the display controller
US11592939B1 (en) 2021-08-17 2023-02-28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with synchronized input sensing layer
WO2024071932A1 (ko) * 2022-09-30 2024-04-04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로의 송신을 위한 전자 장치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705411B (zh) * 2019-09-23 2022-06-21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指纹识别方法及装置、设备、存储介质
US11457173B2 (en) 2020-02-21 2022-09-27 Mediatek Inc. Dynamic frame rate adjustment mechanism
CN113867517A (zh) * 2020-06-30 2021-12-31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触控方法、装置、电子设备和存储介质
KR20220141365A (ko) * 2021-04-12 2022-10-2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US11893925B2 (en) 2021-09-16 2024-02-06 Apple Inc. Always-on display signal generator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39873A (ko) * 2013-05-28 2014-12-08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센싱 시스템과 그 터치 레포트 레이트 향상 방법
KR20160032768A (ko) * 2014-09-16 2016-03-2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패널 표시 장치 및 터치 패널의 구동 주파수 변환 방법
KR20170102272A (ko) * 2015-01-05 2017-09-08 시냅틱스 인코포레이티드 디스플레이 및 센싱 데이터의 시간 공유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058446A1 (ko) * 2011-10-21 2013-04-25 포항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정전식 터치센서
KR101341924B1 (ko) 2011-10-21 2013-12-19 포항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정전식 터치센서
KR101356968B1 (ko) 2012-06-14 2014-02-03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스크린 일체형 표시장치
KR102087332B1 (ko) * 2013-08-30 2020-03-10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스크린 장치와 그 구동방법
US9164641B1 (en) * 2014-05-29 2015-10-20 Parade Technologies, Ltd. In-cell touch scanning modes for simultaneous touch and display
US10209834B2 (en) * 2014-10-01 2019-02-19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Integrated self-capacitive touch display
EP3037931B1 (en) * 2014-12-22 2018-06-20 LG Display Co., Ltd. Touch sensing device and method for driving touch display device
KR101679129B1 (ko) 2014-12-24 2016-11-24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센서를 갖는 표시장치
CN107924254B (zh) 2015-08-26 2021-06-08 硅工厂股份有限公司 面板驱动装置和面板驱动方法
KR102476212B1 (ko) 2015-11-23 2022-12-1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스크린 일체형 표시장치
US11320919B2 (en) * 2017-12-14 2022-05-03 Sitronix Technology Corporation Touch and display driver integration circuit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39873A (ko) * 2013-05-28 2014-12-08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센싱 시스템과 그 터치 레포트 레이트 향상 방법
KR20160032768A (ko) * 2014-09-16 2016-03-2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패널 표시 장치 및 터치 패널의 구동 주파수 변환 방법
KR20170102272A (ko) * 2015-01-05 2017-09-08 시냅틱스 인코포레이티드 디스플레이 및 센싱 데이터의 시간 공유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403983B2 (en) 2019-09-02 2022-08-02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controller, display system including the display controller, and method of operating the display controller
WO2021125899A1 (ko) * 2019-12-18 2021-06-24 삼성전자 주식회사 비접촉 이벤트에 기반한 반응 시간 단축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US11592939B1 (en) 2021-08-17 2023-02-28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with synchronized input sensing layer
WO2024071932A1 (ko) * 2022-09-30 2024-04-04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로의 송신을 위한 전자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10055848A1 (en) 2021-02-25
US11086447B2 (en) 2021-08-10
KR102485360B1 (ko) 2023-01-06
WO2019124908A1 (ko) 2019-06-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85360B1 (ko) 영상 동기 신호에 기반하여 터치 센서 컨트롤러를 제어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방법
US11069323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riving display based on frequency operation cycle set differently according to frequency
US11810505B2 (en)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display
US11106307B2 (en) Method for low power driving of display and electronic device for performing same
US10803785B2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output timing of signal corresponding to state in which content can be received based on display location of content displayed on display
US11514831B2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storage of content displayed on display panel
US20220019332A1 (en)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ouch sensor and method for driving touch sensor included in electronic device
US11204645B2 (en) Method for providing haptic feedback, and electronic device for performing same
KR20210092571A (ko) 전자 장치 및 그의 화면 갱신 방법
CN112424744A (zh) 电子设备和电子设备的音量调节方法
US10796398B2 (en) Electronic device for displaying imag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US11373627B2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moving content display position on basis of coordinate information stored in display driver circuit
KR20210100939A (ko) 터치 센서 ic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20200050582A (ko) 디스플레이의 동작 모드에 기반하여 터치 데이터의 보상을 결정하는 방법 및 장치
KR102592124B1 (ko) 수평 동기화 신호에 기반하여 업 스케일링을 수행하는 시간 구간을 확장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방법
KR20210158110A (ko) 디스플레이의 리프레쉬 레이트를 동적으로 조정하는 전자 장치
EP3706104B1 (en) Display driver circuit for synchronizing output timing of images in low power state
KR20210078148A (ko) 비접촉 이벤트에 기반한 반응 시간 단축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KR20210101694A (ko)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20200111519A (ko) 변형가능한 디스플레이 패널 내의 화면의 표시를 위한 전자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