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17390A - 모바일 단말과 연동 가능한 스마트 디스플레이 모니터 및 그를 위한 스마트 디스플레이 제공 방법 - Google Patents

모바일 단말과 연동 가능한 스마트 디스플레이 모니터 및 그를 위한 스마트 디스플레이 제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17390A
KR20130117390A KR1020120039618A KR20120039618A KR20130117390A KR 20130117390 A KR20130117390 A KR 20130117390A KR 1020120039618 A KR1020120039618 A KR 1020120039618A KR 20120039618 A KR20120039618 A KR 20120039618A KR 20130117390 A KR20130117390 A KR 201301173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terminal
input
smart display
display monitor
disp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396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68909B1 (ko
Inventor
양성열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디엠씨시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디엠씨시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디엠씨시스
Priority to KR10201200396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68909B1/ko
Publication of KR201301173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173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689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689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104Peripherals receiving signals from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 H04N21/4122Peripherals receiving signals from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additional display device, e.g. video project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04N21/4220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characterized by hardware details
    • H04N21/42224Touch pad or touch panel provided on the remote contr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a video clip retrieved from local storage with an incoming video stream or rendering scenes according to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 H04N21/4402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a video clip retrieved from local storage with an incoming video stream or rendering scenes according to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involving reformatting operations of video signals for household redistribution, storage or real-time displa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Abstract

스마트 디스플레이 제공 기술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디스플레이 모니터는 모바일 단말과 연결되어 상기 모바일 단말과 양방향으로 소정의 데이터를 제공받거나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스마트 디스플레이 모니터는 통신 인터페이스부, 디스플레이부, 비디오 변환부 및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부는 상기 모바일 단말과 양방향 통신을 수행한다.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사용자로부터 터치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상기 비디오 변환부는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부를 통하여 상기 모바일 단말로부터 제공된 컨텐츠 데이터에 포함된 비디오 데이터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해상도에 적합하도록 변환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모바일 단말의 방향 정보를 기초로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터치 입력을 위한 상대 좌표 모드를 표시하고,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터치 입력을 상기 상대 좌표 모드를 반영하여 좌표 변환하여 상기 모바일 단말에 사용자 입력으로서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모바일 단말로부터 출력되는 컨텐츠 데이터를 스마트 디스플레이에 맞추어 재생하고, 스마트 디스플레이로 입력된 사용자 입력을 모바일 단말의 방향성을 반영하여 변환하여 모바일 단말에 제공함으로써 모바일 단말의 출력 및 입력 제어를 디스플레이 모니터를 이용하여 보다 손쉽게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모바일 단말과 연동 가능한 스마트 디스플레이 모니터 및 그를 위한 스마트 디스플레이 제공 방법 {SMART DISPLAY MONITOR FOR LINK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PROVIDING SMART DISPLAY THEREOF}
본 발명은 스마트 디스플레이 제공 기술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히 설명하면, 모바일 단말로부터 출력되는 컨텐츠 데이터를 스마트 디스플레이에 맞추어 재생하고, 스마트 디스플레이로 입력된 사용자 입력을 모바일 단말의 방향성을 반영하여 변환하여 모바일 단말에 제공함으로써 모바일 단말의 출력 및 입력 제어를 디스플레이 모니터를 이용하여 보다 손쉽게 수행할 수 있는 모바일 단말과 연동 가능한 스마트 디스플레이 모니터 및 그를 위한 스마트 디스플레이 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컴퓨팅 디바이스 및 네트워크 환경의 발달에 따라 모바일 단말은 높은 처리 성능을 가지게 되었다. 예를 들어, 스마트 폰과 같은 경우, 모바일 단말 자체로서 영화, 음악, 통신, 웹 서핑, 전화 등 다양한 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 환경이 제공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모바일 단말의 경우 휴대성이라는 니즈를 만족시키기 위하여 그 물리적 크기의 한계성을 가지고 있다. 즉, 디스플레이 화면의 크기의 한계는 극복하기 어려운 한계성으로 결정되어 있다.
이러한 모바일 단말의 한계성을 극복하기 위하여, 모니터 등의 큰 디스플레이 모듈을 이용한 다양한 기술들이 제공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기술들의 경우, 소정의 오퍼레이팅 시스템이 필요하거나, 또는 모바일 단말에서 일방향으로 송출만이 가능할 뿐 모바일 단말로 사용자 명령을 제공하기 어려운 한계성이 있다. 또한, 모바일 단말로 사용자의 명령을 제공함에 있어서도 모바일 단말의 상태를 반영하지 못하는 한계성을 가지고 있다. 또한, 모바일 단말의 전력 한계성을 보정할 수 없는 한계성을 가지고 있다.
본 발명은 모바일 단말로부터 출력되는 컨텐츠 데이터를 스마트 디스플레이에 맞추어 재생하고, 스마트 디스플레이로 입력된 사용자 입력을 모바일 단말의 방향성을 반영하여 변환하여 모바일 단말에 제공함으로써 모바일 단말의 출력 및 입력 제어를 디스플레이 모니터를 이용하여 보다 손쉽게 수행할 수 있는 모바일 단말과 연동 가능한 스마트 디스플레이 제공 기술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컨텐츠 데이터를 디스플레이 함에 있어서 해당 모바일 단말에 대하여 전력 공급 및 제어를 수행할 수 있어, 모바일 단말의 전력 관리를 수행할 수 있는 모바일 단말과 연동 가능한 스마트 디스플레이 제공 기술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차량 등과 같은 환경에서 외부 입력 비디오가 입력되는 경우, 모바일 단말에서 제공되는 컨텐츠 데이터보다 해당 외부 입력 비디오를 우선적으로 처리하여 디스플레이함으로써, 차량 등에 설치된 경우 후진 카메라 화면 등을 우선적으로 제공할 수 있어 운전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는 모바일 단말과 연동 가능한 스마트 디스플레이 제공 기술을 제공하고자 한다.
실시예들 중에서, 스마트 디스플레이 모니터는 모바일 단말과 연결되어 상기 모바일 단말과 양방향으로 소정의 데이터를 제공받거나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스마트 디스플레이 모니터는 통신 인터페이스부, 디스플레이부, 비디오 변환부 및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부는 상기 모바일 단말과 양방향 통신을 수행한다.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사용자로부터 터치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상기 비디오 변환부는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부를 통하여 상기 모바일 단말로부터 제공된 컨텐츠 데이터에 포함된 비디오 데이터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해상도에 적합하도록 변환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모바일 단말의 방향 정보를 기초로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터치 입력을 위한 상대 좌표 모드를 표시하고,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터치 입력을 상기 상대 좌표 모드를 반영하여 좌표 변환하여 상기 모바일 단말에 사용자 입력으로서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스마트 디스플레이 모니터는 전원 단자를 통하여 제공된 전력을 상기 모바일 단말의 충전 전압으로 변조하여 상기 모바일 단말에 유선 라인을 통하여 충전 전력으로서 제공하는 충전 관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스마트 디스플레이 모니터는 차량용 카메라를 위한 비디오 입력 인터페이스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비디오 입력 인터페이스부를 통하여 입력된 비디오에 대하여, 컨텐츠 데이터에 포함된 비디오 데이터보다 높은 우선 순위를 부여하여 출력 처리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모바일 단말의 방향 정보에 대응되는 방향을 가지는 화살표를 생성하고, 상기 화살표를 상기 변환된 비디오 데이터의 출력 영상에 오버래핑하여 OSD(On Screen Display)로서 상기 상대 좌표 모드를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상대 좌표 모드는 세로 모드, 오른 가로 모드 및 왼 가로 모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상대 좌표 모드에 따라 x축 및 y축을 설정하고, 설정된 x축 및 y축에 입력된 상기 터치 입력의 좌표 정보를 상기 모바일 단말의 해상도에 맞추어 좌표 재 매핑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비디오 변환부에 의하여 변환된 상기 비디오 데이터의 해상도 정보를 기초로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방향을 상기 상대 좌표 모드에 독립적으로 자동으로 결정하되, 상기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터치 입력에 대해서는 상기 상대 좌표 모드를 반영하여 좌표 변환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부는 상기 모바일 단말과 유선으로 연결 가능한 MHL(Mobile High-definition Link) 모듈 및 상기 모바일 단말과 근거리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무선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컨텐츠 데이터는 상기 MHL 모듈을 통하여 제공받도록 하고, 상기 좌표 변환된 사용자 입력은 상기 무선 통신 모듈을 통하여 상기 모바일 단말에 제공할 수 있다.
실시예들 중에서, 디스플레이 제공 방법은 모바일 단말과 연결되어 상기 모바일 단말과 양방향으로 소정의 데이터를 제공받거나 제공할 수 있는 스마트 디스플레이 모니터에서 수행된다. 상기 디스플레이 제공 방법은 (a) 상기 모바일 단말로부터 제공된 컨텐츠 데이터에 포함된 비디오 데이터를 상기 스마트 디스플레이 모니터의 해상도에 적합하도록 변환하여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 및 (b) 상기 모바일 단말의 방향 정보를 기초로 상기 스마트 디스플레이 모니터에 대한 터치 입력을 위한 상대 좌표 모드를 표시하고,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터치 입력을 상기 상대 좌표 모드를 반영하여 좌표 변환하여 상기 모바일 단말에 사용자 입력으로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a) 단계는 차량용 카메라로부터 입력된 비디오 데이터에 대하여, 컨텐츠 데이터에 포함된 비디오 데이터보다 높은 우선 순위를 부여하여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b) 단계는 상기 모바일 단말의 방향 정보에 대응되는 방향을 가지는 화살표를 생성하고, 상기 화살표를 상기 변환된 비디오 데이터의 출력 영상에 오버래핑하여 OSD(On Screen Display)로서 상기 상대 좌표 모드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모바일 단말로부터 출력되는 컨텐츠 데이터를 스마트 디스플레이에 맞추어 재생하고, 스마트 디스플레이로 입력된 사용자 입력을 모바일 단말의 방향성을 반영하여 변환하여 모바일 단말에 제공함으로써 모바일 단말의 출력 및 입력 제어를 디스플레이 모니터를 이용하여 보다 손쉽게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컨텐츠 데이터를 디스플레이 함에 있어서 해당 모바일 단말에 대하여 전력 공급 및 제어를 수행할 수 있어, 모바일 단말의 전력 관리를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차량 등과 같은 환경에서 외부 입력 비디오가 입력되는 경우, 모바일 단말에서 제공되는 컨텐츠 데이터보다 해당 외부 입력 비디오를 우선적으로 처리하여 디스플레이함으로써, 차량 등에 설치된 경우 후진 카메라 화면 등을 우선적으로 제공할 수 있어 운전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디스플레이 모니터와 모바일 단말을 설명하는 참고도이다.
도 2는 도 1의 스마트 디스플레이 모니터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는 블록도이다.
도 3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디스플레이 모니터와 모바일 단말의 출력 영상의 일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디스플레이 제공 방법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한편, 본 발명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단계들에 있어 식별부호(예를 들어, a, b, c 등)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식별부호는 각 단계들의 순서를 설명하는 것이 아니며, 각 단계들은 문맥상 명백하게 특정 순서를 기재하지 않는 이상 명기된 순서와 다르게 일어날 수 있다. 즉, 각 단계들은 명기된 순서와 동일하게 일어날 수도 있고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으며 반대의 순서대로 수행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될 수 있고,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 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 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 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디스플레이 모니터와 모바일 단말을 설명하는 참고도이다.
도 1에서, 스마트 디스플레이 모니터(100)와 모바일 단말(200)은 유선 케이블(300)을 통하여 연결되어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실시예에 따라 스마트 디스플레이 모니터(100)와 모바일 단말(200) 간에 무선 통신을 기반으로 통신 환경을 설정할 수도 있다.
스마트 디스플레이 모니터(100)는 모바일 단말과 연결되어 모바일 단말과 양방향으로 소정의 데이터를 제공받거나 제공할 수 있다. 스마트 디스플레이 모니터(100)에 대해서는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이하에서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모바일 단말(200)은 스마트 디스플레이 모니터(100)에 소정의 데이터(예컨대, 컨텐츠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다.
모바일 단말(200)은 스마트 디스플레이 모니터(100)와 쌍방향 통신을 설정할 수 있으므로, 스마트 디스플레이 모니터(100)에 의하여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터치 입력에 대한 정보를 입력 데이터로서 입력받을 수 있다. 예컨대, 직접 모바일 단말(200)에 터치 입력이 이루어지지 않고 스마트 디스플레이 모니터(100)에 직접 터치 입력이 이루어진 경우에도, 스마트 디스플레이 모니터(100)로부터 모바일 단말(200)의 디스플레이 환경에 최적화된 터치 입력 정보를 받아 입력 데이터로서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모바일 단말(200)은 스마트 폰, 타블렛 폰과 같이 비교적 작은 디스플레이 화면을 가지는 휴대용 컴퓨팅 장치로 예시하여 설명하나, 구체적 실시예에 따라 태블릿 PC와 같이 소정 크기 이상의 디스플레이 모듈을 구비한 컴퓨팅 장치로서 구현되어도 당연함은 명백하다.
유선 케이블(300)은 모바일 단말(200)과 스마트 디스플레이 모니터(100)를 유선으로 연결하는 케이블이다. 예를 들어, 유선 케이블(300)은 MHL(Mobile High-definition Link) 케이블 등과 같이 특정 표준에 따라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는 케이블 일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스마트 디스플레이 모니터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는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스마트 디스플레이 모니터(100)는 통신 인터페이스부(110), 디스플레이부(120), 비디오 변환부(130) 및 제어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스마트 디스플레이 모니터(100)는 충전 관리부(150), 전원 단자(151), 비디오 입력 인터페이스(160), 키 입력부(180) 및 스피커(190)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통신 인터페이스부(110)는 모바일 단말(200)과 양방향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통신 인터페이스부(110)는 유선 통신 모듈 및 무선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 인터페이스부(110)는 모바일 단말(200)과 유선으로 연결 가능한 MHL(Mobile High-definition Link) 모듈 및 모바일 단말(200)과 근거리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무선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20)는 소정의 영상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120)는 사용자로부터 터치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120)는 터치 스크린 모듈을 이용하여 구성될 수 있다.
비디오 변환부(130)는 통신 인터페이스부(110)를 통하여 모바일 단말(200)로부터 제공된 컨텐츠 데이터에 포함된 비디오 데이터를 디스플레이부(120)의 해상도에 적합하도록 변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비디오 변환부(130)는 모바일 단말(200)로부터 제공되는 비디오 데이터의 제1 해상도를 확인하고, 확인된 제1 해상도를 디스플레이부(120)의 제2 해상도로 변환하기 위하여 비디오 데이터를 재 인코딩할 수 있다.
제어부(140)는 스마트 디스플레이 모니터(100)의 다른 구성 요소들을 제어하여 모바일 단말(200)로부터 제공된 컨텐츠 데이터를 디스플레이 하거나,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터치 입력을 모바일 단말(200)에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어부(140)는 모바일 단말(200)의 방향 정보를 기초로 디스플레이부(120)의 터치 입력을 위한 상대 좌표 모드를 표시하고,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터치 입력을 상대 좌표 모드를 반영하여 좌표 변환하여 모바일 단말(200)에 사용자 입력으로서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어부(140)는 모바일 단말(200)의 방향 정보에 대응되는 방향을 가지는 화살표를 생성하고, 해당 화살표를 변환된 비디오 데이터의 출력 영상에 오버래핑하여 OSD(On Screen Display)로서 상대 좌표 모드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모바일 단말(200)이 오른 가로로 눕혀져 있는 경우 오른쪽 방향을 나타내는 화살표로 상대 좌표 모드를 표시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모바일 단말(200)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로로 서 있는 경우 위쪽 방향을 나타내는 화살표로 상대 좌표 모드를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대 좌표 모드는 모바일 단말(200)의 방향에 따라 세로 모드, 오른 가로 모드 및 왼 가로 모드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제어부는 상대 좌표 모드에 따라 x축 및 y축을 설정하고, 설정된 x축 및 y축에 입력된 터치 입력의 좌표 정보를 상기 모바일 단말의 해상도에 맞추어 좌표 재 매핑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대 좌표 모드가 오른 가로 모드인 경우, 디스플레이부(120)에 입력된 x축 및 y축을 모바일 단말(200)과의 해상도의 비에 따라 줄이고, x축 및 y축을 그대로 반영하여 좌표 재 매핑을 할 수 있다. 이는 디스플레이부(120)는 일반적으로 가로가 긴 형태이므로 오른 가로 모드에 바로 연관될 수 있기 때문이다. 다른 예를 들어, 상대 좌표 모드가 왼 가로 모드인 경우, 디스플레이부(120)에 입력된 x축을 좌우 반전하고 모바일 단말(200)과의 해상도의 비에 따라 줄여 좌표 재 매핑을 할 수 있다. 왼 가로 모드의 경우 뒤집힌 영상으로 보인다고 가정할 때, 이와 같은 실시예의 경우, 실제 모바일 단말(200)이 뒤집혀 있는 상태와는 무관하게 사용자는 디스플레이부(120)에 보이는 데로 터치 입력하여도 뒤집혀 있는 상태로 반영하여 입력되므로 사용자의 입력이 매우 용이해지는 효과가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어부(140)는 변환된 비디오 데이터의 표시에 있어서는 상대 좌표 모드에 독립적으로 하되, 사용자의 터치 입력은 상대 좌표 모드를 반영하여 좌표변환을 수행할 수 있다. 더 상세히 설명하면, 제어부(140)는 비디오 변환부(130)에 의하여 변환된 비디오 데이터의 해상도 정보를 기초로, 비디오 데이터를 디스플레이부(120)에 표시하기 위한 방향을 상대 좌표 모드에 독립적으로 자동으로 결정하되,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터치 입력에 대해서는 상대 좌표 모드를 반영하여 좌표 변환을 수행할 수 있다. 즉, 비디오 데이터에 대해서는 디스플레이부(120)에 최적화 시켜 디스플레이하되, 디스플레이된 화면에 대한 사용자의 터치 입력은 상대 좌표 모드를 반영함으로써 사용자의 입력을 보다 편하게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어부(140)는 컨텐츠 데이터는 통신 인터페이스부(110)의 MHL 모듈을 통하여 제공받도록 제어하고, 좌표 변환된 사용자 입력은 통신 인터페이스부(110)의 무선 통신 모듈을 통하여 모바일 단말(200)에 제공할 수 있다. 이는, 컨텐츠 데이터와 사용자 입력을 다른 무선 채널을 이용함으로써 채널 간 간섭 또는 충돌에 대한 고려를 수행하지 않도록 하여 보다 빠르고 용이하게 제어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일 실시예에서, 제어부(140)는 비디오 입력 인터페이스부(160)를 통하여 입력된 비디오에 대하여, 컨텐츠 데이터에 포함된 비디오 데이터보다 높은 우선 순위를 부여하여 출력하도록 처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모바일 단말(200)에서 제공되는 영화를 보는 중에 차량의 후진에 의하여 후방 카메라로부터 영상이 입력되면, 영화보다 후방 카메라의 영상을 우선적으로 처리하도록 하여 사용자에게 안전성 및 편의성을 제공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일 실시예에서, 제어부(140)는 충전 관리부(150)에 의하여 모바일 단말(200)에 충전 전력이 제공되고 있으면, 모바일 단말(200)에 디스플레이를 OFF 설정하도록 하는 요청을 제공할 수 있다. 이는 모바일 단말(200)의 충전을 보다 빠르고 편하게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충전 관리부(150)는 전원 단자(151)를 통하여 제공된 전력을 모바일 단말(200)의 충전 전압으로 변조하여 유선 라인을 통하여 모바일 단말(200)에 충전 전력으로서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충전 관리부(150)는 변조된 충전 전압을 MHL(Mobile High-definition Link) 케이블을 통하여 모바일 단말(200)에 제공할 수 있다.
전원 단자(151)는 외부로부터 전원을 입력받을 수 있는 수단이다. 예를 들어, 전원 단자는 차량용 전원으로부터 소정 전압의 전원을 입력받을 수 있다.
비디오 입력 인터페이스(160)는 별도의 외부 비디오 입력을 제공받을 수 있는 인터페이스이다. 예를 들어, 비디오 입력 인터페이스(160)는 차량용 카메라(예컨대, 후방 카메라)와 연결되어 비디오 입력을 받을 수 있다.
키 입력부(170)는 사용자의 입력을 위한 소정의 키 세트이다.
스피커(180)는 자체적인 오디오 출력을 위한 소정의 음향 출력 수단이다.
도 3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디스플레이 모니터와 모바일 단말의 출력 영상의 일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다.
도 3에서, 화살표(310)는 상대 좌표 모드를 표시하는 일 예로서, 모바일 단말(200)이 현재 왼쪽 가로로 눕혀져 있으므로 이를 반영하여 왼쪽 화살표로 표시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도 4에서, 모바일 단말(200)이 오른쪽으로 눕혀져 있어 상대 좌표 모드는 오른 가로 모드를 나타내는 오른쪽 화살표(410)로서 표현됨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라도, 화면은 상하 반전되지 않고 스마트 디스플레이 모니터(100)에 맞추어 출력됨을 알 수 있다. 반면, 사용자가 스마트 디스플레이 모니터(100)를 통하여 입력한 터치 입력에 대해서는 상대 좌표 모드에 따라 입력 좌표를 변환하므로, 모바일 단말(200)에 대해서 오른 가로 방향에 따라 제대로 입력되도록 변환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디스플레이 제공 방법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5에 도시된 스마트 디스플레이 제공 방법의 일 실시예는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전술한 스마트 디스플레이 모니터(100)에서 수행되므로, 전술한 내용과 동일하거나 서로 상응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그러나 당업자는 전술한 설명으로부터 이하의 스마트 디스플레이 제공 방법의 일 실시예를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스마트 디스플레이 모니터(100)는 모바일 단말(200)로부터 제공된 컨텐츠 데이터에 포함된 비디오 데이터를 상기 스마트 디스플레이 모니터의 해상도에 적합하도록 변환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단계 S510).
스마트 디스플레이 모니터(100)는 모바일 단말(200)의 방향 정보를 기초로 스마트 디스플레이 모니터(100)에 대한 터치 입력을 위한 상대 좌표 모드를 표시할 수 있다(단계 S520).
스마트 디스플레이 모니터(100)는 사용자로부터 터치 입력이 입력되면(단계 S530, 예), 해당 터치 입력을 상대 좌표 모드를 반영하여 좌표 변환하여 모바일 단말(200)에 사용자 입력으로서 제공할 수 있다(단계 S540).
단계 S510에 대한 일 실시예에서, 스마트 디스플레이 모니터(100)는 차량용 카메라로부터 입력된 비디오 데이터에 대하여, 컨텐츠 데이터에 포함된 비디오 데이터보다 높은 우선 순위를 부여하여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단계 S520에 대한 일 실시예에서, 스마트 디스플레이 모니터(100)는 모바일 단말(200)의 방향 정보에 대응되는 방향을 가지는 화살표를 생성하고, 화살표를 변환된 비디오 데이터의 출력 영상에 오버래핑하여 OSD(On Screen Display)로서 상대 좌표 모드를 표시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 스마트 디스플레이 모니터
110 : 통신 인터페이스부 120 : 디스플레이부
130 : 비디오 변환부 140 : 제어부
150 : 충전 관리부 151 : 전원 단자
160 : 비디오 입력 인터페이스 170 : 키 입력부
180 : 스피커
200 : 모바일 단말
300 : 유선 케이블

Claims (10)

  1. 모바일 단말과 연결되어 상기 모바일 단말과 양방향으로 소정의 데이터를 제공받거나 제공할 수 있는 스마트 디스플레이 모니터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단말과 양방향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 인터페이스부;
    사용자로부터 터치 입력을 수신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부를 통하여 상기 모바일 단말로부터 제공된 컨텐츠 데이터에 포함된 비디오 데이터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해상도에 적합하도록 변환하는 비디오 변환부; 및
    상기 모바일 단말의 방향 정보를 기초로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터치 입력을 위한 상대 좌표 모드를 표시하고,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터치 입력을 상기 상대 좌표 모드를 반영하여 좌표 변환하여 상기 모바일 단말에 사용자 입력으로서 제공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스마트 디스플레이 모니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디스플레이 모니터는
    전원 단자를 통하여 제공된 전력을 상기 모바일 단말의 충전 전압으로 변조하여 상기 모바일 단말에 유선 라인을 통하여 충전 전력으로서 제공하는 충전 관리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디스플레이 모니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디스플레이 모니터는
    차량용 카메라를 위한 비디오 입력 인터페이스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비디오 입력 인터페이스부를 통하여 입력된 비디오에 대하여, 컨텐츠 데이터에 포함된 비디오 데이터보다 높은 우선 순위를 부여하여 출력 처리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디스플레이 모니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모바일 단말의 방향 정보에 대응되는 방향을 가지는 화살표를 생성하고, 상기 화살표를 상기 변환된 비디오 데이터의 출력 영상에 오버래핑하여 OSD(On Screen Display)로서 상기 상대 좌표 모드를 표시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디스플레이 모니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대 좌표 모드는
    세로 모드, 오른 가로 모드 및 왼 가로 모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상대 좌표 모드에 따라 x축 및 y축을 설정하고, 설정된 x축 및 y축에 입력된 상기 터치 입력의 좌표 정보를 상기 모바일 단말의 해상도에 맞추어 좌표 재 매핑을 수행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디스플레이 모니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비디오 변환부에 의하여 변환된 상기 비디오 데이터의 해상도 정보를 기초로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방향을 상기 상대 좌표 모드에 독립적으로 자동으로 결정하되, 상기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터치 입력에 대해서는 상기 상대 좌표 모드를 반영하여 좌표 변환을 수행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디스플레이 모니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부는
    상기 모바일 단말과 유선으로 연결 가능한 MHL(Mobile High-definition Link) 모듈; 및
    상기 모바일 단말과 근거리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무선 통신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컨텐츠 데이터는 상기 MHL 모듈을 통하여 제공받도록 하고, 상기 좌표 변환된 사용자 입력은 상기 무선 통신 모듈을 통하여 상기 모바일 단말에 제공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디스플레이 모니터.
  8. 모바일 단말과 연결되어 상기 모바일 단말과 양방향으로 소정의 데이터를 제공받거나 제공할 수 있는 스마트 디스플레이 모니터에서 수행되는 디스플레이 제공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모바일 단말로부터 제공된 컨텐츠 데이터에 포함된 비디오 데이터를 상기 스마트 디스플레이 모니터의 해상도에 적합하도록 변환하여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 및
    (b) 상기 모바일 단말의 방향 정보를 기초로 상기 스마트 디스플레이 모니터에 대한 터치 입력을 위한 상대 좌표 모드를 표시하고,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터치 입력을 상기 상대 좌표 모드를 반영하여 좌표 변환하여 상기 모바일 단말에 사용자 입력으로서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제공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는
    차량용 카메라로부터 입력된 비디오 데이터에 대하여, 컨텐츠 데이터에 포함된 비디오 데이터보다 높은 우선 순위를 부여하여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제공 방법.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상기 모바일 단말의 방향 정보에 대응되는 방향을 가지는 화살표를 생성하고, 상기 화살표를 상기 변환된 비디오 데이터의 출력 영상에 오버래핑하여 OSD(On Screen Display)로서 상기 상대 좌표 모드를 표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제공 방법.
KR1020120039618A 2012-04-17 2012-04-17 모바일 단말과 연동 가능한 스마트 디스플레이 모니터 및 그를 위한 스마트 디스플레이 제공 방법 KR1013689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9618A KR101368909B1 (ko) 2012-04-17 2012-04-17 모바일 단말과 연동 가능한 스마트 디스플레이 모니터 및 그를 위한 스마트 디스플레이 제공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9618A KR101368909B1 (ko) 2012-04-17 2012-04-17 모바일 단말과 연동 가능한 스마트 디스플레이 모니터 및 그를 위한 스마트 디스플레이 제공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17390A true KR20130117390A (ko) 2013-10-28
KR101368909B1 KR101368909B1 (ko) 2014-03-03

Family

ID=496361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39618A KR101368909B1 (ko) 2012-04-17 2012-04-17 모바일 단말과 연동 가능한 스마트 디스플레이 모니터 및 그를 위한 스마트 디스플레이 제공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6890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41928A (ko) * 2019-10-08 2021-04-16 홍정윤 터치를 통한 스마트폰 보조 입력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15086A (ko) * 1997-08-01 1999-03-05 정몽규 브레이크 페달 링크장치
KR20060042507A (ko) * 2004-11-09 2006-05-15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외부입력신호 우선순위 처리 방법
KR100852874B1 (ko) * 2007-01-05 2008-08-19 가온미디어 주식회사 터치스크린 장치
KR101017866B1 (ko) * 2010-09-08 2011-03-04 주식회사 텔레칩스 네비게이션을 이용한 휴대단말기 제어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41928A (ko) * 2019-10-08 2021-04-16 홍정윤 터치를 통한 스마트폰 보조 입력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68909B1 (ko) 2014-03-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83413B1 (ko) 콘텐트 표현 방법 및 시스템
US9116658B2 (en) Mobile terminal, image display device mounted on vehicle and data processing method using the same
WO2020233722A1 (zh) 一种无线投屏中转设备及无线投屏系统
KR20140093520A (ko) 휴대용 단말기의 컨텐츠 공유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컨텐츠 공유방법
KR20140117919A (ko) 스마트폰 도킹 장치
US9992441B2 (en) Displaying multiple videos on sink device using display information of source device
US10997942B2 (en)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of the same
CN111381790A (zh) 操控方法、装置、系统、电子白板及移动端
KR20130023415A (ko) 스마트폰과 연결하여 스마트폰에서 실행되는 프로그램을 표시하는 외부 모니터 장치와 외부 모니터 연결기능을 갖는 스마트폰 및 운영체계 혹은 프로그램
CN103517144A (zh) 一种多屏互动适配器及显示设备
KR20140009851A (ko) 전자 기기 및 전자 기기의 제어 방법
KR101368909B1 (ko) 모바일 단말과 연동 가능한 스마트 디스플레이 모니터 및 그를 위한 스마트 디스플레이 제공 방법
JP2013168750A (ja) テレビジョン受像機
KR20160108732A (ko) 터치형 더미 디스플레이 장치와 스마트폰을 무선으로 연동시키는 미러링 터치조작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양방향 제어방법
CN201985899U (zh) 控制转接装置与控制转接系统
KR102415871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동작방법
KR101484045B1 (ko) 스마트폰용 다중 디스플레이 장치
KR101414585B1 (ko) 문서 파일의 효율적인 미러링 방법
KR101139005B1 (ko) 이동 단말기와 외부 기기의 연동 제어 방법, 이에 사용되는 이동 단말기 및 외부 기기, 및 이에 사용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
CN202486740U (zh) 一种多媒体无线触摸操控装置
JP2014107865A (ja) ソース装置及び拡張装置に基づく双方向通信システム並びにその方法
KR20140012896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130108755A (ko) 입출력 시스템 및 그 운용 방법
KR101525882B1 (ko) 컴퓨터 실행 가능한 멀티 디스플레이 제공 방법, 이를 수행하는 멀티 디스플레이 제공 장치 및 이를 저장하는 기록매체
EP4203485A1 (en) Method and transmission of screen cast control, and storage mediu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23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