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41456A - 출혈량 모니터링 방법 및 출혈량 모니터링 시스템 - Google Patents

출혈량 모니터링 방법 및 출혈량 모니터링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41456A
KR20240041456A KR1020220120467A KR20220120467A KR20240041456A KR 20240041456 A KR20240041456 A KR 20240041456A KR 1020220120467 A KR1020220120467 A KR 1020220120467A KR 20220120467 A KR20220120467 A KR 20220120467A KR 20240041456 A KR20240041456 A KR 202400414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tton
gauze
bleeding amount
amount monitoring
monitoring syste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204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정현
Original Assignee
한정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정현 filed Critical 한정현
Priority to KR10202201204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41456A/ko
Publication of KR202400414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41456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2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Combined pulse/heart-rate/blood pressure determination; Evaluating a cardiovascular condi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using combinations of techniques provided for in this group with electrocardiography or electroauscultation; Heart catheters for measuring blood pressure
    • A61B5/02042Determining blood loss or bleeding, e.g. during a surgical procedu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4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 A61B5/742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using visual displays
    • A61B5/7445Display arrangements, e.g. multiple display uni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4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 A61B5/7475User input or interface means, e.g. keyboard, pointing device, joystic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90/00Instruments, implement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urgery or diagnosis and not covered by any of the groups A61B1/00 - A61B50/00, e.g. for luxation treatment or for protecting wound edges
    • A61B90/08Accessories or related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90/00Instruments, implement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urgery or diagnosis and not covered by any of the groups A61B1/00 - A61B50/00, e.g. for luxation treatment or for protecting wound edges
    • A61B90/08Accessories or related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1B2090/0804Counting number of instruments used; Instrument detecto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a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phys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Physiology (AREA)
  • Cardiolog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Measuring And Recording Apparatus For Diagnosi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출혈량 모니터링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출혈량 모니터링 시스템의 기계식 버튼을 통한 신호 입력에 대응하는 입력 정보가 설정되는 버튼정보 설정단계 및 상기 버튼정보 설정단계에서 설정된 입력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기계식 버튼을 통한 신호 입력에 따라 거즈의 종류 및 개수가 카운트되는 출혈량 모니터링 단계를 포함하는 출혈량 모니터링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출혈량 모니터링 방법 및 출혈량 모니터링 시스템 {Blood loss monitoring method and blood loss monitoring system}
본 발명은 출혈량 모니터링 방법 및 출혈량 모니터링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 출혈량 모니터링 시스템의 기계식 버튼을 이용하여 수술 시 환자의 출혈량을 파악할 수 있는 출혈량 모니터링 방법에 관한 것이다.
수술을 시행하는 과정에서 필수적으로 발생되는 출혈을 제거하기 위해 수술용 거즈는 반드시 필요한 도구이며, 수술용 거즈는 환자의 혈액을 머금고 있으므로, 수술용 거즈를 통해서 환자의 출혈량을 계측할 수 있다.
종래에 환자의 출혈량을 계측하는 방법으로는 상기 수술용 거즈를 일일이 육안으로 확인하여 출혈량을 추측하거나, 필요 시 저울로 피묻은 거즈를 계측하였다.
다만, 위와 같은 종래의 출혈량 모니터링 시스템은 터치스크린 방식으로 구비되며, 수술 중에 장갑을 착용하고 있어 식염수 및 환자의 혈액 등의 액체로 인하여 터치가 제대로 입력이 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예를 들면, 종래의 기술 중 하나인 특허문헌 1은 터치를 통한 스마트폰 보조 입력장치에 관한 것으로, 스마트폰에 유선으로 연결 접속하여 연동되도록 한 상태에서 스마트폰의 전용 모니터로 사용하면서 스마트폰과의 데이터 송수신의 유선 제어와 디스플레이의 터치 입력 제어를 통해 스마트폰의 기능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터치를 통한 스마트폰 보조 입력장치에 관한 것이다.
다만, 상기와 같은 종래의 기술은 스마트폰과 연동되어 디스플레이의 터치 입력을 제어하여 스마트폰의 기능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는 점에서 이점이 있지만, 별도의 입력장치가 구비되어야 하고, 사용자가 상기 입력장치를 연결해야하므로 번거롭고 전용 소프트웨어를 정확히 제어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남아있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2302994호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출혈량 모니터링 시스템의 일측에 구비되는 기계식 버튼을 이용하여 수술 시 환자의 출혈량을 파악할 수 있는 출혈량 모니터링 방법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여기에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출혈량 모니터링 방법은 출혈량 모니터링 시스템의 기계식 버튼을 통한 신호 입력에 대응하는 입력 정보가 설정되는 버튼정보 설정단계 및 상기 버튼정보 설정단계에서 설정된 입력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기계식 버튼을 통한 신호 입력에 따라 거즈의 종류 및 개수가 카운트되는 출혈량 모니터링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출혈량 모니터링 시스템은 바디부, 상기 바디부에 구비되는 복수 개의 기계식 버튼 및 상기 거즈의 종류 및 개수가 출력되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버튼정보 설정단계에서는 상기 복수 개의 기계식 버튼 중 제 1버튼의 신호 입력에는 거즈의 종류가 선택될 수 있는 제 1입력정보, 상기 복수 개의 기계식 버튼 중 제 2버튼의 신호 입력에는 거즈의 개수를 추가하기 위한 제 2입력정보, 상기 복수 개의 기계식 버튼 중 제 3버튼의 신호 입력에는 거즈의 개수를 차감하기 위한 제 3입력정보가 각각 대응되도록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출혈량 모니터링 단계에서는 제어부에 의해서, 상기 복수 개의 기계식 버튼 중 제 1버튼을 통하여 신호가 입력되면 디스플레이를 통하여 다른 거즈의 종류가 선택되도록 하고, 상기 복수 개의 기계식 버튼 중 제 2버튼을 통하여 신호가 입력되면 디스플레이를 통하여 거즈의 개수를 추가하여 표시하고, 상기 복수 개의 기계식 버튼 중 제 3버튼을 통하여 신호가 입력되면 디스플레이를 통하여 거즈의 개수를 차감하여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출혈량 모니터링 시스템에 있어서, 바디부, 상기 바디부에 구비되는 복수 개의 기계식 버튼 및 상기 거즈의 종류 및 개수가 출력되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고, 상기 기계식 버튼은 상기 바디부의 일측에 구비되는 제 1버튼, 상기 제 1버튼과 일측으로 이격되게 구비되는 제 2버튼 및 상기 제 2버튼과 인접하게 구비되는 제 3버튼을 포함하고, 상기 제 1버튼을 통해서 상기 거즈의 종류가 선택될 수 있는 기능, 상기 제 2버튼을 통해서 거즈의 개수를 추가할 수 있는 기능 및 상기 제 3버튼을 통해서 거즈의 개수를 차감할 수 있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출혈량 모니터링 방법은 출혈량 모니터링 시스템의 일측에 구비된 기계식 버튼을 이용하여 환자의 출혈량을 파악할 수 있는 출혈량 모니터링 프로그램을 간편하게 제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출혈량 모니터링 방법은 수술 중에 장갑을 벗지 않고 용이하게 출혈량 모니터링 시스템을 제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출혈량 모니터링 방법은 출혈량 모니터링 시스템의 기계식 버튼만을 이용하게 됨으로써, 별도의 추가 장치를 필요하지 않게 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상세한 설명 및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서 출혈량 모니터링 시스템이 출력된 모습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서 출혈량 모니터링 시스템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서 출혈량 모니터링 시스템 제 1버튼, 제 2버튼 및 제 3버튼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서 출혈량 모니터링 시스템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출혈량 모니터링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6은본 발명의 출혈량 모니터링 시스템을 통해서 출혈량 모니터링 프로그램 화면이 출력된 모습을 나타내는 사용 상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출혈량 모니터링 시스템을 통해서 거즈리스트가 선택된 화면이 출력된 모습을 나타내는 사용 상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출혈량 모니터링 시스템을 통해서 도 7의 거즈개수가 증가된 화면이 출력된 모습을 나타내는 사용 상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출혈량 모니터링 시스템을 통해서 다른 거즈리스트가 선택된 화면이 출력된 모습을 나타내는 사용 상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출혈량 모니터링 시스템을 통해서 도 9의 거즈개수가 증가된 화면이 출력된 모습을 나타내는 사용 상태도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고, 본 발명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대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과제의 해결 수단, 발명의 효과를 포함한 구체적인 사항들은 다음에 기재할 실시 예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서 출혈량 모니터링 시스템이 출력된 모습을 나타내는 평면도, 도 2는 본 발명에서 출혈량 모니터링 시스템을 나타내는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에서 출혈량 모니터링 시스템 제 1버튼, 제 2버튼 및 제 3버튼을 나타내는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에서 출혈량 모니터링 시스템을 나타내는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출혈량 모니터링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 6은본 발명의 출혈량 모니터링 시스템을 통해서 출혈량 모니터링 프로그램 화면이 출력된 모습을 나타내는 사용 상태도, 도 7은 본 발명의 출혈량 모니터링 시스템을 통해서 거즈리스트가 선택된 화면이 출력된 모습을 나타내는 사용 상태도, 도 8은 본 발명의 출혈량 모니터링 시스템을 통해서 도 7의 거즈개수가 증가된 화면이 출력된 모습을 나타내는 사용 상태도, 도 9는 본 발명의 출혈량 모니터링 시스템을 통해서 다른 거즈리스트가 선택된 화면이 출력된 모습을 나타내는 사용 상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출혈량 모니터링 시스템을 통해서 도 9의 거즈개수가 증가된 화면이 출력된 모습을 나타내는 사용 상태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출혈량 모니터링 시스템(100)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출혈량 모니터링 시스템(100)은 이동통신 서비스로 사용될 수 있는 장치로 구비되며, 내부에 응용 프로그램을 설치할 수 있는 기기로 구비된다. 상기 출혈량 모니터링 시스템(100)은 예를들면 태블릿(Tablet), 스마트폰 (Smart Phone) 및 PC 로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출혈량 모니터링 시스템(100)은 바람직하게 스마트기기로 구비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출혈량 모니터링 시스템(100)은 바디부(110), 디스플레이(120), 주변부(130), 기계식 버튼(140) 및 제어부(150)를 포함한다.
먼저, 상기 바디부(110)는 상기 출혈량 모니터링 시스템(100)의 본체로 구성된다. 상기 바디부(110)는 사각형의 바(BAR)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바디부(110)의 모서리부는 사용자가 파지하기 용이하도록 굴곡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디스플레이(120)는 상기 제어부(150)에 의해 거즈의 종류 및 개수가 출력될 수 있도록 구비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디스플레이(120)는 상기 제어부(150)와 연결되고 있으며, 상기 제어부(150)의 출혈량 모니터링 프로그램에 의해서 거즈의 종류 및 개수가 출력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디스플레이(120)는 상기 바디부(110)의 일측면에 구비된다. 상기 디스플레이(120)는 터치센서(도면 미도시)를 포함하고 있어, 사용자가 손가락으로 누르는 신호를 상기 제어부(150)로 전달할 수 있다.
상기 주변부(130)는 상기 디스플레이(120)의 테두리부터 상기 바디부(120)의 모서리부에 해당하는 상기 바디부(120)의 일측면으로 형성된다. 상기 주변부(130)는 상기 출혈량 모니터링 시스템(100)을 사용자가 파지했을 때, 사용자의 손가락이 상기 디스플레이(120)에 닿아 오작동 되는 확률을 낮출 수 있도록 형성된다.
상기 기계식 버튼(140)은 상기 바디부(110)의 일측에 구비되는 구성이다. 상기 기계식 버튼(140)은 복수 개로 구비된다. 상기 기계식 버튼(140)은 상기 바디부(110)의 일측에 돌출되게 구비될 수 있고, 사용자에 의해 눌러져 상기 바디부(110)의 내측방향으로 이송될 수 있도록 구비된다. 또한, 상기 기계식 버튼(140)은 신호 입력을 상기 제어부(150)로 전송시킬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기계식 버튼(140)은 제 1버튼(141), 제 2버튼(142), 제 3버튼(143) 및 홈 버튼(144)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버튼(141)은 상기 바디부(110)의 일측에 구비된다. 상기 제 1버튼(141)은 바람직하게 사용자에 의해 용이하게 눌러질 수 있도록 상기 바디부(110)의 일측면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 1버튼(141)는 사각형의 형태로 형성되고, 모서리는 굴곡지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2버튼(142)은 상기 제 1버튼(141)과 일측으로 이격되게 구비된다. 상기 제 2버튼(142)은 사각형의 형태로 형성되고, 모서리는 굴곡지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3버튼(143)은 상기 제 2버튼과 인접하게 구비된다. 상기 제 3버튼(143)은 사각형의 형태로 형성되고, 모서리는 굴곡지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3버튼(143)은 상기 제 2버튼(142)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상기 제 2버튼(142) 및 제 3버튼(143)은 상기 출혈량 모니터링 시스템(100)에서 서로 반대되는 입력정보를 전달할 수 있도록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 사용자에 의해 상기 제 2버튼(142)이 눌러지는 경우, 상기 출혈량 모니터링 시스템(100)의 볼륨이 증가되고, 사용자에 의해 상기 제 3버튼(143)이 눌러지는 경우, 상기 출혈량 모니터링 시스템(100)의 볼륨이 감소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홈 버튼(144)은 상기 디스플레이(120)의 하단부에 해당하는 상기 주변부(130)의 일측에 구비된다. 상기 홈 버튼(144)은 사각형의 형태로 형성되고, 모서리는 굴곡지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홈 버튼(144)은 사용자의 손가락 지문을 인식할 수 있는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홈 버튼(144)은 사용자의 손가락 지문을 인식하여 상기 제어부(150)로 전달하여, 상기 제어부(150)에 의해 상기 출혈량 모니터링 시스템(100)의 잠금이 해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홈 버튼(144)은 사용자의 손가락 지문을 인식할 수 있도록 상기 제 1버튼(141), 제 2버튼(142) 및 제 3버튼(143)보다 더 넓은 부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50)는 상기 바디부(110)의 내측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50)는 상기 제 1버튼(141), 제 2버튼(142), 제 3버튼(143) 및 홈 버튼(144)의 신호 입력을 전달 받는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150)는 상기 디스플레이(120)와 서로 연결된다. 또한, 상기 제어부(150)는 버튼제어 프로그램 및 출혈량 모니터링 프로그램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버튼제어 프로그램은 상기 제 1버튼(141), 제 2버튼(142), 제 3버튼(143) 및 홈 버튼(144)을 통하여 신호 입력을 전송받아, 입력 정보를 설정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출혈량 모니터링 프로그램은 환자의 출혈량을 파악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50)는 상기 버튼제어 프로그램에서 설정된 입력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출혈량 모니터링 프로그램에 적용시킬 수 있다. 즉, 상기 제어부(150)는 상기 제 1버튼(141), 제 2버튼(142), 제 3버튼(143) 및 홈 버튼(144)의 입력에 따른 입력 정보에 기초하여, 거즈의 종류 및 개수가 카운트될 수 있도록 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출혈량 모니터링 방법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출혈량 모니터링 방법은 상기 출혈량 모니터링 시스템(100)의 기계식 버튼(140)을 통하여 환자의 출혈량 모니터링 할 수 있는 방법으로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출혈량 모니터링 방법은 출혈량 모니터링 시스템(100)의 기계식 버튼(140)을 통한 신호 입력에 대응하는 입력 정보가 설정되는 버튼정보 설정단계(S10) 및 상기 버튼정보 설정단계(S10)에서 설정된 입력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기계식 버튼(140)을 통한 신호 입력에 따라 거즈의 종류 및 개수가 카운트되는 출혈량 모니터링 단계(S20)을 포함한다.
먼저, 상기 버튼정보 설정단계(S10)는 출혈량 모니터링 시스템(100)의 기계식 버튼(140)을 통한 신호 입력에 대응하는 입력 정보가 설정되는 과정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출혈량 모니터링 시스템(100)에는 상기 버튼제어 프로그램이 설치된다. 이때, 상기 버튼제어 프로그램은 사용자에 의해 상기 제 1버튼(141), 제 2버튼(142), 제 3버튼(143) 및 홈 버튼(144)이 눌러지면서 전달받는 신호 입력에 대응하는 입력 정보가 설정될 수 있는 프로그램으로 구성된다.
상기 버튼정보 설정단계(S10)에서 사용자는 상기 출혈량 모니터링 시스템(100) 상에서 상기 버튼제어 프로그램을 실행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버튼제어 프로그램이 실행된 상태에서 사용자에 의해 상기 제 1버튼(141), 제 2버튼(142), 제 3버튼(143) 및 홈 버튼(144) 중 어느 하나가 눌러지게 되면 상기 제 1버튼(141), 제 2버튼(142), 제 3버튼(143) 및 홈 버튼(144)이 상기 출혈량 모니터링 시스템 상에서 수행할 기능을 각각 설정시킬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상기 버튼정보 설정단계(S10)에서는 상기 복수 개의 기계식 버튼(140) 중 제 1버튼(141)의 신호 입력에는 거즈의 종류가 선택될 수 있는 제 1입력정보, 상기 복수 개의 기계식 버튼(140) 중 제 2버튼(142)의 신호 입력에는 거즈의 개수를 추가하기 위한 제 2입력정보, 상기 복수 개의 기계식 버튼(140) 중 제 3버튼(143)의 신호 입력에는 거즈의 개수를 차감하기 위한 제 3입력정보가 각각 대응되도록 설정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버튼정보 설정단계(S10)에서는 상기 복수 개의 기계식 버튼(140) 중 홈 버튼(144)의 신호 입력에는 설정된 기능을 수행하는 제 4입력정보가 대응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설정된 기능은 사용자가 원하는 기능으로 설정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 제 1입력정보, 제 2입력정보 및 제 3입력정보 중 어느 하나일 수도 있다.
다음으로, 상기 출혈량 모니터링 단계(S20)는 상기 버튼정보 설정단계(S10)에서 설정된 입력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기계식 버튼(140)을 통한 신호 입력에 따라 거즈의 종류 및 개수가 카운트되는 과정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출혈량 모니터링 시스템(100)에 상기 버튼제어 프로그램이 활성화된 상태에서, 거즈가 흡수한 환자의 출혈량을 계측할 수 있는 출혈량 모니터링 시스템이 실행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출혈량 모니터링 시스템은 상기 거즈의 종류가 표시되는 거즈리스트(A1), 사용된 상기 거즈가 표시되는 사용된 거즈개수(A2), 사용한 총 거즈의 개수가 표시되는 총 거즈개수(A3), 수술을 진행한 시간이 표시되는 수술시간(A4), 환자의 출혈량이 표시되는 환자의 출혈량(A5), 숫자를 입력하도록 표시되는 숫자패드(A6), 상기 출혈량 모니터링 시스템을 사용하기 위한 안내문구가 표시되는 도움말(A7), 상기 거즈의 개수가 초기화 및 수정될 수 있도록 구비되는 초기화 및 수정버튼(A8) 및 수술의 종료여부를 선택하도록 구비되는 수술종료 버튼(A9)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출혈량 모니터링 단계(S20)에서 사용자는 상기 제 1버튼(141), 제 2버튼(142), 제 3버튼(143) 및 홈 버튼(144)을 통하여 상기 출혈량 모니터링 시스템에 거즈의 개수 및 항목을 입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출혈량 모니터링 단계(S20)는 거즈 초기화단계(S21), 터치입력 비활성화단계(S22) 및 출혈량모니터링 실행단계(S23)를 포함한다.
상기 거즈 초기화단계(S21)는 상기 출혈량 모니터링 시스템(100) 상에서 상기 출혈량 모니터링 프로그램이 활성화된 후, 상기 제어부(150)에 의해서 거즈의 개수가 초기화 설정되는 과정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출혈량 모니터링 프로그램은 이전 기록을 저장할 수 있는 기능을 포함하고 있어, 최초로 실행하게 되면 일정시간동안 이전 기록이 표시되고, 상기 제어부(150)에 의해 자동으로 거즈의 개수가 초기화 설정된다. 이때, 상기 일정시간은 사용자에 의해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으며, 상기 일정시간 없이 기 출혈량 모니터링 프로그램이 실행되고 바로 초기화될 수도 있다.
일례로 상기 출혈량 모니터링 프로그램이 실행되고, 10초 동안은 이전에 기록했던 정보가 상기 출혈량 모니터링 프로그램에 그대로 표시되고 있고, 10초 이후에는 상기 제어부(150)에 의해 자동으로 거즈의 개수가 초기화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터치입력 비활성화단계(S22)는 상기 디스플레이(120)에서 터치입력이 비활성화되는 과정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거즈 초기화단계(S21) 이후로 상기 제어부(150)에 의해 상기 디스플레이(120)의 터치입력이 비활성화될 수 있다. 즉, 상기 디스플레이(120)에서 터치입력 신호를 상기 제어부(150)로 전송해도 상기 제어부(150)에서 이를 차단하여 작동되지 않게 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디스플레이(120)에 터치입력으로 인하여, 오작동이 발생될 가능성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출혈량모니터링 실행단계(S23)는 상기 터치입력 비활성단계(S22) 이후로 상기 제어부(150)에 의해서, 상기 복수 개의 기계식 버튼(140) 중 제 1버튼(141)을 통하여 신호가 입력되면 디스플레이(120)를 통하여 다른 거즈의 종류가 선택되도록 하고, 상기 복수 개의 기계식 버튼(140) 중 제 2버튼(142)을 통하여 신호가 입력되면 디스플레이(120)를 통하여 거즈의 개수를 추가하여 표시하고, 상기 복수 개의 기계식 버튼(140) 중 제 3버튼(143)을 통하여 신호가 입력되면 디스플레이(120)를 통하여 거즈의 개수를 차감하여 표시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사용자에 의해 상기 제 1버튼(141)이 눌러지게 되면 상기 출혈량 모니터링 시스템 상에서 거즈의 종류가 선택되고, 상기 제 2버튼(142)이 눌러지게 되면 상기 거즈의 개수가 추가되고, 상기 제 3버튼(143)이 눌러지게 되면, 상기 거즈의 개수가 차감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출혈량모니터링 실행단계(S23)는 상기 터치입력 비활성단계(S22) 이후 상태에서 상기 제어부(150)에 의해서, 상기 복수 개의 기계식 버튼(140) 중 홈 버튼(144)을 통하여 신호가 입력되면 디스플레이(120)를 통하여 설정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출혈량모니터링 실행단계(S23) 이후로 수술이 종료된 상태라면 상기 기계식 버튼(140)에 의해서 상기 출혈량 모니터링 프로그램 상에서 상기 수술종료 버튼(A9)이 선택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어부(150)에 의해서, 상기 제 1버튼(141), 제 2버튼(142) 및 제 3버튼(143) 중 적어도 2개를 통하여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출혈량 모니터링 프로그램 상에서 상기 수술종료 버튼(A9)이 선택될 수 있다.
또 다른 일례로, 상기 제어부(150)에 의해서, 상기 홈 버튼(144)를 통하여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출혈량 모니터링 프로그램 상에서 상기 수술종료 버튼(A9)이 선택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상술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당업자가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나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출혈량 모니터링 시스템
110 : 바디부
120 : 디스플레이
130 : 주변부
140 : 기계식 버튼
141 : 제 1버튼
142 : 제 2버튼
143 : 제 3버튼
144 : 홈 버튼
150 : 제어부
A : 출혈량 모니터링 프로그램 화면
A1 : 거즈리스트
A2 : 사용된 거즈개수
A3 : 총 거즈개수
A4 : 수술시간
A5 : 환자의 출혈량
A6 : 숫자패드
A7 : 도움말
A8 : 초기화 및 수정버튼
A9 : 수술종료 버튼
B : 거즈리스트가 선택된 화면
C : B에서 거즈개수가 증가된 화면
D : 다른 거즈리스트가 선택된 화면
E : D에서 거즈개수가 증가된 화면
S10 : 버튼정보 설정단계
S20 : 출혈량 모니터링 단계
S21 : 거즈 초기화단계
S22 : 터치입력 비활성화단계
S23 : 출혈량모니터링 실행단계

Claims (5)

  1. 출혈량 모니터링 시스템의 기계식 버튼을 통한 신호 입력에 대응하는 입력 정보가 설정되는 버튼정보 설정단계; 및
    상기 버튼정보 설정단계에서 설정된 입력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기계식 버튼을 통한 신호 입력에 따라 거즈의 종류 및 개수가 카운트되는 출혈량 모니터링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출혈량 모니터링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출혈량 모니터링 시스템은,
    바디부;
    상기 바디부에 구비되는 복수 개의 기계식 버튼; 및
    상기 거즈의 종류 및 개수가 출력되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출혈량 모니터링 방법.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정보 설정단계에서는,
    상기 복수 개의 기계식 버튼 중 제 1버튼의 신호 입력에는 거즈의 종류가 선택될 수 있는 제 1입력정보, 상기 복수 개의 기계식 버튼 중 제 2버튼의 신호 입력에는 거즈의 개수를 추가하기 위한 제 2입력정보, 상기 복수 개의 기계식 버튼 중 제 3버튼의 신호 입력에는 거즈의 개수를 차감하기 위한 제 3입력정보가 각각 대응되도록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출혈량 모니터링 방법.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출혈량 모니터링 단계에서는,
    제어부에 의해서, 상기 복수 개의 기계식 버튼 중 제 1버튼을 통하여 신호가 입력되면 디스플레이를 통하여 다른 거즈의 종류가 선택되도록 하고, 상기 복수 개의 기계식 버튼 중 제 2버튼을 통하여 신호가 입력되면 디스플레이를 통하여 거즈의 개수를 추가하여 표시하고, 상기 복수 개의 기계식 버튼 중 제 3버튼을 통하여 신호가 입력되면 디스플레이를 통하여 거즈의 개수를 차감하여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출혈량 모니터링 방법.
  5. 바디부;
    상기 바디부에 구비되는 복수 개의 기계식 버튼; 및
    상기 거즈의 종류 및 개수가 출력되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고,
    상기 기계식 버튼은,
    상기 바디부의 일측에 구비되는 제 1버튼;
    상기 제 1버튼과 일측으로 이격되게 구비되는 제 2버튼; 및
    상기 제 2버튼과 인접하게 구비되는 제 3버튼을 포함하고,
    상기 제 1버튼을 통해서 상기 거즈의 종류가 선택될 수 있는 기능, 상기 제 2버튼을 통해서 거즈의 개수를 추가할 수 있는 기능 및 상기 제 3버튼을 통해서 거즈의 개수를 차감할 수 있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출혈량 모니터링 시스템.
KR1020220120467A 2022-09-23 2022-09-23 출혈량 모니터링 방법 및 출혈량 모니터링 시스템 KR2024004145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20467A KR20240041456A (ko) 2022-09-23 2022-09-23 출혈량 모니터링 방법 및 출혈량 모니터링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20467A KR20240041456A (ko) 2022-09-23 2022-09-23 출혈량 모니터링 방법 및 출혈량 모니터링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41456A true KR20240041456A (ko) 2024-04-01

Family

ID=906670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20467A KR20240041456A (ko) 2022-09-23 2022-09-23 출혈량 모니터링 방법 및 출혈량 모니터링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41456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02994B1 (ko) 2019-10-08 2021-09-16 홍정윤 터치를 통한 스마트폰 보조 입력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02994B1 (ko) 2019-10-08 2021-09-16 홍정윤 터치를 통한 스마트폰 보조 입력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696421C2 (ru) Устройства для ненавязчивого консультирования для монитора пациента
EP2724667B1 (en) Mobile apparatus with biosensors
EP3342335B1 (en) Blood pressure measurement method, blood pressure measurement device and terminal
CN107918760A (zh) 具有多个指纹感测模式的电子装置及其控制方法
US20110144918A1 (en) Biological information display device, biological information display system, statistical processing method, and recording medium recording thereon statistical processing program
JP2011147493A (ja) 生体情報監視装置、警報値設定方法および警報値設定プログラム
CN106406904A (zh) 一种信息处理方法、电子设备及信息处理装置
US20170270258A1 (en) Method and system for managing cleaning of medical devices
US20120136673A1 (en) Methods, apparatuse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s for determining changes in levels of care for patients
WO2016184389A1 (zh) 一种防误触发按键布置操作方法、装置及智能手机
EP2660743B1 (en) Method for customization of user interface of a medical apparatus for extracorporal blood treatment; medical apparatus for extracorporal blood treatment
CN105358057A (zh) 用于手持式糖尿病管理设备的提醒,分类和模式鉴别系统和方法
JP7028002B2 (ja) 産業機械起動制御システム、起動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06933553A (zh) 一种基本输入输出系统设置的方法与系统
KR20240041456A (ko) 출혈량 모니터링 방법 및 출혈량 모니터링 시스템
CN105634503B (zh) 检测键盘键值的方法及装置
US20170011171A1 (en) Health management system
CN109464138A (zh) 一种升压式动脉硬度评价方法、系统及装置
Baxter et al. Noninvasive evaluation of the upper extremity.
CN110447217A (zh) 一种压力检测的方法及终端
KR102198846B1 (ko) 배뇨에 관한 설문을 수행하는 방법, 시스템 및 비일시성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
ES2752758T3 (es) Procedimiento y aparato para la monitorización de características junto con un modo de valores de glucemia medidos continuamente y un producto de programa informático
JP6516530B2 (ja) 生体情報モニター
CN111033458A (zh) 一种响应操作轨迹的方法及监护仪
US10398362B2 (en) Measurement device, management device, measurement skill management system, and measurement skill management metho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