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41487A - 전자 밸브 - Google Patents

전자 밸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41487A
KR20210041487A KR1020200119679A KR20200119679A KR20210041487A KR 20210041487 A KR20210041487 A KR 20210041487A KR 1020200119679 A KR1020200119679 A KR 1020200119679A KR 20200119679 A KR20200119679 A KR 20200119679A KR 20210041487 A KR20210041487 A KR 202100414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ip
core
stuffing
leaf spring
assemb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196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토 카츠시
카토 아츠시
이구치 세이지
요시노 코헤이
Original Assignee
씨케이디 가부시키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씨케이디 가부시키 가이샤 filed Critical 씨케이디 가부시키 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100414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41487A/ko
Priority to KR10202200468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5289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27/00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F16K27/02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of lift valves
    • F16K27/029Electromagnetically actuated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0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 F16K31/06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using a magnet, e.g. diaphragm valves, cutting off by means of a liquid
    • F16K31/0644One-way valve
    • F16K31/0668Sliding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0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 F16K31/06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using a magnet, e.g. diaphragm valves, cutting off by means of a liquid
    • F16K31/0675Electromagnet aspects, e.g. electric supply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00Friction-grip releasable fastenings
    • F16B2/20Cli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solely by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00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 F16K1/32Detai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0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 F16K31/06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using a magnet, e.g. diaphragm valves, cutting off by means of a liquid
    • F16K31/0644One-way valve
    • F16K31/0655Lift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0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 F16K31/06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using a magnet, e.g. diaphragm valves, cutting off by means of a liquid
    • F16K31/0644One-way valve
    • F16K31/0655Lift valves
    • F16K31/0665Lift valves with valve member being at least partially ball-shape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7/00Magnets
    • H01F7/06Electromagnets; Actuators including electromagnets
    • H01F7/08Electromagnets; Actuators including electromagnets with armatures
    • H01F7/121Guiding or setting position of armatures, e.g. retaining armatures in their end posi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7/00Magnets
    • H01F7/06Electromagnets; Actuators including electromagnets
    • H01F7/08Electromagnets; Actuators including electromagnets with armatures
    • H01F7/16Rectilinearly-movable armatures
    • H01F7/1607Armatures entering the wind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agnetically Actuated Valves (AREA)
  • Electromagnets (AREA)

Abstract

전자 밸브를 일천만 회 반복 사용한 경우에도, 판스프링이 피로 파괴하지 않는 전자 밸브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바디ㆍ파이프 조립체(3)는 스터핑 칼라부(43)를 구비하고, 코일 조립체(2)는 코어 칼라부(34)을 구비하고, 판스프링부(93, 96)는 상기 스터핑 칼라부(43)와 상기 코어 칼라부(34)와의 사이에 장착되어 있다. 클립(91)은, 선단이 개구되고, 원호상 내주부(92a, 95a)를 구비하는 클립 본체(91A)와, 선단이 개구된 판스프링부(93, 96)와, 클립 본체(91A)의 후단과 판스프링부(93,96)의 후단을 연결하는 연결부(94, 99)를 구비한다. 클립(91)의 클립 본체(91A)가 스터핑 칼라부(43)의 하면과 당접하여 있다. 판스프링부(93, 96)는 당접부(93a, 96a)를 구비하고, 당접부(93a, 96a)가 코어 칼라부(34)의 상면에 당접하여 있다.

Description

전자 밸브{SOLENOID VALVE}
본 발명은 중공 원통형상(中空圓筒形狀) 솔레노이드부(solenoid部)와, 가동 철심(可動鐵心)과 밸브체(弁體)를 가지고, 솔레노이드부에 통전하는 것에 의해 가동 철심을 흡인하여 밸브체를 이동시키는 전자 밸브(電磁 valve)에 있어서, 솔레노이드부를 가지는 코일 조립체(coil 組立體)와, 가동 철심이 슬라이딩하는 슬라이딩(sliding) 내면(摺動內面)을 구비한 파이프(pipe)를 가지고 바디(body)에 조립 부착된 바디ㆍ파이프 조립체가 횡 방향으로부터 장착되는 클립(clip)에 의해 연결되고, 클립이 코일 조립체를 상기 바디ㆍ파이프 조립체 방향으로 어징(urging; 付勢)하는 판스프링부(板spring部)를 가지는 전자 밸브에 관한 것이다.
특허문헌2의 도7~도10에서는, 구동 장치(코일 조립체)에 축부(軸部)를 삽입하면서, 구동 장치와 밸브체를 감합(嵌合)하고 탄성이 있는 막부(膜部)(탄성 부재)의 외연부(外緣部)를 변형시킨 상태에서, 구동 장치의 제2 장착 구멍과 밸브 본체의 제1 장착 구멍에 스프링 성(性)이 없는 U자형의 핀 부재를 삽입하기 위해, 구동 장치와 밸브 본체는, 서로 이간(離間)하는 방향으로 탄성 부재 에 의해 어징되어 있다.
그러나, 특허문헌2에 기재된 전자 밸브에는 다음의 문제가 있었다.
즉 연결구인 핀 부재 외에 탄성 부재를 필요로 하기 때문에, 부품 점수(点數)가 많아지는 문제가 생긴다.
또, 구동 장치에 축부를 삽입했을 때 탄성 부재를 탄성 변형시킨 상태에서, 핀 부재를 구동 장치 및 밸브 본체의 장착 구멍에 삽입하지 않으면 안되는데, 핀 부재가 원활하게 삽입할 수 없을 때에, 어느 방향으로 구동 장치를 이동시키면 핀 부재가 삽입 가능한지, 외부로부터는 보이지 않기 때문에, 핀 부재를 삽입하는 작업이 번잡하였다.
본 출원인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특허문헌1의 전자 밸브를 제안하였다. 즉, 도15 및 도1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중공 원통형상의 코일 몰드부에 통전하는 것에 의해, 플런저를 흡인하여 밸브체를 이동시키는 전자 밸브에 있어서, 코일 몰드부를 가지는 코일 조립체와, 플런저가 슬라이딩하는 슬라이딩 내면을 가지는 플레어 파이프를 가지고 바디에 조립 부착된 바디ㆍ파이프 조립체가, 횡 방향으로부터 장착되는 클립(191)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이 클립(191)은, 클립 본체(192)와, 코일 조립체를 바디ㆍ파이프 조립체의 방향으로 어징하는 판스프링(193)을 가진다. 판스프링(193) 코일 조립체의 일부(134)와 바디ㆍ파이프 조립체의 일부(143)을 서로 이간하는 방향으로 어징하고 있다.
특허문헌1. 특개2018-179120호 공보 특허문헌2. 특허 제5819550호 공보
그러나, 특허문헌1의 기술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었다.
즉, 클립(191)의 판스프링 193은, 코일 조립체를 바디ㆍ파이프 조립체의 방향으로 어징하고 있지만, 코일 조립체를 바디ㆍ파이프 조립체에 균일하게 누르기 위해, 4개의 판스프링(193)이, 전자 밸브(플레어 파이프(flare pipe))의 중심선에 대하여, 대칭적으로 배치되어 있다. 4개의 판스프링(193)을 클립 본체(192)와 평행하게 배치하기 위해, 하나 하나 하나의 판스프링(193)은, 도15에 나타낸 바와 같이, 폭이 1mm 이하의 가는 판스프링 재(材)로 형성되어 있다. 또 큰 수격(water hammer) 현상이 발생하여 플레어 파이프가 늘어나는 것에 의해, 판스프링(193)에 걸리는 하중이 커지는 경우가 있었다. 그 때문에, 전자 밸브를 수십만 회 또는 수백만 회 반복 사용했을 때, 판스프링(193)이 피로 파괴할 우려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전자 밸브를 예를 들어 천만 회 반복 사용했을 때에도 판스프링이 피로 파괴하지 않는 전자 밸브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전자 밸브는,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구성을 가지고 있다.
(1) 중공 원통형상의 솔레노이드부와, 가동 철심과, 밸브체를 가지고, 솔레노이드부에 통전하는 것에 의해, 가동 철심을 흡인하여 밸브체를 이동시키는 전자 밸브에 있어서, 솔레노이드부를 가지는 코일 조립체와, 가동 철심이 슬라이딩하는 슬라이딩 내면을 구비한 파이프가 바디에 조립 부착된 바디ㆍ파이프 조립체가, 상기 각 조립체에 대하여 횡 방향으로부터 장착되는 클립(clip)에 의해 연결되고, 클립이 코일 조립체를 바디ㆍ파이프 조립체의 방향으로 어징하는 판스프링부를 가지고, 바디ㆍ파이프 조립체는, 코일 조립체에 대한 부착을 위한 스터핑(stuffing)를 포함하고, 스터핑이 스터핑 칼라부(stuffing collar 部)를 구비하고, 코일 조립체는, 솔레노이드부를 둘러싸고 자기 회로를 형성하는 자성체 코어를 포함하고, 자성체 코어가 코어 칼라부(core collar 部)을 구비하고, 판스프링부는, 스터핑 칼라부와 코어 칼라부와의 사이에 장착되어 있고, 클립은, 선단이 개구된 원호상 내주부를 구비하는 클립 본체와, 선단이 개구된 판스프링부와, 클립 본체의 후단과 판스프링부의 후단을 연결하는 연결부를 구비하고, 클립의 클립 본체가 스터핑 칼라부와 당접하여 있고, 판스프링부는 당접부를 구비하고, 당접부가 코어 칼라부에 당접하여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2) (1)에 기재하는 전자 밸브에 있어서, 클립 본체는 그 폭 방향의 중앙부에서 분단되어 있고, 중앙부의 양측에 한 쌍의 클립 본체편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3) (1) 또는 (2)에 기재하는 전자 밸브에 있어서, 솔레노이드부의 중심선을 기준으로 하여 클립 본체의 폭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에 있어서, 연결부가 한쪽 측에 위치하고, 판스프링부의 당접부가 다른 쪽 측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전자 밸브는 다음과 같은 작용ㆍ효과를 가지고 있다.
특허문헌1에서는, 클립 본체(192)와 판스프링(193)이 동일한 평면상에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지만, 본 발명의 상기 구성 (1)에 의하면, 높이 방향으로 상하 위치에 배치되는 것에 의해, 판스프링의 폭을 예를 들어 3~5mm 정도로 크게 할 수 있기 때문에, 판스프링의 피로 강도를 증가시킬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천만 회의 사용에 의해서도, 판스프링이 피로 파괴 될 우려가 없다.
또, 상기 구성 (2)에 의하면, 서로의 스프링 작용에 있어서 독립하여 작용하기 때문에 전체의 스프링 작용을 균일하게 할 수 있고, 판스프링이 안정하여 코일 조립체를 바디ㆍ파이프 조립체 방향으로 어징하는 것이 가능하다.
더욱이, 상기 구성 (3)에 의하면, 판스프링의 스프링력(力)이 항상 클립이 빠지는 방향(연결부의 방향)과 역방향으로 작용하기 때문에, 전자 밸브를 예를 들면 천만 회 사용하여도 클립이 빠져 나가지 않고, 판스프링이 안정하여 코일 조립체를 바디ㆍ파이프 조립체 방향으로 어징할 수 있다.
[도1] 도3의 AA 단면도이다.
[도2] 도3의 BB 단면도이다.
[도3]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인 전자 밸브의 사시도이다.
[도4] 코일ㆍ코어 조립체의 구성의 일부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5] 바디ㆍ파이프 조립체의 구성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6] 코일 조립체의 사시도이다.
[도7] 바디ㆍ파이프 조립체의 완성도(나사를 생략하여 기재하고 있다)이다.
[도8] 코일 조립체와 바디ㆍ파이프 조립체와의 연결 구조, 및 조립 방법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9] 클립의 사시도이다.
[도10] 클립의 평면도이다.
[도11] 클립의 측면도이다.
[도12] 클립을 바디ㆍ파이프 조립체와 코일 조립체에 삽입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13] 클립의 삽입 상태를 나타내는 평단면도이다.
[도14] 클립의 삽입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15] 종래의 클립의 삽입 상태를 나타내는 평단면도이다.
[도16] 종래의 클립의 삽입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본 발명의 전자 밸브(1)의 실시 형태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관계되는 전자 밸브(1)의 사시도이다. 도1은 전자 밸브(1)의 도3에 있어서의 AA 단면도이고, 도2는 전자 밸브(1)의 도3에 있어서의 BB 단면도이다. 또, 도4에, 코일ㆍ코어 조립체의 구성의 일부를 분해 사시도로 나타내고, 도5에, 바디ㆍ파이프 조립체의 구성을 분해 사시도로 나타낸다.
도1, 도2 및 도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코일ㆍ코어 조립체는 측면시(側面視)에서 거의 역 U자 형상의 상부 코어(10), 내부에 권선 코일(23)이 수지에 의해 몰드 되어 있는 코일 몰드부(20)(솔레노이드부의 일례), 및 하부 코어(30)를 가진다. 상부 코어(10) 및 하부 코어(30)(자성체 코어의 일례)는, 강자성체 재료로 이루어지고, 자기 회로의 일부를 구성한다. 상부 코어(10)의 거의 직사각형상의 상판부(11)의 중앙에는, 아래 방향으로 향하여 바닥있는 원통상(狀)으로 돌출한 돌출부(12)(고정 철심의 일례)가 형성되어 있다. 또, 상판부(11)에는 4본(本)의 측면 판부(13)가 하방으로 연설(連設)되어 있다.
도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코일 몰드부(20)는 수지제(樹脂製)로 중공 형상의 코일 보빈(24)의 외주에 코일(23)을 권선 한 후, 코일(23)이 감긴 코일 보빈(24)를 인서트(insert) 성형하는 것에 의해 몰드부(21)를 형성하여 구성되어 있다.
상부 코어(10)의 돌출부(12)는 코일 몰드부(20)의 중공부를 형성하는 코일 보빈(24)의 중공 구멍(24A)에 대하여 상면측으로부터 삽입되어 있다.
하부 코어(30)의 거의 직사각형상의 저판부(底板部)(31)의 중앙에는, 상방향으로 향하여 원통상으로 돌출한 돌출부(32)가 형성되어 있다. 저판부(31)의 대향하는 2변의 각각에는, 측면 판부(33)가 상방향으로 향하여(상부 코어(10)의 측면 판부(13)을 향하여) 연설되어있다. 측면 판부(33)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2변에는, 도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단면이 횡방향 U자형의 한쌍의 코어 칼라부(34)가 형성되어 있다. 한 쌍의 코어 칼라부(34)는 내측을 향하여 개구하여 있다.
하부 코어(30)의 돌출부(32)는 코일 보빈(24)의 중공 구멍(24A)에 대하여 저면 측으로부터 삽입되어 있다.
코일 몰드부(20)를 상부 코어(10)와 하부 코어(30)에 끼워 넣은 상태에서, 측면 판부(13)의 선단을 측면 판부(33)과 용접 접합하는 것에 의해, 코일ㆍ코어 조립체가 완성된다. 그리고, 코일ㆍ코어 조립체를 인서트 성형하여 몰드부(81)를 형성하는 것에 의해, 도6에 나타내는 코일 조립체(2)가 완성된다.
다음, 바디ㆍ파이프 조립체(3)에 대해 설명한다.
도1, 도2, 도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바디ㆍ파이프 조립체(3)는, 코일 조립체(2)에 대하여 장착하기 위한 스터핑(40)을 포함하고, 이 스터핑(40)이, 바디(70)에 대하여, 플레어 파이프(50)와 O링(69)을 끼워 넣은 상태에서 도시하지 않은 4본의 나사에 의해 체결된다. 스터핑(40)은 거의 정방형 판상이고, 4 모서리에 나사 구멍(45)이 형성되어 있다. 스터핑(40)은, 그 중앙부에, 전주(全周)에 걸쳐 상향으로 돌출한 측판(42)을 구비하고, 이 측판(42)의 선단에, 전주에 걸쳐 외주 방향으로 향하여 접혀 구부러진 스터핑 칼라부(43)를 구비하고 있다.
플레어 파이프(50)는 상면(55)에 의해 막힌 중공상의 원통부(51)를 구비하고, 확경부(52)에 의해 확경된 대경부(53)를 구비하고 있다. 확경부(52)는, 원통부(51) 및 대경부(53)의 각각에 대하여 직교하여 형성되어 있다. 원통부(51)와 대경부(53)는 평행하게 형성되어 있다.
대경부(53)의 하단에는, 외측으로 향하여 넓어지는 칼라부(54)가 구비되어 있다. 플레어 파이프(50)는, 자성체 재료로 성형되어, 자기 회로의 일부를 구성하고 있다. 대경부(53)의 내부에는 원통형상의 압축 스프링(59)이 수납되어 있다.
가동 철심인 플런저(plunger)(60)는, 강자성체 재료로 이루어지는 플런저 본체(61)를 구비한다. 플런저 본체(61)의 상면 중앙에 고무 구멍이 형성되고, 고무 구멍에는 정음(靜音) 고무(64)가 상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장착되어 있다. 정음 고무(64)는, 플런저(60)가, 코일 몰드부(20)에의 통전에 의해 상부 코어(10)의 돌출부(12)에 흡인되었을 때에, 플레어 파이프(50)의 상면(55)의 이면(裏面)에 충돌하여 발생하는 충돌음을 저감시키기 위한 것이다.
플런저 본체(61)의 외주면의 상부에는, 수지제의 상부 웨어링(wearing)(63)이 지름 방향 외측으로 향하여 일정한 간격을 두고 돌출하여 형성되어 있다. 플런저 본체(61)의 상면에는, 축심 방향 외측(도면에서 상측)으로 향하여 향하여 복수의 돌기가 형성되어 있는 수지제의 링(63a)이, 상부 웨어링(63)에 일체로 성형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플런저(60)의 흡착시에, 플런저 본체(61)와 플레어 파이프(50)의 상면(55)의 이면의 사이에 스페이스를 확보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정음 고무(64)의 도망갈 장소가 생김과 함께, 플런저 본체(61)의 복귀 특성을 향상시키고 있다.
도1과 같이 플런저 본체(61)의 하부에는, 수지제의 밸브체 유지부(68)가 일체 성형되어 있다. 밸브체 유지부(68)의 상부 외주에는, 대향하는 플레어 파이프(50)의 원통부(51)의 하단보다 상측의 위치에 하부 웨어링(65)이 지름 방향 외측으로 향하여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지름 방향 외측으로 향하여 돌출하는 상부 웨어링(63)과 하부 웨어링(65)이, 원통부(51)의 내주면(「슬라이딩 내면」이라고도 함)(51a)에 접촉하고 있기 때문에, 플런저 본체(61) 의 외주면(61a)(상부 웨어링(63)과 하부 웨어링(65) 사이에 위치한다)와 원통부(51)의 내주면(51a)과의 사이에는, 도에는 명시되어 있지 않지만,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0.2mm 정도의 극간이 형성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플런저 본체(61)의 외주면(61a)은, 원통부(51)의 내주면(51a)에 접촉하는 것은 없기 때문에 동작시에 플런저 본체(61)과 원통부(51)가 슬라이딩 접촉하지 않고, 반복 동작에 의해 슬라이딩 면이 열화한다든지, 마모 가루가 발생하여, 슬라이딩 저항이 올라가서 동작 불량이 발생한다든지 하는 것을 방지하고 있는 것이다.
또, 이 극간은, 플런저 본체(61)의 외주면(61a)으로부터 원통부(51)의 내주면(51a)에 횡류(橫流)하는 자속의 자기 저항으로 되기 때문에, 원통부(51)의 내주면(51a)와 플런저 본체(61)의 외주면(61a)과의 사이의 흡인력을 저감하고 있다.
밸브체 유지부(68)은, 그 외주 하단부에 지름 방향 외측으로 돌출한 칼라부(67)를 구비하고 있다. 또 밸브체 유지부(68)의 내측에는 공간부(66)가 형성되어 있고, 공간부(66)에는 고무제의 밸브체(75)가 장착되어 있다.
도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바디(70)에는, 제1 유로(71)와 제2 유로(72)가 마련되어 있다. 제1 유로(71)와 제2 유로(72)는, 바디(70)에 형성된 밸브 구멍에 의해 통해 서로 연통되어 있고, 밸브 구멍에는, 밸브 시트(弁座)(73)가 마련되어 있다. 밸브체(75)가 밸브 시트(73)에 당잡하는 것에 의해, 제1 유로(71)와 제2 유로(72)가 차단되고, 밸브체(75)가 밸브 시트(73)로부터 이간하는 것에 의해, 제1 유로(71)와 제2 유로(72)가 연통한다.
플런저(60)는 상부 웨어링(63) 하부 웨어링(65)를 통하여, 플레어 파이프(50) 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유지되고 있다. 압축 스프링(59)의 상단이 플레어 파이프(50)에 압입된 스프링 받이(62)의 하면(62a)에 당접하고, 압축 스프링(59)의 하단이 플런저(60)의 칼라부(67)에 당접하고 있다. 압축 스프링(59)에 의해, 플런저(60)는, 밸브체(75)가 밸브 시트(73)에 당접하는 방향으로 어징되어 있다.
여기에서, 스프링 받이(62)와 압축 스프링(59)과의 당접면이, 원통부(51) 및 대경부(53)의 각각에 대하여 직교하여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압축 스프링(59)이 스프링 받이(62) 하면(62a)에 안정하여 당접하기 때문에, 압축 스프링(59)의 어징력(力)을 안정시키고, 플런저(60)의 움직임을 안정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또, 밸브체(75)가 밸브 시트(73)에 안정하여 당접하는 것이 가능하고, 안정된 시일력(seal 力)을 발휘할 수 있다. 또, 압축 스프링(59)이 플런저(60)와 원통부(51)의 극간에 파고 들어가 동작 불량을 일으킬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압축 스프링(59)의 위치를 안정시킬 필요도 있다.
스터핑(40)이, 바디(70)에 대하여, 플레어 파이프(50)와 O링(69)를 끼워 넣은 상태에서 도시하지 않은 4본의 나사에 의해 체결되는 것에 의해, 도7(나사를 생략하여 기재하고 있다)에 나타내는 바디ㆍ파이프 조립체(3)가 완성된다.
다음으로, 코일 조립체(2)와 바디ㆍ파이프 조립체(3)와의 연결 구조 및 조립 방법을 도8~도14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도8은, 코일 조립체(2)와 바디ㆍ파이프 조립체(3)과의 연결 구조 및 조립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9는 클립(91)의 사시도이고, 도10은, 클립(91)의 평면도이고, 도11은 클립(91)의 측면도이다. 또, 도12는, 클립(91)을 바디ㆍ파이프 조립체(3)와 코일 조립체(2)에 삽입 한 상태(조립 부착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13은 클립(91)의 삽입 상태를 나타내는 평단면도이고, 도14은 클립(91)의 삽입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바디ㆍ파이프 조립체(3)의 플레어 파이프(50)를, 코일 조립체(2)의 중공 구멍(24A)에, 코일 조립체(2)의 하면으로부터 삽입한다. 그리고, 도8에 화살표 X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바디ㆍ파이프 조립체(3)과 코일 조립체(2)에 대하여 횡 방향(예를 들면, 각 조립체의 중심선 Y에 대해 거의 직교하는 방향)으로부터 클립(91)을 꽂아 넣고, 코일 조립체(2)와 바디ㆍ파이프 조립체(3)을 연결한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클립(91)은, 1mm 정도의 두께의 스프링용 스테인레스 강판을 프레스 가공하고, 굽힘 가공한 것이다.
도8~도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클립(91)은, 선단(도10에서 우단)이 개구된 클립 본체(91A)를 가지고, 이 클립 본체(91A)는 그 폭 방향(도10에서 상하 방향)의 중앙부(후술하는 절결부(98)에 상당)에서 분단되어 있고, 이 중앙부의 양측에 한 쌍의 좌클립 본체편(92)과 우클립 본체편(95)을 구비한다. 좌클립 본체편(92)의 내주면에는, 원호상 내주부(92a)가 형성되고, 우클립 본체편(95)의 내주면에는 원호상 내주부(95a)가 형성되어 있다. 또, 클립(91)은, 선단이 개구된 판스프링부를 가지고, 이 판스프링부는 좌클립 본체편(92)에 대응하는 위치(도8에서 하측)에 좌판스프링부(93)를 구비하고, 우클립 본체편(95)에 대응하는 위치(도8에서 하측)에 우판스프링부(96)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클립(91)의 좌우는, 측면도인 도11의 좌측으로부터 본 도를 정면도로서 정의되고, 좌측(도10의 상측)에 위치하는 부위의 명칭에 「좌」를 붙이고, 우측(도10의 하측)에 위치하는 부위의 명칭에 「우」를 붙이고 있다.
좌클립 본체편(92)의 후단(도10에서 좌단)과 좌판스프링부(93)의 후단은 U자 형상으로 절곡된 연결부(99)에 의해 연결되고 우클립 본체편(95)의 후단(도10에서 좌단)과 우판스프링부(96)의 후단은, U자 형상으로 절곡된 연결부(94)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또, 연결부(94)와 연결부(99)는, 클립(91)의 폭 방향 중앙부에 형성된 절결부(98)에 의해 분단되어 있고, 절결부(98)에는, 외측(도10에서 좌측)으로 연설하여 손잡이부(97)가 형성되어 있다. 손잡이부(97)의 선단은, 도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측으로 구부러져, 걸이부(97a)가 형성되어 있다. 전자 밸브(1)을 분해하기 위해 클립(91)을 바디ㆍ파이프 조립체(3)와 코일 조립체(2)로부터 떼어낼 때에, 걸이부(97a)에 치구(治具)를 결합시켜 당겨 빼는 것에 의해, 클립(91)를 쉽게 떼어 낼 수 있다.
또, 도12~도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클립(91)의 좌클립 본체편(92)과 우클립 본체편(95)의 상면이, 스터핑 칼라부(43)의 하면과 당접하여 있다. 좌판스프링부(93)와 우판스프링부(96)는, 하향 원호 형상의 당접부(93a)와 당접부(96a)를 각각 구비하고, 당접부(93a)와 당접부(96a)는, 각각, 코어 칼라부(34)의 상면에 당접하여 있다. 좌판스프링부(93)와 우판스프링부(96)의 선단 부분(당접부(93a, 96a))의 횡폭(도10에서 상하 방향의 폭)은, 본 실시 형태에서는, 약 4.5mm로 하고 있다. 종래는, 0.8mm였기 때문에, 폭을 5배 이상으로 하는 것에 의해, 반복 하중에 대한 내구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좌판스프링부(93)과 우판스프링부(96)는, 도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바디ㆍ파이프 조립체(3)와 코일 조립체(2)에 대한 삽입 시에, 좌클립 본체편(92) 및 우클립 본체편(95)에 접근하는 방향(도14에서 상방향)으로 변형하여 삽입되어 있다. 좌판스프링부(93)과 우판스프링부(96)는, 상하 방향으로 스프링성(性)을 갖기 때문에, 스터핑 칼라부(43)와 코어 칼라부(34)를 각각 이간하는 방향(도14에서 상하 방향)으로 어징하여 있다. 이 좌판스프링부(93)과 우판스프링부(96)의 어징력(力)에 의해, 탄성력에 의해 코일 조립체(2)와 바디ㆍ파이프 조립체(3)가 연결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한 쌍의 좌판스프링부(93)과 우판스프링부(96)의 합계로 약 50N의 어징력으로 하고 있다.
도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좌판스프링부(93)의 당접부(93a) 및 우판스프링부(96)의 당접부(96a)가 코어 칼라부(34)의 상면에 당접하고 있는 위치는, 각각, 코일 몰드부(20)(코일(23), 코일 보빈(24))의 중심선 CL로부터, 거리 W 만큼, 연결부(94) 및 연결부(99)와 반대 측에 위치하고 있다.
즉, 클립(91)은, 코일 몰드부(20)(코일(23), 코일 보빈(24))의 중심선 CL을 기준으로 하여, 클립 본체(91A)의 폭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에 있어서, 연결부(94) 및 연결부(99)가 한 쪽 측(도14에서 좌측)에 위치하고, 좌판스프링부(93)의 당접부(93a) 및 우판스프링부(96)의 당접부(96a)가 다른 쪽 측(도14에서 우측)에 위치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그 이유는, 상기와 같이 당업부(93a, 96a)가 다른 쪽 측에 위치하는 경우에는, 클립(91)의 좌판스프링부(93)과 우판스프링부(96)가 코어 칼라부(34)로부터 받는 반력(反力)의 수평 방향의 분력(分力)이, 항상 연결부(94) 및 연결부(99)와는 반대 방향으로 작용하기 때문에, 클립(91)이 빠지는 방향과 반대의 방향으로 작용하고, 클립(91)이 빠져 떨어지는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이상 상세하게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전자 밸브(1)는 (1) 중공 원통형상 코일 몰드부(20)(코일(23), 코일 보빈(24))와, 플런저(60)와, 밸브체(75)를 가지고, 코일 몰드부(20)에 통전하는 것에 의해, 플런저(60)를 흡인하여 밸브체(75)를 이동시키는 전자 밸브(1)에 있어서, 코일 몰드부(20)를 가지는 코일 조립체(2)와, 플런저(60)가 슬라이딩하는 내주면(슬라이딩 내면)(51a)을 구비한 플레어 파이프(50)가 바디(70)에 조립 부착된 바디ㆍ파이프 조립체(3)가, 각 조립체(2, 3)에 대하여 횡 방향으로부터 장착되는 클립(91)에 의해 연결되고, 클립(91)은, 코일 조립체(2)를 바디ㆍ파이프 조립체(3) 방향으로 어징하는 좌판스프링부(93) 및 우판스프링부(96)를 가진다. 이 전자 밸브(1)에 있어서, 바디ㆍ파이프 조립체(3)는, 코일 조립체(2)에 대한 부착을 위한 스터핑(40)을 포함하고, 이 스터핑(40)이 스터핑 칼라부(43)를 구비하고, 코일 조립체(2)는, 코일 몰드부(20)를 둘러싸고 자기 회로를 형성하는 자성체 코어를 구성하는 하부 코어(30)가 코어 칼라부(34)를 구비하고 있다. 좌판스프링부(93) 및 우판스프링부(96)는, 스터핑 칼라부 (43)와 코어 칼라부(34)와의 사이에 장착되어 있다. 클립(91)은, 선단이 개구된 클립 본체(91A)(원호상 내주부(92a)를 구비하는 좌클립 본체편(92)과 원호상 내주부(95a)를 구비하는 우클립 본체편(95))와, 선단이 개구된 판스프링부(좌판스프링부(93) 및 우판스프링부(96))와, 클립 본체(91A)(좌클립 본체편(92)과 우클립 본체편(95))의 후단과 판스프링부(좌판스프링부(93)와 우판스프링부(96))의 후단과를 각각 연결하는 연결부(94) 및 연결부(99)을 구비하고 있다. 클립(91)의 좌클립 본체편(92)과 우클립 본체편(95)이 스터핑 칼라부(43)의 하면과 당접하여 있다. 좌판스프링부(93)는 당접부(93a)를 구비하고, 우판스프링부(96)는 당접부(96a)를 구비하고, 당접부(93a) 및 당접부(96a)가 각각 코어 칼라부(34)의 상면에 당접하여 있다. 이것에 의해, 특허문헌1에서는, 클립 본체(192)와 판스프링(193)이 동일 평면상에서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었지만, 본 실시 형태에서는, 클립 본체(91A)와 판스프링부가, 전자 밸브(1)의 높이 방향에 있어서 상하로 배치되는 것에 의해, 높이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에 있어서, 좌판스프링부(93)과 우판스프링부(96)의 각 횡폭을 3~5mm 정도로 크게 할 수 있기 때문에, 판스프링의 피로 강도를 증가시킬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일천만 회 사용에 의해서도, 판스프링이 피로 파괴될 우려가 없다.
(2) (1)에 기재하는 전자 밸브(1)에 있어서, 클립 본체(91A)는, 그 폭 방향의 중앙부에서 분단되어 있고, 중앙부의 양측에 한 쌍의 좌클립 본체편(92)과 우클립 본체편(95)을 구비한다. 이것에 의해, 좌클립 본체편(92)과 좌판스프링부(93)와, 우클립 본체편(95)과 우판스프링부(96)가, 분리되어 있기 때문에, 서로의 스프링 작용에 있어서 독립하여 작용하기 때문에, 클립(91) 전체의 스프링 작용을 균일하게 할 수 있고, 좌판스프링부(93)과 우판스프링부(96)가 안정하여 코일 조립체(2)를 바디ㆍ파이프 조립체(3) 방향으로 어징할 수 있다.
(3) (1) 또는 (2)에 기재하는 전자 밸브(1)에 있어서, 코일 몰드부(20)(코일(23), 코일 보빈(24))의 중심선 CL을 기준으로 하여, 클립 본체(91A)의 폭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에 있어서, 연결부(94) 및 연결부(99)가 한 쪽 측에 위치하고, 좌판스프링부(93)의 당접부(93a) 및 우판스프링부(96)의 당접부(96a)가 다른 쪽 측에 위치한다. 이것에 의해, 좌판스프링부(93)과 우판스프링부(96)의 스프링 력이 항상 클립(91)이 빠지는 방향(연결부(94) 및 연결부(99)의 방향)과 역방향으로 작용하기 때문에, 전자 밸브(1)를 예를 들면 일천만 회 사용해도 클립(91)이 빠져 나가는 것 없이, 좌판스프링부(93)과 우판스프링부(96)가 안정하여 코일 조립체(2)를 바디ㆍ파이프 조립체(3)을 향하여 어징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본 실시 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응용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연결부(94) 및 연결부(99)을 U자 형상으로 하고 있지만, 90도 각형상으로 하여도 좋다.
1 전자 밸브
2 코일 조립체
3 바디ㆍ파이프 조립체
20 코일 몰드부
40 스터핑
50 플레어 파이프
60 플런저
91 클립
91A 클립 본체
92 좌클립 본체편
93 좌판스프링부
93a, 96a 당접부
94, 99 연결부
95 우클립 본체편
96 우판스프링부

Claims (3)

  1. 중공 원통형상의 솔레노이드부(20)와, 가동 철심(60)과, 밸브체(75)를 가지고, 상기 솔레노이드부(20)에 통전하는 것에 의해, 상기 가동 철심(60)을 흡인하여 상기 밸브체(75)를 이동시키는 전자 밸브(1)에 있어서,
    상기 솔레노이드부(20)를 가지는 코일 조립체(2)와, 상기 가동 철심(60)이 슬라이딩하는 슬라이딩 내면(51a)을 구비한 파이프(50)가 바디(70)에 조립 부착된 바디ㆍ파이프 조립체(3)가, 상기 각 조립체(2, 3)에 대하여 횡 방향으로부터 장착되는 클립(91)에 의해 연결되고, 상기 클립(91)이, 상기 코일 조립체(2)를 상기 바디ㆍ파이프 조립체(3)의 방향으로 어징하는 판스프링부(93, 96)를 가지고,
    상기 바디ㆍ파이프 조립체(3)는, 코일 조립체(2)에 대한 부착을 위한 스터핑(40)를 포함하고, 상기 스터핑(40)이 스터핑 칼라부(43)를 구비하고,
    상기 코일 조립체(2)는 상기 솔레노이드부(20)를 둘러싸고 자기 회로를 형성하는 자성체 코어(10,30)를 포함하고, 상기 자성체 코어(10, 30)가 코어 칼라부(34)을 구비하고,
    상기 판스프링부(93, 96)는 상기 스터핑 칼라부(43)와 상기 코어 칼라부(34)와의 사이에 장착되어 있고,
    상기 클립(91)은, 선단이 개구되고 원호상 내주부(92a, 95a)를 구비하는 클립 본체(91A)와, 선단이 개구된 판스프링부(93, 96)와, 상기 클립 본체(91A)의 후단과 상기 판스프링부(93, 96)의 후단을 연결하는 연결부(94, 99)를 구비하고,
    상기 클립(91)의 클립 본체(91A)가 상기 스터핑 칼라부(43)와 당접하여 있고,
    상기 판스프링부(93, 96)는 당접부(93a, 96a)를 구비하고, 상기 당접부(93a, 96a)가 상기 코어 칼라부(34)에 당접하여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밸브.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클립 본체(91A)는, 그 폭 방향의 중앙부에서 분단되어 있고, 상기 중앙부의 양측에 한 쌍의 클립 본체편(92, 95)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밸브.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솔레노이드부(20)의 중심선(CL)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클립 본체(91A)의 폭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94, 99)가 한 쪽 측에 위치하고, 상기 판스프링부(93, 96)의 당접부(93a, 96a)가 다른 쪽 측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밸브.
KR1020200119679A 2019-10-07 2020-09-17 전자 밸브 KR2021004148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46822A KR20220052891A (ko) 2019-10-07 2022-04-15 전자 밸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9184298A JP7339839B2 (ja) 2019-10-07 2019-10-07 電磁弁
JPJP-P-2019-184298 2019-10-07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46822A Division KR20220052891A (ko) 2019-10-07 2022-04-15 전자 밸브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41487A true KR20210041487A (ko) 2021-04-15

Family

ID=72644062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19679A KR20210041487A (ko) 2019-10-07 2020-09-17 전자 밸브
KR1020220046822A KR20220052891A (ko) 2019-10-07 2022-04-15 전자 밸브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46822A KR20220052891A (ko) 2019-10-07 2022-04-15 전자 밸브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1) EP3805621B8 (ko)
JP (1) JP7339839B2 (ko)
KR (2) KR20210041487A (ko)
CN (1) CN112696523A (ko)
TW (1) TWI746180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228886A1 (en) * 2021-04-26 2022-11-03 Belimo Holding Ag Field-device coupling with locking features
CN114396503A (zh) * 2022-02-25 2022-04-26 惠州市盈毅电机有限公司 一种簧片型微电磁阀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19550B2 (ja) 1976-11-20 1983-04-19 住友重機械工業株式会社 隔膜を備えた異種の液体を入れる容器の製造方法
JP2018179120A (ja) 2017-04-12 2018-11-15 Ckd株式会社 電磁弁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970953A (en) * 1999-01-12 1999-10-26 Siemens Automotive Corporation High pressure injector clip
DE10358912A1 (de) * 2003-12-16 2005-09-08 Robert Bosch Gmbh Brennstoffeinspritzsystem
EP1892408B1 (en) * 2006-08-21 2009-10-21 Continental Automotive GmbH Injector, fuel cup and holder
JP5822272B2 (ja) * 2012-02-27 2015-11-24 株式会社ケーヒン 燃料噴射弁の支持構造
JP6074794B2 (ja) * 2012-11-05 2017-02-08 株式会社ケーヒン 燃料噴射弁の支持構造
JP5423865B2 (ja) * 2012-11-08 2014-02-19 株式会社デンソー 燃料噴射装置およびクランプ部材
ITUA20164402A1 (it) * 2016-06-15 2017-12-15 Parker Hannifin Mfg Switzerland Sa A valve / una valvola
JP6533803B2 (ja) * 2017-03-27 2019-06-19 Ckd株式会社 電磁弁、及び電磁弁の製造方法
KR101938481B1 (ko) * 2017-06-23 2019-01-14 주식회사 현대케피코 인젝터용 클립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19550B2 (ja) 1976-11-20 1983-04-19 住友重機械工業株式会社 隔膜を備えた異種の液体を入れる容器の製造方法
JP2018179120A (ja) 2017-04-12 2018-11-15 Ckd株式会社 電磁弁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52891A (ko) 2022-04-28
TWI746180B (zh) 2021-11-11
JP2021060074A (ja) 2021-04-15
EP3805621A1 (en) 2021-04-14
EP3805621B8 (en) 2023-06-07
CN112696523A (zh) 2021-04-23
EP3805621B1 (en) 2023-04-26
JP7339839B2 (ja) 2023-09-06
TW202118962A (zh) 2021-05-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20052891A (ko) 전자 밸브
US9677683B2 (en) Solenoid valve assembly for a seat of a vehicle
CN108662251B (zh) 电磁阀以及电磁阀的制造方法
WO2011142258A1 (ja) 電磁式燃料噴射弁
US20060054851A1 (en) Solenoid having reduced operating noise
JP2018162867A5 (ko)
JP4591224B2 (ja) 電磁継電器
US7221248B2 (en) Solenoid with noise reduction
CN108662250B (zh) 电磁阀
CN110894891B (zh) 螺线管、电磁阀以及组装方法
JP2009108842A (ja) 燃料噴射弁
JP2018162868A5 (ko)
KR20140108602A (ko) 연료 분사 밸브
JP2018179120A (ja) 電磁弁
EP1170500A1 (en) Fuel injection valve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JP2007009764A (ja) 燃料噴射弁
JPH09217854A (ja) 円筒形状部材の支持構造及び支持構造を備えた電磁弁
CN110718350B (zh) 具有支承元件的电磁的执行器
JP2016160992A (ja) 無励磁作動ボールジョイント
KR20030031864A (ko) 전자 밸브 및 3방 전자 밸브
JP2020107688A (ja) ソレノイド
CN115596872A (zh) 电动阀
JP2017172435A (ja) 電磁式燃料噴射弁
JPS6254408A (ja) 自己保持型ソレノイド
KR20160108894A (ko) 콘택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601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