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39713A - 면요리용 국자 - Google Patents

면요리용 국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39713A
KR20210039713A KR1020190122284A KR20190122284A KR20210039713A KR 20210039713 A KR20210039713 A KR 20210039713A KR 1020190122284 A KR1020190122284 A KR 1020190122284A KR 20190122284 A KR20190122284 A KR 20190122284A KR 20210039713 A KR20210039713 A KR 202100397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dle
specific
magnetic plate
active magnetic
rak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222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11280B1 (ko
Inventor
임소영
Original Assignee
임소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소영 filed Critical 임소영
Priority to KR10201901222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11280B1/ko
Publication of KR202100397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397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112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112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28Other culinary hand implements, e.g. spatulas, pincers, forks or like food holders, ladles, skimming ladles, cooking spoons; Spoon-holders attached to cooking pots
    • A47J43/284Hand implements for separating solids from liquids or liquids from liquids
    • A47J43/285Skimmers; Skimming lad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4/00Multi-purpose machines for preparing food with several driving units
    • A47J44/02Multi-purpose machines for preparing food with several driving units with provisions for drive either from top or from bottom, e.g. for separately-driven bowl

Abstract

본 발명에 따르면, 면과 국물을 함께 뜰 수 있는 국자로서, 상기 국자의 기울기를 기초로 열린 상태 또는 닫힌 상태에 해당하면서 면을 고정할 수 있는 복수 개의 집게부, 상기 복수 개의 집게부를 가장자리에 포함하고 있는 국자헤드부 및 상기 국자헤드부와 연결되고 손잡이를 포함하는 국자기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요리용 국자를 제시한다.

Description

면요리용 국자{LADLE FOR NOODLE}
본 발명은 면요리용 국자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면과 국물을 함께 뜰 수 있는 국자로서, 상기 국자의 기울기를 기초로 열린 상태 또는 닫힌 상태에 해당하면서 면을 고정할 수 있는 복수 개의 집게부, 상기 복수 개의 집게부를 가장자리에 포함하고 있는 국자헤드부 및 상기 국자헤드부와 연결되고 손잡이를 포함하는 국자기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요리용 국자에 관한 것이다.
면을 요리한 후 국물과 함께 개별 그릇에 담기 위해서 이전에는 국물 뜨는 조리기구 및 면을 뜨는 조리기구 각각을 이용하였다. 특히, 면을 뜨는 조리기구로 갈퀴형, 망형, 집게형, 젓가락형 등 다양한 형태가 존재하였다.
위와 같이 2개의 조리기구를 각각 사용하는 경우 조리기구 2개를 각각 구매해야하고, 면과 국물을 뜨기 위해 번갈아가면서 사용해야하며, 설거지를 해야할 기구도 늘어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해결 방안으로 갈퀴모양이 있는 면 국자가 이용되었으나, 면과 국물을 뜨는 두가지 기능 모두 제대로 작동되지 않았고 뜨거운 국물이 튀어 화상의 위험이 항상 존재하였었다. 특히, 국물의 부력에 의해 면이 국물 위로 함께 떠오르면서 국자 헤드의 갈퀴 사이로 면이 다시 흘러내리는 경우가 많았다.
따라서, 본 발명자는 면과 국물을 동시에 뜨면서 기능을 제대로 발휘할 수 있는 면요리용 국자를 제안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모두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개의 집게 형태의 갈퀴를 통해 면을 손쉽게 뜨도록 지원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별도의 동작없이 국자의 기울기에 따라 면을 들었다가 놓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국물과 면을 뜨기 위한 2개의 조리기구를 각각 구입하지 않아도 되어 조리도구 구입에 따른 비용이 절감되며, 국물과 면 모두 효율적으로 한번에 옮겨 담을 수 있어 스마트한 조리활동을 지원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2개의 개별적 조리기구를 번갈아 사용할 때 보다 더 편리하고, 실제 조리시 해당 조리도구의 활용도 역시 높아지며, 설거지 거리가 줄어들어 조리 후 뒷 정리 시간의 단축으로 가사노동 시간이 단축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고, 후술하는 본 발명의 특징적인 효과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적인 구성은 하기와 같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면과 국물을 함께 뜰 수 있는 국자로서, 상기 국자의 기울기를 기초로 열린 상태 또는 닫힌 상태에 해당하면서 면을 고정할 수 있는 복수 개의 집게부, 상기 복수 개의 집게부를 가장자리에 포함하고 있는 국자헤드부 및 상기 국자헤드부와 연결되고 손잡이를 포함하는 국자기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요리용 국자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여러 개의 집게 형태의 갈퀴를 통해 면을 손쉽게 뜨도록 지원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별도의 동작없이 국자의 기울기에 따라 면을 들었다가 놓을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국물과 면을 뜨기 위한 2개의 조리기구를 각각 구입하지 않아도 되어 조리도구 구입에 따른 비용이 절감되며, 국물과 면 모두 효율적으로 한번에 옮겨 담을 수 있어 스마트한 조리활동을 지원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2개의 개별적 조리기구를 번갈아 사용할 때 보다 더 편리하고, 실제 조리시 해당 조리도구의 활용도 역시 높아지며, 설거지 거리가 줄어들어 조리 후 뒷 정리 시간의 단축으로 가사노동 시간이 단축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면요리용 국자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고정갈퀴 및 동작갈퀴의 작동 원리를 구체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국자헤드부 내부에 존재하는 복수 개의 구슬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국자 내부에 존재하는 활동자석판 및 신호구슬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활동자석판의 자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신호구슬의 움직임에 따라 복수 개의 구슬이 회전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에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면요리용 국자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국자는 면과 국물을 함께 뜨기 위한 것으로 복수 개의 집게부(200)를 가장자리에 포함하고 있는 국자헤드부(100), 국자의 기울기를 기초로 열린 상태 또는 닫힌 상태에 해당하면서 면을 고정할 수 있는 복수 개의 집게부(200) 및 국자헤드부(100)와 연결되고 손잡이를 포함하는 국자기둥부(30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a)에서 볼 수 있듯이, 본 발명의 국자에서는 국자헤드부(100)의 가장자리에 여러 개의 집게부(200)를 포함하고 있다.
국자의 기울기가 수직방향인 경우 도 1(a)와 같이 상기 집게부(200)는 갈퀴모양이 닫힌 상태에 해당할 수 있고, 국자가 기울어진 경우 도 1(b)와 같이 집게부(200)는 갈퀴모양이 열린 상태에 해당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국자는 국자헤드부(100)상에 존재하는 집게부(200)가 국자의 세워져 있는 기울기 각도 상태에 따라 변할 수 있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i) 처음 국자가 세워진 경우 집게부(200)는 닫힌 상태에 해당하고, ii) 국자가 기울어지면 집게부(200)가 열린 상태에 해당하면서 면과 국물을 뜨기 위한 준비를 할 수 있고, iii) 국자가 다시 세워지면서 집게부(200)는 닫힌 상태에 해당하고 국자에 담긴 면은 집게부(200)를 통해 고정, 국물이 빠져나갈 틈을 막을 수 있다. iv) 또한, 다른 용기에 상기 국자를 기울이면서 집게부(200)는 열린 상태에 해당하고 면과 국물을 다른 용기에 옮길 수 있는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고정갈퀴 및 동작갈퀴의 작동 원리를 구체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우선, 국자헤드부(100)의 가장자리에 위치하는 복수 개의 집게부(200) 각각은 고정갈퀴(210) 및 동작갈퀴(220)를 포함할 수 있으며, 각각의 고정갈퀴(210)와 동작갈퀴(220)는 서로 대응될 수 있다.
상기 고정갈퀴(210)는 국자 상태와 상관이 없이 해당하는 위치에 고정되어 있고, 상기 동작갈퀴(220)는 국자의 기울기에 따라 좌우로 움직여 상기 집게부(200)가 열린 상태 또는 닫힌 상태에 해당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특정 동작갈퀴(220)가 특정 고정갈퀴(210)와 접촉하면 집게부(200)는 닫힌 상태에 해당하고, 특정 동작갈퀴(220)가 특정 고정갈퀴(210)와 접촉하지 않으면 집게부(200)는 열린 상태에 해당할 것이다.
참고로, 도 2(a)는 고정갈퀴(210)와 동작갈퀴(220)가 서로 접촉되어 있으므로 닫힌 상태에 해당하고, 도 2(b)는 고정갈퀴(210)와 동작갈퀴(220)가 서로 접촉되어 있지 않으므로 열린 상태에 해당할 것이다.
전술하였듯이, 국자의 기울기에 따라 집게부(200)의 상태가 변화할 것이다.
국자의 기울기가 수직방향으로 국자가 세워져 있는 경우, 특정 동작갈퀴(220)는 특정 고정갈퀴(210)와 접촉하도록 이동하여 집게부(200)는 닫힌 상태에 해당할 것이다.
반면, 국자가 기울어진 경우, 특정 동작갈퀴(220)는 특정 고정갈퀴(210)와 접촉하지 않도록 이동하여 집게부(200)는 열린 상태에 해당할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국자헤드부 내부에 존재하는 복수 개의 구슬을 나타낸 도면이다.
국자헤드부(100)의 내부에는 일렬로 연결된 복수 개의 구슬('구슬더미'라고 할 수도 있음)이 존재하며, 상기 구슬들은 국자헤드부(100)의 모양에 따라 원 형태로 일렬로 꿰어져 국자 내부에 숨겨진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상기 도 3(a)는 국자헤드부(100) 내부에 숨겨진 복수 개의 구슬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3(b)는 그 중 일부 구간을 자세히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에서 볼 수 있듯이, 상기 복수 개의 구슬은 복수 개의 제1 소정 구슬(110) 및 복수 개의 제2 소정 구슬(120)이 번갈아 가면서 연결된 형태로 이루어져 있다.
즉, 제1 소정 구슬(110), 제2 소정 구슬(120), 제1 소정 구슬(110), 제2 소정 구슬(120) 순서로 병렬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것이다.
이때, 상기 복수 개의 제2 소정 구슬(120)은 복수 개의 동작갈퀴(220)와 각각 연결되어 복수 개의 동작갈퀴(220)의 이동을 지원할 수 있다.
도 3(b)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국자헤드부(100) 외부의 가장자리에 존재하는 고정갈퀴(210)가 각 위치에 고정되어 있는 상태에서, 국자헤드부(100) 내부의 복수 개의 구슬(제1 소정 구슬, 제2 소정 구슬)들이 좌우로 움직이게 된다.
이때, 상기 제2 소정 구슬(120)에 연결(부착)된 동작갈퀴(220) 역시 좌우로 움직이게 되고, 이동에 따라 고정 갈퀴(210)와 접촉하거나 접촉하지 않게 되는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국자 내부에 존재하는 활동자석판 및 신호구슬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활동자석판의 자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국자는 국자헤드부(100) 및 국자기둥부(300)가 연결된 접점 내부에 구 형태의 활동자석판(400)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활동자석판(400)의 중심부는 국자헤드부(100) 및 국자기둥부(300)의 연결 접점에 위치하며, 상기 국자기둥부(300)와 연결될 수 있다.
국자의 기울기가 수직방향 즉, 국자가 세워진 경우를 가정할 때, 활동자석판(400)의 상단부 중 일부에 해당하는 영역을 제1 영역, 상단부 중 나머지 영역을 제2 영역, 하단부에 해당하는 영역을 제3 영역이라고 상정할 수 있다.
활동자석판(400)은 외관 및 내관을 포함하며, 외관은 제1 영역, 제2 영역 및 제3 영역을 모두 포함하나, 내관은 제2 영역 및 제3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외관안에 내관을 두어 제1 영역과 제2, 3 영역을 각각 구분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내관에 포함되지 않는 영역인 제1 영역에는 신호구슬(500)이 존재할 수 있다.
참고로, 상기 제1 영역, 상기 제2 영역, 상기 제3 영역은 도 5와 같이 위치가 고정되는 것은 아니고, 상황에 따라 위치가 변경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6과 함께 후술하기로 한다.
또한, 도 4에서 볼 수 있듯이, 활동자석판(400)은 국자헤드부(100) 및 국자기둥부(300)의 내부에 걸쳐져 존재하며, 활동자석판(400)을 통해 국자헤드부(100)의 내부에서 움직이는 복수 개의 구슬(110, 120)들과 신호구슬(500)이 움직이는 공간이 구분될 수 있다. 참고로, 신호구슬(500)은 활동자석판(400)의 내부에서만 움직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 개의 구슬(110, 120)의 양 끝에 해당하는 2개의 구슬 사이에 상기 활동자석판(400)이 위치할 수 있고, 상기 2개의 구슬은 국자헤드부(100) 및 국자기둥부(300)이 접하는 지점 부근에 위치할 수 있다.
한편, 설명의 편의상 N극 또는 S극 중 어느 하나는 제1 극, 다른 하나는 제2 극이라고 상정할 수 있다.
이때, 일렬로 연결된 복수 개의 구슬의 한쪽 끝에 해당하는 제1 특정 구슬은 제1 극(N극 또는 S극)의 자성을 가지며, 다른 끝에 해당하는 제2 특정 구슬은 제2 극(S극 또는 N극)의 자성을 가진다고 할 수 있다.
참고로, 도 4에서는 상단에 위치하는 구슬이 N극, 하단에 위치하는 구슬이 S극을 가진다고 표현되었다.
또한, 활동자석판(400)의 상단부가 자성을 가진다고 할 때, 제1 영역은 제1 극의 자성을 가지며, 제2 영역은 제2 극의 자성을 가진다고 할 수 있다. 참고로, 활동자석판(400)의 상단부를 자성부라고도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영역은 신호구슬(500) 보관 위치에 해당하여 속이 빈 형태로 내관이 설계되어, 제1 영역을 감싸고 있는 활동자석판(400)의 내관 벽면의 판막에서 상기 제1 극의 자성을 가지고 있다.
또한, 제2 영역에서는 전체에서 제2 극의 자성을 가지고 있다. 상기 제2 영역의 전체는 활동자석판(400)의 내관 중 제2 영역에 해당하는 전체 영역을 의미할 수 있다.
참고로, 도 5(b)에서는 제1 영역은 N극의 자성을 가지고, 제2 영역은 S극의 자성을 가진다고 표현되었다.
한편, 이하에서는 신호구슬(500)의 위치와 집게부(200)의 상태의 관계의 작동 원리에 대해서 서술하도록 하겠다. 참고로, 본 발명에서는 자성의 원리 및 중력의 법칙을 기본적으로 고려하였다.
간단히 설명하면, 국자의 기울기에 따라 신호구슬(500)의 위치가 변하게 되고 신호구슬(500)의 이동은 자성을 띄고 있는 활동자석판(400)의 위치를 변경시키며, 상기 활동자석판(400)의 자성이 복수 개의 구슬(구슬 더미) 중 양 끝에 해당하는 2개(제1 특정 구슬, 제2 특정 구슬)의 구슬의 위치를 변경시키고, 복수 개의 구슬을 이동시킬 수 있다. 이때, 동작갈퀴(220)가 움직이게 되고 집게부(200)의 상태가 열림과 닫힘을 반복하게 되는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신호구슬의 움직임에 따라 복수 개의 구슬이 회전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우선, 국자의 기울기가 수직방향인 경우, 활동자석판(400)의 제2 영역(제2 극의 자성을 가짐)이 국자헤드부(100)의 내부에 포함되어, 제1 특정 구슬(제1 극의 자성을 가짐)은 활동자석판(400)으로 가까워지고 제2 특정 구슬은 활동자석판(400)으로부터 멀어지도록 상기 복수 개의 구슬이 함께 회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6(a)와 같이, 상단의 제1 특정 구슬은 N극의 자성을 가지므로 S극의 자성을 가지는 활동자석판(400)의 제2 영역으로 이동하고, 하단의 제2 특정 구슬은 S극의 자성을 가지므로 활동자석판(400)의 제2 영역과 멀어지도록 이동할 것이다. 즉, 복수 개의 구슬이 시계방향으로 함께 회전하게 될 것이다.
위와 같이, 복수 개의 구슬이 함께 회전(시계방향)하게 되는 경우, 제2 소정 구슬(120)에 연결된 동작갈퀴(220) 각각이 복수 개의 고정갈퀴(210) 각각과 접촉하도록 이동하고 집게부(200)는 닫힌 상태에 해당할 것이다.
결국, 국자가 수직으로 세워진 경우 집게부(200)는 닫힌 상태에 해당하고 면이 떨어지지 않도록 고정시킬 수 있는 것이다.
반면에, 국자가 수직방향에서 기울어지는 경우, 중력의 법칙에 따라 제1 영역에 포함된 신호구슬(500)이 국자헤드부(100)의 내부로 굴러 이동하면서 활동자석판(400)의 제1 영역이 국자헤드부(100)의 내부로 포함될 수 있다. 참고로, 국자헤드부(100)의 내부에 포함되었던 제2 영역은 하단으로 회전 이동하게 될 것이다.
이때, 제1 특정 구슬(제1 극의 자성을 가짐)은 활동자석판(400)으로부터 멀어지고 제2 특정 구슬(제2 극의 자성을 가짐)은 활동자석판(400)으로 가까워지도록 상기 복수 개의 구슬이 함께 회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6(b)와 같이, 상단의 제1 특정 구슬은 N극의 자성을 가지므로 N극의 자성을 가지는 활동자석판(400)의 제1 영역과 멀어지도록 이동하고, 하단의 제2 특정 구슬은 S극의 자성을 가지므로 활동자석판(400)의 제1 영역으로 이동할 것이다. 즉, 복수 개의 구슬은 반시계방향으로 함께 회전하게 될 것이다.
위와 같이, 복수 개의 구슬이 함께 회전(반시계방향)하게 되는 경우, 제2 소정 구슬(120)에 연결된 동작갈퀴(220) 각각이 복수 개의 고정갈퀴(210) 각각과 접촉하지 않도록 이동하고 집게부(200)는 열린 상태에 해당할 것이다.
결국, 국자가 기울어진 경우 집게부(200)는 열린 상태에 해당하고 면이 고정되지 않고 떨어지게 될 것이다.
또한, 도 6(c)와 같이, 기울어졌던 국자를 다시 수직방향으로 세우는 경우, 신호구슬(500)이 중력에 따라 국자헤드부(100) 밖으로 이동하면서 활동자석판(400) 역시 밖으로 이동하게 될 것이다.
즉, 활동자석판(400)의 제1 영역은 신호구슬(500)과 함께 국자헤드부(100) 밖으로 이동하고, 제2 영역은 상단으로 이동하여 국자헤드부(100) 내부에 포함될 것이다.
제2 극의 자성을 나타내는 제2 영역이 국자헤드부(100) 내부에 위치하게 됨에 따라, 제1 특정 구슬(제1 극의 자성을 가짐)이 제2 영역으로 이동하게 되고, 제2 특정 구슬(제2 극의 자성을 가짐)이 제2 영역으로 멀어지도록 이동하게 되어 복수 개의 구슬은 시계방향으로 함께 회전 이동하게 될 것이다.
결국, 동작갈퀴(220)들 역시 시계방향으로 이동하게 되어 고정갈퀴(210)와 접촉하게 되고, 집게부(200)는 닫힌 상태가 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된 일 실시예에 따른 면요리용 국자의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 국자헤드부
110 : 제1 소정 구슬
120 : 제2 소정 구슬
200 : 집게부
210 : 고정갈퀴
220 : 동작갈퀴
300 : 국자기둥부
400 : 활동자석판
500 : 신호구슬

Claims (8)

  1. 면과 국물을 함께 뜰 수 있는 국자로서,
    상기 국자의 기울기를 기초로 열린 상태 또는 닫힌 상태에 해당하면서 면을 고정할 수 있는 복수 개의 집게부;
    상기 복수 개의 집게부를 가장자리에 포함하고 있는 국자헤드부; 및
    상기 국자헤드부와 연결되고 손잡이를 포함하는 국자기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요리용 국자.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집게부 각각이 고정갈퀴 및 동작갈퀴를 포함하고, 특정 고정갈퀴는 상기 국자헤드부의 특정 위치에 고정되어 있고, 특정 동작갈퀴가 상기 특정 고정갈퀴와 대응된다고 할 때,
    상기 특정 동작갈퀴가 상기 특정 고정갈퀴와 접촉하면 상기 집게부는 닫힌 상태에 해당하고, 상기 특정 동작갈퀴가 상기 특정 고정갈퀴와 접촉하지 않으면 상기 집게부는 열린 상태에 해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요리용 국자.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국자의 기울기가 수직방향일 경우, 상기 특정 동작갈퀴는 상기 특정 고정갈퀴와 접촉하도록 이동하여 상기 집게부는 닫힌 상태에 해당하고,
    상기 국자가 기울어진 경우, 상기 특정 동작갈퀴는 상기 특정 고정갈퀴와 접촉하지 않도록 이동하여 상기 집게부는 열린 상태에 해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요리용 국자.
  4.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국자헤드부의 내부에 일렬로 연결된 복수 개의 구슬이 존재하고, 상기 복수 개의 구슬은 복수 개의 제1 소정 구슬 및 복수 개의 제2 소정 구슬이 번갈아 가면서 연결된 형태로 이루어져 있다고 할 때,
    상기 복수 개의 제2 소정 구슬은 상기 복수 개의 동작갈퀴와 각각 연결되어 상기 복수 개의 동작갈퀴의 이동을 지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요리용 국자.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국자는 상기 국자헤드부 및 상기 국자기둥부가 연결된 접점 내부에 구 형태의 활동자석판을 포함하는 상태에서,
    상기 국자의 기울기가 수직방향일 때 상기 활동자석판의 상단부 중 일부에 해당하는 영역을 제1 영역, 상기 상단부 중 나머지 영역을 제2 영역, 하단부에 해당하는 영역을 제3 영역이라고 할 때,
    상기 활동자석판의 내관은 상기 제2 영역 및 상기 제3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내관에 포함되지 않은 영역인 상기 제1 영역에 신호구슬이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요리용 국자.
  6. 제5 항에 있어서,
    N극 또는 S극 중 어느 하나는 제1 극, 다른 하나는 제2 극이라고 상정한 상태에서,
    상기 일렬로 연결된 복수 개의 구슬의 한쪽 끝에 해당하는 제1 특정 구슬은 상기 제1 극의 자성을 가지며, 다른 끝에 해당하는 제2 특정 구슬은 상기 제2 극의 자성을 가지고,
    상기 활동자석판의 상기 제1 영역은 제1 극의 자성을 가지며 상기 제2 영역은 제2 극의 자성을 가진다고 할 때,
    i) 상기 국자의 기울기가 수직방향인 경우, 상기 활동자석판의 상기 제2 영역이 상기 국자헤드부의 내부에 포함되어, 상기 제1 특정 구슬은 상기 활동자석판으로 가까워지고 상기 제2 특정 구슬은 상기 활동자석판으로부터 멀어지도록 상기 복수 개의 구슬이 함께 회전하며, ii) 상기 국자가 기울어진 경우, 상기 활동자석판의 상기 제1 영역이 상기 국자헤드부의 내부에 포함되어, 상기 제1 특정 구슬은 상기 활동자석판으로부터 멀어지고 상기 제2 특정 구슬은 상기 활동자석판으로 가까워지도록 상기 복수 개의 구슬이 함께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요리용 국자.
  7. 제6 항에 있어서,
    i) 상기 국자의 기울기가 수직방향인 경우, 상기 활동자석판의 상기 제2 영역이 상기 국자헤드부의 내부에 포함되어, 상기 제1 특정 구슬은 상기 활동자석판으로 가까워지고 상기 제2 특정 구슬은 상기 활동자석판으로부터 멀어지도록 상기 복수 개의 구슬이 함께 회전하며, 연결된 상기 복수 개의 동작갈퀴 각각이 복수 개의 고정갈퀴 각각과 접촉하도록 이동하여 상기 집게부는 닫힌 상태에 해당하고, ii) 상기 국자가 기울어진 경우, 상기 활동자석판의 상기 제1 영역이 상기 국자헤드부의 내부에 포함되어, 상기 제1 특정 구슬은 상기 활동자석판으로부터 멀어지고 상기 제2 특정 구슬은 상기 활동자석판으로 가까워지도록 상기 복수 개의 구슬이 함께 회전하며, 연결된 상기 복수 개의 동작갈퀴 각각이 상기 복수 개의 고정갈퀴 각각과 접촉하지 않도록 이동하여 상기 집게부는 열린 상태에 해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요리용 국자.
  8.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국자의 기울기가 수직방향에서 기울어지는 경우, 상기 활동자석판의 상기 제1 영역에 포함된 상기 신호구슬이 상기 국자헤드부의 내부로 굴러 이동하면서 상기 제1 영역이 상기 국자헤드부의 내부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요리용 국자.
KR1020190122284A 2019-10-02 2019-10-02 면요리용 국자 KR1023112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2284A KR102311280B1 (ko) 2019-10-02 2019-10-02 면요리용 국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2284A KR102311280B1 (ko) 2019-10-02 2019-10-02 면요리용 국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39713A true KR20210039713A (ko) 2021-04-12
KR102311280B1 KR102311280B1 (ko) 2021-10-08

Family

ID=754400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22284A KR102311280B1 (ko) 2019-10-02 2019-10-02 면요리용 국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11280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540781A1 (de) * 1995-05-26 1996-11-28 Dieter Anschuetz Schöpflöffel mit Separiereinsatz
KR200387983Y1 (ko) * 2005-04-12 2005-06-28 김혜주 면이 흘러내리지 않는 국자
WO2007138587A2 (en) * 2006-05-31 2007-12-06 Visionary Ltd. Liquid colander - ladl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540781A1 (de) * 1995-05-26 1996-11-28 Dieter Anschuetz Schöpflöffel mit Separiereinsatz
KR200387983Y1 (ko) * 2005-04-12 2005-06-28 김혜주 면이 흘러내리지 않는 국자
WO2007138587A2 (en) * 2006-05-31 2007-12-06 Visionary Ltd. Liquid colander - lad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11280B1 (ko) 2021-10-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310345T3 (es) Lavavajillas.
CN101229010A (zh) 具有可调流出槽和可移动的水盘的餐盘架
KR20210039713A (ko) 면요리용 국자
US2503795A (en) Roast rack
US2799424A (en) Compartmented dishpan
ES2438771T3 (es) Soporte para vajilla para lavavajillas
JP5970634B2 (ja) 洗濯機用かさ上げ工具
CN107569044A (zh) 一种新型金属咖啡壶
CN219374414U (zh) 一种清洗方便的火锅锅具
CN205162833U (zh) 一种自助餐炉
CN204181481U (zh) 锅胆及使用该锅胆的电饭煲
JP6999881B2 (ja) 蓋、調理器具セット、及びつまみ
KR102511452B1 (ko) 국그릇 받침대
US2258484A (en) Stand for coffee makers
CN210748900U (zh) 一种烫粉用粉篱
JP4988940B1 (ja) フライパンの蓋
JP3172613U (ja) お玉杓子の柄部と握り部に左右方向いずれかの傾き角を有するお玉杓子。
TWM644782U (zh) 多功能餐具結構
JP5806788B1 (ja) 固定用治具および物品の固定工法
JP3233771U (ja) 玩具
JP2010184006A (ja) 食器設置具およびこの食器設置具を設けた食器洗い機、食器乾燥機
KR101333643B1 (ko) 업소용 식기세척기의 숟가락 세척 랙
CN208693184U (zh) 一种可清洁倾斜墙面的平面地拖
CN105902201A (zh) 一种多功能汤勺
KR101555359B1 (ko) 주방용 선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