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37863A - 자동차 헤드라이트 결로방지 제습제 및 제습제품 - Google Patents

자동차 헤드라이트 결로방지 제습제 및 제습제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37863A
KR20210037863A KR1020190120308A KR20190120308A KR20210037863A KR 20210037863 A KR20210037863 A KR 20210037863A KR 1020190120308 A KR1020190120308 A KR 1020190120308A KR 20190120308 A KR20190120308 A KR 20190120308A KR 20210037863 A KR20210037863 A KR 202100378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humidifying
cellulose
preventing condensation
dehumidifying agent
ag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203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81021B1 (ko
Inventor
박상우
Original Assignee
(주)업산씨엠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업산씨엠티 filed Critical (주)업산씨엠티
Priority to KR10201901203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81021B1/ko
Publication of KR202100378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378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810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810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26Drying gases or vapours
    • B01D53/261Drying gases or vapours by adsorp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5/00Arrangements within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for purposes other than emission or distribution of light
    • F21S45/30Ventilation or drainage of lighting devices
    • F21S45/33Ventilation or drainage of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headlam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53/00Adsorbents used in seperation treatment of gases and vapours
    • B01D2253/10Inorganic adsorb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53/00Adsorbents used in seperation treatment of gases and vapours
    • B01D2253/20Organic adsorbents
    • B01D2253/202Polymeric adsorb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Drying Of Gases (AREA)
  • Solid-Sorbent Or Filter-Aiding Composi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 헤드라이트 결로방지 제습제에 관한 것으로, 메틸 셀룰로오스(Methyl cellulose), 에틸 셀룰로오스(ethyl cellulose), 하이드록시프로필 메틸 셀룰로오스(Hydroxypropyl Methyl cellulose), 하이드록시에틸 셀룰로오스(Hydroxyethyl cellulose) 및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오스(carboxymethyl cellulose)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염화 마그네슘(magnesium chloride) 및 염화 칼슘(calcium chloride)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흡습제; 및 산화 마그네슘(magnesium oxide) 및 산화 칼슘(calcium oxide)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경화제;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자동차 헤드라이트 결로방지 제습제 및 제습제품{Dehumidifying agent and dehumidification product for automobile headlight dew condensation prevention}
본 발명은 자동차 헤드라이트 결로방지 제습제 및 제습제품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운송 및 보관 시 헤드램프, 리어램프 및 안개등 등의 결로의 문제점이 계속해서 발생하고 있으며, 이로 인한 산업적 손실이 증대되고 있다.
자동차의 램프는 우천 시와 같이 습도가 높은 환경에서 부품 내외부의 온도차가 큰 경우, 램프 렌즈 온도가 낮아지게 되면, 램프 내부의 수분이 응축되어 렌즈 내부 표면에 미세한 물방울이 맺혀 김이 서리게 되고, 이로 인한 광산란 현상은 자동차 안전 운행에 큰 장애가 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현 자동차 산업은 방담코팅제와 벤토나이트계 흡습제를 램프의 하우징 내에 장착하여 사용하는 방법을 이용하여 왔다.
그러나 방담코팅제는 옥외의 자외선, 온도와 습도 등에 의해서 백화나 흐름 현상과 같은 열화가 발생하며, 이러한 경우 자동차 램프 모듈을 교체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일반 벤토나이트계 흡습제는 일정 수분을 흡습한 후, 램프의 가동 시 고온 저습의 환경에서 수분을 재방출하여 램프 렌즈의 내부 표면의 결로 현상을 야기 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이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종래기술로는 한국등록특허 제10-1825698호가 있다.
그러나 종래기술은 염화마그네슘, 염화칼슘 및 탄산나트륨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흡습제와 산화 칼슘 및 산화마그네슘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경화제를 포함하는 제습제를 사용하기 때문에 습기를 흡습하면 경화제에 의해 마그네시아가 진행되어 제습제가 팽창되면서 제습제를 충진한 제습제 포장재가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기술은 마그네시아가 진행되면서 흡습제 안쪽까지 흡습되지 않아 흡수율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기술은 통기성을 확보하기 위해 통기성 필름에 동그란 형태의 천공을 형성하는데 포장재에 통기성 필름을 열접착 시 동그란 형태의 천공이 찌그러지거나 막히는 현상이 나타나 위치마다 통기도가 상이한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제습제 포장재를 파손하지 않는 자동차 헤드라이트 결로방지 제습제 및 제습제품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흡수율이 160% 이상인 자동차 헤드라이트 결로방지 제습제 및 제습제품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고자 하는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자동차 헤드라이트 습기 제거에 최적의 통기도를 제공하는 자동차 헤드라이트 결로방지 제습제 및 제습제품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측면에 따르면, 메틸 셀룰로오스(Methyl cellulose), 에틸 셀룰로오스(ethyl cellulose), 하이드록시프로필 메틸 셀룰로오스(Hydroxypropyl Methyl cellulose), 하이드록시에틸 셀룰로오스(Hydroxyethyl cellulose) 및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오스(carboxymethyl cellulose)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염화 마그네슘(magnesium chloride) 및 염화 칼슘(calcium chloride)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흡습제; 및 산화 마그네슘(magnesium oxide) 및 산화 칼슘(calcium oxide)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경화제;를 포함하는 자동차 헤드라이트 결로방지 제습제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흡습제는 상기 메틸 셀룰로오스(Methyl cellulose), 상기 에틸 셀룰로오스(ethyl cellulose), 상기 하이드록시프로필 메틸 셀룰로오스(Hydroxypropyl Methyl cellulose), 상기 하이드록시에틸 셀룰로오스(Hydroxyethyl cellulose) 및 상기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오스(carboxymethyl cellulose) 중 적어도 어느 하나 10~40 wt%, 상기 염화 마그네슘(magnesium chloride) 및 상기 염화 칼슘(calcium chloride)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혼합물 60~90 wt%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흡습제 60~90 wt%, 상기 경화제 10~40 wt%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측면에 따르면, 자동차 헤드라이트 결로방지 제습제; 및 상기 자동차 헤드라이트 결로방지 제습제가 충진되는 제습제 포장재;를 포함하는 자동차 헤드라이트 결로방지 제습제품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제습제 포장재는 폴리에틸렌(Polyethylene, PE) 또는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PP), 아크릴 라텍스수지 및 실리콘 수지 중 어느 하나인 통기성 필름에 고밀도폴리에틸렌(High-density polyethylene, HDPE), 폴리에틸렌 및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성분을 함유한 2성분 부직포, 종이 및 천 중 어느 하나인 통기성 포장재를 열접착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통기성 필름은 통기도에 맞춰 홀이 뚫려 있을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통기도는 800~1500g/24hr/m2일 수 있다.
본 발명은 마그네시아 점도를 조절해 제습제 포장재를 파손하지 않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마그네시아 점도를 조절하고 경화제를 분산 시킬 수 있어 흡습제 안쪽까지 흡습시켜 흡수율이 높고 일정한 흡습율을 보장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자동차 헤드라이트 습기 제거에 최적의 통기도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헤드라이트 결로방지 제습제품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해당 구성요소들은 이와 같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이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들을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헤드라이트 결로방지 제습제는 메틸 셀룰로오스(Methyl cellulose), 에틸 셀룰로오스(ethyl cellulose), 하이드록시프로필 메틸 셀룰로오스(Hydroxypropyl Methyl cellulose), 하이드록시에틸 셀룰로오스(Hydroxyethyl cellulose) 및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오스(carboxymethyl cellulose)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염화 마그네슘(magnesium chloride) 및 염화 칼슘(calcium chloride)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흡습제, 산화 마그네슘(magnesium oxide) 및 산화 칼슘(calcium oxide)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경화제를 포함한다.
흡습제 중 메틸 셀룰로오스(Methyl cellulose), 에틸 셀룰로오스(ethyl cellulose), 하이드록시프로필 메틸 셀룰로오스(Hydroxypropyl Methyl cellulose), 하이드록시에틸 셀룰로오스(Hydroxyethyl cellulose) 및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오스(carboxymethyl cellulose)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경화제를 분산시킬 수 있어 일정한 흡습력을 유지하게 해준다.
또한, 메틸 셀룰로오스(Methyl cellulose), 에틸 셀룰로오스(ethyl cellulose), 하이드록시프로필 메틸 셀룰로오스(Hydroxypropyl Methyl cellulose), 하이드록시에틸 셀룰로오스(Hydroxyethyl cellulose) 및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오스(carboxymethyl cellulose)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점도를 조절하여 흡습과정 중 경화제에 의한 마그네시아 진행으로 제습제를 충진한 포장제를 파손하는 것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제습제 안쪽까지 흡습되도록 하여 흡습율을 향상시켜준다.
흡습제 중 염화 칼슘은 약 90% 내지 약 95%의 순도를 가지며, 대기 중의 습기를 약 150% 내지 약 350% 정도 흡습할 수 있다.
흡습제 중 염화 마그네슘은 흡습율이 특성별로 차이는 있지만 약 150 ~ 200%의 수준이다.
여기서, 흡습제 중 염화칼슘과 염화마그네슘을 혼합해 사용하면 뛰어난 흡습율은 그대로 유지하면서 흡습했던 수분이 다시 방출되지 않도록 하는 특성을 가질 수 있다.
산화 마그네슘(magnesium oxide) 및 산화 칼슘(calcium oxide)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 경화제는 습기를 미량 흡습하고, 염화칼슘 및 염화마그네슘의 조해성을 촉진시켜 흡습율을 높이게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흡습제는 메틸 셀룰로오스(Methyl cellulose), 에틸 셀룰로오스(ethyl cellulose), 하이드록시프로필 메틸 셀룰로오스(Hydroxypropyl Methyl cellulose), 하이드록시에틸 셀룰로오스(Hydroxyethyl cellulose) 및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오스(carboxymethyl cellulose) 중 적어도 어느 하나 10~40 wt%, 염화 마그네슘(magnesium chloride) 및 산화 마그네슘(magnesium oxide)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혼합물 60~90 wt%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헤드라이트 결로방지 제습제는 흡습제 60~90 wt%, 경화제 10~40 wt%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헤드라이트 결로방지 제습제는 온도 40℃, 상대습도 90% 또는 온도 50℃, 상대습도 95% 분위기에서 7일간 160% 이상 흡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헤드라이트 결로방지 제습제품의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자동차 헤드라이트 결로방지 제습제품(100)은 제습제 포장재(110) 및 자동차 헤드라이트 결로방지 제습제(120)를 포함한다.
제습제 포장재(110)는 통기성 포장재(110-1, 110-3) 및 통기성 필름(110-2, 110-4)를 포함하며, 제습제 포장재(110)에 자동차 헤드라이트 결로방지 제습제(120)를 충진해 자동차 헤드라이트 결로방지 제습제품(100)을 형성한다.
또한, 제습제 포장재(110)는 통기성 포장재(110-1, 110-3)와 통기성 필름(110-2, 110-4)을 열접착해 형성된다.
통기성 포장재(110-1, 110-3)는 통기성으로 자동차 헤드라이트 결로방지 제습제(120)가 습기를 흡습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통기성 필름(110-2, 110-4)을 보호한다.
또한, 통기성 포장재(110-1, 110-3)는 고밀도폴리에틸렌(High-density polyethylene, HDPE), 폴리에틸렌 및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성분을 함유한 2성분 부직포, 종이 및 천 중 어느 하나이다.
여기서, 통기성 포장재(110-1, 110-3)는 폴리에틸렌 및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성분을 함유한 2성분 부직포인게 바람직한데, 통기성 포장재(110-1, 110-3)의 폴리에틸렌 성분이 열에 의해 녹아서 통기성 필름(110-2, 110-4)과 열접착 할 수 있게 하며, 통기성 포장재(110-1, 110-3)의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성분은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통기성 필름(110-2, 110-4)을 보호한다. 또한, 통기성 포장재(110-1, 110-3)의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성분이 내열성을 가지고 있어 열접착 후에도 통기성 포장재(110-1, 110-3)의 형태를 유지할 수 있게 한다.
통기성 필름(110-2, 110-4)은 폴리에틸렌(Polyethylene, PE) 또는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PP), 아크릴 라텍스수지 및 실리콘 수지 중 어느 하나로 홀(110-5, 110-6)이 뚫려 있다.
홀(110-5, 110-6)은 자동차 헤드라이트의 습기를 제거하는 최적의 통기도인 800~1500g/24hr/m2에 맞춰 통기성 필름(110-2, 110-4)을 뚫어 형성된다. 여기서, 통기성 필름(110-2, 110-4)을 뚫어 형성된 홀(110-5, 110-6)은 자동차 헤드라이트의 습기를 제거하는 최적의 통기도만 맞출 수 있으면 직선, 네모 등 여러 가지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자동차 헤드라이트 결로방지 제습제(120)는 메틸 셀룰로오스(Methyl cellulose), 에틸 셀룰로오스(ethyl cellulose), 하이드록시프로필 메틸 셀룰로오스(Hydroxypropyl Methyl cellulose), 하이드록시에틸 셀룰로오스(Hydroxyethyl cellulose) 및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오스(carboxymethyl cellulose)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염화 마그네슘(magnesium chloride) 및 염화 칼슘(calcium chloride)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흡습제 60~90 wt%, 산화 마그네슘(magnesium oxide) 및 산화 칼슘(calcium oxide)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경화제 10~40 wt%를 포함하며, 제습제 포장재(110)를 통해 통기된 습기를 흡습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헤드라이트 결로방지 제습제품의 실험예를 바탕으로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실험예의 제습제 포장재는 폴리에틸렌 및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성분을 함유한 2성분 부직포 통기성 포장재(110-1, 110-3)와 홀(110-5, 110-6)이 뚫려 있는 폴리에틸렌(Polyethylene, PE) 통기성 필름(110-2, 110-4)을 열접착한 것이다.
실험예 1
비고 초기 1일 2일 3일 4일 5일 6일 7일
실시예1 중량(g) 36.8 52.4 62.4 70.1 75.5 80.8 87.2 90.1
흡습율 0% 42% 70% 90% 105% 120% 137% 145%
실시예2 중량(g) 36.8 54.3 65.9 70.3 81.5 86.4 91.9 95.6
흡습율 0% 48% 79% 91% 121% 135% 150% 160%
실시예3 중량(g) 36.8 55.4 67.3 75.5 82.5 87.8 93.1 96.8
흡습율 0% 51% 83% 105% 124% 139% 153% 163%
실시예4 중량(g) 36.8 56.1 68.2 76.3 83.3 88.8 95.4 98.7
흡습율 0% 52% 85% 107% 126% 141% 159% 168%
실시예5 중량(g) 36.8 59.1 71.3 79.5 86.3 92.5 98.3 102.4
흡습율 0% 61% 94% 116% 135% 151% 167% 178%
[표1]의 실험예 1은 자동차 헤드라이트 결로방지 제습제품들을 온도 50℃, 상대습도 95% 분위기에서 7일간 흡습율을 관찰한 결과이다.
[표1]의 실험예 1의 자동차 헤드라이트 결로방지 제습제품은 흡습제 75 wt%, 경화제 25 wt%로 구성된 자동차 헤드라이트 결로방지 제습제를 제습제 포장재에 충진한 제품이다.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5는 흡습제와 경화제 중량은 같고, 흡습제에 포함된 물질의 중량을 달리하여 비교해 실험한 결과이다.
자세하게는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5는 메틸 셀룰로오스(Methyl cellulose), 에틸 셀룰로오스(ethyl cellulose), 하이드록시프로필 메틸 셀룰로오스(Hydroxypropyl Methyl cellulose), 하이드록시에틸 셀룰로오스(Hydroxyethyl cellulose) 및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오스(carboxymethyl cellulose) 중 선택한 같은 종류의 어느 하나의 중량이 각각 5 wt%, 10 wt%, 25 wt%, 40 wt%, 45 wt%, 염화 마그네슘 중량이 각각 95 wt%, 90 wt%, 75 wt%, 60 wt%, 55 wt% 인 흡습제를 사용했으며, 경화제는 산화 마그네슘을 사용했다.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5를 비교하면, 실시예 1은 흡습력이 160%가 되지 않아 상대적으로 떨어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며, 실시예 5는 흡습력은 좋지만 물이 생기는 문제점이 발생하는 것을 확인 할 수 있다.
[표2]의 실험예 2는 흡습제와 제습제의 중량을 달리한 자동차 헤드라이트 결로방지 제습제를 제습제 포장재에 충진한 자동차 헤드라이트 결로방지 제습제품들을 온도 50℃, 상대습도 95% 분위기에서 7일간 흡습율을 관찰한 결과이다.
여기서, 흡습제는 메틸 셀룰로오스(Methyl cellulose), 에틸 셀룰로오스(ethyl cellulose), 하이드록시프로필 메틸 셀룰로오스(Hydroxypropyl Methyl cellulose), 하이드록시에틸 셀룰로오스(Hydroxyethyl cellulose) 및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오스(carboxymethyl cellulose) 중 선택한 같은 종류의 어느 하나 25 wt%, 염화 마그네슘 75 wt%를 포함하는 것을 사용했으며, 경화제로는 산화 마그네슘을 사용했다.
실험예 2
비고 초기 1일차 2일차 3일차 4일차 5일차 6일차 7일차
실시예6 중량(g) 36.8 53.6 61.7 65.1 67.4 68.8 69.9 70.7
흡습율 0% 46% 68% 77% 83% 87% 90% 92%
실시예7 중량(g) 36.8 55.4 67.3 75.5 82.5 87.8 93.1 96.8
흡습율 0% 51% 83% 105% 124% 139% 153% 163%
실시예8 중량(g) 36.8 61.7 77.1 85.3 91.6 96.9 101.5 105.2
흡습율 0% 68% 110% 132% 149% 163% 176% 186%
실시예 6은 흡습제 55 wt%, 경화제 45 wt%이며, 실시예 7은 흡습제 75 wt%, 경화제 25 wt%이고, 실시예 8은 흡습제 95 wt%, 경화제 5 wt%로 구성된 자동차 헤드라이트 결로방지 제습제를 제습제 포장재에 충진한 자동차 헤드라이트 결로방지 제습제품들의 흡습율 결과이다.
[표2]의 실험예 2를 참조하면, 실시예 6처럼 경화제가 40 wt%를 넘으면 흡습력이 떨어지고, 경화제가 5 wt%를 넘지 않으면 흡습력은 좋지만 물이 생기는 문제점이 발생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표3]의 실험예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실시예 3의 자동차 헤드라이트 결로방지 제습제를 제습제 포장재에 충진한 자동차 헤드라이트 결로방지 제습제품과 종래 제품을 온도 50℃, 상대습도 95% 분위기에서 7일간 흡습율을 관찰한 결과이다.
실험예 3
비고 초기 1일차 2일차 3일차 4일차 5일차 6일차 7일차
비교예 중량(g) 36.6 59.2 71.3 76.9 81.1 83.9 86.3 88.5
흡습율 0% 62% 95% 110% 122% 129% 136% 142%
파손
여부
X X X X X X O O
실시예3 중량(g) 36.8 55.4 67.3 75.5 82.5 87.8 93.1 96.8
흡습율 0% 51% 83% 105% 124% 139% 153% 163%
파손
여부
X X X X X X X X
[표3]의 실험예 3에서 실시예 3은 메틸 셀룰로오스(Methyl cellulose), 에틸 셀룰로오스(ethyl cellulose), 하이드록시프로필 메틸 셀룰로오스(Hydroxypropyl Methyl cellulose), 하이드록시에틸 셀룰로오스(Hydroxyethyl cellulose) 및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오스(carboxymethyl cellulose) 중 선택한 어느 하나를 25 wt% 및 염화 마그네슘 75 wt%를 포함하는 흡습제 75 wt%, 산화 마그네슘 경화제 25 wt%를 포함하는 자동차 헤드라이트 결로방지 제습제를 제습제 포장재에 충진한 자동차 헤드라이트 결로방지 제습제품이다.
비교예는 염화 마그네슘 흡습제 75 wt% 및 산화 마그네슘 경화제 25 wt%를 포함하는 자동차 헤드라이트 결로방지 제습제를 제습제 포장재에 충진한 자동차 헤드라이트 결로방지 제습제품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실시예 3의 자동차 헤드라이트 결로방지 제습제를 제습제 포장재에 충진한 자동차 헤드라이트 결로방지 제습제품과 비교예를 비교하면, 초반에는 비교예가 흡습율이 좋지만 4일차부터 실시예 3이 흡습율이 더 우수한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며, 포장재도 비교예는 6일차부터 파손되었으나 실시예 3은 파손되지 않은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는 비교예의 경우 습기를 흡습하면 제습제가 경화제에 의해 마그네시아가 진행되면서 팽창되면서 제습제를 충진한 제습제 포장재를 파손하지만, 실시예 3은 흡습제에 메틸 셀룰로오스(Methyl cellulose), 에틸 셀룰로오스(ethyl cellulose), 하이드록시프로필 메틸 셀룰로오스(Hydroxypropyl Methyl cellulose), 하이드록시에틸 셀룰로오스(Hydroxyethyl cellulose) 및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오스(carboxymethyl cellulose) 중 선택한 어느 하나를 포함하고 있어 마그네시아 점도를 조절하여 제습제를 충진한 제습제 포장재를 파손하지 않게 한다.
또한, 비교예는 마그네시아가 진행되면서 흡습제 안쪽까지 흡습되지 않지만, 실시예 3은 흡습제에 메틸 셀룰로오스(Methyl cellulose), 에틸 셀룰로오스(ethyl cellulose), 하이드록시프로필 메틸 셀룰로오스(Hydroxypropyl Methyl cellulose), 하이드록시에틸 셀룰로오스(Hydroxyethyl cellulose) 및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오스(carboxymethyl cellulose) 중 선택한 어느 하나를 포함하고 있어 마그네시아 점도를 조절하고 경화제를 분산해 흡습제 안쪽까지 흡습될 수 있어 비교예보다 흡습율이 높고 일정한 흡습력을 유지한다.
[표4]의 실험예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실시예 3의 자동차 헤드라이트 결로방지 제습제를 제습제 포장재에 충진한 자동차 헤드라이트 결로방지 제습제품과 종래 제품인 비교예를 온도 23℃, 상대습도 50%에서 48시간 흡습진행후 온도 70℃오븐에서 2시간 건조후 흡습을 진행하여 내방출율을 측정한 결과이다.
실험예 4
비고 비교예 실시예 3
초기 중량(g) 36.92 36.78
48시간후 중량(g) 42.23 42.23
건조후 중량(g) 42.13 42.13
흡습율 14% 15%
내방출율 0.24% 0.24%
[표4]의 실험예 4를 참조하면, 실시예 3이 비교예 보다 흡습율이 좋으면서 비교예와 같은 내방출율을 가지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자동차 헤드라이트 결로방지 제습제품은 내방출율이 0% 이상 5% 미만이어야 1년이상 흡습과 방출을 지속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들이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범위의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다음의 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해져야할 것이다.
110 : 제습제 포장재 120 : 제습제

Claims (7)

  1. 메틸 셀룰로오스(Methyl cellulose), 에틸 셀룰로오스(ethyl cellulose), 하이드록시프로필 메틸 셀룰로오스(Hydroxypropyl Methyl cellulose), 하이드록시에틸 셀룰로오스(Hydroxyethyl cellulose) 및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오스(carboxymethyl cellulose)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염화 마그네슘(magnesium chloride) 및 염화 칼슘(calcium chloride)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흡습제; 및
    산화 마그네슘(magnesium oxide) 및 산화 칼슘(calcium oxide)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경화제;를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헤드라이트 결로방지 제습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흡습제는 상기 메틸 셀룰로오스(Methyl cellulose), 상기 에틸 셀룰로오스(ethyl cellulose), 상기 하이드록시프로필 메틸 셀룰로오스(Hydroxypropyl Methyl cellulose), 상기 하이드록시에틸 셀룰로오스(Hydroxyethyl cellulose) 및 상기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오스(carboxymethyl cellulose) 중 어느 하나 10~40 wt%, 상기 염화 마그네슘(magnesium chloride) 및 상기 염화 칼슘(calcium chloride)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혼합물 60~90 wt%를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헤드라이트 결로방지 제습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흡습제 60~90 wt%, 상기 경화제 10~40 wt%를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헤드라이트 결로방지 제습제.
  4. 제1항 및 제3항 중 어느 한 항의 자동차 헤드라이트 결로방지 제습제; 및
    상기 자동차 헤드라이트 결로방지 제습제가 충진되는 제습제 포장재;를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헤드라이트 결로방지 제습제품.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습제 포장재는 폴리에틸렌(Polyethylene, PE) 또는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PP), 아크릴 라텍스수지 및 실리콘 수지 중 어느 하나인 통기성 필름에 고밀도폴리에틸렌(High-density polyethylene, HDPE), 폴리에틸렌 및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성분을 함유한 2성분 부직포, 종이 및 천 중 어느 하나인 통기성 포장재를 열접착 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헤드라이트 결로방지 제습제품.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통기성 필름은 통기도에 맞춰 홀이 뚫려 있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헤드라이트 결로방지 제습제품.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통기도는 800~1500g/24hr/m2인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헤드라이트 결로방지 제습제품.
KR1020190120308A 2019-09-30 2019-09-30 자동차 헤드라이트 결로방지 제습제 및 제습제품 KR1022810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0308A KR102281021B1 (ko) 2019-09-30 2019-09-30 자동차 헤드라이트 결로방지 제습제 및 제습제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0308A KR102281021B1 (ko) 2019-09-30 2019-09-30 자동차 헤드라이트 결로방지 제습제 및 제습제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37863A true KR20210037863A (ko) 2021-04-07
KR102281021B1 KR102281021B1 (ko) 2021-07-23

Family

ID=754692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20308A KR102281021B1 (ko) 2019-09-30 2019-09-30 자동차 헤드라이트 결로방지 제습제 및 제습제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8102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02734A (ko) * 2021-01-14 2022-07-21 유이샤이닝 주식회사 판형 습기제거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3116B1 (ko) * 2008-07-24 2010-06-16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제습제와 제습 엘리먼트 및 그들의 제조방법들
KR20170076082A (ko) * 2015-12-24 2017-07-04 오씨아이 주식회사 제습제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825698B1 (ko) * 2017-06-08 2018-02-05 주식회사 데시칸트 자동차 램프용 내방출성 흡습제 및 이를 포함하는 흡습제품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3116B1 (ko) * 2008-07-24 2010-06-16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제습제와 제습 엘리먼트 및 그들의 제조방법들
KR20170076082A (ko) * 2015-12-24 2017-07-04 오씨아이 주식회사 제습제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755131B1 (ko) * 2015-12-24 2017-07-06 오씨아이 주식회사 제습제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825698B1 (ko) * 2017-06-08 2018-02-05 주식회사 데시칸트 자동차 램프용 내방출성 흡습제 및 이를 포함하는 흡습제품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02734A (ko) * 2021-01-14 2022-07-21 유이샤이닝 주식회사 판형 습기제거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81021B1 (ko) 2021-07-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25698B1 (ko) 자동차 램프용 내방출성 흡습제 및 이를 포함하는 흡습제품
KR102043286B1 (ko) 천공필름을 이용한 자동차 램프용 흡습제 및 이를 이용한 제품
KR101760304B1 (ko) 내방출성 흡습제 및 이를 포함하는 흡습제품
KR102385932B1 (ko) 밸브 플레이트 구조의 적외선 복사 건조 및 배기 기능을 가진 차량용 램프 리어 커버
KR101760302B1 (ko) 내방출성 흡습제 및 이를 포함하는 흡습제품
KR102214262B1 (ko) 장기 내구성이 양호한 램프용 흡습제 및 이를 포함하는 제품
KR102257853B1 (ko) 장기 내구성이 양호한 자동차 램프용 복합흡습제품
US11534715B2 (en) Dust cover for automotive lamps with excellent moisture control performance
KR20180076049A (ko) 흡방습 시트 형성용 조성물, 이를 이용한 흡방습 시트 및 그 제조방법
KR102281021B1 (ko) 자동차 헤드라이트 결로방지 제습제 및 제습제품
CN101341081A (zh) 透气聚烯烃薄膜的农业用途
US11400431B2 (en) Composition for soft anti-release moisture absorbent
CN109338743A (zh) 一种防雾材料及其制备方法与应用
CN111804127A (zh) 具有良好长期耐久性的用于汽车车灯的吸湿袋
JP6421404B2 (ja) 医薬品包装体
EP2395282B1 (de) Kraftfahrzeugleuchte
KR102340389B1 (ko) 자동차 램프용 흡습제 및 이를 포함하는 흡습제품
KR102233831B1 (ko) 흡습성과 내방출성이 개선된 자동차 램프용 조습제 및 이를 포함하는 조습 제품
CN107654982A (zh) 车灯除雾系统及汽车
CN106839662B (zh) 一种具有内部湿度调节功能的制品
KR102365973B1 (ko) 습기 제거장치
KR102197666B1 (ko) 내방출성 경질 흡습제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흡습제품
KR20210050205A (ko) 용출 안정성이 개선된 자동차 램프용 흡습제 및 이를 포함하는 흡습제품
EP2416065B1 (de) Kraftfahrzeugleuchte
KR102593290B1 (ko) 흡습제어가 가능한 더스트 커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