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76049A - 흡방습 시트 형성용 조성물, 이를 이용한 흡방습 시트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흡방습 시트 형성용 조성물, 이를 이용한 흡방습 시트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76049A
KR20180076049A KR1020160180131A KR20160180131A KR20180076049A KR 20180076049 A KR20180076049 A KR 20180076049A KR 1020160180131 A KR1020160180131 A KR 1020160180131A KR 20160180131 A KR20160180131 A KR 20160180131A KR 20180076049 A KR20180076049 A KR 201800760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nomer
group
sheet
desorptive
ox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801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16313B1 (ko
Inventor
김정선
이대영
Original Assignee
한국과학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과학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과학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601801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16313B1/ko
Priority to US15/854,679 priority patent/US11529611B2/en
Publication of KR201800760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760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163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163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0/00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 B01J20/22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comprising organic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0/00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 B01J20/30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 B01J20/32Impregnating or coating ; Solid sorbent compositions obtained from processes involving impregnating or coating
    • B01J20/3231Impregnating or coating ; Solid sorbent compositions obtained from processes involving impregnating or coating characterised by the coating or impregnating layer
    • B01J20/3242Layers with a functional group, e.g. an affinity material, a ligand, a reactant or a complexing group
    • B01J20/3268Macromolecular compounds
    • B01J20/327Polymers obtained by reactions involving only carbon to carbon unsaturated bon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02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by adsorption, e.g. preparative gas chromatography
    • B01D53/04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by adsorption, e.g. preparative gas chromatography with stationary adsorbents
    • B01D53/0407Constructional details of adsorbing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26Drying gases or vapours
    • B01D53/261Drying gases or vapours by adsorp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26Drying gases or vapours
    • B01D53/28Selection of materials for use as drying ag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0/00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 B01J20/22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comprising organic material
    • B01J20/26Synthetic macromolecular compoun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0/00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 B01J20/22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comprising organic material
    • B01J20/26Synthetic macromolecular compounds
    • B01J20/265Synthetic macromolecular compounds modified or post-treated polymers
    • B01J20/267Cross-linked poly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0/00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 B01J20/28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characterised by their form or physical properties
    • B01J20/28014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characterised by their form or physical properti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B01J20/28033Membrane, sheet, cloth, pad, lamellar or ma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0/00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 B01J20/28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characterised by their form or physical properties
    • B01J20/28014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characterised by their form or physical properti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B01J20/28033Membrane, sheet, cloth, pad, lamellar or mat
    • B01J20/28035Membrane, sheet, cloth, pad, lamellar or mat with more than one layer, e.g. laminates, separated she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0/00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 B01J20/30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 B01J20/3078Thermal treatment, e.g. calcining or pyroliz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0/00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 B01J20/30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 B01J20/3085Chemical treatments not covered by groups B01J20/3007 - B01J20/3078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0/00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 B01J20/30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 B01J20/32Impregnating or coating ; Solid sorbent compositions obtained from processes involving impregnating or coating
    • B01J20/3231Impregnating or coating ; Solid sorbent compositions obtained from processes involving impregnating or coating characterised by the coating or impregnating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53/00Adsorbents used in seperation treatment of gases and vapours
    • B01D2253/20Organic adsorbents
    • B01D2253/202Polymeric adsorb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53/00Adsorbents used in seperation treatment of gases and vapours
    • B01D2253/25Coated, impregnated or composite adsorbent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Solid-Sorbent Or Filter-Aiding Compositions (AREA)
  • Drying Of Gases (AREA)

Abstract

흡방습 시트 형성용 조성물, 이를 이용한 흡방습 시트 및 그 제조방법이 개시된다. 상기 흡방습 시트 형성용 조성물은 이온성 친수기를 가진 중합성 제1 모노머; 비이온성 친수기를 가진 중합성 제2 모노머; 및 조해성 염(deliquescent salt);를 포함하여 흡습 방습 성능이 뛰어나고 반복사용이 가능한 흡방습 시트를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흡방습 시트는 항균, 탈취 성능을 가지고 있어, 습한 환경에서도 세균 및 곰팡이 증식을 억제할 수 있다.

Description

흡방습 시트 형성용 조성물, 이를 이용한 흡방습 시트 및 그 제조방법{humidity control sheet and composite, having long-lasting antibacterial and antibiofouling property,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흡방습 시트 형성용 조성물, 이를 이용한 흡방습 시트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흡습 방습 성능이 크고 반복사용이 가능한 흡방습 시트 형성용 조성물, 이를 이용한 흡방습 시트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기존의 공기중 습기를 제거하는 물질로 사용되었던 실리카겔이나 제올라이트 등의 무기질 제습제는 흡습 용량이 충분하지 않고 재사용시 높은 열에너지가 필요하여 재사용이 용이하지 않는 단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공기 중 습기를 제거하는 수단으로 염화리튬, 염화칼슘, 염화마그네슘, 염화 나트륨 등의 흡습성 염 형태의 제습제는 흡습 능력은 뛰어나지만 조해성이 있어 흡습 후 액화되어 염용액이 유실되거나 특정 기저에 고정되지 않아 반복사용이 힘들다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흡습 방습 성능이 크고 반복사용이 가능한 흡방습 시트 형성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상기 흡방습 시트 형성용 조성물을 이용하여 제조된 흡방습 시트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은 상기 흡방습 시트의 제조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서는,
이온성 친수기를 가진 중합성 제1 모노머;
비이온성 친수기를 가진 중합성 제2 모노머; 및
조해성 염(deliquescent salt);
을 포함하는 흡방습 시트 형성용 조성물이 제공된다.
상기 제1 모노머는 아크릴레이트계, 비닐계,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아크릴레이트계 모노머는 아크릴레이트에 금속염이 결합된 형태일 수 있다.
상기 아크릴레이트계 모노머는 CH2CHCOONa, CH2CHCOOK, (CH2CHCOO)2Zn2, CH2CHCOOLi 및 (CH2CHCOO)4Zr4 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비닐계 모노머는 비닐기를 가지고, 동시에 술폰산기, 인산기 및 비닐기를 갖는 암모늄기 중 적어도 하나를 함유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제2 모노머는 아마이드계, 옥사이드계,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아마이드계 모노머는 아크릴아마이드, 메타크릴아마이드, N-메틸 아크릴아마이드, N-메틸 메타크릴아마이드, N-에틸 아크릴아마이드, N-에틸 메타크릴아마이드, N-프로필 아크릴아마이드, 및 N-프로필메타크릴아마이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옥사이드계 모노머는 에틸렌옥사이드, 프로필렌옥사이드, 이소부틸렌옥사이드, 1-부텐옥사이드, 2-부텐옥사이드, 트리메틸에틸렌옥사이드, 테트라메틸렌옥사이드, 테트라메틸에틸렌옥사이드, 부타디엔모노옥사이드, 옥틸렌옥사이드, 스티렌옥사이드, 1,1-디페닐에틸렌옥사이드, 전분 및 셀룰로오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해성 염은 염화 리튬(LiCl), 염화 나트륨(NaCl), 염화 칼륨(KCl), 염화 마그네슘(MgCl2), 염화 칼슘(CaCl2), 염화 아연(ZnCl2), 수산화나트륨(NaOH), 수산화칼륨(KOH), 탄산 칼륨(K2CO3), 인산 칼륨(KH2PO4), 카날석(KMgCl3·6(H2O)) 및 리튬 브로마이드(LiBr)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모노머 100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제2 모노머는 100 내지 500 중량부이고, 상기 제1 모노머 및 상기 제2 모노머의 총합 100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조해성 염은 40 내지 80 중량부일 수 있다.
상기 흡방습 시트 형성용 조성물은 용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용매는 물, 알코올류, 벤젠류, 아세톤류, 에스테르, 알데히드류, 및 에테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흡방습 시트 형성용 조성물은 개시제, 가교제, 촉매, 점도 조절제, 분산제, 충진제, 접착제, 및 계면활성제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술한 흡방습 시트 형성용 조성물의 중합체를 포함하는 흡방습 시트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술한 흡방습 시트 형성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코팅 용액을 준비하는 단계;
기재 상에 상기 코팅 용액을 코팅하는 단계; 및
상기 코팅된 기재를 가열하여 상기 코팅 용액을 중합하는 단계;
을 포함하는 흡방습 시트의 제조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가열은 40℃ 내지 100℃ 온도 범위에서 수행될 수 있다.
일 구현예에 따른 상기 흡방습 시트 형성용 조성물은 흡습 방습 성능이 뛰어나고 반복사용이 가능한 흡방습 시트를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흡방습 시트는 항균, 탈취 성능을 가지고 있어, 습한 환경에서도 세균 및 곰팡이 증식을 억제할 수 있다.
도 1은 실시예 1에서 제조한 흡방습 시트의 단면 및 표면을 모식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비교예 1에서 제조한 파우더 코팅 시트의 단면 및 표면을 모식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실시예 1에서 제조된 흡방습 시트와 비교예 1의 파우더 코팅 시트의 침수 후 내구성 확인 결과를 보여준다.
도 4는 실시예 1-2에서 제조된 흡방습 시트와 비교예 1-2의 제습제의 흡방습 사이클 특성 결과를 보여준다.
도 5는 실시예 1에서 제조한 흡방습 시트의 항균 테스트 결과를 보여준다.
도 6은 실시예 1에서 제조한 흡방습 시트에 대한 항곰팡이 테스트 결과를 보여준다.
이하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구현 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이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일 뿐, 이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 구현예에 따른 흡방습 시트 형성용 조성물은,
이온성 친수기를 가진 중합성 제1 모노머;
비이온성 친수기를 가진 중합성 제2 모노머; 및
조해성 염(deliquescent salt);을 포함한다.
종래 폴리머 성분의 과립 형태에 흡습성 염을 혼합하여 제조된 제습제의 경우, 흡수성 폴리머 파우더가 흡수 후 팽윤되는 성질로 인해 흡수 건조를 반복하다보면 기저 표면으로부터 탈락되어 내구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을 수 있다. 그러나, 상기 흡방습 시트 형성용 조성물은 흡수성 폴리머 파우더를 사용하지 않고, 폴리머로 중합되기 이전 상태인 상기 제1 모노머 및 제2 모노머를 이용하여 흡방습 시트를 제조하기 때문에, 상기 제1 모노머 및 제2 모노머가 조해성 염과 함께 중합되어 폴리머 시트를 형성하게 된다. 이렇게 형성된 폴리머 시트 안에는 조해성 염이 임베딩된 상태가 될 수 있다. 따라서, 폴리머 시트 자체는 흡수 건조를 반복하여도 종래와 같은 폴리머 파우더의 탈락 문제가 발생하지 않고 흡방습 시트의 내구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
상기 이온성 친수기를 가진 중합성 제1 모노머 및 비이온성 친수기를 가진 중합성 제2 모노머가 중합되어 형성된 폴리머는 고흡수성을 가질 수 있으며, 조해성 염이 흡습 후 생성된 염용액을 흡수하여 조해성 염의 유실을 방지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흡방습 시트 형성용 조성물은 종래의 무기계 제습제에 비하여 흡수 용량도 크고, 비교성 성형이 용이하여 다양한 형상의 흡방습 시트를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이온성 친수기를 가진 중합성 제1 모노머는 중합 후 물과 만나 이온을 띄는 물질로 작용기간, 사슬간 정전기적 반발력을 가져 스웰링(swelling)을 일으키는 작용을 한다.
상기 이온성 친수기를 가진 중합성 제1 모노머는 중합 후 고분자 전해질을 만들 수 있는 모노머로서, 예를 들어 아크릴레이트계, 비닐계,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아크릴레이트계 모노머는 예를 들어 아크릴레이트에 금속염이 결합된 형태일 수 있다. 이러한 아크릴레이트계 모노머로는 예를 들어 CH2CHCOONa, CH2CHCOOK, (CH2CHCOO)2Zn2, CH2CHCOOLi 및 (CH2CHCOO)4Zr4 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비닐계 모노머는 비닐기를 가지면서, 동시에 술폰산기, 인산기 및 비닐기를 갖는 암모늄기 중 적어도 하나를 함유하는 것일 수 있다. 이러한 비닐계 모노머로는 예를 들어 소듐 알릴설포네이트(sodium allylsulfonate), 비닐술폰산(vinylsulfonic acid), 비닐인산(vinylphosphonic acid), 에틸렌 글리콜 메틸메타크릴레이트 포스페이트(ethylene glycol methacrylate phosphate), 비닐 암모늄 아이오다이드(vinyl ammonium iodide) 등을 들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들 제1 모노머는 1종 단독, 또는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비이온성 친수기를 가진 중합성 제2 모노머는 물과 만나 수소결합을 형성하는 물질로서, 이온을 띄지 않아 조해성 염 존재하에 이온이 상쇄될 일이 없다. 따라서 조해성 염과 관계 없이 일정한 흡수 기능을 나타낼 수 있다.
상기 비이온성 친수기를 가진 중합성 제2 모노머로는 예를 들어 아마이드계, 옥사이드계,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아마이드계 모노머는 예를 들어 아크릴아마이드, 메타크릴아마이드, N-메틸 아크릴아마이드, N-메틸 메타크릴아마이드, N-에틸 아크릴아마이드, N-에틸 메타크릴아마이드, N-프로필 아크릴아마이드, 및 N-프로필메타크릴아마이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옥사이드계 모노머는 예를 들어 에틸렌옥사이드, 프로필렌옥사이드, 이소부틸렌옥사이드, 1-부텐옥사이드, 2-부텐옥사이드, 트리메틸에틸렌옥사이드, 테트라메틸렌옥사이드, 테트라메틸에틸렌옥사이드, 부타디엔모노옥사이드, 옥틸렌옥사이드, 스티렌옥사이드, 1,1-디페닐에틸렌옥사이드, 전분 및 셀룰로오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들 제2 모노머는 1종 단독, 또는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흡방습 시트 형성용 조성물에서, 상기 제1 모노머 100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제2 모노머의 함량은 100 내지 500 중량부, 구체적으로 예를 들어 200 내지 300 중량부일 수 있다. 상기 함량 범위에서 이온상쇄를 최소화하고 넓은 습도 범위에서 높은 흡수 성능을 발휘할 수 있다. 제1 모노머는 첨가하는 조해성 염과 이온결합 또는 이온 상쇄 등의 부반응을 일으킬 수 있으므로 그 양은 제2 모노머 양보다 적거나 같게 함유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흡방습 시트 형성용 조성물에 사용된 조해성 염(deliquescent salt)은 공기 중의 수분뿐만 아니라 습기를 빨아들여 액화될 수 있다. 조해성 염은 상기 제1 모노머 및 제2 모노머가 중합되어 형성된 폴리머 시트 내에 임베딩 되기 때문에, 조해성 염이 액화되어 생성된 염 용액은 폴리머 시트에 의해 흡수되는 형태로 습기 제거 메커니즘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조해성 염으로는 예를 들어, 염화 리튬(LiCl), 염화 나트륨(NaCl), 염화 칼륨(KCl), 염화 마그네슘(MgCl2), 염화 칼슘(CaCl2), 염화 아연(ZnCl2), 수산화나트륨(NaOH), 수산화칼륨(KOH), 탄산 칼륨(K2CO3), 인산 칼륨(KH2PO4), 카날석(KMgCl3·6(H2O)) 및 리튬 브로마이드(LiBr)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흡방습 시트 형성용 조성물에서, 상기 제1 모노머 및 상기 제2 모노머의 총합 100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조해성 염의 함량은 40 내지 80 중량부일 수 있다. 상기 범위보다 많이 함유되면 수분 흡수 후 형성된 염 용액의 양이 지나치게 많아져서 폴리머 내로 채 흡수되기 전에 흘러내려 염용액이 유실될 수 있고, 상기 범위보다 적게 함유되면 원하는 정도의 흡수 능력을 나타내지 못할 수 있다.
상기 흡방습 시트 형성용 조성물은 용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용매의 종류에는 제한이 없으며, 상기 조성물이 코팅되는 기재나 첨가제와의 상용성 등을 고려하여 선택가능하다. 상기 용매는 예를 들어 물, 벤젠류, 아세톤류, 에스테르, 알코올류, 알데히드류, 및 에테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물의 종류로는 통상 순수, 증류수, 지하수, 필터수 등이 있으며, 예를 들어 일반 원수를 정제하여 높은 순도를 갖도록 처리하여 사용할 수 있다. 물이나 유기용매 중 수용성 유기용매인 글리세린, 트리메틸올프로판, 폴리에틸렌글리콜 등이 친환경 측면에서 바람직하게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흡방습 시트 형성용 조성물은 필요에 따라 개시제, 가교제, 촉매, 점도 조절제, 분산제, 충진제, 접착제, 가소제 및 계면활성제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개시제는 상기 제1 모노머와 제2 모노머의 중합 반응을 일으킬 수 있도록 도와주며, 예를 들어 과산화물 개시제, 암모늄 디설페이트계 개시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가교제는 더욱 견고한 흡방습 시트를 제조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예를 들어 N,N'-메틸렌비스아크릴아미드, 에틸렌글리콜디메타크릴레이트, 알릴메타크릴레이트, 테트라알릴옥시에테인,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아크릴레이트, 트리알릴아민 등이 사용될 수 있다.
흡방습 시트 형성용 조성물의 반응 속도를 제어하기 위해 촉매가 첨가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테트라에틸렌메틸렌디아민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이 밖에도, 코팅성을 좋게 하기 위하여 점도 조절제를 첨가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폴리에스테르, 에폭시, 라텍스 등을 첨가할 수 있다.
상기 가소제는 흡방습 시트 형성 후 중합체 자체의 유연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상기 흡방습 시트 형성용 조성물을 이용하면 성형이 용이하고 다양항 형상의 흡방습 시트를 제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흡방습 시트 형성용 조성물을 시트 형태로 도포하고 중합시킴으로써 시트 형태의 흡방습 시트를 제조할 수 있다.
상기 흡방습 시트 형성용 조성물을 이용하여 제조된 흡방습 시트는 기존의 다공성 세라믹 재질의 흡착제에 비해 약 5배 이상의 흡습 성능을 나타낼 수 있다. 상기 흡방습 시트의 흡습 성능은 건축재료의 흡방습성 시험방법 습도 응답법 (ISO 24353:2008, JIS A 1470-1:2008, JIS A 1470-2:2008, KS F 2611)으로 시험시 건강친화형 주택건설의 흡방습 자재의 인정 기준인 흡방습량 65g/㎡ 에 훨씬 상회하는 성능 결과를 보이는 것을 후술하는 실시예를 통하여 확인할 수 있다.
상기 흡방습 시트가 벽지로 활용될 경우 습한 날씨에 습기를 흡수하고 건조한 날씨에 습기를 배출하여 별도의 에너지를 들이지 않고 실내 공기의 습도 조절을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흡방습 시트 형성용 조성물을 이용하여 제조된 흡방습 시트는 항균, 항곰팡이 성능이 있어 지하공간의 곰팡이 방지, 발코니 베란다 등의 습한 공간의 습기 조절 및 곰팡이 방지 등 다양한 수요처에 사용할 수 있다.
일 구현예에 따른 흡방습 시트의 제조방법은,
상술한 흡방습 시트 형성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코팅 용액을 준비하는 단계;
기재 상에 상기 코팅 용액을 코팅하는 단계; 및
상기 코팅된 기재를 가열하여 상기 코팅 용액을 중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먼저 상술한 흡방습 시트 형성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코팅 용액을 준비한다.
한편, 상기 코팅 용액이 도포될 기재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부직포, 종이류, 섬유류, 플라스틱류, 금속 등 다양한 소재의 기재가 사용될 수 있다. 기재의 형태 또한 제한없이 사용될 수 있다. 다양한 소재 및 형태를 갖는 기재 상에 상기 흡방습 시트 형성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코팅 용액을 코팅하고 중합시키고, 기재를 다양하게 성형하는 것 또한 가능하다.
기재 상에 준비된 상기 코팅 용액을 코팅하고, 가열하여 상기 코팅 용액을 중합시킨다.
코팅 방식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스크린 프린팅(screen printing), 잉크젯(ink jet), 딥 코팅(dip coating), 스핀 코팅(spin coating) 또는 스프레이 코팅(spray coating)법이 사용될 수 있다.
가열을 통해 코팅 용액을 건조시키면서 그 안에 분산된 제1 모노머 및 제2 모노머를 중합시킨다. 건조 및 중합을 위한 가열은 약 40℃ 이상에서 수행될 수 있다. 상기 가열은 40℃ 내지 100℃ 온도 범위에서 수행될 수 있다.
중합 후 남아 있는 용매를 휘발시키기 위하여 온도를 더욱 상승시켜 건조시킬 수 있다.
이하의 실시예 및 비교예를 통하여 예시적인 구현예들이 더욱 상세하게 설명된다. 이하의 실시 예는 본 발명이 더욱 명확하고 용이하게 이해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므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흡방습 시트 제조
용매인 물 70ml에 제 1 모노머로서 소듐아크릴레이트 5g, 제 2 모너머로서 메타크릴아마이드 3.7g을 넣고 충분히 섞은 뒤 조해성 염인 염화 리튬 5g을 넣고 물에 용해 시켰다. 그리고 Buffer 용액으로 PH7을 맞추었다. 그 후 가교제인 트리알릴아민 0.026g을 넣은 후 가교제가 모두 녹으면 개시제를 0.07g 넣고 교반하였다. 15분 후 촉매제를 0.05ml 첨가하고 30*30㎝ 부직포 위에 코팅 후 70℃ 온도로 가열하여 중합을 실시하였다. 코팅성을 위해 증점제를 소량 첨가 할 수 있다. 70℃ 로 한시간 가량 가열하여 중합과 동시에 용매가 휘발 되어 건조 흡방습 시트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1에서 제조한 흡방습 시트('KIST SHEET'로 표시)의 단면 및 표면을 도 1에 모식적으로 도시하였다.
실시예 2: 흡방습 시트 제조
상기 실시예 1의 내용 중 염화 리튬을 염화 소듐으로 변경한 것을 제외하고,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과정을 실시하여 흡방습 시트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1: 폴리머 파우더 코팅 시트 제조
상기 실시예1의 내용과 같이 용매에 제1 모노머와 제2 모노머는 동일한 양을 넣되 염화리튬을 넣지 않고 나머지 Buffer 용액, 가교제, 개시제, 촉매는 모두 동일하게 첨가하였다. 반응조 온도를 65℃로 올려 중합을 실시하고, 중합이 완료된 제습제 벌크를 잘게 잘라 동결 건조 하였다. 동결 건조 후 완전히 건조 시키기 위해 추가로 오븐에서 건조를 실시하였다. 건조가 완료된 후 분쇄기를 사용하여 분쇄한 후 체거름을 통해 53㎛이하의 제습제 파우더를 얻었다.
상기 제습제 파우더를 가지고 코팅 용액을 만들어 코팅하였다. 상세 조성은 용매 메탄올 16g에 염화리튬 5g을 넣고 충분이 교반한 후 위의 제조한 제습제 파우더를 모두 넣고 분산시켰다. 그 후 친수성 접착제를 3g(고형분기준) 넣고 섞어주었다. 만든 코팅액을 부직포 위에 코팅하고 70℃로 가열 하여 파우더 코팅 시트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1에서 제조한 파우더 코팅 시트의 단면 및 표면을 모식적으로 도 2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2: 위니아 제습제
시중에 판매중인 위니아 반복사용 제습제 (WDH-K11R)를 구매하여 부직포 주머니에 들어있는 그대로 사용하였다. 소재는 B형 실리카겔로 명시되어있다.
평가예 1: 내구성 평가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된 흡방습 시트와 상기 비교예 1의 파우더 코팅 시트를 물에 침수 시켜 10분 후 모재에서 얼마나 떨어져 나오는지를 확인 하였다.
침수 후 내구성 확인 결과를 도 3에 나타내었다.
도 3을 참조하면, 샤알레 좌측은 흡방습 시트(실시예1)이고 우측은 파우더 코팅 시트(비교예1)이다. 10분간 물에 침지 시켰을 때 흡방습 시트는 흡수 후 부피가 증가하여 표면 요철이 생겼으나 모재에 잘 붙어있었고, 우측 파우더 코팅 시트는 흡수 후 제습제가 모재에서 떨어져나와 흩어짐을 확인하였다. 제습제는 물을 흡수하여 그 부피가 팽창하는 성질을 갖고 있기 때문에 중합체 시트 형태가 파우더 입자 형태보다 물에 침수 되었을 때 그 모양을 유지 할 수 있어 내수성 혹은 내구성 측면에서 유리하다.
평가예 2: 흡방습 특성 평가
상기 실시예 1-2에서 제조된 흡방습 시트와 상기 비교예 1-2의 제습제를 건축재료의 흡방습성 시험방법 습도 응답법 (KS F 2611) 기준에 따라 흡방습 특성을 평가하였다. 각 흡방습 시트를 상대습도 50%에서 12시간 이상 양생한 후 상대습도 75%로 올려 12시간 동안 흡습한 양을 구하였다. 실시예 1-2, 비교예1 은 일반 벽지 두께와 동등 수준인 0.16~0.2mm 두께로 제작하였고, 비교예2는 위니아 제습제 제품 그대로 사용하였다.
상기 실시예 1-2에서 제조된 흡방습 시트와 상기 비교예 1-2의 제습제의 흡방습 사이클 특성 결과를 도 4 및 표 1에 나타내었다.
시료별 흡습량
실시예1 실시예2 비교예1 비교예2
흡습량 (g/㎡)
(습도 75% 흡습량 - 50% 흡습량)
170 169 141 10
흡습량 (%)
(습도 75% 흡습량 - 50% 흡습량)g/
제습제양 g *100
90 89 57 6
도 4 및 표 1 에서 보는 바와 같이, 실시예 1-2, 비교예1에서 제조된 흡방습 시트는 흡방습량이 141~170 g/m2으로 권장기준 65 g/m2을 크게 상회하였다. 이에 반해, 비교예 2의 제습제는 흡습량 10 g/m2로 기준에 미달하였다. 실시예 1-2 및 비교예1의 흡방습 시트가 비교예 2보다 흡방습 성능이 월등히 뛰어난 것을 알 수 있다.
흡습 성능에 있어 비교예 1의 파우더 코팅 시트 역시 실시예1 과 비교하여 동등한 수준이지만 평가예 1에서 보듯이 내수성에 취약하여 물이 닿을 수 있는 환경에서는 사용할 수 없다는 한계를 갖고 있다.
평가예 3: 흡방습 시트의 항균/항곰팡이/탈취 특성 평가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한 흡방습 시트에 대한 항균 테스트를 KS K 0693 텍스타일 재료의 항균성 시험방법에 따라 실시하였다. 실험균주 4종에 대해 99.9% 항균성을 확인하였다. 항균 테스트 결과를 하기 표 2 및 도 5에 나타내었다.
항균 시험 결과
시험균주 초기균수 18시간 후 생균수 시험결과
(정균감소율 (%))
escherichia coli
(대장균) (ATOC 8739)
1.0 x 10^6 대조군 3.2 x 10^6 99.9
시험군 7.0 x 10^2
Staphylococcus aureus
(황색포도상구균) (ATOC 6538)
1.0 x 10^6 대조군 3.8 x 10^6 99.9
시험군 9.1 x 10^2
Salmonella typhimurium
(쥐티푸스균) (MCTC 1926)
1.0 x 10^6 대조군 3.3 x 10^6 99.9
시험군 2.1 x 10^2
pseudomonas aeruginosa
(녹농균) (ATOC 9027)
1.0 x 10^6 대조군 3.5 x 10^6 99.9
시험군 <10
시험방법 KS K 0693(직물 외 항균도 시험방법)
시 료 량 0.4g/glass container
도 5에서 좌측 사진은 대조편으로 정상적으로 균이 자란 모습을 보여주며, 우측 사진은 시험편으로 균집락이 형성되지 않은 깨끗한 상태를 보여준다.
또한,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한 흡방습 시트에 대한 항곰팡이 테스트는 ASTM G 21:2013 시험방법에 따라 실시하였고 결과는 하기 표 3 및 도 6과 같다.
항곰팡이 시험 결과
시험 항목 단위 시험 결과 시험환경
배양시험의 기간
1주 후 2주 후 3주 후 4주 후
항곰팡이 시험 등급 0 0 0 0 (29.0±0.2) ℃
(99.0 ± 1.0)% RH
곰팡이 균주 Aspergillus niger ATCC 9642, Penicillium pinophilum ATCC 11797, Chaetomium globosum ATCC 6205, Gliocladium virens ATCC 9645, Aureobasidium pullulans ATCC 15233
*0등급: 시험편의 접종한 부분에 균사의 발육이 인지되지 않음.
표 3 및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실시예 1에서 제조한 흡방습 시트는 항곰팡이 시험 결과 항곰팡이 저항성을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한 흡방습 시트에 대한 탈취 테스트는 포름알데하이드 흡착시험 KS I 3546:2012에 따라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 4에 나타내었다.
포름알데하이드 흡착시험 결과
시험항목 단위 결과치 흡착시험 조건 부하율 흡착율(%)=(입구농도-출구농도)/입구농도X100
포름알데하이드 흡착률
(7일후)
% 29.5 (25 ± 1) ℃
(50 ± 3)% RH
2.0㎡/㎥
포름알데하이드 적산흡착량(7일후) ㎍/㎥ 3228.7
상기 표 2, 3,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일 실시예에 따른 흡방습 시트는 항균 및 항곰팡이, 탈취 성능을 나타내는 것을 알 수 있다.
평가예 4: 시중 판매 중인 벽지와 흡습량 비교
실시예 1에서 제조한 흡방습 시트를 이용하여 제조된 기능성 벽지의 성능을 기존의 유통되고 있는 벽지와 흡습량을 비교한 결과를 하기 표 5에 나타내었다. 비교 대상의 벽지 종류로는 천연벽지 3종(다공성 천연 광물 소재 적용 벽지 2종, 옥수수 섬유를 첨가한 벽지 1종), PVC 벽지 7종, 수성 아크릴을 이용한 섬유 벽지 1종의 결과이며, 벽지의 흡방습 특성에 따른 항곰팡이 성능 평가 (문현준, 김경민, 유승호, 대한건축학회논문집-계획계, 2013.7,247-254)를 참조하였다.
상대습도 30% 50% 70% 90% 95% 70%-50%
시중 판매 중인 벽지
(종류별)
옥수수섬유 0.9% 2.0% 3.9% 9.2% 11.5% 1.9%
다공성광물1 1.9% 2.8% 4.3% 7.9% 9.2% 1.5%
다공성광물2 1.1% 1.7% 2.6% 4.7% 5.6% 0.9%
PVC1 1.0% 1.5% 2.4% 3.9% 4.1% 0.8%
PVC2 1.0% 1.5% 2.3% 4.2% 4.9% 0.8%
PVC3 1.0% 1.6% 2.4% 4.2% 4.7% 0.8%
PVC4 1.2% 1.8% 2.8% 4.9% 5.4% 1.0%
PVC5 0.9% 1.4% 2.3% 4.3% 4.9% 0.9%
PVC6 0.8% 1.5% 2.3% 4.7% 5.4% 0.9%
PVC7 1.0% 1.7% 2.7% 5.6% 6.3% 1.0%
수성아크릴 0.6% 0.9% 1.4% 2.6% 3.0% 0.6%
발명 벽지 실시예 1
흡방습 시트
16.2% 38.1% 89.2% 209.2% 258.8% 51.1%
상기 표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일 실시예에 따른 흡방습 시트를 이용한 기능성 벽지(KIST SHEET)는 다른 천연벽지, PVC 벽지와 비교해 모든 습도 구간에서 월등히 높은 흡습 성능을 보이고 있다.
이상에서는 도면 및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구현예가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구현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16)

  1. 이온성 친수기를 가진 중합성 제1 모노머;
    비이온성 친수기를 가진 중합성 제2 모노머; 및
    조해성 염(deliquescent salt);
    를 포함하는 흡방습 시트 형성용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모노머는 아크릴레이트계, 비닐계,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흡방습 시트 형성용 조성물.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아크릴레이트계 모노머는 아크릴레이트에 금속염이 결합된 형태인 흡방습 시트 형성용 조성물.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아크릴레이트계 모노머는 CH2CHCOONa, CH2CHCOOK, (CH2CHCOO)2Zn2, CH2CHCOOLi 및 (CH2CHCOO)4Zr4 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흡방습 시트 형성용 조성물.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비닐계 모노머는 비닐기를 가지고, 동시에 술폰산기, 인산기 및 비닐기를 갖는 암모늄기 중 적어도 하나를 함유하는 것인 흡방습 시트 형성용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모노머는 아마이드계, 옥사이드계,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흡방습 시트 형성용 조성물.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아마이드계 모노머는 아크릴아마이드, 메타크릴아마이드, N-메틸 아크릴아마이드, N-메틸 메타크릴아마이드, N-에틸 아크릴아마이드, N-에틸 메타크릴아마이드, N-프로필 아크릴아마이드, 및 N-프로필메타크릴아마이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흡방습 시트 형성용 조성물.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옥사이드계 모노머는 에틸렌옥사이드, 프로필렌옥사이드, 이소부틸렌옥사이드, 1-부텐옥사이드, 2-부텐옥사이드, 트리메틸에틸렌옥사이드, 테트라메틸렌옥사이드, 테트라메틸에틸렌옥사이드, 부타디엔모노옥사이드, 옥틸렌옥사이드, 스티렌옥사이드, 1,1-디페닐에틸렌옥사이드, 전분 및 셀룰로오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흡방습 시트 형성용 조성물.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해성 염은 염화 리튬(LiCl), 염화 나트륨(NaCl), 염화 칼륨(KCl), 염화 마그네슘(MgCl2), 염화 칼슘(CaCl2), 염화 아연(ZnCl2), 수산화나트륨(NaOH), 수산화칼륨(KOH), 탄산 칼륨(K2CO3), 인산 칼륨(KH2PO4), 카날석(KMgCl3·6(H2O)) 및 리튬 브로마이드(LiBr)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흡방습 시트 형성용 조성물.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모노머 100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제2 모노머는 100 내지 500 중량부이고, 상기 제1 모노머 및 상기 제2 모노머의 총합 100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조해성 염은 40 내지 80 중량부인 흡방습 시트 형성용 조성물.
  11. 제1항에 있어서,
    용매를 더 포함하는 흡방습 시트 형성용 조성물.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용매는 물, 알코올류, 벤젠류, 아세톤류, 에스테르, 알데히드류, 및 에테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흡방습 시트 형성용 조성물.
  13. 제1항에 있어서,
    개시제, 가교제, 촉매, 점도 조절제, 분산제, 충진제, 접착제, 및 계면활성제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하는 흡방습 시트 형성용 조성물.
  14.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흡방습 시트 형성용 조성물의 중합체를 포함하는 흡방습 시트.
  15.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흡방습 시트 형성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코팅 용액을 준비하는 단계;
    기재 상에 상기 코팅 용액을 코팅하는 단계; 및
    상기 코팅된 기재를 가열하여 상기 코팅 용액을 중합하는 단계;
    을 포함하는 흡방습 시트의 제조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은 40℃ 내지 100℃ 온도 범위에서 수행되는 흡방습 시트의 제조방법.
KR1020160180131A 2016-12-27 2016-12-27 흡방습 시트 형성용 조성물, 이를 이용한 흡방습 시트 및 그 제조방법 KR1019163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80131A KR101916313B1 (ko) 2016-12-27 2016-12-27 흡방습 시트 형성용 조성물, 이를 이용한 흡방습 시트 및 그 제조방법
US15/854,679 US11529611B2 (en) 2016-12-27 2017-12-26 Composition for forming absorption-desorption sheet, absorption-desorption sheet including the composition, and method of preparing the absorption-desorption shee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80131A KR101916313B1 (ko) 2016-12-27 2016-12-27 흡방습 시트 형성용 조성물, 이를 이용한 흡방습 시트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76049A true KR20180076049A (ko) 2018-07-05
KR101916313B1 KR101916313B1 (ko) 2018-11-09

Family

ID=626259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80131A KR101916313B1 (ko) 2016-12-27 2016-12-27 흡방습 시트 형성용 조성물, 이를 이용한 흡방습 시트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11529611B2 (ko)
KR (1) KR101916313B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19636A (ko) * 2019-04-10 2020-10-20 주식회사 데시칸 장기 내구성이 양호한 램프용 흡습제 및 이를 포함하는 제품
KR20200131427A (ko) * 2019-05-14 2020-11-24 주식회사 데시칸 장기 내구성이 양호한 자동차 램프용 복합흡습제품
KR20210001778A (ko) * 2019-06-28 2021-01-06 주식회사 휴마스터 표면 응집성이 개선된 흡방습 소재, 이를 포함하는 흡방습 시트 및 그 제조방법
KR20210038100A (ko) * 2019-09-30 2021-04-07 대명물산 주식회사 고흡습성 항균방습제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고흡습성 항균방습제
WO2021085805A1 (ko) * 2019-10-29 2021-05-06 (주)티케이이엔에스 내방출성 경질 흡습제 조성물
WO2021085804A1 (ko) * 2019-10-29 2021-05-06 (주)티케이이엔에스 내방출성 연질 흡습제 조성물
KR20210094371A (ko) * 2020-01-21 2021-07-29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자동차 램프용 흡습제 및 이를 포함하는 흡습제품
US11358122B2 (en) 2019-04-10 2022-06-14 Desikhan Co., Ltd. Moisture absorbent pack for vehicle lamp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242454A1 (en) * 2019-05-28 2020-12-03 W.L. Gore & Associates, Inc. Apparatus comprising a contaminant-resistant and non-corrosive desiccant composite with high moisture capacity
KR102639308B1 (ko) 2023-08-18 2024-02-20 김태욱 방습시트를 이용한 방습 시공방법
CN117304678B (zh) * 2023-11-28 2024-01-30 河北舒莱美德塑料薄膜材料科技股份有限公司 快速散热汽车保护膜用热塑性弹性体及其制备方法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021583C3 (de) * 1969-05-08 1978-06-29 Keuffel & Esser Co., Morristown, N.J. (V.St.A.) Photopolymerisierbares Gemisch
GB2093464B (en) * 1981-02-24 1984-09-05 Hercules Inc Chemically-initiated inverse emulsion polymerizations
JPS6331522A (ja) * 1986-07-25 1988-02-10 Kao Corp 吸湿剤
JP3146030B2 (ja) * 1991-10-17 2001-03-12 株式会社日本触媒 潮解性無機塩含有複合体の製法
JP3187478B2 (ja) * 1991-10-17 2001-07-11 株式会社日本触媒 潮解性無機塩含有樹脂の製法
JP3187479B2 (ja) * 1991-10-17 2001-07-11 株式会社日本触媒 潮解性無機塩含有複合体
JP2015123378A (ja) * 2013-12-25 2015-07-06 株式会社アイセロ シート状包装資材及び包装材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19636A (ko) * 2019-04-10 2020-10-20 주식회사 데시칸 장기 내구성이 양호한 램프용 흡습제 및 이를 포함하는 제품
US11358122B2 (en) 2019-04-10 2022-06-14 Desikhan Co., Ltd. Moisture absorbent pack for vehicle lamp
KR20200131427A (ko) * 2019-05-14 2020-11-24 주식회사 데시칸 장기 내구성이 양호한 자동차 램프용 복합흡습제품
KR20210001778A (ko) * 2019-06-28 2021-01-06 주식회사 휴마스터 표면 응집성이 개선된 흡방습 소재, 이를 포함하는 흡방습 시트 및 그 제조방법
KR20210038100A (ko) * 2019-09-30 2021-04-07 대명물산 주식회사 고흡습성 항균방습제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고흡습성 항균방습제
WO2021085805A1 (ko) * 2019-10-29 2021-05-06 (주)티케이이엔에스 내방출성 경질 흡습제 조성물
WO2021085804A1 (ko) * 2019-10-29 2021-05-06 (주)티케이이엔에스 내방출성 연질 흡습제 조성물
US11400431B2 (en) 2019-10-29 2022-08-02 Tkens, Co., Ltd. Composition for soft anti-release moisture absorbent
KR20210094371A (ko) * 2020-01-21 2021-07-29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자동차 램프용 흡습제 및 이를 포함하는 흡습제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80178195A1 (en) 2018-06-28
US11529611B2 (en) 2022-12-20
KR101916313B1 (ko) 2018-11-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16313B1 (ko) 흡방습 시트 형성용 조성물, 이를 이용한 흡방습 시트 및 그 제조방법
EP1607215A1 (en) Functional member and method for production thereof and fluid to be applied
KR101535151B1 (ko) 흡습성 및 방습성을 가지는 기능성 실내용 건축마감재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2158443B1 (ko) 흡방습 기능을 갖는 친환경 무기질 도료 조성물, 그리고 이의 제조 방법
KR101259773B1 (ko) 건축물의 실내 마감재용 수성페인트 조성물
KR101525492B1 (ko) 에너지 회수 전열교환소자용 다공성 필름형 부직포 전열막의 제조방법
KR101012120B1 (ko) 친환경 pe+pp 수지 혼합물을 이용한 고 기능성 벽지 마감재 조성물
KR20150000127A (ko) 흡·방습벽지 및 그 제조방법
KR100651080B1 (ko) 조습성을 갖는 무기계 바름재 조성물
KR101831236B1 (ko) 음이온이 방출되는 기능성 시트지
KR20160094072A (ko) 토르마린 소결 담체를 포함하는 규조토 마감재 층을 갖는 석고보드 패널 및 그 제조방법
KR100994787B1 (ko) 활성탄소섬유를 함유하는 규조토계 벽마감재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규조토계 벽마감재
KR101446019B1 (ko) 대마액 및 대마 줄기를 이용한 친환경 벽지용 조성물
JP2005186618A (ja) 積層体
KR101299152B1 (ko) 왕겨를 포함한 건축 내장재
JP5061396B2 (ja) 珪藻土系室内塗装材による塗装方法及び当該塗装方法に用いられる珪藻土系室内塗装材
JP3146030B2 (ja) 潮解性無機塩含有複合体の製法
KR101322049B1 (ko) 전열교환소자용 용지,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전열교환소자
KR101213353B1 (ko) 새집증후군 저감과 항균 및 항곰팡이 특성을 가지는 석회 도료 조성물
KR101963151B1 (ko) 항균, 탈취 및 통기성을 갖는 폴리올레핀 부직포 및 구두 인솔용 적층 시트
KR20180012186A (ko) 인장강도 및 흡방습 특성이 우수한 천연 벽지
KR101224038B1 (ko) 고기능성 천연 합성 벽 마감재 조성물
KR101224041B1 (ko) 고기능성 천연 합성 벽 마감재 조성물의 제조 방법
JPH0133224B2 (ko)
KR101012126B1 (ko) 친환경 pe+pp 수지 혼합물을 이용한 고 기능성 벽지 마감재 조성물의 제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