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37141A - 조종성능이 향상된 선박 - Google Patents

조종성능이 향상된 선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37141A
KR20210037141A KR1020190119380A KR20190119380A KR20210037141A KR 20210037141 A KR20210037141 A KR 20210037141A KR 1020190119380 A KR1020190119380 A KR 1020190119380A KR 20190119380 A KR20190119380 A KR 20190119380A KR 20210037141 A KR20210037141 A KR 202100371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ull
generating unit
force generating
auxiliary force
flu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193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태구
송지수
박형길
이동연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193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37141A/ko
Publication of KR202100371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3714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HMARINE PROPULSION OR STEERING
    • B63H25/00Steering; Slowing-down otherwise than by use of propulsive elements; Dynamic anchoring, i.e. positioning vessels by means of main or auxiliary propulsive elements
    • B63H25/52Parts for steer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0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 B05B1/14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with multiple outlet openings; with strainers in or outside the outlet open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9/00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 without essentially mixing with gas or vapour
    • B05B9/03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 without essentially mixing with gas or vapour characterised by means for su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Other Liquid Machine Or Engine Such As Wave Power Use (AREA)

Abstract

조종성능이 향상된 선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종성능이 향상된 선박은 선체; 상기 선체의 선미보스부 후방에 배치되는 프로펠러; 상기 프로펠러의 후방에 배치되는 러더; 상기 프로펠러의 전방에서 상기 선미보스부와 상기 선체의 상기 선미보스부 상측에 위치하는 선미경사부 사이에 배치되고,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회전중심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상기 선체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보조타력발생부; 및 상기 보조타력발생부가 회전동작하도록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보조타력발생부는, 상기 선체가 직진운항할 때 회전동작을 중지하고, 상기 선체가 선회운항할 때 상기 러더가 발생시키는 메인타력과 같은 방향으로 보조타력을 발생시키도록 회전동작한다.

Description

조종성능이 향상된 선박{Ship having improved maneuverability}
본 발명은 조종성능이 향상된 선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선박은 선체의 선미에 추진장치인 프로펠러가 설치되고, 프로펠러의 회전에 의한 추력을 통해 진행한다. 그리고 선박은 프로펠러의 후방에 러더가 선체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러더가 선체에 대해 회전하며 발생시키는 타력을 통해 진행방향이 조종될 수 있다.
이때, 선박은 러더의 조종성능에 따라 정해진 항로를 유지하거나 진행방향을 원활하게 변경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러더는 러더의 면적을 증가시킴으로써 조종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러나 러더는 프로펠러의 후방에 위치하게 되므로 그 면적에 제한을 받게 되고, 소정의 면적 이상으로 증가하는 경우 저항이 증가하는 것과 같은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선박의 조종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한 장치의 개발이 필요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조종성능이 향상된 선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선체; 상기 선체의 선미보스부 후방에 배치되는 프로펠러; 상기 프로펠러의 후방에 배치되는 러더; 상기 프로펠러의 전방에서 상기 선미보스부와 상기 선체의 상기 선미보스부 상측에 위치하는 선미경사부 사이에 배치되고,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회전중심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상기 선체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보조타력발생부; 및 상기 보조타력발생부가 회전동작하도록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보조타력발생부는, 상기 선체가 직진운항할 때 회전동작을 중지하고, 상기 선체가 선회운항할 때 상기 러더가 발생시키는 메인타력과 같은 방향으로 보조타력을 발생시키도록 회전동작하는, 조종성능이 향상된 선박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보조타력발생부는 상기 회전중심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한 회전몸체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몸체는 상기 선미보스부 상측에서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원통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보조타력발생부는 상기 선체에 돌출되어 형성되는 마운트부를 통해 상기 선체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다.
상기 보조타력발생부의 전방에 형성되고, 상기 보조타력발생부의 회전방향에 대응하여 상기 보조타력발생부의 우측 또는 좌측으로 이동하는 유체를 가속시키는 유체가속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체가속부는, 상기 보조타력발생부의 전방에서 상기 선체의 우측에 배치되고, 상기 보조타력발생부의 우측으로 유체를 분사하는 제1분사노즐; 상기 보조타력발생부의 전방에서 상기 선체의 좌측에 배치되고, 상기 보조타력발생부의 좌측으로 유체를 분사하는 제2분사노즐; 및 상기 제1분사노즐 및 제2분사노즐에 유체를 공급하는 유체공급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분사노즐은 복수로 제공되고, 상기 복수의 제1분사노즐은 상하방향으로 분산 배치되고, 상기 제2분사노즐은 복수로 제공되고, 상기 복수의 제2분사노즐은 상하방향으로 분산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선체가 선회운항할 때 러더가 발생시키는 메인타력 및 보조타력발생부가 발생시키는 보조타력에 의해 조종성능이 향상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의 일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보조타력발생부가 보조타력을 발생시키는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AA선을 화살표방향으로 바라본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 및 도 5는 도 3의 러더 및 보조타력발생부가 회전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도 1의 보조타력발생부의 지지구조의 일 변형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도 1의 보조타력발생부의 지지구조의 다른 변형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선박의 일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도 8의 BB선을 화살표방향으로 바라본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의 일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참고로, 도 1에서 +X축방향은 선체(10) 및 보조타력발생부(300)의 전방을 나타내고, +Y축방향은 선체(10) 및 보조타력발생부(300)의 좌측을 나타내고, +Z축방향은 선체(10) 및 보조타력발생부(300)의 상측을 나타낸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1)은 선체(10), 프로펠러(100), 러더(200), 보조타력발생부(300), 및 구동부(400)를 포함한다.
선체(10)의 선미보스부(11) 후방에는 도 1과 같이 프로펠러(100)가 배치된다. 프로펠러(100)는 엔진과 같은 메인구동장치(미도시)가 제공하는 구동력을 제공받아 회전할 수 있다.
회전하는 프로펠러(100)는 메인추력을 발생시키고, 선체(10)는 프로펠러(100)가 발생시키는 메인추력에 의해 운항할 수 있다.
러더(200)는 프로펠러(100)의 후방에 배치된다. 러더(200)는 선체(1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러더(200)는 회전하며 선체(10)의 우측 또는 선체(10)의 좌측으로 메인타력(FR)을 발생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선체(10)는 러더(200)의 메인타력(FR)에 의해 진행방향이 변경될 수 있다.
보다 상세히, 러더(200)는 중립상태에 있을 수 있다. 여기서, 중립상태는 러더(200)의 길이방향중심선(미도시)이 선체(10)의 길이방향중심선(미도시)에 나란한 상태일 수 있다. 이 경우, 선체(10)는 직진운항할 수 있다.
또는 러더(200)는 중립상태에서 선체(10)의 우측 또는 좌측으로 회전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러더(200)는 러더(200)의 길이방향중심선이 선체(10)의 길이방향중심선에 대해 선체(10)의 우측 또는 좌측으로 경사지도록 회전할 수 있다. 이 경우, 러더(200)는 선체(10)의 우측 또는 좌측으로 메인타력(FR)을 발생시키고, 선체(10)는 러더(200)가 발생시키는 메인타력(FR)에 의해 진행방향을 변경하는 선회운항할 수 있다.
보조타력발생부(300)는 도 1과 같이 프로펠러(100)의 전방에서 선미보스부(11)와 선체(10)의 선미보스부(11)의 상측에 위치하는 선미경사부(12) 사이에 배치된다.
보조타력발생부(300)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회전중심축(C)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보조타력발생부(300)는 회전중심축(C)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한 회전몸체(310)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회전몸체(310)는 도 1과 같이 선미보스부(11) 상측에서 상하방향(예컨대, 도 1에서 볼 때 Z축방향), 즉 선체(10)의 높이방향으로 연장되는 원통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이 경우, 회전몸체(310)는 선미보스부(11)와 선미경사부(12) 사이 공간에서 회전중심축(C)을 중심으로 선체(10)의 좌측 또는 우측으로 회전할 수 있다.
보조타력발생부(300)는 선체(10)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이 경우, 보조타력발생부(300)는 양단부, 즉 상단부 및 하단부 중 적어도 한 단부가 선체(10)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다.
예컨대, 회전몸체(310)는 도 1과 같이 상단부 및 하단부가 모두 선체(10)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다. 이 경우, 회전몸체(310)는회전중심축(C)을 따라 연장되는 지지샤프트(321, 322)를 매개로 선체(10)에 지지될 수 있다.
이때, 지지샤프트(321, 322)는 한 쌍으로 제공될 수 있다.
한 쌍의 지지샤프트(321, 322) 중 한 지지샤프트(321)는 일단부가 회전몸체(310)의 상단부에 연결되고, 타단부가 선미경사부(12)를 형성하는 선체(10)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다. 한 쌍의 지지사프트(321, 322) 중 나머지 지지샤프트(322)는 일단부가 회전몸체(310)의 하단부에 연결되고, 타단부가 선미보스부(11)를 형성하는 선체(10)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다.
구동부(400)는 보조타력발생부(300)가 회전동작하도록 구동력을 제공한다.
예컨대, 구동부(400)는 정,역회전이 가능한 모터(410)를 포함할 수 있다.
모터(410)는 도 1과 같이 선체(10) 내부에 설치될 수 있다.
모터(410)의 모터축(미도시)은 한 쌍의 지지샤프트(321, 322) 중 어느 하나와 연결될 수 있다. 이 경우, 모터(410)의 모터축(미도시)은 회전몸체(310)의 상단부에 연결된 지지샤프트(321)와 연결될 수 있다.
모터(410)는 정회전 또는 역회전하며 회전몸체(310)의 상단부에 연결된 지지샤프트(321)를 회전시키고, 회전몸체(310)는 회전하는 회전몸체(310)의 상단부에 연결된 지지샤프트(321)와 함께 선체(10)의 우측 또는 좌측으로 회전할 수 있다.
보조타력발생부(300)는 도 2와 같이 보조타력발생부(300)의 전방에서 후방으로 이동하는 유체(V) 속에서 회전할 수 있다(도 2의 점선화살표 참조). 참고로, 도 2는 도 1의 보조타력발생부가 보조타력을 발생시키는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2에서 +X축방향은 보조타력발생부(300)의 전방을 나타내고, +Y축방향은 보조타력발생부(300)의 좌측을 나타내고, +Z축방향은 보조타력발생부(300)의 상측을 나타내고, 도 2에서는 보조타력발생부(300)가 보조타력발생부(300)의 우측으로 힘(FM)을 발생시키도록 회전동작하는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이 경우, 보조타력발생부(300)는 마그누스 효과(magnus effect)에 의해 회전중심축(C) 및 유체(V)의 유속에 수직한 방향(예컨대, 도 2에서 볼 때 -Y축방향)으로 힘(FM)을 발생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보조타력발생부(300)가 발생시키는 힘(FM)은 보조타력발생부(300)의 회전방향에 따라 러더(200)가 발생시키는 메인타력과 같은 방향을 향할 수 있다. 이때, 보조타력발생부(300)가 발생시키는 힘은 선체(10)의 진행방향을 조종하기 위한 보조타력(FM)으로 작용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보조타력발생부(300)는 선체(10)의 운항상태에 따라 보조타력(FM)을 발생시키도록 회전동작하거나, 회전동작을 중지할 수 있다.
보다 상세히, 보조타력발생부(300)는 선체(10)가 직진운항할 때 회전동작을 중지할 수 있다. 이 경우, 보조타력발생부(300)는 도 1과 같이 선체(10)를 측방향에서 볼 때 선미보스부(11) 상측, 즉 선미보스부(11)와 선미경사부(12) 사이 공간에서 선체(10)의 측면적을 증가시키는 스케그 구조물로 작용할 수 있다. 이때, 본 실시예에 따른 선박(1)은 보조타력발생부(300)에 의해 선체(10)의 직진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는, 보조타력발생부(300)는 선체(10)가 선회운항할 때 회전동작할 수 있다. 이 경우, 보조타력발생부(300)는 러더(200)의 회전방향에 대응하여 회전동작하고, 러더(200)가 발생시키는 메인타력과 같은 방향으로 보조추력(FM)을 발생시킬 수 있다. 이때, 본 실시예에 따른 선박(1)은 러더(200)의 메인타력 및 보조타력발생부(300)의 보조타력(FM)에 의해 선체(10)의 조종성능이 향상될 수 있다.
도 3은 도 1의 AA선을 화살표방향으로 바라본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4 및 도 5는 도 3의 러더 및 보조타력발생부가 회전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참고로, 도 3 내지 도 5에서 +X축방향은 보조타력발생부(300)의 전방을 나타내고, +Y축방향은 보조타력발생부(300)의 좌측을 나타내고, +Z축방향은 보조타력발생부(300)의 상측을 나타내고, 도 3에서는 러더(200)가 중립상태에 있는 모습이 도시되어 있고, 도 4에서는 러더(200)가 선체(10)의 우측으로 메인타력(FR)이 발생하도록 회전한 모습이 도시되어 있고, 도 5에서는 러더(200)가 선체(10)의 좌측으로 메인타력(FR)이 발생하도록 회전한 모습이 도시되어 있고, 도 3 내지 도 5에서는 프로펠러(도 1의 100)가 생략되어 도시되어 있다.
이하에서, 도 1,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1)의 운항상태에 따른 보조타력발생부(300)의 동작을 설명한다.
도 1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선박(1)은 직진운항할 수 있다. 이 경우, 러더(200)는 중립상태에 있을 수 있다. 이때, 보조타력발생부(300)는 보조타력의 발생을 중지할 수 있다. 이 경우, 회전몸체(310)는 회전동작을 중지하고, 구동부(400)는 회전몸체(310)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것을 중지할 수 있다.
도 1,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선박(1)은 선회운항할 수 있다. 이 경우, 러더(200)는 중립상태에서 선체(10)의 우측 또는 좌측으로 메인타력(FR)이 발생하도록 회전할 수 있다. 이때, 보조타력발생부(300)는 러더(200)의 회전방향에 대응하여 회전동작하고, 메인타력(FR)과 같은 방향으로 보조타력(FM)을 발생시킬 수 있다. 이 경우, 회전몸체(310)는 회전동작하며, 구동부(400)는 회전몸체(310)에 구동력을 제공할 수 있다.
일례로, 러더(200)는 도 4와 같이 선체(10)의 우측으로 메인타력(FR)이 발생하도록 회전할 수 있다. 이때, 회전몸체(310)는 메인타력(FR)과 같은 방향, 즉 선체(10)의 우측으로 보조타력(FM)이 발생하도록 회전할 수 있다(도 6의 점선화살표 참조). 예컨대, 회전몸체(310)는 회전중심축(C)을 중심으로 선체(10)의 우측으로 회전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러더(200)는 도 5와 같이 선체(10)의 좌측으로 메인타력(FR)이 발생하도록 회전할 수 있다. 이때, 회전몸체(310)는 메인타력(FR)과 같은 방향, 즉 선체(10)의 좌측으로 보조타력(FM)이 발생하도록 회전할 수 있다 (도 7의 점선화살표 참조). 예컨대, 회전몸체(310)는 회전중심축(C)을 중심으로 선체(10)의 좌측으로 회전할 수 있다.
앞서 살핀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선박(1)은 선체(10)가 선회운항할 때 러더(200)가 발생시키는 메인타력 및 보조타력발생부(300)가 발생시키는 보조타력에 의해 조종성능이 향상될 수 있다.
한편, 다른 실시예에서는 보조타력발생부(300')의 양단부 중 어느 한 단부만 도 6과 같이 선체(10)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다.
참고로, 도 6은 도 1의 보조타력발생부의 지지구조의 일 변형례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6에서 +X축방향은 선체(10) 및 보조타력발생부(300')의 전방을 나타내고, +Y축방향은 선체(10) 및 보조타력발생부(300')의 좌측을 나타내고, +Z축방향은 선체(10) 및 보조타력발생부(300')의 상측을 나타낸다.
예컨대, 회전몸체(310')는 상단부가 선미경사부(12)를 형성하는 선체(10)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하단부는 선미보스부(11)에 대해 이격될 수 있다. 이 경우, 지지샤프트(323')는 회전몸체(310)의 상단부에 연결되어 상하방향으로 연장되고, 선체(10)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다.
한편,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보조타력발생부(300")가 도 7과 같이 마운트부(330")를 통해 선체(10)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다.
참고로, 도 7은 도 1의 보조타력발생부의 지지구조의 다른 변형례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7에서 +X축방향은 선체(10) 및 보조타력발생부(300")의 전방을 나타내고, +Y축방향은 선체(10) 및 보조타력발생부(300")의 좌측을 나타내고, +Z축방향은 선체(10) 및 보조타력발생부(300")의 상측을 나타내고, 도 7에서는 보조타력발생부(300")의 양단부가 모두 선체(10)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마운트부(330")는 선체(10)에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마운트부(330")는 선체(10)와 보조타력발생부(300")의 단부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마운트부(330")는 선체(10)의 길이방향으로 이동하는 유체에 의한 저항을 최소화하도록 유선형으로 제공될 수 있다. 이 경우, 마운트부(330")는 선체(10)와 보조타력발생부(300")의 단부 사이 공간을 채우는 스케그 구조를 제공하고, 선체(10)의 직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예컨대, 마운트부(330")는 도 7과 같이 선미경사부(12) 및 선미보스부(11)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이때, 각 마운트부(330")는 회전몸체(310")의 양단부에 각각 연결되는 지지샤프트(321", 322")를 감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각 지지샤프트(321", 322")는 마운트부(33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선박의 일부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9는 도 8의 BB선을 화살표방향으로 바라본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참고로, 도 8 및 도 9에서 +X축방향은 선체(10) 및 보조타력발생부(300)의 전방을 나타내고, +Y축방향은 선체(10) 및 보조타력발생부(300)의 좌측을 나타내고, +Z축방향은 선체(10) 및 보조타력발생부(300)의 상측을 나타내고, 도 8에서는 선체(10)의 선미부가 도시되어 있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선박(2)은 선체(10), 프로펠러(100), 러더(200), 보조타력발생부(300), 구동부(400), 및 유체가속부(50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선체(10), 프로펠러(100), 러더(200), 보조타력발생부(300), 구동부(400)는 앞선 실시예의 선체(도 1의 10), 프로펠러(도 1의 100), 러더(도 1의 200), 보조타력발생부(도 1의 300), 구동부(도 1의 400)와 실질적으로 동일하고,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선박(2)은 유체가속부(500)를 더 포함하는 점에서 앞선 실시예와 차이가 있다. 이하,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앞선 실시예와 차이가 있는 점에 대해 설명한다.
유체가속부(500)는 도 8과 같이 보조타력발생부(300)의 전방에 형성된다. 이 경우, 유체가속부(500)는 보조타력발생부(300)의 전방에 위치하는 선체(10)에 형성될 수 있다.
유체가속부(500)는 보조타력발생부(300)의 전방에서 보조타력발생부(300)를 향해 이동하는 유체를 가속시킬 수 있다. 이 경우, 보조타력발생부(300)로 이동하는 유체는 속도가 증가하게 되고, 보조타력발생부(300)가 발생시키는 보조타력의 크기는 증가하는 유체의 속도에 대응하여 증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선박(2)은 보조타력발생부(300)가 발생시키는 보조타력의 크기가 증가하여 조종성능이 보다 향상될 수 있다.
유체가속부(500)는 보조타력발생부(300)의 회전방향에 대응하여 보조타력발생부(300)의 우측 또는 좌측으로 이동하는 유체를 가속시킬 수 있다.
보다 상세히, 유체가속부(500)는 보조타력발생부(300)가 회전중심축(C)을 중심으로 선체(10)의 우측으로 회전할 때, 보조타력발생부(300)의 우측으로 이동하는 유체를 가속시킬 수 있다.
또는, 유체가속부(500)는 보조타력발생부(300)가 회전중심축(C)을 중심으로 선체(10)의 좌측으로 회전할 때, 보조타력발생부(300)의 좌측으로 이동하는 유체를 가속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유체가속부(500)는 도 8 및 도 9와 같이 제1분사노즐(510), 제2분사노즐(520) 및 유체공급모듈(550)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유체가속부(500)는 보조타력발생부(300)의 전방에서 유체(예컨대, 해수)를 분사하여 보조타력발생부(300)로 이동하는 유체를 가속시킬 수 있다.
제1분사노즐(510)은 보조타력발생부(300)의 전방에서 선체(10)의 우측에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분사노즐(510)은 분사구가 보조타력발생부(300)의 우측을 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1분사노즐(510)은 보조타력발생부(300)의 우측으로 유체를 분사하고, 제1분사노즐(510)에서 분사되는 유체는 보조타력발생부(300)의 우측으로 이동하는 유체를 가속시킬 수 있다.
제2분사노즐(520)은 보조타력발생부(300)의 전방에서 선체(10)의 좌측에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제2분사노즐(520)은 분사구가 보조타력발생부(300)의 좌측을 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2분사노즐(520)은 보조타력발생부(300)의 좌측으로 유체를 분사하고, 제2분사노즐(520)에서 분사되는 유체는 보조타력발생부(300)의 좌측으로 이동하는 유체를 가속시킬 수 있다.
제1분사노즐(510) 및 제2분사노즐(520)에는 각각 제1개폐밸브(미도시) 및 제2개폐밸브(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제1개폐밸브 및 제2개폐밸브는 보조타력발생부(300)의 회전방향에 따라 제1분사노즐(510) 및 제2분사노즐(520)을 개폐시킬 수 있다.
보다 상세히, 보조타력발생부(300)는 회전중심축(C)을 중심으로 선체(10)의 우측으로 회전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개폐밸브는 제1분사노즐(510)을 개방시키는 개방동작하고, 제2개폐밸브는 제2분사노즐(520)을 폐쇄시키는 폐쇄동작할 수 있다. 이때, 제1분사노즐(510)은 유체를 분사하고, 제2분사노즐(520)은 유체의 분사를 중지할 수 있다.
또는 보조타력발생부(300)는 회전중심축(C)을 중심으로 선체(10)의 좌측으로 회전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개폐밸브는 제1분사노즐(510)을 폐쇄시키는 폐쇄동작하고, 제2개폐밸브는 제2분사노즐(520)을 개방시키는 개방동작할 수 있다. 이때, 제1분사노즐(510)은 유체의 분사를 중지하고, 제2분사노즐(520)은 유체를 분사할 수 있다.
한편, 제1개폐밸브 및 제2개폐밸브는 보조타력발생부(300)가 회전을 중지할 때 각각 제1분사노즐(510) 및 제2분사노즐(520)을 폐쇄시키는 폐쇄동작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분사노즐(510) 및 제2분사노즐(520)이 유체를 분사하기 위한 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다.
유체공급모듈(550)은 제1분사노즐(510) 및 제2분사노즐(520)에 유체를 공급할 수 있다.
예컨대, 유체공급모듈(550)은 도 8 및 도 9와 같이 유체저장탱크(551), 제1유체이동라인(552) 및 제2유체이동라인(553)을 포함할 수 있다.
유체저장탱크(551)는 제1분사노즐(510) 또는 제2분사노즐(520)이 분사하는 유체를 저장할 수 있다. 유체저장탱크(551)는 선체(10) 내부에 형성될 수 있다.
유체저장탱크(551)는 밸러스트탱크일 수 있다. 또는, 유체저장탱크(551)는 제1분사노즐(510) 또는 제2분사노즐(520)이 분사하는 유체를 저장하기 위해 별도로 제작되어 제공될 수 있다.
제1유체이동라인(552)은 제1분사노즐(510)과 유체저장탱크(551)를 연결할 수 있다. 제1유체이동라인(552)은 유체저장탱크(551)에 저장된 유체가 제1분사노즐(510)로 이동하는 경로를 제공할 수 있다.
제1유체이동라인(552)에는 제1펌프(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펌프는 제1분사노즐(510)이 유체를 분사할 때 작동하고, 제1분사노즐(510)이 유체의 분사를 중지할 때 작동을 중지할 수 있다.
제2유체이동라인(553)은 제2분사노즐(520)과 유체저장탱크(551)를 연결할 수 있다. 제2유체이동라인(553)은 유체저장탱크(551)에 저장된 유체가 제2분사노즐(520)로 이동하는 경로를 제공할 수 있다.
제2유체이동라인(553)에는 제2펌프(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제2펌프는 제2분사노즐(520)이 유체를 분사할 때 작동하고, 제2분사노즐(520)이 유체의 분사를 중지할 때 작동을 중지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1분사노즐(510)은 도 8과 같이 복수로 제공될 수 있다. 복수의 제1분사노즐(510)은 상하방향, 즉 보조타력발생부(300)의 회전중심축(C)의 연장방향으로 분산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유체이동라인(552)의 제1분사노즐(510)을 향한 단부는 복수의 제1분사노즐(510)에 대응하여 분기될 수 있다.
제2분사노즐(520)은 복수로 제공될 수 있다. 복수의 제2분사노즐(520)은 상하방향, 즉 보조타력발생부(300)의 회전중심축(C)의 연장방향으로 분산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제2유체이동라인(553)의 제2분사노즐(520)을 향한 단부는 복수의 제2분사노즐(520)에 대응하여 분기될 수 있다.
복수의 제1분사노즐(510) 또는 복수의 제2분사노즐(520)에서 분사되는 유체는 보조타력발생부(300)로 이동하는 유체를 보다 효과적으로 가속시킬 수 있다.
1, 2: 선박 10: 선체
100: 프로펠러 200: 러더
300, 300', 300": 보조타력발생부 310, 310', 310": 회전몸체
400: 구동부 500: 유체가속부
510: 제1분사노즐 520: 제2분사노즐

Claims (6)

  1. 선체;
    상기 선체의 선미보스부 후방에 배치되는 프로펠러;
    상기 프로펠러의 후방에 배치되는 러더;
    상기 프로펠러의 전방에서 상기 선미보스부와 상기 선체의 상기 선미보스부 상측에 위치하는 선미경사부 사이에 배치되고,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회전중심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상기 선체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보조타력발생부; 및
    상기 보조타력발생부가 회전동작하도록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보조타력발생부는,
    상기 선체가 직진운항할 때 회전동작을 중지하고,
    상기 선체가 선회운항할 때 상기 러더가 발생시키는 메인타력과 같은 방향으로 보조타력을 발생시키도록 회전동작하는, 조종성능이 향상된 선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타력발생부는 상기 회전중심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한 회전몸체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몸체는 상기 선미보스부 상측에서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원통 형상으로 제공되는, 조종성능이 향상된 선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타력발생부는 상기 선체에 돌출되어 형성되는 마운트부를 통해 상기 선체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조종성능이 향상된 선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타력발생부의 전방에 형성되고, 상기 보조타력발생부의 회전방향에 대응하여 상기 보조타력발생부의 우측 또는 좌측으로 이동하는 유체를 가속시키는 유체가속부를 더 포함하는, 조종성능이 향상된 선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가속부는,
    상기 보조타력발생부의 전방에서 상기 선체의 우측에 배치되고, 상기 보조타력발생부의 우측으로 유체를 분사하는 제1분사노즐;
    상기 보조타력발생부의 전방에서 상기 선체의 좌측에 배치되고, 상기 보조타력발생부의 좌측으로 유체를 분사하는 제2분사노즐; 및
    상기 제1분사노즐 및 제2분사노즐에 유체를 공급하는 유체공급모듈을 포함하는, 조종성능이 향상된 선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분사노즐은 복수로 제공되고, 상기 복수의 제1분사노즐은 상하방향으로 분산 배치되고,
    상기 제2분사노즐은 복수로 제공되고, 상기 복수의 제2분사노즐은 상하방향으로 분산 배치되는, 조종성능이 향상된 선박.
KR1020190119380A 2019-09-27 2019-09-27 조종성능이 향상된 선박 KR2021003714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9380A KR20210037141A (ko) 2019-09-27 2019-09-27 조종성능이 향상된 선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9380A KR20210037141A (ko) 2019-09-27 2019-09-27 조종성능이 향상된 선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37141A true KR20210037141A (ko) 2021-04-06

Family

ID=754731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19380A KR20210037141A (ko) 2019-09-27 2019-09-27 조종성능이 향상된 선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37141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036515B2 (ja) 水中航走体
JP5351785B2 (ja) 船舶用推進システムおよびそれを備えた船舶
JP5337722B2 (ja) 船舶用推進制御装置および船舶
JP5243978B2 (ja) 舶用推進システムおよび操船方法
JP2015116847A (ja) 船舶推進システムおよびそれを備えた船舶
JP2788216B2 (ja) 舶用ウオータジェット推進機の操縦装置
JP2013107596A (ja) 船舶および船舶推進ユニット
JP2015054627A (ja) 船舶推進システムおよびそれを備えた船舶
JP2012183948A (ja) 船舶
JP5147273B2 (ja) 1軸1舵船の定点位置保持方法とその装置
US20090111339A1 (en) Small boat
KR20210037141A (ko) 조종성능이 향상된 선박
CN108762263B (zh) 一种双机双喷水推进船艇的矢量运动控制方法
JP6168865B2 (ja) 船首側に空中ラダーを設けた船舶
JP6158584B2 (ja) 船舶
JP3238342B2 (ja) ジョイスティック操船装置
JP2022146791A (ja) 操船システム及び船舶
JP2023131896A (ja) 操船支援装置および船舶
JP3171394B2 (ja) 推力制御装置付ポンプジェット推進器
JP2013184564A (ja) 船舶推進機
KR20150100222A (ko) 연료 소비 저감을 위한 선박
JP2012116329A (ja) 船舶推進装置
KR20090065648A (ko) 조향이 용이한 선박
JP5479552B2 (ja) 1軸1舵船の定点位置保持方法とその装置
JP2023142434A (ja) 洋上風車アクセス船及び洋上風車アクセス船の操船方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