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35880A - 내부 시일에 의해 지지되는 광원을 포함하는 자동차 도어 - Google Patents

내부 시일에 의해 지지되는 광원을 포함하는 자동차 도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35880A
KR20210035880A KR1020217005727A KR20217005727A KR20210035880A KR 20210035880 A KR20210035880 A KR 20210035880A KR 1020217005727 A KR1020217005727 A KR 1020217005727A KR 20217005727 A KR20217005727 A KR 20217005727A KR 20210035880 A KR20210035880 A KR 202100358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ow
glass
light
seal
light sour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057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로익 베조
스테판 마리
티에리 호디스네
Original Assignee
르노 에스.아.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르노 에스.아.에스. filed Critical 르노 에스.아.에스.
Publication of KR202100358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3588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0Sealing arrangements
    • B60J10/70Seal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windows or windscreens
    • B60J10/74Seal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windows or windscreens for sliding window panes, e.g. sash guides
    • B60J10/75Seal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windows or windscreens for sliding window panes, e.g. sash guides for sealing the lower part of the pa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0Sealing arrangements
    • B60J10/80Seal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opening panels, e.g. doors
    • B60J10/84Seal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opening panels, e.g. doors arranged on the vehicle bod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0Sealing arrangements
    • B60J10/70Seal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windows or windscree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 B60Q1/32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vehicle sides, e.g. clearance lights
    • B60Q1/323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vehicle sides, e.g. clearance lights on or for do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 B60Q1/32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vehicle sides, e.g. clearance lights
    • B60Q1/323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vehicle sides, e.g. clearance lights on or for doors
    • B60Q1/324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vehicle sides, e.g. clearance lights on or for doors for signalling that a door is open or intended to be open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3/00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 B60Q3/50Mounting arrangements
    • B60Q3/54Lighting devices embedded in interior trim, e.g. in roof l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3/00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 B60Q3/70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 B60Q3/78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for generating luminous strips, e.g. for marking trim component ed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indow Of Vehicle (AREA)
  • Arrangements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Mounting And Supporting Thereof, Circuits Therefore (AREA)
  • Seal Device For Vehicl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체적으로 길고 수직의 형태를 갖는 자동차 도어(10)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자동차 도어(10)는: 횡방향에서 내부 에지(23)와 외부 에지(25)에 의해 한정되는 종방향 슬롯(21)에 의하여 상부가 개방된 하측의 중공 몸체(12); 상기 슬롯(21)의 연속선 상에 배치된 윈도우 통공(window aperture)(14); 상기 슬롯(21) 안에서 수직으로 슬라이딩할 수 있게 장착된 윈도우-글래스(22)로서, 상기 슬라이딩은 상기 윈도우-글래스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중공 몸체(12) 안으로 후퇴되는 활짝 개방 위치(wide-open position)와 윈도우 통공(14)이 완전히 폐쇄되는 위치 사이에서 이루어지는, 윈도우-글래스(22); 및 상기 슬롯(slot)(21)의 에지(edge)(23)들 중 하나와, 상기 윈도우-글래스(window-glass)(22)에 제공된 반대측 면(24) 사이에 개재된 시일(28)로서, 상기 시일(28)은 슬롯(21)의 상기 에지(23)에 고정된 몸체(body)(32)와, 상기 몸체(32)로부터 윈도우-글래스(22)의 상기 면(24)에 대해 가압하는 자유 외부 에지(free exterior edge)(35)까지 횡방향으로 연장된 적어도 하나의 유연성 립(lip)(34)을 포함하고, 완전 폐쇄 위치(fully-closed position)에서 보일 수 있는 상기 윈도우-글래스(22)의 적어도 일부분(22B)은 상기 시일(28) 위에 위치하며, 상기 시일(28)은 횡단면에서 개구(56)를 거쳐서 윈도우-글래스(22)의 가시부(visible portion)(22B)에 대해 직접적으로 개방되는 하우징(housing)(54)을 구비하고, 적어도 하나의 광원(50)이 상기 하우징(54) 내부에서 상기 시일의 하나의 면에 배치되며, 상기 시일의 면은 지지부(325)로서 작용하며, 상기 광원(50)에서 방출되는 광선(rays of light)은 개구(56)를 통해 이탈하여 반대측에서 상기 면(24)을 거쳐 직접적으로 윈도우-글래스(22)의 가시부(22B)에 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내부 시일에 의해 지지되는 광원을 포함하는 자동차 도어
본 발명은 자동차 객실을 닫기 위한 윈도우-글래스 및 관련된 제1 지지부에 의하여 지지되는 적어도 제1 광원을 포함하는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서, 제1 광원 각각은 상기 윈도우-글래스에 대해 횡방향으로 오프셋(offset)되어 있고 상기 윈도우-글래스의 제1 자유면을 향하여 직접적으로 광선을 방출한다.
자동차 제조사들은 객실을 닫기 위한 윈도우-글래스와 광원을 조합하는 방안을 이미 제안한바 있는데, 이는 윈도우-글래스로부터 직접적으로 발산하는 것으로 보이는 빛을 생성함을 가능하게 한다. 이와 같은 효과는 윈도우-글래스의 에지(들) 주위에 있는 자동차의 차체(bodywork)에 광원을 은닉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광선은 윈도우-글래스에 진입하고 두 개의 주된 면들 사이에서 연속적으로 반사되면서 윈도우-글래스 내부에서 전파되며, 윈도우-글래스로부터 점진적으로 나옴으로써 조명(luminescence)의 미관을 연출한다.
광-확산 패턴부들을 포함하는 윈도우-글래스와 그러한 장치를 조합하는 것이 가능하다. 광원이 꺼진 때에는, 상기 확산 패턴부가 육안으로는 거의 보이지 않는다. 이에 반하여 광원이 켜진 때에는 상기 확산 패턴부에 도달하는 광선이 확산되어서 상기 확산 패턴부가 발광하는 듯한 느낌을 준다.
상기 확산 패턴부에 조명 효과를 주기 위하여 윈도우-글래스의 에지 면을 대면하게 광원을 배치하는 방안은 이미 제안된바 있다. 현재로서는 그러한 구조가 모든 윈도우-글래스의 기하형태들에 적합하지 않은 것으로 드러났는데, 특히 자동차의 도어에 구비된 슬라이딩하는 측방향 윈도우-글래스의 경우에 그러하다. 또한, 예를 들어 폴리메틸 메타크릴레이트(polymethyl methacrylate; PMMA) 또는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PC)와 같은 유기 유리(organic glass), 접합 유리(laminated glass), 또는 강화 유리(toughened glass)로 만들어지는 유형의 자동차 객실의 윈도우-글래스의 조성은, 발광 패턴이 올바르게 발광함을 가능하게 할 정도로 빛의 충분한 전파를 허용하지 않는다.
에지 면을 거치기 보다는 윈도우-글래스의 외부 면을 거쳐서 빛이 도입되도록 하는 방안이 제안된바 있다. 이를 위하여, 광원은 도어의 외측 시일에 배치된다. 광원은 간접 광원에 의하여 조명되는 광 안내부에 의해 형성된다.
그러나, 이 방안에는 많은 비용이 소요되는바, 이는 이와 같은 유형의 적용예를 위한 시일을 제작함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또한, 광 안내부를 사용함은 윈도우-글래스의 길이 전체에 걸쳐서 동시에 조명 효과를 발생시킴을 수반하며, 윈도우-글래스의 상이한 구역들에서 조명 효과를 발생시킬 가능성은 없다.
또한, 자동차의 외부 시일은 물의 고임을 방지하도록 설계된다. 또한 먼지층이 적층됨에 따라서 광원의 밝기가 급속히 감소될 수 있기 때문에, 광원을 외부 오염으로부터 보호함이 절대적으로 필요하다. 이 점에 있어서, 광원은 시일의 시일링 립(sealing lip)들 아래에 위치한 하우징 내부에 배치된다. 그 결과, 광원이 외부에서 보이는 윈도우-글래스의 부분에 가능한 가까이에서 윈도우-글래스를 조명할 수 없게 된다. 이에 따라, 광선이 윈도우-글래스 내부에 진입한 이후에만 관찰자에게 보일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윈도우-글래스 안으로의 진입은 광 강도의 손실로 이어진다. 이것은 곧 이와 같은 시스템의 광 출력이 최적이 아니게 되는 결과를 낳는다.
본 발명은 위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를 해결하는 개선된 광원을 포함하는 자동차 도어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해 제안되는 자동차 도어는 전체적으로 길고 수직의 형태를 갖는 것으로서, 상기 자동차 도어는:
횡방향에서 내부 에지와 외부 에지에 의해 한정되는 종방향 슬롯에 의하여 상부가 개방된 하측 중공 몸체;
상기 슬롯의 연속선 상에 배치된 윈도우 통공(window aperture);
상기 슬롯 안에서 수직으로 슬라이딩할 수 있게 장착된 윈도우-글래스로서, 상기 슬라이딩은 상기 윈도우-글래스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중공 몸체 안으로 후퇴되는 활짝 개방 위치(wide-open position)와 윈도우 통공이 완전히 폐쇄되는 위치 사이에서 이루어지는, 윈도우-글래스; 및
상기 슬롯(slot)의 에지(edge)들 중 하나와, 상기 윈도우-글래스(window-glass)에 제공된 반대측 면 사이에 개재된 시일로서, 상기 시일은 슬롯의 상기 에지에 고정된 몸체(body)와, 상기 몸체로부터 상기 윈도우-글래스의 상기 면에 대해 가압하는 자유 외부 에지(free exterior edge)까지 횡방향으로 연장된 적어도 하나의 유연성 립(lip)을 포함하고, 완전 폐쇄 위치(fully-closed position)에서 보일 수 있는 상기 윈도우-글래스의 적어도 일부분은 상기 시일 위에 위치하는, 시일;을 포함하고,
상기 시일은 횡단면에서 개구를 거쳐서 윈도우-글래스의 가시부(visible portion)에 대해 직접적으로 개방되는 하우징(housing)을 구비하고, 적어도 하나의 광원이 상기 하우징 내부에서 상기 시일의 하나의 면에 배치되며, 상기 시일의 면은 지지부로서 작용하며, 상기 광원에서 방출되는 광선(rays of light)은 개구를 통해 이탈하여 반대측에서 상기 면을 거쳐 직접적으로 윈도우-글래스의 가시부에 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들로서 다음과 같은 사항들이 있다.
- 상기 시일의 하우징은 상기 몸체의 상측 돌출 피크(upper projecting peak)와 상기 유연성 립에 의하여 한정되고, 상기 개구는 상기 돌출 피크의 자유 단부 에지와 상기 립 사이에서 횡방향으로 유지된다.
- 상기 지지부는, 상기 하우징 내에서 지지부 상에 종방향으로 열을 이루어 배치되는 광원들의 그룹에 대해 공통적이다.
- 각각의 광원은 발광 다이오드와 같은 포인트 광원(point light source)으로 형성된다.
- 상기 광원들의 그룹은 발광 다이오드들의 스트립(strip)에 의해 형성된다.
- 상기 하우징의 개구와 상기 광원 사이에 광 분산기(light diffuser)가 개재된다.
- 상기 광 분산기는 모든 광원들에 대해 공통적이다.
- 상기 광 분산기는, 상기 광원 또는 광원들을 시일된 방식으로 에워싸는 멤브레인(membrane)으로 형성된다.
- 상기 윈도우-글래스의 가시부는 광 확산 패턴부(light diffusing patterns)가 구비된 표시 구역(marked zone)을 포함하고, 상기 광원들은, 상기 광 확산 패턴부의 적어도 일부분을 조명하기 위하여 상기 광선이 상기 표시 구역을 거쳐서 직접적으로 윈도우-글래스에 도달하도록 배치된다.
- 상기 광원들을 지지하는 시일은, 상기 윈도우-글래스의 내부 면과 상기 슬롯의 내부 에지 사이에는 개재된 내부 시일이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특징들 및 장점들은 하기의 첨부 도면들을 참조로 하는 아래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확히 이해될 것이다.
도 1 에는 본 발명에 따라 제작된 윈도우-글래스에 의하여 폐쇄된 윈도우 통공(window aperture)이 구비되어 있는 도어의 상측 부분을 내부로부터 본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도 2 에는 도 1 의 모습과 유사한 모습이 도시되어 있되, 도어 차체 패널이 제거된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도 3 에는 도 1 의 3-3선을 따라 취한 평면에서의 수직 횡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는바, 여기에는 윈도우-글래스를 조명하기 위한 광원들이 구비된 내부 시일이 도시되어 있다.
도 4 에는 도 1 의 도어에 구비된 광원들 및 윈도우-글래스를 포함하는 조립체의 작동을 설명하는, 개략적인 수직 횡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5 에는 도어의 내부 시일에 구비되어 있는 광원을 도시하는 측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아래의 설명에서 동일한 구조 또는 유사한 기능을 갖는 구성요소들은 하나의 동일한 참조번호에 의하여 표시될 것이다.
아래의 설명에서는, 도면들에 도시된 "L", "V", "T"에 의해 표시된 방위가 비제한적으로 채택되는바, 여기에서 길이방향은 후방으로부터 전방으로 향하는 방향이고, 수직 방향은 저부로부터 상부로 향하는 방향이며, 횡방향은 객실의 외부로부터 내부로 향하는 방향을 나타낸다. 수직 방위는 지구 중력의 방향에 대해 독립적이다.
아래의 설명에서, '내부' 및 '외부' 각각의 용어는, 개별적으로 객실의 내부 또는 객실의 외부를 향하는 구성요소를 지칭하기 위하여 사용될 것이다.
도 1 에는 자동차의 객실(미도시)에 가까이 위치하도록 의도된 자동차 도어(10)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도어(10)는 하측의 중공 몸체(12)와 상측의 윈도우 통공(14)을 포함하며, 윈도우 통공(14)은 중공 몸체(12)로부터 수직 상방향으로 연장되는 프레임(16)에 의해 한정된다.
도 2 및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공 몸체(12)의 내부 공간(17)은, 횡방향에서 객실의 외부를 향해서는 전체적으로 수직이고 긴 형태인 차체 패널(18)에 의하여 한정되고, 객실의 내부를 향해서는 전체적으로 수직이고 긴 형태인 라이닝(20)에 의하여 한정된다. 본 예에서, 라이닝(20)은 윈도우 프레임(16)과 일체로 제작된다. 본 예에서 라이닝(20)은 내부 트림 패널(interior trim panel)(19)에 의하여 덮인다.
중공 몸체(12)는 종방향 슬롯(21)을 거쳐서 상부에서 개방된다. 슬롯(21)은 윈도우 통공(14)의 평면에서 수직으로 개방된다. 다시 말하면, 윈도우 통공(14)은 슬롯(21)의 수직 연장선 상에 배치된다.
슬롯(21)은 횡방향에서, 라이닝(20)의 상측 에지에 의해 형성되는 내부 에지(23)와 차체 패널(18)의 상측 에지에 의해 형성되는 외부 에지(25) 사이에 형성된다.
윈도우 통공(14)은, 수직 종방향 평면에서 전체적으로 연장되는 윈도우-글래스(22)에 의하여 폐쇄되도록 의도된 것이다. 물론, 윈도우-글래스(22)는 약간 곡선화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윈도우-글래스(22)는 두께 방향에서 횡방향으로, 본 예에서 윈도우-글래스(22)의 내부 면(24)을 형성하는 제1 자유 면(24)과, 본 예에서 윈도우-글래스(22)의 외부 면(26)을 형성하는 제2 자유 면(26)에 의해 한정된다.
본 예에서 윈도우-글래스(22)는, 폴리메틸 메타크릴레이트(PMMA) 또는 폴리카보네이트(PC)와 같은 유기 유리, 접합 유리, 또는 강화 유리로 만들어진 것이다. 윈도우-글래스(22)는 단일체로 이루어져 있다.
윈도우-글래스(22)는 도어(10)의 슬롯(21) 안에서, 윈도우-글래스(22)가 도 1 및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윈도우 통공(14)을 완전히 폐쇄하는 완전 폐쇄 위치와, 윈도우-글래스(22)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중공 몸체(12) 내부로 하방향으로 후퇴한 활짝 개방 위치(wide-open position)(미도시) 사이에서, 수직으로 슬라이딩할 수 있도록 장착된다.
습기 및/또는 오염물이 중공 몸체(12)에 진입함을 방지하기 위하여, 슬롯(21)은 내부 시일(28)과 외부 시일(30)에 의하여 폐쇄된다. 상기 내부 시일(28) 및 외부 시일(30)은 종방향으로 연장된 엘라스토머 프로파일 섹션(elastomer profile section)의 형태를 갖는다.
내부 시일(28)은 슬롯(21)의 내부 에지(23)와 그 반대측에 있고 윈도우-글래스(22)의 일부인 내부 면(24) 사이에 개재된다. 도 3 에 도시된 프로파일로부터 알 수 있는바와 같이, 내부 시일(28)은 슬롯(21)의 내부 에지(23)에 밀어끼움(push-fit)되는 종방향 몸체(32)를 포함한다. 따라서 종방향 몸체(32)는 수직 하방향으로 개방되어 있는 제1 밀어끼움 홈(321)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밀어끼움 홈(321)은 횡방향에서 외부 종방향 수직 벽(322)과 내부 종방향 수직 벽(323)에 의하여 한정된다. 또한 상기 제1 밀어끼움 홈(321)은 상방향에서, 라이닝(20)의 상측 면과 연속선 상에 배치되는 트림(trim)을 형성하는 수평 상측 벽(324)에 의해 한정된다. 또한 종방향 몸체(32)는 트림 패널(19)의 에지를 위한 종방향의 밀어끼움 홈을 포함한다.
탄성적인 유연성을 가진 서플 립(supple lip)(34)이 제1 밀어끼움 홈(321)의 외부 종방향 수직 벽(322)의 하측 에지로부터 자유 외부 에지(35)까지 횡방향 외향으로 연장된다. 립(34)은 윈도우-글래스(22)에 대해 탄성적으로 복귀하여, 립(34)의 자유 외부 에지(35)가 윈도우-글래스(22)의 내부 면(24)에 대해 가압하여 시일 기능을 수행한다. 이와 같이 윈도우-글래스(22)에 대해 힘을 가하는 위치에서, 외부 종방향 수직 벽(322)의 외부 면(325)과 립(34)이 하우징(54)을 한정한다.
종방향 몸체(32)의 수평 상측 벽(324)에는 수평의 상측 돌출 피크(326)가 횡방향 외향으로 연장된다. 상측 돌출 피크(326)는 윈도우-글래스(22)의 내부 면(24)으로부터 소정의 거리를 두고 위치한 외부 단부 종방향 자유 에지를 구비한다. 따라서 상측 돌출 피크(326)는 상부 측에서 하우징(54)을 수직으로 한정하는 역할을 한다.
도 3 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하우징(54)은 상측 돌출 피크(326)의 자유 에지와 립(34)의 자유 외부 에지(35) 사이에서 횡방향으로 마련된 개구(56)를 구비한다.
외부 시일(30)은 슬롯(21)의 외부 에지(25)와 그 반대편에 있고 윈도우-글래스(22)의 일부를 이루는 제2 자유 면(26) 사이에 개재된다. 외부 시일(30)은 슬롯(21)의 외부 에지(25)에 밀어끼움되는 종방향 몸체(36)를 포함한다. 따라서 종방향 몸체(36)는 수직 하방향으로 개방된 제1 밀어끼움 홈(361)을 포함하고, 제1 밀어끼움 홈(361)은 횡방향에서 내부 종방향 수직 벽(362)과 외부 종방향 수직 벽(363)에 의해 한정된다. 또한 홈(361)이 상방향에서, 트림을 형성하는 수평 상측 벽(364)에 의하여 한정된다.
탄성적인 유연성을 가진 서플 립(38)은 횡방향 내향으로, 제1 밀어끼움 홈(361)의 내부 종방향 수직 벽(362)의 하측 에지로부터 자유 외부 에지(39)까지 연장된다. 립(38)은 윈도우-글래스(22)에 대해 탄성적으로 복귀하여, 립(38)의 자유 외부 에지(39)가 윈도우-글래스(22)의 제2 자유 면(26)을 가압하고, 이로써 시일 기능을 수행한다. 이와 같이 윈도우-글래스(22)에 대해 힘을 가하는 위치에서, 립(38)과 내부 종방향 수직 벽(362)이 하우징(58)을 한정한다.
종방향 몸체(36)의 수평 상측 벽(364)에는 수평의 상측 돌출 피크(366)가 횡방향 내향으로 연장된다. 상측 돌출 피크(366)는, 윈도우-글래스(22)의 외부 면(26)으로부터 소정의 거리를 두고 위치한 내부 단부 종방향 자유 에지를 구비한다. 따라서 상측 돌출 피크(366)는 상부를 향하여 수직으로 하우징(58)을 한정하는 역할을 한다.
외부 시일(28)의 하우징(54)과는 다르게, 외부 시일(30)의 하우징(58)은 스트립(367)에 의하여 폐쇄되는바, 상기 스트립(367)은 립(38)의 후방부로부터 상측 돌출 피크(326)과 접촉하기에 충분할 정도로 멀리 연장된다. 특히 상기 스트립(367)은 하우징(58) 내에 물 또는 오염물이 축적됨을 방지한다.
여기에서 내부 시일(28) 및 외부 시일(30) 각각은 단일의 유연성 립(34, 38)을 포함한다. 상기 두 개의 립(34, 38)은, 윈도우-글래스(22)에 가해지는 힘의 균형을 맞추기 위하여, 서로 횡방향으로 대향되게 윈도우-글래스(22)를 가압한다. 본 예에서 상기 유연성 립들(34, 38)의 자유 에지들(35, 39)은 관련된 돌출 피크들(326, 366)의 자유 에지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높이에 배치된다.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윈도우-글래스(22)가 완전 폐쇄 위치에 있는 때에, 윈도우-글래스(22)의 하측 부분(은닉부(hidden portion)(22A)라고 호칭함)은 중공 몸체(12) 내부에 숨겨지는 한편, 윈도우-글래스(22)의 상측 부분(가시부(22B)라고 호칭함)은 윈도우 통공(14)의 프레임(16) 내에서 외부 관찰자에게 보인다. 도 2 내지 도 4 에서 은닉부(22A)는 해칭으로 표시되었다. 여기에서 은닉부(22A)는 시일들(28, 30)의 립들(34, 38) 아래에 위치한 것으로 정의되며, 가시부(22B)는 완전 폐쇄 위치에서 시일들(28, 30) 위로 연장된다.
상기 은닉부(22A)는 윈도우-글래스(22)가 두 가지의 극단 위치들 중 어디에 위치하더라도 중공 몸체(12) 내부에 머무른다.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은닉부(22A)는 혀모양부(tongue)(40)를 포함하는데, 이것은 윈도우-글래스(22)의 하측 에지(42)의 중간으로부터 수직 하방향으로 연장된다. 따라서 윈도우-글래스(22)의 하측 에지(42)는 수직 방향에서 상기 시일들(28, 30)의 근처에 시일들(28, 30)에 대해 전체적으로 평행하게 배치된 두 개의 단부 세그먼트들(end segments)(42A, 42B)을 구비하며, 상기 혀모양부(40)는 상기 두 개의 단부 세그먼트들(42A, 42B)의 레벨 아래에서 수직 하방향으로 연장된다. 상기 혀모양부(40)에는 구멍(44)들이 제공되는바, 이 구멍들은 윈도우-글래스의 슬라이딩을 작동시키고 중공 몸체(12) 내부에 숨겨져 있는 장치(미도시)에 대한 윈도우-글래스(22)의 연결을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도시되지 않은 변형예에서, 상기 윈도우-글래스의 하측 에지는 혀모양부(40)와 유사한 수 개, 예를 들어 두 개의 혀모양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 혀모양부들 각각은 하측 에지의 단부에 배치되거나, 또는 하측 에지의 중앙부에 배치된다.
윈도우-글래스(22)는, 광 확산 패턴부(48)가 구비되어 있는 표시 구역(46)을 포함한다. 여기에서 표시 구역(46)은 윈도우-글래스(22)의 길이 전체를 따라서 가시부(22B)의 하측 단부 스트립에 배치된다. 따라서, 표시 구역(46)은 윈도우-글래스(22)의 은닉부(22A)에 직접 인접하게 위치한다. 도면들에 도시된 예에서, 가시부(22B)의 나머지는 광 확산 패턴부(48)를 구비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광 확산 패턴부(48)는 미관 기능 및/또는 정보 소통 기능을 수행한다.
광 확산 패턴부(48)는, 예를 들어 샌드블라스팅 또는 레이저를 이용하여 윈도우-글래스(22)의 표면을 식각(etching)함으로써 형성되거나, 또는 예를 들어 레이저를 이용하여 윈도우-글래스(22)의 두께 내부를 식각함으로써 형성된다. 도 5 에 예시된 예에서, 광 확산 패턴부(48)는 윈도우-글래스(22)의 내부 면(24)을 표면 에칭함으로써 형성된다.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10)는 적어도 하나의 광원(50)이 구비된다.
이 예에서 상기 광원은 예를 들어 발광 다이오드에 의해 형성된 포인트 광원(50)이다. 이와 같은 발광 다이오드는 예를 들어 유연성 또는 강성을 가진 인쇄 회로 기판과 같은 기판(53)에 고정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광원(50)에는 자동차의 배터리(미도시)에 의해 전기가 공급된다.
각각의 광원(50)은, 객실의 내부를 향하여 윈도우-글래스(22)에 대해 횡방향으로 오프셋된 내부 광원(50)을 형성한다. 제1 광원(50)은 윈도우-글래스(22)의 내부 면을 거쳐서 직접적으로 윈도우-글래스(22)에 도달하는 광선의 비임을 방출하는 방위를 갖는다. 본 발명에서, "직접"적으로라 함은, 광선이 내부 면(24)에 도달하기 전에 윈도우-글래스(22)에 진입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구체적으로, 광선의 비임은 광 확산 패턴부(48)의 적어도 일부분을 조명하기 위하여 표시 구역(46)을 향한다.
도 4 에서 화살표 "r"로 개략적으로 표시된 바와 같이, 광원(50)에 의하여 방출된 광선은 윈도우-글래스(22)의 내부 면(24)을 거쳐서 윈도우-글래스(22)의 가시부(22B)에 도달한다. 구체적으로, 광선 "r" 은 윈도우-글래스의 내부 면(24)을 거쳐서 윈도우-글래스의 표시 구역(46)에 도달한다.
윈도우-글래스(22)의 내부 면(24)에 만들어진 광 확산 패턴부(48)에 도달하는 광선 "d" 는 모든 방향, 즉 한편으로는 윈도우-글래스로부터 나오기 전에 객실 내부를 향하는 방향 및 윈도우-글래스(22)의 내부를 향하는 방향을 향하여, 그리고 다른 한편으로는 외부 면(26)을 거쳐서 객실의 외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확산된다.
이와 같은 방식에 의하면, 광원(50)이 켜진 때에 광 확산 패턴부(48)는 객실의 내부 또는 외부에 위치한 관찰자에게 발광, 즉 빛을 발하는 것으로 보인다.
표시 구역(46)은 윈도우-글래스(22)의 길이 전체를 따라서 연장된다. 상기 표시 구역(46)의 전체가 발광함을 허용하기 위하여, 유리하게는 도어(10)가 윈도우-글래스(22)의 내부측에 배치된 다수의 광원(50)들로 이루어진 그룹을 포함한다. 상기 광원(50)들의 그룹은, 예를 들어 발광 다이오드들의 스트립에 의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그룹의 발광 다이오드들 모두는 종방향으로 정렬된다. 따라서 각각의 광원(50)은 표시 구역(46)의 일부분을 발광시킬 수 있다.
유리하게는, 각각의 포인트 광원(50)이 개별적으로 켜진 상태와 꺼진 상태 간으로 전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운전자가 원하는 바에 따라서 그리고/또는 이용되는 자동차의 상태에 따라서 표시 구역(46)의 일부분만을 발광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광원(50)들은 도어(10)의 내부 시일(28) 안에 수용된다.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체적으로 광원(50)들은 내부 시일(28)의 하우징(54) 내에 배치된다. 도시된 예에서, 광원(50)들은 광워들의 기판(53)에 의하여 종방향 몸체(32)의 외부 종방향 수직 벽(322)의 외부 면에 안착된다. 따라서 상기 외부 면은 광원(50)들을 위한 지지부(325)를 형성한다.
상기 광원(50)들은 예를 들어 립(34)의 베이스와 상측 돌출 피크(326) 사이에서 탄성 파지력에 의하여 고정된다. 이와 같은 고정 모두가 충분할 수 있지만, 기판(53)을 지지부(325)에 대해 접착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광원(50)들은, 윈도우-글래스(22)의 가시부(22B)에 대해 직접적으로 개방되는 하우징(54)의 개구(56)를 향하여 광선을 방출하도록 배치된다. 따라서, 상기 광원들에 의하여 방출되는 광선은, 개구(56)를 통하여 이탈하여 윈도우-글래스의 내부 면(24)을 거쳐 직접적으로 윈도우-글래스(22)의 가시부(22B)에 도달한다.
상기 광선들이 개구(56)를 향하여 보다 정확히 지향되도록 하기 위하여, 광원(50)에는 예를 들어 광학 렌즈, 반사기, 또는 이와 같은 요소들의 조합과 같은, 광선의 전파 방향을 수정하기 위한 광학 수단이 구비될 수 있다. 도 5 에 도시된 예에서, 광원(50)들은 립(34)을 향하여 방출된 광선이 개구(56)를 향하여 재지향됨을 가능하게 하는 반사기(60)를 구비한다.
대안적으로, 광원(50)들은 광 확산 패턴부(48)의 적어도 일부가 발광하도록 하기 위하여 광선이 표시 구역(46)을 거쳐서 직접적으로 윈도우-글래스에 도달하도록 설계된다. 이와 같은 구성형태에서는, 광원의 출력 효율이 극대화되는데, 이것은광선이 직접적으로 광 확산 패턴부(48)에 도달하기 때문이다.
유리하게는 상측 돌출 피크(326)의 존재가 상기 광원들이 자동차의 외부로부터 또는 객실로부터 직접적으로 보일 수 있게 됨을 방지할 수 있다.
도어(10)에 광원(50)들의 그룹이 구비된 때에는, 유리하게도 지지부(325)가 상기 지지부(325) 상의 하우징(54)에 일렬로 종방향으로 배치되는 광원(50)들 모두에 대해 공통적으로 제공된다.
이 경우, 광원(50)들은 미리 결정된 간격을 두고, 내부 시일(28)의 길이를 따라서 전체적으로 균등하게 배분된다.
수 개의 인접한 광원(50)들이 동시에 켜지는 소정의 주위 조명 조건(ambient lighting conditions) 하에서 윈도우-글래스(22)가 광원(50)들에 의하여 균일하게 조명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윈도우-글래스를 따르는 종방향에서의 광 강도 변화가 관찰되었다. 광원들을 직접적으로 대면하게 위치한 구역("핫 존(hot zone)"이라 호칭됨)은 광 강도의 최고치를 나타내었고, 핫 존들 사이에서 종방향으로 개재된 구역("콜드 존(cold zone)"이라 호칭됨)은 어둡게 나타났다.
윈도우-글래스(22)의 표시 구역(46)이 균등하게 조명되어 상기 핫 존과 콜드 존이 없어지도록 하기 위하여, 윈도우-글래스(22)에 대해 독립적인 광 분산기(62)가 하우징의 개구(56)와 광원(50) 사이에 개재된다. 여기에서 광 분산기(62)는 모든 광원들에 대해 공통적으로 된다.
변형예로서, 각 광원(50)에 개별의 광 분산기가 구비된다.
광 분산기(62)는 예를 들어 통과하는 빛을 확산시킬 수 있는 반투명한 멤브레인으로 형성되어서, 윈도우-글래스(22)의 표시 구역(46)의 균일한 조명을 제공한다.
광원(50)들의 수명을 연장시키기 위하여, 본 예에서 광 분산기(62)를 형성하는 멤브레인은 광원을 시일된 방식으로 에워싼다.
매우 유리하게도, 이와 같은 구성은 광원(50)들을 분리할 필요없이 윈도우-글래스(22)의 교체를 가능하게 한다.
또한, 이와 같은 구성은 광원(50)들이 윈도우-글래스(22)의 광 확산 패턴부(48)에 가능한 가깝게 위치됨을 가능하게 하면서도, 이와 동시에 광원(50)들을 객실 내부 또는 외부에 위치한 관찰자의 눈에 보이지 않게 한다.
또한 상기 발광용 패턴부(48)는 발광 광원(50)에 의하여 유리하게도 직접적으로 조명을 받는바, 즉 빛이 발광용 패턴부(48)에 도달하기 전에 윈도우-글래스(22) 내부에 진입하지 않고서 조명을 받게 되어서, 발광 효율이 극대화됨을 가능하게 한다.
본 발명은 슬라이딩하는 측방의 윈도우-글래스를 중심으로 설명되었다. 본 발명이 예를 들어 측방 윈도우, 전방 윈도우, 삼각창, 또는 선루프와 같은 자동차 객실의 고정된 윈도우 창(채광창)에도 적용될 수 있다는 점이 이해될 것이다.

Claims (10)

  1. 전체적으로 길고 수직의 형태를 갖는 자동차 도어(10)로서, 상기 자동차 도어(10)는:
    횡방향에서 내부 에지(23)와 외부 에지(25)에 의해 한정되는 종방향 슬롯(21)에 의하여 상부가 개방된 하측의 중공 몸체(12);
    상기 슬롯(21)의 연속선 상에 배치된 윈도우 통공(window aperture)(14);
    상기 슬롯(21) 안에서 수직으로 슬라이딩할 수 있게 장착된 윈도우-글래스(22)로서, 상기 슬라이딩은 상기 윈도우-글래스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중공 몸체(12) 안으로 후퇴되는 활짝 개방 위치(wide-open position)와 윈도우 통공(14)이 완전히 폐쇄되는 위치 사이에서 이루어지는, 윈도우-글래스(22); 및
    상기 슬롯(slot)(21)의 에지(edge)(23)들 중 하나와, 상기 윈도우-글래스(window-glass)(22)에 제공된 반대측 면(24) 사이에 개재된 시일(28)로서, 상기 시일(28)은 슬롯(21)의 상기 에지(23)에 고정된 몸체(body)(32)와, 상기 몸체(32)로부터 윈도우-글래스(22)의 상기 면(24)에 대해 가압하는 자유 외부 에지(free exterior edge)(35)까지 횡방향으로 연장된 적어도 하나의 유연성 립(lip)(34)을 포함하고,
    완전 폐쇄 위치(fully-closed position)에서 보일 수 있는 상기 윈도우-글래스(22)의 적어도 일부분(22B)은 상기 시일(28) 위에 위치하며,
    상기 시일(28)은 횡단면에서 개구(56)를 거쳐서 윈도우-글래스(22)의 가시부(visible portion)(22B)에 대해 직접적으로 개방되는 하우징(housing)(54)을 구비하고, 적어도 하나의 광원(50)이 상기 하우징(54) 내부에서 상기 시일의 하나의 면에 배치되며, 상기 시일의 면은 지지부(325)로서 작용하며, 상기 광원(50)에서 방출되는 광선(rays of light)은 개구(56)를 통해 이탈하여 반대측에서 상기 면(24)을 거쳐 직접적으로 윈도우-글래스(22)의 가시부(22B)에 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도어(10).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일(28)의 하우징(54)은 상기 몸체(32)의 상측 돌출 피크(upper projecting peak)(326)와 상기 유연성 립(34)에 의하여 한정되고, 상기 개구(56)는 상기 돌출 피크(326)의 자유 단부 에지와 상기 립(34) 사이에서 횡방향으로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도어(10).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325)는, 상기 하우징(54) 내에서 지지부(325) 상에 종방향으로 열을 이루어 배치되는 광원(50)들의 그룹에 대해 공통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도어(10).
  4. 앞선 청구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각각의 광원(50)은 발광 다이오드와 같은 포인트 광원(point light source)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도어(10).
  5. 제4항과 제3항이 조합된 경우에 있어서,
    상기 광원(50)들의 그룹은 발광 다이오드들의 스트립(strip)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도어(10).
  6. 앞선 청구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54)의 개구(56)와 상기 광원(50) 사이에 광 분산기(light diffuser)(62)가 개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도어(10).
  7. 제6항과 제5항이 조합된 경우에 있어서,
    상기 광 분산기(62)는 모든 광원(50)들에 대해 공통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도어(10).
  8.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광 분산기(62)는, 상기 광원(50) 또는 광원(50)들을 시일된 방식으로 에워싸는 멤브레인(membrane)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도어(10).
  9. 앞선 청구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윈도우-글래스(22)의 가시부(22B)는 광 확산 패턴부(light diffusing patterns)(48)가 구비된 표시 구역(marked zone)(46)을 포함하고,
    상기 광원(50)들은, 상기 광 확산 패턴부(48)의 적어도 일부분을 조명하기 위하여 상기 광선이 상기 표시 구역(46)을 거쳐서 직접적으로 윈도우-글래스에 도달하도록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도어(10).
  10. 앞선 청구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50)들을 지지하는 시일(28)은, 상기 윈도우-글래스의 내부 면(24)과 상기 슬롯(21)의 내부 에지(23) 사이에는 개재된 내부 시일(28)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도어(10).
KR1020217005727A 2018-07-25 2019-07-04 내부 시일에 의해 지지되는 광원을 포함하는 자동차 도어 KR2021003588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1856921A FR3084296B1 (fr) 2018-07-25 2018-07-25 Portiere de vehicule automobile comportant une source lumineuse portee par un joint interieur
FR1856921 2018-07-25
PCT/EP2019/068039 WO2020020601A1 (fr) 2018-07-25 2019-07-04 Portière de véhicule automobile comportant une source lumineuse portée par un joint intérieu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35880A true KR20210035880A (ko) 2021-04-01

Family

ID=63722615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05702A KR20210035877A (ko) 2018-07-25 2019-07-04 광원을 지지하는 도어 시일
KR1020217005727A KR20210035880A (ko) 2018-07-25 2019-07-04 내부 시일에 의해 지지되는 광원을 포함하는 자동차 도어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05702A KR20210035877A (ko) 2018-07-25 2019-07-04 광원을 지지하는 도어 시일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2) EP3826867B1 (ko)
KR (2) KR20210035877A (ko)
CN (2) CN112512848A (ko)
FR (1) FR3084296B1 (ko)
WO (2) WO202002060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7112133A1 (de) * 2017-06-01 2018-12-06 Gummi-Welz Gmbh U. Co. Kg Gummi-Kunststofftechnik-Schaumstoffe Sicherheitsprofilleiste und Tür mit Sicherheitsprofilleiste
CN113232496B (zh) * 2021-05-25 2022-07-19 福耀玻璃工业集团股份有限公司 车窗组件及车辆
KR102514306B1 (ko) * 2022-11-09 2023-03-27 주식회사 서연이화 차량 인디케이터 조명 장치 및 이를 장착한 차량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935449B2 (ja) * 1994-05-31 1999-08-16 河西工業株式会社 インナーシール付きガーニッシュ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6116678A (en) * 1998-06-24 2000-09-12 Krystal Koach, Inc. Limousine side structure and window sealing method
US6471381B2 (en) * 2001-03-08 2002-10-29 Ford Global Technologies, Inc. Lighted vehicle body opening weather strip
US20020152686A1 (en) * 2001-04-18 2002-10-24 William Whitehead Illuminating weatherseal
JP2009083565A (ja) * 2007-09-28 2009-04-23 Toyoda Gosei Co Ltd ドアウエザストリップ
DE102007060159A1 (de) * 2007-12-13 2009-06-18 SaarGummi technologies S.à.r.l. Extrudierter Strang, insbesondere Dichtungsstrang zur Anbringung an Fahrzeugtüren, Klappen sowie an Karosserieausschnitten für Fahrzeugtüren, Klappen und Scheiben
US20110143113A1 (en) * 2008-06-04 2011-06-16 Ems-Patent Ag Sealing strips for vehicle windows
GB201304397D0 (en) * 2013-03-12 2013-04-24 Jaguar Land Rover Ltd Daylight opening surround
US9469244B2 (en) * 2013-11-21 2016-10-18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Luminescent vehicle seal
US9573517B2 (en) * 2013-11-21 2017-02-21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Door illumination and warning system
US20150138789A1 (en) * 2013-11-21 2015-05-21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Vehicle lighting system with photoluminescent structure
EP2930062B1 (de) * 2014-04-08 2016-07-13 DURA Automotive Body & Glass Systems GmbH Beleuchtete Zierleiste
MX2016005823A (es) * 2015-05-12 2016-11-11 Ford Global Tech Llc Sellado luminiscente para vehiculo.
FR3037287B1 (fr) * 2015-06-15 2017-06-02 Renault Sas Agencement de montage d'un element de garniture d'un vehicule automobile.
FR3040334B1 (fr) * 2015-08-26 2018-11-09 Renault S.A.S Porte de vehicule automobile comprenant deux joints relies entre eux
FR3049494B1 (fr) * 2016-03-31 2021-02-12 Saint Gobain Vitrage feuillete comprenant une diode electroluminescente
FR3051733B1 (fr) * 2016-05-25 2019-08-23 Renault S.A.S Systeme d'etancheite exterieur de porte de vehicule automobile a vitre mobile avec diffuseur de lumiere.
FR3051731B1 (fr) * 2016-05-25 2018-06-29 Renault S.A.S Systeme d'etancheite exterieur de porte de vehicule automobile a vitre mobile avec diffuseur de lumiere.
FR3055833B1 (fr) * 2016-09-13 2019-06-07 Peugeot Citroen Automobiles Sa Lecheur de vitre lumineux
DE102016218755B3 (de) * 2016-09-28 2017-11-23 Süddeutsche Aluminium Manufaktur GmbH Fensterschachtleistenanordnung
DE102016219904B4 (de) * 2016-10-13 2023-11-02 Vosla Gmbh Dichtungsprofil, verschließbare Öffnung
CN207449600U (zh) * 2017-11-07 2018-06-05 上汽通用汽车有限公司 一种汽车外水切及汽车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35877A (ko) 2021-04-01
WO2020020601A1 (fr) 2020-01-30
CN112638678A (zh) 2021-04-09
FR3084296B1 (fr) 2020-07-03
EP3826867B1 (fr) 2023-08-30
WO2020020600A1 (fr) 2020-01-30
FR3084296A1 (fr) 2020-01-31
CN112512848A (zh) 2021-03-16
EP3826867A1 (fr) 2021-06-02
EP3826868A1 (fr) 2021-06-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7758658U (zh) 照明修饰配件、组件和机动车辆
KR20210035880A (ko) 내부 시일에 의해 지지되는 광원을 포함하는 자동차 도어
US10532692B2 (en) Illuminated trim fitting
US20140003076A1 (en) Vehicular lamp and window unit
CN109311420B (zh) 具有照明的汽车装饰件
KR20210047269A (ko) 자동차를 위한 시그널링 디바이스
JP4419990B2 (ja) 車両室内用照明装置
JP2008174132A (ja) 車両用室内照明装置
KR20070007306A (ko) 차량용, 특히 자동차용 외부 후사경
CN110678346A (zh) 安全廓条和具有安全廓条的门
CN112601678A (zh) 用于机动车的照明装置
US11293621B2 (en) Light guide for lamps and related lamp for motor vehicles
KR102661798B1 (ko) 오버몰딩에 의해 제작된 광원 지지부와 객실 윈도우를 포함하는 조립체
JP2009078794A (ja) 車両用室内照明装置
JP2013091451A (ja) 車両用照明装置
JP4470176B2 (ja) 車両用室内灯
JP4760808B2 (ja) 車両用室内照明装置及び車両用室内照明構造
JP4561719B2 (ja) ライセンスプレート照明装置
JP2001171429A (ja) 車両天井の照明構造
WO2016158355A1 (ja) 照明装置付車両用内装材
WO2015141276A1 (ja) 装飾用照明構造
US11872935B2 (en) Illumination apparatus for the interior of a motor vehicle
JP2000177482A (ja) 車両用室内照明装置
JP2020138712A (ja) 車両用バックドアのランプ設置構造および車両用バックドア
JP7249462B1 (ja) 照明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