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14306B1 - 차량 인디케이터 조명 장치 및 이를 장착한 차량 - Google Patents

차량 인디케이터 조명 장치 및 이를 장착한 차량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14306B1
KR102514306B1 KR1020220148881A KR20220148881A KR102514306B1 KR 102514306 B1 KR102514306 B1 KR 102514306B1 KR 1020220148881 A KR1020220148881 A KR 1020220148881A KR 20220148881 A KR20220148881 A KR 20220148881A KR 102514306 B1 KR102514306 B1 KR 1025143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light
lens member
lighting device
light emi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488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성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서연이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서연이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서연이화
Priority to KR10202201488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1430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143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143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 B60Q1/5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other intentions or conditions, e.g. request for waiting or overtaking
    • B60Q1/543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other intentions or conditions, e.g. request for waiting or overtaking for indicating other states or conditions of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 B60Q1/2661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mounted on parts having other fun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 B60Q1/2696Mounting of devices using LE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 B60Q1/5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other intentions or conditions, e.g. request for waiting or overtaking
    • B60Q1/507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other intentions or conditions, e.g. request for waiting or overtaking specific to autonomous vehic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3/00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 F21S43/20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characterised by refractors, transparent cover plates, light guides or filters
    • F21S43/26Refractors, transparent cover plates, light guides or filters not provided in groups F21S43/235 - F21S43/255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5/00Refractors for light sources
    • F21V5/04Refractors for light sources of lens shape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6/00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using movable or deformable optical elements
    • G02B26/08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using movable or deformable optical elements for controlling the direction of light
    • G02B26/0875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using movable or deformable optical elements for controlling the direction of light by means of one or more refracting ele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Simple or compound lenses
    • G02B3/0006Array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23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permitting adjust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2800/00Features related to particular types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Q2800/10Autonomous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Transportation (AREA)
  • Lighting Device Outwards From Vehicle And Optical Sign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 인디케이터 조명 장치 및 이를 장착한 차량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 도어에 배치되어 외부 환경과 차량 상황에 따라 광을 조절하여 방출함으로써 차량 인근 사람에게 광 방출에 따른 차량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기술을 제시한다.

Description

차량 인디케이터 조명 장치 및 이를 장착한 차량{Vehicle indicator lighting device and vehicle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차량 인디케이터 조명 장치 및 이를 장착한 차량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 도어에 배치되어 외부 환경과 차량 상황에 따라 광을 조절하여 방출함으로써 차량 인근 사람에게 광 방출에 따른 차량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기술에 대한 것이다.
전기차가 널리 보급되고, 자율 주행에 대한 기반 기술이 급속히 발전됨에 따라 자율 주행으로 운행하는 차량이 보급될 전망이다.
미국 자동차 공학회 SAE(Society of Automotive Engineers)는 업계 표준으로 활용되는 자율 주행 기술 단계별 분류를 수립하였으며, 이에 따라 자율 주행은 레벨 0에서 레벨 4까지 총 6단계로 세분화될 수 있다.
레벨 0은 비자동화 수준으로서, 운전자가 주행의 모든 것을 통제하고 책임지는 단계이며, 레벨 1은 운전자 보조 수준으로서, 어뎁티브 크루즈 컨트롤, 차선 유지 기능 등을 통해 운전자를 보조하는 단계이며, 레벨 3은 부분 자동화 수준으로서, 특정 조건 내에서 일정 시간 동안 차량의 조향과 가감속을 차량 자체가 운전자와 동시에 제어할 수 있는 단계이다.
레벨 3부터 주행 제어와 주행 중 변수 감지를 시스템이 담당하게 되는데, 레벨 3은 조건부 자율 주행 수준으로서, 고속도로와 같은 특정 조건 구간에서 시스템이 주행을 담당하며, 위험 시에 운전자가 개입하는 단계이며, 레벨 4는 고등 자율주행 수준으로서, 대부분의 도로에서 자율 주행이 가능한 단계이다. 마지막으로 레벨 5는 완전 자율 주행 수준으로서, 운전자가 개입하지 않고 시스템이 모든 상황을 통제하는 단계이다.
자율 주행 레벨 4 이상의 단계에서는 모든 도로 상에서 운전자가 개입하지 않고 시스템이 차량을 통제하여 운행할 수 있으며, 이러한 레벨 4 이상의 자율 주행의 도입시 자율 주행의 무인 택시가 운행될 예정이다.
운전자가 없는 자율 주행의 무인 택시의 경우, 승객이 승차한 상태인지, 택시 서비스 이용이 가능한 상황인지 등 무인 택시 상황을 택시를 이용하고자 하는 외부 승객이 인지할 수 있는 인디케이터 장치가 필요하다.
이러한 택시 상황 정보 제공을 위한 인디케이터 장치로서 조명 장치가 이용될 수 있는데, 조명 장치의 경우 주변 밝기 정도에 따라 광 방출 조건을 조절할 필요가 있다.
가령, 주변이 어두운 야간에는 광을 넓게 퍼트려서 방출하더라도 발광 여부, 발광 색 등을 주변 사람이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으나, 주변이 밝은 주간에는 야간과 동일 조건으로 광 방출시 발광 여부나 발광 색 등을 주변 사람이 인식하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된다.
따라서 무인 택시 상황 정보를 제공하는 인디케이터 조명 장치를 차량 외부 환경에 따라 적절하게 조정할 수 있는 기술 도입이 요구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자율 주행으로 운행하는 무인 택시의 상황을 외부 사람이 정확하게 인식할 수 있는 인디케이터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특히, 인디케이터 조명 장치의 경우, 차량 외부 환경에 따라 주변 사람이 광 방출, 발광 색 등을 인식할 수 없는 문제를 해결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전술한 바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인디케이터 조명 장치의 일실시예는. 차량에 배치되어 상기 차량의 외부를 향해 광을 방출하는 발광 수단; 상기 발광 수단으로부터 방출되는 광의 방사 각도 범위를 조절하는 렌즈 부재; 및 상기 차량의 외부 환경에 따라 상기 렌즈 부재의 배치 위치를 변경하는 위치 조절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렌즈 부재는, 광의 방사 각도 범위를 조절하여 설정된 범위로 광을 집속하여 방출하는 렌즈를 포함하며, 상기 위치 조절 수단은, 상기 렌즈 부재를 상기 발광 수단으로부터 방출되는 광 경로 상에 위치시키거나 상기 광 경로 상에서 이탈시킬 수 있다.
나아가서 상기 렌즈 부재를 지지하며, 양측 끝단에 수직 방향으로 가이드 레일이 구비된 렌즈 부재 지지틀을 더 포함하며, 상기 위치 조절 수단은, 상기 렌즈 부재 지지틀의 가이드 레일을 통해 상기 렌지 지지틀을 수직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구동 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서, 상기 위치 조절 수단을 통해 이동된 상기 렌즈 부재가 삽입되어 보관되는 렌즈 보관 케이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서, 상기 발광 수단은, 복수의 LED가 배열된 LED 어레이를 포함하며, 상기 렌즈 부재는, 복수의 렌즈가 배열된 렌즈 어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서 상기 발광 수단의 전방에 배치되어 상기 발광 수단으로부터 방출되는 광을 픽셀 단위로 방출시키는 전방 커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차량의 외부 밝기에 대한 측정치, 현재 시간 또는 외부로부터 전송된 제어 신호 중 어느 하나 이상을 기초로 상기 위치 조절 수단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발광 수단에서 방출되는 광의 강도, 색상 또는 점멸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조절할 수 있다.
일례로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차량의 운행 상황을 판단하는 운행 상황 판단부; 및 상기 운행 상황 판단부의 운행 상황 판단을 기초로 상기 발광 수단 또는 상기 위치 조절 수단을 제어하는 인디케이터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일실시예는, 도어 트림과 도어 패널이 결합된 차량 도어; 상기 차량 도어에 구비된 윈도우; 및 상기 도어 트림의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윈도우를 통과하여 외부로 광을 방출하는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의 차량 인디케이터 조명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서, 상기 차량 인디케이터 조명 장치는, 상기 도어 트림의 상부에 길이 방향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차량 인디케이터 조명 장치의 렌즈 부재는, 상기 도어 트림의 상부로 노출되어 상기 발광 수단의 전방에 위치되는 제1 위치와 상기 도어 트림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위치되는 제2 위치 간에 선택적으로 위치가 변경될 수 있다.
나아가서 상기 차량 인디케이터 조명 장치는 운전석 도어, 보조석 도어 또는 후방석 도어 중 어느 하나 이상에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차량 인디케이터 조명 장치가 차량 외부 환경에 맞춰서 광의 방사 각도 범위를 조절하여 차량 외부로 차량 정보를 제공하는 광을 방출시킬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외부 밝기에 맞춰서 확산 방사되는 광을 일정 수준 방사 범위로 집속시켜 특정 방향으로 보다 많은 광량을 방출시킴으로써 외부에서 광 방출 여부, 광 색상 등을 구분할 수 있게 된다.
나아가서 자율 주행 무인 택시 등의 운행시 외부에서 다양한 외부 환경에서도 무인 택시의 운행 상황을 정확하게 인식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효과는 위에서 언급한 것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인디케이터 조명 장치가 장착된 차량의 일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인디케이터 조명 장치가 도어 트림에 배치된 일례를 도시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인디케이터 조명 장치의 일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인디케이터 조명 장치의 일실시예에 대한 분리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인디케이터 조명 장치의 제어부에 대한 일실시예의 구성도를 도시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인디케이터 조명 장치의 주요부에 대한 일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인디케이터 조명 장치의 일실시예에 대한 동작도를 도시한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인디케이터 조명 장치를 통한 광 방출에 대한 일실시예를 도시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실시예들에 의해 한정되거나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설명하기 위하여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고 이를 참조하여 살펴본다.
먼저,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며,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은 차량 도어에 배치되어 외부 환경과 차량 상황에 따라 광을 조절하여 방출함으로써 차량 인근 사람에게 광 방출에 따른 차량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기술에 대한 것이다.
일례로서, 본 발명은 자율 주행 무인 택시에 적용될 수 있으며, 무인 택시의 운행 상황을 외부 사람이 인지할 수 있도록 차량 정보를 제공하는 기술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인디케이터 조명 장치가 장착된 차량의 일실시예를 도시하며,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인디케이터 조명 장치가 도어 트림에 배치된 일례를 도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10)에는 인디케이터 조명 장치(100)가 장착될 수 있다. 일례로서 본 발명이 적용되는 차량(10)은 자율 주행으로 운행하는 무인 택시가 될 수 있다.
인디케이터 조명 장치(100)는 차량(10)의 도어(30)에 배치될 수 있으며, 운전석 도어, 보조석 도어, 후방석 도어 중 선택적으로 어느 하나 이상의 도어에 인디케이터 조명 장치(100)가 배치될 수 있다.
차량 도어(30)는 도어 트림(50), 도어 패널, 윈도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차량 도어(30)는 도어 트림(50)과 도어 패널이 결합되어 구성될 수 있다. 도어 트림(50)과 도어 패널 사이에 윈도우가 배치되며, 윈도우는 도어 트림(50)과 도어 패널 사이에서 상하로 이동될 수 있다.
인디케이터 조명 장치(100)는 도어 트림(50)의 상단 부위에 길이 방향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 인디케이터 조명 장치(100)는 차량(10)의 운행 상황에 따른 차량 정보에 대응되는 광을 외부로 방출할 수 있다.
여기서 차량 정보는, 차량에 탑승 승객 존재 정보, 차량 운행 가능 여부 정보, 평시 요금이나 할증 요금 등 요금 정보 등 외부 사람이 해당 무인 택시를 이용하고자 할 때 필요한 다양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인디케이터 조명 장치(100)는 일부 구성이 도어 트림(50)의 상단에서 상부로 돌출되어 노출될 수 있고, 일부 구성은 도어 트림(50)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가령, 인디케이터 조명 장치(100)에서 광을 방출하는 구성은 도어 트림(50)의 상단 상부로 노출되어 차량(10) 외부를 향해 광을 방출할 수 있으며, 광의 방사 각도 범위를 조절하는 렌즈 부재 등의 구성은 선택적으로 도어 트림(50)의 상단 상부로 노출되거나 도어 트림(50)의 내측으로 삽입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인디케이터 조명 장치에 대하여 실시예를 통해 좀더 자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인디케이터 조명 장치의 일실시예를 도시하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인디케이터 조명 장치의 일실시예에 대한 분리 사시도를 도시한다.
차량 인디케이터 조명 장치(100)는, 차량 도어의 길이에 대응되어 일정 수준 이상의 길이로 구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차량 인디케이터 조명 장치(100)는 차량 도어의 길이 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된 것으로 도시하고 설명하나 이는 하나의 실시예로서, 인디케이터 조명 장치의 사이즈와 배치 위치는 필요에 따라 적절하게 변경될 수 있다.
차량 인디케이터 조명 장치(100)는, 발광 수단(120), 렌즈 부재(140), 위치 조절 수단(150), 제어부(18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차량 인디케이터 조명 장치(100)는 후방 커버(110), 렌즈 부재 지지틀(130), 전방 커버(160), 렌즈 보관 케이스(160)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발광 수단(110)은 광을 방출하는 발광 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서, 발광 수단(110)의 발광 소자로서 LED가 적용될 수 있으며, 발광 수단(110)은 기판 상에 복수의 LED가 배열되고 구동 회로가 배치된 LED 어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발광 수단(110)의 LED 어레이에 배치되는 LED 개수와 배열 구조는 상황에 따라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후방 커버(110)는 발광 수단(110)의 후방에서 발광 수단을 덮어 발광 수단(110)을 지지하면서 보호할 수 있다. 일례로서, 후방 커버(110)에는 그 내부에 발광 수단(110)이 장착되는 장착부가 마련되고 발광 수단(110)의 전방으로 더 연장되어 렌즈 부재(140)가 선택적으로 위치될 수 있는 광 방출 공간이 마련될 수 있다.
렌즈 부재(140)는 발광 수단(110)에서 방출되는 광의 방사 각도 범위를 조절하여 설정된 범위로 광을 집속하여 방출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렌즈 부재(140)는 하나 이상의 렌즈를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서, 발광 수단(110)이 복수의 LED가 배열된 LED 어레이로 구성되는 경우, 그에 따라 렌즈 부재(140)는 복수의 렌즈가 배열된 렌즈 어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렌즈 부재(140)는 복수의 개별 렌즈가 렌즈 부재 지지틀(130)에 장착되는 구조로 배치될 수도 있고, 또는 복수의 렌즈가 일체형으로 하나의 구성되어 렌즈 부재 지지틀(130)에 장착되는 구조로 배치될 수도 있으며, 또는 복수의 렌즈가 블록 단위로 구성되어 복수의 렌즈 블록이 렌즈 부재 지지틀(130)에 장착되는 구조로 배치될 수도 있다.
렌즈 부재(140)는 입사 광을 설정된 방사 각도 범위로 집속하여 방출할 수 있도록 굴절율, 두께, 곡률, 포커스 등이 조절될 수 있다. 상황에 따라서는 복수의 렌즈가 겹쳐져 하나의 렌즈를 구성할 수도 있다.
이러한 렌즈 부재(130)는 요구되는 방사 각도 범위, 발광 수단(110)의 형태와 사이즈 등 다양한 요소에 대응되어 적절하게 변형될 수 있다.
렌즈 부재 지지틀(130)은 렌즈 부재(140)를 감싸며 렌즈 부재(140)를 지지할 수 있다.
렌즈 부재 지지틀(130)은 위치 조절 수단(150)을 통한 렌즈 부재(140)의 위치 이동을 지원할 수 있다.
일례로서, 렌즈 부재 지지틀(130)의 양측 끝단에는 수직 방향으로 가이드 레일이 구비될 수 있다.
위치 조절 수단(150)은 차량의 외부 환경에 따라 렌즈 부재(130)의 배치 위치를 변경할 수 있다. 가령, 위치 조절 수단(150)은 렌즈 부재(130)를 발광 수단(120)으로부터 방출되는 광 경로 상에 위치시키거나 광 경로 상에서 이탈시킬 수 있다.
일례로서, 위치 조절 수단(150)은 렌즈 부재 지지틀(130)의 양측 가이드 레일과 맞물리는 양측 기어(153)와 양측 기어(153) 간을 연결하는 회전바(151)와 양측 기어(153)를 회전시키는 구동 모터(155)를 포함할 수 있다.
위치 조절 수단(150)의 구동 모터(155) 동작에 따라 렌즈 부재 지지틀(130)은 상하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렌즈 부재 지지틀(130)에 장착된 렌즈 부재(140)의 위치가 변경될 수 있다.
렌즈 보관 케이스(160)는 위치 조절 수단(150)을 통해 이동된 렌즈 부재(140)가 삽입되어 보관되는 보관 공간(175)을 구비할 수 있다.
전방 커버(160)는 후방 커버(110)에 결합되어 발광 수단(120) 및 렌즈 부재(140) 등을 보호할 수 있다. 또한 전방 커버(160)는 발광 수단(120)의 전방에 배치되어 발광 수단(120)으로부터 방출되는 광을 픽셀 단위로 방출시킬 수 있다.
제어부(180)는 발광 수단(120)과 위치 조절 수단(15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일례로서, 제어부(180)는 차량의 외부 밝기에 대한 측정치, 현재 시간 또는 외부로부터 전송된 제어 신호 중 어느 하나 이상을 기초로 위치 조절 수단(150)을 제어할 수 있다. 또는 제어부(180)는 발광 수단(120)에서 방출되는 광의 강도, 색상 또는 점멸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조절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인디케이터 조명 장치의 제어부에 대한 일실시예의 구성도를 도시한다.
제어부(180)는 운행 상황 판단부(181), 인디케이터 제어부(185)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운행 상황 판단부(181)는 차량의 외부 환경, 차량 운행 상태, 탑승자 탑승 여부 등의 차량 운행 상황을 판단할 수 있다.
일례로서, 운행 상황 판단부(181)는 차량 외부 밝기를 측정하는 광 센서, 차량 시트의 좌판에 배치되어 시트에 탑승자의 탑승 여부를 인식하는 압력 센서, 현재 시간을 파악하는 클럭, 외부 관리 장치와 연동하여 차량 정보를 전달하고 외부 관리 장치로부터 제어 신호를 제공받는 통신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운행 상황 판단부(181)는 차량 컨트롤러와 연결되어 차량 배터리 잔량, 차량 이상 여부 등의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인디케이터 제어부(185)는 운행 상황 판단부(181)의 차량 운행 상황 판단을 기초로 위치 조절 수단(150), 발광 수단(120) 등을 제어할 수 있다.
차량 운행 상황에 따라 위치 조절 수단(150)을 제어하여 렌즈 부재(140)의 위치를 변경할 수 있으며, 발광 수단(120)을 제어하여 방출되는 광의 강도, 색상, 점멸 등을 조절할 수 있다.
가령, 인디케이터 제어부(185)는 외부 환경 또는 현재 시간 등에 따라 렌즈 부재(140)를 발광 수단(120)으로부터 방출되는 광 경로 상에 위치시키거나 광 경로 상에서 이탈시킬 수 있고 발광 수단(120)을 제어하여 광 강도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인디케이터 제어부(185)는 차량 탑승자 존재 여부, 차량 이상 발생 여부, 할증 등의 요금 상황 등에 따라 발광 수단(120)을 제어하여 각기 다르게 광 색상, 점멸 등을 조절함으로써 외부로 차량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인디케이터 조명 장치의 주요부에 대한 일실시예를 도시한다.
발광 부재(120)는 기판(123) 상에 복수의 LED(121)와 구동 회로(미도시)가 구비된 LED 어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렌즈 부재(140)는 복수의 렌즈(141a, 141b, 141c)가 구비된 렌즈 어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렌즈 어레이는 발광 부재(120)의 사이즈 및 LED 개수 등에 대응되어 그 형태와 구조가 설정될 수 있다.
렌즈 부재 지지틀(130)는 중단이 관통된 몸체(131)를 포함하며, 몸체(131)의 중단이 관통되어 렌즈 부재(140)가 삽입 장착되는 렌즈 부재 장착 공간(133)이 마련되어 렌즈 부재 지지틀(130)의 렌즈 부재 장착 공간(133) 상에 렌즈 부재(140)가 삽입 장착되어 지지될 수 있다.
렌즈 부재 지지틀(130)의 양측 끝단에는 수직 방향으로 가이드 레일(135)이 구비될 수 있으며, 가이드 레일(135)에는 톱니가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 레일(135)에 마련된 톱니에 위치 조절 수단의 기어가 맞물릴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인디케이터 조명 장치의 일실시예에 대한 동작도를 도시하며,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인디케이터 조명 장치를 통한 광 방출에 대한 일실시예를 도시한다.
일례로서, 차량 외부의 밝기가 밝은 경우, 상기 도 7의 (a)와 같이 제어부(180)는 위치 조절 수단(150)을 제어하여 기어(151)를 일방향으로 회전시키며, 이에 따라 기어(151)에 맞물린 가이드 레일(135)이 상방으로 이동되어 렌즈 부재 지지틀(130)의 상승에 따라 렌즈 부재(140)가 렌즈 부재 보관 케이스(170)에 마련된 보관 공간(175)으로부터 인출되어 광 방출 공간(190)에 위치될 수 있다.
즉, 렌즈 부재(140)가 도어 트림의 상부로 노출되어 발광 수단(120)의 전방 광 경로 상의 제1 위치에 위치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도 8의 (a)와 같이 발광 수단(120)의 LED(121)에서 광 방출 공간(190)으로 방출되는 광은 광 경로 상에 위치된 렌즈 부재(140)를 통해 방사 범위가 설정된 범위로 집속된 후 차량 윈도우(W)를 통과하여 방사 각도 범위가 조절된 광 P1이 차량 외부로 방출될 수 있다.
일례로서, 차량 외부의 밝기가 어두운 경우, 상기 도 7의 (b)와 같이 제어부(180)는 위치 조절 수단(150)을 제어하여 기어(151)를 타방향으로 회전시키며, 이에 따라 기어(151)에 맞물린 가이드 레일(135)이 하방으로 이동되어 렌즈 부재 지지틀(130)의 하강에 따라 렌즈 부재(140)가 광 방출 공간(190)에서 이탈하여 렌즈 부재 보관 케이스(170)에 마련된 보관 공간(175)에 삽입될 수 있다.
즉, 렌즈 부재(140)가 도어 트림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발광 수단(120)의 전방 광 경로 상에서 이탈된 제2 위치에 위치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도 8의 (b)와 같이 발광 수단(120)의 LED(121)에서 광 방출 공간(190)으로 방출되는 광은 그대로 확산되면서 차량 윈도우(W)를 통과하여 넓은 방사 각도 범위로 확산되는 광 P2가 차량 외부로 방출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차량 인디케이터 조명 장치가 차량 외부 환경에 맞춰서 광의 방사 각도 범위를 조절하여 차량 외부로 차량 정보를 제공하는 광을 방출시킬 수 있다.
외부가 밝은 상황에서 방출 광의 강도를 증가시켜도 외부에서는 인디케이터 조명 장치로부터 광이 방출되고 있는지, 어떤 색상의 광이 방출되는지는 구분할 수 없는 상황이 발생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에서는 외부 밝기에 맞춰서 확산 방사되는 광을 일정 수준 방사 범위로 집속시켜 특정 방향으로 보다 많은 광량을 방출시킴으로써 외부에서 광 방출 여부, 광 색상 등을 구분할 수 있게 된다.
나아가서 자율 주행 무인 택시 등의 운행시 외부에서 다양한 외부 환경에서도 무인 택시의 운행 상황을 정확하게 인식할 수 있게 된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기재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해서 해석되어야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 차량,
30 : 차량 도어,
50 : 도어 트림,
100 : 차량 인디케이터 조명 장치,
110 : 후방 커버,
120 : 발광 수단,
130 : 렌즈 부재 지지틀,
140 : 렌즈 부재,
150 : 위치 조절 수단,
160 : 전방 커버,
170 : 렌즈 보관 케이스,
180 : 제어부.

Claims (13)

  1. 차량에 배치되어 상기 차량의 외부를 향해 광을 방출하는 발광 수단;
    상기 발광 수단으로부터 방출되는 광의 방사 각도 범위를 조절하여 설정된 범위로 광을 집속하여 방출하는 렌즈를 포함하는 렌즈 부재; 및
    상기 차량의 외부 환경에 따라 상기 렌즈 부재의 배치 위치를 변경하여 상기 렌즈 부재를 상기 발광 수단으로부터 방출되는 광 경로 상에 위치시키거나 상기 광 경로 상에서 이탈시키는 위치 조절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인디케이터 조명 장치.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 부재를 지지하며, 양측 끝단에 수직 방향으로 가이드 레일이 구비된 렌즈 부재 지지틀을 더 포함하며,
    상기 위치 조절 수단은,
    상기 렌즈 부재 지지틀의 가이드 레일을 통해 상기 렌즈 부재 지지틀을 수직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구동 모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인디케이터 조명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조절 수단을 통해 이동된 상기 렌즈 부재가 삽입되어 보관되는 렌즈 보관 케이스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인디케이터 조명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 수단은,
    복수의 LED가 배열된 LED 어레이를 포함하며,
    상기 렌즈 부재는,
    복수의 렌즈가 배열된 렌즈 어레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인디케이터 조명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 수단의 전방에 배치되어 상기 발광 수단으로부터 방출되는 광을 픽셀 단위로 방출시키는 전방 커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인디케이터 조명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외부 밝기에 대한 측정치, 현재 시간 또는 외부로부터 전송된 제어 신호 중 어느 하나 이상을 기초로 상기 위치 조절 수단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인디케이터 조명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발광 수단에서 방출되는 광의 강도, 색상 또는 점멸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인디케이터 조명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차량의 운행 상황을 판단하는 운행 상황 판단부; 및
    상기 운행 상황 판단부의 운행 상황 판단을 기초로 상기 발광 수단 또는 상기 위치 조절 수단을 제어하는 인디케이터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인디케이터 조명 장치.
  10. 도어 트림과 도어 패널이 결합된 차량 도어;
    상기 차량 도어에 구비된 윈도우; 및
    상기 도어 트림의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윈도우를 통과하여 외부로 광을 방출하는 제 1 항의 차량 인디케이터 조명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인디케이터 조명 장치는,
    상기 도어 트림의 상부에 길이 방향을 따라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인디케이터 조명 장치의 렌즈 부재는,
    상기 도어 트림의 상부로 노출되어 상기 발광 수단의 전방에 위치되는 제1 위치와 상기 도어 트림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위치되는 제2 위치 간에 선택적으로 위치가 변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13.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인디케이터 조명 장치는
    운전석 도어, 보조석 도어 또는 후방석 도어 중 어느 하나 이상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KR1020220148881A 2022-11-09 2022-11-09 차량 인디케이터 조명 장치 및 이를 장착한 차량 KR1025143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48881A KR102514306B1 (ko) 2022-11-09 2022-11-09 차량 인디케이터 조명 장치 및 이를 장착한 차량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48881A KR102514306B1 (ko) 2022-11-09 2022-11-09 차량 인디케이터 조명 장치 및 이를 장착한 차량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14306B1 true KR102514306B1 (ko) 2023-03-27

Family

ID=857997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48881A KR102514306B1 (ko) 2022-11-09 2022-11-09 차량 인디케이터 조명 장치 및 이를 장착한 차량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14306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35202A (ko) * 2018-03-23 2018-04-05 마준성 차량 디스플레이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차량 디스플레이 방법
KR20210035877A (ko) * 2018-07-25 2021-04-01 르노 에스.아.에스. 광원을 지지하는 도어 시일
KR20220142297A (ko) * 2021-04-14 2022-10-21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의 조명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35202A (ko) * 2018-03-23 2018-04-05 마준성 차량 디스플레이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차량 디스플레이 방법
KR20210035877A (ko) * 2018-07-25 2021-04-01 르노 에스.아.에스. 광원을 지지하는 도어 시일
KR20220142297A (ko) * 2021-04-14 2022-10-21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의 조명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543724B2 (en) Multifunctional rearward viewing camera system
US6152590A (en) Lighting device for motor vehicles
CN215705609U (zh) 车辆设备
US11097656B2 (en) Lighting apparatus of autonomous vehicle
CN112351914B (zh) 车辆客厢的光标测系统
US20130190971A1 (en) Multifunction light transceiver device
US10353523B2 (en) Passenger communication lighting
US20030160705A1 (en) Light activated optical parking guide
US20190323674A1 (en) Illumination device for vehicle, lighting tool for vehicle, window panel attached with lighting tool for vehicle, and on-vehicle display
KR102514306B1 (ko) 차량 인디케이터 조명 장치 및 이를 장착한 차량
CN108116316B (zh) 发光挡风玻璃显示器
KR101776249B1 (ko) 차량용 레이저 안전 삼각대
US20230219494A1 (en) Vehicle front alert system
CN113382889A (zh) 用于设置在机动车的前端部或后端部中的结构单元
CN112092719B (zh) 自动车辆的照明设备
WO2023062132A1 (en) Vehicular overhead console with light transmissive panel
CN115666995A (zh) 车辆用显示装置和显示方法
JPH09263199A (ja) 異常接近警告表示装置
JP2023515951A (ja) 自動車
US11840174B2 (en) Vehicular overhead console with light transmissive panel
JP2003083775A (ja) 車両用表示装置
US11691482B2 (en) Vehicular rear window assembly with integrated spoiler
KR20240033940A (ko) 모빌리티용 적외선 램프 장치 및 시스템
US20230249615A1 (en) Vehicle front alert system
EP3560758A1 (en) Illumination device for vehicle, lighting tool for vehicle, window panel attached with lighting tool for vehicle, and on-vehicle displa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