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35632A - 디스플레이 장치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35632A
KR20210035632A KR1020190117667A KR20190117667A KR20210035632A KR 20210035632 A KR20210035632 A KR 20210035632A KR 1020190117667 A KR1020190117667 A KR 1020190117667A KR 20190117667 A KR20190117667 A KR 20190117667A KR 20210035632 A KR20210035632 A KR 202100356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display unit
coupled
display device
protru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176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70050B1 (ko
Inventor
정춘목
정재용
Original Assignee
정춘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춘목 filed Critical 정춘목
Priority to KR10201901176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70050B1/ko
Priority to PCT/KR2020/011023 priority patent/WO2021060711A1/ko
Publication of KR202100356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356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700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700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02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form or geometrical disposition of the individual elements
    • G09F9/3023Segmented electronic display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3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being semiconductor devices, e.g. dio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5/00Assembli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individual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of
    • H01L25/03Assembli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individual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of all the devices being of a type provided for in the same subgroup of groups H01L27/00 - H01L33/00, or in a single subclass of H10K, H10N, e.g. assemblies of rectifier diodes
    • H01L25/04Assembli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individual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of all the devices being of a type provided for in the same subgroup of groups H01L27/00 - H01L33/00, or in a single subclass of H10K, H10N, e.g. assemblies of rectifier diodes the devices not having separate containers
    • H01L25/075Assembli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individual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of all the devices being of a type provided for in the same subgroup of groups H01L27/00 - H01L33/00, or in a single subclass of H10K, H10N, e.g. assemblies of rectifier diodes the devices not having separate containers the devices being of a type provided for in group H01L33/00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5/00Assembli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individual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of
    • H01L25/03Assembli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individual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of all the devices being of a type provided for in the same subgroup of groups H01L27/00 - H01L33/00, or in a single subclass of H10K, H10N, e.g. assemblies of rectifier diodes
    • H01L25/04Assembli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individual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of all the devices being of a type provided for in the same subgroup of groups H01L27/00 - H01L33/00, or in a single subclass of H10K, H10N, e.g. assemblies of rectifier diodes the devices not having separate containers
    • H01L25/075Assembli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individual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of all the devices being of a type provided for in the same subgroup of groups H01L27/00 - H01L33/00, or in a single subclass of H10K, H10N, e.g. assemblies of rectifier diodes the devices not having separate containers the devices being of a type provided for in group H01L33/00
    • H01L25/0753Assembli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individual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of all the devices being of a type provided for in the same subgroup of groups H01L27/00 - H01L33/00, or in a single subclass of H10K, H10N, e.g. assemblies of rectifier diodes the devices not having separate containers the devices being of a type provided for in group H01L33/00 the devices being arranged next to each oth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Abstract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은 디스플레이의 발광 위치 변경이 용이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공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장치는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되고, 기판에 결합되는 연결부 및 전면에 디스플레이가 형성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에 결합되는 돌출부에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결합되고, 상기 돌출부의 돌출 방향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가 향하는 방향이 변경된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 장치{DISPLAY DEVICE}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은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기판에 부착되어 발광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달리 표시되지 않는 한, 이 섹션에 설명되는 내용들은 이 출원의 청구항들에 대한 종래 기술이 아니며, 이 섹션에 포함된다고 하여 종래 기술이라고 인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반적으로 디스플레이 장치는 기판에 부착되어 사용자가 입력한 정보를 표시하는 장치로, 최근에는 SMD(Surface mount display)형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디스플레이 장치의 자동화 공정이 가능하다.
하지만, 기존의 SMD형 디스플레이는 기판에 결합된 상태에서 기판의 표면 상부를 향하도록 배치되어 디스플레이 장치가 다양한 위치를 향해 발광하는데 제한이 있었다.
이와 관련하여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177896호는 에스엠디 타입 엘이디 램프를 개시하고 있고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9-0115656호는 표면실장형 LED 어레이를 갖는 LED 램프를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기존 발명들은 다양한 위치로 디스플레이를 발광이 가능한 디스플레이 장치 기술은 개시하지 않고 있다.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177896호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9-0115656호
디스플레이의 발광 위치 변경이 용이한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또 다른 기술적 과제가 도출될 수도 있음은 자명하다.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디스플레이 장치는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되고, 기판에 결합되는 연결부 및 전면에 디스플레이가 형성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에 결합되는 돌출부에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결합되고, 상기 돌출부의 돌출 방향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가 향하는 방향이 변경된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연결부의 일부가 상기 기판의 표면과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배면과 탈착 또는 부착이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지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저면에서 돌출되어 상기 연결부에 삽입되는 돌기들 및 배면에서 돌출되어 상기 지지부를 관통하는 돌출부들을 포함하고, 상기 돌기들 또는 돌출부들은 상기 연결부를 통해 상기 기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돌기는 상기 연결부에 형성되는 홀의 외경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외경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의 표면에 부착되는 폴리이미드 필름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의 방향을 달리하여 기판에 부착이 가능하고, 기판에 용이하게 부착이 가능한 구조를 가지는 장점이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는 복수의 디스플레이부들을 서로 결합시켜 확장이 가능하고, 이를 통해 다양한 방향으로 디스플레이 정보를 표시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아울러, 이와 같은 기재된 본 발명의 효과는 발명자가 인지하는지 여부와 무관하게 기재된 내용의 구성에 의해 당연히 발휘되게 되는 것이므로 상술한 효과는 기재된 내용에 따른 몇 가지 효과일 뿐 발명자가 파악 또는 실재하는 모든 효과를 기재한 것이라 인정되어서는 안 된다.
또한, 본 발명의 효과는 명세서의 전체적인 기재에 의해서 추가로 파악되어야 할 것이며, 설사 명시적인 문장으로 기재되어 있지 않더라도 기재된 내용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명세서를 통해 그러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인정할 수 있는 효과라면 본 명세서에 기재된 효과로 보아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사시도들.
도 2는 도 1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분해사시도들.
도 3은 도 1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I-I'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
도 4는 도 1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조립과정을 나타내는 측면도 및 단면도들.
도 5는 도 1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사용상태도.
도 6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저시도 및 분해사시도들.
도 7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분해사시도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 동작 및 작용효과에 대하여 살펴본다. 참고로, 이하 도면에서, 각 구성요소는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하여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되었으며,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반영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하며 개별 도면에서 동일 구성에 대한 도면 부호는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사시도들을 도시한다. 도 2는 도 1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분해사시도들을 도시한다. 도 3은 도 1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I-I'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1 내지 3들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연결부(200), 지지부(300) 및 디스플레이부(400)들을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디스플레이 장치는 기판에 부착되어 사용자가 입력한 정보를 표시하는 장치로, 최근에는 SMD(Surface mount display)형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디스플레이 장치의 자동화 공정이 가능하다.
하지만, 기존의 SMD형 디스플레이는 기판에 결합된 상태에서 기판의 표면 상부를 향하도록 배치되어 디스플레이 장치가 다양한 위치를 향해 발광하는데 제한이 있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기존의 디스플레이 장치와 달리 디스플레이부(400)의 디스플레이가 상기 기판의 표면과 수직한 방향을 제외한 다른 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되어 다양한 방향을 향해 발광이 가능하다.
구체적으로, 연결부(200)는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기판과 SMD 방식으로 탈착 또는 부착이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전후방 각각에 해당하는 제1 및 제2 방향(1, 2)들 각각에 해당하는 위치에는 기판의 전극과 연결되는 금속전극들이 서로를 향해 돌출된 아치형의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되어 연결부(200)에 삽입된다.
연결부(200)의 일측 및 타측 각각에는 서로 이격된 상태에서 연결부(200)를 상하부로 관통하여 형성되는 하부홀(210, 211)들이 각각 형성되고, 디스플레이부(400)의 일부분은 하부홀(210, 211)들 각각에 삽입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부(200)와 연결될 수 있다.
지지부(300)의 일단은 연결부(200)의 상부에서 양측으로 길게 연장된 바 형태로 형성되어 연결부(200)와 탈착 또는 부착이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타단은 플레이트 형태로 상부를 향해 소정의 거리만큼 연장된다.
지지부(300)의 일측 및 타측 각각에는 서로 이격된 상태에서 지지부(300)를 제1 또는 제2 방향(1, 2)을 향해 관통하여 형성되는 홀(310, 311)들이 각각 형성되고, 디스플레이부(400)의 일부분은 홀(310, 311)들 각각에 삽입되어 전기적으로 지지부(300)와 연결될 수 있다.
지지부(300)는 연결부(200)의 상부에서 상대적으로 제2 방향(2)쪽에 위치하고, 지지부(300)의 제1방향(1)에 해당하는 연결부(200)의 상부면 일부는 지지부(300)의 제2방향(2)쪽 상부면의 일부분보다 상대적으로 넓게 형성된다.
한편, 지지부(300)의 일단은 연결부(200)와 결합된 상태에서 타단이 제1 또는 제2 방향(1, 2)쪽 상부를 향해 경사지게 연장되어 디스플레이부(400)와 탈착 또는 부착이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지지부(300)의 일단은 연결부(200)와 회동이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고, 연결부(200)의 표면과 지지부(300)가 이루는 각도에 따라 디스플레이(405)는 다양한 방향을 향해 배치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400)는 디스플레이(405), 돌기(410, 411)들 및 돌출부(420, 421)들을 포함한다.
디스플레이부(400)는 지지부(300)의 타단이 연장되는 방향에 따라 디스플레이(405)가 상기 기판의 표면과 수직한 방향을 제외한 다른 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되고, 연결부(200)와 탈착 또는 부착이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디스플레이부(400)는 직육면체 형태로 형성되고, 폴리프탈아미드(Polyphtalamide: PPA) 소재로 제작되며, 디스플레이(405)를 커버하는 필름은 내열성 폴리이미드(Polyimide: PI)소재로 제작된다.
따라서, 디스플레이부(400)는 260도의 온도에 변형이 방지되므로, 상대적으로 두꺼운 내열성 필름을 별도로 디스플레이(405)에 접착할 필요 없고, 디스플레이(405)를 커버하는 필름에 새겨진 숫자, 문자 또는 모양을 다양한 형태로 용이하게 제작할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부(400)는 배면이 연결부(200)의 상부면과 밀착되고, 상부면이 지지부(300)와 밀착되어 디스플레이(405)가 상부를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부(400)의 일단은 디스플레이부(400)의 제2 방향(2)쪽 배면이 지지부(300)의 일부와 밀착된 상태로 연결부(200)의 상부에서 탈착 또는 부착이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디스플레이부(400)의 타단은 일단에서 지지부(300)와 밀착된 상태로 지지부(300)의 상단까지 상부를 향해 연장되어 상하부로 길게 연장된 직육면체 형태로 형성되고, 상부면은 지지부(300)의 상부면과 동일한 수평선상에 위치하여 서로 밀착된 상태에서 평면을 형성한다.
디스플레이(405)는 제1 방향(1)쪽에 형성되고, 내부의 LED(Light emitting diode)발광소자가 발광하면 디스플레이(405)에 접착된 필름에 새겨진 숫자 또는 문자가 제1 방향(1)을 향해 발광한다.
도 2 및 3들을 참조하면, 돌기(410, 411)들 각각의 일단은 디스플레이부(400)의 저면 일측 및 타측에 각각 결합되고, 타단은 원통 형태로 하부를 향해 소정의 거리만큼 연장되어 하부홀(210, 211)들 각각에 삽입된다.
돌기(410, 411)들 각각이 하부홀(210, 211)들 각각에 삽입된 상태에서, 돌기(410, 411)들 각각의 타단은 연결부(200)의 저면보다 상대적으로 상부에 해당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연결부(200)가 상기 기판에 결합되는 과정에서 상기 기판과 충돌되는 것이 방지된다.
돌출부(420, 421)들 각각의 일단은 디스플레이부(400)의 제2 방향(2)쪽 배면의 일측 및 타측에 각각 원기둥 형태로 결합되고, 타단은 제2 방향(2)을 향해 확장되며 연장되어 원형의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된다.
도 3을 참조하면, 돌출부(420, 421)들 각각의 단면 외측에는 일단에서 타단까지 경사지게 연장되는 경사면이 형성되어 홀(310, 311)들 각각의 안쪽에 위치하는 지지부(300)의 내측면과 밀착된다.
즉, 돌출부(420, 421)들 각각은 홀(310, 311)들 각각을 관통하고 홀(310, 311)들 각각에 위치하는 지지부(300)의 일부분을 확장시키며 지지부(300)를 관통하며 지지부(300)에 끼움 결합된다.
돌출부(420, 421)들 각각의 타단은 홀(310, 311)들 각각을 관통하여 지지부(300)의 제2방향(2)쪽에 배치되고, 타단의 외경은 홀(310, 311)들 각각의 외경보다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되므로, 디스플레이부(400) 및 지지부(300)들은 서로 견고하게 결합된다.
따라서, 디스플레이부(400)는 연결부(200) 및 지지부(300)에 탈착 또는 부착이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디스플레이(405)가 발광하는 방향이 다양한 위치를 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SMD 형으로 상기 기판에 결합되는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상기 기판과 결합되는 과정에서 상대적으로 낮은 온도를 필요로하므로, 디스플레이(405)에 부착되는 필름소재는 성형이 용이하여 다양한 패턴으로 성형이 가능한 폴리이미드(Polyimide)를 포함하는 다양한 필름소재를 사용할 수 있다.
도 4는 도 1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조립과정을 나타내는 저면도 및 단면도들을 도시한다.
도 4를 참조하면, 돌출부(421)가 홀(311)에 삽입된 상태에서 돌출부(421)의 일단 외경은 홀(311)의 외경보다 상대적으로 작고, 돌출부(421)의 타단 외경은 홀(311)의 외경보다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된다.
돌출부(420)가 홀(310)에 삽입된 상태에서 돌출부(420)의 일단 외경은 홀(310)의 외경보다 상대적으로 작고, 돌출부(420)의 타단 외경은 홀(310)의 외경보다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된다.
디스플레이부(400)가 연결부(200) 및 지지부(300)들 각각과 결합된 상태에서 돌기(411)는 하부홀(211)에 삽입되고, 돌기(411)의 타단은 연결부(200)의 저면보다 상대적으로 낮은 위치로 돌출된다.
돌기(411)의 타단이 연결부(200)의 저면보다 상대적으로 낮은 위치로 돌출된 상태에서 돌기(411)의 외경은 하부홀(211)의 외경보다 상대적으로 낮게 형성되어 돌기(411) 및 하부홀(211)에 위치한 연결부(200)의 내측면 사이에는 공간이 형성된다.
돌기(411)가 하부홀(211)에 삽입된 상태에서 고온의 열을 돌기(411)에 가하여 용융시키면 돌기(411)가 하부홀(211) 안쪽의 공간을 채우면서 연결부(200)의 내측면과 밀착되고, 돌기(411)의 타단은 하부홀(211)의 안쪽으로 이동한다.
따라서, 돌기(411)를 연결부(200)와 접착시키면, 돌기(411)의 타단이 하부홀(211)의 안쪽으로 이동하고, 연결부(200)를 상기 기판에 결합시키는 과정에서 돌기(411)의 타단이 상기 기판과 충돌되는 것이 방지된다.
도 5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사시도 및 분해사시도들을 도시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20)는 제1 디스플레이부(500) 및 제2 디스플레이부(550)들을 제외하면, 도 1 내지 4 들의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동일한 참조번호와 명칭을 사용하고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120)는 제1 디스플레이부(500) 및 제2 디스플레이부(550)들을 포함한다.
디스플레이 장치(120)는 제1 방향(1)을 향해 발광하는 제1 디스플레이부(500)에 제2 디스플레이부(550)를 추가로 탈착 또는 부착이 가능하도록 결합시켜 다양한 위치를 향해 디스플레이 정보를 표시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제1 디스플레이부(500)의 일단은 지지부(300)에 제2 방향(2)쪽 일부분이 밀착된 상태에서 연결부(200)의 상부면에 탈착 또는 부착이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타단은 직육면체 형태로 지지부(300)의 상부면까지 연장된다.
제1 디스플레이부(500)의 일측 상단 및 타측 상단 각각에는 일측 및 타측 각각에서 제1 디스플레이부(500)의 중앙을 향해 직육면체 형태로 함몰되어 형성되는 삽입홈(510, 520)들이 각각 형성되고, 제1 방향(1)쪽에 제1디스플레이(505)가 형성된다.
삽입홈(510, 520)들 각각은 디스플레이 장치(120)를 기판(12)에 결합시키는 과정에서 자동화 장치의 로봇 핑거가 삽입되는 공간으로 활용되고, 동시에 제2 디스플레이부(550)의 확장 결합을 위한 공간으로 활용된다.
단자(512)들 각각은 사각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되고, 삽입홈(510, 520)들 각각의 안쪽에 위치하는 제1 디스플레이부(500)의 중앙쪽 내측면에 밀착되어 서로 마주하도록 배치된다.
단자(512)들 각각은 연결부(200)를 통해 상기 기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단자(512)들 각각의 하부에 해당하는 제1 디스플레이부(500)의 내측면에는 제1 또는 제2 방향(1, 2)으로 연장된 바 형태로 서로를 향해 함몰된 걸림홈이 각각 형성된다.
제2 디스플레이부(550)의 상단은 일측 또는 타측을 향해 길게 연장된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되고, 제2 디스플레이부(550)의 하단 일측 및 타측 각각에는 하부를 향해 연장되는 걸림부(552, 554)들이 각각 형성된다.
제2 디스플레이부(550)의 상부면에는 디스플레이 정보를 표시하는 제2 디스플레이(555)가 형성되고, 걸림부(552, 554)들 각각을 통해 공급되는 전원을 통해 발광한다.
걸림부(552, 554)들 각각의 일단은 제2 디스플레이부(550)의 상단 저면 일측 및 타측 각각에 결합되고, 각각의 타단은 소정의 거리만큼 하부를 향해 연장되며, 각각의 끝단 안쪽에는 서로를 향해 돌출되는 걸림턱이 형성된다.
삽입홈(510, 520)들 각각에 삽입된 걸림부(552, 554)들 각각의 걸림턱들은 상기 걸림홈들에 각각 삽입되고, 걸림부(552, 554)들 각각의 안쪽 내측면은 단자(512)들 각각과 밀착되어 전기적으로 제1 디스플레이부(500)와 연결된다.
따라서, 디스플레이 장치(120)는 일 방향을 향해 디스플레이 정보를 표시하는 경우, 제1 디스플레이부(500)만 부착시켜 사용될 수 있고, 삽입홈(510, 520)들 각각을 통한 신속한 조립이 가능하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120)는 측면 및 상부를 포함하는 다양한 방향을 향해 디스플레이 정보를 표시하고자 하는 경우, 제1 디스플레이부(500)에 제2 디스플레이부(550)를 추가 결합시켜 다양한 위치로 디스플레이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한편, 돌기(410, 411)들 각각의 일단은 제1 디스플레이부(500)의 저면 일측 및 타측에 각각 결합되고, 타단은 원통 형태로 하부를 향해 소정의 거리만큼 연장되어 하부홀(210, 211)들 각각에 삽입된다.
돌기(410, 411)들 각각이 하부홀(210, 211)들 각각에 삽입된 상태에서, 돌기(410, 411)들 각각의 타단은 연결부(200)의 저면보다 상대적으로 상부에 해당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연결부(200)가 상기 기판에 결합되는 과정에서 상기 기판과 충돌되는 것이 방지된다.
돌출부(420, 421)들 각각의 일단은 제1 디스플레이부(500)의 제2 방향(2)쪽 배면의 일측 및 타측에 각각 원기둥형태로 결합되고, 타단은 제2 방향(2)을 향해 확장되며 연장되어 원형의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된다.
돌출부(420, 421)들 각각의 단면 외측에는 일단에서 타단까지 경사지게 연장되는 경사면이 형성되어 홀(310, 311)들 각각의 안쪽에 위치하는 지지부(300)의 내측면과 밀착된다.
즉, 돌출부(420, 421)들 각각은 홀(310, 311)들 각각을 관통하고 홀(310, 311)들 각각에 위치하는 지지부(300)의 일부분을 확장시키며 지지부(300)에 끼움 삽입된다.
도 6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분해사시도들을 도시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40)는 제1 디스플레이부(500) 및 제3 디스플레이부(600)들을 제외하면, 도 5의 디스플레이 장치(120)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동일한 참조번호와 명칭을 사용하고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140)는 제3 디스플레이부(600)를 포함한다.
제3 디스플레이부(600)는 가이드(610, 620)들 및 걸림부(630, 640)들을 포함한다.
제3 디스플레이부(600)는 절곡된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되어 제1 디스플레이부(500)와 탈착 또는 부착이 가능하도록 형성되고, 상부면 및 제2 방향(2)을 향해 디스플레이들 각각이 형성되어 제1 디스플레이부(500)와 함께 제1 방향(1), 제2 방향(2) 및 상부를 향해 디스플레이 정보를 표시한다.
제3 디스플레이부(600)의 제2 방향(2)쪽 일단부는 직육면체 형태로 형성되어 지지부(300)의 제2 방향(2)쪽 공간을 커버하고, 타단부는 일단부의 상단 일부분이 제1 방향(1)을 향해 소정의 거리만큼 플레이트 형태로 연장되어 지지부(300) 및 제1 디스플레이부(500)의 상단을 커버하며 제1 디스플레이부(500)와 결합된다.
구체적으로, 가이드(610)의 일단은 제3 디스플레이부(600)의 타단 저면의 일측에 결합되고, 타단은 제3 디스플레이부(600)의 일단부와 평행하도록 하부를 향해 소정의 거리만큼 플레이트 형태로 연장되며, 타단 저면 일부분은 상부를 향해 아치 형태로 함몰된다.
가이드(620)의 일단은 제3 디스플레이부(600)의 타단 저면의 타측에 결합되고, 타단은 제3 디스플레이부(600)의 일단부와 평행하도록 하부를 향해 소정의 거리만큼 플레이트 형태로 연장되며, 타단 저면 일부분은 상부를 향해 아치 형태로 함몰된다.
걸림부(630)의 일단은 가이드(610)에서 제1 방향(1)으로 이격된 위치에서 제3 디스플레이부(600)의 타단 저면의 일측 가장자리에 결합되고, 타단은 직육면체 형태로 하부를 향해 연장되며, 타단 안쪽 끝단에는 타측을 향해 돌출된 걸림턱이 형성된다.
걸림부(640)의 일단은 가이드(620)에서 제1 방향(1)으로 이격된 위치에서 제3 디스플레이부(600)의 타단 저면의 타측 가장자리에 결합되고, 타단은 직육면체 형태로 하부를 향해 연장되며, 타단 안쪽 끝단에는 일측을 향해 돌출된 걸림턱이 형성된다.
제3 디스플레이부(600) 및 제1 디스플레이부(500)들이 서로 결합되면, 걸림부(630, 640)들 각각은 삽입홈(510, 520)들 각각에 삽입되어 제1 디스플레이부(500)와 탈착 또는 부착이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가이드(610, 620)들 각각의 타단은 돌출부(420, 421) 각각의 타단 및 지지부(300)의 제2 방향(2)쪽 배면 사이에 해당하는 공간에 삽입되어 고정된다.
가이드(610, 620)들 및 걸림부(630, 640)들 각각은 제1 디스플레이부(500)와 결합되어 전기적으로 제1 디스플레이부(500)와 연결되고, 가이드(610, 620)들 또는 걸림부(630, 640)들을 통해 제3 디스플레이부(600)의 상부에 배치된 제2 디스플레이(605)에 전력공급이 가능하다.
제3 디스플레이(607)는 제3 디스플레이부(600)의 제2 방향(2)쪽에 형성되고, 제3 디스플레이부(600)가 제1 디스플레이부(500)와 결합된 상태에서, 제1 및 제3 디스플레이부(500, 600)들 각각은 상부, 제1 방향(1) 및 제2 방향(2)들을 향해 디스플레이 정보를 표시한다.
제3 디스플레이부(600)가 제1 디스플레이부(500)와 결합된 상태에서, 제3 디스플레이부(600)의 일단부는 지지부(300)와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되고, 가이드(610, 620)들 각각의 일단 및 타단 사이에 돌출부(420, 412)들 각각의 타단이 삽입된다.
제3 디스플레이부(600)가 제1 디스플레이부(500)와 결합된 상태에서, 제3 디스플레이부(600)의 일단부는 지지부(300)와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되어 제3 디스플레이부(600)에서 발산되는 열의 방열기능이 개선된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120, 140: 디스플레이 장치 200: 연결부
300: 지지부 400: 디스플레이부
500: 제1 디스플레이부 550: 제2 디스플레이부
600: 제3 디스플레이부

Claims (5)

  1.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되고, 기판에 결합되는 연결부; 및
    전면에 디스플레이가 형성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에 결합되는 돌출부에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결합되고, 상기 돌출부의 돌출 방향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가 향하는 방향이 변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와 결합되어 상기 연결부의 표면과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배면과 탈착 또는 부착이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지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저면에서 돌출되어 상기 연결부에 삽입되는 돌기들; 및
    배면에서 돌출되어 상기 지지부를 관통하는 돌출부들;을 포함하고,
    상기 돌기들 또는 돌출부들은 상기 연결부를 통해 상기 기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는,
    상기 연결부에 형성되는 홀의 외경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외경을 가지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의 표면에 부착되는 폴리이미드 필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190117667A 2019-09-24 2019-09-24 디스플레이 장치 KR1022700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7667A KR102270050B1 (ko) 2019-09-24 2019-09-24 디스플레이 장치
PCT/KR2020/011023 WO2021060711A1 (ko) 2019-09-24 2020-08-19 디스플레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7667A KR102270050B1 (ko) 2019-09-24 2019-09-24 디스플레이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35632A true KR20210035632A (ko) 2021-04-01
KR102270050B1 KR102270050B1 (ko) 2021-06-28

Family

ID=751650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17667A KR102270050B1 (ko) 2019-09-24 2019-09-24 디스플레이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270050B1 (ko)
WO (1) WO2021060711A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86932Y1 (ko) * 2002-05-29 2002-08-24 김요왕 수동형 숫자판과 이를 이용한 수동형 숫자표시장치
KR20080011799A (ko) * 2006-07-31 2008-02-11 삼성전자주식회사 액정 표시 장치용 지지 장치
KR20090115656A (ko) 2008-05-01 2009-11-05 (주)아크로젠텍 표면실장형 led 어레이를 갖는 led 램프
KR101177896B1 (ko) 2010-03-02 2012-08-28 희성전자 주식회사 에스엠디 타입 엘이디 램프
KR101664497B1 (ko) * 2010-08-03 2016-10-24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발광 장치 및 그를 포함하는 조명 시스템
KR200484372Y1 (ko) * 2016-04-28 2017-08-29 박나운 시각장애인을 위한 수동식 촉각 디스플레이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625911B2 (en) * 2000-04-10 2003-09-30 Yo-Wang Kim Manually adjustable display device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86932Y1 (ko) * 2002-05-29 2002-08-24 김요왕 수동형 숫자판과 이를 이용한 수동형 숫자표시장치
KR20080011799A (ko) * 2006-07-31 2008-02-11 삼성전자주식회사 액정 표시 장치용 지지 장치
KR20090115656A (ko) 2008-05-01 2009-11-05 (주)아크로젠텍 표면실장형 led 어레이를 갖는 led 램프
KR101177896B1 (ko) 2010-03-02 2012-08-28 희성전자 주식회사 에스엠디 타입 엘이디 램프
KR101664497B1 (ko) * 2010-08-03 2016-10-24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발광 장치 및 그를 포함하는 조명 시스템
KR200484372Y1 (ko) * 2016-04-28 2017-08-29 박나운 시각장애인을 위한 수동식 촉각 디스플레이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1060711A1 (ko) 2021-04-01
KR102270050B1 (ko) 2021-06-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041023B2 (en) Light emitting device
JP4772882B2 (ja) 配線基板および発光装置
JP3741946B2 (ja) 液晶表示装置
JPWO2011021719A1 (ja) 蛍光灯型led照明灯
JP6202368B2 (ja) 基板モジュール
JP5434629B2 (ja) 発光装置
JP4596145B2 (ja) 面状照明装置
US7445355B2 (en) Matrix display using cassette light units
KR20210035632A (ko) 디스플레이 장치
US7556400B2 (en) Backside accessible display
JP2005251622A (ja) 照明装置及び表示装置
JP2007200763A (ja) スイッチ装置
JP3217354U (ja) 照明装置
JP2007080531A (ja) Led照明器具
JP5838299B2 (ja) 発光モジュール及び照明装置
JP2007234470A (ja) 発光装置
JP6820584B6 (ja) 伝熱体および帯状ledライト
TWM547745U (zh) 發光鍵盤及使用其之電子裝置
JP6277546B2 (ja) 照明器具
JP2021004975A (ja) 表示装置
JP2007066776A (ja) バックライト装置
JP4062304B2 (ja) 電子機器の表示装置
JP5328468B2 (ja) 固体発光装置、固体発光素子ユニット及び照明器具
JP2016143481A (ja) 照明ユニット
KR101916373B1 (ko) 엘이디 패키지 세트 및 이를 포함하는 엘이디 벌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