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35519A - 빅데이터와 설문을 활용한 통합형 광고효과평가 지원시스템 - Google Patents

빅데이터와 설문을 활용한 통합형 광고효과평가 지원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35519A
KR20210035519A KR1020190117410A KR20190117410A KR20210035519A KR 20210035519 A KR20210035519 A KR 20210035519A KR 1020190117410 A KR1020190117410 A KR 1020190117410A KR 20190117410 A KR20190117410 A KR 20190117410A KR 20210035519 A KR20210035519 A KR 202100355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m
dbd
advertisement
sda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174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경택
손희섭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마크로밀엠브레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마크로밀엠브레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마크로밀엠브레인
Priority to KR10201901174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35519A/ko
Publication of KR202100355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3551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42Determining effectiveness of advertisements
    • G06Q30/0245Survey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01Market modelling; Market analysis; Collecting market data
    • G06Q30/0203Market surveys; Market poll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Fina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Economics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Market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빅데이터와 설문을 활용한 통합형 광고효과평가 지원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서는 설문패널회원(SPM: Survey Panel Member)이 보유한 SPM 정보기기, SPM을 대상으로 광고 관련 설문조사를 시행하는 설문 관리 서버, 광고 시행주체(예컨대, 기업, 공공기관, 개인 등)가 보유한 광고 시행주체 정보기기 등의 통신 인프라 하에, <SPM이 생산한 디지털 빅데이터(DBD: Digital Big-Data)(예컨대, 웹사이트 게시글, 웹사이트 댓글, 방문 웹사이트, 앱 이용데이터, 휴대폰 위치정보, 신용카드 결제정보, 디지털방송 시청정보, 문자 전송정보, 전자영수증 발급내역, 웹사이트 검색내역, GPS 이용내역, 동영상 시청내역, SNS 이용내역 등)를 수집할 수 있는 전산모듈>, <각 SPM에 상응하는 광고 관련 설문정보(SDA: Survey Data related to Advertising)(예컨대, SPM의 아이디, SPM이 응한 광고관련 설문조사의 설문 아이디, 광고관련 설문내역, 광고관련 설문 응답내역 등)를 수집할 수 있는 전산모듈>, <DBD 및 SDA에 기재된 SPM의 아이디(ID)를 판독한 후, SPM의 특징정보(예컨대, 연령, 성별, 거주지 등) 및 DBD, 그리고, SDA를 결합시켜, SPM-DBD-SDA 데이터 셋을 생성할 수 있는 전산모듈>, <SPM-DBD-SDA 데이터 셋을 판독한 후, 광고 시행주체 측 광고에 대해 호감 또는 비 호감을 나타낸 SPM의 제품/서비스 관련 행동내역 및 해당 SPM의 광고 노출 후의 제품/서비스 관련 행동변화내역을 분석하고, 해당 분석내용이 반영된 광고효과 분석정보를 생성한 후, 생성된 광고효과 분석정보를 광고 시행주체 정보기기로 전송할 수 있는 전산모듈> 등을 체계적으로 배치 제공하고, 이를 통해, 광고 시행주체(예컨대, 기업, 공공기관, 개인 등) 측에서, 광고효과 분석정보를 바탕으로 하여, 광고에 대해 호감 또는 비 호감 태도를 보인 소비자가 해당 광고와 관련된 기업/제품/서비스와 관련하여 어떠한 행동양식을 취하였는지에 대한 객관적이고 정량적인 정보를 손쉽게 파악할 수 있도록 유도함으로써, 결국, 별다른 어려움 없이, 최적의 합리적인 광고전략(예컨대, 광고내용에 대한 선정전략, 광고모델에 대한 선정전략, 광고매체에 대한 선정전략, 광고비 집행에 대한 전략, 매장 관리에 대한 전략, 서버 용량 관리에 대한 전략 등)을 효과적으로 수립/시행할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다.

Description

빅데이터와 설문을 활용한 통합형 광고효과평가 지원시스템{The integrated type system which supports a evaluation process about a advertising effect using the big-data and survey}
본 발명은 광고 시행주체(예컨대, 기업, 공공기관, 개인 등)에 의한 광고효과 평가절차를 지원해주는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설문패널회원(SPM: Survey Panel Member)이 보유한 SPM 정보기기, SPM을 대상으로 광고 관련 설문조사를 시행하는 설문 관리 서버, 광고 시행주체(예컨대, 기업, 공공기관, 개인 등)가 보유한 광고 시행주체 정보기기 등의 통신 인프라 하에, <SPM이 생산한 디지털 빅데이터(DBD: Digital Big-Data)(예컨대, 웹사이트 게시글, 웹사이트 댓글, 방문 웹사이트, 앱 이용데이터, 휴대폰 위치정보, 신용카드 결제정보, 디지털방송 시청정보, 문자 전송정보, 전자영수증 발급내역, 웹사이트 검색내역, GPS 이용내역, 동영상 시청내역, SNS 이용내역 등)를 수집할 수 있는 전산모듈>, <각 SPM에 상응하는 광고 관련 설문정보(SDA: Survey Data related to Advertising)(예컨대, SPM의 아이디, SPM이 응한 광고관련 설문조사의 설문 아이디, 광고관련 설문내역, 광고관련 설문 응답내역 등)를 수집할 수 있는 전산모듈>, <DBD 및 SDA에 기재된 SPM의 아이디(ID)를 판독한 후, SPM의 특징정보(예컨대, 연령, 성별, 거주지 등) 및 DBD, 그리고, SDA를 결합시켜, SPM-DBD-SDA 데이터 셋을 생성할 수 있는 전산모듈>, <SPM-DBD-SDA 데이터 셋을 판독한 후, 광고 시행주체 측 광고에 대해 호감 또는 비 호감을 나타낸 SPM의 제품/서비스 관련 행동내역 및 해당 SPM의 광고 노출 후의 제품/서비스 관련 행동변화내역을 분석하고, 해당 분석내용이 반영된 광고효과 분석정보를 생성한 후, 생성된 광고효과 분석정보를 광고 시행주체 정보기기로 전송할 수 있는 전산모듈> 등을 체계적으로 배치 제공하고, 이를 통해, 광고 시행주체(예컨대, 기업, 공공기관, 개인 등) 측에서, 광고효과 분석정보를 바탕으로 하여, 광고에 대해 호감 또는 비 호감 태도를 보인 소비자(SPM)가 해당 광고와 관련된 기업/제품/서비스와 관련하여 어떠한 행동양식을 취하였는지에 대한 객관적이고 정량적인 정보를 손쉽게 파악할 수 있도록 유도함으로써, 결국, 별다른 어려움 없이, 최적의 합리적인 광고전략(예컨대, 광고내용에 대한 선정전략, 광고모델에 대한 선정전략, 광고매체에 대한 선정전략, 광고비 집행에 대한 전략, 매장 관리에 대한 전략, 서버 용량 관리에 대한 전략 등)을 효과적으로 수립/시행할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는 빅데이터와 설문을 활용한 통합형 광고효과평가 지원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전기/전자/통신 관련 기술이 급격한 발전을 이루면서, 광고와 관련된 다양한 기술들이 폭 넓게 개발/보급되고 있다.
예를 들어, 대한민국공개특허 제10-2002-67759호(명칭: 설문조사를 통한 인터넷 광고효과 측정방법)(2002.08.24.자 공개),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741732호(명칭: 인터넷상에서의 광고 및 설문 조사 방법)(2007.07.24.자 공고),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928624호(명칭: 양방향 티브이에서의 광고 또는 설문조사를 위한 전용 채널운영 및 보상시스템과 그 방법)(2009.11.26.자 공고), 대한민국공개특허 제10-2010-98942호(명칭: 광고에 수반된 설문조사 제공 방법 및 그 시스템)(2010.09.10.자 공개), 대한민국공개특허 제10-2011-47661호(명칭: 티브이 광고효과 조사장치)(2011.05.09.자 공개) 등에는 종래의 광고 관련 기술들의 일례가 좀더 상세하게 개시되어 있다.
한편, 이러한 종래의 체제 하에서, 광고 시행주체(예컨대, 기업, 공공기관, 개인 등) 측에서는 <광고매체(예컨대, 방송, 신문, 잡지, 인터넷, 옥외 광고판 등)를 통한 광고의 시행 후에, 소비자의 광고에 대한 호감태도, 예컨대, 광고를 접한 후에, 광고의 내용이 마음에 든다고 하는 태도(또는, 마음에 들지 않는다고 하는 태도), 광고를 접한 후에, 광고출연모델이 마음에 든다고 하는 태도(또는, 마음에 들지 않는다고 하는 태도), 광고를 접한 후에, 광고매체가 마음에 든다고 하는 태도(또는, 마음에 들지 않는다고 하는 태도) 등은 물론, 그와 연계된 소비자의 행동양식변화, 예컨대, 광고를 접한 후에, 제품/서비스의 판매매장을 더 많이 방문하게 되는 행동양식의 변화(또는, 덜 방문하게 되는 행동양식의 변화), 광고를 접한 후에, 제품/서비스의 구매를 더 많이 하게 되는 행동양식의 변화(또는, 구매를 덜 하게 되는 행동양식의 변화), 광고를 접한 후에, 기업/제품/서비스 관련 애플리케이션을 자신의 전자기기에 적극적으로 설치하게 되는 행동양식의 변화(또는, 기 설치되어 있던 애플리케이션을 자신의 전자기기에서 삭제하게 되는 행동양식의 변화), 광고를 접한 후에, 기업/제품/서비스 관련 웹사이트에 장시간 머물게 되는 행동양식의 변화(또는, 웹사이트에 머무는 시간을 줄이는 행동양식의 변화) 등까지도 함께 연계시켜, 조사/확인하였으면 좋겠다>고 하는 필요성을 수시로 가지게 된다.
이는, 만약, 광고 시행주체 측에서, 광고의 시행 후에, 소비자의 광고에 대한 호감태도는 물론, 그와 연계된 소비자의 행동양식변화까지도 함께 조사/확인할 수 있게 된다면, 해당 광고 시행주체 측에서는 예를 들어, <광고내용, 광고출연모델, 광고매체 등에 대해 호감 또는 비 호감을 가진 소비자가 해당 광고에 포함된 매장을 실질적으로 얼마만큼 방문했는지의 여부를 정량적으로 파악할 수 있는 이점>, <광고내용, 광고출연모델, 광고매체 등에 대해 호감 또는 비 호감을 기진 소비자가 해당 광고에 포함된 제품을 실질적으로 얼마만큼 구매했는지의 여부를 정량적으로 파악할 수 있는 이점>, <광고내용, 광고출연모델, 광고매체 등에 대해 호감 또는 비 호감을 가진 소비자가 해당 광고와 관련된 기업/제품/서비스 관련 애플리케이션을 자신의 전자기기에 얼마만큼 설치했는지의 여부를 정량적으로 파악할 수 있는 이점>, <광고내용, 광고출연모델, 광고매체 등에 대해 호감 또는 비 호감을 가진 소비자가 해당 광고와 관련된 기업/제품/서비스 관련 웹사이트에 어느 정도의 시간동안 머물렀는지의 여부를 정량적으로 파악할 수 있는 이점> 등은 물론, <광고내용, 광고출연모델, 광고매체 등에 대해 호감 또는 비 호감을 가진 소비자가 해당 광고에 노출되기 이전에 비해, 어떠한 행동변화(예컨대, 제품/서비스 관련 매장의 방문횟수 증가/감소, 제품/서비스의 구매 량 증가/감소, 기업/제품/서비스 관련 애플리케이션의 설치횟수 증가/감소, 기업/제품/서비스 관련 웹사이트의 방문시간 증가/감소 등)를 일으켰는지의 여부를 정량적으로 파악할 수 있는 이점>까지도 폭 넓게 향유하면서, 광고 시행에 대한 전략(예컨대, 광고내용에 대한 선정전략, 광고모델에 대한 선정전략, 광고매체에 대한 선정전략, 광고비 집행에 대한 전략, 매장 관리에 대한 전략, 서버 용량 관리에 대한 전략 등)을 매우 효율적으로 진행할 수 있게 됨으로써, 자연스럽게 타켓 마케팅을 활성화시킬 수 있게 되기 때문이다(물론, 소비자 측면에서도, 집단별 관심분야나 니즈를 반영한 광고가 발생될 수 있어, 무분별하게 반복되는 광고가 아닌 자신에게 필요한 정보가 담긴 최적의 광고를 접할 수 있게 됨으로써, 보다 효율적인 소비에 도움을 받을 수 있게 됨).
그러나, 상황이 이러함에도 불구하고, 종래 에서는 소비자의 광고에 대한 호감태도와, 그에 상응하는 소비자의 행동양식변화를 면밀하게 연계시켜 정량적으로 제공해주는 통합 서비스를 전혀 시행하지 못한 채, 단지, 소비자의 광고에 대한 호감태도를 조사해서 제공해주는 서비스, 광고의 효과를 조사해서 제공해주는 서비스 등만을 각기 분리하여 개별적으로 시행하고 있었기 때문에, 별도의 조치가 취해지지 않는 한, 광고 시행주체 측에서는 광고에 대해 호감 또는 비 호감을 가진 소비자가 해당 광고와 관련된 기업/제품/서비스와 관련하여 어떠한 행동양식을 취하였는지에 대한 객관적이고 정량적인 정보를 전혀 조사/확인/파악할 수 없게 되며, 결국, 합리적인 광고전략을 정상적으로 수립/시행할 수 없는 심각한 상황에 수시로 처할 수밖에 없게 된다.
대한민국공개특허 제10-2002-67759호(명칭: 설문조사를 통한 인터넷 광고효과 측정방법)(2002.08.24.자 공개)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741732호(명칭: 인터넷상에서의 광고 및 설문 조사 방법)(2007.07.24.자 공고)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928624호(명칭: 양방향 티브이에서의 광고 또는 설문조사를 위한 전용 채널운영 및 보상시스템과 그 방법)(2009.11.26.자 공고) 대한민국공개특허 제10-2010-98942호(명칭: 광고에 수반된 설문조사 제공 방법 및 그 시스템)(2010.09.10.자 공개) 대한민국공개특허 제10-2011-47661호(명칭: 티브이 광고효과 조사장치)(2011.05.09.자 공개)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설문패널회원(SPM: Survey Panel Member)이 보유한 SPM 정보기기, SPM을 대상으로 광고 관련 설문조사를 시행하는 설문 관리 서버, 광고 시행주체(예컨대, 기업, 공공기관, 개인 등)가 보유한 광고 시행주체 정보기기 등의 통신 인프라 하에, <SPM이 생산한 디지털 빅데이터(DBD: Digital Big-Data)(예컨대, 웹사이트 게시글, 웹사이트 댓글, 방문 웹사이트, 앱 이용데이터, 휴대폰 위치정보, 신용카드 결제정보, 디지털방송 시청정보, 문자 전송정보, 전자영수증 발급내역, 웹사이트 검색내역, GPS 이용내역, 동영상 시청내역, SNS 이용내역 등)를 수집할 수 있는 전산모듈>, <각 SPM에 상응하는 광고 관련 설문정보(SDA: Survey Data related to Advertising)(예컨대, SPM의 아이디, SPM이 응한 광고관련 설문조사의 설문 아이디, 광고관련 설문내역, 광고관련 설문 응답내역 등)를 수집할 수 있는 전산모듈>, <DBD 및 SDA에 기재된 SPM의 아이디(ID)를 판독한 후, SPM의 특징정보(예컨대, 연령, 성별, 거주지 등) 및 DBD, 그리고, SDA를 결합시켜, SPM-DBD-SDA 데이터 셋을 생성할 수 있는 전산모듈>, <SPM-DBD-SDA 데이터 셋을 판독한 후, 광고 시행주체 측 광고에 대해 호감 또는 비 호감을 나타낸 SPM의 제품/서비스 관련 행동내역 및 해당 SPM의 광고 노출 후의 제품/서비스 관련 행동변화내역을 분석하고, 해당 분석내용이 반영된 광고효과 분석정보를 생성한 후, 생성된 광고효과 분석정보를 광고 시행주체 정보기기로 전송할 수 있는 전산모듈> 등을 체계적으로 배치 제공하고, 이를 통해, 광고 시행주체(예컨대, 기업, 공공기관, 개인 등) 측에서, 광고효과 분석정보를 바탕으로 하여, 광고에 대해 호감 또는 비 호감 태도를 보인 소비자가 해당 광고와 관련된 기업/제품/서비스와 관련하여 어떠한 행동양식을 취하였는지에 대한 객관적이고 정량적인 정보를 손쉽게 파악할 수 있도록 유도함으로써, 결국, 별다른 어려움 없이, 최적의 합리적인 광고전략(예컨대, 광고내용에 대한 선정전략, 광고모델에 대한 선정전략, 광고매체에 대한 선정전략, 광고비 집행에 대한 전략, 매장 관리에 대한 전략, 서버 용량 관리에 대한 전략 등)을 효과적으로 수립/시행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들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과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보다 명확해질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설문패널회원(SPM: Survey Panel Member)이 보유한 SPM 정보기기와 통신하여, SPM이 생산한 디지털 빅데이터(DBD: Digital Big-Data)를 수집하는 DBD 수집모듈과; 상기 SPM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시행하는 설문 관리 서버와 통신하여, 각 SPM에 상응하는 광고 관련 설문정보(SDA: Survey Data related to Advertising)를 수집하는 SDA 수집모듈과; 상기 DBD 및 SDA에 기재된 SPM의 아이디(ID)를 판독한 후, SPM의 특징정보 및 DBD, 그리고, SDA를 결합시켜, SPM-DBD-SDA 데이터 셋을 생성하는 SPM-DBD-SDA 데이터 셋 처리모듈과; 상기 SPM-DBD-SDA 데이터 셋을 판독한 후, 광고 시행주체 측 광고에 대해 호감 또는 비 호감을 나타낸 SPM의 제품/서비스 관련 행동내역 및 해당 SPM의 광고 노출 후의 제품/서비스 관련 행동변화내역을 분석하고, 해당 분석내용이 반영된 광고효과 분석정보를 생성한 후, 생성된 광고효과 분석정보를 광고 시행주체 정보기기로 전송하는 광고효과 분석정보 처리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빅데이터와 설문을 활용한 통합형 광고효과평가 지원시스템을 개시한다.
본 발명에서는 설문패널회원(SPM: Survey Panel Member)이 보유한 SPM 정보기기, SPM을 대상으로 광고 관련 설문조사를 시행하는 설문 관리 서버, 광고 시행주체(예컨대, 기업, 공공기관, 개인 등)가 보유한 광고 시행주체 정보기기 등의 통신 인프라 하에, <SPM이 생산한 디지털 빅데이터(DBD: Digital Big-Data)(예컨대, 웹사이트 게시글, 웹사이트 댓글, 방문 웹사이트, 앱 이용데이터, 휴대폰 위치정보, 신용카드 결제정보, 디지털방송 시청정보, 문자 전송정보, 전자영수증 발급내역, 웹사이트 검색내역, GPS 이용내역, 동영상 시청내역, SNS 이용내역 등)를 수집할 수 있는 전산모듈>, <각 SPM에 상응하는 광고 관련 설문정보(SDA: Survey Data related to Advertising)(예컨대, SPM의 아이디, SPM이 응한 광고관련 설문조사의 설문 아이디, 광고관련 설문내역, 광고관련 설문 응답내역 등)를 수집할 수 있는 전산모듈>, <DBD 및 SDA에 기재된 SPM의 아이디(ID)를 판독한 후, SPM의 특징정보(예컨대, 연령, 성별, 거주지 등) 및 DBD, 그리고, SDA를 결합시켜, SPM-DBD-SDA 데이터 셋을 생성할 수 있는 전산모듈>, <SPM-DBD-SDA 데이터 셋을 판독한 후, 광고 시행주체 측 광고에 대해 호감 또는 비 호감을 나타낸 SPM의 제품/서비스 관련 행동내역 및 해당 SPM의 광고 노출 후의 제품/서비스 관련 행동변화내역을 분석하고, 해당 분석내용이 반영된 광고효과 분석정보를 생성한 후, 생성된 광고효과 분석정보를 광고 시행주체 정보기기로 전송할 수 있는 전산모듈> 등을 체계적으로 배치 제공하기 때문에, 본 발명의 구현환경 하에서, 광고 시행주체(예컨대, 기업, 공공기관, 개인 등) 측에서는, 광고효과 분석정보를 바탕으로 하여, 광고에 대해 호감 또는 비 호감 태도를 보인 소비자가 해당 광고와 관련된 기업/제품/서비스와 관련하여 어떠한 행동양식을 취하였는지에 대한 객관적이고 정량적인 정보를 손쉽게 파악할 수 있게 되며, 결국, 별다른 어려움 없이, 최적의 합리적인 광고전략(예컨대, 광고내용에 대한 선정전략, 광고모델에 대한 선정전략, 광고매체에 대한 선정전략, 광고비 집행에 대한 전략, 매장 관리에 대한 전략, 서버 용량 관리에 대한 전략 등)을 효과적으로 수립/시행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빅데이터와 설문을 활용한 통합형 광고효과평가 지원시스템의 세부적인 구성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빅데이터와 설문을 활용한 통합형 광고효과평가 지원시스템의 세부적인 기능수행절차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광고효과 분석정보의 출력 모습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광고효과 통계정보의 출력 모습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예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빅데이터와 설문을 활용한 통합형 광고효과평가 지원시스템을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빅데이터와 설문을 활용한 통합형 광고효과평가 지원시스템(100)은 유/무선 온라인망(50), 인터페이스 모듈(101) 등을 매개로 하여, SPM이 보유한 SPM 정보기기(10), SPM을 대상으로 설문조사(예컨대, 광고관련 설문조사)를 시행하는 설문 관리 서버(30), 광고 시행주체(예컨대, 기업, 공공기관, 개인 등)가 보유한 광고 시행주체 정보기기(40), 시스템 관리자에 의해 관리되는 관리자 정보기기(20) 등과 통신을 취하는 운영정보 저장모듈(102), DBD 수집모듈(103), SDA 수집모듈(104), SPM 정보 저장모듈(105), SPM-DBD-SDA 데이터 셋 처리모듈(106), SPM-DBD-SDA 데이터 셋 처리 지원정보 저장모듈(107), 광고효과 분석정보 처리모듈(108), SPM-DBD-SDA 데이터 셋 관리자 분석 지원모듈(109), 광고효과 통계정보 처리모듈(110) 등이 긴밀하게 조합된 구성을 취하게 된다.
이때, 상기 SPM 정보기기(10)에는 SPM 정보기기(10) 측 운영체제(11) 및 정보기기 부속유닛(12)(예컨대, 애플리케이션, 통신모듈, 브라우져, 메일 관리도구, 메모리, GPS 유닛 등)과 통신을 취하면서, 상기 SPM이 생산한 DBD(예컨대, 웹사이트 게시글, 웹사이트 댓글, 방문 웹사이트, 앱 이용데이터, 휴대폰 위치정보, 신용카드 결제정보, 디지털방송 시청정보, 문자 전송정보, 전자영수증 발급내역, 웹사이트 검색내역, GPS 이용내역, 동영상 시청내역, SNS 이용내역 등)를 취득한 후, 취득 완료된 DBD를 상기 DBD 수집모듈(103)로 전송하는 DBD 취득 에이전트(112)가 추가 설치된다.
이 상황 하에서, 운영정보 저장모듈(102) 측에서는 SPM 정보기기(10)의 등록정보, 관리자 정보기기(20)의 등록정보, 광고 시행주체 정보기기(40)의 등록정보, 설문 관리 서버(30)의 등록정보, 통신 세션의 형성/유지를 위한 소스정보, 각 전산모듈들의 프로세스 진행을 보조하기 위한 각종 소스정보 등을 안정적으로 저장/관리함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일련의 마케팅 의사결정 지원절차가 별다른 문제점 없이 정상적으로 진행될 수 있도록 보조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또한, SPM 정보 저장모듈(105) 측에서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SPM의 아이디, SPM의 성별, SPM의 연령, 또는 SPM의 거주지를 포함하는 SPM 특징정보를 저장하면서, SPM-DBD-SDA 데이터 셋 처리모듈(106)과 통신을 취함으로써, SPM-DBD-SDA 데이터 셋의 생성을 지원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또한, SPM-DBD-SDA 데이터 셋 처리 지원정보 저장모듈(107) 측에서는 각 설문 아이디(ID)에 상응하는 설문응답(예컨대, 광고관련 설문응답) SPM의 아이디(ID)를 저장하면서, SPM-DBD-SDA 데이터 셋 처리모듈(106)과 통신을 취함으로써, SPM-DBD-SDA 데이터 셋의 생성을 지원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도 2 참조).
이러한 기반 인프라 하에서, DBD 수집모듈(103) 측에서는 인터페이스 모듈(101), 유/무선 온라인망(50) 등을 매개로 DBD 취득 에이전트(112)와 통신을 취하면서, 이에 의해 취득된 <SPM이 생산한 DBD(예컨대, 웹사이트 게시글, 웹사이트 댓글, 방문 웹사이트, 앱 이용데이터, 휴대폰 위치정보, 신용카드 결제정보, 디지털방송 시청정보, 문자 전송정보, 전자영수증 발급내역, 웹사이트 검색내역, GPS 이용내역, 동영상 시청내역, SNS 이용내역 등)>를 수집하는 절차를 진행하게 된다(도 2 참조).
이렇게 하여, <SPM이 생산한 DBD(예컨대, 웹사이트 게시글, 웹사이트 댓글, 방문 웹사이트, 앱 이용데이터, 휴대폰 위치정보, 신용카드 결제정보, 디지털방송 시청정보, 문자 전송정보, 전자영수증 발급내역, 웹사이트 검색내역, GPS 이용내역, 동영상 시청내역, SNS 이용내역 등)>가 수집되는 상황 하에서, SDA 수집모듈(104) 측에서는 인터페이스 모듈(101), 유/무선 온라인망(50) 등을 매개로 설문 관리 서버(30)와 통신을 취하면서, 이에 의해 관리되는 <SPM과 관련된 SDA(예컨대, SPM의 아이디, SPM이 응한 광고관련 설문조사의 설문 아이디, 광고관련 설문내역, 광고관련 설문 응답내역 등)>를 수집하는 절차를 진행하게 된다(도 2 참조).
상술한 절차를 통해, <SPM이 생산한 DBD(예컨대, 웹사이트 게시글, 웹사이트 댓글, 방문 웹사이트, 앱 이용데이터, 휴대폰 위치정보, 신용카드 결제정보, 디지털방송 시청정보, 문자 전송정보, 전자영수증 발급내역, 웹사이트 검색내역, GPS 이용내역, 동영상 시청내역, SNS 이용내역 등)>. <SPM과 관련된 SDA(예컨대, SPM의 아이디, SPM이 응한 광고관련 설문조사의 설문 아이디, 광고관련 설문내역, 광고관련 설문 응답내역 등)> 등이 수집되는 상황 하에서, SPM-DBD-SDA 데이터 셋 처리모듈(106) 측에서는 DBD, SDA 등을 판독하여, SPM의 아이디를 확인하는 절차를 진행하게 된다(도 2 참조).
이렇게 하여, SPM의 아이디가 확인 완료되면, SPM-DBD-SDA 데이터 셋 처리모듈(106) 측에서는 그 즉시, SPM 정보 저장모듈(105)과 통신을 취하여, SPM 아이디에 상응하는 각 SPM의 특징정보(예컨대, 연령, 성별, 거주지 등)를 추출하는 절차를 진행하게 된다(도 2 참조).
상술한 절차를 통해, <SPM이 생산한 DBD(예컨대, 웹사이트 게시글, 웹사이트 댓글, 방문 웹사이트, 앱 이용데이터, 휴대폰 위치정보, 신용카드 결제정보, 디지털방송 시청정보, 문자 전송정보, 전자영수증 발급내역, 웹사이트 검색내역, GPS 이용내역, 동영상 시청내역, SNS 이용내역 등)>. <SPM과 관련된 SDA(예컨대, SPM의 아이디, SPM이 응한 광고관련 설문조사의 설문 아이디, 광고관련 설문내역, 광고관련 설문 응답내역 등)>, <각 SPM의 특징정보(예컨대, 연령, 성별, 거주지 등)> 등이 판독/추출 완료되면, SPM-DBD-SDA 데이터 셋 처리모듈(106) 측에서는 그 즉시, 일련의 정보결합루틴을 진행시켜, 각 정보를 결합하고, 이를 통해, <SPM이 생산한 DBD(예컨대, 웹사이트 게시글, 웹사이트 댓글, 방문 웹사이트, 앱 이용데이터, 휴대폰 위치정보, 신용카드 결제정보, 디지털방송 시청정보, 문자 전송정보, 전자영수증 발급내역, 웹사이트 검색내역, GPS 이용내역, 동영상 시청내역, SNS 이용내역 등)>. <SPM과 관련된 SDA(예컨대, SPM의 아이디, SPM이 응한 광고관련 설문조사의 설문 아이디, 광고관련 설문내역, 광고관련 설문 응답내역 등)>, <각 SPM의 특징정보(예컨대, 연령, 성별, 거주지 등)> 등이 하나의 정보로 결합된 SPM-DBD-SDA 데이터 셋을 생성하는 절차를 진행하게 된다(도 2 참조).
이렇게 하여, <SPM이 생산한 DBD(예컨대, 웹사이트 게시글, 웹사이트 댓글, 방문 웹사이트, 앱 이용데이터, 휴대폰 위치정보, 신용카드 결제정보, 디지털방송 시청정보, 문자 전송정보, 전자영수증 발급내역, 웹사이트 검색내역, GPS 이용내역, 동영상 시청내역, SNS 이용내역 등)>. <SPM과 관련된 SDA(예컨대, SPM의 아이디, SPM이 응한 광고관련 설문조사의 설문 아이디, 광고관련 설문내역, 광고관련 설문 응답내역 등)>, <각 SPM의 특징정보(예컨대, 연령, 성별, 거주지 등)> 등이 하나의 정보로 결합된 SPM-DBD-SDA 데이터 셋이 생성/완료되면, 광고효과 분석정보 처리모듈(108) 측에서는 SPM-DBD-SDA 데이터 셋 처리모듈(106)과 통신을 취하여, SPM-DBD-SD 데이터 셋을 판독한 후, 일련의 정보생성루틴을 진행시켜, 광고 시행주체 측 광고에 대해 호감 또는 비 호감을 나타낸 SPM의 제품/서비스 관련 행동내역 및 해당 SPM의 광고 노출 후의 제품/서비스 관련 행동변화내역을 분석하고, 이를 통해 해당 분석내용이 반영된 광고효과 분석정보를 생성하는 절차를 진행하게 된다(도 2 참조).
이러한 절차 하에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고효과 분석정보 처리모듈(108)에 의해 생성되는 광고효과 분석정보에는 예를 들어, 광고내용, 광고출연모델, 광고매체 등에 대해 호감 또는 비 호감을 가진 SPM이 해당 광고에 포함된 매장을 실질적으로 얼마만큼 방문했는지의 여부가 정량적으로 담겨지게 된다.
다른 예로, 광고효과 분석정보에는 광고내용, 광고출연모델, 광고매체 등에 대해 호감 또는 비 호감을 기진 SPM이 해당 광고에 포함된 제품을 실질적으로 얼마만큼 구매했는지의 여부가 정량적으로 담겨지게 된다.
또 다른 예로, 광고효과 분석정보에는 광고내용, 광고출연모델, 광고매체 등에 대해 호감 또는 비 호감을 가진 SPM이 해당 광고와 관련된 기업/제품/서비스 관련 애플리케이션을 자신의 전자기기에 얼마만큼 설치했는지의 여부가 정량적으로 담겨지게 된다.
또 다른 예로, 광고효과 분석정보에는 광고내용, 광고출연모델, 광고매체 등에 대해 호감 또는 비 호감을 가진 SPM이 해당 광고와 관련된 기업/제품/서비스 관련 웹사이트에 어느 정도의 시간동안 머물렀는지의 여부가 정량적으로 담겨지게 된다.
또 다른 예로, 광고효과 분석정보에는 광고내용, 광고출연모델, 광고매체 등에 대해 호감 또는 비 호감을 가진 SPM이 해당 광고에 노출되기 이전에 비해, 제품/서비스 관련 매장의 방문횟수가 증가 또는 감소하였는지의 여부가 정량적으로 담겨지게 된다.
또 다른 예로, 광고효과 분석정보에는 광고내용, 광고출연모델, 광고매체 등에 대해 호감 또는 비 호감을 가진 SPM이 해당 광고에 노출되기 이전에 비해, 제품/서비스의 구매 량이 증가 또는 감소하였는지의 여부가 정량적으로 담겨지게 된다.
또 다른 예로, 광고효과 분석정보에는 광고내용, 광고출연모델, 광고매체 등에 대해 호감 또는 비 호감을 가진 SPM이 해당 광고에 노출되기 이전에 비해, 기업/제품/서비스 관련 애플리케이션의 설치횟수가 증가 또는 감소하였는지의 여부가 정량적으로 담겨지게 된다.
나아가, 광고효과 분석정보에는 광고내용, 광고출연모델, 광고매체 등에 대해 호감 또는 비 호감을 가진 SPM이 해당 광고에 노출되기 이전에 비해, 기업/제품/서비스 관련 웹사이트의 방문시간이 증가 또는 감소하였는지의 여부가 정량적으로 담겨지게 된다.
상술한 절차를 통해, 광고효과 분석정보의 생성이 완료되면, 광고효과 분석정보 처리모듈(108) 측에서는 인터페이스 모듈(101), 유/무선 온라인망(50) 등을 매개로, 광고 시행주체 정보기기(40)와 통신을 취하면서, 생성 완료된 광고효과 분석정보를 광고 시행주체 정보기기(40)로 전송하는 절차를 진행하게 된다(도 3 참조).
물론, 상술한 절차를 통해, 광고효과 분석정보가 전송 완료되면, 광고 시행주체(예컨대, 기업, 공공기관, 개인 등) 측에서는 별다른 어려움 없이, 광고매체(예컨대, 방송, 신문, 잡지, 인터넷, 옥외 광고판 등)를 통한 광고의 시행 후에, 소비자의 광고에 대한 호감태도, 예컨대, 광고를 접한 후에, 광고의 내용이 마음에 든다고 하는 태도(또는, 마음에 들지 않는다고 하는 태도), 광고를 접한 후에, 광고출연모델이 마음에 든다고 하는 태도(또는, 마음에 들지 않는다고 하는 태도), 광고를 접한 후에, 광고매체가 마음에 든다고 하는 태도(또는, 마음에 들지 않는다고 하는 태도) 등은 물론, 그와 연계된 소비자의 행동양식변화, 예컨대, 광고를 접한 후에, 제품/서비스의 판매매장을 더 많이 방문하게 되는 행동양식의 변화(또는, 덜 방문하게 되는 행동양식의 변화), 광고를 접한 후에, 제품/서비스의 구매를 더 많이 하게 되는 행동양식의 변화(또는, 구매를 덜 하게 되는 행동양식의 변화), 광고를 접한 후에, 기업/제품/서비스 관련 애플리케이션을 자신의 전자기기에 적극적으로 설치하게 되는 행동양식의 변화(또는, 기 설치되어 있던 애플리케이션을 자신의 전자기기에서 삭제하게 되는 행동양식의 변화), 광고를 접한 후에, 기업/제품/서비스 관련 웹사이트에 장시간 머물게 되는 행동양식의 변화(또는, 웹사이트에 머무는 시간을 줄이는 행동양식의 변화) 등까지도 함께 연계시켜, 손쉽게 조사/확인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설문패널회원(SPM: Survey Panel Member)이 보유한 SPM 정보기기, SPM을 대상으로 광고 관련 설문조사를 시행하는 설문 관리 서버, 광고 시행주체(예컨대, 기업, 공공기관, 개인 등)가 보유한 광고 시행주체 정보기기 등의 통신 인프라 하에, <SPM이 생산한 디지털 빅데이터(DBD: Digital Big-Data)(예컨대, 웹사이트 게시글, 웹사이트 댓글, 방문 웹사이트, 앱 이용데이터, 휴대폰 위치정보, 신용카드 결제정보, 디지털방송 시청정보, 문자 전송정보, 전자영수증 발급내역, 웹사이트 검색내역, GPS 이용내역, 동영상 시청내역, SNS 이용내역 등)를 수집할 수 있는 전산모듈>, <각 SPM에 상응하는 광고 관련 설문정보(SDA: Survey Data related to Advertising)(예컨대, SPM의 아이디, SPM이 응한 광고관련 설문조사의 설문 아이디, 광고관련 설문내역, 광고관련 설문 응답내역 등)를 수집할 수 있는 전산모듈>, <DBD 및 SDA에 기재된 SPM의 아이디(ID)를 판독한 후, SPM의 특징정보(예컨대, 연령, 성별, 거주지 등) 및 DBD, 그리고, SDA를 결합시켜, SPM-DBD-SDA 데이터 셋을 생성할 수 있는 전산모듈>, <SPM-DBD-SDA 데이터 셋을 판독한 후, 광고 시행주체 측 광고에 대해 호감 또는 비 호감을 나타낸 SPM의 제품/서비스 관련 행동내역 및 해당 SPM의 광고 노출 후의 제품/서비스 관련 행동변화내역을 분석하고, 해당 분석내용이 반영된 광고효과 분석정보를 생성한 후, 생성된 광고효과 분석정보를 광고 시행주체 정보기기로 전송할 수 있는 전산모듈> 등을 체계적으로 배치 제공하기 때문에, 본 발명의 구현환경 하에서, 광고 시행주체(예컨대, 기업, 공공기관, 개인 등) 측에서는, 광고효과 분석정보를 바탕으로 하여, 광고에 대해 호감 또는 비 호감 태도를 보인 소비자(SPM)가 해당 광고와 관련된 기업/제품/서비스와 관련하여 어떠한 행동양식을 취하였는지에 대한 객관적이고 정량적인 정보를 손쉽게 파악할 수 있게 되며, 결국, 별다른 어려움 없이, 최적의 합리적인 광고전략(예컨대, 광고내용에 대한 선정전략, 광고모델에 대한 선정전략, 광고매체에 대한 선정전략, 광고비 집행에 대한 전략, 매장 관리에 대한 전략, 서버 용량 관리에 대한 전략 등)을 효과적으로 수립/시행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앞의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시스템 내에는, 상기 각 전산모듈들 이외에도, SPM-DBD-SD 데이터 셋 관리자 분석 지원모듈(109), 광고효과 통계정보 처리모듈(110) 등이 추가로 배치된다.
이 경우, SPM-DBD-SDA 데이터 셋 관리자 분석 지원모듈(109) 측에서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SPM-DBD-SDA 데이터 셋 처리모듈(106)과 통신을 취하여, <SPM이 생산한 DBD(예컨대, 웹사이트 게시글, 웹사이트 댓글, 방문 웹사이트, 앱 이용데이터, 휴대폰 위치정보, 신용카드 결제정보, 디지털방송 시청정보, 문자 전송정보, 전자영수증 발급내역, 웹사이트 검색내역, GPS 이용내역, 동영상 시청내역, SNS 이용내역 등)>. <SPM과 관련된 SDA(예컨대, SPM의 아이디, SPM이 응한 광고관련 설문조사의 광고관련 설문 아이디, 광고관련 설문내역, 광고관련 설문 응답내역 등)>, <각 SPM의 특징정보(예컨대, 연령, 성별, 거주지 등)> 등이 하나의 정보로 결합된 SPM-DBD-SDA 데이터 셋을 수신하는 절차를 진행하게 된다.
이렇게 하여, SPM-DBD-SDA 데이터 셋이 수신 완료되면, SPM-DBD-SDA 데이터 셋 관리자 분석 지원모듈(109) 측에서는 그 즉시, 관리자 정보기기(20)와 통신을 취하여, 수신 완료된 SPM-DBD-SDA 데이터 셋을 관리자 정보기기(20)로 전송함으로써, SPM-DBD-SDA 데이터 셋이 관리자에 의해 매뉴얼로 분석될 수 있도록 유도하는 절차를 진행하게 된다(도 2 참조).
물론, 이 상황 하에서, 시스템 관리자 측에서는 별다른 어려움 없이, 광고효과 분석정보를 수동으로도 생성할 수 있는 이점을 효과적으로 향유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광고효과 통계정보 처리모듈(110) 측에서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SPM-DBD-SDA 데이터 셋 처리모듈(106), 광고효과 분석정보 처리모듈(108) 등과 통신을 취하면서, 일련의 정보판독루틴을 진행시켜, 이들에 의해 생성된 SPM-DBD-SDA 데이터 셋, 광고효과 분석정보 등을 판독하는 절차를 진행하게 된다.
이렇게 하여, SPM-DBD-SDA 데이터 셋 처리모듈(106), 광고효과 분석정보 처리모듈(108) 등에 의해 생성된 SPM-DBD-SDA 데이터 셋, 광고효과 분석정보 등이 판독 완료되면, 광고효과 통계정보 처리모듈(110) 측에서는 일련의 정보생성루틴을 진행시켜, 상기 광고효과 분석정보가 SPM의 성별 분포, SPM의 연령 분표, 또는 SPM의 거주지 분포에 따라 통계적으로 변환된 광고효과 통계정보를 생성하는 절차를 진행하게 된다(도 2 참조).
이러한 절차 하에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고효과 통계정보 처리모듈(110)에 의해 생성되는 광고효과 통계정보에는 예를 들어, 광고 호감도 상위 30%의 서울거주 20대 여성들의 광고 관련 기업 매장 방문 추이가 표, 그래프, 그림 등의 형태로 담겨지게 된다.
다른 예로, 광고효과 통계정보에는 광고 호감도 하위 30%의 대전거주 40대 남성들의 광고 관련 기업 웹사이트 방문 추이가 표, 그래프, 그림 등의 형태로 담겨지게 된다.
또 다른 예로, 광고효과 통계정보에는 광고 호감도 상위 10%의 수원거주 10대 여성들의 광고 관련 기업 앱 설치 추이가 표, 그래프, 그림 등의 형태로 담겨지게 된다.
상술한 절차를 통해, 광고효과 통계정보가 생성 완료되면, 광고효과 통계정보 처리모듈(110) 측에서는 인터페이스 모듈(101), 유/무선 온라인망(50) 등을 매개로, 광고 시행주체 정보기기(40)와 통신을 취하면서, 생성 완료된 광고효과 통계정보를 광고 시행주체 정보기기(40)로 전송하는 절차를 진행하게 된다(도 4 참조).
물론, 상술한 절차를 통해, 광고효과 통계정보가 전송 완료되면, 광고 시행주체(예컨대, 기업, 공공기관, 개인 등) 측에서는 별다른 어려움 없이, 자가 광고에 따른 소비자(SPM)의 행동추이를 통계적으로도 자동 분석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본 발명은 특정 분야에 국한되지 아니하며, 광고효과의 조사/측정이 필요한 여러 분야에서, 전반적으로 유용한 효과를 발휘한다.
그리고, 앞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 예가 설명되고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이 당업자에 의해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가능성이 있는 것은 자명한 일이다.
이와 같은 변형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관점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이와 같은 변형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첨부된 특허청구의 범위 안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10: SPM 정보기기
11: 운영체제
12: 정보기기 부속유닛
20: 관리자 정보기기
30: 설문 관리 서버
40: 광고 시행주체 정보기기
50: 유/무선 온라인망
100: 빅데이터와 설문을 활용한 통합형 광고효과평가 지원시스템
101: 인터페이스 모듈
102: 운영정보 저장모듈
103: DBD 수집모듈
104: SDA 수집모듈
105: SPM 정보 저장모듈
106: SPM-DBD-SDA 데이터 셋 처리모듈
107: SPM-DBD-SDA 데이터 셋 처리 지원정보 저장모듈
108: 광고효과 분석정보 처리모듈
109: SPM-DBD-SDA 데이터 셋 관리자 분석 지원모듈
110: 광고효과 통계정보 처리모듈
112: DBD 취득 에이전트

Claims (6)

  1. 설문패널회원(SPM: Survey Panel Member)이 보유한 SPM 정보기기와 통신하여, SPM이 생산한 디지털 빅데이터(DBD: Digital Big-Data)를 수집하는 DBD 수집모듈과;
    상기 SPM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시행하는 설문 관리 서버와 통신하여, 각 SPM에 상응하는 광고 관련 설문정보(SDA: Survey Data related to Advertising)를 수집하는 SDA 수집모듈과;
    상기 DBD 및 SDA에 기재된 SPM의 아이디(ID)를 판독한 후, SPM의 특징정보 및 DBD, 그리고, SDA를 결합시켜, SPM-DBD-SDA 데이터 셋을 생성하는 SPM-DBD-SDA 데이터 셋 처리모듈과;
    상기 SPM-DBD-SDA 데이터 셋을 판독한 후, 광고 시행주체 측 광고에 대해 호감 또는 비 호감을 나타낸 SPM의 제품/서비스 관련 행동내역 및 해당 SPM의 광고 노출 후의 제품/서비스 관련 행동변화내역을 분석하고, 해당 분석내용이 반영된 광고효과 분석정보를 생성한 후, 생성된 광고효과 분석정보를 광고 시행주체 정보기기로 전송하는 광고효과 분석정보 처리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빅데이터와 설문을 활용한 통합형 광고효과평가 지원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SPM-DBD-SDA 데이터 셋 처리모듈 및 광고효과 분석모듈과 통신하면서, 상기 SPM-DBD-SDA 데이터 셋 및 광고효과 분석정보를 판독한 후, 상기 광고효과 분석정보가 SPM의 성별 분포, SPM의 연령 분표, 또는 SPM의 거주지 분포에 따라 통계적으로 변환된 광고효과 통계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광고효과 통계정보를 상기 광고 시행주체 정보기기로 전송하는 광고효과 통계정보 처리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빅데이터와 설문을 활용한 통합형 광고효과평가 지원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SPM-DBD-SDA 데이터 셋 처리모듈과 통신하여, SPM-DBD-SDA 데이터 셋을 수신한 후, 관리자 정보기기와 통신하여, 수신된 SPM-DBD-SDA 데이터 셋을 관리자 정보기기로 전송함으로써, SPM-DBD-SDA 데이터 셋이 관리자에 의해 매뉴얼로 분석될 수 있도록 유도하는 SPM-DBD-SDA 데이터 셋 관리자 분석 지원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빅데이터와 설문을 활용한 통합형 광고효과평가 지원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SPM의 아이디, SPM의 성별, SPM의 연령, 또는 SPM의 거주지를 포함하는 SPM 특징정보를 저장하면서, SPM-DBD-SDA 데이터 셋 처리모듈과 통신하여, SPM-DBD-SDA 데이터 셋의 생성을 지원하는 SPM 정보 저장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빅데이터와 설문을 활용한 통합형 광고효과평가 지원시스템.
  5. 제 1 항에 있어서, 각 설문 아이디(ID)에 상응하는 설문응답 SPM의 아이디(ID)를 저장하면서, SPM-DBD-SDA 데이터 셋 처리모듈과 통신하여, SPM-DBD-SDA 데이터 셋의 생성을 지원하는 SPM-DBD-SDA 데이터 셋 처리 지원정보 저장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빅데이터와 설문을 활용한 통합형 광고효과평가 지원시스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SPM 정보기기에 설치되며, 상기 SPM 정보기기 측 운영체제 및 정보기기 부속유닛과 통신하면서, 상기 SPM이 생산한 DBD를 취득한 후, 취득된 DBD를 상기 DBD 수집모듈로 전송하는 DBD 취득 에이전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빅데이터와 설문을 활용한 통합형 광고효과평가 지원시스템.
KR1020190117410A 2019-09-24 2019-09-24 빅데이터와 설문을 활용한 통합형 광고효과평가 지원시스템 KR2021003551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7410A KR20210035519A (ko) 2019-09-24 2019-09-24 빅데이터와 설문을 활용한 통합형 광고효과평가 지원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7410A KR20210035519A (ko) 2019-09-24 2019-09-24 빅데이터와 설문을 활용한 통합형 광고효과평가 지원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35519A true KR20210035519A (ko) 2021-04-01

Family

ID=754413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17410A KR20210035519A (ko) 2019-09-24 2019-09-24 빅데이터와 설문을 활용한 통합형 광고효과평가 지원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35519A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67759A (ko) 2001-02-19 2002-08-24 윤기훈 설문조사를 통한 인터넷 광고효과 측정방법
KR100741732B1 (ko) 2005-10-14 2007-07-24 이성기 인터넷상에서의 광고 및 설문 조사 방법
KR100928624B1 (ko) 2008-12-11 2009-11-26 최병섭 양방향 티브이에서의 광고 또는 설문조사를 위한 전용 채널운영 및 보상시스템과 그 방법
KR20100098942A (ko) 2009-03-02 2010-09-10 주식회사 케이티 광고에 수반된 설문조사 제공 방법 및 그 시스템
KR20110047661A (ko) 2009-10-30 2011-05-09 주식회사 조은시큐리티 티브이 광고효과 조사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67759A (ko) 2001-02-19 2002-08-24 윤기훈 설문조사를 통한 인터넷 광고효과 측정방법
KR100741732B1 (ko) 2005-10-14 2007-07-24 이성기 인터넷상에서의 광고 및 설문 조사 방법
KR100928624B1 (ko) 2008-12-11 2009-11-26 최병섭 양방향 티브이에서의 광고 또는 설문조사를 위한 전용 채널운영 및 보상시스템과 그 방법
KR20100098942A (ko) 2009-03-02 2010-09-10 주식회사 케이티 광고에 수반된 설문조사 제공 방법 및 그 시스템
KR20110047661A (ko) 2009-10-30 2011-05-09 주식회사 조은시큐리티 티브이 광고효과 조사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ansen et al. Evaluating the performance of demographic targeting using gender in sponsored search
US10902443B2 (en) Detecting differing categorical features when comparing segments
US8458160B2 (en) Social network based user-initiated review and purchase related information and advertising
US20050131757A1 (en) System for permission-based communication and exchange of information
TW200945231A (en) Method and system for displaying correlated advertisements to internet users
JP2013229061A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
WO2006099407A2 (en) A reward driven online system utilizing user-generated tags as a bridge to suggested links
TW201140479A (en) Advertisement analysis device and advertisement server
KR101602106B1 (ko) 광고 서비스 제공 시스템, 서버 및 방법
JP2013061903A (ja) クーポン提供システム、サーバ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JP2018206098A (ja) 情報収集処理システム及び広告配信システム
SG185792A1 (en) Method and server for managing advertisements
KR20110127767A (ko) 온라인 뉴스 열람률 증진을 위한 인센티브 시스템 및 그 시스템을 이용한 온라인 뉴스 열람률 증진방법.
KR101673372B1 (ko) 템플릿을 기반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네트워크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20150121679A (ko) 추천인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KR102269643B1 (ko) 블록체인을 이용한 o2o 기반의 종합 이사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
KR101114258B1 (ko) 인터넷을 이용한 트라이버타이징 방법
JP2019179353A (ja) 広告配信装置、広告配信方法および広告配信プログラム
JP2002149546A (ja) バナー広告システムおよびバナー広告の管理方法
KR20210035519A (ko) 빅데이터와 설문을 활용한 통합형 광고효과평가 지원시스템
KR20140013380A (ko)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에 기반한 광고 방법 및 시스템
KR20110058169A (ko) 포스트 단위의 맞춤형 광고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JP5744546B2 (ja) 広告管理サーバ
JP2002073688A (ja) 情報収集/提供方法及びシステム
KR100755745B1 (ko) 전자상거래를 위한 사이트간 교차판매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