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28624B1 - 양방향 티브이에서의 광고 또는 설문조사를 위한 전용 채널운영 및 보상시스템과 그 방법 - Google Patents

양방향 티브이에서의 광고 또는 설문조사를 위한 전용 채널운영 및 보상시스템과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28624B1
KR100928624B1 KR1020080125729A KR20080125729A KR100928624B1 KR 100928624 B1 KR100928624 B1 KR 100928624B1 KR 1020080125729 A KR1020080125729 A KR 1020080125729A KR 20080125729 A KR20080125729 A KR 20080125729A KR 100928624 B1 KR100928624 B1 KR 1009286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rvey
advertisement
information
interactive
dedicated chan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257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병섭
Original Assignee
최병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병섭 filed Critical 최병섭
Priority to KR10200801257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2862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286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28624B1/ko
Priority to PCT/KR2009/007373 priority patent/WO2010068044A2/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60Network structure or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 or between remote clients; Control signalling between clients,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Transmission of management data between server and client, e.g. sending from server to client commands for recording incoming content stream; Communication details between server and cli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6Analogue secrecy systems; Analogue subscription systems
    • H04N7/173Analogue secrecy systems; Analogue subscription systems with two-way working, e.g. subscriber sending a programme selection signal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or for distribution combined with broadcast
    • H04H20/38Arrangements for distribution where lower stations, e.g. receivers, interact with the broadcas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6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applications with a direct linking to broadcast information or broadcast space-time; Broadcast-related systems
    • H04H60/29Arrangements for monitoring broadcast services or broadcast-related services
    • H04H60/31Arrangements for monitoring the use made of the broadcast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6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applications with a direct linking to broadcast information or broadcast space-time; Broadcast-related systems
    • H04H60/29Arrangements for monitoring broadcast services or broadcast-related services
    • H04H60/33Arrangements for monitoring the users' behaviour or opin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6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applications with a direct linking to broadcast information or broadcast space-time; Broadcast-related systems
    • H04H60/76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ransmission systems other than for broadcast, e.g. the Internet
    • H04H60/81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ransmission systems other than for broadcast, e.g. the Internet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system itself
    • H04H60/82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ransmission systems other than for broadcast, e.g. the Internet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system itself the transmission system being the Interne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server for facilitating the content distribution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end-users or client devices, e.g. end-user or client device authentication,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server for facilitating the content distribution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end-users or client devices, e.g. end-user or client device authentication,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 H04N21/254Management at additional data server, e.g. shopping server, rights management server
    • H04N21/2543Billing, e.g. for subscription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5End-user interface for inputting end-user data, e.g. personal identification number [PIN], preference data
    • H04N21/4758End-user interface for inputting end-user data, e.g. personal identification number [PIN], preference data for providing answers, e.g. vot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8Supplemental services, e.g. displaying phone caller identification, shopping application
    • H04N21/4784Supplemental services, e.g. displaying phone caller identification, shopping application receiving rewar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60Network structure or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 or between remote clients; Control signalling between clients,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Transmission of management data between server and client, e.g. sending from server to client commands for recording incoming content stream; Communication details between server and client 
    • H04N21/65Transmission of management data between client and server
    • H04N21/658Transmission by the client directed to the server
    • H04N21/6582Data stored in the client, e.g. viewing habits, hardware capabilities, credit card numb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1Monomedia components thereof
    • H04N21/812Monomedia components thereof involving advertisement dat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Fina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Eco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ocial Psychology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 Testing, Inspecting, Measuring Of Stereoscopic Televisions And Televis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양방향 TV에서의 광고 또는 설문조사를 위한 전용 방송채널(VOD 형태의 서비스채널 포함) 운용 및 보상시스템과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광고주 또는 설문 조사자로부터 광고 또는 설문조사를 위한 콘텐츠정보 및 하나 이상의 광고 또는 설문조사 대행 약정정보를 입력받아 양방향 TV의 광고/설문 전용 채널로 송출하거나 송출된 콘텐츠 정보에 대한 광고 시청 또는 설문조사 응답 결과를 수집하는 운용자 서버; 광고주 또는 설문조사자가 운용자 서버에 접속하여 광고 또는 설문조사에 필요한 약정정보, 광고/설문 콘텐츠 정보, 광고주/설문조사자 회원 정보를 입력하는 광고주 또는 설문 조사자 단말기; 시청자 및 설문응답자가 양방향 TV의 광고/설문 전용채널에 접속하여 시청자 및 설문응답자의 회원정보를 입력하고, 광고/설문 콘텐츠 정보를 수신하여 시청 또는 응답 후 그 결과를 상기 운용자 서버에 전달하는 시청자 또는 설문 응답자 단말기;를 포함하는 양방향 TV에서의 광고 또는 설문조사를 위한 전용 채널 운영 및 보상시스템을 제공하여, 세분화된 분류별 타겟에 의한 광고 또는 설문조사, 및 그 결과 수집이 가능하도록 하여 신속한 모니터링이 가능하고, 효과측정이 매우 용이하게 한다.
양방향 TV, 전용채널, 광고, 설문조사, 시청, 설문응답

Description

양방향 티브이에서의 광고 또는 설문조사를 위한 전용 채널 운영 및 보상시스템과 그 방법{Dedicated channel operating and compensating method and system for advertisement or survey of interactive TV}
본 발명은 양방향 TV에서의 광고 또는 설문조사를 위한 전용 채널 운용 및 보상시스템과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인터넷 프로토콜 TV(IPTV), 모바일용 인터넷 프로토콜 TV(M-IPTV), 디지털 케이블 TV(D-CATV) 등의 양방향 TV에서의 광고나 홍보 및 설문조사용 전용 채널(VOD 형태의 서비스채널 포함)을 효율적으로 운용하고 해당 광고의 시청자 또는 설문조사에 응하는 시청자에 대하여 보상할 수 있도록 한 양방향 TV에서의 광고 또는 설문조사를 위한 전용 채널 운용 및 보상시스템과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TV를 통해 송출되는 광고방송들은 광고에 따라 시청자들로 하여금 구매의욕을 증진시키는 등 시청자들에게 깊은 인상을 심어주는 등 광고 호의도가 매우 높아서 기업 홍보나 제품 판매 증진에 많은 도움을 주게 된다.
이와 같은 광고효과로 인해 광고주들은 공중파 방송국 또는 유선 방송국에 광고송출을 의뢰하기 때문에 TV광고는 많은 비용을 지불하여야만 가능하게 되어 있 으나 특정 시간 또는 특정 시간대 외에는 광고 집중도가 낮아 효율적이지 못하다.
따라서 광고주들에게는 텔레비전을 통하여 저렴한 비용으로 시청자들의 집중도가 높은 상태에서 광고방송을 송출함으로써 더욱 효율적인 기업 홍보나 제품 광고를 실시할 수 있는 새로운 방식의 광고수단이 요구되고 있다.
종래의 TV를 통한 광고 방식은 단순히 광고주의 광고요청에 따라 제작된 광고 콘텐츠를 편성된 순서대로 일방적으로 송출하여 광고를 시행하게 되므로, 광고결과에 대한 피드백이 없어 시청자에 의한 실질적인 광고효과를 측정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종래의 여론 조사나 설문 조사는 직접 작성된 설문지를 이용한 조사, 또는 전화 등의 매체를 통한 조사 등을 통한 직접 조사방식, 또는 전산화된 설문지 파일을 인터넷 상에 업로드한 후 그 파일을 이용하여 조사에 응답할 수 있도록 하는 간접 조사방식 등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여론 조사 또는 설문 조사방식은 모집단에 대한 대표성 확보나 할당 표본의 오차 등의 발생이 많으며, 낮은 회수율, 조사된 자료를 수집하거나 집계하는 절차가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인터넷 프로토콜 기반의 양방향 TV에서 할당된 가입자의 IP 또는 셋톱박스의 IP주소(또는 기기일련번호의 주소) 및 그 특성을 이용하여 양방향 TV에서의 광고 또는 설문 조사 전용 채널(VOD 형태의 서비스채널 포함)을 구축 및 운영하여 광고 시청자 또는 설문 응답자에게 시청시간 또는 설문 응답에 대한 직접적인 보상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한 양방향 TV에서의 광고 또는 설문조사를 위한 전용 채널 운영 및 보상시스템과 그 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회원 정보를 성별, 연령별, 거주 지역별, 직업별, 학력별, 구매력 등으로 세분화하여 등록하고, 세분화된 분류별 타겟에 의한 광고 또는 설문조사, 및 그 결과 수집이 가능하도록 하여 신속한 모니터링이 가능하고, 효과측정이 매우 용이하게 하는 양방향 TV에서의 광고 또는 설문조사를 위한 전용 채널 운영 및 보상시스템과 그 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광고 또는 설문조사에 대한 응답결과 등 신속한 효과 측정을 통해 광고 또는 설문의 효과를 높이고 해당 방송가입자를 확대 및 시청자/설문 응답자에 대한 금전적 보상을 할 수 있는 양방향 TV에서의 광고 또는 설문조사를 위한 전용 채널 운영 및 보상시스템과 그 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르면, 광고주 또는 설문 조사자의 사용자 TV 또는 인터넷 단말기로부터 광고 또는 설문조사를 위한 다수의 콘텐츠정보 및 하나 이상의 광고 또는 설문조사 대행 약정정보를 양방향 TV 망이나 인터넷망을 통해 입력받아 데이터베이스에 등록 및 저장하며, 상기 콘텐츠정보를 양방향 TV의 광고 또는 설문조사 전용 채널(VOD 형태의 서비스채널 포함)로 송출하거나 또는 상기 송출된 콘텐츠 정보에 대한 광고의 시청 또는 설문조사의 응답 결과를 양방향 TV망을 통해 시청자 또는 설문 응답자 단말기로부터 수집하여 데이터베이스에 등록 및 저장하도록 구성된 운용자 서버; 양방향 TV망 또는 인터넷망을 통해 상기 운용자 서버에 접속 가능하며, 광고 또는 설문조사에 필요한 하나 이상의 광고 또는 설문조사 대행 약정정보, 광고 영상 또는 설문 내용이 담긴 광고/설문 콘텐츠정보, 광고주 또는 설문 조사자의 회원 정보를 입력받아 상기 운용자 서버에 전달하거나, 또는 운용자 서버로부터 수신되는 광고 또는 설문조사의 대행 및 온라인 등록을 안내하는 안내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광고주 또는 설문 조사자의 TV 또는 인터넷 단말기; 양방향 TV망 또는 인터넷망을 통해 상기 운용자 서버에 접속 가능하며, 광고 시청자 또는 설문 응답자의 회원 정보, 광고 시청 또는 설문 응답 완료신호를 입력받아 운용자 서버에 전달하거나, 또는 양방향 TV망의 전용 채널을 통해 수신되는 광고/설문 콘텐츠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시청자 또는 설문 응답자 단말기; 광고주, 설문 조사자, 광고 시청자, 설문 응답자를 구분하기 위한 회원정보를 저장하는 회원 DB, 광고 또는 설문조사를 위한 콘텐츠 정보를 각각 구분하여 저장하는 광고 DB 및 설문 조사 DB, 광고의 시청 또는 설문 응답 결과에 관한 실적 정보 및 그 통계정보를 각각 구분하여 저장하는 실적 DB 및 통계 DB를 포함하는 데이터베이스부;를 포함하는, 양방향 TV에서의 광고 또는 설문조사를 위한 전용 채널 운영 및 보상시스템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에 따르면, 광고주 또는 설문 조사자의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광고 또는 설문조사를 위한 다수의 콘텐츠들을 양방향 TV 망이나 인터넷망을 통해 수신하여 데이터베이스에 등록 및 저장하며, 상기 콘텐츠들을 양방향 TV의 광고/설문 전용 채널(VOD 형태의 서비스채널 포함)로 송출하거나 또는 상기 송출된 콘텐츠에 대한 광고의 시청 또는 설문조사의 응답 결과를 수집하여 데이터베이스에 등록 및 저장하도록 구성된 운용자 서버;를 포함하는 양방향 TV 네트워크 시스템 또는 온라인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상기 운용자 서버에 의해 이루어지는 양방향 TV에서의 광고 또는 설문조사를 위한 전용 채널 운영 및 보상방법에 있어서, (a) 양방향 TV망 또는 인터넷망을 통해 접속 요청이 있는 광고주 또는 설문 조사자 정보를 입력받아 광고주 또는 설문 조사자의 회원정보를 확인하고, 회원 가입된 광고주 또는 설문 조사자의 사용자 단말기에 광고 또는 설문조사의 대행 및 온라인 등록을 위한 안내화면을 제시하는 단계; (b) 상기 광고주 또는 설문 조사자의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지정되는 광고 또는 설문조사에 필요한 하나 이상의 광고 또는 설문조사 대행 약정정보, 광고 영상 또는 설문 내용이 담긴 광고/설문 콘텐츠 정보를 입력받는 단계; (c) 상기 광고주 또는 설문 조사자의 사용자 단말기에 광고 또는 설문조사 대행에 필요한 약정비용의 결제를 안내하고, 비용 결제절차를 통해 결제가 완료된 광고/설문 콘텐츠 정보, 광고 또는 설문조사에 필요한 하나 이상의 광고 또는 설문조사 대행 약정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등록 및 저장하며, 상기 광고/설문 콘텐츠 정보를 양방향 TV망의 전용 채널로 송출하는 단계; (d) 상기 광고/설문 콘텐츠 정보가 송출되는 양방향 TV망의 전용 채널을 통해 접속 요청이 있는 시청자 또는 설문 응답자 정보를 입력받아 시청자 또는 설문 응답자의 회원정보를 확인하고, 회원 가입된 시청자 또는 설문 응답자로부터 입력 또는 확인된 광고 시청 또는 설문 응답 정보 및 종료확인신호를 수신 및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양방향 TV에서의 광고 또는 설문조사를 위한 전용 채널 운영 및 보상방법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사전 세분화된 등록회원들을 대상으로 분류별 타겟(segment별 Promotion) 광고 또는 설문조사 등이 가능하고, 시청자가 광고 종료 후 시청여부 확인을 위해서는 광고를 지속적으로 시청하고 있어야 하므로 광고 집중도가 높아 매우 효과적이며, 기존의 일방향의 무작위 광고 대비 시청대상자 및 총 시청자수, 1인 1일 반복시청 횟수, 총 노출기간 지정, 시청대상자 및 대상자 수에 따른 소요예산 산출 등 저비용의 효율적인 광고 또는 설문조사가 가능하며, 광고와 구매연계, 광고 또는 설문조사의 결과 측정이 매우 용이하여 광고주 또는 설문 조사자에게는 최적의 광고 시장 및 설문을 위한 단일 창구(Single Window)로 활용할 수 있게 하는 이점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광고를 시청하거나 또는 설문조사에 응하게 되는 경우 수익을 올릴 수 있으므로 광고 시청자 또는 설문 응답자에게 매우 유익하고 적절한 보상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되는 이점과 금전적 보상을 통한 시청자의 구매력 향상 및 구매연계 등 재화의 선순환이라는 사회적 가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광고 등의 시청자 또는 설문 조사 응답자에게 신속하고도 직접적인 보상이 적절하게 제공되므로, 향후 이러한 수익을 통한 시청자(가입자) 증가를 유도할 수 있으며, 콘텐츠가 부족한 양방향 TV 플랫폼 운용자에게는 조기에 가입자 수를 확보할 수 있게 되는 이점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서버 운영자와 광고주/설문조사자와 시청자/설문응답자 간의 연계망을 개략적으로 예시한 상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양방향 TV에서의 광고 또는 설문조사를 위한 전용 채널(VOD 형태의 서비스채널 포함하며, 이하의 설명에서는 전용채널이라 통칭함) 운영 및 보상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예시한 블록도로서, 본 발명에 의한 시스템은 운영자에 의해 관리되며 시스템 전체를 구성하는 운용자 서버(100)와, 양방향 TV 또는 인터넷망을 통해 상기 운용자 서버(100)에 연결되는 광고주/설문 조사자 단말기(10)와, 양방향 TV망을 통해 상기 운용자 서버(100)와 연결되는 시청자/설문 응답자 단말기(20)와, 상기 운용자 서버에 연결되는 데이터베이스부(200)로 구성된다.
광고주 또는 설문 조사자 단말기(10)는, 양방향 TV망 또는 인터넷망을 통해 상기 운용자 서버(100)에 접속 가능한 단말기로서, 광고 또는 설문조사의 대행 및 온라인 등록을 위한 안내화면을 상기 운용자 서버(100)로부터 수신하여 디스플레이하며, 이 화면을 통해 광고 또는 설문조사에 필요한 하나 이상의 광고 또는 설문조사 대행 약정정보, 광고 영상 또는 설문 내용이 담긴 광고/설문 콘텐츠 정보, 광고주 또는 설문 조사자의 회원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상기 광고주 또는 설문 조사자 단말기에 제공되는 안내화면에는 예를 들어, 광고/설문 선택 및 광고/설문 분야, 광고 송출에 따른 초당 시청단가, 설문 조사에 필요한 선택형 및 기술형 설문 문항별 응답 단가, 총 광고 및 설문 건수, 광고시청 시간 및 설문문항 수, 광고 및 설문 종료 잔여일수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웹페이지가 제공된다.
또한 상기 광고주 또는 설문 조사자 단말기(10)에 의해 입력되는 광고 또는 설문조사 대행 약정정보는 광고 또는 설문 조사에 소요되는 총 광고 또는 설문조사 대행수수료 정보, 광고 시청 또는 설문 응답 대상자 정보, 광고 또는 설문조사에 대한 광고 시청 또는 설문 응답 회수당 단가, 광고 시청자 또는 설문조사 응답자의 수, 1일 동안 반복가능한 시청 또는 응답 허용 횟수, 광고 시청 또는 설문 응답결과에 대한 통보 방법 중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광고 시청 또는 설문 응답 대상자 정보는 성별, 연령, 거주 지역별, 학력, 구매력 등 조건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광고/설문 콘텐츠 정보는 시청자가 광고시청 중 광고주 또는 설문조사자가 지정하는 웹사이트로의 직접 이동이 가능하도록 해당 웹사이트에 대한 링크(Link) 정보가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와 같이 광고주 또는 설문 조사자가 원하는 웹사이트로의 링크에 따른 추가비용은 약정비용을 결제시에 함께 결제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시청자 또는 설문 응답자 단말기(20)는 양방향 TV의 전용채널을 통해 상기 운용자 서버에 접속 가능한 단말기로서, 광고시청자 또는 설문 응답자의 회원정보를 상기 운용자 서버(100)에 전달하고, 양방향 TV망의 전용 채널로부터 송출되는 광고/설문 콘텐츠 정보를 수신하여 시청/설문응답하며, 시청/설문응답 결과를 상기 운용자 서버(100)에 전달한다. 이때 상기 시청자 또는 설문 응답자 단말기(20)에 의해 입력되는 시청자 또는 설문 응답자의 회원정보는 광고 또는 설문조사를 위한 기본 항목과 선택 항목으로 구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기본 항목 중에는 성별, 나이, 거주 지역, 직업 정보 등이 포함될 수 있으며, 선택 항목 중에는 상품 구매력이나 학력, 주거환경 정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시청자 또는 설문 응답자 단말기(20)에 의해 입력되는 시청자 또는 설문 응답자의 회원정보는 광고 시청에 따른 포인트 지급을 위한 계좌정보, 포인트의 가족합산여부, 취득 포인트의 지급방법과 시기 정보 등도 함께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운용자 서버(100)는 광고주 또는 설문 조사자의 사용자 단말기(10)로부터 광고 또는 설문조사를 위한 다수의 콘텐츠 정보 및 하나 이상의 광고 또는 설문조사 대행 약정정보를 양방향 TV 망이나 인터넷망을 통해 입력받아 데이터베이스에 등록 및 저장하며, 상기 콘텐츠 정보를 양방향 TV 또는 디지털 CATV의 전용 채널로 송출하거나 또는 상기 송출된 콘텐츠 정보에 대한 광고의 시청 또는 설문조사의 응답 결과를 양방향 TV망을 통해 시청자 또는 설문 응답자 단말기(20)로부터 수집하여 데이터베이스에 등록 및 저장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운용자 서버(100)는 광고주 또는 설문조사자 등에 의해 처리되는 의뢰인 업무 절차를 지원하는 의뢰인 지원모듈(110)과, 시청자 또는 설문 응답자 등에 의해 이루어지는 시청자 또는 응답자 업무 절차를 지원하는 시청자 지원모듈(120)을 포함한다.
의뢰인 지원모듈(110)은 광고주 또는 설문 조사자의 사용자 단말기(10)로부터 입력되는 광고 또는 설문조사를 위한 다수의 콘텐츠 정보, 하나 이상의 광고 또는 설문조사 대행 약정정보, 광고주 또는 설문조사자의 회원정보를 양방향 TV 망이 나 인터넷망을 통해 입력받아 데이터베이스에 등록 및 저장한다.
시청자 지원모듈(120)은 상기 콘텐츠정보를 양방향 TV의 전용 채널로 송출하거나 또는 상기 송출된 콘텐츠 정보에 대한 광고의 시청 또는 설문조사의 응답 결과 정보, 시청자 또는 설문 응답자의 회원정보를 양방향 TV망을 통해 시청자 또는 설문 응답자 단말기(20)로부터 수집하여 데이터베이스에 등록 및 저장한다.
상기 의뢰인 지원모듈(110)은 다시 광고/설문조사 관리모듈(111)과 비용결제 서비스모듈(112)로 세분화된다.
광고/설문조사 관리모듈(111)은 양방향 TV망 또는 인터넷망을 통해 상기 광고주 또는 설문조사자 단말기(10)에 광고 또는 설문조사의 대행 및 온라인 등록 안내를 위한 안내화면을 제공한다. 아울러 이 광고/설문조사 관리모듈(111)은 상기 광고주 또는 설문조사 단말기(10)로부터 전송되는 광고 또는 설문조사에 필요한 하나 이상의 광고 또는 설문조사 대행 약정정보, 광고 영상 또는 설문 내용이 담긴 광고/설문 콘텐츠 정보, 광고주 또는 설문 조사자의 회원 정보를 수집하여 데이터베이스에 등록하고 관리한다.
비용결제 서비스모듈(112)은 광고 또는 설문조사의 대행 및 온라인 등록을 위한 비용의 산출 및 비용 결제를 위한 절차를 안내하고 광고 또는 설문조사의 온라인 등록 및 대행에 소요되는 비용, 즉 대행 수수료 등의 결제 처리를 실시한다. 이 비용 및 결제 서비스모듈(112)에서는 광고 시청 또는 설문응답 대상자 수, 광고 송출 또는 설문조사에 필요한 약정기일의 경과여부를 확인하게 되며, 그 확인 결과, 약정기일이 종료되었으나 약정된 광고 시청 또는 설문응답 대상자 수를 채우지 못하였을 경우, 채우지 못한 광고 시청 또는 설문응답 대상자 수에 대응하는 잔여 비용을 산출하여 광고주 또는 설문 조사자의 등록 계좌로의 자동이체를 실행한다.
상기 시청자 지원모듈(120)은 다시 포인트 및 보상 관리모듈(121)과 광고시청/설문응답 관리모듈(122)로 세분화된다.
포인트 및 보상 관리모듈(121)은 시청자 또는 설문 응답자 단말기(20)로부터 광고 시청 또는 설문 응답 정보를 수집하여 데이터베이스에 등록 및 저장하며, 아울러 광고 시청 종료 또는 설문 응답 종료를 확인하기 위한 종료확인신호가 수신되는지를 확인한다. 이러한 종료확인신호가 수신되는지가 확인되면 해당 광고의 시청 또는 설문 응답 대가에 대한 단위 포인트(예를 들면 1회의 광고시청시 부여되는 포인트, 또는 1회의 설문조사에 응답한 경우 부여되는 포인트 등)를 광고주 또는 설문 조사자에 의해 결제된 약정비용으로부터 감산하여 해당 광고의 시청자 또는 설문 응답자의 포인트 계좌에 누적시키는 동작을 처리한다.
또한 포인트 및 보상 관리모듈(121)에서는 시청자 또는 설문 응답자에 의해 지정된 기간이 경과되는지의 여부를 체크한다. 그 체크 결과 지정 기간이 경과되는 경우에는 시청자 또는 설문 응답자의 누적 포인트에 해당하는 보상금을 시청자 또는 설문 응답자의 등록 계좌로 자동 이체한다.
또한 포인트 및 보상 관리모듈(121)에서는 포인트 계좌에 일정치 이상의 누적 포인트를 확보한 시청자 또는 설문 응답자에 의한 송금요청이 있는지의 여부를 체크한다. 그 체크 결과 송금 요청이 있는 경우에는 시청자 또는 설문 응답자가 송금 요청한 누적 포인트에 해당하는 보상금을 시청자 또는 설문 조사자의 등록 계좌 로 자동 이체한다.
한편, 포인트 및 보상 관리모듈(121)에서는 상기 각 경우에 실행하는 자동 이체 동작과 아울러 해당 시청자 또는 설문 응답자의 누적 포인트로부터 이체 보상금에 대응하는 포인트를 감산하는 동작도 함께 수행한다.
광고시청/설문응답 관리모듈(122)은 광고 또는 설문조사 기간 동안 시청자 또는 설문 응답자 단말기(20)로부터 수신되는 해당 광고의 시청 또는 설문 응답 결과 정보, 시청자 또는 설문 응답자의 회원정보를 수집하여 데이터베이스에 등록하고 관리한다.
데이터베이스부(200)는 광고주, 설문 조사자, 광고 시청자, 설문 응답자를 구분하기 위한 회원정보를 저장하는 회원 DB(210), 광고 또는 설문조사를 위한 콘텐츠 정보를 각각 구분하여 저장하는 광고 DB(220) 및 설문 조사 DB(230), 광고의 시청 또는 설문 응답 결과에 관한 실적 정보 및 그 통계정보를 각각 구분하여 저장하는 실적 DB(240) 및 통계 DB(250)를 포함한다.
도 3은 도 2의 시스템에서 운용자 서버에 의해 처리되는 업무 흐름 예시도이고, 도 4는 운용자 서버가 광고주/설문조사자 단말기를 대상으로 처리하는 상세 동작 흐름도이고, 도 5는 운용자 서버가 시청자/설문응답자 단말기를 대상으로 처리하는 상세 동작 흐름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양방향 TV에서의 광고 또는 설문조사를 위한 전용 채널 운영 및 보상절차는 크게 두 절차로 세분화할 수 있으며, 광고주/설문조사자 단말기(10)와 운용자 서버(100) 사이에서 이루어지는 광고/설문조사 콘텐츠정보의 등록절차(도 3의 좌측 흐름도 및 도 4 참조)와, 시청자/설문응답자 단말기(20)와 운용자 서버(100) 사이에서 이루어지는 광고시청/설문응답정보의 수집절차(도 3의 우측 흐름도 및 도 5 참조)로 구분된다.
먼저, 광고주/설문조사자 단말기(10)와 운용자 서버(100) 사이에서 이루어지는 광고/설문조사 콘텐츠정보의 등록절차는 도 3 및 도 4에 예시된 바와 같이, 광고주 또는 설문 조사자의 회원 인증을 통한 광고 또는 설문조사대행 필요정보의 등록 허용단계(S101-S111)와, 비용 결제를 통한 광고송출/설문조사의 시작 허용단계(S113-S123)로 이루어진다.
다음으로 시청자/설문응답자 단말기(20)와 운용자 서버(100) 사이에서 이루어지는 광고시청/설문응답정보의 수집절차는 도 3 및 도 5에 예시된 바와 같이, 시청자 또는 설문 응답자의 회원 인증을 통한 광고시청/설문응답 허용단계(S201-S213)와, 시청자 또는 설문 응답자로부터의 종료확인신호 수신여부에 따른 광고시청/설문응답 결과 통보 및 포인트 정산단계(S214-S221)로 이루어진다.
도 3 및 도 4에 예시된 바와 같이, 광고주/설문조사자 단말기(10)에 대하여 운용자 서버(100)가 실행하는 광고주 또는 설문 조사자의 회원 인증을 통한 광고 또는 설문조사대행 필요정보의 등록 허용단계(S101-S111)는, 양방향 TV망 또는 인터넷망을 통해 광고주 또는 설문 조사자의 접속 요청이 있는지를 확인하는 단계(S101)와, 상기 접속 요청된 광고주 또는 설문 조사자의 회원정보를 확인하여 로그인을 허용하는 단계(S103,S105)와, 로그인된 광고주 또는 설문 조사자에 의한 광고영상 또는 설문지 등록(예를 들면, 광고주 또는 설문조사자가 지정하는 웹사이트로의 직접 이동이 가능하도록 해당 웹사이트에 대한 링크(Link)정보가 포함된 콘텐츠)을 허용하는 단계(S107)와, 광고주 또는 설문 조사자의 사용자 단말기에 광고 또는 설문조사의 대행 및 온라인 등록을 위한, 하나 이상의 조건을 검색하거나 선택할 수 있도록 안내화면을 제시하는 단계(S109)와, 광고주 또는 설문 조사자에 의해 검색 및 선택되는 광고 또는 설문 조사에 필요한 약정 정보를 입력받는 단계(S111)를 포함한다.
이때 안내화면에는 총 광고비, 광고별 초당 시청단가, 대상인원, 성별, 연령, 거주지, 직업, 1일 반복시청 가능한 횟수, 총 게시일 수 등의 광고 또는 설문조사 대행 약정정보가 포함되며, 이 안내화면에는 상기 총 광고비 및 광고대행 수수료를 광고 개시시간과 단가에 의해 자동 산출하는 기능이 부가된다. 여기서 상기 광고주 또는 설문 조사자 단말기로부터 입력받는 정보는 광고 또는 설문 조사에 소요되는 총 광고 또는 설문조사 대행수수료, 광고 시청 또는 설문 응답 대상자 정보, 광고 또는 설문조사에 대한 광고 시청 또는 설문 응답 회수당 단가, 광고 시청자 또는 설문조사 응답자의 수, 1일 동안 반복 가능한 시청 또는 응답 허용 횟수, 광고 시청 또는 설문 응답결과에 대한 통보 방법 중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상기 자동 산출 기능에 의해 이루어지는 총 광고비 및 광고대행 수수료에는 상기 웹사이트로의 링크에 따른 추가비용도 자동으로 추가되도록 프로그램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이들 광고주 또는 설문조사자 단말기를 통해 광고 시청 또는 설문 응답 대상자 정보를 선택적으로 선별할 수 있게 되는데, 이들 선별 가능한 정보는 성별, 연령별, 지역별, 학력별, 구매력 별 조건정보이다.
광고주/설문조사자 단말기(10)에 대응하여 운용자 서버(100)가 실행하는 비용 결제를 통한 광고송출/설문조사의 시작 허용단계(S113-S123)는, 광고 또는 설문조사 대행에 필요한 비용 결제 요청이 있는지를 확인하는 단계(S113)와, 광고주 또는 설문조사자로부터 비용 결제 처리절차, 비용 안내절차를 통해 결제가 완료되는지를 확인하는 단계(S115-S117)와, 결제 완료된 광고주 또는 설문 조사자에게 결제여부를 통보하고, 광고/설문조사 콘텐츠 정보의 등록받아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함과 아울러 광고주 또는 설문 조사자의 요청에 따라 대상인원, 광고비 산정금액, 미디어 플레이 구동 등을 통해 상기 광고/설문조사 콘텐츠 정보를 양방향 TV망의 전용 채널을 통해 시험 재생하는 단계(S119)와, 상기 광고/설문 콘텐츠 정보를 양방향 TV망의 전용 채널을 통해 송출함과 아울러 그 콘텐츠 송출을 알리는 문자 메시지를 광고주 또는 설문 조사자의 휴대폰으로 통보하는 단계(S121)와, 추후에 시청자 또는 설문 응답자 단말기로부터 광고 시청중에 입력되는 웹사이트 이동정보 또는 설문조사 도중에 입력되는 응답 정보, 또는 광고 시청 또는 응답 완료시 입력되는 종료신호를 수신하여 광고비용 또는 설문조사 비용의 잔액을 정산하거나 또는 그 결과를 광고주 또는 설문조사자 단말기에 통보하고 광고시청 또는 설문 응답을 종료하는 단계(S123)를 포함한다.
도 3 및 도 5에 예시된 바와 같이, 시청자/설문응답자 단말기(20)에 대하여 운용자 서버(100)가 실행하는 시청자 또는 설문 응답자의 회원 인증을 통한 광고시청/설문응답 허용단계(S201-S213)는, 양방향 TV망의 전용 채널을 통해 시청자 또는 설문 응답자의 접속 요청이 있는지를 확인하는 단계(S201)와, 상기 접속 요청이 있는 시청자 또는 설문 응답자의 회원정보를 확인하여 로그인을 허용하는 단계(S203-S205)와, 로그인된 시청자 또는 설문 응답자의 포인트 관리를 위한 웹페이지로의 이동 요청에 따른 페이지 이동 및 포인트 관리를 허용하는 단계(S207,S209)와, 로그인된 시청자 또는 설문 응답자에 의한 광고나 설문조사의 선택여부를 확인하는 단계(S211), 시청자 또는 설문 응답자가 선호하는 광고 영상 또는 설문 및 시청 조건 등을 검색하도록 허용하는 단계(S213)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회원가입단계(S204)에서 입력되는 회원정보로서는, 기본 항목과 선택 항목으로 구별되어 입력가능할 것이며, 기본 항목의 경우는 성별, 나이, 거주 지역, 직업 정보를 포함하고, 선택 항목은 상품 구매력이나 학력, 주거환경 정보를 포함할 수 있고, 게다가 결제 또는 광고 시청에 따른 포인트 지급을 위한 계좌정보, 포인트의 지급방법과 시기, 가족 포인트 합산 여부 등도 포함가능할 것이다.
시청자 또는 설문 응답자로부터의 종료확인신호 수신여부에 따른 광고시청/설문응답 결과 통보 및 포인트 정산단계(S214-S221)는, 광고 영상에 포함된 웹사이트로의 링크 여부가 선택되는지를 확인하여 해당 웹사이트로의 이동을 지원하는 단계(S214)와, 시청자 또는 설문 응답자에 의해 입력되는 정보를 수집하면서, 광고시청 또는 광고 또는 설문 조사에 대한 종료신호의 입력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S215-S217)와, 시청자 또는 설문 응답자로부터 광고시청 또는 설문 응답 정보 및 종료확인신호가 수집되면, 광고/설문조사를 종료하고 광고 시청 또는 설문 응답에 따른 시청자 또는 설문 응답자의 포인트의 누적 및 광고주 또는 설문 조사자의 결제 잔 액을 정산하는 단계(S219), 광고시청 반복요청 또는 설문응답 반복 요청 여부를 확인하여 선호 광고 또는 설문 선택 및 검색단계로 복귀하거나 모든 동작을 종료하는 단계(S221)를 포함한다.
상기 포인트 정산단계에서 운용자 서버(100)는 회원 가입된 시청자 또는 설문 응답자로부터 광고 시청 또는 설문 응답 정보 및 종료확인신호가 수신되면, 해당 광고의 시청 또는 설문 응답 대가에 대한 포인트 정산 결과, 즉 금회의 획득 포인트와 누적 포인트를 각각 구분하여 표시하면서, 이 금회의 획득 포인트를 광고주 또는 설문 조사자에 의해 결제된 약정비용으로부터 감산하여 해당 광고의 시청자 또는 설문 응답자의 포인트 계좌에 누적시킨다.
또한 상기 포인트 정산단계에서 운용자 서버(100)는 광고 시청시간 또는 설문 응답시간이 종료되어도 종료확인 신호가 들어오지 않는 경우 회원 가입된 시청자 또는 설문 응답자가 종료확인버튼을 누르도록 하는 안내문을 TV 화면에 출력한다.
또한 상기 포인트 정산단계에서 운용자 서버(100)는 시청자 또는 설문 응답자에 의해 지정된 기간이 경과되는지, 또는 포인트 계좌에 일정치 이상의 누적 포인트를 확보한 시청자 또는 설문 응답자에 의한 송금요청이 있는지의 여부를 체크하여, 지정 기간이 경과되는 경우 시청자 또는 설문 응답자의 누적 포인트에 해당하는 보상금을 시청자 또는 설문 응답자의 등록 계좌로 자동이체하게 되며, 해당 시청자 또는 설문 응답자의 누적 포인트로부터 이체 보상금에 대응하는 포인트를 감산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포인트 정산단계에서 운용자 서버(100)는 광고 시청 또는 설문응답 대상자 수, 광고 송출 또는 설문조사에 필요한 약정기일의 경과여부 확인 결과, 약정기일이 종료되었으나 약정된 광고 시청 또는 설문응답 대상자 수를 채우지 못하였을 경우, 채우지 못한 광고 시청 또는 설문응답 대상자 수에 대응하는 잔여 비용을 산출하여 광고주 또는 설문 조사자의 등록 계좌로의 자동 반환이 이루어지도록 자동이체를 실행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동작 및 그에 의한 작용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광고주/설문 조사자에 의한 광고/설문조사 등록방법은 두가지로 구분될 수 있으며, 그 첫 번째는 광고주 또는 설문조사자가오프라인을 통해 직접 운영자와 연락하여 총 방송시간, 광고비, 광고대행 수수료(시청자에게 지급되는 광고비용의 일정비율), 초당 광고 시청단가, 광고대상자(인원, 연령, 성별, 거주 지역, 직업 등 세분화된 시청자 분류에 의한 대상자) 선택, 1일 반복 횟수, 및 총 노출기간(광고의 경우), 광고 또는 설문결과를 통보받는 방법 등을 송부하여 광고방송을 오프라인으로 의뢰하는 방법이다.
두번째는 광고주 또는 설문 조사자가 단말기를 통해 온라인으로 직접 운용자 서버(100)에 회원가입 후 광고비 및 광고 대상자 등을 검색하고 광고물을 등록하는 방법이 있다.
본 발명은 온라인 등록 방법에 관한 것으로, 먼저, 광고주 또는 설문조사자는 단말기(10)를 통해 인터넷 또는 양방향 TV의 전용 채널을 선택하여 운용자 서버(100)에 접속한 후 광고주 또는 설문 조사자에 의한 회원가입을 실시한 후 그 회전 정보를 바탕으로 로그인을 실시한다.
이러한 로그인 후에는 안내화면을 통해 광고 또는 설문조사 여부를 선택한 후 운용자 서버를 통해 광고 또는 설문조사하고자 하는 광고 미디어 또는 설문지의 총 방송시간 산정(자동 산출기능 제공 - 설문의 경우 설문문항에 따라 설문 응답료 산정), 광고비용(단가, 인원, 1일 반복 시청 횟수, 총 방송기간 등을 입력하면 자동계산), 광고대행 수수료(시청자에게 지급되는 광고비용의 일정비율), 초당 광고단가, 광고대상자 선택(인원, 연령, 성별, 거주 지역, 직업 등 세분화된 시청자 분류에 의한 대상자), 1일 반복 시청 횟수 및 총 노출기간(광고의 경우), 관련 광고홈페이지로의 Link여부, 광고 또는 설문결과를 통보받는 기간(일 단위 주 단위 등), 통보방법(전화, FAX, e-메일, SMS 등), 시청료를 송금 받을 계좌번호 등을 선택하고 지정한 한 후 이상 유무를 확인한다.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상기 광고비용을 산출하는 방법을 예시하면 아래와 같다.
먼저, 광고 분야의 경우 광고주가 지출해야할 각 비용의 산출예시는 다음과 같다.
광고할 품목이 여성용 화장품, 광고 미디어 재생시간은 15초, 광고 시청료는 30원/15초, 광고대상자는 100,000명(서울 강남구의 20세~60세 여성), 1일 반복 시청가능 횟수는 2회, 총 광고 송출기간은 7일로 등록된 경우 광고비용은 30원×100,000명×2회×7일= 42,000,000원이며, 광고대행 수수료가 10%로 책정된 경우 4,200,000원으로 산정될 것이다. 따라서 광고주가 지불해야 할 총 광고비용은 42,000,000원+4,200,000원 = 46,200,000원으로 최종 산출된다.
다음으로 시청자에게 주어질 광고 시청료의 산출예시는 다음과 같다.
광고 시청료가 30원/15초인 경우 시간당 광고 시청료(연속시청 가정)는 30원×4회/분당×60분/1시간 = 7,200원, 1일(8시간) 광고 시청료는 7,200×8시간 = 57,600원, 1개월(30일) 광고 시청료는 57,600원×30일 = 1,728,000원으로 산출될 것이다.
따라서 광고주 또는 설문 조사자는 광고용 미디어 또는 설문지를 등록한 후 광고비 및 광고대행 수수료를 송금한 후 결재여부를 운영자서버에 승인요청하고, 결재가 완료되면 운영자서버로부터 결재가 완료되었음을 SMS로 통보받게 된다.
이와 같이 결재가 완료되면 광고주 또는 설문 조사자는 운용자 서버(100)에 등록된 광고 미디어 또는 설문지에 대한 시험 재생을 요청하고, 따라서 운용자 서버(100)에서는 상기 등록된 광고미디어 또는 설문지를 양방향 TV의 전용채널을 통해 시험 송출하게 되고, 따라서 광고주 또는 설문 조사자는 양방향 TV의 전용채널을 통해 디스플레이되는 신호를 시청하면서 정상적인 구동여부를 시뮬레이션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은 시뮬레이션 실행결과 이상이 없는 경우 광고주 또는 설문조사자는 운용자 서버(100)에 광고 또는 설문조사를 시작할 수 있도록 하고, 따라서 운영자서버는 광고 또는 설문조사를 개시하면서, 그와 아울러 광고 또는 설문 조사가 시작되었음을 알리는 메시지를 광고주 또는 설문조사자에게 발송한다.
상기와 같은 광고 또는 설문 조사를 실시하는 중에, 시청자로부터 광고 또는 설문조사기 조기에 종료되거나, 방송 송출 기간이 만료되면 광고주 또는 설문 조사자는 운용자 서버(100)로부터 광고 또는 설문응답 결과를 통보받는다. 이러한 결과 통보내용에는 광고시청 인원, 연령, 성별, 거주 지역, 직업 등 초기 광고대상자 설정조건에 부합여부 및 광고결과가 포함되어 진다. 이때 방송기간이 종료되었으나 지정한 시청자 수를 채우지 못하여 광고료가 남아 있을 경우에는 광고주는 방송 송출 기간을 연장하거가 광고주가 원할 경우 운영자는 잔여 광고비를 반환하게 되며, 이때 광고대행 수수료는 실제 시청자에게 지급된 광고비의 일정 비율만 지급하게 된다.
본 발명은 이상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예시된 것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당업자라면 다음에 기재되는 청구범위 내에서 더 많은 변형 및 변용 예가 가능한 것임은 물론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서버 운영자와 광고주/설문조사자와 시청자/설문응답자 간의 연계망을 개략적으로 예시한 상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양방향 TV에서의 광고 또는 설문조사를 위한 전용 채널 운영 및 보상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예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2의 시스템에서 광고주/설문조사자 및 시청자/설문응답자에 대해 운용자 서버가 처리하는 동작 흐름 예시도이다.
도 4는 도 2의 시스템에서 광고주/설문조사자에 대해 운용자 서버가 처리하는 동작 흐름 예시도이다.
도 5는 도 2의 시스템에서 시청자/설문응답자에 대해 운용자 서버가 처리하는 동작 흐름 예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광고주/설문조사자 단말기 20 : 시청자/설문응답자 단말기
100 : 운용자 서버 110 : 의뢰인 지원모듈
111 : 광고/설문조사 관리모듈 112 : 비용 및 결제 서비스모듈
120 : 시청자 지원모듈 121 : 포인트 및 보상 관리모듈
122 : 광고시청 및 설문응답 서비스모듈 200 : 데이터베이스부
210 : 회원 DB 220 : 광고 DB
230 : 조사 DB 240 : 실적 DB
250 : 통계 DB

Claims (32)

  1. 광고주 또는 설문 조사자의 사용자 TV 또는 인터넷 단말기로부터 광고 또는 설문조사를 위한 다수의 콘텐츠정보 및 하나 이상의 광고 또는 설문조사 대행 약정정보를 양방향 TV 망이나 인터넷망을 통해 입력받아 데이터베이스에 등록 및 저장하며, 상기 콘텐츠정보를 양방향 TV의 광고 또는 설문조사 전용 채널(VOD 형태의 서비스채널 포함)로 송출하거나 또는 상기 송출된 콘텐츠 정보에 대한 광고의 시청 또는 설문조사의 응답 결과를 양방향 TV망을 통해 시청자 또는 설문 응답자 단말기로부터 수집하여 데이터베이스에 등록 및 저장하도록 구성된 운용자 서버;
    양방향 TV망 또는 인터넷망을 통해 상기 운용자 서버에 접속 가능하며, 광고 또는 설문조사에 필요한 하나 이상의 광고 또는 설문조사 대행 약정정보, 광고 영상 또는 설문 내용이 담긴 광고/설문 콘텐츠정보, 광고주 또는 설문 조사자의 회원 정보를 입력받아 상기 운용자 서버에 전달하거나, 또는 상기 운용자 서버로부터 수신되는 광고 또는 설문조사의 대행 및 온라인 등록을 안내하는 안내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광고주 또는 설문 조사자 단말기;
    양방향 TV망 또는 인터넷망을 통해 상기 운용자 서버에 접속 가능하며, 광고 시청자 또는 설문 응답자의 회원 정보, 광고 시청 또는 설문 응답 완료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운용자 서버에 전달하거나, 또는 양방향 TV망의 전용 채널을 통해 수신되는 광고/설문 콘텐츠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시청자 또는 설문 응답자 단말기;
    광고주, 설문 조사자, 광고 시청자, 설문 응답자를 구분하기 위한 회원정보를 저장하는 회원 DB, 광고 또는 설문조사를 위한 콘텐츠 정보를 각각 구분하여 저장하는 광고 DB 및 설문 조사 DB, 광고의 시청 또는 설문 응답 결과에 관한 실적 정보 및 그 통계정보를 각각 구분하여 저장하는 실적 DB 및 통계 DB를 포함하는 데이터베이스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TV에서의 광고 또는 설문조사를 위한 전용 채널 운영 및 보상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운용자 서버는,
    광고주 또는 설문 조사자의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입력되는 광고 또는 설문조사를 위한 다수의 콘텐츠정보, 하나 이상의 광고 또는 설문조사 대행 약정정보, 광고주 또는 설문조사자의 회원정보를 양방향 TV 망이나 인터넷망을 통해 입력받아 데이터베이스에 등록 및 저장하는 의뢰인 지원모듈;
    상기 콘텐츠정보를 양방향 TV의 전용 채널(VOD 형태의 서비스채널 포함)로 송출하거나 또는 상기 송출된 콘텐츠 정보에 대한 광고의 시청 또는 설문조사의 응답 결과 정보, 시청자 또는 설문 응답자의 회원정보를 양방향 TV망을 통해 시청자 또는 설문 응답자 단말기로부터 수집하여 데이터베이스에 등록 및 저장하는 시청자 지원모듈;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TV에서의 광고 또는 설문조사를 위한 전용 채널 운영 및 보상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의뢰인 지원모듈은,
    양방향 TV망 또는 인터넷망을 통해 상기 광고주 또는 설문조사자 단말기에 광고 또는 설문조사의 대행 및 온라인 등록 안내를 위한 안내화면을 제공하며, 상기 광고주 또는 설문조사 단말기로부터 전송되는 광고 또는 설문조사에 필요한 하나 이상의 광고 또는 설문조사 대행 약정정보, 광고 영상 또는 설문 내용이 담긴 광고/설문 콘텐츠 정보, 광고주 또는 설문 조사자의 회원 정보를 수집하여 데이터베이스에 등록하고 관리하는 광고/설문조사 관리모듈;
    광고 또는 설문조사의 대행 및 온라인 등록을 위한 비용의 산출 및 비용 결제를 위한 절차를 안내하고 결제처리를 실시하는 비용결제 서비스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TV에서의 광고 또는 설문조사를 위한 전용 채널 운영 및 보상시스템.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시청자 지원모듈은,
    시청자 또는 설문 응답자 단말기로부터 광고 시청 또는 설문 응답 정보 및 종료확인신호가 수신되는지를 확인하고, 해당 광고의 시청 또는 설문 응답 대가에 대한 단위 포인트를 광고주 또는 설문 조사자에 의해 결제된 약정비용으로부터 감산하여 해당 광고의 시청자 또는 설문 응답자의 포인트 계좌에 누적시키는 포인트 및 보상 관리모듈;
    광고 또는 설문조사 기간동안 시청자 또는 설문 응답자 단말기로부터 수신되 는 해당 광고의 시청 또는 설문 응답 결과 정보, 시청자 또는 설문 응답자의 회원정보를 수집하여 데이터베이스에 등록하고 관리하는 광고시청/설문응답 관리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TV에서의 광고 또는 설문조사를 위한 전용 채널 운영 및 보상시스템.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광고 또는 설문조사 대행 약정정보는,
    광고 또는 설문 조사에 소요되는 총 광고 또는 설문조사 대행수수료, 광고 시청 또는 설문 응답 대상자 정보, 광고 또는 설문조사에 대한 광고 시청 또는 설문 응답 단가, 광고 시청자 또는 설문조사 응답자의 수, 1일 동안 반복가능한 시청 또는 응답 허용 횟수, 광고 시청 또는 설문 응답결과에 대한 통보 방법 중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TV에서의 광고 또는 설문조사를 위한 전용 채널 운영 및 보상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광고 시청 또는 설문 응답 대상자 정보는,
    조건 정보로서 성별, 연령, 지역, 학력, 구매력 정보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TV에서의 광고 또는 설문조사를 위한 전용 채널 운영 및 보상시스템.
  7.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광고/설문 콘텐츠 정보는,
    시청자가 광고 또는 설문 응답 중 광고주 또는 설문조사자가 지정하는 웹사이트로의 직접 이동이 가능하도록 해당 웹사이트에 대한 링크(Link)정보가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TV에서의 광고 또는 설문조사를 위한 전용 채널 운영 및 보상시스템.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약정비용의 결제는,
    광고주 또는 설문조사자가 지정하는 웹사이트로의 링크에 따른 추가비용도 함께 결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TV에서의 광고 또는 설문조사를 위한 전용 채널 운영 및 보상시스템.
  9. 제1항 또는 제2항 또는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시청자 또는 설문 응답자의 회원정보는,
    광고 또는 설문조사를 위한 기본 항목과 선택 항목으로 구분되며,
    기본 항목은 성별, 나이, 거주 지역, 직업 정보를 포함하고, 선택 항목은 상품 구매력이나 학력, 주거환경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TV에서의 광고 또는 설문조사를 위한 전용 채널 운영 및 보상시스템.
  10. 제1항 또는 제2항 또는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시청자 또는 설문 응답자의 회원정보는,
    광고 시청에 따른 포인트 지급을 위한 계좌정보, 포인트의 가족합산여부, 취득 포인트의 지급방법과 시기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TV에서의 광고 또는 설문조사를 위한 전용 채널 운영 및 보상시스템.
  11.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광고주 또는 설문 조사자 단말기에 제공되는 안내화면은,
    광고/설문 선택 및 광고/설문 분야, 광고 송출에 따른 초당 시청단가, 설문조사에 필요한 선택형 및 기술형 설문 문항별 응답 단가, 총 광고 및 설문 건수, 광고시청 시간 및 설문문항 수, 총 광고 시청자 또는 설문 응답자 수, 1인 1일 광고 반복시청 가능횟수, 광고 및 설문 종료 잔여일수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웹페이지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TV에서의 광고 또는 설문조사를 위한 전용 채널 운영 및 보상시스템.
  12.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비용결제 서비스모듈은,
    광고 시청 또는 설문응답 대상자 수, 광고 송출 또는 설문조사에 필요한 약정기일의 경과여부 확인 결과, 약정기일이 종료되었으나 약정된 광고 시청 또는 설문응답 대상자 수를 채우지 못하였을 경우, 채우지 못한 광고 시청 또는 설문응답 대상자 수에 대응하는 잔여 비용을 산출하여 광고주 또는 설문 조사자의 등록 계좌로의 자동이체를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TV에서의 광고 또는 설문조사를 위한 전용 채널 운영 및 보상시스템.
  13.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포인트 및 보상 관리모듈은,
    시청자 또는 설문 응답자에 의해 지정된 기간이 경과되는지의 여부를 체크하여, 지정 기간이 경과되는 경우 시청자 또는 설문 응답자의 누적 포인트에 해당하는 일정금액 이상의 보상금을 시청자 또는 설문 응답자의 등록 계좌로 자동이체하고, 해당 시청자 또는 설문 응답자의 누적 포인트로부터 이체 보상금에 대응하는 포인트를 감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TV에서의 광고 또는 설문조사를 위한 전용 채널 운영 및 보상시스템.
  14.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포인트 및 보상 관리모듈은,
    포인트 계좌에 일정치 이상의 누적 포인트를 확보한 시청자 또는 설문 응답자에 의한 송금요청이 있는지의 여부를 체크하여, 송금 요청이 있는 경우 시청자 또는 설문 응답자가 송금 요청한 누적 포인트에 해당하는 보상금을 시청자 또는 설문 조사자의 등록 계좌로 자동 이체하고, 해당 시청자 또는 설문 응답자의 누적 포인트로부터 이체 보상금에 대응하는 포인트를 감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TV에서의 광고 또는 설문조사를 위한 전용 채널 운영 및 보상시스템.
  15. 광고주 또는 설문 조사자의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광고 또는 설문조사를 위한 다수의 콘텐츠들을 양방향 TV 망이나 인터넷망을 통해 수신하여 데이터베이스에 등록 및 저장하며, 상기 콘텐츠들을 양방향 TV의 광고/설문 전용 채널로 송출하거나 또는 상기 송출된 콘텐츠에 대한 광고의 시청 또는 설문조사의 응답 결과를 수집하여 데이터베이스에 등록 및 저장하도록 구성된 운용자 서버;를 포함하는 양방향 TV 네트워크 시스템 또는 온라인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상기 운용자 서버에 의해 이루어지는 양방향 TV에서의 광고 또는 설문조사를 위한 전용 채널(VOD 형태의 서비스채널 포함) 운영 및 보상방법에 있어서,
    (a) 양방향 TV망 또는 인터넷망을 통해 접속 요청이 있는 광고주 또는 설문 조사자 정보를 입력받아 광고주 또는 설문 조사자의 회원정보를 확인하고, 회원 가입된 광고주 또는 설문 조사자의 사용자 단말기에 광고 또는 설문조사의 대행 및 온라인 등록을 위한 안내화면을 제시하는 단계;
    (b) 상기 광고주 또는 설문 조사자의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지정되는 광고 또는 설문조사에 필요한 하나 이상의 광고 또는 설문조사 대행 약정정보, 광고 영상 또는 설문 내용이 담긴 광고/설문 콘텐츠 정보를 입력받는 단계;
    (c) 상기 광고주 또는 설문 조사자의 사용자 단말기에 광고 또는 설문조사 대행에 필요한 약정비용의 결제를 안내하고, 비용 결제절차를 통해 결제가 완료된 광고/설문 콘텐츠 정보, 광고 또는 설문조사에 필요한 하나 이상의 광고 또는 설문조사 대행 약정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등록 및 저장하며, 상기 광고/설문 콘텐츠 정보를 양방향 TV망의 전용 채널(VOD 형태의 서비스채널 포함)로 송출하는 단계;
    (d) 상기 광고/설문 콘텐츠 정보가 송출되는 양방향 TV망의 전용 채널(VOD 형태의 서비스채널 포함)을 통해 접속 요청이 있는 시청자 또는 설문 응답자 정보를 입력받아 시청자 또는 설문 응답자의 회원정보를 확인하고, 회원 가입된 시청자 또는 설문 응답자에 의한 설문 응답정보와 광고시청 또는 설문조사 종료확인신호를 수신 및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TV에서의 광고 또는 설문조사를 위한 전용 채널 운영 및 보상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e) 상기 (b)단계에서 광고주 또는 설문 조사자에 의해 입력된 광고 또는 설문조사 대행 약정정보를 기준으로, 광고 송출 또는 설문 조사를 실시하기 위한 약정기일, 광고 시청 또는 설문 응답에 필요한 약정 대상자 수, 약정비용의 소진여부를 체크하여, 약정된 광고 또는 설문조사의 종료여부를 확인하고, 광고 또는 설문 조사가 종료된 경우 광고 또는 설문조사 기간동안 시청자 또는 설문 응답자로부터 수신 및 저장된 해당 광고의 시청 또는 설문 응답결과를 정해진 통보 방법에 의해 광고주 또는 설문 조사자에게 통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TV에서의 광고 또는 설문조사를 위한 전용 채널 운영 및 보상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e)단계에서 광고주 또는 설문 조사자에게 통보되는 광고 시청 또는 설문 응답결과는,
    광고 또는 설문조사 대상자의 성별, 연령, 거주 지역, 시청 또는 응답일자를 포함하는 정보와, 광고 또는 설문조사 효과 측정에 필요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통계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TV에서의 광고 또는 설문조사를 위한 전용 채널 운영 및 보상방법.
  18. 제15항 또는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d)단계에서 운용자 서버는,
    회원 가입된 시청자 또는 설문 응답자로부터 광고 시청 또는 설문 응답 정보 및 종료확인신호가 수신되면, 해당 광고의 시청 또는 설문 응답 대가에 대한 단위 포인트를 광고주 또는 설문 조사자에 의해 결제된 약정비용으로부터 감산하여 해당 광고의 시청자 또는 설문 응답자의 포인트 계좌에 누적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TV에서의 광고 또는 설문조사를 위한 전용 채널 운영 및 보상방법.
  19. 제15항 또는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d)단계에서 운용자 서버는,
    광고 시청시간 또는 설문 응답시간이 종료되어도 종료확인 신호가 들어오지 않는 경우 회원 가입된 시청자 또는 설문 응답자가 종료확인버튼을 누르도록 하는 안내문을 TV 화면에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TV에서의 광고 또는 설문조사를 위한 전용 채널 운영 및 보상방법.
  20.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d)단계에서 운용자 서버는,
    광고 시청 또는 설문 응답이 종료되면 금회의 획득 포인트 및 누적 포인트에 대한 정보를 TV 화면에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TV에서의 광고 또는 설문조사를 위한 전용 채널 운영 및 보상방법.
  21. 제15항 또는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는,
    광고/설문 콘텐츠 정보를 전용 채널로 송출하기 이전에, 상기 비용결제 완료된 광고/설문 콘텐츠 정보를 시험 재생하는 시뮬레이션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TV에서의 광고 또는 설문조사를 위한 전용채널 운영 및 보상방법.
  22.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b)단계에서 광고주 또는 설문 조사자에 의해 입력받는 광고 또는 설문조사 대행 약정정보는,
    광고 또는 설문 조사에 소요되는 총 광고 또는 설문조사 대행수수료, 광고 시청 또는 설문 응답 대상자 정보, 광고 또는 설문조사에 대한 광고 시청 또는 설문 응답 회수당 단가, 광고 시청자 또는 설문조사 응답자의 수, 1일 동안 반복가능한 시청 또는 응답 허용 횟수, 광고 시청 또는 설문 응답결과에 대한 통보 방법 중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TV에서의 광고 또는 설문조사를 위한 전용 채널 운영 및 보상방법.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광고 시청 또는 설문 응답 대상자 정보는,
    조건 정보로서 성별, 연령, 지역, 학력, 구매력 정보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TV에서의 광고 또는 설문조사를 위한 전용 채널 운영 및 보상방법.
  24. 제15항 또는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b)단계에서 광고주 또는 설문 조사자에 의해 입력받는 광고/설문 콘텐츠 정보는,
    광고 시청자 또는 설문 응답자가 광고시청 또는 설문 응답 중 광고주 또는 설문조사자가 지정하는 웹사이트로의 직접 이동이 가능하도록 해당 웹사이트에 대한 링크(Link)정보가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TV에서의 광고 또는 설문조사를 위한 전용 채널 운영 및 보상방법.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c)단계에서 이루어지는 광고주 또는 설문조사자에 대한 약정비용 결제여부는,
    상기 웹사이트로의 링크에 따른 추가비용을 부과하는 조건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TV에서의 광고 또는 설문조사를 위한 전용 채널 운영 및 보상방법.
  26. 제15항 또는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d)단계에서 입력받는 시청자 또는 설문 응답자의 회원정보는,
    광고 또는 설문조사를 위한 기본 항목과 선택 항목으로 구분되며,
    기본 항목은 성별, 나이, 거주 지역, 직업 정보를 포함하고, 선택 항목은 상품 구매력이나 학력, 주거환경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TV에서의 광고 또는 설문조사를 위한 전용 채널 운영 및 보상방법.
  27. 제15항 또는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d)단계에서 입력받는 시청자 또는 설문 응답자의 회원정보는,
    광고 시청에 따른 포인트 지급을 위한 계좌정보, 포인트의 가족합산여부, 취득 포인트의 지급방법과 시기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TV에서의 광고 또는 설문조사를 위한 전용 채널 운영 및 보상방법.
  28. 제15항 또는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d)단계에서 운용자 서버는,
    회원가입 및 로그인이 완료된 광고 시청자 또는 설문 응답자에게 광고의 시청 또는 설문에 응답할 수 있는 권한을 부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TV에서의 광고 또는 설문조사를 위한 전용 채널 운영 및 보상방법.
  29. 제15항 또는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a)단계에서 광고주 또는 설문 조사자에게 제공되는 안내화면은,
    광고/설문 선택 및 광고/설문 분야, 광고 송출에 따른 초당 시청단가, 설문 조사에 필요한 선택형 및 기술형 설문 문항별 응답 단가, 총 광고 및 설문 건수, 광고시청 시간 및 설문문항 수, 총광고 시청자 또는 설문응답자 수, 1인 1일 광고 반복시청 가능 횟수, 광고 및 설문 종료 잔여일수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웹페이지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TV에서의 광고 또는 설문조사를 위한 전용 채널 운영 및 보상방법.
  30.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d)단계에서 운용자 서버는,
    시청자 또는 설문 응답자에 의해 지정된 기간이 경과되는지의 여부를 체크하여, 지정 기간이 경과되는 경우 시청자 또는 설문 응답자의 누적 포인트에 해당하는 보상금을 시청자 또는 설문 응답자의 등록 계좌로 자동이체하고, 해당 시청자 또는 설문 응답자의 누적 포인트로부터 이체 보상금에 대응하는 포인트를 감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TV에서의 광고 또는 설문조사를 위한 전용 채널 운영 및 보상방법.
  31.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d)단계에서 운용자 서버는,
    포인트 계좌에 일정치 이상의 누적 포인트를 확보한 시청자 또는 설문 응답자에 의한 송금요청이 있는지의 여부를 체크하여, 일정금액 이상의 송금 요청이 있는 경우 시청자 또는 설문 응답자가 송금 요청한 누적 포인트에 해당하는 보상금을 시청자 또는 설문 조사자의 등록 계좌로 자동 이체하고, 해당 시청자 또는 설문 응답자의 누적 포인트로부터 이체 보상금에 대응하는 포인트를 감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TV에서의 광고 또는 설문조사를 위한 전용 채널 운영 및 보상방법.
  32.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e)단계에서 운용자 서버는,
    광고 시청 또는 설문응답 대상자 수, 광고 송출 또는 설문조사에 필요한 약정기일의 경과여부 확인 결과, 약정기일이 종료되었으나 약정된 광고 시청 또는 설문응답 대상자 수를 채우지 못하였을 경우, 채우지 못한 광고 시청 또는 설문응답 대상자 수에 대응하는 잔여 비용을 산출하여 광고주 또는 설문 조사자의 등록 계좌로의 자동이체를 실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TV에서의 광고 또는 설문조사를 위한 전용 채널 운영 및 보상방법.
KR1020080125729A 2008-12-11 2008-12-11 양방향 티브이에서의 광고 또는 설문조사를 위한 전용 채널운영 및 보상시스템과 그 방법 KR1009286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25729A KR100928624B1 (ko) 2008-12-11 2008-12-11 양방향 티브이에서의 광고 또는 설문조사를 위한 전용 채널운영 및 보상시스템과 그 방법
PCT/KR2009/007373 WO2010068044A2 (ko) 2008-12-11 2009-12-10 양방향 티브이에서의 광고 또는 설문조사를 위한 전용 채널 운영 및 보상시스템과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25729A KR100928624B1 (ko) 2008-12-11 2008-12-11 양방향 티브이에서의 광고 또는 설문조사를 위한 전용 채널운영 및 보상시스템과 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28624B1 true KR100928624B1 (ko) 2009-11-26

Family

ID=416054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25729A KR100928624B1 (ko) 2008-12-11 2008-12-11 양방향 티브이에서의 광고 또는 설문조사를 위한 전용 채널운영 및 보상시스템과 그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928624B1 (ko)
WO (1) WO2010068044A2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3344B1 (ko) 2012-08-24 2013-01-16 조대엽 디지털 방송매체 기반의 양방향 실시간 여론조사 서비스 방법 및 이를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KR101223317B1 (ko) * 2012-08-24 2013-01-21 조대엽 디지털 방송매체 기반의 양방향 실시간 여론조사 서비스시스템
KR20210035519A (ko) 2019-09-24 2021-04-01 주식회사 마크로밀엠브레인 빅데이터와 설문을 활용한 통합형 광고효과평가 지원시스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54357A (ko) * 2000-06-02 2000-09-05 조영훈 인터넷상에서 양방향 동영상 매체를 이용한 광고 방법 및그 시스템
KR20040004723A (ko) * 2002-06-25 2004-01-14 주식회사 케이티 디지털 컨텐츠를 이용한 온라인 설문조사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21931A (ko) * 2000-09-18 2002-03-23 구자홍 인터넷 티브이를 이용한 광고 방송 제공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54357A (ko) * 2000-06-02 2000-09-05 조영훈 인터넷상에서 양방향 동영상 매체를 이용한 광고 방법 및그 시스템
KR20040004723A (ko) * 2002-06-25 2004-01-14 주식회사 케이티 디지털 컨텐츠를 이용한 온라인 설문조사 방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3344B1 (ko) 2012-08-24 2013-01-16 조대엽 디지털 방송매체 기반의 양방향 실시간 여론조사 서비스 방법 및 이를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KR101223317B1 (ko) * 2012-08-24 2013-01-21 조대엽 디지털 방송매체 기반의 양방향 실시간 여론조사 서비스시스템
WO2014030897A1 (ko) * 2012-08-24 2014-02-27 Jin Young Sun 디지털 방송매체 기반의 양방향 실시간 여론조사 서비스시스템
WO2014030896A1 (ko) * 2012-08-24 2014-02-27 Jin Young Sun 디지털 방송매체 기반의 양방향 실시간 여론조사 서비스 방법 및 이를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KR20210035519A (ko) 2019-09-24 2021-04-01 주식회사 마크로밀엠브레인 빅데이터와 설문을 활용한 통합형 광고효과평가 지원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0068044A2 (ko) 2010-06-17
WO2010068044A3 (ko) 2010-09-10
WO2010068044A9 (ko) 2010-10-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02252374B2 (en) Affinity marketing for interactive media systems
JP5591684B2 (ja) 広告インプレッションデータにおける不確実性の調整
US20120030702A1 (en) Digital television broadcasting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information in a digital television and internet convergent environment
US20020133817A1 (en) Affinity marketing for interactive media systems
JP4910000B2 (ja) リスティング広告送出装置及び方法
JP5121729B2 (ja) ネットワーク広告送出装置及び方法
US20040186774A1 (en) Method and system for earning, storing, and using credits in exchange for satisfying predetermined conditions on a website
KR102040473B1 (ko) 인터넷 방송에 대한 광고 후원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US20110078001A1 (en) Feedback system for television advertisements
AU2002252374A1 (en) Affinity marketing for interactive media systems
EA007056B1 (ru) Система передачи содержимого кабельной сети через интернет
US20090043623A1 (en) Method and system for effective market research
JP2017004518A (ja) 広告配信システム及び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US20030177059A1 (en) Automated advertising method and system including efficacy metric
US20170236150A1 (en) Predictive programmatic system for audience identification and analysis
KR100928624B1 (ko) 양방향 티브이에서의 광고 또는 설문조사를 위한 전용 채널운영 및 보상시스템과 그 방법
US20080046918A1 (en) Method and system for calculating and reporting advertising exposures
KR20110127767A (ko) 온라인 뉴스 열람률 증진을 위한 인센티브 시스템 및 그 시스템을 이용한 온라인 뉴스 열람률 증진방법.
KR20120109839A (ko) 방송 프로그램과 연계된 정보 제공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165302B1 (ko) 온라인 참여광고 서비스 시스템과 실시간 참여광고 서비스 방법
KR102171784B1 (ko) 동영상 조언 콘텐츠 제공 장치 및 방법
RU132591U1 (ru) Таргетированная рекламная система
KR102443295B1 (ko) 검색포털사이트의 실시간 급상승 검색어 서비스를 이용한 검색광고시스템 및 방법
CN114663168A (zh) 一种基于信息流的广告定向投放管理方法及其系统
JP6951382B2 (ja) メディア接触状況調査装置及びメディア接触状況調査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1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1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1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1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17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