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23317B1 - 디지털 방송매체 기반의 양방향 실시간 여론조사 서비스시스템 - Google Patents

디지털 방송매체 기반의 양방향 실시간 여론조사 서비스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23317B1
KR101223317B1 KR1020120092712A KR20120092712A KR101223317B1 KR 101223317 B1 KR101223317 B1 KR 101223317B1 KR 1020120092712 A KR1020120092712 A KR 1020120092712A KR 20120092712 A KR20120092712 A KR 20120092712A KR 101223317 B1 KR101223317 B1 KR 1012233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poll
screen
polling
dedicated chan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927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진영선
조대엽
한억수
김민철
Original Assignee
조대엽
진영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대엽, 진영선 filed Critical 조대엽
Priority to KR10201200927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2331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233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23317B1/ko
Priority to PCT/KR2013/007439 priority patent/WO2014030897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01Market modelling; Market analysis; Collecting market data
    • G06Q30/0203Market surveys; Market pol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5End-user interface for inputting end-user data, e.g. personal identification number [PIN], preference data
    • H04N21/4758End-user interface for inputting end-user data, e.g. personal identification number [PIN], preference data for providing answers, e.g. vot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6Analogue secrecy systems; Analogue subscription systems
    • H04N7/173Analogue secrecy systems; Analogue subscription systems with two-way working, e.g. subscriber sending a programme selection signal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Fina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지털 방송매체 기반의 양방향 실시간 여론조사 서비스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여론조사 전용채널로 채널을 전환하지 않는 상태에서도 현재 시청중인 채널에서 실시간 여론조사에 응답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여론조사용 시나리오 및 템플릿을 작성하고 전용채널을 통해 송출되는 편성 프로그램의 방송화면 내에 PIP 화면으로 송출하면서 비전용채널을 통해 화면 속 팝업 알림정보로 송출하며 전용채널 및 비전용채널의 PIP 화면을 통해 시청자에 의한 유효 응답정보를 실시간 수집하는 여론조사 대행 서버, 여론자료정보와 여론조사 의뢰자 정보를 입력하는 의뢰자 단말기, 전용채널 또는 비전용채널의 PIP 화면을 통해 여론조사 응답정보를 입력하는 시청자 단말기, 관리자 권한을 가진 사용자에 의해 여론조사 대행 서버에 접근하는 관리자 단말기, 및 여론조사 응답자의 속성별 개인정보와 여론조사를 위한 시나리오 및 템플릿, 여론조사 응답자로부터 수집되는 여론조사 데이터, 및 여론조사 의뢰자 정보를 각각 구분하여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부를 포함하는 양방향 실시간 여론조사 서비스시스템을 제공하여, 디지털 방송매체와 시청자 간의 쌍방향 데이터 교류를 통해 광고나 TV 프로그램, 또는 국가적인 정책수립이나 사회적인 이슈 등에 의한 다양한 목적의 실시간 여론조사 및 여론조사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한다.

Description

디지털 방송매체 기반의 양방향 실시간 여론조사 서비스시스템 {Bidirectional Real-time survey service system based on digital broadcasting media}
본 발명은 디지털 방송매체 기반의 양방향 실시간 여론조사 서비스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기존의 전통적인 전화, 면접 등의 여론조사 방법을 포함하며, 또한 온라인, 모바일 등의 뉴미디어 매체들에서도 이루어지는 여론조사 방법도 포함하여 상기 여론조사 방법을 모두 디지털 방송 전문 채널로 전환함으로써 시청자들의 여론을 실시간으로 공론화할 수 있는 양방향 실시간 여론조사 서비스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또한 시청자가 여론조사용 전용채널로 채널을 전환하지 않는 상태에서도 현재 시청중인 채널을 통해 여론조사에 즉각적으로 응답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정보 탐색자와 시청자 간에 다양한 목적의 이슈와 니즈에 대한 의사소통 및 적극적인 참여 서비스가 가능하도록 한 디지털 방송매체 기반의 양방향 실시간 여론조사 서비스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위성 TV(스카이라이프, 2002년), IP(Internet Protocol) TV(2008년), 및 스마트 TV 등과 같이 양방향성을 갖는 디지털 방송매체가 점차적으로 상용화됨에 따라, 이러한 양방향성 디지털 방송매체를 통해 광고나 TV 프로그램 등에 대한 여론조사가 실시간으로 이루어지고 있으며,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928624호에는 양방향 티브이에서의 광고 및 여론조사를 위한 전용채널 운영 및 보상 시스템과 그 방법에 대한 기술이 공지되어 있다,
이는 양방향으로 데이터 전송이 가능한 디지털 방송매체를 통해 송출되는 방송화면 내에 광고나 TV 프로그램에 대한 시청자의 의견을 묻는 여론조사내용이 담긴 화면정보를 함께 송출하고, 해당 화면을 통해 시청자가 입력하는 정보들을 취합하여 다시 미리 정해진 네트워크 주소의 서버로 자동 전송함으로써, 지정된 주소의 서버에서 상기 여론조사에 대한 시청자의 응답 내용을 취합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디지털 방송매체는 유료요금이 적용되고 있기 때문에 특정 채널을 시청하는 시청자에게만 제한적으로 실시되어 왔으며, 또한 여론 조사에 참여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여론 조사가 이루어지는 전용 채널로 채널을 전환한 상태에서 해당 전용 채널을 통해 응답이 이루어져야만 시청자의 의견이 조사 결과에 반영될 수 있는 상황이어서, 디지털 방송매체와 시청자 간의 의사 교환은 전체 시청자 차원으로 확대되지 못하고 일부 시청자에게만 국한되는 제한이 있다.
또한 기업의 경우 기존 TV 매체를 활용한 광고는 잠재적 소비자인 시청자에게 일방적으로 제시되는 형태로 이루어져 있어, 잠재적 소비자를 대상으로 한 광고효과에 대해서는 극히 제한적인 정보를 얻거나, 별도의 비용을 들여 광고효과에 대한 리서치를 병행해야 하므로, 신제품 개발과 신시장 개척을 모색하는데 있어서 시간과 비용에서의 소모적 행태를 반복할 수 밖에 없는 단점이 있다.
한편, 국가적인 정책 수립을 위해서나 사회적인 이슈 등에 의해 실시되는 다양한 목적의 여론조사는 정부 정책의 계획자이자 실행자인 정부가 주체가 되어 실시하게 되며, 이는 국민과 정부간, 또는 각 이해집단이 수립 정책 또는 이슈에 대해 서로 잘 이해하고 협조할 수 있는, 유기적 관계를 성립시킬 수 있는 소통의 수단을 필요로 한다.
현재까지 이러한 소통의 수단은 인터넷 포털과 소셜 커뮤니티 서비스, 여론조사 등이 사용되고 있으며, 특히 최근 활성화되고 있는 온라인 커뮤니티는 과거 정부의 정책정보의 비대칭성을 보다 균형있게 완화할 수 있는 소통의 공간을 형성하게 했고, 이는 시민이 정부의 정책수립 과정에 보다 가까이 접근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인터넷과 소셜 커뮤니티는 여론의 일원화를 이뤄내어 능동적 사회참여 창구로서의 정제된 여론을 창출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고, 전문 여론조사업체를 통한 리서치는 시공간의 제약으로 인해 참여의 한계가 있을 뿐만 아니라 여론조사 주체(의뢰자)의 의도로만 그 내용이 한정될 수 있어 다양한 여론수렴에는 많은 제한이 있다.
따라서 이러한 정보 비대칭성 또는 격차를 해소하기 위하여, 계층간, 조직내 구성원간, 지역간, 이해집단 간에 이해가 상충되거나 동일한 의견을 가지고 있는 당사자들 간의 입장 차이를 줄일 수 있으면서도, 서로를 이해하는 과정을 통해 공동의 목표를 달성할 수 있는, 쌍방향 커뮤니케이션이 가능한 매개체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한편, 현재 국내의 지상파 방송은 향후(2012년 12월 31일자 기준) 디지털 방송으로 전면 전환할 방침에 있으며, 따라서 국내 전체 TV 시청가구의 디지털 방송서비스가 실질적으로 가능해 짐에 따라, 향후에는 기존 디지털 방송의 일방향 시청자 선택형 영상서비스(VOD)가 진일보하여, 디지털 방송의 가장 큰 특징인 다양한 쌍방향 커뮤니케이션 방송 서비스가 진출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특허문헌 KR 10-0928624 B1 2009.11.18
본 발명은 상기 종래의 기술이 갖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서, 여론조사가 이루어지는 전용채널로 채널을 전환하지 않는 상태에서 현재 시청중인 채널을 통해 종래 전통적인 전화, 면접 등의 여론조사 방법과 온라인, 모바일 등의 뉴미디어 매체들에서 이루어지는 여론조사 방법을 모두 포함하여 양방향 실시간으로 여론조사를 구현함으로써, 아날로그 방송의 전면적 디지털 방송전환에 따른 디지털 방송매체와 시청자 간의 쌍방향 데이터 교류를 통해 광고나 TV 프로그램, 또는 국가적인 정책수립이나 사회적인 이슈 등에 의한 다양한 목적의 실시간 여론조사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디지털 방송매체 기반의 양방향 실시간 여론조사 서비스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여론조사에 필요한 여론조사자료정보와 의뢰자정보를 입력받아 여론조사용 시나리오 및 템플릿을 작성하고 여론조사용 시나리오 및 템플릿을 방송용 화면으로 제작 및 전환하여 전용채널을 통해 송출되는 편성 프로그램의 방송화면 내에 PIP 화면으로 송출하면서 동시에 미리 제휴된 하나 이상의 비 전용채널을 통해 화면속 팝업 알림정보로 송출하며 전용채널의 PIP 화면 및 비전용채널의 팝업 알림정보와 트리거되거나 링크된 PIP 화면을 통해 입력되는 회원 등록된 시청자 또는 인증된 시청자에 의한 유효 응답정보를 실시간 수집하여 그 여론조사 결과 데이터를 전용채널의 PIP화면 또는 비전용채널의 화면속 팝업 알림정보 또는 그에 트리거되거나 링크된 PIP 화면으로 전환하여 송출하는 여론조사 대행서버, 여론조사에 필요한 여론자료정보와 여론조사 의뢰자 정보를 입력받아 여론조사 대행서버에 전달하거나 여론조사 대행서버로부터 수신되는 조사대행 및 온라인 등록을 안내하는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의뢰자 단말기, 전용채널을 통해 수신되는 PIP 화면 또는 미리 제휴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비전용채널을 통해 수신되는 비전용채널의 화면속 팝업 알림정보 또는 그에 트리거되거나 링크된 PIP 화면을 디스플레이하거나 전용채널 또는 비전용채널의 PIP 화면을 통해 입력되는 시청자의 회원정보와 여론조사 응답정보를 입력받아 여론조사 대행서버에 전달하는 시청자 단말기, 관리자 권한을 가진 사용자에 의해 여론조사 대행서버에 접근하여 시스템의 전체적인 동작을 제어하며 오프라인으로 전달되는 여론조사에 필요한 여론조사자료정보, 여론조사 의뢰자 정보의 입력을 위한 관리자 단말기, 및 여론조사 응답자의 속성별 개인정보와 여론조사를 위한 시나리오 및 템플릿, 여론조사 응답자로부터 수집되는 여론조사 데이터, 및 여론조사 의뢰자 정보를 각각 구분하여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부를 포함하는 디지털 방송매체 기반의 실시간 여론조사 서비스시스템이다.
상기 본 발명의 시스템에서, 여론조사 대행서버는, 회원가입 요청이 있는 사용자들로부터 회원 가입 및 등록 절차를 통해 여론조사대상 범위 내의 여론조사 응답 자격이 있는 사용자들에 대한 개인정보를 입력받아 회원으로 등록 및 저장하는 회원 관리부, 전용채널의 PIP 화면 및 비전용채널의 화면속 팝업 알림정보와 트리거되거나 링크된 PIP 화면을 통해 입력되는 회원 등록된 시청자에 의한 유효 응답정보를 실시간 수집하여 여론조사 문항별 또는 응답 종류별로 실적 처리 및 통계 처리한 후 여론조사 응답결과에 관한 실적정보 및 통계정보를 여론조사 결과데이터로 데이터베이스에 등록 및 저장하는 데이터 수집 및 처리부, 여론조사 의뢰자로부터 여론조사에 필요한 여론조사자료정보와 의뢰자정보를 입력받아 여론조사용 시나리오 및 템플릿을 작성하여 등록 및 저장하는 여론조사 시나리오 및 템플릿 관리부, 여론조사용 시나리오 및 템플릿을 방송용 화면으로 제작 및 전환하여 전용채널을 통해 송출되는 편성 프로그램의 방송화면 내에 PIP 화면으로 송출하면서 동시에 미리 제휴된 하나 이상의 비전용채널을 통해 화면 속 팝업 알림정보로 송출하는 방송제작 및 송출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본 발명의 시스템에서, 여론조사 대행 서버는, 여론조사의 대행 및 등록을 위한 비용의 산출 및 비용결제를 위한 절차를 안내하는 비용결제화면을 제공하고 그 비용결제화면을 통해 여론조사 의뢰자로부터 비용 결제에 필요한 결제정보를 입력받아 결제절차를 실행하는 비용 결제부, 및/또는 전용채널의 방송화면 및 비전용채널의 팝업 화면을 통해 입력되는 회원 등록된 시청자로부터의 응답정보의 유효성 여부를 체크하여 유효 응답정보를 입력한 시청자 회원에 대하여 미리 설정된 액수의 사이버 머니를 제공하는 보상 관리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기존의 전통적인 전화, 면접 등의 여론조사 방법을 포함하며, 또한 온라인, 모바일 등의 뉴미디어 매체들에서도 이루어지는 여론조사 방법도 포함하여 상기 여론조사 방법을 모두 디지털 방송 전문 채널로 전환함으로써, 실시간 여론조사에 대해 해당 전용채널로의 채널을 전환하지 않고도 현재 시청중인 채널에서 트리거 또는 링크되는 PIP 화면을 통해 실시간으로 여론조사에 응답하여 해당 여론조사 응답 자료만을 전용채널로 전송하고 전용채널에서 수집된 여론조사 결과데이터를 비전용채널을 통해 제공할 수 있게 되므로, 기존 디지털 방송매체의 유료화에 따른 정보 비대칭성을 해소하여 계층 간 정부, 기업, 단체 및 협회, 개인 등 정보 탐색자들의 다양한 정보 추구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정보 탐색자와 방송매체 및 시청자 간에 양 방향성 커뮤니케이션 기능으로 전용채널 또는 비전용채널에 관계없이 실시간 여론수렴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되므로, 정책, 마케팅, 사회적 이슈에 대한 여론 등의 다양한 목적에 광범위하게 부합하는 여론조사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되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방송매체 기반의 실시간 여론조사 서비스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예시한 블록도이다.
도 2a 내지 도 2d는 본 발명에서 비전용채널을 통해 송출되는 화면 속 팝업 알림정보의 표시화면 예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디지털 방송매체 기반의 실시간 여론조사 서비스동작실현하기 위하여 여론조사 대행 서버가 처리하는 개략적인 동작 흐름도이다.
도 4 내지 도 8은 도 3의 각 단계별 동작을 설명하기 위하여 예시한 참고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디지털 방송매체 기반의 실시간 여론조사 서비스시스템의 구성 및 동작을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 해석되지 아니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먼저,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셋탑박스를 구비하여 양방향 커뮤니케이션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지상파 TV, 인터넷 프로토콜 TV(IPTV), 모바일용 인터넷 프로토콜 TV(M-IPTV), 디지털 케이블 TV(D-CATV), 및 스마트 TV 등의 TV 매체, 인터넷이나 모바일 등의 네이버, 유튜브, 및 아프리카 TV 등을 디지털 방송매체라 통칭하며, 여론조사를 통해 정보를 얻는 정부, 기업, 단체 및 협회, 개인 등을 정보 탐색자라 통칭하고, 기존의 전통적인 전화, 면접 등의 여론조사 방법을 포함하며, 또한 온라인, 모바일 등의 뉴미디어 매체들에서도 이루어지는 여론조사 방법도 포함하여 상기 여론조사 방법을 모두 디지털 방송 전문 채널로 전환하여 이루어지는 광고 또는 여론(마케팅) 조사 등을 여론조사라 통칭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방송매체 기반의 실시간 여론조사 서비스시스템의 전체적인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고, 도 2a 내지 도 2d는 비전용채널을 통해 송출되는 화면속 팝업 알림정보의 표시화면 예시도로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시스템 구성은 의뢰자 단말기(10), 시청자 단말기(20), 관리자 단말기(30), 여론조사 대행서버(100), 및 데이터베이스부(2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의뢰자 단말기(10)는 이동통신망 또는 인터넷망을 통해 여론조사 대행서버(100)에 접속되는 사용자 단말기로서 스마트폰이나 컴퓨터 단말기를 포함하고, 여론조사를 요청하는 정보 탐색자, 즉 타방송사 또는 언론사, 기업 또는 광고주, 공공기관, 단체나 협회, 개인 등에 의해 사용되며, 여론조사에 필요한 여론조사자료정보, 여론조사 의뢰자 정보를 입력받아 네트워크를 통해 여론조사 대행서버(100)에 전달하거나 또는 여론조사 대행서버(100)로부터 전송되는 조사대행 및 온라인 등록을 안내하는 화면을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하여 디스플레이한다. 이러한 여론조사에 필요한 여론조사자료정보, 여론조사 의뢰자 정보는 오프라인으로 전달되어 관리자 단말기(30)를 통해 직접 입력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시청자 단말기(20)는 이동통신망 또는 TV 망 또는 인터넷망을 통해 상기 여론조사 대행서버(100)에 접속되는 사용자 단말기로서, 이동통신망에 연결되는 스마트 폰, 셋탑 박스를 구비하여 양방향 커뮤니케이션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지상파 TV, 인터넷 프로토콜 TV(IPTV), 모바일용 인터넷 프로토콜 TV(M-IPTV), 디지털 케이블 TV(D-CATV), 스마트 TV, 인터넷망이나 모바일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는 휴대 단말기 중의 어느 하나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시청자 단말기(20)는 전용채널을 통해 수신되는 PIP 화면 또는 미리 제휴된 타사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비전용채널을 통해 수신되는 비전용채널의 화면 속 팝업 알림정보 또는 그에 트리거되거나 링크된 PIP 화면을 디스플레이하거나, 전용채널 또는 비전용채널의 PIP 화면을 통해 입력되는 시청자의 회원정보, 여론조사 응답정보를 입력받아 여론조사 대행 서버(100)에 전달한다. 이를 위해 특히 스마트 폰의 경우는 디지털 방송매체의 방송신호가 스마트 폰 상에 실시간으로 수신되어 재생되는 상태에서 그 방송신호를 매개체로 하여 여론조사 대행 서버(100)와의 쌍방향 커뮤니케이션을 가능하게 하는 어플리케이션이 선행적으로 탑재되거나, 또는 해당 서버가 운영하는 홈페이지에 모바일로 직접 접속하는 동작을 통해서도 정보의 입력 및 전달이 가능하게 될 것이다.
관리자 단말기(30)는 관리자 권한을 가진 사용자 조작에 의해 여론조사 대행 서버(100)에 접근하여 본 발명 시스템의 전체적인 동작을 제어하며, 온라인 또는 오프라인으로 전달되는 여론조사에 필요한 여론조사자료정보, 여론조사 의뢰자 정보를 직접 입력하기 위해 사용된다.
여론조사 대행 서버(100)는 기존의 전통적인 전화, 면접 등의 여론조사 방법 및 최근 온라인, 모바일 등의 뉴미디어 매체들에서도 이루어지는 여론조사 방법들의 모든 형태를 디지털 방송 전문채널로 전환하여 실시할 여론조사에 필요한 여론조사자료정보, 의뢰자정보를 입력받아 여론조사용 시나리오 및 템플릿을 작성하고 의뢰자 정보와 함께 데이터베이스에 등록 및 저장하며, 상기 여론조사용 시나리오 및 템플릿을 방송용 화면으로 제작 및 전환하여 전용채널을 통해 송출되는 편성 프로그램의 방송화면 내에 PIP 화면으로 송출하면서 동시에 미리 제휴된 하나 이상의 비전용채널을 통해 화면 속 팝업 알림정보로 송출하고, 전용채널의 PIP 화면 및 비전용채널의 팝업 알림정보와 트리거되거나 링크된 PIP 화면을 통해 입력되는 회원 등록된 시청자에 의한 유효 응답정보를 실시간 수집하여 여론조사 결과데이터로 데이터베이스에 등록 및 저장하며, 수집된 여론조사 결과 데이터를 여론조사 의뢰자, 전용채널의 PIP화면 또는 비전용채널의 화면 속 팝업 알림정보 또는 그에 트리거되거나 링크된 PIP 화면으로 전환하여 송출한다. 이러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하여 여론조사 대행 서버(100)는 회원 관리부(110), 데이터 수집 및 처리부(120), 여론조사 시나리오 및 템플릿 관리부(130), 방송제작 및 송출부(140), 비용 결제부(150), 및 보상 관리부(1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회원 관리부(110)는 이동통신망 또는 TV망 또는 온라인 망을 통해 회원가입 요청이 있는 사용자들로부터 회원 가입 및 등록 절차를 통해 여론조사대상 범위 내의 응답자격이 있는 일반 패널(사용자)들을 추출하여, 각 패널들에 대한 개인정보를 입력받아 시청자 회원 데이터베이스에 등록 및 저장한다. 여기서 상기 회원 관리부(110)가 추출하는 여론조사대상 범위 내의 응답자격이 있는 일반 패널은 미리 설정된 연령대(예를 들면 만 20~60대)에 의한 필터링을 통해 추출되는 특정 연령대의 남자 또는 여자가 될 수 있다. 또한 전국적인 모집단의 특성을 반영하여 여론조사의 신뢰도 및 타당성을 보증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필요에 따라서는 지역을 기준으로 하는 필터링을 통해 전국적인 지역별 인구비례에 따라 각 지역별로 일정 인원수의 표본 추출하여 패널 자격을 부여할 수도 있다. 또한 여론조사의 특성상 미성년자(부모의 동의 필요) 또는 고령자에 의한 응답을 필요로 하는 경우 그에 대응하는 다른 조건의 필터링을 통해 추출되는 사용자에게 일반 패널의 자격을 부여할 수도 있을 것이다.
데이터 수집 및 처리부(120)는 데이터 수집부(121)와 데이터 처리부(122)로 구성되며, 데이터 수집부(121)는 전용채널의 PIP 화면 및 비전용채널의 화면 속 팝업 알림정보와 트리거되거나 링크된 PIP 화면을 통해 회원 등록된 시청자 또는 본인 여부 확인 및 답례비 등의 수령을 위한 전화번호 확인 등의 몇가지 인증을 거친 시청자(이하 '인증된 시청자'라 약칭함)에 의해 입력되는 유효 응답정보를 실시간 수집하며, 데이터 처리부(122)는 수집된 데이터를 여론조사 문항별 또는 응답 종류별로 실적 처리 및 통계 처리한 후 여론조사 응답결과에 관한 실적정보 및 통계정보를 여론조사 결과데이터로 데이터베이스에 등록 및 저장한다. 이 데이터 수집부(121)에서는 먼저 일반 패널 자격을 가진 시청자 회원 또는 인증된 시청자에 의해 입력되는 응답정보인지를 확인하여 해당 응답 정보를 유효한 응답정보로 수집한다. 다음으로 상기 유효 응답정보가 수집되는 순서에 따라 미리 지정된 갯수 이내의 것인지 또는 미리 지정된 시간 이내의 것인지를 확인하여, 수집되는 응답정보가 유효한 것인지를 판단하고, 미리 지정된 갯수 이내의 것 또는 미리 지정된 시간 이내의 것에 대해 유효 샘플로 추출한다. 그리고 선착순 마감 이후에 수집되는 응답정보에 대해서는 필요에 따라 무작위 추첨을 통해 유효 샘플을 추출할 수도 있다.
여론조사 시나리오 및 템플릿 관리부(130)는 여론조사 의뢰자 또는 관리자 단말기로부터, 기존의 전통적인 전화, 면접 등의 여론조사 방법 및 최근 온라인, 모바일 등의 뉴미디어 매체들에서도 이루어지는 여론조사 방법들의 모든 형태를 디지털 방송 전문채널로 전환하여 실시할 여론조사에 필요한 여론조사자료정보와 의뢰자정보를 입력받아 여론조사용 시나리오 및 템플릿을 작성하고 의뢰자 정보와 함께 의뢰자 회원 데이터베이스에 등록 및 저장한다.
방송제작 및 송출부(140)는 여론조사 시나리오 및 템플릿 관리부(130)에서 작성된 여론조사용 시나리오 및 템플릿을 방송용 화면으로 제작 및 전환하여 자사의 전용채널을 통해 송출되는 편성 프로그램의 방송화면 내에 PIP 화면으로 송출하면서 동시에 미리 제휴된 타사의 하나 이상의 비전용채널을 통해 화면 속 팝업 알림정보로 송출한다. 이때 비전용채널을 통해 송출하는 화면 속 팝업 알림정보는 여론조사용 시나리오 및 템플릿에 대한 PIP 화면의 팝업 알림정보로서, 팝업 알림정보의 수락여부를 묻는 질의문이 포함된 정보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방송제작 및 송출부(140)에서는, 팝업 알림정보 내에 포함된 질의문에 대한 시청자의 응답여부를 체크하여, 팝업 알림이 수락된 비전용채널에 대해서 상기 전용채널에 송출되는 여론조사용 PIP 화면과 동일한 PIP 화면을 송출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전용채널의 PIP 화면 또는 비전용채널의 화면 속 팝업 알림정보에 트리거되거나 링크된 PIP 화면에는 여론조사의 내용을 설명하고 그 응답절차를 안내하기 위해 시청자 속성별로 구분되어 이미지화된 캐릭터정보가 포함되어 제시될 수 있다.
또한 여기서 비전용채널을 통해 송출되는 화면 속 팝업 알림정보는, 셋탑 박스를 구비한 지상파 TV 매체의 경우 도 2a에 예시된 바와 같이, 방송화면의 하단 또는 우측 일부를 통해 표시되는 자막 데이터로 제공될 수 있으며, 양방향 인터랙션 기능을 구비한 인터넷 프로토콜(IP) TV, 또는 CATV 매체의 경우 도 2b 및 도 2d에 예시된 바와 같이, 방송화면 속 중간에 자막 또는 이미지 형태로 표시되는 트리거 데이터 또는 링크 데이터로 제공될 수 있고, 셋탑 박스 구동시스템을 내장하거나 IP 기반으로 구동되는 스마트 TV 매체의 경우 도 2c에 예시된 바와 같이 방송화면의 하단 일부를 통해 표시되는 자막 데이터로 제공될 수 있다.
특히 이러한 방송제작 및 송출부(140)에서는 데이터 처리부(122)를 통해 실적 처리 및 통계 처리된 여론조사 결과 데이터를 오프라인 또는 온라인 상의 여론조사 의뢰자에게 직접 또는 이메일 또는 다른 통신 수단을 통해 전송하거나 또는 상기 전용채널의 PIP 화면 또는 상기 비전용채널의 화면 속 팝업 알림정보 또는 그에 트리거되거나 링크된 PIP 화면으로 전환하여 실시간으로 송출함으로써 여론조사용 전용채널을 시청하는 시청자 또는 미리 제휴된 비전용채널을 시청하는 시청자로 하여금 실시간으로 이루어지는 여론조사 결과를 서비스받을 수 있게 한다. 이때에도 전용채널의 PIP 화면 또는 비전용채널의 화면 속 팝업 알림정보에 트리거되거나 링크된 PIP 화면에는 여론조사결과 및/또는 그 통계정보 등을 설명하기 위해 시청자 속성별로 구분되어 이미지화된 캐릭터정보가 포함되어 제시될 수 있다.
이상의 방송제작 및 송출부(140)에서 여론조사 결과 데이터 송출시 전환되는 전용채널의 PIP 화면 또는 비전용채널의 화면 속 팝업 알림정보에 트리거되거나 링크된 PIP 화면은, 수집된 여론조사 결과 데이터에 따라 그 갯수가 다수의 N개 화면으로 분할된 PIP 화면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의한 실시간 여론조사 서비스가 실시되는 과정에서, 자사의 전용 채널을 통해 송출 가능한 편성 프로그램으로는, 드라마, 예능, 교양, 시사, 광고 프로그램 등이 될 수 있다. 드라마의 경우, 예를 들면 시나리오 전개방향에 대한 여론조사를 실시하여 시청자의 선호도 조사결과에 따라 시나리오 방향을 다르게 전개하거나, 또는 이야기 전개 방향이 다른 두 개 이상의 시나리오를 PIP 화면 분할하여 동시에 출력되도록 하고 가변수신 기술을 적용하여 시청자가 선호하는 시나리오의 드라마를 시청할 수 있게 하거나, 또는 그외에 집단 지성을 통해 수집된 정보를 드라마 대사에 직접 활용하도록 프로그램을 기획할 수 있을 것이다.
예능 프로그램의 경우, 예를 들면 도전 프로그램에 대해서는 핸드폰, 온라인 등을 통해 자신의 노래를 UCC로 만들어 업로드시킨 후 DB에서 시청자들이 직접 보고 평가할 수 있는 여론조사를 실시하거나, 또는 정기적으로 예선을 거친 최후 후보들에 대한 여론조사를 실시하여 토너먼트 형식으로 결선에 진행할 수 있도록 하거나, 또는 장르별 음악 관련 대학생, 교수, 전문가, 일반 시청자 등의 장르별 선호도에 대한 여론조사를 실시하여 그 선호도에 따라 프로그램 라인을 다양하게 확장하도록 프로그램을 기획할 수 있을 것이다. 반면에 챠트 프로그램에 대해서는 음악/영화의 노출과 함께 실시간 선호도 조사를 실시하거나, 또는 노래별/가수별/영화별/장르별 등의 선호도, 랭킹 조사를 실시하거나, 또는 성별/연령별/지역별/선호유형/선호추이 등의 여론조사를 통해 분석 자료의 판매가 가능하도록 프로그램을 기획할 수 있을 것이다.
교양 프로그램의 경우, 예를 들면 일반적 상식과 전혀 다른 통계적 사실을 실제 여론조사 결과를 통해 제시하거나, 또는 잘못된 상식의 수정, 통계적 사실이 주는 교훈, 및 과거와 달라진 통계적 사실들을 원인 해석 및 설명과 함께 전달하거나, 남과 여, 실버세대와 X세대, 국내파와 해외파 등의 여러 집단 간의 문화, 심리, 사회적 인지, 태도, 행동의 차이 및 갈등 요소들을 여론 조사를 통해 보여 주고 그에 대한 원인을 해석해 주며 세대간 공감을 유도하도록 프로그램을 기획할 수 있을 것이다.
시사 프로그램의 경우, 예를 들면 철학적인 논리, 정치, 경제, 사회, 문화, 지역 등 사회적 이슈들에 대해 올바른 정보와 다양한 의견 제시를 통한 바람직한 방향성을 모색하거나, 다양한 의견과 방향성에 대해 공감 유도 및 합의를 도출하도록 프로그램을 기획할 수 있을 것이다.
광고 프로그램의 경우, 예를 들면 광고형 여론조사 프로그램에 대해서는 지정된 시간 동안 특정 광고(홍보영상)를 제시한 후 해당 광고 제품/서비스에 대한 인지, 태도, 행동 관련 여론조사 방송을 진행하거나, 해당 제품에 대한 정보 요청 및 구매 요청 시 홈쇼핑으로 연결할 수 있는 방송을 진행하거나, 시청률, 제품/서비스 관련 태도, 광고 응답율(정보 요청율, 구매율) 등 구매 프로세스별 지표 조사를 위한 여론조사 프로그램을 기획할 수 있을 것이다. 반면에 아이디어형 여론조사 프로그램에 대해서는 특정 제품 및 서비스 등에 대한 제한된 정보를 제시한 후 시청자들로부터 추가적인 아이디어를 모으기 위한 여론조사를 진행하거나, 집단 지성을 활용해 최고 아이디어를 수집하고 시청자 서베이 결과 최고의 아이디어에 대해 상금을 지급하는 여론조사를 진행하거나, 실감형/가상현실/증강현실로 제품/서비스에 대한 정보 제공 후 보완 아이디어를 수집하는 여론조사를 실시하도록 프로그램을 기획할 수 있을 것이다.
비용 결제부(150)는 의뢰자 단말기를 통해 입력되는 여론조사의 대행 및 등록을 위한 비용의 산출 및 비용결제를 위한 절차를 안내하는 비용결제화면을 제공하고, 상기 비용결제화면을 통해 여론조사 의뢰자로부터 비용 결제에 필요한 결제정보를 입력받아 상기 산출된 비용의 결제절차를 실행한다. 이러한 비용 결제 절차는 필요에 따라 오프라인에서 직접 실시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보상 관리부(160)는 데이터 수집 및 처리부(120)에서 수집된 응답정보의 유효성 여부를 체크하여, 유효한 응답정보를 입력한 시청자 회원 또는 인증된 시청자에 대하여서는 미리 설정된 액수의 사이버 머니를 제공한다. 이러한 사이버 머니는 여론조사 의뢰자로부터 펀딩된 기금의 일부를 감산하여 회원 또는 인증된 시청자에게 제공되는 금액일 수 있으며, 여론조사의 종류에 따라 액수가 다르게 제공될 수도 있고, 정기적인 여론에 대하여 응답정보를 규칙적으로 제공하는 우수한 패널에게 시상되는 소정의 경품, 또는 각종 이벤트 프로그램 행사 참가 자격일 수도 있다.
또한 보상 관리부(160)에서는 상기 여론조사응답의 조건으로 제공되는 사이버 머니를 각 시청자 회원 또는 인증된 시청자에 대해 개인별로 누적 카운트한 후 일정 금액 이상의 누적 금액에 대해서는 상품 구매시에 비용 결제가 가능하도록 현금화할 수 있다. 이렇게 누적되거나 현금화되는 사이버 머니는 타방송사의 영화, 음악, 게임 등의 컨텐츠 이용시 결제수단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기타 제휴된 온라인 공간 및 오프라인 매장(도서구입, 영화관람, 스포츠관람, 식음료 구매, tv 시청료 납부, 통신요금, 세금 납부 등)에서도 결제수단으로 사용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부(200)는 여론조사 응답자의 속성별 개인정보, 여론조사를 위한 시나리오 및 템플릿, 여론조사 응답자로부터 수집되는 여론조사 데이터, 및 여론조사 의뢰자 정보를 각각 구분하여 저장한다. 이를 위하여 데이터베이스부(200)는 시청자 회원 DB(210), 여론조사 시나리오 및 템플릿 DB(220), 조사 DB(230), 및 의뢰자 회원 DB(2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시청자 회원 DB(210)는 여론조사 응답자의 속성별 개인정보를 각각 구분하여 회원정보로 저장한다. 상기 시청자 회원 DB에 저장되는 시청자 회원 및 여론조사 응답자들에 대한 개인별 속성정보는, 성별, 연령, 주소, 학력, 직업, 및 월 가구 수입정보 중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정보가 포함되는 1차 속성정보와, IT, 자동차, 건강, 문화생활, 취미, 소비성향정보, 및 라이프 스타일 중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정보가 포함되는 2차 속성정보이다.
여론조사 시나리오 및 템플릿 DB(220)는 디지털 방송매체를 통해 송출될 여론조사를 위한 시나리오 및 템플릿을 저장한다.
조사 DB(230)는 여론조사 응답자로부터 수집되는 여론조사 데이터, 및 여론조사 응답결과에 관한 실적 정보 및 그 통계 정보를 각각 구분하여 저장한다.
의뢰자 회원 DB(240)는 여론조사 의뢰자 정보를 회원정보로 저장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디지털 방송매체 기반의 실시간 여론조사 서비스방법을 실현하기 위하여 여론조사 대행 서버(100)가 처리하는 개략적인 동작 흐름도이고, 도 4 내지 도 8은 도 3의 각 단계별 동작을 설명하기 위하여 예시한 참고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디지털 방송매체 기반의 실시간 여론조사 서비스과정은 크게 5단계로 세분화할 수 있으며, 패널 모집단계(도 4 참조), 여론조사 의뢰 및 입력단계(도 5 참조), 여론조사용 시나리오 및 템플릿 송출단계(도 6 참조), 여론조사 응답데이터 수집단계(도 7 참조), 및 여론조사 결과데이터 송출단계(도 8 참조)로 구분된다.
패널 모집단계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청자 단말기(20)와 여론조사 대행 서버(100)의 회원 관리부(110) 사이에서 실행되며, 이 단계에서는 이동통신망을 통해 접속되는 모바일 단말기의 사용자, 또는 TV망을 통해 접속되는 시청자, 또는 인터넷 온라인 망을 통해 접속되는 컴퓨터 단말기의 사용자로부터, 회원가입 요청이 있는 사용자의 개인정보를 입력받아 여론조사대상 범위 내의 여론조사 응답 자격이 있는 사용자들에 대한 개인별 속성정보를 시청자 회원정보로 등록 및 저장한다. 이때 여론조사 응답자들에 대한 개인별 속성정보는 1차 속성정보와 2차 속성정보로 각각 구분되어 저장되고, 여기서 1차 속성정보에는 성별, 연령, 주소, 학력, 직업, 및 월 가구 수입정보 중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정보가 포함되고, 2차 속성정보에는 IT, 자동차, 건강, 문화생활, 취미, 소비성향정보, 및 라이프 스타일 중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정보가 포함된다. 상기 회원 관리부(110)가 추출하는 여론조사대상 범위 내의 응답자격이 있는 일반 패널은 미리 설정된 연령대(예를 들면 만 20~60대)에 의한 필터링을 통해 추출되는 특정 연령대의 남자 또는 여자가 될 수 있다. 또한 전국적인 모집단의 특성을 반영하여 여론조사의 신뢰도 및 타당성을 보증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필요에 따라서는 지역을 기준으로 하는 필터링을 통해 전국적인 지역별 인구비례에 따라 각 지역별로 일정 인원수의 표본을 추출하여 패널 자격을 부여할 수도 있다. 또한 여론조사의 특성상 미성년자(부모의 동의 필요) 또는 고령자에 의한 응답을 필요로 하는 경우 그에 대응하는 다른 조건의 필터링을 통해 추출되는 사용자에게 일반 패널의 자격을 부여할 수도 있을 것이다.
여론조사 의뢰 및 입력단계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한 온라인 상의 의뢰자 단말기(10)와 여론조사 대행 서버(100)의 여론조사 시나리오 및 템플릿 관리부(130), 또는 오프라인 상의 의뢰자가 자사에 직접 전달한 자료를 입력하는 관리자 단말기(30)와 여론조사 대행 서버(100)의 여론조사 시나리오 및 템플릿 관리부(130) 사이에서 실행될 수 있으며, 이 단계에서는 온라인 또는 오프라인 상의 여론조사 의뢰자(타 방송사, 자체 기획, 기업, 공공기관, 단체나 협회, 개인 등)로부터 여론조사에 필요한 여론조사 자료정보, 의뢰자정보를 입력받아 여론조사용 시나리오 및 템플릿을 작성하고 의뢰자 정보와 함께 데이터베이스에 등록 및 저장한다. 이 여론조사 의뢰 및 입력단계에서는 비용 결제단계를 연동하여 함께 실행할 수 있으며, 이러한 비용 결제단계를 통해 여론조사의 대행 및 등록을 위한 비용의 산출 및 비용결제를 위한 절차를 안내하는 비용결제화면을 제공하고, 이 비용결제화면을 통해 여론조사 의뢰자로부터 비용 결제에 필요한 결제정보를 입력받아 상기 산출된 비용의 결제절차를 실행한다.
여론조사용 시나리오 및 템플릿 송출단계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청자 단말기(20)와 여론조사 대행 서버(100)의 방송 제작 및 송출부(140) 사이에서 실행되며, 상기 선행 단계에서 작성된 여론조사용 시나리오 및 템플릿을 방송용 화면으로 제작 및 전환하여 전용채널을 통해 송출되는 편성 프로그램의 방송화면 내에 PIP 화면으로 송출하면서 동시에 미리 제휴된 타사의 하나 이상의 비전용채널을 통해 화면 속 팝업 알림정보로 송출한다. 이때 비전용채널을 통해 송출되는 화면 속 팝업 알림정보는 여론조사용 시나리오 및 템플릿에 대한 PIP 화면의 팝업 알림정보로서, 도 2a 내지 도 2d에 예시된 바와 같이 디지털 방송 매체의 종류에 따라 자막 데이터 또는 이미지 데이터로 제공되며, 팝업 알림정보의 수락여부를 묻는 질의문이 포함되어 전송된다. 모바일의 경우는 애플리케이션이나 메일, 메시지 등을 통해 조사 관련 알림 정보를 패널, 여론조사 응답자, 시청자 등에게 발송할 수 있다. 따라서 여론조사용 시나리오 및 템플릿 송출단계에서는 상기 질의문에 대한 시청자의 응답여부를 체크하여, 팝업 알림이 수락된 비전용채널에 대해서만 전용채널에 송출되는 여론조사용 PIP 화면과 동일한 PIP 화면을 송출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송출되는 전용채널의 PIP 화면 또는 상기 비전용채널의 화면속 팝업 알림정보에 트리거되거나 링크된 PIP 화면에는 여론조사의 내용을 설명하고 그 응답절차를 안내하기 위해 시청자 속성별로 구분되어 이미지화된 캐릭터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여론조사 결과데이터 수집단계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청자 단말기(20)와 여론조사 대행서버(100)의 데이터 수집 및 처리부(120) 사이에서 실행될 수 있으며, 이 단계에서는 데이터 수집부(121)를 통해 전용채널의 PIP 화면 및 비전용채널의 화면 속 팝업 알림정보와 트리거되거나 링크된 PIP 화면을 통해 입력되는 회원 등록된 시청자, 또는 본인 여부 확인 및 답례비 등의 수령을 위한 전화번호 확인 등의 몇가지 인증을 거친 시청자에 의한 유효 응답정보를 실시간 수집하고, 데이터 처리부(122)를 통해 여론조사 문항별 또는 응답 종류별로 실적 처리 및 통계 처리하여 여론조사 응답결과에 관한 실적정보 및 통계정보를 여론조사 결과데이터로 데이터베이스에 등록 및 저장한다. 아울러 이러한 데이터 수집단계에서는 전용채널의 PIP 화면 및 비전용채널의 PIP화면을 통해 입력되는 회원 등록된 시청자, 또는 인증된 시청자로부터의 응답정보에 대한 유효성 여부가 체크되며, 유효한 응답정보를 입력한 시청자 회원, 또는 인증된 시청자에 대하여 미리 설정된 액수의 사이버 머니가 제공된다. 응답정보의 유효성 판단은 응답정보가 수집되는 순서에 따라 미리 지정된 갯수 또는 시간 내에 선착순으로 수집되는 응답정보가 유효 샘플로 추출되고, 상기 선착순마감 이후에 수집되는 상기 응답정보에 대해서는 무작위 추첨을 통해 유효 샘플로 추출된다. 사이버 머니는 여론조사 의뢰자로부터 펀딩된 기금에서 일정 금액을 감산하여 여론조사 응답에 대한 답례비로 제공되며, 이러한 사이버 머니는 각 시청자 정보에 대해 개인별로 누적 카운트되고 만약 일정 금액 이상의 누적 금액에 대해서는 상품 구매시에 비용 결제가 가능하도록 현금화된다.
여론조사 결과데이터 송출단계는 도 8에 예시된 바와 같이 온라인 또는 오프라인 상의 의뢰자 단말기(10) 또는 시청자 단말기(20), 및 여론조사 대행 서버(100)의 데이터 처리부(122) 및 방송 제작 및 송출부(140) 사이에서 실행되며, 여론조사 문항별 또는 응답 종류별로 실적 처리 및 통계 처리된 여론조사 응답결과에 관한 실적정보 및 통계정보는 오프라인 또는 온라인 상의 여론조사 의뢰자에게 직접 또는 이메일이나 문자 메시지를 통해 전송되고, 아울러 전용채널의 PIP 화면 또는 비전용채널의 화면 속 팝업 알림정보 또는 그에 트리거되거나 링크된 PIP 화면으로 전환된 여론조사 응답결과에 관한 실적정보 및 통계정보는 방송제작 및 송출부(140)를 통해 송출된다. 이러한 여론조사 결과데이터 송출단계에서도 전용채널의 PIP 화면 또는 상기 비전용채널의 화면 속 팝업 알림정보에 트리거되거나 링크된 PIP 화면에는 여론조사결과에 대해 설명하고 그 응답결과에 관한 실적정보와 통계정보를 소개하기 위한 캐릭터정보가 시청자 속성별로 이미지화된 형태로 포함될 수 있으며, PIP 화면은 여론조사 결과 데이터에 따라 그 갯수가 다수 개의 화면으로 분할된 PIP 화면으로 제공될 수 있게 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동작 및 그에 의한 작용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여론 조사를 위해서는 조사에 응답할 정식 패널의 모집이 선행되어야 하므로, 패널 모집 단계에서, 여론조사 대행 서버(100)의 회원 관리부(110)는 이동통신망, 또는 TV망, 또는 인터넷 온라인 망을 통해 접속되는 시청자 단말기(20)에 패널 모집을 위한 안내를 실시하고, 시청자 단말기(20)로부터 사용자의 회원가입 요청이 있는 경우, 이러한 사용자의 회원가입 요청에 의해, 사용자들로부터 개인별 속성정보(1차 속성정보와 2차 속성정보)을 입력받고, 여론조사 대상 범위(성별, 연령, 주소 등) 내의 여론조사 응답 자격이 있는 사용자 정보를 시청자 회원정보로 회원 데이터베이스에 등록 및 저장한다.
다음으로 여론조사정보 의뢰 및 입력단계에서, 여론조사 의뢰자에 의한 여론조사정보 의뢰 및 입력은 여론조사 의뢰자가 오프라인에서 여론조사자료정보와 의뢰자정보 등을 전달 및 의뢰하여 관리자 단말기(30)를 통해 정보를 등록하거나, 또는 여론조사 의뢰자가 의뢰자 단말기(10)를 통해 여론조사 대행 서버(100)에 접속하여 여론조사 자료정보와 의뢰자 정보를 온라인으로 직접 입력하여 여론조사를 의뢰하는 것을 통해 이루어진다.
온라인 의뢰 및 입력의 경우 여론조사 의뢰자는 의뢰자 단말기(10)를 통해 인터넷 또는 모바일 또는 디지털 TV망의 전용채널을 선택하여 여론조사 대행 서버(100)에 접속한 후 의뢰자 정보 입력 및 회원 가입을 실시한 후 그 의뢰자의 회원정보를 바탕으로 로그인을 실시한 상태에서 여론조사에 필요한 여론조사 자료정보를 등록할 수 있게 된다. 이후 여론조사 의뢰자는 여론조사 자료정보를 등록한 후 대행 수수료를 송금하거나 또는 온라인 비용결제를 위해 여론조사 대행 서버(100)에 승인요청하고, 비용 결제부(150)를 통해 결제가 완료되면 여론조사 대행 서버(100)로부터 결제가 완료되었음을 SMS로 통보받게 된다.
이와 같이 결제가 완료되면, 여론조사 대행 서버(100)의 여론조사 시나리오 및 템플릿 관리부(130)는 의뢰자 단말기(10) 또는 관리자 단말기(30)로부터 전송되거나 입력된 여론조사에 필요한 여론조사자료정보, 의뢰자정보를 입력받아 여론조사용 시나리오 및 템플릿을 작성하고 의뢰자 정보와 함께 데이터베이스에 등록 및 저장한다.
다음으로 여론조사용 시나리오 및 템플릿 송출단계에서, 여론조사 대행 서버(100)의 방송 제작 및 송출부(140)는 상기 선행 단계에서 여론조사 시나리오 및 템플릿 관리부(130)에 의해 작성된 여론조사용 시나리오 및 템플릿을 방송용 화면으로 제작 및 전환하여 전용채널을 통해 송출되는 편성 프로그램의 방송화면 내에 PIP 화면으로 송출하여 여론조사를 실시간으로 실시할 수 있게 하며, 아울러 미리 제휴된 타사의 하나 이상의 비전용채널에는 여론조사용 시나리오 및 템플릿에 대한 PIP 화면의 팝업 알림을 위한 팝업 알림정보를 송출한다.
이때 비전용채널을 통해 송출되는 PIP 화면 팝업 알림정보에는 팝업 알림정보의 수락/거절여부를 묻는 질의문이 포함되어 전송된다. 따라서 시청자가 비전용채널을 시청하는 중에 채널을 변경하지 않은 상태에서 리모콘(또는 자체 키입력수단)으로 상기 PIP 화면 팝업 알림정보에 포함된 질의문을 선택하여 여론조사용 PIP 화면의 팝업을 수락하게 되면, 해당 질의문에 대한 선택정보가 방송제작 및 송출부(140)로 전달되고, 따라서 방송 제작 및 송출부(140)에서는 각각의 비전용채널 상에서 이루어지는 상기 질의문에 대한 시청자의 응답여부를 체크할 수 있게 된다. 이로써 여론조사 대행서버(100)의 방송 제작 및 송출부(140)는 PIP 화면의 팝업 알림이 수락된 비전용채널에 대해서만 전용채널에 송출되는 여론조사용 PIP 화면과 동일한 PIP 화면을 송출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송출되는 전용채널의 PIP 화면 또는 비전용채널의 화면 속 팝업 알림정보에 트리거되거나 링크된 PIP 화면에는 시청자 속성별로 구분되어 이미지화된 캐릭터정보가 포함되어 이러한 캐릭터를 통해 여론조사의 내용을 설명하고 그 응답절차를 안내할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여론조사 결과데이터 수집단계에서, 여론조사 대행서버(100)의 데이터 수집 및 처리부(120)는 먼저, 데이터 수집부(121)를 통해 전용채널의 PIP 화면 및 비전용채널의 화면 속 팝업 알림정보와 트리거되거나 링크된 PIP 화면을 통해 입력되는 회원 등록된 시청자 또는 본인 여부 확인 및 답례비 등의 수령을 위한 전화번호 확인 등의 몇가지 인증을 거친 시청자에 의한 유효 응답정보를 실시간 수집하고, 데이터 처리부(122)를 통해 여론 문항별 또는 응답 종류별로 실적 처리 및 통계 처리하여 여론조사 응답결과에 관한 실적정보 및 통계정보를 여론조사 결과데이터로 데이터베이스에 등록 및 저장한다.
이때 데이터 수집부(121)에서는 전용채널의 PIP 화면 및 비전용채널의 PIP화면을 통해 회원 등록된 시청자 또는 인증된 시청자로부터의 응답정보가 입력되는 경우, 그 응답 정보에 대한 유효성 여부를 체크하여 유효한 응답정보를 수집한다. 이러한 유효성 여부는 미리 설정된 필터링 조건에 의해 판단하며, 예를 들면 응답정보가 수집되는 순서에 따라 미리 지정된 갯수 또는 지정된 시간 내에 선착순으로 수집되는 응답정보를 유효 샘플로 추출하고, 선착순마감 이후에 수집되는 응답정보에 대해서는 무작위 추첨을 통해 유효 샘플로 추출한다. 이와 같이 유효한 응답정보를 입력한 시청자 회원 또는 인증된 시청자에 대하여는 여론조사 의뢰자로부터 펀딩된 기금에서 일정 금액을 감산하여 미리 설정된 액수의 사이버 머니를 제공한다. 이러한 사이버 머니는 각 시청자 정보에 대해 개인별로 누적 카운트되며, 일정 금액 이상의 누적 금액에 대해서는 상품 구매 등에 비용 결제가 가능하도록 현금화된다.
마지막으로 여론조사 결과데이터 송출단계에서, 여론조사 대행서버(100)는 데이터 처리부(122)에서 여론조사 문항별 또는 응답 종류별로 실적 처리 및 통계 처리된 여론조사 응답결과에 관한 실적정보 및 통계정보를 오프라인의 여론조사 의뢰자에게 직접 전송한다. 이와 아울러 상기 데이터 처리부(122)에서 처리된 여론조사 응답결과에 관한 실적정보 및 통계정보는 방송제작 및 송출부(140)에서 전용채널의 PIP 화면 또는 비전용채널의 화면 속 팝업 알림정보 또는 그에 트리거되거나 링크된 PIP 화면으로 전환되어 각각의 채널들로 송출된다. 이들 PIP 화면은 여론조사 결과 데이터에 따라 그 갯수가 다수 개로 분할 표시되며, PIP 화면 내에는 시청자 속성별로 이미지화된 캐릭터정보가 제공되어, 이 캐릭터를 통해 상기 여론조사결과에 대해 설명하고 그 응답결과에 관한 실적정보와 통계정보를 소개할 수 있게 한다.
이상의 본 발명에 의하면, 비전용채널을 시청하는 시청자가 여론조사용 전용채널로 직접 채널을 전환하지 않는 상태에서도 현재 시청중인 타사의 비전용채널을 통해 전용채널에서 실시되는 실시간 여론조사에 응답하고 이를 수집할 수 있게 되므로, 디지털 방송매체와 시청자 간 쌍방향 데이터 교류가 광범위하게 일어나 여론조사 정보의 비대칭성 및 정보 격차를 해소할 수 있고, 또한 그 여론조사 결과 및 통계정보를 디지털 방송매체를 통해 투명하게 공개할 수 있게 되므로, 광고나 TV 프로그램, 또는 국가적인 정책수립이나 사회적인 이슈 등에 의한 다양한 목적의 실시간 여론조사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 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아래에 기재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파악되어야 하고, 이의 균등 또는 등가적 변형 모두는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 : 의뢰자 단말기 20 : 시청자 단말기
30 : 관리자 단말기 100 : 여론조사 대행서버
110 : 회원관리부 120 : 데이터 수집 및 처리부
130 : 여론조사시나리오 및 템플릿 관리부
140 : 방송제작 및 송출부 150 : 비용 결제부
160 : 보상 관리부 200 : 데이터 베이스
210 : 시청자 회원 DB 220 : 조사 DB
230 : 여론조사시나리오 및 템플릿 DB 240 : 의뢰자 회원 DB

Claims (18)

  1. 여론조사에 필요한 여론조사 자료정보와 의뢰자정보를 입력받아 여론조사용 시나리오 및 템플릿을 작성하고 여론조사용 시나리오 및 템플릿을 방송용 화면으로 제작 및 전환하여 전용채널을 통해 송출되는 편성 프로그램의 방송화면 내에 PIP 화면으로 송출하면서 동시에 미리 제휴된 하나 이상의 비전용채널을 통해 화면 속 팝업 알림정보로 송출하며 전용채널의 PIP 화면 및 비전용채널의 팝업 알림정보와 트리거되거나 링크된 PIP 화면을 통해 입력되는 회원 등록된 시청자에 의한 유효 응답정보를 실시간 수집하여 그 여론조사 결과 데이터를 전용채널의 PIP화면 또는 비전용채널의 화면속 팝업 알림정보 또는 그에 트리거되거나 링크된 PIP 화면으로 전환하여 송출하는 여론조사 대행서버;
    이동통신망 또는 인터넷망을 통해 상기 여론조사 대행 서버에 접속되며, 여론조사에 필요한 여론조사 자료정보, 여론조사 의뢰자 정보를 입력받아 상기 여론조사 대행 서버에 전달하거나 상기 여론조사 대행 서버로부터 수신되는 조사대행 및 온라인 등록을 안내하는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의뢰자 단말기;
    이동통신망 또는 TV 망 또는 인터넷망을 통해 상기 여론조사 대행 서버에 접속되며, 전용채널을 통해 수신되는 PIP 화면 또는 미리 제휴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비전용채널을 통해 수신되는 비전용채널의 화면 속 팝업 알림정보 또는 그에 트리거되거나 링크된 PIP 화면을 디스플레이하거나, 상기 전용채널 또는 비전용채널의 PIP 화면을 통해 입력되는 시청자의 회원정보, 여론조사 응답정보를 입력받아 상기 여론조사 대행 서버에 전달하는 시청자 단말기;
    관리자 권한을 가진 사용자에 의해 상기 여론조사 대행 서버에 접근하여 시스템의 전체적인 동작을 제어하며, 오프라인으로 전달되는 여론조사에 필요한 여론조사 자료정보, 여론조사 의뢰자 정보의 입력을 위한 관리자 단말기; 및
    여론조사 응답자의 속성별 개인정보, 여론조사를 위한 시나리오 및 템플릿, 여론조사 응답자로부터 수집되는 여론조사 데이터, 및 여론조사 의뢰자 정보를 각각 구분하여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매체 기반의 양방향 실시간 여론조사 서비스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베이스부는,
    여론조사 응답자의 속성별 개인정보를 각각 구분하여 회원정보로 저장하는 시청자 회원 DB;
    여론조사를 위한 시나리오 및 템플릿을 저장하는 여론조사 시나리오 및 템플릿 DB;
    여론조사 응답자로부터 수집되는 여론조사 데이터를 수집하여 여론조사 응답결과에 관한 실적 정보 및 그 통계정보를 각각 구분하여 저장하는 조사 DB; 및
    여론조사 의뢰자 정보를 회원정보로 저장하는 의뢰자 회원 DB;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매체 기반의 양방향 실시간 여론조사 서비스시스템.
  3. 제1항 또는 제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여론조사 대행 서버는,
    이동통신망 또는 TV망 또는 온라인 망을 통해 회원가입 요청이 있는 사용들로부터 회원 가입 및 등록 절차를 통해 여론조사대상 범위 내의 여론조사 응답 자격이 있는 사용자들에 대한 개인정보를 입력받아 시청자 회원 데이터베이스에 등록 및 저장하는 회원 관리부;
    상기 전용채널의 PIP 화면 및 비전용채널의 화면속 팝업 알림정보와 트리거되거나 링크된 PIP 화면을 통해 입력되는 회원 등록된 시청자 또는 인증된 시청자에 의한 유효 응답정보를 실시간 수집하여 여론조사 문항별 또는 응답 종류별로 실적 처리 및 통계 처리한 후 여론조사 응답결과에 관한 실적정보 및 통계정보를 여론조사 결과데이터로 데이터베이스에 등록 및 저장하는 데이터 수집 및 처리부;
    여론조사 의뢰자로부터 여론조사에 필요한 여론조사 자료정보, 의뢰자정보를 입력받아 여론조사용 시나리오 및 템플릿을 작성하고 의뢰자 정보와 함께 의뢰자 회원 데이터베이스에 등록 및 저장하는 여론조사 시나리오 및 템플릿 관리부;
    상기 작성된 여론조사용 시나리오 및 템플릿을 방송용 화면으로 제작 및 전환하여 전용채널을 통해 송출되는 편성 프로그램의 방송화면 내에 PIP 화면으로 송출하면서 동시에 미리 제휴된 하나 이상의 비전용채널을 통해 화면 속 팝업 알림정보로 송출하는 방송제작 및 송출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매체 기반의 양방향 실시간 여론조사 서비스시스템.
  4.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여론조사 대행 서버는,
    상기 입력된 여론조사의 대행 및 등록을 위한 비용의 산출 및 비용결제를 위한 절차를 안내하는 비용결제화면을 제공하고, 상기 비용결제화면을 통해 여론조사 의뢰자로부터 비용 결제에 필요한 결제정보를 입력받아 상기 산출된 비용의 결제절차를 실행하는 비용 결제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매체 기반의 양방향 실시간 여론조사 서비스시스템.
  5.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여론조사 대행서버는,
    상기 전용채널의 방송화면 및 비전용채널의 팝업 화면을 통해 입력되는 회원 등록된 시청자 또는 인증된 시청자로부터의 응답정보의 유효성 여부를 체크하여, 유효 응답정보를 입력한 시청자 회원 또는 인증된 시청자에 대하여 미리 설정된 액수의 사이버 머니를 제공하는 보상 관리부;를 더 포함하여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매체 기반의 양방향 실시간 여론조사 서비스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방송제작 및 송출부는,
    상기 수집된 여론조사 결과 데이터를 여론조사 의뢰자에게 전송하거나 상기 전용채널의 PIP 화면 또는 상기 비전용채널의 화면 속 팝업 알림정보 또는 그에 트리거되거나 링크된 PIP 화면으로 전환하여 송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매체 기반의 양방향 실시간 여론조사 서비스시스템.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시청자 회원 DB에 저장되는 시청자 회원의 개인별 속성정보는,
    성별, 연령, 주소, 학력, 직업, 및 월 가구 수입정보 중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정보가 포함되는 1차 속성정보와;
    IT, 자동차, 건강, 문화생활, 취미, 소비성향정보 및 라이프 스타일 중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정보가 포함되는 2차 속성정보;로 구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매체 기반의 양방향 실시간 여론조사 서비스시스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용채널의 PIP 화면 또는 상기 비전용채널의 화면 속 팝업 알림정보에 트리거되거나 링크된 PIP 화면에는 여론조사의 내용을 설명하고 그 응답절차를 안내하기 위해 시청자 속성별로 구분되어 이미지화된 캐릭터정보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매체 기반의 양방향 실시간 여론조사 서비스시스템.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비전용채널을 통해 송출하는 화면 속 팝업알림정보는,
    여론조사용 시나리오 및 템플릿에 대한 PIP 화면의 팝업 알림정보이며, 상기 팝업 알림정보의 수락여부를 묻는 질의문이 포함된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방송제작 및 송출부는,
    상기 질의문에 대한 시청자의 응답여부를 체크하여, 팝업 알림이 수락된 비전용채널에 대해서는 상기 전용채널에 송출되는 여론조사용 PIP 화면과 동일한 PIP 화면을 송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매체 기반의 양방향 실시간 여론조사 서비스시스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비전용채널을 통해 송출되는 화면 속 팝업알림정보는,
    셋탑 박스를 구비한 지상파 TV 매체의 경우 방송화면의 하단 또는 우측 일부를 통해 표시되는 자막 데이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매체 기반의 양방향 실시간 여론조사 서비스시스템.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비전용채널을 통해 송출되는 화면 속 팝업알림정보는,
    양방향 인터랙션 기능을 구비한 인터넷 프로토콜(IP)TV, 또는 CATV 매체의 경우 방송화면 속에 포함되어 자막 또는 이미지 형태로 표시되는 트리거 데이터 또는 링크 데이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매체 기반의 양방향 실시간 여론조사 서비스시스템.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비전용채널을 통해 송출되는 화면 속 팝업 알림정보는,
    셋탑 박스 구동시스템을 내장하거나 IP 기반으로 구동되는 스마트 TV 매체의 경우 방송화면의 하단 일부를 통해 표시되는 자막 데이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매체 기반의 양방향 실시간 여론조사 서비스시스템.
  13.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보상 관리부는,
    상기 전용채널의 PIP 화면 및 비전용채널의 PIP화면을 통해 입력되는 회원 등록된 시청자 또는 인증된 시청자로부터의 응답정보의 유효성 여부를 체크하여, 유효한 응답정보를 입력한 시청자 회원 또는 인증된 시청자에 대하여 미리 설정된 액수의 사이버 머니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매체 기반의 양방향 실시간 여론조사 서비스시스템.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보상 관리부는,
    각 시청자 정보에 대해 개인별로 사이버 머니를 누적 카운트하며, 일정 금액 이상의 누적 금액에 대해 상품 구매시에 비용 결제가 가능하도록 현금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매체 기반의 양방향 실시간 여론조사 서비스시스템.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보상 관리부는,
    상기 여론조사 의뢰자로부터 펀딩된 기금의 일부를 사이버 머니로 제공하며, 상기 펀딩된 기금의 일정 금액을 감산하여 상기 여론조사 응답에 대한 답례비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매체 기반의 양방향 실시간 여론조사 서비스시스템.
  1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수집 및 처리부는,
    상기 응답정보가 수집되는 순서에 따라 미리 지정된 갯수 또는 시간 내에 선착순으로 수집되는 상기 응답정보를 유효 샘플로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매체 기반의 양방향 실시간 여론조사 서비스시스템.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수집 및 처리부는,
    상기 선착순마감 이후에 수집되는 상기 응답정보에 대해서는 무작위 추첨을 통해 유효 샘플을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매체 기반의 양방향 실시간 여론조사 서비스시스템.
  1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방송제작 및 송출부에서 여론조사 결과 데이터 송출시 전환되는 상기 전용채널의 PIP 화면 또는 상기 비전용채널의 화면 속 팝업 알림정보에 트리거되거나 링크된 PIP 화면은, 상기 수집된 여론조사 결과 데이터에 따라 그 갯수가 다수 개의 화면으로 분할된 PIP 화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매체 기반의 양방향 실시간 여론조사 서비스시스템.
KR1020120092712A 2012-08-24 2012-08-24 디지털 방송매체 기반의 양방향 실시간 여론조사 서비스시스템 KR1012233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2712A KR101223317B1 (ko) 2012-08-24 2012-08-24 디지털 방송매체 기반의 양방향 실시간 여론조사 서비스시스템
PCT/KR2013/007439 WO2014030897A1 (ko) 2012-08-24 2013-08-20 디지털 방송매체 기반의 양방향 실시간 여론조사 서비스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2712A KR101223317B1 (ko) 2012-08-24 2012-08-24 디지털 방송매체 기반의 양방향 실시간 여론조사 서비스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23317B1 true KR101223317B1 (ko) 2013-01-21

Family

ID=478420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92712A KR101223317B1 (ko) 2012-08-24 2012-08-24 디지털 방송매체 기반의 양방향 실시간 여론조사 서비스시스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223317B1 (ko)
WO (1) WO2014030897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2627B1 (ko) * 2013-12-04 2014-11-21 (주)네오팝콘 방송 컨텐츠를 이용한 투표 시스템 및 그 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28649A (ja) * 2002-02-05 2003-08-15 Mitsubishi Electric Information Systems Corp 双方向放送を利用したマーケティングシステム及びその方法
KR100837777B1 (ko) * 2002-04-02 2008-06-13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근거리 무선통신을 이용한 양방향 멀티미디어 서비스 방법
KR100928624B1 (ko) * 2008-12-11 2009-11-26 최병섭 양방향 티브이에서의 광고 또는 설문조사를 위한 전용 채널운영 및 보상시스템과 그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72612B1 (ko) * 2003-09-24 2006-04-24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방송수신이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여론 조사시스템 및 그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28649A (ja) * 2002-02-05 2003-08-15 Mitsubishi Electric Information Systems Corp 双方向放送を利用したマーケティングシステム及びその方法
KR100837777B1 (ko) * 2002-04-02 2008-06-13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근거리 무선통신을 이용한 양방향 멀티미디어 서비스 방법
KR100928624B1 (ko) * 2008-12-11 2009-11-26 최병섭 양방향 티브이에서의 광고 또는 설문조사를 위한 전용 채널운영 및 보상시스템과 그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2627B1 (ko) * 2013-12-04 2014-11-21 (주)네오팝콘 방송 컨텐츠를 이용한 투표 시스템 및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4030897A1 (ko) 2014-0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380168B1 (en) Affinity marketing for interactive media systems
US20070100699A1 (en) Interactive System and Methods to Obtain Media Product Ratings
AU2008200279B8 (en) Computerized system and method for increasing the effectiveness of advertising
US20110067044A1 (en) Interactive platform for broadcast programs
US20020133817A1 (en) Affinity marketing for interactive media systems
US20050138560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broadcasting live personal performances over the internet
US20140365398A1 (en) System and methods for media consumption and ratings through mobile devices
JP2011517825A (ja) 電子投票の方法、この方法を実装するためのデコーダ、およびその方法を実装するための投票サーバを備えるネットワーク
KR100980643B1 (ko) 시청자 참여 방송 운용 시스템 및 방법
KR20190130182A (ko) 개인 영상제작자의 영상콘텐츠 기반 광고 중계시스템.
KR101174060B1 (ko) 광고 서비스 서버 시스템과 그에 연계된 디지털 텔레비전 방송 수신 시스템
US20110078005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vendor-sponsored access to media content
US20040254798A1 (en) Real-time interactive stock quotes using a broadcast channel
KR101223317B1 (ko) 디지털 방송매체 기반의 양방향 실시간 여론조사 서비스시스템
KR101223344B1 (ko) 디지털 방송매체 기반의 양방향 실시간 여론조사 서비스 방법 및 이를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US20120022918A1 (en) Method of conducting a live, real-time interactive reality show for people to seek advice
Medina et al. Current and emerging issues in the audiovisual industry
de Souza-Leão et al. Bouncing between screens: social TV and Brazilian NBA audience
KR20100079343A (ko) 상호 인터랙티브한 영상매체를 활용한 리서치 방법 및 장치
US20110078019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receiving vendor-sponsored access to media content
Vennou et al. Evaluating program-embedded advertisement format in interactive digital TV
US20120253887A1 (en) Methods and System for Obtaining and Using Opinions
KR20120112296A (ko) 방송 프로그램과 연계된 정보 제공 서비스 방법
Chan Perception of conventional TV and OTT video streaming platforms among university students in Klang Valley
Ilinanga An assessement of the levels of access to Digital Terrestrial Television (DTT) among low-income TV owning households in Kalingalinga township in Lusak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