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47661A - 티브이 광고효과 조사장치 - Google Patents

티브이 광고효과 조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47661A
KR20110047661A KR1020090104380A KR20090104380A KR20110047661A KR 20110047661 A KR20110047661 A KR 20110047661A KR 1020090104380 A KR1020090104380 A KR 1020090104380A KR 20090104380 A KR20090104380 A KR 20090104380A KR 20110047661 A KR20110047661 A KR 201100476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ewer
advertisement
module
advertising
advertising effe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043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종수
최성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조은시큐리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조은시큐리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조은시큐리티
Priority to KR10200901043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47661A/ko
Publication of KR201100476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4766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6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applications with a direct linking to broadcast information or broadcast space-time; Broadcast-related systems
    • H04H60/29Arrangements for monitoring broadcast services or broadcast-related services
    • H04H60/33Arrangements for monitoring the users' behaviour or opin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6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applications with a direct linking to broadcast information or broadcast space-time; Broadcast-related systems
    • H04H60/35Arrangements for identifying or recognising characteristics with a direct linkage to broadcast information or to broadcast space-time, e.g. for identifying broadcast stations or for identifying users
    • H04H60/37Arrangements for identifying or recognising characteristics with a direct linkage to broadcast information or to broadcast space-time, e.g. for identifying broadcast stations or for identifying users for identifying segments of broadcast information, e.g. scenes or extracting programme ID
    • H04H60/375Commerci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ocial Psychology (AREA)
  • Multimedia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정확한 TV 광고효과 조사를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안하기 위한 것으로서,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시청자의 시청 모습을 영상입력으로 받아들이는 카메라가 장착된 영상 수집 모듈과, 수집된 시청자의 영상에서 시청자의 성별, 연령대, 감정을 분석, 추출 및 기록하는 시청자 반응 분석 모듈과, 상기 분석 정보를 저장하는 TV 광고 시청 데이터 저장소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효과 조사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시청 정보를 외부로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효과 조사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티브이 광고효과 조사장치 및 조사방법{THE APPARATUS TO INVESTIGATE THE EFFECTIVENESS OF TV ADVERTISING AND THE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TV 광고효과의 정확한 분석 방법을 제공하는 기술에 관한 것으로, 특히 카메라가 장착된 셋톱 박스나 TV 세트에서 카메라를 통해 사용자의 표정을 수집하고 이 데이터를 이용하여 특정 광고에 대한 사용자의 감정을 분석함으로써 광고효과를 정확하게 측정, 분석 할 수 있도록 하는 TV 광고효과 조사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TV(아날로그 TV, 디지털 TV, IPTV 등을 포함하여 이하 'TV'로 통칭) 광고에 있어서, 광고효과 분석은 광고 기획 단계에서 표본을 선정하여 시청하게 한 후 반응을 분석하여 미리 광고효과를 예상하거나 일정 기간 동안 광고가 송출된 후에 오프라인 설문 등을 통하여 사용자의 기억에 의한 광고 효과와 호감도 등을 측정하거나 실제 제품이나 서비스의 판매 추이 등을 분석하는 방법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광고효과 분석 방법은, 대규모의 표본을 대상으로 하기가 어렵다는 점에서 표본의 선택이나 응답자의 기억력, 질문에 응하는 태도 등에 따라 그 결과가 달라질 수 있는 등 정확성에 문제가 있고, 시기적으로도 많은 비용을 들여 광고를 집행한 후에 분석을 하게 됨으로써 효과적이지 않은 광고의 경우에도 일정 기간 광고를 지속하게 되어 불필요한 비용을 낭비하게 되는 경향이 있다.
또한 TV 광고는 사용자 접근성이나 멀티미디어를 활용한다는 점 등에서도 어느 광고 매체보다도 효과적인 광고수단의 위치를 점하고 있으나 이러한 특성상 TV 광고를 위해서는 적지 않은 비용을 지불하여야 하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최근에는 TV 광고의 효과를 정확히 측정하여 효과적인 광고비 투자를 집행할 수 있는 방향으로 기술 발전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와 같은 종래의 기술에 있어서는 광고 기획 단계 또는 광고 실시 후에 일정 규모 표본에 의한 설문 조사에 의한 광고 효과 분석을 함으로써 실제 다양한 다수의 고객 반응을 정확하게 반영한다는 점이 어려워 광고의 지속이나 확대 여 부 등의 신속한 결정에도 어려움을 겪고 있다.
또한 최근에는 제품이나 서비스 경쟁이 더욱 치열해 지고 있고, 라이프 사이클이 짧아지는 경향, 판매에 끼치는 광고의 비중 등을 고려할 때 신속하고 정확한 광고효과의 분석과 그에 따른 대책 수립이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셋톱 박스 에 카메라를 장착하여 실제 방송 중인 TV 광고를 시청하는 시청자들의 반응을 바로 수집하고 이를 분석하는 분석모듈을 탑재하여 분석결과를 취합하는 시스템에 제공하여 전체적인 광고효과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분석할 수 있는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TV 광고 시청시 시청자의 반응을 영상으로 수집하기 위한 카메라 및 영상 수집 모듈과 수집된 영상 데이터를 분석하여 시청자의 반응을 얻어내는 분석 모듈과 분석된 정보를 특정 TV 광고와 연결하기 위해 채널 및 시간 정보와 연동하여 TV 셋톱 박스의 저장장치에 저장하는 기록 모듈 및 상기 분석 정보를 저장하는 TV 광고 시청 데이터 저장소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TV 광고 효과 조사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TV 시청 데이터 저장소에 저장되어 있는 광고 시청정보를 외부로 전송하는 광고 시청 데이터 제공모듈을 더 구비하는 것이 좋으며, 여기에서 상기 광고 시청정보의 제공은 주기적으로 이루어지거나, 요청에 의하여 이루어지도록 하여도 좋다.
상기 광고 시청정보의 제공여부를 판단하는 인증모듈을 더 구비하며, 상기 각 모듈은 셋톱 박스에서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주기적으로 TV 방송채널 정보 및 정보가 분석된 시간을 연결하여 기록하고, 그 시점에서의 연령대, 성별 등의 시청자 정보와 시청자별 반응 사용자 반응을 분류하여 저장하고, 상기 광고 시청정보를 외부로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효과 조사방법을 제공한다.
여기에서, 상기 광고 시청정보의 송신은 사용자의 인증여부를 판단하여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은, 셋톱 박스에 카메라를 장착하고 이를 통하여 시청자의 반응을 영상으로 수집하여 광고를 시청하는 시청자의 감정을 분석함으로써 광고효과가 기대했던 광고의도와 일치하는지를 정확히 파악할 수 있으며, 이러한 광고 시청정보를 광고주에게 제공함으로써 광고의 지속 여부, 확대실시 여부, 중단 여부 등의 판단을 용이하게 함으로써 광고비용의 효과적인 집행을 가능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에 의한 감정기반 광고효과 분석 기능이 탑재된 셋톱 박스를 포함하는 TV 광고효과 조사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을 위한 장치는 예를 들어 시청자의 반응을 수집하기 위한 카메라(1)를 셋톱 박스(2) 내부나 외부에 연결하여 구현되는 것이나 TV 등에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장치를 위하여, TV 광고 시청기록을 필요로 하는 광고효과 분석 시스템(3)과 광고 시청기록의 사용에 대한 권한을 가진 시청자(4)와 인증이나 과금을 대행해주는 인증기관(5)의 도움을 필요로 할 수 있다.
이하, 각 구성요소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카메라(1)는 시청자의 시청 모습을 수집하는 장치로 동영상 또는 주 기적인 정지영상 형태로 영상을 촬영한다.
광고효과 분석 에이전트는 셋톱 박스에 탑재되어 TV 광고 시청 데이터의 수집/분석/저장/제공/인증 기능 등을 수행하며 구체적으로 셋톱 박스에 탑재된 영상 수집 모듈, 시청자 반응 분석 모듈, 송신 모듈, 인증 모듈과 TV 광고 시청 데이터 저장소 등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광고효과 분석 에이전트(시청자의 광고 시청 정보를 수집, 추출하여 저장하고 인증 후 수요자에게 제공해 주는 역할을 수행하는 하기의, 영상 수집 모듈(2A), 시청자 반응 분석 모듈(2B), TV 광고 시청데이터 저장소(2C), 광고 시청 데이터 제공모듈(2D), 인증모듈(2E)을 지칭한다)가 탑재된 셋톱 박스(2)는 카메라를 통하여 영상으로 수집되는 시청자의 광고시청 정보를 분석하여 저장하고, 수요자의 요구에 대응하여 요청에 맞는 형태로 가공된 광고시청 정보를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셋톱 박스(2)는 실시간으로 TV 프로그램 시청이 가능하고 카메라와 통신 기능을 가지고 있어 광고 시청 기록의 제공이 가능한 TV 및 단말기를 포함할 수 있다. 셋톱 박스(2) 내에 있는 영상 수집 모듈(2A)은 동영상 형태 또는 주기적인 정지영상 형태로 TV를 시청중인 시청자를 포함하고 있는 영상을 카메라(1)를 통하여 수집하고 이 때 시청 중인 채널 정보와 시간 정보를 함께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시청자 반응 분석 모듈(2B)은 영상 수집 모듈(2A)에서 입력 또는 저장된 영상을 분석하여 시청자(들)의 얼굴을 추출해내고 이 얼굴에서 성별과 연령대, 즐거움, 화남, 슬픔, 짜증, 무표정 등의 감정을 판단하여 광고 시청정보 를 TV 광고 시청 데이터 저장소(2C)에 저장한다. 시청자 반응 분석 모듈(2B)은 셋톱 박스(2)의 부하와 데이터 제공의 시급성 등을 고려하여 실시간으로 처리되거나 나중에 일괄 처리될 수 있다. 셋톱 박스(2) 내에 있는 인증 모듈(2E)은 시청자(4)나 인증대행기관(5)의 사전 또는 실시간 승인에 의하여 시청기록 수요자의 요청을 접수하여 광고 시청 데이터 제공 모듈(2D)에게 제공여부를 허락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광고 시청 데이터 제공 모듈(2D)은 제공이 허용된 경우에 한해 수요자가 원하는 형태의 광고 시청기록 데이터를 추출하여 원하는 방법으로 제공한다. 이 때 데이터를 제공하는 방법으로는 주기적 또는 요청 시점에 광고효과 분석 시스템(3)으로 통신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송신하는 방법, 이메일에 파일 형태로 첨부하여 송신하는 방법, 웹 또는 전용 서버를 셋톱 내에 탑재하고 HTTP 등의 공개된 프로토콜과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래밍 인터페이스(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를 제공하여 분석 시스템에서 쉽고 편하게 가져가게 하는 방법 등을 포함한다.
광고효과 분석 시스템(3)은 시청자의 광고 시청 기록을 분석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인증모듈(3A)과 광고시청 데이터 수집모듈(3B)을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분석 시스템 내의 인증모듈(3A)은 인증대행기관(5)이나 시청자(4)에게 직접 원하는 표본에 대한 선정 및 TV광고 시청기록 제공요청을 한 후에, 시청자(4)나 인증대행기관(5)의 승인이 있었는지를 확인하고 승인이 확인된 셋톱 박스(2)에 대해 광고 시청 데이터 수집모듈(3B)이 데이터의 수집이 가능하도록 리스트에 저장하는 등의 적절한 처리를 수행한다. 상기 광고 시청 데이터 수집모듈(3B)은 두 가지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하나는 서버 모드로 동작되는 것으로서, 이 때는 시청 데이터를 제공하려는 셋톱 박스(2)의 에이전트들의 접속 대기 및 수락을 통하여 데이터의 수신 및 저장 기능을 수행한다. 다른 하나는 클라이언트 모드로 동작하는 것으로서, 이 때는 접근 및 데이터 획득이 가능한 셋톱 박스(2)의 목록을 가지고 접근하여 셋톱 박스(2)들로부터 데이터를 획득하여 저장하는 방식으로 동작한다. TV 광고 시청 데이터 저장소(3C)에는 상기 수집모듈이 수집한 광고 시청 데이터가 분석 모듈(3D)에 의하여 사용가능하도록 저장된다.
셋톱 박스 소유자(5)는 기본적으로 셋톱박스 소유자인 시청자를 의미하나 사용자 인증이나 식별 기능을 가지는 경우에는 복수가 될 수 있다. 시청자 또는 셋톱 박스(2)의 소유자는 TV 광고 시청 데이터의 사용요청을 인지하고 승인여부를 결정한다. 시청자는 수요자의 요청에 의한 데이터를 제공할 때 누구나 사용할 수 있는 무조건 승인과 시청 데이터의 제공댓가로 이에 대한 보상을 수요자로부터 직접 얻거나 대행기관을 통하여 얻을 수 있다.
인증대행기관(5)은 수요자로부터의 TV광고 시청데이터 사용승인, 대상선택, 과금, 시청데이터 제공 대가 지불 등을 효과적으로 대행해주는 기능을 수행한다. 대행기관은 TV 시청 데이터의 제공 및 사용 대가로 이에 대한 보상을 수요자로부터 과금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해 주는 과금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대행기관은 각 셋톱 박스(2)에서 수집, 저장된 TV 광고 시청 데이터를 별도로 수집하여 수요자들에게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 때 시청자의 제공의지에 따라 완전 개방되는 광고 시청 기록은 누구에게나 공개되어 사용될 수 있다.
이하, 정확한 시청자의 감정 기반 광고효과 조사를 효과적으로 수행하기 위한 광고효과 분석 에이전트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일반적인 광고효과 조사는 전면적인 광고 실시 후 표본을 추출하여, 분석기관의 수집 및 분석, 활용 등의 단계를 거친다. 광고 효과 분석 에이전트 탑재 시청률 조사 시스템은 이러한 과정을 근본적으로 개선한 것으로 카메라 영상을 통한 사용자 반응을 수집 및 분석하고 이 데이터를 이용하여 특정 광고의 전체적인 효과를 분석한다는 점에서 광고 실시 후 일부 사용자의 설문 응답이나 제품 판매 추이에 따른 광고효과 추정과는 차별성을 가진다. 따라서 여기서는 본 시스템의 광고효과 분석 에이전트의 특징인 광고 시청자의 영상 데이터 저장을 담당하는 영상 수집 모듈과 수집된 영상에서 사용자의 반응을 추출해 내는 시청자 반응 분석 모듈, 분석 시스템으로의 전송을 담당하는 시청 데이터 제공 모듈의 처리 방법을 각각 도2, 도3 및 도4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2는 셋톱 박스에 탑재되어 해당 셋톱 박스의 카메라로부터 시청자 영상을 입력받고 그 것을 이용하여 시청자 반응을 분석하고 그 결과로 생기는 모든 시청 정보를 저장소에 저장하는 사용자 반응 분석 모듈의 순서도로서, 각 단계의 설명은 아래와 같다.
사용자가 셋톱 박스의 전원을 켬에 따라 영상 수집 모듈(2A)이 작동을 시작한다. 이 작동은 셋톱 박스의 전원을 끄거나 사용자에 의해 수동으로 해당 모듈을 종료시키지 않는 한 지속적으로 수행된다(S10).
광고 시청 정보 기록시 향후 댓가 정산 등에 사용할 수 있도록 셋톱 박스 일련번호 등을 입력으로 사용한다(S20).
광고 프로그램에 대한 정보는 일반적으로 EPG(Electronic Program Guide) 등을 통하여 얻을 수 없기 때문에 정확한 방송 시간을 기록함으로써 향후 이 시간을 통하여 어떤 광고가 방송되었는지를 알아낼 수 있으므로 정확한 시간 설정이 무엇보다도 중요하며, 이를 위하여 NTP(Network Time Protocol)나 GPS 등을 이용하여 정확한 시간 설정을 수행하며, 카메라로부터 영상을 받아들이기 위한 초기 작업을 수행한다(S30).
TV의 전원이 켜져 있는지를 판단한다. 전원이 켜 있지 않은 경우 TV 시청 결과를 반영하는 것이 아니므로 일정 시간 대기하다가 이전 상태로 돌아간다(S40).
전원이 켜져 있는 경우에, 해당 시점의 시간과 선택 채널, 기기 일련번호 등의 셋톱 박스 정보를 입력으로 사용한다(S50).
상기 S50의 경우에, 전원이 켜져 있는 상태이므로 TV 화면과 나란히 설치되어 있는 카메라에 사용자의 얼굴이 잡히는 경우 사용자의 시선 이 TV를 향하고 있다고 볼 수 있으므로 이 때 사용자의 감정 반응은 TV 방송 내용에 대한 것이라고 볼 수가 있으며 이 때 광고를 포함해서 어떤 방송을 시청 중인가를 향후에 판단하기 위해서는 채널 정보와 시간 정보가 필요하며 이를 읽어 들여, 카메라로부터 읽어 들인 영상과 함께 입력으로 사용한다(S60).
상기 S60에서 읽어 들인 카메라 영상으로부터 시청자(들)의 얼굴을 추출해 내고 각 시청자들의 연령대, 성별, 표정에 기반한 감정을 판별하여 시청시간과 해당 채널 등을 TV 광고 시청 데이터 저장소(2C)에 기록한다. 이 때에 저장되는 항목들은 시청 채널, 초 단위까지 포함하는 영상 캡쳐 시간, 셋톱 박스 ID, 성별, 연령대, 웃음, 미소, 화남, 불편, 슬픔, 무표정 등으로 분류되는 시청자 반응 등을 포함한다. 다음 작업을 위하여 S40을 수행하기 위한 상태로 돌아간다(S70).
도3과 도4는 셋톱 박스에 탑재되어 해당 셋톱 박스에 저장되어 있는 TV광고 시청 정보를 원하는 수요자에게 제공하여 주는 TV 광고 시청 데이터 제공 모듈(2D)의 순서도로서, 각각 클라이언트 모드와 서버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를 보여준다. 실제 서비스 상황에서는 TV 광고 시청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해 필요에 따라 두 가지 모드 중 한 가지만을 이용하는 경우와 두 가지 모드를 함께 이용하는 경우 모두가 가능하다.
도3은 시청 데이터 제공 모듈(2D)이 클라이언트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의 순서도로서, 각 단계의 설명은 아래와 같다.
지정된 시간에 프로그램을 구동시켜 주는 스케줄러에 의해 해당 모듈이 실행된다(S80).
시청기록을 제공할 광고 효과 분석 시스템(3)의 시청 데이터 수집 모듈(3B)에 연결을 한다. 이 때 연결을 위한 사전 준비 과정으로 셋톱 박스의 소유자나 인증기관의 명시적, 묵시적 동의를 거칠 수 있다(S90).
TV 광고 시청 데이터 저장소(2C)에서 전송하여야 할 시점의 데이터를 입력으로 사용한다. 이 때, 전송하는 데이터는 주기적으로 장기간 제공하는 경우에 하루 단위의 데이터를 보낼 수도 있으며, 일회성으로 특정 시간대의 데이터를 추출하는 것도 가능하다(S100).
추출된 TV 광고 시청 데이터를 광고 효과 분석 시스템(3)으로 전송한다(S110).
전송이 성공적으로 완료되면 프로그램을 종료한다(S120).
도4는 TV 광고 시청 데이터 제공 모듈(2D)이 서버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의 순서도로서, 각 단계의 설명은 아래와 같다.
사용자가 셋톱 박스의 전원을 켬에 따라 상기 모듈이 실행된다(S130).
광고 효과 분석 시스템(3)의 TV 광고 시청 데이터 접속 요청을 기다린다(S140).
접속 요청이 오면, 이 접속이 유효한 접속인지를 판단한다. 인증이 성공한 경우에 데이터 제공을 위한 이후 단계를 수행하고, 실패할 경우에 새로운 접속을 기다리기 위한 상태로 돌아간다. 이 판단은 인증 모듈(3A)을 통한 인증 대행 기관이나 셋톱 박스 소유자의 사전 승인 여부를 이용하여 수행한다.(S150).
데이터 제공 요청자로부터의 사용 요청 내용을 입력으로 사용한다. 이 요청 내역에는 원하는 데이터의 시간 범위, 연령대, 성별, 시청 데이터 중 필요한 항목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분석 시스템의 부하를 줄일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S160).
상기 요청 내용을 분석한다(S170).
상기 요청 내용에 맞는 데이터를, 제공받기를 원하는 형식으로 TV 광고 시청 데이터 저장소(2C)에서 추출한다(S180).
추출한 내용을 전송한다(S190).
전송이 완료되면 해당 작업을 완료하여 접속을 끊고(S200), 새로운 요청을 처리하기 위하여 상기 S190의 상태로 대기한다.
도1은, 감정기반 광고효과 분석 에이전트가 적용되는 광고효과 분석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카메라 2 : 셋톱 박스
2A : 영상 수집 모듈 2B : 시청자 반응 분석 모듈
2C : TV 광고 시청 데이터 저장소
2D : 광고시청 데이터 제공 모듈
2E : 인증 모듈 3 : 광고 효과 분석 시스템
3A : 인증 모듈 3B : 광고시청 데이터 수집 모듈
3C : TV광고 시청 데이터 저장소 3D : 광고효과 분석 모듈
4 : 셋톱 박스 소유자(시청자) 5 : 인증 기관

Claims (4)

  1. 카메라를 통하여 시청자(들)의 표정을 영상입력으로 받아들이는 영상 수집 모듈과,
    상기 시청자(들)의 영상에서 얼굴을 추출해 내고 추출해 낸 얼굴에서 성별, 연령대 등을 판별해 내고, 얼굴 표정에서 즐거움, 화남, 짜증, 슬픔, 무감정 등의 감정을 판단한 후 채널 정보, 시간 정보와 함께 기록하는 기능을 가진 시청자 반응 분석 모듈과,
    상기 시청자 반응과 시간, 채널 등의 정보를 저장하는 TV 광고 시청 데이터 저장소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효과 조사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시청자 반응은 광고 이외에 영화, 드라마, 코미디, 스포츠 등에도 적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효과 조사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각 모듈은 셋톱 박스에서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효 과 조사 장치.
  4. 시청 시간과 채널 정보, 사용자의 표정을 분석해서 광고 효과를 조사하고,
    상기 광고 효과 분석 결과를 저장하고,
    상기 광고 효과 분석 결과를 외부로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효과 조사방법.
KR1020090104380A 2009-10-30 2009-10-30 티브이 광고효과 조사장치 KR2011004766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04380A KR20110047661A (ko) 2009-10-30 2009-10-30 티브이 광고효과 조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04380A KR20110047661A (ko) 2009-10-30 2009-10-30 티브이 광고효과 조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47661A true KR20110047661A (ko) 2011-05-09

Family

ID=442389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04380A KR20110047661A (ko) 2009-10-30 2009-10-30 티브이 광고효과 조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47661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174399A3 (en) * 2011-06-17 2013-04-18 Microsoft Corporation Selection of advertisements via viewer feedback
US8887186B2 (en) 2012-08-17 2014-11-11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Analysis method and system for audience rating and advertisement effects based on viewing behavior recognition
KR20210035519A (ko) 2019-09-24 2021-04-01 주식회사 마크로밀엠브레인 빅데이터와 설문을 활용한 통합형 광고효과평가 지원시스템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174399A3 (en) * 2011-06-17 2013-04-18 Microsoft Corporation Selection of advertisements via viewer feedback
US9077458B2 (en) 2011-06-17 2015-07-07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Selection of advertisements via viewer feedback
US9363546B2 (en) 2011-06-17 2016-06-07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Selection of advertisements via viewer feedback
TWI560629B (en) * 2011-06-17 2016-12-01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Selection of advertisements via viewer feedback
US8887186B2 (en) 2012-08-17 2014-11-11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Analysis method and system for audience rating and advertisement effects based on viewing behavior recognition
KR20210035519A (ko) 2019-09-24 2021-04-01 주식회사 마크로밀엠브레인 빅데이터와 설문을 활용한 통합형 광고효과평가 지원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507024B (zh) 操縱電視平台的方法與設備及其電腦可讀取媒體
US9877052B1 (en) System and method for set top box viewing data
US10638200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real time media consumption feedback
US11917243B1 (en) Optimizing inventory based on predicted viewership
US10949875B2 (en) Systems, methods and computer-readable media for determining outcomes for program promotions
KR101751708B1 (ko) 시청행태 인식기반의 시청률 및 광고효과 분석 방법 및 시스템
US20150120449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esenting search results
US20130262181A1 (en) Methods and apparatus to predict audience composition and/or solicit audience members
US20090249412A1 (en) Managing acquisition of fee based videos
US20100115060A1 (en) System and method for delivering content to users on a network
WO2015148773A1 (en) Data session management method and system including content recognition of broadcast data and remote device feedback
CA2961303A1 (en) Systems and methods to identify intentionally placed products
US20170236150A1 (en) Predictive programmatic system for audience identification and analysis
JP5243136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101541543B1 (ko) 위젯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20110047661A (ko) 티브이 광고효과 조사장치
JP5243137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20110047718A (ko) 맞춤형 티브이 광고장치 및 광고방법
US20150007204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Using Viewership Activity Data to Customize a User Interface
KR102081221B1 (ko) 방송 서비스의 반송률 측정 장치
US20210385534A1 (en) Method for obtaining television rating points for television channels
US8745650B1 (en) Content segment selection based on time-shifted content viewing
US20140201768A1 (en) System and method for recording and analyzing audience information of audio/video program
JP2014060642A (ja) 表示装置及び表示システム
KR20060021544A (ko) 이동통신단말기 사용자의 표정인식을 이용한 방송 선호도조사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