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34644A - 배터리 교체 제어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배터리 교체 제어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34644A
KR20210034644A KR1020217005126A KR20217005126A KR20210034644A KR 20210034644 A KR20210034644 A KR 20210034644A KR 1020217005126 A KR1020217005126 A KR 1020217005126A KR 20217005126 A KR20217005126 A KR 20217005126A KR 20210034644 A KR20210034644 A KR 202100346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storage rack
battery replacement
replacement device
cond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051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지안핑 장
웬쳉 루
Original Assignee
올턴 뉴 에너지 오토모티브 테크놀러지 그룹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CN201810805316.6A external-priority patent/CN110745108B/zh
Priority claimed from CN201810805306.2A external-priority patent/CN110803139B/zh
Priority claimed from CN201810805309.6A external-priority patent/CN110733375B/zh
Application filed by 올턴 뉴 에너지 오토모티브 테크놀러지 그룹 filed Critical 올턴 뉴 에너지 오토모티브 테크놀러지 그룹
Publication of KR202100346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3464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80Exchanging energy storage elements, e.g. removable batte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00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al propulsion units
    • B60K1/04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al propulsion units of the electric storage means for propuls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0/0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 B60L50/5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using propulsion power supplied by batteries or fuel cells
    • B60L50/6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using propulsion power supplied by batteries or fuel cells using power supplied by batteries
    • B60L50/66Arrangements of batte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30Constructional details of charging stations
    • B60L53/35Means for automatic or assisted adjustment of the relative position of charging devices and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8/0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 B60L58/1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 B60L58/12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responding to state of charge [So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5/00Servicing, maintaining, repairing, or refitting of vehicles
    • B60S5/06Supplying batteries to, or removing batteries from, vehicle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1/00Control of position, course, altitude or attitude of land, water, air or space vehicles, e.g. using automatic pilots
    • G05D1/02Control of position or course in two dimensions
    • G05D1/021Control of position or course in two dimensions specially adapted to land vehicles
    • G05D1/0212Control of position or course in two dimensions specially adapted to land vehicles with means for defining a desired trajectory
    • G05D1/0225Control of position or course in two dimensions specially adapted to land vehicles with means for defining a desired trajectory involving docking at a fixed facility, e.g. base station or loading ba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90Vehicles comprising electric prime movers
    • B60Y2200/91Electric vehi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72Electromobility specific charging systems or methods for batteries, ultracapacitors, supercapacitors or double-layer capacit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2Electric charging sta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6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improving the operation of electric vehi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40Application of hydrogen technology to transportation, e.g. using fuel ce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Electric Propulsion And Braking For Vehicles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 Secondary Cells (AREA)
  • Vehicle Cleaning, Maintenance, Repair, Refitting, And Outriggers (AREA)

Abstract

배터리 교체 제어 시스템(10) 및 방법으로서, 상기 배터리 교체 제어 시스템은: 제어 유닛(11) 및 배터리 교체 장치(12)를 포함하고; 제어 유닛(11)은 전기 차량에 적용되는 배터리 모델을 결정하고, 적어도 하나의 배터리 보관 랙(13)에서 제1 배터리 보관 랙(13A)과 제2 배터리 보관 랙(13B)을 선택하고; 배터리 교체 장치(12)는 기 설정된 배터리 교체 위치(P1,P2)로 이동하여, 상기 전기 차량(14)에서 전력 부족 배터리를 꺼내고, 상기 전력 부족 배터리를 제2 보관 랙(13B)에 운송하고 상기 빈 배터리 보관 창에 놓은 후, 상기 제1 배터리 보관 랙(13A)으로 이동하여 상기 배터리 모델의 배터리를 꺼내고, 상기 배터리 모델의 배터리를 상기 기 설정된 배터리 교체 위치(P1,P2)로 운송하고 상기 전기 차량에 장착한다.

Description

배터리 교체 제어 시스템 및 방법
본원 발명은 출원일자가 2018년 7월 20일인 중국 특허 출원 2018108053166, 출원일자가 2018년 7월 20일인 중국 특허 출원2018108053096 및 출원일자가 2018년 7월 20일인 중국 특허 출원2018108053062의 우선권을 주장하는 바, 상기 중국 특허 출원의 모든 내용은 참조로서 본원 발명에 인용된다.
본 발명은 배터리 교체 제어 분야에 관한 것이고, 특히 배터리 교체 제어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기존의 전기 자동차는 주로 두 가지 배터리 교체 방식이 있으며, 하나는 직접 충전 방식이고, 다른 하나는 배터리 교체가 가능한 퀵 체인지 방식이다.
상기 퀵 체인지 방식은 일반적으로 배터리 교체소에서 수행되며, 배터리 교체소의 배터리 교체 장치는 차량에서 전력이 부족하거나 방전 된 배터리를 꺼내고, 지정된 충전 랙에 놓고 충전 한 후, 배터리 교체 장치는 충전 랙에서 새로운 배터리 또는 완전히 충전 된 배터리를 꺼내어 차량에 장착한다. 이러한 방식에 있어서 배터리 교체 장치는 배터리를 꺼낼 뿐만 아니라 배터리를 장착해야 하기에, 차량과 충전 랙 사이를 왕복해야 하며, 이로 인해 배터리 교체 시간이 길어지고, 효율이 낮아진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선행기술에서의동일한 배터리 교체 장치를 사용하여 배터리를 꺼내고 장착하기에 배터리 교체 시간이 길고 효율이 비교적 낮은 결함을 극복하기 위하여, 배터리 교체 제어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하기와 같은 기술적 해결수단을 통해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한다.
본 발명은 배터리 교체 제어 시스템을 제공하며, 배터리 교체 제어 시스템은,
제어 유닛 및 배터리 교체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 유닛은 전기 차량에 적용되는 배터리 모델을 확정하는데 사용되며;
상기 제어 유닛은 또한 적어도 하나의 배터리 보관 랙에서 제1조건에 부합되는 배터리 보관 랙을 선택하여 제1 배터리 보관 랙으로 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배터리 보관 랙에서 제2조건에 부합되는 배터리 보관 랙을 선택하여 제2 배터리 보관 랙으로 하는데 사용되며, 상기 배터리 보관 랙은 여러 개의 배터리를 보관하는데 사용되는 배터리 보관 창을 구비하며, 상기 제1조건은 상기 배터리 모델의 배터리가 놓이도록 설정되고, 상기 제2조건은 빈 배터리 보관 창을 구비하도록 설정되며;
상기 배터리 교체 장치는 기 설정된 배터리 교체 위치로 이동하여, 상기 전기 차량에서 전력 부족 배터리를 꺼내고, 상기 전력 부족 배터리를 상기 제2 보관 랙에 운송하고 상기 빈 배터리 보관 창에 놓은 후, 상기 제1 배터리 보관 랙으로 이동하여, 상기 제1 배터리 보관 랙에서 상기 배터리 모델의 배터리를 꺼내고, 상기 배터리 모델의 배터리를 상기 기 설정된 배터리 교체 위치로 운송하고 상기 전기 차량에 장착하는데 사용되며, 상기 기 설정된 배터리 교체 위치는 상기 전기 차량에서 배터리를 꺼내고 장착하는데 적용되는 위치이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어 유닛은 또한 상기 배터리 보관 랙에 놓인 배터리의 전력을 모니터링하는데 사용되고;
상기 제1 조건은 상기 배터리 모델이며 완전히 충전 된 배터리가 놓이도록 설정되고;
또는, 상기 제1 조건은 바람직하게 상기 배터리 모델이며 완전히 충전 된 배터리가 놓이도록 설정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배터리 보관 랙이 상기 제1 조건에 부합되는 배터리 보관 랙을 구비하지 않을 시, 상기 제1 조건을 상기 배터리 모델이며 전력이 제일 높은 배터리가 놓이도록 설정되게 수정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어 유닛은 또한 상기 제1 조건에 부합되는 배터리 보관 랙이 하나를 초과할 시, 상기 제1 조건에 부합되는 배터리 보관 랙에서, 임의로 하나의 배터리 보관 랙을 선택하여 상기 제1 배터리 보관 랙으로 하고, 또는 상기 전기 차량과의 거리 혹은 상기 전기 차량을 주차하는데 사용되는 차량 플랫폼과의 거리가 제일 가까운 하나의 배터리 보관 랙을 선택하여 상기 제1 배터리 보관 랙으로 하고, 또는 상기 제2 배터리 보관 랙과 상기 전기 차량사이의 경로에 위치한 하나의 배터리 보관 랙을 선택하여 상기 제1 배터리 보관 랙으로 하고, 또는 상기 경로에 위치하며 상기 전기 차량 혹은 상기 차량 플랫폼과의 거리가 제일 가까운 하나의 배터리 보관 랙을 선택하여 상기 제1 배터리 보관 랙으로 하는데 사용되며;
및/또는, 상기 제어 유닛은 또한 상기 제2 조건에 부합되는 배터리 보관 랙이 하나를 초과할 시, 상기 제2 조건에 부합되는 배터리 보관 랙에서, 임의로 하나의 배터리 보관 랙을 선택하여 상기 제2 배터리 보관 랙으로 하고, 또는 상기 전기 차량과의 거리 혹은 상기 차량 플랫폼과의 거리가 제일 가까운 하나의 배터리 보관 랙을 선택하여 상기 제2 배터리 보관 랙으로 하는데 사용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배터리 보관 랙은 상기 전기 차량이 상기 차량 플랫폼으로 진입하는 방향에 따라 상기 차량 플랫폼의 양측에 배치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배터리 보관 랙에 다기능 배터리 보관 랙이 있을 시, 상기 다기능 배터리 보관 랙은 상기 제1조건과 제2조건에 전부 부합되는 배터리 보관 랙이고, 상기 제어 유닛은 또한:
상기 다기능 배터리 보관 랙을 동시에 상기 제1 배터리 보관 랙 및 상기 제2 배터리 보관 랙으로 하는데 사용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빈 배터리 보관 창은 상기 전력 부족 배터리를 충전하는데 사용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빈 배터리 보관 창은 배터리 충전 회로를 구비하고;
상기 배터리 충전 회로는 고정적인 전력 매개 변수를 가지고, 상기 전력 매개 변수는 상기 배터리 모델과 매칭되고;
또는, 상기 배터리 충전 회로는 조절 가능한 전력 매개 변수를 가지고, 상기 제어 유닛은 또한 상기 배터리 모델에 따라 상기 전력 매개 변수를 조절하여, 상기 전력 매개 변수가 상기 배터리 모델과 매칭되게 하는데 사용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어 유닛은 또한 상기 전기 차량의 번호판을 스캔하고, 상기 번호판을 통하여 상기 전기 차량에 적용되는 배터리 모델을 결정하는데 사용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배터리 교체 장치는 상기 제어 유닛의 제어를 받으며: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전기 차량이 차량 플랫폼에 주차되기 전에, 상기 배터리 교체 장치에 이하 명령어를 전송하여 상기 배터리 교체 장치에 의해 수행되고;
주차 명령어는 상기 배터리 교체 장치가 미리 기 설정된 대기 위치로 주차하도록 명령하는데 사용된다.
바람직하게, 기 설정된 배터리 교체 위치가 주차 가능한 상태 일 시, 상기 기 설정된 대기 위치는 상기 기 설정된 배터리 교체 위치와 동일한 위치이다.
바람직하게, 기 설정된 배터리 교체 위치가 주차 불가능한 상태 일 시, 상기 기 설정된 대기 위치는 상기 기 설정된 배터리 교체 위치에서 제1의 거리 임계값을 초과하지 않는 거리에 있는 위치이고;
상기 제어 유닛은 또한 상기 전기 차량이 상기 차량 플랫폼에 주차된 후, 상기 전력 부족 배터리 교체 장치에 미세 조절 명령어를 전송하는데 사용되고, 상기 미세 조절 명령어는 상기 배터리 교체 장치를 상기 기 설정된 대기 위치에서 상기 기 설정된 배터리 교체 위치로 이동하도록 명령하는데 사용된다.
바람직하게, 이하 조건을 동시에 만족할 시, 상기 기 설정된 배터리 교체 위치는 주차 가능한 상태이고, 아니면 상기 기 설정된 배터리 교체 위치는 주차 불가능한 상태이고:
상기 기 설정된 배터리 교체 위치는 빈 위치이며;
상기 배터리 교체 장치가 상기 기 설정된 배터리 교체 위치로 이동할수 있게 하는 통로가 존재하며;
상기 배터리 교체 장치가 상기 기 설정된 배터리 교체 위치로의 주차가 예측 될 시, 상기 배터리 교체 장치는 상기 차량 플랫폼으로 진입하는 전기 차량을 차단하지 않는다.
바람직하게, 상기 차량 플랫폼의 구조에 따라 상기 기 설정된 배터리 교체 위치가 상기 차량 플랫폼의 아래 혹은 위에 위치하는지가 결정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배터리 교체 장치는 상기 제어 유닛의 제어를 받으며:
상기 제어 유닛은 또한 상기 전기 차량이 차량 플랫폼에 주차된 후, 상기 전기 차량에 이하 명령어를 전송하는데 사용되며. 상기 명령어는 상기 배터리 교체 장치에 의해 수행되고:
배터리 언로드 명령어는 상기 배터리 교체 장치가 상기 전기 차량에서 상기 전력 부족 배터리를 꺼내도록 명령하는데 사용되며;
제1이동 명령어는 상기 배터리 교체 장치가 상기 제2 배터리 보관 랙으로 이동하도록 명령하는데 사용되며;
배터리 놓기 명령어는 상기 배터리 교체 장치가 상기 전력 부족 배터리를 상기 빈 배터리 보관 창에 놓도록 명령하는데 사용되며;
제2 이동 명령어는 상기 배터리 교체 장치가 상기 제1 배터리 보관 랙으로 이동하도록 명령하는데 사용되며;
배터리 꺼내기 명령어는 상기 배터리 교체 장치가 상기 제1배터리 보관 랙에서 상기 배터리 모델의 배터리를 꺼내도록 명령하는데 사용되며;
제3 이동 명령어는 상기 배터리 교체 장치가 상기 기 설정된 배터리 교체 위치로 이동하도록 명령하는데 사용되며;
배터리 장착 명령어는 상기 배터리 교체 장치가 상기 배터리 모델의 배터리를 상기 전기 차량에 장착하도록 명령하는데 사용된다.
본 발명은 배터리 교체 제어 시스템을 더 제공하며, 이는 제어 유닛 및 적어도 두개의 배터리 교체 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 유닛은 적어도 하나의 배터리 보관 랙에서 제1조건에 부합되는 배터리 보관 랙을 선택하여 제1 배터리 보관 랙으로 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배터리 보관 랙에서 제2조건에 부합되는 배터리 보관 랙을 선택하여 제2 배터리 보관 랙으로 하는데 사용되며, 상기 배터리 보관 랙은 여러 개의 배터리를 보관하는데 사용되는 배터리 보관 창을 구비하며, 상기 제1조건은 전기 차량에 적용되는 배터리가 놓이도록 설정되고, 상기 제2조건은 빈 배터리 보관 창을 구비하도록 설정되며;
상기 제어 유닛은 또한 상기 적어도 두개의 배터리 교체 장치에서 적어도 하나의 배터리 교체 장치를 배터리 장착 배터리 교체 장치로 배치하고, 상기 적어도 두개의 배터리 교체 장치에서 적어도 하나의 배터리 교체 장치를 배터리 언로드 배터리 교체 장치로 배치하는데 사용되며;
상기 배터리 장착 배터리 교체 장치는 장착 대기 배터리를 운송하는데 사용되며, 상기 장착 대기 배터리는 상기 제1 배터리 보관 랙에서 꺼낸 상기 전기 차량에 적용되며 상기 전기 차량에 설치 될 배터리이며;
상기 배터리 언로드 배터리 교체 장치는 전력 부족 배터리를 운송하는데 사용되며, 상기 전력 부족 배터리는 상기 전기 차량에서 꺼낸 상기 빈 배터리 보관 창에 놓일 배터리이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어 유닛은 또한 상기 배터리 보관 랙에 놓인 배터리의 전력을 모니터링하는데 사용되고;
상기 제1 조건은 전기 차량에 적용되는 완전히 충전 된 배터리가 놓이도록 설정되고;
또는, 상기 제1 조건은 바람직하게 전기 차량에 적용되는 완전히 충전 된 배터리가 놓이도록 설정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배터리 보관 랙이 상기 제1 조건에 부합되는 배터리 보관 랙을 구비하지 않을 시, 상기 제1 조건을 전기 차량에 적용되는 전력이 제일 높은 배터리가 놓이도록 설정되게 수정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어 유닛은 또한 상기 제1 조건에 부합되는 배터리 보관 랙이 하나를 초과할 시, 상기 제1 조건에 부합되는 배터리 보관 랙에서, 임의로 하나의 배터리 보관 랙을 선택하여 상기 제1 배터리 보관 랙으로 하고, 또는 상기 전기 차량과의 거리 혹은 상기 전기 차량을 주차하는데 사용되는 차량 플랫폼과의 거리가 제일 가까운 하나의 배터리 보관 랙을 선택하여 상기 제1 배터리 보관 랙으로 하는데 사용되며;
및/또는, 상기 제어 유닛은 또한 상기 제2 조건에 부합되는 배터리 보관 랙이 하나를 초과할 시, 상기 제2 조건에 부합되는 배터리 보관 랙에서, 임의로 하나의 배터리 보관 랙을 선택하여 상기 제2 배터리 보관 랙으로 하고, 또는 상기 전기 차량과의 거리 혹은 상기 전기 차량을 주차하는데 사용되는 차량 플랫폼과의 거리가 제일 가까운 하나의 배터리 보관 랙을 선택하여 상기 제2 배터리 보관 랙으로 하는데 사용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배터리 보관 랙은 상기 전기 차량이 상기 차량 플랫폼으로 진입하는 방향에 따라 상기 차량 플랫폼의 양측에 배치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배터리 보관 랙에 다기능 배터리 보관 랙이 있을 시, 상기 다기능 배터리 보관 랙은 상기 제1조건과 제2조건에 전부 부합되는 배터리 보관 랙이고, 상기 제어 유닛은 또한:
상기 다기능 배터리 보관 랙을 동시에 상기 제1 배터리 보관 랙 및 상기 제2 배터리 보관 랙으로 하거나;
또는, 상기 다기능 배터리 보관 랙을 상기 제1 배터리 보관 랙 및 상기 제2 배터리 보관 랙 중 임의의 하나로 하거나;
또는, 이하 임의의 하나의 조건을 상기 다기능 배터리 보관 랙을 제1 배터리 보관 랙으로 하는데 필요한 조건으로 하거나:
나머지 배터리 보관 랙은 전부 상기 제1조건에 부합되지 않는 조건;
나머지 배터리 보관 랙에서, 상기 제1조건에 부합되는 배터리 보관 랙의 개수가 상기 제2조건에 부합되는 배터리 보관 랙의 개수보다 적은 조건;
나머지 배터리 보관 랙에서, 상기 제1조건에 부합되는 배터리 보관 랙의 개수가 상기 제2조건에 부합되는 배터리 보관 랙의 개수보다 적고, 두 개수 사이의 차이의 절대 값이 제1 차이 임계 값보다 적은 조건;
나머지 배터리 보관 랙에서, 상기 제1조건에 부합되는 배터리 보관 랙의 개수가 제1 개수 임계 값보다 적은 조건;
또는, 이하 임의의 하나의 조건을 상기 다기능 배터리 보관 랙을 제2 배터리 보관 랙으로 하는데 필요한 조건으로 하는데 사용된다:
나머지 배터리 보관 랙은 전부 상기 제2조건에 부합되지 않는 조건;
나머지 배터리 보관 랙에서, 상기 제2조건에 부합되는 배터리 보관 랙의 개수가 상기 제1조건에 부합되는 배터리 보관 랙의 개수보다 적은 조건;
나머지 배터리 보관 랙에서, 상기 제2조건에 부합되는 배터리 보관 랙의 개수가 상기 제1조건에 부합되는 배터리 보관 랙의 개수보다 적고, 두 개수 사이의 차이의 절대 값이 제2 차이 임계 값보다 적은 조건;
나머지 배터리 보관 랙에서, 상기 제2조건에 부합되는 배터리 보관 랙의 개수가 제2 개수 임계 값보다 적은 조건.
바람직하게, 상기 배터리 보관 창은 또한 배터리를 충전하는데 사용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적어도 두개의 배터리 교체 장치는 전부 단일 기능 배터리 교체 장치이거나;
또는, 전부 다기능 배터리 교체 장치이거나;
또는, 일부는 단일 기능 배터리 교체 장치이고, 일부는 다기능 배터리 교체 장치이고;
상기 단일 기능 배터리 교체 장치는 제1구조를 가지고 배터리 장착 배터리 교체 장치로만 배치가능하고, 또는 제2구조를 가지고 배터리 언로드 배터리 교체 장치로만 배치가능하고;
상기 다기능 배터리 교체 장치는 제1구조와 제2구조를 겸비하여 배터리 언로드 배터리 교체 장치와 배터리 장착 배터리 교체 장치 중의 임의의 하나로 배치될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배터리 장착 배터리 교체 장치로 배치되는 배터리 교체 장치는 상기 제1 배터리 보관 랙과의 거리가 가장 가까운 배터리 교체 장치이며;
또는, 상기 배터리 언로드 배터리 교체 장치로 배치되는 배터리 교체 장치는 상기 전기 차량 혹은 상기 전기 차량을 주차하는데 사용되는 차량 플랫폼과의 거리가 가장 가까운 배터리 교체 장치이며;
또는, 매개 상기 배터리 보관 랙과 적어도 하나의 상기 배터리 교체 장치는 기 설정된 바인딩 관계를 가지며; 상기 배터리 장착 배터리 교체 장치로 배치되는 배터리 교체 장치는 상기 제1 배터리 보관 랙과 바인딩 관계를 가지는 배터리 교체 장치이며, 또는 상기 제1 배터리 보관 랙과 바인딩 관계를 가지고 상기 제1 배터리 보관 랙과의 거리가 가장 가까운 배터리 교체 장치이며; 상기 배터리 언로드 배터리 교체 장치로 배치되는 배터리 교체 장치는 상기 제2 배터리 보관 랙과 바인딩 관계를 가지는 배터리 교체 장치이며, 또는 상기 제2 배터리 보관 랙과 바인딩 관계를 가지고 상기 전기 차량 혹은 상기 전기 차량을 주차하는데 사용되는 차량 플랫폼과의 거리가 가장 가까운 배터리 교체 장치이다.
바람직하게, 상기 전기 차량이 차량 플랫폼에 주차되기 전, 상기 전기 차량에 적용되는 배터리 모델은 예측 가능한 것이고:
상기 제어 유닛은 또한 상기 전기 차량이 차량 플랫폼에 주차되기 전,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배터리 보관 랙에서 제1조건에 부합되는 배터리 보관 랙을 제1 배터리 보관 랙으로 하고, 상기 배터리 장착 배터리 교체 장치에 배터리 꺼내기 명령어를 전송하는데 사용되며, 상기 배터리 꺼내기 명령어는 상기 배터리 장착 배터리 교체 장치가 상기 제1 배터리 보관 랙에서 상기 장착 대기 배터리를 꺼내도록 명령하는데 사용되며;
상기 배터리 장착 배터리 교체 장치는 또한 상기 배터리 꺼내기 명령어를 수행하는데 사용되며;
상기 제어 유닛은 또한 상기 배터리 장착 배터리 교체 장치가 상기 배터리 꺼내기 명령어를 수행한 후, 상기 배터리 장착 배터리 교체 장치에 제1 이동 명령어를 보내는데 사용되며, 상기 제1 이동 명령어는 상기 배터리 장착 배터리 교체 장치가 미리 제1의 기 설정된 대기 위치로 주차되도록 명령하는데 사용되며, 상기 제1의 기 설정된 대기 위치는 상기 차량 플랫폼에서 제1 거리 임계 값을 초과하지 않는 거리에 있는 위치이며;
상기 배터리 장착 배터리 교체 장치는 또한 상기 제1 이동 명령어를 수행하는데 사용된다.
바람직하게, 이하 방식을 통하여 상기 전기 차량에 적용되는 배터리 모델을 예측하되: 상기 차량 플랫폼은 상기 모델의 배터리가 적용되는 전기 차량의 주차에만 허용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전기 차량이 차량 플랫폼에 주차되기 전, 상기 배터리 언로드 배터리 교체 장치에 제2 이동 명령어를 전송하고, 상기 제2 이동 명령어는 상기 배터리 언로드 배터리 교체 장치가 미리 제2의 기 설정된 대기 위치에 주차되도록 명령하는데 사용되며; 상기 배터리 언로드 배터리 교체 장치는 또한 상기 제2 이동 명령어를 수행하는데 사용된다.
바람직하게, 기 설정된 배터리 교체 위치가 주차 가능한 상태일 시, 상기 제2의 기 설정된 대기 위치는 상기 기 설정된 배터리 교체 위치와 동일한 위치이고, 상기 기 설정된 배터리 교체 위치는 상기 차량 플랫폼에 주차된 전기 차량에서 배터리를 꺼내기 위한 위치이다.
바람직하게, 기 설정된 배터리 교체 위치가 주차 불가능한 상태일 시, 상기 제2의 기 설정된 대기 위치는 상기 기 설정된 배터리 교체 위치에서 제2의 거리 임계값을 초과하지 않는 거리의 위치이며, 상기 기 설정된 배터리 교체 위치는 상기 차량 플랫폼에 주차된 전기 차량에서 배터리를 꺼내기 위한 위치이며;
상기 제어 유닛은 또한 상기 전기 차량이 상기 차량 플랫폼에 주차된 후, 상기 배터리 언로드 배터리 교체 장치에 미세 조절 명령어를 전송하는데 사용되며, 상기 미세 조절 명령어는 상기 배터리 언로드 배터리 교체 장치에 상기 제2의 기 설정된 대기 위치에서 상기 기 설정된 배터리 교체 위치로 이동하도록 명령하는데 사용된다.
바람직하게, 이하 조건을 동시에 만족할 시, 상기 기 설정된 배터리 교체 위치는 주차 가능한 상태이고, 아니면 상기 기 설정된 배터리 교체 위치는 주차 불가능한 상태이며:
상기 기 설정된 배터리 교체 위치는 빈 위치이며;
상기 배터리 언로드 배터리 교체 장치가 상기 기 설정된 배터리 교체 위치로 이동할수 있게 하는 통로가 존재하며;
상기 배터리 언로드 배터리 교체 장치가 상기 기 설정된 배터리 교체 위치로의 주차가 예측 될 시, 상기 배터리 언로드 배터리 교체 장치는 상기 차량 플랫폼으로 진입하는 전기 차량을 차단하지 않는다.
바람직하게, 상기 차량 플랫폼의 구조에 따라 상기 기 설정된 배터리 교체 위치가 상기 차량 플랫폼의 아래 혹은 위에 위치하는지가 결정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어 유닛은 또한 상기 전기 차량이 차량 플랫폼에 주차된 후, 상기 배터리 언로드 배터리 교체 장치에 제3 이동 명령어를 보내는데 사용되며, 상기 제3 이동 명령어는 상기 배터리 언로드 배터리 교체 장치가 이동하여 기 설정된 배터리 교체 위치로 주차되도록 명령하는데 사용되고, 상기 기 설정된 배터리 교체 위치는 상기 차량 플랫폼에 주차된 전기 차량에서 배터리를 꺼내기 위한 위치이며; 상기 배터리 언로드 배터리 교체 장치는 또한 상기 제3 이동 명령어를 수행하는데 사용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어 유닛은 또한 상기 전기 차량이 상기차량 플랫폼에 주차되고 상기 배터리 언로드 배터리 교체 장치가 상기 기 설정된 배터리 교체 위치에 주차된 후, 상기 배터리 언로드 배터리 교체 장치에 배터리 언로드 명령어를 전송하는데 사용되며, 상기 배터리 언로드 명령어는 또한 상기 배터리 언로드 배터리 교체 장치가 상기 전기 차량에서 상기 전력 부족 배터리를 꺼내도록 명령하는데 사용되며;
상기 배터리 언로드 배터리 교체 장치는 또한 상기 배터리 언로드 명령어를 수행하는데 사용되며;
상기 제어 유닛은 또한 상기 배터리 언로드 배터리 교체 장치가 상기 배터리 언로드 명령어를 수행 한 후, 상기 배터리 언로드 배터리 교체 장치에 제4 이동 명령어를 전송하는데 사용되며, 상기 제4 이동 명령어는 상기 배터리 언로드 배터리 교체 장치가 상기 제2 배터리 보관 랙으로 이동하고 상기 전력 부족 배터리를 상기 빈 배터리 보관 창에 놓게 하도록 명령하는데 사용되며;
상기 배터리 언로드 배터리 교체 장치는 또한 상기 제4 이동 명령어를 수행하는데 사용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어 유닛은 또한 상기 배터리 언로드 배터리 교체 장치가 상기 기 설정된 배터리 교체 위치를 떠나거나 상기 기 설정된 배터리 교체 위치에서 제3의 거리 임계 값을 초과한 거리를 떠난 후, 상기 배터리 장착 배터리 교체 장치에 제5 이동 명령어를 전송하는데 사용되고, 상기 제5 이동 명령어는 상기 배터리 장착 배터리 교체 장치가 상기 기 설정된 배터리 교체 위치로 이동하도록 명령하는데 사용되며;
상기 배터리 장착 배터리 교체 장치는 또한 상기 제5 이동 명령어를 수행하는데 사용되며;
상기 제어 유닛은 또한 상기 배터리 장착 배터리 교체 장치가 상기 제5 이동 명령어를 수행 한 후, 상기 배터리 장착 배터리 교체 장치에 배터리 장착 명령어를 보내는데 사용되며, 상기 배터리 장착 명령어는 상기 배터리 장착 배터리 교체 장치가 상기 장착 대기 배터리를 상기 전기 차량에 장착하도록 명령하는데 사용되며;
상기 배터리 장착 배터리 교체 장치는 또한 상기 배터리 장착 명령어를 수행하는데 사용된다.
본 발명은 배터리 교체 제어 시스템을 더 제공하며, 제어 유닛 및 적어도 두개의 배터리 교체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 유닛은 배터리 교체 대기 전기 차량에 적용되는 배터리 모델을 결정하는데 사용되며;
상기 제어 유닛은 또한 적어도 하나의 배터리 보관 랙에서 제1조건에 부합되는 배터리 보관 랙을 선택하여 제1 배터리 보관 랙으로 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배터리 보관 랙에서 제2조건에 부합되는 배터리 보관 랙을 선택하여 제2 배터리 보관 랙으로 하는데 사용되며, 상기 배터리 보관 랙은 여러 개의 배터리를 보관하는데 사용되는 배터리 보관 창을 구비하며, 상기 제1조건은 상기 배터리 모델의 배터리가 놓이도록 설정되고, 상기 제2조건은 빈 배터리 보관 창을 구비하도록 설정되며;
상기 제어 유닛은 또한 상기 적어도 두개의 배터리 교체 장치 중 적어도 하나의 배터리 교체 장치를 배터리 장착 배터리 교체 장치로 배치하고, 상기 적어도 두개의 배터리 교체 장치 중 적어도 하나의 배터리 교체 장치를 배터리 언로드 배터리 교체 장치로 배치하는데 사용되며;
상기 배터리 장착 배터리 교체 장치는 장착 대기 배터리를 운송하는데 사용되며, 상기 장착 대기 배터리는 상기 제1 배터리 보관 랙에서 꺼낸 상기 배터리 모델이고 상기 전기 차량에 설치 될 배터리이며;
상기 배터리 언로드 배터리 교체 장치는 전력 부족 배터리를 운송하는데 사용되며, 상기 전력 부족 배터리는 상기 전기 차량에서 꺼내어 상기 빈 배터리 보관 창에 놓일 배터리이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어 유닛은 또한 상기 배터리 보관 랙에 놓인 배터리의 전력을 모니터링하는데 사용되고;
상기 제1 조건은 상기 배터리 모델이며 완전히 충전 된 배터리가 놓이도록 설정되고;
또는, 상기 제1 조건은 바람직하게 상기 배터리 모델이며 완전히 충전 된 배터리가 놓이도록 설정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배터리 보관 랙이 상기 제1 조건에 부합되는 배터리 보관 랙을 구비하지 않을 시, 상기 제1 조건을 상기 배터리 모델이며 전력이 제일 높은 배터리가 놓이도록 설정되게 수정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어 유닛은 또한 상기 제1 조건에 부합되는 배터리 보관 랙이 하나를 초과할 시, 상기 제1 조건에 부합되는 배터리 보관 랙에서, 임의로 하나의 배터리 보관 랙을 선택하여 상기 제1 배터리 보관 랙으로 하거나, 상기 전기 차량과의 거리 혹은 상기 전기 차량을 주차하는데 사용되는 차량 플랫폼과의 거리가 제일 가까운 하나의 배터리 보관 랙을 선택하여 상기 제1 배터리 보관 랙으로 하는데 사용되며;
및/또는, 상기 제어 유닛은 또한 상기 제2 조건에 부합되는 배터리 보관 랙이 하나를 초과할 시, 상기 제2 조건에 부합되는 배터리 보관 랙에서, 임의로 하나의 배터리 보관 랙을 선택하여 상기 제2 배터리 보관 랙으로 하거나, 상기 전기 차량과의 거리 혹은 상기 차량 플랫폼과의 거리가 제일 가까운 하나의 배터리 보관 랙을 선택하여 상기 제2 배터리 보관 랙으로 하는데 사용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배터리 보관 랙은 상기 전기 차량이 상기 차량 플랫폼으로 진입하는 방향에 따라 상기 차량 플랫폼의 양측에 배치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배터리 보관 랙에 다기능 배터리 보관 랙이 있을 시, 상기 다기능 배터리 보관 랙은 상기 제1조건과 제2조건에 전부 부합되는 배터리 보관 랙이고, 상기 제어 유닛은 또한:
상기 다기능 배터리 보관 랙을 동시에 상기 제1 배터리 보관 랙 및 상기 제2 배터리 보관 랙으로 하거나;
또는, 상기 다기능 배터리 보관 랙을 상기 제1 배터리 보관 랙 및 상기 제2 배터리 보관 랙 중 임의의 하나로 하거나;
또는, 이하 임의의 하나의 조건을 상기 다기능 배터리 보관 랙을 제1 배터리 보관 랙으로 하는데 필요한 조건으로 하거나:
나머지 배터리 보관 랙은 전부 상기 제1조건에 부합되지 않는 조건;
나머지 배터리 보관 랙에서, 상기 제1조건에 부합되는 배터리 보관 랙의 개수가 상기 제2조건에 부합되는 배터리 보관 랙의 개수보다 적은 조건;
나머지 배터리 보관 랙에서, 상기 제1조건에 부합되는 배터리 보관 랙의 개수가 상기 제2조건에 부합되는 배터리 보관 랙의 개수보다 적고, 두 개수 사이의 차이의 절대 값이 제1 차이 임계 값보다 적은 조건;
나머지 배터리 보관 랙에서, 상기 제1조건에 부합되는 배터리 보관 랙의 개수가 제1 개수 임계 값보다 적은 조건;
또는, 이하 임의의 하나의 조건을 상기 다기능 배터리 보관 랙을 제2 배터리 보관 랙으로 하는데 필요한 조건으로 하는데 사용된다:
나머지 배터리 보관 랙은 전부 상기 제2조건에 부합되지 않는 조건;
나머지 배터리 보관 랙에서, 상기 제2조건에 부합되는 배터리 보관 랙의 개수가 상기 제1조건에 부합되는 배터리 보관 랙의 개수보다 적은 조건;
나머지 배터리 보관 랙에서, 상기 제2조건에 부합되는 배터리 보관 랙의 개수가 상기 제1조건에 부합되는 배터리 보관 랙의 개수보다 적고, 두 개수 사이의 차이의 절대 값이 제2 차이 임계 값보다 적은 조건;
나머지 배터리 보관 랙에서, 상기 제2조건에 부합되는 배터리 보관 랙의 개수가 제2 개수 임계 값보다 적은 조건.
바람직하게, 상기 배터리 보관 창은 또한 배터리를 충전하는데 사용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적어도 두개의 배터리 교체 장치는 전부 단일 기능 배터리 교체 장치이고;
또는, 전부 다기능 배터리 교체 장치이고;
또는, 일부는 단일 기능 배터리 교체 장치이고, 일부는 다기능 배터리 교체 장치이고;
상기 단일 기능 배터리 교체 장치는 제1구조를 가지고 배터리 장착 배터리 교체 장치로만 배치가능하거나, 또는 제2구조를 가지고 배터리 언로드 배터리 교체 장치로만 배치가능하고;
상기 다기능 배터리 교체 장치는 제1구조와 제2구조를 겸비하고 배터리 언로드 배터리 교체 장치와 배터리 장착 배터리 교체 장치 중의 임의의 하나로 배치될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배터리 장착 배터리 교체 장치로 배치되는 배터리 교체 장치는 상기 제1 배터리 보관 랙과의 거리가 가장 가까운 배터리 교체 장치이며;
또는, 상기 배터리 언로드 배터리 교체 장치로 배치되는 배터리 교체 장치는 상기 전기 차량 혹은 상기 전기 차량을 주차하는데 사용되는 차량 플랫폼과의 거리가 가장 가까운 배터리 교체 장치이며;
또는, 매개 상기 배터리 보관 랙과 적어도 하나의 상기 배터리 교체 장치는 기 설정된 바인딩 관계를 가지며; 상기 배터리 장착 배터리 교체 장치로 배치되는 배터리 교체 장치는 상기 제1 배터리 보관 랙과 바인딩 관계를 가지는 배터리 교체 장치거나, 또는 상기 제1 배터리 보관 랙과 바인딩 관계를 가지고 상기 제1 배터리 보관 랙과의 거리가 가장 가까운 배터리 교체 장치이며; 상기 배터리 언로드 배터리 교체 장치로 배치되는 배터리 교체 장치는 상기 제2 배터리 보관 랙과 바인딩 관계를 가지는 배터리 교체 장치거나, 또는 상기 제2 배터리 보관 랙과 바인딩 관계를 가지고 상기 전기 차량 혹은 상기 전기 차량을 주차하는데 사용되는 차량 플랫폼과의 거리가 가장 가까운 배터리 교체 장치이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어 유닛은 또한 상기 제1 배터리 보관 랙을 선택 한 후, 상기 배터리 장착 배터리 교체 장치에 배터리 꺼내기 명령어를 전송하는데 사용되며, 상기 배터리 꺼내기 명령어는 상기 배터리 장착 배터리 교체 장치가 상기 제1 배터리 보관 랙에서 상기 장착 대기 배터리를 꺼내도록 명령하는데 사용되며;
상기 배터리 장착 배터리 교체 장치는 또한 상기 배터리 꺼내기 명령어를 수행하는데 사용되며;
상기 제어 유닛은 또한 상기 배터리 장착 배터리 교체 장치가 상기 배터리 꺼내기 명령어를 수행한 후, 상기 배터리 장착 배터리 교체 장치에 제1 이동 명령어를 전송하는데 사용되며, 상기 제1 이동 명령어는 상기 배터리 장착 배터리 교체 장치가 미리 제1의 기 설정된 대기 위치로 주차되도록 명령하는데 사용되며, 상기 제1의 기 설정된 대기 위치는 상기 차량 플랫폼에서 제1 거리 임계 값을 초과하지 않는 거리에 있는 위치이며;
상기 배터리 장착 배터리 교체 장치는 또한 상기 제1 이동 명령어를 수행하는데 사용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어 유닛은 또한 상기 전기 차량의 번호판을 스캔하고, 상기 번호판을 통하여 상기 전기 차량에 적용되는 배터리 모델을 결정하는데 사용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어 유닛은 또한 상기 전기 차량이 차량 플랫폼에 주차되기 전, 상기 배터리 언로드 배터리 교체 장치에 제2 이동 명령어를 전송하고, 상기 제2 이동 명령어는 상기 배터리 언로드 배터리 교체 장치가 미리 제2의 기 설정된 대기 위치에 주차되도록 명령하는데 사용되며; 상기 배터리 언로드 배터리 교체 장치는 또한 상기 제2 이동 명령어를 수행하는데 사용된다.
바람직하게, 기 설정된 배터리 교체 위치가 주차 가능한 상태일 시, 상기 제2의 기 설정된 대기 위치는 상기 기 설정된 배터리 교체 위치와 동일한 위치이고, 상기 기 설정된 배터리 교체 위치는 상기 차량 플랫폼에 주차된 전기 차량에서 배터리를 꺼내기 위한 위치이다.
바람직하게, 기 설정된 배터리 교체 위치가 주차 불가능한 상태일 시, 상기 제2의 기 설정된 대기 위치는 상기 기 설정된 배터리 교체 위치에서 제2의 거리 임계값을 초과하지 않는 거리의 위치이며, 상기 기 설정된 배터리 교체 위치는 상기 차량 플랫폼에 주차된 전기 차량에서 배터리를 꺼내기 위한 위치이며;
상기 제어 유닛은 또한 상기 전기 차량이 상기 차량 플랫폼에 주차된 후, 상기 배터리 언로드 배터리 교체 장치에 미세 조절 명령어를 전송하는데 사용되고, 상기 미세 조절 명령어는 상기 배터리 언로드 배터리 교체 장치에 상기 제2의 기 설정된 대기 위치에서 상기 기 설정된 배터리 교체 위치로 이동하도록 명령하는데 사용된다.
바람직하게, 이하 조건을 동시에 만족할 시, 상기 기 설정된 배터리 교체 위치는 주차 가능한 상태이고, 아니면 상기 기 설정된 배터리 교체 위치는 주차 불가능한 상태이고:
상기 기 설정된 배터리 교체 위치는 빈 위치이며;
상기 배터리 언로드 배터리 교체 장치가 상기 기 설정된 배터리 교체 위치로 이동할수 있게 하는 통로가 존재하며;
상기 배터리 언로드 배터리 교체 장치가 상기 기 설정된 배터리 교체 위치로의 주차가 예측 될 시, 상기 배터리 언로드 배터리 교체 장치는 상기 차량 플랫폼으로 진입하는 전기 차량을 차단하지 않는다.
바람직하게, 상기 차량 플랫폼의 구조에 따라 상기 기 설정된 배터리 교체 위치가 상기 차량 플랫폼의 아래 혹은 위에 위치하는지가 결정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어 유닛은 또한 상기 전기 차량이 차량 플랫폼에 주차된 후, 상기 배터리 언로드 배터리 교체 장치에 제3 이동 명령어를 전송하는데 사용되며, 상기 제3 이동 명령어는 상기 배터리 언로드 배터리 교체 장치가 이동하여 기 설정된 배터리 교체 위치로 주차되도록 명령하는데 사용되고, 상기 기 설정된 배터리 교체 위치는 상기 차량 플랫폼에 주차된 전기 차량에서 배터리를 꺼내기 위한 위치이며; 상기 배터리 언로드 배터리 교체 장치는 또한 상기 제3 이동 명령어를 수행하는데 사용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어 유닛은 또한 상기 전기 차량이 차량 플랫폼에 주차되고 상기 배터리 언로드 배터리 교체 장치가 상기 기 설정된 배터리 교체 위치에 주차된 후, 상기 배터리 언로드 배터리 교체 장치에 배터리 언로드 명령어를 보내는데 사용되며, 상기 배터리 언로드 명령어는 상기 배터리 언로드 배터리 교체 장치가 상기 전기 차량에서 상기 전력 부족 배터리를 꺼내도록 명령하는데 사용되며;
상기 배터리 언로드 배터리 교체 장치는 또한 상기 배터리 언로드 명령어를 수행하는데 사용되며;
상기 제어 유닛은 또한 상기 배터리 언로드 배터리 교체 장치가 상기 배터리 언로드 명령어를 수행 한 후, 상기 배터리 언로드 배터리 교체 장치에 제4 이동 명령어를 전송하는데 사용되며, 상기 제4 이동 명령어는 상기 배터리 언로드 배터리 교체 장치가 상기 제2 배터리 보관 랙으로 이동하고 상기 전력 부족 배터리를 상기 빈 배터리 보관 창에 놓게 하도록 명령하는데 사용되며;
상기 배터리 언로드 배터리 교체 장치는 또한 상기 제4 이동 명령어를 수행하는데 사용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어 유닛은 또한 상기 배터리 언로드 배터리 교체 장치가 상기 기 설정된 배터리 교체 위치를 떠나거나 상기 기 설정된 배터리 교체 위치에서 제3의 거리 임계 값을 초과한 거리를 떠난 후, 상기 배터리 장착 배터리 교체 장치에 제5 이동 명령어를 보내는데 사용되고, 상기 제5 이동 명령어는 상기 배터리 장착 배터리 교체 장치가 상기 기 설정된 배터리 교체 위치로 이동하도록 명령하는데 사용되며;
상기 배터리 장착 배터리 교체 장치는 또한 상기 제5 이동 명령어를 수행하는데 사용되며;
상기 제어 유닛은 또한 상기 배터리 장착 배터리 교체 장치가 상기 제5 이동 명령어를 수행 한 후, 상기 배터리 장착 배터리 교체 장치에 배터리 장착 명령어를 전송하는데 사용되며, 상기 배터리 장착 명령어는 상기 배터리 장착 배터리 교체 장치가 상기 장착 대기 배터리를 상기 전기 차량에 장착하도록 명령하는데 사용되며;
상기 배터리 장착 배터리 교체 장치는 또한 상기 배터리 장착 명령어를 수행하는데 사용된다.
본 발명은 배터리 교체 제어 방법을 더 제공하며,
전기 차량에 적용되는 배터리 모델을 결정하는 단계;
적어도 하나의 배터리 보관 랙에서 제1조건에 부합되는 배터리 보관 랙을 선택하여 제1 배터리 보관 랙으로 하고, 상기 배터리 보관 랙은 여러 개의 배터리를 보관하는데 사용되는 배터리 보관 창을 구비하며, 상기 제1 조건은 상기 배터리 모델의 배터리가 놓이도록 설정되는 단계;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배터리 보관 랙에서 제2조건에 부합되는 배터리 보관 랙을 선택하여 제2 배터리 보관 랙으로 하고, 상기 제2조건은 빈 배터리 보관 창을 구비하도록 설정되는 단계;
상기 배터리 교체 장치를 기 설정된 배터리 교체 위치로 이동시켜, 상기 전기 차량에서 전력 부족 배터리를 꺼내고, 상기 전력 부족 배터리를 상기 제2 보관 랙에 운송하고 상기 빈 배터리 보관 창에 놓는 단계, 상기 기 설정된 배터리 교체 위치는 상기 전기 차량에서 배터리를 꺼내고 장착하는데 적용되는 위치이며;
상기 배터리 교체 장치를 상기 제1 배터리 보관 랙으로 이동시켜, 상기 제1 배터리 보관 랙에서 상기 배터리 모델의 배터리를 꺼내고, 상기 배터리 모델의 배터리를 상기 기 설정된 배터리 교체 위치로 운송하고 상기 전기 차량에 장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배터리 교체 제어 방법은: 상기 배터리 보관 랙에 놓인 배터리의 전력을 모니터링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조건은 상기 배터리 모델이며 완전히 충전 된 배터리가 놓이도록 설정되거나;
또는, 상기 제1 조건은 바람직하게 상기 배터리 모델이며 완전히 충전 된 배터리가 놓이도록 설정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배터리 보관 랙이 상기 제1 조건에 부합되는 배터리 보관 랙을 구비하지 않을 시, 상기 제1 조건을 상기 배터리 모델이며 전력이 제일 높은 배터리가 놓이도록 설정되게 수정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배터리 교체 제어 방법은,
상기 제1 조건에 부합되는 배터리 보관 랙이 하나를 초과할 시, 상기 제1 조건에 부합되는 배터리 보관 랙에서, 임의로 하나의 배터리 보관 랙을 선택하여 상기 제1 배터리 보관 랙으로 하거나, 또는 상기 전기 차량과의 거리 혹은 상기 전기 차량을 주차하는데 사용되는 차량 플랫폼과의 거리가 제일 가까운 하나의 배터리 보관 랙을 선택하여 상기 제1 배터리 보관 랙으로 하거나, 또는 상기 제2 배터리 보관 랙과 상기 전기 차량사이의 경로에 위치한 하나의 배터리 보관 랙을 선택하여 상기 제1 배터리 보관 랙으로 하거나, 또는 상기 경로에 위치하며 상기 전기 차량 혹은 상기 차량 플랫폼과의 거리가 제일 가까운 하나의 배터리 보관 랙을 선택하여 상기 제1 배터리 보관 랙으로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및/또는, 상기 제2 조건에 부합되는 배터리 보관 랙이 하나를 초과할 시, 상기 제2 조건에 부합되는 배터리 보관 랙에서, 임의로 하나의 배터리 보관 랙을 선택하여 상기 제2 배터리 보관 랙으로 하거나, 또는 상기 전기 차량과의 거리 혹은 상기 차량 플랫폼과의 거리가 제일 가까운 하나의 배터리 보관 랙을 선택하여 상기 제2 배터리 보관 랙으로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배터리 교체 제어 방법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배터리 보관 랙에 다기능 배터리 보관 랙이 존재하는 지를 판단하고, 상기 다기능 배터리 보관 랙은 상기 제1조건과 제2조건에 전부 부합되는 배터리 보관 랙이고;
존재할 시:
상기 다기능 배터리 보관 랙을 동시에 상기 제1 배터리 보관 랙 및 상기 제2 배터리 보관 랙으로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빈 배터리 보관 창은 또한 상기 전력 부족 배터리를 충전하는데 사용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빈 배터리 보관 창은 배터리 충전 회로를 구비하고;
상기 배터리 충전 회로는 고정적인 전력 매개 변수를 가지고, 상기 전력 매개 변수는 상기 배터리 모델과 매칭되고;
또는, 상기 배터리 충전 회로는 조절 가능한 전력 매개 변수를 가지고, 상기 배터리 교체 제어 방법은: 상기 배터리 모델에 따라 상기 전력 매개 변수를 조절하여, 상기 전력 매개 변수가 상기 배터리 모델과 매칭되게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배터리 교체 대기 전기 차량에 적용되는 배터리 모델을 결정하는 단계는, 구체적으로:
상기 전기 차량의 번호판을 스캔하고, 상기 번호판을 통하여 상기 전기 차량에 적용되는 배터리 모델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배터리 교체 제어 방법은:
상기 전기 차량이 차량 플랫폼에 주차되기 전에, 상기 배터리 교체 장치가 미리 기 설정된 대기 위치로 주차하도록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기 설정된 배터리 교체 위치가 주차 가능한 상태 일 시, 상기 기 설정된 대기 위치는 상기 기 설정된 배터리 교체 위치와 동일한 위치이다.
바람직하게, 기 설정된 배터리 교체 위치가 주차 불가능한 상태 일 시, 상기 기 설정된 대기 위치는 상기 기 설정된 배터리 교체 위치에서 제1의 거리 임계값을 초과하지 않는 거리에 있는 위치이고;
상기 배터리 교체 제어 방법은:
상기 전기 차량이 상기 차량 플랫폼에 주차된 후, 상기 배터리 교체 장치를 상기 기 설정된 대기 위치에서 상기 기 설정된 배터리 교체 위치로 이동하게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이하 조건을 동시에 만족할 시, 상기 기 설정된 배터리 교체 위치는 주차 가능한 상태이고, 아니면 상기 기 설정된 배터리 교체 위치는 주차 불가능한 상태이고:
상기 기 설정된 배터리 교체 위치는 빈 위치이며;
상기 배터리 교체 장치가 상기 기 설정된 배터리 교체 위치로 이동할수 있게 하는 통로가 존재하며;
상기 배터리 교체 장치가 상기 기 설정된 배터리 교체 위치로의 주차가 예측 될 시, 상기 배터리 교체 장치는 상기 차량 플랫폼으로 진입하는 전기 차량을 차단하지 않는다.
바람직하게, 상기 차량 플랫폼의 구조에 따라 상기 기 설정된 배터리 교체 위치가 상기 차량 플랫폼의 아래 혹은 위에 위치하는지가 결정된다.
본 발명은 배터리 교체 제어 방법을 더 제공하며,
적어도 하나의 배터리 보관 랙에서 제1조건에 부합되는 배터리 보관 랙을 선택하여 제1 배터리 보관 랙으로 하고, 상기 배터리 보관 랙은 여러 개의 배터리를 보관하는데 사용되는 배터리 보관 창을 구비하며, 상기 제1조건은 전기 차량에 적용되는 배터리가 놓이도록 설정되는 단계;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배터리 보관 랙에서 제2조건에 부합되는 배터리 보관 랙을 선택하여 제2 배터리 보관 랙으로 하고, 상기 제2조건은 빈 배터리 보관 창을 구비하도록 설정되는 단계;
상기 적어도 두개의 배터리 교체 장치 중 적어도 하나의 배터리 교체 장치를 배터리 장착 배터리 교체 장치로 배치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배터리 장착 배터리 교체 장치는 장착 대기 배터리를 운송하는데 사용되며, 상기 장착 대기 배터리는 상기 제1 배터리 보관 랙에서 꺼낸 상기 전기 차량에 적용되며 상기 전기 차량에 설치 될 배터리이며;
상기 적어도 두개의 배터리 교체 장치 중 적어도 하나의 배터리 교체 장치를 배터리 언로드 배터리 교체 장치로 배치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배터리 언로드 배터리 교체 장치는 전력 부족 배터리를 운송하는데 사용되며, 상기 전력 부족 배터리는 상기 전기 차량에서 꺼내어 상기 빈 배터리 보관 창에 놓일 배터리이다.
바람직하게, 상기 배터리 교체 제어 방법은: 상기 배터리 보관 랙에 놓인 배터리의 전력을 모니터링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조건은 전기 차량에 적용되며 완전히 충전 된 배터리가 놓이도록 설정되고;
또는, 상기 제1 조건은 바람직하게 전기 차량에 적용되며 완전히 충전 된 배터리가 놓이도록 설정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배터리 보관 랙이 상기 제1 조건에 부합되는 배터리 보관 랙을 구비하지 않을 시, 상기 제1 조건을 전기 차량에 적용되며 전력이 제일 높은 배터리가 놓이도록 설정되게 수정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배터리 교체 제어 방법은:
상기 제1 조건에 부합되는 배터리 보관 랙이 하나를 초과할 시, 상기 제1 조건에 부합되는 배터리 보관 랙에서, 임의로 하나의 배터리 보관 랙을 선택하여 상기 제1 배터리 보관 랙으로 하고, 또는 상기 전기 차량과의 거리 혹은 상기 전기 차량을 주차하는데 사용되는 차량 플랫폼과의 거리가 제일 가까운 하나의 배터리 보관 랙을 선택하여 상기 제1 배터리 보관 랙으로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및/또는, 상기 제2 조건에 부합되는 배터리 보관 랙이 하나를 초과할 시, 상기 제2 조건에 부합되는 배터리 보관 랙에서, 임의로 하나의 배터리 보관 랙을 선택하여 상기 제2 배터리 보관 랙으로 하고, 또는 상기 전기 차량과의 거리 혹은 상기 전기 차량을 주차하는데 사용되는 차량 플랫폼과의 거리가 제일 가까운 하나의 배터리 보관 랙을 선택하여 상기 제2 배터리 보관 랙으로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배터리 교체 제어 방법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배터리 보관 랙에 다기능 배터리 보관 랙이 존재하는 지를 판단하고, 상기 다기능 배터리 보관 랙은 상기 제1조건과 제2조건에 전부 부합되는 배터리 보관 랙이고;
존재 할 시,
상기 다기능 배터리 보관 랙을 동시에 상기 제1 배터리 보관 랙 및 상기 제2 배터리 보관 랙으로 하거나;
또는, 상기 다기능 배터리 보관 랙을 상기 제1 배터리 보관 랙 및 상기 제2 배터리 보관 랙 중 임의의 하나로 하거나;
또는, 이하 임의의 하나의 조건을 상기 다기능 배터리 보관 랙을 제1 배터리 보관 랙으로 하는데 필요한 조건으로 하거나:
나머지 배터리 보관 랙은 전부 상기 제1조건에 부합되지 않는 조건;
나머지 배터리 보관 랙에서, 상기 제1조건에 부합되는 배터리 보관 랙의 개수가 상기 제2조건에 부합되는 배터리 보관 랙의 개수보다 적은 조건;
나머지 배터리 보관 랙에서, 상기 제1조건에 부합되는 배터리 보관 랙의 개수가 상기 제2조건에 부합되는 배터리 보관 랙의 개수보다 적고, 두 개수 사이의 차이의 절대 값이 제1 차이 임계 값보다 적은 조건;
나머지 배터리 보관 랙에서, 상기 제1조건에 부합되는 배터리 보관 랙의 개수가 제1 개수 임계 값보다 적은 조건;
또는, 이하 임의의 하나의 조건을 상기 다기능 배터리 보관 랙을 제2 배터리 보관 랙으로 하는데 필요한 조건으로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나머지 배터리 보관 랙은 전부 상기 제2조건에 부합되지 않는 조건;
나머지 배터리 보관 랙에서, 상기 제2조건에 부합되는 배터리 보관 랙의 개수가 상기 제1조건에 부합되는 배터리 보관 랙의 개수보다 적은 조건;
나머지 배터리 보관 랙에서, 상기 제2조건에 부합되는 배터리 보관 랙의 개수가 상기 제1조건에 부합되는 배터리 보관 랙의 개수보다 적고, 두 개수사이의 차이의 절대 값이 제2 차이 임계 값보다 적은 조건;
나머지 배터리 보관 랙에서, 상기 제2조건에 부합되는 배터리 보관 랙의 개수가 제2 개수 임계 값보다 적은 조건.
바람직하게, 상기 적어도 두개의 배터리 교체 장치는 전부 단일 기능 배터리 교체 장치거나;
또는, 전부 다기능 배터리 교체 장치거나;
또는, 일부는 단일 기능 배터리 교체 장치이고, 일부는 다기능 배터리 교체 장치이고;
상기 단일 기능 배터리 교체 장치는 제1구조를 가지고 배터리 장착 배터리 교체 장치로만 배치가능하거나, 또는 제2구조를 가지고 배터리 언로드 배터리 교체 장치로만 배치가능하고;
상기 다기능 배터리 교체 장치는 제1구조와 제2구조를 겸비하여 배터리 언로드 배터리 교체 장치와 배터리 장착 배터리 교체 장치중의 임의의 하나로 배치될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배터리 장착 배터리 교체 장치로 배치되는 배터리 교체 장치는 상기 제1 배터리 보관 랙과의 거리가 가장 가까운 배터리 교체 장치이며;
또는, 상기 배터리 언로드 배터리 교체 장치로 배치되는 배터리 교체 장치는 상기 전기 차량 혹은 상기 전기 차량을 주차하는데 사용되는 차량 플랫폼과의 거리가 가장 가까운 배터리 교체 장치이며;
또는, 매개 상기 배터리 보관 랙과 적어도 하나의 상기 배터리 교체 장치는 기 설정된 바인딩 관계를 가지며; 상기 배터리 장착 배터리 교체 장치로 배치되는 배터리 교체 장치는 상기 제1 배터리 보관 랙과 바인딩 관계를 가지는 배터리 교체 장치이며, 또는 상기 제1 배터리 보관 랙과 바인딩 관계를 가지고 상기 제1 배터리 보관 랙과의 거리가 가장 가까운 배터리 교체 장치이며; 상기 배터리 언로드 배터리 교체 장치로 배치되는 배터리 교체 장치는 상기 제2 배터리 보관 랙과 바인딩 관계를 가지는 배터리 교체 장치이며, 또는 상기 제2 배터리 보관 랙과 바인딩 관계를 가지고 상기 전기 차량 혹은 상기 전기 차량을 주차하는데 사용되는 차량 플랫폼과의 거리가 가장 가까운 배터리 교체 장치이다.
바람직하게, 상기 전기 차량이 차량 플랫폼에 주차되기 전, 상기 전기 차량에 적용되는 배터리 모델은 예측 가능한 것이고:
상기 배터리 교체 제어 방법은:
상기 전기 차량이 차량 플랫폼에 주차되기 전,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배터리 보관 랙에서 제1조건에 부합되는 배터리 보관 랙을 제1 배터리 보관 랙으로 하고, 상기 배터리 장착 배터리 교체 장치가 상기 제1 배터리 보관 랙에서 상기 장착 대기 배터리를 꺼내도록 명령하는 단계;
상기 배터리 장착 배터리 교체 장치가 상기 제1 배터리 보관 랙에서 상기 장착 대기 배터리를 꺼낸 후, 상기 배터리 장착 배터리 교체 장치가 미리 제1의 기 설정된 대기 위치로 주차되도록 명령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기 설정된 대기 위치는 상기 차량 플랫폼에서 제1 거리 임계 값을 초과하지 않는 거리에 있는 위치이다.
바람직하게, 이하 방식을 통하여 상기 전기 차량에 적용되는 배터리 모델을 예측하되: 상기 차량 플랫폼은 상기 모델의 배터리를 적용하는 전기 차량의 주차만 허용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배터리 교체 제어 방법은:
상기 전기 차량이 차량 플랫폼에 주차되기 전, 상기 배터리 언로드 배터리 교체 장치가 미리 제2의 기 설정된 대기 위치에 주차되도록 명령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기 설정된 배터리 교체 위치가 주차 가능한 상태일 시, 상기 제2의 기 설정된 대기 위치는 상기 기 설정된 배터리 교체 위치와 동일한 위치이고, 상기 기 설정된 배터리 교체 위치는 상기 차량 플랫폼에 주차된 전기 차량에서 배터리를 꺼내기 위한 위치이다.
바람직하게, 기 설정된 배터리 교체 위치가 주차 불가능한 상태일 시, 상기 제2의 기 설정된 대기 위치는 상기 기 설정된 배터리 교체 위치에서 제2의 거리 임계값을 초과하지 않는 거리의 위치이며, 상기 기 설정된 배터리 교체 위치는 상기 차량 플랫폼에 주차된 전기 차량에서 배터리를 꺼내기 위한 위치이며;
상기 배터리 교체 제어 방법은: 상기 전기 차량이 상기 차량 플랫폼에 주차된 후, 상기 배터리 언로드 배터리 교체 장치를 상기 제2의 기 설정된 대기 위치에서 상기 기 설정된 배터리 교체 위치로 이동하도록 명령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이하 조건을 동시에 만족할 시, 상기 기 설정된 배터리 교체 위치는 주차 가능한 상태이고, 아니면 상기 기 설정된 배터리 교체 위치는 주차 불가능한 상태이고:
상기 기 설정된 배터리 교체 위치는 빈 위치이며;
상기 배터리 언로드 배터리 교체 장치가 상기 기 설정된 배터리 교체 위치로 이동할수 있게 하는 통로가 존재하며;
상기 배터리 언로드 배터리 교체 장치가 상기 기 설정된 배터리 교체 위치로의 주차가 예측 될 시, 상기 배터리 언로드 배터리 교체 장치는 상기 차량 플랫폼으로 진입하는 전기 차량을 차단하지 않는다.
바람직하게, 상기 차량 플랫폼의 구조에 따라 상기 기 설정된 배터리 교체 위치가 상기 차량 플랫폼의 아래 혹은 위에 위치하는지가 결정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배터리 교체 제어 방법은:
상기 전기 차량이 차량 플랫폼에 주차된 후, 상기 배터리 언로드 배터리 교체 장치가 이동하여 기 설정된 배터리 교체 위치로 주차되도록 명령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기 설정된 배터리 교체 위치는 상기 차량 플랫폼에 주차된 전기 차량에서 배터리를 꺼내기 위한 위치이다.
바람직하게, 상기 배터리 교체 제어 방법은:
상기 전기 차량이 차량 플랫폼에 주차되고 상기 배터리 언로드 배터리 교체 장치가 상기 기 설정된 배터리 교체 위치에 주차된 후, 상기 배터리 언로드 배터리 교체 장치가 상기 전기 차량에서 상기 전력 부족 배터리를 꺼내도록 명령하는 단계;
상기 배터리 언로드 배터리 교체 장치가 상기 전기 차량에서 전력 부족 배터리를 꺼낸 후, 상기 배터리 언로드 배터리 교체 장치가 상기 제2 배터리 보관 랙으로 이동하고 상기 전력 부족 배터리를 상기 빈 배터리 보관 창에 놓게 하도록 명령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배터리 교체 제어 방법은:
상기 배터리 언로드 배터리 교체 장치가 상기 기 설정된 배터리 교체 위치를 떠나거나 상기 기 설정된 배터리 교체 위치에서 제3의 거리 임계 값을 초과한 거리를 떠난 후, 상기 배터리 장착 배터리 교체 장치가 상기 기 설정된 배터리 교체 위치로 이동하도록 명령하는 단계;
상기 배터리 장착 배터리 교체 장치가 상기 기 설정된 배터리 교체 위치로 이동 한 후, 상기 배터리 장착 배터리 교체 장치가 상기 장착 대기 배터리를 상기 전기 차량에 장착하도록 명령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본 분야 통상의 지식에 근거하여, 전술한 바람직한 조건을 임의로 조합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얻을수 있다.
본 발명의 긍정적인 진보적 효과는 하기와 같다: 본 발명은 제어 유닛의 제어를 통하여, 차량의 배터리 교체 전체 과정에서 두개의 배터리 교체 장치를 사용하는데:
배터리 장착 배터리 교체 장치, 이의 이동 경로는 제1 배터리 보관 랙과 전기 차량 사이에 있으며, 장착 대기 배터리의 운송을 구현하고;
배터리 언로드 배터리 교체 장치, 이의 이동 경로는 전기 차량과 제2 배터리 보관 랙사이에 있으며, 전력 부족 배터리의 운송을 구현한다.
상기 두개의 배터리 교체 장치는 각각 부동한 직책을 지니며, 공동으로 배터리 교체 임무를 완료하여, 전체 배터리 교체 시간은 단일 배터리 교체 장치를 사용하여 배터리 교체를 구현 하였을 시에 비교하여 적어도 절반의 시간을 단축하였고, 배터리 교체 속도와 효율을 향상시켰다.
본 발명은 배터리 교체 제어 방법을 더 제공하며,
배터리 교체 대기 전기 차량에 적용되는 배터리 모델을 확정하는 단계;
적어도 하나의 배터리 보관 랙에서 제1조건에 부합되는 배터리 보관 랙을 선택하여 제1 배터리 보관 랙으로 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배터리 보관 랙은 여러 개의 배터리를 보관하는데 사용되는 배터리 보관 창을 구비하며, 상기 제1조건은 상기 배터리 모델의 배터리가 놓이도록 설정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배터리 보관 랙에서 제2조건에 부합되는 배터리 보관 랙을 선택하여 제2 배터리 보관 랙으로 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2조건은 빈 배터리 보관 창을 구비하도록 설정되며;
상기 적어도 두개의 배터리 교체 장치에서 적어도 하나의 배터리 교체 장치를 배터리 장착 배터리 교체 장치로 배치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배터리 장착 배터리 교체 장치는 장착 대기 배터리를 운송하는데 사용되며, 상기 장착 대기 배터리는 상기 제1 배터리 보관 랙에서 꺼낸 상기 배터리 모델이고 상기 전기 차량에 설치 될 배터리이며;
상기 적어도 두개의 배터리 교체 장치에서 적어도 하나의 배터리 교체 장치를 배터리 언로드 배터리 교체 장치로 배치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배터리 언로드 배터리 교체 장치는 전력 부족 배터리를 운송하는데 사용되며, 상기 전력 부족 배터리는 상기 전기 차량에서 꺼낸 상기 빈 배터리 보관 창에 놓일 배터리이다.
바람직하게, 상기 배터리 교체 제어 방법은: 상기 배터리 보관 랙에 놓인 배터리의 전력을 모니터링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조건은 상기 배터리 모델이며 완전히 충전 된 배터리가 놓이도록 설정되고;
또는, 상기 제1 조건은 바람직하게 상기 배터리 모델이며 완전히 충전 된 배터리가 놓이도록 설정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배터리 보관 랙이 상기 제1 조건에 부합되는 배터리 보관 랙을 구비하지 않을 시, 상기 제1 조건을 상기 배터리 모델이며 전력이 제일 높은 배터리가 놓이도록 설정되게 수정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배터리 교체 제어 방법은:
상기 제1 조건에 부합되는 배터리 보관 랙이 하나를 초과할 시, 상기 제1 조건에 부합되는 배터리 보관 랙에서, 임의로 하나의 배터리 보관 랙을 선택하여 상기 제1 배터리 보관 랙으로 하고, 또는 상기 전기 차량과의 거리 혹은 상기 전기 차량을 주차하는데 사용되는 차량 플랫폼과의 거리가 제일 가까운 하나의 배터리 보관 랙을 선택하여 상기 제1 배터리 보관 랙으로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및/또는, 상기 제2 조건에 부합되는 배터리 보관 랙이 하나를 초과할 시, 상기 제2 조건에 부합되는 배터리 보관 랙에서, 임의로 하나의 배터리 보관 랙을 선택하여 상기 제2 배터리 보관 랙으로 하고, 또는 상기 전기 차량과의 거리 혹은 상기 차량 플랫폼과의 거리가 제일 가까운 하나의 배터리 보관 랙을 선택하여 상기 제2 배터리 보관 랙으로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배터리 교체 제어 방법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배터리 보관 랙에 다기능 배터리 보관 랙이 존재 하는지를 판단하고, 상기 다기능 배터리 보관 랙은 상기 제1조건과 제2조건에 전부 부합되는 배터리 보관 랙이고;
존재 할 시,
상기 다기능 배터리 보관 랙을 동시에 상기 제1 배터리 보관 랙 및 상기 제2 배터리 보관 랙으로 하거나;
또는, 상기 다기능 배터리 보관 랙을 상기 제1 배터리 보관 랙 및 상기 제2 배터리 보관 랙 중 임의의 하나로 하거나;
또는, 이하 임의의 하나의 조건을 상기 다기능 배터리 보관 랙을 제1 배터리 보관 랙으로 하는데 필요한 조건으로 하거나:
나머지 배터리 보관 랙은 전부 상기 제1조건에 부합되지 않는 조건;
나머지 배터리 보관 랙에서, 상기 제1조건에 부합되는 배터리 보관 랙의 개수가 상기 제2조건에 부합되는 배터리 보관 랙의 개수보다 적은 조건;
나머지 배터리 보관 랙에서, 상기 제1조건에 부합되는 배터리 보관 랙의 개수가 상기 제2조건에 부합되는 배터리 보관 랙의 개수보다 적고, 두 개수 사이의 차이의 절대 값이 제1 차이 임계 값보다 적은 조건;
나머지 배터리 보관 랙에서, 상기 제1조건에 부합되는 배터리 보관 랙의 개수가 제1 개수 임계 값보다 적은 조건;
또는, 이하 임의의 하나의 조건을 상기 다기능 배터리 보관 랙을 제2 배터리 보관 랙으로 하는데 필요한 조건으로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나머지 배터리 보관 랙은 전부 상기 제2조건에 부합되지 않는 조건;
나머지 배터리 보관 랙에서, 상기 제2조건에 부합되는 배터리 보관 랙의 개수가 상기 제1조건에 부합되는 배터리 보관 랙의 개수보다 적은 조건;
나머지 배터리 보관 랙에서, 상기 제2조건에 부합되는 배터리 보관 랙의 개수가 상기 제1조건에 부합되는 배터리 보관 랙의 개수보다 적고, 두 개수사이의 차이의 절대 값이 제2 차이 임계 값보다 적은 조건;
나머지 배터리 보관 랙에서, 상기 제2조건에 부합되는 배터리 보관 랙의 개수가 제2 개수 임계 값보다 적은 조건.
바람직하게, 상기 적어도 두개의 배터리 교체 장치는 전부 단일 기능 배터리 교체 장치이거나;
또는, 전부 다기능 배터리 교체 장치이거나;
또는, 일부는 단일 기능 배터리 교체 장치이고, 일부는 다기능 배터리 교체 장치이고;
상기 단일 기능 배터리 교체 장치는 제1구조를 가지고 배터리 장착 배터리 교체 장치로만 배치가능하고, 또는 제2구조를 가지고 배터리 언로드 배터리 교체 장치로만 배치가능하고고;
상기 다기능 배터리 교체 장치는 제1구조와 제2구조를 겸비하여 배터리 언로드 배터리 교체 장치와 배터리 장착 배터리 교체 장치중의 임의의 하나로 배치될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배터리 장착 배터리 교체 장치로 배치되는 배터리 교체 장치는 상기 제1 배터리 보관 랙과의 거리가 가장 가까운 배터리 교체 장치이며;
또는, 상기 배터리 언로드 배터리 교체 장치로 배치되는 배터리 교체 장치는 상기 전기 차량 혹은 상기 전기 차량을 주차하는데 사용되는 차량 플랫폼과의 거리가 가장 가까운 배터리 교체 장치이며;
또는, 매개 상기 배터리 보관 랙과 적어도 하나의 상기 배터리 교체 장치는 기 설정된 바인딩 관계를 가지며; 상기 배터리 장착 배터리 교체 장치로 배치되는 배터리 교체 장치는 상기 제1 배터리 보관 랙과 바인딩 관계를 가지는 배터리 교체 장치이며, 또는 상기 제1 배터리 보관 랙과 바인딩 관계를 가지고 상기 제1 배터리 보관 랙과의 거리가 가장 가까운 배터리 교체 장치이며; 상기 배터리 언로드 배터리 교체 장치로 배치되는 배터리 교체 장치는 상기 제2 배터리 보관 랙과 바인딩 관계를 가지는 배터리 교체 장치이며, 또는 상기 제2 배터리 보관 랙과 바인딩 관계를 가지고 상기 전기 차량 혹은 상기 전기 차량을 주차하는데 사용되는 차량 플랫폼과의 거리가 가장 가까운 배터리 교체 장치이다.
바람직하게, 상기 배터리 교체 제어 방법은:
상기 제1 배터리 보관 랙을 선택 한 후, 상기 배터리 장착 배터리 교체 장치가 상기 제1 배터리 보관 랙에서 상기 장착 대기 배터리를 꺼내도록 명령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배터리 장착 배터리 교체 장치가 상기 제1 배터리 보관 랙에서 상기 장착 대기 배터리를 꺼낸 후, 상기 배터리 장착 배터리 교체 장치가 미리 제1의 기 설정된 대기 위치로 주차되도록 명령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기 설정된 대기 위치는 상기 차량 플랫폼에서 제1 거리 임계 값을 초과하지 않는 거리에 있는 위치이다.
바람직하게, 상기 배터리 교체 대기 전기 차량에 적용되는 배터리 모델을 결정하는 단계는 구체적으로:
상기 전기 차량의 번호판을 스캔하고, 상기 번호판을 통하여 상기 전기 차량에 적용되는 배터리 모델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배터리 교체 제어 방법은:
상기 전기 차량이 차량 플랫폼에 주차되기 전, 상기 배터리 언로드 배터리 교체 장치가 미리 제2의 기 설정된 대기 위치에 주차되도록 명령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기 설정된 배터리 교체 위치가 주차 가능한 상태일 시, 상기 제2의 기 설정된 대기 위치는 상기 기 설정된 배터리 교체 위치와 동일한 위치이고, 상기 기 설정된 배터리 교체 위치는 상기 차량 플랫폼에 주차된 전기 차량에서 배터리를 꺼내기 위한 위치이다.
바람직하게, 기 설정된 배터리 교체 위치가 주차 불가능한 상태일 시, 상기 제2의 기 설정된 대기 위치는 상기 기 설정된 배터리 교체 위치에서 제2의 거리 임계값을 초과하지 않는 거리의 위치이며, 상기 기 설정된 배터리 교체 위치는 상기 차량 플랫폼에 주차된 전기 차량에서 배터리를 꺼내기 위한 위치이며;
상기 배터리 교체 제어 방법은: 상기 전기 차량이 상기 차량 플랫폼에 주차된 후, 상기 배터리 언로드 배터리 교체 장치를 상기 제2의 기 설정된 대기 위치에서 상기 기 설정된 배터리 교체 위치로 이동하도록 명령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이하 조건을 동시에 만족할 시, 상기 기 설정된 배터리 교체 위치는 주차 가능한 상태이고, 아니면 상기 기 설정된 배터리 교체 위치는 주차 불가능한 상태이고:
상기 기 설정된 배터리 교체 위치는 빈 위치이며;
상기 배터리 언로드 배터리 교체 장치가 상기 기 설정된 배터리 교체 위치로 이동할수 있게 하는 통로가 존재하며;
상기 배터리 언로드 배터리 교체 장치가 상기 기 설정된 배터리 교체 위치로의 주차가 예측 될 시, 상기 배터리 언로드 배터리 교체 장치는 상기 차량 플랫폼으로 진입하는 전기 차량을 차단하지 않는다.
바람직하게, 상기 차량 플랫폼의 구조에 따라 상기 기 설정된 배터리 교체 위치가 상기 차량 플랫폼의 아래 혹은 위에 위치하는지가 결정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배터리 교체 제어 방법은:
상기 전기 차량이 차량 플랫폼에 주차된 후, 상기 배터리 언로드 배터리 교체 장치가 이동하여 기 설정된 배터리 교체 위치로 주차되도록 명령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기 설정된 배터리 교체 위치는 상기 차량 플랫폼에 주차된 전기 차량에서 배터리를 꺼내기 위한 위치이다.
바람직하게, 상기 배터리 교체 제어 방법은:
상기 전기 차량이 차량 플랫폼에 주차되고 상기 배터리 언로드 배터리 교체 장치가 상기 기 설정된 배터리 교체 위치에 주차된 후, 상기 배터리 언로드 배터리 교체 장치가 상기 전기 차량에서 상기 전력 부족 배터리를 꺼내도록 명령하는 단계;
상기 배터리 언로드 배터리 교체 장치가 상기 전기 차량에서 상기 전력 부족 배터리를 꺼낸 후, 상기 배터리 언로드 배터리 교체 장치가 상기 제2 배터리 보관 랙으로 이동하고 상기 전력 부족 배터리를 상기 빈 배터리 보관 창에 놓게 하도록 명령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배터리 교체 제어 방법은:
상기 배터리 언로드 배터리 교체 장치가 상기 기 설정된 배터리 교체 위치를 떠나거나 상기 기 설정된 배터리 교체 위치에서 제3의 거리 임계 값을 초과한 거리를 떠난 후, 상기 배터리 장착 배터리 교체 장치가 상기 기 설정된 배터리 교체 위치로 이동하도록 명령하는 단계;
상기 배터리 장착 배터리 교체 장치가 상기 기 설정된 배터리 교체 위치로 이동 한 후, 상기 배터리 장착 배터리 교체 장치가 상기 장착 대기 배터리를 상기 전기 차량에 장착하도록 명령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본 분야 통상의 지식에 근거하여, 전술한 바람직한 조건을 임의로 조합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얻을수 있다.
본 발명의 긍정적인 진보적 효과는 하기와 같다: 본 발명은 제어 유닛을 통하여 전기 차량에 적용되는 배터리 모델을 확인하고, 편리하게 제1 배터리 보관 랙을 선택하고 장착 대기 배터리를 수거하고, 그 외에도, 상기 제어 유닛의 제어를 통하여, 차량의 배터리 교체 전체 과정에서 두개의 배터리 교체 장치를 사용하되:
배터리 장착 배터리 교체 장치, 이의 이동 경로는 제1 배터리 보관 랙과 전기 차량 사이에 있으며, 장착 대기 배터리의 운송을 구현하고;
배터리 언로드 배터리 교체 장치, 이의 이동 경로는 전기 차량과 제2 배터리 보관 랙사이에 있으며, 전력 부족 배터리의 운송을 구현한다.
상기 두개의 배터리 교체 장치는 각각 부동한 직책을 지니며, 공동으로 배터리 교체 임무를 완성하여, 전체 배터리 교체 시간은 단일 배터리 교체 장치를 사용하여 배터리 교체를 구현 하였을 시에 비교하여 적어도 절반의 시간을 절감하였고, 배터리 교체 속도와 효율을 향상시켰다.
본 발명의 긍정적인 진보적 효과는 하기와 같다: 본 발명의 배터리 교체 장치는 배터리 교체 과정에서의 이동 회수를 줄일수 있고 배터리 교체 시간을 절감할수 있고 배터리 교체 효율을 향상시킬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배터리 교체 제어 시스템의 예시적 흐름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첫번째 구조의 차량 플랫폼의 측면 모식도이고;
도 3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두번째 구조의 차량 플랫폼의 측면 모식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 2 및 실시예 8의 배터리 교체 제어 시스템의 예시적 흐름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 10 및 실시예 12의 배터리 교체 제어 시스템이 배터리 장착 배터리 교체 장치와 배터리 언로드 배터리 교체 장치를 배치하는 평면 모식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 11 및 실시예 13의 첫번째 구조의 차량 플랫폼의 측면 모식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 11 및 실시예 13의 두번째 구조의 차량 플랫폼의 측면 모식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 20의 배터리 교체 제어 방법의 흐름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 24의 배터리 교체 제어 방법의흐름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 25의 배터리 교체 제어 방법의흐름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 30의 배터리 교체 제어 방법의흐름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 31의 배터리 교체 제어 방법의흐름도이고;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 32의 배터리 교체 제어 방법의흐름도이고;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 37의 배터리 교체 제어 방법의흐름도이고;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 38의 배터리 교체 제어 방법의흐름도이다.
아래,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해 도면을 결부하여 본 발명을 보다 더 한층 설명한다, 하지만 이로 인해 본 발명을 실시예의 범위로 한정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된다.
실시예 1
도 1은 본 실시예의 배터리 교체 제어 시스템을 예시하였다. 상기 배터리 교체 제어 시스템(10)은: 제어 유닛(11) 및 배터리 교체 장치(12)를 포함한다. 그중, 상기 제어 유닛(11)과 상기 배터리 교체 장치(12)는 통신 연결되며, 상기 통신 연결은 바람직하게 무선 통신 연결이며, 구체적으로 2G, 3G, 4G, 블루투스 등 통신 수단으로 구현될수 있으며, 물론 특별한 상황(예를 들면, 제어 유닛(11)과 상기 배터리 교체 장치(12)의 거리가 아주 가깝고 상기 배터리 교체 장치(12)의 활동 범위가 아주 작을 때)을 배제하지 않는 한, 상기 통신 연결은 유선 통신 연결일 수도 있다.
상기 제어 유닛(11)은 전기 차량에 적용되는 배터리 모델을 결정하는데 사용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어 유닛(11)은 상기 전기 차량의 번호판을 스캔할수 있고, 상기 번호판을 통하여 상기 전기 차량에 적용되는 배터리 모델을 결정한다.
상기 제어 유닛(11)은 또한 적어도 하나의 배터리 보관 랙(13)에서 제1조건에 부합되는 배터리 보관 랙을 선택하여 제1 배터리 보관 랙(13A)으로 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배터리 보관 랙(13)에서 제2조건에 부합되는 배터리 보관 랙을 선택하여 제2 배터리 보관 랙(13B)으로 하는데 사용되며, 상기 배터리 보관 랙은 여러 개의 배터리를 보관하는데 사용되는 배터리 보관 창을 구비하며, 상기 제1조건은 상기 배터리 모델의 배터리가 놓이도록 설정되고, 상기 제2조건은 빈 배터리 보관 창을 구비하도록 설정된다.
상기 배터리 교체 장치(12)는 기 설정된 배터리 교체 위치로 이동하여, 상기 전기 차량에서 전력 부족 배터리를 꺼내고, 상기 전력 부족 배터리를 상기 제2 보관 랙(13B)에 운송하고 상기 빈 배터리 보관 창에 놓은 후, 상기 제1 배터리 보관 랙(13A)으로 이동하여, 상기 제1 배터리 보관 랙(13A)에서 상기 배터리 모델의 배터리를 꺼내고, 상기 배터리 모델의 배터리를 상기 기 설정된 배터리 교체 위치로 운송하고 상기 전기 차량에 장착하는데 사용되며, 상기 기 설정된 배터리 교체 위치는 상기 전기 차량에서 배터리를 꺼내고 장착하는데 적용되는 위치이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어 유닛(11)은 전기 차량에 적용되는 배터리 모델을 결정하여, 편리하게 제1 배터리 보관 랙을 선택할수 있고; 차량의 배터리를 교체하는 전체 과정에서, 상기 배터리 교체 장치(12)는 원활하게 이동하여, 배터리 교체 속도와 효율을 향상시켰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기 설정된 배터리 교체 위치는, 상기 배터리 교체 장치(12)가 상기 기 설정된 배터리 교체 위치에 위치 할 시, 최소한의 동작을 통하여 전기 차량에서 배터리를 꺼내거나 전기 차량에 배터리를 장착할수 있는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상기 기 설정된 배터리 교체 위치는 구체적으로 상기 전기 차량이 주차된 차량 플랫폼의 구조에 따라 상기 기 설정된 배터리 교체 위치가 상기 차량 플랫폼의 아래 혹은 위에 위치하는지가 결정된다.
첫번째 구조의 차량 플랫폼을 예로 들면, 도 2에서 예시 한바와 같이, 차량 플랫폼(15)은 지평면보다 높으며 중앙에 빈 영역을 가지고, 전기 차량(14)이 배터리 교체가 필요 할 시 상기 차량 플랫폼(15)위에 주차되며 전기 차량(14)의 배터리 박스는 상기 빈 영역의 위에 위치하며, 이러한 구조의 차량 플랫폼(15)에 대하여, 상기 기 설정된 배터리 교체 위치(P1)는 통상적으로 상기 차량 플랫폼의 아래에 위치하고, 특별히 빈 영역의 아래에 위치하고 상기 전기 차량(14)의 배터리 외부 박스에 조준한다. 상기 차량 플랫폼(15)에 주차되어 배터리 교체를 하는 전기 차량(14)에 대하여, 상기 배터리 교체 장치(12)는 상기 기 설정된 배터리 교체 위치(P1)에서 상기 전력 부족 배터리를 상기 전기 차량에서 잠금 해제하는데 사용되는 잠금 해제 메커니즘을 수직으로 들어올리고, 상기 빈 영역을 지나, 상기 잠금 해제 메커니즘을 상기 전기 차량(14)의 배터리 외부 박스와 베터리 사이의 틈에 삽입하고, 배터리 박스의 잠금 블록을 터치하면, 상기 전력 부족 배터리를 잠금 해제하여, 상기 전력 부족 배터리를 꺼낼수 있다. 마찬가지로, 상기 기 설정된 배터리 교체 위치(P1)에서, 상기 배터리 교체 장치(12)는 상기 전기 차량에 장착될 배터리를 수직으로 들어올리기만 하면 장착을 완성할 수 있다.
또 두번째 구조의 차량 플랫폼을 예로 들면, 도 3에서 예시 된바와 같이, 차량 플랫폼(15)은 중앙에 리프팅 플랫폼(151)을 구비하고, 상기 차량 플랫폼(15)의 중앙에 빈 영역이 설치되고, 전기 차량(14)이 배터리 교체가 필요 할 시 상기 차량 플랫폼(15)에 진입하고 리프팅 플랫폼(151)위에 주차되며 전기 차량(14)의 배터리 박스는 상기 빈 영역의 위에 위치하며, 이러한 구조의 차량 플랫폼(15)에 대하여, 상기 기 설정된 배터리 교체 위치(P2)는 통상적으로 상기 차량 플랫폼(15)의 위에 위치하고, 특별히 상기 리프팅 플랫폼(151)이 올라간 후 상기 빈 영역의 아래에 위치한다. 상기 리프팅 플랫폼(151)에 주차되어 배터리 교체를 하는 전기 차량(14)에 대하여, 상기 배터리 교체 장치(12)는 상기 기 설정된 배터리 교체 위치(P2)에서 상기 전력 부족 배터리를 상기 전기 차량(14)에서 잠금 해제하는데 사용되는 잠금 해제 메커니즘을 수직으로 들어올리고, 상기 빈 영역을 지나, 상기 잠금 해제 구조를 상기 전기 차량(14)의 배터리 외부 박스와 베터리 사이의 틈에 삽입하고, 배터리 박스의 잠금 블록을 터치하면, 상기 전력 부족 배터리를 잠금 해제 하여, 상기 전력 부족 배터리를 꺼낼수 있다. 마찬가지로, 상기 기 설정된 배터리 교체 위치(P2)에서, 상기 배터리 교체 장치(12)는 상기 전기 차량에 장착 될 배터리를 수직으로 들어올리기만 하면 장착을 완료할 수 있다.
물론, 상기 차량 플랫폼은 상기 구조에만 한정되지 않고, 다른 구조일 수도 있으며, 상기 기 설정된 배터리 교체 위치는 상기 차량 플랫폼의 구조, 그리고 더 나아가 상기 배터리 교체 장치(12)의 전력 부족 배터리를 꺼내거나 배터리를 장착하는데 수요되는 구조의 이동경로 등 조건을 결합하여 설정할 수 있다.
실시예 2
본 실시예의 배터리 교체 제어 시스템은 실시예 1의 기초상에서 더욱 개선 된 것이며, 주로 제1조건의 설정에서 반영된다. 제1조건은 상기 제1 배터리 보관 랙(13A)을 선택하는 근거로, 필요한 상기 배터리 모델의 배터리가 놓이는 외에, 더 나아가 다른 바람직한 배합 조건도 설정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배합 조건은 주로 배터리의 전력과 연관되며, 상기 제어 유닛(11)은 또한 상기 배터리 보관 랙에 놓인 배터리의 전력을 모니터링하는데 사용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조건은 상기 배터리 모델이며 완전히 충전 된 배터리가 놓이도록 설정될 수 있다. 상응하게, 상기 제어 유닛(11)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배터리 보관 랙에 상기 제1조건에 부합되는 배터리 보관 랙이 존재하는 지를 판단하고, 존재 할 시, 그중에서 하나를 선택하여 상기 제1 배터리 보관 랙(13A)으로 한다. 만약 상기 제1조건에 부합되는 배터리 보관 랙이 존재하지 않을 시 상기 제어 유닛(11)은 경고 신호를 발송하여, 상기 전기 차량의 배터리 교체를 할 수 없음을 제시할 수 있다.
혹은, 전기 차량의 배터리 교체 확률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상기 제1 조건은 우선적으로 상기 배터리 모델이며 완전히 충전 된 배터리가 놓이도록 설정할 수 있으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배터리 보관 랙이 상기 제1 조건에 부합되는 배터리 보관 랙을 구비하지 않을 시, 상기 제1 조건을 상기 배터리 모델이며 전력이 제일 높은 배터리가 놓이도록 설정되게 수정한다. 상응하게, 상기 제1 조건은 기본적으로 상기 배터리 모델이며 완전히 충전 된 배터리가 놓이도록 설정되고, 상기 제어 유닛(11)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배터리 보관 랙에 기본적인 제1조건을 부합하는 배터리 보관 랙이 존재하는 지를 판단하고, 존재 할 시, 그중에서 하나를 선택하여 상기 제1 배터리 보관 랙(13A)으로 하고, 존재하지 않을 시:
상기 제1 조건을 상기 배터리 모델이며 전력이 제일 높은 배터리가 놓이도록 설정되게 수정하고, 다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배터리 보관 랙에 현재 제1조건에 부합되는 배터리 보관 랙이 존재하는 지를 판단하고, 존재 할 시 그중에서 하나를 선택하여 상기 제1 배터리 보관 랙(13A)으로 한다. 만약 상기 제1조건에 부합되는 배터리 보관 랙이 존재하지 않을 시 상기 제어 유닛(11)은 경고 신호를 발송하여, 상기 전기 차량의 배터리 교체를 할 수 없음을 제시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상기 빈 배터리 보관 창은 또한 상기 전력 부족 배터리를 충전하는데 사용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빈 배터리 보관 창은 배터리 충전 회로를 구비하고, 상기 배터리 충전 회로는 고정적인 전력 매개 변수를 가지고, 상기 전력 매개 변수는 상기 배터리 모델과 매칭되고; 또는, 상기 배터리 충전 회로는 조절 가능한 전력 매개 변수를 가지고, 상기 제어 유닛은 또한 상기 배터리 모델에 따라 상기 전력 매개 변수를 조절하여, 상기 전력 매개 변수가 상기 배터리 모델과 매칭되게 하는데 사용된다. 상기 전력 매개 변수는 전류 및 전압 등을 포함한다.
물론 다른 실시예에서, 제1조건은 수요에 따라 다른 조건으로 설치될 수도 있다.
실시예 3
본 실시예의 배터리 교체 제어 시스템은 실시예 1 또는 2의 기초상에서 더욱 개선 된 것이며, 주로 제어 유닛(11)이 제1 배터리 보관 랙(13A)과 제2 배터리 보관 랙(13B)에 대한 선택에서 반영된다. 배터리 보관 랙의 수량이 2개거나 더 많을 경우, 동시에 2개 또는 2개 이상의 배터리 보관 랙이 상기 제1조건 또는 제2조건에 부합될 수 있다. 상기 제어 유닛(11)은 수요에 따라 상기 제1 배터리 보관 랙(13A)과 제2 배터리 보관 랙(13B)의 선택 요구를 더 한층 설정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동시에 두개 또는 두개 이상의 배터리 보관 랙이 상기 제1조건에 부합되는 상황에 대응하기 위하여, 상기 제어 유닛(11)은 상기 제1 조건에 부합되는 배터리 보관 랙이 하나를 초과하는 지를 판단하는데 사용될수 있고, 초과 할 시:
상기 제1 조건에 부합되는 배터리 보관 랙에서, 임의로 하나의 배터리 보관 랙을 선택하여 상기 제1 배터리 보관 랙(13A)으로 하고;
또는, 상기 배터리 교체 장치(12)의 이동 루트와 이동 시간을 절감하고 배터리 교체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상기 제1 조건에 부합되는 배터리 보관 랙에서, 상기 전기 차량과의 거리 혹은 상기 전기 차량을 주차하는데 사용되는 차량 플랫폼과의 거리가 제일 가까운 하나의 배터리 보관 랙을 선택하여 상기 제1 배터리 보관 랙(13A)으로 하고;
또는, 상기 제2 배터리 보관 랙과 상기 전기 차량사이의 경로에 위치한 하나의 배터리 보관 랙을 선택하여 상기 제1 배터리 보관 랙으로 하고, 또는 상기 경로에 위치하며 상기 전기 차량 혹은 상기 차량 플랫폼과의 거리가 제일 가까운 하나의 배터리 보관 랙을 선택하여 상기 제1 배터리 보관 랙으로 한다.
물론, 상기 제1조건에 부합하는 배터리 보관 랙이 하나만 있을 시, 통상적으로 이를 제1 배터리 보관 랙(13A)으로 할수 밖에 없다.
마찬가지로, 동시에 두개 또는 두개 이상의 배터리 보관 랙이 상기 제2조건에 부합되는 상황에 대응하기 위하여, 상기 제어 유닛(11)은 상기 제2조건에 부합되는 배터리 보관 랙이 하나를 초과하는 지를 판단하는데 사용될 수 있고, 초과 할 시:
상기 제2 조건에 부합되는 배터리 보관 랙에서, 임의로 하나의 배터리 보관 랙을 선택하여 상기 제2 배터리 보관 랙(13B)으로 하고;
또는, 상기 배터리 교체 장치(12)의 이동 루트와 이동 시간을 절감하고 배터리 교체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상기 제2 조건에 부합되는 배터리 보관 랙에서, 상기 전기 차량과의 거리 혹은 상기 전기 차량을 주차하는데 사용되는 차량 플랫폼과의 거리가 제일 가까운 하나의 배터리 보관 랙을 선택하여 상기 제2 배터리 보관 랙(13B)으로 한다.
물론, 상기 제2조건에 부합하는 배터리 보관 랙이 하나만 있을 시, 통상적으로 이를 제2 배터리 보관 랙(13B)으로 할수 밖에 없다.
보다 더 편리하게 매개 배터리 보관 랙의 위치를 결정하고, 제1 배터리 보관 랙(13A)/제2 배터리 보관 랙(13B)을 선택하고, 배터리 교체 장치(12)의 이동 경로를 절감하기 위하여, 상기 배터리 보관 랙은 상기 전기 차량이 상기 차량 플랫폼으로 진입하는 방향에 따라 상기 차량 플랫폼의 양측에 배치될 수 있다. 그 중, 상기 차량 플랫폼은 차량 배터리 교체 전용 플랫폼이거나 차량을 주차하고 배터리 교체에 용이한 다른 보통 플랫폼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1 배터리 보관 랙(13A)과 제2 배터리 보관 랙(13B)의 선택은 상대적으로 독립적인 것이며, 즉 부동한 수요에 따라 제1 배터리 보관 랙(13A)과 제2 배터리 보관 랙(13B)의 선택 요구를 설정할 수 있다.
실시예 4
본 실시예의 배터리 교체 제어 시스템은 실시예 1 또는 2의 기초상에서 더욱 개선 된 것이며, 주로 제어 유닛(11)이 제1 배터리 보관 랙(13A)과 제2 배터리 보관 랙(13B)에 대한 선택에서 반영된다. 실시예 3과 부동한 점은,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1 배터리 보관 랙(13A)과 제2 배터리 보관 랙(13B)을 선택 할 시 어느 정도 양자사이의 연관성에 대해 고려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어 유닛(11)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배터리 보관 랙에 다기능 배터리 보관 랙이 존재하는 지를 판단하는데 사용될 수 있고, 상기 다기능 배터리 보관 랙은 상기 제1조건과 제2조건에 전부 부합되는 배터리 보관 랙이다.
상기 다기능 배터리 보관 랙이 존재 하지 않을 시, 실시예 3의 방안에 따라 제1조건에 부합되는 배터리 보관 랙에서 제1 배터리 보관 랙(13A)을 선택하고, 제2조건에 부합되는 배터리 보관 랙에서 제2 배터리 보관 랙(13B)을 선택할 수 있다.
상기 다기능 배터리 보관 랙이 존재 할 시, 상기 제어 유닛(11)은 또한 상기 다기능 배터리 보관 랙을 동시에 상기 제1 배터리 보관 랙 및 상기 제2 배터리 보관 랙으로 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배터리 교체 장치(12)의 이동 루트를 감소시킨다.
실시예 5
본 실시예의 배터리 교체 제어 시스템은 실시예 1의 기초상에서 더욱 개선 된 것이며, 주로 상기 제어 유닛(11)이 상기 배터리 교체 장치(12)에 대한 제어 과정에서 반영된다. 전체 배터리 교체 과정은 전기 차량이 차량 플랫폼에 주차되기 전의 배터리 교체 준비 과정 및 전기 차량이 차량 플랫폼에 주차된 후의 배터리 교체 작동 과정으로 나뉜다.
상기 배터리 교체 장치(12)는 상기 제어 유닛(11)의 제어를 받는다.
배터리 교체 준비 과정에서, 상기 제어 유닛(11)은 상기 배터리 교체 장치(12)에 이하 명령어를 보내고 상기 배터리 교체 장치(12)에서 수행되고;
주차 명령어는 상기 배터리 교체 장치가 미리 기 설정된 대기 위치로 주차하도록 명령하는데 사용된다. 상기 기 설정된 대기 위치는 상기 기 설정된 배터리 교체 위치와 연관되며, 상기 기 설정된 배터리 교체 위치와 같은 위치 혹은 기 설정된 배터리 교체 위치 부근의 위치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어 유닛(11)은 상기 기 설정된 배터리 교체위치가 주차 가능한 상태인 지를 판단하고, 이를 통하여 기 설정된 대기 위치를 설정한다. 이하 조건을 동시에 만족할 시, 상기 기 설정된 배터리 교체 위치는 주차 가능한 상태이고, 아니면 상기 기 설정된 배터리 교체 위치는 주차 불가능한 상태이고:
조건 (1): 상기 기 설정된 배터리 교체 위치는 빈 위치이며;
조건 (2): 상기 배터리 교체 장치(12)가 상기 기 설정된 배터리 교체 위치로 이동할수 있게 하는 통로가 존재하며;
조건 (3): 상기 배터리 교체 장치(12)가 상기 기 설정된 배터리 교체 위치로의 주차가 예측 될 시, 상기 배터리 교체 장치(12)는 상기 차량 플랫폼으로 진입하는 전기 차량을 차단하지 않는다.
조건 (3)을 만족할수 있는 지는, 통상적으로 차량 플랫폼의 구조와 연관된다.
실시예 1의 첫번째 구조의 차량 플랫폼을 예로 하면, 전기 차량이 배터리 교체를 진행 할 시 상기 차량 플랫폼에 주차되어 있고, 상기 기 설정된 배터리 교체 위치는 통상적으로 상기 차량 플랫폼의 아래에 위치하기에, 통상적인 상황에서, 상기 배터리 교체 장치(12)가 상기 차량 플랫폼으로 진입하기 전에 상기 배터리 교체 위치로 주차되더라도, 상기 배터리 교체 장치(12)는 상기 차량 플랫폼으로 진입하는 전기 차량을 차단하지 않기에, 조건 (3)을 만족할 수 있다.
다시 실시예 1의 두번째 구조의 차량 플랫폼을 예로 하면, 전기 차량이 배터리 교체를 진행 할 시 상기 승하강 플랫폼에 주차되어 있고, 상기 기 설정된 배터리 교체 위치는 통상적으로 상기 차량 플랫폼의 위에 위치하기에, 만약 상기 배터리 교체 장치(12)가 전기 차량이 상기 차량 플랫폼으로 진입하기 전에 상기 기 설정된 배터리 교체 위치에 주차되면, 전기 차량이 상기 차량 플랫폼으로 진입 할 시, 상기 배터리 교체 장치(12)는 아마 상기 차량 플랫폼으로 진입하는 전기 차량을 차단할 수 있다. 때문에 두번째 구조의 차량 플랫에 대하여, 기 설정된 배터리 교체 위치는 통상적으로 조건(3)에 부합될 수 없으며, 이는 주차 불가능한 상태이다.
기 설정된 배터리 교체 위치가 주차 가능한 상태 일 시, 상기 기 설정된 대기 위치는 상기 기 설정된 배터리 교체 위치와 동일한 위치이다. 상기 기 설정된 배터리 교체 위치가 주차 불가능한 상태 일 시, 상기 기 설정된 대기 위치는 상기 기 설정된 배터리 교체 위치에서 제2의 거리 임계값을 초과하지 않는 거리에 있는 위치이고, 즉 상기 기 설정된 배터리 교체 위치 부근의 위치이다.
여기까지, 배터리 교체 준비 과정을 완료하였고, 상기 배터리 제어 시스템은 상기 전기 차량이 진입하고 상기 차량 플랫폼에 주차되기를 기다려, 배터리 교체 작동 과정에 들어간다.
배터리 교체 작동 과정에서, 상기 제어 유닛(11)은 상기 기 설정된 대기 위치가 상기 기 설정된 배터리 교체 위치와 동일한 위치인 지를 판단하고:
동일한 위치일 시, 상기 배터리 교체 장치(12)에 배터리 언로드 명령어를 전송하고, 상기 배터리 언로드 명령어는 상기 배터리 교체 장치(12)가 상기 전기 차량에서 상기 전력 부족 배터리를 꺼내도록 명령하는데 사용되며, 상기 배터리 교체 장치(12)는 상기 배터리 언로드 명령어를 수행하며;
동일한 위치가 아닐 시, 상기 배터리 교체 장치(12)에 미세 조절 명령어를 보내고, 상기 미세 조절 명령어는 상기 배터리 교체 장치(12)를 상기 기 설정된 대기 위치에서 상기 기 설정된 배터리 교체 위치로 이동하도록 명령하는데 사용되며, 상기 배터리 교체 장치(12)는 상기 미세 조절 명령어를 수행하며; 그리고, 상기 제어 유닛(11)은 상기 배터리 교체 장치(12)가 상기 미세 조절 명령어를 수행한 후, 상기 배터리 교체 장치(12)에 상기 배터리 언로드 명령어를 전송하고, 상기 배터리 교체 장치(12)는 상기 배터리 언로드 명령어를 수행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 유닛(11)은 상기 배터리 교체 장치(12)에 제1이동 명령어를 전송하고, 상기 제1이동 명령어는 상기 배터리 교체 장치가 상기 제2 배터리 보관 랙으로 이동하도록 명령하는데 사용되며; 상기 배터리 교체 장치(12)는 상기 제1이동 명령어를 수행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 유닛(11)은 상기 배터리 교체 장치(12)에 배터리 놓기 명령어를 전송하고, 상기 배터리 놓기 명령어는 상기 배터리 교체 장치가 상기 전력 부족 배터리를 상기 빈 배터리 보관 창에 놓도록 명령하는데 사용되며; 상기 배터리 교체 장치(12)는 상기 배터리 놓기 명령어를 수행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 유닛(11)은 상기 배터리 교체 장치(12)에 제2이동 명령어를 전송하고, 상기 제2이동 명령어는 상기 배터리 교체 장치가 상기 제1 배터리 보관 랙으로 이동하도록 명령하는데 사용되며; 상기 배터리 교체 장치(12)는 상기 제2이동 명령어를 수행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 유닛(11)은 상기 배터리 교체 장치(12)에 배터리 꺼내기 명령어를 전송하고, 상기 배터리 꺼내기 명령어는 상기 배터리 교체 장치가 상기 제1배터리 보관 랙에서 상기 배터리 모델의 배터리를 꺼내도록 명령하는데 사용되며; 상기 배터리 교체 장치(12)는 상기 배터리 꺼내기 명령어를 수행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 유닛(11)은 상기 배터리 교체 장치(12)에 제3이동 명령어를 전송하고, 상기 제3이동 명령어는 상기 배터리 교체 장치가 상기 기 설정된 배터리 교체 위치로 이동하도록 명령하는데 사용되며; 상기 배터리 교체 장치(12)는 상기 배터리 꺼내기 명령어를 수행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 유닛(11)은 상기 배터리 교체 장치(12)에 배터리 장착 명령어를 전송하고, 상기 배터리 장착 명령어는 상기 배터리 교체 장치가 상기 배터리 모델의 배터리를 상기 전기 차량에 장착하도록 명령하는데 사용되며; 상기 배터리 교체 장치(12)는 상기 배터리 장착 명령어를 수행한다.
여기까지, 상기 전기 차량의 배터리 교체가 완료되고, 상기 제어 유닛(11)은 상기 배터리 교체 장치(12)가 상기 기 설정된 배터리 교체 위치에서 떠나도록 명령한다.
본 실시예의 배터리 교체 제어 시스템은 배터리 교체 준비 과정에서 부분적인 제어를 완료하여, 전기 차량이 차량 플랫폼으로 진입 한 후의 배터리 교체 시간을 대폭 단축하고, 배터리 효율을 향상시켰다.
실시예 6
도 4는 본 실시예의 배터리 교체 제어 시스템을 예시하였다. 본 시스템은 실시예 1과 거의 같으며, 부동한 점은, 적어도 두개의 배터리 교체 장치(12)을 포함하는 것이다.
상기 제어 유닛(11)은 또한 상기 적어도 두개의 배터리 교체 장치 중 적어도 하나의 배터리 교체 장치를 배터리 장착 배터리 교체 장치(12A)로 배치하는데 사용된다. 상기 배터리 장착 배터리 교체 장치(12A)는 장착 대기 배터리를 운송하는데 사용되며, 상기 장착 대기 배터리는 상기 제1 배터리 보관 랙(13A)에서 꺼낸 상기 전기 차량에 적용되며 상기 전기 차량에 설치 될 배터리이다.
상기 제어 유닛(11)은 또한 상기 적어도 두개의 배터리 교체 장치 중 적어도 하나의 배터리 교체 장치를 배터리 언로드 배터리 교체 장치(12B)로 배치하는데 사용된다. 상기 배터리 언로드 배터리 교체 장치(12B)는 전력 부족 배터리를 운송하는데 사용되며, 상기 전력 부족 배터리는 상기 전기 차량에서 꺼내어 상기 빈 배터리 보관 창에 놓일 배터리이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어 유닛(11)은 전기 차량에 적용되는 배터리 모델을 확인하여, 편리하게 제1 배터리 보관 랙을 선택하고 장착 대기 배터리를 선별해낼 수 있으며; 차량의 배터리 교체 전체 과정에서 두개의 배터리 교체 장치(12)를 사용하는데, 각각 배터리 장착 배터리 교체 장치(12A)와 배터리 언로드 배터리 교체 장치(12B)이며, 배터리 장착 배터리 교체 장치(12A)의 이동 경로는 제1 배터리 보관 랙(13A)과 전기 차량 사이에 있으며, 장착 대기 배터리의 운송을 구현하고, 배터리 언로드 배터리 교체 장치(12B)의 이동 경로는 전기 차량과 제2 배터리 보관 랙(13B)사이에 있으며, 전력 부족 배터리의 운송을 구현하며, 상기 두개장치는 각각 부동한 직책을 지니며, 공동으로 배터리 교체 임무를 완료하여, 전체 배터리 교체 시간은 단일 배터리 교체 장치를 사용하여 배터리 교체를 구현 하였을 시에 비교하여 적어도 절반의 시간을 단축하였고, 배터리 교체 속도와 효율을 향상시켰다.
실시예 7
본 실시예의 배터리 교체 제어 시스템은 실시예 6의 기초상에서 더욱 개선 된 것이며, 본 실시예가 실시예 6에 대한 개선은 실시예 2가 실시예 1에 대한 개선과 거의 같으며, 부동 한 점은, 제어 유닛(11)는 또한 실시간으로 매개 배터리의 전력을 모니터링 할 수 있고, 이는 제1 배터리 보관 랙(13A)의 선택에 도움이 된다.
실시예 8
본 실시예의 배터리 교체 제어 시스템은 실시예 6 또는 7의 기초상에서 더욱 개선 된 것이며, 본 실시예가 실시예 6 또는 7에 대한 개선은 실시예 3이 실시예 1 또는 2에 대한 개선과 거의 같으며, 부동 한 점은, 본 실시예에서 보다 더 편리하게 배터리 보관 랙의 위치를 파악하고, 제1 배터리 보관 랙(13A)/ 제2 배터리 보관 랙(13B)을 선택하고, 배터리 장착 배터리 교체 장치(12A)/ 배터리 언로드 배터리 교체 장치(12B)의 이동 루트를 단축시키기 위하여, 상기 배터리 보관 랙을 상기 전기 차량이 상기 차량 플랫폼으로 진입하는 방향에 따라 상기 차량 플랫폼의 양측에 배치 시킬 수 있다.
실시예 9
본 실시예의 배터리 교체 제어 시스템은 실시예 6 또는 7의 기초상에서 더욱 개선 된 것이며, 주로 제어 유닛(11)이 제1 배터리 보관 랙(13A)과 제2 배터리 보관 랙(13B)에 대한 선택에서 반영된다. 실시예 8과 부동한 점은, 본 실시예에서 제1 배터리 보관 랙(13A)과 제2 배터리 보관 랙(13B)을 선택 할 시 어느 정도 양자 사이의 연관성에 대해 고려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어 유닛(11)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배터리 보관 랙에 다기능 배터리 보관 랙이 존재하는 지를 판단하는데 사용될수 있고, 상기 다기능 배터리 보관 랙은 상기 제1조건과 제2조건에 전부 부합되는 배터리 보관 랙이다.
상기 다기능 배터리 보관 랙이 존재 하지 않을 시, 실시예 8의 방안에 따라 제1조건에 부합되는 배터리 보관 랙에서 제1 배터리 보관 랙(13A)을 선택하고, 제2조건에 부합되는 배터리 보관 랙에서 제2 배터리 보관 랙(13B)을 선택할 수 있다.
상기 다기능 배터리 보관 랙이 존재 할 시, 상기 제어 유닛(11)은 우선적으로 상기 다기능 배터리 보관 랙을 이용하여, 이하 네가지 방식에서 임의로 한가지를 선택하여 신분을 배치할 수 있다:
첫번째, 상기 다기능 배터리 보관 랙을 동시에 상기 제1 배터리 보관 랙(13A) 및 상기 제2 배터리 보관 랙(13B)으로 한다.
두번째, 상기 다기능 배터리 보관 랙을 상기 제1 배터리 보관 랙(13A) 및 상기 제2 배터리 보관 랙(13B) 중 임의의 하나로 한다.
세번째, 제1조건에 부합되는 배터리 보관 랙과 제2조건에 부합되는 배터리 보관 랙의 개수상의 균형을 유지하기 위하여, 이하 임의의 하나의 조건을 상기 다기능 배터리 보관 랙을 제1 배터리 보관 랙(13A)으로 하는데 필요한 조건으로 하되:
조건(1): 나머지 배터리 보관 랙은 전부 상기 제1조건에 부합되지 않으며;
조건(2): 나머지 배터리 보관 랙에서, 상기 제1조건에 부합되는 배터리 보관 랙의 개수가 상기 제2조건에 부합되는 배터리 보관 랙의 개수보다 적으며;
조건(3): 나머지 배터리 보관 랙에서, 상기 제1조건에 부합되는 배터리 보관 랙의 개수가 상기 제2조건에 부합되는 배터리 보관 랙의 개수보다 적고, 두 개수 사이의 차이의 절대 값이 제1 차이 임계 값보다 적으며;
조건(4): 나머지 배터리 보관 랙에서, 상기 제1조건에 부합되는 배터리 보관 랙의 개수가 제1 개수 임계 값보다 적다.
세번째 경우에 대하여, 예를 들면: 조건(1)을 상기 다기능 배터리 보관 랙을 제1 배터리 보관 랙(13A)으로 하는데 필요한 조건으로 하고, 즉, 상응하게, 상기 제어 유닛(11)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배터리 보관 랙에서 상기 다기능 배터리 보관 랙을 제외한 나머지 배터리 보관 랙이 상기 제1조건을 전부 부합되지 않는 지를 판단하고, 그럴 시, 상기 다기능 배터리 보관 랙을 제1 배터리 보관 랙(13A)으로 하며;
또한, 조건(2)을 상기 다기능 배터리 보관 랙을 제1 배터리 보관 랙(13A)으로 하는데 필요한 조건으로 하고, 즉, 상응하게, 상기 제어 유닛(11)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배터리 보관 랙에서 상기 다기능 배터리 보관 랙을 제외한 나머지 배터리 보관 랙에서 상기 제1조건에 부합되는 배터리 보관 랙의 개수가 상기 제2조건에 부합되는 배터리 보관 랙의 개수보다 적은 지를 판단하고, 그럴 시, 상기 다기능 배터리 보관 랙을 제1 배터리 보관 랙(13A)으로 하며(예를 들면 제1조건에 부합되는 배터리 보관 랙이 2개이고, 제2조건에 부합되는 배터리 보관 랙이 3개이면, 상기 다기능 배터리 보관 랙을 제1 배터리 보관 랙(13A)으로 한다);
또한, 조건(3)을 상기 다기능 배터리 보관 랙을 제1 배터리 보관 랙(13A)으로 하는데 필요한 조건으로 하고, 즉, 상응하게, 상기 제어 유닛(11)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배터리 보관 랙에서 상기 다기능 배터리 보관 랙을 제외한 나머지 배터리 보관 랙에서 상기 제1조건에 부합되는 배터리 보관 랙의 개수가 상기 제2조건에 부합되는 배터리 보관 랙의 개수보다 적고, 두 개수 사이의 차이의 절대 값이 제1 차이 임계 값보다 적은 지를 판단하고, 그럴 시, 상기 다기능 배터리 보관 랙을 제1 배터리 보관 랙(13A)으로 하며(예를 들면 제1조건에 부합되는 배터리 보관 랙이 2개이고, 제2조건에 부합되는 배터리 보관 랙이 6개이고, 제1 차이 임계 값이 3이면, 상기 다기능 배터리 보관 랙을 제1 배터리 보관 랙(13A)으로 한다);
또한, 조건(4)을 상기 다기능 배터리 보관 랙을 제1 배터리 보관 랙(13A)으로 하는데 필요한 조건으로 하고, 즉, 상응하게, 상기 제어 유닛(11)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배터리 보관 랙에서 상기 다기능 배터리 보관 랙을 제외한 나머지 배터리 보관 랙에서 상기 제1조건에 부합되는 배터리 보관 랙의 개수가 제1 개수 임계 값보다 적은 지를 판단하고, 그럴 시, 상기 다기능 배터리 보관 랙을 제1 배터리 보관 랙(13A)으로 한다(예를 들면 제1조건에 부합되는 배터리 보관 랙이 1개이고, 제1 개수 임계 값이 2이면, 상기 다기능 배터리 보관 랙을 제1 배터리 보관 랙(13A)으로 한다).
네번째, 제1조건에 부합되는 배터리 보관 랙과 제2조건에 부합되는 배터리 보관 랙의 개수상의 균형을 유지하기 위하여, 이하 임의의 하나의 조건을 상기 다기능 배터리 보관 랙을 제2 배터리 보관 랙(13B)으로 하는데 필요한 조건으로 하되:
조건(1): 나머지 배터리 보관 랙은 전부 상기 제2조건에 부합되지 않으며;
조건(2): 나머지 배터리 보관 랙에서, 상기 제2조건에 부합되는 배터리 보관 랙의 개수가 상기 제1조건에 부합되는 배터리 보관 랙의 개수보다 적으며;
조건(3): 나머지 배터리 보관 랙에서, 상기 제2조건에 부합되는 배터리 보관 랙의 개수가 상기 제1조건에 부합되는 배터리 보관 랙의 개수보다 적고, 두 개수 사이의 차이의 절대 값이 제2 차이 임계 값보다 적으며;
조건(4): 나머지 배터리 보관 랙에서, 상기 제2조건에 부합되는 배터리 보관 랙의 개수가 제2 개수 임계 값보다 적다.
네번째 경우는 세번째 경우를 참고하면 되기에, 본문에서 더 자세히 설명하지 않는다.
실시예 10
본 실시예의 배터리 교체 제어 시스템은 실시예 6의 기초상에서 더욱 개선 된 것이며, 주로 제어 유닛(11)이 배터리 장착 배터리 교체 장치(12A)와 배터리 언로드 배터리 교체 장치(12B)에 대한 배치에서 반영된다. 상기 배터리 교체 장치(12)는 대체적으로 두가지로 나뉘는데:
단일 기능 배터리 교체 장치, 이의 구조는 비교적 단일하고, 제1구조를 가지고 배터리 장착 배터리 교체 장치(12A)로만 배치가능하거나, 또는 제2구조를 가지고 배터리 언로드 배터리 교체 장치(12B)로만 배치가능하고;
다기능 배터리 교체 장치, 이의 구조는 비교적 복잡하고, 제1구조와 제2구조를 겸비하여 배터리 언로드 배터리 교체 장치(12B)와 배터리 장착 배터리 교체 장치(12A) 중의 임의의 하나로 배치될 수 있다.
그중에서, 상기 제1구조는 상기 장착 대기 배터리를 상기 제1 배터리 보관 랙(13A)에서 꺼내고 상기 전기 차량에 장착하는데 필요한 구조를 포함하고, 예를 들면, 상기 장착 대기 배터리를 상기 제1 배터리 보관 랙(13A)에서 꺼내는 그랩 메커니즘, 상기 장착 대기 배터리를 상기 전기 차량에 장착하는 리프팅 메커니즘 등 일 수 있다.
상기 제2구조는 상기 전력 부족 배터리를 상기 전기 차량에서 꺼내고 상기 제2 배터리 보관 랙(13B)에 놓는데 필요한 구조를 포함하고, 예를 들면, 상기 전력 부족 배터리를 상기 전기 차량에서 잠금 해제하는 잠금 해제 메커니즘, 상기 전력 부족 배터리를 상기 제2 배터리 보관 랙(13B)에 놓는 배치 메커니즘 등 일 수 있다.
본 실시예의 배터리 교체 제어 시스템에서, 상기 적어도 두개의 배터리 교체 장치(12)는 전부 단일 기능 배터리 교체 장치이거나(그러나 상기 제1구조를 갖는 단일 기능 배터리 교체 장치와 상기 제2구조를 갖는 단일 기능 배터리 교체 장치가 전부 필요하다); 또는, 전부 다기능 배터리 교체 장치이거나; 또는, 일부는 단일 기능 배터리 교체 장치이고, 일부는 다기능 배터리 교체 장치일 수 있다.
배터리 장착 배터리 교체 장치(12A)의 이동 루트와 이동 시간을 단축하고 배터리 교체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상기 제어 유닛(11)은 배터리 장착 배터리 교체 장치(12A)를 배치 할 시, 우선적으로 상기 제1 배터리 보관 랙(13A)과의 거리가 가장 가까운 배터리 교체 장치를 선택한다. 구체적으로, 도 5에서 예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어 유닛(11)은 제1 배터리 보관 랙(13A)을 선택해낸 후, 상기 제1 배터리 보관 랙(13A)의 위치를 결정하고, 제1구조를 갖는 단일 기능 배터리 교체 장치와 다기능 배터리 교체 장치(도면에서 로 예시 함)를 선별하고, 매개 제1구조를 갖는 단일 기능 배터리 교체 장치와 다기능 배터리 교체 장치에서 상기 제1 배터리 보관 랙(13A)까지의 거리를 각각 계산하고, 거리가 가장 가까운 하나의 배터리 교체 장치를 선택하여 배터리 장착 배터리 교체 장치(12A)로 배치할 수 있고, 도면에서12A위치의 화살표는 상기 배터리 장착 배터리 교체 장치(12A)의 이동 방향을 예시한다.
배터리 장착 배터리 교체 장치(12A)의 이동 루트와 이동 시간을 단축하고 배터리 교체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상기 제어 유닛(11)은 배터리 언로드 배터리 교체 장치(12B)를 배치 할 시, 우선적으로 상기 전기 차량의 배터리 교체 장치 혹은 상기 전기 차량을 주차하는데 사용되는 차량 플랫폼과의 거리가 가장 가까운 배터리 교체 장치를 선택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어 유닛(11)은 제2구조를 갖는 단일 기능 배터리 교체 장치와 다기능 배터리 교체 장치(도면에서 □로 예시 함)를 선별하고, 매개 제2구조를 갖는 단일 기능 배터리 교체 장치와 다기능 배터리 교체 장치에서 상기 전기 차량(14)까지의 거리 혹은 상기 차량 플랫폼 (15)까지의 거리를 각각 계산하고, 거리가 가장 가까운 하나의 배터리 교체 장치를 선택하여 배터리 장착 배터리 교체 장치(12B)로 배치할 수 있고, 도면에서12B위치의 화살표는 상기 배터리 장착 배터리 교체 장치(12B)의 이동 방향을 예시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편리하게 배터리 교체 장치의 관리와 분배를 하기 위하여, 매개 상기 배터리 보관 랙과 적어도 하나의 상기 배터리 교체 장치는 기 설정된 바인딩 관계를 가지며,즉 매개 상기 배터리 보관 랙은 바인딩 관계를 가지는 배터리 교체 장치에서만 배터리를 꺼내거나 놓을수 있다.
상기 제어 유닛(11)은 배터리 자착 배터리 교체 장치(12A)를 배치 할 시, 우선적으로 상기 제1 배터리 보관 랙(13A)과 바인딩 관계를 가지는 배터리 교체 장치를 선택하며, 또는 상기 제1 배터리 보관 랙(13A)과 바인딩 관계를 가지고 상기 제1 배터리 보관 랙(13A)과의 거리가 가장 가까운 배터리 교체 장치를 선택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어 유닛(11)은 제1 배터리 보관 랙(13A)을 선택해낸 후, 상기 제1 배터리 보관 랙(13A)과 바인딩 관계를 가지며 제1구조를 갖는 단일 기능 배터리 교체 장치와 다기능 배터리 교체 장치를 선별하고, 그중에서 임의로 하나를 선택하여 배터리 장착 배터리 교체 장치(12A)로 배치하거나, 또는 더 나아가 상기 제1 배터리 보관 랙(13A)의 위치를 결정하고, 선별해낸 배터리 교체 장치에서 상기 제1 배터리 보관 랙(13A)까지의 거리를 각각 계산해내고, 거리가 가장 가까운 하나의 배터리 교체 장치를 선택하여 배터리 장착 배터리 교체 장치(12A)로 배치할 수 있다.
상기 제어 유닛(11)은 배터리 언로드 배터리 교체 장치(12B)를 배치 할 시, 우선적으로 상기 제2배터리 보관 랙(13B)과 바인딩 관계를 가지는 배터리 교체 장치를 선택하며, 또는 상기 제2배터리 보관 랙(13B)과 바인딩 관계를 가지며 상기 전기 차량과의 거리가 가장 가까운 배터리 교체 장치 또는 상기 전기 차량을 주차하는데 사용되는 차량 플랫폼과의 거리가 가장 가까운 배터리 교체 장치를 선택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어 유닛(11)은 상기 제2배터리 보관 랙(13B)을 선택해낸 후, 상기 제2배터리 보관 랙(13B)과 바인딩 관계를 가지며 제2구조를 갖는 단일 기능 배터리 교체 장치와 다기능 배터리 교체 장치를 선별하고, 그중에서 임의로 하나를 선택하여 배터리 언로드 배터리 교체 장치(12B)로 배치하거나, 또는 더 나아가 선별해낸 배터리 교체 장치에서 상기 전기 차량까지의 거리 혹은 상기 차량 플랫폼까지의 거리를 각각 계산해내고, 거리가 가장 가까운 하나의 배터리 교체 장치를 선택하여 배터리 언로드 배터리 교체 장치(12B)로 배치할 수 있다.
실시예 11
본 실시예의 배터리 교체 제어 시스템은 실시예 6의 기초상에서 더욱 개선 된 것이며, 주로 상기 배터리 교체 제어 시스템의 배터리 교체 제어 과정에서 반영된다. 본 실시예의 배터리 교체 과정은 전기 차량이 차량 플랫폼에 주차되기 전의 배터리 교체 준비 과정 및 전기 차량이 차량 플랫폼에 주차된 후의 배터리 교체 작동 과정으로 나뉜다.
배터리 교체 준비 과정에서, 상기 제어 유닛(11)은 상기 전기 차량이 차량 플랫폼으로 주차되기 전에, 미리 상기 제2 배터리 보관 랙(13B)을 선택하고, 그다음 배터리 언로드 배터리 교체 장치(12B)를 배치할 수 있다. 그중에서, 상기 제2 배터리 보관 랙(13B)를 선택하는 과정은 실시예 7 내지 9를 참고할 수 있고, 상기 배터리 언로드 배터리 교체 장치(12B)를 배치하는 과정은 실시예 10을 참고할 수 있다.
배터리 교체 작동 과정에서, 상기 제어 유닛(11)은 또한 상기 전기 차량이 차량 플랫폼에 주차된 후, 상기 배터리 언로드 배터리 교체 장치(12B)에 제3 이동 명령어를 전송하는데 사용되며, 상기 제3 이동 명령어는 상기 배터리 언로드 배터리 교체 장치(12B)가 이동하여 기 설정된 배터리 교체 위치로 주차되도록 명령하는데 사용된다. 상기 배터리 언로드 배터리 교체 장치(12B)는 또한 상기 제3 이동 명령어를 수행하는데 사용된다.
상기 제어 유닛(11)은 또한 상기 전기 차량이 차량 플랫폼에 주차되고 상기 배터리 언로드 배터리 교체 장치(12B)가 상기 기 설정된 배터리 교체 위치에 주차된 후, 상기 배터리 언로드 배터리 교체 장치(12B)에 배터리 언로드 명령어를 정송하는데 사용되며, 상기 배터리 언로드 명령어는 상기 배터리 언로드 배터리 교체 장치(12B)가 상기 전기 차량에서 상기 전력 부족 배터리를 꺼내도록 명령하는데 사용된다. 상기 배터리 언로드 배터리 교체 장치(12B)는 또한 상기 배터리 언로드 명령어를 수행하는데 사용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기 설정된 배터리 교체 위치는 상기 차량 플랫폼에 주차된 전기 차량에서 배터리를 꺼내기 위한 위치이며, 상기 배터리 언로드 배터리 교체 장치(12B)가 상기 기 설정된 배터리 교체 위치에 위치 할 시, 상기 배터리 언로드 배터리 교체 장치(12B)가 최소한의 동작을 통하여 상기 차량 플랫폼에 주차된 전기 차량에서 배터리를 꺼낼수 있는 위치로 이해할 수 있다. 상기 기 설정된 배터리 교체 위치는 구체적으로 상기 전기 차량이 주차된 차량 플랫폼의 구조에 따라 상기 기 설정된 배터리 교체 위치가 상기 차량 플랫폼의 아래 혹은 위에 위치하는지가 결정된다.
첫번째 구조의 차량 플랫폼을 예로 들면, 상기 차량 플랫폼은 실시예 6에서의 차량 플랫폼과 거의 일치하며,부동한 점은,실시예 6에서의 배터리 교체 장치(12)를 배터리 언로드 배터리 교체 장치(12B)로 대체하고, 도 6에서 예시 한바와 같이, 차량 플랫폼(15)은 지평면보다 높으며 중앙에 빈 영역을 가지고, 전기 차량(14)이 배터리 교체가 필요 할 시 상기 차량 플랫폼(15) 위에 주차되며 전기 차량(14)의 배터리 박스는 상기 빈 영역의 위에 위치하며, 이러한 구조의 차량 플랫폼(15)에 대하여, 상기 기 설정된 배터리 교체 위치(P1)는 통상적으로 상기 차량 플랫폼의 아래에 위치하고, 특별히 빈 영역의 아래에 위치하고 상기 전기 차량(14)의 배터리 외부 박스에 조준한다. 상기 차량 플랫폼(15)에 주차되어 배터리 교체를 하는 전기 차량(14)에 대하여, 상기 배터리 언로드 배터리 교체 장치(12B)는 상기 기 설정된 배터리 교체 위치(P1)에서 상기 전력 부족 배터리를 상기 전기 차량에서 잠금 해제하는데 사용되는 잠금 해제 메커니즘을 수직으로 들어올리고, 상기 빈 영역을 지나, 상기 잠금 해제 메커니즘을 상기 전기 차량(14)의 배터리 외부 박스와 베터리 사이의 틈에 삽입하고, 배터리 박스의 잠금 블록을 터치하기만 하면, 상기 전력 부족 배터리를 잠금 해제 하여, 상기 전력 부족 배터리를 꺼낼 수 있다.
또 두번째 구조의 차량 플랫폼을 예로 들면, 상기 차량 플랫폼은 실시예 6에서의 차량 플랫폼과 거의 일치하며,부동한 점은,실시예 6에서의 배터리 교체 장치(12)를 배터리 언로드 배터리 교체 장치(12B)로 대체하고, 도 7에서 예시 한바와 같이, 차량 플랫폼(15)은 중앙에 리프팅 플랫폼(151)을 가지고, 상기 리프팅 플랫폼(151)의 중앙에 빈 영역이 설치되고, 전기 차량(14)이 배터리 교체가 필요 할 시 상기 차량 플랫폼(15)에 진입하고 리프팅 플랫폼(151)위에 주차되며 전기 차량(14)의 배터리 박스는 상기 빈 영역의 위에 위치하며, 이러한 구조의 차량 플랫폼(15)에 대하여, 상기 기 설정된 배터리 교체 위치(P2)는 통상적으로 상기 차량 플랫폼(15)의 위에 위치하고, 특별히 상기 리프팅 플랫폼(151)이 올라간 후 상기 빈 영역의 아래에 위치한다. 상기 리프팅 플랫폼(151)에 주차되어 배터리 교체를 하는 전기 차량(14)에 대하여, 상기 배터리 언로드 배터리 교체 장치(12B)는 상기 기 설정된 배터리 교체 위치(P2)에서 상기 전력 부족 배터리를 상기 전기 차량(14)에서 잠금 해제하는데 사용되는 잠금 해제 메커니즘을 수직으로 들어올리고, 상기 빈 영역을 지나, 상기 잠금 해제 구조를 상기 전기 차량(14)의 배터리 외부 박스와 베터리 사이의 틈에 삽입하고, 배터리 박스의 잠금 블록을 터치하기만 하면, 상기 전력 부족 배터리를 잠금 해제 하여, 상기 전력 부족 배터리를 꺼낼수 있다.
물론, 상기 차량 플랫폼은 상기 구조에만 한정되지 않고, 다른 구조일 수도 있으며, 상기 기 설정된 배터리 교체 위치는 상기 차량 플랫폼의 구조, 그리고 더 나아가 상기 배터리 언로드 배터리 교체 장치(12B)의 제2구조, 전력 부족 배터리를 꺼낼 시 제2구조의 이동경로 등 조건을 결합하여 설정될 수 있다.
상기 제어 유닛(11)은 또한 상기 배터리 언로드 배터리 교체 장치(12B)가 상기 배터리 언로드 명령어를 수행 한 후, 상기 배터리 언로드 배터리 교체 장치(12B)에 제4 이동 명령어를 전송하는데 사용되며, 상기 제4 이동 명령어는 상기 배터리 언로드 배터리 교체 장치(12B)가 상기 제2 배터리 보관 랙(13B)으로 이동하고 상기 전력 부족 배터리를 상기 빈 배터리 보관 창에 놓게 하도록 명령하는데 사용된다. 상기 배터리 언로드 배터리 교체 장치(12B)는 또한 상기 제4 이동 명령어를 수행하는데 사용된다.
배터리 교체 작동 과정에서, 상기 제어 유닛(11)은 또한 상기 전기 차량이 차량 플랫폼으로 주차되거나 상기 전기 차량의 번호판을 관찰할 수 있을 시, 상기 전기 차량의 번호판을 스캔하고, 상기 번호판을 통하여 상기 전기 차량에 적용되는 배터리 모델을 결정하는데 사용되며, 더 나아가 제1 배터리 보관 랙(13A)을 선택하고, 그다음 배터리 장착 배터리 교체 장치(12A)를 배치하고, 상기 배터리 장착 배터리 교체 장치(12A)에 배터리 꺼내기 명령어를 전송하고, 상기 배터리 꺼내기 명령어는 상기 배터리 장착 배터리 교체 장치(12A)가 상기 제1배터리 보관 랙(13A)에서 상기 장착 대기 배터리를 꺼내도록 명령하는데 사용된다. 상기 배터리 장착 배터리 교체 장치(12A)는 또한 상기 배터리 꺼내기 명령어를 수행하는데 사용된다. 그중에서, 상기 제1배터리 보관 랙(13A)을 선택하는 과정은 실시예 7 내지 9를 참고할 수 있고, 배터리 장착 배터리 교체 장치(12A)를 배치하는 과정은 실시예 10을 참고할 수 있다.
상기 제어 유닛(11)은 또한 상기 배터리 장착 배터리 교체 장치(12A)가 상기 배터리 꺼내기 명령어를 수행한 후, 상기 배터리 장착 배터리 교체 장치(12A)에 제1 이동 명령어를 전송하는데 사용되며, 상기 제1 이동 명령어는 상기 배터리 장착 배터리 교체 장치(12A)가 미리 제1 기 설정된 대기 위치로 주차되도록 명령하는데 사용되며, 상기 제1 기 설정된 대기 위치는 상기 차량 플랫폼에서 제1 거리 임계 값을 초과하지 않는 거리에 있는 위치이다. 상기 배터리 장착 배터리 교체 장치(12A)는 또한 상기 제1 이동 명령어를 수행하는데 사용된다.
상기 제어 유닛(11)은 또한 상기 배터리 언로드 배터리 교체 장치(12B)가 상기 기 설정된 배터리 교체 위치를 떠나거나 상기 기 설정된 배터리 교체 위치에서 제3의 거리 임계 값을 초과한 거리를 떠난 후, 상기 배터리 장착 배터리 교체 장치(12A)에 제5 이동 명령어를 보내는데 사용되고, 상기 제5 이동 명령어는 상기 배터리 장착 배터리 교체 장치(12A)가 상기 기 설정된 배터리 교체 위치로 이동하도록 명령하는데 사용된다. 상기 배터리 장착 배터리 교체 장치(12A)는 또한 상기 제5 이동 명령어를 수행하는데 사용되며
상기 제어 유닛(11)은 또한 상기 배터리 장착 배터리 교체 장치(12A)가 상기 제5 이동 명령어를 수행 한 후, 상기 배터리 장착 배터리 교체 장치(12A)에 배터리 장착 명령어를 전송하는데 사용되며, 상기 배터리 장착 명령어는 상기 배터리 장착 배터리 교체 장치(12A)가 상기 장착 대기 배터리를 상기 전기 차량에 장착하도록 명령하는데 사용된다. 상기 배터리 장착 배터리 교체 장치(12A)는 또한 상기 배터리 장착 명령어를 수행하는데 사용된다. 여기까지, 상기 전기 차량의 배터리 교체가 완료되고, 상기 배터리 장착 배터리 교체 장치(12A)는 상기 기 설정된 배터리 교체 위치를 떠난다.
실시예 12
본 실시예의 배터리 교체 제어 시스템은 실시예 6의 기초상에서 더욱 개선 된 것이며, 주로 상기 배터리 교체 제어 시스템의 배터리 교체 제어 과정에서 반영된다. 본 실시예의 배터리 교체 과정은 전기 차량이 차량 플랫폼에 주차되기 전의 배터리 교체 준비 과정 및 전기 차량이 차량 플랫폼에 주차된 후의 배터리 교체 작동 과정으로 나뉜다. 배터리 교체 준비 과정과 배터리 교체 작동 과정에서, 상기 제어 유닛의 제어 명령어는 실시예 11과 부동한 점이 있다.
배터리 교체 준비 과정에서, 상기 제어 유닛(11)은 미리 상기 제2 배터리 보관 랙(13B)을 선택하고, 상기 배터리 언로드 배터리 교체 장치(12B)를 배치하고 상기 배터리 언로드 배터리 교체 장치(12B)를 제어하여 일부분의 명령어를 완료할수 있기에, 배터리 언로드 시간을 절약할 수 있다. 그중에서, 상기 제2배터리 보관 랙(13B)를 선택하는 과정은 실시예 7 내지 9를 참고할 수 있고, 상기 배터리 언로드 배터리 교체 장치(12B)를 배치하는 과정은 실시예 10을 참고할 수 있다.
그중에서, 상기 제어 유닛(11)은 상기 배터리 언로드 배터리 교체 장치(12B)를 제어하여 일부분의 명령어를 완료할수 있는데, 이는: 상기 제어 유닛(11)이 상기 기 설정된 배터리 교체 위치가 주차 가능한 상태인 지를 판단하고, 이로 제2의 기 설정된 대기 위치를 설정하고, 상기 배터리 언로드 배터리 교체 장치(12B)에 제2 이동 명령어를 전송하고, 상기 제2 이동 명령어는 상기 배터리 언로드 배터리 교체 장치(12B)가 미리 제2의 기 설정된 대기 위치에 주차되도록 명령하는데 사용되는 것을 포함한다. 상기 배터리 언로드 배터리 교체 장치(12B)는 또한 상기 제2 이동 명령어를 수행하는데 사용된다. 그중에서, 상기 제2의 기 설정된 대기 위치는 상기 기 설정된 배터리 교체 위치와 연관되며, 상기 기 설정된 배터리 교체 위치와 같은 위치거나 상기 기 설정된 배터리 교체 위치 부근의 위치(상기 기 설정된 배터리 교체 위치에 대한 설명은 실시예 11을 참고 할 수 있다)일 수 있다.
상기 기 설정된 배터리 교체 위치가 주차 가능한 상태인 지를 판단하는 것은, 구체적으로 이하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조건을 동시에 만족할 시, 상기 기 설정된 배터리 교체 위치는 주차 가능한 상태이고, 아니면 상기 기 설정된 배터리 교체 위치는 주차 불가능한 상태이고:
조건 (1): 상기 기 설정된 배터리 교체 위치는 빈 위치이며;
조건 (2): 상기 배터리 언로드 배터리 교체 장치(12B)가 상기 기 설정된 배터리 교체 위치로 이동할 수 있게 하는 통로가 존재하며;
조건 (3): 상기 배터리 언로드 배터리 교체 장치(12B)가 상기 기 설정된 배터리 교체 위치로의 주차가 예측 될 시, 상기 배터리 언로드 배터리 교체 장치(12B)는 상기 차량 플랫폼으로 진입하는 전기 차량을 차단하지 않는다.
조건 (3)을 만족할수 있는 지는, 통상적으로 차량 플랫폼의 구조와 연관된다.
실시예 11의 첫번째 구조의 차량 플랫폼을 예로 하면, 전기 차량이 배터리 교체를 진행 할 시 상기 차량 플랫폼에 주차되어 있고, 상기 기 설정된 배터리 교체 위치는 통상적으로 상기 차량 플랫폼의 아래에 위치하기에, 통상적인 상황에서, 상기 배터리 언로드 배터리 교체 장치(12B)가 상기 차량 플랫폼으로 진입하기 전에 상기 배터리 교체 위치로 주차되더라도, 상기 배터리 언로드 배터리 교체 장치(12B)는 상기 차량 플랫폼으로 진입하는 전기 차량을 차단하지 않기에, 조건 (3)을 만족할 수 있다.
다시 실시예 11의 두번째 구조의 차량 플랫폼을 예로 하면, 전기 차량이 배터리 교체를 진행 할 시 상기 차량 플랫폼에 주차되어 있고, 상기 기 설정된 배터리 교체 위치는 통상적으로 상기 차량 플랫폼의 위에 위치하기에, 만약 상기 배터리 언로드 배터리 교체 장치(12B)가 전기 차량이 상기 차량 플랫폼으로 진입하기 전에 상기 기 설정된 배터리 교체 위치에 주차되면, 전기 차량이 상기 차량 플랫폼으로 진입 할 시, 상기 배터리 언로드 배터리 교체 장치(12B)는 상기 차량 플랫폼으로 진입하는 전기 차량을 차단할 수 있다. 때문에 두번째 구조의 차량 플랫에 대하여, 기 설정된 배터리 교체 위치는 통상적으로 조건(3)에 부합될 수 없으며, 이는 주차 불가능한 상태이다.
기 설정된 배터리 교체 위치가 주차 가능한 상태 일 시, 상기 제2의 기 설정된 대기 위치는 상기 기 설정된 배터리 교체 위치와 동일한 위치이다. 상기 기 설정된 배터리 교체 위치가 주차 불가능한 상태 일 시, 상기 제2의 기 설정된 대기 위치는 상기 기 설정된 배터리 교체 위치에서 제2의 거리 임계값을 초과하지 않는 거리에 있는 위치이고, 즉 상기 기 설정된 배터리 교체 위치 부근의 위치이다.
여기까지, 배터리 교체 준비 과정을 완료하였고, 상기 배터리 제어 시스템은 상기 전기 차량이 진입하고 상기 차량 플랫폼에 주차되기를 기다려, 배터리 교체 작동 과정에 들어간다.
배터리 교체 작동 과정에서, 상기 제어 유닛(11)은 상기 배터리 언로드 배터리 교체 장치(12B)가 위치한 제2의 기 설정된 대기 위치가 상기 기 설정된 배터리 교체 위치와 동일한 위치인 지를 판단하고:
동일한 위치일 시, 상기 배터리 언로드 배터리 교체 장치(12B)에 배터리 언로드 명령어를 전송하고, 상기 배터리 언로드 명령어는 상기 배터리 언로드 배터리 교체 장치(12B)가 상기 전기 차량에서 상기 전력 부족 배터리를 꺼내도록 명령하는데 사용되며; 상기 배터리 언로드 배터리 교체 장치(12B)는 또한 상기 배터리 언로드 명령어를 수행하며;
동일한 위치가 아닐 시, 상기 배터리 언로드 배터리 교체 장치(12B)에 미세 조절 명령어를 전송하고, 상기 미세 조절 명령어는 상기 배터리 언로드 배터리 교체 장치(12B)를 상기 제2의 기 설정된 대기 위치에서 상기 기 설정된 배터리 교체 위치로 이동하도록 명령하는데 사용되며, 상기 배터리 언로드 배터리 교체 장치(12B)는 상기 미세 조절 명령어를 수행하며; 그리고, 상기 제어 유닛(11)은 상기 배터리 언로드 배터리 교체 장치(12B)에 상기 배터리 언로드 명령어를 전송하고, 상기 배터리 언로드 배터리 교체 장치(12B)는 또한 상기 배터리 언로드 명령어를 수행한다.
상기 제어 유닛(11)은 또한 상기 배터리 언로드 배터리 교체 장치(12B)가 상기 배터리 언로드 명령어를 수행 한 후, 상기 배터리 언로드 배터리 교체 장치(12B)에 제4 이동 명령어를 전송하는데 사용되며, 상기 제4 이동 명령어는 상기 배터리 언로드 배터리 교체 장치(12B)가 상기 제2 배터리 보관 랙(13B)으로 이동하고 상기 전력 부족 배터리를 상기 빈 배터리 보관 창에 놓게 하도록 명령하는데 사용된다. 상기 배터리 언로드 배터리 교체 장치(12B)는 또한 상기 제4 이동 명령어를 수행하는데 사용된다.
배터리 교체 작동 과정에서, 상기 제어 유닛(11)은 또한 상기 전기 차량이 차량 플랫폼으로 주차되거나 상기 전기 차량의 번호판을 관찰할수 있을 시, 상기 전기 차량의 번호판을 스캔하고, 상기 번호판을 통하여 상기 전기 차량에 적용되는 배터리 모델을 결정하는데 사용되며, 더 한층 제1 배터리 보관 랙(13A)을 선택하고, 그다음 배터리 장착 배터리 교체 장치(12A)를 배치하고, 상기 배터리 장착 배터리 교체 장치(12A)에 배터리 꺼내기 명령어를 전송하고, 상기 배터리 꺼내기 명령어는 상기 배터리 장착 배터리 교체 장치(12A)가 상기 제1배터리 보관 랙(13A)에서 상기 장착 대기 배터리를 꺼내도록 명령하는데 사용된다. 상기 배터리 장착 배터리 교체 장치(12A)는 또한 상기 배터리 꺼내기 명령어를 수행하는데 사용된다.
상기 제어 유닛(11)은 또한 상기 배터리 장착 배터리 교체 장치(12A)가 상기 배터리 꺼내기 명령어를 수행한 후, 상기 배터리 장착 배터리 교체 장치(12A)에 제1 이동 명령어를 전송하는데 사용되며, 상기 제1 이동 명령어는 상기 배터리 장착 배터리 교체 장치(12A)가 미리 제1 기 설정된 대기 위치로 주차되도록 명령하는데 사용되며, 상기 제1 기 설정된 대기 위치는 상기 차량 플랫폼에서 제1 거리 임계 값을 초과하지 않는 거리에 있는 위치이다. 상기 배터리 장착 배터리 교체 장치(12A)는 또한 상기 제1 이동 명령어를 수행하는데 사용된다.
상기 제어 유닛(11)은 또한 상기 배터리 언로드 배터리 교체 장치(12B)가 상기 기 설정된 배터리 교체 위치를 떠나거나 상기 기 설정된 배터리 교체 위치에서 제3의 거리 임계 값을 초과한 거리를 떠난 후, 상기 배터리 장착 배터리 교체 장치(12A)에 제5 이동 명령어를 전송하는데 사용되고, 상기 제5 이동 명령어는 상기 배터리 장착 배터리 교체 장치(12A)가 상기 기 설정된 배터리 교체 위치로 이동하도록 명령하는데 사용된다. 상기 배터리 장착 배터리 교체 장치(12A)는 또한 상기 제5 이동 명령어를 수행하는데 사용된다.
상기 제어 유닛(11)은 또한 상기 배터리 장착 배터리 교체 장치(12A)가 상기 제5 이동 명령어를 수행 한 후, 상기 배터리 장착 배터리 교체 장치(12A)에 배터리 장착 명령어를 전송하는데 사용되며, 상기 배터리 장착 명령어는 상기 배터리 장착 배터리 교체 장치(12A)가 상기 장착 대기 배터리를 상기 전기 차량에 장착하도록 명령하는데 사용된다. 상기 배터리 장착 배터리 교체 장치(12A)는 또한 상기 배터리 장착 명령어를 수행하는데 사용된다. 여기까지, 상기 전기 차량의 배터리 교체가 완료되고, 상기 배터리 장착 배터리 교체 장치(12A)는 상기 기 설정된 배터리 교체 위치를 떠난다.
본 실시예의 배터리 교체 제어 시스템은 배터리 교체 준비 과정에서 부분적인 제어를 완료하여, 전기 차량이 차량 플랫폼으로 진입한 후의 배터리 교체 시간을 대폭 단축시키고, 배터리 효율을 향상시켰다.
실시예 13
도 4는 본 실시예의 배터리 교체 제어 시스템을 예시하였다. 본 실시예는 실시예 6과 거의 같으며, 부동한 점은, 본 실시예의 상기 전기 차량에 적용되는 배터리는 통상적으로 상기 전기 차량에 사용되는 배터리 모델과 같다.
실시예 14
본 실시예의 배터리 교체 제어 시스템은 실시예 13의 기초상에서 더욱 개선 된 것이며, 본 실시예가 실시예 13에 대한 개선은 실시예 7이 실시예 6에 대한 개선과 거의 같으며, 부동한 점은, 상기 제1조건은 상기 전기 차량에 적용되며 완전히 충전 된 배터리가 놓이도록 설정될 수 있는 것이다.
또는, 전기 차량의 배터리 교체 확률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상기 제1 조건은 우선적으로 상기 전기 차량에 적용되며 완전히 충전 된 배터리가 놓이도록 설정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배터리 보관 랙이 상기 제1 조건에 부합되는 배터리 보관 랙을 구비하지 않을 시, 상기 제1 조건을 전기 차량에 적용되며 전력이 제일 높은 배터리가 놓이도록 설정되게 수정한다. 상응하게, 상기 제1 조건은 기본적으로 상기 전기 차량에 적용되며 완전히 충전 된 배터리가 놓이도록 설정되고, 상기 제어 유닛(11)은 상기 적어도 하나 의 배터리 보관 랙에 기본적인 제1조건에 부합되는 배터리 보관 랙이 존재하는 지를 판단하고, 존재 할 시, 그중에서 하나를 선택하여 상기 제1 배터리 보관 랙(13A)으로 하고, 존재하지 않을 시:
상기 제1 조건을 상기 전기 차량에 적용되며 전력이 제일 높은 배터리가 놓이도록 설정되게 수정하고, 다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배터리 보관 랙에 현재 제1조건에 부합되는 배터리 보관 랙이 존재하는 지를 판단하고, 존재 할 시 그중에서 하나를 선택하여 상기 제1 배터리 보관 랙(13A)으로 한다. 만약 그래도 상기 제1조건에 부합되는 배터리 보관 랙이 존재하지 않을 시 상기 제어 유닛(11)은 경고 신호를 발송하여, 상기 전기 차량의 배터리 교체를 할수 없음을 제시할 수 있다.
실시예 15
본 실시예의 배터리 교체 제어 시스템은 실시예 13또는 14의 기초상에서 더욱 개선 된 것이며, 본 실시예가 실시예 13또는 14에 대한 개선은 실시예 8이 실시예 6 또는 7에 대한 개선과 거의 같으며, 부동한 점은, 상기 전기 차량이 주차가 되지 않았을 시, 상기 전기 차량을 주차하는데 사용되는 차량 플랫폼과 가장 가까운 거리에 위치한 하나의 배터리 보관 랙을 상기 제1 배터리 보관 랙(13A)으로 하는데 있다. 마찬가지로, 상기 전기 차량이 주차가 되지 않았을 시, 상기 전기 차량을 주차하는데 사용되는 차량 플랫폼과 가장 가까운 거리에 위치한 하나의 배터리 보관 랙을 상기 제2 배터리 보관 랙(13B)으로 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상기 차량 플랫폼은 차량 배터리 교체 전용 플랫폼이거나 차량을 주차하고 배터리 교체에 용이한 다른 보통 플랫폼일 수 있다.
실시예 16
본 실시예의 배터리 교체 제어 시스템은 실시예 13또는 14의 기초상에서 더욱 개선 된 것이며, 본 실시예가 실시예 13또는 14에 대한 개선은 실시예 9가 실시예 6 또는 7에 대한 개선을 참고할 수 있다.
실시예 17
본 실시예의 배터리 교체 제어 시스템은 실시예 13의 기초상에서 더욱 개선 된 것이며, 본 실시예가 실시예 13에 대한 개선은 실시예 10이 실시예 6에 대한 개선과 거의 같으며, 부동한 점은, 상기 전기 차량이 주차가 되지 않았을 시, 우선적으로 상기 전기 차량이 주차되는데 사용되는 차량 플랫폼과의 거리가 가장 가까운 배터리 교체 장치를 선택한다. 마찬가지로, 상기 전기 차량(14)이 주차가 되지 않았을 시, 선별된 배터리 교체 장치와 상기 차량 플랫폼(15)까지의 거리를 각각 계산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매개 상기 배터리 보관 랙과 적어도 하나의 상기 배터리 교체 장치는 기 설정된 바인딩 관계를 가질 시,
상기 전기 차량(14)이 주차가 되지 않았다면, 우선적으로 상기 제2 배터리 보관 랙(13B)과 바인딩 관계를 가지며 상기 전기 차량이 주차되는데 사용되는 차량 플랫폼과의 거리가 가장 가까운 배터리 교체 장치를 선택한다. 마찬가지로, 상기 전기 차량이 주차가 되지 않았을 시, 선별된 배터리 교체 장치와 상기 차량 플랫폼(15)까지의 거리를 각각 계산한다.
실시예 18
본 실시예의 배터리 교체 제어 시스템은 실시예 13의 기초상에서 더욱 개선 된 것이며, 본 실시예가 실시예 13에 대한 개선은 실시예 11이 실시예 6에 대한 개선과 거의 같으며, 부동한 점은, 본 실시예의 제2 배터리 보관 랙(13B)의 선택 과정은 실시예 14 내지 16을 참고할 수 있고, 배터리 언로드 배터리 교체 장치(12B)의 배치 과정은 실시예 17을 참고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어 유닛(11)은 상기 전기 차량이 차량 플랫폼에 주차된 후, 상기 제1 배터리 보관 랙(13A)을 선택하고, 그 다음 배터리 장착 배터리 교체 장치(12A)를 배치하고, 상기 배터리 장착 배터리 교체 장치(12A)에 배터리 언로드 명령어를 전송하고, 상기 배터리 언로드 명령어는 상기 배터리 장착 배터리 교체 장치(12A)가 상기 제1 배터리 보관 랙(13A)에서 상기 장착 대기 배터리를 꺼내도록 명령하는데 사용된다. 상기 배터리 장착 배터리 교체 장치(12A)는 또한 상기 배터리 언로드 명령어를 수행하는데 사용된다. 그중에서, 상기 제1 배터리 보관 랙(13A)의 선택 과정은 실시예 14 내지 16을 참고할 수 있고, 배터리 장착 배터리 교체 장치(12A)의 배치 과정은 실시예 17을 참고할 수 있다.
실시예 19
본 실시예의 배터리 교체 제어 시스템은 실시예 13의 기초상에서 더욱 개선 된 것이며, 본 실시예가 실시예 13에 대한 개선은 실시예 12가 실시예 6에 대한 개선과 거의 비슷하며, 부동한 점은,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전기 차량이 차량 플랫폼에 주차되기 전에, 상기 전기 차량에 적용되는 배터리 모델은 예측 가능한것이며, 그러면, 배터리 교체 준비 과정에서, 상기 제어 유닛(11)은 미리 상기 제1 배터리 보관 랙(13A)을 선택하고, 상기 배터리 장착 배터리 교체 장치(12A)를 배치하고 상기 배터리 장착 배터리 교체 장치(12A)를 제어하여 일부분의 명령어를 완료할수 있기에, 배터리 장착 시간을 절약할 수 있다. 그중에서, 상기 제2 배터리 보관 랙(13B)를 선택하는 과정은 실시예 14 내지 16을 참고할 수 있고, 상기 배터리 언로드 배터리 교체 장치(12B)를 배치하는 과정은 실시예 17을 참고할 수 있다. 또한, 이하 방식을 통하여 상기 전기 차량에 적용되는 배터리 모델을 예측할수 있는데: 상기 차량 플랫폼은 상기 모델의 배터리의 전기 차량만 주차될 수 있게 한다. 예를 들면, 기 설정된 어떤 차량 플랫폼이 특정된 모델의 배터리의 전기 차량만 주차될수 있게 하면, 전기 차량이 차량 플랫폼에 주차되었는지 여부에 관계없이, 전기 차량에 적용되는 배터리 모델은 필연적으로 상기 특정 모델이라는 것을 결정할 수 있다.
그중에서, 상기 제어 유닛(11)은 상기 배터리 장착 배터리 교체 장치(12A)를 제어하여 일부분의 명령어를 완료할 수 있는데, 이는: 상기 제어 유닛(11)은 상기 배터리 장착 배터리 교체 장치(12A)에 배터리 꺼내기 명령어를 전송하고, 상기 배터리 꺼내기 명령어는 상기 배터리 장착 배터리 교체 장치(12A)가 상기 제1배터리 보관 랙(13A)에서 상기 장착 대기 배터리를 꺼내도록 명령하는데 사용된다. 상기 배터리 장착 배터리 교체 장치(12A)는 또한 상기 배터리 꺼내기 명령어를 수행하는데 사용된다.
상기 제어 유닛(11)은 또한 상기 배터리 장착 배터리 교체 장치(12A)가 상기 배터리 꺼내기 명령어를 수행한 후, 상기 배터리 장착 배터리 교체 장치(12A)에 제1 이동 명령어를 보내는데 사용되며, 상기 제1 이동 명령어는 상기 배터리 장착 배터리 교체 장치(12A)가 미리 제1의 기 설정된 대기 위치로 주차되도록 명령하는데 사용되며, 상기 제1의 기 설정된 대기 위치는 상기 차량 플랫폼 부근의 상기 차량 플랫폼에서 제1 거리 임계 값을 초과하지 않는 거리에 있는 위치이다. 상기 배터리 장착 배터리 교체 장치(12A)는 또한 상기 제1 이동 명령어를 수행하는데 사용된다.
여기까지, 배터리 교체 준비 과정을 완료하였고, 상기 배터리 제어 시스템은 상기 전기 차량이 진입하고 상기 차량 플랫폼에 주차되기를 기다려, 배터리 교체 작동 과정에 들어간다.
배터리 교체 작동 과정에서, 상기 제어 유닛(11)은 상기 배터리 언로드 배터리 교체 장치(12B)가 위치한 제2의 기 설정된 대기 위치가 상기 기 설정된 배터리 교체 위치와 동일한 위치인 지를 판단하고:
동일한 위치일 시, 상기 배터리 언로드 배터리 교체 장치(12B)에 배터리 언로드 명령어를 전송하고, 상기 배터리 언로드 명령어는 상기 배터리 언로드 배터리 교체 장치(12B)가 상기 전기 차량에서 상기 전력 부족 배터리를 꺼내도록 명령하는데 사용되며; 상기 배터리 언로드 배터리 교체 장치(12B)는 상기 배터리 언로드 명령어를 수행하며;
동일한 위치가 아닐 시, 상기 배터리 언로드 배터리 교체 장치(12B)에 미세 조절 명령어를 전송하고, 상기 미세 조절 명령어는 상기 배터리 언로드 배터리 교체 장치(12B)를 상기 제2의 기 설정된 대기 위치에서 상기 기 설정된 배터리 교체 위치로 이동하도록 명령하는데 사용되며, 상기 배터리 언로드 배터리 교체 장치(12B)는 상기 미세 조절 명령어를 수행하며; 그리고, 상기 제어 유닛(11)은 상기 배터리 언로드 배터리 교체 장치(12B)에 상기 배터리 언로드 명령어를 전송하고, 상기 배터리 언로드 배터리 교체 장치(12B)는 또한 상기 배터리 언로드 명령어를 수행한다.
상기 제어 유닛(11)은 또한 상기 배터리 언로드 배터리 교체 장치(12B)가 상기 배터리 언로드 명령어를 수행 한 후, 상기 배터리 언로드 배터리 교체 장치(12B)에 제4 이동 명령어를 보내는데 사용되며, 상기 제4 이동 명령어는 상기 배터리 언로드 배터리 교체 장치(12B)가 상기 제2 배터리 보관 랙(13B)으로 이동하고 상기 전력 부족 배터리를 상기 빈 배터리 보관 창에 놓게 하도록 명령하는데 사용된다. 상기 배터리 언로드 배터리 교체 장치(12B)는 또한 상기 제4 이동 명령어를 수행하는데 사용된다.
상기 제어 유닛(11)은 또한 상기 배터리 언로드 배터리 교체 장치(12B)가 상기 기 설정된 배터리 교체 위치를 떠나거나 상기 기 설정된 배터리 교체 위치에서 제3의 거리 임계 값을 초과한 거리를 떠난 후, 상기 배터리 장착 배터리 교체 장치(12A)에 제5 이동 명령어를 보내는데 사용되고, 상기 제5 이동 명령어는 상기 배터리 장착 배터리 교체 장치(12A)가 상기 기 설정된 배터리 교체 위치로 이동하도록 명령하는데 사용된다. 상기 배터리 장착 배터리 교체 장치(12A)는 또는 상기 제5 이동 명령어를 수행하는데 사용된다.
상기 제어 유닛(11)은 또한 상기 배터리 장착 배터리 교체 장치(12A)가 상기 제5 이동 명령어를 수행 한 후, 상기 배터리 장착 배터리 교체 장치(12A)에 배터리 장착 명령어를 전송하는데 사용되며, 상기 배터리 장착 명령어는 상기 배터리 장착 배터리 교체 장치(12A)가 상기 장착 대기 배터리를 상기 전기 차량에 장착하도록 명령하는데 사용된다. 상기 배터리 장착 배터리 교체 장치(12A)는 또한 상기 배터리 장착 명령어를 수행하는데 사용된다. 여기까지, 상기 전기 차량의 배터리 교체가 완료되고, 상기 제어 유닛(11)은 상기 배터리 장착 배터리 교체 장치(12A)는 상기 기 설정된 배터리 교체 위치를 떠나도록 명령한다.
본 실시예의 배터리 교체 제어 시스템은 배터리 교체 준비 과정에서 부분적인 제어를 완료하여, 전기 차량이 차량 플랫폼으로 진입한 후의 배터리 교체 시간을 대폭 단축시키고, 배터리 효율을 향상시켰다.
실시예 20
도 8은 본 실시예의 배터리 교체 제어 방법을 예시하였다. 상기 배터리 교체 제어 방법은 이하 단계들을 포함하는데:
단계 21, 전기 차량에 적용되는 배터리 모델을 결정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전기 차량의 번호판을 스캔할 수 있고, 상기 번호판을 통하여 상기 전기 차량에 적용되는 배터리 모델을 결정한다.
단계 22, 적어도 하나의 배터리 보관 랙에서 제1조건에 부합되는 배터리 보관 랙을 선택하여 제1 배터리 보관 랙으로 하고, 상기 배터리 보관 랙은 여러 개의 배터리를 보관하는데 사용되는 배터리 보관 창을 구비하며, 상기 제1조건은 상기 배터리 모델의 배터리가 놓이도록 설정된다.
단계 23,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배터리 보관 랙에서 제2조건에 부합되는 배터리 보관 랙을 선택하여 제2 배터리 보관 랙으로 하고, 상기 제2조건은 빈 배터리 보관 창을 구비하도록 설정된다.
단계 24, 배터리 교체 장치를 기 설정된 배터리 교체 위치로 이동시키고, 상기 전기 차량에서 전력 부족 배터리를 꺼내고, 상기 전력 부족 배터리를 상기 제2 보관 랙에 운송하고 상기 빈 배터리 보관 창에 놓고, 상기 기 설정된 배터리 교체 위치는 상기 전기 차량에서 배터리를 꺼내고 장착하는데 적용되는 위치이다.
단계 25, 상기 배터리 교체 장치를 상기 제1 배터리 보관 랙으로 이동시키고, 상기 제1 배터리 보관 랙에서 상기 배터리 모델의 배터리를 꺼내고, 상기 배터리 모델의 배터리를 상기 기 설정된 배터리 교체 위치로 운송하고 상기 전기 차량에 장착한다.
본 실시예에서, 전기 차량에 적용되는 배터리 모델을 결정하여, 편리하게 제1 배터리 보관 랙을 선택할 수 있고; 차량의 배터리를 교체하는 전체 과정에서, 상기 배터리 교체 장치는 원활하게 이동하여, 배터리 교체 속도와 효율을 향상시켰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기 설정된 배터리 교체 위치는, 상기 배터리 교체 장치가 상기 기 설정된 배터리 교체 위치에 위치 할 시, 최소한의 동작을 통하여 전기 차량에서 배터리를 꺼내거나 전기 차량에 배터리를 장착할 수 있는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상기 기 설정된 배터리 교체 위치는 구체적으로 상기 전기 차량이 주차된 차량 플랫폼의 구조에 따라 상기 기 설정된 배터리 교체 위치가 상기 차량 플랫폼의 아래 혹은 위에 위치하는지가 결정된다.
실시예 21
본 실시예의 배터리 교체 제어 방법은 실시예 20의 기초상에서 더욱 개선 된 것이며, 주로 제1조건의 설정에서 반영된다. 제1조건은 상기 제1 배터리 보관 랙을 선택하는 근거로, 필요한 상기 배터리 모델의 배터리가 놓이는 외에, 더 나아가 다른 바람직한 배합 조건도 설정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배합 조건은 주로 배터리의 전력과 연관되며, 상기 배터리 교체 제어 방법은: 상기 배터리 보관 랙에 놓인 배터리의 전력을 모니터링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조건은 상기 배터리 모델이며 완전히 충전 된 배터리가 놓이도록 설정된다. 상응하게, 상기 단계 22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배터리 보관 랙에 상기 제1조건에 부합되는 배터리 보관 랙이 존재하는 지를 판단하고, 존재 할 시, 그중에서 하나를 선택하여 상기 제1 배터리 보관 랙으로 한다. 만약 상기 제1조건에 부합되는 배터리 보관 랙이 존재하지 않을 시 경고 신호를 발송하여, 상기 전기 차량의 배터리 교체를 할수 없음을 제시할 수 있다.
혹은, 전기 차량의 배터리 교체 확률을 향상하기 위하여, 상기 제1 조건은 우선적으로 상기 배터리 모델이며 완전히 충전 된 배터리가 놓이도록 설정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배터리 보관 랙이 상기 제1 조건에 부합되는 배터리 보관 랙을 구비하지 않을 시, 상기 제1 조건을 상기 배터리 모델이며 전력이 제일 높은 배터리가 놓이도록 설정되게 수정한다. 상응하게, 상기 제1 조건은 기본적으로 상기 배터리 모델이며 완전히 충전 된 배터리가 놓이도록 설정되고, 단계 22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배터리 보관 랙에 기본적인 제1조건에 부합되는 배터리 보관 랙이 존재하는 지를 판단하고, 존재 할 시, 그중에서 하나를 선택하여 상기 제1 배터리 보관 랙으로 하고, 존재하지 않을 시:
상기 제1 조건을 상기 배터리 모델이며 전력이 제일 높은 배터리가 놓이도록 설정되게 수정하고, 다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배터리 보관 랙에 현재 제1조건에 부합되는 배터리 보관 랙이 존재하는 지를 판단하고, 존재 할 시 그중에서 하나를 선택하여 상기 제1 배터리 보관 랙으로 한다. 만약 그래도 상기 제1조건에 부합되는 배터리 보관 랙이 존재하지 않을 시 경고 신호를 발송하여, 상기 전기 차량의 배터리 교체를 할수 없음을 제시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상기 빈 배터리 보관 창은 또한 상기 전력 부족 배터리를 충전하는데 사용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빈 배터리 보관 창은 배터리 충전 회로를 구비하고, 상기 배터리 충전 회로는 고정적인 전력 매개 변수를 가지고, 상기 전력 매개 변수는 상기 배터리 모델과 매칭되고; 또는, 상기 배터리 충전 회로는 조절 가능한 전력 매개 변수를 가지고, 상기 제어 유닛은 또한 상기 배터리 모델에 따라 상기 전력 매개 변수를 조절하여, 상기 전력 매개 변수가 상기 배터리 모델과 매칭되게 하는데 사용된다. 상기 전력 매개 변수는 전류 및 전압 등을 포함한다.
물론 다른 실시예에서, 제1조건은 수요에 따라 다른 조건으로 설치될 수도 있다.
실시예 22
본 실시예의 배터리 교체 제어 방법은 실시예 20 또는 21의 기초상에서 더욱 개선 된 것이며, 주로 제1 배터리 보관 랙과 제2 배터리 보관 랙에 대한 선택에서 반영된다. 배터리 보관 랙의 개수는 두개이며, 더 많을수도 있으며, 두개 혹은 두개 이상의 배터리 보관 랙이 동시에 상기 제1조건 또는 제2조건에 부합될 가능성이 아주 높다. 상기 방법은 수요에 따라 상기 제1 배터리 보관 랙과 제2 배터리 보관 랙의 선택 요구를 더 한층 설정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동시에 두개 또는 두개 이상의 배터리 보관 랙이 상기 제1조건에 부합되는 상황에 대응하기 위하여, 단계 22는 상기 제1 조건에 부합되는 배터리 보관 랙이 하나를 초과하는 지를 판단하는데 사용될수 있고, 초과 할 시:
또는, 상기 배터리 교체 장치의 이동 루트와 이동 시간을 절감하고 배터리 교체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상기 제1 조건에 부합되는 배터리 보관 랙에서, 상기 전기 차량과의 거리 혹은 상기 전기 차량을 주차하는데 사용되는 차량 플랫폼과의 거리가 제일 가까운 하나의 배터리 보관 랙을 선택하여 상기 제1 배터리 보관 랙으로 하고;
또는, 상기 제2 배터리 보관 랙과 상기 전기 차량사이의 경로에 위치한 하나의 배터리 보관 랙을 선택하여 상기 제1 배터리 보관 랙으로 하고, 또는 상기 경로에 위치하며 상기 전기 차량 혹은 상기 차량 플랫폼과의 거리가 제일 가까운 하나의 배터리 보관 랙을 선택하여 상기 제1 배터리 보관 랙으로 한다.
물론, 상기 제1조건에 부합하는 배터리 보관 랙이 하나만 있을 시, 통상적으로 이를 제1 배터리 보관 랙으로 할수 밖에 없다.
마찬가지로, 동시에 두개 또는 두개 이상의 배터리 보관 랙이 상기 제2조건에 부합되는 상황에 대응하기 위하여, 상기 단계23은 상기 제2조건에 부합되는 배터리 보관 랙이 하나를 초과하는 지를 판단하는데 사용될 수 있고, 초과 할 시:
상기 제2 조건에 부합되는 배터리 보관 랙에서, 임의로 하나의 배터리 보관 랙을 선택하여 상기 제2 배터리 보관 랙으로 하고;
또는, 상기 배터리 교체 장치의 이동 루트와 이동 시간을 절감하고 배터리 교체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상기 제2 조건에 부합되는 배터리 보관 랙에서, 상기 전기 차량과의 거리 혹은 상기 전기 차량을 주차하는데 사용되는 차량 플랫폼과의 거리가 제일 가까운 하나의 배터리 보관 랙을 선택하여 상기 제2 배터리 보관 랙으로 한다.
물론, 상기 제2조건에 부합하는 배터리 보관 랙이 하나만 있을 시, 통상적으로 이를 제2 배터리 보관 랙으로 할수 밖에 없다.
보다 더 편리하게 매개 배터리 보관 랙의 위치를 결정하고, 제1 배터리 보관 랙/제2 배터리 보관 랙을 선택하고, 배터리 교체 장치의 이동 경로를 절감하기 위하여, 상기 배터리 보관 랙은 상기 전기 차량이 상기 차량 플랫폼으로 진입하는 방향에 따라 상기 차량 플랫폼의 양측에 배치될 수 있다. 그 중, 상기 차량 플랫폼은 차량 배터리 교체 전용 플랫폼이거나 차량을 주차하고 배터리 교체에 용이한 다른 보통 플랫폼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1 배터리 보관 랙과 제2 배터리 보관 랙의 선택은 상대적으로 독립적인 것이며, 즉 부동한 수요에 따라 제1 배터리 보관 랙과 제2 배터리 보관 랙의 선택 요구를 설정할 수 있다.
실시예 23
본 실시예의 배터리 교체 제어 방법은 실시예 20 또는 21의 기초상에서 더욱 개선 된 것이며, 주로 제1 배터리 보관 랙과 제2 배터리 보관 랙에 대한 선택에서 반영된다. 실시예 21과 부동한 점은, 본 실시예에서 제1 배터리 보관 랙과 제2 배터리 보관 랙을 선택 할 시 어느 정도 양자사이의 연관성에 대해 고려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방법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배터리 보관 랙에 다기능 배터리 보관 랙이 존재하는 지를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다기능 배터리 보관 랙은 상기 제1조건과 제2조건에 전부 부합되는 배터리 보관 랙이다.
상기 다기능 배터리 보관 랙이 존재 하지 않을 시, 실시예 21의 방안에 따라 제1조건에 부합되는 배터리 보관 랙에서 제1 배터리 보관 랙을 선택하고, 제2조건에 부합되는 배터리 보관 랙에서 제2 배터리 보관 랙을 선택할 수 있다.
상기 다기능 배터리 보관 랙이 존재 할 시, 상기 다기능 배터리 보관 랙을 동시에 상기 제1 배터리 보관 랙 및 상기 제2 배터리 보관 랙으로 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배터리 교체 장치의 이동 루트를 감소시킨다.
실시예 24
본 실시예의 배터리 교체 제어 방법은 실시예 20의 기초상에서 더욱 개선 된 것이며, 주로 상기 배터리 교체 장치에 대한 제어 과정에서 반영된다. 전체 배터리 교체 과정은 전기 차량이 차량 플랫폼에 주차되기 전의 배터리 교체 준비 과정 및 전기 차량이 차량 플랫폼에 주차된 후의 배터리 교체 작동 과정으로 나뉜다.
배터리 교체 준비 과정에서, 상기 배터리 교체 제어 방법은: 상기 배터리 교체 장치를 미리 기 설정된 대기 위치로 주차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기 설정된 대기 위치는 상기 기 설정된 배터리 교체 위치와 연관되며, 상기 기 설정된 배터리 교체 위치와 같은 위치 혹은 기 설정된 배터리 교체 위치 부근의 위치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이하 조건을 동시에 만족할 시, 상기 기 설정된 배터리 교체 위치는 주차 가능한 상태이고, 아니면 상기 기 설정된 배터리 교체 위치는 주차 불가능한 상태이고:
상기 기 설정된 배터리 교체 위치는 빈 위치이며;
상기 배터리 교체 장치가 상기 기 설정된 배터리 교체 위치로 이동할수 있게 하는 통로가 존재하며;
상기 배터리 교체 장치가 상기 기 설정된 배터리 교체 위치로의 주차가 예측 될 시, 상기 배터리 교체 장치는 상기 차량 플랫폼으로 진입하는 전기 차량을 차단하지 않는다.
여기까지, 배터리 교체 준비 과정을 완료하였고, 상기 배터리 제어 시스템은 상기 전기 차량이 진입하고 상기 차량 플랫폼에 주차되기를 기다려, 배터리 교체 작동 과정에 들어간다.
배터리 교체 작동 과정에서, 상기 배터리 교체 제어 방법은:
상기 기 설정된 대기 위치가 상기 기 설정된 배터리 교체 위치와 동일한 위치인 지를 판단하고:
동일한 위치일 시, 상기 배터리 교체 장치가 상기 전기 차량에서 상기 전력 부족 배터리를 하는 단계;
동일한 위치가 아닐 시, 상기 배터리 교체 장치를 상기 기 설정된 대기 위치에서 상기 기 설정된 배터리 교체 위치로 이동하도록 한 후, 상기 배터리 교체 장치가 상기 배터리 교체 장치가 상기 전기 차량에서 상기 전력 부족 배터리를 꺼내도록 하는 단계;
상기 배터리 교체 장치가 상기 전기 차량에서 상기 전력 부족 배터리를 꺼낸 후, 상기 배터리 교체 장치를 상기 제2 배터리 보관 랙으로 이동하도록 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배터리 교체 장치가 상기 전력 부족 배터리를 상기 빈 배터리 보관 창에 놓도록 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배터리 교체 장치가 상기 제1 배터리 보관 랙으로 이동하도록 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배터리 교체 장치가 상기 제1배터리 보관 랙에서 상기 배터리 모델의 배터리를 꺼내도록 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배터리 교체 장치를 상기 기 설정된 배터리 교체 위치로 이동하도록 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배터리 교체 장치가 상기 배터리 모델의 배터리를 상기 전기 차량에 장착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여기까지, 상기 전기 차량의 배터리 교체는 완료되고, 마지막으로 상기 배터리 교체 장치가 상기 기 설정된 배터리 교체 위치에서 떠나도록 한다.
본 실시예의 배터리 교체 제어 시스템은 배터리 교체 준비 과정에서 부분적인 제어를 완료하여, 전기 차량이 차량 플랫폼으로 진입 한 후의 배터리 교체 시간을 대폭 단축하고, 배터리 효율을 향상시켰다.
실시예 25
도 10은 본 실시예의 배터리 교체 제어 방법을 예시하였다.상기 배터리 교체 제어 방법은 이하 단계들을 포함하는데:
단계 21', 적어도 하나의 배터리 보관 랙에서 제1조건에 부합되는 배터리 보관 랙을 선택하여 제1 배터리 보관 랙으로 한다. 그중에서, 상기 배터리 보관 랙은 여러 개의 배터리를 보관하는데 사용되는 배터리 보관 창을 구비하며, 상기 제1조건은 상기 전기 차량에 적용되는 배터리가 놓이도록 설정되고, 상기 전기 차량에 적용되는 배터리는 통상적으로 상기 전기 차량에서 사용하는 배터리 모델과 같다.
단계 22',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배터리 보관 랙에서 제2조건에 부합되는 배터리 보관 랙을 선택하여 제2 배터리 보관 랙으로 한다. 그중에서, 상기 제2조건은 빈 배터리 보관 창을 구비하도록 설정된다.
단계 23', 상기 적어도 두개의 배터리 교체 장치에서 적어도 하나의 배터리 교체 장치를 배터리 장착 배터리 교체 장치로 한다. 그중에서, 상기 배터리 장착 배터리 교체 장치는 장착 대기 배터리를 운송하는데 사용되며, 상기 장착 대기 배터리는 상기 제1 배터리 보관 랙에서 꺼낸 상기 전기 차량에 적용되며 상기 전기 차량에 설치 될 배터리이다.
단계 24', 상기 적어도 두개의 배터리 교체 장치에서 적어도 하나의 배터리 교체 장치를 배터리 언로드 배터리 교체 장치로 한다. 그중에서, 상기 배터리 언로드 배터리 교체 장치는 전력 부족 배터리를 운송하는데 사용되며, 상기 전력 부족 배터리는 상기 전기 차량에서 꺼내어 상기 빈 배터리 보관 창에 놓일 배터리이다.
상기 단계들의 순서는 상기 매 단계의 한가지 가능한 순서일 뿐,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매 단계는 다른 순서일 수도 있고, 예를 들면 미리 단계 22'를 수행하고, 그 다음 단계 24' ,21', 23'을 수행할 수 있고, 또는, 미리 단계 21'를 수행하고, 그 다음 단계 23' ,22', 24'를 수행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차량의 배터리 교체 전체 과정에서, 두개의 배터리 교체 장치를 사용하는데, 각각 배터리 장착 배터리 교체 장치와 배터리 언로드 배터리 교체 장치이며, 배터리 장착 배터리 교체 장치의 이동 경로는 제1 배터리 보관 랙과 전기 차량사이에 있으며, 장착 대기 배터리의 운송을 구현하고, 배터리 언로드 배터리 교체 장치의 이동 경로는 전기 차량과 제2 배터리 보관 랙사이에 있으며, 전력 부족 배터리의 운송을 구현하며, 상기 두개장치는 각각 부동한 직책을 지니며, 공동으로 배터리 교체 임무를 완료하여, 전체 배터리 교체 시간은 단일 배터리 교체 장치를 사용하여 배터리 교체를 구현 하였을 시에 비교하여 적어도 절반의 시간을 단축하였고, 배터리 교체 속도와 효율을 향상시켰다.
실시예 26
본 실시예의 배터리 교체 제어 방법은 실시예 25의 기초상에서 더욱 개선 된 것이며, 본 실시예가 실시예 25에 대한 개선은 실시예 21이 실시예 20에 대한 개선과 거의 같으며, 부동 한 점은, 상기 배터리 교체 제어 방법은: 실시간으로 매개 배터리의 전력을 모니터링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이는 제1 배터리 보관 랙의 선택에 도움이 된다.
실시예 27
본 실시예의 배터리 교체 제어 방법은 실시예 25 또는 26의 기초상에서 더욱 개선 된 것이며, 본 실시예가 실시예 25 또는 26에 대한 개선은 실시예 22가 실시예 20 또는 21에 대한 개선과 거의 같으며, 부동 한 점은, 본 실시예에서, 보다 더 편리하게 배터리 보관 랙의 위치를 파악하고, 제1 배터리 보관 랙/ 제2 배터리 보관 랙을 선택하고, 배터리 장착 배터리 교체 장치/ 배터리 언로드 배터리 교체 장치의 이동 루트를 단축시키기 위하여, 상기 배터리 보관 랙을 상기 전기 차량이 상기 차량 플랫폼으로 진입하는 방향에 따라 상기 차량 플랫폼의 양측에 배치 시킬 수 있다.
실시예 28
본 실시예의 배터리 교체 제어 방법은 실시예 25 또는 26의 기초상에서 더욱 개선 된 것이며, 주로 제1 배터리 보관 랙과 제2 배터리 보관 랙에 대한 선택에서 반영된다. 실시예 27과 부동한 점은, 본 실시예에서 제1 배터리 보관 랙과 제2 배터리 보관 랙을 선택 할 시 어느 정도 양자사이의 연관성에 대해 고려하는 것이다.
상기 배터리 교체 제어 방법은 이하 단계들을 더 포함하는데: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배터리 보관 랙에 다기능 배터리 보관 랙이 존재하는 지를 판단하고, 상기 다기능 배터리 보관 랙은 상기 제1조건과 제2조건에 전부 부합되는 배터리 보관 랙이며;
상기 다기능 배터리 보관 랙이 존재 하지 않을 시, 실시예 27의 방안에 따라 제1조건에 부합되는 배터리 보관 랙에서 제1 배터리 보관 랙을 선택하고, 제2조건에 부합되는 배터리 보관 랙에서 제2 배터리 보관 랙을 선택하고;
상기 다기능 배터리 보관 랙이 존재 할 시, 우선적으로 상기 다기능 배터리 보관 랙을 이용하여, 이하 네가지 방식에서 임의로 한가지를 선택하여 신분을 배치할 수 있는데:
첫번째, 상기 다기능 배터리 보관 랙을 동시에 상기 제1 배터리 보관 랙 및 상기 제2 배터리 보관 랙으로 한다.
두번째, 상기 다기능 배터리 보관 랙을 상기 제1 배터리 보관 랙 및 상기 제2 배터리 보관 랙 중 임의의 하나로 한다.
세번째, 제1조건에 부합되는 배터리 보관 랙과 제2조건에 부합되는 배터리 보관 랙의 개수상의 균형을 유지하기 위하여, 이하 임의의 하나의 조건을 상기 다기능 배터리 보관 랙을 제1 배터리 보관 랙으로 하는데 필요한 조건으로 하는데:
조건(1): 나머지 배터리 보관 랙은 전부 상기 제1조건에 부합되지 않으며;
조건(2): 나머지 배터리 보관 랙에서, 상기 제1조건에 부합되는 배터리 보관 랙의 개수가 상기 제2조건에 부합되는 배터리 보관 랙의 개수보다 적으며;
조건(3): 나머지 배터리 보관 랙에서, 상기 제1조건에 부합되는 배터리 보관 랙의 개수가 상기 제2조건에 부합되는 배터리 보관 랙의 개수보다 적고, 두 개수사이의 차이의 절대 값이 제1 차이 임계 값보다 적으며;
조건(4): 나머지 배터리 보관 랙에서, 상기 제1조건에 부합되는 배터리 보관 랙의 개수가 제1 개수 임계 값보다 적다.
네번째, 제1조건에 부합되는 배터리 보관 랙과 제2조건에 부합되는 배터리 보관 랙의 개수상의 균형을 유지하기 위하여, 이하 임의의 하나의 조건을 상기 다기능 배터리 보관 랙을 제2 배터리 보관 랙으로 하는데 필요한 조건으로 하는데:
조건(1): 나머지 배터리 보관 랙은 전부 상기 제2조건에 부합되지 않으며;
조건(2): 나머지 배터리 보관 랙에서, 상기 제2조건에 부합되는 배터리 보관 랙의 개수가 상기 제1조건에 부합되는 배터리 보관 랙의 개수보다 적으며;
조건(3): 나머지 배터리 보관 랙에서, 상기 제2조건에 부합되는 배터리 보관 랙의 개수가 상기 제1조건에 부합되는 배터리 보관 랙의 개수보다 적고, 두 개수 사이의 차이의 절대 값이 제2 차이 임계 값보다 적으며;
조건(4): 나머지 배터리 보관 랙에서, 상기 제2조건에 부합되는 배터리 보관 랙의 개수가 제2 개수 임계 값보다 적다.
실시예 29
본 실시예의 배터리 교체 제어 방법은 실시예 25의 기초상에서 더욱 개선 된 것이며, 주로 단계23'에서 배터리 장착 배터리 교체 장치에 대한 배치와 단계24'에서 배터리 언로드 배터리 교체 장치에 대한 배치에서 반영된다. 상기 배터리 교체 장치는 대체적으로 두가지로 나뉘는데:
단일 기능 배터리 교체 장치, 이의 구조는 비교적 단일하고, 제1구조를 가지고 배터리 장착 배터리 교체 장치로만 배치가능하고, 또는 제2구조를 가지고 배터리 언로드 배터리 교체 장치로만 배치가능하고;
다기능 배터리 교체 장치, 이의 구조는 비교적 복잡하고, 제1구조와 제2구조를 겸비하여 배터리 언로드 배터리 교체 장치와 배터리 장착 배터리 교체 장치중의 임의의 하나로 배치될 수 있다.
그중에서, 상기 제1구조는 상기 장착 대기 배터리를 상기 제1 배터리 보관 랙에서 꺼내고 상기 전기 차량에 장착하는데 필요한 구조를 포함하고, 예를 들면, 상기 장착 대기 배터리를 상기 제1 배터리 보관 랙에서 꺼내는 그랩 메커니즘, 상기장착 대기 배터리를 상기 전기 차량에 장착하는 리프팅 메커니즘 등 일 수 있다.
상기 제2구조는 상기 전력 부족 배터리를 상기 전기 차량에서 꺼내고 상기 제2 배터리 보관 랙에 놓는데 필요한 구조를 포함하고, 예를 들면, 상기 전력 부족 배터리를 상기 전기 차량에서 잠금 해제하는 잠금 해제 메커니즘, 상기 전력 부족 배터리를 상기 제2 배터리 보관 랙에 놓는 배치 메커니즘 등 일 수 있다.
본 실시예의 배터리 교체 제어 방법에서, 상기 적어도 두개의 배터리 교체 장치는 전부 단일 기능 배터리 교체 장치일 수도 있고(그러나 상기 제1구조를 갖는 단일 기능 배터리 교체 장치과 상기 제2구조를 갖는 단일 기능 배터리 교체 장치가 전부 필요하다); 또는, 전부 다기능 배터리 교체 장치일 수도 있고; 또는, 일부분은 단일 기능 배터리 교체 장치이고, 일부분은 다기능 배터리 교체 장치일 수도 있다.
배터리 장착 배터리 교체 장치의 이동 루트와 이동 시간을 단축하고 배터리 교체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단계 23'에서 배터리 장착 배터리 교체 장치를 배치 할 시, 배터리 교체 장치는 우선적으로 상기 제1 배터리 보관 랙과의 거리가 가장 가까운 배터리 교체 장치를 선택한다. 구체적으로, 단계 23'에서 단계21'에서 제1 배터리 보관 랙을 선택해낸 후, 상기 제1 배터리 보관 랙의 위치를 결정하고, 제1구조를 갖는 단일 기능 배터리 교체 장치와 다기능 배터리 교체 장치를 선별하고, 매개 제1구조를 갖는 단일 기능 배터리 교체 장치와 다기능 배터리 교체 장치에서 상기 제1 배터리 보관 랙까지의 거리를 각각 계산하고, 거리가 가장 가까운 하나의 배터리 교체 장치를 선택하여 배터리 장착 배터리 교체 장치로 배치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배터리 언로드 배터리 교체 장치의 이동 루트와 이동 시간을 단축하고 배터리 교체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단계 24'에서 상기 배터리 언로드 배터리 교체 장치를 배치 할 시, 배터리 교체 장치는 우선적으로 배치되는 배터리 교체 장치를 상기 전기 차량과의 거리가 가장 가까운 배터리 교체 장치를 선택한다(만약 상기 전기 차량이 주차되지 않았을 시, 우선적으로 상기 전기 차량을 주차하는데 사용되는 차량 플랫폼과의 거리가 가장 가까운 배터리 교체 장치를 선택한다). 구체적으로, 단계 24'는: 제2구조를 갖는 단일 기능 배터리 교체 장치와 다기능 배터리 교체 장치를 선별하고, 매개 제2구조를 갖는 단일 기능 배터리 교체 장치와 다기능 배터리 교체 장치에서 상기 전기 차량까지의 거리 혹은 상기 차량 플랫폼까지의 거리를 각각 계산하고(만약 상기 전기 차량이 주차되지 않았을 시, 선별해낸 배터리 교체 장치에서 상기 차량 플랫폼까지의 거리를 각각 계산한다), 거리가 가장 가까운 하나의 배터리 교체 장치를 선택하여 배터리 언로드 배터리 교체 장치로 배치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편리하게 배터리 교체 장치의 관리와 분배를 하기 위하여, 매개 상기 배터리 보관 랙과 적어도 하나의 상기 배터리 교체 장치는 기 설정된 바인딩 관계를 가지며,즉 매개 상기 배터리 보관 랙은 바인딩 관계를 가지는 배터리 교체 장치에서만 배터리를 꺼내거나 놓을 수 있다.
단계 23'에서 배터리 장착 배터리 교체 장치를 배치 할 시, 우선적으로 상기 제1 배터리 보관 랙과 바인딩 관계를 가지는 배터리 교체 장치를 선택하며, 또는 상기 제1 배터리 보관 랙과 바인딩 관계를 가지고 상기 제1 배터리 보관 랙과의 거리가 가장 가까운 배터리 교체 장치를 선택한다. 구체적으로, 단계 23'은: 제1 배터리 보관 랙을 선택해낸 후, 상기 제1 배터리 보관 랙과 바인딩 관계를 가지며 제1구조를 갖는 단일 기능 배터리 교체 장치와 다기능 배터리 교체 장치를 선별하고, 그중에서 임의로 하나를 선택하여 배터리 장착 배터리 교체 장치로 배치하거나, 또는 더 나아가 상기 제1 배터리 보관 랙의 위치를 결정하고, 선별해낸 배터리 교체 장치에서 상기 제1 배터리 보관 랙까지의 거리를 각각 계산해내고, 거리가 가장 가까운 하나의 배터리 교체 장치를 선택하여 배터리 장착 배터리 교체 장치로 배치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단계 24'에서 배터리 언로드 배터리 교체 장치를 배치 할 시, 우선적으로 상기 제2배터리 보관 랙과 바인딩 관계를 가지는 배터리 교체 장치를 선택하며, 또는 상기 제2배터리 보관 랙과 바인딩 관계를 가지며 상기 전기 차량과의 거리가 가장 가까운 배터리 교체 장치를 선택한다(만약 상기 전기 차량이 주차되지 않았을 시, 우선적으로 상기 제2배터리 보관 랙과 바인딩 관계를 가지고 상기 전기 차량을 주차하는데 사용되는 차량 플랫폼과의 거리가 가장 가까운 배터리 교체 장치를 선택한다). 구체적으로, 단계 24'는: 상기 제2배터리 보관 랙을 선택해낸 후, 상기 제2배터리 보관 랙과 바인딩 관계를 가지며 제2구조를 갖는 단일 기능 배터리 교체 장치와 다기능 배터리 교체 장치를 선별하고, 그중에서 임의로 하나를 선택하여 배터리 언로드 배터리 교체 장치로 배치하거나, 또는 더 나아가 선별해낸 배터리 교체 장치에서 상기 전기 차량까지의 거리를 각각 계산해내고(만약 상기 전기 차량이 주차되지 않았을 시, 선별해낸 배터리 교체 장치에서 상기 차량 플랫폼까지의 거리를 각각 계산한다), 거리가 가장 가까운 하나의 배터리 교체 장치를 선택하여 배터리 언로드 배터리 교체 장치로 배치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 30
본 실시예의 배터리 교체 제어 방법은 실시예 25의 기초상에서 더욱 개선 된 것이며, 주로 상기 배터리 교체 제어 방법의 배터리 교체 제어 과정에서 반영된다. 도 11에서 예시 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배터리 교체 과정은 전기 차량이 차량 플랫폼에 주차되기 전의 배터리 교체 준비 과정 및 전기 차량이 차량 플랫폼에 주차된 후의 배터리 교체 작동 과정으로 나뉜다.
배터리 교체 준비 과정에서, 상기 배터리 교체 제어 방법은: 미리 상기 제2 배터리 보관 랙을 선택하고, 그다음 배터리 언로드 배터리 교체 장치를 배치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그중에서, 상기 제2 배터리 보관 랙을 선택하는 방법은 실시예 26 내지 28을 참고할 수 있고, 상기 배터리 언로드 배터리 교체 장치를 배치하는 방법은 실시예 29를 참고할 수 있다.
배터리 교체 작동 과정에서, 상기 배터리 교체 제어 방법은: 상기 배터리 언로드 배터리 교체 장치가 이동하여 기 설정된 배터리 교체 위치로 주차되도록 명령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전기 차량이 차량 플랫폼에 주차되고 상기 배터리 언로드 배터리 교체 장치가 상기 기 설정된 배터리 교체 위치에 주차된 후, 상기 배터리 언로드 배터리 교체 장치가 상기 전기 차량에서 상기 전력 부족 배터리를 꺼내도록 명령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기 설정된 배터리 교체 위치는 상기 차량 플랫폼에 주차된 전기 차량에서 배터리를 꺼내기 위한 위치이며, 상기 배터리 언로드 배터리 교체 장치가 상기 기 설정된 배터리 교체 위치에 위치 할 시, 상기 배터리 언로드 배터리 교체 장치가 최소한의 동작을 통하여 상기 차량 플랫폼에 주차된 전기 차량에서 배터리를 꺼낼 수 있는 위치로 이해할 수 있다. 상기 기 설정된 배터리 교체 위치는 구체적으로 상기 전기 차량이 주차된 차량 플랫폼의 구조에 따라 상기 기 설정된 배터리 교체 위치가 상기 차량 플랫폼의 아래 혹은 위에 위치하는지가 결정된다(상기 기 설정된 배터리 교체 위치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실시예 25를 참고할 수 있다).
상기 기 설정된 배터리 교체 위치는 상기 차량 플랫폼의 구조, 그리고 더 나아가 상기 배터리 언로드 배터리 교체 장치의 제2구조, 전력 부족 배터리를 꺼낼 시 제2구조의 이동경로 등 조건을 결합하여 설정할 수 있다.
상기 배터리 언로드 배터리 교체 장치가 상기 전기 차량에서 상기 전력 부족 배터리를 꺼낸 후, 상기 배터리 언로드 배터리 교체 장치가 상기 제2 배터리 보관 랙으로 이동하고 상기 전력 부족 배터리를 상기 빈 배터리 보관 창에 놓게 하도록 명령한다.
배터리 교체 작동 과정에서, 상기 배터리 교체 제어 방법은: 제1 배터리 보관 랙을 선택하고, 그다음 배터리 장착 배터리 교체 장치를 배치하고, 상기 배터리 장착 배터리 교체 장치가 상기 제1배터리 보관 랙에서 상기 장착 대기 배터리를 꺼내도록 명령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그중에서, 상기 제1배터리 보관 랙을 선택하는 방법은 실시예 26 내지 28을 참고할 수 있고, 배터리 장착 배터리 교체 장치를 배치하는 과정은 실시예 29를 참고할 수 있다.
상기 배터리 언로드 배터리 교체 장치가 상기 기 설정된 배터리 교체 위치를 떠나거나 상기 기 설정된 배터리 교체 위치에서 제3의 거리 임계 값을 초과한 거리를 떠난 후, 상기 배터리 장착 배터리 교체 장치가 상기 기 설정된 배터리 교체 위치로 이동하도록 명령한다.
상기 배터리 장착 배터리 교체 장치가 상기 기 설정된 배터리 교체 위치로 이동한 후, 상기 배터리 장착 배터리 교체 장치가 상기 장착 대기 배터리를 상기 전기 차량에 장착하도록 명령한다. 여기까지, 상기 전기 차량의 배터리 교체가 완료된다.
마지막으로, 상기 배터리 장착 배터리 교체 장치가 상기 기 설정된 배터리 교체 위치를 떠나도록 명령한다.
실시예 31
본 실시예의 배터리 교체 제어 방법은 실시예 25의 기초상에서 더욱 개선 된 것이며, 주로 상기 배터리 교체 제어 방법의 배터리 교체 제어 과정에서 반영된다. 본 실시예의 배터리 교체 과정은 전기 차량이 차량 플랫폼에 주차되기 전의 배터리 교체 준비 과정 및 전기 차량이 차량 플랫폼에 주차된 후의 배터리 교체 작동 과정으로 나뉜다. 도 12에서 예시 한 바와 같이, 배터리 교체 준비 과정과 배터리 교체 작동 과정에서, 상기 배터리 교체 제어 방법이 포함한 단계는 실시예 30과 부동한 점이 있다.
배터리 교체 준비 과정에서, 상기 배터리 교체 제어 방법은: 미리 상기 제2 배터리 보관 랙을 선택하고, 상기 배터리 언로드 배터리 교체 장치를 배치하고 상기 배터리 언로드 배터리 교체 장치를 명령하여 일부분의 작동을 완료하는 단계를 포함하기에, 배터리 언로드 시간을 절약할 수 있다. 그중에서, 상기 배터리 언로드 배터리 교체 장치를 선택하는 방법은 실시예 26 내지 28을 참고할 수 있고, 상기 배터리 언로드 배터리 교체 장치를 배치하는 방법은 실시예 29를 참고할 수 있다.
그중에서, 상기 배터리 언로드 배터리 교체 장치를 명령하여 일부분의 작동을 완료하는 단계는: 상기 기 설정된 배터리 교체 위치가 주차 가능한 상태인 지를 판단하고, 이로 제2의 기 설정된 대기 위치를 설정하고, 상기 배터리 언로드 배터리 교체 장치가 미리 제2의 기 설정된 대기 위치에 주차되도록 명령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그중에서, 상기 제2의 기 설정된 대기 위치는 상기 기 설정된 배터리 교체 위치와 연관되며, 상기 기 설정된 배터리 교체 위치와 같은 위치거나 상기 기 설정된 배터리 교체 위치 부근의 위치(상기 기 설정된 배터리 교체 위치에 대한 설명은 실시예 30을 참고할 수 있다)일수 있다.
상기 기 설정된 배터리 교체 위치가 주차 가능한 상태인 지를 판단하는 것은, 구체적으로 이하를 포함할 수 있고:
이하 조건을 동시에 만족할 시, 상기 기 설정된 배터리 교체 위치는 주차 가능한 상태이고, 아니면 상기 기 설정된 배터리 교체 위치는 주차 불가능한 상태이고:
조건 (1): 상기 기 설정된 배터리 교체 위치는 빈 위치이며;
조건 (2): 상기 배터리 언로드 배터리 교체 장치가 상기 기 설정된 배터리 교체 위치로 이동할수 있게 하는 통로가 존재하며;
조건 (3): 상기 배터리 언로드 배터리 교체 장치(12B)가 상기 기 설정된 배터리 교체 위치로의 주차가 예측 될 시, 상기 배터리 언로드 배터리 교체 장치는 상기 차량 플랫폼으로 진입하는 전기 차량을 차단하지 않는다.
조건 (3)을 만족할수 있는 지는, 통상적으로 차량 플랫폼의 구조와 연관된다.
기 설정된 배터리 교체 위치가 주차 가능한 상태 일 시, 상기 제2의 기 설정된 대기 위치는 상기 기 설정된 배터리 교체 위치와 동일한 위치이다. 상기 기 설정된 배터리 교체 위치가 주차 불가능한 상태 일 시, 상기 제2의 기 설정된 대기 위치는 상기 기 설정된 배터리 교체 위치에서 제2의 거리 임계값을 초과하지 않는 거리에 있는 위치이고, 즉 상기 기 설정된 배터리 교체 위치 부근의 위치이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전기 차량이 차량 플랫폼에 주차되기 전에, 상기 전기 차량에 적용되는 배터리 모델은 예측 가능한것이며, 그러면, 배터리 교체 준비 과정에서, 상기 배터리 교체 제어 방법은: 미리 상기 제1 배터리 보관 랙을 선택하고, 상기 배터리 장착 배터리 교체 장치를 배치하고 상기 배터리 장착 배터리 교체 장치를 명령하여 일부분의 작동을 완료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기에, 배터리 장착 시간을 절약할 수 있다. 그중에서, 상기 배터리 언로드 배터리 교체 장치를 선택하는 방법은 실시예 26 내지 28을 참고할 수 있고, 상기 배터리 언로드 배터리 교체 장치를 배치하는 방법은 실시예 29를 참고할 수 있다. 또한, 이하 방식을 통하여 상기 전기 차량에 적용되는 배터리 모델을 예측할 수 있는데: 상기 차량 플랫폼은 상기 모델의 배터리의 전기 차량만 주차될수 있게 한다. 예를 들면, 기 설정된 어떤 차량 플랫폼이 특정된 모델의 배터리의 전기 차량만 주차될 수 있게 하면, 전기 차량이 차량 플랫폼에 주차되었는지 여부에 관계없이, 전기 차량에 적용되는 배터리 모델은 필연적으로 상기 특정 모델이라는 것을 결정할 수 있다.
그중에서, 상기 배터리 장착 배터리 교체 장치를 명령하여 일부분의 작동을 완료할수 있는 것은: 상기 배터리 장착 배터리 교체 장치가 상기 제1배터리 보관 랙에서 상기 장착 대기 배터리를 꺼내도록 명령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배터리 장착 배터리 교체 장치가 상기 제1배터리 보관 랙에서 상기 장착 대기 배터리를 꺼낸 후, 상기 배터리 장착 배터리 교체 장치가 미리 제1의 기 설정된 대기 위치로 주차되도록 명령하고, 상기 제1의 기 설정된 대기 위치는 상기 차량 플랫폼 부근의 상기 차량 플랫폼에서 제1 거리 임계 값을 초과하지 않는 거리에 있는 위치이다.
여기까지, 배터리 교체 준비 과정을 완료하였고, 상기 전기 차량이 진입하고 상기 차량 플랫폼에 주차되기를 기다려, 배터리 교체 작동 과정에 들어간다.
배터리 교체 작동 과정에서, 상기 배터리 교체 제어 방법은: 상기 배터리 언로드 배터리 교체 장치가 위치한 제2의 기 설정된 대기 위치가 상기 기 설정된 배터리 교체 위치와 동일한 위치인 지를 판단하고:
동일한 위치일 시, 상기 배터리 언로드 배터리 교체 장치가 상기 전기 차량에서 상기 전력 부족 배터리를 꺼내도록 명령하고;
동일한 위치가 아닐 시, 상기 배터리 언로드 배터리 교체 장치를 상기 제2의 기 설정된 대기 위치에서 상기 기 설정된 배터리 교체 위치로 이동하도록 명령하고; 그리고, 상기 배터리 언로드 배터리 교체 장치가 상기 전기 차량에서 상기 전력 부족 배터리를 꺼내도록 명령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배터리 언로드 배터리 교체 장치가 배터리 언로드 명령어를 수행한 후, 상기 배터리 언로드 배터리 교체 장치가 상기 제2 배터리 보관 랙으로 이동하고 상기 전력 부족 배터리를 상기 빈 배터리 보관 창에 놓게 하도록 명령한다.
상기 배터리 언로드 배터리 교체 장치가 상기 기 설정된 배터리 교체 위치를 떠나거나 상기 기 설정된 배터리 교체 위치에서 제3의 거리 임계 값을 초과한 거리를 떠난 후, 상기 배터리 장착 배터리 교체 장치가 상기 기 설정된 배터리 교체 위치로 이동하도록 명령한다.
상기 배터리 장착 배터리 교체 장치가 상기 기 설정된 배터리 교체 위치로 이동 한 후, 상기 배터리 장착 배터리 교체 장치가 상기 장착 대기 배터리를 상기 전기 차량에 장착하도록 명령한다. 여기까지, 상기 전기 차량의 배터리 교체가 완료된다.
상기 배터리 장착 배터리 교체 장치가 상기 기 설정된 배터리 교체 위치를 떠나도록 명령한다.
본 실시예의 배터리 교체 제어 방법은 배터리 교체 준비 과정에서 부분적인 제어를 완료하여, 전기 차량이 차량 플랫폼으로 진입한 후의 배터리 교체 시간을 대폭 단축시키고, 배터리 효율을 향상시켰다.
실시예 32
도 13은 본 실시예의 배터리 교체 제어 방법을 예시하였다. 상기 배터리 교체 제어 방법은 이하 단계들을 포함하는데:
단계21', 배터리 교체 대기 전기 차량에 적용되는 배터리 모델을 결정한다.
단계 22', 적어도 하나의 배터리 보관 랙에서 제1조건에 부합되는 배터리 보관 랙을 선택하여 제1 배터리 보관 랙으로 한다. 그중에서, 상기 배터리 보관 랙은 여러 개의 배터리를 보관하는데 사용되는 배터리 보관 창을 구비하며, 상기 제1조건은 상기 배터리 모델의 배터리가 놓이도록 설정되고, 상기 전기 차량에 적용되는 배터리는 통상적으로 상기 전기 차량에서 사용하는 배터리 모델과 같다.
단계 23',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배터리 보관 랙에서 제2조건에 부합되는 배터리 보관 랙을 선택하여 제2 배터리 보관 랙으로 한다. 그중에서, 상기 제2조건은 빈 배터리 보관 창을 구비하도록 설정된다.
단계 24', 상기 적어도 두개의 배터리 교체 장치에서 적어도 하나의 배터리 교체 장치를 배터리 장착 배터리 교체 장치로 한다. 그중에서, 상기 배터리 장착 배터리 교체 장치는 장착 대기 배터리를 운송하는데 사용되며, 상기 장착 대기 배터리는 상기 제1 배터리 보관 랙에서 꺼낸 상기 전기 차량에 적용되며 상기 전기 차량에 설치 될 배터리이다.
단계 25', 상기 적어도 두개의 배터리 교체 장치에서 적어도 하나의 배터리 교체 장치를 배터리 언로드 배터리 교체 장치로 한다. 그중에서, 상기 배터리 언로드 배터리 교체 장치는 전력 부족 배터리를 운송하는데 사용되며, 상기 전력 부족 배터리는 상기 전기 차량에서 꺼낸 상기 빈 배터리 보관 창에 놓일 배터리이다.
상기 단계들의 순서는 상기 매 단계의 한가지 가능한 순서일 뿐,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매 단계는 다른 순서일 수도 있고, 예를 들면 미리 단계 23'를 수행하고, 그 다음 단계 25' ,21', 23' , 24'를 수행할수 있고, 또는, 미리 단계 21'를 수행하고, 그 다음 단계 22' ,24', 23', 25'를 수행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전기 차량에 적용되는 배터리 모델을 확인하여, 편리하게 제1 배터리 보관 랙을 선택하고 장착 대기 배터리를 수거하고; 차량의 배터리 교체 전체 과정에서, 두개의 배터리 교체 장치를 사용하는데, 각각 배터리 장착 배터리 교체 장치와 배터리 언로드 배터리 교체 장치이며, 배터리 장착 배터리 교체 장치의 이동 경로는 제1 배터리 보관 랙과 전기 차량사이에 있으며, 장착 대기 배터리의 운송을 구현하고, 배터리 언로드 배터리 교체 장치의 이동 경로는 전기 차량과 제2 배터리 보관 랙사이에 있으며, 전력 부족 배터리의 운송을 구현하며, 상기 두개장치는 각각 부동한 직책을 지니며, 공동으로 배터리 교체 임무를 완료하여, 전체 배터리 교체 시간은 단일 배터리 교체 장치를 사용하여 배터리 교체를 구현 하였을 시에 비교하여 적어도 절반의 시간을 단축하였고, 배터리 교체 속도와 효율을 향상시켰다.
실시예 33
본 실시예의 배터리 교체 제어 방법은 실시예 32의 기초상에서 더욱 개선 된 것이며, 본 실시예가 실시예 32에 대한 개선은 실시예 26이 실시예 25에 대한 개선과 거의 같으며, 부동한 점은, 상기 제1조건은 상기 전기 차량에 적용되며 완전히 충전 된 배터리가 놓이도록 설정될 수 있는 것이다.
또는, 전기 차량의 배터리 교체 확률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상기 제1 조건은 우선적으로 상기 전기 차량에 적용되며 완전히 충전 된 배터리가 놓이도록 설정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배터리 보관 랙이 상기 제1 조건에 부합되는 배터리 보관 랙을 구비하지 않을 시, 상기 제1 조건을 전기 차량에 적용되며 전력이 제일 높은 배터리가 놓이도록 설정되게 수정한다. 상응하게, 단계22'는 구체적으로: 상기 제1 조건은 기본적으로 상기 전기 차량에 적용 되며 완전히 충전 된 배터리가 놓이도록 설정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배터리 보관 랙에 기본적인 제1조건에 부합되는 배터리 보관 랙이 존재하는 지를 판단하고, 존재 할 시, 그중에서 하나를 선택하여 상기 제1 배터리 보관 랙으로 하고, 존재하지 않을 시:
상기 제1 조건을 상기 전기 차량에 적용되며 전력이 제일 높은 배터리가 놓이도록 설정되게 수정하고, 다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배터리 보관 랙에 현재 제1조건에 부합되는 배터리 보관 랙이 존재하는 지를 판단하고, 존재 할 시 그중에서 하나를 선택하여 상기 제1 배터리 보관 랙으로 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만약 그래도 상기 제1조건에 부합되는 배터리 보관 랙이 존재하지 않을 시 경고 신호를 발송하여, 상기 전기 차량의 배터리 교체를 할수 없음을 제시할 수 있다.
실시예 34
본 실시예의 배터리 교체 제어 방법은 실시예 32 또는 33의 기초상에서 더욱 개선 된 것이며, 본 실시예가 실시예 32 또는 33에 대한 개선은 실시예 27이 실시예 25 또는 26에 대한 개선과 거의 같으며, 부동한 점은, 상기 배터리 장착 배터리 교체 장치의 이동 루트 및 이동 시간을 단축시키고, 배터리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상기 제1조건에 부합되는 배터리 보관 랙에서 상기 전기 차량과 가장 가까운 거리에 위치한 하나의 배터리 보관 랙 또는 상기 전기 차량을 주차하는데 사용되는 차량 플랫폼과 가장 가까운 거리에 위치한 하나의 배터리 보관 랙을 상기 제1 배터리 보관 랙으로 하는데 있다.
마찬가지로, 상기 배터리 언로드 배터리 교체 장치의 이동 루트 및 이동 시간을 단축시키고, 배터리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상기 제2조건에 부합되는 배터리 보관 랙에서 상기 전기 차량과 가장 가까운 거리에 위치한 하나의 배터리 보관 랙 또는 상기 전기 차량을 주차하는데 사용되는 차량 플랫폼과 가장 가까운 거리에 위치한 하나의 배터리 보관 랙을 상기 제2 배터리 보관 랙으로 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상기 차량 플랫폼은 차량 배터리 교체 전용 플랫폼이거나 차량을 주차하고 배터리 교체에 용이한 다른 보통 플랫폼일 수 있다.
실시예 35
본 실시예의 배터리 교체 제어 방법은 실시예 32 또는 33의 기초상에서 더욱 개선 된 것이며, 본 실시예가 실시예 32또는 33에 대한 개선은 실시예 27이 실시예 25 또는 26에 대한 개선을 참고할 수 있다.
실시예 36
본 실시예의 배터리 교체 제어 방법은 실시예 32의 기초상에서 더욱 개선 된 것이며, 본 실시예가 실시예 32에 대한 개선은 실시예 29가 실시예 25에 대한 개선과 거의 같으며, 부동한 점은, 상기 배터리 언로드 배터리 교체 장치의 이동 루트 및 이동 시간을 단축시키고, 배터리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단계25'에서 상기 배터리 언로드 배터리 교체 장치는 우선적으로 상기 전기 차량과 가장 가까운 거리에 위치한 배터리 교체 장치 또는 상기 전기 차량이 주차되는데 사용되는 차량 플랫폼과의 거리가 가장 가까운 배터리 교체 장치를 선택한다. 구체적으로, 단계25'는: 제2구조를 갖는 단일 기능 배터리 교체 장치와 다기능 배터리 교체 장치를 선별하고, 매개 제2구조를 갖는 단일 기능 배터리 교체 장치와 다기능 배터리 교체 장치에서 상기 전기 차량까지의 거리 혹은 상기 차량 플랫폼까지의 거리를 각각 계산해내고, 거리가 가장 가까운 하나의 배터리 교체 장치를 선택하여 배터리 언로드 배터리 교체 장치로 배치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단계 25'에서 배터리 언로드 배터리 교체 장치를 배치 할 시, 우선적으로 상기 제2배터리 보관 랙과 바인딩 관계를 가지는 배터리 교체 장치를 선택하며, 또는 상기 제2배터리 보관 랙과 바인딩 관계를 가지며 상기 전기 차량과의 거리가 가장 가까운 배터리 교체 장치 또는 상기 전기 차량을 주차하는데 사용되는 차량 플랫폼과의 거리가 가장 가까운 배터리 교체 장치를 선택한다. 구체적으로, 단계 25'는: 상기 제2배터리 보관 랙을 선택해낸 후, 상기 제2배터리 보관 랙과 바인딩 관계를 가지며 제2구조를 갖는 단일 기능 배터리 교체 장치와 다기능 배터리 교체 장치를 선별하고, 그중에서 임의로 하나를 선택하여 배터리 언로드 배터리 교체 장치로 배치하거나, 또는 더 나아가 선별해낸 배터리 교체 장치에서 상기 전기 차량까지의 거리 혹은 상기 차량 플랫폼까지의 거리를 각각 계산해내고, 거리가 가장 가까운 하나의 배터리 교체 장치를 선택하여 배터리 언로드 배터리 교체 장치로 배치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 37
본 실시예의 배터리 교체 제어 방법은 실시예 32의 기초상에서 더욱 개선 된 것이며, 본 실시예가 실시예 13에 대한 개선은 실시예 30이 실시예 26에 대한 개선과 거의 같으며, 부동한 점은, 도 14에서 예시 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배터리 교체 과정은 전기 차량이 차량 플랫폼에 주차되기 전의 배터리 교체 준비 과정 및 전기 차량이 차량 플랫폼에 주차된 후의 배터리 교체 작동 과정으로 나뉜다.
배터리 교체 준비 과정에서, 상기 배터리 교체 제어 방법은: 미리 상기 제2 배터리 보관 랙을 선택하고, 그다음 배터리 언로드 배터리 교체 장치를 배치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그중에서, 상기 제2 배터리 보관 랙을 선택하는 방법은 실시예 33 내지 35를 참고할 수 있고, 상기 배터리 언로드 배터리 교체 장치를 배치하는 방법은 실시예 36을 참고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기 설정된 배터리 교체 위치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실시예 30을 참고 할 수 있다.
배터리 교체 작동 과정에서, 상기 배터리 교체 제어 방법은: 상기 전기 차량이 차량 플랫폼으로 주차되거나 상기 전기 차량의 번호판을 관찰할수 있을 시, 상기 전기 차량의 번호판을 스캔하고, 상기 번호판을 통하여 상기 전기 차량에 적용되는 배터리 모델을 결정하며, 그리하여 제1 배터리 보관 랙을 선택하고, 그다음 배터리 장착 배터리 교체 장치를 배치하고, 상기 배터리 장착 배터리 교체 장치가 상기 제1배터리 보관 랙에서 상기 장착 대기 배터리를 꺼내도록 명령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그중에서, 상기 제1배터리 보관 랙을 선택하는 방법은 실시예 33 내지 35를 참고할 수 있고, 배터리 장착 배터리 교체 장치를 배치하는 과정은 실시예 36을 참고할 수 있다.
상기 배터리 장착 배터리 교체 장치가 상기 제1배터리 보관 랙에서 상기 장착 대기 배터리를 꺼낸 후, 상기 배터리 장착 배터리 교체 장치가 미리 제1의 기 설정된 대기 위치로 주차되도록 명령하고, 상기 제1의 기 설정된 대기 위치는 상기 차량 플랫폼에서 제1 거리 임계 값을 초과하지 않는 거리에 있는 위치이다.
상기 배터리 언로드 배터리 교체 장치가 상기 기 설정된 배터리 교체 위치를 떠나거나 상기 기 설정된 배터리 교체 위치에서 제3의 거리 임계 값을 초과한 거리를 떠난 후, 상기 배터리 장착 배터리 교체 장치가 상기 기 설정된 배터리 교체 위치로 이동하도록 명령한다.
상기 배터리 장착 배터리 교체 장치가 상기 기 설정된 배터리 교체 위치로 이동한 후, 상기 배터리 장착 배터리 교체 장치가 상기 장착 대기 배터리를 상기 전기 차량에 장착하도록 명령한다. 여기까지, 상기 전기 차량의 배터리 교체가 완료된다.
마지막으로, 상기 배터리 장착 배터리 교체 장치가 상기 기 설정된 배터리 교체 위치를 떠나도록 명령한다.
실시예 38
본 실시예의 배터리 교체 제어 방법은 실시예 32의 기초상에서 더욱 개선 된 것이며, 주로 상기 배터리 교체 제어 방법의 배터리 교체 제어 과정에서 반영된다. 본 실시예의 배터리 교체 과정은 전기 차량이 차량 플랫폼에 주차되기 전의 배터리 교체 준비 과정 및 전기 차량이 차량 플랫폼에 주차된 후의 배터리 교체 작동 과정으로 나뉜다. 도 15에서 예시 한 바와 같이, 배터리 교체 준비 과정과 배터리 교체 작동 과정에서, 상기 배터리 교체 제어 방법이 포함한 단계는 실시예 37과 부동한 점이 있다.
배터리 교체 준비 과정에서, 상기 배터리 교체 제어 방법은: 미리 상기 제2 배터리 보관 랙을 선택하고, 상기 배터리 언로드 배터리 교체 장치를 배치하고 상기 배터리 언로드 배터리 교체 장치를 명령하여 일부분의 작동을 완료하는 단계를 포함하기에, 배터리 언로드 시간을 절약할 수 있다. 그중에서, 상기 제2 배터리 보관 랙을 선택하는 방법은 실시예 33 내지 35를 참고할 수 있고, 상기 배터리 언로드 배터리 교체 장치를 배치하는 방법은 실시예 36을 참고할 수 있다.
그중에서, 상기 배터리 언로드 배터리 교체 장치를 명령하여 일부분의 작동을 완료하는 단계는: 상기 기 설정된 배터리 교체 위치가 주차 가능한 상태인 지를 판단하고, 이로 제2의 기 설정된 대기 위치를 설정하고, 상기 배터리 언로드 배터리 교체 장치가 미리 제2의 기 설정된 대기 위치에 주차되도록 명령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그중에서, 상기 제2의 기 설정된 대기 위치는 상기 기 설정된 배터리 교체 위치와 연관되며, 상기 기 설정된 배터리 교체 위치와 같은 위치거나 상기 기 설정된 배터리 교체 위치 부근의 위치(상기 기 설정된 배터리 교체 위치에 대한 설명은 실시예 30을 참고 할 수 있다)일 수 있다.
상기 기 설정된 배터리 교체 위치가 주차 가능한 상태인 지를 판단하는 것은, 구체적으로 이하를 포함할수 있고:
이하 조건을 동시에 만족할 시, 상기 기 설정된 배터리 교체 위치는 주차 가능한 상태이고, 아니면 상기 기 설정된 배터리 교체 위치는 주차 불가능한 상태이고:
조건 (1): 상기 기 설정된 배터리 교체 위치는 빈 위치이며;
조건 (2): 상기 배터리 언로드 배터리 교체 장치가 상기 기 설정된 배터리 교체 위치로 이동할수 있게 하는 통로가 존재하며;
조건 (3): 상기 배터리 언로드 배터리 교체 장치가 상기 기 설정된 배터리 교체 위치로의 주차가 예측 될 시, 상기 배터리 언로드 배터리 교체 장치는 상기 차량 플랫폼으로 진입하는 전기 차량을 차단하지 않는다.
조건 (3)을 만족할수 있는 지는, 통상적으로 차량 플랫폼의 구조와 연관된다.
기 설정된 배터리 교체 위치가 주차 가능한 상태 일 시, 상기 제2의 기 설정된 대기 위치는 상기 기 설정된 배터리 교체 위치와 동일한 위치이다. 상기 기 설정된 배터리 교체 위치가 주차 불가능한 상태 일 시, 상기 제2의 기 설정된 대기 위치는 상기 기 설정된 배터리 교체 위치에서 제2의 거리 임계값을 초과하지 않는 거리에 있는 위치이고, 즉 상기 기 설정된 배터리 교체 위치 부근의 위치이다.
여기까지, 배터리 교체 준비 과정을 완료하였고, 상기 배터리 제어 시스템은 상기 전기 차량이 진입하고 상기 차량 플랫폼에 주차되기를 기다려, 배터리 교체 작동 과정에 들어간다.
배터리 교체 작동 과정에서, 상기 배터리 교체 제어 방법은: 상기 배터리 언로드 배터리 교체 장치가 위치한 제2의 기 설정된 대기 위치가 상기 기 설정된 배터리 교체 위치와 동일한 위치인 지를 판단하고:
동일한 위치일 시, 상기 배터리 언로드 배터리 교체 장치가 상기 전기 차량에서 상기 전력 부족 배터리를 꺼내도록 명령하고;
동일한 위치가 아닐 시, 상기 배터리 언로드 배터리 교체 장치를 상기 제2의 기 설정된 대기 위치에서 상기 기 설정된 배터리 교체 위치로 이동하도록 명령하고; 그리고, 상기 배터리 언로드 배터리 교체 장치가 상기 전기 차량에서 상기 전력 부족 배터리를 꺼내도록 명령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배터리 언로드 배터리 교체 장치가 상기 배터리 언로드 명령어를 수행한 후, 상기 배터리 언로드 배터리 교체 장치가 상기 제2 배터리 보관 랙으로 이동하고 상기 전력 부족 배터리를 상기 빈 배터리 보관 창에 놓게 하도록 명령한다.
배터리 교체 작동 과정에서, 상기 배터리 교체 제어 방법은: 상기 전기 차량이 차량 플랫폼으로 주차되거나 상기 전기 차량의 번호판을 관찰할수 있을 시, 상기 전기 차량의 번호판을 스캔하고, 상기 번호판을 통하여 상기 전기 차량에 적용되는 배터리 모델을 결정하며, 그리하여 제1 배터리 보관 랙을 선택하고, 그다음 배터리 장착 배터리 교체 장치를 배치하고, 상기 배터리 장착 배터리 교체 장치가 상기 제1배터리 보관 랙에서 상기 장착 대기 배터리를 꺼내도록 명령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상기 배터리 장착 배터리 교체 장치가 상기 제1배터리 보관 랙에서 상기 장착 대기 배터리를 꺼낸 후, 상기 배터리 장착 배터리 교체 장치가 미리 제1의 기 설정된 대기 위치로 주차되도록 명령하고, 상기 제1의 기 설정된 대기 위치는 상기 차량 플랫폼에서 제1 거리 임계 값을 초과하지 않는 거리에 있는 위치이다.
상기 배터리 언로드 배터리 교체 장치가 상기 기 설정된 배터리 교체 위치를 떠나거나 상기 기 설정된 배터리 교체 위치에서 제3의 거리 임계 값을 초과한 거리를 떠난 후, 상기 배터리 장착 배터리 교체 장치가 상기 기 설정된 배터리 교체 위치로 이동하도록 명령한다.
상기 배터리 장착 배터리 교체 장치가 상기 기 설정된 배터리 교체 위치로 이동 한 후, 상기 배터리 장착 배터리 교체 장치가 상기 장착 대기 배터리를 상기 전기 차량에 장착하도록 명령한다. 여기까지, 상기 전기 차량의 배터리 교체가 완료된다.
상기 배터리 장착 배터리 교체 장치가 상기 기 설정된 배터리 교체 위치를 떠나도록 명령한다.
본 실시예의 배터리 교체 제어 방법은 배터리 교체 준비 과정에서 부분적인 제어를 완료하여, 전기 차량이 차량 플랫폼으로 진입한 후의 배터리 교체 시간을 대폭 단축시키고, 배터리 효율을 향상시켰다.
이상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였지만, 본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이는 단지 예를 들어 설명한 것일 뿐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됨을 이해해야 한다. 본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본 발명의 원리 및 실질을 벗어나지 않는 전제 하에 이러한 실시형태에 대해 여러가지 변경 또는 수정을 진행할 수 있지만 이러한 변경 및 수정은 모두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한다.

Claims (94)

  1. 배터리 교체 제어 시스템으로서, 제어 유닛 및 배터리 교체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 유닛은 전기 차량에 적용되는 배터리 모델을 결정하는데 사용되며;
    상기 제어 유닛은 또한 적어도 하나의 배터리 보관 랙에서 제1조건에 부합되는 배터리 보관 랙을 선택하여 제1 배터리 보관 랙으로 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배터리 보관 랙에서 제2조건에 부합되는 배터리 보관 랙을 선택하여 제2 배터리 보관 랙으로 하는데 사용되며, 상기 배터리 보관 랙은 여러 개의 배터리를 보관하는데 사용되는 배터리 보관 창을 구비하며, 상기 제1조건은 상기 배터리 모델의 배터리가 놓이도록 설정되고, 상기 제2조건은 빈 배터리 보관 창을 구비하도록 설정되며;
    상기 배터리 교체 장치는 기 설정된 배터리 교체 위치로 이동하여, 상기 전기 차량에서 전력 부족 배터리를 꺼내고, 상기 전력 부족 배터리를 상기 제2 보관 랙에 운송하고 상기 빈 배터리 보관 창에 놓은 후, 상기 제1 배터리 보관 랙으로 이동하여, 상기 제1 배터리 보관 랙에서 상기 배터리 모델의 배터리를 꺼내고, 상기 배터리 모델의 배터리를 상기 기 설정된 배터리 교체 위치로 운송하고 상기 전기 차량에 장착하는데 사용되며, 상기 기 설정된 배터리 교체 위치는 상기 전기 차량에서 배터리를 꺼내고 장착하는데 적용되는 위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교체 제어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유닛은 또한 상기 배터리 보관 랙에 놓인 배터리의 전력을 모니터링하는데 사용되고;
    상기 제1 조건은 상기 배터리 모델이며 완전히 충전 된 배터리가 놓이도록 설정되고;
    또는, 상기 제1 조건은 바람직하게 상기 배터리 모델이며 완전히 충전 된 배터리가 놓이도록 설정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배터리 보관 랙이 상기 제1 조건에 부합되는 배터리 보관 랙을 구비하지 않을 시, 상기 제1 조건을 상기 배터리 모델이며 전력이 제일 높은 배터리가 놓이도록 설정되게 수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교체 제어 시스템.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유닛은 또한 상기 제1 조건에 부합되는 배터리 보관 랙이 하나를 초과할 시, 상기 제1 조건에 부합되는 배터리 보관 랙에서, 임의로 하나의 배터리 보관 랙을 선택하여 상기 제1 배터리 보관 랙으로 하고, 또는 상기 전기 차량과의 거리 혹은 상기 전기 차량을 주차하는데 사용되는 차량 플랫폼과의 거리가 제일 가까운 하나의 배터리 보관 랙을 선택하여 상기 제1 배터리 보관 랙으로 하고, 또는 상기 제2 배터리 보관 랙과 상기 전기 차량사이의 경로에 위치한 하나의 배터리 보관 랙을 선택하여 상기 제1 배터리 보관 랙으로 하고, 또는 상기 경로에 위치하며 상기 전기 차량 혹은 상기 차량 플랫폼과의 거리가 제일 가까운 하나의 배터리 보관 랙을 선택하여 상기 제1 배터리 보관 랙으로 하는데 사용되며;
    및/또는, 상기 제어 유닛은 또한 상기 제2 조건에 부합되는 배터리 보관 랙이 하나를 초과할 시, 상기 제2 조건에 부합되는 배터리 보관 랙에서, 임의로 하나의 배터리 보관 랙을 선택하여 상기 제2 배터리 보관 랙으로 하고, 또는 상기 전기 차량과의 거리 혹은 상기 차량 플랫폼과의 거리가 제일 가까운 하나의 배터리 보관 랙을 선택하여 상기 제2 배터리 보관 랙으로 하는데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교체 제어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보관 랙은 상기 전기 차량이 상기 차량 플랫폼으로 진입하는 방향에 따라 상기 차량 플랫폼의 양측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교체 제어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배터리 보관 랙에 다기능 배터리 보관 랙이 있을 시, 상기 다기능 배터리 보관 랙은 상기 제1조건과 제2조건에 전부 부합되는 배터리 보관 랙이고, 상기 제어 유닛은 또한:
    상기 다기능 배터리 보관 랙을 동시에 상기 제1 배터리 보관 랙 및 상기 제2 배터리 보관 랙으로 하는데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교체 제어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빈 배터리 보관 창은 또한 상기 전력 부족 배터리를 충전하는데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교체 제어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빈 배터리 보관 창은 배터리 충전 회로를 구비하고;
    상기 배터리 충전 회로는 고정적인 전력 매개 변수를 가지고, 상기 전력 매개 변수는 상기 배터리 모델과 매칭되고;
    또는, 상기 배터리 충전 회로는 조절 가능한 전력 매개 변수를 가지고, 상기 제어 유닛은 또한 상기 배터리 모델에 따라 상기 전력 매개 변수를 조절하여, 상기 전력 매개 변수가 상기 배터리 모델과 매칭되게 하는데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교체 제어 시스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유닛은 또한 상기 전기 차량의 번호판을 스캔하고, 상기 번호판을 통하여 상기 전기 차량에 적용되는 배터리 모델을 결정하는데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교체 제어 시스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교체 장치는 상기 제어 유닛의 제어를 받으며: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전기 차량이 차량 플랫폼에 주차되기 전에, 상기 배터리 교체 장치에 이하 명령어를 전송하고 상기 배터리 교체 장치에 의해 수행되며;
    주차 명령어는 상기 배터리 교체 장치가 미리 기 설정된 대기 위치로 주차하도록 명령하는데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교체 제어 시스템.
  10. 제9항에 있어서,
    기 설정된 배터리 교체 위치가 주차 가능한 상태 일 시, 상기 기 설정된 대기 위치는 상기 기 설정된 배터리 교체 위치와 동일한 위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교체 제어 시스템.
  11. 제9항에 있어서,
    기 설정된 배터리 교체 위치가 주차 불가능한 상태 일 시, 상기 기 설정된 대기 위치는 상기 기 설정된 배터리 교체 위치에서 제1의 거리 임계값을 초과하지 않는 거리에 있는 위치이고;
    상기 제어 유닛은 또한 상기 전기 차량이 상기 차량 플랫폼에 주차된 후, 상기 전력 부족 배터리 교체 장치에 미세 조절 명령어를 전송하고, 상기 미세 조절 명령어는 상기 배터리 교체 장치를 상기 기 설정된 대기 위치에서 상기 기 설정된 배터리 교체 위치로 이동하도록 명령하는데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교체 제어 시스템.
  12. 제10항 또는 제11항에 있어서,
    이하 조건을 동시에 만족할 시, 상기 기 설정된 배터리 교체 위치는 주차 가능한 상태이고, 아니면 상기 기 설정된 배터리 교체 위치는 주차 불가능한 상태이고:
    상기 기 설정된 배터리 교체 위치는 빈 위치이며;
    상기 배터리 교체 장치가 상기 기 설정된 배터리 교체 위치로 이동할수 있게 하는 통로가 존재하며;
    상기 배터리 교체 장치가 상기 기 설정된 배터리 교체 위치로의 주차가 예측 될 시, 상기 배터리 교체 장치는 상기 차량 플랫폼으로 진입하는 전기 차량을 차단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교체 제어 시스템.
  13. 제10항 또는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플랫폼의 구조에 따라 상기 기 설정된 배터리 교체 위치가 상기 차량 플랫폼의 아래 혹은 위에 위치하는지가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교체 제어 시스템.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교체 장치는 상기 제어 유닛의 제어를 받으며:
    상기 제어 유닛은 또한 상기 전기 차량이 차량 플랫폼에 주차된 후, 상기 전기 차량에 이하 명령어를 전송하고 상기 배터리 교체 장치에 의해 수행되며:
    배터리 언로드 명령어는 상기 배터리 교체 장치가 상기 전기 차량에서 상기 전력 부족 배터리를 꺼내도록 명령하는데 사용되며;
    제1이동 명령어는 상기 배터리 교체 장치가 상기 제2 배터리 보관 랙으로 이동하도록 명령하는데 사용되며;
    배터리 놓기 명령어는 상기 배터리 교체 장치가 상기 전력 부족 배터리를 상기 빈 배터리 보관 창에 놓도록 명령하는데 사용되며;
    제2 이동 명령어는 상기 배터리 교체 장치가 상기 제1 배터리 보관 랙으로 이동하도록 명령하는데 사용되며;
    배터리 꺼내기 명령어는 상기 배터리 교체 장치가 상기 제1배터리 보관 랙에서 상기 배터리 모델의 배터리를 꺼내도록 명령하는데 사용되며;
    제3 이동 명령어는 상기 배터리 교체 장치가 상기 기 설정된 배터리 교체 위치로 이동하도록 명령하는데 사용되며;
    배터리 장착 명령어는 상기 배터리 교체 장치가 상기 배터리 모델의 배터리를 상기 전기 차량에 장착하도록 명령하는데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교체 제어 시스템.
  15. 배터리 교체 제어 시스템으로서, 제어 유닛 및 적어도 두개의 배터리 교체 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 유닛은 적어도 하나의 배터리 보관 랙에서 제1조건에 부합되는 배터리 보관 랙을 선택하여 제1 배터리 보관 랙으로 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배터리 보관 랙에서 제2조건에 부합되는 배터리 보관 랙을 선택하여 제2 배터리 보관 랙으로 하는데 사용되며, 상기 배터리 보관 랙은 여러 개의 배터리를 보관하는데 사용되는 배터리 보관 창을 구비하며, 상기 제1조건은 전기 차량에 적용되는 배터리가 놓이도록 설정되고, 상기 제2조건은 빈 배터리 보관 창을 구비하도록 설정되며;
    상기 제어 유닛은 또한 상기 적어도 두개의 배터리 교체 장치에서 적어도 하나의 배터리 교체 장치를 배터리 장착 배터리 교체 장치로 배치하고, 상기 적어도 두개의 배터리 교체 장치에서 적어도 하나의 배터리 교체 장치를 배터리 언로드 배터리 교체 장치로 배치하는데 사용되며;
    상기 배터리 장착 배터리 교체 장치는 장착 대기 배터리를 운송하는데 사용되며, 상기 장착 대기 배터리는 상기 제1 배터리 보관 랙에서 꺼낸 상기 전기 차량에 적용되며 상기 전기 차량에 설치 될 배터리이며;
    상기 배터리 언로드 배터리 교체 장치는 전력 부족 배터리를 운송하는데 사용되며, 상기 전력 부족 배터리는 상기 전기 차량에서 꺼내어 상기 빈 배터리 보관 창에 놓일 배터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교체 제어 시스템.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유닛은 또한 상기 배터리 보관 랙에 놓인 배터리의 전력을 모니터링하는데 사용되고;
    상기 제1 조건은 전기 차량에 적용되며 완전히 충전 된 배터리가 놓이도록 설정되고;
    또는, 상기 제1 조건은 바람직하게 상기 전기 차량에 적용되며 완전히 충전 된 배터리가 놓이도록 설정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배터리 보관 랙이 상기 제1 조건에 부합되는 배터리 보관 랙을 구비하지 않을 시, 상기 제1 조건을 전기 차량에 적용되며 전력이 제일 높은 배터리가 놓이도록 설정되게 수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교체 제어 시스템.
  17. 제15항 또는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유닛은 또한 상기 제1 조건에 부합되는 배터리 보관 랙이 하나를 초과할 시, 상기 제1 조건에 부합되는 배터리 보관 랙에서, 임의로 하나의 배터리 보관 랙을 선택하여 상기 제1 배터리 보관 랙으로 하고, 또는 상기 전기 차량과의 거리 혹은 상기 전기 차량을 주차하는데 사용되는 차량 플랫폼과의 거리가 제일 가까운 하나의 배터리 보관 랙을 선택하여 상기 제1 배터리 보관 랙으로 하는데 사용되며;
    및/또는, 상기 제어 유닛은 또한 상기 제2 조건에 부합되는 배터리 보관 랙이 하나를 초과할 시, 상기 제2 조건에 부합되는 배터리 보관 랙에서, 임의로 하나의 배터리 보관 랙을 선택하여 상기 제2 배터리 보관 랙으로 하고, 또는 상기 전기 차량과의 거리 혹은 상기 전기 차량을 주차하는데 사용되는 차량 플랫폼과의 거리가 제일 가까운 하나의 배터리 보관 랙을 선택하여 상기 제2 배터리 보관 랙으로 하는데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교체 제어 시스템.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보관 랙은 상기 전기 차량이 상기 차량 플랫폼으로 진입하는 방향에 따라 상기 차량 플랫폼의 양측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교체 제어 시스템.
  19.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배터리 보관 랙에 다기능 배터리 보관 랙이 있을 시, 상기 다기능 배터리 보관 랙은 상기 제1조건과 제2조건에 전부 부합되는 배터리 보관 랙이고, 상기 제어 유닛은 또한:
    상기 다기능 배터리 보관 랙을 동시에 상기 제1 배터리 보관 랙 및 상기 제2 배터리 보관 랙으로 하거나;
    또는, 상기 다기능 배터리 보관 랙을 상기 제1 배터리 보관 랙 및 상기 제2 배터리 보관 랙 중 임의의 하나로 하거나;
    또는, 이하 임의의 하나의 조건을 상기 다기능 배터리 보관 랙을 제1 배터리 보관 랙으로 하는데 필요한 조건으로 하거나:
    나머지 배터리 보관 랙이 전부 상기 제1조건에 부합되지 않는 조건;
    나머지 배터리 보관 랙에서, 상기 제1조건에 부합되는 배터리 보관 랙의 개수가 상기 제2조건에 부합되는 배터리 보관 랙의 개수보다 적은 조건;
    나머지 배터리 보관 랙에서, 상기 제1조건에 부합되는 배터리 보관 랙의 개수가 상기 제2조건에 부합되는 배터리 보관 랙의 개수보다 적고, 두 개수사이의 차이의 절대 값이 제1 차이 임계 값보다 적은 조건;
    나머지 배터리 보관 랙에서, 상기 제1조건에 부합되는 배터리 보관 랙의 개수가 제1 개수 임계 값보다 적은조건;
    또는, 이하 임의의 하나의 조건을 상기 다기능 배터리 보관 랙을 제2 배터리 보관 랙으로 하는데 필요한 조건으로 하는데 사용된다:
    나머지 배터리 보관 랙이 전부 상기 제2조건에 부합되지 않는 조건;
    나머지 배터리 보관 랙에서, 상기 제2조건에 부합되는 배터리 보관 랙의 개수가 상기 제1조건에 부합되는 배터리 보관 랙의 개수보다 적은 조건;
    나머지 배터리 보관 랙에서, 상기 제2조건에 부합되는 배터리 보관 랙의 개수가 상기 제1조건에 부합되는 배터리 보관 랙의 개수보다 적고, 두 개수사이의 차이의 절대 값이 제2 차이 임계 값보다 적은 조건;
    나머지 배터리 보관 랙에서, 상기 제2조건에 부합되는 배터리 보관 랙의 개수가 제2 개수 임계 값보다 적은 조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교체 제어 시스템.
  20.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보관 창은 또한 배터리를 충전하는데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교체 제어 시스템.
  21.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두개의 배터리 교체 장치는 전부 단일 기능 배터리 교체 장치이고;
    또는, 전부 다기능 배터리 교체 장치이고;
    또는, 일부는 단일 기능 배터리 교체 장치이고, 일부는 다기능 배터리 교체 장치이고;
    상기 단일 기능 배터리 교체 장치는 제1구조를 가지고 배터리 장착 배터리 교체 장치로만 배치가능하거나, 또는 제2구조를 가지고 배터리 언로드 배터리 교체 장치로만 배치가능하고;
    상기 다기능 배터리 교체 장치는 제1구조와 제2구조를 겸비하여 배터리 언로드 배터리 교체 장치와 배터리 장착 배터리 교체 장치중의 임의의 하나로 배치될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교체 제어 시스템.
  22.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장착 배터리 교체 장치로 배치되는 배터리 교체 장치는 상기 제1 배터리 보관 랙과의 거리가 가장 가까운 배터리 교체 장치이며;
    또는, 상기 배터리 언로드 배터리 교체 장치로 배치되는 배터리 교체 장치는 상기 전기 차량 혹은 상기 전기 차량을 주차하는데 사용되는 차량 플랫폼과의 거리가 가장 가까운 배터리 교체 장치이며;
    또는, 매개 상기 배터리 보관 랙과 적어도 하나의 상기 배터리 교체 장치는 기 설정된 바인딩 관계를 가지며; 상기 배터리 장착 배터리 교체 장치로 배치되는 배터리 교체 장치는 상기 제1 배터리 보관 랙과 바인딩 관계를 가지는 배터리 교체 장치이며, 또는 상기 제1 배터리 보관 랙과 바인딩 관계를 가지고 상기 제1 배터리 보관 랙과의 거리가 가장 가까운 배터리 교체 장치이며; 상기 배터리 언로드 배터리 교체 장치로 배치되는 배터리 교체 장치는 상기 제2 배터리 보관 랙과 바인딩 관계를 가지는 배터리 교체 장치이며, 또는 상기 제2 배터리 보관 랙과 바인딩 관계를 가지고 상기 전기 차량 혹은 상기 전기 차량을 주차하는데 사용되는 차량 플랫폼과의 거리가 가장 가까운 배터리 교체 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교체 제어 시스템.
  23.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 차량이 차량 플랫폼에 주차되기 전, 상기 전기 차량에 적용되는 배터리 모델은 예측 가능한 것이고:
    상기 제어 유닛은 또한 상기 전기 차량이 차량 플랫폼에 주차되기 전,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배터리 보관 랙에서 제1조건에 부합되는 배터리 보관 랙을 제1 배터리 보관 랙으로 하고, 상기 배터리 장착 배터리 교체 장치에 배터리 꺼내기 명령어를 보내는데 사용되며, 상기 배터리 꺼내기 명령어는 상기 배터리 장착 배터리 교체 장치가 상기 제1 배터리 보관 랙에서 상기 장착 대기 배터리를 꺼내도록 명령하는데 사용되며;
    상기 배터리 장착 배터리 교체 장치는 또한 상기 배터리 꺼내기 명령어를 수행하는데 사용되며;
    상기 제어 유닛은 또한 상기 배터리 장착 배터리 교체 장치가 상기 배터리 꺼내기 명령어를 수행한 후, 상기 배터리 장착 배터리 교체 장치에 제1 이동 명령어를 보내는데 사용되며, 상기 제1 이동 명령어는 상기 배터리 장착 배터리 교체 장치가 미리 제1의 기 설정된 대기 위치로 주차되도록 명령하는데 사용되며, 상기 제1의 기 설정된 대기 위치는 상기 차량 플랫폼에서 제1 거리 임계 값을 초과하지 않는 거리에 있는 위치이며;
    상기 배터리 장착 배터리 교체 장치는 또한 상기 제1 이동 명령어를 수행하는데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교체 제어 시스템.
  24. 제23항에 있어서,
    이하 방식을 통하여 상기 전기 차량에 적용되는 배터리 모델을 예측하되: 상기 차량 플랫폼은 상기 모델의 배터리를 적용하는 전기 차량의 주차만 허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교체 제어 시스템.
  25.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유닛은 또한 상기 전기 차량이 차량 플랫폼에 주차되기 전, 상기 배터리 언로드 배터리 교체 장치에 제2 이동 명령어를 전송하고, 상기 제2 이동 명령어는 상기 배터리 언로드 배터리 교체 장치가 미리 제2의 기 설정된 대기 위치에 주차되도록 명령하는데 사용되며; 상기 배터리 언로드 배터리 교체 장치는 상기 제2 이동 명령어를 수행하는데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교체 제어 시스템.
  26. 제25항에 있어서,
    기 설정된 배터리 교체 위치가 주차 가능한 상태일 시, 상기 제2의 기 설정된 대기 위치는 상기 기 설정된 배터리 교체 위치와 동일한 위치이고, 상기 기 설정된 배터리 교체 위치는 상기 차량 플랫폼에 주차된 전기 차량에서 배터리를 꺼내기 위한 위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교체 제어 시스템.
  27. 제25항에 있어서,
    기 설정된 배터리 교체 위치가 주차 불가능한 상태일 시, 상기 제2의 기 설정된 대기 위치는 상기 기 설정된 배터리 교체 위치에서 제2의 거리 임계값을 초과하지 않는 거리의 위치이며, 상기 기 설정된 배터리 교체 위치는 상기 차량 플랫폼에 주차된 전기 차량에서 배터리를 꺼내기 위한 위치이며;
    상기 제어 유닛은 또한 상기 전기 차량이 상기 차량 플랫폼에 주차된 후, 상기 배터리 언로드 배터리 교체 장치에 미세 조절 명령어를 전송하고, 상기 미세 조절 명령어는 상기 배터리 언로드 배터리 교체 장치를 상기 제2의 기 설정된 대기 위치에서 상기 기 설정된 배터리 교체 위치로 이동하도록 명령하는데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교체 제어 시스템.
  28. 제26항 또는 제27항에 있어서,
    이하 조건을 동시에 만족할 시, 상기 기 설정된 배터리 교체 위치는 주차 가능한 상태이고, 아니면 상기 기 설정된 배터리 교체 위치는 주차 불가능한 상태이고:
    상기 기 설정된 배터리 교체 위치는 빈 위치이며;
    상기 배터리 언로드 배터리 교체 장치가 상기 기 설정된 배터리 교체 위치로 이동할수 있게 하는 통로가 존재하며;
    상기 배터리 언로드 배터리 교체 장치가 상기 기 설정된 배터리 교체 위치로의 주차가 예측 될 시, 상기 배터리 언로드 배터리 교체 장치는 상기 차량 플랫폼으로 진입하는 전기 차량을 차단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교체 제어 시스템.
  29. 제26항 또는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플랫폼의 구조에 따라 상기 기 설정된 배터리 교체 위치가 상기 차량 플랫폼의 아래 혹은 위에 위치하는지가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교체 제어 시스템.
  30.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유닛은 또한 상기 전기 차량이 차량 플랫폼에 주차된 후, 상기 배터리 언로드 배터리 교체 장치에 제3 이동 명령어를 전송하는데 사용되며, 상기 제3 이동 명령어는 상기 배터리 언로드 배터리 교체 장치가 이동하여 기 설정된 배터리 교체 위치로 주차되도록 명령하는데 사용되고, 상기 기 설정된 배터리 교체 위치는 상기 차량 플랫폼에 주차된 전기 차량에서 배터리를 꺼내기 위한 위치이며; 상기 배터리 언로드 배터리 교체 장치는 상기 제3 이동 명령어를 수행하는데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교체 제어 시스템.
  31. 제26항, 제27항, 제3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유닛은 또한 상기 전기 차량이 차량 플랫폼에 주차되고 상기 배터리 언로드 배터리 교체 장치가 상기 기 설정된 배터리 교체 위치에 주차된 후, 상기 배터리 언로드 배터리 교체 장치에 배터리 언로드 명령어를 보내는데 사용되며, 상기 배터리 언로드 명령어는 상기 배터리 언로드 배터리 교체 장치가 상기 전기 차량에서 상기 전력 부족 배터리를 꺼내도록 명령하는데 사용되며;
    상기 배터리 언로드 배터리 교체 장치는 또한 상기 배터리 언로드 명령어를 수행하는데 사용되며;
    상기 제어 유닛은 또한 상기 배터리 언로드 배터리 교체 장치가 상기 배터리 언로드 명령어를 수행한 후, 상기 배터리 언로드 배터리 교체 장치에 제4 이동 명령어를 전송하는데 사용되며, 상기 제4 이동 명령어는 상기 배터리 언로드 배터리 교체 장치가 상기 제2 배터리 보관 랙으로 이동하고 상기 전력 부족 배터리를 상기 빈 배터리 보관 창에 놓게 하도록 명령하는데 사용되며;
    상기 배터리 언로드 배터리 교체 장치는 또한 상기 제4 이동 명령어를 수행하는데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교체 제어 시스템.
  32. 제26항, 제27항, 제3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유닛은 또한 상기 배터리 언로드 배터리 교체 장치가 상기 기 설정된 배터리 교체 위치를 떠나거나 상기 기 설정된 배터리 교체 위치에서 제3의 거리 임계 값을 초과한 거리를 떠난 후, 상기 배터리 장착 배터리 교체 장치에 제5 이동 명령어를 전송하는데 사용되고, 상기 제5 이동 명령어는 상기 배터리 장착 배터리 교체 장치가 상기 기 설정된 배터리 교체 위치로 이동하도록 명령하는데 사용되며;
    상기 배터리 장착 배터리 교체 장치는 또한 상기 제5 이동 명령어를 수행하는데 사용되며;
    상기 제어 유닛은 또한 상기 배터리 장착 배터리 교체 장치가 상기 제5 이동 명령어를 수행 한 후, 상기 배터리 장착 배터리 교체 장치에 배터리 장착 명령어를 전송하는데 사용되며, 상기 배터리 장착 명령어는 상기 배터리 장착 배터리 교체 장치가 상기 장착 대기 배터리를 상기 전기 차량에 장착하도록 명령하는데 사용되며;
    상기 배터리 장착 배터리 교체 장치는 또한 상기 배터리 장착 명령어를 수행하는데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교체 제어 시스템.
  33. 배터리 교체 제어 시스템으로서, 제어 유닛 및 적어도 두개의 배터리 교체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 유닛은 배터리 교체 대기 전기 차량에 적용되는 배터리 모델을 결정하는데 사용되며;
    상기 제어 유닛은 또한 적어도 하나의 배터리 보관 랙에서 제1조건에 부합되는 배터리 보관 랙을 선택하여 제1 배터리 보관 랙으로 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배터리 보관 랙에서 제2조건에 부합되는 배터리 보관 랙을 선택하여 제2 배터리 보관 랙으로 하는데 사용되며, 상기 배터리 보관 랙은 여러 개의 배터리를 보관하는데 사용되는 배터리 보관 창을 구비하며, 상기 제1조건은 상기 배터리 모델의 배터리가 놓이도록 설정되고, 상기 제2조건은 빈 배터리 보관 창을 구비하도록 설정되며;
    상기 제어 유닛은 또한 상기 적어도 두개의 배터리 교체 장치에서 적어도 하나의 배터리 교체 장치를 배터리 장착 배터리 교체 장치로 배치하고, 상기 적어도 두개의 배터리 교체 장치에서 적어도 하나의 배터리 교체 장치를 배터리 언로드 배터리 교체 장치로 배치하는데 사용되며;
    상기 배터리 장착 배터리 교체 장치는 또한 장착 대기 배터리를 운송하는데 사용되며, 상기 장착 대기 배터리는 상기 제1 배터리 보관 랙에서 꺼낸 상기 배터리 모델이고 상기 전기 차량에 설치 될 배터리이며;
    상기 배터리 언로드 배터리 교체 장치는 전력 부족 배터리를 운송하는데 사용되며, 상기 전력 부족 배터리는 상기 전기 차량에서 꺼낸 상기 빈 배터리 보관 창에 놓일 배터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교체 제어 시스템.
  34.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유닛은 또한 상기 배터리 보관 랙에 놓인 배터리의 전력을 모니터링하는데 사용되고;
    상기 제1 조건은 상기 배터리 모델이며 완전히 충전 된 배터리가 놓이도록 설정되고;
    또는, 상기 제1 조건은 바람직하게 상기 배터리 모델이며 완전히 충전 된 배터리가 놓이도록 설정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배터리 보관 랙이 상기 제1 조건에 부합되는 배터리 보관 랙을 구비하지 않을 시, 상기 제1 조건을 상기 배터리 모델이며 전력이 제일 높은 배터리가 놓이도록 설정되게 수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교체 제어 시스템.
  35. 제33항 또는 제3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유닛은 또한 상기 제1 조건에 부합되는 배터리 보관 랙이 하나를 초과할 시, 상기 제1 조건에 부합되는 배터리 보관 랙에서, 임의로 하나의 배터리 보관 랙을 선택하여 상기 제1 배터리 보관 랙으로 하고, 또는 상기 전기 차량과의 거리 혹은 상기 전기 차량을 주차하는데 사용되는 차량 플랫폼과의 거리가 제일 가까운 하나의 배터리 보관 랙을 선택하여 상기 제1 배터리 보관 랙으로 하는데 사용되며;
    및/또는, 상기 제어 유닛은 또한 상기 제2 조건에 부합되는 배터리 보관 랙이 하나를 초과할 시, 상기 제2 조건에 부합되는 배터리 보관 랙에서, 임의로 하나의 배터리 보관 랙을 선택하여 상기 제2 배터리 보관 랙으로 하고, 또는 상기 전기 차량과의 거리 혹은 상기 차량 플랫폼과의 거리가 제일 가까운 하나의 배터리 보관 랙을 선택하여 상기 제2 배터리 보관 랙으로 하는데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교체 제어 시스템.
  36. 제35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보관 랙은 상기 전기 차량이 상기 차량 플랫폼으로 진입하는 방향에 따라 상기 차량 플랫폼의 양측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교체 제어 시스템.
  37.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배터리 보관 랙에 다기능 배터리 보관 랙이 있을 시, 상기 다기능 배터리 보관 랙은 상기 제1조건과 제2조건에 전부 부합되는 배터리 보관 랙이고, 상기 제어 유닛은 또한:
    상기 다기능 배터리 보관 랙을 동시에 상기 제1 배터리 보관 랙 및 상기 제2 배터리 보관 랙으로 하거나;
    또는, 상기 다기능 배터리 보관 랙을 상기 제1 배터리 보관 랙 및 상기 제2 배터리 보관 랙 중 임의의 하나로 하거나;
    또는, 이하 임의의 하나의 조건을 상기 다기능 배터리 보관 랙을 제1 배터리 보관 랙으로 하는데 필요한 조건으로 하거나:
    나머지 배터리 보관 랙이 전부 상기 제1조건에 부합되지 않는 조건;
    나머지 배터리 보관 랙에서, 상기 제1조건에 부합되는 배터리 보관 랙의 개수가 상기 제2조건에 부합되는 배터리 보관 랙의 개수보다 적은 조건;
    나머지 배터리 보관 랙에서, 상기 제1조건에 부합되는 배터리 보관 랙의 개수가 상기 제2조건에 부합되는 배터리 보관 랙의 개수보다 적고, 두 개수사이의 차이의 절대 값이 제1 차이 임계 값보다 적은 조건;
    나머지 배터리 보관 랙에서, 상기 제1조건에 부합되는 배터리 보관 랙의 개수가 제1 개수 임계 값보다 적은 조건;
    또는, 이하 임의의 하나의 조건을 상기 다기능 배터리 보관 랙을 제2 배터리 보관 랙으로 하는데 필요한 조건으로 하는데 사용된다:
    나머지 배터리 보관 랙이 전부 상기 제2조건에 부합되지 않는 조건;
    나머지 배터리 보관 랙에서, 상기 제2조건에 부합되는 배터리 보관 랙의 개수가 상기 제1조건에 부합되는 배터리 보관 랙의 개수보다 적은 조건;
    나머지 배터리 보관 랙에서, 상기 제2조건에 부합되는 배터리 보관 랙의 개수가 상기 제1조건에 부합되는 배터리 보관 랙의 개수보다 적고, 두 개수사이의 차이의 절대 값이 제2 차이 임계 값보다 적은 조건;
    나머지 배터리 보관 랙에서, 상기 제2조건에 부합되는 배터리 보관 랙의 개수가 제2 개수 임계 값보다 적은 조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교체 제어 시스템.
  38.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보관 창은 또한 배터리를 충전하는데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교체 제어 시스템.
  39.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두개의 배터리 교체 장치는 전부 단일 기능 배터리 교체 장치이고;
    또는, 전부 다기능 배터리 교체 장치이고;
    또는, 일부는 단일 기능 배터리 교체 장치이고, 일부는 다기능 배터리 교체 장치이고;
    상기 단일 기능 배터리 교체 장치는 제1구조를 가지고 배터리 장착 배터리 교체 장치로만 배치가능하거나, 또는 제2구조를 가지고 배터리 언로드 배터리 교체 장치로만 배치가능하고;
    상기 다기능 배터리 교체 장치는 제1구조와 제2구조를 겸비하여 배터리 언로드 배터리 교체 장치와 배터리 장착 배터리 교체 장치 중의 임의의 하나로 배치될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교체 제어 시스템.
  40.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장착 배터리 교체 장치로 배치되는 배터리 교체 장치는 상기 제1 배터리 보관 랙과의 거리가 가장 가까운 배터리 교체 장치이며;
    또는, 상기 배터리 언로드 배터리 교체 장치로 배치되는 배터리 교체 장치는 상기 전기 차량 혹은 상기 전기 차량을 주차하는데 사용되는 차량 플랫폼과의 거리가 가장 가까운 배터리 교체 장치이며;
    또는, 매개 상기 배터리 보관 랙과 적어도 하나의 상기 배터리 교체 장치는 기 설정된 바인딩 관계를 가지며; 상기 배터리 장착 배터리 교체 장치로 배치되는 배터리 교체 장치는 상기 제1 배터리 보관 랙과 바인딩 관계를 가지는 배터리 교체 장치이며, 또는 상기 제1 배터리 보관 랙과 바인딩 관계를 가지고 상기 제1 배터리 보관 랙과의 거리가 가장 가까운 배터리 교체 장치이며; 상기 배터리 언로드 배터리 교체 장치로 배치되는 배터리 교체 장치는 상기 제2 배터리 보관 랙과 바인딩 관계를 가지는 배터리 교체 장치이며, 또는 상기 제2 배터리 보관 랙과 바인딩 관계를 가지고 상기 전기 차량 혹은 상기 전기 차량을 주차하는데 사용되는 차량 플랫폼과의 거리가 가장 가까운 배터리 교체 장치인 것을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교체 제어 시스템.
  41.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유닛은 또한 상기 제1 배터리 보관 랙을 선택 한 후, 상기 배터리 장착 배터리 교체 장치에 배터리 꺼내기 명령어를 전송하는데 사용되며, 상기 배터리 꺼내기 명령어는 상기 배터리 장착 배터리 교체 장치가 상기 제1 배터리 보관 랙에서 상기 장착 대기 배터리를 꺼내도록 명령하는데 사용되며;
    상기 배터리 장착 배터리 교체 장치는 또한 상기 배터리 꺼내기 명령어를 수행하는데 사용되며;
    상기 제어 유닛은 또한 상기 배터리 장착 배터리 교체 장치가 상기 배터리 꺼내기 명령어를 수행한 후, 상기 배터리 장착 배터리 교체 장치에 제1 이동 명령어를 전송하는데 사용되며, 상기 제1 이동 명령어는 상기 배터리 장착 배터리 교체 장치가 미리 제1의 기 설정된 대기 위치로 주차되도록 명령하는데 사용되며, 상기 제1의 기 설정된 대기 위치는 상기 차량 플랫폼에서 제1 거리 임계 값을 초과하지 않는 거리에 있는 위치이며;
    상기 배터리 장착 배터리 교체 장치는 또한 상기 제1 이동 명령어를 수행하는데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교체 제어 시스템.
  42.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유닛은 또한 상기 전기 차량의 번호판을 스캔하고, 상기 번호판을 통하여 상기 전기 차량에 적용되는 배터리 모델을 결정하는데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교체 제어 시스템.
  43.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유닛은 또한 상기 전기 차량이 차량 플랫폼에 주차되기 전, 상기 배터리 언로드 배터리 교체 장치에 제2 이동 명령어를 전송하고, 상기 제2 이동 명령어는 상기 배터리 언로드 배터리 교체 장치가 미리 제2의 기 설정된 대기 위치에 주차되도록 명령하는데 사용되며; 상기 배터리 언로드 배터리 교체 장치는 상기 제2 이동 명령어를 수행하는데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교체 제어 시스템.
  44. 제43항에 있어서,
    기 설정된 배터리 교체 위치가 주차 가능한 상태일 시, 상기 제2의 기 설정된 대기 위치는 상기 기 설정된 배터리 교체 위치와 동일한 위치이고, 상기 기 설정된 배터리 교체 위치는 상기 차량 플랫폼에 주차된 전기 차량에서 배터리를 꺼내기 위한 위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교체 제어 시스템.
  45. 제43항에 있어서,
    기 설정된 배터리 교체 위치가 주차 불가능한 상태일 시, 상기 제2의 기 설정된 대기 위치는 상기 기 설정된 배터리 교체 위치에서 제2의 거리 임계값을 초과하지 않는 거리의 위치이며, 상기 기 설정된 배터리 교체 위치는 상기 차량 플랫폼에 주차된 전기 차량에서 배터리를 꺼내기 위한 위치이며;
    상기 제어 유닛은 또한 상기 전기 차량이 상기 차량 플랫폼에 주차된 후, 상기 배터리 언로드 배터리 교체 장치에 미세 조절 명령어를 전송하고, 상기 미세 조절 명령어는 상기 배터리 언로드 배터리 교체 장치를 상기 제2의 기 설정된 대기 위치에서 상기 기 설정된 배터리 교체 위치로 이동하도록 명령하는데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교체 제어 시스템.
  46. 제44항 또는 제45항에 있어서,
    이하 조건을 동시에 만족할 시, 상기 기 설정된 배터리 교체 위치는 주차 가능한 상태이고, 아니면 상기 기 설정된 배터리 교체 위치는 주차 불가능한 상태이고:
    상기 기 설정된 배터리 교체 위치는 빈 위치이며;
    상기 배터리 언로드 배터리 교체 장치가 상기 기 설정된 배터리 교체 위치로 이동할수 있게 하는 통로가 존재하며;
    상기 배터리 언로드 배터리 교체 장치가 상기 기 설정된 배터리 교체 위치로의 주차가 예측 될 시, 상기 배터리 언로드 배터리 교체 장치는 상기 차량 플랫폼으로 진입하는 전기 차량을 차단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교체 제어 시스템.
  47. 제44항 또는 제45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플랫폼의 구조에 따라 상기 기 설정된 배터리 교체 위치가 상기 차량 플랫폼의 아래 혹은 위에 위치하는지가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교체 제어 시스템.
  48.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유닛은 또한 상기 전기 차량이 차량 플랫폼에 주차된 후, 상기 배터리 언로드 배터리 교체 장치에 제3 이동 명령어를 전송하는데 사용되며, 상기 제3 이동 명령어는 상기 배터리 언로드 배터리 교체 장치가 이동하여 기 설정된 배터리 교체 위치로 주차되도록 명령하는데 사용되고, 상기 기 설정된 배터리 교체 위치는 상기 차량 플랫폼에 주차된 전기 차량에서 배터리를 꺼내기 위한 위치이며; 상기 배터리 언로드 배터리 교체 장치는 상기 제3 이동 명령어를 수행하는데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교체 제어 시스템.
  49. 제44항, 제45항, 제4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유닛은 또한 상기 전기 차량이 차량 플랫폼에 주차되고 상기 배터리 언로드 배터리 교체 장치가 상기 기 설정된 배터리 교체 위치에 주차된 후, 상기 배터리 언로드 배터리 교체 장치에 배터리 언로드 명령어를 전송하는데 사용되며, 상기 배터리 언로드 명령어는 상기 배터리 언로드 배터리 교체 장치가 상기 전기 차량에서 상기 전력 부족 배터리를 꺼내도록 명령하는데 사용되며;
    상기 배터리 언로드 배터리 교체 장치는 또한 상기 배터리 언로드 명령어를 수행하는데 사용되며;
    상기 제어 유닛은 또한 상기 배터리 언로드 배터리 교체 장치가 상기 배터리 언로드 명령어를 수행 한 후, 상기 배터리 언로드 배터리 교체 장치에 제4 이동 명령어를 보내는데 사용되며, 상기 제4 이동 명령어는 상기 배터리 언로드 배터리 교체 장치가 상기 제2 배터리 보관 랙으로 이동하고 상기 전력 부족 배터리를 상기 빈 배터리 보관 창에 놓게 하도록 명령하는데 사용되며;
    상기 배터리 언로드 배터리 교체 장치는 또한 상기 제4 이동 명령어를 수행하는데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교체 제어 시스템.
  50. 제44항, 제45항, 제4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유닛은 또한 상기 배터리 언로드 배터리 교체 장치가 상기 기 설정된 배터리 교체 위치를 떠나거나 상기 기 설정된 배터리 교체 위치에서 제3의 거리 임계 값을 초과한 거리를 떠난 후, 상기 배터리 장착 배터리 교체 장치에 제5 이동 명령어를 전송하는데 사용되고, 상기 제5 이동 명령어는 상기 배터리 장착 배터리 교체 장치가 상기 기 설정된 배터리 교체 위치로 이동하도록 명령하는데 사용되며;
    상기 배터리 장착 배터리 교체 장치는 또한 상기 제5 이동 명령어를 수행하는데 사용되며;
    상기 제어 유닛은 또한 상기 배터리 장착 배터리 교체 장치가 상기 제5 이동 명령어를 수행 한 후, 상기 배터리 장착 배터리 교체 장치에 배터리 장착 명령어를 전송하는데 사용되며, 상기 배터리 장착 명령어는 상기 배터리 장착 배터리 교체 장치가 상기 장착 대기 배터리를 상기 전기 차량에 장착하도록 명령하는데 사용되며;
    상기 배터리 장착 배터리 교체 장치는 또한 상기 배터리 장착 명령어를 수행하는데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교체 제어 시스템.
  51. 배터리 교체 제어 방법으로서,
    전기 차량에 적용되는 배터리 모델을 결정하는 단계;
    적어도 하나의 배터리 보관 랙에서 제1조건에 부합되는 배터리 보관 랙을 선택하여 제1 배터리 보관 랙으로 하고, 상기 배터리 보관 랙은 여러 개의 배터리를 보관하는데 사용되는 배터리 보관 창을 구비하며, 상기 제1조건은 상기 배터리 모델의 배터리가 놓이도록 설정되는 단계;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배터리 보관 랙에서 제2조건에 부합되는 배터리 보관 랙을 선택하여 제2 배터리 보관 랙으로 하고, 상기 제2조건은 빈 배터리 보관 창을 구비하도록 설정되는 단계;
    상기 배터리 교체 장치를 기 설정된 배터리 교체 위치로 이동시켜, 상기 전기 차량에서 전력 부족 배터리를 꺼내고, 상기 전력 부족 배터리를 상기 제2 보관 랙에 운송하고 상기 빈 배터리 보관 창에 놓는 단계, 상기 기 설정된 배터리 교체 위치는 상기 전기 차량에서 배터리를 꺼내고 장착하는데 적용되는 위치이며;
    상기 배터리 교체 장치를 상기 제1 배터리 보관 랙으로 이동시켜, 상기 제1 배터리 보관 랙에서 상기 배터리 모델의 배터리를 꺼내고, 상기 배터리 모델의 배터리를 상기 기 설정된 배터리 교체 위치로 운송하고 상기 전기 차량에 장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교체 제어 방법.
  52. 제51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보관 랙에 놓인 배터리의 전력을 모니터링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조건은 상기 배터리 모델이며 완전히 충전 된 배터리가 놓이도록 설정되고;
    또는, 상기 제1 조건은 바람직하게 상기 배터리 모델이며 완전히 충전 된 배터리가 놓이도록 설정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배터리 보관 랙이 상기 제1 조건에 부합되는 배터리 보관 랙을 구비하지 않을 시, 상기 제1 조건을 상기 배터리 모델이며 전력이 제일 높은 배터리가 놓이도록 설정되게 수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교체 제어 방법.
  53. 제5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조건에 부합되는 배터리 보관 랙이 하나를 초과할 시, 상기 제1 조건에 부합되는 배터리 보관 랙에서, 임의로 하나의 배터리 보관 랙을 선택하여 상기 제1 배터리 보관 랙으로 하고, 또는 상기 전기 차량과의 거리 혹은 상기 전기 차량을 주차하는데 사용되는 차량 플랫폼과의 거리가 제일 가까운 하나의 배터리 보관 랙을 선택하여 상기 제1 배터리 보관 랙으로 하고, 또는 상기 제2 배터리 보관 랙과 상기 전기 차량사이의 경로에 위치한 하나의 배터리 보관 랙을 선택하여 상기 제1 배터리 보관 랙으로 하고, 또는 상기 경로에 위치하며 상기 전기 차량 혹은 상기 차량 플랫폼과의 거리가 제일 가까운 하나의 배터리 보관 랙을 선택하여 상기 제1 배터리 보관 랙으로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및/또는, 상기 제2 조건에 부합되는 배터리 보관 랙이 하나를 초과할 시, 상기 제2 조건에 부합되는 배터리 보관 랙에서, 임의로 하나의 배터리 보관 랙을 선택하여 상기 제2 배터리 보관 랙으로 하고, 또는 상기 전기 차량과의 거리 혹은 상기 차량 플랫폼과의 거리가 제일 가까운 하나의 배터리 보관 랙을 선택하여 상기 제2 배터리 보관 랙으로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교체 제어 방법.
  54. 제5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배터리 보관 랙에 다기능 배터리 보관 랙이 존재하는 지를 판단하고, 상기 다기능 배터리 보관 랙은 상기 제1조건과 제2조건에 전부 부합되는 배터리 보관 랙이고;
    존재할 시:
    상기 다기능 배터리 보관 랙을 동시에 상기 제1 배터리 보관 랙 및 상기 제2 배터리 보관 랙으로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교체 제어 방법.
  55. 제51항에 있어서,
    상기 빈 배터리 보관 창은 또한 상기 전력 부족 배터리를 충전하는데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교체 제어 방법.
  56. 제55항에 있어서,
    상기 빈 배터리 보관 창은 배터리 충전 회로를 구비하고;
    상기 배터리 충전 회로는 고정적인 전력 매개 변수를 가지고, 상기 전력 매개 변수는 상기 배터리 모델과 매칭되고;
    또는, 상기 배터리 충전 회로는 조절 가능한 전력 매개 변수를 가지고, 상기 배터리 교체 제어 방법은: 상기 배터리 모델에 따라 상기 전력 매개 변수를 조절하여, 상기 전력 매개 변수가 상기 배터리 모델과 매칭되게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교체 제어 방법.
  57. 제51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교체 대기 전기 차량에 적용되는 배터리 모델을 결정하는 단계는, 구체적으로:
    상기 전기 차량의 번호판을 스캔하고, 상기 번호판을 통하여 상기 전기 차량에 적용되는 배터리 모델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교체 제어 방법.
  58. 제51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 차량이 차량 플랫폼에 주차되기 전에, 상기 배터리 교체 장치가 미리 기 설정된 대기 위치로 주차하도록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교체 제어 방법.
  59. 제58항에 있어서,
    기 설정된 배터리 교체 위치가 주차 가능한 상태 일 시, 상기 기 설정된 대기 위치는 상기 기 설정된 배터리 교체 위치와 동일한 위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교체 제어 방법.
  60. 제58항에 있어서,
    기 설정된 배터리 교체 위치가 주차 불가능한 상태 일 시, 상기 기 설정된 대기 위치는 상기 기 설정된 배터리 교체 위치에서 제1의 거리 임계값을 초과하지 않는 거리에 있는 위치이고;
    상기 전기 차량이 상기 차량 플랫폼에 주차된 후, 상기 배터리 교체 장치를 상기 기 설정된 대기 위치에서 상기 기 설정된 배터리 교체 위치로 이동하게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교체 제어 방법.
  61. 제59항 또는 제60항에 있어서,
    이하 조건을 동시에 만족할 시, 상기 기 설정된 배터리 교체 위치는 주차 가능한 상태이고, 아니면 상기 기 설정된 배터리 교체 위치는 주차 불가능한 상태이고:
    상기 기 설정된 배터리 교체 위치는 빈 위치이며;
    상기 배터리 교체 장치가 상기 기 설정된 배터리 교체 위치로 이동할수 있게 하는 통로가 존재하며;
    상기 배터리 교체 장치가 상기 기 설정된 배터리 교체 위치로의 주차가 예측 될 시, 상기 배터리 교체 장치는 상기 차량 플랫폼으로 진입하는 전기 차량을 차단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교체 제어 방법.
  62. 제59항 또는 제60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플랫폼의 구조에 따라 상기 기 설정된 배터리 교체 위치가 상기 차량 플랫폼의 아래 혹은 위에 위치하는지가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교체 제어 방법.
  63. 배터리 교체 제어 방법으로서,
    적어도 하나의 배터리 보관 랙에서 제1조건에 부합되는 배터리 보관 랙을 선택하여 제1 배터리 보관 랙으로 하고, 상기 배터리 보관 랙은 여러 개의 배터리를 보관하는데 사용되는 배터리 보관 창을 구비하며, 상기 제1조건은 전기 차량에 적용되는 배터리가 놓이도록 설정되는 단계;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배터리 보관 랙에서 제2조건에 부합되는 배터리 보관 랙을 선택하여 제2 배터리 보관 랙으로 하고, 상기 제2조건은 빈 배터리 보관 창을 구비하도록 설정되는 단계;
    상기 적어도 두개의 배터리 교체 장치에서 적어도 하나의 배터리 교체 장치를 배터리 장착 배터리 교체 장치로 배치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배터리 장착 배터리 교체 장치는 장착 대기 배터리를 운송하는데 사용되며, 상기 장착 대기 배터리는 상기 제1 배터리 보관 랙에서 꺼낸 상기 전기 차량에 적용되며 상기 전기 차량에 설치 될 배터리이며;
    상기 적어도 두개의 배터리 교체 장치에서 적어도 하나의 배터리 교체 장치를 배터리 언로드 배터리 교체 장치로 배치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배터리 언로드 배터리 교체 장치는 전력 부족 배터리를 운송하는데 사용되며, 상기 전력 부족 배터리는 상기 전기 차량에서 꺼내어 상기 빈 배터리 보관 창에 놓일 배터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교체 제어 방법.
  64. 제63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보관 랙에 놓인 배터리의 전력을 모니터링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조건은 전기 차량에 적용되며 완전히 충전 된 배터리가 놓이도록 설정되고;
    또는, 상기 제1 조건은 바람직하게 전기 차량에 적용되며 완전히 충전 된 배터리가 놓이도록 설정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배터리 보관 랙이 상기 제1 조건에 부합되는 배터리 보관 랙을 구비하지 않을 시, 상기 제1 조건을 전기 차량에 적용되며 전력이 제일 높은 배터리가 놓이도록 설정되게 수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교체 제어 방법.
  65. 제63항 또는 제6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조건에 부합되는 배터리 보관 랙이 하나를 초과할 시, 상기 제1 조건에 부합되는 배터리 보관 랙에서, 임의로 하나의 배터리 보관 랙을 선택하여 상기 제1 배터리 보관 랙으로 하고, 또는 상기 전기 차량과의 거리 혹은 상기 전기 차량을 주차하는데 사용되는 차량 플랫폼과의 거리가 제일 가까운 하나의 배터리 보관 랙을 선택하여 상기 제1 배터리 보관 랙으로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및/또는, 상기 제2 조건에 부합되는 배터리 보관 랙이 하나를 초과할 시, 상기 제2 조건에 부합되는 배터리 보관 랙에서, 임의로 하나의 배터리 보관 랙을 선택하여 상기 제2 배터리 보관 랙으로 하고, 또는 상기 전기 차량과의 거리 혹은 상기 전기 차량을 주차하는데 사용되는 차량 플랫폼과의 거리가 제일 가까운 하나의 배터리 보관 랙을 선택하여 상기 제2 배터리 보관 랙으로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교체 제어 방법.
  66. 제65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배터리 보관 랙에 다기능 배터리 보관 랙이 존재하는 지를 판단하고, 상기 다기능 배터리 보관 랙은 상기 제1조건과 제2조건에 전부 부합되는 배터리 보관 랙이고;
    존재 할 시,
    상기 다기능 배터리 보관 랙을 동시에 상기 제1 배터리 보관 랙 및 상기 제2 배터리 보관 랙으로 하거나;
    또는, 상기 다기능 배터리 보관 랙을 상기 제1 배터리 보관 랙 및 상기 제2 배터리 보관 랙 중 임의의 하나로 하거나;
    또는, 이하 임의의 하나의 조건을 상기 다기능 배터리 보관 랙을 제1 배터리 보관 랙으로 하는데 필요한 조건으로 하거나:
    나머지 배터리 보관 랙이 전부 상기 제1조건에 부합되지 않는 조건;
    나머지 배터리 보관 랙에서, 상기 제1조건에 부합되는 배터리 보관 랙의 개수가 상기 제2조건에 부합되는 배터리 보관 랙의 개수보다 적은 조건;
    나머지 배터리 보관 랙에서, 상기 제1조건에 부합되는 배터리 보관 랙의 개수가 상기 제2조건에 부합되는 배터리 보관 랙의 개수보다 적고, 두 개수사이의 차이의 절대 값이 제1 차이 임계 값보다 적은 조건;
    나머지 배터리 보관 랙에서, 상기 제1조건에 부합되는 배터리 보관 랙의 개수가 제1 개수 임계 값보다 적은 조건;
    또는, 이하 임의의 하나의 조건을 상기 다기능 배터리 보관 랙을 제2 배터리 보관 랙으로 하는데 필요한 조건으로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나머지 배터리 보관 랙이 전부 상기 제2조건에 부합되지 않는 조건;
    나머지 배터리 보관 랙에서, 상기 제2조건에 부합되는 배터리 보관 랙의 개수가 상기 제1조건에 부합되는 배터리 보관 랙의 개수보다 적은 조건;
    나머지 배터리 보관 랙에서, 상기 제2조건에 부합되는 배터리 보관 랙의 개수가 상기 제1조건에 부합되는 배터리 보관 랙의 개수보다 적고, 두 개수사이의 차이의 절대 값이 제2 차이 임계 값보다 적은 조건;
    나머지 배터리 보관 랙에서, 상기 제2조건에 부합되는 배터리 보관 랙의 개수가 제2 개수 임계 값보다 적은 조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교체 제어 방법.
  67. 제63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두개의 배터리 교체 장치는 전부 단일 기능 배터리 교체 장치이고;
    또는, 전부 다기능 배터리 교체 장치이고;
    또는, 일부는 단일 기능 배터리 교체 장치이고, 일부는 다기능 배터리 교체 장치이고;
    상기 단일 기능 배터리 교체 장치는 제1구조를 가지고 배터리 장착 배터리 교체 장치로만 배치가능하거나, 또는 제2구조를 가지고 배터리 언로드 배터리 교체 장치로만 배치가능하고;
    상기 다기능 배터리 교체 장치는 제1구조와 제2구조를 겸비하여 배터리 언로드 배터리 교체 장치와 배터리 장착 배터리 교체 장치 중의 임의의 하나로 배치될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교체 제어 방법.
  68. 제63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장착 배터리 교체 장치로 배치되는 배터리 교체 장치는 상기 제1 배터리 보관 랙과의 거리가 가장 가까운 배터리 교체 장치이며;
    또는, 상기 배터리 언로드 배터리 교체 장치로 배치되는 배터리 교체 장치는 상기 전기 차량 혹은 상기 전기 차량을 주차하는데 사용되는 차량 플랫폼과의 거리가 가장 가까운 배터리 교체 장치이며;
    또는, 매개 상기 배터리 보관 랙과 적어도 하나의 상기 배터리 교체 장치는 기 설정된 바인딩 관계를 가지며; 상기 배터리 장착 배터리 교체 장치로 배치되는 배터리 교체 장치는 상기 제1 배터리 보관 랙과 바인딩 관계를 가지는 배터리 교체 장치이며, 또는 상기 제1 배터리 보관 랙과 바인딩 관계를 가지고 상기 제1 배터리 보관 랙과의 거리가 가장 가까운 배터리 교체 장치이며; 상기 배터리 언로드 배터리 교체 장치로 배치되는 배터리 교체 장치는 상기 제2 배터리 보관 랙과 바인딩 관계를 가지는 배터리 교체 장치이며, 또는 상기 제2 배터리 보관 랙과 바인딩 관계를 가지고 상기 전기 차량 혹은 상기 전기 차량을 주차하는데 사용되는 차량 플랫폼과의 거리가 가장 가까운 배터리 교체 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교체 제어 방법.
  69. 제63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 차량이 차량 플랫폼에 주차되기 전, 상기 전기 차량에 적용되는 배터리 모델은 예측 가능한 것이고:
    상기 전기 차량이 차량 플랫폼에 주차되기 전,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배터리 보관 랙에서 제1조건에 부합되는 배터리 보관 랙을 제1 배터리 보관 랙으로 하고, 상기 배터리 장착 배터리 교체 장치가 상기 제1 배터리 보관 랙에서 상기 장착 대기 배터리를 꺼내도록 명령하는 단계;
    상기 배터리 장착 배터리 교체 장치가 상기 제1 배터리 보관 랙에서 상기 장착 대기 배터리를 꺼낸 후, 상기 배터리 장착 배터리 교체 장치가 미리 제1의 기 설정된 대기 위치로 주차되도록 명령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의 기 설정된 대기 위치는 상기 차량 플랫폼에서 제1 거리 임계 값을 초과하지 않는 거리에 있는 위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교체 제어 방법.
  70. 제69항에 있어서,
    이하 방식을 통하여 상기 전기 차량에 적용되는 배터리 모델을 예측하되: 상기 차량 플랫폼은 상기 모델의 배터리를 적용하는 전기 차량의 주차만 허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교체 제어 방법.
  71. 제63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 차량이 차량 플랫폼에 주차되기 전, 상기 배터리 언로드 배터리 교체 장치가 미리 제2의 기 설정된 대기 위치에 주차되도록 명령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교체 제어 방법.
  72. 제71항에 있어서,
    기 설정된 배터리 교체 위치가 주차 가능한 상태일 시, 상기 제2의 기 설정된 대기 위치는 상기 기 설정된 배터리 교체 위치와 동일한 위치이고, 상기 기 설정된 배터리 교체 위치는 상기 차량 플랫폼에 주차된 전기 차량에서 배터리를 꺼내기 위한 위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교체 제어 방법.
  73. 제72항에 있어서,
    기 설정된 배터리 교체 위치가 주차 불가능한 상태일 시, 상기 제2의 기 설정된 대기 위치는 상기 기 설정된 배터리 교체 위치에서 제2의 거리 임계값을 초과하지 않는 거리의 위치이며, 상기 기 설정된 배터리 교체 위치는 상기 차량 플랫폼에 주차된 전기 차량에서 배터리를 꺼내기 위한 위치이며;
    상기 전기 차량이 상기 차량 플랫폼에 주차된 후, 상기 배터리 언로드 배터리 교체 장치를 상기 제2의 기 설정된 대기 위치에서 상기 기 설정된 배터리 교체 위치로 이동하도록 명령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교체 제어 방법.
  74. 제72항 또는 제73항에 있어서,
    이하 조건을 동시에 만족할 시, 상기 기 설정된 배터리 교체 위치는 주차 가능한 상태이고, 아니면 상기 기 설정된 배터리 교체 위치는 주차 불가능한 상태이고:
    상기 기 설정된 배터리 교체 위치는 빈 위치이며;
    상기 배터리 언로드 배터리 교체 장치가 상기 기 설정된 배터리 교체 위치로 이동할수 있게 하는 통로가 존재하며;
    상기 배터리 언로드 배터리 교체 장치가 상기 기 설정된 배터리 교체 위치로의 주차가 예측 될 시, 상기 배터리 언로드 배터리 교체 장치는 상기 차량 플랫폼으로 진입하는 전기 차량을 차단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교체 제어 방법.
  75. 제72항 또는 제73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플랫폼의 구조에 따라 상기 기 설정된 배터리 교체 위치가 상기 차량 플랫폼의 아래 혹은 위에 위치하는지가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교체 제어 방법.
  76. 제63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 차량이 차량 플랫폼에 주차된 후, 상기 배터리 언로드 배터리 교체 장치가 이동하여 기 설정된 배터리 교체 위치로 주차되도록 명령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기 설정된 배터리 교체 위치는 상기 차량 플랫폼에 주차된 전기 차량에서 배터리를 꺼내기 위한 위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교체 제어 방법.
  77. 제72항, 제 73항, 제7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 차량이 차량 플랫폼에 주차되고 상기 배터리 언로드 배터리 교체 장치가 상기 기 설정된 배터리 교체 위치에 주차된 후, 상기 배터리 언로드 배터리 교체 장치가 상기 전기 차량에서 상기 전력 부족 배터리를 꺼내도록 명령하는 단계;
    상기 배터리 언로드 배터리 교체 장치가 상기 전기 차량에서 전력 부족 배터리를 꺼낸 후, 상기 배터리 언로드 배터리 교체 장치가 상기 제2 배터리 보관 랙으로 이동하고 상기 전력 부족 배터리를 상기 빈 배터리 보관 창에 놓게 하도록 명령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교체 제어 방법.
  78. 제72항, 제 73항, 제7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언로드 배터리 교체 장치가 상기 기 설정된 배터리 교체 위치를 떠나거나 상기 기 설정된 배터리 교체 위치에서 제3의 거리 임계 값을 초과한 거리를 떠난 후, 상기 배터리 장착 배터리 교체 장치가 상기 기 설정된 배터리 교체 위치로 이동하도록 명령하는 단계;
    상기 배터리 장착 배터리 교체 장치가 상기 기 설정된 배터리 교체 위치로 이동 한 후, 상기 배터리 장착 배터리 교체 장치가 상기 장착 대기 배터리를 상기 전기 차량에 장착하도록 명령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교체 제어 방법.
  79. 배터리 교체 대기 전기 차량에 적용되는 배터리 모델을 결정하는 단계;
    적어도 하나의 배터리 보관 랙에서 제1조건에 부합되는 배터리 보관 랙을 선택하여 제1 배터리 보관 랙으로 하고, 상기 배터리 보관 랙은 여러 개의 배터리를 보관하는데 사용되는 배터리 보관 창을 구비하며, 상기 제1조건은 전기 차량에 적용되는 배터리가 놓이도록 설정되는 단계;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배터리 보관 랙에서 제2조건에 부합되는 배터리 보관 랙을 선택하여 제2 배터리 보관 랙으로 하고, 상기 제2조건은 빈 배터리 보관 창을 구비하도록 설정되는 단계;
    상기 적어도 두개의 배터리 교체 장치에서 적어도 하나의 배터리 교체 장치를 배터리 장착 배터리 교체 장치로 배치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배터리 장착 배터리 교체 장치는 장착 대기 배터리를 운송하는데 사용되며, 상기 장착 대기 배터리는 상기 제1 배터리 보관 랙에서 꺼내어 상기 전기 차량에 적용되며 상기 전기 차량에 설치 될 배터리이며;
    상기 적어도 두개의 배터리 교체 장치에서 적어도 하나의 배터리 교체 장치를 배터리 언로드 배터리 교체 장치로 배치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배터리 언로드 배터리 교체 장치는 전력 부족 배터리를 운송하는데 사용되며, 상기 전력 부족 배터리는 상기 전기 차량에서 꺼내어 상기 빈 배터리 보관 창에 놓일 배터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교체 제어 방법.
  80. 제79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보관 랙에 놓인 배터리의 전력을 모니터링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조건은 전기 차량에 적용되며 완전히 충전 된 배터리가 놓이도록 설정되고;
    또는, 상기 제1 조건은 바람직하게 전기 차량에 적용되며 완전히 충전 된 배터리가 놓이도록 설정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배터리 보관 랙이 상기 제1 조건에 부합되는 배터리 보관 랙을 구비하지 않을 시, 상기 제1 조건을 전기 차량에 적용되며 전력이 제일 높은 배터리가 놓이도록 설정되게 수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교체 제어 방법.
  81. 제79항 또는 제8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조건에 부합되는 배터리 보관 랙이 하나를 초과할 시, 상기 제1 조건에 부합되는 배터리 보관 랙에서, 임의로 하나의 배터리 보관 랙을 선택하여 상기 제1 배터리 보관 랙으로 하고, 또는 상기 전기 차량과의 거리 혹은 상기 전기 차량을 주차하는데 사용되는 차량 플랫폼과의 거리가 제일 가까운 하나의 배터리 보관 랙을 선택하여 상기 제1 배터리 보관 랙으로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및/또는, 상기 제2 조건에 부합되는 배터리 보관 랙이 하나를 초과할 시, 상기 제2 조건에 부합되는 배터리 보관 랙에서, 임의로 하나의 배터리 보관 랙을 선택하여 상기 제2 배터리 보관 랙으로 하고, 또는 상기 전기 차량과의 거리 혹은 상기 전기 차량을 주차하는데 사용되는 차량 플랫폼과의 거리가 제일 가까운 하나의 배터리 보관 랙을 선택하여 상기 제2 배터리 보관 랙으로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교체 제어 방법.
  82. 제8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배터리 보관 랙에 다기능 배터리 보관 랙이 존재하는 지를 판단하고, 상기 다기능 배터리 보관 랙은 상기 제1조건과 제2조건에 전부 부합되는 배터리 보관 랙이고;
    존재 할 시,
    상기 다기능 배터리 보관 랙을 동시에 상기 제1 배터리 보관 랙 및 상기 제2 배터리 보관 랙으로 하거나;
    또는, 상기 다기능 배터리 보관 랙을 상기 제1 배터리 보관 랙 및 상기 제2 배터리 보관 랙 중 임의의 하나로 하거나;
    또는, 이하 임의의 하나의 조건을 상기 다기능 배터리 보관 랙을 제1 배터리 보관 랙으로 하는데 필요한 조건으로 하거나:
    나머지 배터리 보관 랙이 전부 상기 제1조건에 부합되지 않는 조건;
    나머지 배터리 보관 랙에서, 상기 제1조건에 부합되는 배터리 보관 랙의 개수가 상기 제2조건에 부합되는 배터리 보관 랙의 개수보다 적은 조건;
    나머지 배터리 보관 랙에서, 상기 제1조건에 부합되는 배터리 보관 랙의 개수가 상기 제2조건에 부합되는 배터리 보관 랙의 개수보다 적고, 두 개수사이의 차이의 절대 값이 제1 차이 임계 값보다 적은 조건;
    나머지 배터리 보관 랙에서, 상기 제1조건에 부합되는 배터리 보관 랙의 개수가 제1 개수 임계 값보다 적은 조건;
    또는, 이하 임의의 하나의 조건을 상기 다기능 배터리 보관 랙을 제2 배터리 보관 랙으로 하는데 필요한 조건으로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나머지 배터리 보관 랙이 전부 상기 제2조건에 부합되지 않는 조건;
    나머지 배터리 보관 랙에서, 상기 제2조건에 부합되는 배터리 보관 랙의 개수가 상기 제1조건에 부합되는 배터리 보관 랙의 개수보다 적은 조건;
    나머지 배터리 보관 랙에서, 상기 제2조건에 부합되는 배터리 보관 랙의 개수가 상기 제1조건에 부합되는 배터리 보관 랙의 개수보다 적고, 두 개수사이의 차이의 절대 값이 제2 차이 임계 값보다 적은 조건;
    나머지 배터리 보관 랙에서, 상기 제2조건에 부합되는 배터리 보관 랙의 개수가 제2 개수 임계 값보다 적은 조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교체 제어 방법.
  83. 제79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두개의 배터리 교체 장치는 전부 단일 기능 배터리 교체 장치이고;
    또는, 전부 다기능 배터리 교체 장치이고;
    또는, 일부는 단일 기능 배터리 교체 장치이고, 일부는 다기능 배터리 교체 장치이고;
    상기 단일 기능 배터리 교체 장치는 제1구조를 가지고 배터리 장착 배터리 교체 장치로만 배치가능하고, 또는 제2구조를 가지고 배터리 언로드 배터리 교체 장치로만 배치가능하고;
    상기 다기능 배터리 교체 장치는 제1구조와 제2구조를 겸비하여 배터리 언로드 배터리 교체 장치와 배터리 장착 배터리 교체 장치 중의 임의의 하나로 배치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교체 제어 방법.
  84. 제79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장착 배터리 교체 장치로 배치되는 배터리 교체 장치는 상기 제1 배터리 보관 랙과의 거리가 가장 가까운 배터리 교체 장치이며;
    또는, 상기 배터리 언로드 배터리 교체 장치로 배치되는 배터리 교체 장치는 상기 전기 차량 혹은 상기 전기 차량을 주차하는데 사용되는 차량 플랫폼과의 거리가 가장 가까운 배터리 교체 장치이며;
    또는, 매개 상기 배터리 보관 랙과 적어도 하나의 상기 배터리 교체 장치는 기 설정된 바인딩 관계를 가지며; 상기 배터리 장착 배터리 교체 장치로 배치되는 배터리 교체 장치는 상기 제1 배터리 보관 랙과 바인딩 관계를 가지는 배터리 교체 장치이며, 또는 상기 제1 배터리 보관 랙과 바인딩 관계를 가지고 상기 제1 배터리 보관 랙과의 거리가 가장 가까운 배터리 교체 장치이며; 상기 배터리 언로드 배터리 교체 장치로 배치되는 배터리 교체 장치는 상기 제2 배터리 보관 랙과 바인딩 관계를 가지는 배터리 교체 장치이며, 또는 상기 제2 배터리 보관 랙과 바인딩 관계를 가지고 상기 전기 차량 혹은 상기 전기 차량을 주차하는데 사용되는 차량 플랫폼과의 거리가 가장 가까운 배터리 교체 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교체 제어 방법.
  85. 제7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배터리 보관 랙을 선택해낸 후, 상기 배터리 장착 배터리 교체 장치가 상기 제1 배터리 보관 랙에서 상기 장착 대기 배터리를 꺼내도록 명령하는 단계;
    상기 배터리 장착 배터리 교체 장치가 상기 제1배터리 보관 랙에서 상기 장착 대기 배터리를 꺼낸 후, 상기 배터리 장착 배터리 교체 장치가 미리 제1의 기 설정된 대기 위치로 주차되도록 명령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의 기 설정된 대기 위치는 상기 차량 플랫폼에서 제1 거리 임계 값을 초과하지 않는 거리에 있는 위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교체 제어 방법.
  86. 제79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교체 대기 전기 차량에 적용되는 배터리 모델을 결정하는 단계는, 구체적으로:
    상기 전기 차량의 번호판을 스캔하고, 상기 번호판을 통하여 상기 전기 차량에 적용되는 배터리 모델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교체 제어 방법.
  87. 제79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 차량이 차량 플랫폼에 주차되기 전, 상기 배터리 언로드 배터리 교체 장치가 미리 제2의 기 설정된 대기 위치에 주차되도록 명령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교체 제어 방법.
  88. 제87항에 있어서,
    기 설정된 배터리 교체 위치가 주차 가능한 상태일 시, 상기 제2의 기 설정된 대기 위치는 상기 기 설정된 배터리 교체 위치와 동일한 위치이고, 상기 기 설정된 배터리 교체 위치는 상기 차량 플랫폼에 주차된 전기 차량에서 배터리를 꺼내기 위한 위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교체 제어 방법.
  89. 제87항에 있어서,
    기 설정된 배터리 교체 위치가 주차 불가능한 상태일 시, 상기 제2의 기 설정된 대기 위치는 상기 기 설정된 배터리 교체 위치에서 제2의 거리 임계값을 초과하지 않는 거리의 위치이며, 상기 기 설정된 배터리 교체 위치는 상기 차량 플랫폼에 주차된 전기 차량에서 배터리를 꺼내기 위한 위치이며;
    상기 전기 차량이 상기 차량 플랫폼에 주차된 후, 상기 배터리 언로드 배터리 교체 장치를 상기 제2의 기 설정된 대기 위치에서 상기 기 설정된 배터리 교체 위치로 이동하도록 명령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교체 제어 방법.
  90. 제88항 또는 제89항에 있어서,
    이하 조건을 동시에 만족할 시, 상기 기 설정된 배터리 교체 위치는 주차 가능한 상태이고, 아니면 상기 기 설정된 배터리 교체 위치는 주차 불가능한 상태이고:
    상기 기 설정된 배터리 교체 위치는 빈 위치이며;
    상기 배터리 언로드 배터리 교체 장치가 상기 기 설정된 배터리 교체 위치로 이동할수 있게 하는 통로가 존재하며;
    상기 배터리 언로드 배터리 교체 장치가 상기 기 설정된 배터리 교체 위치로의 주차가 예측 될 시, 상기 배터리 언로드 배터리 교체 장치는 상기 차량 플랫폼으로 진입하는 전기 차량을 차단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교체 제어 방법.
  91. 제88항 또는 제89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플랫폼의 구조에 따라 상기 기 설정된 배터리 교체 위치가 상기 차량 플랫폼의 아래 혹은 위에 위치하는지가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교체 제어 방법.
  92. 제79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 차량이 차량 플랫폼에 주차된 후, 상기 배터리 언로드 배터리 교체 장치가 이동하여 기 설정된 배터리 교체 위치로 주차되도록 명령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기 설정된 배터리 교체 위치는 상기 차량 플랫폼에 주차된 전기 차량에서 배터리를 꺼내기 위한 위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교체 제어 방법.
  93. 제88항, 제 89항, 제9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 차량이 차량 플랫폼에 주차되고 상기 배터리 언로드 배터리 교체 장치가 상기 기 설정된 배터리 교체 위치에 주차된 후, 상기 배터리 언로드 배터리 교체 장치가 상기 전기 차량에서 상기 전력 부족 배터리를 꺼내도록 명령하는 단계;
    상기 배터리 언로드 배터리 교체 장치가 상기 전기 차량에서 전력 부족 배터리를 꺼낸 후, 상기 배터리 언로드 배터리 교체 장치가 상기 제2 배터리 보관 랙으로 이동하고 상기 전력 부족 배터리를 상기 빈 배터리 보관 창에 놓게 하도록 명령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교체 제어 방법.
  94. 제88항, 제 89항, 제9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언로드 배터리 교체 장치가 상기 기 설정된 배터리 교체 위치를 떠나거나 상기 기 설정된 배터리 교체 위치에서 제3의 거리 임계 값을 초과한 거리를 떠난 후, 상기 배터리 장착 배터리 교체 장치가 상기 기 설정된 배터리 교체 위치로 이동하도록 명령하는 단계;
    상기 배터리 장착 배터리 교체 장치가 상기 기 설정된 배터리 교체 위치로 이동 한 후, 상기 배터리 장착 배터리 교체 장치가 상기 장착 대기 배터리를 상기 전기 차량에 장착하도록 명령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교체 제어 방법.

KR1020217005126A 2018-07-20 2019-07-19 배터리 교체 제어 시스템 및 방법 KR2021003464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810805306.2 2018-07-20
CN201810805316.6A CN110745108B (zh) 2018-07-20 2018-07-20 换电控制系统及方法
CN201810805316.6 2018-07-20
CN201810805306.2A CN110803139B (zh) 2018-07-20 2018-07-20 换电控制系统及方法
CN201810805309.6 2018-07-20
CN201810805309.6A CN110733375B (zh) 2018-07-20 2018-07-20 换电控制系统及方法
PCT/CN2019/096897 WO2020015756A1 (zh) 2018-07-20 2019-07-19 换电控制系统及方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34644A true KR20210034644A (ko) 2021-03-30

Family

ID=691642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05126A KR20210034644A (ko) 2018-07-20 2019-07-19 배터리 교체 제어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210268930A1 (ko)
JP (3) JP7405824B2 (ko)
KR (1) KR20210034644A (ko)
WO (1) WO202001575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30219438A1 (en) * 2021-05-24 2023-07-13 Mark Ogram Electric vehicle refueling
CN114590163B (zh) * 2022-03-22 2023-06-23 博众精工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换电站的电池周转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999506B1 (en) * 2008-04-09 2011-08-16 SeventhDigit Corporation System to automatically recharge vehicles with batteries
ES2570854T3 (es) * 2012-04-10 2016-05-20 Go-Tech Energy Co Ltd Conjunto de carga de batería modular amovible
CN102673536B (zh) * 2012-05-31 2014-10-15 亿源动力(北京)科技有限公司 电池装填单元、电池换电设备以及电池装填方法
US10279488B2 (en) * 2014-01-17 2019-05-07 Knightscope, Inc. Autonomous data machines and systems
US9643574B2 (en) * 2015-04-29 2017-05-09 General Electric Company Apparatus and method for automated energy storage device exchange and rapid charging
CN105150820B (zh) * 2015-10-19 2018-05-08 北京新能源汽车股份有限公司 电动汽车的电池包快换控制系统
WO2017119212A1 (ja) 2016-01-07 2017-07-13 日産自動車株式会社 充電待ち時間算出システム及び方法
CN105955146A (zh) 2016-06-27 2016-09-21 中国科学技术大学 一种电动汽车动力电池组远程监控系统
CN107719142B (zh) 2016-08-13 2022-01-25 重庆无线绿洲通信技术有限公司 一种电池更换固定站对电动车自动更换电池的方法及装置
AU2017213598B2 (en) * 2016-08-16 2023-01-05 The Raymond Corporation Cold storage charging system and method
CN206900339U (zh) * 2017-06-27 2018-01-19 北京新能源汽车股份有限公司 电池更换系统
CN108173916B (zh) 2017-12-21 2021-05-04 宋白桦 一种基于互联网的电动汽车电量补充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4037902A (ja) 2024-03-19
JP2024037901A (ja) 2024-03-19
JP2021532012A (ja) 2021-11-25
JP7405824B2 (ja) 2023-12-26
WO2020015756A1 (zh) 2020-01-23
US20210268930A1 (en) 2021-09-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965687B (zh) 地锁式智能充电桩及其使用方法
CN109572473A (zh) 一种移动充电桩控制系统及方法、移动充电桩
CN110803139B (zh) 换电控制系统及方法
KR20210034644A (ko) 배터리 교체 제어 시스템 및 방법
CN112824147B (zh) 车辆、上部单元以及控制装置
JP2010156116A (ja) 駐車装置
JP2008081219A (ja) 移動体
JPWO2017159506A1 (ja) 車両充電システム、駐車場システム及び車両の充電方法
CN112440814A (zh) 车辆智能充换电系统及方法
CN110733375B (zh) 换电控制系统及方法
JP2011106257A (ja) 機械式駐車装置
JP2009023816A (ja) クレーン装置
CN104379397B (zh) 铁道系统
CN110745108B (zh) 换电控制系统及方法
JP2019146340A (ja) 送電車両及び送電システム
CN214396479U (zh) 车辆智能充换电系统
JP2021085277A (ja) 機械式駐車場
CN115660609A (zh) 一种新能源车辆作业管理方法
KR20230049152A (ko) 차량 충전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