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34160A - 원가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원가관리방법 - Google Patents

원가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원가관리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34160A
KR20210034160A KR1020190115537A KR20190115537A KR20210034160A KR 20210034160 A KR20210034160 A KR 20210034160A KR 1020190115537 A KR1020190115537 A KR 1020190115537A KR 20190115537 A KR20190115537 A KR 20190115537A KR 20210034160 A KR20210034160 A KR 2021003416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st
product
variable
fixed
manag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155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38926B1 (ko
Inventor
최영휘
최정은
Original Assignee
(주)스탠다드컨설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스탠다드컨설팅 filed Critical (주)스탠다드컨설팅
Priority to KR10201901155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38926B1/ko
Publication of KR202100341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341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389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389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1Resource planning, allocation, distributing or scheduling for enterprises or organisations
    • G06Q10/06312Adjustment or analysis of established resource schedule, e.g. resource or task levelling, or dynamic reschedul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1Resource planning, allocation, distributing or scheduling for enterprises or organisations
    • G06Q10/06313Resource planning in a project environ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7Strategic management or analysis, e.g. setting a goal or target of an organisation; Planning actions based on goals; Analysis or evaluation of effectiveness of goa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4Manufactur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90/00Enabling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contribution to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P90/30Comput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Marketing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사용자 단말기 및 원가관리장치를 포함하는 원가관리시스템에서 활동기준원가 기반으로 수행되는 원가관리방법에 있어서,
상기 원가관리장치에 사용자가 상기 사용자단말기를 통하여 원가관리에 소요되는 기준정보가 입력되고 관리되는 기준정보 관리단계;
상기 기준정보 관리단계에서 입력된 계정별 고정비와 간접비 결산금액이 상기 원가관리장치에서 집계되어 생성되는 결산서 상세조회단계;
상기 기준정보 관리단계에서 입력된 제조공통, 공정, 설비공통 및 설비에 대해 상기 원가관리장치에서 C/C별 공정에 대한 고정비, 변동비 배부 금액을 조회 집계하여 조회하는 C/C별 계정 배부 조회단계;
상기 원가관리장치에서 상기 C/C별 공정에 대한 고정비, 변동비에 해당 공정과 관련된 설비에 공정에 소요된 공정비를 추가로 가산하여 배부하는 1차 공정비 배부단계;
상기 원가관리장치에서 상기 1차 공정비 배부단계에서 배부된 설비별 고정비 및 변동비 데이터에, 공통으로 사용되어 제조되는 제조공통에 지정된 사원들의 노무비를 고정비 및 변동비 별로 집계하여 배부하는 2차 공통비 배부단계;
상기 원가관리장치에서 상기 2차 공통비 배부단계에서 배부된 설비별 고정비 및 변동비 데이터에 금형비, 외주비를 포함한 간접비를 고정비 및 변동비 별로 집계하여 배부하는 3차 설비 제품별 간접비 배부단계;
상기 원가관리장치에서 상기 3차 설비 제품별 간접비 배부단계에서 배부된 설비별 고정비 및 변동비 데이터에, 제품 공정에 투입된 구매비와 관련된 고객사 C/C제품에 대한 고정비, 변동비를 가산하여 배부하는 4차 고객사 C/C제품 구매비 배부단계;
상기 원가관리장치에서 상기 4차 고객사 C/C제품 구매비 배부단계가 완료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공정원가를 산출하는 원가산출단계; 및
상기 산출된 공정원가를 이용하여 이상원가 조회단계, 원가절감 조회단계, 손익분기점 조회단계, 공헌 이익률 조회단계 및 목표이익 조회단계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원가관리를 수행하는 원가관리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가관리방법.

Description

원가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원가관리방법{Cost managent system and cost managent metho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원가관리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원가관리방법에 관한 기술이다.
원가관리는 단위 제품의 제조 또는 제조로부터 판매까지 필요로 하는 비용의 계산하고 이를 관리하는 것이다. 이러한 원가관리는 판매가격의 결정자료뿐 아니라 재무자료, 생산능률의 개선 및 원가 절감의 자료로 활용되고 종합적으로 경영 관리상의 자료로 활용된다.
또한, 원가관리는 일정한 품질의 제품을 최소의 비용으로 생산하기 위해 제조활동에서 종업원에게 동기를 부여하고 지도 감독하는 자료로서 활용된다.
원가계획은 기업의 구조적 변화까지를 전제로 하여 다각적으로 검토된다. 다시 말하여 그것은 이익계획의 일환으로 시행되는 경우가 적지 않다. 그 방법으로는 우선 일에 대한 책임분담을 명확히 한 후, 그것에 대한 표준원가를 설정·지시하게 된다. 반면에 원가통제는 원가계획에 의하여 결정된 구체안을 실천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관리기능으로, 보통 계획에 의하여 원가의 표준치와 실제치를 비교하고 양자의 차이를 분석함으로써 수행된다.
제품의 원가는, 원료 외에 각부문의 기여분을 작업비 등의 계정과목으로서 가산해 산출할 필요가 있다. 여러 제조 공정에 의해서 제조되는 제품의 경우는, 각 공정에 대해서도 제조되는 반제품의 원가를 적산하는 것으로써, 최종 제품의 원가를 산출한다.
원가관리는 직접재료비, 직접 노무비 및 간접경비와 같은 직접비와 간접비 항목으로 구분하여 작성되는데 과거의 자료를 기초로 적당한 숫자를 가미해서 표준을 정한다.
제품의 원료 및 공정이 복잡하게 맞물리는 현대 산업에서는 공정 별 원가계산을 하고 이를 취합하는 원가관리방법이 채용될 수 있다.
공정 별 원가계산은 기업회계에서 사용하는 원가계산 형태의 하나로, 전원가요소(全原價要素) 공정 별 종합원가계산과 가공비 공정 별 종합원가계산으로 나누어 산출을 하게 되는 데, 전자는 둘 이상이 연속되는 공정의 각 공정마다 그 공정에서 생산되는 생산품의 총원가를 집계하는 것이고, 후자는 공정생산품의 가공비를 집계하는 것이다.
또한, 정확한 원가계산을 위해서는 활동기준 원가계산(Activity Based Costing) 방법이 도입되었다. 활동기준 원가계산(Activity Based Costing) 방법은 수익 창출 과정에서 원가가 발생하는 원인을 체계적으로 분석하여 자원과 활동 및 제품 사이의 인과 관계에 따라 원가를 배분함으로써 개별 제품의 정확한 원가를 계산하는 방법이다. 예를 들면, 기업이 조달한 경영 자원(인풋)과 제품, 서비스(아웃풋)에 의한 그러한 소비와의 사이의 인과관계를, 「활동」에 의거해 인식 측정하는 방법이다.
활동 기준 원가 계산 방법은 이론적으로는 지극히 뛰어난 원가계산 방법으로써, 정확한 원가 정보를 제공하여 제조 간접 원가에 대한 원가의 왜곡 현상을 방지하고, 활동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여 비가치 활동을 제거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
그러나, 각 사업체마다 공정에 맞추어 산출하여야 하고, 계산이 복잡하고, 원가계산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며, 기간 경과에 대한 시스템 갱신에 대단한 시간으로 노력을 필요로 한다고 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제품의 원료가 다양하여지고, 다양한 공정형태로 제조됨에 따라 원가를 계산하고 관리하는 업무가 점점 복잡하게 되고, 원가관리에 또 다른 비용과 노력이 증가되어 소규모 기업으로써는 원가관리에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다.
따라서 사업체에서 사용자가 쉽게 활동기준원가(Activity Based Costing)를 기반으로 해당 사업체에 적용하여 원가관리 업무를 수행할 수 있는 원가관리방법이 요구된다.
원가관리에 대한 종래기술로는 일본 공개특허공보 특개 2000-3389호에 기재된 바 있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특개 2000-003389호
본 발명은 활동기준원가(Activity Based Costing)를 기반으로 해당 사업체에 적용하여 사용자가 간편하게 제품별 개별원가 관리, 생산원가관리 업무를 수행할 수 있는 원가관리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원가관리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기 및 원가관리장치를 포함하는 원가관리시스템에서 활동기준원가 기반으로 수행되는 원가관리방법에 있어서, 상기 원가관리장치에 사용자가 상기 사용자단말기를 통하여 원가관리에 소요되는 기준정보가 입력되고 관리되는 기준정보 관리단계; 상기 기준정보 관리단계에서 입력된 계정별 고정비와 변동비 결산금액이 상기 원가관리장치에서 집계되어 생성되는 결산서 상세조회단계; 상기 기준정보 관리단계에서 입력된 제조공통, 공정, 설비공통 및 설비에 대해 상기 원가관리장치에서 C/C별 공정에 대한 고정비, 변동비 배부 금액을 조회 집계하여 조회하는 C/C별 계정 배부 조회단계; 상기 원가관리장치에서 상기 C/C별 공정에 대한 고정비, 변동비에 해당 공정과 관련된 설비에 공정에 소요된 공정비를 추가로 가산하여 배부하는 1차 공정비 배부단계; 상기 원가관리장치에서 상기 1차 공정비 배부단계에서 배부된 설비별 고정비 및 변동비 데이터에, 공통으로 사용되어 제조되는 제조공통에 지정된 사원들의 노무비를 고정비 및 변동비 별로 집계하여 배부하는 2차 공통비 배부단계; 상기 원가관리장치에서 상기 2차 공통비 배부단계에서 배부된 설비별 고정비 및 변동비 데이터에 금형비, 외주비를 포함한 간접비를 고정비 및 변동비 별로 집계하여 배부하는 3차 설비 제품별 간접비 배부단계; 상기 원가관리장치에서 상기 3차 설비 제품별 간접비 배부단계에서 배부된 설비별 고정비 및 변동비 데이터에, 제품 공정에 투입된 구매비와 관련된 외주 고객사 C/C제품에 대한 고정비, 변동비를 가산하여 배부하는 4차 고객사 C/C제품 구매비 배부단계; 상기 원가관리장치에서 상기 4차 고객사 C/C제품 구매비 배부단계가 완료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공정원가를 산출하는 원가산출단계; 및 상기 산출된 공정원가를 이용하여 이상원가 조회단계, 원가절감 조회단계, 손익분기점 조회단계, 공헌 이익률 조회단계 및 목표이익 조회단계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원가관리를 수행하는 원가관리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가관리방법이 제공된다.
또한, 상기 기준정보 관리 단계는 기준정보 등록 단계 업무를 포함하며, 상기 기준정보 등록 단계 업무는, 상기 원가관리장치에서 상기 사용자에 의해 수선비, 금형비, 보험료, 소모품비, 외주가공비, 임차료, 급여, 제수당 및 복리후생비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비용계정 별로 계정코드가 부여되고, 매월 당월 결산금액 메뉴에 당월 결산금액이 업로드하여 입력되되, 각 비용 계정 별로 고정비, 변동비가 지정되어 업 로드되는 계정코드 등록 관리 단계; 상기 사용자에 의해 상기 원가관리장치에 각 제품을 생산, 제조하는 제품 또는 반제품의 제조공정도가 등록이 되고, 제조공정도에 따른 각 설비 공정이 등록이 되며, 상기 원가관리장치가 상기 제조 공정도 및 상기 각 설비 공정에 대해 C/C코드를 부여하고 관리하는 단계; 상기 원가관리장치에 사용자에 의해 생산에 소요되는 설비가 등록되고, 상기 원가관리장치가 C/C코드로 관리하는 단계; 상기 원가관리장치에 사용자가 거래처정보, 제품정보, 반제품정보, 자재정보 중 하나 이상을 등록하고 상기 원가관리장치가 C/C코드 내역에 함께 C/C코드를 부여하여 관리하는 단계; 및 상기 원가관리장에 사용자에 의해 공정 C/C별, 설비C/C별로 작업 인원을 배부하여 등록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기준정보 관리 단계는 비용업로드 단계 업무를 포함하며, 상기 비용업로드 단계 업무에는, 상기 원가관리장치에 사용자에 의해 매출에 관련된 발주번호, 발주일자, 제품코드, 제품명, 수량, 단가, 금액 중 하나 이상이 매월 업로드되는 매출 업로드 단계; 상기 원가관리장치에 사용자에 의해 각 설비별로 소요되는 면적 및 면적에 따른 임차료를 등록하고 매월 업로드되는 임차료 업로드 단계; 및 상기 원가관리장치에 사용자에 의해 각 설비별로 해당 인원 및 인원에 따른 복리후생비를 등록하고 매월 업로드되는 복리후생비 업로드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활동기준원가 기반으로 원가관리를 수행하는 원가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원가관리시스템은, 사용자가 정보를 입력하고 출력하는 사용자 단말기, 및 원가관리를 수행하는 원가관리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원가관리장치는, 상기 원가관리장치의 프로세스를 실행하고 제어하는 제어부; 사용자가 상기 사용자단말기를 통하여 원가관리에 소요되는 기준정보가 입력되고 관리되는 기준정보 관리부; 상기 기준정보 관리부에 입력된 계정별 고정비와 간접비 결산금액이 상기 원가관리장치에서 집계되어 생성되는 결산서 상세 조회부; 상기 기준정보 관리부에 입력된 제조공통, 공정, 설비공통 및 설비에 대해 상기 원가관리장치에서 C/C별 공정에 대한 고정비, 변동비 배부 금액을 조회 집계하여 조회하는 C/C별 계정 배부 조회부; 상기 C/C별 공정에 대한 고정비, 변동비에 해당 공정과 관련된 설비에 공정에 소요된 공정비를 추가로 가산하여 배부하는 공정비 배부 조회부; 상기 공정비 배부 조회부에서 배부된 설비별 고정비 및 변동비 데이터에, 공통으로 사용되어 제조되는 제조공통에 지정된 사원들의 노무비를 고정비 및 변동비 별로 집계하여 배부하는 공통비 배부 조회부; 공통비 배부 조회부에서 배부된 설비별 고정비 및 변동비 데이터에 금형비, 외주비를 포함한 간접비를 고정비 및 변동비 별로 집계하여 배부하는 설비 제품별 간접비 배부 조회부; 상기 설비 제품별 간접비 배부 조회부에서 배부된 설비별 고정비 및 변동비 데이터에, 제품 공정에 투입된 구매비와 관련된 고객사 C/C제품에 대한 고정비, 변동비를 가산하여 배부하는 고객사 C/C제품 구매비 조회부; 상기 고객사 C/C제품 구매비 배부 조회부의 데이터를 이용하여 공정원가를 산출하는 원가산출부 및 상기 원가산출부의 공정원가를 이용하여 이상원가 조회, 원가절감 조회, 손익분기점 조회, 공헌 이익률 조회 및 목표이익 조회 수단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원가관리를 수행하는 원가관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가관리시스템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활동기준원가(Activity Based Costing)를 기반으로 해당 사업체에 적용하여 사용자가 간편하게 제품별 개별원가 관리, 생산원가관리 업무를 수행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가관리 시스템의 블록도 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기준정보관리부(980)의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비용업로드부(970)의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구매일보 관리부(950)의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작업일보 관리부(940)의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급여 및 임금 관리부(930)의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원가계산관리부(910)의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원가관리부(900)의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원가관리장치를 이용한 원가관리방법에 대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기준정보 등록 단계에 포함된 내용을 도시한 것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원가산출단계의 과정을 도시한 것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계정코드관리부의 입력 예시를 도시한 것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기준정보 등록단계에서 C/C 코드관리부(82)의 입력 예시를 도시한 것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기준정보 등록단계(1101)에서 설비C/C별 인원배부 설정부(84)의 입력 예시를 도시한 것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기준정보 등록단계에서 거래처정보 등록부(85)의 입력 예시를 도시한 것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기준정보 등록단계에서 제품 등록부(86)의 입력 예시를 도시한 것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기준정보 등록단계에서 공정코드 등록부(88)의 입력 예시를 도시한 것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기준정보 등록단계에서 설비코드 등록부(89)의 입력 예시를 도시한 것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기준정보 등록단계에서 자재정보 등록부(90)의 입력 예시를 도시한 것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기준정보 등록단계(1101)에서 제조공정도 등록부(91)의 입력 예시들 도시한 것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비용 업로드 단계에서 매출 등록부(71)의 비용 업로드 입력 예시를 도시한 것이다
도 2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력비등록부(73)의 비용 업로드 입력 예시를 도시한 것이다.
도 2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외주비등록부(72)의 비용 업로드 입력 예시를 도시한 것이다.
도 24a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원재료비 관리부의 비용 업로드 입력 예시를 도시한 것이다.
도 2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원재료비 정산단가부의 비용 업로드 입력 예시를 도시한 것이다.
도 2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구매일보 등록부의 비용 업로드 입력 예시를 도시한 것이다.
도 2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감가상각비 관리단계(1106)에서 감가상각비 등록부(32)의 입력 예시를 도시한 것이다.
도 2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감가상각비 관리단계에서 감가상각비 등록부(32)의 입력 예시를 도시한 것이다.
도 2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월별 설비별 노무비 배부단계에서 월별 설비별 노무비 조회부(24)에 노무비가 배부되어 입력된 예시를 도시한 것이다.
도 2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월별 노무비 변동 등록단계에서 임금C/C 변동 등록부(22)의 입력 예시를 도시한 것이다.
도 2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월별 노무비 변동 등록단계에서 임금C/C 변동 등록부(22)의 입력 예시를 도시한 것이다.
도 3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생산지표 조회부(42)의 예시를 도시한 것이다.
도 3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결산서 상세 조회단계에서 생성된 결산서 상세조회부(11)에 대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3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C/C별 계정 배부 조회단계에서 생성된 C/C별 계정배부 조회부(12)에 대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3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1차 공정비 배부단계(1400)에서 생성된 공정비 배부 조회부(13)에 대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3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2차 공통비 배부단계(1500)에서 생성된 공통비 배부 조회부(14)에 대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3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3차 설비 제품별 간접비 배부단계에서 생성된 설비 제품별 간접비 공정비 배부 조회부(13)에 대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3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4차 고객사 C/C제품 구매비 배부단계(1700)에서 생성된 4차 고객사 C/C제품 배부 조회부(16)의 예시를 도시한 것이다.
도 37은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원가산출단계에서 생성 조회되는 외주비 공정원가 조회부(17)의 테이블 예시를 도시한 것이다.
도 38은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설비별 제품별 공정원가 조회단계에서 생성 조회되는 설비별 제품별 공정원가 조회부(18)의 테이블 예시를 도시한 것이다.
도 39는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품별 누적 공정원가 조회단계에서 생성 조회되는 제품별 공정원가 조회부(19)의 테이블 예시를 도시한 것이다.
도 4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품별 원가 조회단계에서 산출되어 생성 조회되는 제품별 원가 조회부(20)의 테이블 예시를 도시한 것이다.
도 4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상원가 조회단계에서 산출되어 집계되는 이상원가 조회부(101)의 테이블 예시를 도시한 것이다.
도 4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원가절감 조회단계에서 조회되는 원가절감 조회부(102)의 테이블 예시를 도시한 것이다.
도 43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손익분기점 조회단계에서 조회되는 손익분기점 조회부(103)의 테이블 예시를 도시한 것이다.
도 4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헌 이익률 조회단계에서 조회되는 공헌 이익률 조회부(104)의 테이블 예시를 도시한 것이다.
도 4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목표이익 조회단계에서 조회되는 공헌 목표이익 조회부(104)의 테이블 예시를 도시한 것이다.
본 출원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로부터 이탈되지 않은 채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바꾸어서 사용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바꾸어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생산계획에 의해 별도의 작업지시 없이 생산지표 LOT 관리를 관리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가관리 시스템의 블록도 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원가관리 시스템(1)은 사용자 단말기(20), 작업자단말기(30) 및 원가관리장치(1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원가관리 시스템(1)은 사용자 단말기(10) 및 작업자 단말기(30)와 쌍방향 통신을 하며 연결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원가관리장치(10)는 각 사업체에 설치되는 단말기 서버장치 또는 원가관리업무를 제공하는 원가관리 사업자의 서버일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10)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원가관리 시스템(1)을 이용하여 원가관리업무를 수행하는 사용자가 운영하는 단말기이다.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기(10)를 이용하여 원가관리에 필요한 정보를 입력하고, 원가관리 정보를 출력 받을 수 있다.
작업자 단말기(30)는 생산라인에서 작업자가 상기 원가관리장치(10)로부터 작업명령 또는 공정계획을 수신하여 작업자에게 출력한다. 또한, 작업자가 작업진행 상황을 입력하면 상기 원가관리장치(10)로 전송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원가관리 시스템(1)은 작업설비의 가동상태 정보를 취득하기 위하여 작업설비장치(40)와의 연결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원가관리장치(10)는 프로세스를 실행하고 제어하는 제어부(15), 입출력부(11) 및 원가관리모듈(19)을 포함한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원가관리모듈(19)은 원가관리부(900), 원가계산 및 관리부(910), 급여 및 임금관리부(920), 감가상각비 관리부(930) 작업일보 관리부(940), 구매일보 관리부(950), 원재료비 관리부(960), 비용 업로드 관리부(970), 기준정보 관리부(980) 및 기타 시스템 관리부(990)를 포함한다.
시스템 관리부(990)는 사원정보관리, 부서정보 기타 관리, 사업장 관리는 시스템 운영에 기본이 되는 데이터가 입력되어 저장 관리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기준정보관리부(980)의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를 참조하면, 기준정보 관리부(980)는 계정코드관리부(81), C/C 코드관리부(82), 사원별 C/C 지정부(83), 설비 C/C별 인원배부 설정부(84), 거래처정보 등록부(85), 제품정보 등록부(86), 반제품정보 등록부(87), 공정코드 등록부(88) 설비코드 등록부(89), 자재정보 등록부(90) 및 제조공정도 등록부(91)를 포함한다.
계정코드관리부(81)는 원가계산의 필요한 원가요소인 계정코드를 저장 관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C/C코드관리부(8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원가관리모듈(19)의 각 부의 관리 메뉴에서 원가요소의 데이터가 추가되어 부여요구가 되면, C/C코드 내역에 함께 C/C코드를 생성하고, 이를 저장 관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본 발명에서 C/C(COST CENTER, 원가 중심점)코드는 원가 관리단위로 정의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거래처정보, 제품정보, 반제품정보, 공정코드, 설비코드, 자재코드 등이 또한 원가관리단위가 되기 때문에 C/C코드 내역에 함께 C/C코드를 부여하여 관리한다.
사원별 C/C 지정부(83)는 사원별 C/C코드를 지정하여 관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예를 들면, 사원별 C/C 지정부(83)의 입력 메뉴에서 “김00”은 'E001', “박00”은 'E002'…, 등으로 사원코드를 지정하여 관리한다.
설비C/C별 인원배부 설정부(84)는 사원별 C/C 지정에서 설비공통으로 지정된 사원내역을 참고하여 설비 인원배부를 설정하고 관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거래처정보 등록부(85)는 고객사, 구매처, 외주처에 대해 거래처 정보를 등록하고 관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거래처에 대한 거래처 코드는 시스템에서 자동으로 C/C코드가 생성이 된다(예 상세정보 '거래처구분 = 고객사'인 거래처코드로 C/C코드가 생성)
제품정보 등록부(86), 반제품정보 등록부(87)는 각각 제품 또는 반제품에 대해 시스템에 의해 자동으로 C/C코드를 부여하고 관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공정코드 등록부(88)는 각 공정에 대해 시스템에 의해 자동으로 C/C코드를 부여하고 관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설비코드 등록부(89), 자재정보 등록부(90)는 설비, 자재 정보에 대해 시스템에 의해 자동으로 C/C코드를 부여하고 관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제조공정도 등록부(91)는 제품 또는 반제품의 제조공정도를 등록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다시 도 1로 돌아와서 비용업로드부(970)는 매월 전력비, 가스수도료 임차료 및 기타 지출비용을 업로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기타 지출비용에는 외주비 및 복리후생비가 더 포함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비용업로드부(970)의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비용업로드부(970)는 매출등록부(71), 전력비등록부(73), 가스수도료등록부(74)를 포함한다. 또한, 비용업로드부(74)는 필요에 따라 임차료등록부(75), 복리후생부 등록비(76) 및 외주비등록부(72)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시 도 1로 돌아와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원재료관리부(960)는 원재료비부 및 원재료 정산단가부를 포함한다.
원재료비부는 원재료비 계정코드(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는 회계프로그램에서 정의하는 계정코드<500>으로 집계됨)로 집계 되며, 업로드 된 금액이 곧 원재료비가 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는 카테고리 원가계산부(910)에서 결산서 상세 조회부(11)에 계정코드<500>이 집계 관리된다.
예를 들면, 계정코드별 배부금액 조회 시, 원재료비 메뉴를 통해 업로드 된 '원재료비 금액'을 SUM하여 계정코드<500>에 표시가 된다.
원재료 정산단가부는 소요량으로 원재료비 산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업로드된 자재 단가와 해당월에 작업일보에 대하여 작업량과 제조공정도-BOM을 기준으로 투입량을 계산하여 원재료비를 산출한다(정산단가 * 작업일보 작업량 * BOM 투입량).
BOM 투입량은 '카테고리 기준정보 관리부(980)의 제조공정도 등록부(91)'에서 조회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투입량은 해당 제품 생산을 위해 투입되는 자재의 수량 또는 중량을 의미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구매일보 관리부(950)의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구매일보 관리부(950)는 구매일보등록부(51), 계정별 구매현황부(52) 및 C/C별 구매현황부(53)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구매일보 관리부(950)는 거래처별 구매물품에 대한 가격을 등록하고, 계정별 구매현황부 및 C/C별 구매현황부를 작성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구매일보 등록부(51)의 테이블에 사용자가 각 구매항목에 계정코드, C/C코드를 입력한다. 집계 메뉴에서는 입력된 계정, C/C 코드별 SUM을 하여 표시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작업일보 관리부(940)의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작업일보 관리부(940)는 작업일보 등록부(41) 및 생산지표 관리부(42)를 포함한다.
작업일보 등록부(41)는 작업자가 작업자 단말기(30)를 통하여 작업일자 별로 공정명, 설비명, 표준공수 작업시간을 입력하면, 이를 등록하고 관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 표준 공수는 메뉴[제조공정도 등록부(91)]의 제조공정도 탭에서 입력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사용자가 매월 작업일보 등록부(41)에 작업일보를 업로드 하면, 생산지표 조회 관리부(42)에서는 원가관리에 필요한 생산지표를 생성하여 관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감가상각비 관리부(930)는 감가상각비 등록부 및 감가상각코드 관리부를 포함한다.
감가상각은 기물이나 설비 등 해마다 소모되는 가치의 감소분을 보전하는 절차이다. 감가상각비 등록부는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기(20)를 통하여 매월 감가상각비를 업로드 한다. 감가상각코드 관리부는 감가상각이 필요한 기물설비에 자산코드를 부여하고 취득금액과 내용연수, 상각율을 정하여 관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급여 및 임금 관리부(930)의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급여 및 임금 관리부(930)는 급여 및 임금등록/조회부(21), 월별 임금C/C 변동등록부(22), 월별 설비인원배부 변동등록부(23) 및 월별 설비별 노무비 관리부(24)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사용자는 매월 급여 및 임금등록/조회부(21)에 사원별 기본급(계정코드<502>), 상여금(계정코드<503>), 연장근로수당(계정코드<504>), 제수당(계정코드<505>), 연차수당(계정코드<506>), 퇴직금 충당금(계정코드<507>)을 업로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 각 회계 예산과목별로 계정코드로 구분(<500> ~ <507>)하여 관리한다.
업로드된 데이터는 고정비/변동비를 정해진 비율에 따라 자동계산하고, 월별 임금C/C 변동등록부(22), 월별 설비인원배부 변동등록부(23)에서 해당 월 변수 발생에 따라 지정된 값을 변경하게 되며, 이로부터 설비별 노무비를 자동 배부 계산하여 월별 설비별 노무비 관리부(24)에 자동 입력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원가계산관리부(910)의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원가계산관리부(910)는 결산서 상세 조회부(11), C/C별 계정배부 조회부(12), 공정비 배부 조회부(13), 공통비 배부 조회부(14), 설비별 제품별 및 간접비 배부 조회부(15), 고객사C/C 제품배부 조회부(16), 외주비 공정원가 조회부(17), 설비별 제품별 공정원가 조회부(18), 제품별 누적원가 조회부(19) 및 제품별 원가 조회부(20)를 포함한다.
결산서 상세 조회부(11)는 계정별 결산금액과 고정비, 변동비 금액이 기입되어 이를 조회할 수 있도록 관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C/C별 계정배부 조회부(12)는 제조공통, 공정, 설비공통, 설비를 기준으로 고정비, 변동비 배부 금액을 집계 관리하고, 이를 조회할 수 있도록 관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공정비 배부 조회부(13)는 ‘C/C코드 관리 - C/C 구분=공정'에 배부된 고정비, 변동비를 집계하는 1차 공정비 배부과정 및 1차 공정비 배부된 정보를 집계 관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공통비 배부 조회부(14)는 상기 공정비 배부 조회부(13)에서 1차 공정비 배부로 완료된 설비에 공통비 배부를 수행하여 배부된 사원의 고정비, 변동비를 집계하는 2차 공통비 배부과정 및 2차 공통비 배부된 정보를 집계 관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설비별 제품별 및 간접비 배부 조회부(15)는 공통비 배부 조회부(14)에서 2차 공통비 배부 완료된 설비에 재료비와 금형비를 작업일보와 외주비 내역을 기준으로 설비별 제품에 배부하여 집계하는 3차 설비제품 간접비 배부과정 및 3차 설비제품 간접비 배부된 정보를 집계 관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고객사 C/C 제품배부 조회부(16)는 구매일보에 업로드 된 데이터 중 고객사 C/C를 기준으로 [거래처정보 등록]에서 등록한 고객사별 거래제품들 중 상기 3차 설비제품 간접비 배부까지 완료된 제품을 찾아 구매금액을 배부하고 집계하는 4차 고객사 C/C제품 구매비 배부 과정 및 4차 고객사 C/C제품 구매비 배부된 정보를 집계 관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외주비 공정원가 조회부(17)는 상기 4차 고객사 C/C제품 구매비 배부까지 완료된 데이터 중 외주내역이 있는 경우 외주내역을 찾아(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는 WRK_TYP로 구분. 작업일보 업로드 시, 'S', 외주비 업로드 시 'O'으로 자동 저장.) 노무비 배부 금액과 EA당 공정원가를 산출하여 집계 관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설비별 제품별 공정원가 조회부(18)는 상기 4차 고객사 C/C제품 구매비 배부까지 완료된 데이터를 이용해 제품별 공정원가를 산출하고 이를 집계 관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제품별 누적원가 조회부(19)는 상기 4차 고객사 C/C제품 구매비 배부까지 완료된 데이터를 이용해 제품별 누적원가 및 이를 이용한 제품원가를 산출하고 관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제품별 원가 조회부(20)는 상기 제품별 누적원가 조회부(19)로부터 누적 고정비, 공정비로 산출된 제품원가를 집계하여 관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원가관리부(900)의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원가관리부(900)는 이상원가 조회부(101), 원가절감 조회부(102), 손익분기점 조회부(103), 공헌이익률조회부(104) 및 목표이익 조회부(105)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의 이상원가는 제품별 공정 별 생산성 100%, 수율 100% 일 때의 원가로 정의된다.
이상원가 조회부(101)는 각 제품별로 산출된 공정원가에 공정원가에 효율을 곱하여 이상원가를 산출하여 집계하고 관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원가절감 조회부(102)는 제품별 생산지표를 참고하여 사용자가 작업량과 수율을 조정하였을 때 각각 예상되는 원가절감을 조회할 수 있는 기능을 수행한다.
손익분기점 조회부(103), 공헌이익률조회부(104) 및 목표이익 조회부(105)는 각각
본 발명에서 손익분기점은 손익분기점은 수익과 비용이 같아서 이익도 손실도 생기지 않는 경우의 매출액으로 정의된다. 또한, 매출액에서 고정비와 변동비를 제하면 순수익이 된다. 공헌이익은 매출액에서 총 변동원가를 감한 금액이며, 단위당 공원이익에 판매수량을 곱하여 산출한다. 단위당 공헌이익은 단위당 판매가격에서 단위당 변동원가를 감한 금액으로 정의된다.
목표이익에 의해 목표 판매량이 결정된다, 예를 들면, 고정원가에 목표이익을 더한 것을 단위당 공헌이익으로 나누면 목표 판매량을 결정할 수 있다. 또한, 고정원가에 목표이익을 더한 것을 공헌이익률으로 나누면 목표 매출액을 결정할 수 있다.
손익분기점 조회부(103), 공헌이익률조회부(104) 및 목표이익 조회부(105)는 각각 제품별로 산출된 제조에 따른 제품원가, 고정원가, 고정원가와 판매단가, 판매수량, 고정비로부터 손익률, 손익분기점, 공헌이익, 공헌이익률, 목표이익을 산출하여 집계하여 관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원가관리장치를 이용한 원가관리방법에 대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먼저 사용자에 의해 원가관리에 소요되는 기준정보가 입력되고 관리되는 기본정보 관리단계(1100)가 수행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기준정보 관리단계(1100)에 포함된 내용을 도시한 것이다.
기준정보 관리단계(1100)에는 기준정보 등록 단계(1101), 비용 업로드단계(1102), 원재료비 업로드 단계(1103), 구매일보 등록 단계(1104), 작업일보 등록 단계(1105), 감가상각비 관리단계(1106), 급여 및 임금관리 단계(1107) 업무를 포함한다.
기준정보 등록단계(1101)에서는 기준정보 관리부(980)의 계정코드관리부(81), C/C 코드관리부(82), 사원별 C/C 지정부(83), 설비C/C별 인원배부 설정부(84), 거래처정보 등록부(85), 제품정보 등록부(86), 반제품정보 등록부(87), 공정코드 등록부(88) 설비코드 등록부(89), 자재정보 등록부(90) 제조공정도 등록부(91)에 사용자가 기준정보를 입력하여 등록한다. 추후 변동사항이 있을 경우에는 수정/삭제하는 업무를 포함한다.
다음 도 12 ~ 20은 기준정보 등록 단계(1101) 업무의 입력 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기준정보 등록 단계(1101)에서 계정코드를 등록하고 관리하는 계정코드관리부(81)의 입력 예시를 도시한 것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계정코드 등록 관리 단계에서 계정코드관리부(81)에 사용자가 각 비용 계정(예: 수선비, 금형비, 보험료, 소모품비, 외주가공비, 임차료, 급여, 제수당, 복리후생비 등)별로 계정코드를 부여하고, 매월 당월 결산금액 메뉴에 당월 결산금액을 업로드한다. 각 계정별로 배부구분에서 사용자는 「고정비/ 변동비/ 고정비+변동비」를 지정한다.
예) 제품을 생산하기 위해선 비용 중, 변동비는 생산활동량에 비례해서 증가하거나 감소하는 비용, 일반적으로 제품을 만드는데 필요한 재료비, 외주 가공비 등이 포함된다.
고정비는 생산 활동과는 무관하게 고정적으로 지출되는 비용을 의미하며, 인건비, 일반적으로 직접 인건비, 설비 감가상각비, 임차료, 복리후생비 등이 포함된다.
일반적으로 제품 생산에 발생하는 비용을 구성하는 비율 중, 변동비가 높은 산업일수록 경기 사이클의 진폭에 영향을 받는 시장상황에 유연히 대처가 가능하다.
또한, 사용자는 계정별로 배부구분 값 및 비율(고정비 비율 또는 변동비 비율)을 지정 입력한다. 전력비의 경우 생산에 소요된 전력비는 변동비, 사무실 등에서 사용된 전력비는 고정비로 구분하여 배분한다.
이것으로 원가관리모듈(19)은 원가계산 시, 업로드된 데이터를 가지고 고정비, 변동비를 내부적으로 산출하여 배부할 수 있다.
또한, 기준정보 등록단계(1101)에서 사용자는 C/C 코드관리부(82)에 각 제품을 생산, 제조하는 각 설비 공정을 등록하고 각 설비 공정에 대해 C/C코드를 부여하는 단계를 수행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C/C 코드관리 메뉴는 <거래처정보(고객사), 제품정보, 반제품정보, 공정코드, 설비코드, 자재코드> 각 코드 관리메뉴에서 데이터 생성 시, 시스템 제어부의 프로세스에 에 의해 C/C코드가 자동 생성되도록 프로그램되고, 또한, 사용자에 의해 수정도 가능하게 프로그램된다. 자동 생성된 코드 외에 추가적인(예. 제조공통, 설비공통) 코드가 추가로 등록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기준정보 등록단계(1101)에서 C/C 코드관리부(82)의 입력 예시를 도시한 것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원가관리모듈(19)의 각 메뉴에서 구성 품목 데이터가 추가가 되면, 자동으로 C/C코드 내역에 함께 C/C코드가 생성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 공통구분은 '지정안함'/'공통'/'제조공통'의 3개 값을 구분하여 기재될 수 있다, '지정안함'은 '공통' 이나 '제조공통'에 해당되지 않는 경우를 구분하여 기재된다.
예를 들면, 공통은 설비와 작업자가 1:1로 지정 관리가 되지 않은 경우. [C/C 구분 = 설비, 공통구분 = 공통으로 지정], 설비공통으로 지정되면 [설비C/C별 인원배부 설정부(84)] 메뉴에서 고정비, 변동비 금액 배부를 하게 된다. 또한, 제조공통은 C/C에 배부되지 않은 계정금액을 나타낸다. C/C 구분 메뉴에는 고객사/ 제품·반제품 /공정/설비로 구분하여 기재된다. 여기서 고객사는, 거래처정보 생성시, C/C구분은 '고객사'로 지정되고 C/C내역에 자동 생성되도록 프로그램된다.
또한, 제품, 반제품은 제품정보, 반제품정보 생성시에, C/C 구분은 '제품, 반제품' 로 지정하고, C/C내역에 자동 생성되도록 프로그램 된다.
공정은, 공정정보 생성시, C/C 구분은 '공정'으로 지정되고 C/C내역에 자동 생성된다.
설비는, 설비정보 생성시, C/C 구분은 '설비'로 지정되고 C/C내역에 자동 생성된다.
설비공통C/C는 [공통구분='지정안함', C/C구분='설비']인 코드일 경우, 지정한다.
공정C/C는: [C/C 구분=설비]인 코드일 경우, 지정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기준정보 등록단계(1101)에서 설비C/C별 인원배부 설정부(84)에 사용자에 의해 공정 C/C별, 설비C/C별로 작업 인원을 배부하여 등록 설정되는 단계를 포함한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기준정보 등록단계(1101)에서 설비C/C별 인원배부 설정부(84)의 입력 예시를 도시한 것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C/C코드 [공통구분=공통, C/C구분=설비](이하 설비공통이라 지칭)를 조회하여 입력할 수 있다. 사원별 C/C 지정부(83)의 사원별 C/C 지정에서 설비공통으로 지정 사원내역을 참고하여 설비 인원배부에 입력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는 '사원 설비공통C/C 지정 내역'을 참고하여 설비C/C별 [인원배부]에 설비 가동시간 및 기여도에 따라 기업에서 판단한 인원배부 값 사용자가 입력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공정에 한 달간 작업자 수에 임금총액을 나누어 1인당 평균임금으로 계산하고 설비 실제 작업시간 및 기여도에 따라 인원배부를 한다. 예를 들면, 혼합기 1호에는 한 달에 2사람이 근무하고, 혼합기 2호에는 한 달에 10일간만 1사람이 근무하였을 경우, 혼합기 1호기에는 2명, 혼합기 2호기에는 1명으로 배부된다. 2호기의 가동률이 약 33.33%가(30일 중에 10일만 일을 했으니까) 되므로 2호기에서 생산된 공정품의 원가는 상승하게 된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기준정보 등록단계(1101)에서 거래처정보 등록부(85)의 입력 예시를 도시한 것이다.
도 15를 참조하면, 기준정보 등록단계(1101)에서 사용자는 거래처정보 등록부(85)에 고객사, 구매처, 외주처를 등록하여 관리한다. 이 메뉴에서 [업체구분=고객사]인 코드가 생성되면, 제어부의 제어프로세스에 의해 C/C내역에 [C/C구분=고객사]으로 동시에 자동 생성 된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기준정보 등록단계(1101)에서 제품등록부(86)의 입력 예시를 도시한 것이다.
도 16을 참조하면, 사용자는 제품등록부(86)에서 제품 품목을 제품코드와 함께 등록을 하고 관리한다. 제품코드가 생성되면, C/C내역에 [C/C구분=제품, 반제품]으로 동시에 자동생성이 되도록 프로그램 된다. 제품정보에는 제품분류 및 단중량을 더 포함하여 기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 단중량은 제품 하나의 중량으로 정의된다. 단중량과 제품분류는 제품의 상세정보이며 사용자가 직접 입력한다.
반제품등록부(87)는 제품등록부(86)와 동일한 패턴으로 등록 관리된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기준정보 등록단계(1101)에서 공정코드등록부(88)의 입력 예시를 도시한 것이다.
도 17을 참조하면, 공정코드 등록부(88)에 사용자가 각 공정을 등록하고 관리한다. 공정코드등록부(88)에는 각 공정을 공정코드와 함께 등록을 하고, 설비내역에 설비코드와 함께 설비정보가 기재된다.
공정코드가 생성 되면, C/C내역에 [C/C구분=공정]으로 동시에 자동생성이 되도록 프로그램 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생성된 공정코드는 C/C코드로 자동생성 되기 때문에 [C/C코드 관리] 메뉴에서 조회가 가능하다(예시. 공정코드 'M01'를 생성 >> C/C코드가 'M01'이고, 상세정보 'C/C 구분=공정' 인 C/C코드가 자동 생성된다. 확인 및 조회는 C/C코드 관리 메뉴에서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기준정보 등록단계(1101)에서 설비코드 등록부(89)의 입력 예시를 도시한 것이다.
도 18을 참조하면, 설비코드등록부(89)에 사용자가 생산에 소요되는 혼합기, 프레스기와 같은 설비를 등록하고 관리한다. 설비정보와 함께 설비코드가 등록 생성이 되면, C/C내역에 [C/C구분=설비]로 동시에 자동생성이 되도록 프로그램 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생성된 설비코드는 C/C코드로 자동 생성되어 [C/C코드 관리] 메뉴에서 조회가 가능하도록 프로그램된다(예시. 설비코드 'E001'를 생성 >> 코드가 'E001'이고, 'C/C 구분=설비'인 C/C코드가 자동 생성된다. 확인 및 조회는 C/C코드 관리 메뉴에서 조회될 수 있도록 프로그램된다.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기준정보 등록단계(1101)에서 자재정보 등록부(90)의 입력 예시를 도시한 것이다.
도 19를 참조하면, 기준정보 등록단계(1101)에서 사용자는 자재정보 등록부(90)에 제조에 필요한 자재를 등록하고, 관리한다.
도 2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기준정보 등록단계(1101)에서 제조공정도 등록부(91)의 입력 예시들 도시한 것이다.
도 20을 참조하면, 기준정보 등록단계(1101)에서 사용자는 제조공정도 등록부(91)에 제품 또는 반제품의 제조공정도를 등록하고 관리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조공정도 등록부(91)에 입력되어 등록되는 제조공정도 데이터와 사용자가 매월 업로드 시키는 데이터를 이용해 생산지표와 원가를 계산한다.
제조공정도 등록부(91)에는 공정코드, 공정명, 작업구분, 설비명, 표준공수, 표준시간, 공정순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공정별 투입자재(B.O.M)도 입력 등록된다.
또한, 기준정보 관리단계(1100)에는 비용업로드 단계(1102)가 포함된다.
비용 업로드 단계(1102)에서는 사용자가 비용업로드부(970)의 매출등록부(71), 외주비등록부(72), 전력비등록부(73), 가스수도료등록부(74), 임차료등록부(75), 복리후생비 등록부(76)에 매월 비용 업로드 정보를 업로드하는 과정을 수행한다.
기업 내 관리 항목에 따라 비용업로드 메뉴는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기능을 변경하는 커스터마이징이 가능하다.
다음 도 21 ~ 23은 비용 업로드 단계(1102)의 입력 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비용 업로드 단계(1102)에서 매출등록부(71)의 비용 업로드 입력 예시를 도시한 것이다.
도 21을 참조하면, 매출등록부(71)에는 매출에 관련된 발주번호, 발주일자, 제품코드, 제품명, 수량, 단가, 금액이 매월 업로드 된다.
도 2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력비등록부(73)의 비용 업로드 입력 예시를 도시한 것이다.
도 22를 참조하면, 전력비등록부(73)에는 사용자에 의해 각 설비별로 소요되는 전력비를 등록하고 매월 업로드 된다.
또한, 가스수도료 등록부(74)에는 사용자에 의해 각 설비별로 소요되는 가스수도료를 등록하고 매월 업로드 된다.
또한, 임차료 등록부(75)에는 사용자에 의해 각 설비별로 소요되는 면적 및 면적에 따른 임차료를 등록하고 매월 업로드 되는 임차료 업로드 단계가 수행된다.
또한, 복리후생비 등록부(76)에는 사용자에 의해 각 설비별로 해당 인원 및 인원에 따른 복리후생비를 등록하고 매월 업로드 된다
도 2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외주비등록부(72)의 비용 업로드 입력 예시를 도시한 것이다.
도 23을 참조하면, 외주비등록부(72)에는 사용자에 의해 발주번호, 발주일자, 발주량, 외주처, 제품코드, 제품명, LOT 번호, 공정코드, 공정명, 설비코드 설비명, 입고량, 양품량, 불량, LOSS량, 단가, 합계금액 등이 매월 업로드 된다.
원재료비 업로드 단계(1103)에서는 사용자는 매월 원재료 정산단가 또는 원재료비를 업로드 한다.
도 24a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원재료비 업로드 단계(1103)에서 원재료비 관리부의 원재료 업로드 단계의 입력 예시를 도시한 것이다.
원재료비 관리부에 사용자는 제품코드, 원재료코드, 수량, 자재 단가 금액이 포함된 정보가 입력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 제품은 생산품목이며, 원재료는 제품 생산에 필요한 재료 또는 자재를 의미한다.
입력된 내용은 계정코드(일 실시 예에서의 계정코드<500> 집계되며, 업로드 된 금액에 의해 원재료비가 산출된다.
원재료비는 원재료 정산단가로 산출할 수 있다.
도 2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원재료비 정산단가부의 비용 업로드 입력 예시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계정코드(일 실시 예에서의 계정코드<500>)로 집계되며, 업로드 된 자재 단가와 해당월의 작업일보에 대하여 작업량과 제조공정도-BOM을 기준으로 투입량을 계산하여 원재료비가 자동으로 계산되어 산출되어 조회된다(원재료비= 정산단가 * 작업일보 작업량 * BOM 투입량)
구매일보 등록단계(1104)에서는 사용자에 의해 구매일보 등록부에 구매된 재료의 비용 업로드 입력이 수행된다.
도 2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구매일보 등록부의 비용 업로드 입력 예시를 도시한 것이다.
구매일보 등록부는 사용자에 의해 구입일자, 거래처코드, 금형코드, 규격, 단가, 수량, 금액, 계정코드, 계정과목, C/C코드 및 C/C명 등이 등록되고 매월 업로드된다. 구매일보 등록부(51)에서 해당 계정코드별, C/C 코드별 금액의 집계가 가능하다.
작업일보 등록단계(1105)에서 사용자는 작업일보의 작업일보번호, 작업일자, LOT번호, LOT수량, 제품코드, 공정코드, 설비코드, 표준공수, 작업시간 작업량 등이 입력되며, 매월 업로드 한다. 작업일보에서는 자체작업과 외주작업을 구분하여 등록한다. 예를 들면, 자체작업 업로드 시, 'S', 외주비 업로드 시 'O'로 저장된다.
업로드 된 작업일보를 통해 생산지표, 원가계산 산출에 이용된다.
감가상각비 관리단계(1106)에서 사용자는 감가상각코드를 관리하고 매월 감가상각비 등록부(32)에 감가상각비를 업로드 한다. 업로드 데이터 작성 시, 감가상각코드와 설비C/C가 기입된다.
도 2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감가상각비 관리단계(1106)에서 감가상각비 등록부(32)의 입력 예시를 도시한 것이다.
급여 및 임금관리 단계(1107)는 급여 및 임금 등록단계(711), 설비별 노무비 배부단계(712) 그리고 월별 노무비 변동등록단계(713)를 포함하여 수행된다.
급여 및 임금 등록단계(711)에서 사용자는 급여 및 임금등록/조회부(21)에 계정코드별로 매월 사원별 기본급(예를 들면, 계정코드<502>), 상여금(예를 들면, 계정코드<503>), 연장근로수당(예를 들면, 계정코드<504>), 제수당(예를 들면, 계정코드<505>), 연차수당(예를 들면, 계정코드<506>), 퇴직금 충당금(예를 들면, 계정코드<507>을 업로드 한다.
도 2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급여 및 임금 등록단계(711)에서 급여 및 임금등록/조회부(21)의 입력 예시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입력된 급여 및 임금의 고정비 및 변동비의 배부 예를 보면, 다음과 같다.
- 기본급(계정코드<502>) = 고정비
- 상여금(계정코드<503>) = 고정비
- 연장근로수당(계정코드<504>) = 고정비
- 제수당(계정코드<505>) = 변동비
- 연차수당(계정코드<506>) = 변동비
- 퇴직금충당금(계정코드<507>) = 고정비
- 고정비 / 변동비 계산
(a) 고정비 = 기본급 + 상여금 + 연장근로수당 + 퇴직금충당금
(b) 변동비 = 제수당 + 연차수당
계정별로 고정비와 변동비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 기존 이력에 따른 배분비율을 설정하여 산정할 수 있다.
예) 연차수당(계정코드<506>) 배부구분 = 비율로 설정되면, 고정비 비율 = 60%, 변동비 비율 = 40% 일 때(이 비율은 기존 이력에 따라 기업별로 설정하며, [계정코드 관리부(81)] 메뉴에 '배부구분/비율'에서 사용자가 입력하도록 시스템 제어부(15)에서 프로그램된다.
연차수당을 비율로 산정시에는, 연차수당의 고정비 = 연차수당 * 60%, 연차수당의 변동비 = 연차수당 * 40%로 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업로드된 데이터에 의해 고정비/변동비를 입력 및 설정된 조건에 의해 시스템 제어부(15)에서 자동으로 산출하여 배부하고, 월별 설비별 노무비 조회부(24)에서 설비별 노무비를 자동으로 배부하고 계산하도록 프로그램된다.
도 2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월별 설비별 노무비 배부단계(712)에서 월별 설비별 노무비 조회부(24)에 노무비가 배부되어 입력된 예시를 도시한 것이다.
설비별 노무비 배부단계(712)에서는 사용자가 입력 또는 업로드한 데이터 및 설정된 조건을 기반으로 원가관리장치의 제어부에 의해 설비별 노무비가 자동 배부되는 과정이 수행된다.
이 단계에서는 먼저 [기준정보 관리 > 사원별 C/C 지정]을 기준으로 설비, 설비공통에 지정된 사원 정보들을 불러오는 단계가 수행된다.
그리고 해당 설비, 설비공통에 지정된 사원들의 고정비 합, 변동비 합을 설비 노무비에 다음과 같은 산출식을 적용하여 배부하는 단계가 수행된다.
여기서, 공통설비는 생산을 위해 공통으로 사용되는 설비를 의미한다.
예1) C/C구분=설비: 해당 설비에 지정된 사원들의 고정비 합, 변동비 합을 설비 노무비에 배부한다.
예2) C/C구분=설비공통: 해당 설비에 지정된 사원들의 고정비 합, 변동비 합과 [기준정보 관리 > 설비C/C별 인원배부 설정]에서 인원 배부값을 이용하여 계산한다.
예3) 설비공통: 혼합 공통비 | 설비는 [기준정보 관리 > 설비C/C별 인원배부 설정]에서 혼합기1호의 인원배부 1.2명이고, 설비: 혼합기2호의 인원배부 0.8명으로 설정 등록되었고, 혼합 공통에 지정된 사원 2명의 임금은 위 급여 및 임금관리 단계(1107)에서 고정비 합 - 7,030,000원, 변동비 합 - 270,000원으로 등록되었을 경우 다음과 같이 산출되어 입력된다.
- 고정비 합+변동비 합 (A) = 7,030,000 + 270,000
- 고정비 비율(B) = (7,030,000 / (7,030,000+270,000))
- 변동비 비율(C) = (270,000 / (7,030,000+270,000))
A. 혼합기1호 노무비 배부
- 고정비 = (A) * (1.2 / 2) * (B)
- 변동비 = (A) * (1.2 / 2) * (C)
B. 혼합기2호 노무비 배부
- 고정비 = (A) * (0.8 / 2) * (B)
- 변동비 = (A) * (0.8 / 2) * (C)
월별 노무비 변동 등록단계(713)는 월별 임금C/C 변동 등록, 월별 설비인원배부 변동 등록 및 월별 설비별 노무비 조회단계를 포함한다.
월별 임금C/C 변동 등록단계(713)에서 사용자는 [기준정보 관리부(980) - 사원별 C/C지정부(83)]에서 지정된 기준정보와 다른 변수가 발생한 경우, 해당 월에 변동된 값을 변경 등록하여 저장하는 과정이 수행된다.
또한, 임금C/C 변동 등록부(22)에서 해당 월 변수가 생겼을 경우, 지정 값을 변경 저장한다.
기본값은 [기준정보 관리 > 사원별 C/C 지정]을 불러온다. 다음은 사용자가 해당월의 사원별 C/C 지정에 변수가 생겼을 경우, 사용자는 지정값을 변경 저장한다.
도 2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월별 노무비 변동 등록단계(713)에서 임금C/C 변동 등록부(22)의 입력 예시를 도시한 것이다.
월별 임금C/C 변동 등록단계(713)에서 기본값은 [기준정보 관리부(980) > 사원별 C/C지정부(83)]을 불러온다. 해당 월 변수가 생겼을 경우, 사용자는 지정 값을 변경 저장한다.
당월 변동된 내역이 있을 경우, [급여 및 임금 등록/조회부(21)]에서 임금 업로드 후, 사용자는 자동 배부 계산 된 내역을 삭제하고 변동된 내용을 포함하여 같은 배부 공식으로 설비별 노무비 배부를 다시 해준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는 사용자가 임금 변동된 내역을 급여 및 임금 등록/조회부(21)에 업로드를 다시 해주면 설비별 노무비 집계는 시스템 제어부(15)에 의해 자동으로 변경이 된다.
또한, 월별 노무비 변동 등록단계(713)에서는 사용자가 월별 설비인원배부 변동 등록부(23)에서 배부된 내역을 조회하고 해당월 변수가 생겼을 경우, 지정 값을 변경 저장하는 과정을 더 포함한다.
먼저 기본값은 [기준정보 관리부(980) > 설비C/C별 인원배부 설정부(84)]를 불러온다. 인원 배부에서 설비별 노무비 배부는 [급여 및 임금 등록/조회부(21)]에서 임금 업로드 후, 자동 배부 계산 된 내역을 조회한다. 해당월 변수가 생겼을 경우, 지정 값을 변경 저장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는 수정하고자 하는 설비의 행을 더블 클릭하여 수정모드에서 입력 후, 저장 버튼을 통해 월별 설비별 노무비를 관리하는 Database Table에 저장하도록 프로그램된다.
당월 변동된 내역이 있을 경우, [급여 및 임금 등록/조회부(21)]에서 배부한 공식을 적용하여 시스템 제어부(15)에 의해 자동으로 배부된다.
또한, 월별 설비별 노무비 배부단계(712)에서는 위 월별 임금C/C 변동 등록, 월별 설비인원배부 변동 등록단계 메뉴를 거쳐 설비별로 배부된 고정비, 변동비를 조회한다.
다시 도 9를 참조하면, 기준정보 관리단계(1100) 이후에는 생산지표 산출단계(1150)가 수행될 수 있다.
생산지표 산출단계(1150)에서는 기본정보 관리단계(1100)의 작업일보 등록단계(1105)에서 업로드된 작업일보를 통해 생산지표를 원가관리장치의 제어부로부터 자동으로 산출되어 생산지표 조회부(42)에 기입된다.
도 3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생산지표 조회부(42)의 예시를 도시한 것이다.
도 30을 참조하면, 생산지표 조회부(42)는 기준정보 관리부(980)에서 입력된 작업일보번호, 작업일자, LOT번호, LOT수량, 제품코드, 공정코드, 설비코드, 표준공수, 작업시간이 작업일보 등록부(41)로부터 추출되어 다음 산출식을 적용하여 가동률, 능률, 생산성, 수율 및 효율이 자동으로 산출 기입된다.
- 가동률 = (작업시간 - 비 가동시간) / 작업시간
- 능률 = 작업수량 / ((작업시간 - 비 가동시간) * 표준공수)
- 생산성 = 가동률 * 능률
- 수율 = 양품량 / 작업량
- 효율 = 생산성 * 수율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생산지표 산출단계(1150)는 필요에 따라서 선택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즉, 필요에 따라서 생산지표 산출단계(1150)를 제외하고 바로 다음 결산서 상세 조회단계(1200)를 수행할 수 있다.
다음은 각 계정별 결산금액과 고정비, 변동비 금액을 조회할 수 있는 결산서 세부내역이 생성되어 조회되는 결산서 상세 조회단계(1200)가 수행된다.
도 3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결산서 상세 조회단계(1200)에서 생성된 결산서 상세조회부(11)에 대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31을 참조하면, 결산서 상세 조회단계(1200)에서는 결산서 상세조회부(11)에 각 부의 메뉴에서 입력된 계정별 고정비와 변동비 결산금액이 자동으로 집계되어 생성되도록 원가관리장치의 제어부에서 프로그램이 된다.
상세내역에는 사용자가 업로드한 데이터를 기반으로 C/C별 고정비와 변동비가 자동으로 집계되어 등재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계정코드 원재료비 <500>의 C/C별 상세는 원재료비 업로드 시, 입력 Form에 기재한 C/C 코드별로 집계되도록 프로그램이 된다. 또한, 계정코드 원재료비<500> 상세정보에 '배부구분=변동비'으로 입력된 부분은 모두 변동비에 집계되도록 프로그램이 된다.
다음은 C/C별 계정 배부 조회단계(1300)가 수행된다.
도 3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C/C별 계정 배부 조회단계(1300)에서 생성된 C/C별 계정배부 조회부(12)에 대한 예를 도시한 것이다.
C/C별 계정 배부 조회단계(1300)에서는 C/C별 계정배부 조회부(12)에 상기 기준정보 관리단계(1100)의 각 부의 메뉴에서 입력된 공정 C/C별 고정비와 변동비가 자동으로 집계되어 생성되도록 원가관리장치의 제어부에서 프로그램이 된다.
도 32를 참조하면, C/C별 계정 배부 조회단계(1300)에서 제조공통, 공정, 설비공통, 설비의 C/C별로 고정비, 변동비 배부 금액을 조회하고, 각 상세내역을 확인 할 수 있다. C/C별 계정배부 조회부(12)의 배부 금액은 비용업로드 단계(1102)에서 비용업로드부(970)에 사용자가 업로드한 데이터를 '계정코드 관리 - 배부구분'에 따라 고정비, 변동비를 구분 집계하고, '급여 및 임금'은 급여 및 임금 관리단계(1107)에서 설비별로 배부 완료 된 고정비, 변동비를 불러내어 원가관리장치의 제어부의 제어 프로세스에 의해 집계하여 생성된다.
다음은 1차 공정비 배부단계(1400)가 수행된다.
1차 공정비 배부단계(1400)에서는 원가관리장치의 제어부의 제어 프로세스에 의해 공정비 배부 조회부(13)에 기준정보 관리단계(1100)의 각 부의 메뉴에서 각 부의 메뉴에서 입력된 C/C별 공정에 대한 고정비와 변동비를 불러와서 상단부에 집계하고, 해당 공정과 연결된 설비를 각각 하단부에 불러온 다음, 해당 공정과 관련된 설비에 공정비를 각각 추가로 배부되도록 산출하여 집계 관리된다.
도 3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1차 공정비 배부단계(1400)에서 생성된 공정비 배부 조회부(13)에 대한 예를 도시한 것이다.
원가관리장치의 제어부의 제어 프로세스는 'C/C코드 관리 - C/C구분=공정'에 배부된 고정비, 변동비를 집계하고, 상단 [배부]버튼 클릭 시, 'C/C코드 관리 - 공정C/C'를 기준으로 해당 공정과 연결된 설비에 배부하도록 프로그램이 된다.
도 33을 참조하면, 1. 배부 전(도 33의 노란색 박스로 표시되 부분) 금액은 다음과 같이 조회된다.
(1) 사용자의 배부 전후 금액 변동을 확인하기 위해 '1차 배부 전 금액'을 조회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1차 배부 전 금액' 조화를 위해 내부 프로세스에 의해 함수 FN_GET_SELECT_ACC가 사용된다. 본 메뉴에서는 함수 FN_GET_SELECT_ACC에 의해 기준정보, 업로드 데이터들을 다음 [표 1]과 테이블 구조를 갖는 임시 테이블을 만들어 변환을 한다.
표 1은 함수 FN_GET_SELECT_ACC 테이블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Figure pat00001
표 1을 참조하면, [계정코드 관리]는 C/C코드 관리 테이블에서 불러온 기본정보이다.
임금, 감가상각비, 복리후생비, 가스수도료, 전력비, 임차료, 구매일보 데이터와 계정코드를 기준으로 하여 계정 세부 관리항목인 '배부구분'에 따라 고정비, 변동비로 집계된다.
여기서, 임금의 경우 사원별 C/C 지정, 월별 임금C/C 변동 등록 메뉴를 기준으로 하여 C/C별 노무비를 집계한다.
임금을 제외한 항목은 업로드 된 금액을 가지고 계정코드별 '배부구분' 항목에 기준하여 고정비, 변동비로 집계한다.
(예: 계정코드 관리 메뉴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는 감가상각비-계정코드<512>, 복리후생비-계정코드<508>, 가스수도료-계정코드<509>, 전력비-계정코드<510>, 임차료-계정코드<519> 로 표시하여 관리됨.)
또한, 구매일보 데이터에 계정코드를 가지고 계정코드별 '배부구분' 항목에 기준으로 하여 고정비, 변동비를 집계한다(함수 호출 예시 - SELECT * FROM DBO.FN_GET_SELECT_ACC(회사코드, 해당 년월)).
도 33을 참조하면, 배부 후(도 33의 초록색 박스2로 표시되 부분) 금액은 [배부]버튼 클릭 후, 1차 배부 테이블에 저장된 금액을 조회한다.
다음 표 2는 1차 배부 테이블의 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Figure pat00002
도 33을 참조하면, 배부할 금액(도 33의 청색 박스'3'으로 표시되 부분)은 사원별 C/C지정, 월별 임금C/C 변동 등록 메뉴를 기준하여 ‘공정’에 지정된 사원의 노무비를 집계한다.
예를 들면, 공정비 배부 조회부(13)에 각 부의 메뉴에서 입력된 C/C별 고정비와 변동비를 추출하여 배부 전 메뉴에 집계하고, 해당 공정과 연결된 설비에 배부 내역을 산출하여 배부 후 메뉴에 집계 관리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혼합 공정에 대한 1차 공정비 배부단계는 다음과 같다
혼합공정 고정비 3,711,288원, 변동비 315,000원 | 혼합기 1호, 2호 고정비 합(A) 6,285,740원+4,288,073원, 변동비 합(B) 589,000원+476,000원
① 혼합기 1호 공정비 배부 전 - 고정비 6,285,740원 | 변동비 589,000원
- 배부 후 고정비 : (3,711,288 * (6,285,740 / (A))) + 6,285,740 = 8,491,963원
- 배부 후 변동비 : (315,000 * (589,000 / (B))) + 589,000 = 763,211원
② 혼합기 2호 공정비 배부 전 - 고정비 4,288,073원 | 고정비 476,000원
- 배부 후 고정비 : (3,711,288 * (4,288,073 / (A?))) + 4,288,073 = 5,793,138원
- 배부 후 변동비 : (315,000 * (476,000 / (B?))) + 476,000 = 616,789원
여기서, (A) - 혼합공정을 수행하는 설비의 고정비 합. (예시. 프로그램 데이터를 기준으로 혼합기 1호, 2호 고정비 합(A) 6,285,740원+4,288,073원), (B) - 혼합공정을 수행하는 설비의 변동비 합. (예시. 프로그램 데이터를 기준으로 혼합기 1호, 2호 변동비 합(B) 589,000원+476,000원).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1차 공정비의 배부단계(1400)는 각 설비의 고정비 변동비에 공정에 소용된 고정비 변동비를 더 가산하여 배부하는 것을 의미한다.
혼합 1호기, 2호기의 1차 공정비 배부단계(1400)의 예를 들면, [사원별 C/C지정부(83), 월별 임금 C/C 변동 등록부(22)] 메뉴에서 혼합공정에 지정된 사원들의 임금 고정비, 변동비 합계 금액을 혼합 1호기, 혼합 2호기 고정비, 변동비 비율에 따라 공정에 임금을 배부하는 과정이 수행된다. 1차 공정비 배부단계(1400)는 공정을 담당하는 사원의 임금을 원가에 포함시키는 과정에 해당한다.
1차 공정비 배부단계(1400) 이후에는 2차 공통비 배부단계(1500)가 수행된다.
2차 공통비 배부단계(1500)에서는 원가관리장치의 제어부의 제어 프로세스에 의해 공통비 배부 조회부(14)에 ’C/C코드 관리 - 공통구분=제조공통'에 배부된 사원의 고정비, 변동비를 집계하고, 각 설비에 배부되어 생성이 된다.
도 3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2차 공통비 배부단계(1500)에서 생성된 공통비 배부 조회부(14)에 대한 예를 도시한 것이다.
원가관리장치의 제어부의 제어 프로세스는 「C/C코드 관리 - 공통구분=제조공통」에 배부된 사원의 고정비, 변동비를 집계하고, 상단 [배부]버튼 클릭 시, 설비에 공통비를 배부하도록 프로그램이 된다.
공통비 배부 조회부(14)를 참조하면, 2차 공통비 배부단계(1500)에서는 1차 공정비 배부단계(1400)에서 완료된 각 설비별 고정비 및 변동비 데이터를 배부 전 메뉴에 집계 관리하고, 해당 설비에 대한 불러와서 각 설비에 대해서 배부된 사원의 고정비, 변동비를 산출하여 이를 배부 전 고정비 변동비에 배부하여 집계 관리된다.
먼저, 사용자는 배부 전후 금액 변동 확인을 위해 배부 전 '1차 배부 금액'을 조회한다. 다음은 [배부]버튼 클릭 후, 2차 배부 테이블에 저장된 금액을 조회한다.
1차 배부와 2차 배부 테이블 구조는 같지만 데이터 관리는 따로 이루어진다.
표 3은 2차 배부 테이블의 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Figure pat00003
다음은, 사원별 C/C 지정, 월별 임금C/C 변동 등록 메뉴를 기준으로 하여 '제조공통'에 지정된 사원의 노무비를 집계하여 배부할 금액이 조회된다.
다른 메뉴에서도 동일하게 C/C명 외 다른 세부항목은 각 코드관리 기본정보 테이블에서 불러와서 집계된다.
2차 공통비 배부단계(1500)는 1차 공정비 배부단계(1400)가 완료된 고정비, 변동비 금액에 '제조공통'에 지정된 사원들의 노무비를 집계하여 각 설비의 배부하는 과정을 의미한다.
혼합 1호기의 예를 들면, '제조공통'에 입력되어 포함된 인건비가 있는 경우, 혼합 공정 작업자가 2명이고 설비가 2대라고 하면, 한 사람이 한대씩 담당할 수도 있으나 2명이 공통으로 관리할 때, 노무비에 한하여 혼합공통비로 설정하고 설정된 설비 중요도 및 기여도에 따라 인원 배부를 한다.
도 34를 참조하여 공통비 배부 조회부(14)의 예를 들면, 제조공통 고정비 35,350,748원, 변동비 2,320,000원이고, 1차 공정비 배부단계(1400)에서 1차 배부 완료된 설비들의 고정비 합은 72,288,785원, 변동비 합이 18,443,997원으로 집계된다.
- 혼합기1호 2차 배부 전 - 고정비 8,491,963원 | 변동비 763,211원.
- 배부 후 고정비: (35,350,748 * (8,491,963 / 72,288,785)) + 8,491,963 = 12,644,713원.
- 배부 후 변동비: (2,320,000 * (763,211 / 18,443,997)) + 763,211 = 859,213원.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2차 공통비 배부단계(1500)는 1차 공정비 배부단계(1400)에서 완료된 각 설비별 고정비 및 변동비 데이터에 공통으로 사용된 노무비(사원들의 임금)에 대하여 원가에 포함시키기 위한 과정을 의미한다.
다음은 3차 설비 제품별 간접비 배부단계(1600)가 수행된다.
도 3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3차 설비 제품별 간접비 배부단계(1600)에서 생성된 설비 제품별 간접비 공정비 배부 조회부(13)에 대한 예를 도시한 것이다.
설비 제품별 간접비 공정비 배부 조회부(13)에는 설비공정에 대한 C/C 코드에 대한 배부 전 변동비와 배부 후 변동비가 제어부의 제어 프로세스에 의해 자동으로 산출, 생성되어 조회된다.
도 35를 참조하여 설비에 대한 간접비 배부조회 과정을 설명하면, 원가관리장치의 제어부의 제어 프로세스는 상기 2차 공통비 배부단계(1500)가 완료된 데이터로부터 설비 C/C내역을 불러온 후, 설비에 재료비와 금형비를 작업일보와 외주비 내역으로부터 추출하고, 다음과 같이 해당 설비에 의해 생산된 설비별 제품에 우측 제품별 배부내역에 고정비 및 변동비를 산출하여 배부하는 과정이 수행된다.
도 35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2차 배부금액을 배부 전 '1' 항목에서 조회한다. 그리고 배부]버튼 클릭 후, 3차 배부 테이블에 저장된 금액을 조회한다('2'). 3차 배부에서는 2차까지 배부된 금액으로 업로드 된 작업일보, 외주비 데이터를 이용해 설비별 제품별 고정비, 변동비를 계산하여 배부한다.
표 4는 3차 설비 제품별 간접비 공정비 배부 테이블의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Figure pat00004
도 35의 제품별 배부내역”3”은 3차 설비 제품별 간접비 공정비 배부 테이블, 작업일보 테이블, 외주비, 제품정보 테이블에서 SELECT문으로 불러온 데이터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작업일보와 외주비 데이터는 내역마다 고유번호를 가지고 있다. WRK_NO는 작업일보, 외주비 고유번호를 저장하고, 각 두 테이블에서 상세정보를 불러오는 값이 된다.
표 5는 항목별 데이터를 불러오는 테이블의 예를 도시한 것이다.
Figure pat00005
- 3차 배부 테이블 >> 제품코드(ITEM_CD), 고정비(FIX_AMT), 변동비(MOVE_AMT), 재료비(MTRL_AMT), 금형비(MOLD_AMT), 계(MOVE_TOT), 합계(FIX_AMT + MOVE_TOT)
- 제품정보 테이블 >> 제품명
- LOT번호, LOT량, 작업시간
Figure pat00006
'WRK_TYP = 자작' >> 작업일보 테이블에 LOT수량
Figure pat00007
'WRK_TYP = 외주' >> 외주비 테이블에 LOT수량, 일 실시 예에서 외주는 작업시간이 '0'으로 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혼합기1호에 대한 설비 제품별 간접비 배부단계는 다음과 같이 수행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원가는 직접비와 간접비 또는, 고정비와 변동비를 포함한다.
메뉴[원재료 정산단가]에서 업로드된 데이터를 가지고 원재료비(고정비)를 산출한다.
그리고 금형비는 [구매일보 등록/조회]에 금형 설비(ex: 프레스공정)의 금형비를 집계한다.
① 1차 공정비 배부단계(1400) 및 2차 공통비 배부단계(1500)까지 완료된 설비들의 총 고정비 합, 총 변동비 합으로부터 이를 이용하여 다음과 같이 고정비 비율, 변동비 비율을 산출한다.
- 고정비 비율(A) = 고정비 / (고정비+변동비)
- 변동비 비율(B) = 변동비 / (고정비+변동비)
② 업로드 된 작업일보와 외주비 내역에서 '설비-혼합기1호'를 사용한 제품을 검색하고 다음 내용을 찾아서 입력된다.
- (C): 자체 제작(작업일보) 일 경우, 총 작업시간 합
- (D): 외주(외주비) 일 경우, 총 외주금액 합
③ 고정비(재료비)는 자체 제작만 계산되며. 해당 제품의 제조공정도-BOM을 기준으로 투입된 원재료를 찾아 투입량을 단가에 곱하여 산출된다.
- 재료비 = 작업량 * 정산단가 * 투입량
④ 금형비는 금형설비(프레스공정)로 계산된다. 당월 업로드된 구매일보에서 계정코드-금형비 계정(예를 들면<514>)를 찾아 해당 C/C와 연결된 제품의 금형비가 프로세스에 의해 계산된다.
- 금형비 = 구매일보 계정코드-금형비<514>에 C/C와 연결된 제품 구매금액 합.
⑤ 위 내용으로부터 제품별 고정비, 변동비를 산출하여 배부하여 입력된다
- 고정비 계산
(E): '설비-혼합기1호'의 (고정비+변동비) * (일보의 작업시간 / (C))
⒜ 자체제작: (E) * (A)
⒝ 외주: 외주비 / (D) * '설비-혼합 기1호'의 고정비
- 변동비 계산
⒜ 자체 제작: (E) * (B)
⒝ 외주: 외주비 / (D) * '설비-혼합기1호'의 변동비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품에 대해 직접적으로 파악할 수 없는 원가는 간접비로 분류된다..
표 6, 7은 설비별, 제품별 및 간접비 배부 조회부의 산출 예를 도시한 것이다.
Figure pat00008
여기서, - (A)혼합기1호 고정비율 = (고정비 / (고정비 + 변동비)) * 100
그러므로, (12,644,713 / (12,644,713 + 859,213)) * 100
- (B)혼합기1호 변동비율 = (고정비 / (고정비 + 변동비)) * 100
그러므로, (859,213 / (12,644,713 + 859,213)) * 100
Figure pat00009
- M-002제품의 고정비 = (12,644,713+859,213) * (28/181) * (A)혼합기1호 고정비율
- M-002제품의 변동비 = (12,644,713+859,213) * (28/181) * (B)혼합기1호 변동비율
다음은, 작업시간에 의해 배부된 변동비에 재료비, 금형비가 더해진다.
-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 재료비는 [자작]일 경우에만 변동비에 더해진다.
재료비 = 작업량 * 업로드 된 원재료 정산단가 * 제조공정도BOM 투입량
- 금형비는 금형설비(프레스공정)일 경우에만 변동비에 더해진다. 구매일보 업로드 데이터에서 계정코드- 금형비<514> 중 해당 C/C코드가 'M-002'인 것을 찾아 금형비를 집계하고 더해준다.
제품 M-002는 혼합기1호를 사용하여 혼합공정을 거쳤으며, 해당 공정에서의 고정비는 1,956,088원가 되고, 변동비는 132,917+7,078,400= 7,211,317원이 된다. 한편 해당 공정은 금형설비가 아니기 때문에 금형비가 없는 것으로 산출되었다.
3차 배부 과정을 거치고 나면 제품별 판관비를 집계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 판관비는 기업의 판매와 관리, 유지에서 발생하는 비용 급여와 복리후생비, 임차료와 접대비)을 판관비라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판관비는 제조 직접 경비가 아니므로 '제조공통' 비용으로 집계하여 본 프로그램 배부기준에 의거 배부하거나 필요시 판관비 계정과목을 C/C로 직접 배부 할 수 있도록 프로그램된다. 이 경우 제조공통 - 공정공통 - 설비 순으로 설비의 직접비 값의 크기에 따라 공정 공통비를 배부하고 그 합산 설비의 값에 따라 제조공통비를 배부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2차 배부까지는 주로 간접비 배부의 의미를 가지며 3차 배부, 4차 배부는 설비나 제품의 직접비를 배부하는 의미를 가진다.
3차 설비 제품별 간접비 배부단계(1600) 이후에는 4차 고객사 C/C제품 구매비 배부단계(1700)가 수행된다.
도 3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4차 고객사 C/C제품 구매비 배부단계(1700)에서 생성된 4차 고객사 C/C제품 배부 조회부(16)의 예시를 도시한 것이다.
도 36을 참조하면, 고객사 C/C제품 배부 조회부(16)에는 제품 공정에 투입된 구매비와 관련되어 고객사의 C/C 코드에 대한 구매비에 대해 제품별로 제품코드, 수량, 고정비 변동비를 포함하는 배부 내역을 제어부의 제어 프로세스에 의해 자동으로 산출, 생성되어 조회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구매일보 업로드 데이터 중 고객사C/C코드(입력 된 C/C코드의 상세정보에서 'C/C구분=고객사' 일 경우, 고객사C/C코드라 인식함.)가 입력된 데이터를 찾아 그 금액을 제품별 변동비에 산출하도록 프로그램이 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4차 고객사 C/C제품 배부 과정을 설명하면, 원가관리장치의 제어부의 제어 프로세스는 구매일보에 업로드된 데이터 중 고객사C/C를 기준으로 [거래처정보 등록]에서 등록한 고객사별 거래제품들 중 3차 배부까지 완료된 제품을 찾아 구매금액을 배부한다.
도 36의 제품별 배부내역”1”은 4차 고객사 C/C제품 배부 테이블, 제품정보 테이블에서 SELECT문으로 불러온 데이터이다.
표 8은 4차 고객사 C/C제품 배부 테이블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Figure pat00010
<항목별 데이터를 불러오는 테이블> 예시
- 4차 고객사 C/C제품 배부 테이블 >> 제품코드(ITEM_CD), 고정비(FIX_AMT), 변동비(MOVE_AMT), 고객사C/C(MOVE_CC), 계(MOVE_TOT), 합계(FIX_AMT + MOVE_TOT)
- 제품정보 테이블 >> 제품명
- 수량
'WRK_TYP = 자작' >> 작업일보 테이블에서 양품량
'WRK_TYP = 외주' >> 외주비 테이블에서 양품량
구매일보에 업로드 된 데이터 중 고객사 C/C를 기준으로 [거래처정보 등록]에서 등록한 고객사별 거래제품들 중 3차 설비 제품별 간접비 배부단계(1600)까지 완료된 제품을 찾아 다음과 같이 구매금액을 배부한다.
예를 들면, 배부되는 구매금액은 제품의 변동비로 집계한다. 이는 3차 설비 제품별 간접비 배부단계(1600)에서 배부 완료된 금액에 고객사C/C코드로 집계된 구매금액을 더해주는 것을 의미한다.
① 구매일보에서 C/C코드에 'C/C구분=고객사' 인 내역을 찾아 구매금액을 불러와서 고객사C/C내역 메뉴에 집계한다.
- (A) : 고객사의 구매금액
② [거래처정보 등록]에서 등록한 고객사의 거래제품들 중, 3차 설비 제품별 간접비 배부단계까지 완료된 제품을 찾아 변동비의 합을 구한다.
- (B) : 고객사 거래제품들의 총 변동비 합
-(C) : 각각의 제품 변동비
여기서 (C)각각의 제품 변동비는 3차 배부 Table에서 해당 년월 제품 변동비를 조회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단계별 배부를 거친 데이터는 1차 배부 Table(표 2의 유형), 2차 배부 Table(표 3의 유형), 3차 배부 Table, 4차 배부 Table 이렇게 각 테이블에 저장 관리된다.
표 9, 10은 3차 배부 Table, 4차 배부 Table의 유형을 나타낸 것이다.
Figure pat00011
Figure pat00012
③ 3차 배부 Table에서 해당년월 제품 고정비를 가져와서, 제품별 배부 변동비를 다음과 같이 산출하여 4차 고객사 C/C제품 배부 조회부(16) 테이블의 제품별 배부내역 메뉴에 변동비를 생성 집계한다.
- 제품별 배부 변동비 = (A) * (C) / (B)
다음은 원가산출단계(1800)가 수행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원가산출단계(1800)의 과정을 도시한 것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원가산출단계(1800)는 제어부의 제어 프로세스에 의해 산출하여 집계 조회되는 외주비 공정원가 조회 단계(1810), 설비별 제품별 공정원가 조회단계(1820), 제품별 누적 공정원가 조회단계(1830) 및 제품별 원가 조회단계(1840)의 과정으로 수행된다.
도 37은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원가산출단계(1800)에서 생성 조회되는 외주비 공정원가 조회부(17)의 테이블 예시를 도시한 것이다.
도 37을 참조하면, 외주비 공정원가 조회 단계(1810)에서 외주비 공정원가 조회부(17)는 상기 4차 고객사 C/C제품 구매비 배부단계(1700)를 완료된 데이터 중, 외주내역이 있는 경우 외주내역을 검색하여 노무비 배부 금액과 EA당 공정원가를 산출하여 집계 관리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 [비용 업로드 - 외주비 등록/조회]에서 외주비가 업로드 되면, [사원별 C/C지정, 월별 임금C/C변동 등록]에서 외주설비에 지정된 사원의 임금으로 원가를 자동 산출하고, [외주비 공정원가 조회부]메뉴에서 노무비 배부 금액과 EA당 공정원가 조회된다.
- 노무비 배부의 고정비, 변동비: 4차 배부까지 완료된 설비의 배부 금액.
- 고정비 : 설비의 노무비 고정비 / 양품량
- 변동비 : 단가 + (설비의 노무비 변동비 / 입고량)
여기서, 단가는 1개당 제품 판매금액을 의미한다.
양품량 * 단가 = 외주금액 (외주비 등록/조회 메뉴 참고)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외주비 공정원가 조회 단계(1810)는 필요에 따라서 선택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즉, 외주비가 없는 경우 등 필요에 따라서 외주비 공정원가 조회 단계(1810)를 제외하고 바로 다음 설비별 제품별 공정원가 조회단계(1820)를 수행할 수 있다.
다음은 설비별 제품별 공정원가 조회단계(1820)가 다음과 같이 수행된다.
설비별 제품별 공정원가 조회단계(1820)에서는 상기 4차 고객사C/C제품 구매비 배부단계(1700)를 완료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설비별 제품별 공정원가를 산출하여 집계 관리한다.
도 38은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설비별 제품별 공정원가 조회단계(1820)에서 생성 조회되는 설비별 제품별 공정원가 조회부(18)의 테이블 예시를 도시한 것이다.
도 38을 참조하면, 설비별 제품별 공정원가 조회단계(1820)에서 설비별 제품별 공정원가 조회부(18)는 상기 4차 고객사 C/C제품 구매비 배부단계(1700)를 완료된 데이터로부터 C/C코드, 고정비, 변동비를 포함한 정보를 불러와서(설비 C/C 내역), 해당 설비로부터 생산된 제품의 제품코드, LOT번호, 양품량, 고정비, 변동비를 포함한 정보를 추출하여 원가산출 메뉴에 제품별 고정비 및 제품별 변동비를 산출하고 이로부터 해당 공정에 대한 제품별 공정원가를 산출하여 집계 관리한다.
여기서 설비별 제품별 공정원가는,
- 제품별 고정비(A) = 고정비 / 양품량
- 제품별 변동비(B) = 변동비 / 양품량
- 제품별 공정원가 = (A) + (B)
다음은 제품별 누적 공정원가 조회단계(1830)가 아래와 같이 수행된다.
제품별 누적 공정원가 조회단계(1830)에서는 상기 4차 고객사 C/C제품 구매비 배부단계(1700)를 완료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제품별 공정원가를 산출하여 집계 관리한다.
도 39는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품별 누적 공정원가 조회단계(1830)에서 생성 조회되는 제품별 공정원가 조회부(19)의 테이블 예시를 도시한 것이다.
도 39를 참조하면, 제품별 누적 공정원가 조회단계(1830)에서 제품별 공정원가 조회부(19)는 상기 4차 고객사 C/C제품 구매비 배부단계(1700)를 완료된 데이터로부터 제품에 대한 해당 공정 및 설비 내역을 불러와서, 각 공정 순으로 누적하여 누적된 고정비 및 변동비를 산출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각 공정을 누적한 제품별 누적 원가를 다음 예와 같이 산출하여 집계 관리한다.
① 4차 고객사C/C제품 구매비 배부단계(1700)까지 완료된 데이터를 이용해 제품별 누적원가, 제품원가를 집계한다.
- 누적 고정비, 변동비: 이전 공정의 고정비, 변동비를 누적 집계
ex) 제품 M-001(1001-0001)
표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누적 고정비, 변동비의 산출 에를 나타낸 것이다.
공정 설비 고정비 변동비 누적
(A) 누적 고정비 (B) 누적 변동비
혼합 혼합기1호 3,073,853 16,003,433 3,073,853 16,003,433
프레스 프레스1호 4,751,909 13,841,642 3,073,853+4,751,909 =
7,825,762
16,003,433+13,841,642 =
29,845,075
외주 연마 외주 연통연마 800,533 1,632,000 7,825,762+800,533 =
8,626,295
29,845,075+1,632,000 =
31,477,075
CNC CNC1호 4,430,249 699,814 8,626,295+4,430,249 =
13,056,544
31,477,075+699,814 =
32,176,889
여기서, 공정원가는,
- 고정원가, 공정 변동원가, 공정원가 = [설비별 제품별 공정원가 조회] 메뉴와 공정원가 산출 방법이 동일하다.
그리고 제품원가는,
- 누적원가 = (A)+(B) / 양품량
즉, 제품원가는 마지막 공정의 누적원가로 산출하여 집계된다.
여기서 제품원가는 각 공정비 합의 값에 생산 양품 수량으로 나눈 값을 의미한다.
다음은 제품별 원가 조회단계(1840)이 수행된다.
제품별 원가 조회단계(1840)는 제품별 누적 공정원가 조회단계(1830)에서 누적 고정비, 공정비로 산출된 제품원가를 제품별로 집계하는 과정이 수행된다.
도 4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품별 원가 조회단계(1840)에서 산출되어 생성 조회되는 제품별 원가 조회부(20)의 테이블 예시를 도시한 것이다.
도 40을 참조하면, 제품별 원가 조회부(20)는 제품별 누적 공정원가 조회단계(1830)에서 누적 고정비, 공정비로 산출된 제품원가를 집계하여 당월 고정비, 변동비 변동비율을 포함한 제품원가 및 전월로부터 누계된 고정비, 변동비 변동비율을 포함한 제품원가가 산출된다.
다시 도 6으로 돌아가서 원가 산출단계(1800) 이후에는 원가관리단계(1900)가 수행된다.
원가 관리단계(1900)에는 시스템의 제어프로세스에 의해 이상원가 조회단계, 원가절감조회단계, 손익분기점 조회단계, 공헌 이익률 조회단계 및 목표이익 조회단계가 포함될 수 있다.
이상원가 조회단계에서는 원가 산출단계(1800)에서 산출된 공정원가 데이터로부터 이상원가를 산출하여 집계하는 과정이 수행된다.
도 4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상원가 조회단계(1910)에서 산출되어 집계되는 이상원가 조회부(101)의 테이블 예시를 도시한 것이다.
도 41을 참조하면, 이상원가 조회부(20)는 생산지표 산출단계(1150)에서 추출된 정보 및 상기 제품별 누적 공정원가 조회단계에서 추출된 고정비 및 변동비 정보로부터 제품별 설비별 표준공수, 생산성, 수율, 효율, 공정원가, 고정비 및 변동비와 이상원가를 나타낸다.
본 발명에서 이상원가는 제품별 공정별 생산성 100%, 수율 100%일 때의 원가를 의미한다.
원가절감 조회단계에서는 이상원가 조회부(101)에서 조회된 제품별 생산지표 데이터를 이용하여 원가절감 조회부(102)에서 시스템 제어부의 프로세스에 의해 작업량과 수율 조정을 통해 원가절감을 제시하여 주는 과정이 수행된다.
도 4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원가절감 조회단계에서 조회되는 원가절감 조회부(102)의 테이블 예시를 도시한 것이다.
도 42를 참조하면, 다음과 같이 작업량과 수율 조정을 통해 원가절감을 예상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시스템 제어부의 프로세스에 의해 공정 선택 >> 우측 상단에 사용자가 원하는 작업량, 수율을 입력하고, [원가계산]을 클릭하면, 다음과 같이 원가절감액 산출되도록 프로그램이 된다.
표 8은 제품 M-001(1001-0001)에 혼합공정 - 향상 전 원본 데이터의 예를 나타낸 것이다.
작업량(A) 양품(B) 생산성(C) 수율(D) 고정비(E) 변동비(F) 합계(G)
(E) + (F)
원가(H)
4,200 3,800 79.55% 90.48% 3,073,853 16,003,433 19,077,286 5,020.34
예를 들면, 사용자가 (I).작업량 - 4,800, (J).수율 95% 으로 향상 시켰을 때, 생산성 향상은 표 13, 수율향상은 표 14과 같이 산출되어 조회된다.
양품(Q) 생산성 수율 고정비(K) 변동비(L) 합계(0) 원가(S) 원가절감(U) 절감비율
(I) * (D) (I) / (A) / (C) (D) (E) ((F) / (A)) * (I) (K) + (L) (O) / (Q) (H) - (S) ((H) - (S)) / (H)
작업량 양품(R) 생산성 수율 고정비(M) 변동비(N) 합계(P) 원가(T) 원가절감(V) 절감비율
(A) (A) * (J) (C) (D) (E) (F) (M) + (N) (P) / (R) (H) - (T) ((H) - (T)) / (H)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손익분기점 조회, 공헌이익률조회, 목표이익 조회는 기업경영에 손익관리를 위한 도구로써 사용된다.
그러나 원가분석 자료를 정확하게 산출하기 위해서는 고정비와 변동비 구분을 명확하게 산출하여야 하는데, 그 산출방법이 시스템에서 명확하게 구현되지 않아서 손익관리를 시스템적으로 산출하기가 곤란하여 실제 사용되지 않고 있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는 이에 대한 프로세스를 발명을 하여 전산 프로세스에 의해 사용자의 입력된 데이터에 의해 고정비와 변동비를 산출하고 이를 분석하여 손익관리를 자동으로 구현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 손익분기점은 수익과 비용이 같아서 이익도 손실도 생기지 않는 경우의 매출액을 의미한다.
도 4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손익분기점 조회단계에서 조회되는 손익분기점 조회부(103)의 테이블 예시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손익분기점 조회단계에서는 제품별 누적 공정원가 조회단계(1830)에서 산출된 제품별 누적 공정원가를 제품원가로 적용한다.
산출에 필요한 데이터는 제품별 누적 공정원가 조회단계(1830)에서 산출된 제품별 누적 공정원가 정보 및 상기 기준정보 관리 단계(110)에서 입력된 데이터로부터 상기 원가관리장치의 제어부(15)에서 다음과 같은 산출식에 의해 고정원가(A), 변동원가(B), 제품원가(C), 판매단가(D), 판매수량(E), 고정비(F), 변동비(G), 매출금액(H), 손익(I), 손익율(J)이 산출되어 조회된다.
여기서, 제품원가는 제품별 누적 공정원가 조회단계(1830)에서 산출된 제품별 누적 공정원가를 의미한다.
- 고정원가(A) = 제품원가(C) * (제품의 고정비 / (제품의 누적 고정비+제품의 누적 변동비))
- 변동원가(B) = 제품원가(C) * (제품의 변동비 / (제품의 누적 고정비+제품의 누적 변동비))
- 제품원가(C) = 고정원가(A) + 변동원가(B)
- 판매단가(D) = 매출 업로드 데이터에서 제품의 단가를 불러온다.
- 판매수량(E) = 매출 업로드 데이터에서 제품의 수량를 불러온다.
- 고정비(F) = 판매단가(D) * 고정원가(A)
- 변동비(G) = 판매단가(D) * 변동원가(B)
- 매출금액(H) = 매출내역에 제품의 금액
손익(I) = 매출금액(H) - 고정비(F) - 변동비(G)
- 손익율(J) = (판매단가(D) - 제품원가(C)) / 제품원가(C)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품의 누적 고정비와 누적 변동비의 예는 제품별 누적 공정원가 조회단계(1830)에서 산출된 제품별 누적 공정원가로부터 산출된 것으로써, 앞의 표 12와과 같은 데이터로부터 불러서 적용할 수 있다.
다음은 손익분기점을 산출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손익분기점은, 수익과 비용이 같아서 이익도 손실도 생기지 않는 경우의 매출액을 의미한다.
- 손익 매출금액 = 고정비(F) / (1 - (변동비(G) / 매출금액(H)))
- 손익 판매량 = 고정비(F) / (고정비(F) + 손익(I))
- 손익 비율 = 고정비(F) / (판매단가(D) - 변동비(G))
도 4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헌 이익률 조회단계에서 조회되는 공헌 이익률 조회부(104)의 테이블 예시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헌이익률은 이익에서 변동비를 뺀 금액을 의미하며, 원가관리장치의 제어부(15)에서 상기 원가관리장치가 제품별 누적 공정원가 조회단계(1830)에서 산출된 고정비 및 변동비가 포함된 제품별 누적 공정원가 정보 및 상기 기준정보 관리 단계(1100)에서 입력된 데이터로부터 다음과 같은 산출식에 다음과 같은 산출식에 의해 산출되어 조회된다.
- 공헌이익 = 매출금액(H) - 변동비(G)
- 한계이익 = 매출금액(H) - 고정비(F)
- 단위당 공헌이익(M) = 판매단가(D) - 변동원가(B)
- 공헌이익률(O) = 단위당 공헌이익(M) / 판매단가(D)
도 4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목표이익 조회단계에서 조회되는 목표이익 조회부(104)의 테이블 예시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목표이익 조회단계는 사용자에게서 목표이익이 입력되면(입력 후 엔터키 클릭 시), 상기 원가관리장치의 제어부(15)에서 제품별 누적 공정원가 조회단계(1830)에서 산출된 고정비 및 변동비가 포함된 제품별 누적 공정원가 정보, 상기 기준정보 관리 단계(1100)에서 입력된 데이터 및 상기 공헌 이익률 조회단계에서 산출된 데이터로부터, 다음과 같은 산출식에 의해 목표이익을 얻을 수 있는 판매량과 판매금액을 자동산출 하고, 저장 버튼 클릭 시 해당 데이터를 저장하는 과정이 수행된다.
- 판매량 = (고정비(F) + 목표이익) / 단위당 공헌이익(M)
- 판매금액 = (고정비(F) + 목표이익) / 공헌이익률(O)
1: 원가관리 시스템
10: 원가관리장치
19: 원가관리모듈
20: 사용자 단말기
30: 작업자단말기
900: 원가관리부
910: 원가계산 및 관리부
920: 급여 및 임금관리부
930: 감가상각비 관리부
940: 작업일보 관리부
950: 구매일보 관리부
960: 원재료비 관리부
970: 비용 업로드 관리부
980: 기준정보 관리부
990: 기타 시스템 관리부

Claims (17)

  1. 사용자 단말기 및 원가관리장치를 포함하는 원가관리시스템에서 활동기준원가 기반으로 수행되는 원가관리방법에 있어서,
    상기 원가관리장치에 사용자가 상기 사용자단말기를 통하여 원가관리에 소요되는 기준정보가 입력되고 관리되는 기준정보 관리단계;
    상기 기준정보 관리단계에서 입력된 계정별 고정비와 변동비 결산금액이 상기 원가관리장치에서 집계되어 생성되는 결산서 상세조회단계;
    상기 기준정보 관리단계에서 입력된 제조공통, 공정, 설비공통 및 설비에 대해 상기 원가관리장치에서 C/C별 공정에 대한 고정비, 변동비 배부 금액을 조회 집계하여 조회하는 C/C별 계정 배부 조회단계;
    상기 원가관리장치에서 상기 C/C별 공정에 대한 고정비, 변동비에 해당 공정과 관련된 설비에 공정에 소요된 공정비를 추가로 가산하여 배부하는 1차 공정비 배부단계;
    상기 원가관리장치에서 상기 1차 공정비 배부단계에서 배부된 설비별 고정비 및 변동비 데이터에, 공통으로 사용되어 제조되는 제조공통에 지정된 사원들의 노무비를 고정비 및 변동비 별로 집계하여 배부하는 2차 공통비 배부단계;
    상기 원가관리장치에서 상기 2차 공통비 배부단계에서 배부된 설비별 고정비 및 변동비 데이터에 금형비, 외주비를 포함한 간접비를 고정비 및 변동비별로 집계하여 배부하는 3차 설비 제품별 간접비 배부단계;
    상기 원가관리장치에서 상기 3차 설비 제품별 간접비 배부단계에서 배부된 설비별 고정비 및 변동비 데이터에, 제품 공정에 투입된 구매비와 관련된 외주 고객사 C/C 제품에 대한 고정비, 변동비를 가산하여 배부하는 4차 고객사 C/C제품 구매비 배부단계;
    상기 원가관리장치에서 상기 4차 고객사 C/C제품 구매비 배부단계가 완료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공정원가를 산출하는 원가산출단계; 및
    상기 산출된 공정원가를 이용하여 이상원가 조회단계, 원가절감 조회단계, 손익분기점 조회단계, 공헌 이익률 조회단계 및 목표이익 조회단계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원가관리를 수행하는 원가관리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가관리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정보 관리 단계는 기준정보 등록 단계 업무를 포함하며,
    상기 기준정보 등록 단계 업무는,
    상기 원가관리장치에서 상기 사용자에 의해 수선비, 금형비, 보험료, 소모품비, 외주가공비, 임차료, 급여, 제수당 및 복리후생비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비용계정 별로 계정코드가 부여되고, 매월 당월 결산금액 메뉴에 당월 결산금액이 업로드하여 입력되되, 각 비용 계정 별로 고정비, 변동비가 지정되어 업 로드되는 계정코드 등록 관리 단계;
    상기 사용자에 의해 상기 원가관리장치에 각 제품을 생산, 제조하는 제품 또는 반제품의 제조공정도가 등록이 되고, 제조공정도에 따른 각 설비 공정이 등록이 되며, 상기 원가관리장치가 상기 제조 공정도 및 상기 각 설비 공정에 대해 C/C코드를 부여하고 관리하는 단계;
    상기 원가관리장치에 사용자에 의해 생산에 소요되는 설비가 등록되고, 상기 원가관리장치가 C/C코드로 관리하는 단계;
    상기 원가관리장치에 사용자가 거래처정보, 제품정보, 반제품정보, 자재정보 중 하나 이상을 등록하고 상기 원가관리장치가 C/C코드 내역에 함께 C/C코드를 부여하여 관리하는 단계; 및
    상기 원가관리장치에 사용자에 의해 공정 C/C별, 설비C/C별로 작업 인원을 배부하여 등록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가관리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정보 관리 단계는 비용업로드 단계 업무를 포함하며,
    상기 비용업로드 단계 업무에는,
    상기 원가관리장치에 사용자에 의해 매출에 관련된 발주번호, 발주일자, 제품코드, 제품명, 수량, 단가, 금액 중 하나 이상이 매월 업로드되는 매출 업로드 단계;
    상기 원가관리장치에 사용자에 의해 각 설비별로 소요되는 면적 및 면적에 따른 임차료를 등록하고 매월 업로드되는 임차료 업로드 단계; 및
    상기 원가관리장치에 사용자에 의해 각 설비별로 해당 인원 및 인원에 따른 복리후생비를 등록하고 매월 업로드되는 복리후생비 업로드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가관리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정보 관리 단계는,
    상기 원가관리장치에 사용자에 의해 제품 생산에 소요된 재료 또는 자재에 대한 원재료코드, 수량 및 자재단가 금액이 포함된 정보가 매월 업로드되는 원재료 업로드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가관리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정보 관리 단계는,
    상기 업로드된 자재 단가와 해당 월의 작업일보에 대하여 상기 원가관리장치에서 작업량과 제조공정도-BOM을 기준으로 투입량을 산출하여 원재료비가 계산되어 정산되는 원재료비 정산단가 업로드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가관리방법.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정보 관리 단계는,
    사용자에 의해 상기 원가관리장치에 구입일자, 거래처코드, 금형코드, 규격, 단가, 수량, 금액, 계정코드, 계정과목, C/C코드 및 C/C명 중 하나 이상이 등록되고 매월 업로드되는 구매일보 등록단계;
    사용자에 의해 상기 원가관리장치에 작업일보의 작업일보번호, 작업일자, LOT번호, LOT수량, 제품코드, 공정코드, 설비코드, 표준공수, 작업시간 작업량 중 하나 이상이 입력되어 매월 업로드되는 작업일보 등록 단계; 및
    사용자에 의해 상기 원가관리장치에 계정코드 별로 사원별 기본급, 상여금, 연장근로수당, 제수당, 연차수당, 퇴직금충당금 중 하나 이상이 고정비와 변동비로 구분되어 매월 업로드 되는 급여 및 임금관리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가관리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급여 및 임금관리 단계는,
    사용자에 의해 상기 원가관리장치에 입력 또는 업로드한 데이터 및 설정된 조건을 기반으로 원가관리장치의 제어부에 의해 설비별 노무비가 자동으로 배부되는 월별 설비별 노무비 배부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가관리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월별 설비별 노무비 배부단계에서 원가관리장치의 제어부에 의해 설비별 노무비가 자동으로 배부되는 것은,
    원가관리장치에 저장된 [기준정보 관리 > 사원별 C/C지정]을 기준으로 해당 설비, 공통으로 작업하는 설비공통에 지정된 사원 정보들을 불러오는 단계;
    상기 해당 설비에 지정된 사원들 임금의 고정비 합, 변동비 합을 설비 노무비에 배부하는 단계;
    상기 설비공통에 지정된 사원들의 고정비 합과, 변동비 합으로부터 고정비 비율, 변동비 비율을 산출하고, 설비 C/C별로 배부된 작업인원의 배부 값을 이용하여 상기 공통으로 사용하는 공통설비 중 해당 설비의 고정비, 변동비 값을 산출하여 공통설비 노무비에 배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가관리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원가산출단계는,
    상기 4차 고객사 C/C제품 구매비 배부단계를 완료된 데이터로부터 C/C코드, 고정비, 변동비를 포함한 정보를 불러와서(설비 C/C 내역), 해당 설비로부터 생산된 제품의 제품코드, LOT번호, 양품량, 고정비, 변동비를 포함한 정보를 추출하여 제품별 고정비 및 제품별 변동비를 산출하고 이로부터 해당 공정에 대한 제품별 공정원가를 산출하는 것을 포함하는 설비별 제품별 공정원가 조회단계; 및
    상기 4차 고객사 C/C제품 구매비 배부단계를 완료된 데이터로부터 제품에 대한 해당 공정 및 설비 내역을 불러와서, 각 공정 순으로 누적하여 공정이 누적된 고정비 및 변동비를 산출하는 제품별 누적 공정원가 조회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가관리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원가 산출단계는
    상기 4차 고객사 C/C제품 구매비 배부단계를 완료된 데이터 중, 외주내역이 있는 경우, 외주내역을 검색하여 노무비 배부 금액과 외주 개당 공정원가를 고정비 및 변동비별로 산출하여 조회되는 외주비 공정원가 조회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가관리방법.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정보 관리단계; 이후에
    상기 원가관리장치는 상기 기준정보 관리부단계에서, 입력된 LOT번호, LOT수량, 제품코드, 공정코드, 설비코드, 표준공수, 작업시간이 포함된 정보를 추출되어 다음 산출식을 적용하여 가동률, 능률, 생산성, 수율 및 효율을 산출하는 생산지표 산출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가관리방법.
    가동률 = (작업시간 - 비가동시간) / 작업시간
    능률 = 작업수량 / ((작업시간 - 비가동시간) * 표준공수)
    생산성 = 가동률 * 능률
    수율 = 양품량 / 작업량
    효율 = 생산성 * 수율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이상원가 조회 단계는,
    상기 원가관리장치가 생산지표 산출단계에서 추출된 생산지표 정보 및 상기 제품별 누적 공정원가 조회단계에서 추출된 고정비 및 변동비 정보로부터 제품별 설비별 표준공수, 생산성, 수율, 효율, 공정원가, 고정비 및 변동비와 이상원가를 산출하여 조회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가관리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원가절감 조회단계는,
    상기 이상원가 조회 단계에서 조회된 제품별 생산지표 데이터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원가관리장치의 원가절감 조회부에서 사용자가 작업량 또는 수율을 조정하여 입력하면, 이에 따른 원가절감액이 조회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가관리방법.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손익분기점 조회단계는,
    상기 원가관리장치가 제품별 누적 공정원가 조회단계(1830)에서 산출된 고정비 및 변동비가 포함된 제품별 누적 공정원가 정보 및 상기 기준정보 관리 단계에서 입력된 데이터로부터 다음과 같은 산출식에 의해 손익, 손익율 및 손익 비율을 산출하여 조회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가관리방법.
    - 제품원가(C) = 고정원가(A) + 변동원가(B) (누적 공정원가 정보에서 추출) - 고정비(F) = 판매단가(D) * 고정원가(A)
    - 변동비(G) = 판매단가(D) * 변동원가(B)
    - 손익(I) = 매출금액(H) - 고정비(F) - 변동비(G)
    - 손익율(J) = (판매단가(D) - 제품원가(C)) / 제품원가(C)
    - 손익 매출금액 = 고정비(F) / (1 - (변동비(G) / 매출금액(H)))
    - 손익 판매량 = 고정비(F) / (고정비(F) + 손익(I))
    - 손익 비율 = 고정비(F) / (판매단가(D) - 변동비(G))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공헌 이익률 조회단계는, 상기 원가관리장치가 제품별 누적 공정원가 조회단계(1830)에서 산출된 고정비 및 변동비가 포함된 제품별 누적 공정원가 정보 및 상기 기준정보 관리 단계에서 입력된 데이터로부터 다음과 같은 산출식에 의해 공헌이익 정보가 조회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가관리방법.
    - 공헌이익 = 매출금액(H) - 변동비(G)
    - 한계이익 = 매출금액(H) - 고정비(F)
    - 단위당 공헌이익(M) = 판매단가(D) - 변동원가(B)
    - 공헌이익률(O) = 단위당 공헌이익(M) / 판매단가(D)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목표이익 조회단계는,
    사용자에 의해 목표이익이 입력되면, 상기 원가관리장치가, 상기 제품별 누적 공정원가 조회단계에서 산출된 고정비 및 변동비가 포함된 제품별 누적 공정원가 정보, 상기 기준정보 관리 단계에서 입력된 데이터 및 상기 공헌 이익률 조회단계에서 산출된 데이터로부터, 다음과 같은 산출식에 의해 목표이익을 얻을 수 있는 판매량과 판매금액을 산출하여 조회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가관리방법.
    - 판매량 = (고정비(F) + 목표이익) / 단위당 공헌이익(M)
    - 판매금액 = (고정비(F) + 목표이익) / 공헌이익률(O)
  17. 활동기준원가 기반으로 원가관리를 수행하는 원가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원가관리시스템은,
    사용자가 정보를 입력하고 출력하는 사용자 단말기, 및 원가관리를 수행하는 원가관리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원가관리장치는,
    상기 원가관리장치의 프로세스를 실행하고 제어하는 제어부;
    사용자가 상기 사용자단말기를 통하여 원가관리에 소요되는 기준정보가 입력되고 관리되는 기준정보 관리부;
    상기 기준정보 관리부에 입력된 계정별 고정비와 간접비 결산금액이 상기 원가관리장치에서 집계되어 생성되는 결산서 상세 조회부;
    상기 기준정보 관리부에 입력된 제조공통, 공정, 설비공통 및 설비에 대해 상기 원가관리장치에서 C/C별 공정에 대한 고정비, 변동비 배부 금액을 조회 집계하여 조회하는 C/C별 계정 배부 조회부;
    상기 C/C별 공정에 대한 고정비, 변동비에 해당 공정과 관련된 설비에 공정에 소요된 공정비를 추가로 가산하여 배부하는 공정비 배부 조회부;
    상기 공정비 배부 조회부에서 배부된 설비별 고정비 및 변동비 데이터에, 공통으로 사용되어 제조되는 제조공통에 지정된 사원들의 노무비를 고정비 및 변동비별로 집계하여 배부하는 공통비 배부 조회부;
    공통비 배부 조회부에서 배부된 설비별 고정비 및 변동비 데이터에 금형비, 외주비를 포함한 간접비를 고정비 및 변동비별로 집계하여 배부하는 설비 제품별 간접비 배부 조회부;
    상기 설비 제품별 간접비 배부 조회부에서 배부된 설비별 고정비 및 변동비 데이터에, 제품 공정에 투입된 구매비와 관련된 고객사 C/C 제품에 대한 고정비, 변동비를 가산하여 배부하는 고객사 C/C제품 구매비 조회부;
    상기 고객사 C/C제품 구매비 배부 조회부의 데이터를 이용하여 공정원가를 산출하는 원가산출부 및
    상기 원가산출부의 공정원가를 이용하여 이상원가 조회, 원가절감 조회, 손익분기점 조회, 공헌 이익률 조회 및 목표이익 조회 수단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원가관리를 수행하는 원가관리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가관리시스템.
KR1020190115537A 2019-09-19 2019-09-19 원가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원가관리방법 KR1022389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5537A KR102238926B1 (ko) 2019-09-19 2019-09-19 원가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원가관리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5537A KR102238926B1 (ko) 2019-09-19 2019-09-19 원가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원가관리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34160A true KR20210034160A (ko) 2021-03-30
KR102238926B1 KR102238926B1 (ko) 2021-04-13

Family

ID=752650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15537A KR102238926B1 (ko) 2019-09-19 2019-09-19 원가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원가관리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3892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542631A (zh) * 2023-05-12 2023-08-04 广东融粤宝企业管理有限公司 一种分布式架构企业信息管理系统
CN116911573A (zh) * 2023-09-07 2023-10-20 南京邮电大学 一种面向智能制造的供应链物流商多任务协同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14470A (ko) 2021-07-21 2023-01-30 정권채 이익을 보장하는 원가설계 방법 및 그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매체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03389A (ja) 1998-06-12 2000-01-07 Price Waterhouse 活動原価算出システム
KR20030006432A (ko) * 2001-07-12 2003-01-23 최영휘 품질 관리 및 생산성 관리를 이용하여 원가 관리를 수행할수 있는 전사적 자원 관리 방법 및 시스템
JP3976641B2 (ja) * 2002-08-09 2007-09-19 新日鉄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20080024848A (ko) * 2006-09-15 2008-03-19 이종량 활동 원가에 기초한 원가 계산 방법 및 원가 계산 장치
KR20120124055A (ko) * 2009-11-04 2012-11-12 타카유키 토야마 원가 계산 장치, 원가 계산 방법 및 원가 계산 프로그램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03389A (ja) 1998-06-12 2000-01-07 Price Waterhouse 活動原価算出システム
KR20030006432A (ko) * 2001-07-12 2003-01-23 최영휘 품질 관리 및 생산성 관리를 이용하여 원가 관리를 수행할수 있는 전사적 자원 관리 방법 및 시스템
JP3976641B2 (ja) * 2002-08-09 2007-09-19 新日鉄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20080024848A (ko) * 2006-09-15 2008-03-19 이종량 활동 원가에 기초한 원가 계산 방법 및 원가 계산 장치
KR20120124055A (ko) * 2009-11-04 2012-11-12 타카유키 토야마 원가 계산 장치, 원가 계산 방법 및 원가 계산 프로그램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542631A (zh) * 2023-05-12 2023-08-04 广东融粤宝企业管理有限公司 一种分布式架构企业信息管理系统
CN116542631B (zh) * 2023-05-12 2023-12-29 佛山市伊美众软件科技有限公司 一种分布式架构企业信息管理系统
CN116911573A (zh) * 2023-09-07 2023-10-20 南京邮电大学 一种面向智能制造的供应链物流商多任务协同方法
CN116911573B (zh) * 2023-09-07 2023-11-14 南京邮电大学 一种面向智能制造的供应链物流商多任务协同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38926B1 (ko) 2021-04-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hew No-nonsense guide to measuring productivity
US5970476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ndustrial data acquisition and product costing
KR102238926B1 (ko) 원가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원가관리방법
Wagner Research portfolio for inventory management and production planning systems
Wouters et al. Development of real-time product cost measurement: A case study in a medium-sized manufacturing company
US20020023060A1 (en) Oughta cost purchasing process
US20020123945A1 (en) Cost and performance system accessible on an electronic network
US20020038235A1 (en) Productivity monitoring system and method
Amirjabbari et al. Determining supply chain safety stock level and location
WO1998044442A1 (en) Method and system for standardizing and reconciling invoices from vendors
AU2014252158A1 (en) Computer implemented system and method for project controls
CN108846645A (zh) 一种企业扁平化管理方法及系统
KR100425910B1 (ko) 품질 관리 및 생산성 관리를 이용하여 원가 관리를 수행할수 있는 전사적 자원 관리 방법 및 시스템
Meric et al. Usability of time driven activity based costing methods in the budgeting process of SMEs
KR20140099349A (ko) 국방통합원가 추정분석 포털 시스템 및 운용 방법
Zimon Accounting tools vs. logistics costs control in a trading company
KR100945523B1 (ko) 온라인 건설현장 관리 방법
US7389276B1 (en) Method of determining pricing to ensure profitability
JP2003288474A (ja) 資産管理装置、資産管理方法、および資産管理委託契約方法
JPH11353375A (ja) 原価管理方法及び部門管理システム
JP2007004386A (ja) 事業管理プログラム及びそれを用いた管理装置
Yimsri et al. Flexible applications of MRP based prototyping software for production planning and diversified raw material inventory management
JP2003216801A (ja) 事業化シミュレーションシステム
Rao COST Accounting and it’s management
JP4622286B2 (ja) 損益管理情報提示方法、損益管理情報提示装置、及び損益管理情報提示処理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