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33801A - 차주와의 통신을 지원하는 차량용 허브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차주호출 방법 - Google Patents

차주와의 통신을 지원하는 차량용 허브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차주호출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33801A
KR20210033801A KR1020190115552A KR20190115552A KR20210033801A KR 20210033801 A KR20210033801 A KR 20210033801A KR 1020190115552 A KR1020190115552 A KR 1020190115552A KR 20190115552 A KR20190115552 A KR 20190115552A KR 20210033801 A KR20210033801 A KR 202100338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vehicle
message
user terminal
commun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155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홍섭
정익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휴앤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휴앤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휴앤텍
Priority to KR10201901155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33801A/ko
Priority to JP2020157058A priority patent/JP2021048585A/ja
Publication of KR202100338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3380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2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proprietary or special-purpose networking environments, e.g. medical networks, sensor networks, networks in vehicles or remote metering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08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authentication of entit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6Communication-related supplementary services, e.g. call-transfer or call-hol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20Services signaling; Auxiliary data signalling, i.e. transmitting data via a non-traffic channel
    • H04W4/21Services signaling; Auxiliary data signalling, i.e. transmitting data via a non-traffic channel for social networking applic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에 설치되어 무선통신망을 통해 외부 단말기와의 통신기능을 제공하되 차량의 상태파악을 위한 각종 센서들과 연결될 수 있는 포트 및 신호의 송수신 기능을 통해 차량관리를 위한 다양한 서비스 제공과 확장이 가능한 차주와의 통신을 지원하는 차량용 허브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차주와의 통신을 지원하는 차량용 허브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차주호출 방법 {Vehicle hub system supporting communication with owner and method for contacting the owner using thereof}
본 발명은 차량용 허브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자세하게는 차량에 설치되어 무선통신망을 통해 외부 단말기와의 통신기능을 제공하되 차량의 상태파악을 위한 각종 센서들과 연결될 수 있는 포트 및 신호의 송수신 기능을 통해 차량관리를 위한 다양한 서비스 제공과 확장이 가능한 차주와의 통신을 지원하는 차량용 허브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차주호출 방법에 관한 것이다.
TCP/IP 프로토콜(TCP/IP Protocol)을 통해 컴퓨터들이 상호 통신을 수행할 수 있도록 개발된 인터넷은 근래 식별, 연산 및 통신 기능을 갖는 장치들이 상호 통신하는 IoT(Internet of Things; 사물 인터넷)으로 발전되고 있다.
이러한 사물 인터넷은 M2M의 개념을 인터넷으로 확장하여 모든 사물들을 네트워크에 연결하여 언제 어디서나 상호 통신 가능한 정보 통신 기반으로 여러 산업에 두루 적용되고 있으며 특히 차세대 스마트카(Smart car)의 통신기반으로의 적용이 적극적으로 검토되고 있다.
차세대 스마트카는 환경 및 에너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전기· 연료전지차량, 자율주행차량을 비롯하여 운전자의 편의 향상과 안전 확보를 위한 지능형 자동차를 포괄하는 자동차의 신산업 분야로, 이 중 ICT, ITS 기술을 자동차에 융합해 무선통신과 연계하여 운전자 및 동승자에게 다양한 서비스를 지원하는 커넥티드 시스템을 적용한 커넥티드 카가 주목받고 있다.
이는 차량 내·외부와의 강화된 통신기능을 기반으로 자동차 자체가 하나의 커넥티드 디바이스가 되는 것으로, 자동차에 장착된 통신기능을 활용해 차량과 스마트 디바이스 사이에 정보를 교류하는 형태로 발전하고 있으며, ICT 단말기로서의 기능을 통해 차량 및 주변의 다양한 데이터를 센서를 통하여 취득하고 네트워크를 통해 종합 분석하여 새로운 가치를 창출할 수 있다.
또한, 커넥티드 카는 스마트 디바이스로서의 가능성을 넘어 IoT의 허브로 진화하고 있으며 자동차 및 통신업체들의 많은 협력과 생태계 조성 활동은 커넥티드카 시장의 양적, 질적 성장을 주도하며, 운전자 및 탑승자의 수요에 따라 다양하고 새로운 형태의 서비스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
하지만, 아직까지 최신 옵션이 적용된 차량 외 기존 출시된 차량은 무선 네트워크를 이용한 다양한 서비스를 경험할 수 없는 실정으로 최근의 일부 차량에서 제공하는 원격주차, 원격비서, 원격시동 등의 무선·원격 서비스의 경우 신형 고급차에 한정적으로 적용되고 있을 뿐 아니라 시스템 자체가 폐쇄적이어서 메이커간 상호 호환성이 없었어 확장에 제한이 따르고 있는 실정이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3-0043882호(2013.05.02)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요구를 반영하여 창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차량의 상태파악을 위한 다양한 센서들과의 신호 송수신과 무선통신망을 통해 외부 단말기와의 통신기능을 통해 차량관리를 위한 다양한 원격 서비스 제공과 확장이 가능한 차주와의 통신을 지원하는 차량용 허브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이러한 차주와의 통신기능을 통해 주차 후 차주가 없는 상황에서 차주를 호출할 경우 호출자와 차주의 정보를 노출하지 않으면서 상호 메시지 교환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차량용 허브시스템을 이용한 차주호출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위해 본 발명은 차량 내부에 설치되되, 외부전자모듈과의 통신을 위한 포트를 구비하고 상기 포트를 통해 신호를 송수신하는 내부통신부와, 서비스서버 및 사용자단말기 중 선택되는 대상과 통신을 수행하는 외부통신부를 구비하여 상기 내부통신부와 외부통신부를 중계하는 차량용 허브시스템으로서, 차량의 내부에 외측을 향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내부통신부에 연결되되, 인가된 신호에 따른 메시지를 출력하는 패널모듈; 안내메시지 및 호출메시지가 저장되는 저장부와, 상기 안내메시지를 상기 패널모듈을 통해 출력하는 안내부와, 외부의 호출자로부터 호출동작을 인식함에 따라 호출메시지를 상기 사용자단말기로 전송하는 호출부와, 상기 사용자단말기로부터 응답메시지 수신시 상기 패널모듈을 통해 출력하는 제1응답부를 구비하는 서비스모듈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차량의 유리판 내부에 설치되되 외측에서의 물체의 접근 및 형상변화를 감지하는 센서부와, 상기 센서부를 통한 물체의 접근 및 형상변화를 설정된 기준정보와 비교하여 호출동작임을 판단하는 판단부를 구비하는 호출감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안내메시지는 상기 센서부에 대한 접근거리 및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전자적인 인증패턴을 출력하는 표시부와, 인증패턴을 생성하여 상기 패널모듈로 출력하고 서비스 종료신호에 따라 상기 인증패턴을 교체하는 패턴생성부와, 생성된 인증패턴을 상기 서비스서버와 공유하는 공유부를 구비하는 패턴제공부; 상기 인증패턴을 인식하는 인식부와, 상기 서비스서버와의 연동을 통해 인식된 인증패턴에 대응하는 사용자단말기로의 통신기능을 제공하는 인터페이스부를 구비하는 호출자단말기; 인증패턴 및 대응하는 사용자단말기와의 연동정보를 관리하는 패턴관리부와, 호출자단말기의 인식 인증패턴에 대응하여 호출자단말기관련 보호정보를 제외한 상태로 상기 사용자단말기로의 통화 또는 메시지 전달을 중계하는 연결부와, 상기 연결부의 동작 종료에 따라 서비스 종료신호를 송신하는 정보갱신부를 구비하는 서비스서버; 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차량 외부의 밝기를 인지하는 환경감지부; 를 더 포함하고, 상기 패널모듈은 외부의 밝기에 대응하여 메시지 확인이 용이하도록 동작하는 라이트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비스모듈부는 사용자가 설정한 SNS의 아이디와 패스워드를 저장 받아 로그인 인증을 수행 후 호출메시지의 송신 및 응답메시지의 수신을 지정 SNS를 통해 수행되도록 하는 SNS연동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차량 내부에 설치되어 차량 위치정보를 생성하는 제1위치확인부; 상기 사용자단말기에 설치되어 사용자 위치정보를 생성하는 제2위치확인부;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서비스모듈부는, 설정된 시간 상기 사용자단말기로부터의 응답메시지가 없을 시 차량 및 사용자의 위치정보에 따른 상호 거리를 반영한 예비메시지를 상기 패널모듈을 통해 출력하는 제2응답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센서부는 설정된 물체의 근접 거리 및 영역에 따라 각각 차별화된 신호를 출력하는 복수의 센서로 구성되고, 상기 기준신호는 상기 센서별 입력 지연시간을 포함하여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차량의 주차상태를 인지하는 주차감지부; 를 더 포함하고, 상기 패턴제공부는 차량의 주차 상태에서만 활성화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위한 본 발명의 차량용 허브시스템을 이용한 차주호출 방법은, 주차된 차량의 내부에 외측을 향하도록 설치된 패널모듈을 통해 안내메시지를 출력하는 단계; 호출자가 상기 안내메시지에 따를 호출동작을 취함에 따라 호출동작을 인식하는 단계; 지정된 사용자단말기로 호출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호출메시지에 대응하여 사용자단말기를 통해 작성된 응답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패널모듈을 통해 수신된 응답메시지를 출력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호출동작을 인식하는 단계는, 차량의 유리판 외측에서의 물체의 접근 및 형상변화를 감지하는 단계와, 감지된 정보를 설정된 기준정보와 비교하여 호출동작임을 판단하는 단계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호출동작을 인식하는 단계는, 전자적인 인증패턴을 생성하는 단계와, 생성된 인증패턴을 서비스서버와 공유하고 차량 외부로 출력하는 단계와, 호출자가 호출자단말기를 통해 상기 인증패턴을 인식하는 단계로 이루어지고, 상기 호출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는, 서비스서버와의 연동을 통해 호출자단말기관련 보호정보를 제외한 상태로 상기 사용자단말기로의 통화 또는 메시지 전달을 중계하며, 상기 응답메시지를 출력하는 단계 이후, 동작 종료에 따라 서비스 종료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서비스 종료신호에 따라 상기 인증패턴을 교체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설정된 시간 상기 사용자단말기로부터의 응답메시지가 없을 시 차량 및 사용자의 위치정보에 따른 상호 거리를 반영한 예비메시지를 상기 패널모듈을 통해 출력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을 통해 기존 자동차에 구현되지 못한 무선 통신기반의 다양한 서비스를 모듈결합 방식으로 간편하게 제공할 수 있다. 즉, 자동차에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을 간단히 장착한 후, 연계 가능한 다양한 서비스 모듈 중 원하는 Service 모듈 및 애플리케이션을 선택함으로 해당 서비스를 무선, 원격으로 받을 수 있다. 또한, 표준 API 공개로 기존에 존재하지 않던 서비스도 여러 공급자의 참여를 통해 새롭게 개발, 제공됨에 따라 새로운 시장을 창출될 수 있다.
더불어 차량의 소비자들은 소유한 차량에서 구현되지 않던 다양한 서비스를 판매자로부터 간편하게 받을 수 있으며, 기본적인 서비스로 주차된 차량의 차주와의 연락이 필요한 경우 호출자와 차주의 개인정보가 철저히 보호된 상태에서 메시지를 주고받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의 1 실시예에 따른 개념도,
도 3은 본 발명의 1 실시예에 따른 구성과 연결관계를 나타낸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의 1 실시예에 따른 차량 설치모습을 나타낸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1 실시예에 따른 호출동작을 나타낸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2 실시예에 따른 개념도,
도 7은 본 발명의 2 실시예에 따른 구성과 연결관계를 나타낸 블록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차주 호출방법을 나타낸 순서도,
도 9는 본 발명의 1 실시예에 따른 차주 호출방법을 나타낸 순서도,
도 10은 본 발명의 2 실시예에 따른 차주 호출방법을 나타낸 순서도 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 차주와의 통신을 지원하는 차량용 허브시스템의 구성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개념도로서, 본 발명은 IoT 및 무선기술과 자동차 제어, 모니터링 기술을 접목하며, 무선/원격으로 다양한 자동차용 서비스를 공급하면서 추후 요구되는 새로운 아이디어의 서비스의 원활한 확장이 이루어질 수 있는 차량용 개방형 무선 통합 허브이다.
이러한 허브(100)는 기본적으로 차량 내부에 설치되며, 차량에 구비되는 각종 외부전자모듈과의 통신을 위한 포트를 구비하고 상기 포트를 통해 연결된 외부전자모듈과 신호를 송수신하는 내부통신부(101)와, 서비스서버(200) 및 사용자단말기(300) 중 선택되는 대상과 통신을 수행하는 외부통신부(102)를 구비하여, 상기 내부통신부(101)와 외부통신부(102)를 중계하며 차량관련 다양한 서비스를 공급할 수 있다.
상기 외부전자모듈은 현재까지 출시되어 잘 알려진 대표적인 구성으로 블랙박스, 카메라, GPS 모듈 및 내비게이션, 충격센서를 비롯하여 차량의 상태진단을 위한 각종 센서가 될 수 있으며 상기 허브(100)구조를 통해 사용자가 원격지에 있는 상태에서도 차량의 상태를 비롯하여 사고나 도난과 같은 각종 이벤트의 확인이 가능하다. 이러한 외부전자모듈은 기본적으로 어떤 상태확인을 위한 서비스모듈이 될 수 있으며 별도의 전자적인 구동수단을 구비하여 외부로부터의 신호입력에 따른 특정 동작을 수행할 수 있는 형태의 서비스 모듈도 적용할 수 있다.
상기 내부통신부(101)는 이러한 외부전자모듈을 허브에 연결하기 위한 구성으로 기본적으로 유선연결도 가능하나 전자장치에 익숙하지 않은 사용자도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을 기존 차량에 쉽게 설치하여 적용할 수 있도록 다양한 근거리 무선통신모듈을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외부통신부(102)는 기본적으로 IoT, Wi-Fi, LTE, 2G, 3G, 4G, 5G 등 상용의 무선통신망을 통해 원격의 서비스서버(200) 및 사용자단말기(300) 중 선택되는 대상과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통신모듈이다. 본 발명에 따른 허브(100)는 상기 내부통신부(101) 및 외부통신부(102)의 중계를 통해 다양한 센서 성격의 외부전자모듈의 수집신호를 사용자단말기(300)로 전달하는 원격의 차량진단, 감시를 비롯하여 사용자단말기(300)로부터 동작 수행이 가능한 서비스모듈로의 전달하는 제어기능을 지원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1 실시예에 따른 개념도로서, 본 발명은 이러한 허브(100)를 기반으로 주차차량의 차주를 호출할 수 있는 서비스를 기본으로 제공하는 모습을 나타내고 있다. 즉 주차된 차량의 차주가 현장에 없는 상태에서 이동 주차 등의 이유로 차주에게 연락이 필요할 시 이를 지원하기 위한 기능으로, 차주가 차량의 전면 유리창 내부에 자신의 연락처를 남겨 이를 통해 연락을 하는 것이 종래의 일반적인 방법었다.
하지만, 이는 전화번호 무단 수집에 따른 스팸이나 스토킹, 분쟁에 따른 보복과 같은 범죄 등 전화번호 유출에 따른 부작용이 존재함에 따라 근래 전화번호를 공개하지 않으면서도 연락을 지원하는 다양한 서비스 상품도 출시되었으나, 이러한 서비스에도 다양한 불편함이 존재함에 따라 이를 해결할 수 있는 방안으로 호출자가 휴대전화를 사용하지 않은 상태에서도 차주를 호출할 수 있는 구성을 본 발명의 1 실시예로 제시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1 실시예에 따른 구성과 연결관계를 나타낸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의 1 실시예에 따른 차량 설치모습을 나타낸 예시도로서, 허브(100)와, 패널모듈(110)과, 서비스모듈부(130)의 기본구성을 비롯하여 환경감지부(150)와, SNS연동부(136)와 같은 편의 구성을 통해 서비스가 제공된다.
상기 패널모듈(110)은 차량의 내부에 외측을 향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내부통신부(101)에 연결되되, 인가된 신호에 따른 메시지를 출력하기 위한 구성으로, 일반적으로 차량의 전면 유리 좌우 하측에 설치되어 차주와 연락할 방법을 찾는 호출자가 쉽게 발견할 수 있는 위치에 설치된다. 본 발명에서 이러한 패널모듈(110)은 기본적으로 문자를 출력하기 위한 것으로 LCD, LED를 비롯한 다양한 소자를 이용한 디스플레이패널을 적용할 수 있다.
상기 서비스모듈부(130)는 본 발명에 따른 허브(100)에 내장되거나 외부통신상태가 원활하다는 전제로 별도의 외부 서버형태로도 구성될 수 있으며, 저장부(131)와, 안내부(132)와, 호출부(133)와, 제1응답부(134)의 세부구성을 구비하게 된다.
상기 저장부(131)는 안내메시지 및 호출메시지가 저장되는 메모리의 구성으로, 상기 안내메시지는 주차상태에서 상기 패널모듈을 통해 상시 출력되어 차주를 호출하는 방법을 안내하는 메시지이다. 본 발명의 1 실시예에서는 휴대전화를 사용하지 않으면서 특정한 동작을 인식함으로 호출동작을 실행하도록 구성되므로 이를 호출자에게 가이드하는 내용을 포함하게 되며, 구체적인 내용에 대하여는 후술한다.
상기 호출메시지는 호출동작과 연계하여 차주에게 보낼 메시지로 간단하게는 호출이 있음을 알리는 내용의 메시지를 비롯하여 호출자의 구체적인 요구 및 의사를 반영할 수 있는 메시지를 미리 작성하여 저장할 수도 있다.
상기 안내부(132)는 상기 저장부(131)에 저장된 상기 안내메시지를 상기 패널모듈(110)을 통해 출력하며, 상기 호출부(133)는 외부의 호출자로부터 호출동작을 인식함에 따라 상기 외부통신부(102)와 연계하여 상기 저장부(131)에 저장설정된 호출메시지를 미리 설정된 상기 사용자단말기(300)로 전송하게 된다. 이후 사용자는 소지한 사용자단말기(300)를 통해 호출메시지를 확인 후 대응하는 응답메시지를 작성하여 회신할 수 있다.
상기 제1응답부(134)는 이러한 회신을 통해 상기 사용자단말기(300)로부터 응답메시지 수신시 이를 상기 패널모듈(110)을 통해 출력하게 된다.
상기 호출동작은 다양한 방식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으며, 종래에는 센서를 터치하거나 설정된 방법으로 노크를 함으로 이를 감지하는 방식을 사용하기도 하였다.
본 발명에서는 차량의 내부에서 유리창 밖의 호출자의 동작을 인식할 수 있는 센서부(121)와, 호출동작을 판단하기 위한 판단부(123)를 구비한 호출감지부(120)를 별도로 구비하여 상기 내부통신부(101)에 연결하게 된다.
상기 센서부(121)는 차량의 유리판 내부, 바람직하게는 상기 패널모듈(110) 근처에 설치되되 외측에서의 물체의 접근 및 형상변화를 감지하게 된다. 영상센서를 비롯하여 초음파나 정전방식 등 다양한 방식의 근접센서 또는 거리센서를 활용할 수 있으며 호출동작 판단의 정확성을 위해 단일의 센서보다는 설정된 물체의 근접 거리 및 영역에 따라 각각 차별화된 신호를 출력하는 복수의 센서(122)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판단부(123)는 상기 센서부(121)를 통한 물체의 접근 및 형상변화를 설정된 기준정보와 비교하여 호출동작임을 판단하며 상기 기준신호는 상기 센서별 입력 지연시간을 포함하여 설정되므로 더욱 정확한 동작판단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대응하여 상기 안내메시지는 호출동작으로서 상기 센서부(121)에 대한 접근거리 및 동작을 포함하여 호출자가 그대로 수행할 수 있도록 안내하는 내용으로 작성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1 실시예에 따른 호출동작을 나타낸 예시도로서, 종래와 같이 단순히 터치를 하거나 노크 등을 감지하는 방식의 경우 차량과 접촉에 따른 거부감이 있을 뿐 아니라 오동작 가능성이 큼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구체적인 손의 형상 및 동작변화를 통해 호출동작을 인식하여 정확도를 향상시키게 된다.
일례로 설정된 범위로 손을 접근시켜 설정시간 유지 후 추가적인 접근 또는 떨어짐을 통해 거리를 더 변화시키거나 손의 형태를 변형하도록 안내하며 앞서 언급한 센서부(121) 및 판단부(123)를 통해 이를 정확히 인지함으로 호출동작을 판단하는 것이다. 즉 상기 판단부(123) 안내메시지에 대응하는 판단기준 즉 물체(손)의 설정된 접근거리 접근, 유지시간, 형상변화의 판단 기준이 되는 기준신호를 미리 저장해 놓은 상태에서 센서부(121)를 통해 입력되는 신호가 기준신호에 부합할 때 호출동작으로 인지하게 된다.
이때 야간시간이나 주변이 어두운 장소를 비롯하여 눈이나 먼지(이물질)가 패널모듈(110) 외측 유리에 덮여 호출자가 찾지 못할 경우를 대비하여 차량 외부의 밝기를 인지하는 환경감지부(150)를 구비하고, 상기 패널모듈(110)에는 외부의 밝기에 대응하여 메시지 확인이 용이하도록 동작하는 라이트부(111)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환경감지부(150)는 조도센서로 패널모듈(110)의 근처에 설치되어 유리창 외측의 밝기를 측정하게 되며, 호출자가 패널모듈(110)의 확인이 어려운 수준의 어두움이나 유리창의 오염 상황에서 상기 라이트부(111)를 동작시켜 패널모듈(110) 및 안내메시지를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돕게 된다. 상기 라이트부(111)는 패널모듈(110)을 비추는 별도의 발광소자나 조명을 비롯하여 LCD나 LED 패널의 백라이트나 밝기를 강화하는 기능을 통해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근래에는 스마트폰으로 대표되는 휴대전화 외에도 컴퓨터나 랩톱 등을 이용하여 접근할 수 있는 SNS이 다수 존재하고 있으며, 다양한 활동이나 업무 중 스마트폰을 배제하고 컴퓨터나 랩톱을 이용할 수 있음에 따라 문자(SMS, MMS) 서비스 외 다양한 SNS를 활용한 호출메시지의 확인 및 응답메시지의 작성, 전송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상기 서비스모듈부(130)는 SNS연동부(13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SNS는 다양한 단말기를 통해 동작 가능한 상용 SNS을 모두 적용할 수 있으며,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SNS연동부(136)는 기본적으로 사용자가 설정한 SNS의 아이디와 패스워드를 입력받아 저장한다. 이후 저장된 아이디와 패스워드를 통해 해당 SNS에 로그인을 수행하게 되며, 이후 호출메시지의 송신 및 응답메시지의 수신을 지정 SNS를 통해 수행되도록 지원한다. 이를 통해 차주인 사용자가 업무 등의 이유로 휴대전화를 소지하지 않은 상황에서도 PC의 메신저를 비롯하여 로그인된 상태의 다양한 SNS를 통해 메시지의 확인 및 응답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메시지 지인 공개 설정된 SNS에서 차주 확인이 안 된 상태에서 지인이 호출메시지를 인지하여 차주에게 전달하는 등의 조치도 가능하다.
더불어 차주로부터의 즉각적인 응답이 없을 시 호출자의 편의를 위한 기능으로 차량과 운전자의 위치정보 기반의 안내가 이루어질 수 있다.
이를 위해 차량 내부에는 차량 위치정보를 생성하는 제1위치확인부(170)가 설치된다. 이러한 제1위치확인부(170)는 기본적으로 GPS 모듈로 구성되어 차량의 위치정보를 생성하나 이외에도 상용의 다양한 방식으로 위치정보를 얻을 수 있음은 당연하다.
이와 더불어 상기 사용자단말기(300)에도 사용자 위치정보를 생성하는 제2위치확인부(310)가 설치된다. 통상적인 스마트폰에는 기본적으로 GPS 모듈이 포함됨에 따라 이를 활용할 수 있으며, WiFi 등을 이용한 개략적인 위치정보를 활용할 수 있다.
이에 대응하여 상기 서비스모듈부(130)는 호출메시지가 발송된 이후 설정된 시간 상기 사용자단말기(300)로부터의 응답메시지가 없을 시 차량 및 사용자의 위치정보에 따른 상호 거리를 반영한 예비메시지를 상기 패널모듈을 통해 출력하는 제2응답부(135)를 더 포함하게 된다.
즉 상기 예비메시지는 기본적으로 응답메시지가 없음을 알림과 동시에 차량의 위치를 기준으로 차주의 거리를 개략적으로 알려주는 것으로, 거리를 비롯하여 멀지 않은 거리일 경우 평균 도보속도 기준 몇 분 거리에 있음을 예비메시지로 출력하여 호출자가 참고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제1위치확인부(170) 및 제2위치확인부(310)의 위치정보는 호출자뿐 아니라 사용자도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는 것으로, 다양한 상황에서 차량의 주차위치를 기억하지 못할 때 차량의 위치를 찾는데 유용하다. 예를 들어 익숙하지 않은 넓은 주차장에서 차량을 찾는 것을 비롯하여 대리운전 서비스를 이용 후 다음날 차량을 찾는 경우 차주가 차량위치를 쉽게 확인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2 실시예에 따른 개념도로서, 허브(100)를 기반으로 호출자가 스마트폰으로 대표되는 호출자단말기(400)를 사용하여 차주를 호출하되 개인정보의 노출 없이 상호 메시지의 교환이 이루어질 수 있는 구성을 본 발명의 2 실시예로 제시한다. 이를 위해 호출자단말기(400)를 통해 인식할 수 있는 인증패턴을 생성하여 호출동작으로 이를 인식하도록 하되, 이러한 인증패턴을 1회 사용 후 교체하여 호출자와 차주간 메시지 교환에 따른 정보가 남지 않도록 함으로 개인정보보호가 이루어진다.
도 7은 본 발명의 2 실시예에 따른 구성과 연결관계를 나타낸 블록도로서, 이러한 일회용 패턴을 이용한 차주 호출을 위한 구성으로 패턴제공부(140)와, 호출자단말기(400)와, 서비스서버(200)의 구성이 부가된다.
상기 패턴제공부(140)는 차량에 설치되어 인증패턴을 생성, 관리, 출력하기 위한 구성으로, 호출자단말기(400)를 통해 인식 가능한 전자적인 인증패턴을 출력하는 표시부(141)와, 인증패턴을 생성하여 상기 패널모듈(110)로 출력하고 서비스 종료신호에 따라 상기 인증패턴을 교체하는 패턴생성부(142)와, 생성된 인증패턴을 서비스서버(200)와 공유하는 공유부(143)를 구비하게 된다.
상기 인증패턴은 호출자단말기가 되는 통상의 스마트폰으로 인식 가능한 다양한 전자적 인증패턴이 될 수 있으며 일회용으로 제공된 후 교체가 가능해야 한다. 예시로 NFC 방식이나, 블루투스, Wi-Fi 등 근거리 무선통신으로 전달 가능한 형태의 패턴이 될 수도 있으며 스마트폰에 구비된 카메라를 통해 인식할 수 있는 시각적 패턴도 적용 가능하다. 바람직하게는 근거리 무선통신 기능을 활성화하지 않고도 카메라를 통해 손쉽게 인식 가능한 발광패턴 등 시각적 패턴을 활용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표시부(141)는 상기 패널모듈에 인접하여 설치되거나, 패널모듈(110)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발광패턴을 사용하고자 할 경우 패널모듈(110)에 인접한 발광소자를 통해 설정된 주기로 점멸이 발생하는 패턴을 제공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서로 다른 색상을 갖는 2개 이상의 발광소자를 배열하여 각각의 발광소자의 점멸 주기를 달리함으로 색상의 수와 점멸주기가 조합된 더 많은 경우의 수를 통해 인증패턴의 구현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상기 표시부(141)가 패널모듈과 일체로 구성될 경우 패널모듈(110)을 구성하는 LCD 또는 LED를 통해 다양한 형상의 이미지, 문자, 숫자를 비롯하여 필요에 따라 색상이나 점멸 주기를 적용한 인증패턴의 출력이 가능하다.
상기 패턴생성부(142)는 이러한 인증패턴을 생성하여 상기 패널모듈(110)로 출력하고 서비스 종료신호에 따라 상기 인증패턴을 교체하여 인증패턴이 일회성의 특성이 있도록 관리한다. 인증패턴은 다양한 수학식이나 알고리즘을 통해 생성할 수 있으며, OTP 방식으로 현재 시간동기화 방식을 비롯하여 차량번호, 차주의 전화번호나 생년월일 등 미리 설정된 정보를 기반으로 이들을 설정된 알고리즘을 통해 조합 내지는 미리 설정된 수식에 대응하는 방식을 비롯하여 다양한 난수 생성 알고리즘을 통해 일회용 인증패턴을 생성할 수 있다. 실질적으로 인증패턴은 디지털 방식의 신호로 생성되며 이는 앞서 언급된 형태 중 선택된 표시부의 형태에 대응하여 변환되어 출력이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 공유부(143)는 상기 패턴생성부(142)를 통해 생성된 인증패턴을 상기 서비스서버(200)와 공유하여 인증패턴에 대응하는 차주와의 연락을 가능하도록 한다.
상기 호출자단말기(400)는 사용자단말기(300)와 마찬가지로 호출자가 소지한 스마트폰과 같은 다양한 휴대단말기로서, 본 발명에 따른 서비스 구현을 위한 애플리케이션이 미리 설치되어 일련의 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인증패턴을 인식하는 인식부(410)와, 상기 서비스서버(200)와의 연동을 통해 인식된 인증패턴에 대응하는 사용자단말기(300)로의 통신기능을 제공하는 인터페이스부(420)를 구비하게 된다.
상기 인식부(410)는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상기 인증패턴이 근거리 무선통신 기반으로 구현될 경우 이를 인지할 수 있는 근거리 무선통신 모듈이 될 수 있고, 인증패턴이 시각적 패턴인 경우 이를 인지할 수 있는 카메라가 되어 호출자가 상기 표시부에 호출자단말기를 근접시킴에 따라 애플리케이션 및 인식부(410)를 통해 인증패턴의 인식이 이루어진다.
상기 인식부(410)를 통한 인증패턴이 인식됨에 따라 이러한 인식결과는 서비스서버(200)로 전송되어 상기 인터페이스부(420)를 통해 인증패턴에 대응하는 사용자단말기(300)와의 통신기능이 제공된다.
서비스서버(200)는 인증패턴에 따른 호출자와 차주의 통신 중계를 위한 구성으로 차량 내부에 설치되는 방식도 가능하나 원활한 서비스 제공 및 관리를 위해 별도의 원격 서버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패턴관리부(210)와, 연결부(220)와, 정보갱신부(230)의 세부구성을 구비하게 된다.
상기 패턴관리부(210)는 인증패턴 및 대응하는 사용자단말기(300)와의 연동정보를 관리하는 구성으로, 상기 패턴제공부(140)의 공유부(143)와 연계하여 차량별 인증패턴을 저장관리한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인증패턴은 차량번호를 비롯하여 사용자가 입력한 정보를 기반으로 함에 따라 실질적으로 차량마다 다르게 생성될 수 있으며 서비스에 가입된 차량별로 생성된 인증패턴을 저장하게 된다.
상기 연결부(220)는 호출자단말기(400)를 통해 인식 인증패턴에 대응하여 상기 사용자단말기(300)로의 통화 또는 메시지 전달을 중계하게 된다. 즉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호출자단말기(400)의 인식부(410)가 차량의 표시부(141)를 통해 출력되는 인증패턴을 인식함에 따라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일차적으로 서비스서버(200)로 인증정보가 전송된다. 이후 상기 패턴관리부(210)에 저장된 인증패턴 중 호출자단말기(400)에서 인식된 동일한 인증패턴을 찾아 대응하는 사용자단말기(300)와 통신 중계가 이루어지며 이때 호출자단말기(400) 및 사용자단말기(300) 관련 보호정보를 제외한 상태로 통신 중계, 즉 통화나 메시지의 교환이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 보호정보는 기본적으로 전화번호를 비롯하여 호출자 및 사용자를 식별할 수 있는 일체의 개인정보를 포괄한다.
실질적으로 호출자단말기(400)의 인터페이스부(420)를 통해 호출메시지를 선택하거나 작성하여 상기 서비스서버(200)를 공유하여 사용자단말기(300)로 전달이 이루어지며, 사용자단말기(300)에서 작성된 응답메시지는 상기 제1응답부(134)를 통해 패널모듈(110)을 통해 출력되거나 호출자단말기(400)를 통해 선택적으로 출력될 수 있다.
상기 정보갱신부(230)는 상기 연결부(220)의 동작 종료에 따라 서비스 종료신호를 송신하여 인증패턴에 일회용 특성을 부여한다. 기본적으로 호출메시지와 응답메시지를 통해 호출자와 차주 사이에 필요한 정보를 주고받을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호출자에게 동작 종료 여부를 확인하는 방식으로 동작 종료가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 정보갱신부(230)에서 서비스 종료신호를 송신하면 상기 패턴생성부(142)에서 이를 수신하여 인증패턴을 교체하여 인증패턴을 재사용할 수 없도록 함으로 호출자와 차주간 개인정보 보호가 완전하게 이루어지게 된다.
이러한 인증패턴의 교체는 호출동작의 종료에 동시에 이루어질 수도 있으며 호출동작이 이루어지지 않는 상태를 전제로 설정된 주기에 따라 이루어질 수도 있으며, 인증패턴이 호출동작 1회용으로 활용된다는 점은 변함이 없다.
이러한 일련의 차주 호출기능은 실질적으로 주차중인 상태에서만 요구되는 기능으로 주행 중이나 차주가 차량에 있는 상태에서는 동작이 이루어지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차량의 주차상태를 인지하는 주차감지부(160)를 더 포함하고, 상기 패턴제공부(140)는 상기 주차감지부(160)와 연동하며 차량의 주차 상태에서만 활성화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마찬가지로 상기 환경감지부(150)도 차량의 주차 상태에서만 활성화하여 불필요한 전력 및 리소스의 낭비를 방지할 수 있다.
차량의 주차상태를 인지하는 것을 GPS를 포함하는 상기 제1위치확인부(170)를 통해 설정된 시간 차량의 움직임이 없는 상태를 감지하거나 주차에 따라 차량의 내부 전원이 꺼지는 것을 감지하는 등의 조건을 활용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주차 브레이크(사이드 브레이크)의 동작 여부를 통해 주차 상태를 확인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제 주차 중이라 하더라도 평행 주차 상황에서 사이드 브레이크가 풀린 상태에서는 차량의 위치 이동이 가능하므로 차주를 호출하는 상황이 발생하지 않기 때문이다. 이러한 주차 브레이크의 동작 여부는 차량에 구비된 OBD단자를 통해 출력되므로 상기 내부통신부를 차량의 OBD단자와 통신하도록 구성하게 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차주호출 방법을 설명한다. 이러한 차주호출 방법은 상술한 차주와의 통신을 지원하는 차량용 허브시스템의 구성을 전제로 구현될 수 있는 프로세스로, 차량용 허브시스템의 구성을 이해한 당업자라면 이하에서 설명되는 각 프로세서의 수행 주체를 명확하게 파악할 수 있을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차주 호출방법을 나타낸 순서도 이다.
첫 번째 단계(S110)에서는 주차된 차량의 내부에 외측을 향하도록 설치된 패널모듈(110)을 통해 안내메시지를 출력한다. 이는 상기 서비스모듈부(130)와 연계한 것으로 휴대전화를 사용하지 않으면서 특정한 동작을 인식함으로 호출동작을 실행하도록 구성되므로 이를 호출자에게 가이드하는 안내메시지를 출력하게 된다.
두 번째 단계(S120)에서는 호출자가 상기 안내메시지에 따를 호출동작을 취함에 따라 호출동작을 인식하게 된다. 본 발명에서 호출동작을 인식하는 방법은 호출자가 호출자단말기의 소지, 활용에 따라 2가지 실시예로 나눠지며 후술한다.
세 번째 단계(S130)에서는 지정된 사용자단말기(300)로 호출메시지를 전송하게 된다. 호출메시지는 호출동작과 연계하여 차주에게 보낼 메시지로 간단하게는 호출이 있음을 알리는 내용의 메시지를 비롯하여 호출자의 구체적인 요구 및 의사를 반영할 수 있는 메시지를 미리 작성하여 서비스모듈부(130)의 저장부(131) 저장하여 활용할 수 있다.
네 번째 단계(S140)에서는 호출메시지에 대응하여 사용자단말기(300)를 통해 작성된 응답메시지를 수신하게 되며, 이후 다섯 번째 단계(S150)에서는 상기 패널모듈(110)을 통해 수신된 응답메시지를 상기 패널모듈(110)을 통해 출력하게 된다.
여섯 번째 단계(S160)에서는 설정된 시간 상기 사용자단말기(300)로부터의 응답메시지가 없을 시 차량 및 사용자의 위치정보에 따른 상호 거리를 반영한 예비메시지를 상기 패널모듈(110)을 통해 출력하게 된다.
즉 차량 내부에는 차량 위치정보를 생성하는 제1위치확인부(170)가, 상기 사용자단말기(300)에는 사용자 위치정보를 생성하는 제2위치확인부(310)가 각각 설치되며 호출메시지가 발송된 이후 설정된 시간 상기 사용자단말기(300)로부터의 응답메시지가 없을 시 차량 및 사용자의 위치정보에 따른 상호 거리를 반영한 예비메시지를 상기 패널모듈(110)을 통해 출력한다.
즉 상기 예비메시지는 기본적으로 응답메시지가 없음을 알림과 동시에 차량의 위치를 기준으로 차주의 거리를 개략적으로 알려주는 것으로, 거리를 비롯하여 멀지 않은 거리인 경우 평균 도보속도 기준 몇 분 거리에 있음을 예비메시지로 출력하여 호출자가 참고할 수 있도록 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1 실시예에 따른 차주 호출방법을 나타낸 순서도로서, 앞서 설명한 1 실시예와 같이 호출자가 휴대전화를 사용하지 않은 상태에서도 차주를 호출할 수 있는 방법을 구체화하고 있다.
이를 위해 상기 호출동작을 인식하는 단계(S120)는, 차량의 유리판 외측에서의 물체의 접근 및 형상변화를 감지하는 단계(S121)와, 감지된 정보를 설정된 기준정보와 비교하여 호출동작임을 판단하는 단계(S122)로 세분화된다.
이를 위해 차량의 내부에서 유리창 밖의 호출자의 동작을 인식할 수 있는 센서부(121)와, 호출동작을 판단하기 위한 판단부(123)를 구비한 호출감지부(120)를 별도로 구비하게 된다.
먼저, 영상센서를 비롯하여 초음파나 정전방식 등 다양한 방식의 근접센서 또는 거리센서를 활용하되, 단일의 센서보다는 설정된 물체의 근접 거리 및 영역에 따라 각각 차별화된 신호를 출력하는 복수의 센서(122)로 구성된 센서부(121)를 차량의 유리판 내부, 바람직하게는 상기 패널모듈(110) 근처에 설치하여 외측에서의 물체의 접근 및 형상변화를 감지하게 된다.
상기 센서부(121)를 통한 물체의 접근 및 형상변화를 설정된 기준정보와 비교하여 호출동작임을 판단하며 상기 기준신호는 상기 센서별 입력 지연시간을 포함하여 설정되므로 더욱 정확한 동작판단이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판단부(123) 안내메시지에 대응하는 판단기준 즉 물체(손)의 설정된 접근거리 접근, 유지시간, 형상변화의 판단 기준이 되는 기준신호를 미리 저장해 놓은 상태에서 센서부(121)를 통해 입력되는 신호가 기준신호에 부합할 때 호출동작으로 인지하게 된다.
도 10은 본 발명의 2 실시예에 따른 차주 호출방법을 나타낸 순서도로서, 앞서 설명한 2 실시예와 같이 호출자가 스마트폰으로 대표되는 호출자단말기(400)를 사용하여 차주를 호출하되 개인정보의 노출 없이 상호 메시지의 교환이 이루어질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하며, 기본적으로 이러한 인증패턴을 1회 사용 후 교체함으로 호출자와 차주간 메시지 교환에 따른 정보가 남지 않도록 함으로 개인정보보호가 이루어진다.
이를 위해 상기 호출동작을 인식하는 단계(S120)는, 전자적인 인증패턴을 생성하는 단계(S123)와, 생성된 인증패턴을 서비스서버(200)와 공유하고 차량외부로 출력하는 단계(S124)와, 호출자가 호출자단말기(400)를 통해 상기 인증패턴을 인식하는 단계(S125)로 세분화된다.
상기 인증패턴은 호출자단말기가 되는 통상의 스마트폰으로 인식 가능한 다양한 전자적 인증패턴이 될 수 있으며 근거리 무선통신으로 전달 가능한 형태의 패턴이 될 수도 있으며 스마트폰에 구비된 카메라를 통해 인식할 수 있는 시각적 패턴도 적용 가능하다. 바람직하게는 근거리 무선통신 기능을 활성화하지 않고도 카메라를 통해 손쉽게 인식 가능한 발광패턴 등 시각적 패턴을 활용할 수 있다.
발광패턴을 사용하고자 할 경우 패널모듈에 인접한 발광소자를 통해 설정된 주기로 점멸이 발생하는 패턴을 제공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서로 다른 색상을 갖는 2개 이상의 발광소자를 배열하여 각각의 발광소자의 점멸 주기를 달리함으로 색상의 수와 점멸주기가 조합된 더 많은 경우의 수를 통해 인증패턴의 구현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패턴생성부(142)를 통해 이러한 인증패턴을 생성하여 패널모듈(110)로 출력하고 서비스 종료신호에 따라 상기 인증패턴을 교체하여 인증패턴이 일회성의 특성이 있도록 관리한다. 인증패턴은 다양한 수학식이나 알고리즘을 통해 생성할 수 있으며, OTP 방식으로 현재 시간동기화 방식을 비롯하여 차량번호, 차주의 전화번호나 생년월일 등 미리 설정된 정보를 기반으로 이들을 설정된 알고리즘을 통해 조합 내지는 미리 설정된 수식에 대응하는 방식을 비롯하여 다양한 난수 생성 알고리즘을 통해 일회용 인증패턴을 생성할 수 있다. 실질적으로 인증패턴은 디지털 방식의 신호로 생성되며 이는 앞서 언급된 형태 중 선택된 표시부의 형태에 대응하여 변환되어 출력이 이루어지게 된다.
생성된 인증패턴은 서비스서버(200)와 공유되어 인증패턴에 대응하는 차주와의 연락을 가능하도록 한다.
호출자가 소지한 호출자단말기(400)에는 본 발명에 따른 서비스 구현을 위한 애플리케이션이 미리 설치되어 일련의 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호출자가 표시부(141)에 호출자단말기를 근접시킴에 따라 애플리케이션 및 인식부(410)를 통해 인증패턴의 인식이 이루어진다. 또한, 인식부(410)를 통한 인증패턴이 인식됨에 따라 이러한 인식결과는 후술되는 서비스서버로 전송되어 상기 인터페이스부(420)를 통해 인증패턴에 대응하는 사용자단말기(300)와의 통신기능이 제공된다.
더불어 상기 호출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S130)는, 서비스서버(200)와의 연동을 통해 호출자단말기(400)관련 보호정보를 제외한 상태로 상기 사용자단말기(300)로의 통화 또는 메시지 전달을 중계하도록 구성된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호출자단말기의 인식부(410)가 차량의 표시부(141)를 통해 출력되는 인증패턴을 인식함에 따라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일차적으로 서비스서버(200)로 인증정보가 전송된다. 이후 패턴관리부(210)에 저장된 인증패턴 중 호출자단말기(400)에서 인식된 동일한 인증패턴을 찾아 대응하는 사용자단말기와 중계가 이루어지며 이때 호출자단말기 및 사용자단말기 관련 보호정보를 제외한 상태로 통신 중계, 즉 통화나 메시지의 교환이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 보호정보는 기본적으로 전화번호를 비롯하여 호출자 및 사용자를 식별할 수 있는 일체의 개인정보를 포괄한다.
더불어 상기 응답메시지를 출력하는 단계(S150) 이후에는 동작 종료에 따라 서비스 종료신호를 생성하는 단계(S151)와, 서비스 종료신호에 따라 상기 인증패턴을 교체하는 단계(S152)가 포함된다.
기본적으로 호출메시지와 응답메시지를 통해 호출자와 차주 사이에 필요한 정보를 주고받을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호출자에게 동작 종료 여부를 확인하는 방식으로 동작 종료가 이루어지게 된다. 정보갱신부(230)에서 서비스 종료신호를 송신하면 상기 패턴생성부(142)에서 이를 수신하여 인증패턴을 교체하여 인증패턴을 재사용할 수 없도록 함으로 호출자와 차주간 개인정보 보호가 완전하게 이루어지게 된다.
이러한 인증패턴의 교체는 호출동작의 종료에 동시에 이루어질 수도 있으며 호출동작이 이루어지지 않는 상태를 전제로 설정된 주기에 따라 이루어질 수도 있으며, 인증패턴이 호출동작 1회용으로 활용된다는 점은 변함이 없다.
본 발명의 권리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100: 허브 101: 내부통신부 102: 외부통신부
110: 패널모듈 111: 라이트부
120: 호출감지부 121: 센서부
122: 센서 123: 판단부
130: 서비스모듈부 131: 저장부
132: 안내부 133: 호출부
134: 제1응답부 135: 제2응답부
136: SNS연동부 140: 패턴제공부
141: 표시부 142: 패턴생성부
143: 공유부 150: 환경감지부
160: 주차감지부 170: 제1위치확인부
200: 서비스서버 210: 패턴관리부 220: 연결부
230: 정보갱신부
300: 사용자단말기 310: 제2위치확인부
400: 호출자단말기 410: 인식부 420: 인터페이스부

Claims (12)

  1. 차량 내부에 설치되되, 외부전자모듈과의 통신을 위한 포트를 구비하고 상기 포트를 통해 신호를 송수신하는 내부통신부(101)와, 서비스서버(200) 및 사용자단말기(300) 중 선택되는 대상과 통신을 수행하는 외부통신부(102)를 구비하여 상기 내부통신부(101)와 외부통신부(102)를 중계하는 차량용 허브시스템으로서,
    차량의 내부에 외측을 향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내부통신부(101)에 연결되되, 인가된 신호에 따른 메시지를 출력하는 패널모듈(110);
    안내메시지 및 호출메시지가 저장되는 저장부(131)와, 상기 안내메시지를 상기 패널모듈(110)을 통해 출력하는 안내부(132)와, 외부의 호출자로부터 호출동작을 인식함에 따라 호출메시지를 상기 사용자단말기(300)로 전송하는 호출부(133)와, 상기 사용자단말기(300)로부터 응답메시지 수신시 상기 패널모듈(110)을 통해 출력하는 제1응답부(134)를 구비하는 서비스모듈부(13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주와의 통신을 지원하는 차량용 허브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차량의 유리판 내부에 설치되되 외측에서의 물체의 접근 및 형상변화를 감지하는 센서부(121)와, 상기 센서부(121)를 통한 물체의 접근 및 형상변화를 설정된 기준정보와 비교하여 호출동작임을 판단하는 판단부(123)를 구비하는 호출감지부(120)를 포함하고,
    상기 안내메시지는 상기 센서부(121)에 대한 접근거리 및 동작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주와의 통신을 지원하는 차량용 허브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전자적인 인증패턴을 출력하는 표시부(141)와, 인증패턴을 생성하여 상기 패널모듈(110)로 출력하고 서비스 종료신호에 따라 상기 인증패턴을 교체하는 패턴생성부(142)와, 생성된 인증패턴을 상기 서비스서버(200)와 공유하는 공유부(143)를 구비하는 패턴제공부(140);
    상기 인증패턴을 인식하는 인식부(410)와, 상기 서비스서버와의 연동을 통해 인식된 인증패턴에 대응하는 사용자단말기(300)로의 통신기능을 제공하는 인터페이스부(420)를 구비하는 호출자단말기(400);
    인증패턴 및 대응하는 사용자단말기(300)와의 연동정보를 관리하는 패턴관리부(210)와, 호출자단말기의 인식 인증패턴에 대응하여 호출자단말기관련 보호정보를 제외한 상태로 상기 사용자단말기(300)로의 통화 또는 메시지 전달을 중계하는 연결부(220)와, 상기 연결부(220)의 동작 종료에 따라 서비스 종료신호를 송신하는 정보갱신부(230)를 구비하는 서비스서버(20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주와의 통신을 지원하는 차량용 허브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차량 외부의 밝기를 인지하는 환경감지부(150); 를 더 포함하고,
    상기 패널모듈(110)은 외부의 밝기에 대응하여 메시지 확인이 용이하도록 동작하는 라이트부(11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주와의 통신을 지원하는 차량용 허브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모듈부(130)는 사용자가 설정한 SNS의 아이디와 패스워드를 저장 받아 로그인 인증을 수행 후 호출메시지의 송신 및 응답메시지의 수신을 지정 SNS를 통해 수행되도록 하는 SNS연동부(136)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주와의 통신을 지원하는 차량용 허브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차량 내부에 설치되어 차량 위치정보를 생성하는 제1위치확인부(170);
    상기 사용자단말기(300)에 설치되어 사용자 위치정보를 생성하는 제2위치확인부(310);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서비스모듈부(130)는, 설정된 시간 상기 사용자단말기(300)로부터의 응답메시지가 없을 시 차량 및 사용자의 위치정보에 따른 상호 거리를 반영한 예비메시지를 상기 패널모듈(110)을 통해 출력하는 제2응답부(135)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주와의 통신을 지원하는 차량용 허브시스템.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121)는 설정된 물체의 근접 거리 및 영역에 따라 각각 차별화된 신호를 출력하는 복수의 센서(122)로 구성되고,
    상기 기준신호는 상기 센서별 입력 지연시간을 포함하여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주와의 통신을 지원하는 차량용 허브시스템.
  8. 제3항에 있어서,
    차량의 주차상태를 인지하는 주차감지부(160); 를 더 포함하고,
    상기 패턴제공부(140)는 차량의 주차 상태에서만 활성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주와의 통신을 지원하는 차량용 허브시스템.
  9. 차량 내부에 설치되되, 외부전자모듈과의 통신을 위한 포트를 구비하고 상기 포트를 통해 신호를 송수신하는 내부통신부(101)와, 서비스서버(200) 및 사용자단말기(300) 중 선택되는 대상과 통신을 수행하는 외부통신부(102)를 구비하여 상기 내부통신부(101)와 외부통신부(102)를 중계하는 차량용 허브시스템을 이용한 차주호출 방법으로서,
    주차된 차량의 내부에 외측을 향하도록 설치된 패널모듈(110)을 통해 안내메시지를 출력하는 단계(S110);
    호출자가 상기 안내메시지에 따를 호출동작을 취함에 따라 호출동작을 인식하는 단계(S120);
    지정된 사용자단말기(300)로 호출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S130);
    호출메시지에 대응하여 사용자단말기(300)를 통해 작성된 응답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S140);
    상기 패널모듈(110)을 통해 수신된 응답메시지를 출력하는 단계(S15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주호출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호출동작을 인식하는 단계(S120)는,
    차량의 유리판 외측에서의 물체의 접근 및 형상변화를 감지하는 단계(S121)와,
    감지된 정보를 설정된 기준정보와 비교하여 호출동작임을 판단하는 단계(S122)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주호출 방법.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호출동작을 인식하는 단계(S120)는,
    전자적인 인증패턴을 생성하는 단계(S123)와,
    생성된 인증패턴을 서비스서버(200)와 공유하고 차량외부로 출력하는 단계(S124)와,
    호출자가 호출자단말기(400)를 통해 상기 인증패턴을 인식하는 단계(S125)로 이루어지고,
    상기 호출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S130)는,
    서비스서버와의 연동을 통해 호출자단말기(400)관련 보호정보를 제외한 상태로 상기 사용자단말기(300)로의 통화 또는 메시지 전달을 중계하며,
    상기 응답메시지를 출력하는 단계(S150) 이후,
    동작 종료에 따라 서비스 종료신호를 생성하는 단계(S151);
    서비스 종료신호에 따라 상기 인증패턴을 교체하는 단계(S152);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주호출 방법.
  12. 제9항에 있어서,
    설정된 시간 상기 사용자단말기(300)로부터의 응답메시지가 없을 시 차량 및 사용자의 위치정보에 따른 상호 거리를 반영한 예비메시지를 상기 패널모듈을 통해 출력하는 단계(S160);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주호출 방법.
KR1020190115552A 2019-09-19 2019-09-19 차주와의 통신을 지원하는 차량용 허브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차주호출 방법 KR20210033801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5552A KR20210033801A (ko) 2019-09-19 2019-09-19 차주와의 통신을 지원하는 차량용 허브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차주호출 방법
JP2020157058A JP2021048585A (ja) 2019-09-19 2020-09-18 車主との通信を支援する車両用ハブシステム及びこれを用いた車主呼び出し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5552A KR20210033801A (ko) 2019-09-19 2019-09-19 차주와의 통신을 지원하는 차량용 허브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차주호출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33801A true KR20210033801A (ko) 2021-03-29

Family

ID=748767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15552A KR20210033801A (ko) 2019-09-19 2019-09-19 차주와의 통신을 지원하는 차량용 허브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차주호출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2021048585A (ko)
KR (1) KR20210033801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43882A (ko) 2011-10-21 2013-05-02 엠앤서비스 주식회사 네트워크 통신 허브 기능을 구비한 차량 내 장치 및 네트워크 통신 허브 제공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35162A (ja) * 1995-07-20 1997-02-07 K S Ii Kk 駐車違反警告装置
JP3069319U (ja) * 1999-09-09 2000-06-16 萬太郎 西川 駐車車輌と運転者との間の通信装置
JP3344984B2 (ja) * 2000-03-21 2002-11-18 株式会社エイツー 通話接続システム
JP4113108B2 (ja) * 2003-12-16 2008-07-09 ソフトバンクモバイル株式会社 移動局位置の相互確認システム
JP2008059310A (ja) * 2006-08-31 2008-03-13 Hiroaki Okuda 車両駐車時間自動計測表示装置
JP2008120142A (ja) * 2006-11-08 2008-05-29 Aisin Seiki Co Ltd 自動車用情報表示システム
JP6282188B2 (ja) * 2014-07-04 2018-02-21 クラリオン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
JP2016173651A (ja) * 2015-03-16 2016-09-29 株式会社デンソーアイティーラボラトリ ドライバ状態改善支援装置及びドライバ状態改善支援方法
JP2016213614A (ja) * 2015-05-01 2016-12-15 キヤノン株式会社 通信装置、通信装置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
US10940812B2 (en) * 2015-11-02 2021-03-09 Sony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facilitating communication via an electronic interface of a vehicle
JP6706596B2 (ja) * 2017-06-09 2020-06-10 日本電信電話株式会社 通信システム、通信装置および通信方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43882A (ko) 2011-10-21 2013-05-02 엠앤서비스 주식회사 네트워크 통신 허브 기능을 구비한 차량 내 장치 및 네트워크 통신 허브 제공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1048585A (ja) 2021-03-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771945B2 (en) Tracking and theft-recovery system for mobile assets
KR102334318B1 (ko) 외부 이동 수단으로 릴레이 메시지를 전송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CN103825630B (zh) 利用装置运动和近场通信控制车辆接口的方法
US20170032593A1 (en) Remote wireless keyfob diagnostics
US20150051754A1 (en) Control device and control method for controlling function of vehicle
US20180013873A1 (en) Method of Providing Driver-Behavior Information Off-Site Through Telematics System
US10147294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reminder of occupant
US10229601B2 (en) System and method to exhibit vehicle information
US10268495B2 (en) Virtual device model system
CN105204457A (zh) 实现车辆远程定位救援的方法、车辆、移动终端及救援服务器
CN104299375A (zh) 一种基于物联网的智能防丢装置
KR20170054764A (ko) 전기자동차 충전시스템
CN104359476A (zh) 汽车定位导航装置、导航系统及导航方法
KR100866617B1 (ko) 차량 운행정보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EP3457379A1 (en) Method of providing driver-behavior information off-site through telematics system
US20140167983A1 (en) Integration of vehicle with home-centric system
KR20160081334A (ko) 모바일단말 제어형 자동차용 외향 표시장치를 이용한 자동차 외향 표시방법
US11279319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identifying unauthorized vehicle use
KR20210033801A (ko) 차주와의 통신을 지원하는 차량용 허브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차주호출 방법
KR20130066183A (ko) 스마트 폰을 이용한 차량 원격 제어 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
CN114841691A (zh) 自动车辆启动服务系统
JP2021164305A (ja) 通信制御装置、通信制御システム、および、通信制御方法
US11987175B2 (en) Control device, system, vehicle, and control method
US20180033218A1 (en) Remotely connected car internet of things key
JP7456419B2 (ja) 制御装置、システム、車両、及び制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