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33516A - 컴바인드 사이클 발전 플랜트 - Google Patents

컴바인드 사이클 발전 플랜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33516A
KR20210033516A KR1020217005226A KR20217005226A KR20210033516A KR 20210033516 A KR20210033516 A KR 20210033516A KR 1020217005226 A KR1020217005226 A KR 1020217005226A KR 20217005226 A KR20217005226 A KR 20217005226A KR 20210033516 A KR20210033516 A KR 202100335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rge
heat recovery
recovery boiler
pipe
exhau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052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57172B1 (ko
Inventor
하지메 아오키
타츠야 호시노
요시유키 하세가와
테츠야 하라다
히카루 사노
마사노리 류
Original Assignee
카와사키 주코교 카부시키 카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카와사키 주코교 카부시키 카이샤 filed Critical 카와사키 주코교 카부시키 카이샤
Publication of KR202100335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335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571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571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KSTEAM ENGINE PLANTS; STEAM ACCUMULATORS; ENGINE PLA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NGINES USING SPECIAL WORKING FLUIDS OR CYCLES
    • F01K23/00Plants characterised by more than one engine delivering power external to the plant, the engines being driven by different fluids
    • F01K23/02Plants characterised by more than one engine delivering power external to the plant, the engines being driven by different fluids the engine cycles being thermally coupled
    • F01K23/06Plants characterised by more than one engine delivering power external to the plant, the engines being driven by different fluids the engine cycles being thermally coupled combustion heat from one cycle heating the fluid in another cycle
    • F01K23/10Plants characterised by more than one engine delivering power external to the plant, the engines being driven by different fluids the engine cycles being thermally coupled combustion heat from one cycle heating the fluid in another cycle with exhaust fluid of one cycle heating the fluid in another cyc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DNON-POSITIVE DISPLACEMENT MACHINES OR ENGINES, e.g. STEAM TURBINES
    • F01D17/00Regulating or controlling by varying flow
    • F01D17/10Final actuators
    • F01D17/12Final actuators arranged in stator parts
    • F01D17/14Final actuators arranged in stator parts varying effective cross-sectional area of nozzles or guide conduits
    • F01D17/141Final actuators arranged in stator parts varying effective cross-sectional area of nozzles or guide conduits by means of shiftable members or valves obturating part of the flow path
    • F01D17/145Final actuators arranged in stator parts varying effective cross-sectional area of nozzles or guide conduits by means of shiftable members or valves obturating part of the flow path by means of valves, e.g. for steam turbin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DNON-POSITIVE DISPLACEMENT MACHINES OR ENGINES, e.g. STEAM TURBINES
    • F01D21/00Shutting-down of machines or engines, e.g. in emergency; Regulating, controlling, or safety mea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1D21/003Arrangements for testing or measu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DNON-POSITIVE DISPLACEMENT MACHINES OR ENGINES, e.g. STEAM TURBINES
    • F01D25/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other grou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CGAS-TURBINE PLANTS; AIR INTAKES FOR JET-PROPULSION PLANTS; CONTROLLING FUEL SUPPLY IN AIR-BREATHING JET-PROPULSION PLANTS
    • F02C6/00Plural gas-turbine plants; Combinations of gas-turbine plants with other apparatus; Adaptations of gas-turbine plants for special use
    • F02C6/14Gas-turbine plants having means for storing energy, e.g. for meeting peak loads
    • F02C6/16Gas-turbine plants having means for storing energy, e.g. for meeting peak loads for storing compressed a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CGAS-TURBINE PLANTS; AIR INTAKES FOR JET-PROPULSION PLANTS; CONTROLLING FUEL SUPPLY IN AIR-BREATHING JET-PROPULSION PLANTS
    • F02C6/00Plural gas-turbine plants; Combinations of gas-turbine plants with other apparatus; Adaptations of gas-turbine plants for special use
    • F02C6/18Plural gas-turbine plants; Combinations of gas-turbine plants with other apparatus; Adaptations of gas-turbine plants for special use using the waste heat of gas-turbine plants outside the plants themselves, e.g. gas-turbine power heat plan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20/00Combustion technologies with mitigation potential
    • Y02E20/16Combined cycle power plant [CCPP], or combined cycle gas turbine [CCG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6Mechanical energy storage, e.g. flywheels or pressurised flui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Engine Equipment That Uses Special Cycles (AREA)
  • Control Of Turbines (AREA)

Abstract

가스 터빈의 효율 저하를 회피하면서 배열 회수 보일러 내의 퍼지를 수행할 수 있는 컴바인드 사이클 발전 플랜트를 제공한다. 컴바인드 사이클 발전 플랜트는, 압축 공기를 생성하는 압축기와, 배기구를 구비하고, 연료와 압축기에 의해 생성된 압축 공기의 연소에 의해 생성된 연소 가스에 의해 구동되며, 배기구로부터 배기 가스를 배출하는 터빈을 구비하는 가스 터빈과, 배기 가스로부터 열을 회수하여 증기를 발생시키는 수직형의 배열 회수 보일러와, 배기구와 배열 회수 보일러의 하부를 접속하는 덕트와, 덕트에 일단이 접속되고, 타단이 대기 중으로 개방되어 공기가 유입되는 제1 퍼지 배관과, 제1 퍼지 배관에 설치된 제1 퍼지 밸브와, 제1 퍼지 배관이 개방되도록 제1 퍼지 밸브를 제어하는 제어 장치를 구비하고 있다.

Description

컴바인드 사이클 발전 플랜트
본 발명은 컴바인드 사이클 발전 플랜트에 관한 것이다.
근래에, 에너지를 더 효율적으로 이용하기 위해서, 컴바인드 사이클 발전 플랜트가 사용되고 있다. 컴바인드 사이클 발전 플랜트는, 가스 터빈, 증기 터빈, 배열 회수 보일러 등을 구비하고 있고, 가스 터빈과 증기 터빈을 조합한 발전 방식을 채용하는 것이다. 이러한 컴바인드 사이클 발전 플랜트에 서는, 가스 터빈에서 일을 한 후의 배기 가스를 배열 회수 보일러에 인도하여, 배기 가스의 열을 이용하여 증기를 발생시키고, 그 증기에 의해 증기 터빈을 구동하여 발전하는 것이다.
컴바인드 사이클 발전 플랜트에서는, 그 기동 시에, 배열 회수 보일러 내에 잔류하고 있는 가스(가연성 가스 등)을 퍼지(purge)할 필요가 있다.
예를 들어, 특허문헌 1의 컴바인드 사이클 발전 플랜트에서는, 압축기로부터의 압축 공기를 배열 회수 보일러로 추기(抽氣)시키기 위한 추기관이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추기관에는, 개방 상태에서 압축 공기를 배열 회수 보일러에 추기시키고, 폐쇄 상태에서 압축 공기의 배열 회수 보일러로의 추기를 차단하는 밸브가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추기관을 통해 배열 회수 보일러에 추기되는 압축 공기는, 압축기에서 생성된 압축 공기의 일부이다.
가스 터빈의 터빈의 배기구는 덕트(특허문헌 1에서는 바이패스로 칭함)를 통해 배열 회수 보일러에 접속되어 있다. 상기 덕트에는, 터빈으로부터 배출된 배기 가스를 연관(煙管)에 유입시키는 동시에 배열 회수 보일러로의 배기 가스의 유입을 차단하는 제1 위치, 또는 상기 배기 가스를 배열 회수 보일러에 유입시키는 동시에 연관으로의 배기 가스의 유입을 차단하는 제2 위치에 배치되는 배기 바이패스 댐퍼가 설치되어 있다.
배열 회수 보일러 내의 가스를 퍼지할 때에는, 가스 터빈을 구동하고 있는 상태(연소 중의 상태)에서, 배기 바이패스 댐퍼가 제1 위치에 배치되고 또는 밸브가 개방 상태가 되도록, 배기 바이패스 댐퍼 및 밸브가 제어 장치에 의해 제어된다. 이에 따라서, 압축 공기의 일부가 추기관을 통해 배열 회수 보일러에 추기되고, 배열 회수 보일러 내의 가스가 퍼지된다.
일본 특허 제5550461호 공보
가스 터빈을 정지한 후 다시 기동하는 때에, 배열 회수 보일러에 잔류하고 있는 가스를 퍼지할 필요가 있다. 이 경우, 가스 터빈을 기동하기 전에 가스 터빈의 로터를 모터에 의해 회전시킴으로써, 연소기에서 연소가 일어나는 일이 없이, 가스 터빈을 통과하는 공기에 의해 배열 회수 보일러가 소기(掃氣)된다(프리 퍼지(pre-purge)라고 칭한다). 이 경우, 배열 회수 보일러뿐만 아니라 가스 터빈 내에 잔류하고 있는 가스도 퍼지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프리 퍼지에는 시간을 요한다.
또한, 가스 터빈을 단독으로 운전 중에 복합 발전으로의 이행 준비 시에, 가스 터빈을 단독으로 운전시키면서 배열 회수 보일러 내를 퍼지할 필요가 있다. 이 경우, 압축기로부터의 추기용 압축 공기가 퍼지용 공기로서 사용된다. 그러나, 추기용의 압축 공기를 사용하면, 가스 터빈의 효율의 저하로 이어진다.
따라서, 본 발명은, 자연 통풍에 의해 배열 회수 보일러 내의 퍼지를 실시할 수 있는 컴바인드 사이클 발전 플랜트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컴바인드 사이클 발전 플랜트는, 압축 공기를 생성하는 압축기와, 배기구를 구비하고, 연료와 상기 압축기에 의해 생성된 상기 압축 공기의 연소에 의해 생성된 연소 가스에 의해 구동되며, 상기 배기구로부터 배기 가스를 배출하는 터빈을 구비하는 가스 터빈과, 상기 배기 가스로부터 열을 회수하여 증기를 발생시키는 수직형의 배열 회수 보일러와, 상기 배기구와 상기 배열 회수 보일러의 하부를 접속하는 덕트와, 상기 덕트에 일단이 접속되고, 타단이 대기 중으로 개방되어 공기가 유입되는 제1 퍼지 배관과, 상기 제1 퍼지 배관에 설치된 제1 퍼지 밸브와, 상기 제1 퍼지 배관이 개방되도록 상기 제1 퍼지 밸브를 제어하는 제어 장치를 구비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가스 터빈의 정지 후에 다시 가스 터빈을 기동시키는 경우에는, 제1 퍼지 밸브가 개방 상태로 되어 제1 퍼지 배관이 개방된다. 이 경우, 배열 회수 보일러 내에서 고온 상태에 있는 관 군(群) 주위의 공기는 가열되어 있기 때문에, 외기 온도의 공기의 비중보다 작다. 이에 따라서, 외부 공기가 제1 퍼지 배관을 통해 배열 회수 보일러의 하부로부터 당해 배열 회수 보일러 내로 유입하기 때문에, 자연 통풍에 의해 퍼지 효과가 나타난다. 따라서, 가스 터빈을 기동시키기 전에 가스 터빈을 모터에 의해 회전시킴으로써 발생하는 공기의 흐름을 이용하여 배열 회수 보일러 내를 퍼지하는 것, 즉 가스 터빈을 회전시킴으로써 프리 퍼지를 반드시 요하지 않는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서, 가스 터빈의 정지 중에 자연 통풍에 의해 배열 회수 보일러 내를 퍼지할 수 있기 때문에, 가스 터빈 및 발전 플랜트의 기동 시간을 단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가스 터빈의 운전 시(가스 터빈을 단독으로 운전 중에 복합 발전(가스 터빈 운전과 배열 회수 보일러 운전)으로의 이행 준비 시)에는, 마찬가지로 자연 통풍에 의해 배열 회수 보일러 내를 퍼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서, 압축기의 추기용의 압축 공기를 사용하지 않아도 때문에, 가스 터빈의 효율 저하를 초래하지 않는다.
상기 발명에서, 상기 제1 퍼지 배관에서 상기 제1 퍼지 밸브의 상류 측에 체크 밸브가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구성에 따르면, 가스 터빈의 운전 시에서 배열 회수 보일러 내의 압력이 정압이 된 경우에, 체크 밸브에 의해 공기의 역류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체크 밸브를 제1 퍼지 밸브의 상류 측에 배치함으로써, 당해 체크 밸브에 스틱(stick) 등의 문제가 발생한 경우에, 제1 퍼지 밸브를 폐쇄 상태로 두면, 배열 회수 보일러가 운전 중이라도 체크 밸브를 수리 또는 교환할 수 있다.
상기 발명에서, 컴바인드 사이클 발전 플랜트는, 상기 배열 회수 보일러 내의 온도를 검출하는 제1 온도 센서와, 상기 제1 퍼지 배관에서 상기 체크 밸브의 상류 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1 퍼지 배관 내의 상기 공기의 온도를 검출하는 제2 온도 센서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제1 온도 센서에 의해 검출된 온도와 상기 제2 온도 센서에 의해 검출된 온도의 차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퍼지 배관이 폐쇄되도록 상기 제1 퍼지 밸브를 제어하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상기 구성에 따르면, 제1 온도 센서에 의해 검출된 온도 및 제2 온도 센서에 의해 검출된 온도의 차이에 기초하여 퍼지를 완료해야 할 시기가 판단된다. 따라서, 필요 이상으로 퍼지를 수행하는 것이 방지된다.
상기 발명에서, 상기 터빈은 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상태와 상기 모터와 분리된 상태 사이에서 전환되는 로터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가스 터빈에서 연소 종료 후이고 상기 로터가 상기 모터에 의해 회전될 때에, 상기 제1 퍼지 배관이 개방되도록 상기 제1 퍼지 밸브를 제어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압축 공기의 연소 종료 후에 가스 터빈이 정지된 후, 이러한 가스 터빈 및 피구동기 로터의 변형의 발생을 피하기 위해서나 기동 전에 축 중심의 구부러짐을 적게 하기 위해서, 터닝(turning)이 수행되고 있다. 상기 구성에 따르면, 터닝의 실시 중에 제1 퍼지 밸브가 제어되어 배열 회수 보일러 내의 가스가 퍼지되기 때문에, 터닝의 실시 후에 퍼지를 수행하는 경우 보다, 퍼지의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상기 발명에서, 컴바인드 사이클 발전 플랜트는, 상기 덕트에 접속되고, 상기 배기 가스를 대기 중에 방출하는 연관과, 상기 덕트에 설치되고, 상기 배기 가스를 상기 연관으로 유입시키는 동시에 상기 배열 회수 보일러로의 상기 배기 가스의 유입을 차단하는 제1 위치 또는 상기 배열 회수 보일러로 상기 배기 가스를 유입시키는 동시에 상기 연관으로의 상기 배기 가스의 유입을 차단하는 제2 위치에 배치되는 배기 바이패스 댐퍼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가스 터빈의 운전 시에, 상기 배기 바이패스 댐퍼가 상기 제1 위치에 배치되고 또한 상기 제1 퍼지 배관이 개방되도록 상기 배기 바이패스 댐퍼 및 상기 제1 퍼지 밸브를 제어하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상기 구성에 따르면, 가스 터빈의 운전 시(가스 터빈의 단독 운전에서 복합 운전으로 이행 시)에서, 배기 바이패스 댐퍼가 제1 위치에 배치되고 또한 제1 퍼지 밸브가 개방 상태로 되어 제1 퍼지 배관이 개방된다. 이 경우, 배열 회수 보일러 내에서 고온 상태에 있는 관 군의 주위의 공기가 가열되어 있기 때문에, 외기 온도의 공기의 비중보다 작다. 이에 따라서, 외기가 제1 퍼지 배관을 통해 배열 회수 보일러의 하부로부터 당해 배열 회수 보일러 내로 유입되고, 퍼지 효과가 나타난다. 따라서, 압축기가 운전 중에 그 압축 공기를 사용하여 퍼지를 수행하지 않아도 된다. 이에 따라서, 가스 터빈의 효율 저하를 초래하지 않는다.
상기 발명에서, 상기 압축기는, 상기 압축 공기를 유출시키는 추기구를 구비하고, 상기 추기구와 상기 덕트를 접속하는 제2 퍼지 배관 및 상기 제2 퍼지 배관에 설치된 제2 퍼지 밸브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가스 터빈의 운전 시에, 상기 제2 퍼지 배관이 개방되도록 상기 제2 퍼지 밸브를 제어하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상기 구성에 따르면, 배열 회수 보일러 내의 가스를 퍼지하는 때에, 제2 퍼지 배관을 통해 유입되는 압축 공기를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가스 터빈의 효율이 약간 저하될 가능성이 있지만, 사용하는 압축 공기량에 의해 퍼지에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가스 터빈의 효율 저하를 회피하면서 배열 회수 보일러 내의 퍼지를 실시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컴바인드 사이클 발전 플랜트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2의 (a)는 도 1의 가스 터빈과 그 주변 구성을 도시하는 개략적인 구성도이고, (b)는 가스 터빈과 그 주변 구성의 다른 예를 도시하는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3은 제1 실시예의 제어 장치의 처리의 흐름을 도시하는 플로우 차트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컴바인드 사이클 발전 플랜트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5는 제2 실시예의 제어 장치의 처리의 흐름을 도시하는 플로우 차트이다.
(제1 실시예)
이하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의 컴바인드 사이클 발전 플랜트(CCPP: Combined Cycle Power Plant)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하에 설명하는 컴바인드 사이클 발전 플랜트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불과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하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취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추가, 삭제 및 변경이 가능하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실시예에 따른 컴바인드 사이클 발전 플랜트(1)는, 발전기(34)(도 2(a), (b) 참조)에 접속된 가스 터빈(2)과, 가스 터빈(2)에서의 배기 가스로부터 열을 회수하여 증기를 발생시키는 수직형(竪型) 구조의 배열 회수 보일러(3)와, 덕트(4)와, 제1 퍼지 배관(5)과, 제1 퍼지 밸브(6)와, 체크 밸브(7)와, 제1 온도 센서(10)와, 제2 온도 센서(11)와, 제어 장치(12)를 구비하고 있다. 제어 장치(12)는, 예를 들어 ROM이나 RAM 등과 같은 메모리 및 CPU를 구비한 컴퓨터이고, ROM에 저장된 프로그램이 CPU에 의해 실행된다. 여기서, 배열 회수 보일러(3)에 의해 발생된 증기는, 도시하지 않은 증기 터빈에 의한 발전에 이용된다.
가스 터빈(2)은, 압축기(21), 연소기(25)(도 2(a), (b) 참조) 및 배기구(23)가 설치된 터빈(22)을 구비하고 있다. 가스 터빈(2)에서는, 압축기(21)에서 압축되어 생성된 압축 공기와 연료를 연소기(25)에서 혼합 연소시켜서, 발생한 연소 가스를 터빈(22)으로 공급하고 터빈(22)의 날개(羽根)를 회전시킴으로써, 연소 가스의 열 에너지를 회전 운동 에너지로 변환한다. 터빈(22)으로부터의 배기 가스(연소 가스)는 배기구(23)로부터 배출된다. 여기서, 가스 터빈(2)의 연료로서, LNG(천연 가스), 수소 가스, 부생 가스 및 액체 연료 등을 들 수 있다.
여기서, 가스 터빈에는,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은 일축형 가스 터빈(2)과,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은 이축형 가스 터빈(2a)이 있다. 여기서, 도 2(b)의 구성 요소 중 도 2(a)의 구성 요소와 동일한 것에 대해서는, 도 2(a)의 부호와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있다.
도 2(a)의 가스 터빈(2)에서는, 가스 터빈(2)의 출력축(32)은 커플링(35)을 통해 감속기(33)에 접속되어 있다. 감속기(33)에는, 스타터 모터와 터닝 모터를 겸하는 모터(36)가 접속되고, 또한 커플링(37)을 통해 발전기(34)가 접속되어 있다. 터빈(22)의 로터(31)는, 감속기(33)에 의해, 모터(36)에 의하여 회전되는 상태와 모터(36)와 분리된 상태 사이에서 전환된다. 상기 터닝을 수행할 때에는, 로터(31)는 모터(36)에 의해 회전되도록 되어 있다. 여기서, 도 2(a)의 가스 터빈(2)에서, 스타터 모터와 터닝 모터를 별도로 장비하여도 좋다.
또한, 도 2(b)의 가스 터빈(2a)에서는, 스타터 모터인 모터(39)와, 터닝 모터인 모터(36)가 별개로 설치되어 있다. 압축기(21)에는 감속기(38)를 통해 모터(39)가 접속되어 있다. 또한, 가스 터빈(2a)에서는, 가스 제너레이터 터빈(26)과 파워 터빈(27)이 설치된다. 파워 터빈(27)의 출력축(로터)(32)은 커플링(35)을 통해 감속기(33)에 접속되어 있다. 감속기(33)에는, 모터(36)가 접속되어 있는 동시에 커플링(37)을 통해 발전기(34)가 접속되어 있다. 파워 터빈(27)의 출력축(32)은, 감속기(33)에 의해, 모터(36)에 의해 회전되는 상태와 모터(36)와 분리된 상태 사이에서 전환된다. 터닝을 수행할 때에는, 출력축(32)은 모터(36)에 의해 회전되도록 되어 있다. 여기서, 도 2(b)의 가스 터빈(2a)에서, 스타터 모터와 터닝 모터를 겸하는 모터를 설치하여도 좋다.
도 1에 돌아가면, 덕트(4)의 일단은 배기구(23)에 접속되어 있고, 덕트(4)의 타단은 배열 회수 보일러(3)의 하부에 접속되어 있다. 배기구(23)로부터 배출된 배기 가스는 덕트(4)를 통해 배열 회수 보일러(3) 내로 유입된다.
제1 퍼지 배관(5)의 일단은 덕트(4)에 접속되어 있다. 제1 퍼지 배관(5)의 타단은 대기 중에 개방되고, 당해 타단으로부터 외기가 유입되도록 되어 있다. 제1 퍼지 배관(5)에는, 상류 측으로부터 순서대로 체크 밸브(7) 및 제1 퍼지 밸브(6)가 설치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제1 퍼지 밸브(6)로서, 제1 퍼지 배관(5) 내의 공기의 양을 제어하는 유량 제어 밸브(댐퍼)를 채용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제1 퍼지 배관(5)을 개방 및 폐쇄할 수 있는 개폐 밸브를 채용하여도 좋다. 후술하는 제2 퍼지 밸브(9)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제1 온도 센서(10)는, 배열 회수 보일러(3)의 출구 부근의 온도를 검출하고, 그 검출 결과의 신호를 제어 장치(12)로 출력한다. 제2 온도 센서(11)는, 제1 퍼지 배관(5)에서 체크 밸브(7)의 상류 측에 배치되고, 제1 퍼지 배관(5) 내의 공기의 온도를 검출하고, 그 검출 결과의 신호를 제어 장치(12)에 출력한다.
컴바인드 사이클 발전 플랜트(1)에서, 배열 회수 보일러(3) 내의 퍼지는, 가스 터빈(2)의 정지 후에 다시 가스 터빈(2)을 기동시키는 경우(즉 가스 터빈(2)에서 연소 종료 후이고 로터(31)가 모터(36)에 의하여 회전될 때(터닝 시)에 수행된다.
제어 장치(12)는, 퍼지를 수행할 때에, 제1 퍼지 배관(5)이 개방되도록 제1 퍼지 밸브(6)를 제어한다. 이 경우, 연소 종료 후의 배열 회수 보일러(3) 내에서 고온 상태에 있는 관 군(群)의 주위의 공기는 가열되어 있기 때문에, 외기 온도의 공기의 비중보다 작다. 이에 따라서, 외기가 제1 퍼지 배관(5)을 통해 배열 회수 보일러(3)의 하부로부터 당해 배열 회수 보일러(3) 내로 유입되고, 퍼지 효과가 나타난다.
또한, 제어 장치(12)는, 퍼지의 종료 시를 다음과 같이 판정한다. 제어 장치(12)는, 제1 온도 센서(10)에 의해 검출된 온도 및 제2 온도 센서(11)에 의해 검출된 온도의 차이로부터 배열 회수 보일러(3) 내의 부력을 산출하고, 배열 회수 보일러(3) 내에 유입된 공기의 적산 유량을 산출한다. 제어 장치(12)는 적산 유량이 소정량에 도달하면, 퍼지 종료로 판정하고, 제1 퍼지 배관(5)이 폐쇄되도록 제1 퍼지 밸브(6)를 제어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어서, 제어 장치(12)에 의한 퍼지 시의 제어 방법을 설명한다. 도 3은 제어 장치(12)의 처리의 흐름을 도시하는 플로우 차트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 장치(12)는, 가스 터빈(2)에서 연소 종료 후에, 모터(36)를 구동시켜 터닝을 실시한다(스텝(S1)). 그리고, 제어 장치(12)는, 터닝 시에 제1 퍼지 밸브(6)를 개방 상태로 한다(스텝(S2)). 그리하면, 외기가 제1 퍼지 배관(5)을 통해 배열 회수 보일러(3)의 하부로부터 당해 배열 회수 보일러(3) 내로 유입되고, 퍼지 효과가 나타난다.
이어서, 제어 장치(12)는, 퍼지 적산 유량이 소정량에 도달했는지 여부를 판별한다(스텝(S3)). 판별 방법은 상술한 바와 같다. 퍼지 적산 유량이 소정량에 도달한 경우에는(스텝(S3)에서 YES), 스텝(S4)으로 진행하고, 퍼지 적산 유량이 소정정량에 도달하지 않은 경우에는(스텝(S3)에서 NO), 스텝(S3)의 처리를 다시 수행한다.
스텝(S4)에서는, 제어 장치(12)는 제1 퍼지 밸브(6)를 폐쇄 상태로 한다. 이에 따라서, 외기가 제1 퍼지 배관(5)을 통해 배열 회수 보일러(3) 내에 유입하지 않게 된다. 그리고, 제어 장치(12)는, 모터(36)를 정지시켜 터닝을 종료시킨다(스텝(S5)).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컴바인드 사이클 발전 플랜트(1)에서는, 연소 종료 후이고 터닝 시에, 외기를 제1 퍼지 배관(5)을 통해 배열 회수 보일러(3) 내에 유입시키기 때문에, 자연 통풍에 의해 퍼지 효과가 나타난다. 따라서, 가스 터빈(2)을 기동시키기 전에 가스 터빈(2)을 모터(36)에 의해 회전시킴으로써 발생하는 공기의 흐름을 이용하는 배열 회수 보일러(3) 내의 퍼지를 반드시 요하지 않는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가스 터빈(2)의 정지 중에 자연 통풍에 의해 배열 회수 보일러(3) 내를 퍼지할 수 있기 때문에, 가스 터빈(2) 및 플랜트(1)의 기동 시간을 단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여기서, 가스 터빈(2)을 회전시킴으로써 당해 가스 터빈(2)의 소기를 위한 퍼지는 필요하다.
(제2 실시예)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컴바인드 사이클 발전 플랜트(1a)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여기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 부재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실시예에 따른 컴바인드 사이클 발전 플랜트(1a)는, 덕트(4)에 접속되고, 가스 터빈(2)으로부터의 배기 가스를 대기 중에 방출하는 연관(13)과, 덕트(4)에 설치된 배기 바이패스 댐퍼(41)와, 압축기(21)의 추기구(24)와 덕트(4)를 접속하는 제2 퍼지 배관(8)과, 제2 퍼지 배관(8)에 설치된 제2 퍼지 밸브(9)를 더 구비하고 있다. 여기서, 도 4에는, 제2 퍼지 배관(8)의 하류단이 제1 퍼지 배관(5)의 중간 부분에 접속되어 있어서, 추기구(24)와 덕트(4)가 제2 퍼지 배관(8)에 의해 간접적으로 접속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배기 바이패스 댐퍼(41)는, 제어 장치(12)의 제어에 의해, 배기 가스를 연관(13)에 유입시키는 동시에 배열 회수 보일러(3)로의 배기 가스의 유입을 차단하는 제1 위치(P1) 또는 배열 회수 보일러(3)에 배기 가스를 유입시키는 동시에 연관(13)으로의 배기 가스의 유입을 차단하는 제2 위치(P2)에 위치된다. 배기 바이패스 댐퍼(41)가 제1 위치(P1)에 위치하는 경우는, 배기 가스가 배열 회수 보일러(3) 내에 유입하지 않기 때문에, 배열 회수 보일러(3)에 의한 증기의 발생이 되지 않는 경우이다. 즉, 도시하지 않은 증기 터빈에 의한 발전이 수행되지 않는 경우이다. 이에 반해서, 배기 바이패스 댐퍼(41)가 제2 위치(P2)에 위치하는 경우는, 배기 가스가 배열 회수 보일러(3) 내에 유입하기 ‹š문에, 가스 터빈(2)에 의한 발전과 상기 증기 터빈에 의한 발전이 복합되어 수행되는 경우(복합 발전)이다. 여기서, 도 4에서는, 배기 바이패스 댐퍼(41)가 제1 위치(P1)에 위치된 상태가 실선에 의해 도시되고, 배기 바이패스 댐퍼(41)가 제2 위치(P2)에 위치된 상태가 이점 쇄선에 의해 도시되어 있다.
상기 구성에서, 제어 장치(12)는, 퍼지를 수행할 때에는, 가스 터빈(2)의 운전 시(가스 터빈(2)을 단독으로 운전 중에 복합 발전으로의 이행 준비 시)에, 배기 바이패스 댐퍼(41)가 제1 위치(P1)에 배치되고 또한 제1 퍼지 배관(5)이 개방되도록 배기 바이패스 댐퍼(41) 및 제1 퍼지 밸브(6)를 제어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경우,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직전까지 고온의 배기 가스가 유입되었던 배열 회수 보일러(3) 내에서 고온 상태에 있는 관 군의 주위의 공기가 가열되어 있기 때문에, 외기 온도의 공기 비중보다 작다. 이에 따라서, 외기가 제1 퍼지 배관(5)을 통해 배열 회수 보일러(3)의 하부로부터 당해 배열 회수 보일러(3) 내에 유입하기 ‹š문에, 자연 통풍에 의해 퍼지 효과가 나타난다.
여기서, 가스 터빈(2)이 운전되고 있는 것, 즉 압축기(21)가 운전되고 있는 것을 이용하여, 제어 장치(12)는, 제2 퍼지 배관(8)이 개방되도록 제2 퍼지 밸브(9)를 제어하여도 좋다. 이 경우, 압축기(21)에서 생성된 압축 공기가 추기구(24)로부터 제2 퍼지 배관(8)을 통해 배열 회수 보일러(3) 내에 유입된다. 이에 따라서, 가스 터빈(2)의 효율이 약간 저하될 가능성이 있지만, 사용하는 압축 공기량에 의해 퍼지에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퍼지 밸브(6) 및 제2 퍼지 밸브(8)를 동시에 개방 상태로 하여도, 제1 퍼지 배관(5)으로부터 배열 회수 보일러(3)로의 공기의 흐름이 형성되지 않는다. 여기서, 제어 장치(12)에 의한 퍼지의 종료 시의 판정 방법은 제1 실시예와 동일하다.
이어서, 제어 장치(12)에 의한 퍼지 시의 제어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5는 제어 장치(12)의 처리의 흐름을 도시하는 플로우 차트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 장치(12)는, 가스 터빈(2)의 운전 시(가스 터빈(2)을 단독으로 운전 중에 복합 발전으로의 이행 준비 시)에 배기 바이패스 댐퍼(41)가 제1 위치(P1)에 위치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별한다(스텝(S11)). 배기 바이패스 댐퍼(41)가 제1 위치(P1)에 위치되어 있는 경우에는(스텝(S11)에서 YES), 스텝(S13)으로 진행하고, 배기 바이패스 댐퍼(41)가 제1 위치(P1)에 위치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스텝(S11)에서 NO), 제어 장치(12)는 배기 바이패스 댐퍼(41)를 제1 위치(P1)에 위치시킨다(스텝(S12)).
스텝(S13)에서는, 제어 장치(12)는, 제1 퍼지 밸브(6)를 개방 상태로 한 후, 제2 퍼지 밸브(9)를 개방 상태로 한다. 이에 따라서, 외기가 제1 퍼지 배관(5)을 통해 배열 회수 보일러(3) 내로 유입하고, 그 후 압축기(21)로부터의 압축 공기가 제2 퍼지 배관(8)을 통해 배열 회수 보일러(3) 내로 유입한다.
이어서, 제어 장치(12)는 퍼지 적산 유량이 소정량에 도달하였는지 여부를 판별한다(스텝(S14)). 퍼지 적산 유량이 소정량에 도달한 경우(스텝(S14)에서 YES), 스텝(S15)으로 진행하고, 퍼지 적산 유량이 소정량에 도달하지 않은 경우(스텝(S14)에서 NO), 스텝(S14)의 처리를 다시 수행한다.
스텝(S15)에서는, 제어 장치(12)는 제1 퍼지 밸브(6) 및 제1 퍼지 밸브(9)를 폐쇄 상태로 한다. 이에 따라서, 외기 및 압축 공기가 배열 회수 보일러(3) 내로 유입하지 않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2 실시예의 컴바인드 사이클 발전 플랜트(1a)에서는, 제1 퍼지 배관(5)을 통해 유입되는 외기와 제2 퍼지 배관(8)을 통해 유입되는 압축 공기를 퍼지의 때에 이용할 수 있기 때문에, 가스 터빈(2)의 효율이 약간 저하될 가능성이 있지만, 사용하는 압축 공기량에 의해 퍼지에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다음과 같다.
상기 제1 및 제2 실시예에서는, 제1 온도 센서(10)에 의해 검출된 온도 및 제2 온도 센서(11)에 의해 검출된 온도의 차이로부터 배열 회수 보일러(3)의 부력을 산출하고, 배열 회수 보일러(3)에 유입된 공기의 적산 유량을 산출하고, 당해 적산 유량이 소정량에 도달하면, 퍼지 종료로 판정하여 제1 퍼지 밸브(6)를 폐쇄 상태로 하도록 구성하였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제1 온도 센서(10)에 의해 검출된 온도 및 제2 온도 센서(11)에 의해 검출된 온도의 차이가 소정 범위 내에 있을 때에, 퍼지 종료로 판정하여 제1 퍼지 밸브(6)를 폐쇄 상태로 하여도 좋다. 또는, 퍼지를 개시하고 나서 일정 시간 경과 후에 제1 퍼지 밸브(6)를 폐쇄 상태로 하여도 좋다.
또한, 상기 제1 실시예에서는, 가스 터빈(2)에서 연소 종료 후이고 터닝 시에 퍼지를 수행하는 경우에 대해서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가스 터빈(2)에서 연소 종료 후라면, 터닝의 전에 또는 터닝의 후에 퍼지를 수행하여도 좋다.
또한, 상기 제2 실시예에서는, 가스 터빈(2)의 운전 시에 퍼지를 수행할 경우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제2 실시예에 따른 컴바인드 사이클 발전 플랜트(1a)에서도 터닝 시에 자연 통풍에 의한 퍼지를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제2 실시예에서는, 제1 퍼지 배관(5)을 통해 유입되는 공기와 제2 퍼지 배관(8)을 통해 유입되는 압축 공기를 이용하여 퍼지를 수행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상기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제1 퍼지 배관(5)을 통해 유입되는 외부 공기만을 이용하여 퍼지를 수행하여도 좋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2 실시예에서는, 제1 퍼지 밸브(6) 및 제2 퍼지 밸브(9)를 제어 장치(12)에 의해 제어하도록 구성하였지만, 제1 퍼지 밸브(6)를 제어하는 제어 장치와 제2 퍼지 밸브(9)를 제어하는 제어 장치를 나누어 설치하여도 좋다.
1: 컴바인드 사이클 발전 플랜트
2: 가스 터빈
3: 배열 회수 보일러
4: 덕트
5: 제1 퍼지 배관
6: 제1 퍼지 밸브
7: 체크 밸브
8: 제2 퍼지 배관
9: 제2 퍼지 밸브
10: 제1 온도 센서
11: 제2 온도 센서
12: 제어 장치
13: 연관
21: 압축기
22: 터빈
23: 배기구
24: 추기구
31: 로터
36: 모터
41: 배기 바이패스 댐퍼
P1: 제1 위치
P2: 제2 위치

Claims (6)

  1. 압축 공기를 생성하는 압축기와, 배기구를 구비하고, 연료와 상기 압축기에 의해 생성된 상기 압축 공기의 연소에 의해 생성된 연소 가스에 의해 구동되며, 상기 배기구로부터 배기 가스를 배출하는 터빈을 구비하는 가스 터빈과,
    상기 배기 가스로부터 열을 회수하여 증기를 발생시키는 수직형의 배열 회수 보일러와,
    상기 배기구와 상기 배열 회수 보일러의 하부를 접속하는 덕트와,
    상기 덕트에 일단이 접속되고, 타단이 대기 중으로 개방되어 공기가 유입되는 제1 퍼지 배관과,
    상기 제1 퍼지 배관에 설치된 제1 퍼지 밸브와,
    상기 제1 퍼지 배관이 개방되도록 상기 제1 퍼지 밸브를 제어하는 제어 장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바인드 사이클 발전 플랜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퍼지 배관에서 상기 제1 퍼지 밸브의 상류 측에 체크 밸브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바인드 사이클 발전 플랜트.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배열 회수 보일러 내의 온도를 검출하는 제1 온도 센서와,
    상기 제1 퍼지 배관에서 상기 체크 밸브의 상류 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1 퍼지 배관 내의 상기 공기의 온도를 검출하는 제2 온도 센서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제1 온도 센서에 의해 검출된 온도와 상기 제2 온도 센서에 의해 검출된 온도의 차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퍼지 배관이 폐쇄되도록 상기 제1 퍼지 밸브를 제어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바인드 사이클 발전 플랜트.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터빈은 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상태와 상기 모터와 분리된 상태 사이에서 전환되는 로터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가스 터빈에서 연소 종료 후이고 상기 로터가 상기 모터에 의해 회전될 때에, 상기 제1 퍼지 배관이 개방되도록 상기 제1 퍼지 밸브를 제어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바인드 사이클 발전 플랜트.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덕트에 접속되고, 상기 배기 가스를 대기 중에 방출하는 연관과,
    상기 덕트에 설치되고, 상기 배기 가스를 상기 연관으로 유입시키는 동시에 상기 배열 회수 보일러로의 상기 배기 가스의 유입을 차단하는 제1 위치 또는 상기 배열 회수 보일러로 상기 배기 가스를 유입시키는 동시에 상기 연관으로의 상기 배기 가스의 유입을 차단하는 제2 위치에 배치되는 배기 바이패스 댐퍼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가스 터빈의 운전 시에, 상기 배기 바이패스 댐퍼가 상기 제1 위치에 배치되고 또한 상기 제1 퍼지 배관이 개방되도록 상기 배기 바이패스 댐퍼 및 상기 제1 퍼지 밸브를 제어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바인드 사이클 발전 플랜트.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기는, 상기 압축 공기를 유출시키는 추기구를 구비하고,
    상기 추기구와 상기 덕트를 접속하는 제2 퍼지 배관 및 상기 제2 퍼지 배관에 설치된 제2 퍼지 밸브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가스 터빈의 운전 시에, 상기 제2 퍼지 배관이 개방되도록 상기 제2 퍼지 밸브를 제어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바인드 사이클 발전 플랜트.
KR1020217005226A 2018-08-08 2019-07-25 컴바인드 사이클 발전 플랜트 KR10245717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8149381A JP7137397B2 (ja) 2018-08-08 2018-08-08 コンバインドサイクル発電プラント
JPJP-P-2018-149381 2018-08-08
PCT/JP2019/029166 WO2020031714A1 (ja) 2018-08-08 2019-07-25 コンバインドサイクル発電プラン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33516A true KR20210033516A (ko) 2021-03-26
KR102457172B1 KR102457172B1 (ko) 2022-10-20

Family

ID=694140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05226A KR102457172B1 (ko) 2018-08-08 2019-07-25 컴바인드 사이클 발전 플랜트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7137397B2 (ko)
KR (1) KR102457172B1 (ko)
CN (1) CN112534121B (ko)
TW (1) TWI707083B (ko)
WO (1) WO2020031714A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50461B2 (ko) 1973-11-16 1980-12-18
JPS5660809A (en) * 1979-10-19 1981-05-26 Hitachi Ltd Purging method of combined plant
JPH10121908A (ja) * 1996-10-16 1998-05-12 Toshiba Corp 発電設備のターニング装置
JP2000130108A (ja) * 1998-10-28 2000-05-09 Toshiba Corp 複合サイクル発電プラントの起動方法
JP2013092146A (ja) * 2011-10-26 2013-05-16 General Electric Co <Ge> 排熱回収ボイラを動作させるシステム及び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94488A (en) * 1978-09-27 1980-03-25 William W. Weaver Home heating system
JP3133183B2 (ja) * 1992-12-28 2001-02-05 財団法人電力中央研究所 コンバインドサイクル発電プラント
US5666889A (en) * 1995-03-27 1997-09-16 Lennox Industries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furnace combustion control
US5819539A (en) * 1996-12-30 1998-10-13 Combustion Engineering, Inc. Detecting and purging combustible gases from heat recovery steam generator cavities
DE50208649D1 (de) * 2001-04-06 2006-12-21 Alstom Technology Ltd Verfahren zur bereitschaftshaltung eines kombikraftwerkes
CN2530163Y (zh) * 2002-04-09 2003-01-08 王恩魁 全自动自吸式燃气燃烧器
JP4341827B2 (ja) * 2003-11-13 2009-10-14 バブコック日立株式会社 コンバインドサイクルの排ガス通路構成とその運用方法
JP2007232262A (ja) * 2006-02-28 2007-09-13 Hitachi Ltd コージェネレーションプラント及びその運転方法
US7861532B2 (en) * 2007-06-26 2011-01-04 General Electric Company System and methods for heat recovery steam generators hot purging
JP2010001783A (ja) * 2008-06-19 2010-01-07 Toshiba Corp ブローイングアウト装置およびブローイングアウト方法
US8516786B2 (en) 2009-08-13 2013-08-27 General Electric Company System and method for injection of cooling air into exhaust gas flow
UY33038A (es) * 2009-11-20 2011-06-30 Rv Lizenz Ag Uso termico y quimico de sustancias cabonaceas en particular para la generacion de energia sin emisiones
JP5550461B2 (ja) 2010-06-16 2014-07-16 三菱重工業株式会社 ガスタービンコンバインドサイクルプラント及びガスタービンコンバインドサイクルプラントのパージ方法
US20120000200A1 (en) * 2010-06-30 2012-01-05 General Electric Company Inert gas purging system for an orc heat recovery boiler
CH705929A1 (de) * 2011-12-22 2013-06-28 Alstom Technology Ltd Verfahren zum Betreiben eines Kombikraftwerkes.
JP2013253602A (ja) 2012-06-06 2013-12-19 General Electric Co <Ge> 再起動のために発電機を準備するように発電機をシャットダウンするための方法
EP3091202B1 (en) 2015-05-07 2019-04-03 Ansaldo Energia IP UK Limited Method for counteracting draft through an arrangement including a gas turbine during a stop
JP2018531970A (ja) * 2015-11-04 2018-11-01 エクソンモービル ケミカル パテンツ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統合されたガスタービン及び変換システムプロセス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50461B2 (ko) 1973-11-16 1980-12-18
JPS5660809A (en) * 1979-10-19 1981-05-26 Hitachi Ltd Purging method of combined plant
JPH10121908A (ja) * 1996-10-16 1998-05-12 Toshiba Corp 発電設備のターニング装置
JP2000130108A (ja) * 1998-10-28 2000-05-09 Toshiba Corp 複合サイクル発電プラントの起動方法
JP2013092146A (ja) * 2011-10-26 2013-05-16 General Electric Co <Ge> 排熱回収ボイラを動作させるシステム及び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57172B1 (ko) 2022-10-20
JP2020023941A (ja) 2020-02-13
TWI707083B (zh) 2020-10-11
CN112534121B (zh) 2023-07-04
TW202007847A (zh) 2020-02-16
JP7137397B2 (ja) 2022-09-14
CN112534121A (zh) 2021-03-19
WO2020031714A1 (ja) 2020-02-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943920B2 (ja) ガスタービンの排ガス再循環管の洗浄
KR20120002480A (ko) 유기 랭킨 사이클 열 회수 보일러용 비활성 가스 퍼징 시스템
WO2015141458A1 (ja) コンバインドサイクルプラント、その制御方法、及びその制御装置
JP5840559B2 (ja) 排ガス再循環式ガスタービン発電設備の動作方法及び排ガス再循環式ガスタービン発電設備
EP2613018A2 (en) Method for meeting a purge flow requirement for a power plant and a power plant having a purge control system
JP5550461B2 (ja) ガスタービンコンバインドサイクルプラント及びガスタービンコンバインドサイクルプラントのパージ方法
JP5178575B2 (ja) 発電プラント給水装置及び制御方法
JP2000130108A (ja) 複合サイクル発電プラントの起動方法
KR102457172B1 (ko) 컴바인드 사이클 발전 플랜트
US10480420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controlling turbine powered system to reduce startup time
KR102420538B1 (ko) 컴바인드 사이클 발전 플랜트
JP2019210879A (ja) コンバインドサイクル発電プラント
JP4202583B2 (ja) コンバインドサイクル発電プラントの脱硝制御方法および装置
JP5478961B2 (ja) 蒸気タービンのウォーミング用弁制御方法及びその装置
JPH1073008A (ja) コンバインドサイクルプラント及びその起動停止方法
JPH11336510A (ja) 一軸コンバインドプラント起動システム
JPH0610619A (ja) 給水加熱装置
JP2006118751A (ja) 残炭燃焼停止方法
JP2005240667A (ja) コンバインド発電プラン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