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33124A - 육포 장아찌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육포 장아찌 - Google Patents

육포 장아찌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육포 장아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33124A
KR20210033124A KR1020190114432A KR20190114432A KR20210033124A KR 20210033124 A KR20210033124 A KR 20210033124A KR 1020190114432 A KR1020190114432 A KR 1020190114432A KR 20190114432 A KR20190114432 A KR 20190114432A KR 20210033124 A KR20210033124 A KR 2021003312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jerky
manufacturing
pickles
dried seaweed
seaso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144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06683B1 (ko
Inventor
최수옥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수떡공예교육문화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수떡공예교육문화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수떡공예교육문화원
Priority to KR10201901144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06683B1/ko
Publication of KR202100331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331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066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066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3/00Meat products; Meat meal;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3/70Tenderised or flavoured meat pieces; Macerating or marinating solu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3L13/72Tenderised or flavoured meat pieces; Macerating or marinating solu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using additives, e.g. by injection of solu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7/00Food-from-the-sea products; Fish products; Fish meal; Fish-egg substitut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7/60Edible seaweed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3/00Soups; Sauc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2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the health of the digestive trac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9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food processing or handling, e.g. food conservation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Zoology (AREA)
  • Seeds, Soups, And Other Foods (AREA)
  • Season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재료들을 준비한 후 상기 재료들을 일정 중량 또는 양으로 계량하는 재료 준비 및 계량 단계, 육포, 구운 김, 건다시마 및 건미역을 모두 동일한 소정 크기로 자르는 재료 절단 단계, 상기 소정 크기로 잘린 육포를 팬에 볶는 볶음 단계, 양념장을 제조하는 양념장 제조 단계, 상기 육포, 상기 김, 상기 건다시마 및 상기 건미역을 상기 양념장에 버무리는 양념 단계 및 상기 양념 단계에서 버무린 육포를 소정 온도에서 소정 기간동안 냉장 숙성시키는 냉장 숙성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육포 장아찌 제조방법에 관한 발명이다.

Description

육포 장아찌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육포 장아찌{Method for Manufacturing Jerky Pickles and Jerky Pickles Manufactured by the Method}
본 발명은 육포 장아찌 제조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해 제조된 육포 장아찌에 관한 발명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육포, 구운 김, 건다시마, 건미역을 소정 크기로 절단하고 양념한 후 소정 기간 냉장 숙성시키는 육포 장아찌의 제조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해 제조된 육포 장아찌에 관한 발명이다.
이 부분에 기술된 내용은 단순히 본 발명에 대한 배경정보를 제공할 뿐 종래기술을 구성하는 것은 아니다.
육포는 쇠고기나 돼지고기 등의 살코기에 양념을 하여 건조시킨 육가공 제품으로서 간식용 먹거리로 많이 이용되고 있다. 육포는 휴대가 간단하고 단백질이 풍부하기 때문에 바쁜 현대인들이 간단하게 요기하는 용도로 이용할 수도 있다.
최근에는 소고기나 돼지고기 외에도 어류, 오리고기를 주 재료로 하는 다양한 육포가 개발되고 있을 만큼 남녀노소 불문하고 애용하는 간식으로 각광받고 있다.
특히 육포는 고단백 음식으로 성장 발육에 도움이 되고 필수 아미노산을 보충할 수 있다.
그러나 육포의 주 재료인 살코기는 단백질로 구성되어 있어 단백질 이외 영양소가 부족하므로 육포를 식사 대용으로 삼아 섭취하거나 밥과 함께 반찬으로 이용하기에는 영양 부족의 문제가 있다.
또한, 육포는 단백질로만 이루어져 있을 뿐만 아니라 수분함량이 낮으므로 소화기능이 약한 사람의 경우 단백질로만 이루어진 육포를 섭취할 경우 식이섬유가 부족하여 소화에 어려움을 느낄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 등록특허 제10-1848653호에서는 소화가 용이하도록 대추, 솔잎분말을 혼합한 육포의 제조방법을 개시하고 있으나, 대추와 솔잎은 맛과 향이 강해 육포 자체의 풍미를 감소시킬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단백질 외 영양소를 포함하여 다양한 영양소를 포함하고 섭취하였을 경우 소화가 쉽게 될 수 있는 육포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한국 등록 특허 제10-1848653호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단백질로만 이루어진 육포에 무기질, 비타민, 식이섬유 등 영양소가 풍부한 육포 장아찌 제조방법을 제공하기 위함이다.
또한, 제조방법이 간단하여 누구나 가정에서 쉽게 만들 수 있고 맛과 식감이 뛰어난 육포 장아찌 제조방법을 제공하기 위함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는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육포 장아찌 제조방법으로서, 재료들을 준비한 후 상기 재료들을 일정 중량 또는 양으로 계량하는 재료 준비 및 계량 단계, 육포, 구운 김, 건다시마 및 건미역을 모두 동일한 소정 크기로 자르는 재료 절단 단계, 상기 소정 크기로 잘린 육포를 팬에 볶는 볶음 단계, 양념장을 제조하는 양념장 제조 단계, 상기 육포, 상기 김, 상기 건다시마 및 상기 건미역을 상기 양념장에 버무리는 양념 단계 및 상기 양념 단계에서 버무린 육포를 소정 온도에서 소정 기간동안 냉장 숙성시키는 냉장 숙성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재료 준비 및 계량 단계는 육포 150g, 구운 김 5장, 건미역 50g, 건다시마 100g, 고추장 240g, 꿀 130g, 매실청 100g 의 중량 또는 양으로 준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양념장 제조 단계는 고추장 240g, 꿀 130g, 매실청 100g을 혼합하여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재료 절단 단계는 1×2 ㎝의 크기로 상기 육포, 상기 구운 김, 상기 건다시마 및 상기 건미역을 절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냉장 숙성 단계는 냉장 온도 1℃ 이상 3℃이하에서 6일 이상 8일 이하로 숙성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육포는 홍두깨살로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육포 장아찌를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효과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제2프레임이 힌지회전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다수개의 제품을 포장하는 경우 부피를 최소화 할 수 있고, 관통구가 구비되어 다수개의 제품을 묶을 수 있어 포장이 용이한 장점이 있다.
둘째, 제1프레임에 제1걸이부, 제2걸이부를 구비하여 다수개의 제품을 연결하여 사용할 경우 안정적으로 고정되어 물품을 안정적으로 걸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셋째, 프레임의 후면에 홈을 구비하여 외부 충격시에도 비틀리지 않도록 구성되어 강도가 우수한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아래에서 설명하는 본 출원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뿐만 아니라 위에서 설명한 요약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해서 읽을 때에 더 잘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목적으로 도면에는 바람직한 실시예들이 도시되어 있다. 그러나, 본 출원은 도시된 정확한 배치와 수단에 한정되는 것이 아님을 이해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육포 장아찌 제조방법을 나타낸 순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육포 장아찌 제조방법에 사용되는 육포를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육포 장아찌 제조방법에 사용되는 구운 김을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육포 장아찌 제조방법에 사용되는 건다시마를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육포 장아찌 제조방법에 사용되는 건미역을 나타내는 도면,
도 6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육포 장아찌 제조방법의 양념단계를 나타내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육포 장아찌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된 육포 장아찌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내용을 보다 쉽게 개시하기 위하여 설명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첨부된 도면의 범위로 한정되는 것이 아님은 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용이하게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기능을 갖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부호를 사용할 뿐 실질적으론 종래기술의 구성요소와 완전히 동일하지 않음을 미리 밝힌다.
또한,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육포 장아찌 제조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육포 장아찌 제조방법은 재료 준비 및 계량 단계(S100), 재료 절단 단계(S200), 볶음 단계(S300), 양념장 제조 단계(S400), 양념 단계(S500) 및 냉장 숙성 단계(S6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하 각각의 단계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보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서 중량은 한 배합을 기준으로 한다.
먼저 재료 준비 및 계량 단계(S100)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육포 장아찌 제조방법에 필요한 재료들을 준비하고 한 배합에 필요한 중량만큼 계량하여 재료를 준비하는 단계이다.
본 단계에서는 한 배합을 기준으로 육포 150g, 구운 김 5장, 건미역 50g, 건다시마 100g, 고추장 240g, 꿀 130g, 매실청 100g의 재료를 준비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육포 장아찌 제조방법에 사용되는 육포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육포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육포를 사용할 수 있으며 기호에 따라 다양한 육포를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지방함량이 거의 없고 굵은 근섬유의 결이 일정한 홍두께살로 이루어진 육포를 사용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육포 장아찌 제조방법에 사용되는 구운 김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구운 김은 바다의 고기라고 불릴 정도로 단백질 함량이 높으며, 요오드, 비타민 B, 미네랄이 풍부하여 골다공증, 혈관질환, 치매예방에 좋으며 다른 음식과 섭취시 해독기능을 높여주는 장점이 있다. 특히 알긴산이라는 식이섬유가 풍부하여 소화를 촉진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육포 장아찌 제조방법에 사용되는 건미역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건미역은 각종 무기질, 식이섬유, DHA, 리놀산, 비타민 등이 풍부하게 들어있어 건강에 좋을 뿐만 아니라 변비예방에 탁월한 효능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육포와 함께 섭취시 소화를 촉진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육포 장아찌 제조방법에 사용되는 건다시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건다시마는 알긴산이 포함되어 고혈압 예방에 좋으며, 배변작용을 촉진하는 식이섬유가 풍부하여 마찬가지로 소화를 촉진할 수 있다.
재료 절단 단계(S200)는 상기 재료들을 일정한 크기로 자르는 단계이다. 상술한 육포, 구운 김, 건다시마 및 건미역을 모두 동일한 크기로 자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1×2㎝로 자르면 한입에 먹기 좋을 수 있다.
볶음 단계(S300)에서는 상기 재료 절단 단계에서 자른 육포를 팬에 볶는 단계이다. 약한 불 또는 중간불에서 50초에서 80초 가량 부드럽게 볶아주어 육포가 따뜻해질 정도로 구워준다.
양념장 제조 단계(S400)에서는 양념장을 제조하는데 양념장은 고추장, 꿀, 매실청을 섞어서 제조할 수 있다. 한 배합을 기준으로 고추장 240g, 꿀 130g, 매실청 100g의 중량으로 제조할 수 있다.
고추장의 캡사이신은 체내에서 소화효소의 분비를 촉진시켜 육포의 소화를 촉진할 수 있다. 또한, 혈액순환 기능을 수월하게 할 수 있고 신진대사를 원활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꿀은 체내의 독소를 배출시키고 피로회복에 도움이 되며 면역력 향상에 좋은 효과가 있다. 특히 항생 효과가 뛰어나므로 육포의 산패를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매실청은 간기능 강화, 피로회복, 숙취해소의 건강상 효과가 있다.
양념장 제조 단계(S400)에서 상술한 고추장, 꿀, 매실청을 골고루 섞어 본 발명인 육포 장아찌에 사용될 양념장을 제조하게 된다.
도 6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육포 장아찌 제조방법의 양념 단계(S500)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양념 단계(S500)에서는 상기 재료 절단 단계(S200)에서 절단한 육포, 구운 김, 건다시마 및 건미역을 상기 양념장 제조 단계(S400)에서 제조된 양념장에 골고루 버무린다. 양념장이 각 재료에 잘 스며들 수 있도록 골고루 섞어준다.
냉장 숙성 단계(S600)에서는 상기 양념한 재료들을 저온에서 일정기간 숙성시키게 된다. 바람직하게는 냉장 온도 1℃ 이상 3℃이하에서 6일 이상 8일 이하로 숙성하며 보통 7일동안 냉장 숙성하게 된다. 냉장 숙성 단계를 거치면서 재료에 양념장이 베여들어 맛과 풍미를 더할 수 있고 육질을 부드럽게 하여 식감을 좋게 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각 단계를 거쳐 제조된 육포 장아찌를 섭취할 경우 잣가루를 뿌려서 섭취하면 풍미를 더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육포 장아찌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된 육포 장아찌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육포 장아찌는 식이섬유가 풍부한 건다시마, 건미역, 구운 김이 포함되어 육포와 함께 섭취함으로써 소화에 큰 효과가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육포만 섭취하는 경우에 비하여 비타민, 미네랄, 무기질 등 균형잡힌 영양소를 섭취할 수 있으므로 반찬으로 섭취하는 경우 한끼 식사에 필요한 영양소를 모두 섭취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특히, 양념장과 재료들을 섞은 후 냉장 숙성하여 육포에 맛과 풍미를 더할 수 있어 남녀노소 불문하고 기호에 큰 상관 없이 즐길 수 있는 먹거리로 이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이 그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 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도 있다.

Claims (7)

  1. 육포 장아찌 제조방법에 있어서,
    재료들을 준비한 후 상기 재료들을 일정 중량 또는 양으로 계량하는 재료 준비 및 계량 단계;
    육포, 구운 김, 건다시마 및 건미역을 모두 동일한 소정 크기로 자르는 재료 절단 단계;
    상기 소정 크기로 잘린 육포를 팬에 볶는 볶음 단계;
    양념장을 제조하는 양념장 제조 단계;
    상기 육포, 상기 김, 상기 건다시마 및 상기 건미역을 상기 양념장에 버무리는 양념 단계; 및
    상기 양념 단계에서 버무린 육포를 소정 온도에서 소정 기간동안 냉장 숙성시키는 냉장 숙성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육포 장아찌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재료 준비 및 계량 단계는,
    육포 150g, 구운 김 5장, 건미역 50g, 건다시마 100g, 고추장 240g, 꿀 130g, 매실청 100g 의 중량 또는 양으로 준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육포 장아찌 제조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양념장 제조 단계는,
    고추장 240g, 꿀 130g, 매실청 100g을 혼합하여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육포 장아찌 제조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재료 절단 단계는,
    1×2 ㎝의 크기로 상기 육포, 상기 구운 김, 상기 건다시마 및 상기 건미역을 절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육포 장아찌 제조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냉장 숙성 단계는,
    냉장 온도 1℃ 이상 3℃이하에서 6일 이상 8일 이하로 숙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육포 장아찌 제조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육포는,
    홍두깨살로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육포 장아찌 제조방법.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육포 장아찌.

KR1020190114432A 2019-09-18 2019-09-18 육포 장아찌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육포 장아찌 KR1024066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4432A KR102406683B1 (ko) 2019-09-18 2019-09-18 육포 장아찌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육포 장아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4432A KR102406683B1 (ko) 2019-09-18 2019-09-18 육포 장아찌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육포 장아찌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33124A true KR20210033124A (ko) 2021-03-26
KR102406683B1 KR102406683B1 (ko) 2022-06-07

Family

ID=752593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14432A KR102406683B1 (ko) 2019-09-18 2019-09-18 육포 장아찌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육포 장아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06683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87317A (ko) * 2002-05-08 2003-11-14 강원도 고성군 (관리부서 농업기술센터) 다시마분말이 첨가된 고추장 및 그 제조방법
KR20140045241A (ko) * 2012-10-08 2014-04-16 김승태 여러 가지 식재료가 첨가된 염장식품
KR101848653B1 (ko) 2016-08-04 2018-04-13 유창모 대추를 이용한 표고버섯 육포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87317A (ko) * 2002-05-08 2003-11-14 강원도 고성군 (관리부서 농업기술센터) 다시마분말이 첨가된 고추장 및 그 제조방법
KR20140045241A (ko) * 2012-10-08 2014-04-16 김승태 여러 가지 식재료가 첨가된 염장식품
KR101848653B1 (ko) 2016-08-04 2018-04-13 유창모 대추를 이용한 표고버섯 육포 제조방법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육포고추장, 네이버블로그, [online] 2019.8.25. 공개 <URL: https://blog.naver.com/stop0905/221627890369>* *
육포고추장볶음 넘나 맛있어, 네이버블로그, [online] 2017.4.1. 공개 <URL: https://blog.naver.com/jangmars/220970961288>*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06683B1 (ko) 2022-06-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152012A (zh) 一种复合营养鱼制品
KR100781769B1 (ko) 두부커틀릿 및 그의 제조방법
CN101785561B (zh) 一种骨肉丸子及制备方法
CN100403938C (zh) 蛋饺及其制作方法
KR20050115051A (ko) 신규한 치킨 가공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치킨
KR20090090704A (ko) 등푸른 생선을 포함하는 가공식품 및 제조방법
CN101011145A (zh) 食用鸡枞馅
KR20210033124A (ko) 육포 장아찌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육포 장아찌
KR101985485B1 (ko) 즉석요리용 황태순대 전골의 제조방법
KR20070081788A (ko) 닭 가슴살 양념슬라이스 및 그 제조방법
KR20210033125A (ko) 육포 보푸라기 제조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해 제조된 육포 보푸라기
KR20100035255A (ko) 육수와 가마보꼬를 주원료로 한 라면국물 제조방법 및 이를이용한 라면의 조리방법
KR20060117412A (ko) 육류용 소스 및 그 제조방법
CN109463650A (zh) 一种老武汉肉圆子的制备方法
US20050158438A1 (en) Recipe for a bread substitute coating for food products
JP2715247B2 (ja) 黒大豆入りソーセージ及びその製造方法
KR20120048993A (ko) 표고버섯과 할라피뇨 고추를 첨가한 소시지의 제조방법
KR101102595B1 (ko) 육계용 양념소스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CN101361561A (zh) 海鲜酱
KR200367223Y1 (ko) 냉동 치킨 가공육
JPH06269252A (ja) 米加工食品
KR101856369B1 (ko) 포장 가능한 토마토 떡볶이 제조방법
KR101729897B1 (ko) 바비큐용 소스의 제조방법
CN107198140A (zh) 一种芝士狮子头的制作方法
CN202918987U (zh) 羊排食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