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32248A - 연약 지반 및 협소 수로용 준설선 - Google Patents

연약 지반 및 협소 수로용 준설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32248A
KR20210032248A KR1020190113779A KR20190113779A KR20210032248A KR 20210032248 A KR20210032248 A KR 20210032248A KR 1020190113779 A KR1020190113779 A KR 1020190113779A KR 20190113779 A KR20190113779 A KR 20190113779A KR 20210032248 A KR20210032248 A KR 202100322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nk
buoyancy body
dredger
soft ground
caterpill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137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46580B1 (ko
Inventor
백도선
Original Assignee
(주) 백건준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백건준설 filed Critical (주) 백건준설
Priority to KR10201901137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46580B1/ko
Publication of KR202100322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322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465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465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88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arrangements acting by a sucking or forcing effect, e.g. suction dredgers
    • E02F3/8833Floating install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55/00Endless track vehicles
    • B62D55/08Endless track units; Parts thereof
    • B62D55/088Endless track units; Parts thereof with means to exclude or remove foreign matter, e.g. sealing means, self-cleaning track links or sprockets, deflector plates or scrap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55/00Endless track vehicles
    • B62D55/08Endless track units; Parts thereof
    • B62D55/14Arrangement, location, or adaptation of ro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55/00Endless track vehicles
    • B62D55/08Endless track units; Parts thereof
    • B62D55/18Tracks
    • B62D55/20Tracks of articulated type, e.g. chains
    • B62D55/205Connections between track link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88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arrangements acting by a sucking or forcing effect, e.g. suction dredgers
    • E02F3/90Component parts, e.g. arrangement or adaptation of pumps
    • E02F3/92Digging elements, e.g. suction heads
    • E02F3/9256Active suction heads; Suction heads with cutting elements, i.e. the cutting elements are mounted within the housing of the suction head
    • E02F3/9268Active suction heads; Suction heads with cutting elements, i.e. the cutting elements are mounted within the housing of the suction head with rotating cutt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06Floating substructures as supports
    • E02F9/062Advancing equipment, e.g. spuds for floating dredg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Underground Or Underwater Handling Of Building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소정 크기의 내부 공간을 가지며 내부에 추진 엔진을 구비하고 상면에 운전실을 구비한 메인 부력체; 소정 크기의 내부 공간을 가지며 상기 메인 부력체의 양측면에 구비된 측면 부력체; 상기 측면 부력체의 선단부와 후단부에 각각 설치되어 구동 엔진에 의해 회전하는 스프로킷; 상기 측면 부력체의 하단에 회전가능하도록 구비된 복수개의 서포트 롤러; 상기 스프로킷과 치합하는 동시에 상기 서포트 롤러를 감싸도록 체결되는 무한궤도; 상기 운전실의 전방측에 해당하는 상기 메인 부력체에 설치되는 다관절 붐대; 및 상기 추진 엔진의 구동력에 의해 회전하도록 상기 메인 부력체의 후방에 설치되는 스크류를 포함하는 연약 지반 및 협소 수로형 준설선을 개시한다.

Description

연약 지반 및 협소 수로용 준설선 {Dredging vessel for soft ground and narrow waterway}
본 발명은 연약 지반 및 협소 수로용 준설선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엔진실과 운전실을 지지하는 메인 부력체 외에 무한궤도를 지지하는 측면 부력체를 채용함으로써, 크기와 중량을 감소시켜 연약 지반이나 협소 수로의 준설 작업에 적합하도록 개선된 수륙 양용형 준설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준설은 하천이나 항내 부두 및 항로 수심을 확보하기 위하여 수중의 토사나 자갈 등을 굴착하여 제거하는 작업을 말한다. 이러한 준설 작업은 작업선 또는 준설선이라 불리우는 장비를 사용하여 행해지는데, 종래 준설선은 디퍼 방식이나 그라브 방식을 채용하였으나, 원심 펌프의 등장으로 흡입식 준설선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특허 제10-1339890호에는, 부력배(바지선) 상에 포크레인의 붐대를 탑재하여 슬러지 또는 준설토를 그라브식 버켓으로 퍼올리고, 후방에는 준설토를 투입하기 위한 호퍼와 상기 호퍼에 투입된 준설토를 육상의 소정 위치로 펌핑하여 이송하기 위한 펌핑 설비가 구비된 준설선의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 또한, 동 문헌에는 그라브식 버켓 대신에 워터제트를 갖는 후드 장치를 포크레인의 붐대에 장착하고, 워터제트에 의해 수중 바닥의 이물질을 부양시키고, 부양된 이물질은 진공흡입관을 통해 흡입하여 펌핑 설비로 이송하는 준설선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진 준설선은 바지선과 같은 부력배를 본체로 하여 제작되므로, 수상에만 머물며 작업할 수밖에 없는 한계가 있다.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육지와 수상에서 동시에 작업할 수 있는 수륙 양용형 준설선이 개발되었는 바, 특허 제10-1013508호에는 이러한 수륙 양용형 준설선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 문헌에 따른 수륙 양용형 준설선은 내부에는 동력을 발생시켜 스크류로 전달하는 추진 엔진이 구비되고, 상면에는 운전실과 붐대가 장착된 부력배를 본체로 하여, 상기 부력배의 하단 양측에 무한궤도로 이루어진 캐터필러 조립체가 장착된 구성을 가진다.
그런데, 이러한 구성의 수륙 양용 준설선은 기존의 수상형 준설선에 단순히 캐터필러 조립체를 추가한 구성에 불과하여 수륙 양용으로서 작업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즉, 상기 준설선이 육지에서 작업하기 위해 상기 무한궤도를 사용하여 이동할 경우에는 기존의 수상형에 따라 설계된 상기 부력배의 구조가 크고 무거워 거동이 자유롭지 못하고, 특히 연약 지반이나 좁은 수로에서 작업하기에 적합하지 않다.
더욱이, 상기 준설선이 준설 작업을 위해 수상으로 진입할 경우, 상기 캐터필러 조립체가 부력배의 하단 양측에 구비되어 있기 때문에 준설선의 자중으로 인해 상기 캐퍼필러 조립체 전체가 수중에 잠기고 만다. 이러한 상태에서, 준설 작업 중에 준설선의 위치를 조금씩 수시로 이동해야 할 경우, 무한궤도를 작동하더라도 이동 효과를 달성하기 어려우며, 따라서 준설선의 이동은 스크류에 의존할 수밖에 없다.
이러한 상황은, 수심이 얕거나 수초나 수중 쓰레기 등의 이물질이 산재한 경우에 이루어지는 준설 작업에서는 상기 스크류의 원활한 작동을 보장할 수 없으므로, 더욱 문제가 될 수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013508호 : 수륙양용 준설선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339890호 : 복합 준설선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엔진실과 운전실을 지지하는 메인 부력체를 구비함은 물론, 상기 메인 부력체의 양측에 설치되는 측면 부력체를 무한궤도의 회전 궤적 내에 구비되도록 함으로써 준설선의 전체적인 크기와 중량을 줄여 연약 지반이나 협소 수로에서 준설 작업이 원활하도록 함과 동시에, 수상에서의 준설 작업시 메인 부력체와 측면 부력체의 부력에 의해 무한궤도가 수중에 완전히 잠기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수심이 낮은 곳에서 무한궤도의 동력만으로도 소정 거리 이동이 달성되는 연약 지반 및 협소 수로형 준설선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연약 지반 및 협소 수로형 준설선은, 소정 크기의 내부 공간을 가지며 내부에 추진 엔진을 구비하고 상면에 운전실을 구비한 메인 부력체; 소정 크기의 내부 공간을 가지며 상기 메인 부력체의 양측면에 구비된 측면 부력체; 상기 측면 부력체의 선단부와 후단부에 각각 설치되어 구동 엔진에 의해 회전하는 스프로킷; 상기 측면 부력체의 하단에 회전가능하도록 구비된 복수개의 서포트 롤러; 상기 스프로킷과 치합하는 동시에 상기 서포트 롤러를 감싸도록 체결되는 무한궤도; 상기 운전실의 전방측에 해당하는 상기 메인 부력체에 설치되는 다관절 붐대; 및 상기 추진 엔진의 구동력에 의해 회전하도록 상기 메인 부력체의 후방에 설치되는 스크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진 본 발명의 연약 지반 및 협소 수로형 준설선에 따르면, 엔진실과 운전실을 지지하는 메인 부력체를 구비함은 물론, 상기 메인 부력체의 양측에 설치되는 측면 부력체를 무한궤도의 회전 궤적 내에 구비되도록 함으로써 준설선의 전체적인 크기와 중량을 상대적으로 줄일 수 있으므로 연약 지반이나 협소한 수로에서 준설 작업을 수행하는데 효과적이다.
또한, 본 발명의 연약 지반 및 협소 수로형 준설선에 따르면, 수상에서의 준설 작업시 메인 부력체와 측면 부력체의 부력에 의해 무한궤도가 수중에 완전히 잠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수심이 낮거나 수초나 이물질이 있어서 스크류를 작동하기 곤란한 작업 환경에서도 준설선은 무한궤도의 동작에 의해 소정 범위 내에서 용이하게 이동가능하다.
본 발명의 향상된 효과와 이점들은 이하의 상세한 설명을 통해서 더욱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아래 도면들에 의해 구체적으로 설명되지만, 이러한 도면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나타낸 것이므로 본 발명의 기술사상이 그 도면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연약 지반 및 협소 수로형 준설선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연약 지반 및 협소 수로형 준설선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측면도 및 일부 확대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연약 지반 및 협소 수로형 준설선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배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연약 지반 및 협소 수로형 준설선에 구비된 분쇄흡입부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일부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연약 지반 및 협소 수로형 준설선에 구비된 흡입배관에 장착된 일방향 밸브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연약 지반 및 협소 수로형 준설선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연약 지반 및 협소 수로형 준설선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연약 지반 및 협소 수로형 준설선의 무한궤도에 대한 일부분리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연약 지반 및 협소 수로형 준설선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연약 지반 및 협소 수로형 준설선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연약 지반 및 협소 수로형 준설선의 궤도단위체에 대한 사시도이고,
도 12는 도 11의 궤도단위체가 준설선의 후단부에 위치된 상태에 대한 측단면도이고,
도 13은 도 11의 궤도단위체가 준설선의 전단부에 위치된 상태에 대한 측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연약 지반 및 협소 수로형 준설선의 상세한 구성을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과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들에서 동일한 참조번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이하,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특허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 “준설토”는 강이나 바다 등의 수면 밑바닥에 쌓인 모래, 자갈, 슬러지 등을 포괄하여 총칭하는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연약 지반 및 협소 수로형 준설선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연약 지반 및 협소 수로형 준설선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측면도 및 일부 확대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연약 지반 및 협소 수로형 준설선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배면도이다. 그리고,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연약 지반 및 협소 수로형 준설선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3실시 예에 따른 연약지반 및 협소 수로형 준설선에 대한 사시도이다. 또한, 도 11 내지 도 13은 본 발명의 제4실시 예에 따른 연약지반 및 협소 수로형 준설선에 대한 도면이다.
상기 도면들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연약 지반 및 협소 수로형 준설선은 소정 크기의 내부 공간을 가지며 내부에 추진 엔진을 구비한 메인 부력체(100)와, 소정 크기의 내부 공간을 가지며 상기 메인 부력체(100)의 양측면에 구비된 측면 부력체(210 및 220)와, 상기 측면 부력체(210 및 220)의 상면과 하면을 감싸도록 설치되어 구동하는 무한궤도(300)를 포함한다.
상기 메인 부력체(100)는 본 발명에 따른 준설선에 주된 부력을 제공하는 것으로서, 선택적으로 내부 공간이 밀폐되도록 구성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메인 부력체(100)는 스틸 등의 금속재를 용접하여 제작하거나, 폴리우레탄 또는 고강도발포성수지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메인 부력체(100)의 내부에는 수상에서 준설선의 추진을 위한 추진 엔진(미도시)이 구비되고, 상기 추진 엔진의 구동력은 감속기나 구동축을 포함하는 동력전달수단(미도시)에 의해 상기 메인 부력체(100)의 후방에 설치된 스크류(110)로 전달된다.
또한, 상기 메인 부력체(100)의 상면에는 작업자가 준설선을 운전하기 위한 운전실(120)이 배치되고, 상기 운전실(120)의 전방측에 해당하는 메인 부력체(100)에는 준설을 위해 3단 접힘이 가능한 다관절 붐대(130)가 설치된다.
더욱 구체적으로, 상기 다관절 붐대(130)는 상기 메인 부력체(100)에 결합된 붐대(130) 지지부와 연결된 제1 관절부(131), 상기 제1 관절부(131)의 단부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관절부(132), 및 상기 제2 관접부(132)의 단부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제3 관절부(133)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들을 동작하기 위한 복수의 유압실린더(134, 135 및 136)가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제2 관절부(132)는 제1 관절부(131)에 대해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가능하고, 상기 제3 관절부(133)는 상기 제2 관절부(132)에 대해 시계 방향으로 회동가능하므로, 협소 수로에서 펼침 및 접힘이 용이하고 하중이 편심되지 않는 장점이 있다.
상기 다관절 붐대(130)의 제3 관절부(133)의 선단에는 수면 밑바닥의 토사나 자갈 등의 준설토를 분쇄하여 흡입하기 위한 분쇄흡입부(140)가 구비된다. 상기 분쇄흡입부(140)의 구성을 보다 상세하게 도시한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분쇄흡입부(140)는 버킷 케이스(141)와, 상기 버킷 케이스(141) 내에 별도의 구동수단(미도시)에 의해 회전가능하도록 장착되어 준설토를 분쇄하는 블레이드(142)와, 상기 분쇄된 준설토를 흡입하도록 상기 버킷 케이스(141)에 연결된 흡입배관(150)을 포함한다. 상기 블레이드(142)의 종류와 형상, 크기 등은 본 발명에 의해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수면 밑바닥에 쌓인 준설토를 적절히 분쇄가능한 것이며 임의의 블레이드(142)가 채용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상기 흡입배관(150)은 상기 메인 부력체(100) 내에 구비된 원심펌프(미도시)와 연결되도록 연장되며, 상기 원심펌프의 동작에 의해 발생하는 흡입력으로 상기 준설토를 흡입하여 미도시된 이송배관을 통해 원하는 임의의 외부 장소로 이송하는 기능을 한다. 이러한 흡입배관(150), 원심펌프, 및 이송배관의 구성과 기능은 이미 잘 알려진 것이므로 더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나아가, 상기 분쇄흡입부(140)와 흡입배관(150)의 구성은 본 발명에 의해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준설토를 적절히 분쇄하거나 굴삭하여 흡입 배출할 수 있는 종래의 다양한 구성이 채용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흡입배관(150)의 경로 상에는 흡입된 준설토가 역방향으로 이송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일방향 밸브(160)가 설치되는데, 이러한 일방향 밸브(160)의 개략적인 구성은 도 5에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일방향 밸브(160)은 상기 흡입배관(150)의 내부 경로 상에 회동가능도록 장착된 회동축(162)과, 상기 회동축(162)의 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준설토의 이송 방향에 따라 흡입배관(150)의 내부 경로를 개방 및 차단하는 밸브 플레이트(164)를 포함한다. 나아가, 상기 흡입배관(150)은 상기 회동축의 설치 및 회동이 용이하도록 이를 수용하는 여유 공간(S)을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일방향 밸브(160)는 흡입배관(162) 뿐만 아니라 이송배관을 포함하는 경로 상에 임의의 지점에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메인 부력체(100)의 양측에는 측면 부력체(210 및 22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측면 부력체(210 및 220)는, 바람직하게는, 밀폐되는 소정 크기의 내부 공간을 가지도록 형성되며, 전술한 메인 부력체(100)와 마찬가지로 스틸 등의 금속재를 용접하여 제작하거나, 폴리우레탄 또는 고강도발포성수지 등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로서, 상기 메인 부력체(100)와 측면 부력체(210 및 220)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메인 부력체(100)의 내부 공간은 상기 측면 부력체(210 및 220)의 내부 공간과 상호 연통될 수 있다.
또 다른 대안으로서, 상기 메인 부력체(100)와 측면 부력체(210 및 220)는 각각 별도로 제작되어 상호 체결 조립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측면 부력체(210 및 220)의 외주면에는 이를 감싸도록 무한궤도(300)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무한궤도(300)의 구성은 후술하기로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측면 부력체(210 및 220)의 선단부와 후단부에는 스프로킷(230 및 240)이 각각 회전가능 하도록 장착되고, 이러한 스프로킷(230 및 240)은 상기 메인 부력체(100) 내에 구비된 구동 엔진 또는 모터(미도시)와 기계적으로 연결되어 그 구동력에 의해 회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측면 부력체(210 및 220)의 하면에는 복수개의 서포트 롤러(250)가 구비되며, 따라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무한궤도(300)는 상기 측면 부력체(210 및 220)의 선단과 후단에 마련된 스프로킷(230 및 240)과 치합하는 동시에 상기 서포트 롤러(250)를 감싸도록 체결될 수 있다.
복수 개의 서포트 롤러(250)는 측면 부력체(210 및 220)의 하면에 장착되는데, 서포트(374)에 각각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며 서포트(74)의 길이방향으로 상호 이격되게 설치되어, 회전되는 무한궤도(20)에서 측면 부력체(210 및 220)에 대해 하방 또는 하부에 위치되는 측을 지지한다.
추가적으로, 상기 측면 부력체(210 및 220)의 상면에는 복수개의 회전 롤러(260)가 더 구비되어 상기 측면 부력체(210 및 220)의 외주면을 감싸서 결합되는 무한궤도(300)를 지지할 수 있다. 복수개의 회전 롤러(260)는 측면 부력체(210 및 220)의 상면에 측면 부력체(210 및 220)의 길이방향으로 상호 이격되게 각각 설치된 복수의 상부지지브라켓(368)에 각각 설치되어, 측면 부력체(210 및 220)의 폭 방향 가장자리 상면에 측면 부력체(210 및 220)의 길이방향으로 상호 이격된다.
그리고, 서포트(374)는 도 2를 참고하면, 복수의 상부지지브라켓(68)이 설치된 측면부력체(210 및 220)의 상면에 대응되는 측면부력체(210 및 220)의 하면에 장착되는데, 측면 부력체(210 및 220)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서포트본체부(75)와, 서포트본체부(75)의 양단에서 측면 부력체(210 및 220)의 길이방향으로 멀어지게 연장되되 각각 상향 경사지게 연장된 전단부상향경사부(376)와, 후단부상향경사부(377)를 구비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요약하면, 본 발명의 준설선에서, 무한궤도(300)는 측면 부력체(210 및 220)의 하단에 마련되는 것이 아니라, 측면 부력체(210 및 220)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구비된다. 다시 말해, 측면 부력체(210 및 220)가 무한궤도(300)의 회전 궤적 내부에 위치하도록 구비되어, 수상에서 준설 작업시 무한궤도(300)의 하중에 대한 부력을 제공한다.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무한궤도(300)에는 수상에서 준설 작업시 준설선이 소정 범위내에서 이동하기에 용이하도록 노 역할을 할 수 있는 복수개의 핀(fin)(미도시)이 더 형성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도 8을 참조하면, 무한궤도(300)는 궤도체인(321)과, 복수의 궤도단위체(341)를 구비한다.
궤도체인(321)은 복수의 스프로킷(230,240)과 치합되며, 서포트롤러(250)와 회전롤러(260)에 지지된다. 복수의 궤도단위체(341)는 궤도체인(321)에 궤도체인(21)의 길이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며 궤도체인(221)을 따라 배열되게 장착된다. 궤도체인(321)은 준설선의 전단부의 전방방향으로 준설선이 이동되게, 측면부력체(210,220)의 상방에 위치되는 측은 메인부력체(100)의 후단측에서 전단측으로 이동되며 측면부력체(210,220)의 하방에 위치되는 측은 측면부력체(210,220)의 전단측에서 후단측으로 이동되게 회전된다.
반대로 궤도체인(321)은 준설선의 후단부의 후방방향으로 준설선이 이동되게, 측면부력체(210,220)의 상방에 위치되는 측은 측면부력체(210,220)의 전단측에서 후단측으로 이동되며 측면부력체(210,220)의 하방에 위치되는 측은 측면부력체(210,220)의 후단측에서 전단측으로 이동되게 회전된다. 궤도체인(321)은 스프로킷(230,240)에 치합되므로 스프로킷(230,240)의 회전 방향으로 회전된다.
궤도체인(321)은 측면부력체(210,220)의 폭 방향 일측부 또는 타측부의 외주면을 상기 측면부력체(210,220)의 길이방향으로 감싸도록 배열되는 다수의 제1링크(322)와, 측면부력체(210,220)의 폭 방향으로 연장되며 일측에 상호 인접하는 제1링크(322)들을 각각 관통하여 제1링크(322)들을 연결하며 스프로킷(230,240)에 치합 가능한 다수의 링크연결바(326)와, 제1링크(322)와 각각 마주하여 메인부력체(2)의 폭 방향 일측부 또는 타측부의 외주면을 측면부력체(210,220)의 길이방향으로 감싸도록 배열되고 상호 인접하는 일단 및 타단에 링크연결바(326)의 타측이 관통되는 다수의 제2링크(331)를 구비한다.
제1링크(322)와 제2링크(331)는 측면부력체(210,220)와 마주하는 측이 메인부력체(2)의 상방에 위치시 회전롤러(260)에 지지되며, 측면부력체(210,220)의 하방 또는 하부에 위치시 서포트롤러(250)에 지지된다
제1링크(322) 및 제2링크(331)는 양측에 각각 링크연결바(326)가 관통되는 링크연결바 관통공(323,332)이 형성되고, 궤도체인(321)의 하중을 줄일 수 있도록 중심측이 각각 관통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제1링크(322)는 외측을 향하는 길이방향 중심측에 궤도단위체(341)와 결합을 위한 볼트(351)가 관통되는 복수의 제1볼트관통공(324)이 형성되고, 제2링크(331)는 폭 방향으로 제1링크(322)와 대응되는 중심측에 궤도단위체(341)와 결합을 위한 볼트(351)가 관통되는 복수의 제2볼트관통공(333)이 형성된다.
도면을 참고하면, 제1링크(322)와 제2링크(331)는 측면부력체(210,220)의 폭 방향으로 상호 대칭되게 형성되는데, 길이방향의 일단보다 타단이 링크연결바(326)의 단부측에 위치되게 각각 형성되어 있다.
궤도단위체(341)는 측면부력체(210,220)에 대해 제1링크(322) 및 제2링크(331) 보다 외측에 위치되게 제1링크(322) 및 제2링크(331)의 각 중심측과 볼트(351) 결합된다.
궤도단위체(341)는 궤도체인(321)의 연장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며 접촉되는 지면 또는 수저면에 대해 수직항력을 높여 스프라켓(230,240) 회전에 따른 추진력을 높일 수 있도록 제1링크(322) 및 제2링크(331)에 멀어지는 방향으로 폭이 감소된 삼각기둥 형상으로 형성된다.
궤도단위체(341)는 중심측에 제1링크(322) 및 제2링크(331)와 결합되게 볼트가 관통되는 다수의 제3볼트관통공(343)이 형성된 링크결합부(342)와, 링크결합부(342)의 양측에 제1링크(322) 및 제2링크(331)와 마주하는 측에서 제1링크(322) 및 제2링크(331)에 멀어지는 방향으로 인입 형성된 중량감소홈(346)이 각각 형성된다.
궤도단위체(341)는 무한궤도가 수상에서 수저면에 이격된 상태에서 회전될 때, 물의 저항력에 의해 메인 부력체(100) 및 측면 부력체(210,220)에 보조추진력을 제공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다르게, 궤도단위체(341)는 궤도체인(321) 회전시 수중 내에서 물의 저항을 늘려 측면 부력체(210,220)에 보조추진력을 제공이 용이하도록 측면 부력체(210,220)의 폭 방향으 로 측면 부력체(210,220)에 대해 외측으로 돌출되게 연장될 수도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메인 부력체(100) 상부에는 수상에서 준설 작업시 준설선의 위치를 고정하기 위한 스퍼드부(400)가 구비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메인 부력체(100)의 상면에 데크 플레이트(105)가 결합되고, 상기 데크 플레이트(105)의 양단에 스퍼드부(400)가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스퍼드부(400)는, 상기 데크 플레이트(105) 상에 회동가능하도록 장착된 회동 브라켓(410)과, 상기 회동 브라켓(410)을 회동시키는 회동 실린더(420)와, 상기 회동 브라켓(410)에 설치된 가이드(430)와, 상기 가이드(430)를 따라 슬라이딩하도록 설치된 위치고정칼럼(440)과, 상기 위치고정칼럼(440)을 슬라이딩시키는 구동력을 제공하는 유압 실린더(4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회동 실린더(420)의 구동에 의해 상기 회동 브라켓(410)이 회동함으로써 상기 가이드(430) 및 위치고정칼럼(440)은 준설선의 상면부에서 눕혀진 상태에서 기립된 상태로 전환될 수 있다 (도 6의 상태 참조). 따라서, 단순히 준설선이 이동할 경우에는 상기 회동 실린더(420)를 후퇴시켜 상기 가이드(430)와 위치고정칼럼(440)을 눕힐 수 있는데, 이러한 구성은 본 발명에 따른 준설선이 협소한 수로나 수풀 또는 수목이 있는 장소를 용이하게 통과할 수 있도록 해준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스퍼드부(400)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준설선의 양측에, 다시 말해, 상기 데크 플레이트(105)의 양측에 각각 구비될 수 있으나, 그 개수와 설치 지점은 본 발명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다. 또 다른 예로서, 상기 준설선에는 전방부와 후방부에 각각 한 쌍의 스퍼드부(400)가 설치될 수도 있다.
그러면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진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약 지반 및 협소 수로형 준설선의 동작에 대해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로 살펴보기로 한다.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연약 지반 및 협소 수로형 준설선은 육지에서는 무한궤도(300)를 사용하여 이동할 수 있다. 즉, 상기 메인 부력체(100)의 내부에 설치된 구동 엔진(미도시)이 작동하면 그 구동력이 상기 측면 부력체(210 및 220)의 전단부와 후단부에 각각 설치된 스프로킷(230 및 240)으로 전달되어 이것이 회전하게 된다.
그에 따라, 상기 스프로킷(230 및 240)에 치합 체결되어 있는 무한궤도(300)가 회전하면서 준설선은 원하는 지점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러한 통상적인 이동시에는 상기 회동 실린더(420)를 후퇴시켜 상기 스퍼드부(400)가 눕혀진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며, 따라서 협소한 수로나 수풀 또는 수목이 있는 장소라고 준설선은 상대적으로 용이하게 이동이 가능하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측면 부력체(210 및 220)가 무한궤도(300)의 회전 궤적 내부에 위치하도록, 다시 말해, 상기 무한궤도(300)가 측면 부력체(210 및 220)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설치되므로, 준설선의 전체적인 크기와 중량을 상대적으로 줄일 수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인해, 본 발명의 준설선은 중장비가 진입하기 어려운 연약 지반이나 협소한 수로에서의 작업에 적합하다.
수면 밑바닥의 준설토를 준설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준설선이 수상에 진입한 상태가 도 7에 도시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준설 작업이 필요한 위치에 도달하면 원활하고 안정적인 작업을 위해 상기 준설선의 위치가 고정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도 6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회동 실린더(420)의 피스톤이 전진하여 상기 회동 브라켓(410)을 회동시킨다. 그러면, 상기 회동 브라켓(410)에 결합된 가이드(430) 및 위치고정칼럼(440)은 준설선의 상면부에서 눕혀진 상태로부터 기립된 상태로 전환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유압 실린더(450)를 구동시켜 피스톤을 후퇴시키면, 그 단부에 결합된 위치고정칼럼(440)이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이드(430)를 따라 하강하게 되고, 상기 하강하는 위치고정칼럼(440)의 하단부가 수면 밑바닥과 맞닿아 지지됨으로써 준설선의 위치가 고정될 수 있다.
그런 다음, 준설 작업을 위해, 붐대(130)를 작동시켜 분쇄흡입부(140)를 준설 영역에 위치시킨다. 이때,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붐대(130)의 제2 관절부(132)는 제1 관절부(131)에 대해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가능하고, 상기 제3 관절부(133)는 상기 제2 관절부(132)에 대해 시계 방향으로 회동가능하므로, 협소 수로에서 펼침 및 접힘이 용이하고 하중이 편심되지 않는 장점이 있다.
이어서, 미도시된 구동수단에 의해 블레이드(142)가 회전하면서 준설토를 분쇄하면서 굴삭하고, 분쇄되어 버킷 케이스(141) 내에서 부유하는 준설토는 원심펌프(미도시)의 흡입력에 의해 물과 함께 흡입배관(150)으로 흡입된 후 이송배관을 통해 외부에 정해진 임의의 장소로 배출된다. 이때, 상대적으로 크기가 큰 자갈이나 이물질을 걸러내기 위해 상기 흡입배관(150)의 입구에는 별도의 거름망이나 그릴이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흡입배관(150)의 경로 상에는 일방향 밸브(160)가 설치되어 전술한 도 5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동작에 따라 준설토가 역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수중 준설 작업 중 준설선이 상대적으로 먼거리를 이동할 필요가 있을 경우에는 상기 유압 실린더(450)의 피스톤을 전진시켜 상기 위치고정칼럼(440)을 상승시켜 위치고정 상태를 해제하고, 상기 메인 부력체(100) 내부에 구비된 추진 엔진을 구동시켜 그와 연결된 스크류(110)를 회전시킨다. 따라서, 스크류(110)의 회전에 의해 준설선은 원하는 위치까지 비교적 장거리를 이동할 수 있다.
반면에, 상기 준설선이 상대적으로 근거리를 이동할 경우에는 스크류(110) 대신에 상기 무한궤도(300)를 사용하여 이동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무한궤도(300)가 부력을 제공하는 측면 부력체(210 및 220)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구비되므로, 준설선이 수상으로 진입하더라도,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한궤도(300) 전체가 물 속으로 잠기지 않고, 그 일부 즉, 무한궤도(300)의 상부는 물 밖으로 노출된 상태가 된다. 따라서, 이 경우 구동력에 의해 무한궤도(300)를 회전시키면 물 속에 잠긴 무한궤도(300)의 하부가 마치 노를 젓는 효과를 발생하므로, 준설선이 소정 범위의 근거리는 충분히 이동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무한궤도(300)의 노 역할을 하는 핀이나 날개가 추가적으로 구비된 경우에 그 효과는 더욱 증대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일 실시 예에 따른 연약 지반 및 협소 수로형 준설선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연약 지반 및 협소 수로형 준설선은 보조 부력체(500)를 더 채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준설선이 수심이 깊거나 물살이 빠른 곳 또는 파도가 심한 곳에서 준설 작업을 해야할 경우, 이동 과정에 있어서 준설선이 요동하거나 불안정하게 되고 이로 인해 무한궤도(300)가 물 속으로 잠기는 사태가 초래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상기 보조 부력체(500)를 부착하여 추가 부력을 제공함으로써 준설선이 안정적인 작업과 이동을 보장할 수 있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보조 부력체(500)는 상기 측면 부력체(210 및 220)의 외측면에 각각 착탈가능하도록 체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측면 부력체(210 및 220)의 외측면에는 소정 깊이의 체결홈(510)이 형성되는데, 이 체결홈(510)은 측면 부력체(210 및 220) 내부로 갈수록 상부를 향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것은 보조 부력체(500)가 체결된 후 그 부력이 측면 부력체(210 및 220)에 온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체결홈(510)에 상응하는 크기와 형상을 가진 체결돌기(520)가 상기 보조 부력체(500)의 측면에 형성된다.
상기 보조 부력체(500)와 측면 부력체(210 및 220)의 체결을 위해 상기 보조 부력체(500)와 측면 부력체(210 및 220)가 맞닿는 상면에는 체결브라켓(530)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보조 부력체(500)의 체결돌기(520)를 상기 측면 부력체(210 및 220)의 체결홈(510)에 삽입하도록 결합하고, 상기 보조 부력체(500)와 측면 부력체(210 및 220)의 상면에 각각 형성된 체결브라켓(530)을 볼트와 같은 체결수단으로 상호 체결함으로써 보조 부력체(500)의 부착이 완료될 수 있다.
상기 보조 부력체(500)는 소정 크기의 밀폐된 내부 공간를 가지도록 스틸 등의 금속재를 용접하여 제작하거나, 폴리우레탄 또는 고강도발포성수지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보조 부력체(500)의 크기와 형상은 본 발명의 실시예와 도면에도 불구하고 다양하게 변형되어 구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도 10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연약 지반 및 협소 수로형 준설선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연약 지반 및 협소 수로형 준설선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3단 굴절형태의 붐대(130)와 분쇄흡입부(140) 대신, 2단 굴절 형태의 붐대(130')와 연약지반의 수저면에 수직하게 연장되는 회전축(미도시)에 의해 회전되면서 연약지반을 분쇄하는 분쇄흡입부(140')가 적용된다.
한편, 도 11 내지 도 13은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연약 지반 및 협소 수로형 준설선의 무한궤도에 대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제4실시 예에 따른 무한궤도는 궤도단위체(341)에 토사유입방지유닛(450)이 더 장착되는 것을 제외하고,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무한궤도유닛의 구조와 동일하다.
토사유입방지유닛(450)은 측면 부력체(210 및 220)에 대한 궤도단위체(341)의 위치에 따라 궤도단위체(341)의 중량감소홈(346)을 폐쇄하거나 개방하여 토사 나 이물질이 중량감소홈(346) 내로 유입되거나 고착되는 것을 방지한다.
토사유입방지유닛(450)은 중량감소홈(346)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지지축(451)과, 지지축(451)이 각각 관통하며 지지축(451)에 대해 각각 회동 가능하게 힌지결합되어 궤도단위체(341)의 위치 또는 기울기에 따라 중량감소홈(346)이 폐쇄되거나 개방되게 각각 회동가능한 제1유입방지부재(460)와 제2유입방지부재(470)를 구비한다.
제2유입방지부재(470)은 지지축(451)이 관통하는 제3지지축관통부(473)와, 제3지지축관통부(473)의 외주면 측에 방사방향으로 돌출되되 제3지지축관통부(473)보다 궤도단위체(341)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제2커버부(471)와, 제3지지축관통부(473)의 외주면 측에서 방사방향으로 돌출되되 제2커버부(471)와 이격된 위치에 형성되는 제2중량부(475)를 구비한다.
제1유입방지부재(460)은 제3지지축관통부(473)의 양단과 마주하며 지지축(451)이 관통하는 제1 및 제2지지축관통부(462,463)와, 제2커버부(471)의 길이방향으로 나란하게 연장되며 양단 일측이 각각 제1지지축관통부(462)와 제2지지축관통부(463)의 외주면과 연결되는 제1커버부(461)와, 제1 및 제2지지축관통부(462,463)의 상호 대응되는 각 외주면 측에서 방사방향으로 각각 돌출되되 제1커버부(461)와 이격된 위치에 형성되는 복수의 제1중량부(465)를 구비한다.
그리고, 토사유입방지유닛(450)는 제2유입방지부재(470)와 제1유입방지부재(460)의 회동각이 제한되게 제3지지축관통부(473)에서 돌출된 회동각제한턱(480)을 구비한다.
제1 및 제2유입방지부재(460,470)는 도 11을 참고하면, 궤도단위체(341)가 중량감소홈(346)의 개방된 측이 상방을 향하도록 위치시, 제1 및 제2중량부(465,475)가 지지축(451)의 하방측에 동일 선상에 위치되게 회동되면서 제1커버부와 제2커버부가 중량감소홈(346)의 마주하는 내주면에 각각 접하면서 중량감소홈(346)의 개방된 측을 폐쇄한다.
도 12 및 도 13을 참고하면, 제1유입방지부재(460)의 제1커버부(461)는 중량감소홈(346)의 내주면에 인접하는 단부측이 제1중량부(465)에 인접한 측보다 두껍게 형성되며, 중량감소홈(346)의 내주면과 마주하는 일측면 단부에 중량감소홈(346)의 내주면과 나란하게 접촉가능한 제1경사면(461a)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2유입방지부재(470)의 제2커버부(471)는 중량감소홈(346)의 내주면에 인접하는 단부측이 제2중량부(475)에 인접한 측보다 두껍게 형성되며, 중량감소홈(346)의 내주면과 마주하는 일측면 단부에 중량감소홈(346)의 내주면과 나란하게 접촉가능한 제2경사면(471a)이 형성되어 있다.
궤도단위체(341)가 측면 부력체(210 및 220)의 후단부에 수직하거나 경사지게 위치시, 도 12를 참고하면, 중량감소홈(346)내로 유입된 토사나 이물질을 외부로 배출되게 제1유입방지부재(460)가 중량감소홈(346)의 개방된 측으로 회동된다. 그리고, 궤도단위체(341)가 측면 부력체(210 및 220)의 전단부에 수직하거나 경사지게 위치시, 도 13을 참고하면, 중량감소홈(346)내로 유입된 토사나 이물질을 외부로 배출되게 제2유입방지부재(470)가 중량감소홈(346)의 개방된 측으로 회동된다. 또한,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궤도단위체(341)가 중량감소홈(346)의 개방된 측이 하방을 향하도록 위치시, 제1 및 제2커버부(461,471)는 상호 멀어지는 방향의 단부가 인접하게 회동되어 중량감소홈(346)을 개방한다.
본 발명의 제4실시 예에 따른 준설선은 궤도단위체(341) 내에 장착된 제1유입방지부재(460)와 제2유입방지부재(470)가 궤도단위체(341)의 위치에 따라 중량감소홈(346)이 폐쇄되거나 개방되게 회동되면서 중량감소홈(346) 측으로 유입된 토사가 정체되지 않고 외부로 배출되게 유도될 수 있다.
한편,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본 발명의 제5실시 예에 따른 무한궤도의 궤도단위체는 스프라켓(230,240) 회전에 따른 추진력을 높일 수 있도록 제1링크(322) 및 제2링크(331)에 결합되는 일측보다 제1링크(322) 및 제2링크(331)에 멀어지는 측의 폭이 감소되게 형성되는데, 수저면에 접촉되지 않고 수중에 부유 시에는 회전되면서 메인부력체(100) 및 측면부력체(210 및 220)에 보조추진력을 제공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제1 및 제2링크(22,31)에서 멀어지는 측의 타단부로 갈수록 폭이 다시 확장 되게 형성될 수도 있다.
즉, 궤도단위체는 제1링크(322) 및 제2링크(331)에 결합되는 일단측과 제1링크(322) 및 제2링크(331)에 멀어지는 타단측 사이의 폭이 제1링크(322) 및 제2링크(331)에 멀어지는 타단 측보다 좁게 형성되어 폭 방향 양측에 인입된 유체저항증가홈(미도시)이 각각 형성된다.
본 발명의 제5실시 예에 따른 준설선은 궤도단위체의 유체저항증가홈(미도시)에 의해 메인부력체(100) 및 측면부력체(210 및 220)에 보조추진력을 제공효과를 높일 수 있다.
비록 본 발명은 실시예와 첨부된 도면을 통해 구체적으로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해 정해지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예와 균등예가 있을 수 있다.
100: 메인 부력체 110: 스크류
120: 운전실 130: 붐대
140: 분쇄흡입부 150: 흡입배관
160: 일방향 밸브 210, 220: 측면 부력체
230, 240: 스프로킷 250: 서포트 롤러
260: 회전 롤러 300: 무한궤도
400: 스퍼드부 410: 회동 브라켓
420: 회동실린더 430: 가이드
440: 위치고정칼럼 500: 보조 부력체
510: 체결홈 520: 체결돌기
530: 체결브라켓

Claims (10)

  1. 소정 크기의 내부 공간을 가지며 내부에 추진 엔진을 구비하고 상면에 운전실을 구비한 메인 부력체;
    소정 크기의 내부 공간을 가지며 상기 메인 부력체의 양측면에 구비된 측면 부력체;
    상기 측면 부력체의 선단부와 후단부에 각각 설치되어 구동 엔진에 의해 회전하는 스프로킷;
    상기 측면 부력체의 하단에 회전가능하도록 구비된 복수 개의 서포트 롤러;
    상기 스프로킷과 치합하는 동시에 상기 서포트 롤러를 감싸도록 체결되는 무한궤도;
    상기 운전실의 전방측에 해당하는 상기 메인 부력체에 설치되는 다관절 붐대; 및
    상기 추진 엔진의 구동력에 의해 회전하도록 상기 메인 부력체의 후방에 설치되는 스크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약 지반 및 협소 수로형 준설선.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부력체와 측면 부력체는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약 지반 및 협소 수로형 준설선.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부력체의 내부 공간은 상기 측면 부력체의 내부 공간과 상호 연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약 지반 및 협소 수로형 준설선.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 부력체의 상면에는 복수개의 회전 롤러가 더 구비되어 상기 무한궤도를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약 지반 및 협소 수로형 준설선.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붐대의 선단부에는,
    버킷 케이스; 상기 버킷 케이스 내에 회전가능하도록 장착되어 준설토를 분쇄하는 블레이드; 및 상기 분쇄된 준설토를 흡입하도록 상기 버킷 케이스에 연결된 흡입배관을 포함하는 분쇄흡입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약 지반 및 협소 수로형 준설선.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부력체의 상면에는 데크 플레이트가 더 설치되고,
    상기 데크 플레이트 상에 회동가능하도록 장착된 회동 브라켓; 상기 회동 브라켓을 회동시키는 회동 실린더; 상기 회동 브라켓에 설치된 가이드; 상기 가이드를 따라 슬라이딩하도록 설치된 위치고정칼럼; 및 상기 위치고정칼럼을 슬라이딩시키는 구동력을 제공하는 유압 실린더를 포함하는 스퍼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약 지반 및 협소 수로형 준설선.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 부력체의 외측면에 착탈 가능하도록 체결되는 소정 크기의 밀폐된 내부 공간을 가진 보조 부력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측면 부력체의 외측면에는 소정 깊이의 체결홈이 내부로 갈수록 상부를 향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보조 부력체는,
    일측면에는 상기 체결홈에 상응하는 크기와 형상을 가진 체결돌기; 및 상기 측면 부력체에 체결하기 위해 상면에 형성된 브라켓;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약 지반 및 협소 수로형 준설선.
  8.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무한궤도는
    복수의 상기 스프로킷과 치합되며 상기 서포트롤러와 상기 회전롤러에 지지되는 궤도체인과, 상기 궤도체인에 상기 궤도체인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열되게 장착되는 복수의 궤도단위체를 구비하고,
    상기 궤도체인은
    상기 측면 부력체의 외주면을 상기 측면 부력체의 길이방향으로 감싸도록 배열되는 다수의 제1링크와; 상기 측면 부력체의 폭 방향으로 연장되며 일측에 상호 인접하는 상기 제1링크들을 각각 관통하여 상기 제1링크들을 연결하며, 상기 스프로킷에 치합가능한 다수의 링크연결바와,
    상기 제1링크와 각각 마주하여 상기 측면 부력체의 외주면을 상기 측면 부력체의 길이방향으로 감싸도록 배열되고 상호 인접하는 일단 및 타단에 상기 링크연결바의 타측이 관통되는 다수의 제2링크를 구비하며,
    상기 제1링크와 상기 제2링크는
    상기 측면 부력체의 상방 또는 하방에 위치시 상기 서포트롤러와 상기 회전롤러에 지지되며,
    상기 궤도단위체는
    상기 궤도체인의 연장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측면 부력체에 대해 상기 제1링크 및 상기 제2링크 보다 외측에 위치되게 상기 제1링크 및 상기 제2링크에 결합되며, 접촉되는 지면 또는 수저면에 대해 수직항력을 높여 상기 스프라켓 회전에 따른 구동력을 높일 수 있도록 상기 제1링크 및 상기 제2링크에 멀어지는 방향으로 폭이 감소되게 형성되고, 중심측에 상기 제1링크 및 상기 제2링크와 결합되는 링크결합부와, 상기 링크결합부의 양측에 상기 제1링크 및 상기 제2링크와 마주하는 측에서 상기 제1링크 및 상기 제2링크에 멀어지는 방향으로 인입 형성된 중량감소홈이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약 지반 및 협소 수로형 준설선.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궤도단위체는
    상기 무한궤도가 수저면에 접촉되지 않고 수중에 부유 시 회전되면서 상기 메인부력체 및 상기 측면부력체에 보조추진력을 제공을 위한 물의 저항을 높일 수 있도록, 상기 제1링크 및 상기 제2링크에 결합되는 일단측과 상기 제1링크 및 상기 제2링크에 멀어지는 타단측 사이의 폭이 상기 제1링크 및 제2링크에 멀어지는 타단측 보다 좁게 형성되어 폭 방향 양측에 유체저항증가홈이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약 지반 및 협소 수로형 준설선.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무한궤도유닛은
    상기 중량감소홈 내에 장착되어 상기 측면부력체에 대한 상기 궤도단위체의 위치에 따라 상기 궤도단위체의 상기 중량감소홈을 폐쇄하거나 개방하여 토사나 이물질이 상기 중량감소홈 내로 유입 또는 고착되는 것을 방지하는 토사유입방지유닛을 더 구비하고,
    상기 토사유입방지유닛은
    상기 중량감소홈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지지축과, 상기 지지축이 각각 관통하며 상기 지지축에 대해 각각 회동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어 상기 궤도단위체의 기울기에 따라 상기 중량감소홈이 폐쇄되거나 개방되게 각각 회동 가능한 제1유입방지부재와 제2유입방지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약 지반 및 협소 수로용 준설선.
KR1020190113779A 2019-09-16 2019-09-16 연약 지반 및 협소 수로용 준설선 KR1023465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3779A KR102346580B1 (ko) 2019-09-16 2019-09-16 연약 지반 및 협소 수로용 준설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3779A KR102346580B1 (ko) 2019-09-16 2019-09-16 연약 지반 및 협소 수로용 준설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32248A true KR20210032248A (ko) 2021-03-24
KR102346580B1 KR102346580B1 (ko) 2022-01-03

Family

ID=752570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13779A KR102346580B1 (ko) 2019-09-16 2019-09-16 연약 지반 및 협소 수로용 준설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46580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36542A (ja) * 1998-10-30 2000-05-16 Kankyo Center Okura:Kk 河川作業に使用するフローティング走行装置
JP2006151331A (ja) * 2004-12-01 2006-06-15 Komatsu Ltd 履帯式走行装置
JP2010030453A (ja) * 2008-07-29 2010-02-12 Hitachi Constr Mach Co Ltd 泥上作業機
KR101013508B1 (ko) 2010-04-21 2011-02-10 (주)신명건설기술공사 수륙양용 준설선
KR101339890B1 (ko) 2011-11-14 2013-12-10 (주)신명건설기술공사 복합 준설선
KR101853391B1 (ko) * 2017-12-14 2018-06-14 백도선 다목적 수륙양용 준설선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36542A (ja) * 1998-10-30 2000-05-16 Kankyo Center Okura:Kk 河川作業に使用するフローティング走行装置
JP2006151331A (ja) * 2004-12-01 2006-06-15 Komatsu Ltd 履帯式走行装置
JP2010030453A (ja) * 2008-07-29 2010-02-12 Hitachi Constr Mach Co Ltd 泥上作業機
KR101013508B1 (ko) 2010-04-21 2011-02-10 (주)신명건설기술공사 수륙양용 준설선
KR101339890B1 (ko) 2011-11-14 2013-12-10 (주)신명건설기술공사 복합 준설선
KR101853391B1 (ko) * 2017-12-14 2018-06-14 백도선 다목적 수륙양용 준설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46580B1 (ko) 2022-01-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919790A (en) Pushed suction dredger and barge combination
US4267652A (en) Dredging system and apparatus
KR101853391B1 (ko) 다목적 수륙양용 준설선
FI67597C (fi) Mudderverk
US20160237643A1 (en) Dredger actuated from land
AU2019422012A1 (en) Bucket-wheel emergency dredging device
KR20190108465A (ko) 수상부유체 고정 및 승강시스템
JP4875461B2 (ja) 浚渫装置
US6755701B2 (en) Amphibious vehicle with submersible capacity
CN213204269U (zh) 一种用于港口航道泥沙清理装置
KR102346580B1 (ko) 연약 지반 및 협소 수로용 준설선
EP0259472B1 (en) Dredger
JP4719536B2 (ja) 浚渫装置
CN111576517A (zh) 一体化高压防堵吸入冲挖清淤设备
KR102119844B1 (ko) 준설선용 무한궤도유닛
CN115653038A (zh) 一种液压驱动的清淤机器人
KR101182281B1 (ko) 조립식 준설선
KR102041508B1 (ko) 준설선의 유압식 추진장치
KR20210115286A (ko) 준설작업을 포함한 컨트롤 통합형 경량 수륙양용 준설선
JPH07259122A (ja) 浚渫装置
KR101148748B1 (ko) 수륙양용 준설선을 이용한 토양 준설공법
CN206052824U (zh) 一种水陆两用清淤设备
KR102285169B1 (ko) 다단 굴절구조를 갖는 준설선용 굴착유닛
JPH0819695B2 (ja) 高濃度浚渫排送装置
CN215105608U (zh) 薄层淤泥清除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