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30962A - 전기 기계식 브레이크 부스터 및 전기 기계식 브레이크 부스터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전기 기계식 브레이크 부스터 및 전기 기계식 브레이크 부스터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30962A
KR20210030962A KR1020217003801A KR20217003801A KR20210030962A KR 20210030962 A KR20210030962 A KR 20210030962A KR 1020217003801 A KR1020217003801 A KR 1020217003801A KR 20217003801 A KR20217003801 A KR 20217003801A KR 20210030962 A KR20210030962 A KR 202100309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ke booster
support plate
reaction disk
electromechanical brake
spind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038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62269B1 (ko
Inventor
안드레 볼베르크
빌리 나겔
Original Assignee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filed Critical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2100309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309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622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622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13/0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 B60T13/74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with electrical assistance or drive
    • B60T13/745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with electrical assistance or drive acting on a hydraulic system, e.g. a master cylind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22/00Shaping without cutting, by stamping, spinning, or deep-drawing
    • B21D22/20Deep-draw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28/00Shaping by press-cutting; Perforating
    • B21D28/24Perforating, i.e. punching ho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5/00Bending sheet metal along straight lines, e.g. to form simple cur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13/0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 B60T13/74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with electrical assistance or drive
    • B60T13/746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with electrical assistance or drive and mechanical transmission of the braking a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7/00Brake-action initiating means
    • B60T7/02Brake-action initiating means for personal initiation
    • B60T7/04Brake-action initiating means for personal initiation foot actua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7/00Brake-action initiating means
    • B60T7/02Brake-action initiating means for personal initiation
    • B60T7/04Brake-action initiating means for personal initiation foot actuated
    • B60T7/042Brake-action initiating means for personal initiation foot actuated by electrical means, e.g. using travel or force sens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8/00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 B60T8/32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responsive to a speed condition, e.g.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 B60T8/34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responsive to a speed condition, e.g.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having a fluid pressure regulator responsive to a speed condition
    • B60T8/40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responsive to a speed condition, e.g.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having a fluid pressure regulator responsive to a speed condition comprising an additional fluid circuit including fluid pressurising means for modifying the pressure of the braking fluid, e.g. including wheel driven pumps for detecting a speed condition, or pumps which are controlled by means independent of the braking system
    • B60T8/4072Systems in which a driver input signal is used as a control signal for the additional fluid circuit which is normally used for braking
    • B60T8/4077Systems in which the booster is used as an auxiliary pressure sour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30Sensors
    • B60Y2400/301Sensors for position or displac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81Braking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10/00Constructional features of vehicle sub-units
    • B60Y2410/13Materials or fluids with special properties
    • B60Y2410/132Magnetic, e.g. permanent magn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Braking Systems And Boosters (AREA)
  • Braking Arrangements (AREA)
  • Braking Elements And Transmiss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브레이크 부스터 고유의 엔진 또는 외부 전기 엔진에 의해 회전하게 될 수 있는 스핀들 너트(50); 회전 상태로 전환된 스핀들 너트(50)에 의해 스핀들(52) 및 지지 플레이트(54a)가 순수 병진 운동 상태로 전환될 수 있도록 지지 플레이트(54a)에 의해 일체로 회전하는 방식으로 고정되어 스핀들 너트(50) 상에 배치된 스핀들(52); 및 순수 병진 운동 상태로 전환된 지지 플레이트(54a)에 의해 종동될 수 있는 반응 디스크 수용 바디(54b);를 갖는, 차량의 브레이크 시스템용 전기 기계식 브레이크 부스터에 관한 것으로, 상기 반응 디스크 수용 바디(54b)는 반응 디스크(58)가 배치되어 있는 수용 개구를 구비하며, 상기 지지 플레이트(54a)와 반응 디스크 수용 바디(54b)는 일체형 부품(54)으로서 형성된다. 또한, 본 발명은 차량 브레이크 시스템용 전기 기계식 브레이크 부스터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전기 기계식 브레이크 부스터 및 전기 기계식 브레이크 부스터의 제조 방법
본 발명은, 차량 브레이크 시스템용 전기 기계식 브레이크 부스터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차량 브레이크 시스템용 전기 기계식 브레이크 부스터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 1a 및 도 1b는, 출원인에게 내부 종래 기술로서 공지된 종래의 브레이크 부스터의 개략적인 전체 도면 및 부분 도면을 보여준다.
도 1a 및 도 1b에 개략적으로 도시된 종래의 브레이크 부스터는 스핀들 너트(10)를 포함하며, 이 스핀들 너트(10)는 스핀들 너트(10)에 연결된 (도시되지 않은) 전기 엔진에 의해 회전 운동 상태로 전환될 수 있고, 중공 스핀들(12)과 상호 작용한다. 중공 스핀들(12)은, 스핀들(12) 및 지지 플레이트(14)가 자체 회전 상태로 전환된 스핀들 너트(10)에 의해 병진 운동 상태로 전환될 수 있도록, 지지 플레이트(14)에 의해 일체로 회전하도록 고정되어 있다. 이를 위해, 각각 하나의 (도시되지 않은) 타이 로드를 통해 각각 안내되는 2개의 슬라이딩 부시(16)가 지지 플레이트(14)의 각각 하나의 슬라이딩 부시 수용 개구 내로 삽입되어 있다. 반응 디스크 수용 바디(18)는, 이 반응 디스크 수용 바디(18)가 병진 운동 상태로 전환된 지지 플레이트(14)와 종동되도록, 수용 바디 상에 형성된 복수의 클립(20)에 의해 지지 플레이트(14) 상에 클램핑되어 있다. 반응 디스크 수용 바디(18)는 그의 클립(20)때문에 일반적으로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진다. 반응 디스크 수용 바디(18)는 또한, 반응 디스크(22)가 배치되어 있는 수용 개구를 구비한다. 따라서, 스핀들 너트(10)의 회전 운동에 의해 촉발된 반응 디스크 수용 바디(18)의 병진 운동은 반응 디스크(22)로의 엔진력의 전달을 야기한다.
도 1a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파스틸(pastille)(26)이 고정되어 있거나 형성되어 있는 플런저(24)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중공 스핀들(12)의 내부 용적을 관통해서 연장된다. 또한, 반응 디스크 수용 바디(18) 내에는, 중앙 개구를 통과해서 돌출하는 파스틸(26)이 반응 디스크(22)와 접촉될 수 있도록, 중앙 개구가 형성되어 있다. 반동 스프링(30)에 의해 중공 스핀들(12) 상에 지지되어 있는 입력 로드(28)를 통해서는, 브레이크 작동 요소/브레이크 페달에 가해진 운전자 제동력이 입력 로드(28)를 통해 플런저(24)로 전달될 수 있다. 플런저(24)로 전달된 운전자 제동력은 중앙 개구를 통과해서 돌출하는 파스틸(26)을 통해 반응 디스크(22)로 전달될 수 있다.
반응 디스크(22)를 통해, 엔진력뿐만 아니라 운전자 제동력도 (도시되지 않은) 마스터 브레이크 실린더 뒤에 배치된 하나 이상의 피스톤으로 전달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마스터 브레이크 실린더 및 이 실린더에 연결된 하나 이상의 휠 브레이크 실린더 내에서 압력 증가가 야기될 수 있다.
스핀들 너트(1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향하는 지지 플레이트(14)의 측에서는, 플랫 피팅(32)(flat fitting)이 플런저(24) 상에 부착되어 있으며, 이 경우 플랫 피팅(32)은 반응 디스크 수용 바디(18)에 의해 형성된 내부 용적을 통과해서 플런저(24)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수직으로 연장된다. 플랫 피팅(32)은 다른 무엇보다 (차동) 변위 센서의 자석(33)용 캐리어로서 이용된다.
전기 기계식 브레이크 부스터가 작동되지 않는 상태에서는, 다시 말해 엔진력과 운전자 제동력이 0인 경우에는, 플랫 피팅(32)과 이 플랫 피팅을 향해 배향되어 있고 내부 용적을 제한하는 반응 디스크 수용 바디(18)의 표면 사이에 0이 아닌 간격(A)이 존재하며, 플랫 피팅(32)과 지지 플레이트(14) 사이에 0이 아닌 간격(B)이 존재한다. 0이 아닌 간격(A)은 파스틸(26)의 형상에 의해 결정된다. 0이 아닌 간격(B)은 4개의 플라스틱 핀(34)에 의해 결정되며, 이들 플라스틱 핀은 각각 지지 플레이트(14) 내에 형성된 개구를 통과해서 돌출하고, 이들 플라스틱 핀을 이용하여 플랫 피팅(32)이 지지 플레이트(14)와 접촉하는 스핀들 너트(10)에 의해 지지된다.
본 발명은, 청구항 1의 특징들을 갖는 차량 브레이크 시스템용 전기 기계식 브레이크 부스터, 및 청구항 8의 특징들을 갖는 차량 브레이크 시스템용 전기 기계식 브레이크 부스터를 위한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지지 플레이트 및 반응 디스크 수용 바디가 일체형 부품으로서 형성된 전기 기계식 브레이크 부스터를 제공한다. 이는, 지지 플레이트 및 그에 형성된 반응 디스크 수용 바디가 동일한 출발 재료로부터, 동일한 성형 공정에 의해 일체로 형성되었음을 의미한다. 따라서, 지지 플레이트와 반응 디스크 수용 바디는 서로 클립 결합되거나, 서로 래칭되거나, 서로 나사 결합되거나, 서로 접착되지 않는다. 지지 플레이트 및 반응 디스크 수용 바디가 일체형 부품 내에 "통합"됨으로써 일체형 부품은 비교적 컴팩트하며, 그렇기 때문에 종래 기술에 따른 종래의 "지지 플레이트 개별 부품" 및 "반응 디스크 수용 바디 개별 부품"보다 더 바람직하게, 이와 같은 개별 부품을 구비하여 형성된 전기 기계식 브레이크 부스터에 사용될 수 있다. 일체형 부품의 장점에 대한 더 정확한 설명은 이하의 도면 설명부를 참조한다.
전기 기계식 브레이크 부스터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 반응 디스크 수용 바디를 갖는 지지 플레이트는 단일 판금으로부터 일체형 부품으로서 형성된다. 일체형 부품은 예를 들어 단일 판금으로부터 펀칭, 굽힘 및/또는 딥 드로잉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반응 디스크 수용 바디를 갖는 지지 플레이트를 일체형 부품으로서 제조하기 위해 비교적 간단한 제조 공정이 이용될 수 있다. 그렇기 때문에, 일체형 부품은 비교적 저렴하게 제조될 수 있다. 추가로, 이와 같은 방식으로 제조된 일체형 부품은 높은 견고성을 가지며, 이로써 이와 같은 일체형 부품이 장착된 전기 기계식 브레이크 부스터의 작동 동안 손상 위험이 상대적으로 낮다.
전기 기계식 브레이크 부스터의 또 다른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 수용 개구를 둘러싸는 일체형 부품의 에지 상에 각각 하나의 슬라이딩 부시 수용 개구를 갖는 하나 이상의 슬라이딩 부시 고정 섹션이 형성되며, 이 경우 하나 이상의 슬라이딩 부시가 각각 하나의 타이 로드에 의해 안내되는 하나 이상의 슬라이딩 부시 수용 개구 내로 삽입된다. 따라서, 전기 기계식 브레이크 부스터의 본 실시예에서는, 하나 이상의 슬라이딩 부시 및 하나 이상의 타이 로드를 이용해서 지지 플레이트를 안내하는 이점이 생략될 필요가 없다.
바람직하게, 전기 기계식 브레이크 부스터에서는, 파스틸형 부재가 고정되어 있거나 형성되어 있는 플런저가, 상기 파스틸형 부재가 반응 디스크와 접촉 상태에 있거나 접촉할 수 있는 방식으로, 중공 스핀들로서 설계된 스핀들 내부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배치되어 있고, 이때 플런저 상에는 플런저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수직으로 연장되는 플랫 피팅이 고정되거나 형성되며, 일체형 부품 내에는 하나 이상의 연속 개구가 형성되고, 이 연속 개구를 통과해서 플랫 피팅의 각각 하나의 부분 섹션이 돌출한다. 플랫 피팅은, 일체형 부품의 반응 디스크 수용 바디의 관련 접촉 표면과 접촉할 수 있는 제1 접촉 표면뿐만 아니라, 일체형 부품의 지지 플레이트의 접촉 표면과 접촉할 수 있는 제2 접촉 표면도 가능하게 한다. 따라서, 플런저, 파스틸형 부재 및 플랫 피팅으로 형성된 구성 요소와 일체형 부품 간에 힘이 전달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스핀들 너트 상에는 하나 이상의 돌출부가 형성되며, 이 돌출부는 하나 이상의 연속 개구를 통과해서 돌출하는 플랫 피팅의 하나 이상의 부분 섹션과 접촉 상태에 있거나 접촉할 수 있다. 따라서, 종래 방식으로 이용된 플라스틱 핀을 플랫 피팅 상에 부착하는 과정이 문제없이 생략될 수 있다. 이는 플랫 피팅의 제조를 용이하게 하고, 플랫 피팅의 제조 시 발생하는 제조 비용을 줄인다.
바람직한 방식으로, 자석이 하나 이상의 연속 개구를 통과해서 돌출하는 플랫 피팅의 하나 이상의 부분 섹션 상에 고정 장착되어 있다. 자석은, 자석에 인접하여 일체형 부품상에 고정된 변위 센서와 상호 작용할 수 있다. 따라서, 차동 경로를 신뢰성 있게 결정하기 위한 센서 시스템이 용이하게 경제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전술한 장점들은, 차량의 브레이크 시스템용 전기 기계식 브레이크 부스의 상응하는 제조 방법을 실행할 때에도 보장된다. 위에서 설명한 전기 기계식 브레이크 부스터의 실시예에 따라 제조 방법이 개선될 수 있다는 점은 자명하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들 및 장점들을 도면을 토대로 이하에서 설명한다.
도 1a 및 도 1b는 종래의 브레이크 부스터의 개략적인 전체도 및 부분도이다.
도 2a 내지 도 2c는 전기 기계식 브레이크 부스터의 일 실시예의 개략적인 부분도이다.
도 3은 차량의 브레이크 시스템용 전기 기계식 브레이크 부스터의 제조 방법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2a 내지 도 2c는, 전기 기계식 브레이크 부스터의 일 실시예의 개략적인 부분도이다.
이하에서 기술되는 전기 기계식 브레이크 부스터는, (도시되지 않은) 전기 엔진의 엔진력(Fmotor)뿐만 아니라 (도시되지 않은) 브레이크 작동 요소/브레이크 페달에 가해지는 운전자 제동력(Fdriver)도 마스터 브레이크 실린더의 하나 이상의 조정 가능한 피스톤으로 전달될 수 있도록, 차량/자동차 브레이크 시스템의 마스터 브레이크 실린더 상류에 설치될 수 있다. 이하에서 기술되는 전기 기계식 브레이크 부스터의 사용 가능성이 개별 브레이크 시스템의 특정 브레이크 시스템 유형뿐만 아니라, 차량/자동차의 특수한 차량 유형/자동차 유형으로도 한정되지 않는다는 점은 자명하다.
전기 기계식 브레이크 부스터는, 전기 엔진에 의해 회전 운동 상태로 전환될 수 있는/전환되는 스핀들 너트(50)를 포함한다. 전기 엔진은 선택적으로 브레이크 부스터 전용 엔진 또는 외부 엔진일 수 있다. 스핀들 너트(50) 상에는, 스핀들(52) 및 지지 플레이트(54a)가 회전 상태로 전환된 스핀들 너트(50)에 의해 순수 병진 운동 상태로 전환될 수 있도록/전환되도록 지지 플레이트(54a)에 의해 일체로 회전하는 방식으로 고정된 스핀들(52)이 배치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전기 엔진의 엔진력(Fmotor)은, 지지 플레이트(54a)가 엔진력(Fmotor)에 상응하게 제동 방향(56)으로 뒤에 배열된 마스터 실린더에 더 가깝게 조정되는 방식으로, 스핀들(52) 및 지지 플레이트(54a)로 전달될 수 있다.
지지 플레이트(54a)는 일체형 부품(54)의 부분이며, 이 경우 일체형 부품(54)의 또 다른 부분은 반응 디스크 수용 바디(54b)라고 정의될 수 있다. 반응 디스크 수용 바디(54b)를 갖는 지지 플레이트(54a)는, 일체형 부품(54)의 "파단" 또는 "절단" 없이는 지지 플레이트(54a) 및 반응 디스크 수용 바디(54b)의 "분해" 또는 "분리"가 불가능한 방식의 일체형 부품(54)으로 설계된다. 지지 플레이트(54a) 및 반응 디스크 수용 바디(54b)를 갖는 일체형 부품(54)은 "통합 반응 디스크 수용 바디"로서 또는 "지지 반응 디스크 수용 바디"라고도 지칭될 수 있다. 바람직한 방식으로, 반응 디스크 수용 바디(54b)를 갖는 지지 플레이트(54a)는 특히 단일 강판과 같은 단일 판금으로 이루어진 일체형 부품(54)으로서 형성된다. 일체형 부품(54)은 예를 들어 단일 판금/강판으로부터 펀칭, 굽힘 및/또는 딥 드로잉 공정에 의해 가공될 수 있다.
지지 플레이트(54a)는 회전 방지 플레이트(Anti Rotation Plate, ARP)라고도 지칭될 수 있다. 지지 플레이트(54a)에 대해 "플레이트"라는 용어가 사용됨에도, 지지 플레이트(54a)가 매끄러운 요소로 이해될 필요는 없다. 지지 플레이트(54a)는 예를 들어 휘어진 형상, 특히 구부러진(cranked)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스핀들(52)은 예컨대 지지 플레이트(54a)/일체형 부품(54)과 (특히 레이저 용접에 의해) 용접되어 용접 이음부(57)를 형성할 수 있다.
반응 디스크 수용 바디(54b)란, 반응 디스크(58)를 수용하기에 적합한 수용 개구를 갖는 바디 부재로 이해될 수 있다.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응 디스크(58)는 반응 디스크 수용 바디(54b)의 수용 개구 내에 배치된다. 반응 디스크 수용 바디(54b)는 밸브 바디(valve body)라고도 지칭될 수 있다. 지지 플레이트(54a)와 일체로 형성된 반응 디스크 수용 바디(54b)는 당연히 [일체형 부품(54)의 부분으로서] 순수 병진 운동 상태로 전환된 지지 플레이트와 종동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엔진력(Fmotor)이 반응 디스크 수용 바디(54b)를 통해 반응 디스크(58)로 전달될 수 있다/전달된다.
종래 기술에 따른 "지지 플레이트 개별 부품" 및 "반응 디스크 수용 바디 개별 부품"의 통상적인 사용 대신 일체형 부품(54)을 사용함으로써, 전술한 클립 연결들이 생략될 수 있다. 종래 기술에서 일반적으로 필요한 것처럼 플라스틱으로 반응 디스크 수용 바디(54b)를 형성하는 대신, 일체형 부품(54)을 위해 판금/강판이 사용될 수 있으며, 이는 이하에서 더 정확하게 설명되는 장점들을 낳는다. 클립 연결의 생략은, 종래의 개별 부품들에 비해 일체형 부품(54)의 더 큰 컴팩트 특성도 보장한다. 특히, 반응 디스크 수용 바디(54b)에서 발생하는 횡력은 일체형 부품(54)의 부분으로서 형성된 지지 플레이트(54a)를 통해 스핀들(52) 상에 문제없이 지지될 수 있다. 지지 플레이트(54a)를 일체형 부품(54)의 부분으로서 형성하는 것은, 지지 플레이트(54a) 내에서의 굽힘 응력의 발생도 저지하고, 이로써 용접 이음부(57)를 그러한 굽힘 응력으로부터 보호한다.
또한, 종래의 개별 부품들과 달리 일체형 부품(54)의 사용은 지지 플레이트(54a)와 반응 디스크 수용 바디(54b)의 상호 "자동" 고정을 구현한다. 종래 기술에서는, "지지 플레이트 개별 부품" 내로 여러 번 관통 홀이 펀칭되고, 플라스틱 핀이 "반응 디스크 수용 바디 개별 부품"에 고정되고, 그 결과 플라스틱 핀을 "지지 플레이트 개별 부품"의 관통 홀 내부로 끼움으로써 개별 부품의 고정이 가능해진다. 이러한 플라스틱 핀은 일체형 부품(54)을 사용할 경우 문제없이 생략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일체형 부품(54)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종래 방식에서 판금 펀칭을 이용해서 지지 플레이트 개별 부품상에 관통 홀을 형성하기 위해, 그리고 플라스틱 사출 성형을 이용해서 반응 디스크 수용 바디 개별 부품상에 플라스틱 핀을 고정 또는 형성하기 위해 여전히 필수적인 공정들도 생략될 수 있다. 종래 기술에서는 이와 같은 공정을 실행할 때의 부정확성이 자주 개별 부품들 상호간의 부정확한 조정을 야기하는 반면, 일체형 부품(54)을 사용할 때에는 이러한 유형의 문제가 제거된다.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응 디스크(58)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 개구를 둘러싸는 일체형 부품(54)의 에지 상에, 각각 하나의 슬라이딩 부시 수용 개구(60)를 갖는 하나 이상의 슬라이딩 부시 고정 섹션(54c)이 형성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도시되지 않은) 슬라이딩 부시가 하나 이상의 슬라이딩 부시 수용 개구(60) 내로 삽입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슬라이딩 부시는 각각 하나의 타이 로드에 의해 안내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스핀들(52)은 신뢰성 있게 일체로 회전 가능하도록 고정될 수 있다. 일체형 부품(54)의 반응 디스크(58)는 바람직하게, 관련 슬라이딩 부시 수용 개구(60) 내에 삽입된 하나 이상의 슬라이딩 부시가 반응 디스크(58)와 "동일 평면"에 놓이도록 형성된다. 일체형 부품(54)의 반응 디스크(58)의 뚜렷한 굽힘(cranking)은 불필요하다. 이 경우, 일체형 부품(54) 상에서의 횡력 또는 휨 모멘트 발생으로 인한 일체형 부품(54)의 "비틀림"을 염려할 필요가 없다.
예를 들어, 2개의 슬라이딩 부시 수용 개구(60)가 일체형 부품(54)의 2개의 슬라이딩 부시 고정 섹션(54c) 상에 형성될 수 있음으로써, 스핀들(52)의 원치 않는 회전 운동을 방지하기 위해 2개의 슬라이딩 부시가 2개의 타이 로드에 의해 안내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스핀들 너트(50)의 회전 운동이 문제없이 일체형 부품(54)과 함께 스핀들(52)의 순수 병진 운동으로 변환될 수 있다.
도 2a 내지 도 2c의 전기 기계식 브레이크 부스터는, 바람직한 보완책으로서 또한, 파스틸형 부재(64)가 고정되어 있거나 형성되어 있는 플런저(62)도 구비하며, 이 경우 플런저(62)는 중공 스핀들로서 형성된 스핀들(52) 내부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배치된다. 더 바람직하게, 일체형 부품(54)의 부분으로서 형성된 반응 디스크 수용 바디(18) 내에, 중앙 개구를 통과해서 돌출하는 파스틸형 부재(64)가 반응 디스크(58)와 접촉 상태에 있거나 접촉할 수 있도록, 중앙 개구가 형성된다. 선택적인 방식으로, 반응 디스크(58)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 개구 내로 추가로 베이스 플레이트(68)가 삽입될 수 있다. 이 베이스 플레이트(68)는 중앙 연속 개구를 구비할 수 있고, 이 연속 개구를 통해 파스틸형 부재(64)가 반응 디스크(58)와 접촉할 수 있다. 브레이크 작동 요소/브레이크 페달에 가해지는 운전자 제동력(Fdriver)은 플런저(62)를 통해, 그리고 반응 디스크(58)와 접촉하고 있거나 접촉된 파스틸형 부재(64)를 통해 반응 디스크(58)로 전달된다. 반응 디스크(58)에 가해진 엔진력(Fmotor)뿐만 아니라 반응 디스크(58)로 전달된 운전자 제동력(Fdriver)도, 제동 방향(56)으로 반응 디스크(58)에 대해 앞에 놓여 있는 출력 피스톤(66)을 통해, 후방에 배치된 마스터 브레이크 실린더의 하나 이상의 조정 가능 피스톤으로 전달될 수 있다.
도 2a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베이스 플레이트(68)의 사용을 통해 엔진력(Fmotor)을 반응 디스크(58)로 전달하기 위한 직경이 종래 기술에 비해 감소한다. 따라서, 스핀들(52)과 일체형 부품(54) 사이의 용접 이음부(57)는 반응 디스크(58)로의 엔진력(Fmotor)의 전달에 의해 하중을 전혀/거의 받지 않는다.
플런저(62) 상에는 바람직하게, 플런저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수직으로 연장되며 키(key)라고도 정의될 수 있는 플랫 피팅(70)도 고정되거나 형성된다. 플런저(62), 파스틸형 부재(64) 및 플랫 피팅(70)은 예컨대 서로 압착되거나 코킹될 수 있다. 또한, 일체형 부품(54) 상에 하나 이상의 연속 개구가 형성될 수 있으며, 이 연속 개구를 통과해서 플랫 피팅(70)의 각각 하나의 부분 섹션이 돌출한다. 이 경우, 스핀들 너트(50) 상에 하나 이상의 돌출부(72)가 형성되고, 이 돌출부는 하나 이상의 연속 개구를 통과해서 돌출하는 플랫 피팅(70)의 하나 이상의 부분 섹션과 접촉 상태에 있거나 접촉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나 이상의 돌출부(72)는 바람직하게는 돌출하는 환형 칼라(72)이다. 스핀들 너트(50) 상에 형성된 하나 이상의 돌출부(72)에 의해, 종래 방식으로 스핀들 너트(50) 상에서 플랫 피팅(70)을 지지하기 위해 플랫 피팅(70) 상에 사용되는 플라스틱 핀이 절약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플랫 피팅(70) 상에 플라스틱 핀을 형성하기 위한 사출 성형 공정이 불필요해진다. 그렇기 때문에, 도 2a 내지 도 2c의 전기 기계식 브레이크 부스터에서 비교적 저렴한 부품이 플랫 피팅(70)으로서 사용될 수 있다. 플랫 피팅(70)은 예컨대 판금/강판으로부터 성형될 수 있다.
일체형 부품(54)도 바람직하게는 판금/강판으로부터 성형되기 때문에, 이로써 동일 재료로부터 또는 (거의) 동일한 열팽창 계수를 갖는 재료로부터 플랫 피팅(70) 및 일체형 부품(54)을 형성할 수 있는 가능성이 도출된다. 따라서, 플랫 피팅(70)과 일체형 부품(54)의 열 팽창이 서로 "보상"된다.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기 기계식 브레이크 부스터가 작동되지 않는 상태에 있거나 무동력 출발 상태에 있는 경우, 다시 말해 엔진력(Fmotor) 및 운전자 제동력(Fdriver)이 0인 경우, 플랫 피팅(70)과 베이스 플레이트(68) 사이에 0이 아닌 간격(A)이 존재하고, 플랫 피팅(70)과 지지 플레이트(54a) 사이에 0이 아닌 간격(B)이 존재한다. 전기 기계식 브레이크 부스터의 비작동 상태에서 0이 아닌 간격(A)은 베이스 플레이트(68)의 형상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위에서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전기 기계식 브레이크 부스터의 비작동 상태에서 0이 아닌 간격(B)은 스핀들 너트(50) 상의 하나 이상의 돌출부(72)의 디자인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바람직한 개선예로서, 추가로 예를 들어 막대 자석(74)과 같은 자석(74)이 하나 이상의 연속 개구를 통과해서 돌출하는 플랫 피팅(70)의 하나 이상의 부분 섹션 상에 부착될 수 있다. 도 2c에 화살표(76)로 도시된 바와 같이, 자석/막대 자석(74)의 고정은, 자석/막대 자석(74)을 플랫 피팅(70) 상에 간단히 고정 장착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플랫 피팅(70) 상에 자석/막대 자석(74)을 "차후" 고정하는 방식은, 종래 기술에서 수행되던 바와 같이, 하나의 사출 성형 공정에서 자석/막대 자석(74)을 플라스틱으로 압출 코팅하는 것보다 훨씬 더 비용 효율적이다.
자석/막대 자석(74)에 인접하여, 추가로 (차동) 변위 센서(78)가 일체형 부품(74) 상에 고정될 수 있다. 자석/막대 자석(74)과 (차동) 변위 센서(78)의 상호 작용에 의해, 일체형 부품(54)과 함께 스핀들(52)의 [엔진력(Fmotor)에 의해 야기된] 제1 조정 변위와; 파스틸형 부재(64) 및 플랫 피팅(70)과 함께 플런저(62)의 [운전자 제동력(Fdriver)에 의해 야기되는] 제2 조정 변위; 간의 차동 변위가 신뢰성 있게 결정될 수 있다. 플랫 피팅(70)과 일체형 부품(54)이 동일한 재료 또는 (거의) 동일한 열팽창 계수를 갖는 재료로부터 성형되고, 그 때문에 플랫 피팅(70)과 일체형 부품(54)이 "상이한" 열팽창을 갖지 않는 한, (차동) 변위 센서(78)를 이용한 차동 변위의 측정 시, 심지어 -40℃ 내지 100℃의 비교적 넓은 온도 범위에 걸쳐서도 온도 변동에서 기인하는 측정 오류를 염려할 필요가 없다.
도 3은, 차량의 브레이크 시스템용 전기 기계식 브레이크 부스터의 제조 방법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를 보여준다.
이하에서 기술되는 제조 방법에 의해, 예를 들어 위에서 설명한 전기 기계식 브레이크 부스터가 제조될 수 있다. 하지만, 제조 방법의 실시 가능성은 이와 같은 전기 기계식 브레이크 부스터의 제조에만 한정되지 않는다.
방법 단계 "S1"에서는, 스핀들 너트가 브레이크 부스터 전용의 또는 외부의 전기 엔진에 의한 전기 기계식 브레이크 부스터의 추후 작동 시 회전 운동 상태로 전환되도록, 스핀들 너트가 추후 전기 기계식 브레이크 부스터 내에 배치된다.
방법 단계 "S2"에서는, 스핀들 및 지지 플레이트가 회전 상태로 전환된 스핀들 너트에 의해 순수 병진 운동 상태로 전환되도록, 스핀들이 스핀들 너트 상에 배치되고, 지지 플레이트에 의해 이 스핀들이 일체로 회전하도록 고정 지지된다. 방법 단계 "S2"에 앞서, 반응 디스크 수용 바디를 가진 지지 플레이트가 일체형 부품으로서 제조되는 방법 단계 "S3"가 실시된다. 예를 들어, 반응 디스크 수용 바디를 갖는 지지 플레이트가 단일 판금으로부터 일체형 부품으로서 성형된다. 바람직한 방식으로, 반응 디스크 수용 바디를 가진 지지 플레이트는 단일 판금으로부터 일체형 부품으로서 펀칭, 굽힘 및/또는 딥 드로잉 가공된다.
그 다음 방법 단계 "S4"에서는, 반응 디스크가 반응 디스크 수용 바디의 수용 개구 내로 삽입된다. 반응 디스크 수용 바디가 일체형 부품의 부분이기 때문에, 반응 디스크 수용 바디는 순수 병진 운동 상태로 전환된 지지 플레이트에 의해 종동되며, 이로써 전기 기계식 브레이크 부스터의 작동을 위해 사용된 전기 엔진과 반응 디스크 간 동력 전달을 실현한다.
본원에 기술된 방법 단계 "S1" 내지 "S4"에 의해 제조된 전기 기계식 브레이크 부스터는 위에서 이미 설명한 장점들을 충족시킨다. 방법 단계 "S1", "S2" 및 "S4"는 임의의 순서로, 시간상 중첩되어 또는 동시에 실시될 수 있다. 또한, 본원에 기술된 제조 방법은 위에서 설명한 전기 기계식 브레이크 부스터에 따라 개선될 수 있다.

Claims (10)

  1. 차량 브레이크 시스템용 전기 기계식 브레이크 부스터로서,
    브레이크 부스터 전용의 또는 외부의 전기 엔진에 의해 회전 운동 상태로 전환될 수 있는 스핀들 너트(50);
    상기 스핀들 너트(50) 상에 배치되고, 회전 상태로 전환된 스핀들 너트(50)에 의해 스핀들(52) 및 지지 플레이트(54a)가 순수 병진 운동 상태로 전환될 수 있도록 지지 플레이트(54a)에 의해 일체로 회전하는 방식으로 고정된 스핀들(52); 및
    순수 병진 운동 상태로 전환된 지지 플레이트(54a)에 의해 종동될 수 있는 반응 디스크 수용 바디(54b)로서, 반응 디스크(58)가 배치되어 있는 수용 개구를 가진 반응 디스크 수용 바디(54b);를 구비한, 전기 기계식 브레이크 부스터에 있어서,
    지지 플레이트(54a)와 반응 디스크 수용 바디(54b)가 일체형 부품(54)으로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기계식 브레이크 부스터.
  2. 제1항에 있어서, 반응 디스크 수용 바디(54b)를 가진 지지 플레이트(54a)가 단일 판금으로부터 일체형 부품(54)으로서 성형되는, 전기 기계식 브레이크 부스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수용 개구를 둘러싸는 일체형 부품(54)의 에지 상에 각각 하나의 슬라이딩 부시 수용 개구(60)를 갖는 하나 이상의 슬라이딩 부시 고정 섹션(54c)이 형성되고, 하나 이상의 슬라이딩 부시가 각각 하나의 타이 로드에 의해 안내되는 하나 이상의 슬라이딩 부시 수용 개구(60) 내로 삽입되는, 전기 기계식 브레이크 부스터.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파스틸형 부재(64)가 고정되어 있거나 형성되어 있는 플런저(62)가, 상기 파스틸형 부재(64)가 반응 디스크(58)와 접촉 상태에 있거나 접촉할 수 있는 방식으로, 중공 스핀들로서 설계된 스핀들(52) 내부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배치되어 있고, 이때 플런저(62) 상에는 플런저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수직으로 연장되는 플랫 피팅(70)이 고정되거나 형성되며, 일체형 부품(54) 내에는 하나 이상의 연속 개구가 형성되고, 상기 연속 개구를 통과해서 플랫 피팅(70)의 각각 하나의 부분 섹션이 돌출하는, 전기 기계식 브레이크 부스터.
  5. 제4항에 있어서, 스핀들 너트(50) 상에 하나 이상의 돌출부(72)가 형성되며, 이 돌출부는 하나 이상의 연속 개구를 통과해서 돌출하는 플랫 피팅(70)의 하나 이상의 부분 섹션과 접촉 상태에 있거나 접촉할 수 있는, 전기 기계식 브레이크 부스터.
  6.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연속 개구를 통과해서 돌출하는 플랫 피팅(70)의 하나 이상의 부분 섹션 상에 자석(74)이 고정 장착되어 있는, 전기 기계식 브레이크 부스터.
  7. 제6항에 있어서, 자석(74)에 인접하여 변위 센서(78)가 일체형 부품(54) 상에 고정되어 있는, 전기 기계식 브레이크 부스터.
  8. 차량의 브레이크 시스템용 전기 기계식 브레이크 부스터의 제조 방법으로서,
    스핀들 너트(50)가 브레이크 부스터 전용의 또는 외부의 전기 엔진에 의한 전기 기계식 브레이크 부스터의 추후 작동 시 회전 운동 상태로 전환되도록, 스핀들 너트(50)를 추후 전기 기계식 브레이크 부스터 내에 배치하는 단계(S1);
    스핀들(52) 및 지지 플레이트(52a)가 회전 상태로 전환된 스핀들 너트(50)에 의해 순수 병진 운동 상태로 전환되도록, 스핀들(52)을 스핀들 너트(50) 상에 배치하고, 지지 플레이트(54a)에 의해 이 스핀들(52)을 일체로 회전하도록 고정 지지하는 단계(S2); 및
    순수 병진 운동 상태로 전환된 지지 플레이트(54a)에 의해 종동되는 반응 디스크 수용 바디(54b)의 수용 개구 내로 반응 디스크(58)를 삽입하는 단계(S4);를 포함하는, 전기 기계식 브레이크 부스터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반응 디스크 수용 바디(54b)를 가진 지지 플레이트(54a)를 일체형 부품(54)으로서 제조하는 단계(S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기계식 브레이크 부스터의 제조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반응 디스크 수용 바디(54b)를 가진 지지 플레이트(54a)가 단일 판금으로부터 일체형 부품(54)으로서 성형되는, 전기 기계식 브레이크 부스터의 제조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반응 디스크 수용 바디(54b)를 가진 지지 플레이트(54a)가 단일 판금으로부터 일체형 부품(54)으로서 펀칭, 굽힘 및/또는 딥 드로잉 가공되는, 전기 기계식 브레이크 부스터의 제조 방법.
KR1020217003801A 2018-07-11 2019-06-06 전기 기계식 브레이크 부스터 및 전기 기계식 브레이크 부스터의 제조 방법 KR10266226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8211549.4A DE102018211549A1 (de) 2018-07-11 2018-07-11 Elektromechanischer Bremskraftverstärker und Herstellungsverfahren für einen elektromechanischen Bremskraftverstärker
DE102018211549.4 2018-07-11
PCT/EP2019/064812 WO2020011457A1 (de) 2018-07-11 2019-06-06 Elektromechanischer bremskraftverstärker und herstellungsverfahren für einen elektromechanischen bremskraftverstärk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30962A true KR20210030962A (ko) 2021-03-18
KR102662269B1 KR102662269B1 (ko) 2024-05-03

Family

ID=669127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03801A KR102662269B1 (ko) 2018-07-11 2019-06-06 전기 기계식 브레이크 부스터 및 전기 기계식 브레이크 부스터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11814021B2 (ko)
EP (1) EP3820750B1 (ko)
JP (1) JP7186807B2 (ko)
KR (1) KR102662269B1 (ko)
CN (1) CN112351923B (ko)
DE (1) DE102018211549A1 (ko)
ES (1) ES2932611T3 (ko)
WO (1) WO202001145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64815B1 (ko) * 2019-08-05 2024-05-10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용 전동부스터
DE102020109452A1 (de) * 2020-04-03 2021-10-07 Zf Active Safety Gmbh Elektrisch ansteuerbare Betätigungseinheit für eine Kraftfahrzeugbremse, Bremskraftverstärker mit einer solchen elektrisch ansteuerbaren Betätigungseinheit und Kraftfahrzeug-Bremsanlage mit einem solchen Bremskraftverstärker
DE102020208764A1 (de) * 2020-07-14 2022-01-20 Robert Bosch Gesellschaft mit beschränkter Haftung Elektromechanischer Bremskraftverstärker
CN111907499B (zh) * 2020-08-07 2021-06-08 格陆博科技有限公司 一种电液制动系统及其制动方法
DE102022205425A1 (de) 2022-05-30 2023-11-30 Robert Bosch Gesellschaft mit beschränkter Haftung Elektromechanischer Bremskraftverstärker für ein Bremssystem eines Fahrzeugs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545672A (ja) * 2010-12-15 2013-12-26 ローベルト ボッシュ ゲゼルシャフト ミット ベシュレンクテル ハフツング ブレーキアシスト装置およびこのような装置を含む自動車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933936B1 (fr) * 2008-07-17 2014-10-10 Bosch Gmbh Robert Servomoteur reglable d'assistance au freinage
DE102009001142A1 (de) * 2009-02-25 2010-08-26 Robert Bosch Gmbh Elektromechanischer Bremskraftverstärker
DE102010002406B4 (de) * 2010-02-26 2012-01-26 Robert Bosch Gmbh Hydraulisches Bremssystem und Verfahren sowie Steuergerät zu dessen Betrieb
CN103802813B (zh) 2012-11-12 2018-11-06 博世汽车部件(苏州)有限公司 助力器及制动系统
DE102015006396A1 (de) * 2015-05-21 2016-11-24 Lucas Automotive Gmbh Elektrohydraulische Bremskrafterzeugungsvorrichtung für eine elektrohydraulische Kraftfahrzeug-Bremsanlage
DE102015217528A1 (de) * 2015-09-14 2017-03-16 Robert Bosch Gmbh Lagervorrichtung und elektromechanischer Bremskraftverstärker
DE102015217522A1 (de) 2015-09-14 2017-03-16 Robert Bosch Gmbh Elektromechanischer Bremskraftverstärker und Bremssystem
DE102015226508A1 (de) * 2015-12-22 2017-06-22 Robert Bosch Gmbh Elektromechanischer Bremskraftverstärker und Bremssystem
DE102017203559A1 (de) * 2017-03-06 2018-09-06 Robert Bosch Gmbh Elektromechanischer Bremskraftverstärker und Herstellungsverfahren für einen elektromechanischen Bremskraftverstärker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545672A (ja) * 2010-12-15 2013-12-26 ローベルト ボッシュ ゲゼルシャフト ミット ベシュレンクテル ハフツング ブレーキアシスト装置およびこのような装置を含む自動車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7186807B2 (ja) 2022-12-09
EP3820750A1 (de) 2021-05-19
ES2932611T3 (es) 2023-01-23
CN112351923B (zh) 2023-04-28
US11814021B2 (en) 2023-11-14
US20210245724A1 (en) 2021-08-12
DE102018211549A1 (de) 2020-01-16
EP3820750B1 (de) 2022-08-24
WO2020011457A1 (de) 2020-01-16
CN112351923A (zh) 2021-02-09
KR102662269B1 (ko) 2024-05-03
JP2021528312A (ja) 2021-10-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10030962A (ko) 전기 기계식 브레이크 부스터 및 전기 기계식 브레이크 부스터의 제조 방법
US10549741B2 (en) Electromechanical brake booster and braking system
CN108025728B (zh) 机电的制动力放大器和制动系统
US11066052B2 (en) Electromechanical brake booster and manufacturing method for an electromechanical brake booster
US7287376B2 (en) Hydraulic cylinder, in particular slave cylinder for a hydraulic clutch actuation system for motor vehicles
US5331813A (en) Brake actuator assembly for motor vehicles
US10864897B2 (en) Brake device for a hydraulic motor vehicle brake system
US11338784B2 (en) Electric booster
US6314865B1 (en) Vacuum brake booster
JP7269165B2 (ja) 油圧式の自動車ブレーキシステム用のブレーキ装置
US20190009765A1 (en) Electromechanical brake booster and braking system
US6491439B1 (en) Wiper bearing
JP3964463B2 (ja) 乗物用の風防ガラスのワイパー装置とその作製方法
JP2002521259A (ja) ワイパ装置用の管状キャリア
CN113525324A (zh) 机电式制动力放大器
US7493849B2 (en) Hydraulic cylinder, in particular slave cylinder for a hydraulic clutch actuation system for motor vehicles
CN113541404B (zh) 电子换向电动机、制动设备和制造电子换向电动机的方法
JP4394198B2 (ja) ケーブルの端末を固定するためのケーブル固定装置
US20230393607A1 (en) Pedal device
EP3964411B1 (en) Brake release mechanism for a spring brake actuator and spring brake actuator comprising such brake release mechanism
WO2022239498A1 (ja) ペダル装置
JPH043900Y2 (ko)
CN117241972A (zh) 用于制动设备的操作装置的制动力产生器,用于制动设备的操作装置
FR3069074A1 (fr) Pedalier pour vehicule automobile comportant un doigt d’actionnement d’un capteur de la pedale de frei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